KR102098372B1 - 사이드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372B1
KR102098372B1 KR1020187030935A KR20187030935A KR102098372B1 KR 102098372 B1 KR102098372 B1 KR 102098372B1 KR 1020187030935 A KR1020187030935 A KR 1020187030935A KR 20187030935 A KR20187030935 A KR 20187030935A KR 102098372 B1 KR102098372 B1 KR 102098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tether
airbag device
vehicle
side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8948A (ko
Inventor
유토 고바야시
마코토 후마
히데호 후쿠다
히로유키 다구치
다카나리 무로야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80128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60R2021/23384Internal tether means having ends which are movable or detachable during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60R2021/23388External tether means having ends which are movable or detachable during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19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7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anels
    • B60R2021/23576S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차량 충돌 시의 충돌 속도, 충돌 각도, 승차인의 체격 및 충돌 에너지 등의 다양한 조건에 따라 에어백 쿠션의 내압을 조절 가능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한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인플레이터(100)와, 차량의 좌석(102)의 측부에 설치되어 측부로부터 차량 전방으로 가스에 의해 팽창 가능한 쿠션 본체부(120)와, 쿠션 본체부(120)의 차량 전방측에 설치되어 쿠션 본체부(120)로부터 가스를 받아 나아가 차량 전방으로 돌출하여 팽창 가능한 쿠션 돌출부(122)와, 띠상으로서 쿠션 돌출부(122)부터 좌석(102)의 측부의 소정 위치까지 걸쳐져, 쿠션 돌출부(122)를 차량 후방으로 되접힌 상태로 유지하는 테더(124)와, 차량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하는 센서(132)와, 센서(132)가 취득한 정보에 따라 테더(124)를 절단하는 테더 커터(1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이드 에어백 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좌석의 측부에 설치되어 해당 측부로부터 차량 전방에 가스에 의해 팽창가능한 쿠션 본체부를 구비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에어백 장치가 거의 표준 장비되어 있다. 에어백 장치는 차량 충돌 등의 긴급 시에 작동하는 안전 장치로서, 가스압으로 에어백 쿠션을 팽창 전개시켜 승차인을 받아내 보호한다. 에어백 장치에는 설치 장소나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예를 들어, 전후 방향에서의 충돌로부터 운전자를 지키기 위해, 스테어링의 중앙에는 프론트 에어백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밖에도 측면 충돌 등에 의한 차량 폭 방향에서의 충돌로부터 승차인을 지키기 위해, 사이드 윈도의 상방 천장 부근에는 커튼 에어백 장치가 설치되고, 좌석의 측부에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백의 형상은 승차인이나 주위의 구조물과의 위치 관계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한 차량용 에어백은 조수석용의 비교적 용량이 큰 에어백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승차인의 머리부와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에어백 본체의 내측에 팽창 규제 테더를 설치하고 있다. 팽창 규제 테더는 에어백 본체의 기포(基布)를 내측으로부터 인장함으로써 그 팽창 및 승차인에 대한 부하를 억제하고 있다.
특허문헌1 : 일본특허 특개 2000-142290호 공보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쿠션에 있어서도, 승차인의 구속 시에 승차인이 받는 부하를 억제하는 대책이 요청되고 있다. 예를 들어, 에어백 쿠션에 의해 승차인이 받는 부하는 차량 충격 시의 충격 속도에 정비례로 커진다. 에어백 쿠션의 내압은 가스의 공급원인 인플레이터의 출력에 따르고 있지만, 인플레이터의 출력 자체를 충돌 속도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은 구조의 복잡화나 비용 면에서 현실적이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차량 충돌 시의 충돌 속도, 충돌 각도, 승차인의 체격 및 충돌 에너지 등의 다양한 조건에 따라 에어백 쿠션의 내압을 조절 가능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은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와, 차량 좌석의 측부에 설치되어 측부로부터 차량 전방으로 가스에 의해 팽창 가능한 쿠션 본체부와, 쿠션 본체부의 차량 전방측에 설치되어 쿠션 본체부로부터 가스를 받고, 차량 전방으로 돌출하여 팽창 가능한 쿠션 돌출부와, 띠상으로서 쿠션 돌출부로부터 좌석의 측부의 소정 위치까지에 걸쳐, 쿠션 돌출부를 차량 후방으로 되접어진 상태로 유지하는 테더와, 차량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취득하는 센서와, 센서가 취득한 정보에 따라 테더를 절단하는 테더 커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센서가 취득한 차량의 상태나 승차인의 체격 등의 정보에 따라 쿠션 본체부의 강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로서 측면 충돌용 센서 및 좌석에 내장된 승차인의 중량 검지 센서 등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가로 방향의 충돌 속도 및 승차인의 체격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소정의 조건에 해당했을 경우에 테더를 절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방향의 충돌 속도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승차인의 가로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도 빨라지기 때문에, 쿠션 본체부의 승차인에 대한 상해값은 높아지기 쉽다. 또한 승차인의 체격이 소정값 미만(예를 들어, 성인 남성에 해당하는 값 미만)인 경우에도, 충돌 에너지에 대한 내성은 낮다고 예상된다. 그래서 상기 구성에서는, 가로 방향의 충돌 속도가 소정값 이상이거나 승차인의 체격이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테더 커터가 가동하여 테더가 절단되고 쿠션 돌출부가 팽창 전개한다. 이로하여, 에어백 쿠션의 전체 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쿠션 돌출부가 팽창 전개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해 쿠션 본체부의 내압은 억제된다. 따라서, 이동 속도가 빠른 승차인이나 몸집이 작은 승차인 등의 구속 시에 승차인의 상해값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가로 방향의 충돌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승차인의 가로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도 느려지므로 높은 내압으로 팽창한 쿠션 본체부여도 승차인에 대한 상해값은 거의 높아지지 않는다. 또한 승차인의 체격이 소정값 이상(예를 들어, 성인 남성에 해당하는 값 이상)인 경우에도, 충돌 에너지에 대한 내성은 높다고 예상된다. 그래서 충돌 속도가 소정값 미만이거나 승차인의 체격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테더 커터를 가동시키지 않고, 테더에 의해 쿠션 돌출부를 인장함으로써 쿠션 돌출부의 팽창 전개를 방지한다. 이 경우 쿠션 충돌부가 팽창 전개하지 않음으로써 에어백 쿠션 전체의 용량이 억제되고, 쿠션 본체부는 높은 내압으로 차량 폭 방향으로 더욱 두껍게 팽창한다. 따라서, 이동 속도가 느린 승차인이나 몸집이 큰 승차인 등을 충분히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쿠션 돌출부의 차량 전방측의 선단에는 쿠션의 팽창 전개 시에 차량 전방을 향하여 개구하는 돌출 벤트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돌출 벤트를 설치함으로써 충돌 속도가 소정값 이상의 경우 등에 에어백 쿠션으로부터의 가스의 배출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의 전체의 내압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속도가 빠른 승차인 등에 부여할 수 있는 부하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쿠션 돌출부 중 되접어서 쿠션 본체부에 겹치는 범위에는 개구한 측부 벤트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측부 벤트를 설치하는 것으로도 충돌 속도가 소정값 이상의 경우 등에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가스가 배출되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의 전체의 내압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속도의 빠른 승차인 등에 부여할 수 있는 부하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쿠션 본체부 중 되접어진 쿠션 돌출부와 겹치는 범위에는 개구한 벤트홀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의 벤트홀을 설치함으로써도 돌출 속도가 소정값 이상의 경우 등에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가스가 배출되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의 전체의 내압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속도의 빠른 승차인 등에 부여할 수 있는 부하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쿠션 돌출부는 가스를 받아 팽창했을 때에 차량 상하 방향의 폭이 차량 전방을 향하여 점차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져도 된다. 이 형상의 쿠션 돌출부이면 선단에까지 원활하게 가스를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테더는 쿠션 돌출부의 선단에 걸쳐 있어도 된다. 이 구성의 테더에 의해 쿠션 돌출부를 효율 좋게 인장하여 되접을 수 있다.
해당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쿠션 돌출부에 설치되어 쿠션 돌출부의 강성을 높이는 하나 이상의 보강재를 더 구비해도 된다. 보강재에 의해 쿠션 돌출부의 가스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여러 개의 상이한 고분자 섬유를 포함하는 연성포(延性布) 재료로서 설치되고, 고분자 섬유들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융착하여 형상이 유지된 상태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보강재는 적어도 일부가 압축된 상태로 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쿠션 돌출부를 되접은 상태로 보강재에 가열 가압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보강재의 형상이 유지되고, 쿠션 돌출부의 되접음을 유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상기 보강재는 고분자 섬유를 짜지 않고 얽히게 한 부직포의 상태가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의 보강재를 호적하게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여러 개의 상이한 고분자 섬유는 심초 구조의 2성분 복합 섬유를 포함하고, 2성분 복합 섬유의 초부는 심부를 구성하는 제1 고분자 재료보다도 융점이 낮은 제2 고분자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고분자 재료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호모폴리머이고, 제2 고분자 재료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코폴리머여도 된다. 이들 구성에 의해 상기 보강재를 호적하게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여러 개의 상이한 고분자 섬유는 단일의 성분으로 구성된 단성분 섬유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기 단성분 섬유는 보강재에 포함되는 다른 고분자 섬유의 표면보다도 융점이 높으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단성분 섬유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구성에 의해 상기의 보강재를 호적하게 실현할 수 있다.
상기의 보강재는 쿠션 돌출부의 기포보다도 두꺼워도 된다. 이 보강재에 의해 쿠션 돌출부의 강성을 호적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보강재는 쿠션 본체부로부터 쿠션 돌출부의 선단을 향하여 여러 개로 분할되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이면 보강재를 설치한 후에도 쿠션 돌출부를 호적하게 되접을 수 있다.
상기 쿠션 돌출부는 쿠션 본체부의 차량 폭 방향의 차량 외측 또는 차량 내측 중 어느 측면으로 되접힌 상태로 되어 있고, 보강재는 되접은 쿠션 돌출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의 보강재에 의해 쿠션 돌출부를 호적하게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쿠션 돌출부는 쿠션 본체부의 차량 폭 방향의 차량 외측 또는 차량 내측 중 어느 측면으로 되접힌 상태로 되어 있고, 보강재는 되접인 쿠션 돌출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의 보강재에 의해 쿠션 돌출부를 호적하게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쿠션 돌출부 및 쿠션 본체부의 일부를 차량 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워서 파지한 상태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쿠션 돌출부를 더욱 호적하게 보강할 수 있다.
해당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본 쿠션 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쿠션 돌출부의 기포를 봉합(縫合)하고 있는 외주 봉제부를 더 구비하고, 보강재는 외주 봉제부에 함께 봉제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보강재를 쿠션 돌출부에 간결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테더는 쿠션 돌출부를 쿠션 본체부의 내부에 몰입하도록 되접은 상태를 유지하고, 쿠션 본체부의 내부를 통하여 좌석의 측부의 소정 위치에 걸쳐져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는 충돌 속도나 승차인의 체격 등이 소정값 이상의 경우에만 팽창 전개하는 쿠션 돌출부를 실현 가능하다.
상기 쿠션 돌출부의 되접인 선단이 재차 차량 전방으로 되접혀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쿠션 돌출부를 호적하게 접을 수 있다.
