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082B1 -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화면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화면 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082B1
KR102075082B1 KR1020120066401A KR20120066401A KR102075082B1 KR 102075082 B1 KR102075082 B1 KR 102075082B1 KR 1020120066401 A KR1020120066401 A KR 1020120066401A KR 20120066401 A KR20120066401 A KR 20120066401A KR 102075082 B1 KR102075082 B1 KR 102075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gesture
area
touch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40225A (ko
Inventor
서준규
강경아
곽지연
김현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1005950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20091975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40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225A/ko
Priority to EP13806548.7A priority Critical patent/EP2864858B1/en
Priority to US13/922,637 priority patent/US9323446B2/en
Priority to EP19209744.2A priority patent/EP3657311B1/en
Priority to PCT/KR2013/005453 priority patent/WO2013191488A1/en
Priority to CN201380033038.2A priority patent/CN104395873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화면을 변경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제1 화면이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제2 화면이 표시되는 제2 영역을 분할하여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화면 표시 변경에 대한 표시 변경 이벤트가 검출된 지의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표시 변경 이벤트를 분석하여 상기 제1 화면의 표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2 화면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화면 변경 방법 { APPARATUS HAVING A TOUCH SCREEN AND METHOD FOR CHANGING DISPLAY OF APPARATUS }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의 독립되는 두 영역으로 분할된 화면에 이미지의 표시를 실행하는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스마트폰 및 태블릿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스마트폰 및 태블릿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이 사용자의 경험(user experience)과 관련된 직관에 가까운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사용자 직관에 부합하는 인터페이스 방법이 공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의 대부분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고 정확한 방식으로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는 방법이 근자의 인터페이스 방법 연구의 목표로 설정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기 위한 윈도우를 터치스크린 화면 전체에 표시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다가 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표시를 중단하고, 상기의 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여야만 한다. 사용자는 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최초의 메뉴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을 입력하여야 하며, 메뉴 화면에서 다시 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조작을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겪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멀티 태스킹(multi-tasking)하는 경우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간의 화면의 전환 조작을 계속하여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며, 어플리케이션 간의 진행 결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 각각의 작업 공간이 겹침에 따른 불편함이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경우에 있어 하나의 터치 스크린을 분할하여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구성 및 보다 효율적으로 각각의 분할된 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상술한 요청에 응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스크린을 분할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구성 및 각각의 분할된 화면 내에서 어플리케이션 표시 화면을 사용자 편의에 부합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장치는, 제1 화면이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제2 화면이 표시되는 제2 영역을 분할하여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화면 표시 변경에 대한 표시 변경 이벤트가 검출된 지의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표시 변경 이벤트를 분석하여 상기 제1 화면의 표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2 화면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제1 화면이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제2 화면이 표시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의 화면 변경 방법은, 상기 제1 영역 상에 제1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화면 표시 변경에 대한 표시 변경 이벤트가 검출된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변경 이벤트를 분석하여 상기 제1 화면의 표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2 화면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하나의 터치 스크린을 분할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구성 및 각각의 분할된 화면 내에서 어플리케이션 표시 화면을 사용자 직관에 부합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분할된 화면에 표시된 터치스크린을 조작함에 있어, 보다 용이하게 어플리케이션 간의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복수 사용자가 하나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을 공유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에, 작업 공간이 겹치지 않아 보다 효율적인 작업 환경이 제공되는 효과가 창출된다.
