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046B1 -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 Google Patents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046B1
KR102071046B1 KR1020180013951A KR20180013951A KR102071046B1 KR 102071046 B1 KR102071046 B1 KR 102071046B1 KR 1020180013951 A KR1020180013951 A KR 1020180013951A KR 20180013951 A KR20180013951 A KR 20180013951A KR 102071046 B1 KR102071046 B1 KR 102071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space
cover
dri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4616A (ko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to KR1020180013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046B1/ko
Priority to US16/967,126 priority patent/US11013359B2/en
Priority to CN201980010096.0A priority patent/CN111655091A/zh
Priority to PCT/KR2019/001481 priority patent/WO2019151837A1/ko
Publication of KR20190094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securing the filter holder to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는,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고 드립핑을 위한 제1 공간을 제공하며,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가 제2 공간으로 배출되기 위한 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외벽의 일 영역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외곽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가 보호되도록, 상기 제1 본체부를 포위하는 커버부; 상기 제1 공간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개폐부; 및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를 구비하는 유입부; 및 상기 제1 개폐부의 장착 시 상기 외곽 돌출부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외곽 돌출부에 복원력을 작용하도록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탄성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본체부의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Dripp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본 발명은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풍미와 고급성으로 인하여 인스턴트커피 대신 원두커피가 널리 음용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원두커피 전문 매장과 원두커피 애호가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가정이나 일반 사무실 등에서 원두커피를 마시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원두를 가루로 만든 후, 이를 여과장치에 투입하여 커피액을 추출함으로써 원두커피를 마시거나, 별도의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을 구입하여 원두커피를 마실 수 있다.
그러나, 분쇄장치 및 여과장치 또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이 구비된 장소에서는 원두커피 전문매장을 이용하지 않아도 원두커피를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나, 상기 분쇄장치 및 여과장치 또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는 원두커피 전문매장을 이용하지 않고서는 원두커피를 섭취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인스턴트커피의 경우에는 인스턴트커피와 컵 및 뜨거운 물을 구비함으로서 여행시나 그 외 실외의 공간에서도 간편하게 인스턴트커피를 섭취할 수 있으나, 원두커피는 인스턴트커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분쇄장치 및 여과장치 또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여행시나 기타 실외의 공간에서 원두커피를 섭취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분쇄장치와 여과장치가 소형으로 제작되어 원두커피 애호가들이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시중에 판매 - 분쇄장치에 의해 분쇄된 원두분쇄물은 별도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음 - 되고 있으나, 여전히 커피 섭취자는 상기 분쇄장치와 여과장치 그리고 커피잔 및 뜨거운 물이 담겨진 보온병을 별도로 준비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상기 분쇄장치와 여과장치를 거친원두액을 커피잔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원두커피의 맛과 향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은 그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개인의 취향에 따라 원두커피농도를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원발명의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09-000673호 '거름망용기를 구비한 텀블러'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드립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여과장치와 드립 커피의 음용을 위한 용기를 별도로 준비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고 드립핑을 위한 제1 공간을 제공하며,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가 제2 공간으로 배출되기 위한 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외벽의 일 영역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외곽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가 보호되도록, 상기 제1 본체부를 포위하는 커버부; 상기 제1 공간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개폐부; 및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를 구비하는 유입부; 및 상기 제1 개폐부의 장착 시 상기 외곽 돌출부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외곽 돌출부에 복원력을 작용하도록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탄성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본체부의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드립핑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고 드립핑을 위한 제1 공간을 제공하며,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가 제2 공간으로 배출되기 위한 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외벽의 일 영역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외곽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2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를 구비하는 제2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2 본체부를 포위하여, 상기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2 본체부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커버부; 및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는 상기 제1 공간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개폐부; 및 상기 제1 개폐부의 장착 시 상기 외곽 돌출부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외곽 돌출부에 복원력을 작용하도록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탄성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본체부의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에 의하면, 드립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여과장치와 드립 커피의 음용을 위한 용기를 별도로 준비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드립 커피를 커피잔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맛과 향의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척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 및 청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8은 도 2의 개략 단면도에 대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2의 개략 단면도에 대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1은 드립핑을 위해 제1 개폐부가 커버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12는 드립 커피의 음용을 위해 제2 개폐부가 음용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13은 도 10의 B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는,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고 드립핑을 위한 제1 공간을 제공하며,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가 제2 공간으로 배출되기 위한 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외벽의 일 영역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외곽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가 보호되도록, 상기 제1 본체부를 포위하는 커버부; 상기 제1 공간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개폐부; 및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를 구비하는 유입부; 및 상기 제1 개폐부의 장착 시 상기 외곽 돌출부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외곽 돌출부에 복원력을 작용하도록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탄성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본체부의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외곽 돌출부가 상기 탄성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유입부의 대향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됨으로써,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이 차단되고,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커버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가 복원력을 상기 외곽돌출부에 작용하여 상기 제1 본체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부의 하측의 미리 정해진 영역은 상기 제1 본체부의 상측보다 그 직경이 작고, 상기 외곽 돌출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의 직경이 상기 제1 본체부의 상측의 직경보다 작음으로써 확보된 상기 제1 본체부 및 상기 커버부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드립핑 용기는,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어 드립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거름망을 구비하고, 그 상부에서 상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누수 방지링을 포함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에 장착 시, 상기 누수 방지링에 접촉하여 상기 필터부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1 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폐부와 결합되는 그 상단에서 상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누수 방지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에 장착 시, 상기 누수 방지단에 접촉하여 상기 커버부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2 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유입부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배치되는 폐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쇄부는,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유입부의 대향면 모두에 접촉되어,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는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고 드립핑을 위한 제1 공간을 제공하며,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가 제2 공간으로 배출되기 위한 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외벽의 일 영역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외곽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2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를 구비하는 제2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2 본체부를 포위하여, 상기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2 본체부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커버부; 및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는 상기 제1 공간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개폐부; 및 상기 제1 개폐부의 장착 시 상기 외곽 돌출부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외곽 돌출부에 복원력을 작용하도록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탄성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본체부의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유출구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한 