상기 테더는 쿠션 돌출부를 쿠션 본체부의 차량 폭 방향의 차량 외측 또는 차량 내측 중 어느 측면에 되접힌 상태로 유지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쿠션 돌출부를 호적하게 접을 수 있다.
상기 쿠션 본체부 중 쿠션 돌출부가 되접힌 측면에는 소정의 측면 구멍부가 설치되어 있고, 테더는 측면 구멍부로부터 쿠션 본체부의 내부를 통하여 좌석의 측부의 소정 위치에 걸쳐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테더를 이완시키는 일 없이 걸치는 것이 가능하다.
해당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쿠션 본체부의 내부에서 테더에 설치되고, 테더를 측면 구멍부로부터 빼낼 수 없게 하는 간섭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간섭부를 구비함으로써 절단 후의 테더가 쿠션 본체부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 가능하다.
해당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쿠션 본체부의 내부에서 기포로 인플레이터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내부 백을 더 구비하고, 테더는 내부 백의 내부를 통과하고 있고, 간섭부는 내부 백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백에 간섭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절단 후의 테더의 쿠션 본체부로부터 튀어나오는 것 을 방지 가능하다.
상기 간섭부는 테더에 설치된 이음매여도 된다. 또한 상기 간섭부는 테더의 일부로서 되접어서 봉제된 상태인 일부여도 된다. 나아가 상기 간섭부는 테더에 설치되어 테더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패치여도 된다. 이들 구성에 의해 간섭부를 호적하게 실현할 수 있다.
해당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나아가 쿠션 본체부의 내부에서 쿠션 본체부와 테더에 걸쳐지고, 테더를 측면 구멍부로부터 빼낼 수 없게 하는 분기 테더를 구비해도 된다. 분기 테더에 의해서도 절단 후의 테더가 쿠션 본체부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측면 구멍부는 쿠션 돌출부 상의 테더의 접속점과 좌석의 측부의 소정 위치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경로 상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테더를 최고 단거리로 걸치게 할 수 있다.
해당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상기 쿠션 돌출부의 선단이 재차 차량 전방으로 되접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쿠션 돌출부를 호적하게 접을 수 있다.
상기 쿠션 본체부 중 쿠션 돌출부가 되접히는 측면에는 테더가 통과되는 제1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테더를 이완시키는 일 없이 걸치게 할 수 있다.
상기 쿠션 본체부 중 쿠션 돌출부가 되접히는 측면에는 쿠션 돌출부의 선단이 통과되는 제2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쿠션 돌출부의 펄럭임 등을 억제할 수 있다.
해당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본 쿠션 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쿠션 돌출부의 기포를 봉합하고 있는 외주 봉제부를 더 구비하고, 테더는 외주 봉제부에 함께 봉제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테더를 간결하게 접속할 수 있다.
상기 테더의 쿠션 돌출부측은 두 갈래로 나눠져 있고, 각각이 외주 봉제부에 함께 봉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테더의 두 갈래의 단부들은 겹쳐져 있지 않아도 된다. 이들 구성에 의해서도 테더를 간결하게 접속할 수 있다.
해당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본 쿠션 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쿠션 돌출부의 기포를 봉합하고 있는 외주 봉제부를 더 구비하고, 테더는 쿠션 돌출부 중 외주 봉제부 이외의 영역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테더의 쿠션 돌출부측은 두 갈래로 나뉘어져 있고, 일방의 단부가 쿠션 돌출부의 차량 폭 방향 좌측에 접속되고, 타방의 단부가 쿠션 돌출부의 차량 폭 방향 우측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구성에 의해서도 테더를 간결하게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충돌 시의 충돌 속도, 충돌 각도, 승차인의 체격 및 충돌 에너지 등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에어백 쿠션의 내압을 조절 가능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각 쿠션을 차량 폭 방향의 좌측에서 예시한 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각 쿠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5는 도 4b의 돌출 벤트를 확대하여 예시한 도이다.
도 6은 도 5b의 쿠션이 팽창 전개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이다.
도 7은 도 6a의 쿠션의 각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및 제7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12는 도 2a의 쿠션의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14는 도 13b의 쿠션을 각 방향에서 예시한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17은 도 16a의 패치를 각 방향에서 예시한 도이다.
도 18은 도 15 및 도 17의 간섭부의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21은 도 20a의 쿠션을 각 방향에서 예시한 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23은 도 22a의 보강재를 각 방향에서 예시한 도이다.
도 24는 도 22b의 보강재의 K-K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4b의 보강재의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 의 호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기타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특별히 기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요소에 있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본 발명에 직접 관련이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를 예시한 도이다. 도 1a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 및 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가 적용되어 있는 차량 좌측 좌석(102)을 차량 폭 방향의 좌측에서 예시하고 있다. 이후, 도 1a 기타 본안의 모든 도면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을 각각 화살표F(Forward), B(Back), 차량 폭 방향의 차량 외측 및 차량 내측을 좌우 방향으로서 각각 화살표 L(Left), R(Right), 차량 상하 방향을 각각 화살표 U(up), D(down)로 예시한다.
도 1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좌석(102)의 시트백(108)의 내부에서 에어백 쿠션(쿠션(104))이 팽창 전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쿠션(104)은 긴급 시에 승차인을 구속하는 부위로서, 가동 전에는 시트백(108)의 차량 폭 방향의 측부에 권회 또는 접혀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의 충격을 검지하면 측부에서 차량 전방으로 가스를 이용하여 팽창 전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104)은 시트백(108)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데, 우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쿠션(104)은 시트백(108)의 도어측의 측부(니어사이드)에도, 차량 내측의 측부(파사이드)에도 둘 다 설치 가능하다.
쿠션(104)은 전체적으로 편평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쿠션(104)의 외부 표면은 메인 패널(106)(차량 외측의 메인 패널(106a), 차량 내측의 메인 패널(106b))이 구성하고 있다. 메인 패널(106)은 기포로 만들어져 있고, 봉제나 접착 등에 의해 전체적으로 주머니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쿠션(104)은 OPW(One-Piece Woven)를 이용하여 방직 등에 의해서도 형성 가능하다.
쿠션(104)의 내부에는 인플레이터(110)가 설치되어 있다. 인플레이터(110)는 가스 발생 장치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린더형(원통형)인 것을 채용하고 있다. 인플레이터는 차량측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차량측으로부터 충돌의 검지에 기인하는 신호를 받아 가동하여 쿠션(104)에 가스를 공급한다. 인플레이터(110)에는 시트백(108)에 체결하는 스터드 볼트(112)가 구비되어 있다. 스터드 볼트(112)가 쿠션(104)을 관통하여 시트백(108)에 체결됨으로써, 쿠션(104)도 시트백(108)에 설치되어 있다.
현재 보급하고 있는 인플레이터에는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어 그것을 연소시켜 가스를 발생시키는 타입이나, 압축 가스가 충전되어 있어 열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가스를 공급하는 타입, 또한 연소 가스와 압축 가스를 모두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타입인 것 등이 있다. 인플레이터(110)로서는 어느 타입인 것이어도 이용 가능하다.
쿠션(104)의 승차인과 반대측의 차량 외측의 측면(114)에는 벤트홀(116)이 설치되어 있다. 벤트홀(116)은 인플레이터(110)로부터 공급된 가스를 쿠션(104)의 내부로부터 배출한다.
본 실시형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차량 충돌 시의 충돌 속도나 승차인의 체격 등에 따라, 쿠션(104)의 내압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일반적으로 측면 충돌 시에 따른 가로 방향으로의 충돌 속도가 빠른 경우, 승차인의 가로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도 빨라지고, 쿠션(104)에 의한 승차인의 구속 시에 승차인이 받는 부하도 커지기 쉽다. 동시에 몸집이 작은 승차인의 경우에도 충돌 에너지에 대한 내성은 낮다고 예상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로 방향의 충돌 속도가 소정값 이상이었을 경우나 승차인의 체격이 소정값 미만이었을 경우 등, 승차인의 상해값이 높아지는 것이 예상되는 경우에 쿠션(104)의 내압을 낮추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1b는 구속 시에 승차인의 상해값이 높아지는 것이 예상된 경우의 쿠션(104)을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쿠션(104)에서는 충돌 속도가 소정값 이상이었을 경우나 승차인의 체격이 소정값 미만이었을 경우에, 쿠션 돌출부(122)도 팽창 전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쿠션 돌출부(122)가 팽창 전개함으로써 쿠션(104) 전체의 용량이 증대하기 때문에, 쿠션(104)의 내압을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각 쿠션(104)을 차량 폭 방향의 좌측에서 예시한 도이다. 도 2a는 도 1a의 쿠션(104)을 그 내부를 투과하면서 예시하고 있다. 먼저 쿠션 본체부(120)는 쿠션(104)의 주요 범위를 구성하고 있고, 좌석(102)(도 1a 참조)에 착좌한 승차인의 측방으로 팽창 전개하는 부위이다.
쿠션 돌출부(122)는 쿠션 본체부(120)의 차량 전방측의 하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쿠션 돌출부(122)는 쿠션(104)의 팽창 전개 전 및 충돌 속도가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 있어서, 차량 후방의 쿠션 본체부(120)측으로 반전하고, 쿠션 본체부(120)의 내부로 몰입하도록 되접어 있다.
쿠션 돌출부(122)에는 띠상의 테더(124)가 접속되어 있다. 테더(124)는 충돌 속도가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 쿠션 돌출부(122)의 팽창 전개를 막는 부위로서, 팽창 전개 시에 쿠션 돌출부(122)를 차량 후방으로 인장함으로써 쿠션 돌출부(122)를 되접힌 상태로 유지시킨다. 테더(124)는 쿠션 본체부(120)의 내부를 통과하고, 테더 커터(126)에 걸쳐져 있다.
테더 커터(126)는 통 형상의 소형 커터로서, 좌석(102)(도 1a 참조)의 측부의 소정 위치에 쿠션(104) 등과 함께 설치되어 있다. 테더 커터(126)의 내부에는 칼날을 가진 실린더(도시 생략)와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테더 커터(126)는 커넥터(128)로 차량측의 전원이나 센서(132)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센서(132)의 검지 결과에 따라 칼날이 가동한다. 테더(124)는 테더 커너(126)의 구멍부(도시 생략)를 통과하여 테더 커터(126)에 고정되어 있다.