도 1a 내지 1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한 장치의 블록도 및 개념도이다.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한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다양한 화면 변경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장치에 대한 표시 변경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뷰의 표시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면 표시 변경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10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및 커넥터(165)를 이용하여 외부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장치”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도시되지 아니함) 및 서버(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도 1a을 참조하면, 장치(100)는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또한,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CPU(111),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제1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AP(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 중 하나, 또는 양자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51) 또는 제2 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 플래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는 인접(예,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의 간격이 1 cm 보다 크고, 8 cm 보다는 작은)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사이의 간격이 제1 하우징(100a)의 가로 길이(예, 간격(D1)에 직교)보다 작은 경우,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는 각각 장치(100)의 표면 및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마이크(162)는 하나 또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의 진동모터(164)는 터치스크린(190)에 대한 터치의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장치(100)와 외부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원이 입력되거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장치(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 또는 장치(100)의 동작(예, 장치(100)의 회전, 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센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 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제1 터치스크린(190a) 또는 제2 터치스크린(190b)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가능한 터치장치(예, 스타일러스 펜)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가능한 터치장치와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가능한 터치장치와의 검출가능한 간격이 1 mm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에서 검출가능한 간격은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장치(100)의 구성요소 중에서 제1 제어부(110a), 제2 제어부(110b), 터치스크린(19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1a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제1 제어부(110a)는 CPU(111a),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a) 및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10a)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터치스크린(190)의 제 1 윈도우(191) 및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윈도우(191) 및 제 2 윈도우(192)은 터치스크린(190) 상에서 구획되어 분할되는 독립적인 영역을 의미한다. 제 1 윈도우(191) 및 제 2 윈도우(192)을 전체 터치스크린(190)을 단순히 구획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며, 전체 터치스크린(190)에 포함되는 독립적인 영역일 수 있다. 제 1 영역(191) 및 제 2 영역(192)은 사용자의 시각적인 관점에서는 터치스크린(190)의 독립적인 분할 영역일 수 있으며, 하드웨어적으로는, 터치스크린(190)에 포함되는 픽셀들의 독립적인 분할 집합일 수 있다. 제 1 영역(191) 및 제 2 영역(192)의 개념적인 위치 관계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 특히 제 1 영역(191)에 대응하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1 제어부(110a)로 전송한다. 제어부(110a)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의 제 1 영역(191)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a)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2 제어부(110b)는 CPU(111b),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b) 및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10b)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터치스크린(190), 특히 터치스크린의 제 2 영역(192)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 2 영역(192)에 해당하는 터치스크린(190)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2 제어부(110b)로 전송한다. 제2 제어부(110b)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 특히 제 2 영역(192)에 해당하는 터치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2 제어부(110b)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어부(110a)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터치스크린(190),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제1 카메라(151), GPS 모듈(155), 제1 버튼 그룹(161a),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적어도 하나의 볼륨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10b)는 제2 제어부(110b)가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터치스크린(190),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 제2 카메라(152), 제2 버튼그룹(160b), 저장부(175) 및 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제어부(110a)와 제2 제어부(110b)는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모듈 단위(예, 제1 제어부(110a)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및 입출력 모듈(160)를 제어하고, 제2 제어부(110b)는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및 센서 모듈(170))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10a)와 제2 제어부(110b)는 우선순위(priority)(예, 제1 제어부(110a)는 이동통신 모듈(120)을 우선하고 제2 제어부(110b)는 멀티미디어 모듈(140)을 우선)에 따라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10a)와 제2 제어부(110b)는 각각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10a)와 제2 제어부(110b)는 듀얼 코어와 같이 복수의 코어를 가지는 CPU를 가지는 하나의 제어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는 제1 터치스크린(190a), 제2 터치스크린(190b)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즉, 장치(100)는 제1 터치스크린(190a) 및 제2 터치스크린(190b)를 독립적인 하드웨어로서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d는 도 1c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100)는 힌지 또는 유연한 플라스틱에 의해 그것들의 측면들이 서로 연결되는 제1 하우징(100a)과 제2 하우징(100b)을 가지고 있다. 열린 제1 하우징(100a)과 제2 하우징(100b)의 전면들의 중앙부들은 각각 제1 터치스크린(190a)과 제2 터치스크린(190b)이 간격(100d)에 의해 병치되게 이격되어 있다.
제1 하우징(100a)의 전면의 상부에 각각 정지이미지(still image) 또는 동영상(video)을 촬영하기 위한 제1 카메라(151), 사용자 또는 물체의 접근을 검출하는 근접 센서(170a)와 음성 및/또는 사운드를 장치(100) 외부로 출력하는 제1 스피커(163a)이 위치하고, 전면의 중앙부에는 제1 터치스크린(190a)이 위치하고, 제1 하우징(190a)의 전면 하부에는 하나의 버튼(161a2) 또는 복수의 버튼(161a1 내지 161a4)을 포함하는 제1 버튼그룹(161a)이 위치한다.
