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796B1 -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796B1
KR101990796B1 KR1020130112980A KR20130112980A KR101990796B1 KR 101990796 B1 KR101990796 B1 KR 101990796B1 KR 1020130112980 A KR1020130112980 A KR 1020130112980A KR 20130112980 A KR20130112980 A KR 20130112980A KR 101990796 B1 KR101990796 B1 KR 101990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lkylene carbonate
polyurethane resin
ink composition
gravure ink
diisocya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4831A (ko
Inventor
김혜림
최지연
홍승권
정광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2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796B1/ko
Priority to TW103132951A priority patent/TW201516097A/zh
Priority to PCT/KR2014/008887 priority patent/WO2015046874A1/ko
Publication of KR2015003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2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 및 유기용매를 포함함으로써, 그라비아 잉크 조성물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피인쇄체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며, 수분 및 산소차단성이 우수하여 배리어성 코팅으로 응용이 가능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OF SOLVENT-BASED GRAVURE INK USING POLYALKYLENE CARBONAT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EOF}
본 발명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 착색제 및 유기용매를 포함함으로써, 그라비아 잉크 조성물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피인쇄체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며, 수분 및 산소차단성이 우수하여 배리어성 코팅으로 응용이 가능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을 부식하여 오목판으로 한 것에 잉크를 묻혀 닥터블레이드로 여분의 잉크를 긁어내고 인쇄하는 형식을 그라비아 인쇄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잉크를 그라비아 잉크라 한다. 그라비아 인쇄는 다른 인쇄 방식에 비해 고속인쇄가 가능하고, 피인쇄체에 대한 제한이 적어 종이는 물론 플라스틱 필름, 금속, 나무 등에도 쉽게 인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라비아 인쇄방식에 사용되는 그라비아 잉크는 식품, 의약, 사료, 농산물 및 가정용품용 플라스틱 등의 포장산업에서 널리 적용되며, 특히 식품 포장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4505호(특허문헌 1)에는 시온안료, 비닐계 바인더 수지 및 여분의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고가의 시온안료의 사용으로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조성물 간의 상용성이 떨어짐에 따라 인쇄품질 및 저장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67272호(특허문헌 2)는 유기용제를 포함하지 않고 착색제 및 비히클 만으로 구성되는 그라비아 핫멜트 잉크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점착부여제를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피인쇄체에의 낮은 부착성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착색제와 비히클 간의 상용성이 좋지않아 그라비아 잉크의 분산안정성 및 저장안정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그라비아 잉크 조성물의 분산안정성 및 저장안정성이 우수하면서 피인쇄체의 재질에 상관없이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는 친환경적인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산소 및 수분 차단 기능을 가지고 있는 그라비아 잉크 조성물을 인쇄와 동시에 배리어성 필름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공정시간 및 단계를 단축시켜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450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6727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에 폴리우레탄 수지가 블렌딩 또는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이루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 착색제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여 그라비아 잉크 조성물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인쇄물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조성물을 다양한 재질의 피인쇄체에 코팅하여 우수한 수분 및 산소 차단성을 나타내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 및 유기용매 또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 착색제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에 폴리우레탄 수지가 블렌딩 또는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중량%에 대하여 폴리우레탄 수지가 10 내지 70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는 이산화탄소와 할로겐 또는 알콕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C2-C10)알킬렌 옥사이드; 할로겐 또는 알콕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사이클로알킬렌옥사이드; 및 알로겐, 알콕시, 알킬 또는 아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C8-C20)스타이렌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에폭사이드 화합물을 반응시킨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로 하기 화학식 1 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1]
