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218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218A
KR20160028218A KR1020140117001A KR20140117001A KR20160028218A KR 20160028218 A KR20160028218 A KR 20160028218A KR 1020140117001 A KR1020140117001 A KR 1020140117001A KR 20140117001 A KR20140117001 A KR 20140117001A KR 20160028218 A KR20160028218 A KR 20160028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essing
shutter
developing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협
이한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7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8218A/ko
Priority to PCT/KR2015/004062 priority patent/WO2016035964A1/ko
Priority to EP15838867.8A priority patent/EP3176640B1/en
Priority to US15/508,731 priority patent/US10162301B2/en
Priority to CN201510557956.6A priority patent/CN105388735B/zh
Publication of KR20160028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218A/ko
Priority to US16/191,032 priority patent/US1062777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means in the developing zone having an interaction with the image carrying member, e.g. distance hol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03G15/04045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 G03G15/04072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by las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6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exposur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9Structural door de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도록 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광원에서 생성된 광이 투사되는 광창을 갖는 광주사유닛과, 광창을 개폐하는 셔터유닛과, 현상롤러와 감광체가 접촉 또는 분리하는 동작과 셔터유닛의 개폐동작을 위해, 현상유닛과 셔터유닛을 가압가능하게 마련되며, 현상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가압유닛과, 복수의 가압유닛에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작동위치와,가압력을 해제시키는 대기위치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작동유닛의 동작으로 셔터유닛의 개폐와 현상롤러와 감광체의 접촉 또는 분리동작을 연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창을 개폐하는 셔터의 구조를 개선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그 내부에 감광체를 포함하는 감광유닛과, 감광유닛의 주위에 배치되어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하는 대전유닛과,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현상유닛 및 광주사유닛을 구비한다. 광주사유닛은 대전유닛에 의해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유닛은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현상롤러를 감광체에 접촉시켜 현상제를 공급하는 구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인쇄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현상롤러와 감광체를 서로 접촉시켜야 하고, 현상유닛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현상롤러와 감광체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롤러와 감광체를 서로 분리시켜야 한다.
그러나 현상롤러와 감광체가 서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현상유닛을 교체하여 현상유닛이나 감광체에 손상이 오거나, 현상롤러와 감광체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데 화상형성장치를 동작시켜 화상불량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현상유닛과 감광유닛의 접촉시에 광주사유닛이 개방되도록 구조를 개선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감광체를 가지는 감광유닛과, 상기 감광체에 접촉 또는 분리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현상롤러를 가지고 상기 감광유닛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현상유닛을 포함하는 현상장치;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도록 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광이 투사되는 광창을 갖는 광주사유닛; 상기 광창을 개폐하는 셔터유닛;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접촉 또는 분리하는 동작과 상기 셔터유닛의 개폐동작을 위해, 상기 현상유닛과 상기 셔터유닛을 가압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현상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가압유닛;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에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작동위치와, 상기 가압력을 해제시키는 대기위치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은, 상기 셔터유닛과,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는 동작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은, 상기 작동유닛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은, 상기 작동유닛의 상기 작동위치에 대응되며, 상기 현상유닛과 상기 셔터유닛을 가압하는 가압위치와, 상기 작동유닛의 상기 대기위치에 대응되며, 상기 가압위치로부터 가압이 해제되는 해제위치;를 동작하고,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은, 상기 가압위치에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가압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은,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밀착하도록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는 가압몸체와, 상기 가압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셔터유닛을 동작하는 셔터가이드돌기를 갖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은, 한 쌍의 가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압유닛의 상기 셔터가이드돌기는, 상기 셔터유닛의 양단을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작동유닛의 회동중심을 형성하는 회동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은, 상기 회동샤프트에 이격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작동유닛의 회동중심을 형성하는 회동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은, 상기 작동유닛의 회동에 의한 상기 회동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유닛; 상기 링크유닛에 연결되어 현상장치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회동샤프트와 함께 회동하는 제 1 링크부재; 일단은 상기 제 1 링크부재의 단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직선왕복운동하는 제 2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제 2 링크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가압유닛의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가압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2 링크부재는, 상기 가압유닛의 위치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압부에 삽입되는 걸림삽입부; 상기 걸림삽입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가압탄성부재가 안착되는 가변안착부로서, 상기 가압탄성부재의 가압력이 변화하도록 상기 가압탄성부재의 길이가 연동되게 가변하는 가변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압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 2 링크부재의 단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가압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압탄성부재는,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작동위치와 상기 대기위치사이에 배치될 때 최대압축길이(ML)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작동위치에서 상기 현상장치의 상기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감광유닛과 상기 현상유닛이 안착되며, 상기 감광유닛과 상기 현상유닛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현상장치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닛과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현상장치안착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광창에 대응되는 셔터몸체로서, 상기 셔터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셔터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셔터회동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셔터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광창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광창을 폐쇄하는 폐쇄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몸체는,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위치사이에서 예각을 형성하며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가압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셔터몸체의 자중에 의해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회동샤프트의 단부에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몸체; 상기 현상장치를 가압하도록 상기 작동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안착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안착가압부재는, 인접한 상기 작동몸체보다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현상장치는 길이방향인 제 1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현상장치가 상기 현상장치안착부에 장착되는 장착방향과, 상기 장착방향과 반대되어 상기 현상장치가 상기 현상장치안착부로부터 이탈하는 이탈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가압부재는,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현상장치에 접하는 제 1 안착가압부; 상기 제 1 안착가압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작동위치에서 상기 현상장치에 접하는 제 2 안착가압부로서, 상기 제 1 안착가압부보다 상기 장착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안착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현상장치는 길이방향인 제 1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현상장치가 상기 현상장치안착부에 장착되는 장착방향과, 상기 장착방향과 반대되어 상기 현상장치가 상기 현상장치안착부로부터 이탈하는 이탈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감광유닛은,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감광유닛이 상기 작동유닛에 의해 상기 장착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착피가압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감광체를 가지는 감광유닛과, 현상롤러를 가지고 상기 감광유닛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현상유닛을 포함하는 현상장치;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도록 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광이 투사되는 광창을 갖는 광주사유닛;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유닛과,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밀착되도록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며 상기 작동유닛과 연동되어 동작하는 복수의 가압유닛을 갖는 가압어셈블리; 상기 광창을 개폐하며, 상기 작동유닛과 연동되어 동작하는 셔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은,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를 밀착시키도록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는 가압위치와, 상기 가압위치로부터 후퇴하여 상기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해제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광창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회동하여 상기 광창을 폐쇄하는 폐쇄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을 가압위치로, 상기 셔터유닛을 개방위치로 위치시키는 작동위치와,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을 해제위치로, 상기 셔터유닛을 폐쇄위치로 위치시키는 대기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광창에 대응되는 셔터몸체로서, 상기 셔터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셔터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셔터회동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셔터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광창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광창을 폐쇄하는 폐쇄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몸체는,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위치사이에서 예각을 형성하며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가압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셔터몸체의 자중에 의해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작동유닛의 회동중심을 형성하는 회동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은, 상기 회동샤프트에 이격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작동유닛의 회동중심을 형성하는 회동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은, 상기 작동유닛의 회동에 의한 상기 회동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유닛; 상기 링크유닛에 연결되어 현상장치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회동샤프트와 함께 회동하는 제 1 링크부재; 일단은 상기 제 1 링크부재의 단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직선왕복운동하는 제 2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제 2 링크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가압유닛의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가압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2 링크부재는, 상기 가압유닛의 위치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압부에 삽입되는 걸림삽입부; 상기 걸림삽입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가압탄성부재가 안착되는 가변안착부로서, 상기 가압탄성부재의 가압력이 변화하도록 상기 가압탄성부재의 길이가 연동되게 가변하는 가변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압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 2 링크부재의 단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가압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압탄성부재는,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작동위치와 상기 대기위치사이에 배치될 때 최대압축길이(ML)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감광체와,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광체에 접촉되어 현상제를 공급하며 상기 감광체와 이격가능하게 마련되는 현상롤러를 갖는 현상장치;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도록 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광이 투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창을 갖는 광주사유닛;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창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셔터홀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창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창을 폐쇄하는 폐쇄위치를 이동하는 셔터유닛; 상기 셔터유닛이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위치를 이동하도록 상기 셔터유닛을 가압하는 가압유닛; 상기 현상장치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셔터유닛과 연동되도록 상기 가압유닛을 가압하는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현상장치의 길이방향인 제 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위치간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현상롤러와 감광체의 접촉 또는 분리동작과, 광창의 개폐동작이 연동되도록 하여, 화상형성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와 커버유닛에 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와 커버유닛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4a,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동작과 현상유닛에 관한 도면.
도 5a, 5b, 5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6a, 6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관한 사시도.
도 7a, 7b, 7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동작에 따른 가압유닛의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버유닛에 관한 도면.
도 8b은 도8a의 A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와 광주사유닛의 배치에 관한 도면.
도 11a, 11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동작과 현상장치에 관한 도면.
도 12a, 1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한 사시도.
도 13a, 13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동작에 따른 가압유닛의 단면도.
도 14a, 1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동작에 따른 셔터유닛과 현상장치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닛의 배치에 관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닛의 가압상태에 관한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에서 작동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닛에 관한 단면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와 커버유닛의 배치에 관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압유닛에 관한 정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압유닛과 셔터유닛에 관한 사시도.
도 22a, 22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압유닛과 셔터유닛과 커버유닛에 관한 연동동작에 관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와 커버유닛에 관한 도면.
도 24a, 24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동작과 현상장치에 관한 도면.
도 25a, 25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동작에 따른 가압유닛의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27a, 27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동작에 따른 커버유닛의 현상장치에 대한 장착가능여부에 관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와, 인쇄매체(S)의 저장 및 급송을 위한 인쇄매체공급장치(20)와, 인쇄매체공급장치(20)를 통해 공급된 인쇄매체(S)에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장치(30)와, 현상장치(30)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장치(40)와, 현상장치(30)의 감광체(32)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50)와, 인쇄매체(S)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S)에 정착시키는 정착장치(60)와,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S)를 본체(10)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장치(70)를 포함한다.
인쇄매체공급장치(20)는 인쇄매체(S)의 저장 및 급송을 위한 것으로 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되어 현상장치(30) 쪽으로 인쇄매체(S)를 공급한다.
이러한 인쇄매체공급장치(20)는 인쇄매체(S)를 저장하도록 본체(10)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쇄매체카세트(21)와, 인쇄매체카세트(21)에 저장된 인쇄매체(S)를 낱장씩 픽업하여 현상장치(3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재(25)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매체카세트(21) 내에는 적재된 인쇄매체(S)를 이송부재(25) 쪽으로 안내하도록 일단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가압스프링(22)에 지지되는 녹업플레이트(23)가 마련될 수 있다.
이송부재(25)는 녹업플레이트(23)에 적재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7)와, 픽업롤러(27)에 의해 픽업된 인쇄매체(S)를 현상장치(30) 쪽으로 이송시키는 피드롤러(28)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장치(3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31)과, 하우징(3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감광체(32)와, 토너장치(40)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스크류들(33a, 33b)과, 교반스크류들(33a, 33b)에 의해 교반된 토너를 감광체(32)로 공급하는 현상롤러(34)와, 감광체(32)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재(35)를 포함한다.
