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924B1 -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 Google Patents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924B1
KR102057924B1 KR1020180135488A KR20180135488A KR102057924B1 KR 102057924 B1 KR102057924 B1 KR 102057924B1 KR 1020180135488 A KR1020180135488 A KR 1020180135488A KR 20180135488 A KR20180135488 A KR 20180135488A KR 102057924 B1 KR102057924 B1 KR 102057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ower container
beverage
sleeve
ext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한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빈스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빈스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빈스코프
Priority to KR1020180135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924B1/ko
Priority to CN201821990904.3U priority patent/CN210138072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는, 상측이 개방되고 추출되는 음료를 담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용기; 및 하측이 개방되고 상기 하부 용기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내부에 음료 추출을 위한 필터부재가 안착되는 필터 안착부가 마련되는 상부 용기;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PORTABLE HAND DRIP EXTRACTION EQUIPMENT OF BOTTLE TYPE}
본 발명은 커피 또는 차와 같은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핸드드립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와 사용이 편리하도록 보틀 타입으로 제작된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커피 또는 차와 같은 음료는 외부에서 구입하여 음용하거나, 티백 또는 인스턴트 커피 등을 이용하여 음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원두커피 분말이나 찻잎 분말 등의 원재료를 구입하여, 개인적으로 커피나 차와 같은 음료를 제조하여 음용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때,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방식은 매우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커피 추출 방법에는 핸드 드립(Hand drip), 에스프레소 머신(Espresso machine), 프렌치 프레스(French Press) 방식이 있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보일러의 압력과 모터를 이용하여 빠른 시간에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이고, 프렌치 프레스는 유리관 모양의 용기 안에 분쇄된 원두커피 분말을 담고 뜨거운 물을 부은 후, 금속성 필터로 원두커피 분말을 가압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한편, 핸드 드립은 가장 자연적인 방식으로서 깔때기 모양의 드립퍼(Driper)에 역삼각 원추형의 여과지를 깔고, 분쇄한 원두커피 분말을 담은 다음 뜨거운 물을 여과지에 부어 아래로 흘러내리게 하는 커피 추출 방식이다. 여기서, 핸드 드립을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를 드립 커피(drip coffee)라 한다.
이러한 드립 커피는 그 풍미와 고급성으로 인하여 널리 음용되고 있으며 음용자의 기호에 따라 자기만의 커피를 직접 드립하여 음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가정이나 일반 사무실 등에서는 물론이고, 캠핑 또는 운동과 같은 야외 활동 중에도 커피를 음용하기 위하여 미리 드립한 커피를 텀블러 등과 같은 별도의 용기에 담아서 운동 또는 캠핑 시 음용하거나 드립 커피 제조기를 직접 휴대하여 제조한 다음 음용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최근에는 휴대가 가능한 휴대용 드립 커피 제조기 등이 많이 제조되고 있다.
종래의 휴대용 드립커피 제조기는 드립되는 커피가 담기는 용기, 용기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필터부, 필터부의 상측에서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커피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그라인더부 및 그라인더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같이 종래의 휴대용 드립 커피 제조기는 그 구조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드립 커피 제조기는 그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제작성이 좋지 못해서 휴대용 드립 커피 제조기의 제조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50521호 (발명의 명칭: 핸드드립커피 텀블러, 공개일: 2015. 05. 08.)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틀 형태로 제공되어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면서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 핸드드립 방식으로 커피나 차 등의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측이 개방되고 추출되는 음료를 담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용기; 및 하측이 개방되고 상기 하부 용기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내부에 음료 추출을 위한 필터부재가 안착되는 필터 안착부가 마련되는 상부 용기; 를 포함하는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용기는, 휴대 및 보관시에는 상기 하부 용기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고, 음료 추출시에는 상기 하부 용기에서 분리하여 상기 개방된 하측이 위로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 용기의 상단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용기는 상측에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가 형성되고, 음료 추출시 상기 음료 배출구가 형성된 상측이 아래로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 용기의 상단부에 안착되고, 상기 상부 용기의 상기 필터 안착부에는 상기 필터부재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재를 통해 추출되는 음료는 상기 음료 배출구를 통해 상기 하부 용기의 내부에 담겨질 수 있다.