Figure 112013086164249-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w는 2 내지 10의 정수이고, x는 5 내지 100의 정수이며, y는 0 내지 100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R은 수소, (C1~C4)알킬 또는 -CH2-O-R'(R'는 (C1~C8)알킬)이다.)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15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활성수소를 포함하는 폴리올 및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반응하여 형성된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활성수소를 포함하는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 Methylene diisocyanate),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메틸 사이클로 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 Cyclo Hexane diisocyanate),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Xylene diisocyanate), 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Diphenyl methane diisocyanate),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1,5-Naphthalene diisocyanate),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2,4-Toluene diisocyanate) 및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2,6-Toluene diisocyanate)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아민계 화합물, 다이올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부가중합시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하기 식 1 및 식 2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 NCO ≤ 20 [식 1]
0.5NCO ≤ NA ≤ 1.5NCO [식 2]
(상기 식 1에서 NCO는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NCO 값을 나타낸 것이며, 상기 식 2에서 NA는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부가중합되는 아민계 화합물 또는 다이올계 화합물의 당량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에틸렌 디아민(Ethylene diamine), 프로필렌 디아민(Propyelene diamine), 헥사 메틸렌 디아민(Hexamethylene diamine), 이소포론 디아민(Isophorone diamine), 디싸이클로 헥실 메탄 4,4-디아민(Dicyclo hexylmethane 4,4-diamine), 디에틸렌 트리아민(Diethylene triamine)및 트리에틸렌 테트라민(Triethylene tetramin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며, 상기 다이올계 화합물은 에틸렌 글라이콜(Eht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라이콜(Propylene glycol), 2-메틸렌 1,3-프로판 다이올(2-Methylene 1,3-propnane diol), 1,4-부탄 다이올(1,4-Butane diol), 1,5-펜탄 다이올(1,5-Pentane diol), 3-메틸렌 1,5-펜탄 다이올(3-Methylene 1,5-pentane diol) 및 1,6-헥산 다이올(1,6-Hexane diol)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톨루엔(Toluene), 벤젠(Benzene), 크실렌(Xylene), 아세톤(Acetone),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이소부틸 케톤(Isobutyl ketone), 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틸아세테이트(Butyl acetate)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은 가소제, 점도조절제, 분산제, 슬립제, 부착증진제, 소포제 및 왁스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가 더 추가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전체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의 0.05 내지 1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을 기재필름에 도포했을 때, 23℃ 50%RH 조건에서 산소투과도가 하기 식 3을 만족하고, 40℃, 100%RH 조건에서 수분투과도가 하기 식 4를 만족할 수 있다.
0.01Pos ≤ Poi ≤ 0.9Pos [식 3]
0.01Pms ≤ Pmi ≤ 0.9Pms [식 4]
(상기 식 3에서, Poi는 기재필름에 코팅된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의 산소투과도(cc/m2·day·atm)이고, Pos는 기재필름의 산소투과도(cc/m2·day·atm)이며, 상기 식 4에서 Pmi는 기재필름에 코팅된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의 수분투과도(g/m2·day)이고, Pms는 기재필름의 수분투과도(g/m2·day)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 제조단계; 및 b)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에 유기용매, 착색제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를 블렌딩하거나,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가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형성하도록 반응시키는 것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 착색제 및 유기용매를 포함함으로써 그라비아 잉크 조성물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인쇄물의 소재에 상관없이 접착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피인쇄체의 재질에 상관없이 본 발명의 그라비아 잉크 조성물이 피인쇄체에 코팅되었을 때, 피인쇄체의 재질에 상관없이 산소 및 수분 차단 특성이 현저히 향상되어 배리어성 필름으로 적합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물성측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고,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를 감축시키고 분해특성의 조절이 용이하여 폐기시에도 환경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와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블렌딩하거나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형성한 수지를 그라비아 잉크용 바인더로 사용함으로써 피인쇄체의 재질에 상관없이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착색제와의 상용성을 좋게 하여 그라비아 잉크의 분산안정성 및 저장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여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 착색제 및 유기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에 폴리우레탄 수지가 블렌딩되거나,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이루도록 중합반응된 것으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가 상호보완하여 다양한 기재의 재질에 상관없이 우수한 접착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는 이산화탄소와 할로겐 또는 알콕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C2-C10)알킬렌 옥사이드; 할로겐 또는 알콕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사이클로알킬렌옥사이드; 및 알로겐, 알콕시, 알킬 또는 아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C8-C20)스타이렌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에폭사이드 화합물을 반응시킨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로 하기 화학식 1로 표기될 수 있다.
