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494B1 - 복수의 통로 및 복수의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통로 및 복수의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494B1
KR102081494B1 KR1020177026558A KR20177026558A KR102081494B1 KR 102081494 B1 KR102081494 B1 KR 102081494B1 KR 1020177026558 A KR1020177026558 A KR 1020177026558A KR 20177026558 A KR20177026558 A KR 20177026558A KR 102081494 B1 KR102081494 B1 KR 102081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s
zone
passages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8876A (ko
Inventor
슈테판 게어스텐마이어
마쿠스 예터
패트릭 마이클 배스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티센크룹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티센크룹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Publication of KR20170118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66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multiple cars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91For elevator systems with lateral transfers of cars or cabins between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07Setting or modification of parameters of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03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for lateral transfer of car or frame, e.g. between vertical hoistways or to/from a par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4Control of empty elevator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1Shafts divided into zones
    • B66B2201/302Shafts divided into zones with variable bounda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카(110) 및 적어도 2개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엘리베이터 통로(101, 102)를 갖고, 적어도 2개의 카(110)는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101, 102)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0)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작동 모드에서, 운송 과정이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101, 102) 내에서 적어도 2개의 카(110)에 의해 수행되고, 제2 작동 모드에서, 적어도 2개의 카(110) 중 적어도 하나(130)의 잠재적인 위치는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101, 102) 중 적어도 하나(102)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120)에 제한되고, 적어도 2개의 카(110) 중 적어도 하나(130)는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101, 102)의 나머지 구역(121) 내에서 운송 과정을 위해 이용 가능하지 않다.

Description

복수의 통로 및 복수의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 및 상응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카(car) 및 적어도 2개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엘리베이터 통로(elevator shaft)를 갖고, 적어도 2개의 카는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 사이에서 스위칭한다.
복수의 엘리베이터 통로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카는 이들 엘리베이터 통로 사이에서 종종 스위칭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운송 능력(transportation capacity)[취급 능력(handling capacity: HC)]이 성취될 수 있고, 복수의 운송 과정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해 특히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 유형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예를 들어, 통로-스위칭 다중-카 시스템(shaft-switching multiple-car systems)이라 칭한다.
그러나, 이 유형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운송 과정을 위해 현재 이용되고 있지 않은 비어 있는 카가 엘리베이터 통로 내의 다른 카를 방해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들 비어 있는 카는 따라서 적절하면, 다른 카가 상응하는 운송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먼저 이동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동하는 비어 있는 카 및 운송 과정을 위해 이들을 이용하지 않는 것은 불필요한 에너지 비용과 연관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의 보관(depository) 통로 내에 비어 있는 카를 보관하는 가능성이 EP 1 367 018 B1호에 설명되어 있다. 요청 콜(request call)의 경우에, 보관 통로 내에 보관되어 있는 카가 재차 제공될 수 있다. 이 보관 통로는 액세스 개구를 갖는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 사이에 배치된다. 보관 통로는 어떠한 액세스 개구도 갖지 않는다.
이 유형의 보관 통로는 대형 공간 요구와 연계된다. 더욱이, 대부분의 경우에, 이 유형의 보관 통로는 빌딩 내에서 개장될(retrofitted) 수 없다.
EP 1 619 157 A1호는 EP 1 367 018 B1호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유사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결함에 의해 카가 비의도적으로 엘리베이터 통로를 차단하는 작동 프로세스 중의 특수 경우가 여기에 설명된다. 온전한 카가 이제 다른 엘리베이터 통로를 경유하여 우회된다.
카가 도어의 전방에서 다른 카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통로 도어가 적어도 하나의 카 폭만큼 이동 경로로부터 후퇴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US 3,658,155호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다른 카의 운송 과정이 카가 정지할 때 중단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통로 도어가 이 경우에 차단될 것이기 때문에 카의 어떠한 격납(storage)도 가능하지 않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연속적인 작동을 통해 복수의 비어 있는 운행이, 운송 과정이 단지 몇개의 층 사이에서만 종종 수행되어야 하는 특정 상황에서 마찬가지로 필요하게 되는 단점을 또한 갖는다.
따라서, 복수의 엘리베이터 통로와 엘리베이터 통로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는 복수의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이 더 향상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독립 특허 청구항의 특징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 및 상응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안된다. 유리한 디자인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 및 이하의 설명의 주제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카 및 적어도 2개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엘리베이터 통로를 포함한다. 적어도 2개의 카는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카는 임의의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에 고정적으로 할당되지 않고, 요구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 사이에서 의도적으로 이동된다. 이 목적으로, 예를 들어 수평 엘리베이터 통로의 형태의 적합한 연결 경로가 개별 엘리베이터 통로 사이에 제공된다. 이 유형의 연결 경로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빌딩의 단지 특정 위치 또는 특정 층에만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 경로는 또한 각각의 층에 제공될 수 있다. 단지 특정 엘리베이터 통로만이 각각의 경우에, 상응하는 카가 단지 이들 연결된 엘리베이터 통로 사이에서만 스위칭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엘리베이터 통로는 또한 모든 카가 모든 엘리베이터 통로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2개의 작동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다. 제1 작동 모드에서, 운송 과정이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 내에서 적어도 2개의 카에 의해 수행된다. 제1 작동 모드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정규의 작동 모드이다.
제2 작동 모드에서, 적어도 2개의 카 중 적어도 하나의 잠재적인 위치는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에 제한된다. 이 제한은 특히 의도적인 것이고, 따라서 제어 명령에 의해 개시되고 단지 결함의 불가피한 비의도적인 결과는 아니다. 적어도 2개의 카 중 이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의 나머지 구역에서 운송 과정을 위해 이용 가능하지 않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카는 격납되고 선택적으로 거기서 대기된다. 제2 작동 모드 중에 적어도 2개의 카 중 적어도 하나는 이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을 떠나지 않고 단지 이 구역 내에만 잔류한다.
