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018B1 -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및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사용한 성형체 - Google Patents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및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사용한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018B1
KR102025018B1 KR1020180089712A KR20180089712A KR102025018B1 KR 102025018 B1 KR102025018 B1 KR 102025018B1 KR 1020180089712 A KR1020180089712 A KR 1020180089712A KR 20180089712 A KR20180089712 A KR 20180089712A KR 102025018 B1 KR102025018 B1 KR 102025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ecular weight
weight ethylene
less
polymer powd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7710A (ko
Inventor
요시아키 하마다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7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0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0/00Hom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4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4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01High molecular weight, e.g. >800,000 D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8Bulk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24Polymer with special particle form or siz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9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 C08J24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08K5/134Phenols containing ester groups
    • C08K5/1345Carboxylic esters of phenol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8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체의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및 해당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성형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는, 에틸렌 단위, 및/또는, 에틸렌 단위와 탄소수 3 이상 8 이하의 α-올레핀 단위를 구성 단위로 하고, 점도 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상 10,000,000 이하이고, 유도 결합 플라스마 질량 분석계(ICP/MS)에 의한 티타늄 원소 함유량이 20ppm 이하이고, 등온 결정화 시간이 6분 미만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체는, 상기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사용하여 얻어진다.

Description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및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사용한 성형체 {ULTRAHIGH-MOLECULAR WEIGHT ETHYLENE POLYMER POWDER,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ULTRAHIGH-MOLECULAR WEIGHT ETHYLENE POLYMER POWDER}
본 발명은,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및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사용한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초고분자량 올레핀, 특히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범용의 폴리에틸렌에 비하여 분자량이 높기 때문에, 연신 가공성이 우수한, 강도가 높은, 화학적 안정성이 높은, 장기 신뢰성이 우수한 등의 이유로부터, 납 축전지나 리튬 이온 전지로 대표되는 이차 전지의 세퍼레이터용 미다공막 및 섬유 등의 성형체의 원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초고분자량 올레핀, 특히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범용의 폴리에틸렌에 비하여 내충격성, 내마모성, 접동성, 저온 특성, 내약품성 등의 다양한 특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호퍼, 슈트 등의 라이닝재, 베어링, 기어, 롤러 가이드 레일, 또는, 골 대용재, 골 전도성재 및 골 유도재 등의 성형체에도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분자량이 높기 때문에 수지 단체에서의 압출 성형 가공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막이나 섬유 등을 제조할 때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예를 들어 압출기 중에 있어서 용제에 용해된 상태에서, 고온 하에서, 혼련 압출 성형되는 경우가 많다(이하, 이 방법을 습식 압출이라고도 표현함).
또한, 상기와 동일한 이유에서, 압축 성형(프레스 성형)이나 램 압출 등에 의해 성형하는 경우도 많다. 압축 성형품이나 램 압출품에 공통되게, 내충격성, 내마모성을 양립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들의 특성을 양립시키는 방법예가 특허문헌 1 내지 3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3171호 공보 일본 특허 제417344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57905호 공보
여기서, 근년,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예를 들어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막, 섬유, 압축 성형품, 램 압출품 등의 성형체에 있어서는, 그의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예를 들어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막, 섬유, 압축 성형품, 램 압출품 등의 성형체에 있어서, 그의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및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사용한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놀랍게도, 특정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는, 특정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사용함으로써, 그 성형체, 특히,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막, 섬유, 압축 성형품, 램 압출품의 제조에 있어서의 냉각 공정 시간을 단축화하거나, 또한, 습식 압출 시에 있어서, 종래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에서는 팽윤 불량이 발생하기 쉬웠지만, 양호한 팽윤 상태로 되어 압출 시간이 단축화하는 것을 알아내었다. 나아가, 예를 들어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막에 있어서는, 상기의 특허문헌 1 내지 3에 개시되는 기술로는 곤란했지만, 특정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사용함으로써,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막의 평균 구멍 직경을 작게 하고, 또한, 균일하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막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에틸렌 단위, 및/또는, 에틸렌 단위와 탄소수 3 이상 8 이하의 α-올레핀 단위를 구성 단위로 하고,
점도 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상 10,000,000 이하이고,
유도 결합 플라스마 질량 분석계(ICP/MS)에 의한 티타늄 원소 함유량이 20ppm 이하이고,
시차 주사 열량계를 사용한 이하의 등온 결정화 시간 측정 조건의 측정에 있어서, 스텝 A3의 126℃에 달한 시간을 기점(0분)으로 하여, 결정화에 기인하는 발열 피크톱이 얻어진 시간을 등온 결정화 시간으로 했을 때, 해당 등온 결정화 시간이 6분 미만인,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등온 결정화 시간 측정 조건)
스텝 A1: 50℃에서 1분간 유지 후, 10℃/min의 승온 속도로 180℃까지 승온
스텝 A2: 180℃에서 30분간 유지 후, 80℃/min의 강온 속도로 126℃까지 강온
스텝 A3: 126℃에서 유지
〔2〕
ICP/MS에 의한 티타늄 원소 함유량이 15ppm 이하인, 상기 〔1〕에 기재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3〕
ICP/MS에 의한 티타늄 원소 함유량이 7ppm 이하인, 상기 〔1〕에 기재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4〕
ICP/MS에 의한 알루미늄 원소 함유량이 10ppm 이하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5〕
시차 주사 열량계를 사용한 이하의 융해 열량(ΔH2) 측정 조건의 측정에 있어서, 스텝 B3의 승온 과정에 있어서의 융해 열량(ΔH2)이 250J/g 이하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융해 열량(ΔH2) 측정 조건)
스텝 B1: 50℃에서 1분간 유지 후, 10℃/min의 승온 속도로 180℃까지 승온
스텝 B2: 180℃에서 5분간 유지 후, 10℃/min의 강온 속도로 50℃까지 강온
스텝 B3: 50℃에서 5분간 유지 후, 10℃/min의 승온 속도로 180℃까지 승온
〔6〕
탭 밀도가 0.35g/㎤ 이상 0.70g/㎤ 이하이고, 또한, 벌크 밀도가 0.40g/㎤ 이상 0.60g/㎤ 이하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7〕
벌크 밀도에 대한 탭 밀도의 비가 1.10 이상 1.50 이하인, 상기 〔6〕에 기재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8〕
평균 입자 직경이 50㎛ 이상 200㎛ 이하인,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사용한 성형체.
〔10〕
습식 압출법에 의해 얻어지는,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막 또는 섬유인, 상기 〔9〕에 기재된 성형체.
〔11〕
이차 전지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또는 납 축전지인, 상기 〔10〕에 기재된 성형체.
〔12〕
상기 섬유를 사용한 제품이 로프, 네트, 방탄 의료, 방호 의료, 방호 장갑, 섬유 보강 콘크리트제품 또는 헬멧인, 상기 〔10〕에 기재된 성형체.
