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238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238B1
KR101990238B1 KR1020180002306A KR20180002306A KR101990238B1 KR 101990238 B1 KR101990238 B1 KR 101990238B1 KR 1020180002306 A KR1020180002306 A KR 1020180002306A KR 20180002306 A KR20180002306 A KR 20180002306A KR 101990238 B1 KR101990238 B1 KR 101990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lead
terminals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0474A (ko
Inventor
야스유키 와다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0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기판상에 있어서의 전유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커넥터 하우징(2), 및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복수의 단자(5)를 구비하고, 복수의 단자(5)의 각각에 상대측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1)를 대상으로 한다. 단자(5)는 상대측 단자에 접촉하는 부분인 접점부를 가지는 컨택트부와, 컨택트부와 다른 부분을 매개로 하여 일체로 마련되거나 또는 컨택트부와 일체로 마련되며, 기판에 납땜되는 부분인 리드부(41, 51, 53)를 가지고, 리드부(41, 51, 53)는 기판에 실장된 상태의 커넥터(1)를 기판에 수직인 방향에서 볼 때, 커넥터 하우징(2)의 바깥 가장자리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상대측 단자가 접속되는 단자를 가지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5367122호 명세서에서는, 그 일본 특허 제5367122호 명세서의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1 컨택트(30)의 제1 단자부(36)와 제2 컨택트(40)의 제2 단자부(44)가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단자간 거리를 확보하면서, 좌우 방향(커넥터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자부(36)와 제2 단자부(44)와의 거리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렇게 하면, 기판상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전유(專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일본 특허 제5367122호 명세서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커넥터라도, 기판상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전유 면적의 관점에서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기판상에 있어서의 전유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어느 국면에 따른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및 그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단자의 각각에 상대측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단자는 상기 상대측 단자에 접촉하는 부분인 접점부를 가지는 컨택트부와, 상기 컨택트부와 다른 부분을 통해서 일체로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컨택트부와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기판에 납땜되는 부분인 리드부를 가지고, 각 상기 리드부는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의 상기 커넥터를 상기 기판에 수직인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바깥 가장자리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판에 납땜되는 리드부가, 기판에 실장된 상태의 커넥터를 그 기판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의 커넥터 하우징의 바깥 가장자리보다도, 내측에 배치된다. 이렇게 하면, 예를 들면 리드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바깥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기판상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전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기판상에 있어서의 전유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2)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택트부는 상기 상대측 단자의 발거(拔去)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컨택트부의 선단부(先端部)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컨택트부와 간격을 두고 그 컨택트부보다도 상기 기판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발거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압입(壓入)되어 있는 연장부와, 상기 컨택트부의 기단부(基端部)와 상기 연장부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자의 일부인 연장부가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서 압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서 단자를 장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 이 구성에서는, 컨택트부의 기단부가, 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서 고정되는 부분인 연장부와 이어져 있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컨택트부와 연장부가, 간극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컨택트부에 있어서의 기단부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접점부를 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컨택트부의 스프링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 구성에 의하면, 컨택트부의 스프링성을 확보하면서, 기판상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전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3)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상기 단자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가지고, 상기 제1 단자의 상기 리드부의 위치와, 상기 제2 단자의 상기 리드부의 위치는,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대해서 상기 상대측 단자를 꽂고 발거 방향인 삽발(揷拔) 방향에 있어서 어긋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복수의 단자의 리드부가 일렬로 늘어서 있으면, 리드부가 기판의 랜드에 납땜된 상태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랜드 사이의 거리(연면(沿面) 거리)를 충분히 길게 할 수 없는 경우가 있
이 점에 대해,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단자의 리드부와 제2 단자의 리드부가, 상대측 단자의 삽발 방향에 대해서 어긋나 있다. 이렇게 하면,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서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교호(交互)로 배열함으로써, 리드부가 일렬로 늘어서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기판의 연면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4)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상기 단자는 제3 단자를 더 가지고, 상기 제3 단자의 상기 리드부의 위치는, 상기 제3 단자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의 상기 리드부의 위치 및 상기 제2 단자의 상기 리드부의 위치의 쌍방에 대해서 상기 삽발 방향에 있어서 어긋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서, 제1 단자, 제2 단자, 제3 단자, 제1 단자, 제2 단자, 제3 단자, …와 같이 반복되도록 배열함으로써, 리드부가 일렬로 늘어서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기판의 연면 거리를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5)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단자의 상기 리드부, 상기 제2 단자의 상기 리드부, 및 상기 제3 단자의 상기 리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장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기판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컨택트부의 기단부와 연장부의 기단부가 연결부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연장부의 선단부에 리드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리드부에 있어서 납땜되는 부분에서부터 접점부까지의 경로에, 상대측 단자의 삽발 방향을 따라서 왕복하는 경로가 포함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리드부에 있어서 납땜되는 부분에서부터 접점부까지의 경로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납땜 시에 플럭스(flux)가 접점부까지 올라와 버릴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6)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복수의 상기 단자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단자의 사이에 마련된 구획벽을 더 가지고, 상기 구획벽은 상기 연장부보다도 상기 기판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연장부의 쪽이 구획벽보다도 기판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 인접하는 단자 사이의 연면 거리는, 인접하는 단자 사이의 거리와 동일해진다. 이것에 대해서, 이 구성과 같이, 구획벽의 쪽이 연장부보다도 기판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 그 만큼, 인접하는 단자 사이의 연면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상에 있어서의 전유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상방(上方)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의 (A)는 누름 커버가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의 (B)는 누름 커버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를 하방(下方)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FFC가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며, 도 4의 (A)는 제1 단자가 가장 앞측에 보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의 (B)는 제2 단자가 가장 앞측에 보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의 (C)는 제3 단자가 가장 앞측에 보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커넥터가 실장된 기판을 하방에서 본 도면이며, 도 5의 (A)는 사시도, 도 5의 (B)는 저면도이다.