특히, 제1 구역과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 사이의 구역 횡단(trans-regional) 운송 과정이 제1 작동 모드 중에 수행된다. 더욱이, 제1 구역 내의 뿐만 아니라 제2 구역 내의 엘리베이터 통로는 특히 제1 작동 모드에서 승객이 카에 탑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통로 도어를 구비한다. 특히, 제2 작동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으로의 액세스를 기본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이러한 통로 도어는 카에 탑승하는 승객을 위해 이용 가능하지 않다. 이는 제2 구역이 실질적으로 통상의 엘리베이터 통로이고, 승객을 위한 운송 작동을 용이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승객은 이 제2 구역에서 통로 도어를 경유하여 카에 탑승하거나 하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러나 이 제2 구역은 제2 작동 모드에서 단지 격납 목적을 위해서만 이용 가능한 보관 통로가 되도록 "전환(mutate)"할 수 있다. 본원에서 이용 가능한 엘리베이터 통로는 따라서 낮은 이용률(utilization)의 경우에 요구되지 않는 카가 보관되게 하기 위해 격납 목적으로 이용된다. 이 경우에 더 적은 수의 카가 작동중이기 때문에, 활성 엘리베이터 통로(제1 구역)의 수가 또한 감소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대조적으로, 카의 보관은 따라서 부가의 보관 공간이 이용 가능하게 되지 않고 가능화된다.
특히, 나머지 제1 구역에서 운송 과정을 위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카는 비활성화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통상의 정규의 작동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이 제2 구역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카가 격납되는 격납 구역을 표현한다.
특히, 나머지 제1 구역에서 운송 과정을 위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카의 수는 제2 작동 모드에서 변동될 수 있다. 요구에 따라, 상이한 카가 제2 작동 모드 중에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 내에 위치된 개별의 카는 요구시에 제2 구역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나머지 제1 구역에서 운송 과정을 위해 재차 이용될 수 있다.
특히, 개별의 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모든 카가 운송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지 않을 때, 예를 들어 비교적 적은 수송량의 경우에 그리고 비교적 적은 수행되어야 할 운송 과정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에 격납된다.
요구가 부합되게 하기 위해 충분히 많은 수의 카가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에 제공되고 모든 운송 과정이 비교적 많은 또는 최대 수송량에서 각각 효과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본 발명에 의해 가능화된다.
개별의 카가 요구시에 작동이 정지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에 의해 또한 가능화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의 모든 카가 요구되는 것이 아닐 때, 카는 탄력적인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에 격납될 수 있고 불필요하게 이동될 필요가 없어진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요구되지 않는 카는 요구되는 다른 카를 가로막거나 방해하지 않기 위해 비어 있을 때 이동되어야 한다. 이 상황은 본 발명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에너지 비용이 따라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카가 격납되게 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빌딩 내에 부가의 특수 마운팅 포인트(mounting point)가 제공될 필요가 없는데, 상기 마운팅 포인트는 부가의 공간 요구와 연계된다. 대신에, 특정 카의 잠재적인 위치는 적절한 제2 구역으로 제한되고, 상응하는 카는 이 제2 구역에 격납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정규의 작동을 위해 제공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별의 구역은 따라서 특히 카를 격납하기 위해 요구시에 사용될 수 있다. 카가 격납되어 있는 제2 구역은 마찬가지로 요구시에 정규의 작동을 위해 재차 사용될 수 있다. 빌딩 내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개장될 수 있다. 빌딩에 대한 건축 작업의 견지에서 어떠한 수단도 본원에서 요구되지 않고, 어떠한 부가의 격납점 또는 통로도 빌딩 내에 설치될 필요가 없다.
유리하게는, 어떠한 운송 과정도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에서 수행되지 않고, 적어도 2개의 카 중 적어도 하나는 운송 과정을 위해 이용 가능하지 않다. 제2 작동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은 특히 따라서 카를 각각 격납하거나 주차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2 작동 모드에서, 운송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에서 적어도 2개의 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유리하게 수행된다. 적어도 2개의 카 중 적어도 하나의 이들 운송 과정은 엘리베이터 통로의 나머지 제1 구역에서가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에서만 수행된다. 이들 운송 과정의 도중에 적어도 2개의 카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을 떠나지 않고 단지 제2 구역 내에만 잔류한다. 국부적인 운송 과정이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에서 제2 작동 모드에 요구시에 수행될 수 있다. 그 잠재적인 위치가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구역에 제한되고 특히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정규의 작동을 위해 요구되지 않는 카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 내에서 운송 과정을 위해 요구시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는 바람직하게는 양방향성 방식으로 이동된다.
적어도 2개의 카 중 적어도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에서 대기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에서 각각의 카에 수리가 또한 수행될 수 있다. 유지보수, 서비스 및/또는 수리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 카는 따라서 명백하게 상기 작업들을 위해 작동 정지될 필요가 없다. 유지보수, 서비스 및/또는 수리 작업은, 상응하는 카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정규의 작동을 위해 미리 제공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에서 각각 격납 또는 주차될 때, 탄력적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제1 및 제2 작동 모드 사이에서의 스위칭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파라미터에 종속하도록 발생한다. 작동 모드 사이에서의 스위칭은 따라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이 목적으로 작동 정지될 필요 없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통상의 작동 중에 탄력적인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제1 작동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모든 카는 모든 엘리베이터 통로 내에서 운송 과정을 위해 이용 가능하고, 또한 운송 과정을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최대 취급 능력(HC), 즉 최대 운송 능력이 특히 제1 작동 모드에서 가능화된다. 작동 파라미터는 특히 최대 운송 능력이 요구되는지 여부에 속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최대 운송 능력이 요구되지 않는 작동 파라미터에 의해 식별되면, 제2 작동 모드로의 스위칭이 발생한다. 여기서, 특히 요구되는 그러한 많은 카만이 운송 과정을 위해 이용 가능하다. 나머지 카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에 격납된다.