〔13〕
라이닝 용도, 베어링, 기어, 롤러 가이드 레일, 골 대용재, 골 전도성재, 또는 골 유도재에 사용되는, 상기 〔9〕에 기재된 성형체.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체의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및 해당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성형체의 제공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본 실시 형태」라고 함)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본 실시 형태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는, 에틸렌 단위, 및/또는, 에틸렌 단위와 탄소수 3 이상 8 이하의 α-올레핀 단위를 구성 단위로 하고, 점도 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상 10,000,000 이하이고, 유도 결합 플라스마 질량 분석계(ICP/MS)에 의한 티타늄 원소 함유량이 20ppm 이하이고, 시차 주사 열량계를 사용한 이하의 등온 결정화 시간 측정 조건의 측정에 있어서, 스텝 A3의 126℃에 달한 시간을 기점(0분)으로 하여, 결정화에 기인하는 발열 피크톱이 얻어진 시간을 등온 결정화 시간(분)으로 했을 때, 해당 등온 결정화 시간이 6분 미만이다. 당해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에 의해, 그 성형체의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성형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등온 결정화 시간 측정 조건)
스텝 A1: 50℃에서 1분간 유지 후, 10℃/min의 승온 속도로 180℃까지 승온
스텝 A2: 180℃에서 30분간 유지 후, 80℃/min의 강온 속도로 126℃까지 강온
스텝 A3: 126℃에서 유지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중합체를 구성하는 각 단량체 단위의 명명은, 단량체 단위가 유래하는 단량체의 명명을 따른다. 예를 들어, 「에틸렌 단위」란, 단량체인 에틸렌을 중합한 결과 발생하는 중합체의 구성 단위를 의미하고, 그 구조는, 에틸렌의 2개의 탄소가 중합체 주쇄가 되고 있는 분자 구조이다. 또한, 「α-올레핀 단위」란, 단량체인 α-올레핀을 중합한 결과 발생하는 중합체의 구성 단위를 의미하고, 그 구조는, α-올레핀에서 유래되는 올레핀의 2개의 탄소가 중합체 주쇄가 되고 있는 분자 구조이다.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로서는, 에틸렌 단위, 및/또는, 에틸렌 단위와 탄소수 3 이상 8 이하의 α-올레핀 단위를 구성 단위로 하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탄소수 3 이상 8 이하의 α-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과 공중합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직쇄, 분지, 또는 환상 α-올레핀, 식 CH2=CHR1(여기서, R1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아릴기임)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탄소수 4 내지 7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디엔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α-올레핀으로서는 성형체의 내마모성이나 내열성 및 강도의 관점에서, 프로필렌 및 1-부텐이 바람직하다.
〔점도 평균 분자량〕
점도 평균 분자량(Mv)은 100,000 이상 10,000,0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00 이상 9,500,000 이하이고, 200,000 이상 9,000,00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Mv가 100,000 이상임으로써, 각종 성형품의 강도가 보다 향상된다. 또한, Mv가 10,000,000 이하임으로써, 각종 성형품의 가공 특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Mv가 상기 범위임으로써, 파우더의 생산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는 습식 압출, 압축 성형(프레스 성형)이나 램 압출 등의 성형 가공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얻어지는 성형체를 폭넓은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점도 평균 분자량(Mv)을 상기 범위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중합할 때의 반응기의 중합 온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중합 온도를 고온으로 할수록 Mv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중합 온도를 저온으로 할수록 Mv는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Mv를 상기 범위로 하는 별도의 방법으로서는,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중합할 때에 첨가하는 조촉매로서의 유기 금속 화합물 종을 변경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계 공중합체를 중합할 때에 연쇄 이동제를 첨가해도 된다. 이렇게 연쇄 이동제를 첨가함으로써, 동일 중합 온도에서도 생성되는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Mv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점도 평균 분자량(Mv)은, 데카히드로나프탈렌 용액 중에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다른 농도로 용해시켜, 135℃에서 구한 환원 점도를 농도 0에 외삽하여 구한 극한 점도[η](dL/g)로부터, 이하의 수식 A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Mv=(5.34×104)×[η]1. 49 …수식 A
〔에틸렌 단위, α-올레핀 단위의 함유량〕
에틸렌 단위의 함유량은, 에틸렌 단위 및 α-올레핀 단위의 총량에 대하여, 99mol% 이상 100mol% 이하가 바람직하고, 99.2mol% 이상 100mol%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99.4mol% 이상 100mol%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에틸렌 단위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성형품의 내열성 및/또는 강도가 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다.
또한, α-올레핀 단위의 함유량 측정은, G.J. Ray 등의 문헌[Macromolecules, 10, 773(1977)]에 개시된 방법에 준하여 행해지고, α-올레핀 단위의 함유량은 13C-NMR 스펙트럼에 의해 관측되는 메틸렌 탄소의 시그널을 사용하여, 그 면적 강도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티타늄 원소 함유량〕
티타늄 원소 함유량은, 유도 결합 플라스마 질량 분석계(ICP/MS)로 측정하여 얻어진 값으로 정의한다. 티타늄 원소 함유량은 20pp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5ppm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ppm 이하이다. 티타늄 원소 함유량이 20ppm 이하이면, 성형체, 특히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막, 섬유, 압축 성형품, 램 압출품의 제조에 있어서의 냉각 공정 시간을 단축화할뿐만 아니라, 습식 압출 시의 용제로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팽윤 불량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양호한 팽윤 상태를 얻을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성형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티타늄 원소 함유량이 20ppm 이하이면,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막의 평균 구멍 직경을 작게 하고, 또한, 균일하게 할 수 있고, 그러므로,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막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에 포함되는 티타늄 원소 함유량은, 단위 촉매당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생산성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고, 생산성을 올림으로써 함유량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티타늄 원소 함유량의 측정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등온 결정화 시간〕
등온 결정화 시간은, 126℃에서 결정화에 기인하는 발열 피크톱이 얻어질 때까지의 시간이다. 구체적으로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사용하여, 이하의 측정 조건에 의해 측정했을 때에, 126℃에 달한 시간을 기점(0분)으로 하여, 결정화에 기인하는 발열 피크톱이 얻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등온 결정화 시간으로 정의한다.
스텝 A1: 50℃에서 1분간 유지 후, 10℃/min의 승온 속도로 180℃까지 승온
스텝 A2: 180℃에서 30분간 유지 후, 80℃/min의 강온 속도로 126℃까지 강온
스텝 A3: 126℃에서 유지.
등온 결정화 시간은 6분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5.5분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2분 이하이다. 등온 결정화 시간이 6분 미만이면, 성형체, 특히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막, 섬유, 압축 성형품, 램 압출품의 제조에 있어서의 냉각 공정 시간을 단축화할뿐만 아니라, 습식 압출 시의 용제로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팽윤 불량을 발생하기 어렵게 함과 함께,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막의 평균 구멍 직경을 작게 하고, 또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등온 결정화 시간을 상기 범위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촉매를 촉매 저장 리액터 중에서 교반할 때의 강도가 중요하다. 구체적으로는, 불활성 탄화수소로 희석된 촉매 저장 리액터 내를 강도로 교반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리액터(예를 들어, 8L의 오토클레이브) 내에 4장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장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장 이상의 교반 날개를 사용하는 것, 교반 날개의 회전 속도를 60rp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rpm,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rpm 이상으로 하는 것, 또한, 송액 루트에 믹서를 설치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촉매를 촉매 저장 리액터 중에서 교반할 때에는, 촉매 원료의 첨가 속도를 너무 늦게 하지 않는 것도 등온 결정화 시간을 상기 범위로 제어하기 위하여 중요하다.
