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753B1 - 화상 형성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753B1
KR102048753B1 KR1020130127666A KR20130127666A KR102048753B1 KR 102048753 B1 KR102048753 B1 KR 102048753B1 KR 1020130127666 A KR1020130127666 A KR 1020130127666A KR 20130127666 A KR20130127666 A KR 20130127666A KR 102048753 B1 KR102048753 B1 KR 102048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member
developing
unit
lev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7783A (ko
Inventor
유대형
박진호
이한준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30127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753B1/ko
Priority to US14/478,205 priority patent/US9411306B2/en
Priority to PCT/KR2014/008645 priority patent/WO2015060542A1/en
Priority to EP14188901.4A priority patent/EP2866098B1/en
Priority to CN201410575259.9A priority patent/CN104570676B/zh
Publication of KR20150047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 형성장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담지체와 현상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유닛;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 부재를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이격시키는 접촉 이격 유닛; 상기 접촉 이격 유닛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접촉 이격 유닛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 부재가 서로 접촉되도록 상기 접촉 이격 유닛을 동작시키는 접촉 위치와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 부재가 서로 떨어지도록 상기 접촉 이격 유닛을 동작시키는 이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레버 부재; 및 상기 본체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접촉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레버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레버 부재 수용홈이 마련된 폐현상제 통;을 포함한다. 본체 프레임에서 폐현상제 통을 분리하면, 접촉 이격 유닛에 의해 상담지체와 현상 부재는 서로 이격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maintenance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상 부재와 상담지체가 선택적으로 접촉 및 이격되는 화상 형성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의 화상 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상담지체를 포함하는 감광 유닛과 현상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유닛은 일정한 수명이 있는 구성요소로서 일정 매수의 인쇄를 한 후에는 교체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감광 유닛과 현상 유닛은 화상 형성장치의 본체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감광 유닛의 상담지체와 현상 유닛의 현상 부재는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이격될 수 있도록 감광 유닛과 현상 유닛은 서로에 대해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다. 현상 유닛을 감광 유닛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시키는 것은 별도로 설치된 접촉 이격 유닛에 의해 수행된다. 이 접촉 이격 유닛의 일단에는 레버 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레버 부재를 회전시키면 현상 유닛이 감광유닛에 대해 일정 각도 회전하여 현상 부재가 상담지체에 접촉하거나 이격되게 된다.
화상 형성장치의 조립시에는, 감광 유닛(201)과 현상 유닛(203)을 장착한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부재(210)를 위쪽으로 돌리면 현상 부재(204)가 상담지체(202)와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장치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인쇄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 형성장치는 현상 부재가 상담지체와 접촉된 상태인지 아니면 이격된 상태인지를 자동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육안으로 현상 부재와 상담지체의 접촉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만일, 사용자가 레버 부재를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 즉 현상 부재를 상담지체와 접촉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화상 형성장치를 동작시키면, 현상 부재와 상담지체가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화상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를 위해 감광 유닛이나 현상 유닛을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1의 레버 부재를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그러면, 현상 부재가 상담지체로부터 이격되므로 현상 유닛과 감광 유닛을 분리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레버 부재를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로 감광 유닛과 현상 유닛을 분리하는 경우, 상담지체와 현상 부재가 접촉된 상태이므로 감광 유닛과 현상 유닛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상 부재와 상담지체가 접촉된 상태에서 감광유닛을 무리하게 뺄 경우 현상 부재와 상담지체의 접촉면이 심하게 마찰되어 상담지체의 표면이 손상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 형성장치는 레버 부재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시켜 상담지체와 현상 부재를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레버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을 잊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레버 부재를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감광 유닛이나 현상 유닛을 분리하면 상담지체가 현상 부재와 마찰되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감광 유닛과 현상 유닛을 장착한 후, 레버 부재를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화상 형성장치를 동작시키면 현상 부재가 상담지체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정상적으로 인쇄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레버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을 잊음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들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감광 유닛과 현상 유닛을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상담지체와 현상 부재가 이격되도록 하고, 감광 유닛과 현상 유닛을 장착한 후 현상 부재와 상담지체가 접촉되지 않으면 폐현상제 통이 장착되지 않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장치 및 이러한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 방법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화상 형성장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담지체와 현상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유닛;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 부재를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이격시키는 접촉 이격 유닛; 상기 접촉 이격 유닛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접촉 이격 유닛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 부재가 서로 접촉되도록 상기 접촉 이격 유닛을 동작시키는 접촉 위치와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 부재가 서로 떨어지도록 상기 접촉 이격 유닛을 동작시키는 이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레버 부재; 및 상기 본체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접촉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레버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레버 부재 수용홈이 마련된 폐현상제 통;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에서 상기 폐현상제 통을 분리하면, 상기 접촉 이격 유닛에 의해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 부재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폐현상제 통의 상기 레버 부재 수용홈은 상기 레버 부재를 아래 방향으로 누르는 레버 부재 작동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현상제 통의 레버 부재 수용홈은 상기 레버 부재 작동리브에 의한 상기 레버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 부재 작동리브는 상기 레버 부재와 접촉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폐현상제 통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폐현상제 통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 홈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이격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폐현상제 통은 상기 장착 홈에 장착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 