토너장치(40)로부터 공급된 토너는 하우징(31)의 내부로 유입되어 교반스크류들(33a, 33b)에 의해 하우징(31)의 일측으로 교반, 이송되며, 교반되어 이송된 토너는 현상롤러(34)에 의해 감광체(32)로 공급되어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32)에 공급되어 가시화상을 형성한 토너가 인쇄매체(S)에 전사되도록, 감광체(32)는 전사롤러(14)와 접촉하여 전사 닙(Nip, N1)을 형성한다. 전사롤러(14)는 본체(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토너장치(40)는 현상장치(30)와 결합되며, 인쇄매체(S)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토너를 수용, 보관하고, 화상형성동작이 진행될 때 토너를 현상장치(30)로 공급한다.
광주사장치(50)는 화상정보가 포함된 광을 감광체(32)에 주사하여 감광체(32)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정착장치(60)는 하우징(62)과, 하우징(6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열부재(64) 및 가압부재(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토너화상이 전사되어 있는 인쇄매체(S)는 가열부재(64)와 가압부재(66) 사이를 통과하는데, 이 때 열과 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인쇄매체(S)에 고정된다.
가열부재(64)는 가압부재(66)에 맞물려서 회전하며 가압부재(66)와 함께 정착 닙(N2)을 형성하고, 열원(68)에 의해 가열되어 정착 닙(N2)을 지나는 인쇄매체(S)에 열을 전달한다. 가열부재(64)는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가열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가열부재(64)의 내측에는 토너가 전사된 인쇄매체(S)에 열을 가해주기 위한 열원(68)이 배치된다. 열원(68)으로는 할로겐 램프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외에 전열선 또는 인덕션 히터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가압부재(66)는 가열부재(64)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가열부재(64)와의 사이에 정착 닙(N2)을 형성한다. 가열부재(64)는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가압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배출장치(70)는 서로 맞물리는 제1배출롤러(71)와 제2배출롤러(72)를 포함하여 정착장치(60)를 통과한 인쇄매체(S)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와 커버유닛에 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와 커버유닛의 결합에 관한 도면이다.
현상장치(30)는 현상장치안착부(5)에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현상장치(30)의 일측에는 현상장치(30)로부터 발생하는 폐토너가 저장되는 폐토너저장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현상장치(30)에서 사용된 토너는 폐토너저장유닛으로 이동되어, 폐토너저장유닛에 저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폐토너저장유닛을 커버유닛(170)으로 명명할 수 있다.
현상장치(30)의 일측에는 현상유닛(30a)과 감광유닛(30b)이 밀착하도록 가압어셈블리(100)가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가압어셈블리(100)의 동작을 통해 현상유닛(30a)의 현상롤러(34)와, 감광유닛(30b)의 감광체(32)가 밀착 또는 분리되도록 마련된다.
커버유닛(170)에는 가압어셈블리(100)의 동작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리브(174)가 마련될 수 있다.
가압어셈블리(100)와 가이드리브(174)의 관계 및 그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동작과 현상유닛에 관한 도면, 도 5a, 5b, 5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6a, 6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관한 사시도, 도 7a, 7b, 7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동작에 따른 가압유닛의 단면도이다.
가압어셈블리(100)는 현상장치(3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현상유닛(30a)과 감광유닛(30b)이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가압어셈블리(100)는 현상유닛(30a)의 현상롤러(34)와 감광유닛(30b)의 감광체(32)가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마련된다. 가압어셈블리(100)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현상장치안착부(5)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가압어셈블리(100)는 회동샤프트(110)와, 가압유닛(120)과, 작동유닛(150)을 포함한다.
회동샤프트(110)는 작동유닛(150)의 동작이 가압유닛(120)에 전달되도록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현상장치(30), 현상유닛(30a), 감광유닛(30b)의 길이방향을 제 1 방향(W1)이라고 할 때, 회동샤프트(110)는 제 1 방향(W1)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방향(W1)은 인쇄매체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회동샤프트(110)는 이후 설명하는 작동유닛(150)의 회동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회동샤프트(110)는 제 1 방향(W1)으로 배치되며, 제 1 방향(W1)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동샤프트(11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회동샤프트(110)의 외주면에는 회동샤프트(110)가 제 1 방향(W1)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스토퍼(111)가 마련될 수 있다.
가압유닛(120)은 현상롤러(34)와 감광체(32)를 밀착시키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현상유닛(30a)을 가압하여, 현상롤러(34)와 감광체(32)가 접촉 또는 밀착하도록 마련된다. 가압유닛(120)은 회동샤프트(110)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작동유닛(150)의 동작을 회동샤프트(110)를 통해 전달받아 동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압유닛(120)은 작동유닛(150)에 연동되어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가압유닛(120)은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가압유닛(120)은 작동유닛(150)에 연동되어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압유닛(120)이 복수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회동샤프트(110)상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가압유닛(120)은 회동샤프트(110)상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 1 방향(W1)을 따라 동일한 크기의 가압력이 분포되도록 구성함으로서, 현상유닛(30a)을 길이방향에 대한 위치와 무관하게 균일한 가압력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압유닛(120)은 현상롤러(34)와 감광체(32)를 접촉시키는 가압위치(P1)와, 가압위치(P1)에서 후퇴하여 현상롤러(34)와 감광체(32)를 분리시키는 해제위치(P2)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가압유닛(120)이 가압위치(P1)에 있는 경우에는, 가압유닛(120)에 의해 현상유닛(30a)이 가압되어 현상롤러(34)와 감광체(32)가 접촉하게 된다. 또한 가압유닛(120)이 해제위치(P2)에 있는 경우에는, 가압유닛(120)의 현상유닛(30a)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어 현상롤러(34)와 감광체(32)가 분리되도록 마련된다.
작동유닛(150)은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작동유닛(150)의 동작을 통해 가압유닛(120)이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즉, 적어도 하나의 가압유닛(120)은 작동유닛(150)에 연동되어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작동유닛(150)은 회동샤프트(110)에 연결되어, 회동샤프트(110)를 회전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몸체(152)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유닛(150)은 가압유닛(120)에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작동위치(O1)와, 가압력을 해제시키는 대기위치(O2)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작동유닛(150)이 작동위치(O1)에 있는 경우에는 가압유닛(120)이 현상유닛(30a)을 가압하는 상태가 되고, 대기위치(O2)에 있는 경우에는 가압유닛(120)이 현상유닛(30a)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작동유닛(150)의 작동위치(O1)는, 고정작동위치(O1a)와, 유동작동위치(O1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작동위치(O1a)는 가압유닛(120)을 가압위치(P1)에 지속적으로 위치시키도록 마련되며, 유동작동위치(O1b)는 가압유닛(120)을 가압위치(P1)에 유동적으로 위치시키도록 마련된다. 작동유닛(150)이 고정작동위치(O1a)에 있는 경우에는 외력이 있어야지만 유동작동위치(O1b)나 대기위치(O2)로 이동할 수 있으나, 작동유닛(150)이 유동작동위치(O1b)에 있는 경우에는 외력이 없어도 대기위치(O2)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작동유닛(150)이 고정작동위치(O1a)에 있는 경우와 유동작동위치(O1b)에 있는 경우에, 작동유닛(150)에 의해 연동되는 가압유닛(120)에 발생하는 가압력은 동일할 수 있다.
가압유닛(120)은 링크유닛(130)과 가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유닛(130)은 작동유닛(150)의 동작에 의한 회동샤프트(11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도록 마련된다.
링크유닛(130)은 제 1 링크부재(131), 제 2 링크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링크부재(131)는 일단이 회동샤프트(110)에 구속되어, 회동샤프트(110)의 회동과 함께 회동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링크부재(131)의 회전중심과 회동샤프트(110)의 회전중심은 일치하도록 마련된다.
링크유닛(130)의 적어도 일부는 현상장치안착부(5)의 내측에 배치되어, 현상장치안착부(5)의 내벽에 의해 제 1 링크부재(131)의 회동이 일정구간 제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 2 링크부재(132)는 일단이 제 1 링크부재(131)의 단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마련된다.
가압부(140)는 제 2 링크부재(132)의 타단에 마련되어, 제 2 링크부재(132)의 타단에서의 직선왕복운동을 통해 왕복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작동유닛(150)의 회동은 회동샤프트(110)에 의해 제 1 링크부재(131)의 회동으로 전달되고, 제 1 링크부재(131)의 회동은 제 2 링크부재(132)의 타단에서의 직선왕복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제 2 링크부재(132) 타단에서의 동작을 통해 가압부(140)가 직선왕복이동하면서, 현상유닛(30a)을 가압하여 현상롤러(34)와 감광체(32)가 접촉될 수 있게 된다.
링크유닛(130)은 가압탄성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탄성부재(134)는 가압유닛(120)의 동작에 따라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즉, 가압탄성부재(134)는 가압유닛(120)의 동작에 따라 인장 또는 압축을 하며, 가압유닛(120)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가압탄성부재(134)는 회동샤프트(110)의 회동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의 성분을 갖도록 배치된다. 즉, 가압탄성부재(134)는 회동샤프트(110)의 회동으로 인해 제 1 링크부재(131)가 회동시, 제 1 링크부재(131)의 일단이 이동하는 궤적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반대되는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마련된다.
가압부(140)는 가압몸체(142)와, 가압이동레일(146)을 포함한다.
가압몸체(142)의 전방에는 가압면(142a)이 마련되며, 가압면(142a)은 현상유닛(30a)과 직접 접촉하여 현상유닛(30a)을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가압몸체(142)는 제 2 링크부재(132)의 단부에 마련되어, 제 2 링크부재(132)의 동작과 연동되어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제 2 링크부재(132)의 단부에는 제 2 링크부재(132)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걸림핀(133)이 마련된다. 가압몸체(142)에는 걸림핀(133)이 이동할 수 있도록 걸림이동부(143)가 형성된다.
가압부(140)는 걸림핀(133)이 걸림이동부(143)상에서 동작이 제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걸림리브(144)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리브(144)는 가압몸체(142)상에 마련될 수 있다. 걸림리브(144)는 가압유닛(120)이 가압위치(P1)에서 대기위치(O2)로 후퇴하는 경우에 걸림핀(133)이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압유닛(120)이 대기위치(O2)에서 가압위치(P1)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 2 링크부재(132)가 가압부(140)에 영향을 주지 않으나, 가압위치(P1)에서 대기위치(O2)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 2 링크부재(132)의 걸림핀(133)이 걸림리브(144)에 걸려 가압부(140)를 후퇴시키도록 마련된다.
제 2 링크부재(132)는 걸림삽입부(132a)와 가변안착부(132b)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삽입부(132a)는 제 2 링크부재(132)에서 가압유닛(120)의 동작에 의해 가압부(140)의 걸림이동부(143)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가변안착부(132b)는 제 2 링크부재(132)에서 가압탄성부재(134)가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가변안착부(132b)는 제 2 링크부재(132)에서 걸림삽입부(132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말한다. 즉, 가변안착부(132b)는 제 2 링크부재(132)에서 걸림리브(144)의 일면으로부터 제 2 링크부재(132)의 단부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 2 링크부재(132)의 길이는 가변안착부(132b)와 걸림삽입부(132a)의 길이의 합과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변안착부(132b)와 걸림삽입부(132a)의 길이는 가압유닛(120)의 동작에 따라 변하도록 마련되나 양 구성의 길이의 합이 제 2 링크부재(132)의 길이의 합과 동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압유닛(120)의 동작에 따라 가변안착부(132b)의 길이가 변하게 되므로, 가변안착부(132b)에 마련되는 가압탄성부재(134)의 길이도 함께 변하게 된다. 가변안착부(132b)의 길이는 가압유닛(120)의 동작에 따라 변하게 되므로, 가압탄성부재(134)의 길이도 가압유닛(120)의 동작에 따라 변하게 된다. 가압탄성부재(134)의 길이변화는 탄성력의 변화를 의미하므로, 가압유닛(120)의 동작에 따라 가압탄성부재(134)의 탄성력이 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압유닛(120)이 대기위치(O2)에서 가압위치(P1)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가변안착부(132b)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가변안착부(132b)에 마련되는 가압탄성부재(134)의 탄성력이 가압몸체(142)의 걸림리브(144)의 일면에 작용하게 되어, 가압부(140)가 현상유닛(30a)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가압유닛(120)이 가압위치(P1)에서 대기위치(O2)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가변안착부(132b)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므로, 가변안착부(132b)에 마련되는 가압탄성부재(134)의 탄성력이 줄어들게 되고, 제 2 링크부재(132)의 걸림핀(133)이 걸림리브(144)에 걸리면서 가압부(140)가 현상유닛(30a)을 가압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후퇴시키게 된다.