제2 하우징(100b)의 전면의 상부에는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152), 전면의 중앙부에는 제2 터치스크린(190b)과 그것의 하부에는 하나의 버튼(161a2) 또는 복수의 버튼(161b1 내지 161b4)을 포함하는 제2 버튼 그룹(161b)이 위치한다.
도 1d의 장치(10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장치(100)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들의 위치는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a에 의한 장치(200)는 도 1a 또는 1b에 의한 구현 예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200)는 터치스크린(21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210) 상에는 제1 화면(211)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화면(211)은 각종 아이콘,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이 렌더링 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제1 화면은 제 1 윈도우일 수도 있다. 윈도우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및 신원을 동시에 표시하는 화면일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뷰(view)를 포함할 수 있다. 뷰(view)는 하나의 독립적인 디스플레이 단위로, 시각적인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객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뷰는 지정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뷰로서 코딩 상에서 미리 지정한 문자를 표시하는 텍스트뷰, 리소스, 파일, 웹상의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뷰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더욱 상세하게 후술할 것으로, 제1 화면은 제1 뷰일 수도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장치의 개념도이다. 장치(200)는, 터치스크린(210)의 전체 영역을 소정의 경계선(214)으로 제1 영역(212) 및 제2 영역(213)으로 분할하여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b에서는 경계선(214)은 터치스크린(210)의 중앙을 통과하여 제1 영역(212) 및 제2 영역(213)의 면적을 동일하게 분할하는 것과 도시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경계선(214)의 위치는 직선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영역(212) 및 제2 영역(213)의 면적 또는 형상도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치(210)는 제1 영역(212) 상에는 제1 화면을 표시하면서, 제2 영역(213) 상에는 제2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화면 및 제2 화면은 동일한 화면일 수 있으며, 또는 상이한 화면일 수도 있다. 제1 화면 및 제2 화면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구현 실시 화면일 수 있다. 또는 제1 화면 및 제2 화면은 상이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의한 구현 실시 화면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스크린(210)의 전체 영역이 분할된 화면의 형태를 분할 화면 모드라고 명명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다양한 입력 방식을 통하여, 분할 화면 모드를 실행시키도록 장치(200)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2a의 화면에서 기설정된 입력 방식을 입력하여 도 2b와 같은 분할 화면 모드를 실행시키도록 장치(200)를 조작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메뉴 화면에서 기설정된 입력 방식을 입력하여 도 2b와 같은 분할 화면 모드를 실행시키도록 장치(200)를 조작할 수 있다. 당업자는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분할 화면 모드 실행 방식을 변경 설계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분할 화면 모드 실행 방식의 변경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면 변경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영역(212) 상에는 화면 고정 제스처(221)를 입력하면서, 제2 영역(213) 상에는 화면 변경 제스처(222)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화면 고정 제스처(221)는 해당 화면의 표시를 유지하는 명령일 수 있다. 화면 고정 제스처(221)는 해당 화면의 일 지점에 터치를 유지하는 제스처일 수 있다. 아울러, 화면 변경 제스처(222)는 해당 화면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명령일 수 있다. 화면 변경 제스처(222)는 예를 들어, 도 2c와 같이 해당 화면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표시 변경 방향으로 플릭(flick)하는 제스처일 수 있다. 화면 변경 제스처(222)는 변경 실시가 가능하며, 이에 대하여서는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장치(200), 또는 제어부(110)는 화면 고정 제스처(221) 및 화면 변경 제스처(222)가 동시에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화면 고정 제스처(221) 및 화면 변경 제스처(222)의 동시 입력을 표시 변경 이벤트라고 명명할 수 있다.