부재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폐현상제 통의 레버 부재 수용홈은 상기 레버 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수직 홈과 수평 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 홈의 상면에는 상기 레버 부재를 아래로 누르는 레버 부재 작동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수평 홈의 하면은 상기 레버 부재 작동리브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레버 부재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이격 유닛은 적어도 2개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 형성유닛은, 상기 현상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유닛; 및 상기 현상 유닛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상담지체를 포함하는 감광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 이격 유닛은, 상기 현상 유닛의 하부에 대해 직선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압 부재; 일단이 상기 가압 부재와 연결되는 링크 부재; 상기 링크 부재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랭크 암; 상기 링크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크랭크 암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장착 홈으로 돌출되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홈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 샤프트의 일단에는 상기 레버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가압 부재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장홈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 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장홈에 삽입되며 상기 장홈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안내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접촉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가압 부재를 밀어 상기 현상 유닛이 일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현상 부재가 상기 상담지체와 접촉하고,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이격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가압 부재를 미는 힘이 제거되어 상기 현상 유닛이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현상 부재가 상기 상담지체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링크 부재와 상기 크랭크 암이 일직선을 이룰 때, 최대로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상기 크랭크 암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가 설치되며, 상기 크랭크 암이 상기 제1스토퍼와 접촉하였을 때,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현상 부재가 상기 상담지체와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폐현상제 통의 스토퍼에 접촉하였을 때, 상기 크랭크 암과 상기 링크 부재 사이의 각도는 상기 크랭크 암이 상기 제1스토퍼에 접촉하였을 때 상기 크랭크 암과 상기 링크 부재 사이의 각도와 동일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 방법은, 본체 프레임에서 폐현상제 통이 분리되는 단계; 상기 폐현상제 통이 분리되면, 레버 부재가 자동으로 이격 위치로 이동하여 현상 유닛의 현상 부재가 감광 유닛의 상담지체로부터 이격되는 단계; 상기 레버 부재가 접촉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현상 유닛의 현상 부재가 상기 감광 유닛의 상담지체와 접촉하는 단계; 상기 접촉 위치에 있는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폐현상제 통의 레버 부재 수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폐현상제 통을 상기 본체 프레임에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폐현상제 통이 상기 본체 프레임에 장착되면, 상기 레버 부재 수용홈의 레버 부재 작동리브가 상기 레버 부재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레버 부재 수용홈의 스토퍼와 접촉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레버 부재 수용홈의 스토퍼와 접촉할 때 상기 현상 유닛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접촉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현상 유닛에 가해지는 힘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폐현상제 통을 상기 본체 프레임에서 분리하면,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현상 유닛을 가압하는 접촉 이격 유닛의 탄성력에 의해 이격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현상 유닛의 현상 부재가 상기 감광 유닛의 상담지체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 형성장치에서 현상 부재와 상담지체가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 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화상 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화상 형성장치에 사용되는 폐현상제 통의 사시도;
도 5는 도 2의 화상 형성장치에 폐현상제 통이 장착되었을 때, 레버 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화상 형성장치의 장착 홈에 장착된 폐현상제 통을 분리한 경우에, 레버 부재의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 형성장치의 접촉 이격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접촉 이격 유닛에 의해 현상 유닛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레버 부재가 이격 위치에 있을 때, 접촉 이격 유닛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레버 부재가 접촉 위치에 있을 때, 접촉 이격 유닛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레버 부재가 폐현상제 통의 레버 부재 수용홈에 삽입된 경우, 접촉 이격 유닛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레버 부재가 폐현상제 통의 레버 부재 수용홈에 삽입된 경우, 접촉 이격 유닛에 의해 현상 유닛의 현상 부재가 감광 유닛의 상담지체에 접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a는 레버 부재가 접촉 위치에 있을 때, 폐현상제 통의 레버 부재 작동리브가 레버 부재에 접촉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b는 폐현상제 통이 삽입되어 레버 부재 작동리브에 의해 레버 부재가 회전하여 도 11의 상태로 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레버 부재가 이격 위치에 있을 때, 레버 부재와 폐현상제 통이 간섭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 방법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 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화상 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화상 형성장치에 사용되는 폐현상제 통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 형성장치(1)는 본체 프레임(10), 급지 유닛(20), 화상 형성유닛(30), 노광 유닛(40), 정착 유닛(50), 배지 유닛(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한다.
급지 유닛(20)은 소정 매수의 인쇄매체(P)를 저장하여 한 장씩 공급하는 것으로서, 인쇄매체(P)를 한 장식 픽업하여 화상 형성유닛(30)으로 공급하는 픽업 롤러(21)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유닛(30)은 급지 유닛(20)으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P)에 소정의 현상제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감광 유닛(31), 현상 유닛(33), 및 접촉 이격 유닛(100)을 포함한다. 감광 유닛(31)은 소정의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상담지체(32)를 포함하며, 현상 유닛(33)은 상담지체(32)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 부재(34)를 포함한다. 상담지체(32)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은 전사롤러(36)에 의해 인쇄매체(P)로 전사된다. 현상 유닛(33)은 감광 유닛(31)에 대해 힌지 축(35)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선회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다. 감광 유닛(31)과 현상 유닛(33)은 본체 프레임(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접촉 이격 유닛(100)은 감광 유닛(31)의 하부에 설치되며, 현상 유닛(33)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힘을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접촉 이격 유닛(100)이 현상 유닛(33)의 하부에 힘을 인가하면, 현상 유닛(33)의 현상 부재(34)가 감광 유닛(31)의 상담지체(32)와 접촉하고, 접촉 이격 유닛(100)이 가하는 힘이 제거되면 현상 유닛(33)이 소정 각도 회전하여 현상 부재(34)가 상담지체(32)로부터 이격된다. 현상 부재(34)와 상담지체(32)가 이격되어 있도록 현상 유닛(33)과 감광 유닛(31)의 사이에는 간격 유지 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간격 유지 부재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 이격 유닛(100)은 적어도 2개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 이격 유닛(100)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접촉 이격 유닛(100)이 현상 유닛(33)에 힘을 가하지 않는 경우에는 현상 유닛(33)과 감광 유닛(31)은 본체 프레임(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15)를 통해 분리할 수 있다.