[화학식1]
Figure 112013086164249-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w는 2 내지 10의 정수이고, x는 5 내지 100의 정수이며, y는 0 내지 100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R은 수소, (C1~C4)알킬 또는 -CH2-O-R'(R'는 (C1~C8)알킬)이다.)
이때,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에서 알킬렌은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사이클로헥센옥사이드, 알킬글리시딜에테르, n-부틸 및 n-옥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로 공중합된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인 것이 인쇄 후에 수분 및 산소에 대한 차단성이 높고, 인쇄물을 사용하고 난 뒤 폐기할 때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자체가 생분해 되므로 환경에 유해한 잔유물을 남기지 않아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150,000g/mol 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100,000 g/mol 인 것이 효과적이다.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g/mol 미만일 경우에는 고분자의 분자량이 너무 낮아 인쇄가 다 끝난 후에 표면 물성이 낮아 긁힘에 약하고 끈적거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50,000g/mol 초과일 경우에는 잉크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작업 속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것이 피인쇄체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고, 분산안정성 및 저장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가장 효과적이다. 또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의 특성으로 인하여 그라비아 잉크 폐기물 연소시 NOx의 발생을 줄이고, 폐기물 매립시에도 이온에 의하여 분해가 용이한 친환경적인 특성을 부가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에서 블렌딩되거나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이루도록 중합되는 폴리우레탄 수지는 활성수소를 포함하는 폴리올 화합물 및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반응하여 형성된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수소를 포함하는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으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 Methylene diisocyanate),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메틸 사이클로 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 Cyclo Hexane diisocyanate),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Xylene diisocyanate), 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Diphenyl methane diisocyanate),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1,5-Naphthalene diisocyanate),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2,4-Toluene diisocyanate) 및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2,6-Toluene diisocyanate)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으며,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폴리올의 수산기 당량에 대하여 0.9 내지 1.2 당량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이 수산기 당량에 대하여 0.9 당량 미만일 경우에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가교도가 부족하게 되고, 1.2당량 초과일 경우에는 미반응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잔류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술한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이때,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폴리올 화합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200 내지 20,000g/mol 인 저분자량의 폴리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00g/mol 미만일 경우에는 중합반응으로 생성된 폴리우레탄의 분자량이 5만을 넘기기 어려움에 따라 폴리우레탄의 블렌딩 또는 상호침투형 가교 구조 형성에 따른 접착력 향상 특성이 미미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20,000 g/mol을 초과할 경우에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와 효과적인 블렌딩 또는 상호침투형 가교구조 형성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수지는 상술한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아민계 화합물, 다이올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부가중합시켜 형성되는 것이 최종 우레탄의 분자량 및 물성 조절이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아민계 화합물 또는 다이올계 화합물은 폴리우레탄 수지 합성에서 쇄연장제(chain extender)로 자명하게 공지된 화합물이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민계 화합물로 에틸렌 디아민(Ethylene diamine), 프로필렌 디아민(Propyelene diamine), 헥사 메틸렌 디아민(Hexamethylene diamine), 이소포론 디아민(Isophorone diamine), 디싸이클로 헥실 메탄 4,4-디아민(Dicyclo hexylmethane 4,4-diamine), 디에틸렌 트리아민(Diethylene triamine)및 트리에틸렌 테트라민(Triethylene tetramine)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으며, 다이올계 화합물로 에틸렌 글라이콜(Eht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라이콜(Propylene glycol), 2-메틸렌 1,3-프로판 다이올(2-Methylene 1,3-propnane diol), 1,4-부탄 다이올(1,4-Butane diol), 1,5-펜탄 다이올(1,5-Pentane diol), 3-메틸렌 1,5-펜탄 다이올(3-Methylene 1,5-pentane diol) 및 1,6-헥산 다이올(1,6-Hexane diol)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수지는 하기 식 1 및 식 2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 NCO ≤ 20 [식 1]
0.5NCO ≤ NA ≤ 1.5NCO [식 2]
(상기 식 1에서 NCO는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NCO 값을 나타낸 것이며, 상기 식 2에서 NA는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부가중합되는 아민계 화합물, 다이올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총 당량을 나타낸 것이다.)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NCO함량이 0.1 미만일 경우에는 NCO/OH 비가 낮아 분자량이 너무 커져서 젤이 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20 초과일 경우에는 NCO잔량이 고분자에 남아서 환경 및 인체에 해가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NA가 0.5NCO미만일 경우에는 반응 후에 남아있는 NCO가 많아 환경 및 인체에 해가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NA가 1.5NCO초과일 경우에는 고분자의 분자량을 크게 만들 수 없으며, 잔량의 쇄 연장제가 인쇄 시, 또는 인쇄 후 도막에 남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범위로 반응시키는 것이 분자량 조절 또는 인쇄물의 물성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150,000g/mol 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100,000 g/mol 인 것이 효과적이다.
