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124B1 -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124B1
KR102006124B1 KR1020180167813A KR20180167813A KR102006124B1 KR 102006124 B1 KR102006124 B1 KR 102006124B1 KR 1020180167813 A KR1020180167813 A KR 1020180167813A KR 20180167813 A KR20180167813 A KR 20180167813A KR 102006124 B1 KR102006124 B1 KR 102006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fishing
fishing line
attachment
lin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토 오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JP2019127772A priority Critical patent/JP6664723B2/ja
Priority to US16/507,080 priority patent/US11191258B2/en
Priority to CN201910699367.XA priority patent/CN11078629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라, 낚싯줄이 통과하는 링부로부터 연장되어 낚싯대에 부착되는 부착발을 포함하는 낚시줄 가이드가 제공된다. 부착발은 부착발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의 단면 양측에 각각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INCLUDING SAME}
본 개시는 낚싯대에 부착되어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낚싯대에 있어서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가이드에는 감기실(스레드)에 의해 낚싯대에 고정되는 사권식(絲捲式) 가이드가 있다. 이러한 사권식 가이드는 낚싯대의 길이에 따라 복수의 적절한 위치에 낚싯대 상에 부착된다.
낚시구를 캐스팅 할 때나 물고기를 낚아올릴 때에 낚싯줄을 통해 발생하는 전후 좌우 상하 및 비틀림 등의 부하로부터 충분히 견디기 위해, 사권식 가이드는 사권식 가이드의 부착발에, 낚싯대와 함께 감기실을 단단하게 감은 후, 에폭시 등의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발 자체도 부하로 인한 변형이나 파단이 일어나지 않도록, 필요한 강도를 갖는 폭과 두께를 갖게 한 부착발의 설계가 행해진다.
낚싯줄 가이드의 일 예로서, 일본 특허공보 제4652136호(특허문헌 1)는 2 개의 부착발을 갖는 낚싯줄 가이드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1에 의하면, 2개의 부착발은 낚싯대 버트(butt) 측과 낚싯대 팁(tip) 측에 각각 위치하며, 한 쌍의 측방 지지 다리가 링부의 후단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하방에 위치하는 낚싯대를 향해 낚싯대 버트 측으로 뻗어 나와 있으며, 낚싯대 버트측 부착발은 상기 한 쌍의 측방 지지 다리의 선단으로부터 이행되어, 설편 형상으로 낚싯대 버트 측으로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낚싯대의 간체에 대해 대략 수평으로 배향한 상태에서 관상대에 맞닿아 있다. 상기 낚싯대 버트측 부착발은 감기실을 감기 쉽게 하기 위해 낚싯대 버트 측이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상기 한 쌍의 지지 다리를 향해 필요한 강도를 갖기 위해 폭과 두께가 확장되어 간다.
또한, 낚싯줄 가이드의 일 례로서, 일본 특허공보 제5919448호(특허문헌 2)는 부착발의 하면에 형성된 보강홈을 갖는 낚싯줄 가이드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2에 의하면, 보강홈은 부착발의 하면에 형성되어 부착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보강홈은 부하가 집중되는 부착발의 부분에 있으며, 보강홈에 의해 부하가 집중되는 부착발의 부분이 가공경화되어 소성변형에 강하다. 보강홈을 갖지 않는 측의 부착발의 상면은,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감기실을 감기 쉽게 하기 위해 낚싯대 버트 측이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특허문헌 1의 낚싯대 버트측 부착발과 마찬가지로 상기 한 쌍의 지지 다리를 향해 필요한 강도를 갖기 위해 폭과 두께가 확장되어 간다.
특허문헌1: 일본특허공보 제4652136호 특허문헌2: 일본특허공보 제5919448호
사권식 가이드는 부착발에서 낚싯대와 함께 감기실을 감아붙여 에폭시 등의 접착제로 고정되기 때문에, 감기실의 감아붙임 상태, 접착제의 치우침이나 요철이 적은 접착 상태가 낚싯대의 장식성에 있어서 중요해진다. 또한, 감기실은 낚싯대의 원주 형상과 마찬가지로 대략 원주 형상으로 감아붙이면 미관이 뛰어나게 된다. 감기실을 대략 원주 형상으로 감아붙이기 위해, 사권식 가이드의 부착발은 부피커짐이 없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부착발의 형상은 폭을 좁게,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양호한 형상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한편으로, 부착발은 부하로 인한 변형이나 파단이 일어나지 않도록 필요한 강도를 갖는 폭과 두께를 갖게 한 설계가 행해지므로, 감기실 감아붙임의 미관을 중요시하여 단순히 부착발의 폭을 좁게,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은 강도 설계의 관점에서 매우 어려운 과제가 되고 있다.
