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396A - 조실 내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누출유체감지시설 - Google Patents

조실 내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누출유체감지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396A
KR20190089396A KR1020180007832A KR20180007832A KR20190089396A KR 20190089396 A KR20190089396 A KR 20190089396A KR 1020180007832 A KR1020180007832 A KR 1020180007832A KR 20180007832 A KR20180007832 A KR 20180007832A KR 20190089396 A KR20190089396 A KR 20190089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torage tank
leakage
light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재
이상길
김기현
김봉주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7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9396A/ko
Publication of KR20190089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3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Making large underground spaces, e.g. for underground plants, e.g. stations of underground railways; Construction or layout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1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ement of pressure
    • G01F23/18Indicating, recording or alarm devices actuated electr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조실;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조실의 바닥면을 이격시키는 지지대; 상기 바닥면 상에 위치하며, 하나 이상의 경사부를 갖는 유체유도시설; 상기 유체 유도시설에 연결되고, 상기 조실의 바닥면 중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집수홈; 및 상기 집수홈을 통하여 모아진 유체를 측정하는 누유감지장치;를 포함하는 누출유체감지시설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조실 내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누출유체감지시설{Leakage fluid detection facility to detect leakage in underground tank room}
본 발명은 조실 내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누출유체감지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실 내 저장탱크의 위험물 유출여부 내지 상기 조실 의 균열발생 등의 정보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누출유체감지시설에 관한 것이다.
지하저장시설이란 유류(油類) 및 독성을 가진 화학물질(이하 "위험물"이라 칭함)을 저장하기 위한 지하시설을 통칭하는 표현이다. 상기 위험물의 저장과 관련하여,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이하 "시행규칙"이라 칭함)」 제32조는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저장탱크는 지면 하에 설치된 저장탱크 용실 내에 설치되어야 한다고 규정한다.
위험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는 지하 전용시설(이하 "조실"이라고 칭함)에 보관함으로써, 상기 위험물을 생활반경으로부터 격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위험물의 유출로부터 직접적인 인명피해 내지 재산피해가 나는 것을 일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위험물이 화기와 같은 또 다른 위험요인과 접촉할 가능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조실에 위치한 저장탱크에 위험물을 보관할 시에는 상기 위험물의 유출이 일어났는지 육안으로 확인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르면, 상기 위험물의 유출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관을 4개소 이상 설치할 것을 의무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검사관은 상기 위험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된 경우에만 상기 위험물의 유출을 감지할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위험물이 유출되고 있음에도 상기 검사관과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위험물이 유출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위험이 상존한다.
상술한 검사관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01674120000호는 조실 내 저장탱크의 점검을 용이하게 만들고자 별도의 공간이 준비된 유류탱크 설치를 구조를 개시한다. 상기 구조의 일측에는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준비되어 있어, 위험물의 유출여부를 사람이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방식은 조실이 익명의 개인에게 노출될 위험이 있으며, 조실 조성 시에 별도의 공간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당한 비용이 소요된다는 한계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0167412000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실 내 저장탱크의 위험물 유출여부 내지 상기 조실의 균열발생 등의 정보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누출유체감지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출유체감지시설을 통하여 상기 위험물의 유출 내지 상기 조실의 균열발생 등의 신속한 감지를 담보하는 한편, 상기 감지의 확실성을 기반으로 평시에 유출여부 내지 조실의 균열발생 등의 사태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추가로 담보할 수 있는 누출유체감지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명세서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조실;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조실의 바닥면을 이격시키는 지지대; 상기 바닥면 상에 위치하며, 하나 이상의 경사부를 갖는 유체유도시설; 상기 유체 유도시설에 연결되고, 상기 조실의 바닥면 중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집수홈; 및 상기 집수홈을 통하여 모아진 유체를 측정하는 누유감지장치;를 포함하는 누출유체감지시설을 개시한다.
