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850B1 -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 - Google Patents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850B1
KR102089850B1 KR1020180034941A KR20180034941A KR102089850B1 KR 102089850 B1 KR102089850 B1 KR 102089850B1 KR 1020180034941 A KR1020180034941 A KR 1020180034941A KR 20180034941 A KR20180034941 A KR 20180034941A KR 102089850 B1 KR102089850 B1 KR 102089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automatic
wheel
water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2943A (ko
Inventor
최미영
장민석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4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850B1/ko
Publication of KR20190112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3Rotary dru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5Archimedian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에 있어서, 물 수위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한쌍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는 물레부 및 상기 물레부에 연결되며 하천쓰레기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수거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되는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Automatic garbage collection machine}
본 발명은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레방아의 회전에 의해 하천쓰레기가 자동으로 수거되고, 내부에 발전기를 구비하여 소수력 발전이 가능한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에 관한 것이다.
하천 주변에 버려진 쓰레기 및 상류에서 떠내려온 나뭇가지 등이 하천수의 증가 또는 홍수 등에 의해 호수로 유입되면 일정한 유수지, 즉 댐 및 보 등에 쌓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쌓인 하천 쓰레기는 하천수의 오염원으로서 악취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하천 생태계를 파괴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하천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해 수거장치가 부착된 선박을 이용하거나, 인력을 이용하여 수동적인 방법으로 부유물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하천 쓰레기 수거방법들은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제거 시간이 많이 소모되기 때문에, 하천 쓰레기를 제거하기 전에 수질오염이 야기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작업자가 수거작업을 하러 하천에 직접 들어가야 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우려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하천 쓰레기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기술의 일 예로 등록실용신안 20-0255925호에서는 강변에 근접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에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축과 강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에 종동축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 및 종동축에 연속으로 회전하는 걸름망을 설치하여 걸름망의 회전에 의해 부유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방식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동축 및 종동축 사이에 설치된 걸름망은 수면일정깊이에 수하된 상태이므로 유속에 의해 수압을 받아 파손의 위험이 높으며, 강변 또는 강중심부에 설치되는 지주는 보강구조이므로 구축 및 유지 비용이 많이 소모된다. 이뿐만 아니라 모터 등 수거 장치의 구동 유지 비용이 소모되므로 설치 및 유지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물레방아의 회전에 의해 하천쓰레기가 자동으로 수거되고, 내부에 발전기를 구비하여 소수력 발전이 가능한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는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에 있어서, 물 수위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한쌍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는 물레부 및 상기 물레부에 연결되며 하천쓰레기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수거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물레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몸체실린더 및 물 수위를 인식하여 상기 몸체실린더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인식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프레임은, 정후면이 상부가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 양측에 외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날개부재 및 상기 날개부재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물레부가 삽입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레부는, 물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물레방아; 상기 물레방아의 측면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물레방아에 삽입고정되며, 양끝단이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는 물레축 및 상기 물레축의 끝단에 형성되는 제1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레부는, 상기 물레방아의 정면에 구비되며, 상기 물레축에 연결되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재는, 좌우로 길이를 가지며, 후면측으로 곡률을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된 보호판 및 일단이 상기 보호판의 양측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물레축에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다리는 각각 다른 길이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보호판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상기 보호판에 걸리는 하천쓰레기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양측이 상기 물레축과 연결되며, 상기 물레방아의 회전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형성되는 스크류부재;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스크류부재의 끝단측에 구비되는 수거부재; 상기 회전축의 양끝단에 형성되는 부레 및 상기 물레축과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고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부재가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크류부재에 걸리는 하천쓰레기가 상기 수거부재에 삽입되어 하천쓰레기가 자동으로 수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를 연결하는 연결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인이 상기 물레방아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기어의 회전력을 제2 기어에 전달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물레부와 회전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커버하도록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에 의하면, 물레방아의 회전에 따라 쓰레기가 자동으로 수거되므로 수거기를 작동시키는 수거기 유지비용 및 인력이 소모되지 않는다.
또한, 물레방아 내부에 발전기를 구비하므로 물이 흐르지 않는 경우에도 수거기를 작동시킬 수 있어 외부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수거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의 물레부 및 회전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의 하천 설치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의 보 설치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 1 내지 도 4를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함께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의 물레부 및 회전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1)는 몸체부(10), 물레부(20) 및 회전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1)는 물레방아의 회전력에 의해 쓰레기가 일측으로 이동되어 수거부재에 자동으로 삽입되므로 유지비용이 소모되지 않으며, 물레방아 내부에 발전기를 구비하여 물이 흐르지 않는 경우에도 저장된 전력으로 수거기를 동작시킬 수 있어 외부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하천쓰레기를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다.