후,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어,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이 차단되도록 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본체부가 상기 제2 본체부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위치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제2 공간에 유입된 상기 드립 커피가 음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외곽 돌출부가 상기 탄성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유입부의 대향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됨으로써,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을 차단하고,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커버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가 복원력을 상기 외곽돌출부에 작용하여 상기 제1 본체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부 일측의 미리 정해진 영역은,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2 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타측보다 그 직경이 작고, 상기 외곽 돌출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의 직경이 상기 타측의 직경보다 작음으로써 확보된 상기 제1 본체부 및 상기 커버부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는,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어 드립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거름망을 구비하고, 그 일측에서 상기 제2 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누수 방지링을 포함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에 장착 시, 상기 누수 방지링에 접촉하여 상기 필터부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1 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폐부와 결합되는 일측에서 상기 제2 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누수 방지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에 장착 시, 상기 누수 방지단에 접촉하여 상기 커버부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2 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배치되는 폐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쇄부는, 상기 필터부에 대한 상기 제1 개폐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의 대향면 모두에 접촉되어,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 공간에 유입된 상기 드립 커피가 외부로 배출되어 음용되기 위한 음용구 및 상기 음용구로부터 상기 드립 커피가 배출되도록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밴트구를 구비하는 음용부; 및 상기 음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음용구 및 상기 밴트구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음용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음용조절부는, 상기 음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음용구와 상기 밴트구에 밀착되어 상기 음용구와 상기 밴트구를 폐쇄하는 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착부는, 탄성을 구비하되, 상기 음용구 및 상기 밴트구와 대응되는 부분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상기 밀착부의 부분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100)는, 원두 분쇄물(P)에 뜨거운 물을 부어 드립 커피를 제조할 수 있는 일종의 드립퍼로, 원두 분쇄물(P, 도 6 참조)이 저장되고 드립핑을 위한 제1 공간(S1)을 제공하는 제1 본체부(110), 상기 제1 본체부(110)가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상기 제1 본체부(110)를 포위하는 커버부(130), 상기 커버부(1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개폐부(140) 및 상기 드립 커피가 제2 공간(S2, 도 6 참조)으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공간(S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100)의 외부 공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드립핑 용기(100)로부터 배출되는 드립 커피를 수용하는 일종의 컵(C, 도 5 참조)의 내부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부(110)는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가 상기 제2 공간(S2)으로 배출되기 위한 유출구(H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유출구(H1)는 상기 제1 본체부(110)의 저면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구(H1)는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본체부(110)의 저면은 상광하협의 형상, 예를 들어,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는 자연스럽게 유출구(H1)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제1 본체부(110)는 그 상면에서 상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단차벽(113)를 구비할 수 있다. 단차벽(113)은 상기 제1 개폐부(140)와 결합 시, 드립핑 용기(100)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100)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개폐부(14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부(140)는 상기 커버부(1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원두 분쇄물(P)이 저장되기 위한 상기 제1 공간(S1)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부(1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130)에 나사 체결 방식에 의해 장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상기 커버부(13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유입부(150)는 유출구(H1)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제2 공간(S2)으로 유입되는 유입구(H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본체부(110)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제2 공간(S2)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입부(150)는 상기 커버부(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커버부(130)는 누수 방지단(13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누수 방지단(133)은, 상기 제1 개폐부(140)와 결합 시, 드립핑 용기(100)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100)는 상기 제1 공간(S1)에 배치되어 드립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필터부(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부(160)는 상기 제1 공간(S1) 내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본체부(110)의 내면에 형성된 단차부(112)에 안착되는 안착부(16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60)는 드립핑을 위한 거름망(164)이 형성되는 망제공부(166), 상기 망제공부(166)의 내부로 주입된 물이 원두 분쇄물(P)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제2 공간(S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망제공부(166)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유입방지부(168)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162)는 상기 유입방지부(168)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망제공부(166)는 상광하협의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유입방지부(168)는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필터부(160)는 상기 제1 공간(S1)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공간(S1) 내에서 편심되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입방지부(168)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본체부(110)의 내면에 접촉되는 편심방지부(16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편심방지부(169)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필터부(160)는 상기 원두 분쇄물(P)에 주입된 뜨거운 물이 부주의로 인하여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유입방지부(168)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나, 제1 밀폐부(161)에 의해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망제공부(166)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밀폐부(161)는 상기 유입방지부(168)의 외면에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접촉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탄성을 구비하는 고무 재질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60)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누수 방지링(163)을 구비할 수 있다. 누수 방지링은(163), 상기 제1 개폐부(140)와 결합 시, 드립핑 용기(100)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100)는 제1 개폐부(140)와 상기 커버부(13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의 연통 여부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5를 참조하면, 드립 커피의 제조를 위해 커버부(130)로부터 제1 개폐부(140)를 분리하고, 필터부(160)를 제1 본체부(110)에 의해 제공되는 제1 공간(S1)에 삽입한다.
다만, 상기 제1 개폐부(140)를 상기 커버부(130)로부터 분리하기 이전부터 상기 제1 공간(S1)에 필터부(160)가 이미 배치된 경우라면, 상기 필터부(160)의 삽입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60)는 안착부(162)가 상기 제1 본체부(110)의 내면에 형성된 단차부(112)에 안착되어 상기 제1 공간(S1) 내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유입방지부(168)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편심방지부(169)에 의해 상기 제1 공간(S1) 내에서 편심되게 배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부(160)가 상기 제1 공간(S1)에 삽입되고 상기 안착부(162)가 상기 단차부(112)에 안착되고 나면, 상기 필터부(160)에 원두 분쇄물(P)을 적정량 투입하고 뜨거운 물(W)을 상기 원두 분쇄물(P)에 주입한다.
이때, 유출구(H1)와 유입구(H2)는 서로 연통된 상태일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 컵(C)에 의해 제공되는 제2 공간(S2)에 드립 커피(DC)가 저장되게 된다.
드립핑 공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드립 커피(DC)를 음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의 연통을 차단할 필요가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유출구(H1)와 유입구(H2)의 연통을 차단하기 위해 제1 개폐부(140)를 회전시켜 커버부(130)에 장착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개폐부(140)는 상기 커버부(13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의 연통 여부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개폐부(140)가 상기 커버부(13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의 연통이 구현되며, 상기 제1 개폐부(140)가 상기 커버부(130)에 장착되면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의 연통이 차단된다.
이는 상기 제1 개폐부(140)가 상기 커버부(13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본체부(110)의 위치가 변화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개폐부(140)가 상기 커버부(13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유입부(150)의 대향면 사이의 간격(D)은 감소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유입부(150)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배치되는 폐쇄부(170)가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유입부(150)의 대향면 모두에 접촉되게 되어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의 연통이 차단되는 것이다.
상기 폐쇄부(170)는 탄성을 구비하는 재질로 구현되는 일종의 고무링일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와 같이 제1 개폐부(140)가 상기 커버부(130)에 장착되어 유출구(H1)와 유입구(H2)의 연통이 차단되는 원리에 대해 이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 개폐부(140)가 상기 커버부(130)에 장착되면, 상기 제1 개폐부(140)는 필터부(16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필터부(160)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필터부(160)와 접촉되는 상기 제1 개폐부(140)에는 탄성을 구비하는 제1 링부재(142) 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개폐부(140)가 상기 커버부(130)에 장착되는 경우 부드럽게 상기 필터부(160)를 가압할 수 있다.