더하여, 상기 유체유도시설은 상기 조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차경사부와 상기 조실의 너비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차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차경사부의 하단이 상기 제2차경사부의 상단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차경사부 및 상기 제2차경사부의 단면은 하나 이상의 사이클로이드 곡선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유도시설의 표면에 고분자 물질이 코팅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예컨데, 상기 고분자 물질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상기 누유감지장치는 센서부; 및 배출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의 하단과 상기 배출수부의 일단이 수리제어 트랩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누유감지장치의 구체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상기 누유감지장치의 일 예시는 센서부; 및 배출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센서부케이스;와 상기 센서부케이스의 내부에 채워진 전해질 용액; 상기 센서부케이스의 내부에 채워진 고상의 매질체; 및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수부는 배출수케이스;와 상기 배출수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한 수위측정장치;및 배출수케이스의 일단에 연결된 검사관;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의 하단과 상기 배출수부의 상단이 수리제어 트랩으로 연결된다.
추가로, 상기 누유감지장치의 다른 예시는 센서부; 및 배출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센서부케이스;와 상기 센서부케이스의 내부에 채워진 배경수; 상기 센서부케이스의 내부에 채워진 고상의 매질체; 및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수부는 배출수케이스;와 상기 배출수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한 수위측정장치;및 배출수케이스의 상단에 연결된 검사관;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의 하단과 상기 배출수부의 상단이 수리제어 트랩으로 연결된다.
상기 누유감지장치의 또 다른 예시는 센서부; 및 배출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센서부케이스;와 상기 센서부케이스의 내부에 채워진 배경수; 상기 센서부케이스의 내부에 채워진 고상의 매질체; 및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수부는 배출수케이스;와 상기 배출수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한 수위측정장치;및 배출수케이스의 상단에 연결된 검사관;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의 하단과 상기 배출수부의 일단이 수리제어 트랩으로 연결된다.
상술한 수단을 조실에 적용함으로써 위험물의 유출 내지 물의 유입과 같은 조실 내 상태변화를 즉각적이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더하여, 상술한 수단은 위험물의 유출 내지 균열발생(특히, 조실의 상단 및 측면의 균열발생)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시에 그 변화를 확실히 감지할 수 있음을 기술적인 측면에서 담보한다.
또한, 상술한 수단은 위험물의 유출 내지 균열발생 등의 상황이 발생했을 시에 그 변화를 확실히 감지할 수 있다는 점을 토대로 하여, 위험물의 유출 내지 균열발생 등의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을 시에는 그러한 비상상황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 자체를 담보한다.
더불어, 단순한 구성을 추가함으로써 상술한 효과들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새로이 조성되는 조실 뿐만 아니라, 기제작된 조실에 대해서도 염가로 적용이 가능하다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누출유체감지시설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해당하는 누출유체감지시설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누유감지장치(200)를 단순화한 개념도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때문에 가령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여야만 하는 것이 아닌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덧붙여,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기능,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명확히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지,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기능,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를 예비적으로 배제하고자 사용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 것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특정 용어가 과도하게 이상적이거나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는 저장탱크(110)를 포함하는 조실(100); 상기 저장탱크(1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110)와 상기 조실의 바닥면(130)을 이격시키는 지지대(120); 상기 바닥면 상에 위치하며, 하나 이상의 경사부를 갖는 유체유도시설; 상기 유체 유도시설에 연결되고, 상기 조실의 바닥면(130) 중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집수홈(140); 및 상기 집수홈(140)을 통하여 모아진 유체를 측정하는 누유감지장치(200);를 포함하는 누출유체감지시설을 개시한다.
