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389B1 - 축전 장치 - Google Patents

축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389B1
KR102004389B1 KR1020120107170A KR20120107170A KR102004389B1 KR 102004389 B1 KR102004389 B1 KR 102004389B1 KR 1020120107170 A KR1020120107170 A KR 1020120107170A KR 20120107170 A KR20120107170 A KR 20120107170A KR 102004389 B1 KR102004389 B1 KR 102004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ventilation
holder
portions
ventila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3982A (ko
Inventor
세이지 네모토
미노루 와타나베
요시히로 마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Publication of KR20130033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6Means within the gas flow to guide the flow around one or more cells, e.g. manifolds, baffles or other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축전(蓄電) 소자가 정렬된 상태로 배치되었을 때, 각각의 축전 소자를 양호한 밸런스로 냉각시킬 수 있는 축전 장치를 제공한다. 축전 장치는, 복수의 축전 소자를 지지하는 홀더를 구비한다. 축전 소자 간에 축전 소자 간 통기로가 형성된다. 홀더의 홀더 본체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벽부로서, 복수의 축전 소자 중 제1 방향의 끝에 있는 축전 소자에 외측으로부터 대향하는 적어도 1개의 벽부와,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벽부와 함께 형성되는 통기용 개방부로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개방된 통기용 개방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축전 장치{ELECTRIC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전지 셀[단(單) 전지]이나 커패시터 등의 축전(蓄電) 소자와, 축전 소자를 지지하는 홀더를 구비한 축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기기(機器)의 전력원으로서, 축전 장치의 한 형태인 전지 모듈이 제공되고 있다. 전지 모듈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단 전지와 복수의 단 전지를 지지하는 홀더를 구비한다.
복수의 단 전지는, 제1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인접하는 단 전지는,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배치된다. 이로써, 단 전지 사이에는,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관통된 전지 간 통기로(通氣路)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에는, 각종 타입이 있다. 예를 들면, 그 하나로서, 복수의 단 전지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 홀더 본체를 구비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홀더 본체는, 수용한 복수의 단 전지의 제1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필러(pillar)군을 구비한다. 한쌍의 필러군의 각각은, 제1 방향의 가장 끝에 있는 단 전지와만 대향하는 복수의 필러부에 의해 구성된다. 복수의 필러부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제1 방향으로 개방된 통기용 개방부가 제2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전지 모듈에 의하면, 전지 간 통기로에 기체(氣體)를 유통(流通)시키고, 또한 통기용 개방부에 기체를 유통시킴으로써, 복수의 단 전지를 냉각시킬 수 있어, 충방전에 따른 단 전지의 과잉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제1 방향의 가장 끝에 있는 단 전지와 대향하는 필러부는, 기체의 유통 방향(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필러부가 제2 방향에서의 기체의 원활한 유통을 저해한다. 즉, 필러부의 존재가 통기용 개방부 내에서 제2 방향으로 유통하는 기체의 압력 손실을 크게 하여 버린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전지 모듈에서는, 제1 방향의 가장 끝에 있는 단 전지가 효율적으로 냉각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 종류의 문제는, 단 전지에 한정되지 않고, 커패시터 등의 축전 소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일본공개특허 제2009―181896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복수의 축전 소자를 각각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축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장치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축전 소자와,
상기 복수의 축전 소자를 지지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복수의 축전 소자는, 제1 방향으로 정렬되고, 또한 인접한 축전 소자와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배치되고, 인접하는 축전 소자 간에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관통된 축전 소자 간 통기로를 형성하고,
홀더는, 복수의 축전 소자를 수용 가능한 홀더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 본체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벽부로서, 복수의 축전 소자 중 제1 방향의 가장 끝에 있는 축전 소자에 외측으로부터 대향하는 적어도 1개의 벽부와,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벽부와 함께 형성되는 통기용 개방부로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개방된 통기용 개방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의 축전 장치에 의하면, 적어도 1개의 벽부가 제1 방향의 가장 끝에 있는 축전 소자에 외측으로부터 대향한다. 따라서, 복수의 축전 소자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축전 소자 간 통기로에 기체를 유통시켰을 때, 기체는, 축전 소자 간 통기로의 양측에 있는 축전 소자를 따라 유통한다. 이로써, 복수의 축전 소자의 각각이 냉각된다. 또한, 통기용 개방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로써, 통기용 개방부에 기체를 유통시켰을 때, 통기용 개방부 내의 기체는, 어떤 흐름이 저해되지 않고, 제1 방향의 가장 끝에 있는 축전 소자의 외면을 따라 제2 방향으로 흐른다. 이 때, 제2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통기용 개방부를 유통하는 기체의 압력 손실이 커지지 않아, 통기용 개방부를 유통하는 기체는 제2 방향으로 원활하게 유통한다. 따라서, 통기용 개방부를 유통하는 기체에 의해 제1 방향의 가장 끝에 있는 축전 소자가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장치의 일 태양(態樣; aspect)으로서,
2개의 홀더 본체를 제1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한 상태에서, 한쪽의 홀더 본체의 벽부 및 통기용 개방부가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벽부 및 통기용 개방부와 마주보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복수의 축전 장치의 각각에서의 복수의 축전 소자의 각각이 제2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해 유통하는 기체에 의해 냉각된다.
이 경우,
한쪽의 홀더 본체의 벽부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통기용 개방부와 대향하고, 한쪽의 홀더 본체의 통기용 개방부가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벽부 중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복수의 축전 장치가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인접하는 축전 장치의 축전 소자 간에 벽부 중 적어도 일부가 개재(介在)된다. 따라서,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축전 장치에 제1 방향의 외력이 작용해도, 인접하는 축전 장치의 축전 소자끼리가 직접 쉽게 접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축전 장치끼리의 절연성이 높아진다.
또한 이 경우, 한쪽의 홀더 본체의 벽부가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통기용 개방부와 대향하고, 한쪽의 홀더 본체의 통기용 개방부가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벽부와 대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복수의 축전 장치가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인접하는 축전 장치의 축전 소자 간에 벽부가 개재된다. 따라서,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축전 장치에 제1 방향의 외력이 작용해도, 인접하는 축전 장치의 축전 소자끼리가 직접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접하는 축전 장치끼리의 절연성이 더욱 높아진다. 또한, 인접하는 축전 장치의 축전 소자 간에 이물질이 혼입되어 축전 소자 간이 단락(短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쪽의 홀더 본체의 벽부가 인접하는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통기용 개방부의 외측을 폐쇄하는 것에 의해,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통기용 개방부가 제1 방향으로 축전 소자측이 개방되면서 제2 방향으로 관통된 통기로로 된다. 또한, 한쪽의 홀더 본체의 통기용 개방부는, 인접하는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벽부에 의해 외측이 폐쇄되고, 제1 방향으로 축전 소자측이 개방되면서 제2 방향으로 관통된 통기로로 된다. 따라서, 통기용 개방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로가 지나치게 넓어지지 않아, 인접하는 축전 장치의 각각에 있어서, 제1 방향의 끝에 있는 축전 소자가 과도하게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벽부는, 제3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고,
통기용 개방부는, 각각이 복수의 벽부의 각각과 제3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복수 설치되고,
한쪽의 홀더 본체의 복수의 벽부의 각각이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복수의 통기용 개방부의 각각과 대향하고, 한쪽의 홀더 본체의 복수의 통기용 개방부의 각각이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복수의 벽부의 각각과 대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한쪽의 홀더 본체의 복수의 벽부의 각각이 인접하는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복수의 통기용 개방부의 각각의 외측을 폐쇄하는 것에 의해,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복수의 통기용 개방부의 각각이 제1 방향으로 축전 소자측이 개방되면서 제2 방향으로 관통된 통기로로 된다. 또한, 한쪽의 홀더 본체의 복수의 통기용 개방부의 각각은, 인접하는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복수의 벽부에 의해 외측이 폐쇄되고, 제1 방향으로 축전 소자측이 개방되면서 제2 방향으로 관통된 통기로로 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한쪽의 축전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통기로가 제3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인접하는 다른 쪽의 축전 장치에 있어서도, 복수의 통기로가 제3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축전 장치의 각각에 있어서, 제1 방향의 가장 끝에 있는 축전 소자에 대한 제3 방향으로의 냉각의 치우침이 없어, 축전 소자 전체를 균등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장치의 다른 태양으로서,
벽부 및 통기용 개방부는, 복수의 축전 소자의 제1 방향의 양측의 각각에 설치되고,
복수의 축전 소자 중 제1 방향의 양단에 있는 2개의 축전 소자 중 한쪽의 축전 소자와 대향하는 벽부 및 통기용 개방부와, 2개의 축전 소자 중 다른 쪽의 축전 소자와 대향하는 벽부 및 통기용 개방부는, 제3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위치가 어긋나도록 형성되고,