센서(132)는 차량 각 부위에 설치되고, 차량의 상태를 계측 및 검지하고, 차량으로부터 여러 가지 소정 정보를 취득한다. 센서(132)로서는 예를 들어, 차량의 측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가로 방향의 충돌 속도를 검지하는 측면 충돌용 센서나, 차량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후 방향의 충돌 속도를 검지하는 전방 충돌용 센서 및 좌석에 설치되어 승차인의 체중이나 체격을 검지하는 중량 검지 센서 등, 여러 가지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34)는 센서(132)를 통하여 취득한 각 정보를 처리하고, 소정 조건(예를 들어, 가로 방향의 충돌 속도가 소정값 이상인지 미만인지)에 따라 테더 커터(126)의 가동을 제어한다. 제어부(134)는 여러 개의 센서의 검지 결과를 복합적으로 처리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 차량 충돌 시의 충돌 속도, 충돌 각도, 충돌 에너지 및 승차인의 체격 등의 여러 가지 정보를 산출하고, 이들을 조건으로서 테더 커터(126)에 가동 신호를 보낼지 아닐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2b는 도 1b의 쿠션(104)을 차량 폭 방향의 좌측에서 예시한 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속 시에 승차인의 상해값이 높아지는 것이 예상되었을 경우에는, 제어부(134)는 테더 커터(126)에 가동 신호를 송신하고, 테더 커터(126)의 내부의 칼날이 가동하여 테더(124)가 절단된다. 이것에 의해 쿠션 돌출부(122)는 쿠션 본체부(120)로부터 가스를 받고, 쿠션 본체부(120)보다도 더욱 차량 전방으로 돌출하여 팽창한다. 따라서, 쿠션(104) 전체의 용량이 증대하기 때문에, 쿠션 본체부(120)의 내압 및 강성을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쿠션(104)의 내부의 구성을 재차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각 쿠션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a의 쿠션(104)의 A-A 단면도이다. 가로 방향의 충돌 속도가 소정값 미만인 경우나 승차인의 체격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 등은 쿠션 본체부(120)에 의한 구속 시에 있어서 승차인의 상해값은 낮아지는 것이 예상된다. 이 경우, 테더 커터(126)는 가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쿠션 돌출부(122)는 테더(124)에 의해 차량 후방측으로 인장되기 때문에, 쿠션 돌출부(122)는 팽창 전개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쿠션(104) 전체의 용량이 억제되고, 쿠션 본체부(120)는 높은 내압으로 차량 폭 방향으로 더욱 두껍게 팽창한다. 이동 속도가 느린 승차인이나 몸집이 큰 승차인은 쿠션 본체부(120)로부터 받는 부하도 작기 때문에, 쿠션 본체부(120)는 높은 구속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도 3a의 테더(124)는 도 3b에 예시하는 쿠션 돌출부(122)가 팽창 전개했을 경우의 쿠션 돌출부(122) 상의 접속점(130)부터 테더 커터(126)까지의 거리(L2)보다도 짧은 길이(L1)를 가지고 있다(L1>L2). 이 길이(L1)인 테더(124)에 의해 충돌 속도가 소정값 미만의 경우에 있어서, 쿠션 돌출부(122)가 팽창 전개하지 않도록 호적하게 인장하여 쿠션 돌출부(122)의 되접음을 유지할 수 있다.
도 3b는 도 2b의 쿠션(104)의 B-B 단면도이다. 가로 방향의 충돌 속도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나 승차인의 체격이 소정값 미만인 경우 등은 쿠션 본체부(120)에 의한 구속 시에 있어서 승차인의 상해값은 높아지는 것이 예상된다. 이 경우, 테더 커터(126)가 가동하여 테더(124)가 절단되고, 쿠션 돌출부(122)가 차량 전방으로 돌출하여 팽창한다. 쿠션 돌출부(122)가 팽창 전개함으로써 쿠션(104)의 전체의 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쿠션 본체부(120)의 내압은 억제된다. 따라서 쿠션 본체부(120)의 강성도 저하하고, 이동 속도가 빠른 승차인이나 몸집이 작은 승차인에게 부여될 수 있는 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2a의 제어부(134)를 중심으로 한 테더 커터(126)의 제어의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4)는 센서(132)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의거하여 테더 커터(126)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4)는 충돌 속도를 조건으로 하여 테더 커터(126)를 제어해도 된다. 측면 충돌 시 등에 있어서, 차량의 가로 방향으로의 충돌 속도가 빨랐을 경우에는 승차인의 가로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도 빨라지고 쿠션 본체부(120)로 구속할 때에 상해값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제어부(134)는 측면 충돌용 센서로부터 취득한 충돌 속도가 소정의 역치(예: 30 km/h) 이상인 경우에는 테더 커터(126)에 가동 신호를 송신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도 3b에 예시한 바와 같이, 테더(124)가 절단되어 쿠션 돌출부(122)가 팽창 전개하고, 쿠션 본체부(120)의 내압은 낮출 수 있다. 반대로 충돌 속도가 역치 미만인 경우에는 제어부(134)는 테더 커터(126)에 가동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이것에 의해, 도 3a에 예시한 바와 같이, 테더(124)는 절단되지 않고, 테더(124)에 의해 쿠션 돌출부(122)의 팽창 전개가 방지되고, 쿠션 본체부(120)의 내압은 높은 상태로 유지된다.
다른 제어예로서, 제어부(134)는 승차인의 체격을 조건으로 하여 테더 커터(126)를 제어해도 된다. 몸집이 작은 체격의 승차인의 경우, 충돌 에너지에 대한 내성은 낮다고 예상되고, 쿠션(104)으로 구속할 때에 상해값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제어부(134)는 좌석의 중량 검지 센서로부터 취득한 승차인의 체격에 관한 정보가 소정의 역치(예: 성인 남성의 체격) 미만인 경우에는 테더 커터(126)에 가동 신호를 송신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도 3b에 예시한 바와 같이 테더(124)가 절단되어 쿠션 돌출부(122)가 팽창 전개하고, 쿠션 본체부(120)의 내압은 낮출 수 있다. 반대로 승차인의 체격이 역치 이상인 경우에는 충돌 에너지에 대한 내성은 높다고 예상되기 때문에, 제어부(134)는 테더 커터(126)에 가동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이것에 의해, 도 3a에 예시한 바와 같이 테더(124)는 절단되지 않고, 테더(124)에 의해 쿠션 돌출부(122)의 팽창 전개가 방지되어, 쿠션 본체부(120)의 내압은 높은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승차인의 체격을 판단할 때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어 평균적인 미국 성인 남성의 50%에 적합한 체격을 모방한 시험용 더미 인형 AM50(50th percentile 남성에 상당, 신장 175 cm, 체중 78 kg)을 역치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제어예로서, 제어부(134)는 승차인의 체격에 따라 역치를 변경하여 테더 커터(126)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일한 충돌 속도여도 승차인의 체격이 상이하면 상해값은 변동한다. 그래서 제어부(134)는 예를 들어, 승차인의 체격이 몸집이 작은 여성에 상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충격 에너지에의 내성은 낮다고 간주하고, 충돌 속도의 역치를 낮추고 충돌 속도가 조금 늦다고 해도 쿠션 본체부(120)의 내압이 조금 낮게 억제되도록 테더 커터(126)를 가동시킨다고 판정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134)는 예를 들어, 승차인의 체격이 성인 남성에 상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충격 에너지에의 내성은 높다고 간주하여 충돌 속도의 역치를 높이고, 충돌 속도가 조금 빠르다고 해도 쿠션 본체부(120)의 내압이 조금 높게 유지되도록 테더 커터(126)를 가동시키지 않는다고 판정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면 충돌 센서나 다른 충돌 검지용 센서 등도 이용하여 충돌 각도(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한 대상물의 진입 각도)에 관한 정보도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 충돌이나 오프셋 충돌과 같이
차량에 대해 단지 전후 방향 및 가로 방향만이 아닌 각도로 충돌하였을 경우, 단순히 전후 방향이나 가로 방향만의 충돌 속도를 측정하는 것만으로는, 실제로 승차인에게 가해지는 충돌 속도보다도 작은 값이 취득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경사 충돌 등의 경우에는, 전방 충돌이나 측면 충돌의 경우에 비해, 동일 역치여도 상대적으로 높은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되고 만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충돌 각도도 취득하여 승차인에게 가해지는 충돌 속도를 산출함으로써, 테더 커터(126)를 실제 충돌 속도에 정도(精度)를 잘 맞춰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에 의하면 차량 충돌 시의 충돌 속도, 충돌 각도, 승차인의 체격 및 충돌 에너지 등의 다양한 조건에 따라 쿠션(104)의 내압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승차인의 상해값을 증대시키는 일 없이 효율 좋게 승차인을 구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 장치(150)를 예시한 도이다. 에어백 장치(150)는 쿠션(152)의 구성에 있어서, 도 1에 예시한 에어백 장치(150)와 상이하다. 또한 이후의 기재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이한 부호가 붙은 구성 요소라고 해도 이미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명칭인 것은 기본적인 구성 및 기능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도 4a는 도 2b에 대응하여, 구속 시에 있어서 승차인의 상해값이 높아지는 것이 예상되었을 경우의 쿠션(152)을 예시하고 있다. 쿠션(152)에서는 쿠션 돌출부(122)에 돌출 벤트(154)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 벤트(154)는 쿠션 돌출부(122)의 차량 전방측의 선단에 통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쿠션(152)의 팽창 전개 시에 차량 전방을 향하여 열리는 개구(156)를 가지고 있다. 돌출 벤트(154)의 상하의 양단에는 테더(158)의 두 갈래의 단부(160a, 160b)가 접속되어 있다.
도 4b는 구속 시에 있어서 승차인의 상해값은 낮아지는 것이 예상되었을 경우의 쿠션(152)을 예시하고 있다. 돌출 벤트(154)도 또한 쿠션 돌출부(122)와 함게 쿠션 본체부(120)측으로 반전하고, 쿠션 본체부(120)의 내부에 몰입하도록 접혀 있다.
해당 에어백 장치(150)에서는 돌출 벤트(154)를 설치함으로써, 구속 시에 있어서 승차인의 상해값이 높아지는 것이 예상되었을 경우에 쿠션(152)으로부터의 가스의 배출량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쿠션(152)의 전체의 내압 및 승차인에게 부여될 수 있는 부하를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도 5는 도 4b의 돌출 벤트(154)를 확대하여 예시한 도이다. 도 5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쿠션(152)에는 외주 봉제부(162a, 162b)가 설치되어 있다. 외주 봉제부 (162a, 162b)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본 쿠션 돌출부(122)의 외주를 따라 설치된 쿠션 돌출부(122)의 기포를 차량 폭 방향으로 봉합하고 있는 부위이다. 테더(158)의 쿠션 돌출부(122)측의 두 갈래의 단부(160a, 160b)는 서로 겹쳐지는 일 없이 각각 돌출 벤트(154)의 상하의 외주 봉제부(162a, 162b)에 함께 봉제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테더(158)를 쿠션 돌출부(122)에 간결하게 접속할 수 있다.
도 5b는 도 5a의 돌출 벤트(154)의 개구(156)를 되접힌 도이다. 돌출 벤트(154)의 개구(156)는 쿠션 돌출부(122)의 선단으로서, 재차 차량 전방을 향하도록 되접어 차량에 탑재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156)를 되접어 턱인(164)을 형성하고 있다. 턱인(164)을 형성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도 5a의 외주 봉제부(162a, 162b)는 돌출 벤트(154)의 선단까지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도 6은 도 5b의 쿠션(152)이 팽창 전개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이다. 도 6a는 도 5b의 쿠션(152)의 C-C 단면도이다. 도 6a에 예시한 바와 같이, 턱인(164)이 설치되어 차량에 탑재되었을 경우, 돌출 벤트(154)의 개구(156)는 되접혀 당초부터 차량 전방을 향하여 팽창 전개한다. 따라서, 개구(156)로부터는 가스가 누설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도 6b는 도 6a의 테더(158)가 절단된 직후의 상태를 예시한 도이다. 개구(156)는 턱인(164)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팽창 전개 시에도 차량 전방을 향하고 있다. 그리고 도 6(c)에 예시한 바와 같이, 쿠션 돌출부(122)의 되접음과 반전이 해소되면 개구(156)로부터 가스가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개구(156)는 턱인(164)을 설치하고 있음으로써, 가스가 누설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 구성이면 테더(158)가 절단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쿠션 본체부(120)에 보다 신속하게 가스를 충전시켜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6a의 쿠션(152)의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쿠션(180)에서는 돌출 벤트(182)를 쿠션 돌출부(122) 등으로부터 독립한 기포로 구성하고, 봉제에 의해 쿠션 돌출부(122)에 설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돌출 벤트(182)를 호적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 장치(200)를 예시한 도이다. 에어백 장치(200)의 쿠션(202)에서는 쿠션 돌출부(122) 및 돌출 벤트(154)를 쿠션 본체부(120)의 외부의 차량 폭 방향의 차량 외측(도 1a의 차량 좌측의 좌석(102)에서는 차량 폭 방향의 좌측)으로 되접혀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구속 시에 있어서 승차인의 상해값이 높아지는 것이 예상된 경우에 팽창 전개하는 쿠션 돌출부(122) 등이 실현 가능하다. 또한 쿠션 돌출부(122) 등은 쿠션 (202)이 좌석(102)(도 1a 참조)의 차량 폭 방향의 우측(차량 내측)의 측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차량 내측으로 되접어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쿠션(202)에서는 쿠션 본체부(120) 중 쿠션 돌출부(122)가 되접어지는 측의 측면(114)에 테더(204)를 통과하는 제1 유지부로서 테더 가이드(206)가 설치되어 있다. 도 8b는 도 8a의 쿠션(202)의 D-D 단면도이다. 테더 가이드(206)는 쿠션(202)의 측면(114)에, 봉제에 의해 루프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테더 가이드(206)에 테더(204)를 통과함으로써, 테더(204)를 이완시키는 일 없이 걸쳐놓을 수 있다.