폴리우레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g/mol 미만일 경우에는 고분자의 분자량이 너무 낮아 인쇄가 다 끝난 후에 표면 물성이 낮아 긁힘에 약하고 끈적거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50,000g/mol 초과일 경우에는 잉크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작업속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것이 피인쇄체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고, 분산안정성 및 저장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가장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는 상술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중량%에 대하여 상술한 폴리우레탄 수지가 10 내지 7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 포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폴리우레탄 수지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우레탄의 함량이 너무 낮아서 그라비아 잉크의 물성이 저하되고 인쇄 시 접착력이 낮아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70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그라비아 잉크 도막의 수분 및 산소 차단성이 떨어지고,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자체가 가지는 친환경 가치를 훼손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용매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균일한 중합 및 그라비아 잉크 조성물의 균일한 단일상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자명하게 공지된 유기용매이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톨루엔(Toluene), 벤젠(Benzene) 또는 크실렌(Xylene)을 포함하는 방향족 탄화수소계 유기용매; 아세톤(Acetone),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이소부틸 케톤(Isobutyl ketone) 또는 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을 포함하는 케톤계 유기용매;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또는 부틸아세테이트(Butyl acetate)를 포함하는 아세테이트계 유기용매;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를 포함하는 염소계 유기용매;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색제는 안료 또는 염료로써, 인쇄에 사용되는 염료 및 안료이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안료로는 카본블랙, 카드늄 레드, 몰리브덴 레드, 크롬 옐로, 카드뮴 옐로, 티탄 옐로, 산화 크로늄, 티탄 코발트 그린, 시안 블루, 코발트 블루, 아조계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퀴나크리돈계 안료, 이소인돌리논계 안료, 페릴렌계 안료, 티오 인디고계 안료 및 금속 착체 안료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안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가능한 염료로는 금속 착염 염료, 나프톨 염료, 안트라키논 염료, 인디고 염료, 카보니움 염료, 퀴논 이민 염료, 시아닌 염료, 퀴놀린 염료, 니트로 염료, 티스로소 염료, 벤조퀴논 염료, 나프토퀴논 염료, 프탈로시아닌 염료 및 금속 프탈로시아닌 염료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의 염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에는 가소제, 점도조절제, 분산제, 슬립제, 부착증진제, 소포제 및 왁스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당해 기술분야에 자명하게 공지된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의 0.05 내지 15중량%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의 함량이 0.0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제의 효과가 미미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5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의 저장안정성 및 분산안정성을 저감시키고, 피인쇄체와의 접착력을 감소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상술한 범위로 첨가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 제조단계; 및
b)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에 유기용매, 착색제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a)단계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를 블렌딩하거나,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가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형성하도록 반응시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폴리우레탄 수지를 합성하거나,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와 폴리우레탄이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이루는 수지를 합성할 때는 폴리올 화합물과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아민계 화합물, 다이올계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부가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거나, 제조된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부가중합시키는 반응조건은 70 내지 120℃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온도가 70℃ 미만이고, 반응시간이 1시간 미만일 경우에는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의 기계적 물성이 감소하고 충분히 경화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반응온도가 120℃ 초과이고, 반응시간이 5시간 초과일 경우에는 반응도중 경화되거나, 접착특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a)단계에서 제조되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100중량%에 대하여, 폴리우레탄 수지 10 내지 70중량%가 블렌딩되거나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도록 중합되는 것이 그라비아 잉크조성물로 사용할 경우 분산안정성 및 접착력 향상에 가장 효과적이다.