에폭시 등의 접착제에서는 표면에 치우침이나 요철을 적게 하기 위해 얇게 도포하도록 접착을 행하지만, 얇게 도포하면 접착력에 영향을 주어 낚싯대의 휨에 의한 접착제의 신축의 반복에 의해 접착제의 백화나 균열이 발생하게 되고, 낚싯대의 장식성이 크게 손상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장식성과 강도의 과제를 양립시키는 형상 설계에 착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이다. 본 개시는, 낚싯줄 가이드를 고정하는 감기실이 대략 원주 형상으로 낚싯대에 감아붙여질 수 있어서 낚싯대의 장식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낚시구를 캐스팅할 때나 물고기를 낚아올릴 때에 낚싯줄을 통해 발생하는 전후 좌우 상하 및 비틀림 등의 부하로부터 낚싯줄 가이드의 변형이나 파단을 방지하고, 낚싯줄 가이드를 고정하는 에폭시 등의 접착제의 외관을 손상하지 않고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이 통과하는 링부로부터 연장되어 낚싯대에 부착되는 부착발을 포함하는 낚시줄 가이드에 있어서, 부착발은 부착발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의 단면 양측에 각각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차부는 부착발의 폭방향 단면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부착발의 중앙 부분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차부는 폭방향을 기준으로 부착발의 전체 폭의 15 내지 22.5%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차부의 깊이는 부착발의 폭방향 단면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부착발의 중앙 부분의 폭방향 중심 위치의 두께의 30 내지 5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부와 부착발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 다리를 더 포함하고, 부착발은 금속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차부는, 부착발의 하면 부분을 지지한 상태에서 부착발의 상면 부분을 부착발의 폭방향 단면의 높이방향을 따라 압착하는 압입 가공에 의해,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는, 낚싯줄 가이드와, 낚싯줄 가이드가 부착되는 관상대와,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발 및 부착발에 인접한 관상대의 외주부를 감도록 구성된 감기실과, 감기실 상에 도포되어 경화되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차부의 일단은 부착발의 일단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단차부의 타단은 부착발의 선단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감기실은 부착발의 선단보다 후방에 위치한 관상대의 외주부로부터 단차부의 일단까지 감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발의 중앙 부분의 모서리와 단차부의 모서리를 연결한 선과 폭방향 사이의 각도는 110° 내지 150° 사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기실의 부착발의 중앙 부분의 모서리와 단차부의 모서리를 지나가는 부분과 단차부의 상면 사이의 공간은 접착제로 채워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낚싯줄 가이드가 관상대에 설치된 상태에서 부착발의 모서리 부분이 미관상 매끈한 형태로 보일 수 있다. 단차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부착발에 압입 가공을 하게 되므로, 부착발의 강도 및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차부와 감기실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추가적인 공간이 마련되므로, 감기실과 낚싯줄 가이드의 결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가 관상대에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은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가 관상대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b는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가 관상대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가 설치된 낚싯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발 부분을 B-B 선으로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부착발과 관상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발에 단차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발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부착발에 대한 압입 가공 후에 부착발의 강도 향상률을 설명하기 위한 실험 데이터이다.
도 11은 부착발에 대한 압입 가공 후에 부착발의 강도 향상률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발이 시작되는 경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서 부착발이 시작되는 경계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감은 감기실에 접착제가 침투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감은 감기실에 접착제가 침투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낚싯줄 가이드의 뽑힘 강도를 평가하는 테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테스트에서 사용되는 시험편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시험편으로 진행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전방"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낚싯대의 팁이 낚싯대의 버트에 대해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후방", "후" 등의 방향지시어는 전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낚싯대는 달리 배향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방향지시어들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도면에 기재된 좌표계에는 길이방향(LD), 폭방향(WD), 및 높이방향(HD)이 표시되어 있다. 길이방향(LD)은 낚싯대 및 관상대가 연장된 방향 또는 이에 설치된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발이 연장된 방향을 의미한다. 폭방향(WD)은 길이방향(LD)에 수직한 방향으로써, 부착발의 폭을 나타내는 방향을 의미한다. 높이방향(HD)은 길이방향(LD) 및 폭방향(WD)에 모두 수직한 방향으로써, 낚싯줄 가이드의 높이 또는 부착발의 높이를 나타내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1000)를 도시한 도면이다.
화살표(Tip)는 낚싯대(1000)의 선단(팁)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Butt)는 낚싯대의 후단(버트)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낚싯대(1000)는 하나의 대, 또는 복수의 부분 대를 포함하는 관상대(11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낚싯대(1000)는 그 후단 부근에 릴을 부착하기 위한 릴 시트(1200)를 가진다. 또한, 낚싯대(1000)는 관상대(1100)의 일부에 부착되어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가이드(1)를 구비한다. 낚싯대(1000)는 그 낚싯줄 가이드로서 이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1)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낚싯줄 가이드(1)는 이하에서 '사권식 가이드'로 참조될 수 있다.
도 2는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A)가 관상대(1100)에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A)는, 관상대(1100)의 적당한 위치에 배치시킨 후, 낚싯줄을 통해 발생하는 전후 좌우 상하 및 비틀림 등의 부하에 견디기 위해, 부착발(100A)을 감기실(200, 스레드)로 관상대(1100)와 함께 감아붙이고,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에폭시 등의 접착제(300)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으로, 부착발(100A)은 상술한 부하에 대한 필요한 강도를 갖기 위해, 소정의 폭 넓이와 두께를 갖도록 부착발(100A)의 형상이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한 강도를 감안하여 설계되는 경우 부착발(100A)의 모서리 부분에 부피 커짐(bulkiness)이 발생하여, 감기실(200)을 감아붙이면, 관상대(1100)와의 일체감 있는 감기실(200)의 감아붙임이 달성되기 어려울 수 있다. 즉, 미관 상의 요구에 충분히 응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A)가 관상대(1100)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낚싯대를 A-A 선을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다.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A)는 부착발(100A)의 폭이 넓게 설계되어 있다. 부착발(100A)은 상면(101A)과 하면(102A)이 대체로 관상대(1100)의 외주면과 마찬가지로 곡면으로 구성되고, 양 측면(103A)은 평평한 면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부착발(100A)의 상면(101A)과 양 측면(103A) 사이에는 한번 꺾이는 숄더부(150A)가 형성되어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부착발(100A)의 상면(101A)의 폭(WA)은 관상대(1100)의 지름에 근접하도록 상당히 넓은 크기를 가지고 있다.