바람직하게는, 나머지 제1 구역에서 운송 과정을 위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제2 작동 모드에서 복수의 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파라미터에 종속하도록 변동된다. 특히 얼마나 많은 카가 나머지 제1 구역에서 모든 운송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지가 작동 파라미터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모든 이용 가능한 카가 요구되는 것이 아니면, 개별의 카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으로 적절하게 이동되어 제2 구역에 격납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카가 모든 운송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불충분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 내에 있는 개별의 카는 재차 그로부터 제거되고 나머지 제1 구역에서 운송 과정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요구된 수의 카가 나머지 제1 구역에서 운송 과정을 위해 항상 이용 가능한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요구 운송 능력이 항상 제공되고, 또한 너무 많은 카가 이용 가능하지 않아, 에너지 비용이 가능한 한 최소화될 수 있다.
제2 작동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의 크기 및/또는 구역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파라미터에 종속하도록 변동된다. 특히, 동일한 2개의 제2 구역이 제2 작동 모드에서 항상 사용되지는 않고, 제2 구역은 항상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개별의 제2 구역의 크기는 얼마나 많은 카가 상기 구역에 있도록 의도되는지에 따라, 탄력적인 방식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제2 작동 모드에서, 또한 엘리베이터 통로의 제2 구역은 또한 요구시에 작동이 정지되고 특히 카를 격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제2 구역은 반드시 서로 인접할 필요는 없고, 적절한 방식으로 분포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2 구역은 항상 또한 요구시에 "취소될" 수 있고, 그 내부의 카는 나머지 제1 구역에서 운송 과정을 위해 재차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파라미터는, 각각의 경우에 작동 모드 사이의 스위칭이 발생하는지, 운송 과정을 위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카의 수가 변동되는지, 그리고 제2 구역의 수 및 크기가 변동되는지 여부에 따라, 각각의 경우에 동일한 작동 파라미터 또는 상이한 작동 파라미터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요구 운송 능력, 승객 대기 시간,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현재 이용률, 이용률 프로파일, 시간대 및/또는 하중 및/또는 승객 식별 센서의 측정값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파라미터로서 사용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이용률은 특히 얼마나 많은 운송 과정이 현재 수행되는지 또는 엘리베이터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지시한다. 이용률은 또한 예를 들어, 이송될 승객의 수 및/또는 운송될 하중을 기술할 수 있다. 이용률은 예를 들어, 콜 목적지 시스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요구 운송 능력은 예를 들어, 현재 이용률로부터 그리고/또는 콜 목적지 시스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승객 대기 시간은 특히 각각의 운송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카가 제공될 때까지 얼마나 오래 승객이 이들의 출발층에서 특히 평균적으로 대기해야 하는지를 지시한다. 이 대기 시간이 감소되게 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통로의 나머지 제1 구역(즉, 운송 과정을 위해 이용되는 구역)의 더 많은 카가 특히 운송 과정을 위해 사용된다.
이송될 승객의 수 및/또는 운송될 하중은 특히 적합한 센서, 예를 들어, 하중 및/또는 승객 식별 센서의 측정값으로서 지정될 수 있다. 이 유형의 하중 및/또는 승객 식별 센서는 특히 하중 또는 힘 측정 센서, 카메라, 또는 적외선 센서로서 구성될 수 있다. 회전문(turnstile)을 통과하여 빌딩에 들어오는 사람을 검출하는 빌딩의 회전문 내의 센서가 또한 이 유형의 하중 및/또는 승객 식별 센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동안에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1 작동 모드에서 작동되게 하는 것이 더 적합하고 더 효과적일 수 있는 피크 시간이 특정 시간대에 발생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따라서 적시에 상응하는 작동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다. 이 유형의 피크 시간은 특히 상행 피크(up peak), 하행 피크(down peak), 또는 점심시간 수송량이다. 상행 피크 중에, 복수의 운송 과정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카에 의해 더 고층으로 수행된다. 하행 피크 중에, 복수의 운송 과정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카에 의해 더 저층으로 수행된다. 점심시간 수송량 중에, 복수의 운송 과정이 양 방향으로, 즉 더 저층으로 뿐만 아니라 더 고층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카에 의해 수행된다. 이 유형의 피크 시간의 경우에, 비교적 많은 수의 운송 과정이 수행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최대 운송 능력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이 유형의 피크 시간이 발생하는 특정 시간대가 막 시작하려는 것이 작동 파라미터에 의해 식별되면,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특히 제1 작동 모드에서 작동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특히 상행 피크, 하행 피크 또는 점심시간 수송량에 대해 제1 작동 모드에서 작동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특히 이들 피크 시간 이외에 제2 작동 모드에서 작동된다.
이용률 프로파일은 특히 수행될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송 과정의 프로파일을 지시한다. 예를 들어, 이용률 프로파일은 시간대, 주중 및/또는 월중의 날짜에 종속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시간에(시간대, 주중 뿐만 아니라 월중의 날짜의 견지에서 모두) 피크 시간이 발생하는지가 학습될 수 있다. 이용률 프로파일은 예를 들어, 자기 학습 이용률 프로파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유닛은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에 걸쳐 이 유형의 이용률 프로파일을 학습할 수 있다. 이용률 프로파일은 특히 실험, 통계, 분석, 및/또는 수치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은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빌딩의 복수의 특히 연속적인 층에 걸쳐 연장된다. 엘리베이터 통로의 부분은 따라서 각각의 경우에 카를 격납하기 위한 제2 구역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은 유리하게는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 중 적어도 하나의 전체 수직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체 엘리베이터 통로는 따라서 작동이 정지될 수 있고 특히 카를 격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 내의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카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복수의 통로-스위칭 다중-카 시스템으로서 작동된다. 복수의 특히 인접한 엘리베이터 통로 및 복수의 카는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특정 통로-스위칭 다중-카 시스템을 위해서 제공된다. 특히, 복수의 카는 단지 이 수의 엘리베이터 통로 내에서만 변위되고, 복수의 상응하는 카는 단지 이 수의 엘리베이터 통로 사이에서만 스위칭한다. 특히, 통로-스위칭 다중-카 시스템 내의 카는 특히 엘리베이터 통로 내에서 단지 상향으로만 변위되고 다른 엘리베이터 통로 내에서는 단지 하향으로만 변위된다.