b)단계는 a)단계에서 제조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에 유기용매, 착색제 및 용도에 맞는 첨가제를 혼합하여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혼합은 상온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지된 혼합방법이면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은 분산안정성 및 저장안정성이 우수하고, 재질에 상관없이 다양한 피인쇄체에 우수한 접착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피인쇄체는 종이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알루미늄, 나일론 및 유리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을 기재필름에 도포했을 때, 도포되는 잉크의 두께에 제한없이, 23℃ 50%RH 조건에서 산소 투과도가 하기 식 3을 만족하고, 40℃, 100%RH조건에서 수분투과도가 하기 식 4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 3은 0.1Pos ≤ Poi ≤ 0.6Pos이고, 식 4는 0.1Pms ≤ Pmi ≤ 0.6Pms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0.01Pos ≤ Poi ≤ 0.9Pos [식 3]
0.01Pms ≤ Pmi ≤ 0.9Pms [식 4]
(상기 식 3에서, Poi는 기재필름에 코팅된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의 산소투과도(cc/m2·day·atm)이고, Pos는 기재필름의 산소투과도(cc/m2·day·atm)이며, 상기 식 4에서 Pmi는 기재필름에 코팅된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의 수분투과도(g/m2·day)이고, Pms는 기재필름의 수분투과도(g/m2·day)이다.)
본 발명의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은 상기 식 3 및 식 4를 만족함으로써, 현저히 향상된 산소 차단성 및 수분 차단성을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물성측정
1. 분산안정성 및 저장안정성 측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한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을 제조하여 10ml 바이알(vial)에 담아 상온에서 24시간 방치 후 상분리를 관찰하고 상분리가 발생할 경우 "있음", 상분리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없음"으로 표시하였다.
2. 부착력 측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한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을 각각의 피인쇄체에 도포량이 5g/㎡이 되도록 인쇄한 후 45℃에서 20초간 건조하고, 24시간 방치하고, KS M5981규격에 의거하여, 10mm×10mm 안에 100개의 격자를 형성한다. 셀로판 테이프를 격자가 형성된 인쇄면에 붙였다가 60°각도로 급격히 떼어낸 후 인쇄 도막의 박리 상태를 파악하여 격자가 전혀 박리되지 않았을 경우 "◎", 격자가 1 ~ 10개 정도 박리된 경우 "○", 격자가 11 ~ 30개 정도 박리된 경우 "△" 및 격자가 31개 이상 박리된 경우 "X"로 표시하였다.
3. 광택도 측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한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을 각각의 피인쇄체에 도포량이 5g/㎡이 되도록 인쇄한 후 45℃에서 20초간 건조하고, 24시간 방치 후 60°광택도를 (Gloss meter,BY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 산소 및 수분 투과도 측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한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을 PET 필름 위에 10 ㎛ 두께로 코팅 한 다음, 산소차단성은 23℃, 50% RH의 조건에서, 수분차단성은 40℃, 100% RH 조건에서 USA Mocon OX-TRAN 2/61를 이용하여 수분 및 산소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제조예 1]
중량평균분자량 2,000g/mol의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G3452, Asahi Kesei)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의 수산기 당량의 2.0배 만큼의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osyanate,HDI)와 메틸에틸케톤(MEK) 50중량부와 디부틸틴아민(DBTDL) 0.1중량부를 삼구 플라스크에 넣고 80℃에서 250rpm으로 교반하면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켜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얻었다.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NCO를 측정하여 그 값의 1.1배의 1,4-부탄 다이올을 넣고 80℃에서 250rpm으로 교반하면서 1시간 동안 반응한 다음 메틸에틸케톤(MEK) 로 희석하여 30중량%의 폴리우레탄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1]
중량평균분자량 30,000g/mol의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SK이노베이션)와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지를 90 : 10 중량비로 혼합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 35g, 이산화티타네이트(R706,Dupont) 35g, 에틸아세테이트 29g 및 분산제(D101, BYK) 1g을 배합한 후 쉐이커로 분산하여 백색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중량평균분자량 30,000g/mol의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SK이노베이션)와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지를 80 : 20 중량비로 혼합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 35g, 이산화티타네이트(R706,Dupont) 35g, 에틸아세테이트 29g 및 분산제(D101, BYK) 1g을 배합한 후 쉐이커로 분산하여 백색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중량평균분자량 30,000g/mol의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SK이노베이션)와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지를 70 : 30 중량비로 