가압이동레일(146)은 가압몸체(142)에 마련되어, 가압부(140)가 직선왕복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현상장치안착부(5)에 가압이동레일(146)에 대응되도록 이동돌기(147)가 마련되며, 가압이동레일(146)은 이동돌기(147)를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가압이동레일(146)은 가압몸체(142)의 양측면에 마련되며, 상하로 한쌍씩 마련되어 그 사이에 이동돌기(147)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 쌍의 가압이동레일(146)사이에는 이동돌기(147)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삽입부(146a)를 형성될 수 있다.
작동유닛(150)과 회동샤프트(110)의 회전운동은 제 1 링크부재(131)와 제 2 링크부재(132)에 의해 가압부(140)로 전달되고, 가압부(140)에서는 가압이동레일(146)과 이동돌기(147)에 의해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되게 된다.
가압탄성부재(134)는 작동유닛(150)의 상태에 따라 압축되는 길이가 다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가압유닛(120)의 동작에 따라 가변안착부(132b)의 길이도 변하게 되므로, 가변안착부(132b)에 마련되는 가압탄성부재(134)의 길이가 다르게 되는 것이다.
자세하게는 작동유닛(150)이 대기위치(O2)에 있을 때 가압탄성부재(134)의 길이를 제 1 길이(L1)라하고, 작동유닛(150)이 고정작동위치(O1a)에 있을 때 가압탄성부재(134)의 길이를 제 2 길이(L2)라하고, 작동유닛(150)이 유동작동위치(O1b)에 있을 때 가압탄성부재(134)의 길이를 제 3 길이(L3)라 할 수 있다.
가압탄성부재(134)가 제 1 길이(L1)가 될 때는 가압탄성부재(134)가 인장이나 압축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가압탄성부재(134)가 제 2 길이(L2)와 제 3 길이(L3)가 될 때는 가압탄성부재(134)에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압축되는 길이이다. 즉, 제 2 길이(L2)와 제 3 길이(L3)는 제 1 길이(L1)보다 짧도록 마련된다.
작동유닛(150)이 고정작동위치(O1a)에 있을 때와, 유동작동위치(O1b)에 있을 때 발생하는 가압력이 동일하도록, 제 2 길이(L2)와 제 3 길이(L3)는 동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압탄성부재(134)는 작동유닛(150)이 고정작동위치(O1a)와 유동작동위치(O1b) 사이에 위치할 때, 최대로 압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압탄성부재(134)는 작동유닛(150)이 고정작동위치(O1a)와 유동작동위치(O1b) 사이를 이동할 때 최대압축길이(ML)로 압축된다.
그러므로 작동유닛(150)을 고정작동위치(O1a)에서 유동작동위치(O1b)나 대기위치(O2)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가압탄성부재(134)가 제 2 길이(L2)에서 최대압축길이(ML)로 압축되는 외력을 가해야한다. 또한 작동유닛(150)이 유동작동위치(O1b)에서 대기위치(O2)로의 이동은, 가압탄성부재(134)가 최대압축길이(ML)로 압축되는 외력이 필요없이, 제 3 길이(L3)에서 제 1 길이(L1)로 탄성복귀되면서 이루어진다.
링크유닛(130)의 상부에는 링크유닛(130)의 동작을 제한하도록 동작제한면(6a)이 마련된다. 동작제한면(6a)은 현상장치안착부(5)에 마련되며, 링크유닛(130)의 상부와 마주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현상장치안착부(5)는 가압어셈블리(10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어셈블리커버(6)를 포함할 수 있다. 어셈블리커버(6)의 내측에는 회동샤프트(110)와, 가압유닛(12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어셈블리커버(6)의 내측에는 링크유닛(130)과 마주하는 동작제한면(6a)이 마련되고, 동작제한면(6a)에 의해 링크유닛(130)의 동작이 일부제한된다.
이를 작동유닛(150)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작동유닛(150)이 고정작동위치(O1a)에 있는 경우에는, 링크유닛(130)의 제 1 링크부재(131)의 단부는 동작제한면(6a)에 의해 일방향으로의 회동이 제한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타방향으로는 제 2 링크부재(132)에 마련되는 가압탄성부재(134)의 압축탄성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작동유닛(150)이 고정작동위치(O1a)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버유닛에 관한 도면, 도 8b은 도8a의 A의 확대도이다.
커버유닛(170)은 현상장치(30)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커버유닛(170)의 탈장착을 통해 작동유닛(150)의 동작이 연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커버유닛(170)은 현상장치(30)의 일측에 장착되면서 대기위치(O2) 또는 고정작동위치(O1a)의 작동유닛(150)을 유동작동위치(O1b)로 가이드할 수 있다.
커버유닛(170)은 커버몸체(172)와 가이드리브(17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몸체(172)는 현상장치(30)의 일측을 덮도록 마련되며, 현상장치(30)와 연결되어 현상장치(30)로부터 발생하는 폐토너가 저장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174)는 커버몸체(172)에서 현상장치(30)를 향하는 일면에 마련되어, 작동유닛(150)의 회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리브(174)는 제 1 가이드리브(175)와 제 2 가이드리브(17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리브(175)는 작동유닛(150)이 고정작동위치(O1a)에서 유동작동위치(O1b)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며, 제 2 가이드리브(176)는 작동유닛(150)이 대기위치(O2)에서 유동작동위치(O1b)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커버유닛(170)은 작동유닛안착부(178)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유닛안착부(178)는 커버유닛(170)이 현상장치(30) 일측에 장착시 작동유닛(150)을 유동작동위치(O1b)에 위치시키도록 가이드리브(174)의 단부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유닛안착부(178)가 제 1 가이드리브(175)와 제 2 가이드리브(176)사이에 마련되며, 작동유닛(150)이 고정작동위치(O1a)나 대기위치(O2)에서 가이드리브(174)에 의해 가이드되어 작동유닛안착부(178)에 대응되는 유동작동위치(O1b)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한다.
가이드리브(174)는 그 단부가 작동유닛안착부(178)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커버유닛(170)을 현상장치(30) 일측에 결합시, 작동유닛(150)이 회동하여 유동작동위치(O1b)에 대응되는 작동유닛안착부(178)에 안착할 수 있게 된다.
자세하게는 가이드리브(174)는 제 1 리브접촉부(174a)와, 제 1 리브접촉부(174a)로부터 작동유닛(15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이격되며 제 1 리브접촉부(174a)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커버몸체(172)를 향해 기울어지는 기울기를 형성하는 제 2 리브접촉부(174b)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유닛(150)은 작동몸체(152)와, 작동몸체(152)에 마련되는 제 1 가이드면(152a)과 제 2 가이드면(15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면(152a)은 제 1 가이드리브(175)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마련되며, 작동몸체(152)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가이드면(152a)은 작동몸체(152)의 상부 모서리에 마련되어 제 1 가이드리브(175)의 제 1 리브접촉부(174a)로부터 제 2 리브접촉부(174b)로 가이드되도록 마련된다.
제 2 가이드면(152b)은 제 2 가이드리브(176)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마련되며, 작동몸체(152)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가이드면(152b)은 작동몸체(152)의 하부 모서리에 마련되어 제 2 가이드리브(176)의 제 1 리브접촉부(174a)로부터 제 2 리브접촉부(174b)로 가이드되도록 마련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현상장치(30)를 현상장치안착부(5)에 안착시킨 후에는 인쇄가 이루어지기 위해 현상롤러(34)와 감광체(32)가 접촉되도록, 현상유닛(30a)과 감광유닛(30b)을 밀착시켜야 한다.
현상유닛(30a)과 감광유닛(30b)을 밀착시키도록 가압어셈블리(100)를 동작시키게 된다.
작동유닛(150)은 초기에 대기위치(O2)에 위치하게 되고, 현상장치(30)가 현상장치안착부(5)에 안착되면, 작동유닛(150)을 회동시켜 가압유닛(120)이 현상유닛(30a)을 가압하도록 한다.
작동유닛(150)을 대기위치(O2)에서 고정작동위치(O1a)나 유동작동위치(O1b)로 회동시키는 경우에는 가압유닛(120)의 링크유닛(130)이 작동하여 가압부(140)가 현상유닛(30a)을 가압하게 된다. 이와같이 가압된 현상유닛(30a)은 감광유닛(30b)과 밀착하게 되고, 현상롤러(34)와 감광체(32)가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임의로 작동유닛(150)을 대기위치(O2)에서 고정작동위치(O1a)나 유동작동위치(O1b)로 이동시켜 현상유닛(30a)과 감광유닛(30b)이 밀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커버유닛(170)을 현상장치(30)의 일측에 장착함으로서 작동유닛(150)이 작동위치(O1)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작동유닛(150)의 위치에 무관하게, 커버유닛(170)을 현상장치(30)의 일측에 장착하게 되면 가이드리브(174)에 의해 작동유닛(150)은 유동작동위치(O1b)로 이동하게 된다.
자세하게는 작동유닛(150)이 고정작동위치(O1a)에 있는 경우에는 커버유닛(170)을 현상장치(30)의 일측에 장착시, 커버유닛(170)의 제 1 가이드리브(175)에 의해 가이드되어 유동작동위치(O1b)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작동유닛(150)이 대기위치(O2)에 있는 경우에는 커버유닛(170)을 현상장치(30)의 일측에 장착시, 커버유닛(170)의 제 2 가이드리브(176)에 의해 가이드되어 유동작동위치(O1b)로 이동하게 된다. 제 1 가이드리브(175) 또는 제 2 가이드리브(176)에 의해 가이드된 작동유닛(150)은 작동유닛안착부(178)에 안착하게되며, 유동작동위치(O1b)를 유지하게 된다.
작동유닛(150)이 유동작동위치(O1b)에 있는 경우에 커버유닛(170)을 현상장치(30)의 일측에 장착시, 작동유닛(150)이 작동유닛안착부(178)에 안착되어 유동작동위치(O1b)를 유지함은 물론이다.
현상장치(30)의 교체를 위해 커버유닛(170)을 현상장치(30)로부터 이격시키는 경우에는, 유동작동위치(O1b)에 있는 작동유닛(150)이 가압탄성부재(134)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대기위치(O2)로 회동하게 된다. 작동유닛(150)이 대기위치(O2)로 회동함에 따라 가압유닛(120)의 현상유닛(30a)에 대한 가압력도 해제가 되고, 현상롤러(34)와 감광체(32)는 분리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앞선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1)는 본체(1010), 인쇄매체 공급유닛(1020), 광주사유닛(1030), 현상장치(1030), 전사유닛(1060), 정착유닛(1070) 및 인쇄매체 배출유닛(1080)을 구비한다.