도 3a를 참고하면, 상면(101A)의 폭(WA)이 관상대(1100) 위에서 넓게 형성되므로, 부착발(100A)의 숄더부(150A)가 불거져서 모서리가 두드러지게 되고, 감기실(200)을 감아붙인 상태에서 미관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낚싯줄 가이드(1A)는 관상대(1100)의 비교적 직경이 가늘어지는 중간 내지 팁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는 부착발(100A)의 상면(101A)의 폭(WA)이 상대적으로 관상대(1100)의 직경보다 더 큰 크기를 갖게 되어 숄더부(150A)의 불거짐에 의해 모서리가 더욱 두드러질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가 설치된 낚싯대(10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낚싯줄 가이드(1)는 두 개의 부착발(50, 100)을 구비하는 더블 풋(double-foot) 낚싯줄 가이드로 참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착발(50, 10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부착발(100)에는 단차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부착발(50)에도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낚싯줄 가이드(1)는 이하의 방식으로 관상대(1100)에 설치될 수 있다. 먼저, 제1 및 제2 부착발(50, 100)의 하면을 관상대(1100)의 외주면에 밀착시킨다. 다음으로, 제1 부착발(100)과 이에 인접한 관상대(1100)의 제1 외주면 부분(1120)을 감기실(200)로 감는다. 또한, 제2 부착발(50)과 이에 인접한 관상대(1100)의 제2 외주면 부분(1110)을 감기실(200)로 감는다. 다음으로, 접착제(300)를 각각 감기실(200)에 스며들도록 충분히 도포한 후에, 접착제(300)를 경화시키면, 낚싯줄 가이드(1)가 관상대(110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낚싯줄 가이드(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낚싯줄 가이드(1)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부착발(100)을 C-C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d는 낚싯줄 가이드(1)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e는 도 5d에 도시된 지지 다리(20)를 D-D 선으로 절단한 단면이 보이는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낚싯줄 가이드(1)는, 낚싯줄이 통과하는 링부(10) 및 이로부터 연장하는 제1 부착발(1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부(10)에는 가이드 링(30)이 끼워맞춤될 수 있다. 또한, 낚싯줄 가이드(1)는 링부(10)의 후면(1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1 지지 다리(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부착발(100)은 제1 지지 다리(20)로부터 길이방향(LD)으로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낚싯줄 가이드(1)는 링부(10)의 전면(12)으로부터 지지 다리(2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지지 다리(25)와 이러한 제2 지지 다리(25)의 선단에 형성된 제2 부착발(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링(30)을 제외한 낚싯줄 가이드(1)의 각 부분은 금속 시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착발(100)은 이하에서 '부착발(100)'로 참조될 수 있다.
가이드 링(30)은 원형이며, 그 안에 낚싯줄이 통과하는 원형의 개구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링(30)은 그 표면에서 낚싯줄과 접촉하며, 세라믹과 같은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링부(10)는 가이드 링(30)을 그 외주면 전체에 걸쳐서 유지하도록 원형의 개구가 형성된 링 형상을 가진다. 가이드 링(30)은 그 외주면에서 링부(10)의 내주면에 끼워맞춤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부착발(100)은 부착발(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부에 단차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110)는 부착발(100)의 길이방향(LD)에 직교하는 폭방향(WD)의 단면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110)는 부착발(100)의 양 측부에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차부(110)는 부착발(100)의 중앙 부분(120)을 사이에 두고 양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b를 참고하면, 단차부(110)는 부착발(100)의 측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단차부(110)는 부착발(100)의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LD)과 나란하도록 연장하고 지지 다리(2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벌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단차부(110)의 폭(W)은 부착발(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단차부(110)의 폭(W)은 부착발(100)의 선단에서부터 중간 부분으로 가면서 확장되고, 지지 다리(2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다시 좁아질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C-C 선은 부착발(100)에서 단차부(110)의 폭(W)이 가장 큰 부분에 표시되어 있다. 도 5c를 참고하면, 부착발(100)의 단면은 전도된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단차부(110)는 중앙 부분(120)으로부터 꺾이면서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c를 참고하면, 단차부(110)의 상면(111)은 중앙 부분(120)의 상면(121)에 비하여 높이방향(HD)을 기준으로 더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중앙 부분(120)의 측면(122)은 단차부(110)의 상면(111)과 중앙 부분(120)의 상면(121)을 이어주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앙 부분(120)의 측면(122)은 대체로 높이방향(HD)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차부(110)의 측면(112)은 높이방향(HD)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앙 부분(120)의 상면(121)은 대체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단차부(110)의 하면(102)은 대체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단차부(110)의 상면(111)도 대체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단차부(110)의 하면(102)은 관상대(1100)에 밀착하도록 관상대(1100)의 소정 부분의 직경과 대응하는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도 5d 및 도 5e를 참고하면, 부착발(100)에는 단차부(110)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가공 경화부(131, 132)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110)는 압입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부(110)는 이를 구성하는 금속 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가공경화를 일으킬 때까지 행해질 수 있다. 