제1 개폐부(140)는 제1 링부재(142) 및 제2 링부재(144)를 포함하는 복수의 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링부재들은 각각 제1 개폐부(140)와, 제1 개폐부(140)와 접촉되는 필터부(160), 제1 본체부(110) 또는 커버부(130) 간의 간극을 채움으로써 드립핑 용기(100)의 상부를 통한 액체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다.
제1 개폐부(140)를 통한 드립핑 용기(100) 상부의 밀폐에 대해서는 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 개폐부(140)가 상기 필터부(160)를 가압하면, 상기 필터부(160)의 안착부(162)는 제1 본체부(110)의 단차부(112)를 가압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 본체부(110)는 위치가 변하게 된다.
상기 제1 본체부(110)가 상기 필터부(160)에 의해 위치가 변하게 되면,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유입부(150)의 대향면 사이의 간격(D)은 더욱 감소하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제1 본체부(110)에 장착되는 폐쇄부(170)는 상기 유입부(150)를 향하여 이동되게 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유입부(150)에 접촉되게 된다.
상기 유입부(150)에 접촉되는 상기 폐쇄부(170)는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를 구획하는 일종의 격벽으로 작용하게 되며, 결국,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는 연통이 차단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드립핑 용기(100)는 상기 제1 개폐부(140)가 상기 커버부(13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필터부(160)에 대한 상기 제1 개폐부(140)의 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E)는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커버부(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개폐부(140)가 상기 커버부(130)에 장착되기 전에는 정상 상태(도 5 및 도 6 참조)를 유지하여 상기 제1 본체부(110)를 상기 커버부(130) 내에서 지지할 수 있다.
다만, 드립핑 공정이 완료되어 유출구(H1)와 유입구(H2)의 연통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1 개폐부(140)를 커버부(13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필터부(160)에 의한 가압에 의해 위치 변화되는 제1 본체부(110)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여기서, 드립 커피의 제조를 반복하거나 세척을 위해 제1 개폐부(140)를 커버부(13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E)는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본체부(1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유출구(H1)와 유입구(H2)는 연통이 구현되게 된다.
상기 탄성부(E)는 제1 개폐부(140)가 커버부(130)에 장착되면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제1 개폐부(140)가 상기 커버부(130)로부터 분리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본체부(1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면 형상 및 재질에 제한 없이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E)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탄성부(E)는 제1 본체부(110)의 외곽을 둘러싸는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E)의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E)는 제1 본체부(110)의 상단에 위치하는 단차부(112)에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단차부()와 근접한 커버부(130) 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탄성부(E)는 제1 본체부(110) 및 커버부(130)의 하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탄성부(E)의 위치 및 탄성부(E)의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메커니즘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 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본체부(110)는 드립 커피 이외의 불순물 등이 유입구(H2)를 통해 제2 공간(S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을 구비하는 제2 밀폐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밀폐부(114)는 상기 제1 본체부(110)가 상기 커버부(13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커버부(130)의 내면 또는 유입부(150)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개략 단면도에 대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개폐부(140)가 커버부에 장착 시, 제1 링부재(142) 및 제2 링부재(144)에 의해 드립핑 용기(100) 내부가 밀폐될 수 있다.
제2 링부재(144)는 제1 링부재(14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링부재(142)의 외측에서 상기 제1 링부재(142)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개폐부(140)의 가압에 의해, 누수 방지링(163)은 제1 링부재(142)를 접촉 및 압착할 수 있다. 이로써, 필터부(160) 내부의 액체가 제1 개폐부(140)를 통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필터부(160) 내부의 액체는 거름망(164)을 투과한 후에, 필터부(160) 및 제1 본체부(110) 사이의 공간에 머무를 수 있는데, 이 공간 내의 액체가 제1 개폐부(140)를 통해 누수되는 것도 차단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1 개폐부(140)가 제1 링부재(142)를 가압하는 압력은, 안착부(162) 및 단차부(112)에 전달되어 안착부(162) 및 단차부(112)를 빈틈없이 접착시킬 수 있다. 이로써, 필터부(160) 및 제1 본체부(110) 사이 공간으로부터 제1 개폐부(140)를 통한 액체의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부(140)의 가압에 의해, 제2 링부재(144)는 누수 방지단(133)을 접촉 및 압착할 수 있다. 제2 링부재(144)는 압력에 의해 누수 방지단(133)의 형상에 맞게 탄성 변형되면서, 누수 방지단(133)에 간극없이 밀착될 수 있다. 이로써, 액체가 필터부(160) 및 제1 본체부(11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제1 개폐부(140)를 통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차벽(113)이 상향으로 길게 연장됨으로써, 제1 개폐부(140)의 장착 시, 단차벽(113)이 제2 링부재(144)와 밀착됨으로써, 액체가 필터부(160) 및 제1 본체부(11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제1 개폐부(140)를 통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도 9는 도 2의 개략 단면도에 대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탄성부(E)는 제1 본체부(110) 하측을 둘러싸며, 제1 본체부(110) 및 커버부(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부(110)의 형상을 보면, 하방으로 갈수록 원형 단면의 직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제1 본체부(110) 및 커버부(130)의 사이에서 탄성부(E)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 때 제1 본체부(110)는 탄성부(E)의 복원력이 작용되는 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1 본체부(110)의 원주를 따라서 외곽으로 돌출되는 외곽 돌출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개폐부(140)에 의한 가압 시, 제1 본체부(110)가 하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외곽 돌출부(116) 및 커버부(130) 하측의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E)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외곽 돌출부(116) 에 의해, 탄성부(E)의 복원력이 제1 본체부(110)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탄성부(E)가 제1 본체부(110) 및 커버부(130) 사이에 안정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커버부(130)의 하부에는 그 내면에서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탄성부 지지부(135)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 지지부(135)는 탄성부(E)를 그 하방에서 지지함으로써, 그 상방에서 탄성부(E)를 지지하는 외곽 돌출부(116)와 함께 탄성부(E)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탄성부(E)의 복원력이 작용되는 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11은 드립핑을 위해 제1 개폐부가 커버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드립 커피의 음용을 위해 제2 개폐부가 음용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10의 B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200)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100)를 이용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200)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100)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200)는, 원두 분쇄물(P, 도 17 참조)에 뜨거운 물을 부어 걸러낸 후 제조되는 드립 커피(DC, 도 17 및 도 18 참조)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로, 드립퍼와 음용용기가 구현된 신개념의 텀블러일 수 있다.
