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335B1 -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335B1
KR102033335B1 KR1020110122155A KR20110122155A KR102033335B1 KR 102033335 B1 KR102033335 B1 KR 102033335B1 KR 1020110122155 A KR1020110122155 A KR 1020110122155A KR 20110122155 A KR20110122155 A KR 20110122155A KR 102033335 B1 KR102033335 B1 KR 102033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s
aligned
line
ligh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6513A (ko
Inventor
김성준
전성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122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335B1/ko
Priority to CN2012102653130A priority patent/CN103137899A/zh
Priority to TW101127413A priority patent/TW201321328A/zh
Publication of KR20130056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26Apparatus for sealing, encapsulating, glassing, decapsulating or the lik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는, 복수의 패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SEAL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본 발명은 평판디스플레이의 제조과정에서, 한 쌍의 기판들이 합착된 패널의 가장자리를 보강용 실런트로 실링하는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란 브라운관을 채용한 텔레비전이나 모니터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운 영상표시장치이다. 평판디스플레이로는,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방출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평판디스플레이의 일종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유기물 박막에 양극과 음극을 통하여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여 여기자를 형성하고, 이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에 의해 특정 파장의 빛이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한 자체 발광형 소자이다.
이러한 평판디스플레이의 제조과정에서는,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패널(이하, '패널'이라 한다.)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강용 실런트를 도포한 후 도포된 실런트를 경화시키는 공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공정을 위하여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강용 실런트를 도포하는 도포유닛과, 패널에 도포된 보강용 실런트를 경화시키는 경화유닛과, 복수의 패널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이 구비되는 실링장치가 이용된다.
이러한 실링장치의 도포유닛, 경화유닛 및 이송유닛에는 복수의 패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가 일렬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패널이 복수의 지지부재에 각각 지지된 상태에서 이송공정, 도포공정 및 경화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실링장치의 장시간의 사용 또는 최초 설치과정에서의 오류로 인하여, 복수의 지지부재가 일렬로 정렬되지 않고 복수의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가 휘어지거나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지지부재가 일렬로 정렬되지 않는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패널이 복수의 지지부재상의 정확한 탑재위치에 위치될 수 없기 때문에, 복수의 패널을 흡착하기 위한 진공이 누설되며, 이에 따라, 복수의 패널 중 일부의 패널이 낙하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수의 지지부재가 일렬로 정렬되지 않는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패널이 복수의 지지부재의 정확한 위치에 지지될 수 없기 때문에, 복수의 패널에 대한 도포과정 및 경화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패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가 일렬로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는, 한 쌍의 기판들이 합착된 패널의 가장자리를 보강용 실런트로 실링하는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실런트를 도포하는 도포헤드와, 복수의 패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도포유닛과,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는, 한 쌍의 기판들이 합착된 패널의 가장자리를 보강용 실런트로 실링하는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강용 실런트를 도포하는 도포유닛과, 상기 패널에 도포된 보강용 실런트에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기와, 복수의 패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경화유닛과,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는, 한 쌍의 기판들이 합착된 패널의 가장자리를 보강용 실런트로 실링하는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에 있어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송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헤드부재와, 상기 헤드부재에 설치되어 복수의 패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이송유닛과,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는, 복수의 패널이 탑재되어 지지되는 복수의 지지부재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구비함으로써, 감지유닛에 의하여 복수의 지지부재가 일렬로 정렬되지 않은 것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실링장치의 동작을 중지하고, 복수의 지지부재의 위치를 교정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지지부재가 일렬로 정렬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패널의 낙하에 의한 파손이나, 도포과정 및 경화과정에서의 오류와 같은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의 도포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의 경화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에 의하여 실링되는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패널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의 이송유닛이 도시된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의 도포유닛이 도시된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의 경화유닛이 도시된 일부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의 이송유닛에 의하여 복수의 패널이 도포유닛 및 경화유닛에 