한쪽의 축전 소자와 대향하는 벽부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쪽의 축전 소자와 대향하는 통기용 개방부와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고, 한쪽의 축전 소자와 대향하는 통기용 개방부가 다른 쪽의 축전 소자와 대향하는 벽부 중 적어도 일부와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구성의 홀더 본체를 구비한 축전 장치가 복수 제1 방향으로 정렬될 때, 인접하는 축전 장치의 중 한쪽의 축전 장치에 있어서의 양단에 있는 2개의 축전 소자 중 한쪽의 축전 소자와 대향하는 벽부 및 통기용 개방부와, 다른 쪽의 축전 장치에 있어서의 양단에 있는 2개의 축전 소자 중 다른 쪽의 축전 소자와 대향하는 벽부 및 통기용 개방부를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배치함으로써, 한쪽의 홀더 본체의 벽부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통기용 개방부와 대향하고, 한쪽의 홀더 본체의 통기용 개방부가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벽부 중 적어도 일부와 대향한다. 따라서, 복수의 축전 장치를 배열하여 배치하는 데 있어서, 복수 종류의 홀더 본체를 제작하지 않고, 인접하는 홀더 본체의 벽부와 통기용 개방부를 대응시킨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로써, 홀더 본체의 제작비, 나아가서는 축전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장치의 다른 태양으로서,
한쪽의 홀더 본체의 통기용 개방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로의 제2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斷面績)과,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통기용 개방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로의 제2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이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인접하는 축전 장치의 중 한쪽의 홀더 본체의 통기용 개방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로를 유통하는 기체의 유량과,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통기용 개방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로를 유통하는 기체의 유량을 균일 또는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인접하는 축전 장치의 축전 소자를 동등 또는 거의 동등한 조건 하에서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축전 장치의 각각에서의 복수의 축전 소자를 같은 조건 하에서 냉각시킬 수 있어, 안정된 전력 공급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장치의 또 다른 태양으로서,
통기용 개방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로의 제2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과, 축전 소자 간 통기로의 제2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이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각각의 통기로를 유통하는 기체의 유량이 같거나 또는 거의 같아진다. 따라서, 축전 장치에 있어서의 복수의 축전 소자의 모두를 같거나 또는 거의 같은 조건 하에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장치의 다른 태양으로서,
복수의 축전 소자 중 제1 방향의 중앙에 있는 축전 소자 간 통기로의 제2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이 통기용 개방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로의 제2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축전 장치의 중앙에 있는 축전 소자 간 통기로를 유통하는 기체의 유량이 통기용 개방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로를 유통하는 기체의 유량보다 많아진다. 중앙에 있는 축전 소자가 온도 상승하기 쉬운 축전 장치에 대한 대책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장치의 또 다른 태양으로서,
축전 소자 간 통기로의 제2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이 통기용 개방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로의 제2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각각의 축전 소자 간 통기로를 유통하는 기체의 유량이 통기용 개방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로를 유통하는 기체의 유량보다 적어질뿐, 축전 소자 간에 이물질이 혼입되어 축전 소자 간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서,
홀더는, 홀더 본체에 수용된 복수의 축전 소자 상에 배치되는 홀드 부재를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홀드 부재에 의해, 복수의 축전 소자의 제3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축전 장치는, 진동이 발생되는 기기에 전력원으로서 채용되어도, 복수의 축전 소자를 적정한 배치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축전 소자를 각각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의 단 전지의 설명도로서, 도 3의 (a)는, 단 전지의 평면도이며, 도 3의 (b)는, 단 전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의 단 전지 및 전지 간 통기로의 배치에 관한 설명도로서, 모듈 부재 및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의 홀더 본체의 사시도로서, 도 5의 (a)는, X 방향 및 Y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본 홀더 본체의 사시도이며, 도 5의 (b)는, X 방향 및 Y 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본 홀더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의 홀드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이 2개 배열된 상태의 Y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의 I―I선 단면도로서, 제1 모듈 간 통기로에서의 기체의 유통 상태를 포함하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7의 II―II선 단면도로서, 제2 모듈 간 통기로에서의 기체의 유통 상태를 포함하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 모듈(1)은, 복수의 단 전지(2, …)와, 복수의 단 전지(2, …)를 지지하는 홀더(3)를 구비하고 있다. 전지 모듈(1)은, 단 전지(2, …)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버스 바(bus bar)(4), 및 복수의 단 전지(2, …)를 유지한 홀더(3)를 덮는 커버(5)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단 전지(2, …)의 각각에는, 외관이 직육면체형의 각형(角形) 전지나, 외관 원기둥형의 환형(環形) 전지가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 전지(2)에는, 각형 전지가 채용되고 있다.
단 전지(2)는,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0)와 케이스(20) 내에 수용된 발전 요소(要素)(도시하지 않음)와, 각각이 발전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케이스(20)의 외면 상에 배치된 한쌍의 외부 단자(21, 21)를 구비한다.
케이스(20)는, 단 전지의 타입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 전지(2)가 전술한 바와 같이 각형 전지이므로, 케이스(20)는, 외관이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케이스(20)는, 제1 방향[도 3의 (a)에 나타낸 직교축 중 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제1 평판부(200, 200)와, 한쌍의 제1 평판부(200, 200) 사이에서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도시된 직교축 중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제2 평판부(201, 201)와, 한쌍의 제1 평판부(200, 200) 사이 및 한쌍의 제2 평판부(201, 201) 사이에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각각과 직교하는 제3 방향[도 3의 (b)에 나타낸 직교축 중 Z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제3 평판부(202, 202)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는 데 있어서, 편의 상, 제1 방향을 X 방향이라고 하고, 제2 방향을 Y 방향이라고 하고, 제3 방향을 Z 방향이라고 한다.
케이스(20)는, X 방향으로 편평하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쌍의 제1 평판부(200, 200)의 각각은, Y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제2 평판부(201, 201)의 각각은, X 방향의 길이가 제1 평판부(200)에서의 Y 방향의 길이보다 짧고, Z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한쌍의 제3 평판부(202, 202)의 각각은, Y 방향의 길이가 제1 평판부(200)의 Y 방향의 길이와 일치하고, X 방향의 길이가 제2 평판부(201)의 X 방향의 길이와 일치하고, Y 방향으로 길이를 이루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발전 요소는,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세퍼레이터(separator)와,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중첩된 플러스극판 및 마이너스극판을 포함한다. 한쪽의 외부 단자(21)는, 발전 요소의 플러스극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다른 쪽의 외부 단자(21)는, 발전 요소의 마이너스극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한쪽의 외부 단자(21)는, 플러스극 단자라고 하고, 다른 쪽의 외부 단자(21)는, 마이너스극 단자라고 한다.
한쌍의 외부 단자(21, 21)는, 한쪽의 제3 평판부(202)의 외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3 평판부(202)는, Y 방향으로 길이를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한쌍의 외부 단자(21, 21)는,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외부 단자(21)에는, 전기적인 부하를 접속하는 데 있어서 너트 N을 나사 결합시키는 볼트 단자가 채용되고 있다(도 2 참조).
복수의 단 전지(2, …)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X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복수의 단 전지(2, …)는, 각각의 제2 평판부(201, …)가 동일한 가상면(假想面) VS1 상에 위치하고(도 4 참조), 각각의 제3 평판부(202, …)가 동일한 가상면 VS2 상에 위치하도록(도 2 참조), X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단 전지(2, …)의 각각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제1 평판부(200, 200)를 인접하는 단 전지(2, 2)의 각각의 제1 평판부(200)에 대향시킨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단 전지(2, …)의 각각은, 한쌍의 외부 단자(21, 21)를 Z 방향의 한쪽(상방측)에 위치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단 전지(2, 2)는, X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배치된다. 이로써, 단 전지(2, 2) 사이에는, Y 방향으로 관통된 통기로(이하, 전지 간 통기로라고 함) R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복수의 단 전지(2, …)가 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인접하는 단 전지(2, 2)의 제1 평판부(200, 200) 사이에 냉각용의 기체 G를 유통시키는 전지 간 통기로 R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로 돌아와 설명한다. 홀더(3)는, 복수의 단 전지(2, …)를 수용 가능한 홀더 본체(30)를 구비한다. 홀더(3)는, 홀더 본체(30)에 더하여, 홀더 본체(30)에 수용된 복수의 단 전지(2, …) 상에 배치되는 홀드 부재(31)를 더 구비한다.
홀더 본체(30)는,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304, 306)로서, X 방향의 가장 끝에 있는 단 전지(2)에 외측으로부터 대향하는 벽부(304, 306)와, Z 방향으로 벽부(304, 306)와 함께 벽부(304, 306)를 따라 형성되는 통기용 개방부(305, 307)로서, X 방향 및 Y 방향으로 개방된 통기용 개방부(305, 307)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홀더 본체(30)는, 복수의 단 전지(2, …)를 탑재 가능하게 형성된 바닥부(300)와, 바닥부(300)에 탑재된 복수의 단 전지(2, …)의 상부를 일괄하여 포위 가능하게 형성된 프레임부(301)와, 전지 간 통기로 R에 비대향 상태로 배치된 필러부(302, 303)를 구비한다. 홀더 본체(30)는, X 방향의 가장 끝에 있는 한쪽의 단 전지(2)에 외측으로부터 대향하는 벽부(304)로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벽부(이하, 제1 벽부라고 함)(304)와, Z 방향으로 제1 벽부(304)와 함께 제1 벽부(304)를 따라 형성되는 통기용 개방부(305)로서, X 방향 및 Y 방향으로 개방된 통기용 개방부(이하, 제1 통기용 개방부라고 함)(305)와, X 방향의 가장 끝에 있는 다른 쪽의 단 전지(2)에 외측으로부터 대향하는 벽부(306)로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벽부(이하, 제2 벽부라고 함)(306)와, Z 방향으로 제2 벽부(306)와 함께 제2 벽부(306)를 따라 형성되는 통기용 개방부(307)로서, X 방향 및 Y 방향으로 개방된 통기용 개방부(이하, 제2 통기용 개방부라고 함)(307)를 구비한다.