즉, 상기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200)는 원두 분쇄물(P)에 물이 주입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DC)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로, 제1 본체부(210), 제2 본체부(220), 커버부(230), 제1 개폐부(240) 및 필터부(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부(210)는 원두 분쇄물(P)이 저장되고 드립핑을 위한 제1 공간(S1)을 제공할 수 있으며,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DC)가 제2 공간(S2)으로 배출되기 위한 유출구(H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본체부(220)는 상기 제2 공간(S2)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유출구(H1)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드립 커피(DC)가 상기 제2 공간(S2)으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H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출구(H1)는 상기 제1 본체부(21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H2)는 상기 제2 본체부(2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부(210) 및 상기 제2 본체부(220)는 상기 커버부(230)에 의해 포위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본체부(210) 및 상기 제2 본체부(220)는 상기 커버부(2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30)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200)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개폐부(24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개폐부(24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상기 제1 개폐부(240)가 커버부(230)에 장착되면 유출구(H1)와 유입구(H2)의 연통이 차단되는 원리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200)는 상기 제2 공간(S2)에 저장된 드립 커피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용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용부(280)는 상기 제2 본체부(220)에 나사 체결 방식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상기 제2 본체부(22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음용부(280)는 상기 제2 공간(S2)에 유입된 드립 커피가 외부로 배출되어 음용되기 위한 음용구(282) 및 상기 음용구(282)로부터 상기 드립 커피가 배출되도록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밴트구(28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음용구(282) 및 상기 밴트구(284)는 상기 음용부(28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음용조절부(290)에 의해 개폐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음용조절부(290)가 상기 음용부(280)에 삽입되면, 상기 음용조절부(290)는 상기 음용구(282)와 상기 밴트구(284)에 밀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음용구(282)와 상기 밴트구(284)는 폐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용조절부(290)는 상기 음용구(282)와 상기 밴트구(284)에 밀착되어 상기 음용구(282)와 상기 밴트구(284)를 폐쇄하는 밀착부(292) 및 상기 밀착부(292)를 지지하는 지지부(29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부(292)는 탄성을 구비하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음용구(282) 및 상기 밴트구(284)와 대응되는 부분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상기 밀착부(292)의 부분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용조절부(290)를 상기 음용부(280)에 삽입하는 경우, 이격되어 형성되는 밀착부(292)로 인해 상기 음용구(282) 및 상기 밴트구(284)는 안정적으로 폐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음용조절부(290)는 상기 음용부(280)에 나사 체결 방식 등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개폐부(295)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음용조절부(290)는 상기 제2 개폐부(295)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2 개폐부(295) 및 상기 음용조절부(290)는 각각 걸림부(296) 및 피걸림부(29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96)와 살기 피걸림부(297)는 홈과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할 수 있고, 그 외 연결을 위한 공지의 수단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개폐부(295)가 상기 음용부(280)에 나사 체결 방식 등으로 장착되면, 상기 음용조절부(290)도 상기 음용부(280)에 삽입되어 자연스럽게 상기 음용구(282) 및 상기 밴트구(284)를 폐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개폐부(295)를 상기 음용부(280)에 나사 체결하는 경우, 상기 음용조절부(290)도 상기 제2 개폐부(295)와 동시에 회전될 수 있으며, 이는 지지부(294)에 형성된 돌출부(291)가 제2 개폐부(295)에 형성된 함입부(293)에 삽입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200)의 사용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드립 커피의 제조를 위해 커버부(230)로부터 제1 개폐부(240)를 분리하고, 필터부(260)를 제1 본체부(210)에 의해 제공되는 제1 공간(S1)에 삽입한다.
다만, 상기 제1 개폐부(240)를 상기 커버부(230)로부터 분리하기 이전부터 상기 제1 공간(S1)에 필터부(260)가 이미 배치된 경우라면, 상기 필터부(260)의 삽입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260)는 안착부(262)가 상기 제1 본체부(210)의 내면에 형성된 단차부(212)에 안착되어 상기 제1 공간(S1) 내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유입방지부(268)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편심방지부(269)에 의해 상기 제1 공간(S1) 내에서 편심되게 배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15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부(260)가 상기 제1 공간(S1)에 삽입되고 상기 안착부(262)가 상기 단차부(212)에 안착되고 나면, 상기 필터부(260)에 원두 분쇄물(P)을 적정량 투입하고 뜨거운 물(W)을 상기 원두 분쇄물(P)에 주입한다.
이때, 유출구(H1)와 유입구(H2)는 제1 개폐부(240)가 커버부(230)에 분리된 상태이므로, 서로 연통된 상태일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 제2 본체부(220)에 의해 제공되는 제2 공간(S2)에 드립 커피(DC)가 저장되게 된다.
드립핑 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의 연통을 차단한 후, 제2 공간(S2)에 저장된 드립 커피를 음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의 연통을 차단하기 위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개폐부(240)를 회전시켜 커버부(230)에 장착한다.
상기 제1 개폐부(240)가 상기 커버부(230)에 장착되면, 상기 제1 개폐부(240)는 상기 커버부(23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의 연통이 차단된다.
상기 제1 개폐부(240)가 상기 커버부(230)에 장착됨으로 인하여,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의 연통이 차단되는 원리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상기 제1 개폐부(240)가 상기 커버부(230)에 장착되어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의 연통이 차단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30)를 회전시켜 제1 본체부(210)와 제2 본체부(220)의 위치를 서로 바꾸게 된다.
