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751B1 -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 Google Patents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751B1
KR102013751B1 KR1020180018652A KR20180018652A KR102013751B1 KR 102013751 B1 KR102013751 B1 KR 102013751B1 KR 1020180018652 A KR1020180018652 A KR 1020180018652A KR 20180018652 A KR20180018652 A KR 20180018652A KR 102013751 B1 KR102013751 B1 KR 102013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concrete storage
adhesive sheet
water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8559A (ko
Inventor
박범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80018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751B1/ko
Publication of KR20190098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04H7/18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mainly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저류조의 내벽면에 접착되는 접착시트와, 접착시트를 상기 콘크리트 벽면에 고정하는 앵커고정부와, 콘크리트 저류조의 내벽면과 접착시트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누수에 의하여 콘크리트 저류조의 내벽면과 접착시트 사이에 집수되는 유입수를 유입하여 배출시키는 배출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배출관부를 통하여 콘크리트 저류조의 누수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누수여부 판단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저류조의 파손이나 접착시트의 손상여부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저류조의 파손확대 또는 접착시트의 손상진행을 미리 방지할 수 있어 콘크리트 저류조의 수명을 보다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Concrete water tank with construction method of anchored fixed type lining}
본 발명은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누수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누수가 콘크리트 저류조의 파손 또는 시트의 손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 하수, 폐수 등을 처리하기 위한 수처리장은 물에 함유된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침전시킨 후 외부로 유출시키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데, 통상적으로 물이 흐르는 유로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된 콘크리트 저류조를 통하여 구현된다.
한편, 이러한 콘크리트 저류조는 사용 기간이 증가하면 물과 접촉하는 벽체가 심하게 부식되거나 오염되기 때문에, 라이닝소재(방수시트)를 콘크리트 저류조 내벽에 접착하는 라이닝 공정을 실시하여 콘크리트 저류조를 보호하고 물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라이닝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2994호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조물(10)에 처리된 라이닝부재(20)에 덮여지는 커버부재(30) 및 라이닝부재(20)와 커버부재(30)를 구조물에 고정하는 부재 고정수단 (5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커버부재의 하단부는 적어도 구조물의 수면 아래에 배치되고, 커버부재는 판재 또는 단위 판재들이 접합 제공되는 구조물의 라이닝 커버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콘크리트 저류조의 라이닝구조는, 시공 후 누수가 발생하여도 이를 파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누수의 원인이 라이닝소재의 손상 때문인지 또는 콘크리트 저류조의 파손 때문인지에 대한 여부도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2994호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저류조에서 누수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누수가 콘크리트 저류조 파손 또는 접착시트 손상 여부인지도 판단할 수 있는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저류조의 내벽면에 접착되는 접착시트와, 상기 접착시트를 상기 콘크리트 벽면에 고정하는 앵커고정부와,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내벽면과 상기 접착시트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누수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내벽면과 상기 접착시트 사이에 집수되는 유입수를 유입하여 배출시키는 배출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시트는, PE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고정부는,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내부에서 상기 접착시트를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내벽면에 고정시키는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와 상기 접착시트 사이의 수밀을 위하여 상기 앵커볼트의 헤드부를 감싸며 상기 접착시트에 접합되는 수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유입수관들이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관부는, 상단은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상부로 노출되게 위치하고 하단은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저면 바닥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제1유입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관부는, 상단은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상부로 노출되게 위치하고 하부는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제2유입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배출관부는,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모서리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는,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저류조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배출관부 내에 유입되는 상기 유입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배출관부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저류조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배출관부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수위정보와 상기 배출관부의 수위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파손 또는 상기 접착시트의 손상을 분석 및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수위변화와 상기 배출관부의 수위변화를 비교하여, 상기 배출관부의 수위변화가 상기 저류조의 수위변화에 대하여 기 설정된 비율 이하인 경우 상기 접착시트의 손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배출관부의 수위변화가 상기 저류조의 수위변화에 대하여 기 설정된 비율 초과인 경우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가 파손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는,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유체와 상기 배출관부 내 상기 유입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유닛과, 상기 수질측정유닛으로부터 상기 유체와 상기 유입수의 수질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파손 또는 상기 접착시트의 손상을 분석 및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체의 수질과 상기 유입수의 수질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유체 또는 상기 유입수의 수질 일치도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파손 또는 상기 접착시트의 손상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질 일치도는 상기 유체에 포함된 표준성분에 의하여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체는 상수도일 경우 상기 표준성분은 염소성분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입수 내 염소농도가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 내 상수도의 염소농도와 근접한 제1범위로 측정되면 상기 접착시트의 손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유입수 내 염소농도가 상기 제1범위를 벗어나게 측정되면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파손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배출관부를 통하여 콘크리트 저류조의 파손여부 또는 접착시트의 손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둘째, 콘크리트 저류조의 파손이나 접착시트의 손상여부를 미리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저류조의 파손확대 또는 접착시트의 손상진행을 미리 방지할 수 있어 콘크리트 저류조의 수명을 보다 연장시킬 수 있다.