장치(200)는 표시 변경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 화면 고정 제스처(221)가 입력된 영역의 화면 표시를 그대로 유지한다. 아울러, 장치(200)는 화면 변경 제스처(222)가 입력된 영역의 화면 표시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2c에의 화면 변경 이벤트는, 일 지점을 터치한 이후 우측으로 플릭하는 제스처이다. 이는, 타 사용자가 우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화면 표시 방향을 반시계 방향으로 90° 회전하는 명령일 수 있다. 장치(200) 또는 제어부(110)는 상기의 화면 변경 제스처(222)에 대응하여, 제2 영역의 화면의 표시 방향을 반시계 방향으로 90° 회전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화면 변경 제스처는 터치 후 상측 플릭, 터치 후 좌측 플릭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각각은 화면의 표시 방향은 반시계 방향으로 180°, 270° 회전시키는 명령일 수 있다.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213)의 화면의 표시 방향이 90° 회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변경된 제2 화면(215)의 가로-세로 비율은 도 2c의 변경 전 화면의 가로-세로 비율과 동일할 수 있으며, 나머지 영역(216)은 아무 화면도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장치(200)는 제2 화면의 가로-세로 비율을 변경하여, 변경된 제2 화면(217)을 제2 영역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3c는 다양한 화면 변경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변경 이벤트는 제1 영역(211)에 화면 고정 제스처(301)를 입력하는 것과 제2 영역(212)에 반시계 방향의 드래그 모션(302)을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a에 의한 화면 변경 제스처는 반시계 방향의 드래그 모션(302)일 수 있으며, 장치(200) 또는 제어부(110)는 제2 화면의 표시 방향을 반시계 방향으로 90° 회전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드래그 모션은 제2 영역(212)의 상단으로부터 우측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 우측단으로부터 하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 하단으로부터 좌측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 좌측단으로부터 상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 상단으로부터 좌측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 좌측단으로부터 하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 하단으로부터 우측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 또는 우측단으로부터 상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일 수도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변경 제스처를 설명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변경 이벤트는 제1 영역(211)에 화면 고정 제스처(311)를 입력하는 것과 장치(2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틸트(tilt) 또는 회전(rotate)(312)시키는 것일 수 있다. 도 3b에 의한 화면 변경 제스처는 반시계 방향의 틸트 또는 회전 모션(312)일 수 있으며, 장치(200) 또는 제어부(110)는 제2 화면의 표시 방향을 반시계 방향으로 90° 회전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변경 제스처를 설명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변경 이벤트는 제1 영역(211)에 화면 고정 제스처(321)를 입력하는 것과 제2 화면을 회전시키라는 취지의 음성 명령의 입력일 수 있다. 도 3b에 의한 화면 변경 제스처는 제2 화면을 회전시키라는 취지의 음성 명령의 입력일 수 있으며, 장치(200) 또는 제어부(110)는 제2 화면의 표시 방향을 반시계 방향으로 90° 회전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250)는 음성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입력된 음성 명령을 분석하여 화면 변경 제스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한 화면 변경 제스처는 제1 영역에 대한 화면 고정 제스처 및 제2 영역에 대한 화면 변경 제스처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장치에 대한 표시 변경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예를 들어 도 1c 또는 1d에 의한 장치의 개념도일 수 있다. 장치는 제1 하우징(410) 및 제2 하우징(4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410)은 제1 터치스크린(411)을 포함하며, 제2 하우징(450)은 제2 터치스크린(451)을 포함한다. 장치는, 제1 터치스크린(411) 상에는 제1 화면(412)을 표시하고, 제2 터치스크린(451) 상에는 제2 화면(452)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제1 터치스크린(411)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터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2 터치스크린(451)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우측으로 플릭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즉, 도 4의 실시 예에서 표시 변경 이벤트는, 제1 터치스크린(411)으로의 화면 고정 제스처(460) 입력 및 제2 터치스크린(451)으로의 화면 변경 제스처(452) 입력일 수 있다.