바닥부(300)는, 각각이 X 방향으로 연장되어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한쌍의 제1 에지부 E1, E1 및 각각이 Y 방향으로 연장되어 한쌍의 제1 에지부 E1, E1의 사이에서 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한쌍의 제2 에지부 E2, E2를 가진다. 바닥부(300)는, 정렬된 복수의 단 전지(2, …)를 탑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닥부(300)는, 정렬된 복수의 단 전지(2, …) 전체가 점유하는 평면 영역과 대응하도록 평면 형상 및 평면 사이즈가 설정된 바닥부 본체(300a)와, 바닥부 본체(300a)의 외주 에지 전체 주위로부터 기립(起立)하고, 바닥부 본체(300a)에 탑재된 복수의 단 전지(2, …)의 하부를 일괄하여 포위하는 바닥 프레임부(300b)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형 전지의 단 전지(2)가 채용되고, 복수의 단 전지(2, …)가 X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된다. 즉, 복수의 단 전지(2, …) 전체가 점유하는 평면 영역은, 사각형상이다. 이에 따라 바닥부 본체(300a)는, 외곽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닥부 본체(300a)의 외곽은, 바닥부(300) 전체의 외곽과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바닥부(300)는, 바닥부 본체(300a) 상에 배치된 복수의 스페이서(300c, …)를 구비한다. 복수의 스페이서(300c, …)의 각각은, Y 방향으로 길이를 이루는 밴드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300c)의 X 방향의 두께는, 각각의 전지 간 통기로 R의 X 방향의 사이즈에 대응하고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300c, …)는, 단 전지(2)의 X 방향의 사이즈에 대응한 간격을 X 방향으로 두고 배치되어 있다.
바닥 프레임부(300b)는, 바닥부 본체(300a) 외곽을 따라 설치된다. 즉, 바닥 프레임부(300b)는, 각각이 X 방향으로 제1 단부(端部) 및 제1 단부의 반대측의 제2 단부를 가지는 동시에, 각각이 Z 방향으로 제3 단부 및 제3 단부의 반대측의 제4 단부를 가지는 한쌍의 제1 기립부(300d, 300d)로서, X 방향으로 연장되어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한쌍의 제1 기립부(300d, 300d)와, 각각이 Y 방향으로 제1 단부 및 제1 단부의 반대측의 제2 단부를 가지는 동시에, 각각이 Z 방향으로 제3 단부 및 제3 단부의 반대측의 제4 단부를 가지는 한쌍의 제2 기립부(300e, 300e)로서, 한쌍의 제1 기립부(300d, 300d) 사이에서 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한쌍의 제2 기립부(300e, 300e)를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제1 기립부(300d, 300d)의 각각은, X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되어 있다. 한쌍의 제2 기립부(300e, 300e)의 각각은, Y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되어 있다. 한쪽의 제1 기립부(300d)의 제1 단부는, 한쪽의 제2 기립부(300e)의 제1 단부에 접속된다. 한쪽의 제1 기립부(300d)의 제2 단부는, 다른 쪽의 제2 기립부(300e)의 제1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쪽의 제1 기립부(300d)의 제1 단부는, 한쪽의 제2 기립부(300e)의 제2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쪽의 제1 기립부(300d)의 제2 단부는, 다른 쪽의 제2 기립부(300e)의 제2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한쌍의 제1 기립부(300d, 300d)의 각각의 제3 단부 및 한쌍의 제2 기립부(300e, 300e)의 각각의 제3 단부는, 바닥부 본체(300a)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한쌍의 제1 기립부(300d, 300d)가 바닥부(300) 전체에서의 한쌍의 제1 에지부 E1, E1을 구성하고, 한쌍의 제2 기립부(300e, 300e)가 바닥부(300) 전체에서의 한쌍의 제2 에지부 E2, E2를 구성하고 있다.
프레임부(301)는, 각각이 바닥부(300)에서의 한쌍의 제1 에지부 E1, E1의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된 한쌍의 프레임판부(이하, 각각 제1 프레임판부라고 함)(301a, 301a)와, 각각이 한쌍의 제2 에지부 E2, E2의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된 한쌍의 프레임판부(이하, 각각 제2 프레임판부라고 함)(301b, 301b)를 포함한다. 프레임부(301)는, 한쌍의 제1 프레임판부(301a, 301a) 및 한쌍의 제2 프레임판부(301b, 301b)에 의해 포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제1 프레임판부(301a, 301a)의 각각은, X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한쌍의 제1 프레임판부(301a, 301a)의 각각은, X 방향으로 제1 단부 및 제1 단부의 반대측의 제2 단부를 가지는 동시에, Z 방향으로 제3 단부 및 제3 단부의 반대측의 제4 단부를 가진다. 한쌍의 제2 프레임판부(301b, 301b)의 각각은, Y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한쌍의 제2 프레임판부(301b, 301b)의 각각은, Y 방향으로 제1 단부 및 제1 단부의 반대측의 제2 단부를 가지는 동시에, Z 방향으로 제3 단부 및 제3 단부의 반대측의 제4 단부를 가진다.
한쪽의 제1 프레임판부(301a)의 제1 단부는, 한쪽의 제2 프레임판부(301b)의 제1 단부에 접속된다. 한쪽의 제1 프레임판부(301a)의 제2 단부는, 다른 쪽의 제2 프레임판부(301b)의 제1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쪽의 제1 프레임판부(301a)의 제1 단부는, 한쪽의 제2 프레임판부(301b)의 제2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쪽의 제1 프레임판부(301a)의 제2 단부는, 다른 쪽의 제2 프레임판부(301b)의 제2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프레임부(301)에는,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어맞춤공(301c, …)이 형성되어 있다. 즉, 한쌍의 제1 프레임판부(301a, 301a) 및 한쌍의 제2 프레임판부(301b, 301b)의 각각에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 이상의 걸어맞춤공(301c,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공(301c, …)은, 내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면 관통공이라도 비관통공이라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통공으로 구성되어 있다.
필러부(302, 303)의 각각은, Z 방향의 제1 단부 및 제1 단부의 반대측의 제2 단부를 가진다. 제1 단부가 바닥부(300)에서의 제1 에지부 E1에 접속되고, 또한 제2 단부가 제1 단부가 접속된 제1 에지부 E1과 대응하는 프레임부(301)에서의 제1 프레임판부(301a)에 접속되어 있다. 즉, 필러부(302, 302)의 각각은, 바닥부(300)와 프레임부(301)와의 사이에서 Z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필러부(302, …)와 복수의 필러부(303, …)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필러부(302, …) 및 복수의 필러부(303, …)는, 서로 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홀더 본체(30)는, 바닥부(300)에서의 한쪽의 제1 에지부 E1과 한쪽의 제1 에지부 E1과 대응하는 한쪽의 제1 프레임판부(301a)를 접속한 복수의 제1 필러부(302, …)와, 바닥부(300)에서의 다른 쪽의 제1 에지부 E1과 다른 쪽의 제1 에지부 E1과 대응하는 다른 쪽의 제1 프레임판부(301a)를 접속하는 복수의 제2 필러부(303, …)를 구비한다.
복수의 제1 필러부(302, …)의 각각은, Z 방향으로 제1 단부 및 제1 단부의 반대측의 제2 단부를 가진다. 복수의 제1 필러부(302, …)의 각각은, X 방향이 단 전지(2)의 제2 평판부(201)의 X 방향의 길이 미만으로 설정되고, Z 방향으로 길이를 이루는 밴드판형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제1 필러부(302, …)의 각각은, 전지 간 통기로 R을 피하도록, 전지 간 통기로 R과 비대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복수의 제1 필러부(302, …)의 각각은, 복수의 단 전지(2, …)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1 필러부(302, …)는, 대응하는 전지 간 통기로 R에 대한 공기에 유입 또는 유출을 저해하지 않도록, 대응하는 단 전지(2)의 제2 평판부(201)와만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복수의 제1 필러부(302, …)의 각각은, 인접하는 제1 필러부(302)와의 사이에 전지 간 통기로 R과 대향하는 개구를 형성한 상태로 되어 있다.