셋째, 콘크리트 저류조와 배출관부의 수위변화를 통하여 콘크리트 저류조의 파손이나 접착시트의 손상여부를 미리 파악할 수 있어 유입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도 콘크리트 저류조의 파손 또는 접착시트의 손상을 예측 가능하고, 지하수와 상수도의 수질차이가 나지 않아도 이의 예측이 가능하다.
넷째, 수질측정유닛을 통하여 콘크리트 저류조 내 유체와 유입수의 수질을 각각 측정하고 이를 통해 콘크리트 저류조의 파손 또는 접착시트의 손상여부를 구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다섯째, 배출관부를 통하여 누수에 의한 유입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누수로 인한 접착시트의 부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타공식 콘크리트 라이닝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출관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콘크리트 저류조 벽면에 앵커고정부가 고정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에서 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의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에서 접착시트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에서 콘크리트 저류조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는, 접착시트(100)와, 앵커고정부(200)와, 배출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착시트(100)는, 콘크리트 저류조(10)의 내벽면에 접착되어, 콘크리트 저류조(10)를 보호하고 콘크리트 저류조(10) 내벽면의 수밀성을 확보하여 물의 오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접착시트(100)는, PE(polyethylene)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방수재질의 시트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앵커고정부(200)는, 콘크리트 저류조(10)의 내부에서 접착시트(100)를 콘크리트 저류조(10)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착시트(100)의 전체 면적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어 콘크리트 저류조(10)의 벽면에 고정된다. 상기 앵커고정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핀을 적용할 수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앵커고정부(200)는, 고정핀 단독으로 이루어진 구성 외에 접착시트(100)와의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수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앵커고정부(20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콘크리트 저류조(10)의 내부에서 접착시트(100)를 콘크리트 저류조(10)의 내벽면에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앵커볼트와, 앵커볼트와 접착시트(100) 사이의 수밀을 위하여 앵커볼트의 헤드부를 감싸며 접착시트(100)에 접합되는 수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앵커볼트는 콘크리트 저류조(10) 내부에 매립된 체결너트에 체결될 수 있으며, 수밀부재는 접착시트(100)에 접착되는 방수시트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부(300)는, 콘크리트 저류조(10)의 내벽면과 접착시트(100)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누수에 의하여 콘크리트 저류조(10)의 내벽면과 접착시트(100) 사이에 집수되는 유입수(2)를 유입하여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 상기 배출관부(300)는 관 형상으로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고, 하단은 콘크리트 저류조(10)와 접착시트(100) 사이에 위치하고 상단은 외부로 노출되어 하단으로부터 유입된 유입수(2)가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부(300)는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하단으로부터 유입수(2)가 흡입되어 상단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며, 이렇게 모세관현상으로 유입수(2)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일정 직경과 구조를 갖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모세관 현상으로 인한 유체 유입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기술로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배출관부(300)는, 누수가 되는 다양한 지점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유입수관(310,320)들이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될 수 있다(도 3참조).