본 발명의 일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1 작동 모드에서, 제1 수의 엘리베이터 통로 내의 제1 수의 카는 제1 통로-스위칭 다중-카 시스템으로서 작동되고, 제2 수의 엘리베이터 통로 내의 제2 수의 카는 제2 통로-스위칭 다중-카 시스템으로서 작동된다. 특히, 제1 및 제2 수의 엘리베이터 통로의 엘리베이터 통로는 각각의 경우에 인접한다. 또한 특히, 제1 및 제2 수의 모든 엘리베이터 통로는 상호 연결된다. 특히, 모든 엘리베이터 통로 사이의 모든 카의 스위칭이 가능하다.
제2 작동 모드에서, 제2 통로-스위칭 다중-카 시스템은 제2 수의 엘리베이터 통로 내에서 작동되지 않는다. 대신에, 제2 작동 모드에서 나머지 제1 구역에서 운송 과정을 위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적어도 2개의 카 중 적어도 하나의 잠재적인 위치는 제2 수의 엘리베이터 통로에 제한된다. 특히 또한 제2 작동 모드에서 제1 통로-스위칭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제1 수의 엘리베이터 통로 내에서 작동된다. 제2 작동 모드에서 제2 수의 카는 다른 엘리베이터 통로 내의 운송 과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개별의 또는 모든 제2 수의 카는 또한 제2 수의 엘리베이터 통로에 격납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 이외에, 본 발명은 또한 상응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술된 모든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합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는 각각 유리하게는 복수의 층에 걸쳐 연장된다. 복수의 층 중 복수 또는 모두로의 통로 도어가 엘리베이터 통로에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디자인 실시예가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그리고 첨부 도면으로부터 유도된다.
전술된 특징 및 설명될 특징은 각각의 경우에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언급된 조합으로 뿐만 아니라 또한 다른 조합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각각의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각각의 경우에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4의 각각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실시예는 각각의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해 구성된다. 어떻게 각각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작동 모드에서 작동되는지가 각각의 경우에 도 1a, 도 2a, 도 3a 및 도 4a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어떻게 각각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2 작동 모드에서 작동되는지가 각각의 경우에 도 1b, 도 2b, 도 3b, 도 3c 및 도 4b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100으로 식별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0)은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101, 102)를 갖는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0)은 도 1a에 제1 작동 모드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카(110), 본 예에서는 8개의 카가 엘리베이터 통로(101, 102) 내에서 이동된다. 엘리베이터 통로(101, 102) 사이의 연결부(105, 106)가 각각 엘리베이터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상응하는 빌딩의 최상층 및 최저층 상에 제공되어 있다. 카는 이들 연결부(105, 106)를 경유하여 엘리베이터 통로(101, 102)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엘리베이터 통로(101, 102) 내의 카는 각각의 경우에 단방향으로, 즉 각각의 경우에 단지 일 방향으로만 이동된다. 카는 엘리베이터 통로(101) 내에서 단지 하향으로만, 그리고 엘리베이터 통로(102) 내에서 단지 상향으로만 변위된다. 도시된 예에서, 카(111)는 상부 연결부(105)에서 엘리베이터 통로(102)로부터 엘리베이터 통로(101)로 스위칭하고, 카(112)는 하부 연결부(106)에서 엘리베이터 통로(101)로부터 엘리베이터 통로(102)로 스위칭한다. 제1 작동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통로(101, 102) 내의 카(110)는 특히 통로-스위칭 다중-카 시스템으로서 작동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0)은 작동 파라미터에 종속하도록 제1 또는 제2 작동 모드에서 작동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100)의 이용률 프로파일이 이 유형의 작동 파라미터로서 사용된다. 이들 이용률 프로파일은 예를 들어 하루 중 어느 시간에 피크 시간이 발생하는가를 기술한다. 복수의 운송 과정이 수행되어야 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100)의 최대 운송 능력이 이들 피크 시간의 도중에 제공되어야 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0)은 이들 피크 시간에 도 1a에 따른 제1 작동 모드에서 작동된다.
이들 피크 시간 이외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100)은 도 1b에 따른 제2 작동 모드에서 작동된다. 본 예에서, 제2 작동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통로(102)는 그 전체 수직 길이에 걸쳐, 특정 카의 잠재적인 위치가 제한되는 제2 구역(120)으로서 선택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1 수의 카(130), 본 예에서 6개의 카가 이 제2 구역(120)으로 이동된다. 이 제1 수의 카(130)의 잠재적인 위치는 이 제2 구역(120)에 제한된다.
이 제1 수의 카(130)는 엘리베이터 통로의 나머지 제1 구역(121) 내의 운송 과정에 대해 이용 가능하지 않다. 엘리베이터 통로(101)는 본 예에서 이 나머지 제1 구역을 표현한다. 나머지 카(140)는 엘리베이터 통로의 나머지 제1 구역(121) 내에서 정규의 운송 과정을 수행한다. 이 제2 작동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통로(101)의 나머지 2개의 카(140)는 양방향성으로, 즉 상향 뿐만 아니라 하향으로 이동된다.
제1 수의 카(130)는 특히 제2 구역(120)에 각각 격납 또는 주차된다. 제1 수의 카(130)는 여기서 어떠한 운송 과정도 수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수의 카(130)의 개별의 또는 모든 카는 제2 구역(120)에서 대기될 수 있다. 그 도중에, 예를 들어 유지보수, 서비스, 및/또는 수리 작업이 각각의 카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카가 요구된 성능 지수(performance figure)를 생성하고 미리 규정된 안전 가이드라인에 부합하는지가 점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200으로 식별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200)은 3개의 엘리베이터 통로(201, 202, 203)를 갖는다. 연결부(205, 206)는 각각의 경우에 최상층 및 최저층에서 엘리베이터 통로(201, 202, 203) 사이에 각각 제공된다.