〔알루미늄 원소 함유량〕
알루미늄 원소 함유량은, 유도 결합 플라스마 질량 분석계(ICP/MS)로 측정하여 얻어진 값으로 정의한다. 알루미늄 원소 함유량은, 1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ppm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ppm 이하이다. 알루미늄 원소 함유량이 10ppm 이하이면,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막, 섬유, 압축 성형품, 램 압출품의 제조에 있어서의 냉각 공정 시간을 단축화할뿐만 아니라, 습식 압출 시의 용제로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팽윤 불량을 발생하기 어렵게 함과 함께,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막의 평균 구멍 직경을 작게 하고, 또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에 포함되는 알루미늄 원소 함유량은, 단위 촉매당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생산성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고, 생산성을 올림으로써 함유량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알루미늄 원소 함유량의 측정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융해 열량(ΔH2)〕
시차 주사 열량계를 사용한 이하의 융해 열량(ΔH2) 측정 조건의 측정에 있어서, 스텝 B3의 승온 과정에 있어서의 융해 열량(2회째의 승온 과정에 있어서의 융해 열량)을 융해 열량(ΔH2)으로 정의한다.
(융해 열량(ΔH2) 측정 조건)
스텝 B1: 50℃에서 1분간 유지 후, 10℃/min의 승온 속도로 180℃까지 승온
스텝 B2: 180℃에서 5분간 유지 후, 10℃/min의 강온 속도로 50℃까지 강온
스텝 B3: 50℃에서 5분간 유지 후 10℃/min의 승온 속도로 180℃까지 승온
이때, 융해 열량(ΔH2)은, 바람직하게는 250J/g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J/g 이상 240J/g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J/g 이상 230J/g 이하이다. 융해 열량(ΔH2)이 250J/g 이하임으로써, 각종 성형품의 내열성을 담보할 수 있다.
〔탭 밀도 및 벌크 밀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탭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35g/㎤ 이상 0.70g/㎤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6g/㎤ 이상 0.65g/㎤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7g/㎤ 이상 0.60g/㎤ 이하이다.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탭 밀도가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성형 시에 파우더가 충분히 충전되기 때문에, 균일한 성형체가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벌크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40g/㎤ 이상 0.60g/㎤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g/㎤ 이상 0.58g/㎤ 이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40g/㎤ 이상 0.55g/㎤ 이하이다. 벌크 밀도가 0.40g/㎤ 이상임으로써,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유동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핸들링성이 우수하고, 각종 성형기로의 피드가 안정되고, 성형품의 치수가 안정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벌크 밀도가 0.60g/㎤ 이하임으로써, 성형품의 가공 등의 때에, 생산성 등이 우수하고, 보다 양호한 가공 적용성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또한, 벌크 밀도에 대한 탭 밀도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 1.5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 1.48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 1.45 이하이다. 벌크 밀도에 대한 탭 밀도의 비가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각종 성형품의 가공 적용성, 치수 안정성의 밸런스가 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는, 벌크 밀도는, 사용하는 촉매에 따라 상이하지만, 단위 촉매당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생산성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벌크 밀도는,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중합할 때의 중합 온도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중합 온도를 높게 함으로써 그 벌크 밀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벌크 밀도는 중합기 내의 슬러리 농도에 따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고, 슬러리 농도를 높게 함으로써 그 벌크 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벌크 밀도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탭 밀도를 전술한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중합 반응기로의 중합체의 정전기 부착을 억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특허문헌 3의 [0081]에 개시되어 있지만, Stadis 450의 첨가량을 20ppm 이상 50pp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벌크 밀도에 대한 탭 밀도의 비도, 상술한 방법에서 제어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활제를 배합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이다.
〔평균 입자 직경〕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2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19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180㎛ 이하이다.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평균 입자 직경이 50㎛ 이상임으로써,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호퍼 등으로의 투입이나 호퍼로부터의 계량 등의 핸들링성이 보다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평균 입자 직경이 200㎛ 이하임으로써, 각종 성형 가공 공정에 있어서, 생산성 등의 가공 적용성이 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다.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평균 입자 직경은, 사용하는 촉매의 입자 직경을 작게 함으로써 당해 파우더의 평균 입자 직경이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고, 또한, 단위 촉매량당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생산성을 올림으로써 당해 파우더의 평균 입자 직경이 작아지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평균 입자 직경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는, 그대로 각종 성형기에서 성형 가공해도 상관없고,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에 유기 과산화물과 혼합한 후, 각종 성형 가공기로 성형 가공해도 상관없다. 유기 과산화물과 혼합한 후, 각종 성형기로 성형 가공하는 경우, 가교 불균일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지만, 본원 실시 형태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라면, 분자쇄 중에 존재하는 미량의 α-올레핀에서 유래의 3급 탄소로 가교 반응이 우선적으로 진행하고, 균일한 가교 반응이 진행한다. 이에 의해, 성형품의 내마모성이 보다 향상된다.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성형할 때에 사용하는, 유기 과산화물(유기 과산화물 가교제)로서는, 상기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가교에 기여하고, 분자 내에 원자단-O-O-을 갖는 유기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디알킬퍼옥시드, 디아실퍼옥시드, 히드로퍼옥시드, 케톤퍼옥시드 등의 유기 퍼옥시드; 알킬퍼에스테르 등의 유기 퍼에스테르;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과산화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디쿠밀퍼옥시드, 디-tert-부틸퍼옥시드,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신-3,1,3-비스(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1,1-비스(ter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n-부틸-4,4-비스(tert-부틸퍼옥시)발레레이트, 벤조일퍼옥시드, p-클로로벤조일퍼옥시드, 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시드, ter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tert-부틸퍼벤조에이트, 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르보네이트, 디아세틸퍼옥시드, 라우로일퍼옥시드, tert-부틸쿠밀퍼옥시드, α,α'-디(tert-부틸퍼옥시)디이소프로필벤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2,5-디메틸-2,5-비스(t-부틸퍼옥시)헥산(상품명 「퍼헥사 25B」 니혼 유시(주)제), 2,5-디메틸-2,5-비스(t-부틸옥시)헥신-3(상품명 「퍼헥신 25B」 니혼 유시(주)제), 디쿠밀퍼옥시드,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이 바람직하다.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와 유기 과산화물과의 혼합은, 통상의 혼합기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헨쉘 믹서와 같은 교반기에 의한 혼합이나 블렌더와 같은 회전에 의한 혼합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교반·혼합 조건은, 온도, 압력, 확장 판매 속도 등의 조건에도 따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온, 상압 하에서는, 50회전/분으로부터 800회전/분의 속도로, 1분간에서 10분 정도 교반·혼합해도 된다. 또한, 교반·혼합 속도는, 적절히 변경해도 되고, 예를 들어 최초 저속으로 몇 분간 혼합을 행하고, 어느 정도 배합 성분이 균일하게 혼합된 단계에서, 보다 고속으로 몇 분간 교반·혼합해도 된다.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에 혼합하는 유기 과산화물은,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탄화수소 용매 등에 용해하여 첨가해도 된다.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제조 방법〕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지글러·나타 촉매나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중에서도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글러·나타 촉매에 대해서는, 전술한 특허문헌 3의 [0032] 내지 [0068]에 개시되어 있다.
