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896B1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896B1
KR102058896B1 KR1020130128123A KR20130128123A KR102058896B1 KR 102058896 B1 KR102058896 B1 KR 102058896B1 KR 1020130128123 A KR1020130128123 A KR 1020130128123A KR 20130128123 A KR20130128123 A KR 20130128123A KR 102058896 B1 KR102058896 B1 KR 102058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le connector
female connector
lever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7985A (ko
Inventor
한경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8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896B1/ko
Publication of KR20150047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 조립체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커넥터 조립체는: 암커넥터와, 암커넥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수커넥터와, 수커넥터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를 결합시키는 레버 및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의 삽입작업에 연동되어 레버의 회동을 방지하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결합과 연동되어 이중록킹이 가능하고, 커넥터간 유격을 축소하여 커넥터 유동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전성 단자를 장착하고 있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그리고 단자는 와이어와 같은 별도의 전기적인 구성요소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한편, 커넥터는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로 구분되며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는 항상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결합된다.
이때,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결합이 불완전한 경우에는 전기 접속의 질이 떨어진다. 즉, 커넥터를 초기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수커넥터가 암커넥터 안으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거나 혹은 커넥터를 사용하는 중에 흔들림으로 인하여 수커넥터가 약간이라도 암커넥터로부터 빠져나오는 경우 전기 접속이 불완전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기적인 구성요소들이 사용중에 거의 지속적으로 진동을 받게 되는 자동차의 경우에 종종 발생되며, 이러한 문제점들을 피하기 위해 암커넥터와 수커넥터가 완전히 결합되었는지를 클릭감으로 인지할 수 있고, 진동이나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수커넥터가 암커넥터로부터 빠지지 아니하도록 록킹레버를 구비하는 커넥터가 흔히 사용되고 있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 제2009-0059062호(공개일:2009.06.10)에는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결합과 연동되어 이중록킹이 가능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함으로 물론, 이중록킹의 미체결로 인한 품질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간의 유격으로 인한 커넥터소손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암커넥터와, 상기 암커넥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커넥터와, 상기 수커넥터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수커넥터와 상기 암커넥터를 결합시키는 레버 및 상기 수커넥터와 상기 암커넥터의 결합에 연동되어 상기 레버의 회동을 방지하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킹부는 상기 암커넥터에 구비되는 작동리브 및 상기 수커넥터에 구비되어 상기 암커넥터와 상기 수커넥터의 결합 시 상기 작동리브와 접촉되어 회전되고, 상기 레버의 회동을 방지하는 로킹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접촉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킹블럭에는 상기 로킹블럭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제1접촉돌기와 접촉되는 제2접촉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킹블럭은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리브에는 상기 작동리브의 길이방향으로 제1기어산이 형성되고, 상기 로킹블럭의 둘레면에는 상기 제1기어산이 치합되는 제2기어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커넥터에는 상기 로킹부와 연동되어 상기 수커넥터와 상기 암커넥터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축소하는 유격축소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격축소부는 상기 수커넥터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로킹블럭과 연결되어 상기 로킹블럭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기어 및 상기 회전기어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커넥터의 측면으로 출몰되는 유격축소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결합과 연동되어 이중록킹이 가능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이중록킹의 미체결로 인한 품질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결합과 연동되는 구조에 의해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위치에 있는 경우에서 이중록킹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결합만으로 이중록킹 뿐만 아니라 유격축소부에 의해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유격을 축소할 수 있어 커넥터소손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로킹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로킹부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유격축소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유격축소부의 작동에 의한 유격축소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로킹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로킹부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유격축소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유격축소부의 작동에 의한 유격축소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00)는 암커넥터(110), 수커넥터(120), 레버(130) 및 로킹부(140)를 포함한다.
암커넥터(110)는 수커넥터(12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수커넥터(120)의 형상과 대응되게 함몰되어 형성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단자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커넥터(120)는 암커넥터(110)의 함몰된 공간내부에 끼워지며 복수개의 단자홀에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탭단자가 구비된다.
