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684B1 -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684B1
KR102094684B1 KR1020160040053A KR20160040053A KR102094684B1 KR 102094684 B1 KR102094684 B1 KR 102094684B1 KR 1020160040053 A KR1020160040053 A KR 1020160040053A KR 20160040053 A KR20160040053 A KR 20160040053A KR 102094684 B1 KR102094684 B1 KR 102094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ty ratio
output
signal
cloc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2674A (ko
Inventor
조정
김수원
현진훈
정찬희
권대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0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684B1/ko
Priority to US15/468,025 priority patent/US10038433B2/en
Publication of KR20170112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6Arrangements in which a continuous pulse train is transformed into a train having a desired patter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6Arrangements in which a continuous pulse train is transformed into a train having a desired pattern
    • H03K5/1565Arrangements in which a continuous pulse train is transformed into a train having a desired pattern the output pulses having a constant duty cycl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1Digitally controll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4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by the use of delay lin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Arrangements in which pulses are delivered at different times at several outputs, i.e. pulse distribu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Arrangements in which pulses are delivered at different times at several outputs, i.e. pulse distributors
    • H03K5/15013Arrangements in which pulses are delivered at different times at several outputs, i.e. pulse distributors with more than two outpu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ulse Circuits (AREA)

Abstract

본 기술에 의한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는 제 1 위상을 가지는 클록 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는 제 1 듀티비 조절부; 제 2 위상을 가지는 클록 신호를 가변 지연하는 가변 지연 라인; 가변 지연 라인의 출력의 듀티비를 조절하는 제 2 듀티비 조절부; 제 1 듀티비 조절부의 출력으로부터 차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차동 클록 생성부; 제 2 듀티비 조절부의 출력으로부터 차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차동 클록 생성부; 제 1 차동 클록 생성부와 제 2 차동 클록 생성부에서 출력된 신호들 에지를 결합하여 출력하는 에지 결합부; 듀티비 보정 모드에서 상기 제 1 듀티비 조절부에서 출력된 신호 또는 제 1 차동 클록 생성부에서 출력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듀티비를 탐지하고 위상 보정 모드에서 에지 결합부에서 출력된 신호의 듀티비를 탐지하는 듀티비 탐지부; 듀티비 보정 모드에서 듀티비 탐지부의 출력에 따라 제 1 듀티비 조절부 및 제 2 듀티비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 1 제어부; 및 위상 보정 모드에서 듀티비 탐지부의 출력에 따라 가변 지연 라인을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DEVICE FOR CORRECTING MULTI-PHASE CLOCK SIGNAL}
본 발명은 다위상 클록 신호를 보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위상 클록 신호들의 듀티비 및 위상을 보정할 수 있는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의 동작 전압과 동작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저전압에서 고주파의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저전압 고주파 클록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단순히 기준 클록 신호를 분배하는 경우 최종 클록 신호의 펄스 폭이 감소하여 클록 신호의 품질이 열화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준 클록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차가 균등하게 이격된 다위상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준 클록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차가 90도씩 이격된 4위상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주파수가 4배인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기술에서는 다위상 클록 신호 각각의 듀티비와 클록 신호들 사이의 위상차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KR 10-2005-0020491 A US 2009-0289680 A US 8384438 B1
Ha, J. C., et al. "Unified all-digital duty-cycle and phase correction circuit for QDR I/O interface." IET Electron. Lett., vol. 44, no. 22, pp. 1300-1301, Oct. 2008. Su, Jun-Ren., et al. "Delay-line based fast-locking all-digital pulse width-control circuit with programmable duty cycle." in Proc. IEEE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 pp. 305-308, Nov 2012. Chung, C-C et al. "High-Resolution All-Digital Duty-Cycle Corrector in 65-nm CMOS Technology." IEEE Trans. Very Large Scale Integr. (VLSI) Syst., vol. 22, no. 5, pp. 1096-1105, May. 2014 C. H. Jeong et al. "All-Digital Duty-Cycle Corrector With a Wide Duty Correction Range for DRAM Applications" IEEE Transactions on Very Large Scale Integration (VLSI) Systems Vol 24 (2015): 363-367
본 기술은 다위상 클록 신호의 듀티비와 위상을 함께 보정할 수 있는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는 제 1 위상을 가지는 클록 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는 제 1 듀티비 조절부; 제 2 위상을 가지는 클록 신호를 가변 지연하는 가변 지연 라인; 가변 지연 라인의 출력의 듀티비를 조절하는 제 2 듀티비 조절부; 제 1 듀티비 조절부의 출력으로부터 차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차동 클록 생성부; 제 2 듀티비 조절부의 출력으로부터 차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차동 클록 생성부; 제 1 차동 클록 생성부와 제 2 차동 클록 생성부에서 출력된 신호들 에지를 결합하여 출력하는 에지 결합부; 듀티비 보정 모드에서 상기 제 1 듀티비 조절부에서 출력된 신호 또는 제 1 차동 클록 생성부에서 출력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듀티비를 탐지하고 위상 보정 모드에서 에지 결합부에서 출력된 신호의 듀티비를 탐지하는 듀티비 탐지부; 듀티비 보정 모드에서 듀티비 탐지부의 출력에 따라 제 1 듀티비 조절부 및 제 2 듀티비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 1 제어부; 및 위상 보정 모드에서 듀티비 탐지부의 출력에 따라 가변 지연 라인을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기술을 통해 듀티비 보정 및 위상 보정을 위해 공통된 회로 블록을 사용함으로써 전체 회로의 면적 및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듀티비 보정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위상 보정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1의 듀티비 조절부의 회로도.