도 8c는 도 8a의 쿠션(202)의 E-E 단면도이다. 도 8c에 예시한 바와 같이, 테더(204)의 단부(160a, 160b)는 외주 봉제부(162a)(도 5a 참조)가 아니고 쿠션 돌출부(122)의 차량 폭 방향 우측의 측부(208a)와 차량 폭 방향 좌측의 측부(208b)에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테더(204)를 쿠션 돌출부(122)에 간결하게 접속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 장치(220)를 예시한 도이다. 도 9a에 예시한 에어백 장치(220)에서는 쿠션 본체부(120) 중 쿠션 돌출부(122)가 되접어지는 측면(114)에 쿠션 돌출부(122)의 선단이 통과되는 제2 유지부로서 벤트 커버(224)가 설치되어 있다.
도 9b는 도 9a의 쿠션(222)의 G-G 단면도이다. 벤트 커버(224)는 쿠션(222)의 측면(114)에 봉제에 의해 루프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벤트 커버(224)에 쿠션 돌출부(122)를 통과시킴으로써, 쿠션 돌출부(122)를 지지하여 펄럭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 장치(240)를 예시한 도이다. 도 10에 예시하는 에어백 장치(240)의 쿠션(242)에서는 쿠션 본체부(120) 중 쿠션 돌출부(122)가 되접어지는 측면(114)의 테더(204)의 근방에 소정의 측면 구멍부로서 벤트 홀(244)이 설치되어 있다. 테더(204)는 벤트홀(244)로부터 쿠션 본체부(120)의 내부에 진입하고, 쿠션 본체부(120)의 내부를 통과하여 테더 커터(126)에 걸쳐져 있다. 테더(204)를 벤트홀(244)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테더(204)를 이완시키는 일 없이 걸쳐놓을 수 있다.
벤트홀(244)은 쿠션 돌출부(122) 상의 테더(204)의 접속점(246)과 테더 커터(126)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경로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테더(204)를 최단 거리로 걸쳐놓을 수 있다.
(제6, 7 실시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및 제7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 장치(260, 280)를 각각 예시한 도이다. 도 11a는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 장치(260)를 예시한 도이다. 에어백 장치(260)의 쿠션(262)에서는 쿠션 돌출부(122)의 차량 폭 방향 좌측의 측부에 개구한 측부 벤트(264)를 설치하고 있다. 측부 벤트(264)도 또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부위이다.
측부 벤트(264)는 쿠션 돌출부(122) 중 차량 후방측으로 되접어져 쿠션 본체부(120)에 겹쳐지는 범위에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테더(204)의 절단 전, 다시 말해 구속 시에 있어서 승차인의 상해값은 낮아지는 것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쿠션 본체부(120)의 측면과 겹쳐져 있어 가스의 배출이 억제되고 있다. 그리고 구속 시에 있어서 승차인의 상해값이 높아지는 것이 예상된 경우에는 테더(204)의 절단과 함께 쿠션 본체부(120)와의 중첩으로부터 개방되고, 측부 벤트(264)는 가스를 배출한다. 따라서, 쿠션 돌출부(122)가 팽창 전개하는 것에 더하여 가스의 배출도 촉진되기 때문에, 쿠션(262)의 전체의 내압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도 11b은 제7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 장치(280)를 예시한 도이다. 쿠션(282)은 쿠션 본체부(120) 중 쿠션 돌출부(122)가 되접어지는 범위(M1)에 개구한 벤트홀(284)을 설치하고 있다. 벤트홀(284)도 또한 테더(204)의 절단 전, 다시 말해 구속 시에 있어서 승차인의 상해값은 낮아지는 것이 예상되는 경우에 있어서, 쿠션 돌출부(122)가 겹쳐져 가스의 배출이 억제되고 있다. 그리고 구속 시에 있어서 승차인의 상해값이 높아지는 것이 예상된 경우에는 테더(204)의 절단과 함께 쿠션 돌출부(122)와의 중첩으로부터 개방되고, 벤트홀(284)은 가스를 배출한다. 따라서, 쿠션 돌출부(122)가 팽창 전개하는 것에 더하여 가스의 배출도 촉진되기 때문에, 쿠션(282) 전체의 내압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1a의 측부 벤트(264) 및 도 11b의 벤트홀(284)은 도 2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쿠션 돌출부(122)를 쿠션 본체부(120)의 내부에 몰입시켜 반전시키는 것으로도 쿠션 돌출부(122)의 기포와 쿠션 본체부(120)의 기포가 서로 겹쳐지기 때문에, 각각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테더는 각 쿠션 돌출부 중 외주 봉제부(예를 들어, 도 5a의 외주 봉제부(162a, 162b) 또는 외주 봉제부 이외의 기포의 영역에 적절히 접속할 수 있다.
도 5b에 있어서, 돌출 벤트(154)의 개구(156)는 차량 후방으로 반전된 후에 차량 전방으로 되접어져 있는데, 돌출 벤트(154)를 설치하지 않는 쿠션 돌출부(122)도 또한 차량 후방으로 되접은 후에 재차 차량 전방으로 되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는 도 2a의 쿠션(104)의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도 12에 예시하는 쿠션(290)과 같이, 쿠션 돌출부(122)는 쿠션 본체부(120)의 차량 폭 방향 좌측으로 되접어진 후, 선단을 재차 차량 전방으로 되접을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쿠션 돌출부(122)를 호적하게 접어 차량에 탑재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300)를 예시한 도이다. 도 13a는 쿠션(302)을 차량 폭 방향의 좌측(차량 외측)으로부터 내부를 투과하면서 예시한 도이다.
쿠션 본체부(120)의 내부에는 이너백(304)이 설치되어 있다. 이너백(304)은 쿠션 본체부(120)의 내부에서 기포로 인플레이터(11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이른바 내부 백이다. 이너백(304)은 인플레이터(11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메인 패널(106a) 등보다도 먼저 받기 때문에, 승차인과 접촉하는 메인 패널(106) 등의 강성의 급격한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이너백(304)은 인플레이터(110)를 내포한 주머니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너백(304)은 예를 들어, 쿠션(104)의 차량 후방측의 형상에 맞춘 기포를 접어 주머니상으로 배치하고, 그 일부를 메인 패널(106a, 106b)(도 1a 참조)의 외주와 겹쳐 이들과 함께 봉제 등을 하는 것으로도 설치할 수 있다.
이너백(304)에는 쿠션 본체부(104)의 차량 전방측에 가스를 공급하는 부위로서, 차량 전방측의 상부에 이너 벤트(306a) 및 하부에 이너 벤트(306b)의 두 개의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다. 인플레이터(11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는 이들 이너 벤트(306a, 306b)의 각각을 통과하고,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흐른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선 이너백(304)이 먼저 인플레이터(110)로부터의 가스를 받고, 그 다음에 이너백(304)으로부터 쿠션 본체부(120)의 전체로 가스가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테더(308)에는 분기 테더(310)가 설치되어 있다. 분기 테더(3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절단 후의 테더(308)가 쿠션(302)의 내부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13b는 도 13a의 쿠션 돌출부(122)를 되접힌 상태의 도이다. 도 13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300)에 있어서도, 테더(308)는 벤트홀(244)로부터 쿠션 본체부(120)의 내부에 진입하고, 쿠션 본체부(120)의 내부를 통과하여 테더 커터(126)에 걸쳐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테더(308)는 쿠션 돌출부(122)의 선단에 걸쳐져 있음으로써, 쿠션 돌출부(122)를 효율 좋게 인장하여 되접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3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쿠션 돌출부(122)는 가스를 받아 팽창했을 때에 차량 상하 방향의 폭이 차량 전방을 향하여 점차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테이퍼 형상이면 선단까지 원활하게 가스를 유입시키고, 나아가 선단의 돌출 벤트(154)로부터 가스를 효율 좋게 배출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b의 쿠션(302)을 각 방향에서 예시한 도이다. 도 14a는 도 13b의 쿠션(302) H-H 단면도이다. 도 14a에서는 인플레이터(110)의 가동 후의 쿠션(302)의 모습으로서, 테더 커터(126)가 미가동인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분기 테더(310)는 쿠션 본체부(120)의 내부에서 이너백(304)의 내측과 테더(308)에 걸쳐져 있다.
도 14b는 도 14a의 테더 커터(126)의 가동 후의 쿠션(302)의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분기 테더(310)는 절단 후의 테더(308)를 쿠션 본체부(120)의 내부에 연결 고정하고, 테더(308)가 벤트홀(244)이나 돌출 벤트(154)를 통과하여 쿠션 본체부(120)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에 의해, 테더(308)가 돌출 벤트(154)나 외부의 구조물에 얽히는 등의 예측 불가한 사태를 방지하고, 쿠션(302)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분기 테더(310)의 길이는 쿠션 돌출부(122)가 되접음을 해소하여 팽창 전개 가능한 정도의 길이로 설정하면 호적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320)를 예시한 도이다. 후술하는 도 15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320)는 테더(308)의 도중 부분에 간섭부로서 되접음부(322)를 설치하고 있다. 되접음부(322)도 또한 도 14a의 분기 테더(310)와 동일하게 절단 후의 테더(308)가 쿠션 본체부(120)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15a는 되접음부(322)의 확대 사시도이다. 되접음부(322)는 테더(308)의 일부를, 테더(308)를 직선으로 연장했을 때에 테더(308)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테더(308)의 일부를 여러 번 되접어서 봉제를 실시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도 15b는 인플레이터(110)의 가동 후의 쿠션(326)의 모습으로서, 테더 커터(126)가 미가동인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되접음부(322)는 쿠션 본체부(120)의 내부이고, 나아가 이너백(304)의 내부에서 테더(308)에 설치되어 있다. 테더(308)는 이너백(304)에 설치된 슬릿(324)을 통과하여 테더 커터(126)에 걸쳐져 있는데, 이너백(306b)을 통과하여 테더 커터(126)에 걸쳐져 있어도 된다.