즉, 상기 커버부(230)는 상기 제1 본체부(210)가 상기 제2 본체부(220)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위치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제2 공간(S2)에 유입된 상기 드립 커피가 음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1 개페부(240)에 의해 가압된 탄성부(E)의 복원력에 의해 제1 링부재(242)와 필터부 상단이 밀착되고, 제2 링부재(244)와 커버부(230)의 상단 또는 제1 본체부(210)의 상단이 밀착되어 실링 상태가 되므로 액체 누수는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제1 본체부(210)가 상기 제2 본체부(220)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위치되면, 제2 개폐부(295)를 음용부(280)로부터 분리한 후 사용자는 음용구(282)를 통해 드립 커피(DC)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용조절부(290)는 상기 제2 개폐부(295)를 상기 음용부(280)로부터 분리하면 자연스럽게 상기 음용부(28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드립핑 용기
200: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110, 210: 제1 본체부
220: 제2 본체부
130, 230: 커버부
140, 240: 제1 개폐부
160, 260: 필터부
295: 제2 개폐부
113 단차벽
116, 216 외곽 돌출부
133 누수 방지단
135 탄성부 지지부
142 제1 링부재
144 제2 링부재
163 누수 방지링
E 탄성부

Claims (16)

  1.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고 드립핑을 위한 제1 공간을 제공하며,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가 제2 공간으로 배출되기 위한 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외벽의 일 영역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외곽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가 보호되도록, 상기 제1 본체부를 포위하는 커버부;
    상기 제1 공간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개폐부; 및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를 구비하는 유입부; 및
    상기 제1 개폐부의 장착 시 상기 외곽 돌출부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외곽 돌출부에 복원력을 작용하도록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탄성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본체부의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고,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외곽 돌출부가 상기 탄성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유입부의 대향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됨으로써,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이 차단되고,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커버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가 복원력을 상기 외곽돌출부에 작용하여 상기 제1 본체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가 연통되는
    드립핑 용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의 하측의 미리 정해진 영역은 상기 제1 본체부의 상측보다 그 직경이 작고,
    상기 외곽 돌출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의 직경이 상기 제1 본체부의 상측의 직경보다 작음으로써 확보된 상기 제1 본체부 및 상기 커버부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드립핑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핑 용기는,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어 드립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거름망을 구비하고, 그 상부에서 상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누수 방지링을 포함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에 장착 시, 상기 누수 방지링에 접촉하여 상기 필터부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1 링부재를 포함하는
    드립핑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폐부와 결합되는 그 상단에서 상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누수 방지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에 장착 시, 상기 누수 방지단에 접촉하여 상기 커버부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2 링부재를 포함하는,
    드립핑 용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유입부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배치되는 폐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쇄부는,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유입부의 대향면 모두에 접촉되어,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
  7.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고 드립핑을 위한 제1 공간을 제공하며,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가 제2 공간으로 배출되기 위한 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외벽의 일 영역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외곽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2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를 구비하는 제2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2 본체부를 포위하여, 상기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2 본체부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커버부; 및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는 상기 제1 공간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개폐부; 및
    상기 제1 개폐부의 장착 시 상기 외곽 돌출부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외곽 돌출부에 복원력을 작용하도록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탄성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본체부의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고,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유출구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한 후,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어,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이 차단되도록 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본체부가 상기 제2 본체부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위치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제2 공간에 유입된 상기 드립 커피가 음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외곽 돌출부가 상기 탄성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유입구의 대향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됨으로써,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을 차단하고,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커버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가 복원력을 상기 외곽돌출부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제1 본체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8. 삭제
  9. 삭제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 일측의 미리 정해진 영역은,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2 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타측보다 그 직경이 작고,
    상기 외곽 돌출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의 직경이 상기 타측의 직경보다 작음으로써 확보된 상기 제1 본체부 및 상기 커버부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는,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어 드립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거름망을 구비하고, 그 일측에서 상기 제2 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누수 방지링을 포함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에 장착 시, 상기 누수 방지링에 접촉하여 상기 필터부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1 링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폐부와 결합되는 일측에서 상기 제2 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누수 방지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에 장착 시, 상기 누수 방지단에 접촉하여 상기 커버부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2 링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13.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배치되는 폐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쇄부는,
    상기 제1 개폐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의 대향면 모두에 접촉되어,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14.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 공간에 유입된 상기 드립 커피가 외부로 배출되어 음용되기 위한 음용구 및 상기 음용구로부터 상기 드립 커피가 배출되도록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밴트구를 구비하는 음용부; 및
    상기 음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음용구 및 상기 밴트구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음용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조절부는,
    상기 음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음용구와 상기 밴트구에 밀착되어 상기 음용구와 상기 밴트구를 폐쇄하는 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착부는,
    탄성을 구비하되, 상기 음용구 및 상기 밴트구와 대응되는 부분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상기 밀착부의 부분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KR1020180013951A 2018-02-05 2018-02-05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KR102071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951A KR102071046B1 (ko) 2018-02-05 2018-02-05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US16/967,126 US11013359B2 (en) 2018-02-05 2019-02-01 Drip contain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CN201980010096.0A CN111655091A (zh) 2018-02-05 2019-02-01 滴滤容器及便携式咖啡饮用容器
PCT/KR2019/001481 WO2019151837A1 (ko) 2018-02-05 2019-02-01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951A KR102071046B1 (ko) 2018-02-05 2018-02-05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616A KR20190094616A (ko) 2019-08-14
KR102071046B1 true KR102071046B1 (ko) 2020-01-28

Family

ID=67479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951A KR102071046B1 (ko) 2018-02-05 2018-02-05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13359B2 (ko)
KR (1) KR102071046B1 (ko)
CN (1) CN111655091A (ko)
WO (1) WO20191518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9314B1 (en) 2005-04-18 2018-06-19 Bean Logik, Llc Cold brew beverage brewing syste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5319B2 (ja) * 2010-07-06 2012-12-26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KR101787271B1 (ko) * 2016-06-29 2017-10-17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659A (en) * 1890-08-05 Mekhorn
US1317717A (en) * 1919-10-07 Planograpii co
US316885A (en) * 1885-04-28 James heevet dumont
US1876474A (en) * 1932-09-06 Device fob making dbip copeee
US604984A (en) * 1898-05-31 Filter
US347581A (en) * 1886-08-17 Milk-strainer
US323637A (en) * 1885-08-04 Oil-strainer
US426489A (en) * 1890-04-29 Filter
US881564A (en) * 1907-06-25 1908-03-10 Gustav Epstein Strainer for coffee-urns.
US942121A (en) * 1908-08-15 1909-12-07 May C White Strainer.
US950211A (en) * 1909-06-09 1910-02-22 Joseph D Reymore Apparatus for filtering milk.
US967905A (en) * 1910-03-26 1910-08-23 Virgil B Hagg Water-filter.
US989752A (en) * 1910-12-03 1911-04-18 Frank Ansley Strainer-top for milk-pails.
US1044074A (en) * 1911-03-08 1912-11-12 William W Nugent Filter.
US1023664A (en) * 1911-03-20 1912-04-16 Asbury F Laity Milk-strainer.
US1053573A (en) * 1912-05-07 1913-02-18 Nora K Clemm Kitchen utensil.
US1068900A (en) * 1912-05-14 1913-07-29 William B Herd Milking-pail.
US1104773A (en) * 1913-07-26 1914-07-28 Ira Earnest Bradshaw Sanitary milking vessel.
US1216112A (en) * 1916-11-08 1917-02-13 Derk Greven Strainer for liquids.