도 5는 도 4의 듀티비 조절부의 동작을 나타낸 파형도.
도 6은 도 1의 듀티비 탐지부의 회로도.
도 7은 도 6의 듀티비 탐지부의 동작을 나타낸 파형도.
도 8은 도 6의 펄스 선택부의 회로도.
도 9는 도 8의 선택 로직부의 회로도.
도 10은 도 6의 선택 로직부의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도 1의 에지 결합부의 회로도.
도 12는 도 11의 에지 결합부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는 위상이 90도 차이인 두 클록 신호(CK0, CK90)를 입력받아 4개의 클록 신호(CKDCC0, CKDCC90, CKDCC180, CKDCC270)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는 더미 지연 라인(110), 가변 지연 라인(120), 제 1 듀티비 조절부(210), 제 2 듀티비 조절부(220), 제 1 제어부(310), 제 2 제어부(320), 듀티비 탐지부(400), 제어 클록 생성부(500), 에지 결합부(600), 제 1 차동 클록 생성부(710), 제 2 차동 클록 생성부(720)를 포함한다.
더미 지연 라인(110)은 제 1 입력 클록(CK0)을 지연하여 출력하고 가변 지연 라인(120)은 제 2 입력 클록(CK90)을 지연하여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더미 지연 라인(110)의 지연량은 일정하게 고정되고, 가변 지연 라인(120)의 지연량은 제 2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더미 지연 라인(110)과 가변 지연 라인(120)에 관한 구체적인 회로와 관련하여서는 종래에 다양한 회로가 소개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개시는 생략한다.
제 1 듀티비 조절부(210)는 제 1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제 1 지연 라인(110)에서 출력된 클록 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고, 제 2 듀티비 조절부(220)는 제 1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제 2 지연 라인(110)에서 출력된 클록 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한다.
제 1 차동 클록 생성부(710)는 제 1 듀티비 조절부(210)에서 출력된 클록 신호로부터 위상이 180도 차이인 제 1 출력 클록(CKDCC0)과 제 3 출력 클록(CKDCC180)을 출력한다.
이때 제 1 출력 클록(CKDCC0)은 제 1 듀티비 조절부(210)의 출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 2 차동 클록 생성부(720)는 제 2 듀티비 조절부(220)에서 출력된 클록 신호로부터 위상이 180도 차이인 제 3 출력 클록(CKDCC90)과 제 4 출력 클록(CKDCC270)을 출력한다.
이때 제 3 출력 클록(CKDCC90)은 제 2 듀티비 조절부(220)의 출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 1 차동 클록 생성부(710) 및 제 2 차동 클록 생성부(720)에 관한 구체적인 회로와 관련하여서는 종래에 다양한 기술이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개시는 생략한다.
에지 결합부(600)는 제 1 내지 제 4 출력 클록의 에지를 결합한 클록 신호를 출력한다.
듀티비 탐지부(400)는 제 1 차동 클록 생성부(710)의 출력 또는 에지 결합부(600)의 출력을 입력받고 입력된 클록 신호의 듀티비를 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듀티비 탐지부(400)는 듀티비가 50%이상인 경우 1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0을 출력한다.
제어 클록 생성부(500)는 제 2 듀티비 조절부(220)의 출력으로부터 제어 클록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클록 생성부(500)는 제 2 듀티비 조절부(220)의 출력을 1/2로 분주하여 제어 클록으로 출력한다.