본체(1010)는 화상형성장치(100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또한, 본체(1010)의 일측에는 커버(101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커버(1011)는 본체(1010)의 일부분을 개폐한다. 사용자는 커버(1011)를 열고 본체(1010)의 내부로 접근하여 인쇄경로 상의 잼(jam)된 용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인쇄매체 공급유닛(1020)은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1021)와, 카세트(10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1022)와, 픽업된 인쇄매체를 전사유닛(106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10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유닛(1030)은 현상유닛(1040)의 하부에 배치되어 화상 정보에 상응하는 광을 감광체(1052)에 주사하여 감광체(1052)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광을 생성하는 광원(1032)과, 광원(1032)에서 생성된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복수의 반사미러(1034)와, 복수의 반사미러(1034)에서 반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복수의 광창(1036)을 포함한다.
현상장치(1040)는 현상유닛(1041), 감광유닛(1050)를 포함한다.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각각의 현상유닛(1041Y, 1041M, 1041C, 1041K)은 현상롤러(1042)와 공급롤러(1044, 1046)를 가진다. 공급롤러(1044, 1046)는 현상제를 현상롤러(1042)에 공급하며, 현상롤러(1042)는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1052)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각각의 현상유닛(1041Y, 1041M, 1041C, 1041K)에 대응하는 각각의 감광유닛(1050Y, 1050M, 1050C, 1050K)은 감광체(1052)와 대전기(1054)를 가진다. 대전기(1054)는 감광체(1052)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며, 대전기(1054)에 의해 대전된 감광체(1052)의 표면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전사유닛(1060)은 각각의 감광유닛(1050Y, 1050M, 1050C, 1050K)의 감광체(1052)에 접촉하여 순환 주행하는 전사벨트(1061), 전사벨트(1061)를 구동시키는 구동롤러(1063), 전사벨트(1061)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롤러(1065), 각각의 감광유닛(1050Y, 1050M, 1050C, 1050K)의 감광체(1052)에 현상되어 있는 가시화상을 인쇄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4개의 롤러(106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착유닛(1070)은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1071)와, 가열롤러(107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가압롤러(1072)를 구비한다. 인쇄매체가 가열롤러(1071)와 가압롤러(1072)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107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1071)와 가압롤러(1072)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화상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인쇄매체 배출유닛(1080)은 복수의 배지롤러(1081)를 구비하여 정착유닛(1070)을 통과한 인쇄매체를 본체(1010)의 외부로 배출한다.
각각의 감광유닛(1050Y, 1050M, 1050C, 1050K)은 본체(1010) 내부에 고정되고, 각각의 현상유닛(1041Y, 1041M, 1041C, 1041K)은 본체(10)의 일측을 통해 장착 또는 탈착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각각의 현상유닛(1041Y, 1041M, 1041C, 1041K)은 본체(10)에 장착되었을 때 각각의 감광유닛(1050Y, 1050M, 1050C, 1050K)에 회전중심(CY, CM, CC, CK)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각각의 현상유닛(1041Y, 1041M, 1041C, 1041K)에 포함된 현상롤러들(1042)과, 각각의 감광유닛(1050Y, 1050M, 1050C, 1050K)에 포함된 감광체들(1052)은 화상형성장치(1001)가 인쇄동작을 수행할 때 서로 접촉하고, 각각의 현상유닛(1041Y, 1041M, 1041C, 1041K)을 교체하기 위해 탈착할 때 서로 분리되는데, 이하에서는 현상롤러(1042)와 감광체(1052)를 서로 접촉시키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와 광주사유닛의 배치에 관한 도면이다.
현상장치(1040)는 현상장치안착부(1005)에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현상장치(1040)의 일측에는 현상장치(1040)로부터 발생하는 폐토너가 저장되는 폐토너저장유닛(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현상장치(1040)에서 사용된 토너는 폐토너저장유닛으로 이동되어, 폐토너저장유닛에 저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폐토너저장유닛을 커버유닛(270)(미도시)로 명명할 수 있다. 커버유닛(270)이 앞선 실시예와 같이 작동유닛(250)의 동작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구조에 대해서 설명을 생략한다.
현상장치(1040)의 일측에는 현상유닛(1041)과 감광유닛(1050)이 밀착하도록 가압어셈블리(200)가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가압어셈블리(200)의 동작을 통해 현상유닛(1041)의 현상롤러(1042)와, 감광유닛(1050)의 감광체(1052)가 밀착 또는 분리되도록 마련된다.
도 11a, 11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동작과 현상장치에 관한 도면, 도 12a, 1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한 사시도, 도 13a, 13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동작에 따른 가압유닛의 단면도, 도 14a, 1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동작에 따른 셔터유닛과 현상장치의 단면도이다.
가압어셈블리(200)는 현상장치(104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현상유닛(1041)과 감광유닛(1050)이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가압어셈블리(200)는 현상유닛(1041)의 현상롤러(1042)와 감광유닛(1050)의 감광체(1052)가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마련된다. 가압어셈블리(200)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현상장치안착부(1005)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가압어셈블리(200)는 회동샤프트(210)와, 가압유닛(220)과, 작동유닛(250)을 포함한다.
회동샤프트(210)는 작동유닛(250)의 동작이 가압유닛(220)에 전달되도록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회동샤프트(210)의 외주면에는 회동샤프트(210)가 제 1 방향(W1)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스토퍼(211)가 마련될 수 있다.
가압유닛(220)은 현상롤러(1042)와 감광체(1052)를 밀착시키도록 마련된다. 가압유닛(220)은 작동유닛(250)에 연동되어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가압유닛(220)은 현상롤러(1042)와 감광체(1052)를 접촉시키는 가압위치(P1)와, 가압위치(P1)에서 후퇴하여 현상롤러(1042)와 감광체(1052)를 분리시키는 해제위치(P2)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작동유닛(250)은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작동유닛(250)의 동작을 통해 가압유닛(220)이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즉, 적어도 하나의 가압유닛(220)은 작동유닛(250)에 연동되어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작동유닛(250)은 회동샤프트(210)에 연결되어, 회동샤프트(210)를 회전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몸체(252)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유닛(250)은 가압유닛(220)에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작동위치(O1)와, 가압력을 해제시키는 대기위치(O2)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가압유닛(220)은 링크유닛(230)과 가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유닛(230)은 제 1 링크부재(231), 제 2 링크부재(232), 가압탄성부재(2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링크부재(232)는 걸림삽입부(232a)와 가변안착부(2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링크부재(232)의 단부에는 제 2 링크부재(232)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걸림핀(233)이 마련된다.
가압탄성부재(234)는 가압유닛(220)이 작동위치(O1)와 대기위치(O2) 사이에 위치할 때, 최대로 압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압탄성부재(234)는 작동유닛(250)이 작동위치(O1)와 대기위치(O2)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 최대압축길이(ML)로 압축된다.
링크유닛(230)의 상부에는 링크유닛(230)의 동작을 제한하도록 동작제한면(6a)이 마련된다. 동작제한면(6a)은 현상장치안착부(1005)의 어셈블리커버(6)에 마련되며, 링크유닛(230)의 상부와 마주하도록 마련된다.
가압부(240)는 가압몸체(242)와, 가압이동레일(246)을 포함한다. 가압몸체(242)의 전방에는 가압면(242a)이 마련되며, 가압면(242a)은 현상유닛(1041)과 직접 접촉하여 현상유닛(1041)을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가압몸체(242)에는 걸림핀(233)이 이동할 수 있도록 걸림이동부(243)가 형성된다. 가압부(240)는 걸림핀(233)이 걸림이동부(243)상에서 동작이 제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걸림리브(244)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리브(244)는 가압몸체(242)상에 마련될 수 있다.
가압이동레일(246)은 가압몸체(242)에 마련되어, 가압부(240)가 직선왕복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현상장치안착부(1005)에 가압이동레일(246)에 대응되도록 이동돌기(247)가 마련되며, 가압이동레일(246)은 이동돌기(247)를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가압이동레일(246)은 가압몸체(242)의 양측면에 마련되며, 상하로 한쌍씩 마련되어 그 사이에 이동돌기(247)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 쌍의 가압이동레일(246)사이에는 이동돌기(247)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삽입부(246a)를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240)는 셔터가이드부재(248)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가이드부재(248)는 셔터유닛(280)의 동작을 가이드하여, 광창(1036)이 개폐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유닛(220)이 한 쌍이 마련되므로, 셔터유닛(280)의 양측을 가이드하여 셔터유닛(280)이 동작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압유닛(220)이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어 셔터유닛(280)의 동작을 가이드하면 이를 만족한다.
셔터가이드부재(248)는 가압부(240)의 가압몸체(242)로부터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즉 셔터가이드부재(248)는 가압몸체(242)로부터 돌출된 돌기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 셔터가이드부재(248)는 가압몸체(242)로부터 돌출형성되며, 가압부(240)의 진퇴진행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압부(240)의 진퇴동작과 함께, 셔터유닛(280)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셔터유닛(280)은 광창(1036)을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광창(1036)을 통해 광주사유닛으로부터 생성된 광이 투사되며, 투사된 광은 광창(1036)을 지나 감광체(1052)에 주사된다. 셔터유닛(280)은 광창(1036)을 개폐함으로서, 선택적으로 감광체(1052)에 광이 주사되도록 마련된다.
셔터유닛(280)은 셔터몸체(282)와, 셔터몸체(282)에 마련되는 셔터회동부(284)를 포함한다.
셔터몸체(282)는 광창(1036)과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셔터몸체(282)는 광창(1036)과 감광체(1052)에 대응되도록 광창(1036)의 길이방향 또는 감광체(105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셔터몸체(282)는 광창(1036)을 개방하는 개방위치(S1)와, 광창(1036)을 폐쇄하는 폐쇄위치(S2)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셔터몸체(282)의 개방위치(S1), 폐쇄위치(S2)간은 셔터회동부(284)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서 이동할 수 있다.
셔터몸체(282)에는 가압부(240)의 셔터가이드부재(248)에 대응되는 셔터돌기(283)가 마련된다. 셔터돌기(283)는 셔터몸체(282)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셔터몸체(282)의 단부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셔터유닛(280)의 양단부에 한 쌍의 가압유닛(220)이 마련되므로, 셔터돌기(283)는 셔터몸체(282)의 양단부에 한 쌍이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압유닛(220)이 해제위치(P2)에서 가압위치(P1)로 이동하면서, 가압부(240)의 셔터가이드부재(248)가 셔터유닛(280)의 셔터돌기(283)를 가압하게 된다. 이를 통해 가압유닛(220)이 가압위치(P1)에 있는 경우에는, 현상유닛(1041)을 가압함과 동시에 셔터유닛(280)이 개방위치(S1)에 있도록 한다.