복수의 제1 필러부(302, …)의 각각의 제1 단부는, 바닥 프레임부(300b)에서의 한쪽의 제1 기립부(300d)의 제4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제1 필러부(302, …)의 각각의 제2 단부는, 프레임부(301)에서의 한쪽의 제1 프레임판부(301a)의 제3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제2 필러부(303, …)의 각각은, Z 방향으로 제1 단부 및 제1 단부의 반대측의 제2 단부를 가진다. 복수의 제2 필러부(303, …)의 각각은, X 방향이 단 전지(2)의 제2 평판부(201)의 X 방향의 길이 미만으로 설정되고, Z 방향으로 길이를 이루는 밴드판형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제2 필러부(303, …)의 각각은, 전지 간 통기로 R을 피하도록, 전지 간 통기로 R과 비대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복수의 제2 필러부(303, …)의 각각은, 복수의 단 전지(2, …)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2 필러부(303, …)는, 대응하는 전지 간 통기로 R에 대한 공기에 유입 또는 유출을 저해하는 경우가 없도록, 대응하는 단 전지(2)의 제2 평판부(201)와만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복수의 제2 필러부(303, …)의 각각은, 인접하는 제2 필러부(303)와의 사이에 전지 간 통기로 R과 대향하는 개구를 형성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1 필러부(302, …)의 각각은, 대응하는 단 전지(2)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제2 필러부(303, …)의 각각과 서로 대치하고 있다.
복수의 제2 필러부(303, …)의 각각의 제1 단부는, 바닥 프레임부(300b)에서의 다른 쪽의 제1 기립부(300d)의 제4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제2 필러부(303, …)의 각각의 제2 단부는, 프레임부(301)에서의 다른 쪽의 제1 프레임판부(301a)의 제3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벽부(304)는, 한쪽의 제2 프레임판부(301b)와 한쪽의 제2 에지부 E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벽부(304)는, Y 방향으로 제1 단부 및 제1 단부의 반대측의 제2 단부를 가진다. 제1 벽부(304)는, Y 방향으로 길이를 이루는 밴드판형으로 형성된다. 제1 벽부(304)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1 벽부(304, …)는, 바닥부(300)와 프레임부(301)와의 사이에서 Z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쪽의 제1 벽부(304)는, Z 방향으로 프레임부(301)의 제2 프레임판부(301b)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다른 쪽의 제1 벽부(304)는, 바닥부(300)의 제2 기립부(300e)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쪽의 제1 벽부(304)와 프레임부(301)의 제2 프레임판부(301b)와의 간격은, 2개의 제1 벽부(304, 304)의 간격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부(300)와 프레임부(301)와의 간격과, 복수의 제1 벽부(304, …)의 간격과의 관계로, 2개의 제1 벽부(304, 304)의 각각의 Y 방향의 길이가 상이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제1 벽부(304, …)가 복수 배치되는 경우, 제1 벽부(304, …)의 수, 바닥부(300)와 프레임부(301)와의 간격, 복수의 제1 벽부(304, …)의 간격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복수의 제1 벽부(304, …)의 각각에서의 Z 방향의 길이가 균일하게 되어도 된다.
X 방향의 가장 한쪽에 배치된 제1 필러부(302) 및 제2 필러부(303)의 각각이, 한쌍의 제1 기립부(300d, 300d)의 각각의 제1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1 벽부(304, …)의 각각의 제1 단부는, X 방향의 가장 한쪽에 배치된 제1 필러부(302)에 직접 접속되고, 복수의 제1 벽부(304, …)의 각각의 제2 단부는, X 방향의 가장 한쪽에 배치된 제2 필러부(303)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복수의 제1 벽부(304, …)의 각각은, X 방향의 가장 외측에 있는 한쪽의 단 전지(3, …)와 대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1 벽부(304, …)의 두께는, 바닥부(300)로부터 프레임부(301)를 향할수록 얇아져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제1 벽부(304, …)의 내면과 X 방향의 가장 끝에 있는 단 전지(2)의 측면[케이스(20)의 제1 평판부(200)]과의 거리는, 바닥부(300)로부터 프레임부(301)를 향할수록 멀어져 있다. 즉, 복수의 제1 벽부(304, …)의 내면은, 바닥부(300)로부터 프레임부(301)를 향할수록 점차로 단 전지(2)의 측면으로부터 이격(離隔)되는 경사형으로 되어 있다. 복수의 제1 벽부(304, …)를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X 방향의 가장 끝에 있는 단 전지(2)를 홀더 본체(30) 내에 삽입할 때, 삽입이 용이해지고, 또한 X 방향의 가장 끝에 있는 단 전지(2)를 냉각하여 가온(加溫)된 기체가 상부로 퇴피하기 용이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1 벽부(304, …)의 각각은, 내면에 리브(308)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리브(308)는, Z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또한 Z 방향의 동일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각의 리브(308)는, 제1 벽부(304)의 상부 에지로부터 하부 에지에 걸쳐 Z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또한 Z 방향의 동일선 상에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리브(308)는, Z 방향으로 장척(長尺)의 1개의 리브가 제1 통기용 개방부(305)에 의해 분단된 형태로 되어 있다. Z 방향으로 장척의 1개의 리브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1 벽부(304, …)의 각각 Y 방향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의 좌우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도 5의 (b)에서는, 좌측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리브(308)는, X 방향의 가장 끝에 있는 단 전지(2)의 측면과 평행하게 맞닿아, 상기 단 전지(2)의 X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제1 통기용 개방부(305)는, X 방향으로 개방되고, 또한 Y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통기용 개방부(305)는, 제1 벽부(304)를 따라 형성되는 제1 벽부(304)의 비형성 영역인 공간으로 구성된다. 제1 통기용 개방부(305)의 Z 방향의 사이즈는, Y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복수의 제1 벽부(304, …)가 Z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됨에 따라 제1 통기용 개방부(305)는, Z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소에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제1 벽부(304, 304)가 Z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통기용 개방부(305)는, Z 방향으로 인접하는 프레임부(301)의 제2 프레임판부(301b)와 한쪽의 제1 벽부(304)와의 사이 및 Z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제1 벽부(304, 304)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한쪽의 제1 벽부(304)와 프레임부(301)와의 간격이 2개의 제1 벽부(304, 304)의 간격과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에 의해, 2개의 제1 통기용 개방부(305, 305)의 각각의 Z 방향의 사이즈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1 통기용 개방부(305)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로(후술하는 제1 모듈 간 통기로) R1(도 7 및 도 8 참조)의 Y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기체가 유통하는 모든 영역의 면적), 보다 상세하게는, 홀더 본체(30)를 외부로부터 Y 방향에서 본 경우의 제1 모듈 간 통기로 R1의 단면적이 각각의 전지 간 통기로 R의 Y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과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제1 통기용 개방부(305)의 X 방향의 사이즈 및 Z 방향의 사이즈가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소에 제1 통기용 개방부(305, 305)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2개소의 제1 통기용 개방부(305, 305)의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모듈 간 통기로 R1, R1의 단면적의 합계가 각각의 전지 간 통기로 R의 단면적과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2개의 제1 통기용 개방부(305, 305)의 각각의 사이즈가 설정되어 있다.
제2 벽부(306)는, 다른 쪽의 제2 프레임판부(301b)와 다른 쪽의 제2 에지부 E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벽부(306)는, Y 방향으로 제1 단부 및 제1 단부의 반대측의 제2 단부를 가진다. 제2 벽부(306)는, Y 방향으로 길이를 이루는 밴드판형으로 형성된다. 제2 벽부(306)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2 벽부(306, …)는, 바닥부(300)와 프레임부(301)와의 사이에서 Z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쪽의 제2 벽부(306)이 프레임부(301)의 제2 프레임판부(301b)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의 제2 벽부(306)는, 바닥부(300)의 제2 기립부(300e)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쪽의 제2 벽부(306)와 바닥부(300)의 제2 기립부(300e)와의 간격은, 2개의 제2 벽부(306, 306)의 간격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부(300)와 프레임부(301)와의 간격과, 복수의 제2 벽부(306, …)의 간격과의 관계로, 2개의 제2 벽부(306, 306)의 각각의 Y 방향의 길이가 상이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제2 벽부(306, …)가 복수 배치되는 경우, 제2 벽부(306, …)의 수, 바닥부(300)와 프레임부(301)와의 간격, 복수의 제2 벽부(306, …)의 간격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복수의 제2 벽부(306, …)의 각각의 Z 방향의 길이가 균일하게 되어도 된다.