탑재되는 동작이 순차적으로 도시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실시예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에서 도포유닛 및 감지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에서 감지유닛의 다른 예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에서 감지유닛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2실시예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에서 경화유닛 및 감지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에서 감지유닛의 다른 예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에서 감지유닛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6은 제3실시예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에서 이송유닛 및 감지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에서 감지유닛의 다른 예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에서 감지유닛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이하, '실링장치'라 한다.)는,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패널(10)(이하, '패널'이라 한다.)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강용 실런트(이하, '실런트'라 한다.)를 도포하는 도포유닛(20)과, 패널(10)에 도포된 실런트를 경화시키는 경화유닛(40)과, 패널(10)을 도포유닛(20) 및 경화유닛(40)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링장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평판디스플레이의 제조공정에 이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하부기판(2)과 상부기판(6) 사이에 하부전극(3), 유기물층(4) 및 상부전극(5)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하부기판(2)과 상부기판(6) 사이의 외주변이 실링부재(7)를 통하여 합착되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수분과 산소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 실링부재(7)의 종류도 매우 제한적이고, 실링의 신뢰성이 높은 수준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실링부재(7)로 1차 실링 후, 보강용 실런트(8)를 이용하여 보강용 실링을 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보강용 실런트(8)를 도포하는 과정은, 도포유닛(20)을 이용하여 패널(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강용 실런트(8)를 도포한 후, 경화유닛(40)을 이용하여 보강용 실런트(8)를 경화시키는 공정을 통하여 수행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유닛(20)은, X축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21)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블럭(22)과, 회전블럭(22)에 마련되어 복수의 패널(10)이 탑재되어 지지되는 복수의 제1지지부재(23)와, 복수의 제1지지부재(23)의 상부에 배치된 도포헤드(2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지지부재(23)는 회전축(21)이 연장되는 방향(X축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배치된다. 제1지지부재(23)에는 수평방향(예를 들어, X축방향)으로 개방되는 흡입홀(231)이 형성되며, 흡입홀(231)은 흡입통로(232)를 통하여 부압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압원의 동작에 의하여 흡입홀(231)에 부압이 작용될 때, 패널(10)이 흡입홀(231)에 흡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23)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포헤드(27)는 X축방향과 수평으로 직교하는 Y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실런트를 아래로 토출하여 복수의 패널(10)의 모서리(106, 107, 108)에 실런트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도포헤드(27)는 X축방향과 수직으로 직교하는 Z축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패널(10)의 모서리(106, 107, 108)와 도포헤드(27) 사이의 Z축방향으로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도포헤드(27)의 수평방향(X축방향 및 Y축방향) 및 수직방향(Z축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도포헤드(27)에는 볼스크류장치나 리니어모터와 같은 직선이동기구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제1지지부재(23)에 복수의 패널(10)이 흡착되어 지지되면, 도포헤드(27)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실런트를 토출하여 패널(10)의 제1모서리(106)에 도포한다. 그리고, 회전축(21)이 도 1의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면, 도포헤드(27)와 패널(10)의 제2모서리(107)가 서로 대향되며, 이때, 도포헤드(27)가 제2모서리(107)에 인접되게 위치된 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패널(10)의 제2모서리(107)에 실런트를 도포한다. 그리고, 회전축(21)이 도 1의 시계반대방향으로 180도 회전되면, 도포헤드(27)와 패널(10)의 제3모서리(108)가 서로 대향되며, 이때, 도포헤드(27)가 제3모서리(108)에 인접되게 위치된 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패널(10)의 제3모서리(108)에 실런트를 도포한다.
이와 같이, 도포유닛(20)은,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동작과, 도포헤드(27)로부터 실런트가 토출되는 동작이 함께 진행됨에 따라, 패널(10)의 3개의 모서리(106, 107, 108)에 실런트가 순차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장치(40)는, X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럭(42)과, 이동블럭(42)에 마련되어 복수의 패널(10)이 탑재되어 지지되는 복수의 제2지지부재(43)와, 복수의 제2지지부재(43)에 탑재된 복수의 패널(10)의 각 모서리(106, 107, 108)에 광을 조사하여, 실런트를 경화시키는 광조사기(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지지부재(43)는 X축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배치된다. 제2지지부재(43)에는 수평방향(예를 들면, X축방향)으로 개방되는 흡입홀(431)이 형성되며, 흡입홀(431)은 흡입통로(432)를 통하여 부압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압원의 동작에 의하여 흡입홀(431)에 부압이 작용될 때, 패널(10)이 흡입홀(431)에 흡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2지지부재(43)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패널(10)은 실런트가 도포된 각 모서리(106, 107, 108)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복수의 제2지지부재(43)에 각각 탑재된다. 이동블럭(42)은 X축방향을 따라, 도 2에서의 실선으로 도시된 광 조사 전 위치와 도 2에서 가상선(이점쇄선)으로 도시된 광 조사 후 위치 사이를 왕복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동블럭(42)에는 볼스크류장치나 리니어모터와 같은 직선이송기구가 연결될 수 있다.