제1 가공 경화부(131)는 중앙 부분(120)의 상측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가공 경화부(132)는 단차부(110)가 시작되는 코너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공 경화부(131, 132)는 단차부(110)의 길이방향(LD)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다른 부분보다 높은 항복응력(yield stress) 또는 내력(proof stress)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발(100)의 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5d를 참고하면, 제1 지지 다리(20)는 높이방향(HD)을 기준으로 링부(10)의 후면(11)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시작되어 하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 다리(20)는 길이방향(LD)에 대하여 완만하게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지지 다리(25)는 높이방향(HD)을 기준으로 링부(10)의 하측 부분으로부터 시작되어 하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 다리(25)와 제2 부착발(50)은 90°보다 작은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도 5e를 참고하면, 제1 지지 다리(20)의 단면(23)은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질 경우에 비하여, 지지 다리(20)의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제1 지지 다리(20)는 폭방향을 기준으로 링부(10)의 양 측으로부터 각각 두 개의 갈래로 연장될 수 있다. 두 갈래로 구성된 제1 지지 다리(20)는 부착발(100)과 연결되는 지점에서 합쳐질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낚싯줄 가이드(1)의 부착발(100) 부분을 B-B 선으로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접착제(300)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낚싯줄 가이드(1)를 도 3a에 도시된 낚싯줄 가이드(1A)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는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A)에 비하여, 부착발(100)의 중앙 부분(120)의 폭(Wt)의 불거짐과 숄더부(150)의 두드러짐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부착발(100)에 가공 경화부가 형성되어 강도 향상을 실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발(100)은,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A)의 상면(101A)의 폭(WA)에 비하여 중앙 부분(120)의 폭(Wt)의 불거짐이 작고, 숄더부(150)가 두드러지지 않는다. 또한, 단차부(110)를 둘러싸는 감기실(200)의 양 측부으로부터 연장된 선(L1)과 폭방향(WD)과 평행한 선(L2) 사이의 각도(α)가 둔각을 이루게 되어, 완만한 구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부착발(100)과 관상대(11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부착발(100)의 중앙 부분(120)의 모서리(151)와 단차부(110)의 모서리(113)를 연결한 선(L1)과 폭방향(WD)과 평행한 선(L2) 사이의 각도(α) 는 110° 내지 150° 일 수 있다. 상기 각도(α)는 도 6에 도시된 감기실(200)이 형성하는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적용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각도(α)의 완만한 구배 범위는 110° 내지 150°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기실(200)의 모서리 부분의 향상된 미관성을 달성할 수 있다. 만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각도(α)가 위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실용적인 유효범위를 벗어나게 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의 부착발(100)에 단차부(110)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단차부(110)는 압입 가공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압입 가공은, 다른 표현으로 '크러싱 가공(crushing)'으로 참조될 수 있다. 압입 가공은, 부착발(100)의 프리폼(preform) 형상(100B)의 적어도 일부를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프레스(P)로 압입하여 눌러찌부러트리는 가공을 의미할 수 있다. 압입 가공은 도 8(a)에서부터 도 8(c)에 도시된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8(b) 및 8(c)에 도시된 이점 쇄선은 프리폼 형상(100B)을 도시한 것이다.
부착발(100)의 프리폼 형상(100B)의 양측 상부에 프레스(P)에 의한 압입 가공을 행하여, 단차부(110)를 마련할 수 있다. 압입 가공에 의해 부착발(100)에 단차부(110)를 형성한 후, 감기실(200)의 감기를 마친 후의 외관은, 완만한 구배(경사)를 형성하고, 모서리가 두드러지지 않게 되어, 미관상의 요구를 만족할 수있다.
단차부(110)를 형성하기 위한 압입 가공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를 참고하면, 먼저, 가공전에는 프레스(P)를 부착발(100)의 프리폼 형상(100B)의 상측에 정렬한다. 다음으로, 도 8(b)를 참고하면, 가공 도중에는 프레스(P)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프리폼 형상(100B)의 양 측부(110B)를 찌그러트린다. 이 과정에서, 양 측부(110B)는 프레스(P)에 의해 화살표 방향(일점 쇄선으로 도시)으로 가압되면서 높이방향(HD)으로의 높이는 낮아지고 폭방향(WD)으로 길이는 늘어나게 된다. 이후, 프레스(P)의 내측면(P10)과 프리폼 형상(100B)의 중앙 부분(120B)의 상면(121B)이 접촉할 때까지 프레스(P)의 가압은 지속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 8(c)를 참고하면, 부착발(100)에 단차부(110)의 형성이 완성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c)를 참고하면, 단차부가 없는 가공 전 프리폼 형상(100B)과, 가공 후 단차부(110)가 형성된 부착발(100)의 형상을 비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입 가공을 통해, 가공 전 프리폼 형상(100B)의 재료에서 높이가 낮아진 부분에 대응하도록 폭방향(WD)으로 연장된 단차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입 가공에 의하여 단차부(110)에 가공경화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부착발(100)의 강도 및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의 부착발(1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여, 단차부(110)의 실용적인 유효범위를 설명할 수 있다.