<조실(100), 저장탱크(110), 및 지지대(120)>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조실(100)은 시행규칙이 규정하고 있는 바에 따라 법적으로 허용되는 규격을 갖춘다. 상기 조실(100)을 상기 조실(100)의 상부에서 조망하였을 때, 더 긴 모서리의 방향을 길이방향이라 하고, 상대적으로 짧은 모서리의 방향을 너비방향이라고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배치방향을 상기 길이방향과 너비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조실의 바닥면(130) 내지 벽면 등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며,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철근을 포함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 조실(100)의 내부에 저장탱크(110)가 위치하며, 상기 조실(100)은 저장탱크(11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일차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시설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조실(100)의 일면을 관통하여 내부의 저장탱크(110)와 외부를 연결하는 관이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관을 통하여, 탱크의 내부에 새로운 물질을 저장하거나, 탱크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관 이외에, 누유검사관(222) 또한 조실(100)의 일면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누유검사관(222)은 지상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누유검사관(222)을 통해서 사람이 직접 누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조실(100)은 내부에 위치한 저장탱크(110)의 노출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조성된 것이므로, 지하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시행규칙 또한 위험물을 보관하는 저장탱크(110)의 경우 지하보관을 원칙으로 규정하고 있다. 더불어, 상기 조실(100)의 내부는 저장탱크(110)뿐만 아니라 모래, 자갈과 같은 부스러진 암석으로 채워진다. 상기 조실(100)의 내부에 빈공간을 최소화하여 저장탱크(110)의 유동 및 위험물의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조실(100)의 내부에 위치한 저장탱크(110)의 위치는 지지대(120)의 유무에 따라서 달라진다. 저장탱크(110) 지지대(120)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조실의 바닥면(130)과 상기 저장탱크(110)의 바닥면이 직접 접촉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저장탱크(110)의 단면이 원 내지 타원형임을 고려하였을 때, 저장탱크(110)의 바닥면과 조실의 바닥면(130)이 직접 접촉하는 것은 저장탱크(110)의 유동 방지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더하여, 지지대(120)가 부재한 경우에는, 상기 저장탱크(110)와 조실(100)의 접촉면에서 유출이 발생할 경우에 유출부를 확인할 수 없다는 고질적인 단점이 있다.
반면, 별도의 지지대(120)를 상기 조실의 바닥면(130)에 설치하여 상기 저장탱크(110)와 조실의 바닥면(130)을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저장탱크(110)의 유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술한 제한 없이 저장탱크(110)의 유출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의 용어 중 상기 지지대(120)의 길이방향을 상기 조실(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지지내의 너비방향을 상기 조실(100)의 너비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지지대(120)는 길이방향의 길이가 너비방향의 길이에 비하여 더 길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가령, 상기 지지대(120)는 상기 조실(100) 내에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더불어, 본 발명의 지지대(120)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각 지지대(120)의 높이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지지대(120)의 규격 또한 다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은 지지대(120)의 수 내지 모양 등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로, 상기 지지대(120)는 각각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지지대(120)와 상기 저장탱크(110)의 접촉면적이 상기 지지대(120)와 상기 조실의 바닥면(130) 사이의 접촉면적에 비하여 좁은, 단면이 사다리꼴인 육면체일 수 있다. 상기 지지대(120)의 단면은 곡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120)의 단면이 곡선인 경우에는, 상기 저장탱크(110)에서 유출된 위험물이 상기 지지대(120)의 하부에 고이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120)의 단면은 사이클로이드 곡선일 수 있고, 상기 사이클로이드 곡선을 포함한 지지대(120)와 상기 저장탱크(110) 사이의 접촉면이 상기 지지대(120)와 상기 조실의 바닥면(130) 사이의 접촉면에 비하여 좁을 수 있다.