도 15c는 도 15b의 테더 커터(126)의 가동 후의 쿠션(326)의 모습을 예시한 도이다. 테더(308)가 절단되어 쿠션 돌출부(122)가 팽창 전개한 후, 나아가 테더(308)가 벤트홀(244)로부터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되접음부(322)가 쿠션 본체부(120)의 내부에서 이너백(304)의 슬릿(324)의 가장자리에 간섭한다. 이것에 의해, 절단 후의 테더(308)가 쿠션 본체부(120)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테더(308)가 다른 구조물에 얽히는 등의 예측 불가한 사태를 방지하고, 쿠션(302)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되접음부(322)는 테더(308)를 이너 벤트(306b)에 통과시키고, 이너 벤트(306b)의 가장자리에 간섭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340)를 예시한 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테더(308)의 도중 부분에, 도 15b의 되접음부(322)와 동일 기능을 가지는 간섭부로서 패치(342)를 설치하고 있다.
도 16a는 패치(342)의 확대 사시도이다. 패치(342)는 테더(308)에 설치된 원형의 부품으로서, 테더(308)를 직선으로 연장했을 때에 테더(308)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16b는 인플레이터(110)의 가동 후의 쿠션(344)의 모습으로서, 테더 커터(126)가 미가동인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패치(342)는 쿠션 본체부(120)의 내부이며, 나아가 이너백(304)의 내부에서 테더(308)에 설치되어 있다.
도 16c는 도 16b의 쿠션(344)의 테더 커터(126)의 가동 후의 모습을 예시한 도이다. 테더(308)가 절단되어 쿠션 돌출부(122)가 팽창 전개한 후, 나아가 테더(308)가 벤트홀(244)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패치(342)가 쿠션 본체부(120)의 내부에서 이너백(304)의 슬릿(324)의 가장자리에 간섭한다. 이것에 의해 절단 후의 테더(308)가 쿠션 본체부(120)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테더(308)가 다른 구조물에 얽히는 등의 예측 불가한 사태를 방지하고, 쿠션(344)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패치(342)는 테더(308)를 이너 벤트(306b)에 통과시키고, 이너 벤트(306b)의 가장자리에 간섭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은 도 16a의 패치(342)를 각 방향에서 예시한 도이다. 도 17a는 도 16a의 패치(342)를 반대측에서 보아 예시하고 있다. 패치(342)는 테더(308)나 메인 패널(106)(도 1a 참조)과 동일한 재질로 만들 수 있고, 두 개의 독립한 제1 부품(342a) 및 제2 부품(342b)을 서로 봉제함으로써 테더(308)에 설치되어 있다.
도 17b는 도 17a의 패치(342)의 분해도이다. 제1 부품(342a) 및 제2 부품(342b)은 각각 반원 형상이고, 직선상의 가장자리(346)로부터 돌기편(348)이 돌출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7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부품(342a) 및 제2 부품(342b)은 가장자리(346)에서 서로 봉제되고, 돌기편(348)에서 테더(308)에 봉제된다. 이들 구성에 의해, 쿠션 본체부(120)의 내부와 간섭 가능한 패치(342)가 호적하게 실현 가능하다.
도 18은 도 15 및 도 17의 간섭부의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도 18(a)의 매듭부(360)는 도 15a의 되접음부(322)의 변형예로서, 테더(308)의 소정 위치에 매듭을 설치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매듭부(360)를 설치함으로써도 테더(308)를 직선으로 연장했을 때에 테더(308)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부위가 실현 가능하다. 따라서, 매듭부(360)도 또한 도 15c의 되접음부(322)와 동일하게 슬릿(324)에 간섭하고, 테더(308)의 쿠션 본체부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b는 도 17b의 패치(342)의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도 18b에 예시하는 패치(370)는 원형의 하나의 독립된 부품으로서, 중앙에 구멍부(372)가 설치되고, 구멍부(372)의 가장자리에 돌기편(37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패치(370)도 구멍부(372)에 테더(308)(도 17b 참조)를 통과시키고, 돌기편(374)을 테더(308)에 봉제함으로써, 이너백(304)(도 16c 참조)의 슬릿(324)에 간섭하는 간섭부로 된다. 따라서, 패치(370)에 의해서도 테더(308)의 쿠션 본체부(120)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호적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400)를 예시한 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돌출부(122)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재(402)를 설치하고 있다.
도 19a는 쿠션 돌출부(122)를 차량 폭 방향의 우측에서 보아 예시하고 있다. 보강재(402)는 쿠션 돌출부(122)를 따른 형상이고, 쿠션 돌출부(122)의 선단측이 삼각형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보강재(402)는 쿠션(404)을 구성하는 기포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보강재(402)는 외주를 따라 쿠션 돌출부(122)에 봉재되어 있다. 나아가 보강재(402)는 쿠션 돌출부(122)의 외주를 차량 폭 방향으로 봉합하고 있는 외주 봉제부(162a, 162b)에 의해 쿠션 돌출부(122)에 함께 봉제되어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해, 보강재(402)는 쿠션 돌출부(122)에 간결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보강재(402)의 위로부터는 테더(308)가 보강재(402)와 함께 쿠션 돌출부(122)에 봉제되어 있다.
도 19b는 도 19a의 쿠션 돌출부(122)를 되접은 상태를 예시한 도이다. 도 19b에 예시한 바와 같이, 테더(308)는 벤트홀(244)로부터 쿠션 본체부(120)의 내부에 진입하고, 쿠션 본체부(120)의 내부를 통과하여 테더 커터(126)에 걸쳐져 있다.
도 19c는 도 19b의 쿠션(404)의 I-I 단면도이다. 보강재(402)는 되접어진 쿠션 돌출부(122)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되접어진 쿠션 돌출부(122)의 ‘외측’이란, 쿠션 본체부(120)의 면하고 있지 않은 노출하고 있는 측을 가리키고, ‘내측’이라고 할 때는 쿠션 본체부(120)와 면하고 있는 노출하지 않은 측을 가리킨다. 보강재(402)는 쿠션 돌출부(122)의 기포보다도 두껍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강재(402)는 쿠션 돌출부(122)의 기포보다도 강성이 높다. 보강재(302)를 설치함으로써, 쿠션 돌출부(122)는 강성이 향상하고, 가스의 압력이나 열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한다.
보강재(402)의 선단측은 삼각형으로 되어 있고, 테더(308)는 보강재(402)의 정점 부근을 통과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테더(308)로부터 전해지는 힘은 보강재(402)의 전체에 효율 좋게 분산되고, 쿠션 돌출부(122)의 파손도 효율 좋게 방지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420)를 예시한 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쿠션 돌출부(122)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재(422)를 설치하고 있다.
도 20a는 쿠션 돌출부(122)를 차량 폭 방향의 좌측에서 보아 예시하고 있다. 보강재(422)는 쿠션 돌출부(122)를 따른 현상이고, 쿠션 본체부(120)에서 쿠션 돌출부(122)의 선단을 향하여 여러 개로 분할되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강재(422)는 두 개의 제1 부품(422a) 및 제2 부품(422b)으로 분할되어 있다.
도 20b는 도 20a의 보강재(422) 등을 분해한 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돌출부(122)의 차량 폭 방향의 양측 각각에서 보강재(422) 및 타방의 보강재(426)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재(426)도 또한 총 두 개의 제1 부품(426a) 및 제2 부품(426b)으로 나눠서 설치되어 있다.
도 21은 도 20a의 쿠션(424)을 각 방향에서 예시한 도이다. 도 21a는 도 20a의 쿠션 돌출부의 J-J 단면도이다. 보강재(422, 426)는 쿠션 돌출부(122)의 기포보다도 두껍게 구성되어 있고, 쿠션 돌출부(122) 및 쿠션 본체부(120)의 일부를 차량 폭 방향의 양측에서 끼워 넣어 파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보강재(422, 426)에 의하면 쿠션 돌출부(122)의 가스 압력이나 열에 대한 내성을 높일 수 있고, 쿠션 돌출부(122)를 호적하게 보강할 수 있다.
도 21b는 도 20a의 쿠션 돌출부(122)를 되접힌 상태를 예시한 도이다. 보강재(422, 426)를 설치한 쿠션 돌출부(122)여도 보강재(422, 426)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 사이가 관절로 되어 있기 때문에, 호적하게 되접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보강재(422, 426)는 테더 커터(126)(도 13b 등 참조)에 걸친 상태의 테더(308)와 교차하는 선분으로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440)를 예시하는 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쿠션(448)의 쿠션 돌출부(122)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재(442)를 설치하고 있다.
도 22a는 쿠션 돌출부(122)를 차량 폭 방향의 좌측에서 보아 예시하고 있다. 보강재(442)는 장방형을 이루고 있고, 쿠션 돌출부(122) 및 쿠션 본체부(120)의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강재(442)도 또한 쿠션 돌출부(122)의 외주 봉제부(162a, 162b)에 의해 쿠션 돌출부(122)에 함께 봉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22b는 도 22a의 쿠션 돌출부(122)를 되접은 상태를 예시한 도이다. 보강재(442)는 후술한 바와 같이, 가열 가압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경화를 시킬 수 있고, 형상을 유지하여 쿠션 돌출부(122)를 접은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23은 도 22a의 보강재(442)를 각 방향에서 예시한 도이다. 도 23a는 보강재(442)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보강재(442)는 여러 개의 상이한 고분자 섬유를 포함한 연성포 재료로서 설치되어 있다.
도 23b는 도 23a의 보강재(442)의 단면을 예시한 도이다. 보강재(442)는 고분자 섬유를 직조하지 않고 얽히게 한 부직포 상태로 되어 있다. 보강재(442)를 구성하는 여러 개의 상이한 고분자 섬유에는 심초(
Figure 112018105615618-pct00001
;core-sheath) 구조인 2성분 복합 섬유(444)와 단일 성분으로 구성된 단성분 섬유(446)가 포함되어 있다.
2성분 복합 섬유(444)는 중심측의 심부(芯部)와 심부의 주위를 덮는 초부(
Figure 112018105615618-pct00002
) 두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심부와 초부는 상이한 성분의 고분자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심부를 구성하는 제1 고분자 재료에 비해 초부를 구성하는 제2 고분자 재료 쪽이 융점이 낮은 섬유를 채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2성분 복합 섬유(444)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섬유로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부의 제1 고분자 재료는 PET 호모폴리머이고, 초부의 제2 고분자 재료는 PET 코폴리머여도 된다. PET 코폴리머는 공중합 성분을 추가하고 있기 때문에, PET 호모폴리머보다도 융점이 낮다(예를 들어, 120 ~ 150℃의 범위). 이들 구성에 의하면, 2성분 복합 섬유(444)를 호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단성분 섬유(446)는 다른 고분자 섬유인 2성분 복합 섬유(444)의 표면보다도 융점이 높은 것을 채용하면 호적하다. 예를 들어, 단성분 섬유(446)는 PET 호모폴리머만으로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채용할 수 있다. 이 단성분 섬유(446)이면 2성분 복합 섬유의 표면 초부(PET 코폴리머)보다도 융점이 높고 호적하다.
보강재(442)는 2성분 복합 섬유(444) 및 단성분 섬유(446)를 재료로 하고, 니들 가공에 의해 랜덤 또는 유사 랜덤으로 서로 얽혀 고정하는 기지의 니들법으로, 100% PET제인 부직포(폴리에스테르펠트)로서 설치할 수 있다. 그 경우, 2성분 복합 섬유(444)가 섬유 전체의 30% ~ 60%를 차지하고, 남은 것은 모두 단성분 섬유(446)로 할 수 있다.