제어 클록 생성부(500)의 구체적인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가 잘 알 수 있는 것이어서 구체적인 회로를 개시하지 않는다.
제 1 제어부(310) 및 제 2 제어부(320)는 각각 제어 클록 생성부(500)의 출력에 동기하여 듀티비 탐지부(400)의 출력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제어부(310)의 출력은 제 1 듀티비 조절부(210) 및 제 2 듀티비 조절부(220)를 제어하고, 제 2 제어부(320)의 출력은 가변 지연 라인(120)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제어부(310)의 제어 동작이 종료된 후 제 2 제어부(320)의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제 1 제어부(310)는 제어 신호가 결정되면 이를 듀티비 탐지부(400)에 알릴 수 있다.
제 1 제어부(310)의 제어 동작은 듀티비를 제어하는 동작에 대응하고, 제 2 제어부(320)의 제어 동작은 위상을 제어하는 동작에 대응한다. 두 제어 동작을 통해 다위상 클록 신호에 대한 보정 동작이 완료될 수 있다.
듀티비 탐지부(400)는 제 1 제어부(310)를 제어하는 동안 제 1 출력 클록(CKDCC0)의 듀티비를 탐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듀티비 탐지부(400)가 제 1 출력 클록(CKDCC0)을 입력받아 그 듀티비를 탐지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출력 클록(CKDCC0)은 제 1 듀티비 조절부(210)의 출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듀티비 탐지부(400)는 제 1 출력 클록(CKDCC0) 대신 제 1 듀티비 조절부(210)의 출력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듀티비 탐지부(400)는 제 2 제어부(320)를 제어하는 동안 에지 결합부(600)에서 출력된 클록의 듀티비를 탐지할 수 있다.
듀티비 탐지부(400)는 듀티비 탐지를 위하여 제 3 출력 클록(CKDCC180)을 기준 클록 신호로 사용할 수 있다.
듀티비 탐지부(400)의 구성 및 동작에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듀티비 보정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듀티비 보정 동작은 제 1 제어부(310)가 제 1 듀티비 조절부(210)와 제 2 듀티비 조절부(220)를 제어하는 동작이다.
듀티비 탐지부(400)는 제 1 출력 클록(CKDCC0)의 듀티비를 탐지하여 제 1 제어부(310)를 제어한다.
듀티비 탐지부(400)는 제 1 출력 클록(CKDCC0)의 듀티비를 탐지하기 위하여 제 3 출력 클록(CKDCC180)을 기준 클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클록 생성부(500)는 제 2 듀티비 조절부(220)의 출력을 1/2로 분주하여 제어 클록을 생성한다.
제 1 제어부(310)는 제어 클록에 동기되어 듀티비 탐지부(400)에서 탐지된 듀티비를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멀티 비트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제어부(310)는 5비트의 SAR(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SAR는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제 1 제어부(310)의 구체적인 회로는 개시를 생략한다.
제 1 제어부(310)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는 제 1 듀티비 조절부(210)와 제 2 듀티비 조절부(220)를 함께 제어한다.
제 1 제어부(310)는 5비트의 제어 신호가 모두 결정되면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듀티비 탐지부(40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위상 보정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위상 보정 동작에서 듀티비 탐지부(400)는 제 1 출력 클록(CKDCC0)이 아닌 에지 결합부(600)에서 출력되는 클록 신호의 듀티비를 탐지한다.
제 2 제어부(320)는 제어 클록 생성부(500)에서 출력되는 제어 클록에 동기되어 듀티비 탐지부(400)의 출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멀티 비트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제어부(320)는 4비트의 SAR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SAR는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제 2 제어부(320)의 구체적인 회로는 개시를 생략한다.
제 2 제어부(320)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는 가변 지연 라인(120)을 제어하여 제 2 입력 클록(CK90)의 지연량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듀티비 보정 동작과 위상 보정 동작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면 제 1 내지 제 4 출력 클록은 듀티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인접한 클록 신호와 90도의 위상차를 갖는 다위상 클록 신호가 된다.
도 4는 도 1의 제 1 듀티비 조절부(210)의 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제 1 듀티비 조절부(210)는 입력 클록(CKI)에 따라 상승 에지를 생성하는 상승 에지 생성부(211), 입력 클록(CKI)에 따라 하강 에지를 생성하는 하강 에지 생성부(214) 및 상승 에지 생성부(211)와 하강 에지 생성부(214)의 출력 신호를 래치하여 출력하는 출력부(218)를 포함한다.