더하여, 지지대(120)를 설계함에 있어서 이하에서 서술될 제1차경사부(131)의 경사가 형성된 방향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제1차경사부(131)가 조실(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120)의 길이방향의 길이가 상기 지지대(120)의 너비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1차경사부(131)가 조실(100)의 너비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120)의 너비방향의 길이가 상기 지지대(120)의 길이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제1차경사부(131)를 따라 유체가 흐르는 것을 상정하였을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대(120)를 설계하는 것은 지지대(120)에 의한 상기 유체의 흐름 방지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차경사부(131)를 포함하는 유체유도시설에 관해서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유체유도시설>
(1) 경사면의 구성
본 발명의 유체유도시설은 둘 이상의 경사면을 포함한다. 상기 조실의 바닥면(130)의 모양은 통상적으로 직사각형이므로, 상기 유체유도시설은 둘 이상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하나의 경사면 만을 포함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경사면이 둘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1차경사부(131) 및 제2차경사부(132)로 지칭한다. 또한, 제1차경사부(131)의 가장 낮은 일단이 제2차경사부(132)의 가장 높은 일단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한 것이 바람직하며, 제1차경사부(131)의 경사방향과 제2차경사부(132)의 경사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저장탱크(110)로부터 위험물이 누출된 경우를 가정하였을 때, 누출된 위험물은 최초로 상기 제1차경사부(131)의 경사를 따라 흐르게 되며, 제1차경사부(131)를 따라 완전히 흘러 내려온 상기 위험물은 추가로 제2차경사부(132)를 따라서 흐르게 된다.
상기 제1차경사부(131)의 경사방향은 상기 조실(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차경사부(132)의 경사방향은 상기 조실(100)의 너비방향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상기 제1차경사부(131)의 경사방향은 상기 조실(100)의 너비방향과 평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차경사부(132)의 경사방향은 상기 조실(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제1차경사부(131) 내지 제2차경사부(132)의 길이와 너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조실(100)의 길이방향 전체 및 상기 조실(100)의 너비방향 전체에 경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위험물을 확실히 한 지점으로 유도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조실의 바닥면(130) 전체에 경사가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상술한 조건을 달성함으로써, 상기 저장탱크(110)로부터 유출된 위험물이 조실(100)의 가장 낮은 지점으로 흘러 내려올 것이라는 점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조실(100)의 가장 낮은 지점에 검사관(222)이 위치하도록 검사관(222)을 설치하면, 저장탱크(110)로부터 위험물이 유출되었을 때 위험물의 유출 사실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기존의 발명이 확보하지 못했던 본원발명 특유의 효과이다.
더불어, 상술한 유체유도시설을 적용함으로써, 조실(100)의 외부로부터 침투된 물의 집수 또한 가능해진다. 물의 집수 여부를 담보함으로써 조실(100)의 외벽 등에 균열 등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상시로 점검할 수 있다. 이 점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가 청구하는 바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도면 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의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되어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본 명세서의 기재사항은 본 발명을 특정 개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더욱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으로서 실제보다 과장 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누출유체감지시설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a)는 정면도, 도 1의 (b)는 평면도, 도 1의 (c)는 측면도이다. 도 1에서 빗금이 쳐진 부분은 지표면(10)을 의미한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지지대(120)가 총 세 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제2차경사부(132)의 경사가 조실(100)의 너비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120)의 길이방향의 길이가 너비방향의 길이에 비하여 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차경사부(131)의 경사가 조실(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저장탱크(110)로부터 위험물이 유출된 상황을 가정하면, 상기 위험물은 최초로 제1차경사부(131)를 따라 상기 조실(100)의 길이방향으로 흘러 내려간다. 상기 위험물은 상기 제1차경사부(131)의 말단에서 상기 제2차경사부(132)로 흘러 내려가며, 이는 상기 조실(100)의 너비방향을 따라 추가로 흘러 내려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종적으로 위험물은 상기 제2차경사부(132)의 가장 낮은 일단에 연결된 집수홈(140)에 수집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해당하는 누출유체감지시설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a)는 정면도, 도 2의 (b)는 평면도, 도 2의 (c)는 측면도이다. 도 2에서 빗금이 쳐진 부분은 지표면(10)을 의미한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120)의 너비방향의 길이가 길이방향의 길이에 비하여 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차경사부(131)의 경사가 조실(100)의 너비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지지대(120)가 총 네 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제2차경사부(132)의 경사가 조실(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저장탱크(110)로부터 위험물이 유출된 상황을 가정하면, 상기 위험물은 최초로 제1차경사부(131)를 따라 상기 조실(100)의 너비방향으로 흘러 내려간다. 상기 위험물은 상기 제1차경사부(131)의 말단에서 상기 제2차경사부(132)로 흘러 내려가며, 이는 상기 조실(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추가로 흘러 내려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종적으로 위험물은 상기 제2차경사부(132)의 가장 낮은 일단에 연결된 집수홈(140)에 수집된다.