광조사기(45)는 이동블럭(42)의 광 조사 전 위치와 광 조사 후 위치 사이에 위치하며, 복수의 패널(10)이 탑재된 복수의 제2지지부재(43)가 통과하는 관문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광조사기(45)는, 제2지지부재(43)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광원(451)과, 제1광원(451)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2광원(452) 및 제3광원(453)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광원(451, 452, 453)에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454)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454)는 실런트의 종류에 따라 자외선이나 레이저광을 발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광조사기(45)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블럭(42)이 광조사기(45)를 통과하면서, 복수의 제2지지부재(43)에 탑재된 복수의 패널(10)의 가장자리에 광이 조사되며, 이에 따라, 복수의 패널(10)의 가장자리에 도포된 실런트가 경화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이동블럭(42)이 고정되고 광조사기(45)가 X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의 제2지지부재(43)에 탑재된 복수의 패널(10)에 도포된 실런트를 경화시키는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유닛(60)은, 패널(10)을 도포유닛(20)의 제1지지부재(23)에 탑재하는 동작, 패널(10)을 도포유닛(20)의 제1지지부재(23)로부터 픽업하여 분리하는 동작, 패널(10)을 경화유닛(40)의 제2지지부재(43)에 탑재하는 동작, 패널(10)을 경화유닛(40)의 제2지지부재(43)로부터 픽업하여 분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패널이송유닛(60)은, 수평방향(X축방향 및 Y축방향) 및 수직방향(Z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부재(62)와, 헤드부재(62)에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배치되며 복수의 패널(10)이 흡착되는 복수의 제3지지부재(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헤드부재(62)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복수의 제3지지부재(63)에 흡착된 복수의 패널(10)을 도포유닛(20) 및 경화유닛(40)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헤드부재(62)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헤드부재(62)에는 볼스크류장치나 리니어모터와 같은 직선이송기구가 연결될 수 있다.
제3지지부재(63)의 내부에는, 패널(10)이 흡착되는 흡착홀(631)이 형성되며, 흡착홀(631)은 연결통로(632)를 통하여 부압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부압원의 동작에 의하여 흡착홀(631)에 부압이 작용될 때, 패널(10)이 흡착홀(631)에 흡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3지지부재(63)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이송유닛(6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3지지부재(63)의 흡착홀(631)에 작용되는 부압에 의하여 패널(10)은 제3지지부재(63)에 흡착된 상태로, 헤드부재(62)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도포장치(20)의 제1지지부재(23)나 경화장치(40)의 제2지지부재(43)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재(62)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패널(10)이 도포유닛(20) 또는 경화유닛(40)의 복수의 지지부재(23, 43)의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지지부재(23) 또는 복수의 제2지지부재(43)의 흡입홀(231, 431)에 부압이 작용되는 상태에서, 헤드부재(62)가 패널(10)이 흡입홀(231, 43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패널(10)은 복수의 제1지지부재(23) 또는 복수의 제2지지부재(43)의 흡입홀(231, 431)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패널(10)의 상단이 제3지지부재(63)의 흡착홀(631)에 흡착된 상태에서, 패널(10)의 하단이 제1지지부재(23) 또는 제2지지부재(43)의 흡입홀(231, 431)에 흡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지지부재(63)의 흡착홀(631)에 작용되는 부압이 해제되면서 헤드부재(62)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 제3지지부재(63)가 패널(10)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패널(10)은 제1지지부재(23) 또는 제2지지부재(43)의 흡입홀(231, 431)에 흡착되어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패널(10)이 도포유닛(20)의 제1지지부재(23) 또는 경화유닛(40)의 제2지지부재(43)로부터 이송유닛(60)의 제3지지부재(63)로 픽업되어 분리되는 동작은 상기한 바와 도 7 내지 도 9에서 제시한 순서와 반대되는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실링장치는, 도포유닛(20)의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감지유닛(70)은, 복수의 제1지지부재(23)의 일측에 배치되는 발광센서(71)와, 복수의 제1지지부재(23)의 타측에 배치되는 수광센서(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광센서(71)는 복수의 제1지지부재(23)의 최외곽에 배치되어 광을 발광하며, 수광센서(72)는 발광센서(71)와의 사이에 복수의 제1지지부재(23)를 두고 발광센서(7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발광센서(71)로부터 발광된 광을 수광한다. 