X 방향의 가장 다른 쪽에 배치된 제1 필러부(302) 및 제2 필러부(303)의 각각이, 한쌍의 제1 기립부(300d, 300d)의 각각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2 벽부(306, …)의 각각의 제1 단부는, X 방향의 가장 한쪽에 배치된 제1 필러부(302)에 직접 접속되고, 복수의 제2 벽부(306, …)의 각각의 제2 단부는, X 방향의 가장 한쪽에 배치된 제2 필러부(303)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복수의 제2 벽부(306, …)의 각각은, X 방향의 가장 외측에 있는 다른 쪽의 단 전지(3, …)와 대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2 벽부(306, …)의 두께는, 바닥부(300)로부터 프레임부(301)를 향할수록 얇아져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제2 벽부(306, …)의 내면과 X 방향의 가장 끝에 있는 단 전지(2)의 측면[케이스(20)의 제1 평판부(200)]과의 거리는, 바닥부(300)로부터 프레임부(301)를 향할수록 멀어져 있다. 즉, 복수의 제2 벽부(306, …)의 내면은, 바닥부(300)로부터 프레임부(301)를 향할수록 점차로 단 전지(2)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사형으로 되어 있다. 복수의 제2 벽부(306, …)를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X 방향의 가장 끝에 있는 단 전지(2)를 홀더 본체(30) 내에 삽입할 때, 삽입이 용이해지고, 또한 X 방향의 가장 끝에 있는 단 전지(2)를 냉각하여 가온된 기체가 상부로 퇴피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 벽부(306, …)의 각각은, 내면에 리브(309)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리브(309)는, Z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또한 Z 방향의 동일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각의 리브(309)는, 제2 벽부(306)의 상부 에지로부터 하부 에지에 걸쳐 Z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또한 Z 방향의 동일선 상에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리브(309)는, Z 방향으로 장척의 1개의 리브가 제2 통기용 개방부(307)에 의해 분단된 형태로 되어 있다. Z 방향으로 장척의 1개의 리브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2 벽부(306, …)의 각각은 Y 방향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의 좌우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도 5의 (a)에서는, 좌측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리브(309)는, X 방향의 가장 끝에 있는 단 전지(2)의 측면과 평행하게 맞닿아, 상기 단 전지(2)의 X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제2 통기용 개방부(307)는, X 방향으로 개방되고, 또한 Y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통기용 개방부(307)는, 제2 벽부(306)를 따라 형성되는 제2 벽부(306)의 비형성 영역인 공간으로 구성된다. 제2 통기용 개방부(307)의 Z 방향의 사이즈는, Y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복수의 제2 벽부(306, …)가 Z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됨에 따라 제2 통기용 개방부(307)는, Z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소에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제2 벽부(306, 306)가 Z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 통기용 개방부(307)는, Z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제2 벽부(306, 306) 사이 및 다른 쪽의 제2 벽부(306)와 바닥부(300)의 제2 기립부(300e)와의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쪽의 제2 벽부(306)와 바닥부(300)의 제2 기립부(300e)와의 간격이 2개의 제2 벽부(306, 306)의 간격과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에 의해, 2개의 제2 통기용 개방부(307, 307)의 각각의 Z 방향의 사이즈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2 통기용 개방부(307)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로(후술하는 제2 모듈 간 통기로) R2(도 7 및 도 8 참조)의 Y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기체가 유통하는 모든 영역의 면적), 보다 상세하게는, 홀더 본체(30)를 외부로부터 Y 방향에서 본 경우의 제2 모듈 간 통기로 R2의 단면적이 제1 통기용 개방부(305)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모듈 간 통기로 R1(도 7 및 도 8 참조)의 Y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기체가 유통하는 모든 영역의 면적)과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제2 통기용 개방부(307)의 X 방향의 사이즈 및 Z 방향의 사이즈가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모듈 간 통기로 R1(도 7 및 도 8 참조)의 단면적이 각각의 전지 간 통기로 R의 단면적과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제1 통기용 개방부(305)의 X 방향의 사이즈 및 Z 방향의 사이즈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모듈 간 통기로 R2(도 7 및 도 8 참조)의 단면적에 대해서도, 각각의 전지 간 통기로 R의 Y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과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제2 통기용 개방부(307)의 X 방향의 사이즈 및 Z 방향의 사이즈가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소에 제2 통기용 개방부(307, 307)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2개소의 제2 통기용 개방부(307, 307)의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모듈 간 통기로 R2, R2의 단면적의 합계가 각각의 전지 간 통기로 R의 단면적과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2개의 제2 통기용 개방부(307, 307)의 각각의 사이즈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벽부(304, …), 제1 통기용 개방부(305, …), 제2 벽부(306, …) 및 제2 통기용 개방부(307)가 상기한 바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벽부(304, …) 및 제2 벽부(306, …)는, Z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위치가 어긋나도록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로써, Z 방향에 있어서, 제1 통기용 개방부(305)의 배치가 제2 벽부(306)의 배치에 대응하고, 제2 통기용 개방부(307)의 배치가 제1 벽부(304)의 배치에 대응하고 있다. 즉, 구성의 공통되는 2개 이상의 전지 모듈(1)이 X 방향으로 정렬되었을 때, 인접하는 전지 모듈(1, 1)의 제1 통기용 개방부(305)와 제2 벽부(306)가 X 방향으로 중첩되고, 또한 인접하는 전지 모듈(1, 1)의 제2 통기용 개방부(307)와 제1 벽부(304)가 X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되어 있다.
홀드 부재(3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부(301) 내에 끼워넣을 수 있는 외측 프레임부(310)와, 외측 프레임부(310) 내에 가설(架設)된 빔부(beam portion)(311)를 구비한다. 외측 프레임부(310)는, 홀더 본체(30)의 바닥부(300) 상에 배치된 복수의 단 전지(2, …) 중 X 방향의 가장 외측에 있는 2개의 단 전지(2, 2) 중 한쪽의 단 전지(2)의 한쪽의 외부 단자(플러스극 단자)(21)와, 다른 쪽의 단 전지(2)의 다른 쪽의 외부 단자(마이너스극 단자)(21)를 퇴피한 상태에서, 복수의 단 전지(2, …)의 모든 외부 단자(21, …)를 에워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외측 프레임부(310)는, 전지 모듈(1)의 외부 출력용의 단자로 되는 플러스극 단자(21) 및 마이너스극 단자(21)만을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외측 프레임부(310)의 외주에는, 홀더 본체(30)의 프레임부(301)에 형성된 걸어맞춤공(301c)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돌기(312)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돌기(312)는, 걸어맞춤공의 배치에 대응하여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홀드 부재(31)는, 외측 프레임부(310)를 프레임부(301)에 끼워맞춘 상태에서, 복수의 걸어맞춤 돌기(312, …)의 각각과 복수의 걸어맞춤공의 각각이 걸어맞추어져, 홀더 본체(30)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빔부(311)는, X 방향으로 길이를 이루고, X 방향의 제1 단부 및 제1 단부의 반대측의 제2 단부를 가진다. 홀드 부재(31)는, 복수의 빔부(311, 311)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빔부(311, 311)는,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빔부(311, 311)는, 2개 형성되어 있고, 외측 프레임부(310) 내에서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2개의 빔부(311, 311)의 각각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외측 프레임부(310)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외측 프레임부(310)가 포위하는 영역은, 2개의 빔부(311, 311)에 의해 Y 방향으로 3개의 영역 S1, S2, S3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빔부(311, 311)끼리나, 빔부(311)의 X 방향의 도중 부분과 외측 프레임부(310)이 적절히 연결되어, 홀드 부재(31) 전체의 강도가 높여져 있다.
홀드 부재(31)는, 외측 프레임부(310)가 프레임부(301)에 끼워맞추어진 상태로, Y 방향의 한쪽으로 X 방향으로 정렬되는 복수의 외부 단자(21, …)가 Y 방향의 한쪽의 영역 S1 내에 배치되고, Y 방향의 타단측으로 X 방향으로 정렬되는 복수의 외부 단자(21, …)가 Y 방향의 타단측의 영역 S3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홀드 부재(31)는, 홀더 본체(30)의 프레임부(301)에 연결된 상태로, 빔부(311, …)가 바닥부(300)에 탑재된 복수의 단 전지(2, …)의 한쪽의 제3 평판부(202)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로 돌아와 설명한다. 버스 바(4)는, 금속제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인접하는 단 전지(2, 2)의 플러스극 단자(21)와 마이너스극 단자(21)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커버(5)는, 홀드 부재(31)의 외측 프레임부(310)에 의해 포위되는 영역의 거의 전역을 피복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커버(5)는, 홀드 부재(31)의 외측 프레임부(310)이 포위하는 영역 내에 노출되는 단 전지(2)의 외부 단자(21) 및 버스 바(4)를 전체적으로 피복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커버(5)는, 외측 프레임부(310)에 의해 포위되는 영역의 거의 전역을 피복한 상태로, 홀더 본체(31)의 외측 프레임부(310)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1)은, 이상과 같다. 이어서, 상기 구성의 전지 모듈(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홀더 본체(30)의 바닥부(300) 상에 복수의 단 전지(2, …)가 배치됨으로써, 프레임부(301), 복수의 제1 필러부(302, …), 복수의 제2 필러부(303, …), 복수의 제1 벽부(304, …) 및 복수의 제2 벽부(306, …)가 복수의 단 전지(2, …)를 일괄하여 둘러싼 상태로 된다. 이로써, 복수의 단 전지(2, …)의 X 방향 및 Y 방향에 대한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되고, 복수의 단 전지(2, …)는, X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정렬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홀더 본체(30)에 홀드 부재(31)를 연결하면, 홀드 부재(31)가 바닥부(300)에 탑재된 복수의 단 전지(2, …) 상에 배치된다. 이로써, 복수의 단 전지(2, …)는, X 방향 및 Y 방향에 더하여, Z 방향의 이동도 규제된다.
따라서, 진동이 발생되는 기기에 전력원으로서 채용되어도, 복수의 단 전지(2, …)를 전지 간 통기로 R의 형성한 적정한 배치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출력용의 외부 단자(21, 21)에 전기적인 부하가 접속된다. 그리고, 전지 모듈(1)은, 냉각용의 송풍기를 구비한 패키징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수용된다. 패키징 케이스는, 수용한 전지 모듈(1)의 Y 방향에서의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통풍로 A1, A2(도 4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한쪽의 통풍로 A1은, 송풍기에 기체적(氣體的)으로 접속되고, 다른 쪽의 통풍로 A2는, 배기구에 접속된다. 이로써, 한쪽의 통풍로 A1에 공급된 기체가 전지 모듈(1)의 배치되는 영역을 통하여 다른 쪽의 통풍로 A2로 흘러들어 배기구로부터 배기된다.