노광 유닛(40)은 화상 형성유닛(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담지체(32)의 표면에 제어부(70)에서 전송된 인쇄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정착 유닛(50)은 가압롤러와 가열롤러로 구성되며, 인쇄매체(P)에 열과 압력을 인가하여 화상 형성유닛(30)을 통과하면서 인쇄매체(P)에 전사된 현상제 화상을 인쇄매체(P)에 정착시킨다.
배지 유닛(60)은 화상의 정착이 완료된 인쇄매체(P)를 본체 프레임(10)의 외부로 배출한다.
제어부(70)는 외부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며, 급지 유닛(20), 화상 형성유닛(30), 노광 유닛(40), 정착 유닛(50), 및 배지 유닛(60)을 제어하여 인쇄매체(P)에 인쇄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한다.
상술한 급지 유닛(20), 노광 유닛(40), 정착 유닛(50), 배지 유닛(60), 및 제어부(70)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 형성장치의 급지 유닛, 노광 유닛, 정착 유닛, 및 배지 유닛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급지 유닛(20), 화상 형성유닛(30), 노광 유닛(40), 정착 유닛(50), 및 배지 유닛(60)은 본체 프레임(10)의 내부에 고정된다. 본체 프레임(10)의 일 측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현상제 통(80)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 홈(11)이 마련될 수 있다. 장착 홈(11)은 폐현상제 통(8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본체 프레임(10)의 일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장착 홈(11)의 바닥면에는 접촉 이격 유닛(100)의 레버 부재(16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장착 홈이 마련된 본체 프레임(10)의 일 측면에는 커버(17)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폐현상제 통(80)을 장착하거나 분리하기 위해서는 커버(17)를 본체 프레임(10)에서 분리하여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의 경우에는 폐현상제 통(80)이 오목하게 파인 장착 홈(11)에 장착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폐현상제 통(80)이 반드시 장착 홈(11)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폐현상제 통(80)을 고정할 수 있으면, 본체 프레임(10)의 일 측면에서 돌출된 상태로 폐현상제 통(80)을 설치할 수도 있다.
폐현상제 통(80)은 본체 프레임(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화상 형성유닛(30)에서 인쇄 후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를 저장한다. 따라서, 현상제 화상이 인쇄매체(P)에 전사된 후, 상담지체(32)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는 폐현상제 통(80)으로 수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폐현상제 통(80)의 후면에는 수거된 폐현상제가 인입되는 인입구(81)와 접촉 이격 유닛(100)의 레버 부재(160)가 수용되는 레버 부재 수용홈(83)이 마련된다.
레버 부재 수용홈(83)은 레버 부재(160)를 작동시키는 레버 부재 작동리브(84)와 레버 부재 작동리브(84)에 의해 회전하는 레버 부재(16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85)를 포함한다. 레버 부재 수용홈(83)은 레버 부재(16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경우에는, 레버 부재(16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레버 부재 수용홈(83)도 레버 부재(16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레버 부재(160)가 접촉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레버 부재(160)가 폐현상제 통(80)의 레버 부재 수용홈(83)에 삽입되므로 도 5와 같이 폐현상제 통(80)이 본체 프레임(10)의 장착 홈(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폐현상제 통(80)을 본체 프레임(10)의 장착 홈(11)에서 분리하면, 레버 부재(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이격 위치로 이동한다.
도 7은 레버 부재에 의해 동작하는 접촉 이격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접촉 이격 유닛에 의해 현상 유닛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레버 부재가 이격 위치에 있을 때, 접촉 이격 유닛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레버 부재가 접촉 위치에 있을 때, 접촉 이격 유닛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레버 부재가 폐현상제 통의 레버 부재 수용홈에 삽입된 경우, 접촉 이격 유닛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레버 부재가 폐현상제 통의 레버 부재 수용홈에 삽입된 경우, 접촉 이격 유닛에 의해 현상 유닛의 현상 부재가 감광 유닛의 상담지체에 접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 형성장치(1)의 화상 형성유닛(30)의 현상 유닛(33)을 일정 각도 선회시키는 접촉 이격 유닛(100)은 회전 샤프트(110), 크랭크 암(120), 링크 부재(130), 가압 부재(140), 탄성 부재(150), 및 레버 부재(160)를 포함한다.
회전 샤프트(110)는 본체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 샤프트(110)는 본체 프레임(10)의 일 측면에서 돌출된다. 돌출된 회전 샤프트(110)의 일단에는 회전 샤프트(1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레버 부재(160)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회전 샤프트(110)의 일단이 장착 홈(11)의 바닥면에서 돌출된다. 따라서, 레버 부재(160)가 본체 프레임(10)의 장착 홈(11)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레버 부재(160)가 회전하면, 회전 샤프트(110)가 레버 부재(160)와 일체로 회전한다.
크랭크 암(120)은 회전 샤프트(110)에 설치된다. 크랭크 암(120)은 회전 샤프트(110)에 대해 고정되어 있어, 회전 샤프트(110)가 회전하면 크랭크 암(120)도 일체로 회전한다. 따라서, 레버 부재(160)가 일정 각도 회전하면, 크랭크 암(120)도 레버 부재(16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 회전한다.
크랭크 암(120)의 회전은 본체 프레임(10)의 지지부재(13)에 의해 제한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접촉 이격 유닛(100)의 경우, 크랭크 암(120)이 반시계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면, 크랭크 암(120)의 일단이 지지부재(13)에 의해 간섭되므로 크랭크 암(120)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즉 지지부재(13)는 크랭크 암(12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각도를 제한하는 제1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한다.