발광센서(71) 및 수광센서(72)는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일렬로 배치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발광센서(71) 및 수광센서(72)는 회전블럭(22)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발광센서(71) 및 수광센서(72)는 복수의 제1지지부재(23) 중 Y축방향으로의 최외각 양측에 배치된 두 개의 제1지지부재(23)상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발광센서(71) 및 수광센서(72)는, 회전축(21)을 지지하며 회전축(21)과 함께 회전되지 않는 지지블럭(25)(도 1 참조)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발광센서(71) 및 수광센서(72)는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일렬로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회전축(21)의 회전에 따라 정확한 각도로 회전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센서(71)에서 발광된 광이 복수의 제1지지부재(23)를 관통하여 수광센서(72)에 입사될 수 있도록, 각 제1지지부재(23)에는 광이 지나가는 통로를 제공하는 관통홀(234)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234)은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일렬로 배치되는 방향(예를 들면, 도 10에서의 X축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된 경우, 발광센서(71)에서 발광된 광이 복수의 제1지지부재(23)의 각 관통홀(234)을 통과하여 수광센서(72)에 입사된다. 그러나,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은 경우, 즉, 복수의 제1지지부재(23) 중 적어도 하나의 제1지지부재(23)가 휘어지거나 일측방향(예를 들면, 도 10에서의 Y축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 복수의 제1지지부재(23)의 각 관통홀(234)이 서로 일렬로 일치되지 않기 때문에, 발광센서(71)에서 발광된 광의 경로가 차단되며, 이에 따라, 발광센서(71)에서 발광된 광이 수광센서(72)에 정상적으로 입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발광센서(71)에서 발광된 광이 수광센서(72)에 입사되는지를 감지하는 것을 통하여,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1은 제1실시예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감지유닛(70)은, 복수의 제1지지부재(23)의 외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발광센서(71)와, 복수의 제1지지부재(23)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발광센서(71)와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광센서(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발광센서(71)는 복수의 제1지지부재(23) 중 최외각에 배치된 제1지지부재(23)의 폭방향(도 11에서의 Y축방향)으로의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수광센서(72)는 한 쌍의 발광센서(71)와 인접되게 배치된 제1지지부재(23)의 반대편에 배치된 제1지지부재(23)의 폭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발광센서(71)에서 발광되어 수광센서(72)로 입사되는 광의 경로는 복수의 제1지지부재(23)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된다.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된 경우, 한 쌍의 발광센서(71)에서 발광된 광이 복수의 제1지지부재(23)의 폭방향 양측의 광의 경로를 지나 한 쌍의 수광센서(72)에 입사된다. 그러나,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은 경우, 즉, 복수의 제1지지부재(23) 중 적어도 하나의 제1지지부재(23)가 휘어지거나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 발광센서(71)에서 발광된 광의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1지지부재(23)에 의하여 차단되며, 이에 따라, 한 쌍의 발광센서(71)에서 발광된 광이 한 쌍의 수광센서(72)에 정상적으로 입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발광센서(71)에서 발광된 광이 한 쌍의 수광센서(72)에 입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통하여,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1에 제시된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제1지지부재(23)에 광의 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234)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공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2는 제1실시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감지유닛(70)은, 복수의 제1지지부재(23)의 일측에 배치되는 기준마크(76)와, 복수의 제1지지부재(23)의 타측에 배치되어 기준마크(76)를 촬상하는 촬상장치(7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준마크(76)는 복수의 제1지지부재(23)의 최외각에 배치되며, 촬상장치(77)는 기준마크(76)와의 사이에 복수의 제1지지부재(23)를 두고 기준마크(76)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기준마크(76)와 촬상장치(77)는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일렬로 배치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기준마크(76) 및 촬상장치(77)는 회전블럭(22)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기준마크(76) 및 촬상장치(77)는 복수의 제1지지부재(23) 중 Y축방향으로의 최외각 양측에 배치된 두 개의 제1지지부재(23)상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기준마크(76) 및 촬상장치(77)는, 회전축(21)을 지지하며 회전축(21)과 함께 회전되지 않는 지지블럭(25)(도 1 참조)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기준마크(76) 및 촬상장치(77)는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일렬로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회전축(21)의 회전에 따라 정확한 각도로 회전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촬상장치(77)가 기준마크(76)를 촬상할 수 있도록 각 제1지지부재(23)에는 관통홀(23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된 경우, 촬상장치(77)는 복수의 관통홀(234)을 통하여 기준마크(76)를 촬상할 수 있다.