도 2a에 따르면, 제1 작동 모드에서, 복수의 카(210), 본 예에서 11개의 카가 엘리베이터 통로(201, 202, 203) 내에서 이동된다. 카(210)는 엘리베이터 통로(201, 202, 203)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다. 본 예에서, 모든 3개의 엘리베이터 통로(201, 202, 203) 내의 카는 각각의 경우에, 양방향성으로, 즉 상향 뿐만 아니라 하향으로 이동된다.
도 2b에 따른 제2 작동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통로(203)는 그 전체 수직 길이에 걸쳐, 특정 카의 잠재적인 위치가 제한되고 카가 예를 들어 격납될 수 있는 제2 구역(220)으로서 선택된다. 본 예에서, 제1 수의 카(230), 본 예에서 6개의 카가 이 제2 구역(220)에 격납된다. 이 제1 수의 카(230)는 엘리베이터 통로의 나머지 제1 구역(221) 내의 운송 과정에 대해 이용 가능하지 않다. 엘리베이터 통로(201, 202)는 이 나머지 제1 구역(221)을 표현한다. 나머지 카(240)는 엘리베이터 통로의 나머지 제1 구역(221) 내에서 정규의 운송 과정을 수행한다. 나머지 카(240)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통로(201) 내에서 단지 상향으로만 그리고 엘리베이터 통로(202) 내에서 단지 하향으로만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300으로 식별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300)은 4개의 엘리베이터 통로(301, 302, 303, 304)를 갖는다. 3개의 연결 경로(305, 306, 307)가 엘리베이터 통로(301, 302, 303, 304)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연결 경로(305)는 최상층에, 예를 들어 10층에 제공되어 있고, 연결 경로(307)는 최저층에, 예를 들어 지상층에 제공되어 있다. 연결 경로(306)는 예를 들어 5층에 제공되어 있다.
도 3a에 따른 제1 작동 모드에서, 복수의 카(310), 본 예에서 15개의 카가 엘리베이터 통로(301, 302, 303, 304) 내에서 이동된다. 특히, 모든 카(310)는 모든 4개의 엘리베이터 통로(301, 302, 303, 304)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통로(301, 302, 303, 304)는 각각 단방향성으로 사용된다. 카는 엘리베이터 통로(301, 303) 내에서 단지 상향으로만 그리고 엘리베이터 통로(302, 304) 내에서 단지 하향으로만 이동된다.
도 3b에 따른 제2 작동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통로(303, 304)의 단지 일부만이 각각의 경우에 카를 격납하기 위한 제2 구역(320)으로서 선택된다. 예를 들어, 6층과 10층 사이의 부분이 각각의 경우에 제2 구역(320)으로서 선택된다. 엘리베이터 통로(303, 304)의 지상층과 6층 사이의 부분, 및 엘리베이터 통로(301, 302)는 엘리베이터 통로의 나머지 제1 구역(321)을 표현한다.
제1 수의 카(330), 본 예에서 6개의 카가 제2 구역(320)에 격납되는데, 즉 카(330)의 잠재적인 위치가 제2 구역(320)으로 제한된다. 이 제1 수의 카(330)는 엘리베이터 통로의 나머지 제1 구역(321) 내의 운송 과정에 대해 이용 가능하지 않다. 나머지 카(340)는 엘리베이터 통로의 나머지 구역(221) 내에서 정규의 운송 과정을 수행한다. 엘리베이터 통로(301, 302) 내의 그리고 엘리베이터 통로(303, 304)의 나머지 부분 내의 나머지 카(340)는 각각의 경우에 단방향성으로 이동된다.
선택된 제2 구역 내에 개별 카를 각각 격납하거나 또는 주차하는 것의 대안으로서, 그 잠재적인 위치가 제2 구역에 제한되어 있는 개별 카는 또한 도 3c를 참조하여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제2 구역 내에서 국부적인 운송 과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c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300)은 도 3b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2 작동 모드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예에서, 엘리베이터 통로(304)의 부분은 특정 카의 잠재적인 위치가 제한되어 있는 제2 구역(322)으로서 선택된다. 예를 들어, 6층과 10층 사이의 부분은 카(331)의 잠재적인 위치가 그에 제한되는 제2 구역(322)으로서 선택된다. 엘리베이터 통로(304)의 지상층과 6층 사이의 부분, 및 엘리베이터 통로(301, 302, 303)는 엘리베이터 통로의 나머지 제1 구역을 표현한다. 나머지 카(340)는 엘리베이터 통로의 나머지 제1 구역 내에서 정규의 운송 과정을 수행한다. 엘리베이터 통로(301, 302, 303) 내의 그리고 엘리베이터 통로(304)의 나머지 부분 내의 나머지 카(340)는 각각의 경우에 예를 들어 단방향성으로 변위된다.
카(331)는 제2 구역(322) 내에서 운송 과정을 위해 사용된다. 카(331)는 이들 운송 과정의 도중에 제2 구역(322)을 떠나지 않는다. 카(331)는 제2 구역(322)에서 예를 들어 양방향성으로 변위된다.