일 예로, 종래에는 하천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수거장치가 부착된 선박을 이용하거나, 작업자가 직접 하천에 들어가 쓰레기를 제거하므로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이 우려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하천의 흐름에 따라 쓰레기가 자동으로 수거되는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의 필요성이 있어 개발된 것이다.
먼저, 몸체부(10)는 물 수위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며, 하천 및 보 등 물이 흐르는 위치에 한쌍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이 흐르는 위치에 단수개 또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는 몸체프레임(100), 몸체실린더(101) 및 인식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프레임(100)은 내부에 물레부(20)가 구비되며, 지지프레임(1001), 날개부재(1002), 연결부재(1003) 및 보호커버(10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프레임(100)은 물이 흐르는 위치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내식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표면에 이산화티타늄(TiO2) 피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높은 내식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자외선이 조사될 경우 탄소계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 바꾸는 촉매 역할을 하므로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산화력이 높아 항균력 및 살균력이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지지프레임(1001)은 물이 흐르는 위치에 설치되며, 정후면이 상부가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재(1002)는 지지프레임(1001)의 양측 상단에 형성되며, 지지프레임(1001)의 외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003)는 날개부재(1002)의 상면에 형성되며, 측면 중앙에 형성된 삽입홀(100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삽입홀(10030)에는 물레부(20)의 축이 삽입되고, 이에 따라 몸체프레임(100)에 물레부(20)가 안착될 수 있다.
보호커버(1004)는 지지프레임(1001)의 측면에 연결되며,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1)의 설치 형태에 따라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설치예에 따라 이하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보호커버(1004)는 물레부(20)와 회전부(30)가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전방의 물 흐름에 대해 보호하고, 물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곡률을 가지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실린더(101)는 일단이 지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날개부재(1002)의 하측에 연결되며, 물 수위의 변화에 따라 상하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몸체실린더(101)의 상하운동에 의해 몸체프레임(100)의 높이가 조절되며, 이에 따라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1)의 전체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인식센서(미도시)는 몸체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물 수위를 인식하여 몸체실린더(10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물레부(20)는 몸체부(10)의 내부에 구비되며, 물레방아(200), 물레축(201) 및 제1 기어(202)를 포함할 수 있다.
물레방아(200)는 물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며, 지지프레임(100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물레축(201)은 물레방아(200)의 측면 중앙을 관통하는 축 형상으로 형성되며, 물레방아(200)에 삽입고정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물레방아(20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물레축(201)은 양끝단이 삽입홀(10030)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물레방아(200)가 지지프레임(1001)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기어(202)는 물레축(201)의 끝단에 형성되며, 물레축(20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202)는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1)의 설치 형태에 따라 물레축(201)의 외측 끝단 또는 내측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설치예에 따라 이하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물레부(20)는 물레방아(200)를 보호하는 보호부재(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재(203)는 물레방아(200)의 정면에 구비되며, 물레축(201)에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호부재(203)는 하천쓰레기가 물레방아(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1)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보호부재(203)는 물 위에 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비중이 물보다 작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염화비닐(PVC)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염화비닐(PVC)은 열가소성 재료이므로 가공이 용이하고, 높은 내식성 및 내마모성을 가지므로 표면이 물 위에 설치되는 경우 발생하는 마모 및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부재(203)는 보호판(2030) 및 한쌍의 연결다리(2031a,b)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판(2030)은 좌우로 길이를 가지고, 후면측으로 곡률을 가지는 오목한 판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하천쓰레기가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판(2030)에 걸릴 수 있다.
연결다리(2031a,b)는 일단이 물레축(201)에 연결되고, 타단이 보호판(2030)의 양측에 연결되며, 연결다리(2031a,b)의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보호판(2030)이 물레축(201)을 기준으로하여 상하로 회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연결다리(2031a,b)는 타단이 각각 물레방아(200)를 기준으로 외측 및 내측에 연결되며,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판(2030)의 기울기가 조절되어 보호판(2030)에 걸리는 하천쓰레기를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물레방아(200)의 외측에 연결된 연결다리(2031b)보다 내측에 연결된 연결다리(2031a)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보호판(2030)에 걸리는 하천쓰레기를 회전부(30)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물레부(20)는 발전기(미도시) 및 축전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전기(미도시)는 물레방아(200)의 내부에 형성되며, 물레방아(200)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전하여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발전기(미도시)에서 발생된 전기는 축전지(미도시)에 저장되며, 저장된 전기는 물이 흐르지 않아 회전력이 미미한 경우 회전축(300)을 회전시켜 하천쓰레기를 자동으로 수거하는 등 사용자가 원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전부(30)는 물레부(20)에 연결되며, 하천쓰레기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수거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30)는 회전축(300), 스크류부재(301), 수거부재(302), 부레(303) 및 고정실린더(30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300)은 양측이 물레축(201)의 끝단과 연결되며, 물레방아(20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300)은 제2 기어(3000) 및 연결체인(30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어(3000)는 회전축(300)의 양측에 형성되며, 제1 기어(20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축(3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연결체인(3001)은 제1 기어(202)와 제2 기어(3000)를 연결하며, 제1 기어(202)의 회전력을 제2 기어(3000)에 전달할 수 있다.