고체 촉매 성분 및 유기 금속 화합물 성분(이하, 「고체 촉매 성분 및 유기 금속 화합물 성분」을 「촉매」라고도 칭함)을 에틸렌계 중합 조건 하인 중합계 내에 첨가할 때에는, 양자를 따로따로 중합계 내에 첨가해도 되고, 미리 양자를 혼합시킨 후에 중합계 내에 첨가해도 된다. 또한, 조합하는 양자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체 촉매 성분 1g에 대하여 유기 금속 화합물 성분은 0.01mmol 이상 1,000mmol 이하가 바람직하고, 0.1mmol 이상 500mmol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mmol 이상 100mmol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양자를 혼합시키는 다른 목적으로서는, 보존 탱크나 배관 등에 정전 부착을 방지하는 것도 들 수 있다.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중합법은, 현탁 중합법에 의해, 에틸렌 또는 탄소수 3 이상 8 이하의 α-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를 (공)중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현탁 중합법으로 중합하면, 중합 열을 효율적으로 제열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현탁 중합법에 있어서는, 매체로서 불활성 탄화수소 매체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올레핀 자신을 용매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불활성 탄화수소 매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펜탄, 이소펜탄, 헥산, 헵탄, 옥탄, 데칸, 도데칸, 등유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펜탄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에틸클로라이드,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메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등온 결정화 시간을 상기 범위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촉매를 촉매 저장 리액터 중에서 교반할 때의 강도가 중요하다. 구체적으로는, 불활성 탄화수소로 희석된 촉매 저장 리액터 내를 강도로 교반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리액터(예를 들어, 8L의 오토클레이브) 내에 4장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장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장 이상의 교반 날개를 사용하는 것, 교반 날개의 회전 속도를 60rp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rpm,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rpm 이상으로 하는 것, 또한, 송액 루트에 믹서를 설치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얻기 위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중합 온도는, 통상 20℃ 이상 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이상 9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0℃ 이상 9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중합 온도가 20℃ 이상임으로써, 공업적으로 효율적인 제조가 가능하다. 한편, 중합 온도가 100℃ 이하임으로써, 연속적으로 안정 운전이 가능하다.
상기 범위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얻기 위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중합 압력은, 통상, 상압 이상 15MPa 이하가 바람직하고, 0.15MPa 이상 14MPa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2MPa 이상 13MPa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중합 압력이 상압 이상임으로써, 총 금속량 및 전체 염소량이 높은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가 얻어지는 경향이 있고, 중합 압력이 15MPa 이하임으로써, 총 금속량 및 전체 염소량이 낮은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중합을 반응 조건의 다른 2단 이상으로 나누어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서독 특허 출원 공개 제3127133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얻어지는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분자량은, 중합계에 수소를 존재시키거나, 또는 중합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절할 수도 있다. 중합계 내에 연쇄 이동제로서 수소를 첨가함으로써, 분자량을 적절한 범위에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합계 내에 수소를 첨가하는 경우, 수소의 몰 분율은, 0.01mol% 이상 30mol% 이하가 바람직하고, 0.01mol% 이상 25mol%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01mol% 이상 20mol%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은 각 성분 이외에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제조에 유용한 다른 공지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중합할 때에는, 중합 반응기로의 중합체의 정전기 부착을 억제하기 위해서, The Associated Octel Company사제(대리점 마루와 산교)의 Stadis450 등의 정전기 방지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Stadis 450은, 불활성 탄화수소 매체에 희석한 것을 펌프 등에 의해 중합 반응기에 첨가할 수도 있다. 이 때의 첨가량은, 단위 시간당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생산량에 대하여, 0.1ppm 이상 50ppm 이하가 바람직하고, 20ppm 이상 50pp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얻기 위한, 중합 후의 건조 방법으로서는, 가능한 한 열을 가하지 않는 건조 방법이 바람직하다. 건조기의 형식으로서는, 로터리 킬른 방식이나 패들 방식이나 유동 건조기 등이 바람직하다. 건조 온도로서는 50℃ 이상 150℃ 이하가 바람직하고, 70℃ 이상 10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기에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를 도입하여 건조를 촉진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그 밖의 성분〕
상기와 같은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는, 필요에 따라 공지된 각종 첨가제와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열 안정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메탄, 디스테아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등의 내열 안정제; 또는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세바케이트, 2-(2-히드록시-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등의 내후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활제나 염화수소 흡수제 등으로서 공지인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아연 등의 스테아르산염도, 적합한 첨가제로서 들 수 있다.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성형체〕
본 실시 형태의 성형체는, 상기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사용한 성형체이다. 해당 성형체는, 상기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유기 과산화물을 더 포함해도 된다.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성형 방법〕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성형 방법으로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압축 성형(프레스 성형), 압출 성형을 들 수 있다. 압축 성형은, 금형에 원료 파우더를 균일하게 살포하고, 가열·가압하여 성형한 후, 냉각하여 취출하는 방법이다. 판상의 것은 그대로 제품으로서, 블록을 만들고, 절삭 가공 등에 의해 최종 제품으로 마무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압출 성형에서는, 습식 압출 성형(즉, 압출기 중에 있어서, 용제에 용해된 상태에서, 고온 하에서 행하는 혼련 압출 성형), 섬유 성형이나, 피스톤을 전후시켜서 압출하는 램 압출기가 사용된다. 압출기의 출구 형상을 바꿈으로써, 시트, 평판, 이형품, 파이프 등 여러 가지 형상의 성형체가 얻어진다.
〔성형체의 용도〕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는, 고도의 가공성과 높은 연속 가공 생산성을 가질 수 있고, 여러 가지 가공 방법에 의해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사용한 성형체는, 다양한 용도에 응용될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주된 용도로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나 납 축전지 등의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막이나, 섬유, 비점착성, 저마찰 계수로 호퍼, 슈트 등의 라이닝재, 또한 자기 윤활성, 저마찰 계수로 내마모성이 요구되는 베어링, 기어, 롤러 가이드 레일, 골 대용재, 골 전도성재 또는 골 유도재 등에 적절하게 사용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 방법 및 조건〕
(1) 점도 평균 분자량(Mv)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점도 평균 분자량에 대해서는, ISO1628-3(2010)에 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구하였다. 먼저, 용융 관에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20mg을 칭량하고, 용융 관을 질소 치환한 후, 20mL의 데카히드로나프탈렌(2,6-디-t-부틸-4-메틸페놀을 1g/L 첨가한 것)을 첨가하고, 150℃에서 2시간 교반하여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용해시켰다. 그 용액을 135℃의 항온조에서, 캐논-펜스케의 점도계(시바타 가가꾸 기까이 고교사제: 제품 번호-100)를 사용하여, 표선 간의 낙하 시간(ts)을 측정하였다. 마찬가지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10mg, 5mg, 2.5mg과 변경한 샘플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표선 간의 낙하 시간(ts)을 측정하였다. 블랭크로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넣지 않고 있는, 데카히드로나프탈렌만의 낙하 시간(tb)을 측정하였다. 이하의 식을 따라서 구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환원 점도(ηsp/C)를 각각 플롯하여 농도(C)(단위: g/dL)와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환원 점도(ηsp/C)의 직선 식을 유도하고, 농도 0에 외삽한 극한 점도([η])를 구하였다.
ηsp/C=(ts/tb-1)/0.1 (단위: dL/g)
이어서, 하기 수식 A를 사용하고, 상기 극한 점도[η]의 값을 사용하여, 점도 평균 분자량(Mv)을 산출하였다.
Mv=(5.34×104)×[η]1. 49 …수식 A
(2) 티타늄 원소 함유량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마이크로웨이브 분해 장치(형식 ETHOS TC, 마일스톤 제너럴사제)를 사용하여 가압 분해하고, 내부 표준법으로, ICP-MS(유도 결합 플라스마 질량 분석 장치, 형식 X 시리즈 X7, 서모 피셔 사이언티픽사제)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중의 금속으로서 티타늄의 원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3) 등온 결정화 시간
등온 결정화 시간의 측정은, DSC(퍼킨엘머사제, 상품명: DSC8000)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8 내지 10mg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알루미늄 팬에 삽전하고, DSC에 설치하였다. 그 후, 이하의 측정 조건의 측정에 있어서, 스텝 A3의 126℃에 달한 시간을 기점(0분)으로 하여, 결정화에 기인하는 발열 피크톱이 얻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그 시간을 등온 결정화 시간으로 하였다.