물론, 카(331)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복수의 카는 또한 제2 구역(322) 내에서 운송 과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2 구역(322)의 크기와 같이, 제2 구역(322) 내의 운송 과정을 위해 사용되는 카의 수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파라미터에 종속하도록, 제2 작동 모드 중에 요구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400으로 식별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400)은 4개의 엘리베이터 통로(401, 402, 403, 404)를 갖는다. 2개의 연결부(405, 406)가 엘리베이터 통로(401, 402, 403, 404)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도 4a에 따른 제1 작동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통로(401, 402)는 제1 수의 엘리베이터 통로를 형성하고, 엘리베이터 통로(403, 404)는 제2 수의 엘리베이터 통로를 형성한다. 제1 수의 카(411), 본 예에서 7개의 카는 제1 수의 엘리베이터 통로 내에서 이동되고, 제1 통로-스위칭 다중-카 시스템(451)으로서 그 내부에서 작동된다. 제2 수의 카(412), 본 예에서 8개의 카는 제2 수의 엘리베이터 통로 내에서 이동되고, 제2 통로-스위칭 다중-카 시스템(452)으로서 그 내부에서 작동된다. 엘리베이터 통로(401, 403) 내의 각각의 카는 단지 상향으로만 이동되고, 엘리베이터 통로(402, 404) 내에서는 단지 하향으로만 이동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400)은 도 4b에 제2 작동 모드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 통로-스위칭 다중-카 시스템은 여기서 더 이상 제2 수의 엘리베이터 통로 내에서 작동되지 않는다. 엘리베이터 통로(403, 404)는 예를 들어 특정 카의 잠재적인 위치가 제한되는, 또는 카가 격납될 수 있는 제2 구역(420)으로서 선택된다. 엘리베이터 통로(401, 402)는 엘리베이터 통로의 나머지 제1 구역(421)을 표현한다. 10개의 카(430)가 제2 구역(420)에 격납되고, 엘리베이터 통로의 나머지 제1 구역(421) 내에서 운송 과정을 위해 이용 가능하지 않다. 엘리베이터 통로(401) 내의 5개의 나머지 카(440)는 단지 상향으로만 이동되고, 엘리베이터 통로(402) 내에서는 단지 하향으로만 이동된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200, 300, 400)은 도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100)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특히 각각의 경우에 작동 파라미터에 종속하도록 제1 또는 제2 작동 모드에서 작동된다. 특히, 각각의 엘리베이터 시스템(200, 300, 또는 400)의 이용률 프로파일은 각각의 경우에 이 종류의 작동 파라미터로서 각각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도 1b, 도 2b 또는 도 4b에 따르면 각각의 제2 구역(120, 220, 또는 420)에 격납되어 있는 카(130, 230, 또는 430)는 각각 또한 엘리베이터 시스템(300)의 카(331)의 것과 유사하고 도 3c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의 제2 구역(120, 220, 또는 420) 각각 내에서 운송 과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100: 엘리베이터 시스템 101: 엘리베이터 통로
102: 엘리베이터 통로
105: 엘리베이터 통로 사이의 연결 경로
106: 엘리베이터 통로 사이의 연결 경로
110: 카 120: 제한된 구역
121: 나머지 구역 130: 카
200: 엘리베이터 시스템 201: 엘리베이터 통로
202: 엘리베이터 통로 203: 엘리베이터 통로
205: 엘리베이터 통로 사이의 연결 경로
206: 엘리베이터 통로 사이의 연결 경로
210: 카 220: 제한된 제2 구역
221: 나머지 제1 구역 230: 카
300: 엘리베이터 시스템 301: 엘리베이터 통로
302: 엘리베이터 통로 303: 엘리베이터 통로
304: 엘리베이터 통로
305: 엘리베이터 통로 사이의 연결 경로
306: 엘리베이터 통로 사이의 연결 경로
307: 엘리베이터 통로 사이의 연결 경로
310: 카 320: 제한된 제2 구역
321: 나머지 제1 구역 322: 제한된 제2 구역
323: 나머지 제1 구역 330: 카
331: 카 400: 엘리베이터 시스템
401: 엘리베이터 통로 402: 엘리베이터 통로
403: 엘리베이터 통로 404: 엘리베이터 통로
405: 엘리베이터 통로 사이의 연결 경로
406: 엘리베이터 통로 사이의 연결 경로
411: 카 412: 카
420: 제한된 제2 구역 421: 나머지 제1 구역
430: 카

Claims (15)

  1. 적어도 2개의 카(110; 210; 310; 411, 412) 및 적어도 2개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엘리베이터 통로(101, 102; 201, 202, 203; 301, 302, 303, 304; 401, 402, 403, 404)를 갖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카(110; 210; 310; 411, 412)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101, 102; 201, 202, 203; 301, 302, 303, 304; 401, 402, 403, 404)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0; 200; 300; 400)의 작동 방법이며,
    - 제1 작동 모드에서, 운송 과정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101, 102; 201, 202, 203; 301, 302, 303, 304; 401, 402, 403, 404) 내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카(110; 210; 310; 411, 412)에 의해 수행되고,
    - 제2 작동 모드에서, 적어도 2개의 카(110; 210; 310; 411, 412) 중 적어도 하나(130; 230; 330, 331; 430)의 잠재적인 위치는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101, 102; 201, 202, 203; 301, 302, 303, 304; 401, 402, 403, 404) 중 적어도 하나(102; 203; 303, 304; 304; 403, 404)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120;220; 320; 322; 420)에 의도적으로 제한되고, 적어도 2개의 카(110; 210; 310; 411, 412) 중 적어도 하나(130; 230; 330, 331; 430)는 운송 과정을 위해 상기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101, 102; 201, 202, 203; 301, 302, 303, 304; 401, 402, 403, 404)의 나머지 제1 구역(121; 221; 321; 421; 323) 내에서 의도적으로 이용 가능하지 않고,
    - 상기 제1 구역(121; 221; 321; 421; 323)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120; 220; 320; 420) 사이의 구역 횡단 운송 과정이 제1 작동 모드에서 수행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120; 220; 320; 322; 420)은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101, 102; 201, 202, 203; 301, 302, 303, 304; 401, 402, 403, 404) 중 적어도 하나(102; 203; 303, 304; 304; 403, 404)의 전체 수직 길이에 걸치지 않고 연장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카(110; 210; 310; 411, 412) 중 적어도 하나(130; 230; 330; 4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120; 220; 320; 420)에서 대기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 내의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구역 내의 엘리베이터 통로는 제1 작동 모드에서 승객이 카에 탑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통로 도어를 구비하고, 제2 작동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으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이러한 통로 도어는 카에 탑승하는 승객을 위해서는 의도적으로 이용 가능하지 않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어떠한 운송 과정도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120; 220; 320; 420)에서 수행되지 않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카(110; 210; 310; 411, 412) 중 적어도 하나(130; 230; 330; 430)는 운송 과정을 위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운송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322)에서 적어도 2개의 카(110; 210; 310; 411, 412) 중 적어도 하나(331)에 의해 수행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작동 모드 사이에서의 