스크류부재(301)는 회전축(300)의 타측에 형성되며, 회전축(30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회전축(300)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부재(301)에 걸린 하천쓰레기를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류부재(301)는 외측에 기름수거면(미도시)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천의 수면 위에 떠다니는 부유물 및 기름을 제거할 수 있다.
수거부재(302)는 회전축(300)에 연결되며, 스크류부재(301)의 끝단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부재(301)의 회전에 의해 하천쓰레기가 끝단측에 구비된 수거부재(302)에 삽입되어 자동으로 수거될 수 있다.
또한, 수거부재(302)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거된 하천쓰레기를 용이하게 비울 수 있다.
부레(303)는 회전축(300)의 양끝단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수면의 높낮이에 따라 회전축(300)의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고정실린더(304)는 일단이 물레축(201)에 연결되고, 타단이 회전축(300)에 연결되어 물레축(201)와 회전축(30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실린더(304)의 상하운동에 의해 물레축(201)과 회전축(300)의 간격이 조절되며, 이에 따라 몸체실린더(101)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회전축(300)의 높낮이를 추가로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1)가 하천 및 보에 설치되는 형상을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의 하천 설치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의 보 설치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1)는 하천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몸체부(10)가 하천의 양 폭에 설치되며, 몸체부(10)의 내부에 물레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물레축(201)의 내측 끝단에 제1 기어(202)가 형성되고, 회전부(30)는 물레부(2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연결체인(3001)에 의해 제1 기어(202)와 제2 기어(3000)가 연결되며, 이에 따라 회전축(300)이 회전되어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1)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보호커버(1004)는 제1 기어(202)와 제2 기어(3000)의 연결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지지프레임(1001)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제1 기어(202) 및 제2 기어(300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1)는 보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몸체부(10)가 보의 수로에 설치되며, 몸체부(10)의 내부에 물레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0)는 보의 수로에 단수개 또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물레축(201)의 외측 끝단에 제1 기어(202)가 형성되며, 회전부(30)는 물레부(20)의 전방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연결체인(3001)에 의해 제1 기어(202)와 제2 기어(3000)가 연결되며, 이에 따라 회전축(300)이 회전되어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1)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보호커버(1004)는 제1 기어(202)와 제2 기어(3000)의 연결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지지프레임(1001)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제1 기어(202) 및 제2 기어(300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물레축(201)이 물레방아(200)의 전방측에 위치하므로 본 발명의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1)가 보에 설치되는 경우 보호부재(203)의 구비를 생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
10: 몸체부
100: 몸체프레임
1001: 지지프레임
1002: 날개부재
1003: 연결부재
10030: 삽입홀
1004: 보호커버
101: 몸체실린더
20: 물레부
200: 물레방아
201: 물레축
202: 제1 기어
203: 보호부재
2030: 보호판
2031a,b: 연결다리
30: 회전부
300: 회전축
3000: 제2 기어
3001: 연결체인
301: 스크류부재
302: 수거부재
303: 부레
304: 고정실린더

Claims (8)

  1.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에 있어서,
    물 수위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한쌍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는 물레부;및
    상기 물레부에 연결되며 하천쓰레기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수거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물레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몸체실린더 및 물 수위를 인식하여 상기 몸체실린더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인식센서를 포함하는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은,
    정후면이 상부가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 양측에 외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날개부재 및
    상기 날개부재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물레부가 삽입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레부는,
    물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물레방아;
    상기 물레방아의 측면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물레방아에 삽입고정되며, 양끝단이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는 물레축 및
    상기 물레축의 끝단에 형성되는 제1 기어를 포함하는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물레부는,
    상기 물레방아의 정면에 구비되며, 상기 물레축에 연결되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재는,
    좌우로 길이를 가지며, 후면측으로 곡률을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된 보호판 및