상승 에지 생성부(211)는 입력 클록(CKI)을 반전하는 인버터(INV1), 인버터(INV1)의 출력을 지연하는 제 1 지연부(212), 제 1 지연부(212)의 출력을 반전 지연하는 제 1 반전 지연부(213), 전원단(VDD)과 출력단(O)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 1 PMOS 트랜지스터(P1)와 제 2 PMOS 트랜지스터(P2)를 포함한다.
제 1 PMOS 트랜지스터(P1)의 게이트(A)는 제 1 반전 지연부(213)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제 2 PMOS 트랜지스터(P2)의 게이트(B)는 제 1 지연부(212)의 출력에 의해 제어된다.
하강 에지 생성부(212)는 입력 클록(CKI)을 지연하는 제 2 지연부(215), 제 1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제 2 지연부(215)의 출력을 가변 지연하는 가변 지연부(216), 가변 지연부(216)의 출력을 반전 지연하는 제 2 반전 지연부(217), 출력단(O)과 접지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 1 NMOS 트랜지스터(N1)와 제 2 NMOS 트랜지스터(N2)를 포함한다.
제 1 NMOS 트랜지스터(N1)의 게이트(C)는 가변 지연부(216)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제 2 NMOS 트랜지스터(N2)의 게이트(D)는 제 2 반전 지연부(217)의 출력에 의해 제어된다.
도 5는 도 4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5에서 출력부(218)의 지연량은 무시하였다.
출력 클록(CKO)의 상승 에지는 노드(A, B)가 모두 로우 레벨이 되는 경우에 발생하고 하강 에지는 노드(C, D)가 모두 하이 레벨이 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지연부(212)의 지연량이 고정되므로 상승 에지가 발생하는 시점은 입력 클록(CKI)의 상승 에지로부터 인버터(INV1), 제 1 지연부(212) 및 제 1 반전 지연부(213) 및 버퍼부(218)의 지연량(도5의 T1)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강 에지가 발생하는 시점은 입력 클록(CKI)의 상승 에지로부터 제 2 지연부(215), 가변 지연부(216) 및 제 2 반전 지연부(217) 및 버퍼부(218)의 지연량(도5의 T2) 만큼 지연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 지연부(216)의 지연량은 제 1 제어부(310)에서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가변되므로 하강 에지가 발생하는 시점은 제 1 제어부(310)에서 제공된 제어 신호에 따라 조절된다.
도 5에서 출력 클록(CKO)의 하강 에지가 점선으로 표시된 것은 제 1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하강 에지가 발생하는 시점이 제어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출력 클록(CKO)의 듀티비가 조절된다.
제 2 듀티비 조절부(220)는 제 1 듀티비 조절부(2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제어부(310)의 출력에 따라 제 2 듀티비 조절부(220)의 출력 클록의 듀티비 역시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듀티비 탐지부(400)의 상세 블록도이다.
듀티비 탐지부(400)는 펄스 선택부(410), 분주부(420), 지연 라인(430), 플립플롭(440) 및 입력 선택부(450)를 포함한다.
입력 선택부(450)는 입력 클록으로서 제 1 제어부(310)의 출력에 따라 제 1 출력 클록(CKDCC0) 또는 에지 결합부(600)의 출력을 선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제어부(310)의 출력은 제 1 제어부(310)의 제어 동작이 완료되었는지를 표시한다.
제 1 제어부(310)의 제어 동작이 완료되기 전이면 입력 선택부(450)는 제 1 출력 클록(CKDCC0)을 선택하여 듀티비 보정 동작을 진행하고, 제 1 제어부(310)의 제어 동작이 완료되었으면 입력 선택부(450)는 에지 결합부(600)의 출력을 선택한다.
펄스 선택부(410)는 입력 신호의 하이 레벨 구간의 폭만큼 입력 신호를 지연하여 제 1 클록(CK1)을 출력한다.
분주부(420)는 제 3 출력 클록(CKDCC180)을 1/2로 분주하여 출력한다. 분주된 신호는 자연스럽게 듀티비가 50%로 고정되며 이는 기준 클록 신호로 사용된다.
지연라인(430)은 펄스 선택부(410)의 회로에 의한 지연 시간만큼 기준 클록 신호를 지연하여 제 2 클록(CK2)을 출력한다.
플립플롭(440)은 제 2 클록(CK2)의 하강 에지에 동기되어 제 1 클록(CK1)을 샘플링한다.