상술한 도 1 및 도 2는 집수홈(140)이 하나인 상황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집수홈(140)이 반드시 하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상기 유체유도시설의 구조를 달리함으로써 집수홈(140)을 복수 개 설치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다만, 집수홈(140)이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조실의 바닥면(130) 중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경사면의 표면
본 발명은 저장탱크(110)로부터 위험물이 유출되었을 때에,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유체유도시설 등을 활용하여, 상기 위험물의 유출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위험물이 상기 유체유도시설을 통하여 상기 집수홈(140)으로 유도되기 전에 조실의 바닥면(130)에 흡수되는 가능성을 고려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콘크리트는 유류와 같은 위험물이 잘 투습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상기 조실의 바닥면(130)을 통한 상기 위험물의 투습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상기 유체유도시설의 표면을 고분자 물질로 코팅하는 방안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은 유류와 같은 위험물을 흡수하지 아니하고, 방수기능을 갖춘 물질이면 충분하다.
상기 고분자 물질의 예시로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실리콘(Polysilicon)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polytetrafluoroethylene)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상기 유체유도시설의 표면을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코팅을 상기 유체유도시설에 추가함으로써, 본원발명의 유체유도시설를 통한 위험물 내지 외부에서 유입된 물의 유도가 확실히 담보된다. 더불어, 위험물 내지 물의 유도가 담보된다는 점은, 위험물의 유출 사실 및 조실(100)의 균열 발생 사실 등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환언하자면, 본원발명의 유체유도시설을 조실(100)에 추가함으로써 조실(100) 내에 문제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실(100) 내에 문제상황이 발생하고 있지 않음을 담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또한 기존의 발명에서 찾을 수 없었던 본원발명 특유의 일 효과라고 할 수 있다.
(3) 경사면의 단면
추가로, 상기 유체유도시설에 포함된 경사부의 단면을 다양화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가장 기초적인 방안은 상기 경사부에 추가로 골을 형성하는 방안이다. 가령, 경사방향이 길이방향인 제1차경사부(131)에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골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차경사부(131)를 따라 흐르는 위험물 내지 물이 골을 따라 유도되므로, 위험물 내지 물 사이의 표면장력을 활용하여 유체의 응집을 추가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의 마루와 골을 잇는 단면의 모양은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특별히 그 모양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상기 단면의 모양이 사이클로이드 곡선을 이루는 것이 유체를 골로 가장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제1차경사부(131)의 단면의 모양과 상기 제2차경사부(132)의 단면의 모양은 동일할 수도 있으며, 상이할 수도 있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경사면의 단면을 다양화함으로써 누출된 위험물 내지 물을 신속하게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유출여부의 신속한 확인이라는 본 발명의 일 효과를 강조하기 위한 구성이다. 종합하자면, 본원발명의 유체유도시설을 추가함으로써, 위험물의 유출 내지 조실(100)의 균열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시에 위험물의 유출 내지 조실(100)의 균열이 없음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누유감지장치(200)>
본 명세서는 추가로, 상기 집수홈(140)에 직접 연결되는 누유감지장치(200)를 개시한다. 상기 누유감지장치(200)의 길이 내지 너비는 집수홈(140)의 길이 내지 너비와 동일하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유도시설에 의하여 집수홈(140)으로 유도된 위험물 내지 물이 상기 누유감지장치(200) 배출수케이스(220)로 함입되기 때문이다.