셔터유닛(280)이 폐쇄위치(S2)에서 개방위치(S1)로의 이동은 셔터돌기(283)가 셔터가이드부재(248)에 의해 가압됨으로서 이루어지며, 개방위치(S1)에서 폐쇄위치(S2)로의 이동은 셔터유닛(280)의 자중에 의해 낙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셔터유닛(280)이 개방위치(S1)에서 폐쇄위치(S2)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가압유닛(220)이 가압위치(P1)에서 해제위치(P2)로 이동하는 것과 연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셔터유닛(280)이 자중에 의해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셔터몸체(282)는 셔터회동부(284)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는 데, 셔터유닛(280)이 폐쇄위치(S2)에 위치하는 경우의 셔터몸체(282)와, 셔터유닛(280)이 개방위치(S1)에 위치하는 경우의 셔터몸체(282)가 이루는 각은 예각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즉, 셔터유닛(280)의 개방위치(S1)와 폐쇄위치(S2)간의 회동각은 예각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폐쇄위치(S2)에서는 셔터몸체(282)가 광창(1036)과 나란하도록 마련되며, 개방위치(S1)에서는 셔터몸체(282)가 광창(1036)과 예각을 형성하며 회동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셔터유닛(280)이 개방위치(S1)에서 폐쇄위치(S2)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셔터몸체(282)의 자중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닛의 배치에 관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닛의 가압상태에 관한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에서 작동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닛에 관한 단면사시도이다.
작동유닛(250)은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작동유닛(250)의 동작을 통해 가압유닛(220)이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즉, 적어도 하나의 가압유닛(220)은 작동유닛(250)에 연동되어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작동유닛(250)은 회동샤프트(210)에 연결되어, 회동샤프트(210)를 회전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몸체(252)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유닛(250)은 가압유닛(220)에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작동위치(O1)와, 가압력을 해제시키는 대기위치(O2)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작동유닛(250)이 작동위치(O1)에 있는 경우에는 가압유닛(220)이 현상유닛(1041)을 가압하는 상태가 되고, 대기위치(O2)에 있는 경우에는 가압유닛(220)이 현상유닛(1041)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작동유닛(250)은 작동몸체(252)와, 안착가압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몸체(252)는 회동샤프트(210)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안착가압부재(260)는 작동몸체(252)에 마련되어, 작동유닛(250)이 작동위치(O1)에 있을 때 현상장치(1040)를 현상장치안착부(1005)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제 1 방향(W1)은 현상장치(1040)가 현상장치안착부(1005)에 장착되는 장착방향(W1a)과, 장착방향(W1a)과 반대되어 현상장치(1040)가 현상장치안착부(1005)로부터 이탈되는 이탈방향(W1b)을 포함한다. 안착가압부재(260)는 현상장치(1040)를 장착방향(W1a)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안착가압부재(260)는 현상장치(1040)의 감광유닛(1050)을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작동유닛(250)은 작동회동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회동부(254)는 작동몸체(252)에서 회동샤프트(21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작동회동부(254)는 회동샤프트(210)가 지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동축의 수직한 방향으로 작동회동부(254)로부터 작동몸체(252)가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작동회동부(254)의 일단은 현상장치안착부(1005)에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작동회동부(254)에는 작동탄성부(264)가 마련되어, 작동유닛(250)이 현상장치(1040)를 장착방향(W1a)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작동탄성부(264)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안착가압부재(260)는 현상장치(1040)를 향하여 현상장치(1040)와 접하는 안착가압면(262)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가압면(262)은 현상장치(1040)와 직접 접하도록 마련되며, 작동유닛(250)이 대기위치(O2)에서 작동위치(O1)로 이동하면서, 안착가압면(262)이 현상장치(1040)를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안착가압면(262)은 제 1 안착가압부(262a)와 제 2 안착가압부(26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안착가압부(262a)는 작동유닛(250)의 대기위치(O2)에서 작동위치(O1)로의 회동방향에 대해 제 2 안착가압부(262b)보다 앞서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작동유닛(250)이 대기위치(O2)에서 또는 대기위치(O2)에서 작동위치(O1)로 이동하면서, 현상장치(1040)에 접촉하는 제 1 안착가압부(262a)는, 작동유닛(250)이 작동위치(O1)로 이동한 후에 현상장치(1040)에 접촉하는 제 2 안착가압부(262b)보다 이탈방향(W1b)으로 오목하도록 마련된다. 반대로 작동유닛(250)이 작동위치(O1)에서 현상장치(1040)에 접촉하는 제 2 안착가압부(262b)는, 작동유닛(250)이 대기위치(O2)에서 현상장치(1040)에 접촉하는 제 1 안착가압부(262a)보다 장착방향(W1a)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작동유닛(250)이 대기위치(O2)에서 작동위치(O1)로 이동시 현상장치(1040)에는 제 1 안착가압부(262a)가 먼저 접촉하고, 이후에 제 2 안착가압부(262b)가 접촉하게 된다. 즉 제 1 안착가압부(262a)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제 2 안착가압부(262b)는 제 1 안착가압부(262a)보다 장착방향(W1a)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작동유닛(250)이 작동위치(O1)로 이동한 후에는 제 2 안착가압부(262b)가 현상장치(1040)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안착가압면(262)은 적어도 일부가 곡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그러므로 제 2 안착가압부(262b)는 제 1 안착가압부(262a)로부터 곡면으로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작동유닛(250)이 대기위치(O2)에서 작동위치(O1)로 이동시 현상장치(1040)를 자연스럽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현상장치(1040)에는 안착가압면(262)과 대응되도록 안착피가압면(1056)이 마련된다. 안착피가압면(1056)은 작동유닛(250)의 안착가압면(262)에 의해 가압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안착피가압면(1056)은 현상장치(1040)의 감광유닛(1050)에 마련될 수 있다.
안착피가압면(1056)은 안착가압면(262)에 대응되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안착피가압면(1056)은 제 1 안착가압부(262a)가 접촉하는 제 1 안착피가압부(1056a)와, 제 2 안착가압부(262b)가 접촉하며 제 1 안착피가압부(1056a)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이탈방향(W1b)을 향하는 기울기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 2 안착피가압부(1056b)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유닛(250)은 작동탄성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탄성부(264)는 작동회동부(254)에 마련되어, 작동유닛(250)에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즉, 작동유닛(250)이 현상장치(1040)를 장착방향(W1a)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작동유닛(250)에 장착방향(W1a)을 향하는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마련된다. 작동회동부(254)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그 내부공간은 비어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작동회동부(254)의 내부에는 작동탄성부(264)가 위치할 수 있도록 안착공간(256)을 형성할 수 있다. 안착공간(256)은 이후 설명하는 장착탄성부재(265)가 안착되는 제 1 안착공간(256a)과, 고정부재(266)가 안착되는 제 2 안착공간(256b)을 포함한다.
작동탄성부(264)는 장착탄성부재(265)와, 고정부재(266)를 포함한다.
고정부재(266)는 회동샤프트(210)에 마련되고, 장착탄성부재(265)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즉, 회동샤프트(210)는 제 1 방향(W1)으로 이동이 제한되고, 고정부재(266)는 회동샤프트(210) 축방향에 수직하도록 배치되므로, 장착탄성부재(265)가 고정부재(26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고정부재(266)가 회동샤프트(210)에 마련되는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핀형상으로 마련되어, 회동샤프트(210)를 축방향에 수직하게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작동유닛(250)은, 작동유닛(250)이 이탈방향(W1b)으로의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고정부재(266)와 접하도록 마련되는 이동제한면(257)을 포함한다. 제 2 안착공간(256b)은 작동회동부(254)의 내부에서 이동제한면(257)을 경계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작동유닛(250)이 이탈방향(W1b)으로 이동하는 경우, 고정부재(266)가 작동유닛(250)의 이동제한면(257)과 접하게 되어, 작동유닛(250)이 이탈방향(W1b)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고정부재(266)는 장착탄성부재(265)의 일단을 지지하므로, 장착탄성부재(265)가 안착되는 제 1 안착공간(256a)보다 고정부재(266)가 안착되는 제 2 안착공간(256b)의 반경이 더 크므로, 이동제한면(257)은 제 1 안착공간(256a)의 둘레로부터 제 2 안착공간(256b)의 둘레까지 형성될 수 있다.
장착탄성부재(265)는 안착공간(256)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탄성부재(265)는 일단은 고정부재(266)에 지지되고, 타단은 작동회동부(254)의 축방향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장착탄성부재(265)는 회동샤프트(2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장착탄성부재(265)로부터 발생하는 탄성력이 작동유닛(250)에 축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장착탄성부재(265)는 작동유닛(250)을 장착방향(W1a)으로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현상장치(1040)를 현상장치안착부(1005)에 안착시킨 후에는 인쇄가 이루어지기 위해 현상롤러(1042)와 감광체(1052)가 접촉되도록, 현상유닛(1041)과 감광유닛(1050)을 밀착시켜야 한다.
현상유닛(1041)과 감광유닛(1050)을 밀착시키도록 가압어셈블리(200)를 동작시키게 된다.
작동유닛(250)은 초기에 대기위치(O2)에 위치하게 되고, 현상장치(1040)가 현상장치안착부(1005)에 안착되면, 작동유닛(250)을 회동시켜 가압유닛(220)이 현상유닛(1041)을 가압하도록 한다.
작동유닛(250)을 대기위치(O2)에서 작동위치(O1)로 회동시키는 경우에는 가압유닛(220)의 링크유닛(230)이 작동하여 가압부(240)가 현상유닛(1041)을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압된 현상유닛(1041)은 감광유닛(1050)과 밀착하게 되고, 현상롤러(1042)와 감광체(1052)가 접촉하게 된다.
작동유닛(250)이 대기위치(O2)에서 작동위치(O1)로 회동하면서, 가압유닛(220)은 해제위치(P2)에서 가압위치(P1)로 이동하게 된다. 가압유닛(220)이 해제위치(P2)에서 가압위치(P1)로 이동하면서, 가압부(240)는 현상유닛(1041)을 가압함과 동시에 셔터유닛(280)을 개방하게 된다.
자세하게는 가압부(240)의 가압면(242a)이 현상유닛(1041)을 가압하게 되고, 가압부(240)의 셔터가이드부재(248)가 셔터유닛(280)의 회동을 가이드한다. 셔터가이드부재(248)는 셔터유닛(280)의 셔터돌기(283)를 가압하게 되고, 셔터유닛(280)은 셔터회동부(284)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폐쇄위치(S2)에서 개방위치(S1)로 이동하게 된다.
작동유닛(250)을 대기위치(O2)에서 작동위치(O1)로 회동시키면서, 현상장치(1040)는 화상형성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동시에 광주사유닛에서 생성된 광이 감광체(1052)에 주사되도록 마련된다.
작동유닛(250)이 작동위치(O1)에 위치하는 경우, 가압유닛(220)은 현상유닛(1041)을 가압하고, 작동유닛(250)은 현상장치(1040)의 감광유닛(1050)을 장착방향(W1a)으로 가압하게 된다. 작동유닛(250)의 안착가압부재(260)는 현상장치(1040)를 장착방향(W1a)으로 가압하게 된다.
작동유닛(250)을 대기위치(O2)에서 작동위치(O1)로 회동시, 먼저 안착가압부재(260)의 제 1 안착가압부(262a)는 현상장치(1040)에 안착피가압면(1056)중 제 1 안착피가압부(1056a)와 접촉하게 된다. 작동유닛(250)이 작동위치(O1)까지 회동하게 되면, 안착가압부재(260)의 제 2 안착가압부(262b)는 현상장치(1040)의 안착피가압면(1056) 중 제 2 안착피가압부(1056b)와 접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작동유닛(250)은 작동탄성부(264)에 의해 탄성력이 발생하여, 현상장치의 감광유닛(1050)을 장착방향(W1a)으로 가압하게 된다.
작동유닛(250)을 가압위치(P1)에서 대기위치(O2)로 회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과정의 역과 같다.
이하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앞선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와 커버유닛의 배치에 관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압유닛에 관한 정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압유닛과 셔터유닛에 관한 사시도이다.