한편, 감지유닛(70)으로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실시예의 다른 예, 즉, 도 11에 도시된 예와 유사하게, 한 쌍의 기준마크(76)와 한 쌍의 촬상장치(77)가 복수의 제1지지부재(23)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제1지지부재(23)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된 경우, 촬상장치(77)가 기준마크(76)를 정확하게 촬상할 수 있으나,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은 경우, 촬상장치(77)의 시야가 적어도 하나의 제1지지부재(23)에 가려지게 되기 때문에, 촬상장치(77)가 기준마크(76)를 촬상할 수 없다. 따라서, 작업자 또는 제어유닛은 촬상장치(77)에서 촬상된 이미지에 기준마크(76)의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일렬로 정렬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가 복수의 제1지지부재(23)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일렬로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작업자에게 표시하는 표시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1실시예에 따른 실링장치는, 도포유닛(20)의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70)을 구비한다. 따라서, 감지유닛(70)이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일렬로 정렬되지 않은 것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실링장치의 동작을 중지하고, 복수의 제1지지부재(23)의 위치를 교정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지지부재(23)가 일렬로 정렬되지 않은 경우, 복수의 패널(10)이 제1지지부재(23)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되지 않게 되어 발생할 수 있는, 패널(10)에 흡착력이 적절하게 작용되지 않음으로 인한 패널(10)의 낙하에 따른 파손이나 패널(10)의 가장자리의 정확한 위치에 실런트를 도포할 수 없는 도포과정에서의 오류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실링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실링장치는, 경화유닛(40)의 복수의 제2지지부재(43)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감지유닛(80)은, 복수의 제2지지부재(43)의 일측에 배치되는 발광센서(81)와, 복수의 제2지지부재(43)의 타측에 배치되는 수광센서(8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광센서(81)는 복수의 제2지지부재(43)의 최외곽에 배치되어 광을 발광하며, 수광센서(82)는 발광센서(81)와의 사이에 복수의 제2지지부재(43)를 두고 발광센서(8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발광센서(81)로부터 발광된 광을 수광한다. 발광센서(81) 및 수광센서(82)는 복수의 제2지지부재(43)가 일렬로 배치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발광센서(81) 및 수광센서(82)는 이동블럭(42)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발광센서(81) 및 수광센서(82)는 복수의 제2지지부재(43) 중 Y축방향으로의 최외각 양측에 배치된 두 개의 제2지지부재(43)상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발광센서(81)에서 발광된 광이 복수의 제2지지부재(43)를 관통하여 수광센서(82)에 입사될 수 있도록, 각 제1지지부재(43)에는 광이 지나가는 통로를 제공하는 관통홀(434)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434)은 복수의 제2지지부재(43)가 일렬로 배치되는 방향(예를 들면, 도 13에서의 X축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지지부재(4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된 경우, 발광센서(81)에서 발광된 광이 복수의 제2지지부재(43)의 각 관통홀(434)을 통과하여 수광센서(82)에 입사된다. 그러나, 복수의 제2지지부재(4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은 경우, 즉, 복수의 제2지지부재(43) 중 적어도 하나의 제2지지부재(43)가 휘어지거나 일측방향(예를 들면, 도 13에서의 Y축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 복수의 제2지지부재(43)의 각 관통홀(434)이 서로 일렬로 일치되지 않기 때문에, 발광센서(81)에서 발광된 광의 경로가 차단되며, 이에 따라, 발광센서(81)에서 발광된 광이 수광센서(82)에 정상적으로 입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발광센서(81)에서 발광된 광이 수광센서(82)에 입사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통하여, 복수의 제2지지부재(43)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4는 제2실시예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감지유닛(80)은, 복수의 제2지지부재(43)의 외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발광센서(81)와, 복수의 제2지지부재(43)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발광센서(81)와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광센서(8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발광센서(81)는 복수의 제2지지부재(43) 중 최외각에 배치된 제2지지부재(43)의 폭방향(도 14에서의 Y축방향)으로의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수광센서(82)는 한 쌍의 발광센서(81)와 인접되게 배치된 제2지지부재(43)의 반대편에 배치된 제2지지부재(43)의 폭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발광센서(81)에서 발광되어 수광센서(82)로 입사되는 광의 경로는 복수의 제2지지부재(43)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된다.