이는 누수에 의하여 집수된 유입수(2)는 중력에 의하여 콘크리트 저류조(10)의 저면 바닥부에 고일 수도 있지만, 콘크리트 저류조(10) 내벽면에 접착되는 접착시트(100)로 인하여 바닥부가 아닌 다른 위치에도 유입수(2)가 집수되어 고일 수 있기 때문으로, 이렇게 다양한 위치에 집수되어 고여 있는 유입수(2) 모두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상기 배출관부(300)는, 제1유입수관(310)과 제2유입수관(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수관(310)은, 상단은 콘크리트 저류조(10)의 상부로 노출되게 위치하고 하단은 콘크리트 저류조(10)의 저면 바닥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콘크리트 저류조(10)의 저면 바닥부에 고여 있는 유입수(2)를 유입시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유입수관(320)은 상단은 콘크리트 저류조(10)의 상부로 노출되게 위치하고 하부는 콘크리트 저류조(1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콘크리트 저류조(10)의 저면 바닥부가 아닌 다른 위치에 고여 있는 유입수(2)를 유입시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배출관부(300)는, 설치가 용이하고 유입수(2)가 쉽게 수집되어 고이는 콘크리트 저류조(10)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배출관부(300)는 제1유입수관(310)을 통하여 바닥부에 고인 유입수(2)를 유입 및 배출시킬 수 있고, 제2유입수관(320)을 통하여 바닥부가 아닌 다른 위치의 유입수(2)도 유입 및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위치가 아닌 보다 폭넓은 위치에 대한 유입수(2)의 배출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는 저류조 수위감지센서(410)와, 배출관부 수위감지센서(420)와, 제어부(5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콘크리트 저류조(10)의 수위와 배출관부(300)의 수위에 따라 콘크리트 저류조(10)의 파손 또는 접착시트(100)의 손상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류조 수위감지센서(410)는 콘크리트 저류조(10) 내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배출관부 수위감지센서(420)는 배출관부(300) 내에 유입되는 유입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저류조 수위감지센서(410)와 배출관부 수위감지센서(420)는 공지의 수위센서를 적용할 수 있으며, 그 설치위치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위치에 다양하게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저류조 수위감지센서(410)와 배출관부 수위감지센서(420)로부터 콘크리트 저류조(10)의 수위정보와 배출관부(300)의 수위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콘크리트 저류조(10)의 파손 또는 접착시트(100)의 손상을 분석 및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500)는 콘크리트 저류조(10)의 수위변화와 배출관부(300)의 수위변화를 비교하여, 배출관부(300)의 수위변화가 콘크리트 저류조(10)의 수위변화에 대하여 기 설정된 비율 이하인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착시트(200)의 손상으로 판단한다. 이는 모세관원리를 이용하는 배출관부(200)의 수위변화에 대하여 콘크리트 저류조(10)의 수위변화가 상대적으로 작다는 것을 의미이므로 콘크리트 저류조(10)의 파손(crack,3)이 아닌, 접착시트(200)의 손상으로 인한 누수임을 예측 및 판단할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4는 접착시트(200)의 손상부위를 나타낸다.
반면, 상기 제어부(500)는 배출관부(300)의 수위변화가 콘크리트 저류조(10)의 수위변화에 대하여 기 설정된 비율 초과인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저류조(10)가 파손(crack,3)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배출관부(200)의 수위변화에 대하여 콘크리트 저류조(10)의 수위변화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의미이므로 접착시트(200)의 손상이 아닌 콘크리트 저류조(10)의 파손(3)으로 인한 누수임을 예측 및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0)는 저류조 수위감지센서(410)와 배출관부 수위감지센서(420)를 통하여 유입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도 저류조와 배출관내 수위변화를 통하여 접착시트(100)의 손상 또는 콘크리트의 파손을 예측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후술되는 유체와 유입수의 수질성분이 서로 차이가 나지 않아도 누수원인을 판단할 수 있으며, 유입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도 누수원인을 예측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저류조(10)의 수위와 배출관부(300)의 수위변화를 통하여 콘크리트 저류조(10)의 파손 또는 접착시트(100)의 손상을 파악하는 방식 외에, 콘트리트 저류조 내 유체와 배출관부(300) 내 유입수의 수질을 측정하여 이를 통해 상기한 콘크리트 저류조(10)의 파손 또는 접착시트(100)의 손상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는 수질측정유닛과, 제어부(5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질측정유닛은 콘크리트 저류조(10)와 배출관부(300)에 각각 설치되어 콘크리트 저류조(10)의 유체와 배출관부(300)로부터 배출되는 유입수의 수질을 각각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상기 제어부(500)는 수질측정유닛으로부터 유체와 유입수의 수질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콘크리트 저류조(10)의 파손 또는 접착시트(100)의 손상을 분석 및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 상기 제어부(500)는, 유체의 수질과 유입수의 수질을 각각 비교하여, 유체 또는 유입수의 수질 일치도에 따라 콘크리트 저류조(10)의 파손 또는 접착시트(100)의 손상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의 수질 일치도는 유체에 포함된 표준성분에 의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가령 유체가 상수도인 경우 표준성분은 상수도에 포함된 염소성분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어부(500)는 유입수 내 염소농도가 콘크리트 저류조(10) 내 상수도의 염소농도와 근접한 제1범위로 측정되면, 누수에 의하여 수집된 유입수는 상수도로 판단하고 접착시트(100)가 손상된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500)는 유입수 내 염소농도가 제1범위를 벗어나게 측정되면, 누수에 의하여 수집된 유입수는 상수도가 아닌 지하수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콘크리트 저류조(10)의 파손에 의한 지하수의 유입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콘크리트 저류조 100 : 접착시트
200 : 앵커고정부 300 : 배출관부
310 : 제1유입수관 320 : 제2유입수관
410 : 저류조 수위감지센서 420 : 배출관부 수위감지센서
500 : 제어부 600 : 수질측정유닛

Claims (7)

  1. 삭제
  2. 콘크리트 저류조의 내벽면에 접착되는 접착시트와;