스텝 A1: 50℃에서 1분간 유지 후, 10℃/min의 승온 속도로 180℃까지 승온
스텝 A2: 180℃에서 30분간 유지 후, 80℃/min의 강온 속도로 126℃까지 강온
스텝 A3: 126℃에서 유지
(4) 알루미늄 원소 함유량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마이크로웨이브 분해 장치(형식 ETHOS TC, 마일스톤 제너럴사제)를 사용하여 가압 분해하고, 내부 표준법으로, ICP-MS(유도 결합 플라스마 질량 분석 장치, 형식 X 시리즈 X7, 서모 피셔 사이언티픽사제)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중의 금속으로서 알루미늄의 원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5) 융해 열량(ΔH2)
융해 열량(ΔH2)의 측정은, DSC(퍼킨엘머사제, 상품명: DSC8000)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8 내지 10mg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알루미늄 팬에 삽전하고, DSC에 설치하였다. 그 후, 이하의 측정 조건에 의해, 스텝 B3의 승온 과정에 있어서의 융해 열량(ΔH2)을 산출하였다.
스텝 B1: 50℃에서 1분간 유지 후, 10℃/min의 승온 속도로 180℃까지 승온
스텝 B2: 180℃에서 5분간 유지 후, 10℃/min의 강온 속도로 50℃까지 강온
스텝 B3: 50℃에서 5분간 유지 후, 10℃/min의 승온 속도로 180℃까지 승온
(6) 벌크 밀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벌크 밀도는, JIS K-6721:1997을 따라 측정하였다.
(7) 탭 밀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탭 밀도는, JIS K-7370:2000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6) 및 (7)의 측정 결과로부터, 벌크 밀도에 대한 탭 밀도의 비를 산출하였다.
(8) 평균 입자 직경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평균 입자 직경은, JIS Z8801에서 규정된 10종류의 체(눈 크기: 710㎛, 500㎛, 425㎛, 355㎛, 300㎛, 212㎛, 150㎛, 106㎛, 75㎛, 53㎛)를 사용하여, 100g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분급했을 때에 얻어지는 각 체에 남은 입자의 중량을 눈 크기가 큰 측으로부터 적분한 적분 곡선에 있어서, 50%의 중량이 되는 입자 직경을 평균 입자 직경으로 하였다.
(9) α-올레핀 단위의 함유량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공중합체 파우더 중의 α-올레핀에서 유래되는 중합 단위의 함유율(mol%)의 측정은, G.J. Ray 등의 문헌[Macromolecules, 10, 773(1977)]에 개시된 방법에 준하여 행하고, 13C-NMR 스펙트럼에 의해 관측되는 메틸렌 탄소의 시그널을 사용하여, 그 면적 강도로부터 산출하였다.
측정 장치: 니혼 덴시제 ECS-400
관측 핵: 13C
관측 주파수: 100.53MHz
펄스 폭: 45°(7.5μsec)
펄스 프로그램: single pulse dec
PD: 5sec
측정 온도: 130℃
적산 횟수: 30,000회 이상
기준: PE(-eee-) 시그널이고 29.9ppm
용매: 오르토디클로로벤젠-d4
시료 농도: 5 내지 10wt%
용해 온도: 130 내지 140℃
(10) 성형 방법
(10-1) 미다공막 성형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1kg 및 산화 방지제로서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12g(0.3질량%) 투입하고, 텀블러 블렌더를 사용하여 드라이 블렌드함으로써, 중합체 등 혼합물을 얻었다. 또한, 해당 혼합물에 유동 파라핀(37.78℃에서의 동점도 7.59×10-5㎡/s) 10kg(폴리에틸렌 농도 10질량%)을 투입하고, 질소로 치환을 행한 사전 혼합조에 투입하고, 실온에서 교반함으로써, 슬러리를 얻었다.
당해 슬러리를 질소로 치환한 후, 2축 압출기로 질소 분위기 하에서 플런져 펌프에 의해 공급하고, 용융 혼련을 행하였다. 용융 혼련 조건은, 설정 온도 200℃이고, 스크루 회전수 240rpm, 토출량 12kg/hr으로 행하였다.
계속해서, 용융 혼련물을, T-다이를 거쳐서 표면 온도 25℃로 제어된 냉각 롤 상에 압출하여 캐스트함으로써 겔 시트를 얻고, 또한 연속적으로 실온 분위기에서 일단 냉각하고, 계속하여 동시 2축 텐터 연신기로 유도하여, 2축 연신을 행하였다. 설정 연신 조건은, MD 배율 7.0배, TD 배율 7.0배(즉, 7×7배), 2축 연신 온도 125℃였다.
이어서, 메틸에틸케톤조에 유도하고, 메틸에틸케톤 중에 충분히 침지하여 유동 파라핀을 추출 제거하고, 그 후 메틸에틸케톤을 건조 제거하여, 미다공막 성형품을 얻었다. 또한, 본 미다공막 성형품은, 일정 폭으로 2축 연신 시의 척부를 커트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용융 혼련물로부터 겔 시트를 얻어서 동시 2축 텐터 연신기에 유도할 때까지의 공정에 있어서, 10분 이상 연속하여 안정적으로 겔 시트를 얻는 것이 가능한 조건에서 실시하고, 그 때의, 냉각 롤 접촉시부터 동시 2축 텐터 연신기 도달 시까지의 시간을, 「미다공막 성형 시의 냉각 공정 시간」이라고 정의하였다.
(10-2) 섬유 성형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1kg에, 산화 방지제로서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3g(0.3질량%) 첨가하고, 텀블러 블렌더를 사용하여 드라이 블렌드함으로써, 중합체 등 혼합물을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 등 혼합물과 유동 파라핀(37.78℃에서의 동점도 7.59×10-5㎡/s) 10kg(폴리에틸렌 농도 10질량%)을 질소로 치환을 행한 사전 혼합 조에 투입하고, 실온에서 교반함으로써, 슬러리를 얻었다.
당해 슬러리를 질소로 치환한 후, 질소 분위기 하에서 2축 압출기로 플런져 펌프에 의해 공급하고, 용융 혼련하였다. 용융 혼련 조건은, 설정 온도 250℃이고, 스크루 회전수 200rpm, 토출량 12kg/hr으로 행하였다. 그 후에 방사용 다이스를 거쳐, 겔 방사를 가공하였다.
얻어진 겔 방사를 연속적으로 실온 분위기에서 일단 냉각한 후, 메틸에틸케톤 조에 유도하고, 메틸에틸케톤 중에 충분히 침지하여 유동 파라핀을 추출 제거하고, 그 후 메틸에틸케톤을 건조 제거하여 최초에 120℃에서, 다음으로 150℃에서, 2단계로 열간 연신하였다. 연신비는, 겔 방사 및 크세로겔 방사를 연신하는 각 단계에서 최대화하고, 토탈 연신 배율을 500배로 하였다.