복수의 제2지지부재(4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된 경우, 한 쌍의 발광센서(81)에서 발광된 광이 복수의 제2지지부재(43)의 폭방향 양측의 광의 경로를 지나 한 쌍의 수광센서(82)에 입사된다. 그러나, 복수의 제2지지부재(4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은 경우, 즉, 복수의 제2지지부재(43) 중 적어도 하나의 제2지지부재(43)가 휘어지거나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 발광센서(81)에서 발광된 광의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2지지부재(43)에 의하여 차단되며, 이에 따라, 한 쌍의 발광센서(81)에서 발광된 광이 한 쌍의 수광센서(82)에 정상적으로 입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발광센서(81)에서 발광된 광이 한 쌍의 수광센서(82)에 입사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것을 통하여, 복수의 제2지지부재(43)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4에 제시된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제2지지부재(43)에 광의 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434)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공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5는 제2실시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감지유닛(80)은, 복수의 제2지지부재(43)의 일측에 배치되는 기준마크(86)와, 복수의 제2지지부재(43)의 타측에 배치되어 기준마크(86)를 촬상하는 촬상장치(8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준마크(86)는 복수의 제2지지부재(43)의 최외곽에 배치되며, 촬상장치(87)는 기준마크(86)와의 사이에 복수의 제2지지부재(43)를 두고 기준마크(86)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기준마크(86)와 촬상장치(87)는 복수의 제2지지부재(43)가 일렬로 배치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기준마크(86) 및 촬상장치(87)는 이동블럭(42)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기준마크(86) 및 촬상장치(87)는 복수의 제2지지부재(43) 중 Y축방향으로의 최외각 양측에 배치된 두 개의 제2지지부재(43)상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촬상장치(87)가 기준마크(86)를 촬상할 수 있도록 각 제2지지부재(43)에는 관통홀(43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2지지부재(4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된 경우, 촬상장치(87)는 복수의 관통홀(434)을 통하여 기준마크(86)를 촬상할 수 있다.
한편, 감지유닛(80)으로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실시예의 다른 예, 즉, 도 14에 도시된 예와 유사하게, 한 쌍의 기준마크(86)와 한 쌍의 촬상장치(87)가 복수의 제2지지부재(43)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제2지지부재(43)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복수의 제2지지부재(4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된 경우, 촬상장치(87)가 기준마크(86)를 정확하게 촬상할 수 있으나, 복수의 제2지지부재(4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은 경우, 촬상장치(87)의 시야가 적어도 하나의 제2지지부재(43)에 가려지게 되기 때문에, 촬상장치(87)가 기준마크(86)를 촬상할 수 없다. 따라서, 작업자 또는 제어유닛은 촬상장치(87)에서 촬상된 이미지에 기준마크(86)의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복수의 제2지지부재(4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2지지부재(43)가 일렬로 정렬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가 복수의 제2지지부재(43)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제2지지부재(43)가 일렬로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작업자에게 표시하는 표시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2실시예에 따른 실링장치는, 경화유닛(40)의 복수의 제2지지부재(43)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80)을 구비한다. 따라서, 감지유닛(80)이 복수의 제2지지부재(43)가 일렬로 정렬되지 않은 것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실링장치의 동작을 중지하고, 복수의 제2지지부재(43)의 위치를 교정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2지지부재(43)가 일렬로 정렬되지 않은 경우, 복수의 패널(10)이 제2지지부재(43)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되지 않게 되어 발생할 수 있는, 패널(10)에 흡착력이 적절하게 작용되지 않음으로 인한 패널(10)의 낙하에 따른 파손이나 패널(10)의 가장자리의 정확한 위치에 경화용 광을 조사할 수 없는 경화과정에서의 오류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제3실시예에 따른 실링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실링장치는, 이송유닛(60)의 복수의 제3지지부재(63)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감지유닛(90)은, 복수의 제3지지부재(63)의 일측에 배치되는 발광센서(91)와, 복수의 제3지지부재(63)의 타측에 배치되는 수광센서(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광센서(91)는 복수의 제3지지부재(63)의 최외곽에 배치되어 광을 발광하며, 수광센서(92)는 발광센서(91)와의 사이에 복수의 제3지지부재(63)를 두고 발광센서(9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발광센서(91)로부터 발광된 광을 수광한다. 발광센서(91) 및 수광센서(92)는 복수의 제3지지부재(63)가 일렬로 배치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발광센서(91) 및 수광센서(92)는 헤드부재(62)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발광센서(91) 및 수광센서(92)는 복수의 제3지지부재(63) 중 Y축방향으로의 최외각 양측에 배치된 두 개의 제3지지부재(63)상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발광센서(91)에서 발광된 광이 복수의 제3지지부재(63)를 관통하여 수광센서(92)에 입사될 수 있도록, 각 제3지지부재(63)에는 광이 지나가는 통로를 제공하는 관통홀(634)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634)은 복수의 제3지지부재(63)가 일렬로 배치되는 방향(예를 들면, 도 16에서의 X축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3지지부재(6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된 경우, 발광센서(91)에서 발광된 광이 복수의 제3지지부재(63)의 각 관통홀(634)을 통과하여 수광센서(92)에 입사된다. 그러나, 복수의 제3지지부재(6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은 경우, 즉, 복수의 제3지지부재(63) 중 적어도 하나의 제3지지부재(63)가 휘어지거나 일측방향(예를 들면, 도 16에서의 Y축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 복수의 제3지지부재(63)의 각 관통홀(634)이 서로 일렬로 일치되지 않기 때문에, 발광센서(91)에서 발광된 광의 경로가 차단되며, 이에 따라, 발광센서(91)에서 발광된 광이 수광센서(92)에 정상적으로 입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발광센서(91)에서 발광된 광이 수광센서(92)에 입사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통하여, 복수의 제3지지부재(63)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7은 제3실시예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감지유닛(90)은, 복수의 제3지지부재(63)의 외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발광센서(91)와, 복수의 제3지지부재(63)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발광센서(91)와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광센서(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발광센서(91)는 복수의 제3지지부재(63) 중 최외각에 배치된 제3지지부재(63)의 폭방향(도 17에서의 Y축방향)으로의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수광센서(92)는 한 쌍의 발광센서(91)와 인접되게 배치된 제3지지부재(63)의 반대편에 배치된 제3지지부재(43)의 폭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발광센서(91)에서 발광되어 수광센서(92)로 입사되는 광의 경로는 복수의 제3지지부재(63)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된다.