레버(130)는 수커넥터(12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수커넥터(120)와 암커넥터(110)를 결합시킨다. 즉, 레버(130)는 수커넥터(120)의 상면에 자체탄성을 지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수커넥터(120)의 레버(130) 양측에는 가이드돌기(122)가 돌출 형성되고, 암커넥터(110)에는 가이드돌기(122)와 대응되는 가이드홈(112)이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므로써, 암커넥터(110)에 수커넥터(120) 삽입시 직선으로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암커넥터(110)의 내측 상단에는 걸림턱(115)이 형성되고, 레버(130)에는 걸림턱(115)과 대응되는 단턱(135)이 형성되어 걸림턱(115)과 단턱(135)의 결합에 의해 암커넥터(110)로부터 수커넥터(120)의 이탈을 방지한다.
로킹부(140)는 수커넥터(120)와 암커넥터(110)의 삽입작업에 연동되어 레버(130)의 회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로킹부(140)는 암커넥터(110)에 구비되는 작동리브(142) 및 수커넥터(120)에 구비되어 암커넥터(110)와 수커넥터(120)의 결합 시 작동리브(142)와 접촉되어 회전되고, 레버(130)의 회동을 방지하는 로킹블럭(144)을 포함한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리브(142)는 암커넥터(110)의 내측 상면에서 수커넥터(120)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일측 가이드돌기(122)와 레버(130) 사이를 따라 이동되며, 로킹블럭(144)은 수커넥터(12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작동리브(142)의 접촉 시 회전되어 레버(130)의 하부로 이동된다.
레버(130)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접촉돌기(137)가 형성되고, 로킹블럭(144)에는 로킹블럭(144)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1접촉돌기(137)와 접촉되는 제2접촉돌기(147)가 형성된다. 즉, 암커넥터(110)와 수커넥터(120)의 조립에 연동되어 로킹블럭(144)의 회전되게 되고, 제1접촉돌기(137)와 제2접촉돌기(147)가 일치되면, 레버(130)는 하방으로 회동되지 못하여 암커넥터(110)와 수커넥터(120)의 분리가 방지되는 구조이다.
이때, 로킹블럭(144)은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로킹블럭(144)의 이러한 형상에 의해 수커넥터(120)의 협소한 공간에서 레버(130)와의 접촉이 없는 상태에서 작동리브(142)의 접촉에 의해 레버(130)의 하단으로 진입되는 작동이 가능하다.
한편,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부(150)의 변형예로서, 작동리브(152)에는 작동리브(152)의 길이방향으로 제1기어산(153)이 형성되고, 로킹블럭(154)의 둘레면에는 제1기어산(153)이 치합되는 제2기어산(155)이 형성된다. 이는 암커넥터(110)와 수커넥터(120)의 결합 시 로킹블럭(154)이 정확하게 회전되어 로킹블럭(154)의 제2접촉돌기(157)가 정확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기어산(155)이 적용된 로킹블럭(154)은 회전기어(162)와 동일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로킹블럭(154)은 수커넥터(120)의 상면에 노출되고, 회전기어(162)는 수커넥터(120)의 내부에 구비된다.