혼합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 35g, 이산화티타네이트(R706,Dupont) 35g, 에틸아세테이트 29g 및 분산제(D101, BYK) 1g을 배합한 후 쉐이커로 분산하여 백색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중량평균분자량 30,000g/mol의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SK이노베이션)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자량 2,000g/mol의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G3452, Asahi Kesei) 20중량부와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의 수산기 당량의 2.0만큼의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osyanate,HDI), 메틸에틸케톤(MEK) 50중량부와 디부틸틴아민(DBTDL) 0.1중량부를 삼구 플라스크에 첨가 한 뒤 80℃에서 250rpm으로 교반하면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켜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얻었다.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NCO를 측정하여 그 값의 1.1배의 1,4-부탄 다이올을 넣고 80℃에서 250rpm으로 교반하면서 1시간 동안 반응한 다음 메틸에틸케톤(MEK)으로 희석하여 30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 용액을 얻었다.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 35g, 이산화티타네이트(R706,Dupont) 35g, 에틸아세테이트 29g 및 분산제(D101, BYK) 1g을 배합한 후 쉐이커로 분산하여 백색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 제조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을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백색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 제조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을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백색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지 35g, 이산화티타네이트(R706,Dupont) 35g, 에틸아세테이트 29g 및 분산제(D101, BYK) 1g을 배합한 후 쉐이커로 분산하여 백색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중량평균분자량 30,000g/mol의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SK이노베이션)와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지를 10 : 90 중량비로 혼합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 35g, 이산화티타네이트(R706,Dupont) 35g, 에틸아세테이트 29g 및 분산제(D101, BYK) 1g을 배합한 후 쉐이커로 분산하여 백색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13086164249-pat00003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에 폴리우레탄 수지가 블렌딩 또는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이루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 착색제 및 유기용매를 최적의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상분리가 발생하지 않아 분산성 및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산소 투과도 및 수분 투과도가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인쇄체에 재질에 상관없이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내며, 생분해 특성이 향상되어 친환경적인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은 폴리우레탄 수지 단독으로 사용했을 경우, 기재에 대한 부착성은 우수하나, 생분해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으며, 특히, 수분 및 산소투과도가 현저히 높아져, 수분/산소 차단성이 미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와 폴리우레탄 수지의 함량이 본원발명의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수분 및 산소 투과도가 소폭 하락하기는 하나 목적하는 만큼의 차단성 향상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생분해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은 분산성이 우수하고, 피접착제의 재질에 상관없이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내며, 생분해특성, 산소 차단성 및 수분차단성이 현저히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Claims (18)

  1.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에 폴리우레탄 수지가 블렌딩 또는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이루는 것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아민계 화합물 또는 다이올계 화합물을 부가중합시켜 형성되는 것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조성물은 착색제를 더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중량%에 대하여 폴리우레탄 수지가 10 내지 70중량% 포함되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는 이산화탄소와 할로겐 또는 알콕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C2-C10)알킬렌 옥사이드; 할로겐 또는 알콕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사이클로알킬렌옥사이드; 및 알로겐, 알콕시, 알킬 또는 아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C8-C20)스타이렌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에폭사이드 화합물을 반응시킨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로 하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화학식1]