복수의 제3지지부재(6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된 경우, 한 쌍의 발광센서(91)에서 발광된 광이 복수의 제3지지부재(63)의 폭방향 양측의 광의 경로를 지나 한 쌍의 수광센서(92)에 입사된다. 그러나, 복수의 제3지지부재(6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은 경우, 즉, 복수의 제3지지부재(63) 중 적어도 하나의 제3지지부재(63)가 휘어지거나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 발광센서(91)에서 발광된 광의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3지지부재(63)에 의하여 차단되며, 이에 따라, 한 쌍의 발광센서(91)에서 발광된 광이 한 쌍의 수광센서(92)에 정상적으로 입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발광센서(91)에서 발광된 광이 한 쌍의 수광센서(92)에 입사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것을 통하여, 복수의 제3지지부재(63)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7에 제시된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제3지지부재(63)에 광의 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634)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공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8은 제3실시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감지유닛(90)은, 복수의 제3지지부재(63)의 일측에 배치되는 기준마크(96)와, 복수의 제3지지부재(63)의 타측에 배치되어 기준마크(96)를 촬상하는 촬상장치(9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준마크(96)는 복수의 제3지지부재(63)의 최외곽에 배치되며, 촬상장치(97)는 기준마크(96)와의 사이에 복수의 제3지지부재(63)를 두고 기준마크(96)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기준마크(96)와 촬상장치(97)는 복수의 제3지지부재(63)가 일렬로 배치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기준마크(96) 및 촬상장치(97)는 헤드부재(62)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기준마크(96) 및 촬상장치(97)는 복수의 제3지지부재(43) 중 Y축방향으로의 최외각 양측에 배치된 두 개의 제3지지부재(63)상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촬상장치(97)가 기준마크(96)를 촬상할 수 있도록 각 제3지지부재(63)에는 관통홀(63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3지지부재(6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된 경우, 촬상장치(97)는 복수의 관통홀(634)을 통하여 기준마크(96)를 촬상할 수 있다.
한편, 감지유닛(90)으로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3실시예의 다른 예, 즉, 도 17에 도시된 예와 유사하게, 한 쌍의 기준마크(96)와 한 쌍의 촬상장치(97)가 복수의 제3지지부재(63)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제3지지부재(63)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복수의 제3지지부재(6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된 경우, 촬상장치(97)가 기준마크(96)를 정확하게 촬상할 수 있으나, 복수의 제3지지부재(6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은 경우, 촬상장치(97)의 시야가 적어도 하나의 제3지지부재(63)에 가려지게 되기 때문에, 촬상장치(97)가 기준마크(96)를 촬상할 수 없다. 따라서, 작업자 또는 제어유닛은 촬상장치(97)에서 촬상된 이미지에 기준마크(96)의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복수의 제3지지부재(63)가 일렬로 정확하게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3지지부재(63)가 일렬로 정렬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가 복수의 제3지지부재(63)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제3지지부재(63)가 일렬로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작업자에게 표시하는 표시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3실시예에 따른 실링장치는, 이송유닛(60)의 복수의 제3지지부재(63)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90)을 구비한다. 따라서, 감지유닛(90)이 복수의 제3지지부재(63)가 일렬로 정렬되지 않은 것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실링장치의 동작을 중지하고, 복수의 제3지지부재(63)의 위치를 교정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3지지부재(63)가 일렬로 정렬되지 않은 경우, 복수의 패널(10)이 제3지지부재(63)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되지 않게 되어 발생할 수 있는, 패널(10)에 흡착력이 적절하게 작용되지 않음으로 인한 패널(10)의 낙하에 따른 파손이나 복수의 패널(10)을 흡착하여 이송하는 이송과정에서의 오류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10: 패널 20: 도포유닛
40: 경화유닛 60: 이송유닛

Claims (5)

  1. 한 쌍의 기판들이 합착된 패널의 가장자리를 보강용 실런트로 실링하는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실런트를 도포하는 도포헤드와, 복수의 패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도포유닛;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의 각각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의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일렬로 배치되어 광이 지나가는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복수의 관통홀이 일렬로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
  2. 한 쌍의 기판들이 합착된 패널의 가장자리를 보강용 실런트로 실링하는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보강용 실런트를 도포하는 도포유닛;
    상기 패널에 도포된 보강용 실런트에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기와, 복수의 패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경화유닛;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의 각각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의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일렬로 배치되어 광이 지나가는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복수의 관통홀이 일렬로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