    일단이 상기 보호판의 양측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물레축에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다리는 각각 다른 길이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보호판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상기 보호판에 걸리는 하천쓰레기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양측이 상기 물레축과 연결되며, 상기 물레방아의 회전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형성되는 스크류부재;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스크류부재의 끝단측에 구비되는 수거부재;
    상기 회전축의 양끝단에 형성되는 부레 및
    상기 물레축과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고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부재가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크류부재에 걸리는 하천쓰레기가 상기 수거부재에 삽입되어 하천쓰레기가 자동으로 수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를 연결하는 연결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인이 상기 물레방아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기어의 회전력을 제2 기어에 전달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물레부와 회전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커버하도록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
KR1020180034941A 2018-03-27 2018-03-27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 KR102089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941A KR102089850B1 (ko) 2018-03-27 2018-03-27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941A KR102089850B1 (ko) 2018-03-27 2018-03-27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943A KR20190112943A (ko) 2019-10-08
KR102089850B1 true KR102089850B1 (ko) 2020-03-16

Family

ID=68208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941A KR102089850B1 (ko) 2018-03-27 2018-03-27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8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9388B (zh) * 2019-04-09 2020-12-08 义乌市根号三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渠垃圾打捞设备
CN110777736A (zh) * 2019-11-12 2020-02-11 湖南省瑞大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清洁小流域的径流杂物拦截装置
CN111441321A (zh) * 2020-05-18 2020-07-24 吕承达 一种海洋河流环境保护治理垃圾收集处理装置
CN112030918A (zh) * 2020-09-08 2020-12-04 山东交通职业学院 一种海洋垃圾清理装置
CN112628064B (zh) * 2021-01-13 2022-05-27 恩施致盛水电有限公司 一种能够排出河流中杂物的水利发电装置
CN115262507B (zh) * 2022-06-07 2024-01-30 赵子壹 一种河道漂浮垃圾自动清理***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4414A (ja) * 1999-03-09 2000-09-19 Hirotaka Ito 液状物回収装置
KR100342850B1 (ko) * 2000-02-07 2002-07-02 국천표,오의진 하천 부유물 제거기
KR100959676B1 (ko) * 2009-12-17 2010-05-26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선박형 승강식 오탁방지장치
KR101069425B1 (ko) * 2009-11-24 2011-09-30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KR101702776B1 (ko) * 2015-10-13 2017-02-03 정찬섭 해양 누출 오일 수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508B1 (ko) * 2004-04-19 2004-12-10 동신기술개발 주식회사 하천 수중보의 이물질 분류시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4414A (ja) * 1999-03-09 2000-09-19 Hirotaka Ito 液状物回収装置
KR100342850B1 (ko) * 2000-02-07 2002-07-02 국천표,오의진 하천 부유물 제거기
KR101069425B1 (ko) * 2009-11-24 2011-09-30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KR100959676B1 (ko) * 2009-12-17 2010-05-26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선박형 승강식 오탁방지장치
KR101702776B1 (ko) * 2015-10-13 2017-02-03 정찬섭 해양 누출 오일 수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943A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850B1 (ko)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
KR102177950B1 (ko) 부유식 해양 쓰레기 차단 수거 장치
KR102197606B1 (ko) 부유물 청소 및 녹조방지장치
CN106284262A (zh) 水力驱动自旋式拦污漂
JP2010248785A (ja) 河川浮遊塵自動回収装置
CN215052797U (zh) 水利水电工程用漂浮式河道漂浮物收集装置
CN107539431A (zh) 一种市政公园湖内漂浮物清除装置
CN208650019U (zh) 一种水中漂浮物的集收器
CN107574805A (zh) 石油泄漏污染处理回收装置
CN108691305B (zh) 一种生态环保用水下垃圾打捞装置
AU2020102348A4 (en) Water cleaning device
KR100890635B1 (ko) 부유식 수력발전장치
CN202876507U (zh) 一种卧式筒形格栅
CN208650014U (zh) 一种浮面垃圾自动上岸装桶收集专机
KR102585623B1 (ko) 다중 녹조 회수장치
KR102239049B1 (ko)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
CN110593233A (zh) 一种河道垃圾收集装置
KR20120011375A (ko) 풍력 또는 태양광을 이용한 부유물 제거장치
CN110759515A (zh) 一种污染河水处理船及处理方法
CN212294580U (zh) 一种水利施工大坝拦污装置
CN114960588A (zh) 一种无动力过滤清污装置及其过滤清污方法
CN110904985B (zh) 一种建筑基坑全自动排水再利用***
CN210421041U (zh) 水面漂浮物收集装置
CN210421331U (zh) 一种雨水弃流和回收利用装置
CN216142006U (zh) 一种生态水污染治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