하나의 단차부(110)(즉, 부착발(100)의 폭 방향(WD) 일 측에 형성된 단차부(110))의 폭(W)은 폭방향(WD)을 기준으로 부착발(100)의 전체 폭(WT)의 15 내지 22.5%일 수 있다. 즉, 압입 가공에 의하여 폭방향(WD)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단차부(110)의 압입 가공 폭(W)은 부착발(100)의 전체 폭(WT)의 15 내지 22.5%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부착발(100)의 압입 가공 깊이(D)는 부착발(100)의 폭방향 단면의 높이방향(HD)을 기준으로 부착발(100)의 중앙 부분(120)의 폭방향(WD) 중심 위치의 두께(T)의 30 내지 50%일 수 있다. 두께(T)는 중앙 부분(120)의 상면(121)의 폭방향(WD) 중심 지점(C1)과, 단차부(110)의 하면(102)의 폭방향 (WD)의 중심 지점(C2)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압입 가공에 의하여 높이방향(HD)로 압착되는 단차부(110)의 압입 가공 깊이(D)는, 부착발(100)의 중앙 부분(120)의 중심 위치의 두께(T)의 30 내지 50%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부착발(100)에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차부(110)를 구성하는 경우, 감기실(200)의 감아붙임 후에 구배를 완만하게 할 수 있고, 부착발(100)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차부(110)의 최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나의 단차부(110)의 압입 가공 폭(W)은 부착발(100)의 전체 폭(WT)의 22.5%일 때 최적의 실시예(즉, 실용적인 피크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압입 가공 깊이(D)는 부착발(100)의 최대 두께(T)의 50%일 때 최적의 실시예(즉, 실용적인 피크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단차부(110)의 폭이 전체 폭(WT)의 22.5%인 경우, 전체 압입 가공 폭(2W)(즉, 부착발(100)의 양 측에 형성된 2개의 단차부(110)의 폭(W)의 총 합)은 이의 2배인 전체 폭(WT)의 45%가 될 수 있다.
도 10은 부착발(100)에 대한 압입 가공 후에 부착발(100)의 강도 향상률을 설명하기 위한 실험 데이터이다. 도 10의 표에서, 제1 행은 이에 해당하는 전체 압입 가공 폭(2W)을 나타내고, 제1 열은 이에 해당하는 압입 가공 깊이(D)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6행 및 제3열에 표시된 104.1%는 전체 압입 가공 폭(2W)이 전체 폭(WT)의 45%이고, 압입 가공 깊이(D)가 최대 두께(T)의 50%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11은 부착발(100)에 대한 압입 가공 후에 부착발의 강도 향상률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1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X축은 압입 가공 깊이(D)를 나타내고, Y축은 부착발(100)의 강도 향상률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고하면, 단차부(110)의 압입 가공 깊이(D)가 30 내지 50% 사이의 범위를 가지는 경우, 실용적인 유효범위에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고하면, 부착발(100)의 압입 가공 깊이(D)가 50 % 이상에서도 0.2 내지 0.3 %의 근소한 강도 향상이 있을 수 있으나, 프레스 과정에서의 불량을 저감하고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압입 가공 깊이(D)는 50 %까지가 실용적인 유효 범위가 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그래프를 참고하면, 전체 압입 가공 폭(2W)이 30% 또는 60%인 경우에 비하여 전체 압입 가공 폭(2W)이 45%인 경우가 부착발(100)의 강도가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압입 가공 깊이(D)가 50 %일 때, 부착발(100)의 강도는 실용적인 피크치인 104.1%가 될 수 있다.
도 12는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C, 1D)의 부착발(100C, 100D)가 시작되는 경계(BP1, BP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부착발(100)과 지지 다리(20C, 20D) 사이의 감기실 감기 멈춤 표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a)와 도 12(b)에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낚싯줄 가이드(1C, 1D)가 도시되어 있다. 부착발(100C, 100D)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낚싯줄 가이드(1C, 1D)의 부착발(100C, 100D)은 관상대(1100)와 함께 감기실(200)을 감아붙여 에폭시 등의 접착제(300)로 고정될 수 있다. 감기실(200)은 부착발(100C, 100D)의 선단의 앞쪽으로부터 감아붙이기 시작할 수 있고, 상기 감아붙임은 부착발(100C, 100D)과 지지 다리(20C, 20D)의 경계(BP1, BP2)에서 완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낚싯줄 가이드(1C, 1D)의 지지 다리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당히 누워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 만일, 경계(BP1, BP2)를 나타내는 표시가 명확하게 나타나 있지 않다면, 작업자가 부착발을 넘어서 지지 다리의 부분에도 감기실을 감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지 다리에 변형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계(BP1, BP2)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지지 다리(20C, 20D)의 디자인에 제한이 생기고, 프레스 과정에서 부착발(100C, 100D)의 상면 부분에 경계선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한편, 지지 다리(20C, 20D)와 감기실(200)이 감기는 부착발(100C, 100D)의 일부는 응력이 집중되므로, 구조적으로 응력 균열이 발생하기 쉬우며, 부착발(100C, 100D)과 지지 다리(20C, 20D)의 경계(BP1, BP2)를 이루는 부분에 경계선을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감기실(200)를 감아붙이는 공정에서 안정된 감기실(200)의 길이로 감아붙이여야 높은 품질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부착발(100C, 100D)에 경계(분할 위치)가 명시되어 있지 않으면, 작업자가 감아붙임을 종료하는 위치를 일정하게 같게 할 수 없어, 과도한 감기에 의한 미관 손실이나 감기 부족에 의한 고정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방법으로 적절한 위치에 경계(분할 위치)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에서 부착발(100)이 시작되는 