상기 핸드드립 기구는, 상기 상부 용기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용기의 상기 음료 배출구를 덮는 캡;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용기는, 상기 하부 용기에서 분리하여 상기 개방된 하측이 위로 향하도록 뒤집어서 상기 하부 용기의 상단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음료 추출시 상기 하부 용기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하부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안착부는, 상기 상부 용기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좁아지되, 상기 필터부재가 지나치게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면이 다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드드립 기구는, 상기 하부 용기를 에워싸도록 상기 하부 용기에 결합되는 슬리브;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보다 상측에 위치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부 용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는, 상기 상부 용기가 상기 하부 용기에서 분리하여 개방된 하측이 위로 향하도록 뒤집어져 상기 하부 용기의 상단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음료 추출시, 상기 하부 용기의 바닥면에 대한 음료 추출 높이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용기를 위로 들어올려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핸드드립 기구는, 상기 슬리브를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하부 용기에 대해 그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수단;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에는, 상기 하부 용기의 외측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는,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가 결합된 보틀 형태로 제공되어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면서도, 상부 용기를 하부 용기에서 분리하여 뒤집어서 하부 용기의 상단부에 올려놓고 거름종이 등의 필터부재가 안착되는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에 의해 핸드드립 방식으로 커피나 차 등의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 드립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 드립기구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 드립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 드립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 드립기구의 결합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 드립기구의 위치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슬리브의 일부를 절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 드립기구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 드립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 타입의휴대용 핸드드립 기구(100, 이하 '핸드드립 기구' 라 함)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드립 기구(100)는, 상측이 개방되고 추출되는 음료를 담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용기(110) 및 하측이 개방되고 추출되는 하부 용기(110)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내부에 음료 추출을 위한 필터부재(미도시)가 안착되는 필터 안착부(122)가 마련되는 상부 용기(12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기구(100)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기구(100)의 결합 단면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기구(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용기(110)는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이 폐쇄되어 추출되는 음료를 담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때, 추출되는 음료는 커피나 차와 같이 뜨거운 음료이기 때문에 내열성이 우수하고 환경호르몬이 배출되지 않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하부 용기(110)는 플라스틱(P.P) 재질일 수 있으며, 특히 에코젠(ecozen)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에코젠 플라스틱은 플라스틱의 종류로서 내열성이 우수하고 환경 호르몬이 검출되지 않는 재질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용기(110)의 개방된 상측에는 상부 용기(120)가 결합된다. 이때, 하부 용기(110)와 상부 용기(120)는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된다. 하부 용기(110)의 상단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용기 결합부(118)가 형성됨으로써 상부 용기(12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하부 용기(110)와 상부 용기(120)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드립 기구(100)는 휴대 및 보관시 상부 용기(120)가 하부 용기(110)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고, 음료 추출시 상부 용기(120)를 하부 용기(110)에서 분리하여 개방된 하측이 위로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에서 하부 용기(110)의 상단부에 안착되어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용기(120)는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내용물이 담기며, 추출된 음료를 하부 용기(110)로 배출하기 위한 부분이다.