    Figure 112019036097111-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w는 2 내지 10의 정수이고, x는 5 내지 100의 정수이며, y는 0 내지 100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R은 수소, (C1~C4)알킬 또는 -CH2-O-R'(R'는 (C1~C8)알킬)이다.)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150,000 g/mol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폴리올 및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반응하여 형성된 것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 Methylene diisocyanate),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메틸 사이클로 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 Cyclo Hexane diisocyanate),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Xylene diisocyanate), 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Diphenyl methane diisocyanate),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1,5-Naphthalene diisocyanate),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2,4-Toluene diisocyanate) 및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2,6-Toluene diisocyanat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9. 삭제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하기 식 1 및 식 2를 만족하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0.1 ≤ NCO ≤ 20 [식 1]
    0.5NCO ≤ NA ≤ 1.5NCO [식 2]
    (상기 식 1에서 NCO는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NCO 값을 나타낸 것이며, 상기 식 2에서 NA는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부가중합되는 아민계 화합물 또는 다이올계 화합물의 당량을 나타낸 것이다.)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에틸렌 디아민(Ethylene diamine), 프로필렌 디아민(Propyelene diamine), 헥사 메틸렌 디아민(Hexamethylene diamine), 이소포론 디아민(Isophorone diamine), 디싸이클로 헥실 메탄 4,4-디아민(Dicyclo hexylmethane 4,4-diamine), 디에틸렌 트리아민(Diethylene triamine)및 트리에틸렌 테트라민(Triethylene tetramin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며,
    상기 다이올계 화합물은 에틸렌 글라이콜(Eht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라이콜(Propylene glycol), 2-메틸렌 1,3-프로판 다이올(2-Methylene 1,3-propnane diol), 1,4-부탄 다이올(1,4-Butane diol), 1,5-펜탄 다이올(1,5-Pentane diol), 3-메틸렌 1,5-펜탄 다이올(3-Methylene 1,5-pentane diol) 및 1,6-헥산 다이올(1,6-Hexane diol)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톨루엔(Toluene), 벤젠(Benzene), 크실렌(Xylene), 아세톤(Acetone),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이소부틸 케톤(Isobutyl ketone), 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틸아세테이트(Butyl acetate)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은 가소제, 점도조절제, 분산제, 슬립제, 부착증진제, 소포제 및 왁스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가 더 추가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전체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의 0.05 내지 15 중량%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을 기재필름에 도포했을 때, 23℃ 50%RH 조건에서 산소투과도가 하기 식 3을 만족하고, 40℃, 100%RH조건에서 수분투과도가 하기 식 4를 만족하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0.01Pos ≤ Poi ≤ 0.9Pos [식 3]
    0.01Pms ≤ Pmi ≤ 0.9Pms [식 4]
    (상기 식 3에서, Poi는 기재필름에 코팅된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의 산소투과도(cc/m2·day·atm)이고, Pos는 기재필름의 산소투과도(cc/m2·day·atm)이며, 상기 식 4에서 Pmi는 기재필름에 코팅된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의 수분투과도(g/m2·day)이고, Pms는 기재필름의 수분투과도(g/m2·day)이다.)
  15. a)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 제조단계; 및
    b)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에 유기용매, 착색제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를 블렌딩하거나,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가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형성하도록 반응시키는 것이고,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상호침투형 가교구조가 형성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는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아민계 화합물 또는 다이올계 화합물을 부가중합하여 제조되는 것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의 제조방법.
  16. 삭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상호침투형 가교구조가 형성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는 하기 식 1 및 식 2를 만족하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의 제조방법.