가장 단순한 누유감지장치(200)는 단순히 검사관(222)만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다만, 검사관(222)만을 포함하는 누유감지장치(200)는 여러 단점을 가진다. 가령, 검사관(222)만을 포함하였을 때에는 위험물의 유출 사실은 감지할 수 있으나, 유출량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통상적으로 유출량이 클수록 저장탱크(110)의 손상이 크거나 손상된 지 상당기간이 흘렀다는 추론이 가능함으로 유출량 또한 중요한 측정 대상이다. 또한, 단순히 검사관(222)만을 활용할 때에는, 유출여부의 확인을 전적으로 검사관(222)을 통한 검사에만 의존하므로 기타 다른 사유에 의한 검사관(222)의 오염이 위험물의 유출여부 확인에 치명적인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유감지장치(200)는 크게 센서부; 및 배출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의 하단과 상기 배출수부의 일단이 수리제어 트랩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는 유전율 내지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누유감지장치(200)로 함입된 유체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센서부에 포함되어 있던 전해질 용액 내지 배경수(214)는 상기 유체의 함입으로 인하여 상기 배출수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수부에서 상기 전해질 용액 내지 배경수(214)의 이동량을 측정하여 새로이 함입된 유체의 양을 규명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누유감지장치(200)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의 정보전달을 통하여 센서부의 감지정보 및 배출수부의 감지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지상에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누유감지장치(200)를 단순화한 개념도이다. 각각의 누유감지장치(200)는 세부 구성이 상이하다. 다만, 세 누유감지장치(200) 모두 크게 센서부; 및 배출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의 하단과 상기 배출수부의 상단이 수리제어 트랩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센서부에 일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질 경우, 전해질 용액 내지 배경수가 상기 수리제어 트랩을 통하여 상기 배출수부로 배출(flushing)된다. 수리제어 트랩의 일 예시로서 S자관과 U자관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누유감지장치(200)는 모두 집수홈(140)을 통하여 함입된 유체가 위험물인지 단순 물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위험물의 유출량 내지 물의 유입량을 직접 규명할 수 있으며, 위험물의 유출 내지 물의 유입을 반복적으로 확인하여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공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누유감지장치(200)의 일 예시로서, 센서부; 및 배출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센서부케이스(210);와 상기 센서부케이스(210)의 내부에 채워진 전해질 용액; 상기 센서부케이스(210)의 내부에 채워진 고상의 매질체(212); 및 센서(211)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수부는 배출수케이스(220);와 상기 배출수케이스(220)의 내부에 위치한 수위측정장치(221);및 배출수케이스(220)의 일단에 연결된 검사관(222);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의 하단과 상기 배출수부의 상단이 수리제어 트랩(S자관)으로 연결된 누유감지장치(200)를 간략하게 표시한 것이다.
도 3의 누유감지장치(200)에 집수홈(140)을 통하여 유체가 일정 이상함입되면, 압력의 증가로 인하여 전해질 용액이 배출수부로 배출된다. 유체의 함입 시, 센서부에 포함된 액체의 조성이 달라진다. 그 결과, 상기 센서부에 포함된 센서(211)를 통하여 상기 센서부에 포함된 액체의 저항변화를 관찰할 수 있으며, 이는 집수홈(140)을 통한 유체의 함입을 확인해주는 정보이다.