여기서, 상부 용기(120)에 담기는 내용물은 원두커피 분말이나 찻잎 분말 등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일 수 있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내용물을 커피 분말로 한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부 용기(12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깔때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 용기(120)는 뒤집어놓았을 때 하부 용기(110) 측으로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용기(120)의 내부에는 필터 안착부(122)가 형성된다. 필터 안착부(122)는 커피 분말이 담기는 필터부재(미도시)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부 용기(120)의 필터 안착부(122)에 필터부재가 안착된 상태에서 커피 분말을 담고 물을 따르면 물이 필터부재를 통과하여 하부 용기(110)의 내부로 담기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안착부(122)의 내측면은 다단 구조로 형성된다. 필터 안착부(122)의 다단 구조는 다수개의 단턱이 층을 이루듯이 형성되는 것이다. 다단 구조는 필터 안착부(122)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다단 구조의 직경도 상부 용기(120)를 뒤집어놓았을 때 하부 용기(110) 측으로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 안착부(122)의 내측면이 다단 구조로 형성되는 것은 필터부재가 필터 안착부(122)의 내측면에 지나치게 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필터 안착부(122)의 내측면이 다단 구조로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필터 안착부(122)에 안착되는 필터부재가 필터 안착부(122)의 내측면에 지나치게 밀착되어 음료의 추출이 더디게 되고, 필터부재가 필터 안착부(122)의 내부에 달라 붙어서 음료 추출 후에 필터부재를 제거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한편, 필터 안착부(122)에 안착되는 필터부재는 커피 분말을 거르기 위하여 거름종이, 여과지와 같은 종이 필터(paper filter)로 마련된다. 예컨대, 필터부재는 금속 필터(metal filter)로 제공될 수도 있다. 만약, 필터부재가 금속 필터로 제공되면 필터 안착부(122)에 안착된 상태로 핸드드립 기구(100)와 일체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필터 안착부(122)도 상부 용기(12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용기(120)의 상측에는 캡(130)이 결합된다. 이때, 상부 용기(120)와 캡(130)은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부 용기(120)의 상측에는 캡 결합부(121)가 형성되어 캡(130)과 결합될 수 있다. 참고로, 캡(130)은 끼움 방식으로 상부 용기(120)와 결합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캡(130)은 휴대 및 보관시에는 상부 용기(12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부 용기(120)를 덮고, 음료 추출시 상부 용기(120)에서 분리된다. 캡(130)에 의해 상부 용기(120)를 덮음으로써 상부 용기(12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드립 기구(100)를 이용하여 음료 추출시와 휴대 및 보관시 캡(130)의 결합 상태를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기구(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기구(100)의 결합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드립 기구(100)는 커피 분말을 이용하여 음료 추출시 상부 용기(120)가 하부 용기(110)에서 분리하여 상부 용기(120)의 개방된 하측이 위로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에서 하부 용기(110)의 상단부에 안착되어 제공된다.
하부 용기(110)의 상단부에 안착된 상부 용기(120)는 음료 추출을 위한 커피 분말이 담기며 커피 분말을 통해 추출된 음료는 하부 용기(110)로 배출된다. 뒤집어진 상태의 상부 용기(120)의 상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124)가 형성되고 상부 용기(120)의 하측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부 용기(120)에 형성되는 음료 배출구(124)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부 용기(120)에서 추출된 음료가 하부 용기(110) 쪽으로 배출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방사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부 용기(120)에는 지지부(128)가 마련된다. 지지부(128)는 상부 용기(120)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되 돌출된 돌기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지지부(128)는 하부 용기(110)와 하부 용기(110)의 상단부에 뒤집힌 상태로 위치된 상부 용기(120)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지지부(128)가 상부 용기(120)의 외주면에 형성됨에 따라 뒤집어진 상태로 하부 용기(110)에 안착된 상부 용기(120)를 하부 용기(110)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지지부(128)가 상부 용기(120)의 일측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하부 용기(110)에 뒤집어진 상태로 안착되는 상부 용기(12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상부 용기(120)의 양측에 모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드립 기구(100)는 슬리브(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140)는 하부 용기(110)를 에워싸도록 하부 용기(11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리브(140)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리브(140)는 사용자가 뜨거운 음료가 담긴 하부 용기(110)를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하부 용기(110)에는 단턱 형태의 슬리브 안착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 안착부(114)는 하부 용기(110)의 외주면에 에워싸도록 마련되는 슬리브(140)를 하부 용기(110)에 대해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한편, 슬리브(140)는 제1 위치(H1)에서 제1 위치(H1) 보다 상측에 위치한 제2 위치(H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부 용기(12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슬리브(140)가 제1 위치(H1)에서 제2 위치(H2)로 이동됨에 따라 하부 용기(110)의 상단부에 뒤집어진 상태로 안착된 상부 용기(120)를 위쪽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드립 기구(100)의 휴대 및 보관시에는 슬리브(140)가 제1 위치(H1)에 위치되고, 핸드드립 기구(110)를 이용하여 음료 추출시에는 슬리브(140)가 제1 위치(H1) 