링크 부재(130)는 크랭크 암(120)과 가압 부재(140)의 사이에 설치된다. 링크 부재(130)의 일단은 가압 부재(140)와 연결되고, 링크 부재(130)의 타단은 크랭크 암(120)의 일단에 연결된다. 링크 부재(130)의 타단은 크랭크 암(12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링크 부재(130)의 타단과 크랭크 암(120)의 일단은 회전 핀(121)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링크 부재(130)와 크랭크 암(120)은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링크 부재(130)의 일단에는 가압 부재(140)의 장홈(141)에 삽입될 수 있는 안내 돌기(131)가 마련된다. 안내 돌기(131)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링크 부재(130)는 가압 부재(140)에 대해 회전 운동과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와 같은 링크 부재(130)는 크랭크 암(120)의 회전을 가압 부재(140)의 직선 운동으로 치환하는 역할을 한다.
가압 부재(140)는 현상 유닛(33)의 하부에 힘을 가하여 현상 유닛(33)을 일 방향으로 밀도록 구성된다. 가압 부재(140)는 지지부재(13)에 직선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지지부재(13)에는 가압 부재(140)를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 레일(13a)이 마련될 수 있다.
가압 부재(140)는 대략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의 양 측면에는 각각 장홈(141)이 마련된다. 한 쌍의 장홈(141)은 링크 부재(130)의 안내 돌기(131)의 양단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압 부재(14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장홈(141)의 길이는 크랭크 암(12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정해진다. 가압 부재(140)에 가해지는 탄성 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 부재(140)가 현상 유닛(33) 쪽으로 이동하고, 가압 부재(140)의 이동에 의해 현상 유닛(33)이 힌지 축(35, 도 8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가압 부재(140)의 외부의 양 측면에는 한 쌍의 안내 홈(143)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안내 홈(143)은 지지부재(13)에 마련된 한 쌍의 안내 레일(13a)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지지부재(13)에 마련된 한 쌍의 안내 레일(13a)은 서로 마주 보는 사각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안내 홈(143)은 사각 바에 대응하는 사각 단면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 부재(140)의 한 쌍의 안내 홈(143)이 지지부재(13)의 한 쌍의 안내 레일(13a)에 삽입되면, 가압 부재(140)는 지지부재(13)의 한 쌍의 안내 레일(13a)을 따라 직선 이동을 할 수 있다. 도 7에는 지지부재(13)에 형성된 한 쌍의 안내 레일(13a) 중 한 개의 안내 레일(13a)만 도시되어 있다.
지지부재(13)의 한 쌍의 안내 레일(13a) 중 적어도 한 개의 안내 레일(13a)의 일단에는 가압 부재(140)의 일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13b)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스토퍼(13b)는 가압 부재(140)가 현상 유닛(3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3)의 안내 레일(13a)의 일단에는 안내 레일(13a)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2스토퍼(13b)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 부재(160)가 이격 위치로 이동할 때, 제2스토퍼(13b)는 가압 부재(140)의 이동을 제한한다.
탄성 부재(150)에 의해 가압 부재(140)의 선단은 현상 유닛(33)의 하부와 접촉한다. 이때, 가압 부재(140)의 선단과 현상 유닛(33) 하부는 면 접촉 또는 점 접촉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0)는 링크 부재(130)에 설치되며, 가압 부재(140)를 탄성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150)는 링크 부재(130)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링크 부재(130)가 가압 부재(140)와 크랭크 암(120) 사이에 설치되면, 탄성 부재(150)는 가압 부재(140)에 힘을 가하게 된다. 즉, 탄성 부재(150)의 일단은 크랭크 암(120)의 일단에 의해 지지되고, 탄성 부재(150)의 타단은 가압 부재(140)의 후단, 구체적으로는 장홈(141)이 형성된 장홈부(142)의 후단에 의해 지지된다. 크랭크 암(120)의 일단과 장홈부(142)의 후단은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크랭크 암(120)에 의해 링크 부재(130)가 회전하는 경우에 탄성 부재(150)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는다.
탄성 부재(150)는 크랭크 암(120)에 의해 일단이 지지되고 링크 부재(130)에 의해 안내되므로 가압 부재(140)를 현상 유닛(33) 쪽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150)로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코일 스프링(150)은 가압 부재(140)가 현상 유닛(33)의 하부를 가압하여 현상 유닛(33)이 힌지 축(3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현상 부재(33)가 감광 유닛(31)의 상담지체(32)와 접촉하도록 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는다. 즉, 코일 스프링(150)의 탄성력만으로 현상 유닛(33)을 회전시켜 현상 부재(34)가 상담지체(32)와 접촉되어 현상 부재(34)와 상담지체(32) 사이에 적절한 현상 닙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탄성 부재(150)가 가압 부재(140)에 가하는 힘은 크랭크 암(120)의 회전에 따라 변화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부재(160)가 이격 위치에 있는 경우, 가압 부재(140)의 후단이 제2스토퍼(13b)에 접촉한 상태로 탄성 부재(150)는 힘을 받지 않거나 최소의 힘을 받는 상태이다. 이때, 탄성 부재(150)는 압축되지 않거나 최소로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레버 부재(160)가 이격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현상 유닛(33)에는 접촉 이격 유닛(100)에 의해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어서, 도 9에서 레버 부재(160)가 반시계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면, 크랭크 암(12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크랭크 암(12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탄성 부재(150)는 크랭크 암(120)에 의해 힘을 받아 압축된다. 링크 부재(130)와 크랭크 암(120)이 일직선이 될 때(즉, 크랭크 암(120)이 만곡점에 위치할 때), 탄성 부재(150)는 최대로 압축되게 된다. 그 후, 크랭크 암(120)이 만곡점을 넘어 회전하면, 다시 탄성 부재(150)에 인가되는 힘이 감소하게 된다. 레버 부재(160)를 반시계 방향으로 만곡점을 넘어 일정 각도 회전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 암(120)이 제1스토퍼인 지지부재(13)에 접촉하게 되어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크랭크 암(120)이 제1스토퍼(13)에 접촉하였을 때, 탄성 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힘을 받은 가압 부재(140)가 현상 유닛(33)의 하부를 가압하므로 현상 유닛(33)이 힌지 축(3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현상 부재(34)가 상담지체(32)와 접촉하게 된다.
