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766B1 - 이차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766B1
KR100684766B1 KR1020050069444A KR20050069444A KR100684766B1 KR 100684766 B1 KR100684766 B1 KR 100684766B1 KR 1020050069444 A KR1020050069444 A KR 1020050069444A KR 20050069444 A KR20050069444 A KR 20050069444A KR 100684766 B1 KR100684766 B1 KR 100684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partition wall
protrusion
battery module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4631A (ko
Inventor
전윤철
김태용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9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766B1/ko
Priority to US11/494,243 priority patent/US20070026303A1/en
Publication of KR20070014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10/6557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은 단위전지에서 발생된 열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적층 배열된 다수 개의 단위 전지, 및 상기 단위전지 사이에 설치되며, 양면에 돌기가 형성된 격벽을 포함한다.
이차 전지, 전지 모듈, 전지 격벽, 돌기

Description

이차 전지 모듈{SECONDARY BATTERY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격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격벽을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격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지 격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지 격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지 격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6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지 격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이차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달 매체의 유동통로를 형성하는 격벽의 구조를 개선하여 냉각성능을 향상시킨 이차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용량 전지의 경우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전지 셀을 수십 개 연결한 전지 팩 단위의 대용량 전지의 경우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이차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을 들 수 있으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separator)를 개재하여 이를 와류 상으로 감은 전극군(또는 젤리롤)을 케이스에 내장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에 외부 단자가 형성된 캡 조립체를 설치하여 전지를 구성한다.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한 고출력 이차전지 복수 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이차전지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이차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단위 전지라 칭한다)는 통상 복수개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고출력 이차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전지 모듈이라 칭한다)를 이루게 되며, 상기 각각의 단위 전지는 양극과 음극이 세퍼레이터(separator)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군과,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 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 상기 캡 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전극군에 구비된 양, 음극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음극 단자, 상기 캡 플레이트와 상기 양,음극 단자 사이에 구비되어 내밀성을 보장하는 개스킷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단위전지는 통상 각형 전지의 경우 캡 조립체 상부로 돌출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이웃하는 단위전지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엇갈리도록 교차 배열되고, 나사가공된 양극단자와 음극단자 간에 너트를 매개로 도전체를 연결 설치하여 전지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전지 모듈은 수 개에서 많게는 수십 개의 단위전지들이 연결되어 형성되므로, 각 단위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어야하며, 더욱이 HEV(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에 적용되는 이차 전지의 경우 열 방출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열 방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각 단위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은 전지 모듈의 온도 상승을 초래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전지모듈이 적용된 기기의 오작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특히, 차량용으로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용 전지 모듈의 경우 대전류로 충,방전되므로 사용 상태에 따라서 이차 전지의 내부 반응에 의해 열이 발생하여 상당한 온도까지 올라가게 되고, 이는 전지의 고유 특성에 영향을 주어 전지 고유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통상 다수개의 이차 전지가 내장되는 전지 모듈, 특히 각형의 이 차 전지로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경우, 단위 전지와 단위전지 사이에 전지 격벽을 설치함으로써 단위 전지간의 냉각용 공기 유통을 위한 간격을 확보하고 구조적으로 단위 전지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고 단위전지들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전지 격벽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전지 격벽이 단위전지의 표면에 밀착되어 열전달 매체가 간접적으로 전지 격벽을 통하여 단위전지를 냉각하는 구조로 이루어졌으나, 이는 냉각매체가 단위전지를 직접 냉각시키는 구조보다 열전달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지모듈은 적용되는 기기의 내부에 장착되므로, 그 부피와 무게가 작을수록 적용된 기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지모듈의 부피는 최소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단위전지 사이의 간격 또한, 일정한 크기로 제한되며, 최소한의 간격으로 최대한의 냉각 효율을 얻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 전지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전지 격벽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은 적층 배열된 다수 개의 단위전지와 상기 단위전지 사이에 설치되며, 양면에 돌기가 형성된 격벽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위전지는 양극과 음극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군과,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 상기 양극 또는 음극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캡 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지 