또한, 배출된 전해질 용액에 녹아 있는 유체의 종류를 검사관(222)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배출수부에 포함된 수위측정장치(221)를 활용하여 집수홈(140)으로 함입된 유체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수위측정장치(221)는 전해질 용액에 비하여 밀도가 작은 물질로 만들어지며, 배출된 전해질 용액의 부력에 의하여 위치가 조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누유감지장치(200)의 다른 예시로서, 센서부; 및 배출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센서부케이스(210);와 상기 센서부케이스(210)의 내부에 채워진 배경수(214); 상기 센서부케이스(210)의 내부에 채워지는 고상의 매질체(212); 및 센서(211)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수부는 배출수케이스(220);와 상기 배출수케이스(220)의 내부에 위치한 수위측정장치(221);및 배출수케이스(220)의 상단에 연결된 검사관(222);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의 하단과 상기 배출수부의 상단이 수리제어 트랩(S자관)으로 연결된 누유감지장치(200)를 간략하게 표시한 것이다.
상기 배경수(214)(背景水)는 상온에서 유전상수 값이 약 80에 이를 정도로 매우 높은 유전율(Permittivity)을 가진다. 통상적인 유류의 유전상수는 약 10 내외이므로, 상기 센서부에 유류를 포함한 위험물이 함입될수록 전기전도도 값도 크게 떨어진다. 반면, 상기 센서부에 우수(雨水)와 같은 물이 함입되면, 전기전도도 값의 변화가 미미하다. 상술한 전기전도도의 변화 차이를 토대로, 상기 센서부는 집수홈(140)을 통하여 함입된 유체가 위험물인지 단순 물인지를 규명할 수 있다.
도 4의 누유감지장치(200)에 집수홈(140)을 통하여 유체가 함입되면, 압력의 증가로 인하여 배경수(214)가 배출수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배경수(214)에 녹아 있는 유체의 종류를 검사관(222)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배출수부에 포함된 수위측정장치(221)를 활용하여 집수홈(140)으로 함입된 유체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수위측정장치(221)는 배경수(214)에 비하여 밀도가 작은 물질로 만들어지며, 배출된 배경수(214)의 부력에 의하여 위치가 조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누유감지장치(200)의 또 다른 예시로서, 상기 누유감지장치(200)는 센서부; 및 배출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센서부케이스(210);와 상기 센서부케이스(210)의 내부에 채워진 배경수(214); 상기 센서부케이스(210)의 내부에 채워진 고상의 매질체(212); 및 센서(211)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수부는 배출수케이스(220);와 상기 배출수케이스(220)의 내부에 위치한 수위측정장치(221);및 배출수케이스(220)의 상단에 연결된 검사관(222);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의 하단과 상기 배출수부의 일단이 수리제어 트랩(U자관)으로 연결된 누유감지장치(200)를 간략하게 표시한 것이다.
도 5의 누유감지장치(200)는 도 4의 누유감지장치(200)와 동일한 특징을 공유한다. 상기 도 4의 누유감지장치(200)의 특징에 더하여, 도 5의 누유감지장치(200)는 특히 수리제어 트랩(U자관)(232)을 활용하여 센서부의 배경수(214)를 배출수부에 준비된 별도 공간에까지 채워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서부에 포함된 배경수(214)의 수위와 배출수부의 별도 공간에 채워진 배경수(214)의 수위는 최초 동일하게 유지되나, 집수홈(140)으로부터 유체가 함입되면 배출수부의 별도 공간에 채워진 배경수(214)가 즉각적으로 넘쳐흘러 수위측정장치(221)를 작동하게 만든다. 즉, 이는 도 5의 누유감지장치(200)를 본 발명의 누유감지장치(200)로 선택함으로써, 위험물의 유출 사실 등을 최대한 짧은 시간 안에 확인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10 : 지표면
100 : 조실
110 : 저장탱크
120 : 지지대
130 : 조실의 바닥면
131 : 제1차경사부
132 : 제2차경사부
140 : 집수홈
200 : 누유감지장치
210 : 센서부케이스(210)
211 : 센서
212 : 매질체
213 : 전해질용액
214 : 배경수
220 : 배출수케이스
221 : 수위측정장치
222 : 검사관
231 : 수리제어 트랩(S자관)
232 : 수리제어 트랩(U자관)

Claims (6)

  1.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조실;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조실의 바닥면을 이격시키는 지지대;
    상기 바닥면 상에 위치하며, 하나 이상의 경사부를 갖는 유체유도시설;
    상기 유체 유도시설에 연결되고, 상기 조실의 바닥면 중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집수홈; 및
    상기 집수홈을 통하여 모아진 유체를 측정하는 누유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유체감지시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도시설은 상기 조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차경사부와 상기 조실의 너비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차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차경사부의 하단이 상기 제2차경사부의 상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유체감지시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경사부 및 상기 제2차경사부의 단면은 하나 이상의 사이클로이드 곡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유체감지시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도시설의 표면에 고분자 물질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유체감지시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물질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유체감지시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누유감지장치는 센서부; 및 배출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의 하단과 상기 배출수부의 일단이 수리제어 트랩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유체감지시설.