    0.1 ≤ NCO ≤ 20 [식 1]
    0.5NCO ≤ NA ≤ 1.5NCO [식 2]
    (상기 식 1에서 NCO는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NCO 값을 나타낸 것이며, 상기 식 2에서 NA는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부가중합되는 아민계 화합물 또는 다이올계 화합물의 당량을 나타낸 것이다.)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중량%에 대하여 폴리우레탄 수지가 10 내지 70중량% 포함되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30112980A 2013-09-24 2013-09-24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0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980A KR101990796B1 (ko) 2013-09-24 2013-09-24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W103132951A TW201516097A (zh) 2013-09-24 2014-09-24 使用聚伸烷基碳酸酯之以溶劑爲主的凹版印刷油墨組合物及其製造方法
PCT/KR2014/008887 WO2015046874A1 (ko) 2013-09-24 2014-09-24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980A KR101990796B1 (ko) 2013-09-24 2013-09-24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831A KR20150034831A (ko) 2015-04-06
KR101990796B1 true KR101990796B1 (ko) 2019-06-19

Family

ID=52743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980A KR101990796B1 (ko) 2013-09-24 2013-09-24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90796B1 (ko)
TW (1) TW201516097A (ko)
WO (1) WO20150468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895B1 (ko) 2023-11-02 2024-02-06 주식회사 동양잉크 송진 유래 보조수지를 포함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6780A (zh) * 2019-11-05 2020-02-11 成都普瑞斯特新材料有限公司 热转移凹版环保反光油墨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7748B2 (en) * 2001-06-08 2004-09-28 Bic Corporation Polyurethane based inks for writing instruments
DE10241853B3 (de) * 2002-09-09 2004-01-22 Byk-Chemie Gmbh Polymeres Harnstoffurethan als Rheologiesteuerungsmitt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WO2006043569A1 (ja) * 2004-10-21 2006-04-27 Asahi Glass Company, Limited ポリウレタン樹脂およびポリウレタン樹脂溶液の製造方法
KR100727434B1 (ko) * 2005-03-04 2007-06-13 주식회사 잉크테크 투명 은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박막 형성방법
TW200808918A (en) * 2006-04-24 2008-02-16 Toyo Ink Mfg Co Non-aqueous ink-jet printing ink, ink composition for ink-jet recording, and substrate for color filter
KR100914505B1 (ko) 2007-07-20 2009-08-31 주식회사 디아이앤씨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인쇄물 및 인쇄방법
US8801165B2 (en) * 2009-08-21 2014-08-12 Sericol Limited Printing ink, apparatus and method
JP5643613B2 (ja) * 2010-11-09 2014-12-17 株式会社Adeka 水系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該組成物を用いた塗料及び塗装品
KR101318708B1 (ko) 2010-12-15 2013-10-1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를 이용한 로토그라비아 핫멜트 잉크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895B1 (ko) 2023-11-02 2024-02-06 주식회사 동양잉크 송진 유래 보조수지를 포함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16097A (zh) 2015-05-01
WO2015046874A1 (ko) 2015-04-02
KR20150034831A (ko) 201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05595B (zh) 印刷油墨用粘合剂、软包装用层压油墨组合物以及印刷物
JPWO2009060838A1 (ja) 印刷インキバインダー用ポリウレタン、その製造方法および印刷インキ
JP6363866B2 (ja) 表刷り用グラビア印刷インキ組成物
JP2016196560A (ja) 表刷り用グラビア印刷インキ組成物
KR101470611B1 (ko) 실리콘계 고무 표면 처리용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90796B1 (ko)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918323B2 (ja) 印刷インキ用バインダー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インキ
JP6582515B2 (ja) ポリウレタン樹脂および該組成物を用いた皮革用接着剤
JP6965329B2 (ja) ポリウレタン樹脂水性分散体及びこれを用いてなる印刷インク
JP5087063B2 (ja) 印刷インキバインダー及び印刷インキ
JP2010047679A (ja) インキバインダー用ポリウレタン樹脂、それを用いたインキバインダー及びインキ
CN102317389B (zh) 底漆组合物
CN113122122B (zh) 一种高固含聚氨酯油墨树脂、制备方法及其应用
CN104672421B (zh) 复合油墨连接料聚氨酯树脂制备方法和凹版印刷用复合油墨
KR102415559B1 (ko) 친환경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 조성물
JP2017178976A (ja) 印刷インキ用バインダー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インキ
JP2015028159A (ja) 印刷インキ用バインダー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インキ
KR102296629B1 (ko) 우레탄 도료 조성물
JP2004331841A (ja) 表刷り用グラビア印刷インキ組成物
JPH05171091A (ja) 水性ポリウレタン樹脂、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KR102220288B1 (ko) 경화형 도료 조성물
JP2013151653A (ja) 印刷インキ用バインダー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インキ
JP5828397B2 (ja) 印刷インキ用バインダーおよび印刷インキ組成物
JP2014084449A (ja) 印刷インキ用バインダー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インキ
JPH08217849A (ja) 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ウレア溶液およ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