모듈은 다수개의 단위전지와 상기 단위전지 사이에 설치되며 양면에 돌기가 형성된 격벽, 및 상기 단위전지에 설치된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돌기는 격벽의 양면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기는 원뿔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기둥, 육면체, 또는 육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기는 다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다수의 행과 열을 이루고 이웃하는 행들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웃하는 열들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차전지 모듈은 HEV(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EV(전기 자동차), 무선 청소기, 전동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과 같이 모터를 사용하여 작동하는 기기에 있어, 해당 기기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은 양극과 음극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군을 구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다수개의 단위전지(10)와 상기 단위전지들(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위전지(10) 사이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간격을 유지하고 단위전지(10)의 측면을 지지하는 전지 격벽(20), 상기 단위전지들(10)의 최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단위전지들(10)을 내측으로 가압하는 엔드 플레이트(15), 및 상기 단위전지(10)와 전지 격벽(20)이 배열되어 장착되는 하우징(12)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2)은 일측면 상단에 단위전지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온도 제어용 열전달 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3)가 형성되고 반대쪽 측면 하단에는 단위전지(10)를 거친 열전달 매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4)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2)의 구조와 유입구(13) 및 배출구(14)의 위치, 그리고 하우징(12) 내부에서의 단위 전지(10)의 배열구조에 대해서는 상기 구조를 만족하는 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하우징(12)의 유입구(13)로 들어온 열전달 매체는 단위전지(10)와 단위전지(10)의 측면 사이에 설치된 전지 격벽(20)을 통과하면서 하부로 유통되고 이 과정에서 단위전지(10)에서 발생된 열이 교환되며, 열 교환된 공기는 하우징(10)의 하부 배출구(14)를 통해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한 구조의 전지 모듈(100)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격벽(20)은 단위전지(10)의 측면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판재로 이루어지며 양면에 다수개의 돌기(21)가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지 격벽(20)에 형성된 각 돌기(21)가 단위전지(10)와 밀착되어 접하면서 단위전지(1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돌기(21)와 돌기(21)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통로를 통해 열전달 매체가 원활하게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열전달 매체가 단위전지(10)에 직접 접촉하여 단위전지(10)의 표면을 냉각시키므로,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전지간(10)의 간격에 끼워지는 전지 격벽(20)이 하나 뿐이므로, 열전달 매체의 유동 통로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전지 격벽(20)이 단위전지(10) 사이에 두 개의 유동통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단위전지(10)의 일면에 형성된 열전달 매체의 유동통로는 돌기(21)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일면에 접하는 열전달 매체는 자유롭게 혼합되어 상기 단위전지(10)를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격벽(2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격벽(20)을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격벽(20)은 판부재(23)와 상기 판부재(23)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21)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21)는 원뿔의 횡단면이 잘려진 구조인 원뿔대(circular truncated cone)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돌기(21)는 다수 개가 상기 판부재(23)의 양면에 행과 열을 이루어 나란히 배열된다. 다만, 상기 돌기(21)의 개수 및 크기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으며, 단위전지(10)의 크기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한 개수 및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기(21)는 상기 판부재(23)의 양면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돌기(21)가 이러한 구조로 배치되어 일측 단위전지(10)와 접촉하는 돌기(21)는 상기 판부재(23)를 매개로 타측 단위전지(10)와 접하는 돌기(10)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격벽(20)은 상기 단위전지(10)가 팽창하여 격벽을 가압하여도, 양측 단위전지에 지지되는 돌기(21)에 의하여 용이하게 상기 단위전지(1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격벽(20)이 단위전지(10)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돌기(21)의 측면을 따라 열전달 매체가 용이하게 유동되어, 상기 단위전지(10)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돌기(21)는 원뿔의 상부가 밑면에 평행한 평면으로 잘려진 형태인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상면과 하면이 모두 평평한 구조로 이루어져 양측에서 부과되는 하중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위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열전달 매체의 유동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21)의 표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열전달 매체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으며, 열전달 매체는 이러한 돌기(21) 사이를 유동하여 단위전지(10) 및 단위전지(10)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전지 격 벽을 냉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돌기(21)는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나란히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격벽(20)은 어느 일 측이 막혀있는 구조가 아니므로 냉각매체를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어느 방향으로든지 용이하게 유동시킬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격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 격벽(30)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판부재(33)와 상기 판부재(33)의 양면에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3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기둥 형상의 돌기(31)는 단위전지(10)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하며, 단위전지(10)와 맞닿는 면에서 열을 전달받아 단위전지(10)를 냉각시킨다.