도 23c는 도 23b의 보강재(442)에 가열 가압 처리를 실시한 상태를 예시한 도이다. 상기 구성의 보강재(442)는 소정 기구로 프레스하여 가열 및 가압을 실시함으로써, 2성분 복합 섬유(444)의 표면이 초부가 녹아서 2성분 복합 섬유(444)와 단성분 섬유(446)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융착한다. 이 처리에 의해, 보강재는 처리 전 상태에 비해 두께가 얇아지고(예를 들어, 4.25 mm 정도부터 0.55 mm 정도로 압축됨), 이에 따라 적절하게 경화하여 형상이 유지된다.
도 24는 도 22b의 보강재의 K-K 단면도이다. 도 24a의 보강재(442)는 가열 가압 처리를 실시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쿠션 돌출부(122)는 쿠션 본체부(120)의 차량 폭 방향의 차량 외측(도 24a 중 하측)의 측면으로 되접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보강재(442)는 되접어진 쿠션 돌출부(122)의 외측, 다시 말해 되접음에 대하여 접은 바깥 측에서 쿠션 돌출부(122)를 덮어 설치되어 있다.
도 24b는 도 24a의 보강재(442)에 가열 가압 처리를 실시한 상태를 예시한 도이다. 가열 가압 처리는 예를 들어, 2성분 복합 섬유(444)(도 23a 참조)의 초부의 융점 이상, 또한 단성분 섬유(446) 및 2성분 복합 섬유(444)의 심부의 융점보다도 낮은 온도에서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 2성분 복합 섬유(444)의 초부와 단성분 섬유(446)의 일부만이 융착하고, 2성분 복합 섬유(444)의 심부와 단성분 섬유(446)는 고체상인 채로 서로 융착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또한 가열과 가압을 동시에 실시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도 24b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보강재(442)는 가열 가압 처리에 의해 두께가 얇아지고 굳어져 형상이 유지된다. 이 보강재(442)면 테더(308)에 의지하지 않고도 쿠션 돌출부(122)의 되접힌 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쿠션 돌출부(442)의 되접음을 임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보강재(442)는 쿠션(448)을 좌석(102)(도 1a 참조)에 탑재하는 작업 등의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보강재(442)는 어느 정도 경화되었다고 해도 완전한 경화는 아니기 때문에, 긴급시에 있어서 테더(308)가 절단되었을 때에는 쿠션 돌출부(122)를 문제 없이 해방할 수 있다. 나아가 보강재(442)는 도 19a의 보강재(402)와 동일하게 쿠션 돌출부(122)의 가스 압력이나 열 및 테더(308)로부터 가해지는 장력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능도 가지고, 쿠션 돌출부(122)를 호적하게 보강할 수 있다.
보강재(442)에 대한 가열 가압 처리는 일부에만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강재(442) 중 돌출 벤트(154)와 겹쳐져 있지 않은 부분은 가열 가압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부드러운 상태로 남겨두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열 가압 처리는 단계적으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먼저 보강재(442)의 일부에만 가열 가압 처리를 실시하여 쿠션 돌출부(122)의 기포에 융착시키고, 보강재(442)를 임시 고정한다. 그리고 외주 봉제부(162a, 162b) 등에 의해 보강재(442)를 쿠션 돌출부(122)에 봉제한 후, 쿠션 돌출부(122)를 되접은 상태로 재차 가열 가압 처리를 실시하여 보강재(442)의 형상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가열 가압 처리를 단계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사이드 에어백 장치(440)를 설치하는 과정에 따른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5는 도 24b의 보강재(442)의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도 2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보강재(460)는 되접어진 쿠션 돌출부(122)의 내측 다시 말해, 쿠션 돌출부(122)의 되접음에 대한 접힌 바깥측(산접기)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구성의 보강재(460)에 의해서도 도 24b의 보강재(460)와 동일하게 쿠션 돌출부(122)의 되접음 유지와 쿠션 돌출부(122)의 보강을 호적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구성으로서는 도 25의 보강재(460)와 도 24b의 보강재(442)를 동시에 설치하고, 쿠션 돌출부(122)를 차량 폭 방향의 양측에서 보강재(422, 460)로 끼워 넣어 파지하게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4a에서는 보강재(442)를 장방형의 구성으로 했지만, 보강재(442)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보강재(442)는 더욱 큰 형상으로 설치하고, 되접인 쿠션 돌출부(122) 전체를 덮어 감추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보강재(442)는 쿠션 돌출부(122)를 따른 형상으로서 과잉된 부분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강재(442)는 부분적으로 파단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강재(442)는 되접힌 쿠션 돌출부(122)를 덮음과 동시에 일부를 쿠션 본체부(120)에 융착시키고, 이것에 의해 쿠션 돌출부(122)의 되접음을 유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보강재(460)는 쿠션 돌출부(122)에 접속하고 있는 부분과 쿠션 본체부(120)에 융착하고 있는 부분 사이에 파선상의 슬릿을 설치해두고, 테더(308)가 절단되었을 때에는 쿠션 돌출부(122)의 팽창압에 의해 슬릿(324)에서 파단하여 쿠션 돌출부(122)를 개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보강재(442)(도 23b 참조)에는 2성분 복합 섬유(444)와 단성분 섬유(446)가 포함된 구성으로 설명했지만, 나아가 재질이나 두께 등이 상이한 다른 고분자 섬유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구성에 의해, 보강재의 신축성이나 열내성 등을 적절히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보강재(442)는 섬유들 사이를 얽히게 한 부직포 구조로 했지만, 섬유들 사이를 방직한 직포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직포 구조여도 부직포 구조와 동일하게 섬유에 어느 정도의 가동성이나 탄성이 있으면 연성포 재료로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술한 가열 가압 처리에 의한 융착이나 형상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설명한 도 19내지 도 22, 도 24 및 도 25에서는 각 보강포를 설치한 쿠션 돌출부(122)를 쿠션 본체부(120)의 외측으로 되접고 있다. 그러나 각 보강포를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쿠션 돌출부(122)는 도 4b 등에 예시된 바와 같이, 테더(158) 등을 이용하여 쿠션 본체부(120)의 내부에 몰입하도록 되접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에 있어서도, 각 보강포는 쿠션 돌출부(122)의 보강이나 쿠션 돌출부(122)의 되접음의 유지를 위해 호적하게 기능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호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로서, 이것 이외의 실시형태도 각종 방법으로 실시 또는 실행 가능하다. 특히 본안 명세서 중에 한정되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 발명은 첨부 도면에 나타낸 상세한 부품의 형상, 크기 및 구성 배치 등으로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안 명세서 중에 이용된 표현 및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이고, 특히 한정되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이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로 상정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고,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본 발명에서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쿠션(104)을 차량 중에서 시트백(108)의 니어사이드 및 파사이드 중 어느 쪽에 설치하는 구성으로서도 실시 가능하다고 서술했다. 그러나 그것 이외에도 본 발명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예를 들어, 스몰 모빌리티와 같은 단좌식의 차량 시트에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차량의 좌석의 측부에 설치되어 해당 측부에서 차량 전방측으로 가스에 의해 팽창 가능한 쿠션 본체부를 구비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L1…테더의 길이,
L2…접속점부터 테더 커터까지의 거리,
M1…쿠션 돌출부와 겹쳐지는 범위,
100…제1 실시형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2…좌석, 104…쿠션,
106…메인 패널,
106a…차량 폭 방향 좌측의 메인 패널,
106b…차량 폭 방향 우측의 메인 패널,
108…시트백, 110…인플레이터,
112…스탠드 볼트, 114…쿠션 본체부의 측면,
116…벤트홀, 120…쿠션 본체부,
122…쿠션 돌출부, 124…테더,
126…테더 커터, 128…커넥터,
130…테더의 접속점, 132…센서,
134…제어부,
150…제2 실시형태의 에어백 장치,
152…쿠션, 154…돌출 벤트,
156…개구, 158…테더,
160a, 160b…테더의 단부, 162a, 162b…외주 봉제부,
164…턱인, 180…쿠션,
182…돌출 벤트,
200…제3 실시형태의 에어백 장치,
202…쿠션, 204…테더,
206…테더 가이드,
208a…쿠션 돌출부의 차량 폭 방향 우측의 측부,
208b…쿠션 돌출부의 차량 폭 방향 좌측의 측부,
220…제4 실시형태의 에어백 장치,
222…쿠션, 224…벤트 커버,
240…제5 실시형태의 에어백 장치,
242…쿠션, 244…벤트홀,
246…테더의 접속점,
260…제6 실시형태의 에어백 장치,
262…쿠션, 264…측부 벤트,
280…제7 실시형태의 에어백 장치,
282…쿠션, 284…벤트홀,
300…제8 실시형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302…쿠션, 304…이너백,
306a…상부의 이너 벤트, 306b…하부의 이너 벤트,
308…테더, 310…분기 테더,
320…제9 실시형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322…되접음부, 324…슬릿,
326…쿠션,
340…제10 실시형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342…패치, 342a…패치의 제1 부품,
342b…패치의 제2 부품, 344…쿠션,
346…제1 부품의 가장자리,
348…돌기편, 360…매듭부,
370…변형예의 패치, 372…구멍부,
374…돌기편,
400…제11 실시형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402…보강재, 404…쿠션,
420…제12 실시형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422…보강재, 422a…보강재의 제1 부품,
422b…보강재의 제2 부품, 424…쿠션,
426…타방의 보강재,
426a…보강재의 제1 부품,
426b…보강재의 제2 부품,
440…제12 실시형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442…보강재, 444…2성분 복합 섬유,
446…단성분 섬유, 448…쿠션,
460…변형예의 보강재

Claims (40)

  1.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와,
    차량의 좌석의 측부에 설치되어 해당 측부에서 차량 전방으로 상기 가스에 의해 팽창 가능한 쿠션 본체부와,
    상기 쿠션 본체부의 차량 전방측에 설치되어 해당 쿠션 본체부로부터 가스를 받고, 또한 차량 전방으로 돌출하여 팽창 가능한 쿠션 돌출부와,
    띠상으로서, 해당 쿠션 돌출부로부터 상기 좌석의 측부의 소정 위치까지 걸쳐져, 해당 쿠션 돌출부를 차량 후방으로 되접힌 상태로 유지하는 테더와,
    상기 차량으로부터 소정 정보를 취득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가 취득한 정보에 따라 상기 테더를 절단하는 테더 커터를 구비하며,
    상기 테더는 상기 쿠션 돌출부를 상기 쿠션 본체부의 차량 폭 방향의 차량 외측 또는 차량 내측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 되접힌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쿠션 본체부 중 상기 쿠션 돌출부가 되접힌 측면에는 소정의 측면 구멍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테더는 상기 측면 구멍부에서 상기 쿠션 본체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좌석의 측부의 소정 위치에 걸쳐져 있으며,
    상기 측면 구멍부는 상기 쿠션 돌출부 상의 상기 테더의 접속점과 상기 좌석의 측부의 소정 위치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경로 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돌출부의 차량 전방측의 선단에는 상기 쿠션의 팽창 전개 시에 차량 전방을 향하여 개구하는 돌출 벤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돌출부 중 상기 되접혀 상기 쿠션 본체부와 겹쳐지는 범위에는 개구한 측부 벤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본체부 중 상기 되접힌 쿠션 돌출부와 겹쳐지는 범위에는 개구한 벤트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돌출부는 상기 가스를 받아 팽창했을 때에 차량 상하 방향의 폭이 차량 전방을 향하여 점차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는 상기 쿠션 돌출부의 선단에 걸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상기 쿠션 돌출부에 설치되어 해당 쿠션 돌출부의 강성을 높이는 한 개 이상의 보강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여러 개의 상이한 고분자 섬유를 포함하는 연성포(延性布) 재료로 설치되고, 해당 고분자 섬유들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융착하여 형상이 유지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적어도 일부가 압축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고분자 섬유를 직조하지 않고 얽히게 한 부직포의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 개의 상이한 고분자 섬유는 심초(
    Figure 112019124799938-pct00003
    ;core-sheath) 구조의 2성분 복합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2성분 복합 섬유의 초부는 심부를 구성하는 제1 고분자 재료보다도 융점이 낮은 제2 고분자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분자 재료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호모폴리머이고, 상기 제2 고분자 재료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코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 개의 상이한 고분자 섬유는 단일 선분으로 구성된 단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성분 섬유는 상기 보강재에 포함되는 다른 고분자 섬유의 표면보다도 융점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성분 섬유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쿠션 돌출부의 기포(基布)보다도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쿠션 본체부에서 상기 쿠션 돌출부의 선단을 향하여 여러 개로 분할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돌출부는 상기 쿠션 본체부의 차량 폭 방향의 차량 외측 또는 차량 내측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 되접힌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되접힌 쿠션 돌출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돌출부는 상기 쿠션 본체부의 차량 폭 방향의 차량 외측 또는 차량 내측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 되접힌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되접힌 쿠션 돌출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되접힌 쿠션 돌출부 및 상기 쿠션 본체부의 일부를 차량 폭 방향의 양측에서 끼워 넣어 파지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2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본 상기 쿠션 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해당 쿠션 돌출부의 기포를 봉합(縫合)하고 있는 외주 봉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외주 봉제부와 함께 봉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2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는 상기 쿠션 돌출부를 상기 쿠션 본체부의 내부로 몰입하도록 되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해당 쿠션 본체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좌석의 측부의 상기 소정 위치에 걸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돌출부의 상기 되접힌 선단이 재차 차량 전방으로 되접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24. 삭제
  25. 삭제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상기 쿠션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테더에 설치되고, 해당 테더를 상기 측면 구멍부에서 뺄수 없게 하는 간섭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해당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상기 쿠션 본체부의 내부에서 기포로 상기 인플레이터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내부 백을 더 구비하고,
