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944Y1 -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 - Google Patents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944Y1
KR200389944Y1 KR20-2005-0012291U KR20050012291U KR200389944Y1 KR 200389944 Y1 KR200389944 Y1 KR 200389944Y1 KR 20050012291 U KR20050012291 U KR 20050012291U KR 200389944 Y1 KR200389944 Y1 KR 2003899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reservoir
stainless sheet
wat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열
하정림
김정환
Original Assignee
강동열
하정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열, 하정림 filed Critical 강동열
Priority to KR20-2005-0012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9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9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1Rigid liners fix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iron or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6Large containers for use under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는 저수탱크의 각 코너에 유공관을 배설하여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의 부직포층에 전달된 침입수를 흡입하고 상기 유공관의 일 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를 통해 배출시켜 부직포층에 흡입된 유체의 배출통로를 제공함으로써 저수조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침입수 제거를 위한 간단한 라이닝 시공으로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으로 큰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콘크리트 저수조 내표면에 피복 처리되는 저수조의 라이닝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크랙 발생시 유입 가능한 침입수를 차단하고 시트 연장 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저수조 내면의 콘크리트면에 균일한 두께로 결합되어 있는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와; 상기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가 가이드한 침입수를 저수조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저수조의 코너에서 상기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와 상기 콘크리트면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 관 형상의 유공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THE LINING STRUCTURE OF UNDERGROUND WATER TANK USING NONWOVEN-STAINLESS STEEL SHEET}
본 고안은 저수조 라이닝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되는 저수조의 내벽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시트부재를 접착시키는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이닝이라 하면, 유체가 접촉하는 금속, 수지, 플라스틱 또는 콘크리트 내부표면의 방청 또는 방식을 위하여 다른 물질을 두껍게 피복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보통은 얇은 피복을 의미하는 코팅(Coating)과 혼용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은 라이닝에 주로 사용되는 코팅제로는 아연, 알루미늄, 니켈, 납, 구리, 주석 등의 금속재와, 법랑, 유리, 세라믹등의 무기질재 및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염화비닐수지, 염화비닐덴수지, 에폭시수지, 플루오르수지, 페놀수지 등의 유기질재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재료들을 사용하여 제조된 코팅제들은 용접, 침지, 칠하기, 접착, 볼팅 등의 방법에 의해 코팅된다.
저수조의 방청 또는 방식을 위한 코팅의 경우에는 지금까지 주로 에폭시 수지가 많이 사용되어 왔는데 일반적으로 습윤환경 및 수중에서의 작업시 코팅막과 구조재의 콘크리트 또는 철재와의 접착력이 약하고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해 박리현상이 발생할 염려가 있고 내후성이 불량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에폭시수지를 이용한 라이닝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제시된 금속제를 접착하는 라이닝 방식의 예로는 등록 실용신안 20-0353565호를 들 수 있는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를 갖는 저장탱크(10)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시트부재(1)가 이들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부(5)들이 상호 접합재(2)에 의해 본딩되어 물과 같은 유체가 담기는 탱크유니트(3)와 상기 탱크유니트(3)를 외부에서 감싸 본딩된 접합부위에 압력이 시트부재(1)들을 접합하는 접합재에 전단력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보강수단(4)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기 선행기술들의 재료로 라이닝하는 방법들은 그 경도, 내약품성, 전기적특성, 저온경화성, 내열성, 내한성, 내충격성, 내수성, 내염성, 내마모성, 층간접착력 등 저수조용 코팅제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지 못하거나 습윤 상태 또는 수중에서의 부착력이 약해 저수조에의 적용이 용이하지 않거나, 코팅 후 담수시 부풀음, 박리, 수포발생, 균열, 변색 등의 단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었다.