레버 부재(160)는 접촉 이격 유닛(100)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접촉 이격 유닛(100)의 일단에, 구체적으로 회전 샤프트(110)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담지체(32)와 현상 부재(34)가 서로 접촉되도록 접촉 이격 유닛(100)을 동작시키는 접촉 위치와 상담지체(32)와 현상 부재(34)가 서로 떨어지도록 접촉 이격 유닛(100)을 동작시키는 이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레버 부재(160)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레버 부재(1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암(161,162)이 대략 90도로 연결되어 있으며, 2개의 암(161,162)의 하면은 부채꼴 형상의 바닥판(16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레버 부재(160)는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시켜, 레버 부재(160)가 접촉 위치 또는 이격 위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레버 부재(160)는 폐현상제 통(80)의 착탈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도 7에 도시된 레버 부재(160)는 일 예일 뿐이며, 레버 부재(16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레버 부재(160)는 한 개의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폐현상제 통(80)은 본체 프레임(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만, 레버 부재(160)가 접촉 위치에 있는 경우(도 10 참조)에만 폐현상제 통(80)을 본체 프레임(10)에 장착할 수 있고, 레버 부재(160)가 이격 위치(도 9 참조)에 있는 경우에는 폐현상제 통(80)을 본체 프레임(10)에 장착할 수 없다. 이를 위해, 폐현상제 통(80)의 후면에는 접촉 위치에 있는 레버 부재(160)를 수용할 수 있는 레버 부재 수용홈(83)이 마련된다(도 4 참조).
폐현상제 통(80)의 레버 부재 수용홈(83)은 레버 부재(16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레버 부재(160)에 대응하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수직 홈(83a)과 수평 홈(83b)으로 구성된다. 레버 부재 수용홈(83)의 수직 홈(83a)과 수평 홈(83b)은 레버 부재(160)가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레버 부재(160)의 암(161,162)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수평 홈(83b)의 상면에는 레버 부재(160), 구체적으로 레버 부재(160)의 암(161)을 아래로 누르는 레버 부재 작동리브(84)가 마련된다. 레버 부재 작동리브(84)는 레버 부재(160)와 접촉하는 경사면(84a, 도 13a 참조)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폐현상제 통(80)을 장착하면, 폐현상제 통(80)의 레버 부재 수용홈(83)에 마련된 레버 부재 작동리브(84)의 경사면(84a)에 의해 레버 부재(160)가 아래 방향으로 힘을 받아 회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레버 부재 작동리브(84)에 의해 레버 부재(160)가 회전하는 동작에 대해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레버 부재 작동리브(84)가 레버 부재(160)를 회전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폐현상제 통(80)의 일부를 절개하여 레버 부재 수용홈(83)과 레버 부재(160)를 나타낸 부분도이다. 도 13a는 레버 부재(160)가 접촉 위치에 있을 때, 폐현상제 통(80)의 레버 부재 작동리브(84)가 레버 부재(160)에 접촉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b는 폐현상제 통(80)이 완전히 삽입되어 레버 부재 작동리브(84)에 의해 레버 부재(160)가 회전하여 레버 부재(160)가 레버 부재 수용홈(83)의 하면(85)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현상제 통(80)의 레버 부재 작동리브(84)의 경사면(84a)이 레버 부재(160)에 접촉하기 전에는 레버 부재(160)는 접촉 위치를 그대로 유지한다. 폐현상제 통(80)을 삽입하면, 레버 부재(160)가 레버 부재 수용홈(83)으로 들어온다. 이때, 레버 부재 수용홈(83)의 상면에 마련된 레버 부재 작동리브(84)의 경사면(84a)에 의해 레버 부재(160)는 아래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므로, 레버 부재(160)는 아래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레버 부재(160)의 회전은 레버 부재 수용홈(83)의 수평 홈(83b)의 하면(85)에 의해 제한된다.