US1501073A (en) * 1922-04-17 1924-07-15 Stead Aquila Moore Funnel strainer
US1536890A (en) * 1923-07-21 1925-05-05 Gustav P Lagemann Milk-strainer attachment
US1601987A (en) * 1925-12-14 1926-10-05 Thomas J Topper Coffee container for urns
US1701194A (en) * 1928-03-10 1929-02-05 Rosenstein Fritz Beverage maker and dispenser
US1889111A (en) * 1929-02-23 1932-11-29 Serr William Flavor dispenser cup
US1895857A (en) * 1931-09-16 1933-01-31 Louis R Mockbee Percolator
US2000309A (en) * 1933-03-01 1935-05-07 West Bend Aluminum Co One cup coffee maker
US2003658A (en) * 1933-08-07 1935-06-04 Lawrence J Thomas Strainer
US2069229A (en) * 1936-06-29 1937-02-02 Ferris Robert Coffee making apparatus
US2285114A (en) * 1938-11-16 1942-06-02 Ferris Robert Coffee making apparatus
US3083101A (en) * 1959-04-06 1963-03-26 Noury Jean Refill for filtration coffee-pot
US3010583A (en) * 1959-10-23 1961-11-28 Millipore Filter Corp Fluid sampling device
US3420675A (en) * 1964-10-26 1969-01-07 Nicholas J Costas Disposable coffee cartridge
AT278712B (de) 1968-04-30 1970-02-10 H C Hans Dipl Ing Dr Dr List Zusatzeinrichtung für die Mikroblutgasanalyse
US3694235A (en) * 1970-03-20 1972-09-26 Sidney Siegel Disposable food-vending package
US3695168A (en) * 1970-06-02 1972-10-03 George H Van Brunt Drip coffee maker
US3937134A (en) * 1971-12-15 1976-02-10 Douwe Egberts Tabaksfabriek-Koffiebranderijen-Theehandel B.V. Coffee filtering
US3931756A (en) * 1972-09-05 1976-01-13 Brunt George H Van Filter area limiting device for drip coffee makers with micropore filter
US3985069A (en) * 1973-12-03 1976-10-12 Cavalluzzi Frank J Coffee beverage drip brewer
US3924741A (en) * 1975-03-04 1975-12-09 Gibson Ass Inc Two-compartment container
US3971305A (en) * 1975-03-27 1976-07-27 Daswick Alexander C Disposable beverage brewer
US4021354A (en) * 1975-10-31 1977-05-03 Bristol-Myers Company Pressure filter
US4167136A (en) * 1977-07-25 1979-09-11 Chupurdy Garry C Beverage brewer
DE7911828U1 (de) * 1979-04-23 1979-08-30 Maxs Ag, Sachseln (Schweiz) Kaffeefilter mit Tropfenfänger
DE2916362C2 (de) * 1979-04-23 1983-09-01 Maxs AG, 6072 Sachseln Dauerverwendbarer Kaffeefilter
US4251366A (en) * 1979-06-18 1981-02-17 Simon Timothy M Adapter for laboratory filter
US4301010A (en) * 1980-03-10 1981-11-17 Spectrum Medical Industries, Inc. Vacuum filter
US4354427A (en) * 1980-06-30 1982-10-19 W. M. Still & Sons Limited Coffee and tea making or brewing apparatus
US4357240A (en) * 1981-02-27 1982-11-02 Sybron Corporation Disposable, one-piece filter unit
US4614585A (en) * 1981-03-02 1986-09-30 Sybron Corporation Frangible bonded disposable filtration unit with recoverable filter
US4417504A (en) * 1981-04-02 1983-11-29 Mitsumoto Coffee Co., Ltd. Regular coffee set
US4642443A (en) * 1981-11-16 1987-02-10 Northland Aluminum Products, Inc. Apparatus for brewing coffee in microwave ovens
US4446158A (en) * 1982-06-08 1984-05-01 English Philip H Apparatus for making individual beverage quantities
US4439319A (en) * 1982-07-16 1984-03-27 Rock John G Receptacle for the collection of medical specimens and the like
JPS6088799A (ja) 1983-10-18 1985-05-18 三井建設株式会社 拡大トンネル用セグメントの取付方法
DE8400488U1 (de) * 1984-01-10 1989-11-02 Robert Krups Stiftung & Co KG, 5650 Solingen Elektrisch betriebene Espressomaschine
US4520716A (en) * 1984-03-19 1985-06-04 Hayes Susan M Drip-type coffee making apparatus
US4577080A (en) * 1985-03-19 1986-03-18 Gee Associates Coffee maker adapted for use in a microwave oven
US4689147A (en) * 1985-09-27 1987-08-25 Nalge Company Plastic filter assembly
US4673501A (en) * 1985-11-19 1987-06-16 Miles Laboratories, Inc. Bottle top filter
US4702834A (en) * 1986-06-17 1987-10-27 Nalge Company Plastic filter units having a weld cellulose filter
IT1197368B (it) * 1986-10-08 1988-11-30 Spidem Srl Coppa poortafiltro con mezzi di regolazione della portata per macchine per caffe'
US4806369A (en) * 1986-11-07 1989-02-21 Thompson Owen E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infusion
US4731177A (en) * 1986-12-30 1988-03-15 Hemman Edward B Multi-stage straining apparatus
DE3717678A1 (de) * 1987-05-26 1988-12-08 Krups Stiftung Haushaltgeraet zum bereiten von tee
IT1210382B (it) * 1987-06-23 1989-09-14 Zanussi Grandi Impianti Spa Macchine automatica per lapreparazione di caffe' o simile.
US4783318A (en) * 1987-10-02 1988-11-08 The State Of Minnesota Apparatus for environmental leaching testing
US4894155A (en) * 1988-04-14 1990-01-16 Nalge Cmpany Single membrane disc supporting upper and lower membranes
US4997015A (en) * 1988-10-17 1991-03-05 Black & Decker, Inc. Brew through lid for coffee maker
EP0382001B1 (de) * 1989-02-09 1993-04-07 Eberhard Timm Vorrichtung zum Zubereiten heisser Getränke
US5259295A (en) * 1990-10-04 1993-11-09 Eberhard Timm Container for the preparation of hot drinks
US5243164A (en) * 1990-12-14 1993-09-07 Gee Associates Beverage maker
US5192424A (en) * 1991-12-05 1993-03-09 Isp Investments Inc. Filter identification device
US5234585A (en) * 1991-12-19 1993-08-10 Zuk, Incorporated Vacuum filtration device