특히, 상기 도 1의 종래기술의 금속재를 사용한 라이닝 방법에서는 저수조의 콘크리트에서 흘러나온 토수 및 우수 등의 침입수에 의한 라이닝처리 부위에 가해지는 수압과 담수시의 수압에 의한 부풀음 현상으로 금속재의 휨이 반복됨에 따라 금속재가 늘어나거나 균열이 발생하여 빨리 노후되는 가장 큰 단점이 있었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콘크리트면을 포함한 콘크리트 구조물 및 크랙에 저수조를 구성하는 콘크리트면은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극을 통해 토수나 우수등의 침입수가 유입되며 이러한 침입수가 저수조의 라이닝 처리된 벽면으로 흘러 나와 수압을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물을 수용하고 있지 않은 저수조의 경우에는 라이닝 처리된 벽면이 저수조 내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며, 반대로 담수상태가 되면 담수상태의 저수조가 가지는 엄청난 수압에 의해 라이닝 처리된 벽면이 오목하게 들어가게 된다.
금속재로 라이닝 처리된 벽면의 경우는 이러한 볼록형상과 오목형상의 부풀림을 반복함에 따라 금속재의 변형 및 절단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저수탱크의 담수면인 콘크리트 측면 및 하면에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모두 접착시켜 콘크리트 크랙을 통해 유입된 침입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부직포스테인레스 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저수탱크의 각 코너에 유공관을 설비하여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의 부직포층에 유입된 침입수가 심지를 따라 상기 유공관 쪽으로 이동한 후, 유공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를 통해서 효율적으로 침입수 또는 지반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은 콘크리트 저수조 내표면에 피복 처리되는 저수조의 라이닝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본체의 크랙 발생시 유입 가능한 침입수를 차단하고 시트 연장 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저수조본체 내면의 콘크리트면에 균일한 두께로 결합되어 있는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와; 상기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가 가이드한 침입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저수조본체의 코너에서 상기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와 상기 콘크리트면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 관 형상의 유공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는 소정의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부직포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골격을 유지하여 상기 부직포층의 압착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직포층 내부에 박혀있는 심지와; 상기 부직포층의 일면과 접하며 저수조본체의 내표면을 구성하는 스테인레스스틸층과; 상기 부직포층과 상기 스테인레스스틸층을 접착하는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유공관은 일측이 바닥판 하부의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에 결합되어 있되, 지반수를 유입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되어 형성된 다공과; 상기 유공관으로 유입된 침입수가 배출되도록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유공관은 중공의 관 형상의 상기 유공관이 상기 저수조본체의 각 코너에서 고정되게 부착되도록 코너와 상기 유공관 사이의 틈을 메워주는 받침대와; 상기 유공관과 상기 받침대를 관통하여 코너의 콘크리트면에 삽입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콘크리트면에 더욱 밀착되고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은 코너에 부착된 상기 받침대에 드릴로 관통하고 코너의 콘크리트면까지 연장되게 뚫어 형성시킨 구멍에 삽입시키는 앵커와; 상기 유공관과 상기 받침대를 관통하여 앵커에 삽입되는 못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스테인레스시트'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만들어진 시트 형상의 부재를 의미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층의 내부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의 일 측 가장자리를 연결되게 접합시킨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2의 A-A방향으로 절단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B-B방향으로 절단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먼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수조본체(400)의 담수면인 콘크리트면(420) 전체와 상기 저수조본체(400)의 각 코너에 설치되어 있는 침입수 배출용 유공관(200)을 모두 감싸도록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100)로 라이닝작업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저수조본체(400)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되어지는 것으로 즉, 바닥면이 철근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이루어지고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벽돌과 시멘트모르타르(cement mortar)를 이용하여 벽면을 쌓고 천장을 철근 콘크리트로 슬래브(slab)를 타설하거나 또는 벽면과 천장을 철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저수조내부(430)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진다.
상기 저수조본체(400)는 그 기능이나 구조에 따라 개폐가 가능한 덮개(410)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상기 덮개(410)의 테두리 부분에는 상기 덮개(410)를 닫더라도 저수조본체(400) 내부에서 나온 침입수 배출용 유공관(200)이 외부로 뻗어나올 수 있도록 네 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유공관(200)과 각각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라이닝 작업은 일정 너비를 가지면서 저수조 본체의 내면 즉, 천장 혹은 덮개면, 벽면, 및 바닥면 그리고 유공관에 면접하도록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100)로 시공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본체(400)의 측면 각각의 코너에 부착되어 있는 침입수배출용 유공관(200)은 일측 끝단을 상기 저수조본체(400)의 바닥면 하부의 토목시트(부직포)와 결합되어서 지반수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하고, 타측인 배수구(220)를 저수조본체(400) 즉 콘크리트의 외부로 뻗어 나오도록 형성하여서 상기 유입된 침입수 또는 지반수를 배출시키도록 되어있다.