도 6의 듀티비 탐지부(400)는 펄스 선택부(410)에 입력되는 클록 신호의 듀티비가 50% 이상이면 1 그렇지 않으면 0의 논리 레벨을 갖는 신호(VD)를 출력한다.
도 7은 도 6의 듀티비 탐지부(400)의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도 7은 제 1 출력 클록(CKDCC0)이 입력 클록으로 선택된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제 1 출력 클록(CKDCC)을 입력 클록으로 지칭한다.
제 1 클록(CK1)은 펄스 선택부(410)의 동작에 의해 입력 클록이 하이 레벨인 펄스의 폭만큼 지연되며 펄스 선택부(410)에 내재하는 지연(Toff)만큼 추가 지연된다.
제 2 클록(CK2)은 제 3 출력 클록(CKDCC180)을 1/2 분주하고 이를 지연한 것으로서 듀티비가 50%로 고정된다.
지연라인(430)의 지연량(Td)은 펄스 선택부(410)에서의 지연량(Toff)을 보상하도록 결정된다.
플립플롭(440)은 제 2 클록(CK2)의 하강 에지에서 제 1 클록(CK1)을 샘플링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클록의 듀티비가 50%를 초과하는 경우 플립플롭(440)의 출력(VD)은 1의 레벨을 가지고 그렇지 않은 경우 플립플롭(440)의 출력은 0의 레벨을 가진다.
도 8은 도 6의 펄스 선택부(410)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8의 도 6의 펄스 선택부(410)에서 제 1 출력 클록(CKDCC0)이 입력 클록으로 선택된 것으로 가정한다.
펄스 선택부(410)는 TDC(411)와 클록 선택 회로(416)를 포함한다.
TDC(Time-to-Digital Converter)는 시간 간격을 측정하여 이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잘 알려진 회로이다.
본 실시예에서 TDC(411)는 입력 클록(CKDCC0)을 기준 클록(CKDCC180/2)의 한주기 동안 선택하는 선택부(412), 선택부(412)의 출력을 순차적으로 지연시키는 다수의 제 1 버퍼(413), 선택부(412)의 출력을 순차적으로 지연시키는 다수의 제 2 버퍼(4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버퍼(413)의 지연 시간은 t1, 제 2 버퍼(414)의 지연 시간은 t2(t1>t2)이다.
다수의 제 1 버퍼(413)는 입력 클록을 다수의 시간(t1, 2t2, ...(n+1)t1)만큼 지연한 다수의 클록 신호(CK[0:n])를 출력한다.
TDC(411)는 제 1 버퍼(413)의 출력에 따라 제 2 버퍼(414)의 출력을 샘플링하는 다수의 플립플롭(415)을 포함한다.
도 10은 도 8의 플립플롭(415)의 출력(Q[0:n])을 나타낸다.
플립플롭(415)의 출력에서 1이 연속되는 구간이 입력 클록이 하이(1) 레벨인 구간에 대응한다.
펄스 선택부(410)는 입력 클록이 하이(1) 레벨인 구간의 폭만큼 입력 클록을 지연하기 위하여 플립플롭(415)의 출력이 1에서 0으로 변하는 첫 번째 지점을 탐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플립플롭(415)의 출력이 1에서 0으로 변하는 두 번째 지점부터는 이를 무시하여도 무방하다.
도 8의 클록 선택 회로(416)는 플립플롭(415)의 출력이 1에서 0으로 변하는 첫 번째 지점을 탐지하고 제 1 버퍼(413)에 의해 지연된 다수의 클록 신호(CK[0:n]) 중에서 탐지된 지점에 대응하는 클록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되는 클록 신호는 입력 클록을 입력 클록이 하이 레벨인 구간의 폭만큼 지연된 클록에 대응한다.
도 8의 클록 선택 회로(416)는 플립플롭(415)의 출력이 1에서 0으로 변하는 지점을 탐지하는 논리 블록(417)과 논리 블록(417)의 출력에 따라 다수의 클록 신호(CK[0:n])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다수의 선택부(418)와 다수의 선택부(418)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된 신호를 제 1 클록(CK1)으로서 출력하는 논리 회로부(41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논리 블록(417)은 선택 신호(D)와 리셋 신호(R)를 출력할 수 있다.