장치(200) 또는 제어부(110)는 상기의 표시 변경 이벤트를 검출하고, 화면 고정 제스처(460)에 대응하여 제1 터치스크린(411) 상의 제1 화면(412)의 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장치(200) 또는 제어부(110)는 화면 변경 제스처(461)에 대응하여 제2 터치스크린(451) 상의 제2 화면(452)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당업자는, 도 4에 도시된 표시 변경 이벤트뿐만 아니라, 도 3a 내지 3d와 관련하여 상술한 다양한 표시 변경 이벤트에 대응하여 제1 터치스크린(411) 및 제2 터치스크린(451) 중 하나의 표시를 유지하고, 다른 하나의 표시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장치(200)는 도 2b에 도시된 장치와는 상이하게 경계선(273)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영역(271) 및 제2 영역(272)은 경계선(273)을 경계로 상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a에서의 표시 변경 이벤트는, 상측에 형성된 제1 영역(271) 상의 일 지점에 터치 이후에 상측으로 플릭하는 제스처(292) 및 제2 영역(272) 상의 일 지점에 터치 유지(291)하는 동작일 수 있다. 장치(200) 또는 제어부(110)는 상술한 표시 변경 이벤트를 검출하고, 제2 영역(272)의 제2 화면의 표시를 유지하고, 제1 영역(271)의 제1 화면의 표시 화면을 상하 반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5b는 표시 변경 이벤트에 대응하여 변경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272)의 표시는 그대로 유지되며, 제1 영역(271) 상의 제1 화면은 상하가 반전되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도 5a에서도 플릭의 방향을 다양하게 입력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제1 화면이 변경 표시되는 구현이 가능하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뷰의 표시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200)의 터치스크린(210) 상에는 제1 영역(281) 및 제2 영역(282)이 경계선에 의하여 분할된다. 제1 영역(281) 상 및 제2 영역(282) 상에는 각각 뷰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210) 전체에는 웹브라우저 화면이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영역(281) 상에는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고, 제2 영역(282) 상에는 텍스트와 관련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281) 및 제2 영역(282)은 하나의 화면의 상이한 뷰(view)들이 각각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영역(281) 및 제2 영역(282)의 일 지점들을 각각 터치(283,284)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된 경계선(285)이 표시될 수 있다. 활성화된 경계선(285)을 경계로 제1 영역(281) 및 제2 영역(282)의 표시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활성화된 경계선(285)을 재설정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를 변경하는 뷰를 정확하게 구분하도록 장치(200)를 조작할 수 있다.
도 6c에서, 사용자는 제1 영역(281) 상에는 화면 고정 제스처(283)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제2 영역(282) 상에는 화면 변경 제스처(286)를 입력할 수 있다. 도 6d와 같이, 제1 영역(281) 상의 뷰는 표시는 그대로 유지되며, 제2 영역(282) 상의 뷰는 상하가 반전되어 표시(287)된다.
물론, 활성화 과정 없이 제1 영역(281) 및 제2 영역(282) 중 하나의 영역에는 표시 고정 제스처를 입력하고 나머지 영역에 표시 변경 제스처를 입력하여, 하나의 영역의 표시를 변경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장치(200)는 상이한 윈도우들 중 일부의 윈도우의 표시를 그대로 유지하며, 다른 윈도우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장치(200)는 상이한 뷰들 중 일부의 뷰의 표시를 그대로 유지하며, 다른 뷰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면 표시 변경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200)의 터치스크린(210)은 복수 개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701). 여기에서, 화면은 윈도우 또는 뷰일 수 있다.
장치(200) 또는 제어부(110)는 복수 개의 화면 중 제1 영역에 화면 고정 제스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03). 제1 영역에 화면 고정 제스처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S703-N), 터치스크린(210) 상에 복수의 화면이 계속하여 표시될 수 있다. 제1 영역에 화면 고정 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S703-Y), 장치(200) 또는 제어부(110)는 제2 화면에 화면 변경 제스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05). 제2 영역에 화면 변경 제스처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S705-N), 복수의 화면을 계속하여 표시할 수 있다(S701).