상기 돌기(31)는 외측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열전달매체가 상기 돌기(31)의 둘레를 타고 흐르면서 상기 돌기(31)와 판부재(33)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31)는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며, 이러한 돌기(31) 사이를 열전달 매체가 유동하여 단위전지(10)와 단위전지(10)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전지 격벽(30)을 냉각시키게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지 격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격벽(40)은 단위전지(10) 사이에 개재되는 판부재(43)와 상기 판부재(43)의 양면에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돌기(4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육면체 형상의 돌기(41)는 다수개가 일정 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단위전지(10)들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돌기(41)는 각이진 형태로 이루어져 열전달 매체의 진행을 방해하고 상기 돌기(41)의 주위에서 난류를 유발시켜서 열전달 매체가 격벽(40) 전체로 퍼지도록 하며, 상기 열전달 매체가 단위전지(10)와 접하는 시간을 연장시킴으로써 열전달 매체와 상기 단위전지(10) 사이에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5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지 격벽(5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격벽(50)은 단위전지(10) 사이에 배치되는 판부재(53)와 상기 판형부재(53)의 양면에 형성되는 육각기둥 형상의 돌기(5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육각기둥 형상의 돌기(51)는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단위전지(10)들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육각기둥 형상은 육면체 형상보다는 항력(drag)이 작고, 원기둥 형상보다는 항력이 커서 전지 격벽(50)을 따라 흐르는 열전달 매체를 적절하게 분산시키면서 적정한 속도로 진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지 격벽(6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6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지 격벽(7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지 격벽(60)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판부재(63)와 상기 판부재(63)의 양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6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돌기(61)는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행과 열 을 이루어 배열되고, 서로 이웃하는 행들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즉 전방에 배치된 돌기들(61) 사이의 중간지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음 행을 형성하는 돌기들(61)이 배치되어, 짝수행과 홀수행의 돌기들(61)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전지 격벽(60)으로 유입된 열전달 매체가 일측 돌기(61)에 닿으면서 양쪽으로 분산되어 유동하며 분산된 공기는 하부의 이웃하는 행에 형성된 돌기(61)와 부딪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열전달 매체는 상기 격벽(60)의 전면에 골고루 퍼지게 되고 상기 단위전지(10)를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전달 매체의 유통경로가 곡선을 이루면서 확장되어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지 격벽(70)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판부재(73)와 상기 판부재(73)의 양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7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돌기(71)는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다수의 행과 열을 이루고, 이웃하는 열들은 상기 돌기(71)가 서로 엇갈리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구조의 전지 격벽(70)은 단위전지(10)의 측면에서 열전달 매체가 유입되는 경우에 적용할 실익이 있다. 즉, 열전달 매체가 측면에서 유입되면 제일 앞에 배치된 돌기들(71)에 의하여 분산되고, 다시 후방에 위치한 돌기들(71)에 의하여 분산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열전달 매체가 전지 격벽(70)의 표면에 고르게 퍼지게 된다. 또한, 각 돌기(71)들에 의하여 열전달 매체의 이동 경로가 길어져 열전달 매체와 단위전지(10)가 접하는 시간이 오래 지속됨에 따라 열교환이 활발히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수의 행과 열을 이루는 돌기들이 표면에 형성된 전지 격벽에 있어서, 각 행을 이루는 돌기들은 이웃하는 행의 돌기들과 엇갈리도록 배치되고, 각 열을 이루는 돌기들은 이웃하는 돌기들과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와 제6 실시예가 결합된 경우로서 각 돌기들이 이웃하는 돌기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격벽과 이을 통과하는 열전달 매체에 의하여 상기 단위전지들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차 전지 모듈은 HEV(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EV(전기 자동차), 무선 청소기, 전동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과 같이 모터를 사용하여 작동하는 기기에 있어, 해당 기기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지 격벽의 양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열전달 매체의 유동 통로를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단위전지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돌기들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단위전지를 균일하게 냉각시킬 뿐 만 아니라,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9)

  1. 적층 배열된 복수 개의 단위 전지; 및
    상기 단위전지 사이에 설치되며,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양면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전지 격벽;
    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격벽의 양면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이차 전지 모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원뿔대 형태로 이루어지는 이차 전지 모듈.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이차 전지 모듈.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는 이차 전지 모듈.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육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이차 전지 모듈.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다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나란히 배치되는 이차 전지 모듈.