이때 상기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100)의 부직포층은 상기 유공관(20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다공(210)의 구멍에 각각 면접하도록 상기 유공관(200)을 감싸면서 접착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의 사시도이다.
상기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100)는 심지(120)가 내재된 부직포층(110)의 일면과 스테인레스스틸층(150)이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는 15~17mm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이다.
상기 부직포층(110)은 콘크리트로 유입된 토수 및 우수 등의 침입수를 유입시키는 역할과, 유입된 침입수 또는 지반수를 심지를 통해 상기 유공관의 다공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시트부재의 외장인 스테인레스스틸층(150)의 재질은 철판, 스테인레스강판 또는 스테인레스 합금강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시트부재의 재질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탱크에 저장되는 유체나 물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재금속의 표면에 모재금속의 보호를 위한 금속이 도금되거나 코팅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부직포층(110)은 내재된 상기 심지(120)를 포함하여 그 두께가 10mm~12mm 정도이며 상기 스테인레스스틸층(150)의 두께는 0.1~0.5t(1t=1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층(110)과 스테인레스스틸층(150)의 사이에 균일하게 도포되어 있는 접착층(130)은 상기 부직포층(110)과 스테인레스스틸층(150)을 접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접착성분은 2N-360N(동양 케미컬 공업 주식회사에서 제조된 제품명)을 포함하는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스테인레스스틸층(150)에 상기 부직포층(110)을 접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스테인레스스틸층(150)의 일측 가장자리의 일정 면적에는 부직포층(110)을 접착시키지 않고 접착층(130)만 도포된 상태인 접합부(160)를 포함하는 직사각형태의 하나의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100)라는 시트 부재를 완성하게 된다.
콘크리트의 틈을 따라 상기 저수조본체의 벽면으로 흘러 들어오는 상기 토수 및 우수등을 포함하는 침입수는 저수조본체에 물이 다 빠져나간 상태에서 저수조본체의 금속재 코팅부위를 밀어내는 수압을 발생시키며, 경우에 따라서는 위의 토수 및 우수 등이 콘크리트의 틈 및 크랙 사이에 존재하게 됨에 따라 외부 기온의 변화에 의해 결빙과 해빙을 반복하게 되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에 생성되어 있는 크랙을 더욱더 발전시키는 악순환을 되풀이하게 되어 결국은 저수조본체를 파손시키는 자연재해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콘크리트에서 유입된 침입수를 제거 내지는 배출시키는 것이 저수조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중대한 과제이므로 상기 부직포층(110)의 유입 및 배수 기능은 매우 비중이 높은 것이라 할 것이다.
또한 수압의 측면에서 볼 때, 콘크리트가 매설된 지하의 토압과 담수 상태의 저수조의 수압이 저수조본체(400)의 물이 차고 빠지는 과정에서 번갈아 일어나게 되어 라이닝 처리된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100)를 서로 밀게 되어 부직포층(110)이 압착되면 통수능을 급격히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을 고려한 부직포층을 만들고자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부직포층(110) 사이에 강성의 심지(120)를 위치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심지(120)는 상기 부직포층(110) 내에서 부직포층(110)이 압착되지 않도록 골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드레인보드와 같이 연속되는 파형의 주름진 판재 형태 혹은 지오네트와 같은 입체직조형태 등의 형상으로도 구현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 다수개를 연결되게 접합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의 직사각형태의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100)를 다수개 접합시킴에 있어서, 저수조본체에 직접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100)를 하나 하나씩 접착시킬 수도 있으며 저수조본체 일면의 크기만큼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100)를 접착 및 절단하여 한번에 콘크리트면(420) 크기만큼 제조하여 접착시키는 두 가지 방법이 있겠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의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에서와 같이 콘크리트벽면에 라이닝하기 위해 우선 접착제(140)를 콘크리트 내부 전면에 골고루 도포한 후 부직포층(110)을 접착시킨다.