이것을 전제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통풍로 A1으로부터의 기체가 전지 간 통기로 R의 각각에 흘러들고, 또한 전지 간 통기로 R에 흘러든 기체가 다른 쪽의 통풍로 A2에 배기됨으로써, 복수의 전지 간 통기로 R의 각각을 유통하는 기체에 의해, 복수의 단 전지(2, …)의 각각이 냉각된다. 이로써, 충방전에 따른 복수의 단 전지(2, …)의 충방전에 따른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 전지(2, …)의 케이스(20)의 외면을 구성하는 평판부(200, 201, 203) 중 가장 면적의 넓은 제1 평판부(200, 200) 사이에 전지 간 통기로 R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전지 간 통기로 R을 유통하는 기체와 케이스(20)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는 결과, 양호한 냉각, 즉 온도 상승의 억제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전지 모듈(1)이 기기의 전력원으로서 복수 탑재되는 경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전지 모듈(1, …)은, 각각의 단 전지(2, …)가 X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도록, X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전지 모듈(1, …)의 Y 방향의 양측에는, 한쌍의 통풍로 A1, A2가 배치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전지 모듈(1, …)이 X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되는 데 있어서, 인접하는 2개 전지 모듈(1, 1)의 한쪽의 전지 모듈(1)의 제1 벽부(304) 및 제1 통기용 개방부(305)에 대하여, 다른 쪽의 전지 모듈(1)의 제2 벽부(306) 및 제2 통기용 개방부(307)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전지 모듈(1, …)의 각각에 있어서, 제1 벽부(304) 및 제2 벽부(306)가 Z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위치가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통기용 개방부(305)의 배치가 제2 벽부(306)의 배치에 대응하고, 제2 통기용 개방부(307)가 제1 벽부(304)의 배치에 대응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전지 모듈(1, 1)의 한쪽의 전지 모듈(1)의 제1 벽부(304)에, 다른 쪽의 전지 모듈(1)의 제2 통기용 개방부(307)이 중첩되고, 또한, 다른 쪽의 전지 모듈(1)의 제2 벽부(306)에, 한쪽의 전지 모듈(1)의 제1 통기용 개방부(305)가 중첩된 상태로 된다.
이로써, 한쪽의 전지 모듈(1)에서의 제1 통기용 개방부(305)의 외측을 향해 개방되는 부위가 다른 쪽의 전지 모듈(1)에서의 제2 벽부(306)에 폐색(閉塞)된다. 또한, 다른 쪽의 전지 모듈(1)에서의 제2 통기용 개방부(307)의 외측을 향해 개방되는 부위가 한쪽의 전지 모듈(1)에서의 제1 벽부(304)에 폐색된다.
이 상태에서, 한쪽의 전지 모듈(1)에서의 제1 통기용 개방부(305)는, X 방향으로 한쪽의 전지 모듈(1)에서의 단 전지(2) 측만이 개방되고, Y 방향에 있어서 양쪽으로 개방된 제1 모듈 간 통기로 R1으로 된다. 이로써,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모듈 간 통기로 R1은, 한쪽의 전지 모듈(1)의 단 전지 간 통기로 R과 마찬가지로, 한쪽의 전지 모듈(1)에서의 X 방향의 가장 한쪽에 있는 단 전지(2)의 제1 평판부(200)에 기체를 접촉시키면서, 기체를 Y 방향으로 유통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통기용 개방부(305)는, 2개소에 형성되므로, 제1 모듈 간 통기로 R1도 Z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소에 형성된다.
다른 쪽의 전지 모듈(1)에서의 제2 통기용 개방부(307)는, X 방향으로 다른 쪽의 전지 모듈(1)에서의 단 전지(2) 측만이 개방되고, Y 방향에 있어서 양쪽에서 개방된 제2 모듈 간 통기로 R2로 된다. 이로써,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쪽의 전지 모듈(1)에서의 제2 모듈 간 통기로 R2는, 다른 쪽의 전지 모듈(1)의 단 전지 간 통기로 R과 마찬가지로, 다른 쪽의 전지 모듈(1)에서의 X 방향의 가장 다른 쪽에 있는 단 전지(2)의 제1 평판부(200)에 기체를 접촉시키면서, 기체를 Y 방향으로 유통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통기용 개방부(307)는, 2개소에 형성되므로, 제2 모듈 간 통기로 R2도 Z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소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모듈 간 통기로 R1을 유통하는 기체는, 한쪽의 전지 모듈(1)에서의 X 방향의 가장 한쪽의 단 전지(2)만을 냉각시킨다. 특히, 제1 모듈 간 통기로 R1이 복수 개소에 형성됨으로써, 단 전지(2)의 케이스(20)[의 제1 평판부(200)]의 전역이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또한, 제2 모듈 간 통기로 R2를 유통하는 기체는, 다른 쪽의 전지 모듈(1)에서의 X 방향의 가장 다른 쪽의 단 전지(2)만을 냉각시킨다. 특히, 제2 모듈 간 통기로 R2가 복수 개소에 형성됨으로써, 단 전지(2)의 케이스(20)[의 제1 평판부(200)]의 전역이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전지 모듈(1, …)이 기기의 전력원으로서 탑재되는 경우, 인접하는 전지 모듈(1, 1)의 단 전지(2, …)의 각각을 냉각 가능한 상태로 기체를 원활하게 유통시킬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전지 모듈(1, 1)의 각각에 형성된 제1 통기용 개방부(305)와 제2 통기용 개방부(307)가 중첩되지 않으므로, 필요 이상의 사이즈로 통기로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접하는 전지 모듈(1, 1)의 단 전지(2, 2)로서, 서로 마주보는 단 전지(2, 2)의 각각을 필요 이상으로 냉각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X 방향의 양단에 있는 2개의 단 전지(2, 2)와, 상기 2개의 단 전지(2, 2) 사이에 있는 단 전지(2, …)와의 사이에서 냉각 상태에 상위가 생기지 않는다. 즉, 전지 모듈(1)에서의 복수의 단 전지(2, …)의 각각이 양호한 밸런스로 냉각된다.
따라서, 복수의 단 전지(2, …)의 각각의 수명의 균일화가 도모되고, 안정된 전력 공급이 가능해진다. 즉, 복수의 전지 모듈(1)을 정렬하여 배치했을 때, 각각의 전지 모듈(1)에서의 복수의 단 전지(2, …)를 전체적으로 양호한 밸런스로 냉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모듈 간 통기로 R1의 Y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과 제2 모듈 간 통기로 R2의 Y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이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제1 통기용 개방부(305) 및 제2 통기용 개방부(307)의 각각에서의 X 방향 및 Z 방향의 사이즈가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제1 모듈 간 통기로 R1을 유통하는 기체의 유량과, 제2 모듈 간 통기로 R2를 유통하는 기체의 유량을 균일 또는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인접하는 전지 모듈(1, 1)의 단 전지(2, …)로서, 서로 인접하는 단 전지(2, 2)를 동등 또는 거의 동등한 조건 하에서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전지 모듈(1, 1)의 각각에서의 복수의 단 전지(2, …)를 같은 조건 하에서 냉각시킬 수 있어, 안정된 전력 공급이 가능해진다.