US5948246A (en) * 1991-12-19 1999-09-07 Zuk, Jr.; Peter Vacuum filtration device
US5186828A (en) * 1992-02-14 1993-02-16 Mankin Gary L Paint strainer kit
US5309823A (en) * 1992-04-15 1994-05-10 Allen Dillis V Coffee brewing assembly
US5353961A (en) * 1993-01-15 1994-10-11 Reseal International Limited Partnership Dual chamber dispenser
US5325996A (en) * 1993-04-07 1994-07-05 Gondal Pty. Ltd. Beverage vessel with flavoring concentrate dispenser
US5652008A (en) * 1993-05-26 1997-07-29 Ultrapure Systems, Inc. Universal water filtration device and method of filtering water
US5318703A (en) * 1993-05-26 1994-06-07 Ultrapure Systems, Inc. Water filter module
US5393548A (en) * 1993-05-26 1995-02-28 Ultrapure Systems, Inc. Method of making coffee using water filtration device
US5411661A (en) * 1993-05-26 1995-05-02 Ultrapure Systems, Inc. Water filter module
JPH06343558A (ja) * 1993-06-02 1994-12-20 Sharp Corp コーヒーメーカーの液漏れ防止装置
US5433328A (en) * 1994-05-17 1995-07-18 Baron; Moises S. Baby bottle extension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and release mechanism
US5490927A (en) * 1995-01-04 1996-02-13 Filtron Technology Corporation Filtration apparatus with membrane filter unit
DE29501228U1 (de) * 1995-01-26 1995-05-04 Timm Eberhard Vorrichtung zum Erhitzen einer trinkbaren Flüssigkeit
DE29504115U1 (de) * 1995-03-09 1996-07-11 Maxs Ag, Sachseln Bausatz für einen Filterkaffeebereiter
US5603900A (en) * 1995-05-19 1997-02-18 Millipore Investment Holdings Limited Vacuum filter device
US5832809A (en) * 1995-11-09 1998-11-10 Gras; Marlene Microwave operated coffee maker
US5699719A (en) * 1995-11-21 1997-12-23 Healthometer, Inc. Thermal carafe brewing device with brew-through lid
US5914045A (en) * 1995-12-26 1999-06-22 Palmer; Carl W Portable water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USD381866S (en) * 1996-01-11 1997-08-05 Yvan St-Gelais Coffeemaker for a cup
US5638968A (en) * 1996-02-26 1997-06-17 Baron; Moises S. Baby bottle extension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and release mechanism
CA2184298C (fr) * 1996-08-27 1998-08-18 Yvan St-Gelais Cafetiere a filtre permanent
US5632193A (en) * 1996-08-28 1997-05-27 Shen; Shun-Tsung Apparatus for making tea
US5855160A (en) * 1996-08-29 1999-01-05 Shen; Shun-Tsung Tea maker
US5632194A (en) * 1996-10-30 1997-05-27 Lin; Yu-Mei Infusion maker
US5725765A (en) * 1996-11-18 1998-03-10 Shen; Shun-Tsung Tea maker structure
US6045254A (en) * 1996-12-26 2000-04-04 M.L.I.S. Projects Ltd. Container having two or more compartments
WO1998032875A1 (en) * 1997-01-29 1998-07-30 Pall Corporation Filtration assembly
US5853581A (en) * 1997-04-11 1998-12-29 Rayborn; Redrick D. Drain bucket
US5826493A (en) * 1997-11-04 1998-10-27 Peo-Wu Tien Infusion coffee maker
US5862739A (en) * 1997-11-28 1999-01-26 Lin; Yu-Mei Tien Infusion maker
US5813317A (en) * 1997-12-15 1998-09-29 Chang; Keng-Hao Brewing pot
US5947004A (en) * 1998-07-24 1999-09-07 Huang; Yen-Wen Infusion maker
US5943946A (en) * 1998-09-29 1999-08-31 Chen; Uei-Tsai Infusing device for a beverage
US6103116A (en) * 1998-10-01 2000-08-15 Kx Industries, L.P. Collapsible filter
US6079315A (en) * 1999-01-19 2000-06-27 Keurig, Inc. Beverage filter cartridge holder
US6058827A (en) * 1999-06-02 2000-05-09 Lin Tien; Yu-Mei Structure of a tea flushing device
US6164190A (en) * 1999-12-16 2000-12-26 Tien Lin; Yu Mei Tea infusing device
DK1118298T3 (da) * 2000-01-20 2005-01-24 Eberhard Timm Anordning til tilberedning af varme drikke
US6276262B1 (en) * 2000-04-26 2001-08-21 Jason C. S. Chen System and method of Chinese tea brewing
US6327965B1 (en) * 2000-07-03 2001-12-11 Yu-Mei Lin Tien Safety and drain-preventing infusing tea maker
US6913152B2 (en) * 2000-12-04 2005-07-05 Peter Zuk, Jr. Disposable vacuum filtration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microorganisms and particulates in liquid samples
WO2002087399A1 (en) * 2001-04-30 2002-11-07 Bunn-O-Matic Corporation Variable flow spray system
ITMI20010972A1 (it) * 2001-05-11 2002-11-11 De Longhi Spa Coppetta porta filtro di una macchia da caffe' e procedimento per produrre una bevanda di caffe'
US7661538B1 (en) * 2001-05-31 2010-02-16 Roush Life Science, LLC Disposable vacuum filtration funnel with integral prefilter
US6494128B1 (en) * 2002-05-08 2002-12-17 Hong Chao Yu Infusing container
US6477942B1 (en) * 2002-05-24 2002-11-12 Chuen Lan Guu Beverage infusion container
US6481337B1 (en) * 2002-05-24 2002-11-19 Chuen Lan Guu Controlling mechanism of beverage infusion container
US7182864B2 (en) * 2002-06-07 2007-02-27 Baldwin Filters, Inc. Housing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filter cartridge
US6805040B1 (en) * 2003-06-26 2004-10-19 Richard Chang Tea maker
EP1510158A1 (fr) * 2003-08-25 2005-03-02 Nestec S.A. Dispositif et méthode pour la préparation d'une boisson à partir d'une substance alimentaire contenue dans une capsule
NL1024160C2 (nl) * 2003-08-25 2005-02-28 Sara Lee De Nv Bereiding van een voor consumptie geschikte drank.