한편, 제1 영역에 화면 고정 제스처가 입력되고, 동시에 제2 영역에도 화면 변경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에는(S705-Y), 제1 화면의 표시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2 화면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S707).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래픽 화면 갱신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가 기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0)

  1. 전체 영역을 제1 화면이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제2 화면이 표시되는 제2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단일의 터치스크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서로 접하게 배치되고;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의 상기 제1 영역 상에 화면의 표시를 고정하기 위한 제1터치 제스처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의 상기 제2 영역 상에 화면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제2터치 제스처를 동시에 검출함에 따라, 상기 제1 화면의 표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제2터치 제스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화면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터치 제스처와 상기 제2터치 제스처는 서로 다른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치 제스처는, 상기 제1 영역의 일 지점을 터치한 이후에 터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터치 제스처는, 상기 제2 영역의 일 지점을 터치한 이후에 우측 또는 하측 또는 좌측 또는 상측으로 플릭(flick)하는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터치 제스처가 상기 제2 영역의 일 지점을 터치한 이후에 우측 또는 상측 또는 좌측으로 플릭(flick)하는 제스처인 경우에, 상기 제2 화면을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90°, 180°, 270°만큼 회전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터치 제스처는, 상기 제2 영역의 상단으로부터 우측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 우측단으로부터 하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 하단으로부터 좌측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 좌측단으로부터 상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 상단으로부터 좌측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 좌측단으로부터 하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 하단으로부터 우측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 또는 우측단으로부터 상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터치 제스처는, 상기 장치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또는 틸팅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화면의 가로-세로 비율을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은 각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화면인 윈도우(windo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은 각각 뷰(view)에 대응하는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전체 영역을 제1 화면이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제2 화면이 표시되는 제2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단일의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의 화면 변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서로 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의 상기 제1 영역 상에 화면의 표시를 고정하기 위한 제1터치 제스처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의 상기 제2 영역 상에 화면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제2터치 제스처를 동시에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터치 제스처 및 상기 제2터치 제스처를 동시에 검출함에 따라 상기 제1 화면의 표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제2터치 제스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화면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터치 제스처와 상기 제2터치 제스처는 서로 다른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변경 방법.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치 제스처는, 상기 제1 영역의 일 지점을 터치한 이후에 터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변경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터치 제스처는, 상기 제2 영역의 일 지점을 터치한 이후에 우측 또는 하측 또는 좌측 또는 상측으로 플릭(flick)하는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변경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의 표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제2 화면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터치 제스처가 상기 제2 영역의 일 지점을 터치한 이후에 우측 또는 상측 또는 좌측으로 플릭(flick)하는 제스처인 경우에, 상기 제2 화면을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90°, 180°, 270°만큼 회전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변경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터치 제스처는, 상기 제2 영역의 상단으로부터 우측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 우측단으로부터 하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 하단으로부터 좌측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 좌측단으로부터 상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 상단으로부터 좌측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 좌측단으로부터 하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 하단으로부터 우측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 또는 우측단으로부터 상단으로의 드래그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변경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터치 제스처는, 상기 장치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또는 틸팅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변경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의 표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제2 화면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화면의 가로-세로 비율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변경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은 각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화면인 윈도우(windo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변경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은 각각 뷰(view)에 대응하는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변경 방법.
KR1020120066401A 2011-06-20 2012-06-20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화면 변경 방법 KR102075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806548.7A EP2864858B1 (en) 2012-06-20 2013-06-20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screen change method thereof
US13/922,637 US9323446B2 (en) 2011-06-20 2013-06-20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screen change method thereof
EP19209744.2A EP3657311B1 (en) 2012-06-20 2013-06-20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screen change method thereof
PCT/KR2013/005453 WO2013191488A1 (en) 2012-06-20 2013-06-20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screen change method thereof
CN201380033038.2A CN104395873A (zh) 2012-06-20 2013-06-20 包括触摸屏的设备及其屏幕改变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500 2011-06-20
KR1020110059500A KR20120091975A (ko) 2011-02-10 2011-06-20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정보 표시 장치 및 그의 정보 표시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680A Division KR102209099B1 (ko) 2011-06-20 2020-02-03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225A KR20120140225A (ko) 2012-12-28
KR102075082B1 true KR102075082B1 (ko) 2020-02-10

Family