현상장치(1040)는 현상장치안착부(1005)에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현상장치(1040)의 일측에는 현상장치(1040)로부터 발생하는 폐토너가 저장되는 폐토너저장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현상장치(1040)에서 사용된 토너는 폐토너저장유닛으로 이동되어, 폐토너저장유닛에 저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폐토너저장유닛을 커버유닛(370)으로 명명할 수 있다.
셔터유닛(380)은 광창(1036)을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광창(1036)을 통해 광주사유닛으로부터 생성된 광이 투사되며, 투사된 광은 광창(1036)을 지나 감광체(1052)에 주사된다. 셔터유닛(380)은 광창(1036)을 개폐함으로서, 선택적으로 감광체(1052)에 광이 주사되도록 마련된다.
셔터유닛(380)은 셔터몸체(382)와, 셔터몸체(382)에 마련되는 셔터피가압부(386)를 포함한다.
셔터몸체(382)는 광창(1036)과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셔터몸체(382)는 광창(1036)과 감광체(1052)에 대응되도록 광창(1036)의 길이방향 또는 감광체(105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셔터몸체(382)는 광창(1036)을 개방하는 개방위치(S1)와, 광창(1036)을 폐쇄하는 폐쇄위치(S2)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현상장치(1040)가 복수개가 마련되는 화상형성장치가 적용되므로, 셔터몸체(382)도 복수의 현상장치(1040)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복수개가 아니라 단수의 현상장치(1040)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셔터몸체(382)는 광창(1036)과 대응되는 셔터홀(382a)을 포함한다. 셔터홀(382a)은 광창(1036)에 대응되도록 길게 형성되며, 광창(1036)을 투사되는 광이 감광체(1052)를 지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셔터유닛(380)이 개방위치(S1)에 있는 경우에는 광창(1036)으로 투사되는 광이 셔터홀(382a)을 지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셔터유닛(380)이 폐쇄위치(S2)에 있는 경우에는 광창(1036)으로 투사되는 광이 셔터몸체(382)에 의해 가로막히도록 마련된다.
셔터유닛(380)의 개방위치(S1)와 폐쇄위치(S2)간의 이동을 통해 선택적으로 광창(1036)으로 투사되는 광이 감광체(1052)로 전달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셔터유닛(380)은 광창(1036)의 길이방향 또는 감광유닛(1050)의 길이방향을 제 1 방향(W1)이라 할 때, 제 1 방향(W1)과 수직한 제 2 방향(W2)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셔터유닛(380)은 복귀탄성부재(387)를 포함한다. 셔터몸체(382)의 일측에는 셔터유닛(380)이 개방위치(S1)에서 폐쇄위치(S2)로 복귀되도록 복귀탄성부재(387)가 마련된다. 복귀탄성부재(387)는 일단이 셔터몸체(382)에 지지되고, 타단이 현상장치안착부(1005)에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압유닛(32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셔터유닛(380)이 개방위치(S1)에서 폐쇄위치(S2)로 탄성복귀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복귀탄성부재(387)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셔터유닛(380)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셔터몸체(382)의 이동경로상의 후방에 마련되어, 셔터몸체(382)를 탄성복귀시키도록 마련된다.
가압유닛(320)은 셔터유닛(380)이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가압유닛(320)은 셔터유닛(380)을 가압하는 가압위치(P1)와, 셔터유닛(380)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는 해제위치(P2)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가압유닛(320)은 가압몸체(342)와, 가압몸체(34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탄성부재(348)를 포함한다.
가압몸체(342)는 외력에 의해 왕복이동하도록 마련된다. 가압몸체(342)는 제 1 방향(W1)으로 길게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일단에서 제 1 방향(W1)으로의 외력을 제공받으며, 타단으로는 셔터유닛(380)으로 외력을 전달하게 된다.
가압몸체(342)는 제 1 방향(W1)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 1 방향(W1)으로 왕복이동하게 된다. 자세하게는 외력에 의해 제 1 방향(W1)중 장착방향(W1a)으로 이동하게 되며, 외력이 해제되면 이탈방향(W1b)으로 복귀하게 된다. 즉, 가압몸체(342)는 외력에 의해 해제위치(P2)에서 가압위치(P1)로 이동하고, 외력이 해제되면 가압위치(P1)에서 해제위치(P2)로 복귀하게 된다.
가압탄성부재(348)는 장착방향(W1a)으로 이동된 가압유닛(320)이 이탈방향(W1b)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가압몸체(342)에는 가압탄성부재(348)의 일단이 지지되도록 가압몸체(342)로부터 돌출된 탄성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탄성부재(348)는 가압몸체(342)로부터 돌출된 탄성걸림돌기에 일단이 지지되고, 본체에 타단이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압몸체(342)에 외력이 작용하여 장착방향(W1a)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압탄성부재(348)는 가압몸체(342)를 이탈방향(W1b)으로 향하게 하는 탄성력이 발생하고, 가압몸체(342)에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가압탄성부재(348)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가압몸체(342)의 타단은 셔터유닛(380)을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가압몸체(342)는 셔터유닛(380)을 가압하는 가압부(340)를 포함한다. 가압부(340)는 셔터유닛(380)의 셔터피가압부(386)를 가압하게 된다. 가압유닛(320)은 제 1 방향(W1)으로 왕복이동하고, 셔터유닛(380)은 제 1 방향(W1)과 수직한 제 2 방향(W2)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마련되므로, 셔터유닛(380)의 셔터피가압부(386)는 제 1 방향(W1)과 제 2 방향(W2)에 대해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진다.
즉, 셔터피가압부(386)는 가압유닛(320)의 이동방향인 제 1 방향(W1)에 대해 셔터유닛(380)이 제 1 방향(W1)과 수직한 이동방향인 제 2 방향(W2)으로 동작하도록, 제 1 방향(W1)성분과 함께 제 2 방향(W2)성분을 갖는 가압경사면(348)을 포함한다. 가압몸체(342)의 가압부(340)는 가압경사면(348)과 접촉하여 가압경사면(348)을 가압함으로서, 셔터유닛(380)이 제 2 방향(W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커버유닛(370)은 현상장치(1040)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커버유닛(370)의 탈장착을 통해 가압유닛(320)의 동작이 연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커버유닛(370)은 현상장치(1040)의 일측에 장착되면서 가압유닛(320)을 해제위치(P2)에서 가압위치(P1)로 이동시키게 된다. 반대로 커버유닛(370)을 현상장치(1040)의 일측으로부터 분리시키면, 가압유닛(320)은 가압위치(P1)에서 해제위치(P2)로 이동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2a, 22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압유닛과 셔터유닛과 커버유닛에 관한 연동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먼저 셔터유닛(380)이 개방되는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가압유닛(320)을 해제위치(P2)에서 가압위치(P1)로 이동시키는 경우, 가압유닛(320)의 가압부(340)는 셔터유닛(380)을 가압하여 셔터유닛(380)을 폐쇄위치(S2)에서 개방위치(S1)로 이동시킨다.
자세하게는 가압유닛(320)이 해제위치(P2)에서 가압위치(P1)로 이동하면서, 가압부(340)는 제 1 방향(W1)으로 이동하여 셔터유닛(380)의 셔터피가압부(386)를 가압하게 된다. 셔터피가압부(386)의 가압경사면(348)은 가압부(340)의 제 1 방향(W1)으로의 이동을 셔터유닛(380)의 제 2 방향(W2)으로의 이동으로 변환되도록 한다.
셔터유닛(380)이 폐쇄위치(S2)에서 개방위치(S1)로 이동하면서, 광창(1036)을 투사하는 광은 감광체(1052)로 전달되어 정전잠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가압유닛(320)을 직접 해제위치(P2)에서 가압위치(P1)로 이동시킬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커버유닛(370)으로 가압유닛(320)을 동작시킬수도 있다.
커버유닛(370)을 현상장치(1040)의 일측에 장착시키는 경우에는 가압유닛(320)이 해제위치(P2)에서 가압위치(P1)로 이동하도록, 커버유닛(370)의 커버몸체(372)가 가압유닛(320)을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커버유닛(370)을 현상장치(1040)에 장착하여, 현상장치(1040)를 사용가능한 상태가 됨과 동시에 광창(1036)이 개방되어 광주사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는 셔터유닛(380)이 폐쇄되는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가압유닛(320)을 가압위치(P1)에서 해제위치(P2)로 이동시키는 경우, 가압유닛(320)의 가압부(340)는 셔터유닛(380)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다. 셔터유닛(380)의 복귀탄성부재(387)는 가압유닛(320)의 가압이 해제되면서, 셔터유닛(380)을 개방위치(S1)에서 폐쇄위치(S2)로 복귀시키게 된다.
가압유닛(320)을 직접 해제위치(P2)에서 가압위치(P1)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가압유닛(32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가압탄성부재(348)의 탄성력으로 가압유닛(320)이 가압위치(P1)에서 해제위치(P2)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커버유닛(370)으로 가압유닛(320)을 가압한 경우에는 커버유닛(370)을 현상장치(1040)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면, 커버유닛(370)에 의한 가압유닛(320)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면서, 가압탄성부재(348)의 탄성력으로 가압유닛(320)이 가압위치(P1)에서 해제위치(P2)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와 커버유닛에 관한 도면, 도 24a, 24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동작과 현상장치에 관한 도면, 도 25a, 25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동작에 따른 가압유닛의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가압어셈블리(400)는 현상장치(104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현상유닛(1041)과 감광유닛(1050)이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가압어셈블리(100)는 현상유닛(1041)의 현상롤러(1042)와 감광유닛(1050)의 감광체(1052)가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마련된다. 가압어셈블리(100)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현상장치안착부(1005)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가압어셈블리(400)는 회동샤프트(410)와, 가압유닛(420)과, 작동유닛(450)을 포함한다.
회동샤프트(410)는 작동유닛(450)의 동작이 가압유닛(420)에 전달되도록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현상장치(1040), 현상유닛(1041), 감광유닛(1050)의 길이방향을 제 1 방향(W1)이라고 할 때, 회동샤프트(410)는 제 1 방향(W1)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방향(W1)은 인쇄매체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회동샤프트(410)는 이후 설명하는 작동유닛(450)의 회동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회동샤프트(410)는 제 1 방향(W1)으로 배치되며, 제 1 방향(W1)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동샤프트(41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회동샤프트(410)의 외주면에는 회동샤프트(410)가 제 1 방향(W1)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스토퍼(411)가 마련될 수 있다.
가압유닛(420)은 현상롤러(1042)와 감광체(1052)를 밀착시키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현상유닛(1041)을 가압하여, 현상롤러(1042)와 감광체(1052)가 접촉 또는 밀착하도록 마련된다. 가압유닛(420)은 회동샤프트(410)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작동유닛(450)의 동작을 회동샤프트(410)를 통해 전달받아 동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압유닛(420)은 작동유닛(450)에 연동되어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가압유닛(420)은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가압유닛(420)은 작동유닛(450)에 연동되어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압유닛(420)이 복수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회동샤프트(410)상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가압유닛(420)은 회동샤프트(410)상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 1 방향(W1)을 따라 동일한 크기의 가압력이 분포되도록 구성함으로서, 현상유닛(1041)을 길이방향에 대한 위치와 무관하게 균일한 가압력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압유닛(420)은 현상롤러(1042)와 감광체(1052)를 접촉시키는 가압위치(P1)와, 가압위치(P1)에서 후퇴하여 현상롤러(1042)와 감광체(1052)를 분리시키는 해제위치(P2)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가압유닛(420)이 가압위치(P1)에 있는 경우에는, 가압유닛(420)에 의해 현상유닛(1041)이 가압되어 현상롤러(1042)와 감광체(1052)가 접촉하게 된다. 또한 가압유닛(420)이 해제위치(P2)에 있는 경우에는, 가압유닛(420)의 현상유닛(1041)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어 현상롤러(1042)와 감광체(1052)가 분리되도록 마련된다.