수커넥터(120)에는 로킹부(140,150)와 연동되어 수커넥터(120)와 암커넥터(110)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축소하는 유격축소부(160)가 더 구비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에서는 제1,2기어산(153,155)이 각각 구비된 로킹부(150)에 유격축소부(160)가 적용된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유격축소부(16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커넥터(120) 내부에 구비되고, 로킹블럭(154)과 연결되어 로킹블럭(154)의 회전과 함게 회전되는 회전기어(162) 및 회전기어(162)의 회전에 의해 수커넥터(120)의 측면으로 출몰되는 유격축소리브(164)를 포함한다. 유격축소리브(164)는 회전기어(162)를 중심으로 점대칭되도록 각각 구비되어 회전기어(162)의 회전에 의해 유격축소리브(164)는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회전기어(162)는 로킹블럭(154)과 동일축으로 이루어져 작동리브(152)의 접촉에 의해 함께 회전되며, 회전기어(162)에 치합된 유격축소리브(164)는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수커넥터(120)의 양측면으로 각각 출몰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00)는 암커넥터(110)와 수커넥터(120)의 결합과 연동되어 이중록킹이 가능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커넥터의 차량 장착위치가 복잡할 경우에도 어려움 없이 커넥터를 조립할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암커넥터(110)로 수커넥터(120)를 결합한다. 수커넥터(120)는 가이드돌기(122)와 가이드홈(112)에 의해 직선으로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레버(130)의 단턱(135)은 암커넥터(110)에 형성되는 걸림턱(115)과 결합되어 암커넥터(110)와 수커넥터(120)의 분리를 방지하는 1차록킹이 완료된다. 이와 동시에, 암커넥터(110)의 작동리브(142)는 가이드돌기(122)와 레버(130) 사이로 이동되면서, 로킹블럭(144)과 접촉되어 회전시킨다. 로킹블럭(144)은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져 최초에는 레버(130)의 제1접촉돌기(137)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되고, 작동리브(142)의 접촉에 의해 회전된다. 로킹블럭(144)은 회전에 의해 수커넥터(120)와 상면과 레버(130) 사이에 개재되게 되고, 레버(130)의 제1접촉돌기(137)와 로킹블럭(144)의 제2접촉돌기(147)가 서로 접하므로, 레버(130)의 회동을 방지하여 2차록킹이 완료된다.
이처럼 로킹블럭(144)에 의해 레버(130)의 회동이 저지되므로 외력에 의해 레버(130)가 눌려 암커넥터(110)와 수커넥터(1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암커넥터(110)와 수커넥터(120)의 결합과 연동되어 2차록킹이 가능하므로 결합 시 작업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이중록킹 미실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품질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암커넥터(110)와 수커넥터(120)가 복잡한 부위에 위치하더라도 결합이 용이한 편의성을 제공한다.
한편,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부(150)의 변형예로서, 작동리브(152)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기어산(153)이 형성되고, 로킹블럭(154)의 둘레면에는 제2기어산(155)이 형성되어 상호 치합되어 작동리브(152)의 이동을 로킹블럭(154)의 회전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로킹블럭(154)의 상면에는 레버(130)의 제1접촉돌기(137)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2접촉돌기(157)가 형성된다.
이는 제1,2기어산(153,155)의 맞물림으로 작동리브(152)의 이동을 로킹블럭(154)의 회전으로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 체결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00)는 유격축소부(160)에 의해 암커넥터(110)와 수커넥터(120)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커넥터 체결력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이를 살펴보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커넥터(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로킹블럭(154)과 동일 축으로 연결된 회전기어(162)가 로킹블럭(154)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면, 회전기어(162)에 각각 치합된 유격축소리브(164)가 수커넥터(120)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면서 암커넥터(110)와 수커넥터(120)의 유격을 축소한다. 이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유격축소리브(164)가 돌출되지 않을 때는 암커넥터(110)와 수커넥터(120)에 유격이 존재하므로 삽입이 용이하고, 삽입된 후에는 유격축소리브(164)가 돌출되므로 유격을 축소하여 암커넥터(110)와 수커넥터(120)의 체결력을 향상시킨다.