    상기 테더는 상기 내부 백의 내부를 통과하고 있고, 상기 간섭부는 해당 내부 백의 내부에 설치되어 해당 내부 백에 간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테더에 설치된 매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테더의 일부로서, 되접어 봉제된 상태에 있는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테더에 설치되어 해당 테더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패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31. 제1항에 있어서,
    해당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상기 쿠션 본체부의 내부에서 해당 쿠션 본체부와 상기 테더에 걸쳐져, 해당 테더를 상기 측면 구멍부에서 뺄 수 없게 하는 분기 테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32. 삭제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돌출부의 선단이 재차 차량 전방으로 되접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3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본체부 중 상기 쿠션 돌출부가 되접히는 측면에는 상기 테더가 통과되는 제1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3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본체부 중 상기 쿠션 돌출부가 되접히는 측면에는 해당 쿠션 돌출부의 선단이 통과되는 제2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3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당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본 상기 쿠션 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해당 쿠션 돌출부의 기포를 봉합하고 있는 외주 봉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테더는 상기 외주 봉제부와 함께 봉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의 상기 쿠션 돌출부측은 두 갈래로 나눠져 있고, 각각 상기 외주 봉제부와 함께 봉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의 상기 두 갈래의 단부들은 겹쳐져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3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당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본 상기 쿠션 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해당 쿠션 돌출부의 기포를 봉합하고 있는 외주 봉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테더는 상기 쿠션 돌출부 중 상기 외주 봉제부 이외의 영역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40.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의 상기 쿠션 돌출부측은 두 갈래로 나눠져 있고, 일방의 단부가 해당 쿠션 돌출부의 차량 폭 방향 좌측에 접속되고, 타방의 단부가 해당 쿠션 돌출부의 차량 폭 방향 우측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0187030935A 2016-05-20 2017-05-11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098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01613 2016-05-20
JP2016101613 2016-05-20
PCT/JP2017/017882 WO2017199850A1 (ja) 2016-05-20 2017-05-11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948A KR20180128948A (ko) 2018-12-04
KR102098372B1 true KR102098372B1 (ko) 2020-04-07

Family

ID=60325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935A KR102098372B1 (ko) 2016-05-20 2017-05-11 사이드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81533B2 (ko)
EP (1) EP3459795B1 (ko)
JP (1) JP6738416B2 (ko)
KR (1) KR102098372B1 (ko)
CN (1) CN109153363B (ko)
WO (1) WO2017199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7499A1 (de) * 2017-09-29 2019-04-04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Gassack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JP7053304B2 (ja) * 2018-02-20 2022-04-12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6691569B2 (ja) * 2018-03-30 2020-04-28 株式会社Subaru 車両の乗員保護装置
CN112805190B (zh) * 2018-10-15 2023-04-04 奥托立夫开发公司 乘员约束装置
US20200198570A1 (en) * 2018-12-19 2020-06-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bag assembly having an augmented inflatable airbag cushion
US11059442B2 (en) * 2019-03-26 2021-07-1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daptive side airbag for protecting occupants in a vehicle
KR102190439B1 (ko) * 2019-07-26 2020-12-1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행 태그가 적용된 에어백 유닛
CN113022488A (zh) * 2019-12-25 2021-06-25 北京宝沃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及其控制方法与装置
EP4140830A4 (en) * 2020-06-30 2024-05-29 Kolon Inc INFLATABLE SAFETY BA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22005137A1 (ko) * 2020-06-30 2022-01-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에어백 쿠션 및 그 제조방법
US11110883B1 (en) * 2020-07-08 2021-09-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assembly including a vent cover
KR102454236B1 (ko) * 2020-09-08 2022-10-1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DE102020123629A1 (de) * 2020-09-10 2022-03-10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anordnung
US11904792B2 (en) * 2020-10-13 2024-02-20 Autoliv Asp, Inc. Seat-centric airbag system with active pelvis restraint
KR20220085949A (ko) * 2020-12-16 2022-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KR20220104401A (ko) * 2021-01-18 2022-07-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US11613225B2 (en) * 2021-01-20 2023-03-28 Autoliv Asp, Inc. Airba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7578A (ja) * 2007-10-31 2009-05-21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15030298A (ja) * 2013-07-31 2015-02-1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5093657A (ja) * 2013-11-14 2015-05-18 セーレン株式会社 乗員保護用エアバッグ
JP2015214252A (ja) * 2014-05-12 2015-12-03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8591B2 (ja) * 1991-03-12 2001-05-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5584508A (en) * 1993-11-05 1996-12-17 Takata Corporation Combination of an air bag device and a vehicle
US5570905A (en) * 1995-03-28 1996-11-05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tether attachment
US5636862A (en) * 1995-09-07 1997-06-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assembly with tether
DE29517951U1 (de) * 1995-11-13 1996-02-08 Trw Repa Gmbh Gassack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JPH09323605A (ja) * 1996-03-27 1997-12-16 Morton Internatl Inc 自動車の乗客室内の占有者を保護する方法とエアバッグクッションを折りたたむ方法
JP3374648B2 (ja) * 1996-04-08 2003-02-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
JP2894274B2 (ja) * 1996-04-08 1999-05-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
JP2962224B2 (ja) * 1996-04-08 1999-10-1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
US5906395A (en) * 1996-07-24 1999-05-25 Denso Corporation Air bag apparatus, folded air bag, and method of folding the air bag
DE29713112U1 (de) * 1997-07-23 1998-01-22 Trw Repa Gmbh Gassack-Rückhaltesystem
US6457741B2 (en) * 1997-08-22 2002-10-0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Seat mounted side air bag
JPH11321511A (ja) * 1998-05-11 1999-11-24 Takata Kk 助手席用エアバッグ及びその折り畳み方法
JP2000142290A (ja) 1998-11-09 2000-05-23 Kansei Corp 車両用エアバッグ
US6390501B1 (en) * 1999-11-12 2002-05-21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profile air bag restraint
DE10018170B4 (de) * 2000-04-12 2012-10-31 Audi Ag Luftsackanordnung
US7134691B2 (en) * 2001-05-23 2006-11-14 Delphi Technologies, Inc. Air bag cushion including break-away tethers
US6648371B2 (en) * 2001-07-12 2003-11-18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venting air bag assembly
US7413214B2 (en) * 2002-01-08 2008-08-19 Milliken & Company Airbag made from low tenacity yarns
DE10236859A1 (de) * 2002-08-07 2004-02-19 Takata Corp. Gassack für ein Airbagmodul
JP2004189187A (ja) 2002-12-13 2004-07-08 Mitsubishi Motors Corp サイドエアバック袋体の縫製方法
GB2403457A (en) * 2003-06-30 2005-01-05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US7192050B2 (en) * 2003-07-09 2007-03-20 Toyoda Gosei Co., Ltd. Side airbag
US7111871B2 (en) * 2003-08-02 2006-09-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tomotive vehicle air bag system
GB2408023A (en) * 2003-11-11 2005-05-18 Autoliv Dev Side air bag with internal tether
EP1711381B1 (de) * 2004-01-23 2012-04-11 Takata - Petri Ag Seitenschutzeinrichtung
DE102004009013B4 (de) * 2004-02-25 2006-03-16 Trw Automotive Gmbh Seitenaufprall-Rückhaltevorrichtung
US7347450B2 (en) * 2004-10-06 2008-03-25 Autoliv Asp, Inc. Airbag cushion with cinch tube for reduced out-of-position effects
US7328915B2 (en) * 2004-10-06 2008-02-12 Autoliv Asp, Inc. Airbag cushion with tether deactivated venting for reduced out-of-position effects
US7353669B2 (en) * 2004-11-19 2008-04-08 Milliken & Company Air bag fabric and inflatable elements formed therefrom
US7249783B2 (en) * 2005-03-23 2007-07-31 Autoliv Asp, Inc. Airbag tether release
JP2006281968A (ja) * 2005-03-31 2006-10-19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4552840B2 (ja) * 2005-04-01 2010-09-29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7419184B2 (en) * 2005-06-16 2008-09-02 Autoliv Asp, Inc. Airbag tether release mechanism
JP2007030791A (ja) * 2005-07-29 2007-02-08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4245590B2 (ja) * 2005-08-05 2009-03-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DE602006001275D1 (de) * 2005-08-24 2008-07-03 Takata Corp Gassack und Gassackeinrichtung
JP5045017B2 (ja) * 2005-08-24 2012-10-10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4347281B2 (ja) * 2005-08-29 2009-10-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
DE102005059197B4 (de) * 2005-12-06 2008-04-10 Takata-Petri Ag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e mit einem in einem Fahrzeugsitz angeordneten aufblasbaren Gassack
JP2007216954A (ja) * 2006-02-17 2007-08-30 Tk Holdings Inc エアバッグ用クッション形状づけスリーブおよびテザー
JP4793924B2 (ja) * 2006-06-12 2011-10-12 タカタ株式会社 側突用エアバッグ、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車両用シート
DE202006010362U1 (de) * 2006-06-29 2006-09-14 Takata-Petri Ag Seitengassackanordnung
JP2008174137A (ja) * 2007-01-19 2008-07-31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4952321B2 (ja) * 2007-03-20 2012-06-13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7510212B2 (en) * 2007-03-26 2009-03-31 Autoliv Asp, Inc. Airbag tether cutter and vent closer
US7770921B2 (en) * 2007-05-25 2010-08-10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for protection of a vehicle occupant
JP5049660B2 (ja) * 2007-06-11 2012-10-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08302907A (ja) * 2007-06-11 2008-12-18 Takata Corp 伸縮性ウェビング、エアベルト、エアベルト装置
JP5166779B2 (ja) * 2007-06-18 2013-03-21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の排気方法
US8262130B2 (en) * 2007-07-30 2012-09-1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improved tear stitch
WO2009035114A1 (ja) * 2007-09-14 2009-03-19 Kanto Auto Works, Ltd. エアバッグ装置
US20090302588A1 (en) * 2008-06-05 2009-12-10 Autoliv As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irbag tether release
JP5291998B2 (ja) * 2008-06-26 2013-09-18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10008060A1 (ja) * 2008-07-17 2010-0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とその製造方法
JP5012726B2 (ja) * 2008-08-07 2012-08-29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10052562A (ja) * 2008-08-28 2010-03-11 Takata Corp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7938444B2 (en) * 2008-10-14 2011-05-10 Autoliv Asp, Inc. Mounting bracket for tether release mechanism
KR101540075B1 (ko) * 2008-11-21 2015-07-2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측면 에어백 모듈