  8.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다수의 행과 열을 이루고, 이웃하는 행들의 각 돌기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이차 전지 모듈.
  9.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다수의 행과 열을 이루고, 이웃하는 열들의 각 돌기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이차 전지 모듈.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 모듈은 모터 구동용인 이차 전지 모듈.
  11.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양측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며, 단위전지 사이에 개재되어 열전달 매체의 유동통로를 형성하는 전지 격벽.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전지 격벽의 양면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전지 격벽.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원뿔대 형태로 이루어지는 전지 격벽.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전지 격벽.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는 전지 격벽.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육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전지 격벽.
  17. 제11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다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나란히 배치되는 전지 격벽.
  18. 제11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다수의 행과 열을 이루고, 이웃하는 행들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전지 격벽.
  19. 제11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다수의 행과 열을 이루고, 이웃하는 열들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전지 격벽.
KR1020050069444A 2005-07-29 2005-07-29 이차 전지 모듈 KR100684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444A KR100684766B1 (ko) 2005-07-29 2005-07-29 이차 전지 모듈
US11/494,243 US20070026303A1 (en) 2005-07-29 2006-07-27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444A KR100684766B1 (ko) 2005-07-29 2005-07-29 이차 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631A KR20070014631A (ko) 2007-02-01
KR100684766B1 true KR100684766B1 (ko) 2007-02-20

Family

ID=37694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444A KR100684766B1 (ko) 2005-07-29 2005-07-29 이차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026303A1 (ko)
KR (1) KR1006847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1820A1 (ko) * 2020-05-29 2021-12-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히트싱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414B1 (ko) * 2004-11-30 2007-0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과 전지 모듈의 격벽
ATE528807T1 (de) * 2006-05-11 2011-10-15 Johnson Controls 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Modulares batteriesystem
US8568915B2 (en) 2006-08-11 2013-10-29 Johnson Controls—SAFT Power Solutions LLC Battery with integrally formed terminal
US7820816B2 (en) * 2006-08-23 2010-10-26 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CMHTP and intermediates thereof
US11660971B2 (en) 2006-11-07 2023-05-30 Clarios Advanced Solutions Llc System for arranging and coupling battery cells in a battery module
CN101627490B (zh) * 2006-12-14 2012-10-03 江森自控帅福得先进能源动力***有限责任公司 电池模块
EP2179461B1 (en) * 2007-07-30 2016-12-21 Johnson Controls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Storage battery arrangement
JP5121395B2 (ja) 2007-10-31 2013-01-1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用セパレータ
DE102008011466A1 (de) * 2008-02-27 2009-09-03 Robert Bosch Gmbh Batteriemodul
DE102008013188A1 (de) * 2008-03-07 2009-09-17 Johnson Controls Hybrid And Recycling Gmbh Elektrochemischer Akkumulator und Fahrzeug mit einem elektrochemischen Akkumulator
CN102165625B (zh) * 2008-08-14 2015-11-25 江森自控帅福得先进能源动力***有限责任公司 具有密封的放气室的电池模块
CN103943912B (zh) 2008-11-12 2018-02-27 江森自控帅福得先进能源动力***有限责任公司 具有热交换器的电池***
KR100944980B1 (ko) * 2008-12-17 2010-03-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각수단을 구비한 전지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WO2011076941A1 (de) * 2009-12-23 2011-06-30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Akkumulator mit spannungserzeugenden zellen und einem dazwischen angeordneten kreuzförmigen, l-förmigen oder t-förmigen zwischenelement
US8609274B2 (en) * 2010-03-24 2013-12-17 Bren-Tronics Batteries International, L.L.C. Nested heatsink housing for lithium ion cells
KR101219237B1 (ko) * 2010-11-23 2013-01-0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배터리 모듈
US9142809B2 (en) * 2011-01-04 2015-09-22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8709644B2 (en) 2011-01-06 2014-04-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cell separator
US9537190B2 (en) 2011-01-06 2017-0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cell separators
KR101240702B1 (ko) * 2011-02-18 2013-03-1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배리어의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KR101233514B1 (ko) 2011-04-19 2013-02-14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WO2013042948A2 (ko) 2011-09-20 2013-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구조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US8512890B2 (en) * 2011-11-07 2013-08-20 Bren-Tronics Batteries International, L.L.C. Lithium ion cell with cooling features