이때 상기 유공관(200)은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도록 해야 침입수가 유공관의 다공으로 유입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접착된 부직포층(110) 위에 동일한 성분의 접착제(130)를 도포한 후 스테인레스스틸층(150)을 접착시키게 되어 하나의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100)를 완성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면과 접합되어 있는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100)의 옆측면에 동일한 방법으로 또 다른 동일한 부직포층(110)을 빈틈없이 접착시킨 다음 접착제(130)를 도포하여 스테인레스스틸층(150)을 붙이게 된다.
이때 상기 스테인레스스틸층(150)들은 서로 옆단이 빈틈없이 나란히 접착됨과 함께 먼저 접착되어 있는 시트부재의 옆단 위 표면으로 나중에 접착되는 시트부재의 접합부(160)가 상기 스테인레스스틸층(150)위에 덧대어짐으로써 상기 접합부(160)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130)가 먼저 접착되어 있는 상기 스테인레스스틸층(150) 위에 접착됨으로써 각각의 별개의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100)가 연결되게 일체가 되어 콘크리트면(420)에 접착된다.
이렇게 나란히 접착된 두 개의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100)는 부직포층(110)이 서로 빈틈없이 연결되어야 하지만 이때 각각의 상기 심지(120)는 부직포층(110)의 골격을 유지하며 통수율을 높이는 기능을 하므로 특별히 서로의 심지(120)가 맞닿거나 빈틈없이 연결될 필요는 없다.
여기서 상기 저수조본체(400)의 모서리에 부착되어 있는 유공관(200)에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100)가 접착되는 것은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6과 도 7에서는 콘크리트에 발생한 크랙으로 유입된 침입수가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100)에 유입되어 상기 유공관(200)으로 유출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도면에서는 상기 저수조본체에 수용되는 부직포층(110)과 콘크리트면(420)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단면도는 상기 유공관(200)이 부착되어 있는 저수조의 코너 부분에 있어서 저수조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유공관(200)과 상기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100) 부분의 단면을 나타내 보인 것이다.
상기 유공관(200)은 원형의 배수관으로 그 직경이 15mm~20mm로 형성되어 있으며 저수조 바닥면과 맞닿아 있는 일 측 끝단은 상기 저수조본체(400)의 바닥면 하부의 토목시트(부직포)와 결합되어서 지반수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하고, 타측인 배수구(220)를 저수조본체(400) 즉 콘크리트의 외부로 뻗어 나오도록 형성하여서 상기 유입된 침입수 또는 지반수를 배출시키도록 되어있다.
또한 외부 즉 지상으로 노출되어 있는 유공관(200)이 아닌 상기 저수조본체에 수용되는 범위의 유공관(200)은 다수개의 미세한 홀을 형성하는 다공(210)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다공(210)은 1~2mm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미세한 홀 형상의 구멍의 집합체이며, 상기 부직포층(110)에 유입된 침입수(500)가 상기 다공(210)을 통해 유공관(200)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공(210)은 부직포층(110)이 감싸는 유공관(200)의 범위내에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공관(200)과 상기 저수조본체(400)의 모서리가 마주하는 부분을 제외한 270°둘레의 유공관(200) 면적의 범위에서 상하좌우 1~2mm의 균일한 간격의 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공관(200)이 위치하는 저수조본체(400)의 모서리부위는 받침대(33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유공관(200)이 저수조본체(400)에 부착될 때 모서리부위에 발생하는 틈을 메워 줌으로써 상기 유공관(200)이 모서리부위에 단단하게 고정되게 위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330)는 양 끝단이 저수조 하면과 상면에 연장되게 모서리에 밀착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유공관(200)은 못(310)과 앵커(320)로 구성되는 고정수단(300)에 의해 모서리의 받침대(330)를 관통하여 콘크리트에 단단히 박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받침대(330)를 모서리에 부착한 다음, 드릴을 이용해 받침대(330)를 관통하여 콘크리트 모서리까지 연장되게 구멍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받침대(330)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앵커(320)를 삽입하게 되고, 삽입된 앵커(320)는 상기 받침대(330)를 연장하여 콘크리트의 모서리에 형성된 구멍까지 박히게 된다.