JP5098975B2 (ja) * 2008-11-28 2012-12-12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433250B2 (ja) * 2009-02-13 2014-03-05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534708B2 (ja) * 2009-04-22 2014-07-02 マツダ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そのバッグ部の折畳み方法
CN101890928B (zh) * 2009-05-20 2013-08-28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侧气囊装置
JP5045708B2 (ja) * 2009-06-05 2012-10-10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8047564B2 (en) * 2009-09-02 2011-11-01 Tk Holdings Inc. Airbag
KR101081274B1 (ko) * 2009-09-07 2011-11-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장치
DE112010004206B4 (de) * 2009-10-28 2017-01-26 Key Safety Systems, Inc. Vorhangairbag mit Eigenschaften gegen das Herausschleudern
US8678432B1 (en) * 2010-06-03 2014-03-25 Tk Holdings, Inc. Releasable tether retention system
US8360469B2 (en) * 2010-08-27 2013-01-29 Tk Holdings Inc. Airbag system
JP2012179956A (ja) * 2011-02-28 2012-09-20 Fuji Heavy Ind Ltd 乗員保護装置及び乗員保護方法
EP2682311B1 (en) * 2011-03-03 2016-03-0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ide airbag device for automobile
JP5401495B2 (ja) * 2011-03-17 2014-01-2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乗員保護装置及び乗員保護方法
JP5743798B2 (ja) * 2011-08-10 2015-07-01 タカタ株式会社 ストラップ保持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13049322A (ja) * 2011-08-30 2013-03-14 Toyota Motor Corp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9327673B2 (en) * 2011-08-31 2016-05-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side airbag device
US9145102B2 (en) * 2011-09-01 2015-09-2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side airbag device
US20130079208A1 (en) * 2011-09-26 2013-03-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for folding airbag cushion
JP5983193B2 (ja) * 2011-09-28 2016-08-31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848091B2 (ja) * 2011-10-26 2016-01-27 芦森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04093606B (zh) * 2012-02-01 2017-04-1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侧面安全气囊装置
RU2584325C1 (ru) * 2012-04-17 2016-05-20 Тойота Дзидося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Устройство боковой подуш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9211824B2 (en) * 2012-04-30 2015-12-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firmness vehicle seat
JP5918621B2 (ja) * 2012-05-09 2016-05-18 芦森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2860070B1 (en) * 2012-06-06 2017-03-0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JP5664607B2 (ja) * 2012-08-02 2015-0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150039800A (ko) * 2012-08-27 2015-04-13 도요타 지도샤(주)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5692190B2 (ja) * 2012-09-04 2015-04-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CN108482198B (zh) * 2012-10-01 2021-04-09 提爱思科技股份有限公司 座椅靠背
US20140103625A1 (en) * 2012-10-15 2014-04-17 Tk Holdings Inc. Parachute airbag diffuser
JP2014184951A (ja) * 2012-11-30 2014-10-02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14104965A (ja) 2012-11-30 2014-06-09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803948B2 (ja) * 2013-01-23 2015-11-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070217B2 (ja) * 2013-01-25 2017-02-01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761231B2 (ja) * 2013-02-26 2015-08-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010804B2 (en) * 2013-03-15 2015-04-21 Autoliv Asp, Inc. Airbag assemblies with constrained stabilizer straps
JP2014184805A (ja) * 2013-03-22 2014-10-02 Toyota Motor Corp 自動車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776733B2 (ja) * 2013-07-03 2015-09-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696748B2 (ja) * 2013-07-31 2015-04-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JP6491811B2 (ja) * 2013-09-30 2019-03-27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該エアバッグを備えたエアバッグ装置
US9108587B2 (en) * 2013-10-08 2015-08-18 Autoliv Asp, Inc. 3-layer “C” shaped side airbag
JP6217350B2 (ja) * 2013-11-29 2017-10-2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236092B2 (ja) 2013-12-18 2017-11-22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JP6222008B2 (ja) * 2013-12-26 2017-11-01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3099536B1 (de) * 2014-01-30 2018-08-08 TRW Automotive GmbH Gassack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ahrzeuginsassenschutzsystems
DE102014002536A1 (de) * 2014-02-21 2015-08-27 Audi Ag Seitenairbag für Fahrzeuge
JP6350798B2 (ja) * 2014-03-13 2018-07-0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544743B2 (ja) * 2014-05-01 2019-07-17 ジョイソン セイフティ システムズ アクイジション エルエルシー 制御テザーを有する中央側面衝突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6179469B2 (ja) * 2014-06-23 2017-08-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107749B2 (ja) * 2014-06-23 2017-04-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3168090B1 (en) * 2014-06-24 2019-12-18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device
US9199602B1 (en) * 2014-07-23 2015-12-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Passive air bag with slack creator
JP6248206B2 (ja) * 2014-08-26 2017-12-1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該装置におけるエアバッグ
KR20160035344A (ko) * 2014-09-23 2016-03-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JP6102880B2 (ja) * 2014-10-07 2017-03-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149840B2 (ja) * 2014-10-21 2017-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327110B2 (ja) * 2014-10-23 2018-05-23 豊田合成株式会社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6052266B2 (ja) * 2014-10-27 2016-1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JP6131935B2 (ja) * 2014-12-03 2017-05-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DE112015005589T5 (de) * 2014-12-10 2017-09-28 Tk Holdings Inc. Airbag-modul
DE102014227036A1 (de) * 2014-12-30 2016-06-30 Lear Corporation Sitzbaugruppe mit Seitenairbagmodul
US9205798B1 (en) * 2015-02-25 2015-12-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for oblique vehicle impacts
JP6468076B2 (ja) * 2015-05-26 2019-02-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のサポート装置
EP3323919B1 (en) * 2015-07-13 2020-12-16 Toray Industries, Inc. Airbag base fabric, airba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irbag base fabric
JP6459832B2 (ja) * 2015-07-31 2019-01-30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459831B2 (ja) * 2015-07-31 2019-01-30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598042B2 (en) * 2015-08-12 2017-03-21 Autoliv Asp, Inc. Safety restraint system with inflatable pelvis restraint device
JP6527061B2 (ja) * 2015-09-18 2019-06-05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10518738B2 (en) * 2015-09-29 2019-12-31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device
JP6278025B2 (ja) * 2015-10-26 2018-0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US9573551B1 (en) * 2015-11-06 2017-02-21 Autoliv Asp, Inc. Side airbag cush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JP6551196B2 (ja) * 2015-11-30 2019-07-31 豊田合成株式会社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JP6323438B2 (ja) * 2015-12-16 2018-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DE102015016347A1 (de) * 2015-12-17 2017-06-22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Airbagkissen für eine Airbagvorrichtung
US9932011B2 (en) * 2015-12-28 2018-04-03 Toyoda Gosei Co., Ltd. Side airbag apparatus
JP6536418B2 (ja) * 2016-01-21 2019-07-03 豊田合成株式会社 運転席用エアバッグの折畳準備体と折畳体の折畳方法
WO2017143010A1 (en) * 2016-02-16 2017-08-24 Tk Holdings Inc. Center side airbag module
JP6432547B2 (ja) * 2016-03-02 2018-12-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3459796B1 (en) * 2016-05-20 2021-01-13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device
US9682681B1 (en) * 2016-05-31 2017-06-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aptive side torso airbag
KR101866083B1 (ko) * 2016-11-01 201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립형 센터 사이드 에어백
US11518339B2 (en) * 2016-12-26 2022-12-06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 bag device
EP3825187B1 (en) * 2017-02-27 2022-11-30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apparatus
US10369956B2 (en) * 2017-03-20 2019-08-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with necking chamber
JP6880954B2 (ja) * 2017-04-07 2021-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729496B2 (ja) * 2017-06-05 2020-07-22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2293583B1 (ko) * 2017-06-30 2021-08-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399622B1 (ko) * 2017-08-24 2022-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454012B1 (ko) * 2017-09-22 2022-10-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565349B1 (ko) * 2018-03-19 2023-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7578A (ja) * 2007-10-31 2009-05-21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15030298A (ja) * 2013-07-31 2015-02-1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5093657A (ja) * 2013-11-14 2015-05-18 セーレン株式会社 乗員保護用エアバッグ
JP2015214252A (ja) * 2014-05-12 2015-12-03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99850A1 (ja) 2017-11-23
CN109153363B (zh) 2021-03-30
EP3459795A1 (en) 2019-03-27
JP6738416B2 (ja) 2020-08-12
KR20180128948A (ko) 2018-12-04
EP3459795A4 (en) 2019-11-06
US20190111884A1 (en) 2019-04-18
CN109153363A (zh) 2019-01-04
EP3459795B1 (en) 2020-11-25
US10981533B2 (en) 2021-04-20
JPWO2017199850A1 (ja)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372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6668464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309956B2 (ja) シート用サイドエアバッグ構造
JP4640419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US20100102542A1 (en) Airbag device
US7922200B2 (en) Inflatable cushion assembly including breakable tether stitches
JP2007030791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06604849A (zh) 可充气座椅安全带的折叠模式
JP2007216733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3049338A (ja) エアバッグ装置
JP6191574B2 (ja)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0965494B1 (en) Vehicle seat
JP4186997B2 (ja) 車両側部のエネルギ吸収装置
WO2014109162A1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及びそれを備えるエアバッグ装置、並びに車両構造
JP5254185B2 (ja) エアベルト及びエアベルト装置
JP2011178269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JP2017177845A (ja) エアバッグ
JP4897714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6825108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1046298B1 (ko)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
JP4254789B2 (ja) 車両側部のエネルギ吸収装置
JP2007125937A (ja) 車両用エアベルト装置
JP2020050138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4091420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101047560B1 (ko) 차량용 에어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