특히, 제1 모듈 간 통기로 R1이나 제2 모듈 간 통기로 R2의 Y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이 각각의 전지 간 통기로 R의 Y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과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제1 통기용 개방부(305) 및 제2 통기용 개방부(307)의 각각에서의 X 방향 및 Z 방향의 사이즈가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제1 모듈 간 통기로 R1, 제2 모듈 간 통기로 R2 및 전지 간 통기로 R, …을 유통하는 기체의 유량이 같거나 또는 거의 같아진다. 따라서, 전지 모듈(1)에서의 복수의 단 전지(2, …) 모두를 같거나 또는 거의 같은 조건 하에서 냉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벽부(304), 제1 통기용 개방부(305), 제2 벽부(306) 및 제2 통기용 개방부(307)의 각각이 복수 설치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벽부(304), 제1 통기용 개방부(305), 제2 벽부(306) 및 제2 통기용 개방부(307)의 각각이 1개씩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제1 벽부(304), 제1 통기용 개방부(305), 제2 벽부(306) 및 제2 통기용 개방부(307)의 각각이 3개 이상 설치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1 벽부(304)와 제2 벽부(306)가 Z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난 상태로 되어 제1 벽부(304)의 배치와 제2 통기용 개방부(307)의 배치가 대응하고, 제2 벽부(306)의 배치와 제1 통기용 개방부(305)의 배치가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벽부(304)의 수와 제2 벽부(306)의 수가 같은 수로 설정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벽부(304)와 제2 통기용 개방부(307)의 수 및 배치가 대응하고, 제2 벽부(306)와 제1 통기용 개방부(305)의 수 및 배치가 대응하면, 제1 벽부(304)의 수와 제2 벽부(306)의 수가 상이하게 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벽부(304)의 양측에 2개의 제1 통기용 개방부(305, 305)가 형성되는 경우, 제2 통기용 개방부(307)의 양측에 2개의 제2 벽부(306, 306)가 배치되면 된다. 이와 같이 해도, 제1 통기용 개방부(305, 305)와 제2 벽부(306, 306)가 대응한 배치로 되고, 또한, 제1 벽부(304)와 제2 통기용 개방부(307)가 대응한 배치로 됨으로써, 2개의 제1 통기용 개방부(305, 305)의 각각의 제1 방향에서 외측을 향해 개방된 부분이 2개의 제2 벽부(306, 306)의 각각에 따라서 폐색되고, 제1 모듈 간 통기로 R1이 형성된다. 또한, 제2 통기용 개방부(307)의 제1 방향에서 외측을 향해 개방된 부분이 제1 벽부(304)에 의해 폐색되고, 제2 모듈 간 통기로 R2가 형성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홀더 본체(30)의 바닥부(300)가 바닥부 본체(300a)와 바닥 프레임부(300b)를 구비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바닥부(300)는, 복수의 단 전지(2, …)를 탑재 가능한 바닥부 본체(300a)만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닥부(300)에, 인접하는 단 전지(2, 2)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스페이서(300c, …)가 설치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1 필러부(302, …)의 각각과, 복수의 제2 필러부(303, …)의 각각이 대응한 배치로 되어 인접하는 단 전지(2, 2)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가 서로 대응하는 제1 필러부(302)와 제2 필러부(303)에 가설되어도 된다. 이 경우, 스페이서는 전지 간 통기로 R의 형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닥부(300)와 프레임부(301)를 접속하는 필러부(302) 및 필러부(303)는, 각각 복수 설치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러부(302) 및 필러부(303)의 각각은, 바닥부(300)와 프레임부(301)를 접속할 수 있고, 적어도 1개 설치되면 된다. 따라서, 제1 필러부(302) 및 제2 필러부(303)는, 적어도 1개씩 설치되면 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필러부(302, 303)는, 전지 간 통기로 R과 비대향 상태로 배치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필러부(302)와 제2 필러부(303)가 설치되지만, 양쪽이 설치될 필요는 없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같은 형태의 전지 모듈(1)을 일렬로 배치하는 것을 전제로, 제1 벽부(304)와 제2 벽부(306)가 Z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위치가 어긋난 상태로 배치되고, 한쪽의 전지 모듈(1)의 제1 벽부(304)와 다른 쪽의 전지 모듈(1)의 제2 통기용 개방부(307)가 중첩되고, 또한 한쪽의 전지 모듈(1)의 제1 통기용 개방부(305)와 다른 쪽의 전지 모듈(1)의 제2 벽부(307)가 중첩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2종류의 전지 모듈(1, 1)을 교호적(交互的)으로 배치하는 것을 전제로, 제1 벽부(304)와 제2 벽부(306)가 Z 방향으로 같은 레벨로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한쪽의 전지 모듈(1)의 제1 벽부(304) 및 제2 벽부(305)에 대하여, 인접하는 다른 쪽의 전지 모듈(1)의 제1 벽부(304) 및 제2 벽부(305)를 제3 방향으로 어긋난 배치로 함으로써, 한쪽의 전지 모듈(1)의 제1 벽부(304)와 다른 쪽의 전지 모듈(1)의 제2 통기용 개방부(307)가 중첩되고, 또한 한쪽의 전지 모듈(1)의 제1 통기용 개방부(305)와 다른 쪽의 전지 모듈(1)의 제2 벽부(307)가 중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접하는 전지 모듈(1, 1)의 한쪽의 전지 모듈(1)의 제1 벽부(304)가 다른 쪽의 전지 모듈(1)의 제2 통기용 개방부(307) 전체에 중첩되고, 또한 인접하는 전지 모듈(1, 1)의 한쪽의 전지 모듈(1)의 제1 통기용 개방부(305) 전체에 다른 쪽의 전지 모듈(1)의 제2 벽부(306)가 중첩되도록 구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한쪽의 전지 모듈(1)의 제1 벽부(304)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쪽의 전지 모듈(1)의 제2 통기용 개방부(307)와 중첩되고, 또한 한쪽의 전지 모듈(1)의 제1 통기용 개방부(305)에 다른 쪽의 전지 모듈(1)의 제2 벽부(306)의 일부가 중첩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제1 통기용 개방부(304) 및 제2 통기용 개방부(306)의 각각에 있어서, 기체를 Y 방향으로 원활하게 유통시킬 수 있어, 제1 방향에서의 가장 끝에 있는 단 전지(2, 2)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같은 형태의 전지 모듈(1)이 X 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을 전제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개의 전지 모듈(1)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제1 벽부(304)와 제2 벽부(306)와의 상대적인 배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제1 벽부(304)의 배치에 제2 벽부(306)의 배치가 대응하지 않아도, 제1 통기용 개방부(305) 및 제2 통기용 개방부(307)의 각각이 기체를 Y 방향으로 유통시키는 통기로로서 기능하여, X 방향의 가장 끝에 있는 단 전지(2)를 적절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벽부(304)와 제1 통기용 개방부(305)가 제3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제2 벽부(306)와 제2 통기용 개방부(307)가 제3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X 방향의 가장 끝에 있는 2개의 단 전지(2, 2) 중 한쪽이 버스 바(4)의 접속으로 충분한 방열 효과가 얻어지는 경우, 제1 벽부(304) 또는 제2 벽부(306) 중 어느 한쪽을 설치하고, 또한 제1 벽부(304) 또는 제2 벽부(306) 중 어느 한쪽과 제3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통기용 개방부(305) 또는 제2 통기용 개방부(306)를 설치하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모듈 간 통기로 R1이나 제2 모듈 간 통기로 R2의 Y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과 각각의 전지 간 통기로 R의 제2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이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X 방향의 중앙에 있는 전지 통기로 R의 Y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이, 다른 전지 통기로 R의 Y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이나, 제1 모듈 간 통기로 R1이나 제2 모듈 간 통기로 R2의 Y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보다 커지도록, X 방향의 중앙에 있는 단 전지(2, 2)가 그 사이의 간격을 넓혀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축전 장치에 있어서의 복수의 단 전지(2, …) 중, 발열 정도가 높은, X 방향의 중앙에 있는 단 전지(2, 2)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대책을 강구하는, X 방향의 중앙에 있는 전지 통기로 R은, 1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X 방향의 중앙에 있는 몇개의 전기 통기로 R, … 이라도 물론 상관없다.
또한, 각각의 전지 통기로 R의 Y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이 제1 모듈 간 통기로 R1이나 제2 모듈 간 통기로 R2의 Y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보다 작아지도록, 각각의 단 전지(2)가 보다 근접하여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전지 간 통기로 R을 유통하는 기체의 유량이 제1 모듈 간 통기로 R1이나 제2 모듈 간 통기로 R2를 유통하는 기체의 유량보다 적어질뿐, 단 전지(2, 2) 사이에 이물질이 혼입되어 단 전지(2, 2) 간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리튬 이온 2차 전지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전지의 종류나 크기(용량)는 임의이다.