상기 못(310)은 상기 부직포층(110)과 유공관(200)에 관통하도록 박는다.
상기 받침대(330)와 콘크리트 모서리에 박혀 있는 상기 앵커(320)의 구멍으로 상기 못(310)을 맞추어 박게 되면 상기 유공관(200)은 못(310)과 앵커(320)의 맞물림에 의해 모서리에 안정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렇게 고정된 상기 원형의 유공관(200)의 3/4면을 부직포층(110)으로 덮은 후 스테인레스스틸층(150)을 결합시키게 되면 유공관(200)의 다공(210)과 부직포층(110)이 밀착되게 접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못(310)의 헤드부분은 상기 스테인레스스틸층(150)으로 완전히 덮혀져 외관상으로 약간의 굴곡이 생기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100)를 콘크리트면(420)과 상기 유공관(200)에 밀착되게 접하도록 결합함에 따라 도 6에서와 같이 콘크리트의 크랙(430)을 통해 침입한 침입수(500)가 부직포층(110)으로 유입된다.
상기 부직포층(110)에 유입된 침입수(500)는 서로 응집되어 유체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스테인레스스틸층(150)과 콘크리트면(420) 사이에 위치하는 부직포층(110)은 거의 밀폐상태의 내부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유체가 유일하게 빠져나갈 수 있는 출구통로가 되는 유공관(200)의 상기 다공(21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다공(210)의 다수개의 홀로 침입수(500)가 유입되고, 계속적으로 유입된 침입수(500)는 상기 유공관(200) 내부에 모이게 되고 수압에 의해 상기 유공관(200)에서 차 오른 침입수(500)는 배수구(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는 저수탱크의 담수면인 콘크리트 측면 및 하면에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모두 접착시킴으로써 저수조본체를 구성하는 콘크리트에서 유입되는 토수 내지는 오수 등의 침입수를 유입하게 되어 라이닝 처리된 금속재의 부풀림 현상을 극복함으로써 라이닝 수명을 훨씬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는 저수탱크의 각 코너에 유공관을 설비하여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의 부직포층에 전달된 침입수를 유입하고 상기 유공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를 통해 침입수를 배출시킴으로써 부직포층에 유입된 유체의 배출통로를 제공할 수 있어 간단한 라이닝 시공으로 침입수를 제거함으로써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으로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하 저수조의 라이닝 구조를 도시한 일부절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층의 내부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연결되게 접합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2의 A-A방향으로 절단한 부분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2의 B-B방향으로 절단한 부분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 110 : 부직포층
120 : 심지 130, 140 : 접착층
150 : 스테인레스스틸층 160 : 접합부
200 : 유공관 210 : 다공
220 : 배수구 310 : 못
320 : 앵커 330 : 받침대
400 : 저수조본체 410 : 덮개
420 : 콘크리트면 430 : 크랙
500 : 침입수

Claims (5)

  1. 콘크리트 저수조 내표면에 피복 처리되는 저수조의 라이닝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본체(400)의 크랙(430) 발생시 유입 가능한 침입수(500)를 차단하고 시트 연장 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저수조본체(400) 내면의 콘크리트면(420)에 균일한 두께로 결합되어 있는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100)와;
    상기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100)가 가이드한 침입수(500)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저수조본체(400)의 코너에서 상기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100)와 상기 콘크리트면(420)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 관 형상의 유공관(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100)는 소정의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부직포층(110)과;
    상기 부직포층(110)의 골격을 유지하여 상기 부직포층(110)의 압착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직포층(110) 내부에 박혀있는 심지(120)와;
    상기 부직포층(110)의 일면과 접하며 저수조본체(400)의 내표면을 구성하는 스테인레스스틸층(150)과;
    상기 부직포층(110)과 상기 스테인레스스틸층(150)을 접착하는 접착제(130)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200)은 일측이 바닥판 하부의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100)에 결합되어 있되,
    지반수를 유입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되어 형성된 다공(210)과; 상기 유공관(200)으로 유입된 침입수가 배출되도록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200)은
    중공의 관 형상의 상기 유공관(200)이 상기 저수조본체(400)의 각 코너에서 고정되게 부착되도록 코너와 상기 유공관(200) 사이의 틈을 메워주는 받침대(330)와;
    상기 유공관(200)과 상기 받침대(330)를 관통하여 코너의 콘크리트면에 삽입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콘크리트면에 더욱 밀착되고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코너에 부착된 상기 받침대(330)에 드릴로 관통하고 코너의 콘크리트면까지 연장되게 뚫어 형성시킨 구멍에 삽입시키는 앵커(320)와;