KR101866345B1 (ko) 2011-12-02 2018-06-1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모듈
KR20130062551A (ko) 2011-12-05 2013-06-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신축부재가 구비된 배터리모듈
CN102563998A (zh) * 2011-12-26 2012-07-11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平板水冷散热装置
CN103107385B (zh) * 2013-01-24 2017-09-1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组
US9982953B2 (en) * 2014-02-04 2018-05-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spacer
KR102172846B1 (ko) 2014-02-10 2020-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10886517B2 (en) 2014-02-11 2021-01-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cell spacer
US9911951B2 (en) 2014-09-30 2018-03-0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compressed cell assembly
US10224528B2 (en) * 2016-06-17 2019-03-05 Bosch Battery Systems Llc Battery assembly including spacer
WO2018080182A1 (ko) * 2016-10-26 2018-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2585988B1 (ko) * 2018-06-20 2023-10-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109301111B (zh) * 2018-09-28 2023-09-08 新东鑫(江苏)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动力电池组散热结构
KR102617730B1 (ko) 2018-10-08 2023-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200040024A (ko) 2018-10-08 2020-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200040025A (ko) * 2018-10-08 2020-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220898B1 (ko) 2018-10-17 2021-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210030070A (ko) 2019-09-09 2021-03-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N110994072A (zh) * 2019-12-20 2020-04-10 华中科技大学 一种用于锂电池的并联式多通道液冷结构及锂电池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8858U (ko) * 1989-04-26 1990-11-20
JPH07128096A (ja) * 1993-10-29 1995-05-19 Nippon Seiki Co Ltd 表示装置
JPH08321329A (ja) * 1995-05-26 1996-12-03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
JP2000048867A (ja) * 1998-07-31 2000-02-18 Toyota Motor Corp 組電池
KR20050123482A (ko) * 2004-06-25 2005-12-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과 전지 모듈의 격벽
KR20060060813A (ko) * 2004-11-30 2006-06-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과 전지 모듈의 격벽
KR20060063175A (ko) * 2004-12-07 2006-06-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과 전지 모듈의 격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0010B2 (ja) * 1999-10-08 2009-08-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単位電池
JP4362321B2 (ja) * 2003-06-13 2009-11-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組電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8858U (ko) * 1989-04-26 1990-11-20
JPH07128096A (ja) * 1993-10-29 1995-05-19 Nippon Seiki Co Ltd 表示装置
JPH08321329A (ja) * 1995-05-26 1996-12-03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
JP2000048867A (ja) * 1998-07-31 2000-02-18 Toyota Motor Corp 組電池
KR20050123482A (ko) * 2004-06-25 2005-12-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과 전지 모듈의 격벽
KR20060060813A (ko) * 2004-11-30 2006-06-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과 전지 모듈의 격벽
KR20060063175A (ko) * 2004-12-07 2006-06-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과 전지 모듈의 격벽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832132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1820A1 (ko) * 2020-05-29 2021-12-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히트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631A (ko) 2007-02-01
US20070026303A1 (en) 200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766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96669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49561B1 (ko) 케이스와 이차전지 및 전지 모듈
US7795845B2 (en) Rechargeable battery module having a cooling mechanism
KR100612239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을 이루는 이차 전지의격벽
KR100709261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96624B1 (ko) 전지 모듈과 전지 모듈의 격벽
KR100953614B1 (ko) 이차 전지 모듈
KR20070013455A (ko) 이차 전지 모듈
JP2019525397A (ja) 電池サブモジュールキャリア、電池サブモジュール、電池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
JP4787006B2 (ja) 二次電池モジュール
KR101252936B1 (ko) 배터리 팩
KR100717751B1 (ko) 이차 전지 모듈
JP2007048750A (ja) 電池モジュール
KR20060099216A (ko) 이차 전지 모듈
KR20150102632A (ko) 이차 전지 팩
KR20150094030A (ko) 배터리 팩
KR20120070274A (ko) 배터리 팩
JP2013077432A (ja) 電池モジュール
KR20120048262A (ko) 전지 모듈
JP2014089822A (ja) 電池モジュール
JP2014135180A (ja) 電池モジュール
KR101256063B1 (ko) 전지 모듈
KR101761825B1 (ko) 배터리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101256057B1 (ko) 이차 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