리셋 신호(R)는 플립플롭(415)의 출력이 1에서 0으로 변하는 첫 번째 지점을 탐지한 경우 활성화되어 그 이후에 플립플롭(415)의 출력이 1에서 0으로 변하더라도 이를 무시하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논리 블록(417)에서 출력되는 리셋 신호(R)는 플립플롭(415)의 출력이 1에서 0으로 바뀌기 직전 시점에 활성화되고 그 이후에도 계속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한다.
논리 블록(417)에서 출력되는 선택 신호(D)는 직전의 리셋 신호가 0인 조건에서 플립플롭(415)의 출력이 1에서 0으로 바뀌기 직전 시점에 활성화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선택부(418) 중 어느 하나만 클록 신호(CK[i], i = 0, 1,...., n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고 나머지는 0을 출력한다.
도 9는 이러한 논리 블록(417)의 동작을 게이트 레벨로 표시한 회로도이다.
선택 신호(D[n])는 현재 플립플롭의 출력(Q[n])이 활성화되고, 이전 단계의 리셋 신호(R[n-1])이 비활성화되고, 다음 단계의 플립플롭의 출력(Q[n+1])이 비활서화된 조건에서 활성화된다.
리셋 신호(R[n])는 이전 단계의 리셋 신호(R[n-1])가 활성화되거나 다음 단계의 플립플롭의 출력(Q[n+1])이 비활성화되는 조건에서 활성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논리 회로부(419)는 입력 신호들을 OR 연산하여 출력한다.
도 11은 에지 결합부(600)를 나타낸 논리 회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에지 결합부(600)의 동작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에지 결합부(600)는 제 1 출력 클록(CKDCC0)과 제 3 출력 클록(CKDCC270)의 상승 에지에서 상승 에지를 형성하고, 제 2 출력 클록(CKDCC90)과 제 4 출력 클록(CKDCC270)의 상승 에지에서 하강 에지를 형성하는 출력 신호(OUT)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에지 결합부(600)의 출력은 제 1 내지 제 4 출력 클록의 주파수의 2배가 된다.
에지 결합부(600)는 제 1 출력 클록(CKDCC0)과 제 4 출력 클록(CKDCC270)을 AND 연산하는 게이트(601), 제 2 출력 클록(CKDCC90)과 제 3 출력 클록(CKDCC180)을 AND 연산하는 게이트(602), 두 AND 게이트(601, 602)의 출력을 OR 연산하는 게이트(603)를 포함한다.
도 12에서 제 1 출력 클록(CKDCC0)과 출력 신호(OUT) 사이에는 게이트 지연에 의한 지연(Td)을 표시하였다.
제 1 듀티비 조절부(210)와 제 2 듀티비 조절부(220)에 의해 제 1 내지 제 4 출력 클록의 듀티비가 모두 50%로 보정되었다고 가정하면 에지 결합부(600)의 출력의 듀티비는 제 1 출력 클록(CKDCC0)과 제 2 출력 클록(CKDCC90) 사이의 위상차에 따라 50%에서 벗어난 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듀티 보정 동작이 종료된 후 위상 보정 동작에서는 에지 결합부(600)의 출력을 듀티비 탐지부(400)에 입력시키고 그 결과에 따라 가변 지연 라인(120)의 지연량을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에지 결합부(600)의 출력의 듀티비가 보정되도록 한다.
그 결과 다위상 클록 신호들의 듀티비 보정 및 위상 보정이 완료된다.
이상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시하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상의 개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와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해진다.