즉, 레버 부재 수용홈(83)의 수평 홈(83b)의 하면(85)은 레버 부재 작동리브(84)에 의해 회전되는 레버 부재(16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한다. 이때, 수평 홈(83b)의 하면(85)은 접촉 이격 유닛(100)이 현상 유닛(33)을 동일한 힘(레버 부재(160)가 접촉 위치에 있을 때 접촉 이격 유닛(100)이 현상 유닛(33)을 가압하는 힘과 동일한 힘)으로 가압하도록 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즉, 레버 부재(160)의 암(161)이 레버 부재 수용홈(83)의 수평 홈(83b)의 하면(85)과 접촉하였을 때, 크랭크 암(120)의 각도는 레버 부재(160)가 접촉 위치에 있을 때 크랭크 암(120)의 각도와 동일하도록 수평 홈(83b)의 하면(85)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레버 부재(160)가 접촉 위치에 있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 암(120)은 링크 부재(130)와 크랭크 암(120)이 일직선을 이루는 경우의 중심선(CL)과 일정 각도(θ)를 이룬다. 따라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부재(160)의 암(161)이 수평 홈(83b)의 하면(160)에 접촉하였을 때, 크랭크 암(120)은 상기 중심선(CL)(링크 부재(130)와 크랭크 암(120)이 일직선을 이루는 경우의 중심선)과 동일한 각도(θ)를 이루도록 수평 홈(83b)의 하면(85)을 형성한다. 다만, 레버 부재(160)가 레버 부재 수용홈(83)의 수평 홈(83b)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에 크랭크 암(120)의 각도는 레버 부재(160)가 접촉 위치에 있는 경우에 크랭크 암(120)의 각도와 상기 중심선(CL)에 대해 반대 방향이다. 예를 들어, 레버 부재(160)가 접촉 위치에 있는 경우 크랭크 암(120)이 상기 중심선(CL)과 +θ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있다면, 레버 부재(160)가 폐현상제 통(80)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크랭크 암(120)은 상기 중심선(CL)과 -θ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도 11가 같이 레버 부재(160)가 폐현상제 통(80)의 레버 부재 수용홈(83)의 수평 홈(83b)의 하면, 즉 스토퍼(15)에 접촉하였을 때, 크랭크 암(120)과 링크 부재(130) 사이의 각도(α)는 도 10과 같이 크랭크 암이 제1스토퍼(13)에 접촉하였을 때 크랭크 암(120)과 링크 부재(130) 사이의 각도(α)와 동일하다. 이하, 레버 부재(160)가 폐현상제 통(80)의 수평 홈(83b)에 의해 지지되어 현상 유닛(33)을 가압하여 현상 부재(34)와 상담지체(32)가 서로 접촉하도록 하는 위치를 지지 위치라 한다.
따라서, 레버 부재(160)가 도 10과 같은 접촉 위치에 있을 때, 폐현상제 통(80)을 본체 프레임(10)의 장착 홈(11)에 삽입하면, 레버 부재(160)가 레버 부재 작동리브(84)에 의해 소정 각도 회전하여 지지 위치에 위치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부재(160)가 지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 현상 부재(34)가 상담지체(32)와 접촉되어 현상 부재(34)와 상담지체(32) 사이에 적절한 현상 닙이 형성된다.
레버 부재(160)가 폐현상제 통(8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위치에 있을 때, 폐현상제 통(80)이 본체 프레임(10)에서 분리되면 레버 부재(160)는 접촉 이격 유닛(100)의 탄성 부재(150)에 의해 이격 위치로 이동한다. 레버 부재(160)가 이격 위치로 이동하면, 현상 유닛(33)은 간격 유지 부재(미도시)에 의해 힌지 축(35)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현상 부재(34)가 상담지체(32)로부터 이격된다(도 8 참조). 레버 부재(160)가 이격 위치에 있으면, 폐현상제 통(80)을 본체 프레임(10)의 장착 홈(11)에 장착할 수 없다. 이는 레버 부재(160)와 폐현상제 통(80)의 레버 부재 수용홈(83)이 간섭되기 때문이다. 레버 부재(160)가 이격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부재(160)의 암(162)이 폐현상제 통(80)의 레버 부재 수용홈(83)의 수평 홈(83b)과 반대 방향에 위치하므로 레버 부재(160)와 폐현상제 통(80)이 간섭된다. 도 14는 레버 부재(160)와 폐현상제 통(80)의 간섭을 설명하기 위해 폐현상제 통(80)의 후면과 레버 부재(160)만을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레버 부재(160)가 이격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폐현상제 통(80)이 본체 프레임(10)에 장착되지 않으므로, 화상 형성장치(1)는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장치(1)의 제어부(70)는 폐현상제 통(80)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 폐현상제 통(80)이 장착되지 않았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화상 형성장치(1)가 인쇄를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장치(1)의 경우에는 레버 부재(160)를 접촉 위치에 위치시키지 않으면 폐현상제 통(80)을 장착할 수 없고, 폐현상제 통(80)이 장착되지 않으면 화상 형성장치(1)가 인쇄를 수행하지 않으므로 현상 부재(34)가 상담지체(32)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상 형성장치(1)를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현상제 통(80)이 본체 프레임(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레버 부재(160)는 폐현상제 통(80)의 레버 부재 수용홈(83)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위치에 있게 된다. 레버 부재(160)가 지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접촉 이격 유닛(100)의 크랭크 암(120)은 만곡점을 아래 방향으로 지난 상태에 있으므로, 폐현상제 통(80)을 분리하면 접촉 이격 유닛(100)의 탄성 부재(150)에 의해 크랭크 암(120)이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므로 접촉 이격 유닛(100)의 가압 부재(140)가 현상 유닛(33)에 가하는 힘이 제거된다. 따라서, 현상 유닛(33)은 간격 유지 부재(미도시)에 의해 감광 유닛(31)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므로, 현상 부재(34)가 상담지체(32)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 형성장치(1)에 의하면, 폐현상제 통(80)을 본체 프레임(10)에서 분리하는 것에 의해 현상 부재(34)가 상담지체(32)로부터 자동적으로 이격되므로, 사용자가 레버 부재(160)를 이격 위치로 위치시키지않고 현상 유닛(33)과 감광 유닛(31)을 분리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 또는 서비스 맨은 현상 유닛(33) 또는 감광 유닛(31)을 분리하기 위해 본체 프레임(10)에서 폐현상제 통(80)을 분리한다(S1510). 이를 위해, 폐현상제 통(80)의 상측으로 폐현상제 통(80)을 덮도록 마련된 커버(17)를 분리한 후, 폐현상제 통(80)을 장착 홈(11)에서 분리한다.