또는 제2 위치(H2)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슬리브(140)의 위치에 따라 하부 용기(110)에 추출되는 음료의 양, 즉 담기는 음료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 및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140)가 제1 위치(H1)에 위치되면, 상부 용기(120)는 뒤집어진 상태에서 하부 용기(110)와 외주면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부 용기(120)의 음료 배출구(124)가 하부 용기(110)의 내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하부 용기(110)로 음료가 어느 정도 추출되면 하부 용기(110)의 내측에 위치된 상부 용기(120)의 음료 배출구(124)가 잠길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용기(120)의 음료 배출구(124)가 잠기게 되면 하부 용기(110)에 더 이상 음료를 담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하부 용기(110)로 추출되는 음료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도 4의 (b) 및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140)를 제1 위치(H1)에서 제2 위치(H2)로 이동시켜서 음료를 추출한다. 이때, 슬리브(140)의 이동에 따라 상부 용기(120)도 하부 용기(110)에 대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부 용기(120)는 슬리브(140)에 의해 지지되는데, 상부 용기(120)는 하부 용기(110)의 상단부와 거의 접촉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 용기(120)의 음료 배출구(124)는 하부 용기(110)의 내부에 위치되지 않고 하부 용기(110)의 외측, 즉 상부에 위치되게 된다. 상부 용기(120)가 위쪽으로 이동됨으로 인하여 하부 용기(110)의 바닥면에 대한 음료 추출 높이가 증가되어 사용자는 하부 용기(110)에 더 많은 양의 음료가 추출되도록 할 수있다. 즉, 슬리브(140)가 제1 위치(H1)에 위치될 때보다 제2 위치(H2)에 되어 상부 용기(120)가 상승된 위치에 위치될 경우에 하부 용기(110)로 더 많은 양의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140)에는 개구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44)는 슬리브(140)의 외주면에 관통 형성되어 하부 용기(110)의 외측면 일부를 노출시킨다. 개구부(144)는 하부 용기(110)에 마련되는 브랜드명을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개구부(144)는 하부 용기(1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서 하부 용기(110)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슬리브(140)가 제1 위치(H1)에서 제2 위치(H2)로 이동되어 상부 용기(120)가 위로 들어올려져서 음료가 추출될 때, 슬리브(140)에 형성된 개구부(144)를 통해 하부 용기(11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서 하부 용기(110)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는 제한함으로써 음료 추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기구(100)의 위치고정수단(142)을 설명하기 위해 슬리브(140)의 일부를 절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드립 기구(100)는 슬리브(140)를 제1 위치(H1) 또는 제2 위치(H2)에서 하부 용기(110)에 대해 그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수단(1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드립 기구(100)에서 위치고정수단(142)은 하부 용기(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위치고정돌기(142a)와 슬리브(14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돌기고정홈(142b)으로 제공된다.
이때, 위치고정돌기(142a)는 하부 용기(110)의 일측에 돌기 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돌기고정홈(142b)은 슬리브(140)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상측과 하단이 절곡된 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140)가 제1 위치(H1)에 위치되었을 때 슬리브(1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 용기(110)의 위치고정돌기(142a)가 슬리브(140)의 상단부에 형성된 돌기고정홈(142b)에 고정된다. 반대로,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14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돌기고정홈(142b)의 상부에 위치된 위치고정돌기(142a)를 빼낸다. 슬리브(140)가 제1 위치(H1)에서 제2 위치(H2)로 이동되었을 때 슬리브(1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 용기(110)의 위치고정돌기(142a)가 슬리브(140)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고정홈(142b)에 고정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수단(142)은 상기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슬리브(140)를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로든 변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기구(100)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캡(130)은 상부 용기(120)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캡(130)은 캡(130)은 핸드드립 기구(100)를 이용하여 음료 추출시에는 상부 용기(120)의 상단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제공되고, 핸드드립 기구(100)의 휴대 및 보관시에는 상부 용기(120)에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어 상부 용기(120)의 음료 배출구(124)를 덮을 수 있다. 캡(130)이 상부 용기(120)에 결합됨에 따라 상부 용기(12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130)은 상부 용기(130)와 결합되어 일종의 컵(cup)과 같은 보조 용기로 제공될 수 있다. 캡(130)을 상부 용기(120)의 상단부에 결합하면 음료 배출구(124)가 형성된 상부 용기(120)의 상측은 폐쇄되고 하측은 개방된 상태가 된다. 특히, 캡(130)의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캡(130)이 결합된 상부 용기(120)를 바닥에 안전하게 놓을 수 있고, 놓여진 상부 용기(120)의 내부에 추출된 음료를 담아서 마실 수 있다.