작동유닛(450)은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작동유닛(450)의 동작을 통해 가압유닛(420)이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즉, 적어도 하나의 가압유닛(420)은 작동유닛(450)에 연동되어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작동유닛(450)은 회동샤프트(410)에 연결되어, 회동샤프트(410)를 회전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몸체(453)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유닛(450)은 가압유닛(420)에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작동위치(O1)와, 가압력을 해제시키는 대기위치(O2)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작동유닛(450)이 작동위치(O1)에 있는 경우에는 가압유닛(420)이 현상유닛(1041)을 가압하는 상태가 되고, 대기위치(O2)에 있는 경우에는 가압유닛(420)이 현상유닛(1041)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가압유닛(420)은 가압부(440)와, 방향조정부(430)를 포함한다.
가압부(440)는 가압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며, 방향조정부(430)는 가압부(440)의 가압력방향을 전환하도록 마련된다.
가압부(440)는 가압몸체(442)와, 가압탄성부재(446)를 포함한다.
가압몸체(442)는 현상유닛(1041)을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가압몸체(442)는 회동샤프트(4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다. 가압몸체(442)의 전방에는 가압면(442a)이 마련되며, 가압면(442a)은 현상유닛(1041)과 직접 접촉하여 현상유닛(1041)을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가압몸체(442)는 일측에 회동샤프트(410)가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가압몸체(442)는 회동샤프트(410)가 관통하는 관통홀(442a)이 마련되고, 가압몸체(442)는 회동샤프트(410)와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가압탄성부재(446)는 가압몸체(442)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현상유닛(1041)을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가압탄성부재(446)는 일단은 가압몸체(442)의 내측면을 지지하고, 타단은 회동샤프트(410)를 회동샤프트(4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가압몸체(442)의 양 측면은 개방되도록 마련되어, 회동샤프트(410)에 대해 회동샤프트(410)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가압몸체(442)의 내부에는 가압탄성부재(446)가 배치되는 가압공간(443)과, 가압탄성부재(446)의 인장,압축에 따라 변화하는 여유공간(444)이 형성된다. 즉, 가압탄성부재(446)가 압축되면 가압공간(443)이 줄고, 여유공간(444)이 증가하며, 가압탄성부재(446)가 복귀되면 가압공간(443)이 늘고, 여유공간(444)은 감소한다.
방향조정부(430)는 회동샤프트(410)의 회동에 따라 가압부(440)의 방향을 컨트롤하도록 마련된다.
방향조정부(430)는 회동샤프트(410)로부터 축방향에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며, 회동샤프트(410)의 회동과 동일하게 회동하도록 마련된다. 방향조정부(430)는 회동샤프트(4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회동샤프트(410)에 수직하게 삽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가압부(440)는 ?향조정부(430)에 의해 방향이 가이드되도록 방향가이드부(448)를 포함한다.
방향가이드부(448)는 가압몸체(442)와 방향조정부(430)의 매개체역할을 한다. 방향조정부(430)의 위치변화가 가압몸체(442)로 전해져서 가압몸체(442)의 가압력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한다.
방향가이드부(448)는 가압몸체(442)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마련된다. 방향가이드부(448)는 방향조정부(430)에 의해 방향이 가이드되는 방향가이드면(448a)을 포함한다. 방향가이드면(448a)은 방향조정부(430)에 대해 회동샤프트(410)의 원주방향으로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방향가이드면(448a)사이에는 방향조정부(43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448b)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회동샤프트(410)의 회동에 의해 방향조정부(430)가 회동하면, 한 쌍의 방향가이드면(448a) 중 하나를 가이드하여, 가압부(440)가 함께 회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작동유닛(450)은 회동몸체(451)와, 회동몸체(451)를 동작시키는 작동부재(452)를 포함한다.
회동몸체(451)는 회동샤프트(410)와 함께 회동하도록 마련되며, 작동부재(452)는 회동샤프트(4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회동몸체(451)를 회동시키도록 마련된다.
회동몸체(451)는 회동샤프트(410)의 단부에서 회동샤프트(410)와 함께 회동하도록 마련된다. 회동몸체(451)는 회동샤프트(410)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회동몸체(451)에는 고정부재(451a)가 마련되어, 회동몸체(451)와 회동샤프트(410)가 함께 회동하도록 마련된다.
작동부재(452)는 회동몸체(451)를 회동시키도록 마련된다.
작동부재(452)는 작동몸체(453)와, 유닛가압부(454)와, 회동가이드부(456)를 포함한다.
작동몸체(453)는 회동샤프트(410)에 대해 수직하도록 배치되며, 회동몸체(451)와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작동몸체(453)는 회동샤프트(410)와 일체로 형성되어 회동샤프트(410)의 회동과 함께 회동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동몸체(453)가 회동몸체(451)의 회동을 가이드하여, 회동몸체(451)와 일체로 형성되는 회동샤프트(410)도 함께 회동하게 마련된다. 즉 작동몸체(453)는 회동샤프트(410)와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회동샤프트(410)가 관통하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몸체(453)는 이후 설명하는 커버유닛(470)과 관련하여, 현상유닛(1041)의 가압상태에 따라 커버유닛(470)의 장착가능여부가 달라지도록 마련된다.
유닛가압부(454)는 작동몸체(453)상에 마련되어, 감광유닛(1050)을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작동몸체(453)의 단부에 배치되어, 작동유닛(450)이 작동위치(O1)에 있는 경우 유닛가압부(454)가 감광유닛(1050)을 가압하도록 배치된다. 유닛가압부(454)는 인접한 작동몸체(453)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감광유닛(1050)에는 가압부(440)에 대응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는 유닛피가압부(1058)가 배치된다. 유닛가압부(454)가 유닛피가압부(1058)에 안착됨으로서, 감광유닛(1050)은 이탈방향(W1b)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회동가이드부(456)는 작동몸체(453)에서 회전중심방향에 배치되며, 회동몸체(451)의 회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회동가이드부(456)와, 회동몸체(451)는 일정간격이격되어 있어, 작동몸체(453)를 일정각도 회동시킨 후에 회동가이드부(456)와 회동몸체(451)가 접하여, 회동력이 전해지도록 마련된다. 이를 통해 회동몸체(451)가 실제로 회동하는 각도보다 작동몸체(453)가 회동하는 각도가 크게 된다. 작동몸체(453)가 회동하는 각도가 커짐에 따라, 이후 설명하는 커버유닛(470)의 장착가능여부가 연동되는 구성에 있어서 오작동의 우려가 적어지게 된다. 회동몸체(451)와 회동가이드부(456)의 이격간격은 한정되지 않으며, 화상형성장치의 크기, 현상장치(1040)의 배치등의 요소와 관련하여 응용될 수 있다.
회동가이드부(456)는 작동회동가이드부(456a), 대기회동가이드부(456b)를 포함한다.
작동유닛(450)이 대기위치(O2)에서 작동위치(O1)로 이동하는 경우 작동회동가이드부(456a)가 회동몸체(451)를 가압하여 가압유닛(420)을 가압위치(P1)로 이동시킨다. 반대로 작동유닛(450)이 작동위치(O1)에서 대기위치(O2)로 이동하는 경우, 대기회동가이드부(456b)가 회동몸체(451)를 반대로 가압하여 가압유닛(420)을 해제위치(P2)로 이동시킨다. 작동회동가이드부(456a)와 대기회동가이드부(456b)는, 작동몸체(453)상에서 회동몸체(451)의 회동반경내로 한쌍이 마련될 수 있다.
커버유닛(470)은 현상장치(1040)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커버유닛(470)의 장착가능여부는 작동유닛(450)의 위치에 따라 판단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작동유닛(450)이 작동위치(O1)에 있는 경우에만 커버유닛(470)이 장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유닛(470)은 커버몸체(472)와, 작동삽입부(474)를 포함한다.
커버몸체(472)는 현상장치(1040)의 일측을 덮도록 마련되며, 현상장치(1040)와 연결되어 현상장치(1040)로부터 발생하는 폐토너가 저장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작동삽입부(474)는 작동유닛(450)의 작동몸체(45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커버몸체(472)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다. 작동삽입부(474)는 작동유닛(450)이 작동위치(O1)에 있는 경우에만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즉, 작동삽입부(474)는, 작동유닛(450)이 작동위치(O1)에 배치되어 가압유닛(420)이 가압위치(P1)에 있는 경우에만 작동몸체(453)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작동삽입부(474)는 작동유닛(450)이 작동위치(O1)에 있는 경우에만 작동몸체(45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작동몸체(453)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작동삽입부(474)는 인접한 커버몸체(472)보다 오목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작동유닛(450)이 작동위치(O1)가 아닌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작동몸체(453)가 커버몸체(472)에 의해 간섭되어, 커버유닛(470)이 현상장치(1040)에 장착되지 못하도록 마련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7a, 27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압어셈블리의 동작에 따른 커버유닛의 현상장치에 대한 장착가능여부에 관한 도면이다.
현상장치(1040)를 현상장치안착부(1005)에 안착시킨 후에는 인쇄가 이루어지기 위해 현상롤러(1042)와 감광체(1052)가 접촉되도록, 현상유닛(1041)과 감광유닛(1050)을 밀착시켜야 한다.
현상유닛(1041)과 감광유닛(1050)을 밀착시키도록 가압어셈블리(400)를 동작시키게 된다.
작동유닛(450)은 초기에 대기위치(O2)에 위치하게 되고, 현상장치(1040)가 현상장치안착부(1005)에 안착되면, 작동유닛(450)을 회동시켜 가압유닛(420)이 현상유닛(1041)을 가압하도록 한다.
작동유닛(450)을 대기위치(O2)에서 작동위치(O1)로 회동시키기 위해서, 작동몸체(453)를 회동시킨다. 작동몸체(453)가 회동함으로서, 작동몸체(453)의 회동가이드부(456) 중 작동회동가이드부(456a)가 회동몸체(451)를 가압하게 되고, 회동몸체(451)와 회동샤프트(410)가 회동하게 된다. 회동샤프트(410)는 가압유닛(420)의 방향조정부(430)와 함께 회동하게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가압부(440)에서 발생하는 가압력의 방향이 조정되어, 현상유닛(1041)을 가압하게 된다. 즉 가압유닛(420)은 가압위치(P1)로 오게 된다.
작동유닛(450)이 작동위치(O1)에 위치한 경우에는 작동몸체(453)의 유닛가압부(454)는 감광유닛(1050)의 유닛피가압부(1058)에 안착되어, 감광유닛(105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작동유닛(450)이 작동위치(O1)에 위치한 경우에는 커버유닛(470)의 작동삽입부(474)로 작동몸체(453)가 삽입될 수 있어서, 커버유닛(470)이 현상장치(1040)에 장착될 수 있다.