폐현상제 통(80)이 분리되면, 레버 부재(160)가 자동으로 이격 위치로 이동하여 현상 유닛(33)의 현상 부재(32)가 감광 유닛(31)의 상담지체(32)와 이격된다(S1520). 구체적으로, 레버 부재(160)의 회전을 차단하고 있는 폐현상제 통(80)이 제거되면, 접촉 이격 유닛(100)의 탄성 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크랭크 암(120)이 도 11의 반시계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9와 같은 상태로 되므로 현상 유닛(33)을 가압하는 힘이 제거된다. 그러면, 현상 유닛(33)과 감광 유닛(31) 사이의 간격 유지 부재(미도시)에 의해 현상 유닛(33)이 일정 각도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부재(34)와 상담지체(32)가 서로 이격된다.
현상 부재(34)와 상담지체(32)가 이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현상 유닛(33)과 감광 유닛(31)을 본체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한다.
사용자는 현상 유닛(33)과 감광 유닛(31)을 점검한다. 문제가 있는 경우, 현상 유닛 또는 감광 유닛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한다.
그 후, 사용자는 현상 유닛(33)과 감광 유닛(31)을 본체 프레임(10)에 다시 장착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레버 부재(160)를 접촉 위치로 회전시킨다. 레버 부재(160)가 접촉 위치로 이동되면, 접촉 이격 유닛(100)에 의해 현상 유닛(33)이 회전하여 현상 유닛(33)의 현상 부재(34)가 감광 유닛(31)의 상담지체(32)와 접촉하게 된다(S1530).
그 후, 사용자는 접촉 위치에 있는 레버 부재(160)가 폐현상제 통(80)의 레버 부재 수용홈(83)에 삽입되도록 폐현상제 통(80)을 본체 프레임(10)의 장착 홈(81)에 장착한다(S1540).
폐현상제 통(80)이 본체 프레임(10)에 장착되면, 레버 부재 수용홈(83)의 레버 부재 작동리브(84)가 레버 부재(160)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여 레버 부재(160)가 레버 부재 수용홈(83)의 스토퍼(85)와 접촉된다(S1550).
레버 부재(160)가 폐현상제 통(80)의 레버 부재 수용홈(83)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는 접촉 이격 유닛(100)이 현상 유닛(33)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현상 유닛(33)의 현상 부재(34)가 감광 유닛(31)의 상담지체(32)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레버 부재(160)가 폐현상제 통(80)의 레버 부재 수용홈(83)의 스토퍼(85)와 접촉할 때, 접촉 이격 유닛(100)에 의해 현상 유닛(33)에 가해지는 힘은 레버 부재(160)가 접촉 위치에 있을 때, 접촉 이격 유닛(100)에 의해 현상 유닛(33)에 가해지는 힘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 방법에 의하면, 폐현상제 통의 분리만으로 현상 부재와 상담지체가 자동적으로 이격되므로, 현상 부재와 상담지체가 접촉된 상태로 현상 유닛과 감광 유닛을 분리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 방법에 의하면, 레버 부재가 접촉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폐현상제 통을 본체 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현상 부재가 상담지체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상 형성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화상 형성장치 10; 본체 프레임
11; 장착 홈 17; 커버
20; 급지 유닛 30; 화상 형성유닛
31; 감광 유닛 32; 상담지체
33; 현상 유닛 34; 현상 부재
40; 노광 유닛 50; 정착 유닛
60; 배지 유닛 70; 제어부
80; 폐현상제 통 83; 레버 부재 수용홈
84; 레버 부재 작동리브 85; 수평 홈 하면(스토퍼)
100; 접촉 이격 유닛 110; 회전 샤프트
120; 크랭크 암 130; 링크 부재
140; 가압 부재 150; 탄성 부재
160; 레버 부재

Claims (17)

  1.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담지체와 현상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유닛;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 부재를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이격시키는 접촉 이격 유닛;
    상기 접촉 이격 유닛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접촉 이격 유닛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 부재가 서로 접촉되도록 상기 접촉 이격 유닛을 동작시키는 접촉 위치와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 부재가 서로 떨어지도록 상기 접촉 이격 유닛을 동작시키는 이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레버 부재; 및
    상기 본체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접촉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레버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레버 부재 수용홈이 마련된 폐현상제 통;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에서 상기 폐현상제 통을 분리하면, 상기 접촉 이격 유닛에 의해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 부재는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현상제 통의 상기 레버 부재 수용홈은 상기 레버 부재를 아래 방향으로 누르는 레버 부재 작동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현상제 통의 레버 부재 수용홈은 상기 레버 부재 작동리브에 의한 상기 레버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 작동리브는 상기 레버 부재와 접촉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폐현상제 통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폐현상제 통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 홈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이격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폐현상제 통은 상기 장착 홈에 장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폐현상제 통의 레버 부재 수용홈은 상기 레버 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수직 홈과 수평 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 홈의 상면에는 상기 레버 부재를 아래로 누르는 레버 부재 작동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수평 홈의 하면은 상기 레버 부재 작동리브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레버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이격 유닛은 적어도 2개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유닛은,
    상기 현상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유닛; 및
    상기 현상 유닛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상담지체를 포함하는 감광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 이격 유닛은,
    상기 현상 유닛의 하부에 대해 직선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압 부재;
    일단이 상기 가압 부재와 연결되는 링크 부재;
    상기 링크 부재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랭크 암;
    상기 링크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크랭크 암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 측면에 마련된 장착 홈으로 돌출되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홈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 샤프트의 일단에는 상기 레버 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가압 부재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장홈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 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장홈에 삽입되며 상기 장홈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안내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접촉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가압 부재를 밀어 상기 현상 유닛이 일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현상 부재가 상기 상담지체와 접촉하고,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이격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가압 부재를 미는 힘이 제거되어 상기 현상 유닛이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현상 부재가 상기 상담지체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링크 부재와 상기 크랭크 암이 일직선을 이룰 때, 최대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상기 크랭크 암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가 설치되며,
    상기 크랭크 암이 상기 제1스토퍼와 접촉하였을 때,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현상 부재가 상기 상담지체와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폐현상제 통의 스토퍼에 접촉하였을 때, 상기 크랭크 암과 상기 링크 부재 사이의 각도는 상기 크랭크 암이 상기 제1스토퍼에 접촉하였을 때 상기 크랭크 암과 상기 링크 부재 사이의 각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15. 본체 프레임에서 폐현상제 통이 분리되는 단계;
    상기 폐현상제 통이 분리되면, 레버 부재가 자동으로 이격 위치로 이동하여 현상 유닛의 현상 부재가 감광 유닛의 상담지체로부터 이격되는 단계;
    상기 레버 부재가 접촉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현상 유닛의 현상 부재가 상기 감광 유닛의 상담지체와 접촉하는 단계;
    상기 접촉 위치에 있는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폐현상제 통의 레버 부재 수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폐현상제 통을 상기 본체 프레임에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폐현상제 통이 상기 본체 프레임에 장착되면, 상기 레버 부재 수용홈의 레버 부재 작동리브가 상기 레버 부재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레버 부재 수용홈의 스토퍼와 접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레버 부재 수용홈의 스토퍼와 접촉할 때 상기 현상 유닛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접촉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현상 유닛에 가해지는 힘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폐현상제 통을 상기 본체 프레임에서 분리하면,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현상 유닛을 가압하는 접촉 이격 유닛의 탄성력에 의해 이격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현상 유닛의 현상 부재가 상기 감광 유닛의 상담지체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 방법.