110: 더미 지연 라인
120: 가변 지연 라인
210: 제 1 듀티비 조절부
211: 상승 에지 생성부
212: 제 1 지연부
213: 제 1 반전 지연부
214: 하강 에지 생성부
215: 제 2 지연부
216: 가변 지연부
217: 제 2 반전 지연부
218: 출력부
220: 제 2 듀티비 조절부
310: 제 1 제어부
320: 제 2 제어부
400: 듀티비 탐지부
410: 펄스 선택부
411: TDC
416: 클록 선택 회로
420: 분주부
430: 지연 라인
440: 플립플롭
450: 입력 선택부
500: 제어 클록 생성부
600: 에지 결합부
710: 제 1 차동 클록 생성부
720: 제 2 차동 클록 생성부

Claims (20)

  1. 제 1 위상을 가지는 클록 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는 제 1 듀티비 조절부;
    제 2 위상을 가지는 클록 신호를 가변 지연하는 가변 지연 라인;
    상기 가변 지연 라인의 출력의 듀티비를 조절하는 제 2 듀티비 조절부;
    제 1 듀티비 조절부의 출력으로부터 차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차동 클록 생성부;
    제 2 듀티비 조절부의 출력으로부터 차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차동 클록 생성부;
    상기 제 1 차동 클록 생성부와 상기 제 2 차동 클록 생성부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에지를 결합하여 출력하는 에지 결합부;
    듀티비 보정 모드에서 상기 제 1 듀티비 조절부에서 출력된 신호 또는 상기 제 1 차동 클록 생성부에서 출력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듀티비를 탐지하고 위상 보정 모드에서 상기 에지 결합부에서 출력된 신호의 듀티비를 탐지하는 듀티비 탐지부;
    상기 듀티비 보정 모드에서 상기 듀티비 탐지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 1 듀티비 조절부 및 상기 제 2 듀티비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 1 제어부; 및
    상기 위상 보정 모드에서 상기 듀티비 탐지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가변 지연 라인을 제어하는 제 2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상을 가지는 클록 신호를 지연하는 더미 지연 라인을 더 포함하는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듀티비 보정 모드는 상기 위상 보정 모드에 선행하되, 상기 제 1 제어부는 제어 신호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듀티비 탐지부가 상기 위상 보정 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듀티비 탐지부를 제어하는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듀티비 탐지부는 상기 제 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듀티비 보정 모드에서 상기 제 1 듀티비 조절부에서 출력된 신호 또는 상기 제 1 차동 클록 생성부에서 출력된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위상 보정 모드에서 상기 에지 결합부의 출력을 선택하는 입력 선택부를 포함하는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듀티비 탐지부는 상기 입력 선택부의 출력 신호의 듀티비와 기준 듀티비를 비교하여 하이 또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준 듀티비는 50%인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듀티비 탐지부는
    기준 클록에 따라 상기 입력 선택부에서 출력된 신호의 하이 레벨 구간만큼 그 신호를 지연하여 출력하는 펄스 선택부; 및
    상기 기준 클록에 따라 상기 펄스 선택부의 출력을 샘플링하는 플립플롭
    을 포함하는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펄스 선택부는
    상기 입력 선택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다수의 지연 시간 동안 지연하여 다수의 출력 클록을 생성하고 상기 입력 선택부에서 출력된 신호의 하이 레벨 및 로우 레벨 구간을 표시하는 멀티 비트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TDC 회로; 및
    상기 멀티 비트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출력 클록 중 상기 입력 선택부에서 출력된 신호의 하이 레벨 구간만큼 지연된 신호에 대응하는 것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클록 선택 회로
    를 포함하는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TDC 회로는 상기 기준 클록의 반주기 동안 상기 입력 선택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는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준 클록은 상기 제 1 차동 클록 생성부에서 출력된 신호 중 다른 하나를 1/2로 분주한 신호인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준 클록을 지연하여 상기 플립플롭의 클록 신호로서 제공하는 지연라인을 더 포함하는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듀티비 조절부는
    입력 신호의 상승 에지에서 제 1 지연 시간 이후 상승 에지를 생성하는 상승 에지 생성부; 및 상기 입력 신호의 하강 에지에서 제 2 지연 시간 이후 하강 에지를 생성하는 하강 에지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지연 시간은 상기 제 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조절되는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1 듀티비 조절부는 상기 상승 에지 생성부 및 상기 하강 에지 생성부의 출력을 공통으로 입력받아 래치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듀티비 조절부는
    입력 신호의 상승 에지에서 제 1 지연 시간 이후 상승 에지를 생성하는 상승 에지 생성부; 및 상기 입력 신호의 하강 에지에서 제 2 지연 시간 이후 하강 에지를 생성하는 하강 에지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지연 시간은 상기 제 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조절되는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 2 듀티비 조절부는 상기 상승 에지 생성부 및 상기 하강 에지 생성부의 출력을 공통으로 입력받아 래치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 또는 상기 제 2 제어부는 SAR(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인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 2 듀티비 조절부의 출력에 따라 제어 클록을 생성하여 상기 제 1 제어부 또는 상기 제 2 제어부에 제공하는 제어 클록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상과 상기 제 2 위상의 차이는 90도인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동 클록 생성부는 제 1 및 제 3 출력 클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 2 차동 클록 생성부는 제 2 및 제 4 출력 클록을 생성하는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에지 결합부는 상기 제 1 및 제 4 출력 클록을 AND 연산한 결과와 상기 제 2 및 제 3 출력 클록을 AND 연산한 결과를 OR 연산하여 출력하는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KR1020160040053A 2016-04-01 2016-04-01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KR102094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053A KR102094684B1 (ko) 2016-04-01 2016-04-01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US15/468,025 US10038433B2 (en) 2016-04-01 2017-03-23 Device for correcting multi-phase clock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053A KR102094684B1 (ko) 2016-04-01 2016-04-01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674A KR20170112674A (ko) 2017-10-12