ID=4790633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401A KR102075082B1 (ko) 2011-06-20 2012-06-20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화면 변경 방법
KR1020200012680A KR102209099B1 (ko) 2011-06-20 2020-02-03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210009664A KR102459521B1 (ko) 2011-06-20 2021-01-22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680A KR102209099B1 (ko) 2011-06-20 2020-02-03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210009664A KR102459521B1 (ko) 2011-06-20 2021-01-22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23446B2 (ko)
KR (3) KR1020750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675B1 (ko) 2006-06-09 2014-10-22 애플 인크. 터치 스크린 액정 디스플레이
KR101515629B1 (ko) 2012-01-0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JP5842062B2 (ja) * 2012-08-24 2016-01-13 株式会社Nttドコモ 画像の表示方向を制御する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0628103B2 (en) 2013-06-07 2020-04-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nformation processor and program
KR102131257B1 (ko) * 2013-07-02 2020-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멀티윈도우 제어방법
KR101584590B1 (ko) * 2013-07-11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9772704B2 (en) * 2013-08-15 2017-09-26 Apple Inc. Display/touch temporal separation
KR102153366B1 (ko) 2013-08-30 2020-10-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화면 전환 방법 및 장치
KR102127389B1 (ko) * 2013-12-12 2020-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4010053A (zh) * 2014-05-04 2014-08-27 赵跃 保护膜或保护玻璃与手机通讯连接的方法
FR3021134B1 (fr) * 2014-05-14 2023-01-06 Lg Electronics Inc Terminal mobile
KR102218041B1 (ko) * 2014-06-17 2021-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754604B2 (en) 2014-09-03 2020-08-25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0359843B2 (en) * 2015-04-01 2019-07-23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22517A (ko) * 2015-04-1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676518B2 (en) 2015-04-29 2023-06-13 Intel Corporation Imaging for foldable displays
KR20170066916A (ko) * 2015-12-07 201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7111837A1 (en) 2015-12-26 2017-06-29 Intel Corporation Bendable and foldable display screen to provide continuous display
US11335302B2 (en) * 2016-01-15 2022-05-17 Google Llc Adaptable user interface with dual screen device
KR102538955B1 (ko) 2016-03-02 2023-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의 영상 디스플레이 및 전송 방법
CN110007843A (zh) * 2018-01-04 2019-07-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的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129248B2 (ja) * 2018-07-05 2022-09-01 フォルシアクラリオ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情報制御装置、及び表示変更方法
CN108600647A (zh) * 2018-07-24 2018-09-2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拍摄预览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0013673B (zh) * 2019-04-08 2023-04-14 北京视游互动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折叠显示屏进行游戏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638840A (zh) * 2020-05-20 2020-09-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方法及显示装置
CN111857489A (zh) * 2020-07-07 2020-10-30 上海墨案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切换显示屏幕的方法与设备
KR102431284B1 (ko) 2020-07-31 2022-08-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흡연 유래 copd와 결핵 유래 copd의 바이오마커 및 이의 이용
US11294556B1 (en) * 2021-01-05 2022-04-05 Adobe Inc. Editing digital images using multi-panel graphical user interfa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4069A (ja) 2009-09-04 2011-03-17 Sharp Corp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08927A4 (en) * 1996-03-15 2007-04-18 Hitachi Ltd DISPLAY DEVICE AND WORKING METHOD FOR THE USE THEREOF
US20120084693A1 (en) 2010-10-01 2012-04-05 Imerj LLC Modals in dual display communication devices
JP4712786B2 (ja) * 2007-12-13 2011-06-29 京セラ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KR20090106312A (ko) 2008-04-04 2009-10-08 (주)멜파스 2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그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KR101513638B1 (ko) 2009-03-03 201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5229083B2 (ja) * 2009-04-14 2013-07-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60718B1 (ko) 2009-05-29 2015-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시 방법
KR101615964B1 (ko) 2009-11-09 201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EP2360665A3 (en) 2009-11-26 2012-03-28 LG Electronics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209058A1 (en) 2010-02-25 2011-08-25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hold and tap gesture
JP5482369B2 (ja) * 2010-03-29 2014-05-0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ガス流速計測方法およびガス流速計測装置
KR101651135B1 (ko) 2010-07-12 2016-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4069A (ja) 2009-09-04 2011-03-17 Sharp Corp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666A (ko) 2020-02-12
KR20210011483A (ko) 2021-02-01
KR20120140225A (ko) 2012-12-28
US9323446B2 (en) 2016-04-26
KR102459521B1 (ko) 2022-10-28
US20130342483A1 (en) 2013-12-26
KR102209099B1 (ko)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9521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054986B2 (en)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creen under a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521110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button configured according to displayed window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08970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8457B1 (ko)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4673B1 (ko)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69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657311B1 (en)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screen change method thereof
KR102064836B1 (ko) 모바일 장치에서의 메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1435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2157B1 (ko)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54076A (ko)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프리로딩하는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91985A (ko)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의 화면 변경방법
KR10211745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23794A (ko) 메모용 어플리케이션
KR102055133B1 (ko) 다중 어플리케이션 환경 하에서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76395A (ko)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132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