또한, 캡(130)에는 고리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고리부(132)는 사용자가 고리, 줄 등의 보조 수단(미도시)를 연결하여 핸드드립 기구(100)를 휴대 및 보관하는 것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드립 기구(10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핸드드립 기구(100-1)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8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드립 기구(100)의 변형예에 따른 핸드드립 기구(100-1)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부 용기(120)에는 공기 배출구(126)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26)는 하부 용기(110)에 대해 상부 용기(120)가 뒤집혀서 안착된 상태에서 음료 추출시 하부 용기(1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서 하부 용기(110)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26)는 홈 또는 그루브의 형태로 형성되며, 특히, 슬리브(140)가 제1 위치(H1)에 위치된 상태에서 음료를 추출하는 경우 공기 배출구(126)는 음료 추출시 상부 용기(120)가 하부 용기(110)와 접촉되는 상부 용기(120)의 일측면에 움푹하게 패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추출시, 공기 배출구(126)가 형성된 상부 용기(120)와 하부 용기(110)가 접촉되더라도 상부 용기(120)와 하부 용기(110) 사이는 상부 용기(120)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126)로 인해 틈이 발생된다. 이 틈을 통해 하부 용기(1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음료 추출시, 상부 용기(120)에 공기 배출구(126)가 형성됨에 따라 하부 용기(110)의 상단부에 상부 용기(120)가 뒤집어져서 안착되더라도 하부 용기(110)의 내부가 밀폐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드립 기구(100)의 사용 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상부 용기(120)에서 캡(130)을 분리하고, 하부 용기(110)로부터 상부 용기(120)를 분리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음료 추출을 위해 상부 용기(120)를 개방된 하측이 위로 향하도록 뒤집어서 하부 용기(110)의 상단부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부 용기(120)의 필터 안착부(122)에 거름종이 등과 같은 필터부재(미도시)가 위치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필터부재가 안착된 필터 안착부(122)에 음료 추출을 위한 내용물을 담고, 담긴 내용물에 양에 대응되는 뜨거운 물을 따른다. 이때, 필터 안착부(122)에 담기는 내용물은 커피 추출을 위한 원두커피 분말일 수 있다.
이때, 더 많은 양의 음료를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 슬리브(140)를 제1 위치(H1)에서 제2 위치(H2)로 이동시켜서 상부 용기(120)를 위로 들어올려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하부 용기(110)의 바닥면에 대한 음료 추출 높이를 증가시킨다.
참고로, 필요한 경우 상부 용기(120)에 캡(130)을 결합시켜서 보조 용기, 즉 보조컵으로 이용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뒤집어진 상부 용기(120)를 하부 용기(110)에서 들어올려 하부 용기(110)의 내부에 담긴 음료를 섭취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음료 추출 및 추출된 음료의 섭취를 완료한 핸드드립 기구(100)를 세척한다.
마지막으로, 세척이 완료된 핸드드립 기구(100)는 하부 용기(110)에 슬리브(14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용기(110)에 대해 상부 용기(120)를 결합하고, 상부 용기(120)에 캡(130)을 결합한다. 하부 용기(110), 상부 용기(120) 및 캡(130)이 결합시키면 핸드드립 기구(100)는 보틀(bottle) 타입으로 형성되어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100-1: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110: 하부 용기 114: 슬리브 안착부
118: 용기 결합부 120: 상부 용기
121: 캡 결합부 122: 필터 안착부
124: 음료 배출구 126: 공기 배출구
128: 지지부 130: 캡
132: 고리부 140: 슬리브
142: 위치 고정수단 142a: 위치고정돌기
142b: 돌기고정홈 144: 개구부
H1: 제1 위치 H2: 제2 위치

Claims (11)

  1. 상측이 개방되고 추출되는 음료를 담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용기;
    하측이 개방되고 상기 하부 용기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내부에 음료 추출을 위한 필터 부재가 안착되는 필터 안착부가 마련되는 상부 용기; 및
    상기 하부 용기를 에워싸도록 상기 하부 용기에 결합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보다 상측에 위치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부 용기에 결합되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상부 용기가 상기 하부 용기에서 분리하여 개방된 하측이 위로 향하도록 뒤집어져 상기 하부 용기의 상단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음료 추출시, 상기 하부 용기의 바닥면에 대한 음료 추출 높이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용기를 위로 들어올려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용기는,
    휴대 및 보관시에는 상기 하부 용기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고, 음료 추출시에는 상기 하부 용기에서 분리하여 상기 개방된 하측이 위로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 용기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타입의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용기는 상측에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가 형성되고, 음료 추출시 상기 음료 배출구가 형성된 상측이 아래로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 용기의 상단부에 안착되고,
    상기 상부 용기의 상기 필터 안착부에는 상기 필터부재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재를 통해 추출되는 음료는 상기 음료 배출구를 통해 상기 하부 용기의 내부에 담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용기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용기의 상기 음료 배출구를 덮는 캡;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5. 상측이 개방되고 추출되는 음료를 담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용기; 및