KR102094684B1 true KR102094684B1 (ko) 2020-03-30

Family

ID=5996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053A KR102094684B1 (ko) 2016-04-01 2016-04-01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38433B2 (ko)
KR (1) KR1020946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896B1 (ko) * 2013-11-20 2020-09-0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수신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캘리브레이션 방법
CN108649951A (zh) * 2018-05-18 2018-10-12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四研究所 一种具有相位自动调节功能的两相时钟信号产生电路
KR102635773B1 (ko) * 2018-09-13 2024-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 장치
US10965442B2 (en) * 2018-10-02 2021-03-30 Qualcomm Incorporated Low-power, low-latency time-to-digital-converter-based serial link
KR102577748B1 (ko) * 2018-11-29 2023-09-1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전원 제어 회로 및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장치
CN109861690B (zh) * 2019-01-30 2023-03-07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四研究所 输出反馈时钟占空比调节装置、方法及***
US10797683B1 (en) * 2020-03-06 2020-10-06 Faraday Technology Corp. Calibration circuit and associated calibrating method capable of precisely adjusting clocks with distorted duty cycles and phases
KR20210140875A (ko) * 2020-05-14 202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위상 클록 생성기,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멀티 위상클록 생성 방법
US11855645B2 (en) * 2021-09-25 2023-12-26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clock duty-cycle controller
CN116683896B (zh) * 2022-12-27 2024-04-02 海光集成电路设计(北京)有限公司 一种占空比可调电路、芯片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350B1 (ko) 2003-08-23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상 클록신호 발생회로 및 방법
KR100861919B1 (ko) * 2006-07-18 2008-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 위상 신호 발생기 및 그 방법
KR100843002B1 (ko) * 2006-10-12 2008-07-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듀티 사이클 보정 회로 및 이를 갖는 지연 고정 루프
JP5450983B2 (ja) 2008-05-21 2014-03-26 ピーエスフォー ルクスコ エスエイアールエル 半導体装置
KR101016555B1 (ko) * 2008-12-09 2011-02-2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듀티 사이클 및 위상 에러 보정 회로장치와 그 방법
US8384438B1 (en) 2011-08-11 2013-02-26 Initio Corporation Single-to-differential conversion circuit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674A (ko) 2017-10-12
US20170288656A1 (en) 2017-10-05
US10038433B2 (en)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684B1 (ko) 다위상 클록 신호 보정 장치
US7839191B2 (en) DLL circuit
KR100305646B1 (ko) 클럭보정회로
US9059691B2 (en) Duty cycle detection and correction circuit in an integrated circuit
US6380783B1 (en) Cyclic phase signal generation from a single clock source using current phase interpolation
US10411675B2 (en) Delay circuit and duty cycle controller including the same
JP4504581B2 (ja) リング遅延とカウンタを利用したレジスタ制御遅延固定ループ
US8698533B2 (en) Phase mixer with adjustable load-to-drive ratio
US20100013530A1 (en) DLL-Based Multiplase Clock Generator
US9998103B2 (en) Delay line circuit
US6815985B2 (en) Clock divider and method for dividing a clock signal in a DLL circuit
US9018990B2 (en) Duty cycle tun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KR101655877B1 (ko) 시간 디지털 변환기
US10224936B1 (en) Self-calibrating frequency quadrupler circuit and method thereof
US9088405B2 (en) Clock phase interpolat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ircuit, and method of clock phase interpolation
US9537475B1 (en) Phase interpolator device using dynamic stop and phase code update and method therefor
KR20060135234A (ko) 디엘엘 장치
JP5609287B2 (ja) 遅延回路
CN109217849B (zh) 一种相位插值器
KR102022645B1 (ko) 반도체 집적 회로 및 클럭 동기화 방법
US8686772B2 (en) Frequency multiplier and method of multiplying frequency
KR100794999B1 (ko) Dll 장치
KR20120027850A (ko) 듀티 검출기를 포함하는 듀티 보정 회로, 이를 포함하는 지연동기루프 회로 및 듀티 보정 방법
KR101013920B1 (ko) 주파수 체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TWI519079B (zh) 責任週期校正電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