KR1020180007832A 2018-01-22 2018-01-22 조실 내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누출유체감지시설 KR20190089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832A KR20190089396A (ko) 2018-01-22 2018-01-22 조실 내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누출유체감지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832A KR20190089396A (ko) 2018-01-22 2018-01-22 조실 내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누출유체감지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396A true KR20190089396A (ko) 2019-07-31

Family

ID=67474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832A KR20190089396A (ko) 2018-01-22 2018-01-22 조실 내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누출유체감지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93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5653A (zh) * 2020-06-16 2020-08-07 南京天朗防务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精度漏液检测及回收预警装置
CN113884246A (zh) * 2021-10-22 2022-01-04 大昌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油库罐区建筑防渗监测***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412Y1 (ko) 1997-04-23 2000-02-15 노만 유류탱크 설치실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412Y1 (ko) 1997-04-23 2000-02-15 노만 유류탱크 설치실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5653A (zh) * 2020-06-16 2020-08-07 南京天朗防务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精度漏液检测及回收预警装置
CN113884246A (zh) * 2021-10-22 2022-01-04 大昌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油库罐区建筑防渗监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7772A (en) Device for detecting leaks in underground fluid tanks
KR20190089396A (ko) 조실 내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누출유체감지시설
ES2290206T3 (es) Deposito de almacenamiento para liquidos potencialmente contaminantes del agua.
Kuliczkowska Environmental and structural risk assessment of long operated vitrified clay sewers
US9752313B2 (en) Drainage channel for liquid relocation and liner therefor
CN114813528A (zh) 一种腐蚀环境下排水管道辅助检测***及检测方法
KR102013751B1 (ko)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KR101426781B1 (ko) 경사천공에 설치된 누유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류재고관리 기구
KR102118587B1 (ko) 토양 지하수 오염탐지를 위한 누유검출장치
JP2004352320A (ja) 地下貯蔵タンクの液体漏洩検知装置
KR101837398B1 (ko) 지하수오염 특성 조사장치
KR102013748B1 (ko) 디스크 접착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KR20210048127A (ko)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방법
Coelho et al. Design criteria for roughness values under real sewer system operating conditions
KR200283721Y1 (ko) 지하 매설용 유류 저장탱크
US20160313293A1 (en) Oil monitoring system
KR20230166349A (ko) 수위측정시스템
US5054312A (en) Fuel tank air pocket removal device
KR102631182B1 (ko)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
Fang et al. Study of outdoor rainwater drainage pollution in a hospital
Kohout et al. Measuring and scale-up of infiltration and exfiltration in house connections
KR101946294B1 (ko) 친수성필터를 이용한 누유검출장치
KR200252912Y1 (ko) 지하 매설용 유수분리형 집수정
RU2644964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повреждений и их контроль в днище бассейна суточн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DE102010014868B4 (de) Vorrichtung zur Entdeckung von Leckstellen in fluidführenden Leitun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