또한, 상기의 슬러리로부터 겔 방사를 얻어서 메틸에틸케톤 조로 유도할 때까지의 공정에 있어서, 10분 이상 연속하여 안정적으로 겔방사를 얻는 것이 가능한 조건에서 실시하고, 그 때의, 다이스 출구 통과시부터 메틸에틸케톤 조 도달 시까지의 시간을 「섬유 성형 시의 냉각 공정 시간」이라고 정의하였다.
(10-3) 압축 성형(프레스 성형)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JIS K7139에 준거하여 압축 성형을 실시하고(설정 가열 온도: 200℃, 가열 시간: 20분, 성형 압력: 10MPa, 금형 크기: 200mm 사방, 5mm 두께), 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가열을 멈추는 냉각 과정을 거침으로써 성형체를 얻었다. 또한, 상기의 냉각 과정에 있어서, 가열을 멈추었을 때로부터 성형체 중심부의 온도가 40℃가 될 때까지의 시간을, 「압축 성형 시의 냉각 공정 시간」이라고 정의하였다.
(10-4) 램 압출 성형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램 압출(약 12MPa의 압력을 기초로 약 1.2m의 램 길이의 수평 램 압출기로 실린더 내 온도: 약 240℃, 성형 구금 온도: 약 200℃의 설정 온도)을 실시하고, 구금을 나온 후, 그대로 실온에서 냉각하는 공정을 거침으로써 φ100mm의 원기둥상 성형체를 얻었다.
또한, 상기의 냉각하는 공정에 있어서, 10분 이상 연속하여 안정적으로 성형체를 얻는 것이 가능한 조건에서 실시하고, 그때의 구금 통과 시부터 성형체 표면의 온도가, 50℃가 될 때까지의 시간을, 「램 압출 성형시의 냉각 공정 시간」이라고 정의하였다.
(11) 용제에 대한 팽윤 상태
(10-1), (10-2)에 있어서, 얻어진 슬러리의 상태를 눈으로 관찰하였다. 팽윤 상태에 관한 판단 기준은 이하와 같다.
○…슬러리 중에, 파우더끼리의 응집체(응고)가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슬러리 중에, 파우더끼리의 응집체(응고)를 약간 확인할 수 있다.
×…슬러리 중에, 파우더끼리의 응집체(응고)를 많이 확인할 수 있다.
(12) 미다공막의 평균 구멍 직경 및 구멍 직경의 균일성
(12-1)에 있어서, 얻어진 미다공막 성형품의 평균 구멍 직경을 SEM으로 관찰하였다. 평균 구멍 직경을 구하고, 또한, 구멍 직경의 균일성에 대해서는 이하의 판단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구멍 직경은 거의 균일하다
△…평균 구멍 직경보다 큰 구멍이나 작은 구멍이 약간 두드러진다
×…구멍 직경이 균일하다고는 할 수 없다
(13) 내마모성 시험
(10-3) 및 (10-4)에서 얻어진 성형체를 사용하여, 내마모성 시험(샌드 슬러리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에 사용하는 샌드는, 4호 규사 2kg/물 2L, 회전수 1,750rpm, 시험 시간 24시간 후의 마모 손실량으로부터 하기 수식 B로 마모 손실량 비를 구하였다. 마모 손실량 비가 5%를 초과하는 것을 불가(×), 5% 이하의 것을 우량(○)으로 평가하였다.
마모 손실량 비=(W1-W2)/W1*100 …수식 B
W1=원 중량, W2=테스트 후의 중량
〔촉매 합성예 1: 고체 촉매 성분 [A]의 제조〕
(1) (A-1) 담체의 합성
충분히 질소 치환되어, 8장의 교반 날개가 구비된 8L 스테인리스제 오토클레이브에 2mol/L의 히드록시트리클로로실란의 헥산 용액 1,000mL를 투입하고, 65℃, 120rpm으로 교반하면서 조성식 AlMg5(C4H9)11(OC4H9)2로 표시되는 유기 마그네슘 화합물의 헥산 용액 2,550mL(마그네슘 2.68mol 상당)를 4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추가로 65℃, 120rpm으로 1시간 교반하면서 반응을 계속시켰다. 반응 종료 후, 상청액을 제거하고, 1,800mL의 헥산으로 4회 세정하였다. 이 고체((A-1) 담체)를 분석한 결과, 고체 1g당에 포함되는 마그네슘이 8.31mmol이었다.
(2) 고체 촉매 성분 [A]의 제조
상기 (A-1) 담체 110g을 함유하는 헥산 슬러리 1,970mL에 10℃에서 교반하면서 1mol/L의 사염화티타늄 헥산 용액 110mL와 1mol/L의 조성식 AlMg5(C4H9)11(OSiH)2로 표시되는 유기 마그네슘 화합물의 헥산 용액 110mL를 동시에 1시간 가하여 첨가하였다. 첨가 후, 10℃에서 1시간 반응을 계속시켰다. 반응 종료 후, 상청액을 1,100mL 제거하고, 헥산 1,100mL로 2회 세정함으로써, 고체 촉매 성분 [A]를 제조하였다. 이 고체 촉매 성분 [A] 1g 중에 포함되는 티타늄량은 0.75mmol이었다. 이 고체 촉매 성분 [A]는 믹서가 제공된 송액 루트로 중합 반응기에 공급하였다.
〔촉매 합성예 2: 고체 촉매 성분 [B]의 제조〕
상기 고체 촉매 성분 [A]의 제조에 있어서의 공정에 있어서, 사염화티타늄헥산 용액과 유기 마그네슘 화합물의 헥산 용액을 첨가하는 공정에 있어서, 각각 5분 주기로 첨가하고, 첨가 정지를 반복하여 2시간에 걸쳐 동시에 첨가시킨 것 이외에, 상기 고체 촉매 성분 [A]와 동일하게 고체 촉매 성분 [B]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PE1)
헥산, 에틸렌, 수소, 촉매, Stadis450(The Associated Octel Company사제)을 교반 장치가 붙은 베셀형 300L 중합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중합 온도는 재킷 냉각에 의해 75℃로 유지하였다. 헥산은 55L/Hr로 공급하였다. 촉매로서는, 조촉매 성분인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과 디이소부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의 혼합물과, 고체 촉매 성분 [A]를 사용하였다. 고체 촉매 성분 [A]는 0.7g/Hr의 속도로 중합기에 첨가하고,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과 디이소부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의 혼합물은 9mmol/Hr의 속도로 중합기에 첨가하였다. 또한, 고체 촉매 성분 [A] 및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과 디이소부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의 혼합물을 5L/Hr의 속도가 되도록 등량씩 첨가하였다. 동일하게 Stadis450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공중합체에 대한 농도가 25ppm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수소는 기상 에틸렌 농도에 대하여 0.2mol%가 되도록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중합 압력은 에틸렌을 연속 공급함으로써 0.45MPa로 유지하였다. 이러한 조건에서 중합 반응기 내가 균일해지도록 충분히 교반을 행하였다.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공중합체의 제조 속도는 10kg/Hr이었다. 촉매 활성은 30,000g-PE/g-고체 촉매 성분 [A]였다. 중합 슬러리는, 중합 반응기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연속적으로 압력 0.05MPa의 플래시 드럼에 빼고, 미반응된 에틸렌을 분리하였다. 중합 슬러리는, 연속적으로 용매 분리 공정을 거친 후, 건조 공정으로 보냈다. 건조기는 드럼식으로 질소 기류 하, 재킷 80℃로 하였다. 괴상의 중합체 존재도 없고, 슬러리 발취 배관도 폐색하지 않고, 안정되게 연속 운전을 할 수 있었다. 또한, 스테아르산칼슘(다이니치 가가꾸사제, C60)을 1,000ppm 첨가하고, 헨쉘 믹서를 사용하여, 균일 혼합하고, 얻어진 파우더를 눈 크기 425㎛의 체를 사용하여, 체를 통과하지 않은 것을 제거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PE1로 한다.