    하측이 개방되고 상기 하부 용기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내부에 음료 추출을 위한 필터 부재가 안착되는 필터 안착부가 마련되는 상부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용기는 휴대 및 보관시에는 상기 하부 용기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고, 음료 추출시에는 상기 하부 용기에서 분리하여 상기 개방된 하측이 위로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 용기의 상단부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용기는 상측에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가 형성되고, 음료 추출시 상기 음료 배출구가 형성된 상측이 아래로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 용기의 상단부에 안착되고,
    상기 상부 용기의 상기 필터 안착부에는 상기 필터부재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재를 통해 추출되는 음료는 상기 음료 배출구를 통해 상기 하부 용기의 내부에 담겨지며,
    상기 상부 용기는 상기 하부 용기에서 분리하여 상기 개방된 하측이 위로 향하도록 뒤집어서 상기 하부 용기의 상단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음료 추출시 상기 하부 용기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하부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6. 제1항에 잇어서,
    상기 필터 안착부는,
    상기 상부 용기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좁아지되,
    상기 필터부재가 지나치게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면이 다단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를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하부 용기에 대해 그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에는,
    상기 하부 용기의 외측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KR1020180135488A 2018-11-06 2018-11-06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KR102057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488A KR102057924B1 (ko) 2018-11-06 2018-11-06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CN201821990904.3U CN210138072U (zh) 2018-11-06 2018-11-30 瓶型便携式手冲器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488A KR102057924B1 (ko) 2018-11-06 2018-11-06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924B1 true KR102057924B1 (ko) 2019-12-20

Family

ID=69062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488A KR102057924B1 (ko) 2018-11-06 2018-11-06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7924B1 (ko)
CN (1) CN210138072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5556B2 (ja) * 1993-08-24 2001-10-0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新規ヒドロキシメチル基含有フェノール化合物
KR101344604B1 (ko) * 2013-06-06 2013-12-26 성현욱 합성수지 컵
KR101862483B1 (ko) * 2016-11-29 2018-05-29 다로스 주식회사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5556B2 (ja) * 1993-08-24 2001-10-0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新規ヒドロキシメチル基含有フェノール化合物
KR101344604B1 (ko) * 2013-06-06 2013-12-26 성현욱 합성수지 컵
KR101862483B1 (ko) * 2016-11-29 2018-05-29 다로스 주식회사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0138072U (zh) 2020-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403894B2 (en) Hand drip coffee tumbler
US9723942B2 (en) Brewing and filtering device for coffee and tea
US7540232B2 (en) Hot beverage maker brew basket adaptor
US6797304B2 (en) French press coffee maker with assembly to selectively reduce contact of grounds with liquid coffee
US20100263548A1 (en) Drink extracting apparatus
KR200470218Y1 (ko) 보온용기
KR101428669B1 (ko) 휴대용 드립커피 메이커
KR200459398Y1 (ko)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US6726946B1 (en) Method of infusing a drink
US8734874B1 (en) Beverage brewing lid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uch a lid
US20210378437A1 (en) Coffee making system
CN204889660U (zh) 一种便于随身携带的现磨咖啡器
KR101651519B1 (ko) 휴대용 드립 커피 추출기
KR102057924B1 (ko)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KR101804326B1 (ko)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US11013359B2 (en) Drip contain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KR101711415B1 (ko) 휴대용 압력식 음료 추출기
KR101610588B1 (ko) 커피 압출기
KR102221396B1 (ko)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
KR200458422Y1 (ko) 차 음용을 위한 물병 마개형 휴대용 인퓨저
KR102062169B1 (ko)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JP3220482U (ja) 飲料用ドリッパー
KR101584181B1 (ko) 핸드드립커피 텀블러
KR200461353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KR200309892Y1 (ko) 다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