스위칭은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100; 200; 300; 400)의 작동 파라미터에 종속하여 발생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나머지 제1 구역(121; 221; 321; 421; 323)에서 운송 과정을 위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복수의 카(130; 230; 330, 331; 430)는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파라미터에 종속하여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조정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120; 220; 320; 322; 420)의 수 및 크기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파라미터에 종속하여 변동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요구 운송 능력, 승객 대기 시간,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100; 200; 300; 400)의 현재 이용률, 이용률 프로파일, 시간대, 하중- 및 승객-검출 센서 중 하나 이상의 측정값이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파라미터로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120; 220; 320; 322; 420)은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빌딩의 복수의 층에 걸쳐 연장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
  11. 삭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101, 102; 201, 202, 203; 301, 302, 303, 304; 401, 402, 403, 404) 내의 적어도 2개의 카(110; 210; 310; 411, 412)는 하나 또는 복수의 통로-스위칭 다중-카 시스템으로서 작동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모드에서, 제1 수의 엘리베이터 통로(401, 402) 내의 제1 수의 카(411)는 제1 통로-스위칭 다중-카 시스템(451)으로서 작동되고, 제2 수의 엘리베이터 통로(403, 404) 내의 제2 수의 카(412)는 제2 통로-스위칭 다중-카 시스템(452)으로서 작동되고,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제2 통로-스위칭 다중-카 시스템은 제2 수의 엘리베이터 통로(403, 404) 내에서 작동되지 않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카(411, 412) 중 적어도 하나(430)의 잠재적인 위치는 제2 수의 엘리베이터 통로(403, 404)에 제한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
  14. 적어도 2개의 카(110; 210; 310; 411, 412) 및 적어도 2개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엘리베이터 통로(101, 102; 201, 202, 203; 301, 302, 303, 304; 401, 402, 403, 404)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0; 200; 300; 400)이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카(110; 210; 310; 411, 412)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101, 102; 201, 202, 203; 301, 302, 303, 304; 401, 402, 403, 404)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해 구성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100; 200; 300; 400)은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에 따라 작동되기 위해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0; 200; 300; 400).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통로(101, 102; 201, 202, 203; 301, 302, 303, 304; 401, 402, 403, 404)는 복수의 층에 걸쳐 각각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층 중 복수 또는 복수의 층 모두로의 통로 도어가 상기 엘리베이터 통로(101, 102; 201, 202, 203; 301, 302, 303, 304; 401, 402, 403, 404) 내에 제공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0; 200; 300; 400).
KR1020177026558A 2015-02-23 2016-02-22 복수의 통로 및 복수의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20814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02563.9A DE102015102563A1 (de) 2015-02-23 2015-02-23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ufzugsystems mit mehreren Schächten und mehreren Kabinen
DE102015102563.9 2015-02-23
PCT/EP2016/053659 WO2016135090A1 (de) 2015-02-23 2016-02-22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ufzugsystems mit mehreren schächten und mehreren kabin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876A KR20170118876A (ko) 2017-10-25
KR102081494B1 true KR102081494B1 (ko) 2020-02-25

Family

ID=55404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558A KR102081494B1 (ko) 2015-02-23 2016-02-22 복수의 통로 및 복수의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26166B2 (ko)
EP (1) EP3261971A1 (ko)
KR (1) KR102081494B1 (ko)
CN (1) CN107250024B (ko)
DE (1) DE102015102563A1 (ko)
WO (1) WO20161350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2903A1 (de) * 2015-07-09 2017-01-12 Thyssenkrupp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ufzugsystems sowie Aufzugsystem
AU2016204744B2 (en) * 2015-07-10 2018-02-01 Otis Elevator Company Passenger conveyance way finding beacon system
EP3500512A4 (en) * 2016-08-09 2020-08-26 Kone Corporation MANAGEMENT OF THE NUMBER OF ACTIVE ELEVATOR CABS IN A LIFT SHAFT WITH MULTIPLE CABINS
EP3512795A4 (en) * 2016-09-13 2020-05-27 KONE Corporation MANAGEMENT OF LIFT CABINS IN MULTI-CABIN LIFT SHAFT SYSTEM
US10494229B2 (en) * 2017-01-30 2019-12-03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resilient design and operation of elevator system
DE102017219744A1 (de) * 2017-11-07 2019-05-09 Thyssenkrupp Ag Personenfördervorrichtung mit Überwachungseinrichtung
DE102018205151A1 (de) * 2018-04-05 2019-10-10 Thyssenkrupp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sanlage
EP3830014A1 (en) * 2018-08-02 2021-06-09 KONE Corporation Multicar elevator system and a method thereto
DE102018123979A1 (de) * 2018-09-27 2020-04-02 Thyssenkrupp Ag Aufzugsystem
US11218024B2 (en) 2018-12-14 2022-01-04 Otis Elevator Company Multi-shaft power charging
CN111517185B (zh) * 2020-04-27 2023-03-21 佛山市拓拓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智能的电梯运行方法以及***
KR102395560B1 (ko) * 2020-06-23 2022-05-1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다중 승강로에서의 엘리베이터 군관리 시스템
CN112850420B (zh) * 2021-02-26 2023-04-18 湖南大举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多轿厢并行电梯***的轨道布置方法
DE102022118518A1 (de) 2022-07-25 2024-01-25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sanlage
DE102024113106A1 (de) 2023-11-10 2024-06-27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sanlage mit einem Verkehrsregelungsalgorithmus