KR1020130127666A 2013-10-25 2013-10-25 화상 형성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 방법 KR102048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666A KR102048753B1 (ko) 2013-10-25 2013-10-25 화상 형성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 방법
US14/478,205 US9411306B2 (en) 2013-10-25 2014-09-05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aintenance method thereof
PCT/KR2014/008645 WO2015060542A1 (en) 2013-10-25 2014-09-17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aintenance method thereof
EP14188901.4A EP2866098B1 (en) 2013-10-25 2014-10-14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aintenance method thereof
CN201410575259.9A CN104570676B (zh) 2013-10-25 2014-10-24 图像形成设备及其维护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666A KR102048753B1 (ko) 2013-10-25 2013-10-25 화상 형성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783A KR20150047783A (ko) 2015-05-06
KR102048753B1 true KR102048753B1 (ko) 2019-11-27

Family

ID=5169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666A KR102048753B1 (ko) 2013-10-25 2013-10-25 화상 형성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11306B2 (ko)
EP (1) EP2866098B1 (ko)
KR (1) KR102048753B1 (ko)
CN (1) CN104570676B (ko)
WO (1) WO20150605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218A (ko) 2014-09-03 2016-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9441A (ja) 2000-12-04 2002-06-14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JP2012058627A (ja) 2010-09-11 2012-03-2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66380B1 (en) * 1993-01-26 2001-06-06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308799A (ja) 2005-04-27 2006-11-09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2007148395A (ja) * 2005-11-07 2007-06-14 Canon Finetech Inc 画像形成装置
JP2008076634A (ja) 2006-09-20 2008-04-03 Seiko Epson Corp ロータリ現像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7831190B2 (en) * 2007-07-04 2010-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opening and closing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removing and mounting cover
KR100912900B1 (ko) 2008-02-22 2009-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4793430B2 (ja) * 2008-12-05 2011-10-1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588218B1 (ko) * 2009-06-10 2016-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닙제어방법, 및 화상형성장치의 포장방법
CN101639647B (zh) * 2009-06-12 2013-02-20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锁定机构的碳粉盒
KR101123698B1 (ko) 2009-07-30 201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1617229B1 (ko) 2009-12-16 2016-05-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CN102566388B (zh) 2010-12-28 2015-07-15 京瓷办公信息***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
JP5564024B2 (ja) 2011-09-20 2014-07-30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KR101838632B1 (ko) * 2011-12-28 2018-03-15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9441A (ja) 2000-12-04 2002-06-14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JP2012058627A (ja) 2010-09-11 2012-03-2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783A (ko) 2015-05-06
CN104570676A (zh) 2015-04-29
EP2866098A2 (en) 2015-04-29
US9411306B2 (en) 2016-08-09
EP2866098A3 (en) 2015-05-13
WO2015060542A1 (en) 2015-04-30
CN104570676B (zh) 2019-11-01
US20150117899A1 (en) 2015-04-30
EP2866098B1 (en) 201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486B1 (ko) 화상 형성 장치, 그에 장착 가능한 유닛 및 분리 부재
KR101615652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JPH06273987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60086141A (ko) 프린터 카트리지
US6853821B2 (en) Image forming device and toner device
US7496314B2 (en) Customer replaceable unit assembly
KR101798502B1 (ko) 가압 유닛을 구비한 현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JP4803226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ドラムユニット
KR20080084142A (ko) 현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 장착방법과 탈착방법
KR102048753B1 (ko) 화상 형성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 방법
KR20130051742A (ko) 화상형성장치
US5842100A (en) Fixing unit
US2013010728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348304B2 (en) Process cartridge
US8457524B2 (en) Developing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mounting/demounting developing cartridge to/from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866789B1 (ko) 감광체 카트리지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20060165433A1 (en) A process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341652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トナーカートリッジ
CN106886142B (zh) 处理盒及图像形成装置
JP4084517B2 (ja) 画像形成装置
JPH0572833A (ja) 画像形成装置
KR960006221Y1 (ko) 레이저 빔 프린터의 정착기 구조
CN2924595Y (zh) 电子照相成像设备用显影装置
KR101221488B1 (ko) 저가형 화상 형성 장치
JP4618710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