작동유닛(450)을 작동위치(O1)에서 대기위치(O2)로 회동시키기 위해서, 작동몸체(453)를 반대로 회동시킨다. 작동몸체(453)가 회동함으로서, 작동몸체(453)의 회동가이드부(456) 중 대기회동가이드부(456b)가 회동몸체(451)를 반대로 가압하게 되고, 회동몸체(451)와 회동샤프트(410)가 회동하게 된다. 회동샤프트(410)는 가압유닛(420)의 방향조정부(430)와 함께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가압부(440)에서 발생하는 방향이 조정되어, 현상유닛(1041)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다. 즉 가압유닛(420)은 해제위치(P2)로 오게 된다.
작동유닛(450)이 대기위치(O2)에 위치한 경우에는 작동몸체(453)의 유닛가압부(454)는 감광유닛(1050)의 유닛피가압부(1058)로부터 이탈되어, 현상장치(1040)가 현상장치안착부(1005)로부터 이탈가능한 상태가 된다. 작동유닛(450)이 대기위치(O2)에 위치한 경우에는 작동몸체(453)는 커버몸체(472)에 의해 간섭되게 되어, 커버유닛(470)을 현상장치(1040)에 장착시키지 못하게 된다. 이로서, 현상롤러(1042)와 감광체(1052)가 분리되었음에도, 화상형성장치를 작동시켜 고장이 발생하거나 오작동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커버유닛(470)의 장착가능여부로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서 고장과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들이 배타적이나, 독립적인 것들이 아니고, 상호보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 제 2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 작동유닛이 적용될 수 있고, 제 2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 제 1 실시예의 셔터유닛이 적용될 수 있다.
1 : 화상형성장치 10 : 본체
20 : 인쇄매체공급장치 30 : 현상장치
40 : 토너장치 50 : 광주사장치
60 : 정착장치 70 : 배출장치
100 : 가압어셈블리 110 : 회동샤프트
120 : 가압유닛 130 : 링크유닛
131 : 제 1 링크부재 132 : 제 2 링크부재
134 : 가압탄성부재 140 : 가압부
142 : 가압몸체 142a : 가압면
143 : 걸림이동부 144 : 걸림리브
146 : 가압이동레일 150 : 작동유닛
152 : 작동몸체
170 : 커버유닛 172 : 커버몸체
174 : 가이드리브 178 : 작동유닛안착부

Claims (35)

  1. 본체;
    감광체를 가지는 감광유닛과, 상기 감광체에 접촉 또는 분리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현상롤러를 가지고 상기 감광유닛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현상유닛을 포함하는 현상장치;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도록 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광이 투사되는 광창을 갖는 광주사유닛;
    상기 광창을 개폐하는 셔터유닛;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접촉 또는 분리하는 동작과 상기 셔터유닛의 개폐동작을 위해, 상기 현상유닛과 상기 셔터유닛을 가압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현상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가압유닛;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에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작동위치와, 상기 가압력을 해제시키는 대기위치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은,
    상기 셔터유닛과,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는 동작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은,
    상기 작동유닛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은,
    상기 작동유닛의 상기 작동위치에 대응되며, 상기 현상유닛과 상기 셔터유닛을 가압하는 가압위치와,
    상기 작동유닛의 상기 대기위치에 대응되며, 상기 가압위치로부터 가압이 해제되는 해제위치;를 동작하고,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은,
    상기 가압위치에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가압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은,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밀착하도록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는 가압몸체와, 상기 가압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셔터유닛을 동작하는 셔터가이드돌기를 갖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은,
    한 쌍의 가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압유닛의 상기 셔터가이드돌기는,
    상기 셔터유닛의 양단을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의 회동중심을 형성하는 회동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은,
    상기 회동샤프트에 이격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의 회동중심을 형성하는 회동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은,
    상기 작동유닛의 회동에 의한 상기 회동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유닛;
    상기 링크유닛에 연결되어 현상장치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회동샤프트와 함께 회동하는 제 1 링크부재;
    일단은 상기 제 1 링크부재의 단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직선왕복운동하는 제 2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제 2 링크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가압유닛의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가압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부재는,
    상기 가압유닛의 위치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압부에 삽입되는 걸림삽입부;
    상기 걸림삽입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가압탄성부재가 안착되는 가변안착부로서, 상기 가압탄성부재의 가압력이 변화하도록 상기 가압탄성부재의 길이가 연동되게 가변하는 가변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 2 링크부재의 단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가압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탄성부재는,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작동위치와 상기 대기위치사이에 배치될 때 최대압축길이(ML)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작동위치에서 상기 현상장치의 상기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유닛과 상기 현상유닛이 안착되며, 상기 감광유닛과 상기 현상유닛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현상장치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닛과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현상장치안착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광창에 대응되는 셔터몸체로서, 상기 셔터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셔터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셔터회동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셔터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광창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광창을 폐쇄하는 폐쇄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몸체는,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위치사이에서 예각을 형성하며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가압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셔터몸체의 자중에 의해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회동샤프트의 단부에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몸체;
    상기 현상장치를 가압하도록 상기 작동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안착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가압부재는,
    인접한 상기 작동몸체보다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는 길이방향인 제 1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현상장치가 상기 현상장치안착부에 장착되는 장착방향과, 상기 장착방향과 반대되어 상기 현상장치가 상기 현상장치안착부로부터 이탈하는 이탈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가압부재는,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현상장치에 접하는 제 1 안착가압부;
    상기 제 1 안착가압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작동위치에서 상기 현상장치에 접하는 제 2 안착가압부로서, 상기 제 1 안착가압부보다 상기 장착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안착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는 길이방향인 제 1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현상장치가 상기 현상장치안착부에 장착되는 장착방향과, 상기 장착방향과 반대되어 상기 현상장치가 상기 현상장치안착부로부터 이탈하는 이탈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감광유닛은,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감광유닛이 상기 작동유닛에 의해 상기 장착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착피가압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본체;
    감광체를 가지는 감광유닛과, 현상롤러를 가지고 상기 감광유닛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현상유닛을 포함하는 현상장치;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도록 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광이 투사되는 광창을 갖는 광주사유닛;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유닛과,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밀착되도록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며 상기 작동유닛과 연동되어 동작하는 복수의 가압유닛을 갖는 가압어셈블리;
    상기 광창을 개폐하며, 상기 작동유닛과 연동되어 동작하는 셔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은,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를 밀착시키도록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는 가압위치와, 상기 가압위치로부터 후퇴하여 상기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해제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광창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회동하여 상기 광창을 폐쇄하는 폐쇄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을 가압위치로, 상기 셔터유닛을 개방위치로 위치시키는 작동위치와,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을 해제위치로, 상기 셔터유닛을 폐쇄위치로 위치시키는 대기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광창에 대응되는 셔터몸체로서, 상기 셔터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셔터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셔터회동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셔터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광창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광창을 폐쇄하는 폐쇄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몸체는,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위치사이에서 예각을 형성하며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가압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셔터몸체의 자중에 의해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의 회동중심을 형성하는 회동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은,
    상기 회동샤프트에 이격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8.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의 회동중심을 형성하는 회동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은,
    상기 작동유닛의 회동에 의한 상기 회동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유닛;
    상기 링크유닛에 연결되어 현상장치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회동샤프트와 함께 회동하는 제 1 링크부재;
    일단은 상기 제 1 링크부재의 단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직선왕복운동하는 제 2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제 2 링크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가압유닛의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가압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부재는,
    상기 가압유닛의 위치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압부에 삽입되는 걸림삽입부;
    상기 걸림삽입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가압탄성부재가 안착되는 가변안착부로서, 상기 가압탄성부재의 가압력이 변화하도록 상기 가압탄성부재의 길이가 연동되게 가변하는 가변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 2 링크부재의 단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가압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3.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탄성부재는,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작동위치와 상기 대기위치사이에 배치될 때 최대압축길이(ML)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4. 본체;
    감광체와,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광체에 접촉되어 현상제를 공급하며 상기 감광체와 이격가능하게 마련되는 현상롤러를 갖는 현상장치;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도록 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광이 투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창을 갖는 광주사유닛;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창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셔터홀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창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창을 폐쇄하는 폐쇄위치를 이동하는 셔터유닛;
    상기 셔터유닛이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위치를 이동하도록 상기 셔터유닛을 가압하는 가압유닛;
    상기 현상장치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셔터유닛과 연동되도록 상기 가압유닛을 가압하는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현상장치의 길이방향인 제 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위치간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40117001A 2014-09-03 2014-09-03 화상형성장치 KR20160028218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001A KR20160028218A (ko) 2014-09-03 2014-09-03 화상형성장치
PCT/KR2015/004062 WO2016035964A1 (ko) 2014-09-03 2015-04-23 화상형성장치
EP15838867.8A EP3176640B1 (en) 2014-09-03 2015-04-23 Image forming apparatus
US15/508,731 US10162301B2 (en) 2014-09-03 2015-04-23 Image forming apparatus
CN201510557956.6A CN105388735B (zh) 2014-09-03 2015-09-02 图像形成设备
US16/191,032 US10627773B2 (en) 2014-09-03 2018-11-14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001A KR20160028218A (ko) 2014-09-03 2014-09-03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218A true KR20160028218A (ko) 2016-03-11

Family

ID=5542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001A KR20160028218A (ko) 2014-09-03 2014-09-03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162301B2 (ko)
EP (1) EP3176640B1 (ko)
KR (1) KR20160028218A (ko)
CN (1) CN105388735B (ko)
WO (1) WO201603596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9438A (ja) 2002-09-18 2004-04-08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190921B2 (en) 2003-07-31 2007-03-1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photosensitive member cartridge,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345018B2 (ja) 2005-09-30 2009-10-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タンデム型プロセスユニット
JP5100468B2 (ja) * 2007-05-15 2012-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903994B2 (en) * 2007-05-15 2011-03-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8005391B2 (en) * 2008-03-17 2011-08-23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s for determining when to transition between color printing and black-only printing in an image forming device
JP5683228B2 (ja) * 2009-12-11 2015-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768202B2 (en) 2010-06-02 2014-07-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5761948B2 (ja) * 2010-09-14 2015-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1749567B1 (ko) 2010-10-21 2017-06-21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5782901B2 (ja) 2011-07-28 2015-09-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848397B1 (ko) * 2012-01-16 2018-05-28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102048753B1 (ko) * 2013-10-25 2019-11-27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화상 형성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 방법
KR20150072952A (ko) * 2013-12-20 201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6388377B2 (ja) * 2014-06-12 2018-09-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60028217A (ko) * 2014-09-03 2016-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20160028219A (ko) * 2014-09-03 2016-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27773B2 (en) 2020-04-21
US20190101861A1 (en) 2019-04-04
US10162301B2 (en) 2018-12-25
CN105388735A (zh) 2016-03-09
US20170300005A1 (en) 2017-10-19
EP3176640A4 (en) 2018-05-30
EP3176640A1 (en) 2017-06-07
EP3176640B1 (en) 2022-01-26
CN105388735B (zh) 2020-04-10
WO2016035964A1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5216B2 (en) Tandem type image forming apparatus
US7860433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8792805B2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5066716B2 (ja) 画像形成装置
US8401423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1024491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621063B2 (ja) 画像形成装置
US1026146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848397B1 (ko) 화상형성장치
US93420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hutter for covering a switch opening
US101520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60028217A (ko) 화상형성장치
KR101766782B1 (ko) 화상형성장치
JP6784135B2 (ja) 開閉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US1089584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link mechanism for positioning cartridge
US11226583B2 (en) Coupler holder based toner locking system
US2013010728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60028219A (ko) 화상형성장치
KR20160028218A (ko) 화상형성장치
EP2093631A2 (en) Developer Storag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20014663A (ko) 중간 전사 벨트의 착탈 구조
JP202309828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