    상기 유공관(200)과 상기 받침대(330)를 관통하여 앵커(320)에 삽입되는 못(31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
KR20-2005-0012291U 2005-05-02 2005-05-02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 KR2003899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291U KR200389944Y1 (ko) 2005-05-02 2005-05-02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291U KR200389944Y1 (ko) 2005-05-02 2005-05-02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764A Division KR100665619B1 (ko) 2005-05-02 2005-05-02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944Y1 true KR200389944Y1 (ko) 2005-07-18

Family

ID=4369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291U KR200389944Y1 (ko) 2005-05-02 2005-05-02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94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222B1 (ko) 2010-02-08 2010-03-29 (주)동명산업 콘크리트 수조 방수용 라이닝 패널, 콘크리트 수조 방수용 라이닝 장치 및 콘크리트 수조의 라이닝 시공 방법
KR20190098557A (ko) *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디스크 접착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KR20190098559A (ko) *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222B1 (ko) 2010-02-08 2010-03-29 (주)동명산업 콘크리트 수조 방수용 라이닝 패널, 콘크리트 수조 방수용 라이닝 장치 및 콘크리트 수조의 라이닝 시공 방법
KR20190098557A (ko) *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디스크 접착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KR20190098559A (ko) *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KR102013748B1 (ko) * 2018-02-14 2019-08-23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디스크 접착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KR102013751B1 (ko) * 2018-02-14 2019-08-23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76906A (en) Heat exchange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CN111485585B (zh) 地下无窗侧双重防水膜组件以及其制造和使用方法
KR20200120705A (ko) 단열재에 접합된 적어도 하나의 경화된 시멘트층을 갖는 조립식 단열 건축용 패널
CA3082812C (en) Below grade, blind side, dual waterproofing membrane assembly incorporating a bentonite sheet waterproofing membrane, and a sheet membrane with adhesive to fully bond to concrete/shotcrete, and a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US20110258964A1 (en) Composite Thermal Insulation Wall Body of a Building
US5115614A (en) Masonry unit with integral flashing
CN106320574A (zh) 一种轻钢龙骨复合混凝土墙板
WO2003089726A2 (en) Air circulation board for cavity wall construction
KR200389944Y1 (ko)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
WO2010074550A1 (en) Assemblage formwork
KR101027435B1 (ko) 스터드 그립이 부착된 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의 라이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10713552U (zh) 混凝土板保护层倒置式的屋面结构
AT511073A4 (de) Fassadenkonstruktion zur Wärmedämmung und Verkleidung von Gebäudeaußenwänd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Fassadenkonstruktion
KR100665619B1 (ko) 부직포-스테인레스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 라이닝 구조
CN101492938B (zh) 带保温层的建筑体
JPH0673749A (ja) 地下壁用打込式コンクリート型枠
KR101704733B1 (ko) 라이닝용 복합패널
CN201183998Y (zh) 耐碱过墙地沟结构
WO2008097113A2 (en) A facade element, especially a facade board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acade element
JP2001107692A (ja) 遮水シートおよび遮水工法
LT5800B (lt) Pastatų statybos būdas
JPH09203068A (ja) 地下二重壁用の打込み型枠及びその支持止水具
JPH11236994A (ja) 型枠兼用断熱防水パネル及び蓄熱槽
RU2777582C2 (ru) Готовая изолирован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с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им отвержденным цементным слоем, сцепленным с изоляцией
JP3381135B2 (ja) 外断熱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