DE102024113066A1 (de) 2024-05-08 2024-06-27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Schutzdecke für eine Aufzugsanlage und Aufzugsanlage mit einer solchen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8155A (en) 1970-09-15 1972-04-25 William G Salter Elevator system
JPH0539173A (ja) 1991-07-31 1993-02-19 Toshiba Corp 自走エレベータの運行制御方法
JPH05124781A (ja) 1991-11-01 1993-05-2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JP3135760B2 (ja) 1993-10-18 2001-02-1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H07277615A (ja) 1994-04-11 1995-10-24 Hitachi Ltd 昇降機システム
DE59610869D1 (de) * 1995-10-17 2004-01-29 Inventio Ag Sicherheitseinrichtung bei Multimobil-Aufzugsgruppen
MY154394A (en) * 1995-10-24 2015-06-15 Toshiba Kk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apparatus and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method
US5861586A (en) * 1996-06-19 1999-01-19 Otis Elevator Company Horizontal and vertical passenger transport
JP2004002020A (ja) * 2002-05-27 2004-01-08 Inventio Ag 数台の自走式かごと少なくとも3つの隣接配置されたエレベータ昇降路とを備えたエレベータ設備
EP1367018B1 (de) * 2002-05-27 2010-10-06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mehreren selbstfahrenden Kabinen und mindestens drei nebeneinander angeordneten Aufzugsschächten
JP2005170597A (ja) * 2003-12-11 2005-06-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EP1765710A4 (en) * 2004-06-21 2011-09-21 Otis Elevator Co ELEVATOR SYSTEM COMPRISING SEVERAL CABINS IN A WELL
JP2006027902A (ja) * 2004-07-15 2006-02-02 Inventio Ag 互いに隣接して配置される少なくとも3つの垂直エレベータ昇降路を有するエレベータ設備およびそのようなエレベータ昇降路の動作方法
EP1616832A3 (de) * 2004-07-15 2006-07-12 Inventio Ag Auzugsanlage mit mindestens drei nebeneinander angeordneten, vertikalen Aufzugsschächte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Aufzugsanlage
TWI343357B (en) 2004-07-22 2011-06-11 Inventio Ag Elevator installation with individually movable elevator cars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n elevator installation
CN101643167B (zh) * 2004-12-16 2012-06-06 奥蒂斯电梯公司 在井道内具有多个轿厢的电梯***
US7841450B2 (en) * 2005-08-19 2010-11-30 Thyssenkrupp Elevator Capital Corporation Twin elevator systems
KR100898916B1 (ko) 2007-04-02 2009-05-26 최성식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8297409B2 (en) * 2007-11-30 2012-10-30 Otis Elevator Company Coordination of multiple elevator cars in a hoistway
EP2070860A1 (de) 2007-12-11 2009-06-17 Inventio Ag Aufzugssystem mit vertikal und horizontal verfahrbaren Aufzugkabinen
CN101875465B (zh) * 2009-04-28 2012-03-28 河南理工大学 一种无绳循环多轿厢电梯及其循环***
WO2010137118A1 (ja) * 2009-05-26 2010-12-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US8602168B2 (en) * 2010-02-10 2013-12-10 Inventio Ag Moving multiple cages between elevator shaft sides
CN101979301B (zh) 2010-05-11 2016-01-27 张应刚 循环运行的多轿厢电梯
US8430210B2 (en) * 2011-01-19 2013-04-30 Smart Lifts, Llc System having multiple cabs in an elevator shaft
KR20140021674A (ko) * 2011-05-11 2014-02-20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순환식 운송 시스템
CN103303769A (zh) 2012-03-09 2013-09-18 河南理工大学 一种循环多轿厢电梯
CN203048360U (zh) 2013-01-28 2013-07-10 舒马克电梯(张家港)有限公司 一种双井道四轿厢电梯
CN103264946A (zh) * 2013-04-07 2013-08-28 三洋电梯(珠海)有限公司 一种无对重装置式电梯
DE102015102564A1 (de) * 2015-02-23 2016-08-25 Thyssenkrupp Ag Aufzugsystem mit mehreren Schächten und mehreren Kabinen und zusätzlichem Kabinenaufnahmeschacht
DE102015212903A1 (de) * 2015-07-09 2017-01-12 Thyssenkrupp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ufzugsystems sowie Aufzug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876A (ko) 2017-10-25
US20180237257A1 (en) 2018-08-23
DE102015102563A1 (de) 2016-08-25
CN107250024A (zh) 2017-10-13
EP3261971A1 (de) 2018-01-03
CN107250024B (zh) 2020-12-18
WO2016135090A1 (de) 2016-09-01
US10526166B2 (en)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494B1 (ko) 복수의 통로 및 복수의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
JP4131456B2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JP4386842B2 (ja) エレベータ設備の制御方法、及び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エレベータ設備
US7650966B2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multiple cars in a hoistway, destination entry control and parking positions
ES2535711T3 (es) Sistemas de dos elevadores
KR101457318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KR101631787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JP5477387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群管理装置
EP1731465B1 (en)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KR101596184B1 (ko)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장치
CN107207182A (zh) 用于运行电梯***的方法
KR20180008691A (ko) 군 관리 엘리베이터 장치 및 군 관리에 의한 승차 호기의 할당 방법
KR20140042895A (ko) 동적인 통행 프로파일 해법을 가진 엘리베이터 시스템
CN103443007B (zh) 双层电梯
WO2005092762A1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KR950031852A (ko) 엘리베이터 스윙카를 복수 그룹으로 배정할 수 있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JP5904032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及び群管理制御方法
JP4727046B2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CN103261070B (zh) 节能电梯设备
CN106414297B (zh) 使用电梯***的方法以及电梯***
BRPI0808857A2 (pt) Processo para operar uma instalação de elevador e instalação de elevador correspondente
JPH03172290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H0539173A (ja) 自走エレベータの運行制御方法
CN104105651A (zh) 电梯组群管理控制装置
JP2012056700A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