본 발명은, 리튬 이온 2차 전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각종 2차 전지, 그 외에, 1차 전지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의 커패시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전지 모듈, 2: 단 전지, 3: 홀더, 4: 버스 바, 5: 커버, 20: 케이스, 21: 플러스극 단자(외부 단자), 21: 마이너스극 단자(외부 단자), 30: 홀더 본체, 31: 홀드 부재, 200: 제1 평판부, 201: 제2 평판부, 202: 제3 평판부, 300: 바닥부, 300a: 바닥부 본체, 300b: 바닥 프레임부, 300c: 스페이서, 300d: 제1 기립부, 300e: 제2 기립부, 301: 프레임부, 301a: 제1 프레임판부, 301b: 제2 프레임판부, 301c: 걸어맞춤공, 302: 제1 필러부, 303: 제2 필러부, 304: 제1 벽부(벽부), 305: 제1 통기용 개방부(통기용 개방부), 306: 제2 벽부(벽부), 307: 제2 통기용 개방부(통기용 개방부), 310: 외측 프레임부, 311: 빔부, 312: 걸어맞춤 돌기, E1: 제1 에지부, E2: 제2 에지부, G: 기체, R: 단 전지 간 통기로(통기로), R1: 제1 모듈 간 통기로, R2: 제2 모듈 간 통기로, VS1: 가상면, VS2: 가상면, S1, S2, S3: 영역, A1, A2: 통풍로

Claims (11)

  1.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축전(蓄電) 소자와,
    상기 복수의 축전 소자를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축전 소자는, 제1 방향으로 정렬되고, 또한 인접한 축전 소자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배치되고, 인접하는 축전 소자 간에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관통된 축전 소자 간 통기로(通氣路)를 형성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복수의 축전 소자를 수용 가능한 홀더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 본체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벽부로서, 상기 복수의 축전 소자 중 상기 제1 방향의 가장 끝에 있는 축전 소자에 외측으로부터 대향하는 적어도 1개의 벽부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상기 벽부와 함께 형성되는 통기용 개방부로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개방된 통기용 개방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기용 개방부는, 상기 벽부의 안쪽 면으로부터 상기 벽부의 바깥쪽 면으로 관통하고 있고,
    상기 통기용 개방부는, 상기 홀더 본체의 제2 방향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축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홀더 본체를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한 상태에서, 한쪽의 홀더 본체의 상기 벽부 및 상기 통기용 개방부는,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벽부 및 통기용 개방부와 마주보게 되어 있는, 축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홀더 본체의 상기 벽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상기 통기용 개방부와 대향하고, 상기 한쪽의 홀더 본체의 상기 통기용 개방부는, 상기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상기 벽부 중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축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홀더 본체의 상기 벽부는, 상기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상기 통기용 개방부와 대향하고, 상기 한쪽의 홀더 본체의 상기 통기용 개방부는, 상기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상기 벽부와 대향하는, 축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고,
    상기 통기용 개방부는, 각각이 상기 복수의 벽부의 각각과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복수 설치되고,
    상기 한쪽의 홀더 본체의 상기 복수의 벽부의 각각은, 상기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복수의 통기용 개방부의 각각과 대향하고, 상기 한쪽의 홀더 본체의 상기 복수의 통기용 개방부의 각각은, 상기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복수의 벽부의 각각과 대향하는, 축전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 및 상기 통기용 개방부는, 상기 복수의 축전 소자의 상기 제1 방향의 양측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축전 소자 중 상기 제1 방향의 양단에 있는 2개의 축전 소자 중 한쪽의 축전 소자와 대향하는 상기 벽부 및 상기 통기용 개방부와, 상기 2개의 축전 소자 중 다른 쪽의 축전 소자와 대향하는 상기 벽부 및 상기 통기용 개방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위치가 어긋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쪽의 축전 소자와 대향하는 상기 벽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다른 쪽의 축전 소자와 대향하는 상기 통기용 개방부와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한쪽의 축전 소자와 대향하는 상기 통기용 개방부는, 상기 다른 쪽의 축전 소자와 대향하는 상기 벽부 중 적어도 일부와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는, 축전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홀더 본체의 상기 통기용 개방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로의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斷面的)과, 상기 다른 쪽의 홀더 본체의 상기 통기용 개방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로의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은,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한, 축전 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용 개방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로의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과, 상기 축전 소자 간 통기로의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은,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한, 축전 장치.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축전 소자 중 상기 제1 방향의 중앙에 있는 상기 축전 소자 간 통기로의 제2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은, 상기 통기용 개방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로의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보다 큰, 축전 장치.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소자 간 통기로의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은, 상기 통기용 개방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로의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보다 작은, 축전 장치.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 본체에 수용된 상기 복수의 축전 소자 상에 배치되는 홀드 부재를 더 구비하는, 축전 장치.
KR1020120107170A 2011-09-27 2012-09-26 축전 장치 KR1020043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11501 2011-09-27
JPJP-P-2011-211501 2011-09-27
JP2012194035A JP6025030B2 (ja) 2011-09-27 2012-09-04 蓄電装置
JPJP-P-2012-194035 2012-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982A KR20130033982A (ko) 2013-04-04
KR102004389B1 true KR102004389B1 (ko) 2019-07-26

Family

ID=47351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170A KR102004389B1 (ko) 2011-09-27 2012-09-26 축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30209B2 (ko)
EP (1) EP2575192B1 (ko)
JP (1) JP6025030B2 (ko)
KR (1) KR102004389B1 (ko)
CN (1) CN1030223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6093B2 (ja) * 2013-03-29 2017-06-14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JP6665876B2 (ja) * 2013-06-14 2020-03-13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モジュール
JP2015018790A (ja) * 2013-06-14 2015-01-2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モジュール
JP6279290B2 (ja) * 2013-11-15 2018-02-14 株式会社東芝 電池モジュール
CN103904264B (zh) * 2014-04-08 2016-01-06 淄博贝林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介质冷却和气体均衡功能的电池模块
CN105322113B (zh) 2014-07-30 2019-09-27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蓄电装置
JP6436344B2 (ja) 2014-11-26 2018-12-1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JP6831632B2 (ja) * 2016-02-19 2021-02-17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及び該蓄電装置の製造方法
US10096868B2 (en) * 2016-02-23 2018-10-09 Gs Yuasa International Ltd. Energy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nergy storage apparatus
WO2018023050A1 (en) 2016-07-29 2018-02-01 Crynamt Management Llc High-density battery pack
WO2018022964A1 (en) 2016-07-29 2018-02-01 Crynamt Management Llc Battery packs having structural members for improving thermal management
US10873111B2 (en) * 2016-08-09 2020-12-22 Wisk Aero Llc Battery with compression and prevention of thermal runaway propagation features
CN106024418B (zh) * 2016-08-09 2018-11-20 上海展枭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容器模组
US11757149B1 (en) 2016-09-20 2023-09-12 Apple Inc. Battery liquid quench system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10923788B1 (en) 2016-11-30 2021-02-16 Apple Inc. Directed quench systems and components
US11870092B1 (en) 2017-02-01 2024-01-09 Apple Inc. On-board vent gas abatement
US11469471B1 (en) 2018-02-02 2022-10-11 Apple Inc. Battery pack heat dispensing systems
JP6729625B2 (ja) * 2018-04-06 2020-07-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
US10756398B2 (en) 2018-06-22 2020-08-25 Wisk Aero Llc Capacitance reducing battery submodule with thermal runaway propagation prevention and containment features
US10593920B2 (en) 2018-08-13 2020-03-17 Wisk Aero Llc Capacitance reduction in battery systems
US11302983B2 (en) * 2019-10-24 2022-04-12 Tyco Electronics Brasil Ltda Battery module frame for a battery module of a battery system
US11764431B2 (en) 2020-10-22 2023-09-19 Apple Inc. Battery pack structures and systems
US12009655B2 (en) 2021-09-15 2024-06-11 Apple Inc. Switchable pyro fu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7737A (ja) 2007-09-28 2009-04-23 Mitsubishi Motors Corp バッテリユニット
JP2009181896A (ja) * 2008-01-31 2009-08-13 Mitsubishi Motors Corp 電池モジュールケース
JP2009283193A (ja) 2008-05-20 2009-12-03 Toyota Motor Corp 蓄電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及び車両
JP2011175743A (ja) 2010-02-23 2011-09-08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998B1 (ko) * 1999-12-30 2002-09-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모듈 구조
KR100648698B1 (ko) * 2005-03-25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JP4529991B2 (ja) * 2007-04-03 2010-08-2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冷却装置
JP2009266413A (ja) 2008-04-22 2009-11-12 Toyota Motor Corp 組電池
KR101106373B1 (ko) * 2009-11-19 2012-01-18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5477241B2 (ja) 2010-09-21 2014-04-23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パック
JP5639835B2 (ja) 2010-09-30 2014-12-10 株式会社リチウムエナジージャパン 電池パック及びこれを備えた電動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7737A (ja) 2007-09-28 2009-04-23 Mitsubishi Motors Corp バッテリユニット
JP2009181896A (ja) * 2008-01-31 2009-08-13 Mitsubishi Motors Corp 電池モジュールケース
JP2009283193A (ja) 2008-05-20 2009-12-03 Toyota Motor Corp 蓄電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及び車両
JP2011175743A (ja) 2010-02-23 2011-09-08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22390A (zh) 2013-04-03
JP2013084580A (ja) 2013-05-09
KR20130033982A (ko) 2013-04-04
EP2575192A1 (en) 2013-04-03
CN103022390B (zh) 2017-03-01
US9130209B2 (en) 2015-09-08
US20130078488A1 (en) 2013-03-28
JP6025030B2 (ja) 2016-11-16
EP2575192B1 (en)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389B1 (ko) 축전 장치
EP2911233B1 (en) Battery block and battery module having same
US11139529B2 (en) Cylindrical battery cell assembly with improved space utilization and safety,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US9112202B2 (en) Battery module
KR100684766B1 (ko) 이차 전지 모듈
US8956751B2 (en) Battery pack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JP5297434B2 (ja) バッテリ・ユニット及びこれを具備するバッテリ・パック
US7746034B2 (en) Battery module
US7879485B2 (en) Housing member for battery module
JP2019525397A (ja) 電池サブモジュールキャリア、電池サブモジュール、電池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
WO2015064096A1 (ja) 電池モジュール
US8852773B2 (en) Battery pack
JP2008166191A (ja) 電池パック
US9236591B2 (en) Battery pack
JP2015211013A (ja) 蓄電装置
WO2013080338A1 (ja) 電池ブロック及びそれを有する電池モジュール
JP2014036001A (ja) 電池ブロック及びそれを有する電池モジュール
JP2013016467A (ja) 電池パック
JP2014186864A (ja) 蓄電装置
KR101806417B1 (ko) 전력 저장 장치의 단위 전지 팩
CN115117529A (zh) 电池包
JP7175590B2 (ja) バッテリパックおよびバッテリ盤
JP2002373710A (ja) 電池モジュール
KR20200044581A (ko) 배터리의 대형 모듈
JP2012199044A (ja) 組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