경계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발(100)의 양측 상면에 프레스에 의한 압입 가공을 넣어, 단차부(110)를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차부(110)가 시작하는 지점이 감아붙임이 종료되는 경계선(BL)이 될 수 있고, 부착발(100)과 지지 다리(20)의 경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압입 가공에 의하여 부착발(100)에 단차부(110)가 형성되므로, 경계(분할 위치)가 명확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한 방식으로 감기실(200)의 감기를 마치는 완료 위치를 일정하게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과도한 감기에 의한 미관의 손실이나, 감기실(200)의 감기 부족에 의한 고정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A)를 감은 감기실(200)에 접착제(300)가 침투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낚싯줄 가이드(1A)는, 부착발(100A)에 감기실를 감아붙여, 에폭시 등의 접착제(300)로 충분한 강도로 고정될 수 있다. 접착제(300)의 도포 시, 도포되는 표면에 접착제(300)의 치우침이나 요철을 적게하기 위해, 보통 얇게 도포되도록 접착을 행하고 있지만, 접착제(300)를 얇게 도포하면 접착력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낚싯대의 휨에 의한 접착제(300)의 신축이 반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제(300)의 백화나 균열이 발생하게 되어 낚싯대의 장식성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접착제(300)의 백화나 균열을 막기 위해, 감기실(200)이 둘러싸는 공간의 내부로 접착제(300)를 많이 침투시킬 수 있도록, 접착 공정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접착 공정 과정에서, 접착제(300)가 도포되는 정도가 차이나는 것을 의미하는 공정 편차에 의해 접착제(300)가 감기실(200)이 둘러싸는 공간 내부로의 침투하는 양이 부족하게 되어 접착력 부족이 발생할 수 있다. 그 밖에, 접착제(300)의 침투 부족 요인에는, 감기실의 재질이나 점도가 높은 접착제의 사용 등이 고려될 수 있고, 그러한 저해 요인이 있는 중에서도 감기실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접착제를 침투시킬 확률을 높일 필요가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감은 감기실에 접착제가 침투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낚싯줄 가이드(1A)의 경우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A)와는 달리,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는 부착발(100)의 양측 상면에 프레스에 의한 압입 가공을 행하여, 단차부(110)를 마련할 수 있다.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A)에는 부착발(100A)의 상면(101A)과 감기실(200)의 내면 사이에 접착제(300)가 침투할 수 있는 공간이 없고, 부착발(100A)의 측면(103A)과 감기실(200)의 내면 사이의 공간(SA)에만 접착제(300)가 채워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의 부착발(100)에는 단차부(110)가 형성되므로, 중앙 부분(120)의 측면(122), 단차부(110)의 상면(111) 및 감기실(200)의 내면 사이의 제2 공간(S2) 및 단차부(110)의 측면(112), 관상대(1100)의 외주면 및 감기실(200)의 내면 사이의 제1 공간(S1)에 접착제(300)가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는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A)와 달리 접착제(300)가 침투할 수 없는 부분이 감소되어, 접착제(300)가 침투할 수 있는 공간 (단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발(100)에서 감기실(200)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에는 압입 가공으로 단차부(110)가 형성되므로, 비교예에서는 없었던 접착제(300)가 침투할 수 있는 제2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감기실(200)의 내면에 접착제를 침투시키는 것이 보다 쉽게 될 수 있다. 또한, 압입 가공에 의해, 부착발(100)의 중앙 부분(120)의 폭이 좁아지게 되어, 접착력이 약한 범위가 감소될 수 있다. 즉, 단차부(110)에 의하여 새로운 제2 공간(S2)이 형성되므로, 접착제(300)가 침투할 수 있는 총 공간의 단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6은 낚싯줄 가이드의 뽑힘 강도를 평가하는 테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테스트에서 사용되는 시험편(TPA, TP1)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고하여 설명되는 테스트를 통해 단차부가 없는 부착발 및 단차부가 있는 부착발 사이에 뽑힘 강도의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이러한 테스트를 통해 단차부가 있는 부착발의 뽑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테스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험편(TP)을 금속 재질의 검증용 축(ST) 에 감기실(200)을 감고 에폭시 접착제(300)로 코팅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검증용 축(ST)을 지그(J)로 고정한 상태에서, 와이어(WR)의 일 단을 시험편(TP)의 홀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하중시험기가 와이어(WR)의 타 단을 화살표(L)로 표시된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테스트를 진행하고 테스트 결과에 따라 부착발의 뽑힘 강도를 비교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도 16에 도시된 시험편(TP)은 2 종류의 시험편(TPA, TP1)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서로 단차부(110)의 유무에만 차이가 있다. 비교예에 따른 시험편(TPA)의 부착발(100A)에는 단차부가 없고, 실시예에 따른 시험편(TP1)의 부착발(100)에는 단차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른 시험편(TP1)의 단차부(110)에서 전체 압입 가공 폭(2W)은 45%이고 압입 가공 깊이(D)는 50%이므로, 실용적인 유효범위에 해당한다.
2 종류의 시험편(TPA, TP1)은 부착발(100A, 100)의 두께, 폭 및 길이에서 모두 동일 조건(폭: 5.0mm, 길이: 9.0mm)을 가진다. 2 종류의 시험편(TPA, TP1)의 바디(180A, 180)에는 홀(181A, 181)이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WR)의 일 단을 홀(181A, 181)로 통과시켜서 와이어(WR)를 시험편(TPA, TP1)에 연결할 수 있다.