  3. 한 쌍의 기판들이 합착된 패널의 가장자리를 보강용 실런트로 실링하는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에 있어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송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헤드부재와, 상기 헤드부재에 설치되어 복수의 패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의 각각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의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일렬로 배치되어 광이 지나가는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복수의 관통홀이 일렬로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발광센서;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센서에서 발광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기준마크;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기준마크를 촬상하는 촬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
KR1020110122155A 2011-11-22 2011-11-22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 KR102033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155A KR102033335B1 (ko) 2011-11-22 2011-11-22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
CN2012102653130A CN103137899A (zh) 2011-11-22 2012-07-30 制造平板显示器的密封装置
TW101127413A TW201321328A (zh) 2011-11-22 2012-07-30 製造平板顯示器的密封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155A KR102033335B1 (ko) 2011-11-22 2011-11-22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513A KR20130056513A (ko) 2013-05-30
KR102033335B1 true KR102033335B1 (ko) 2019-10-18

Family

ID=48497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155A KR102033335B1 (ko) 2011-11-22 2011-11-22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33335B1 (ko)
CN (1) CN103137899A (ko)
TW (1) TW2013213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1349B (zh) * 2017-10-26 2020-04-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治具、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8144819B (zh) * 2018-01-05 2023-01-06 深圳市深科达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显示器面板自动uv固化设备
CN108126876B (zh) * 2018-01-05 2023-01-06 深圳市深科达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显示器面板自动uv固化设备的安装转动结构
CN111115530B (zh) * 2018-10-30 2022-05-10 楚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瓶体称重装置
KR102118417B1 (ko) * 2018-12-21 2020-06-03 김기태 부품 정렬 장치
CN114029195B (zh) * 2021-08-11 2022-08-05 河源思比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lcd封口的智能自动化生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9593A (ko) * 2005-12-28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패널 실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제조 방법
JP5102358B2 (ja) * 2008-06-03 2012-12-19 株式会社アルバック アライメント機能付きステージ及びこのアライメント機能付きステージを備えた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513A (ko) 2013-05-30
TW201321328A (zh) 2013-06-01
CN103137899A (zh)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335B1 (ko)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
KR101807196B1 (ko) 평판디스플레이용 패널이송장치
JP7220060B2 (ja) 基板検査システム、電子デバイスの製造装置、基板検査方法、及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2285975B1 (ko) 얼라이너 구조 및 얼라인 방법
JP5495845B2 (ja) 液晶基板貼合システム
CN103157579B (zh) 粘结装置
JP5555757B2 (ja) 基板検査装置
KR101481095B1 (ko) 기판의 클램핑 장치
JP2013257594A (ja) 液晶基板貼合システム
KR20190121556A (ko)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필름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
KR20190124558A (ko) 무한 트랙 모듈 및 이를 갖는 장치
KR101236286B1 (ko) 기판의 결함 검사장치
JP2004337772A (ja) 液滴吐出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90352113A1 (en) Transport device
KR101727980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셀의 실란트 도포 장치
KR101758643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셀의 실란트 도포 장치
KR20150072261A (ko) 기판 회전 장치
KR20180064120A (ko) 카세트 정렬 유닛
KR100659114B1 (ko) 봉지 장치 및 봉지 방법
KR101787405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셀의 보강 실링 장치
KR101311850B1 (ko)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
KR101850736B1 (ko)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 및 실링방법
KR100490380B1 (ko) 라미네이팅 장치
KR20150005022A (ko) 기판 상에 형성된 물질층의 두께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
KR101985006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셀의 보강 실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65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625

Effective date: 201907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