실시예 1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에 대해서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분자량, 티타늄 원소 함유량, 등온 결정화 시간, 알루미늄 원소 함유량, 융해 열량(ΔH2), 벌크 밀도, 탭 밀도 및 평균 입자 직경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 따라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성형하고, 냉각 공정 시간, 용제에 대한 팽윤 상태, 미다공막의 평균 구멍 직경 및 구멍 직경의 균일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PE2)
중합 온도를 67℃로 하고, 수소의 공급을 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PE2)를 얻었다. 얻어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PE2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PE3)
중합 온도를 74℃로 하고, 스테아르산칼슘을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PE3)를 얻었다. 얻어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PE3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PE4)
중합 온도를 60℃로 하고, 수소의 공급과 스테아르산칼슘의 첨가를 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하여,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PE4)를 얻었다. 얻어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PE4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PE5)
중합 온도를 93℃로 하고, 수소를 기상 에틸렌 농도에 대하여 11.0mol%가 되도록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중합 압력은 에틸렌을 연속 공급함으로써 0.60MPa로 유지하고, 스테아르산칼슘을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PE5)를 얻었다. 얻어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PE5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PE6)
중합 온도를 60℃로 하고, 수소의 공급과 스테아르산칼슘의 첨가를 하지 않은 것, 중합 압력은 에틸렌을 연속 공급함으로써 0.35MPa로 유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PE6)를 얻었다. 얻어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PE6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PE7)
고체 촉매 성분 [A] 제조 시의 교반 날개를 4장으로 하고, 교반 날개의 회전수를 60rpm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PE7)를 얻었다. 얻어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PE7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PE8)
고체 촉매 성분 [A] 제조 시의 교반 날개를 4장으로 하고, 교반 날개의 회전수를 90rpm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PE8)를 얻었다. 얻어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PE8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PE9)
고체 촉매 성분 [A] 제조 시의 교반 날개를 6장으로 하고, 교반 날개의 회전수를 60rpm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PE9)를 얻었다. 얻어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PE9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PE10)
중합 온도를 82℃로 하고, 수소를 기상 에틸렌 농도에 대하여 5.5mol%가 되도록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중합 압력은 에틸렌을 연속 공급함으로써 0.45MPa로 유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PE10)를 얻었다. 얻어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PE10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PE11)
중합 온도를 87℃로 하고, α-올레핀으로서의 1-부텐을 기상 에틸렌 농도에 대하여 0.10mol%가 되도록 에틸렌과 함께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또한, 수소를 기상 에틸렌 농도에 대하여 6.5mol%가 되도록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중합 압력은 에틸렌을 연속 공급함으로써 0.45MPa로 유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PE11)를 얻었다. 얻어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PE11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PE12)
α-올레핀으로서의 1-부텐을 기상 에틸렌 농도에 대하여 0.40mol%가 되도록 에틸렌과 함께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고체 촉매 성분 [A] 제조 시의 교반 날개를 2장으로 하고, 교반 날개의 회전수를 40rpm으로 하여 송액 루트 내에 믹서를 설치하지 않고 리액터에 공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PE12)를 얻었다. 얻어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PE12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PE13)
중합 온도를 69℃로 하고, α-올레핀으로서의 1-부텐을 기상 에틸렌 농도에 대하여 0.50mol%가 되도록 에틸렌과 함께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중합 압력을 0.20MPa로 하고, 고체 촉매 성분 [A] 제조 시의 교반 날개를 2장으로 하고, 교반 날개의 회전수를 40rpm으로 하여 송액 루트 내에 믹서를 설치하지 않고 리액터에 공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PE13)를 얻었다. 얻어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PE13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PE14)
중합 온도를 70℃로 하고, 수소를 기상 에틸렌 농도에 대하여 0.10mol%가 되도록 연속적으로 첨가한 것, 고체 촉매 성분 [A] 제조 시의 교반 날개를 4장으로 하고, 교반 날개의 회전수를 50rpm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PE14)를 얻었다. 얻어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PE14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PE15)
중합 온도를 94℃로 하고, 수소를 기상 에틸렌 농도에 대하여 11.5mol%가 되도록 연속적으로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PE15)를 얻었다. 얻어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PE15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PE16)
중합 온도를 56℃로 하고, 중합 압력을 0.30MPa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PE16)를 얻었다. 얻어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PE16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PE17)
중합 온도를 72℃로 하고, 수소를 기상 에틸렌 농도에 대하여 0.10mol%가 되도록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중합 압력을 0.15MPa로 하고, 스테아르산칼슘을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PE17)를 얻었다. 얻어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PE17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7: PE18)
고체 촉매 성분 [A] 대신에 고체 촉매 성분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PE18)를 얻었다. 얻어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PE18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8: PE19)
Stadis450, 수소를 첨가하지 않고, 중합 온도를 70℃로 하고, 헥산의 공급 속도를 80L/Hr로 공급한 것, 고체 촉매 성분의 첨가 속도를 0.7g/Hr로 첨가한 것, 디이소부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을 10mmol/Hr로 중합기에 첨가한 것, 중합 압력을 0.2MPa로 한 것, 건조기의 재킷 온도를 85℃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7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PE19)를 얻었다. 얻어진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PE19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76049098-pat00001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는,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막, 섬유, 압축 성형품, 램 압출품의 제조에 있어서의 냉각 공정 시간을 단축화할뿐만 아니라, 습식 압출 시의 용제로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팽윤 불량을 발생하기 어렵게 함과 함께,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막의 평균 구멍 직경을 작게 하고, 또한,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사용한 성형체는 상술한 물성이 우수한 점에서도, 리튬 이온 이차 전지나 납 축전지 등의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막이나, 섬유, 비점착성, 저마찰 계수로 호퍼, 슈트 등의 라이닝재, 또한 자기 윤활성, 저마찰 계수로 내마모성이 요구되는 베어링, 기어, 롤러 가이드 레일, 골 대용재, 골 전도성재 또는 골 유도재 등에 적절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는,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막, 섬유, 압축 성형품, 램 압출품의 제조에 있어서의 냉각 공정 시간을 단축화할뿐만 아니라, 습식 압출 시의 용제로의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의 팽윤 불량을 발생하기 어렵게 함과 함께,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막의 평균 구멍 직경을 작게 하고, 또한,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성형 용도 등의 넓은 용도에 있어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Claims (13)

  1. 에틸렌 단위, 및/또는, 에틸렌 단위와 탄소수 3 이상 8 이하의 α-올레핀 단위를 구성 단위로 하고,
    점도 평균 분자량이 150,000 이상 10,000,000 이하이고,
    유도 결합 플라스마 질량 분석계(ICP/MS)에 의한 티타늄 원소 함유량이 20ppm 이하이고,
    시차 주사 열량계를 사용한 이하의 등온 결정화 시간 측정 조건의 측정에 있어서, 스텝 A3의 126℃에 달한 시간을 기점(0분)으로서, 결정화에 기인하는 발열 피크톱이 얻어진 시간을 등온 결정화 시간으로 했을 때, 해당 등온 결정화 시간이 6분 미만인,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등온 결정화 시간 측정 조건)
    스텝 A1: 50℃에서 1분간 유지 후, 10℃/min의 승온 속도로 180℃까지 승온
    스텝 A2: 180℃에서 30분간 유지 후, 80℃/min의 강온 속도로 126℃까지 강온
    스텝 A3: 126℃에서 유지
  2. 제1항에 있어서, ICP/MS에 의한 티타늄 원소 함유량이 15ppm 이하인,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3. 제1항에 있어서, ICP/MS에 의한 티타늄 원소 함유량이 7ppm 이하인,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4. 제1항에 있어서, ICP/MS에 의한 알루미늄 원소 함유량이 10ppm 이하인,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5. 제1항에 있어서, 시차 주사 열량계를 사용한 이하의 융해 열량(ΔH2) 측정 조건의 측정에 있어서, 스텝 B3의 승온 과정에 있어서의 융해 열량(ΔH2)이 250J/g 이하인,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융해 열량(ΔH2) 측정 조건)
    스텝 B1: 50℃에서 1분간 유지 후, 10℃/min의 승온 속도로 180℃까지 승온
    스텝 B2: 180℃에서 5분간 유지 후, 10℃/min의 강온 속도로 50℃까지 강온
    스텝 B3: 50℃에서 5분간 유지 후, 10℃/min의 승온 속도로 180℃까지 승온
  6. 제1항에 있어서, 탭 밀도가 0.35g/㎤ 이상 0.70g/㎤ 이하이고, 또한, 벌크 밀도가 0.40g/㎤ 이상 0.60g/㎤ 이하인,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7. 제6항에 있어서, 벌크 밀도에 대한 탭 밀도의 비가 1.10 이상 1.50 이하인,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8. 제1항에 있어서, 평균 입자 직경이 50㎛ 이상 200㎛ 이하인,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사용한 성형체.