이처럼 유격축소리브(164)에 의해 체결력이 향상되므로 진동으로 인한 유동발생 접촉저항 증가를 방지하여 커넥터의 소손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결합과 연동되어 이중록킹이 가능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이중록킹의 미체결로 인한 품질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결합과 연동되는 구조에 의해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위치에 있는 경우에서 체결이 용이하다. 또한, 유격축소부에 의해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결합이 용이하고 유격을 축소할 수 있어 커넥터 소손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커넥터 조립체 110 : 암커넥터
112 : 가이드홈 115 : 걸림턱
120 : 수커넥터 122 : 가이드돌기
130 : 레버 135 : 단턱
137 : 제1접촉돌기 140, 150 : 로킹부
142, 152 : 작동리브 147, 157 : 제2접촉돌기
153 : 제1기어산 155 : 제2기어산
160 : 유격축소부 162 : 회전기어
164 : 유격축소리브

Claims (7)

  1. 암커넥터;
    상기 암커넥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커넥터;
    상기 수커넥터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수커넥터와 상기 암커넥터를 결합시키는 레버; 및
    상기 수커넥터와 상기 암커넥터의 결합에 연동되어 상기 레버의 회동을 방지하는 로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부는,
    상기 암커넥터에 구비되는 작동리브; 및
    상기 수커넥터에 구비되어 상기 암커넥터와 상기 수커넥터의 결합 시 상기 작동리브와 접촉되어 회전되고, 상기 레버의 회동을 방지하는 로킹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접촉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킹블럭에는 상기 로킹블럭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제1접촉돌기와 접촉되는 제2접촉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암커넥터;
    상기 암커넥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커넥터;
    상기 수커넥터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수커넥터와 상기 암커넥터를 결합시키는 레버; 및
    상기 수커넥터와 상기 암커넥터의 결합에 연동되어 상기 레버의 회동을 방지하는 로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부는,
    상기 암커넥터에 구비되는 작동리브; 및
    상기 수커넥터에 구비되어 상기 암커넥터와 상기 수커넥터의 결합 시 상기 작동리브와 접촉되어 회전되고, 상기 레버의 회동을 방지하는 로킹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블럭은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리브에는 상기 작동리브의 길이방향으로 제1기어산이 형성되고;
    상기 로킹블럭의 둘레면에는 상기 제1기어산이 치합되는 제2기어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6. 암커넥터;
    상기 암커넥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커넥터;
    상기 수커넥터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수커넥터와 상기 암커넥터를 결합시키는 레버; 및
    상기 수커넥터와 상기 암커넥터의 결합에 연동되어 상기 레버의 회동을 방지하는 로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부는,
    상기 암커넥터에 구비되는 작동리브; 및
    상기 수커넥터에 구비되어 상기 암커넥터와 상기 수커넥터의 결합 시 상기 작동리브와 접촉되어 회전되고, 상기 레버의 회동을 방지하는 로킹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수커넥터에는 상기 로킹부와 연동되어 상기 수커넥터와 상기 암커넥터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축소하는 유격축소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축소부는 상기 수커넥터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로킹블럭과 연결되어 상기 로킹블럭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기어; 및
    상기 회전기어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커넥터의 측면으로 출몰되는 유격축소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30128123A 2013-10-25 2013-10-25 커넥터 조립체 KR102058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123A KR102058896B1 (ko) 2013-10-25 2013-10-25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123A KR102058896B1 (ko) 2013-10-25 2013-10-25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985A KR20150047985A (ko) 2015-05-06
KR102058896B1 true KR102058896B1 (ko) 2019-12-24

Family

ID=53386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123A KR102058896B1 (ko) 2013-10-25 2013-10-25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89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819A (ja) * 1993-08-06 1995-02-21 Nhk Spring Co Ltd タイヤ空気圧モニタ装置
JP5050820B2 (ja) * 2007-12-05 2012-10-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8192212B2 (en) * 2008-08-04 2012-06-05 Fci Automotive Holding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temporarily blocking during unmating of two connectors
JP5653150B2 (ja) * 2010-09-16 2015-01-14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985A (ko)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9691B1 (en)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JP5686577B2 (ja) コネクタユニット
JP5608488B2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5193888B2 (ja) コネクタ
US20180069346A1 (en) Lever-type connector
JP2009254073A (ja) バスバーの組付構造
JP2014165028A (ja) コネクタ
JP6260510B2 (ja) コネクタ
JP6793683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2058896B1 (ko) 커넥터 조립체
JP6095986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基板、コネクタ
US10608375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 slider
US7959456B2 (en) Wiring cable connector
JP5249085B2 (ja) 電気接続箱
KR100965507B1 (ko)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
KR101716994B1 (ko) 엔진 시동 장치
JP2011060707A (ja) コネクタ
JP2014049360A (ja) コネクタの嵌合構造および電気接続箱
JP3923375B2 (ja) コネクタ
JP6889613B2 (ja) レバー付きコネクタ
KR200473662Y1 (ko) 레버타입 커넥터조립체
KR20090073906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20018414A (ko) 레버타입 커넥터조립체
US10122120B2 (en) Lever type connector
JP2017183211A (ja) アース端子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