도 17의 제4행을 참고하면, 2 종류의 시험편(TPA, TP1)에 대한 뽑히는 힘(시험편의 부착발이 감기실과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검증용 축으로부터 뽑히게 되는 힘)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예에 따른 시험편(TPA)으로 테스트한 뽑히는 힘은 269.97N이고, 실시예에 따른 시험편(TP1)으로 테스트한 뽑히는 힘은 295.02N이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시험편(TP1)은 비교예에 따른 시험편(TPA)에 비하여 뽑히는 힘이 9.28%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시험편(TPA, TP1)으로 진행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X축은 와이어(WR)의 스트로크를 의미하며 단위는 mm이다. Y축은 와이어(WR)가 시험편(TPA, TP1)을 당기는 힘, 즉 시험력을 의미하며, 단위는 N이다. 와이어(WR)의 스트로크가 증가하면 감기실(200)과 접착제(300)로부터의 반작용에 의하여 시험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후, 시험편(TPA, TP1)의 감기실(200)과 접착제(300)로부터 분리되어 부착발이 뽑히기 시작한 다음에는 반작용이 약해지므로 시험력이 감소하게 된다.
도 18을 참고하면, 시험력이 가장 큰 지점이 뽑히는 힘(시험편(TPA): 269.97N, 시험편(TP1): 295.02N)이 될 수 있다. 또한, 뽑히는 힘의 이전 영역에서 TP1에 따른 시험력이 TPA에 따른 시험력보다 대체로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단차부가 있는 시험편에서의 뽑히는 힘이 단차부가 없는 시험편에서의 뽑히는 힘보다 더 큰 것이 확인되므로, 단차부가 있는 경우에 부착발이 감기실과 접착제에 의하여 단차부가 없는 경우보다 관상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부착발을 갖는 더블-풋(double-foot) 낚싯줄 가이드(1)에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본 개시에 따른 단차부의 구성은 하나의 부착발을 갖는 싱글-풋(single-foot) 낚싯줄 가이드(2)에도 적용될 수 있다.
낚싯줄 가이드(2)는 링부(40) 및 이로부터 연장되는 하나의 부착발(20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 가이드(2)에는 링부(40)와 부착발(205) 사이에 지지 다리(70)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링부(40)에는 가이드 링(60)이 끼워질 수 있다. 부착발(205)은 중앙 부분(220)을 중심으로 양 측에 단차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210)는 프레스에 의하여 부착발(205)의 상면을 압입하는 압입 가공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2: 낚싯줄 가이드
10, 40: 링부
20, 50: 지지 다리
100, 200: 부착발
110, 210: 단차부
200: 감기실
300: 접착제
1000: 낚싯대
1100: 관상대

Claims (10)

  1. 낚싯줄이 통과하는 링부로부터 연장되어 낚싯대에 부착되는 부착발을 포함하는 낚시줄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부착발은 상기 부착발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의 단면 양측에 각각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부착발의 폭방향 단면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부착발의 중앙 부분보다 낮은 높이를 갖고,
    상기 부착발의 중앙 부분은 상기 부착발의 폭방향 단면의 높이방향과 나란한 측면을 구비하는,
    낚싯줄 가이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부착발의 전체 폭의 15 내지 22.5%인,
    낚싯줄 가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깊이는 상기 부착발의 폭방향 단면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기 부착발의 중앙 부분의 폭방향 중심 위치의 두께의 30 내지 50%인,
    낚싯줄 가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와 상기 부착발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 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착발은 금속 재료로 구성되는,
    낚싯줄 가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부착발의 하면 부분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부착발의 상면 부분을 상기 부착발의 폭방향 단면의 높이방향을 따라 압착하는 압입 가공에 의해,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낚싯줄 가이드.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와,
    상기 낚싯줄 가이드가 부착되는 관상대와,
    상기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발 및 상기 부착발에 인접한 상기 관상대의 외주부를 감도록 구성된 감기실과,
    상기 감기실 상에 도포되어 경화되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낚싯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일단은 상기 부착발의 일단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의 타단은 상기 부착발의 선단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감기실은 상기 부착발의 선단보다 후방에 위치한 상기 관상대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단차부의 일단까지 감기도록 구성된,
    낚싯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발의 중앙 부분의 모서리와 상기 단차부의 모서리를 연결한 선과 상기 폭방향 사이의 각도는 110° 내지 150° 사이인,
    낚싯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기실의 상기 부착발의 중앙 부분의 모서리와 상기 단차부의 모서리를 지나가는 부분과 상기 단차부의 상면 사이의 공간은 상기 접착제로 채워지는,
    낚싯대.