    상기 접착시트를 상기 콘크리트 벽면에 고정하는 앵커고정부와;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내벽면과 상기 접착시트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누수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내벽면과 상기 접착시트 사이에 집수되는 유입수를 유입하여 배출시키는 배출관부와;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유체와 상기 배출관부 내 유입수의 수질을 각각 측정하는 수질측정유닛과;
    상기 수질측정유닛으로부터 상기 유체와 상기 유입수의 수질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파손 또는 상기 접착시트의 손상을 분석 및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앵커고정부는,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내부에서 상기 접착시트를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내벽면에 고정시키는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와 상기 접착시트 사이의 수밀을 위하여 상기 앵커볼트의 헤드부를 감싸며 상기 접착시트에 접합되는 수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체의 수질과 상기 유입수의 수질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유체 또는 상기 유입수의 수질 일치도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파손 또는 상기 접착시트의 손상을 판단하되, 상기 수질 일치도는 상기 유체에 포함된 표준성분의 농도에 의해 판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시트는,
    PE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부는,
    상단은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상부로 노출되게 위치하고 하단은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저면 바닥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제1유입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부는,
    상단은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상부로 노출되게 위치하고 하부는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제2유입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부는,
    상기 콘크리트 저류조의 모서리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KR1020180018652A 2018-02-14 2018-02-14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KR102013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652A KR102013751B1 (ko) 2018-02-14 2018-02-14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652A KR102013751B1 (ko) 2018-02-14 2018-02-14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559A KR20190098559A (ko) 2019-08-22
KR102013751B1 true KR102013751B1 (ko) 2019-08-23

Family

ID=67763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652A KR102013751B1 (ko) 2018-02-14 2018-02-14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7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0679B (zh) * 2021-09-23 2023-08-08 温州市丰源水利水电工程有限公司 水资源管理用水质处理***及其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437Y1 (ko) * 2002-04-19 2002-07-13 주식회사 경보산업 콘크리트 수조의 폴리에틸렌 라이닝 구조
KR100407498B1 (ko) * 2002-02-21 2003-12-01 조연섭 콘크리트 수조의 내부 방수장치
KR200389944Y1 (ko) * 2005-05-02 2005-07-18 강동열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559B1 (ko) * 2004-03-20 2006-12-05 장순희 고무 라이닝을 이용한 정수탱크의 방수구조
KR101162994B1 (ko) 2011-10-27 2012-07-09 주식회사 젠트로 구조물의 라이닝 커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498B1 (ko) * 2002-02-21 2003-12-01 조연섭 콘크리트 수조의 내부 방수장치
KR200281437Y1 (ko) * 2002-04-19 2002-07-13 주식회사 경보산업 콘크리트 수조의 폴리에틸렌 라이닝 구조
KR200389944Y1 (ko) * 2005-05-02 2005-07-18 강동열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559A (ko)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137B1 (ko)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KR102043315B1 (ko)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에 사용되는 응축수감지센서 및 이를 이용한 응축수 드레인시스템
KR100927464B1 (ko)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KR102013751B1 (ko)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KR20220112436A (ko) 건물 누수 유도배출장치
FI104438B (fi) Laite vedenpoistokaivoissa ja menetelmä vedenpoistokaivon toteuttamiseksi märkätilassa
US20080141761A1 (en) Flood and mold protection system
KR102013748B1 (ko) 디스크 접착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CN207268010U (zh) 排水管防渗漏装置
KR20190089396A (ko) 조실 내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누출유체감지시설
FI84743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tt foerhindra av laeckage i roerledning foeranledda vattenskador i byggnader.
KR20210048127A (ko)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방법
JPH031840Y2 (ko)
KR101389734B1 (ko) 물배출 앵커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JP3422164B2 (ja) スライム検知装置及びスライム防止装置
JP2670368B2 (ja) ライニング容器の漏洩検出装置
JP2005200074A (ja) 埋設貯槽
JPS6260015B2 (ko)
CZ288317B6 (en) Waste disposal facility and container
JP2001317982A (ja) ドラムレベル計測装置
KR20180042711A (ko) 하수 차오름 방식의 하수 물돌리기 장치
KR200307709Y1 (ko) 지하 매설용 유류저장 탱크
JPH0558131B2 (ko)
KR100997634B1 (ko) 차수층 유닛 및 차수층 유닛 설치방법
KR101555339B1 (ko)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