US7497340B2 (en) * 2004-02-19 2009-03-03 Stryker Corporation Manifold and filter assembly with filter basket
US7713483B2 (en) * 2004-03-01 2010-05-11 Hydro-Photon, Inc. Portable filter cap
EP1584878A3 (en) * 2004-04-06 2007-07-25 Lg Electronics Inc. Seal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US7670479B2 (en) * 2004-05-24 2010-03-02 PUR Water Purification, Inc. Fluid container having an additive dispensing system
US7407632B2 (en) * 2004-05-28 2008-08-05 Oxysure Systems, Inc. Apparatus and delivery of medically pure oxygen
TWM264961U (en) * 2004-11-15 2005-05-21 Ming-Chi Chung Automatic tea maker
US8414778B2 (en) * 2005-05-17 2013-04-09 Universal Bio Research Co., Ltd. Filtration method, filter-incorporated tip, and filtration device
US7798333B2 (en) * 2005-09-02 2010-09-21 Roush Life Sciences, Llc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vacuum filtration
EA011874B1 (ru) * 2006-04-03 2009-06-30 Мермейд Ко., Лтд. Обжарочный аппарат
US9629782B2 (en) * 2006-06-08 2017-04-25 Lacy Enterprises, Inc. Quick mixing baby formula cylinder and system
AU2007287504A1 (en) * 2006-08-25 2008-02-28 Delica Ag Means for penetrating portion packaging containing extractable material, device for extracting the extractable material contained in the portion packaging,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aid means
EP2946701B1 (en) * 2007-02-13 2018-04-18 Breville PTY Limited Improved coffee maker with single serve setting
US7856922B2 (en) * 2007-04-25 2010-12-28 Eddy Tjen Instant extraction cup
JP2010537797A (ja) * 2007-05-23 2010-12-09 ニプロ インク 真空濾過システム中の泡の制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7958816B2 (en) * 2007-08-31 2011-06-14 Shin-Shuoh Lin Multi-function beverage brewer and cup
US7836820B2 (en) * 2007-09-19 2010-11-23 Sunbeam Products, Inc. Brewing device having a delayed release mechanism
US7926414B1 (en) * 2008-01-15 2011-04-19 Justine Marie Wolcott Material for a manual drip coffee cone
US7895939B2 (en) * 2008-01-16 2011-03-01 Chih-Teng Pan Dual mode tea flask
WO2009133578A1 (en) * 2008-04-30 2009-11-05 La Marzocco S.R.L. Espresso coffee machine with preinfusion device
US20100031827A1 (en) * 2008-08-06 2010-02-11 Ying-Hsu Lai Tea maker
US8318011B2 (en) * 2008-10-15 2012-11-27 Miracle Straw Corporation, Inc. Portable drinking water purification device
JP2012515043A (ja) * 2009-01-16 2012-07-05 アロマビル コーヒ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使い捨てコーヒー豆抽出機
US20100212509A1 (en) * 2009-02-20 2010-08-26 Pao-Wu Tien Safety and guide type brewing kettle
US10034569B2 (en) * 2009-03-04 2018-07-31 O2C Raleigh, Llc Beverage filtering system
US20110005400A1 (en) * 2009-07-08 2011-01-13 Pao-Wu Tien Coffee making kettle using venturi
US9332875B2 (en) * 2009-08-13 2016-05-10 Breville Pty Limited Coffee maker with single serve setting
US8342337B1 (en) * 2010-03-25 2013-01-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Water sampling device and method for use with a radiation probe
US20110284442A1 (en) * 2010-05-24 2011-11-24 Emile Anthony Williams Pond Post-Vacuuming Filtration Bag
RU2012157163A (ru) * 2010-06-01 2014-07-20 Одэд ЛОЭБЛЬ Кофеварка
US20110303094A1 (en) * 2010-06-15 2011-12-15 Lown John M Coffee maker
US8479642B2 (en) * 2010-08-02 2013-07-09 Han Tsung Chen Tea pot with internal valve
US8516949B2 (en) * 2010-08-02 2013-08-27 Han Tsung Chen Tea pot with check valve
KR101614191B1 (ko) * 2010-08-06 2016-04-20 달라 피아자,엔리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US9179796B2 (en) * 2010-09-22 2015-11-10 Cornelia Bean Ltd. Beverage making container for placement onto a cup
US8808552B2 (en) * 2010-12-16 2014-08-19 Zenpure (Hangzhou) Co., Ltd. Stackable filter cup apparatus and method
US8789458B2 (en) * 2011-01-26 2014-07-2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Brewing system
US20120225176A1 (en) * 2011-03-02 2012-09-06 Distefano Michael Vincent Device for timing and automatically steeping tea
US8858795B2 (en) * 2011-03-22 2014-10-14 Jeffrey G McLane Filter apparatus
US10470602B2 (en) * 2011-06-13 2019-11-12 National Presto Industries, Inc. Pump coffee brewer
US8875753B2 (en) * 2011-07-28 2014-11-04 David Norris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layered drinks
US8763517B2 (en) * 2011-12-26 2014-07-01 Han Tsung Chen Tea pot with one-way valve
US8904923B2 (en) * 2011-12-27 2014-12-09 Whirlpool Corporation Coffee maker supporting single serving and multiple serving operation
WO2013011154A2 (de) * 2012-04-07 2013-01-24 Blomus Gmbh Zubereitungsvorrichtung für ein getränk, insbesondere für eistee
US9055836B2 (en) * 2012-11-05 2015-06-16 Ming-Tung Liu Tea brewer structure configured for easy disassembly and cleaning
US9332873B2 (en) * 2013-03-08 2016-05-10 Jung-Jung TIEN Lid structure configured for easy disassembly and cleaning
KR101453921B1 (ko) * 2013-05-31 2014-10-23 주식회사 상리 더치커피 제조용 휴대용기
CH708709A1 (de) * 2013-10-01 2015-04-15 Nootrie Ag Verfahren zum Mischen eines Pulvers mit einer Flüssigkeit sowie Kapsel und Misch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CN105874052B (zh) * 2013-11-04 2019-05-21 查尔斯河实验室公司 过滤***和其使用
US10278534B2 (en) * 2013-12-01 2019-05-07 Fellow Industries Inc. Beverage steeping and dispensing system
US9521923B2 (en) * 2013-12-24 2016-12-20 Pangaea Labs Ltd. Brewable beverage making cup adaptor for cartridge type coffee making machines and cartridge type coffee making machine
US9795240B2 (en) * 2014-04-17 2017-10-24 Desjardin, Llc Personal juice extractor system
US9723942B2 (en) * 2014-06-21 2017-08-08 Palm Coffeemaker LLC Brewing and filtering device for coffee and tea
JP6343558B2 (ja) 2014-12-26 2018-06-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スクイズ式計量注出容器
US10729275B2 (en) * 2017-03-14 2020-08-04 Arie Pisarevsky System for preparing and storing a cold bever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5319B2 (ja) * 2010-07-06 2012-12-26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KR101787271B1 (ko) * 2016-06-29 2017-10-17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51837A1 (ko) 2019-08-08
US20210030190A1 (en) 2021-02-04
KR20190094616A (ko) 2019-08-14
US11013359B2 (en) 2021-05-25
CN111655091A (zh) 2020-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403894B2 (en) Hand drip coffee tumbler
KR101173173B1 (ko) 적층가능 컵을 위한 커피 주입 프레스
US8012523B2 (en) Permanent filtering pod for brewing beverages
CN105962713B (zh) 一种多功能摇摇杯
KR102071046B1 (ko)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CA3186424A1 (en) Coffee making system
EP3733027B1 (en) Integrated brewing and drinking utensil
FR2713072A1 (fr) Porte-Filtre.
KR102062169B1 (ko)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KR101919108B1 (ko) 차 추출용 텀블러
KR102221396B1 (ko)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
EP1582127B1 (en) Device for adapting an express coffee machine to the use of coffee single-dose capsules
CN106136777B (zh) 一种可重复使用的胶囊饮品冲调杯
CN110234256A (zh) 用于冲泡饮料的浸泡设备和方法
KR101787271B1 (ko)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CN110121283A (zh) 咖啡冲泡器
KR102057924B1 (ko)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KR101584181B1 (ko) 핸드드립커피 텀블러
KR20180129043A (ko) 추출 음료 음용 용기
CN207524321U (zh) 空间置换之滤制容器
KR20190142989A (ko) 밸브 모듈을 포함하는 커피 텀블러
KR20180002552A (ko)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KR101772167B1 (ko) 드립 컵 용기
WO2014033432A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ffee brewing
CN116406912A (zh) 一种茶水分离的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