KR1020180167813A 2018-08-03 2018-12-21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KR102006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27772A JP6664723B2 (ja) 2018-08-03 2019-07-09 釣り糸ガイド及びこれを備える釣り竿
US16/507,080 US11191258B2 (en) 2018-08-03 2019-07-10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including same
CN201910699367.XA CN110786296B (zh) 2018-08-03 2019-07-31 钓线导引件及包括该钓线导引件的钓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90693 2018-08-03
KR1020180090693 2018-08-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124B1 true KR102006124B1 (ko) 2019-08-01

Family

ID=67615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813A KR102006124B1 (ko) 2018-08-03 2018-12-21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91258B2 (ko)
JP (1) JP6664723B2 (ko)
KR (1) KR102006124B1 (ko)
CN (1) CN1107862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799B1 (ko) * 2018-09-05 2019-08-05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및 낚싯줄 가이드용 블랭크
KR102262018B1 (ko) * 2020-03-10 2021-06-09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줄 가이드를 포함하는 낚싯대
JP1673382S (ko) * 2020-05-20 2020-11-24
JP1688148S (ko) * 2020-09-30 2021-06-21
JP7316260B2 (ja) * 2020-10-28 2023-07-2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のガイド構造及び釣糸ガイド
JP7248336B2 (ja) * 2021-02-26 2023-03-29 富士工業株式会社 付属品固定構造及び付属品固定方法
USD994830S1 (en) * 2021-03-08 2023-08-08 Globeride, Inc. Fishing line guide r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448A (ja) 1982-07-23 1984-01-3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移動局と固定局との最適化送受信方法
KR20000034915A (ko) * 1998-11-13 2000-06-26 오오무라 류이치 도사환 및 도사환부착구조
JP4652136B2 (ja) 2005-06-09 2011-03-16 富士工業株式会社 ラインガイド用フレームおよび釣竿
JP2017085916A (ja) * 2015-11-04 2017-05-25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鍛造ガイドフレー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9735A (en) * 1971-08-02 1973-11-06 Plas Steel Products Inc Line guide attachment for fishing rods
US3760524A (en) * 1972-03-07 1973-09-25 Columbia Prod Co Fishing line guide fastening and method of securing a fishing line guide
JPS5919448B2 (ja) 1978-03-03 1984-05-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避雷器
JPS58158119A (ja) 1982-03-17 1983-09-20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用導糸環
JPH08332003A (ja) 1995-06-06 1996-12-17 Ryobi Ltd 中通し竿のガイド装置
US6154998A (en) 1995-08-31 2000-12-05 Daiwa Seiko, Inc. Inter-line fishing rod with improved fishline lead-in portion
JP2000236783A (ja) 1999-02-18 2000-09-05 Mamiya Op Co Ltd 釣 竿
JP2003284455A (ja) 2002-03-28 2003-10-07 Daiwa Seiko Inc 釣 竿
JP3978095B2 (ja) 2002-07-26 2007-09-1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
US20050172535A1 (en) * 2004-02-06 2005-08-11 Tsung-Seng Lee Line guide for fishing rods
JP2007215497A (ja) * 2006-02-17 2007-08-30 Fuji Kogyo Co Ltd 釣竿の付属具
US20080005953A1 (en) 2006-07-07 2008-01-10 Anderson Tackle Company Line guides for fishing rods
JP5777286B2 (ja) 2010-03-14 2015-09-0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用ラインガイド及び釣り竿
JP5339539B2 (ja) * 2010-06-21 2013-11-1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JP5460544B2 (ja) * 2010-09-30 2014-04-0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及び釣竿
CN202184058U (zh) 2011-07-19 2012-04-11 孟丽丽 一种钓线导眼支架
KR101391116B1 (ko) 2013-07-23 2014-04-30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낚싯대
KR101524407B1 (ko) 2014-05-23 2015-05-29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및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JP6553455B2 (ja) * 2015-09-02 2019-07-31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釣竿、及び、ガイドフレーム
JP6527057B2 (ja) * 2015-09-02 2019-06-05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ガイドフレーム
KR101696158B1 (ko) 2016-04-01 2017-01-13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및 낚싯줄 가이드용 블랭크
JP6760761B2 (ja) 2016-05-18 2020-09-23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糸用ガイド及び釣り糸用ガイドを備えた釣り竿
CN112601455A (zh) * 2018-06-28 2021-04-02 古洛布莱株式会社 具有安装了安装部件的竿体的钓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448A (ja) 1982-07-23 1984-01-3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移動局と固定局との最適化送受信方法
KR20000034915A (ko) * 1998-11-13 2000-06-26 오오무라 류이치 도사환 및 도사환부착구조
JP4652136B2 (ja) 2005-06-09 2011-03-16 富士工業株式会社 ラインガイド用フレームおよび釣竿
JP2017085916A (ja) * 2015-11-04 2017-05-25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鍛造ガイドフレ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91258B2 (en) 2021-12-07
JP6664723B2 (ja) 2020-03-13
CN110786296A (zh) 2020-02-14
US20200037589A1 (en) 2020-02-06
CN110786296B (zh) 2022-01-25
JP2020018292A (ja)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124B1 (ko)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AU2006202464B2 (en) Frame for line guide and fishing rod
KR101524407B1 (ko) 낚싯줄 가이드,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및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KR101696158B1 (ko) 낚싯줄 가이드,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및 낚싯줄 가이드용 블랭크
CA2774285C (en) A component, especially a control arm for a vehicle
KR20110109999A (ko) 낚싯줄 가이드 및 그 제조 방법
NZ748254A (en) Shear wall performance improving fastener
JP7017817B2 (ja) 釣り糸ガイド及び釣り竿
US20210112795A1 (en) Fishing line guide
EP2886731A1 (en) Piece for us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thereof
EP374121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ishing line guide,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including same
JP2004261953A (ja) コネクチングロッドの加工デバイスと加工方法および製造されたコネクチングロッド
JPH08107737A (ja) 中通し竿
EP3741211B1 (en)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equipped with same
JP4060932B2 (ja) ミシン針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930798B2 (en) Fishing rod comprising multiple jointed rod bodies
JP2010029918A (ja) Cvtベルト用エレメントの打抜き加工方法及び打抜き加工用金型
CN110268125A (zh) 成型金属纤维
KR100507588B1 (ko) 낚싯대와 그 제조 방법
CN117860355A (zh) 腰麻穿刺针及制造方法
JP2020110122A (ja) インロー継式及び並継式の釣竿
JPH02191477A (ja)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JP2018050501A (ja) 釣糸ガイド及び当該釣糸ガイドを備える釣竿
JP2002105807A (ja) 輪 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