  10. 제9항에 있어서, 습식 압출법에 의해 얻어지는,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막 또는 섬유인, 성형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이차 전지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또는 납 축전지인, 성형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를 사용한 제품이 로프, 네트, 방탄 의료, 방호 의료, 방호 장갑, 섬유 보강 콘크리트 제품 또는 헬멧인, 성형체.
  13. 제9항에 있어서, 라이닝 용도, 베어링, 기어, 롤러 가이드 레일, 골 대용재, 골 전도성재, 또는 골 유도재에 사용되는, 성형체.
KR1020180089712A 2017-09-07 2018-08-01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및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사용한 성형체 KR1020250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72084 2017-09-07
JP2017172084 2017-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710A KR20190027710A (ko) 2019-03-15
KR102025018B1 true KR102025018B1 (ko) 2019-09-24

Family

ID=6566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712A KR102025018B1 (ko) 2017-09-07 2018-08-01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및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사용한 성형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87591B1 (ko)
KR (1) KR102025018B1 (ko)
CN (2) CN1109820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5369B2 (ja) * 2019-04-26 2023-07-26 旭化成株式会社 エチレン重合体粒子及び成形体
JP2022134101A (ja) * 2021-03-02 2022-09-14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CA3231930A1 (en) * 2021-09-29 2023-04-06 Koichi Tsujimoto Ultrahigh-molecular-weight polyethylene powder and molded article prepared by mold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2255A (ja) * 2010-10-28 2012-05-17 Japan Polyethylene Corp 容器蓋用ポリエチレン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473174A (zh) 2001-09-06 2004-02-04 ������ѧ��ʽ���� 聚乙烯树脂组合物
JP4386923B2 (ja) * 2004-12-28 2009-12-16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超高分子量エチレン系共重合体パウダー
JP2006290944A (ja) * 2005-04-06 2006-10-26 Nippon Polyethylene Kk 容器蓋用ポリオレフィン樹脂材料およびそれからなる容器蓋
JP2007023171A (ja) 2005-07-19 2007-02-01 Mitsui Chemicals Inc 耐熱性に優れる超高分子量ポリエチレン微粒子及び製造方法
JP5269822B2 (ja) * 2010-01-26 2013-08-21 日本ポリエチレン株式会社 薄肉容器用ポリエチレン及びそれからなる容器
CN103068893B (zh) * 2010-08-06 2015-07-01 住友化学株式会社 热塑性聚合物制交联发泡成形体的交联密度的测定方法、及交联发泡成形体
JP5763964B2 (ja) * 2011-04-27 2015-08-12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成形性、長期特性に優れた、ボトルキャップに適した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ボトルキャップ
CN102604203A (zh) * 2012-01-18 2012-07-25 成都慧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改进型微孔聚合物薄膜及其制备方法
JP2014189615A (ja) * 2013-03-27 2014-10-06 Japan Polyethylene Corp パイプ及び継手用ポリエチレン並びにその成形体
JP6572520B2 (ja) * 2013-07-10 2019-09-11 東ソー株式会社 超高分子量ポリエチレン粒子およびそれよりなる成形体
JP5840743B2 (ja) * 2013-09-05 2016-01-06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微多孔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池用セパレーター
JP5830114B2 (ja) 2014-02-24 2015-12-09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超高分子量エチレン系共重合体パウダー及び成形体
JP6702731B2 (ja) * 2016-01-20 2020-06-03 旭化成株式会社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
JP6195403B1 (ja) * 2016-03-25 2017-09-13 旭化成株式会社 超高分子量エチレン系共重合体パウダー、並びに、超高分子量エチレン系共重合体パウダーを用いた成型体
EP3279225B1 (en) * 2016-03-25 2019-01-02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Ultra high molecular weight ethylene-based copolymer powder,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2255A (ja) * 2010-10-28 2012-05-17 Japan Polyethylene Corp 容器蓋用ポリエチレ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67630B (zh) 2019-11-12
KR20190027710A (ko) 2019-03-15
JP6487591B1 (ja) 2019-03-20
CN109467630A (zh) 2019-03-15
JP2019048967A (ja) 2019-03-28
CN110982000A (zh) 202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740B1 (ko)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공중합체 파우더 및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공중합체 파우더를 사용한 성형체
CN110637039B (zh) 聚乙烯粉末、成型体和微孔膜
KR102025018B1 (ko)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 및 초고분자량 에틸렌계 중합 파우더를 사용한 성형체
KR102626057B1 (ko) 폴리에틸렌 파우더
JP6195403B1 (ja) 超高分子量エチレン系共重合体パウダー、並びに、超高分子量エチレン系共重合体パウダーを用いた成型体
CN113544165B (zh) 聚乙烯粉末以及通过将该聚乙烯粉末成型而得到的成型体
CN114051503B (zh) 聚乙烯粉末、成型体
JP6364774B2 (ja) 超高分子量ポリエチレン粒子及びそれよりなる成形体
JP7349022B2 (ja) ポリエチレンパウダー及びその成形体
CN113195623B (zh) 组合物
JP7251962B2 (ja) エチレン系重合体パウダーを主体とす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よりなる成型体
WO2018088209A1 (ja) エチレン重合体、延伸成形体及び微多孔膜
JP6868355B2 (ja) 超高分子量ポリエチレンパウダー
JP2023143746A (ja) ポリエチレンパウダー、及び成形体
JP2023138477A (ja) ポリエチレンパウダー、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体
JP2021152140A (ja) ポリエチレンパウダー、及び成形体
JP6357819B2 (ja) 超高分子量ポリエチレン製切削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