도 6은 제1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의 (A)는 사시도, 도 6의 (B)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제2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의 (A)는 사시도, 도 7의 (B)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제3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의 (A)는 사시도, 도 8의 (B)는 정면도이다.
도 9의 (A)는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횡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의 IXA-IXA선에 있어서의 단면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또, 도 9의 (B)는 변형예에 따른 커넥터의 횡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9의 (A)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커넥터에 넓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의 (A)는 누름 커버가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의 (B)는 누름 커버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1)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1)의 평면도이다. 또, 도 4는 FFC(60)가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1)의 종단면도이며, 도 4의 (A)는 제1 단자(6)가 가장 앞측에 보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의 (B)는 제2 단자(7)가 가장 앞측에 보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의 (C)는 제3 단자(8)가 가장 앞측에 보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5는 커넥터(1)가 실장된 기판(70)을 하방에서 본 도면이며, 도 5의 (A)는 사시도, 도 5의 (B)는 저면도이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전(前)이라고 기재된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을 전측(前側) 또는 전방(前方)이라고 칭하고, 후(後)라고 기재된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을 후측(後側) 또는 후방(後方)이라고 칭하며, 우(右)라고 기재된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을 우측(右側)이라고 칭하고, 좌(左)라고 기재된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을 좌측(左側)이라고 칭하고, 상(上)이라고 기재된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을 상측(上側) 또는 상방이라고 칭하고, 하(下)라고 기재된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을 하측(下側) 또는 하방이라고 칭한다. 전방은 커넥터(1)에 접속된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60)(이하, 간단하게 FFC(60)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을 그 커넥터(1)로부터 뽑아내는 방향에 대응한다. 또, 후방은 FFC(60)를 커넥터(1)에 삽입하는 방향에 대응한다. 즉, 전후 방향은 FFC(60)의 삽발 방향에 대응한다.
[커넥터의 전체 구성]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는 이른바 FFC용 커넥터로서, FFC(60)를 접속 가능한 커넥터이다. 커넥터(1)는 커넥터 하우징(2)과, 보강탭(3)과, 누름 커버(4)와, 복수의 단자(5)를 가지고, 이들이 서로 조립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는, 예를 들면 일례로서, FFC(60)측에 접속된 텔레비전의 전원 기판을, 커넥터(1)가 실장된 기판(70)에 형성된 프린트 배선을 통해서 텔레비전의 내부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커넥터 하우징의 구성]
커넥터 하우징(2)은 상하 방향으로 얇은 편평(扁平)한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절연성의 부재이다. 커넥터 하우징(2)은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길쭉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복수의 (본 실시 형태의 경우, 12개의) 단자(5)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2)은 후부(後部, 10) 및 전부(前部, 11)를 가지고, 이들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후부(10)는 커넥터 하우징(2)의 후측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좌우 방향으로 가늘게 길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편평한 부분이다. 후부(10)의 상부에 있어서의 전측의 부분의 좌우 양단부에는, 각각, 누름 커버(4)의 축부(軸部, 33)를 하측으로부터 받는 받이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받이부(12)에서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축부(33)가 슬라이딩하면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2)에 대해서 누름 커버(4)를 개폐할 수 있다.
또, 후부(10)에는, 그 후부(10)의 전면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양단 부분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보강탭용 슬릿(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탭용 슬릿(13)은 전방에서 볼 때 상하 방향으로 가늘고 길쭉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부(11)는 저벽부(底壁部, 15)와, 2개의 측벽부(16), 2개의 상벽부(17)를 가지고, 이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저벽부(15)는 후부(10)의 전면(前面)에 있어서의 하측의 부분에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2개의 측벽부(16)는, 각각 저벽부(15)의 좌우 방향 양단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좌우 방향으로 두께를 가지는 벽 모양의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각 상벽부(17)는 2개의 측벽부(16)의 각각에 대응해서 마련되어 있다. 각 상벽부(17)는 상하 방향으로 얇은 벽 모양의 부분으로서, 측벽부(16)로부터 약간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벽부(17)는 저벽부(15)에 있어서의 우측의 부분 및 좌측의 부분을, 상방에서부터 덮고 있다.
상술한 저벽부(15), 2개의 측벽부(16), 및 2개 상벽부(17)에 의해서 둘러싸인 부분은, 전방으로부터 FFC(60)가 삽입되어 그 FFC(60)의 선단측의 부분이 수용되는 수용부(18)로서 마련된다. 또한, 저벽부(15)의 상면에 있어서의 전측의 부분에는, 완만하게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15a)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FFC(60)를 스무스하게 수용부(18)로 삽입할 수 있다.
또, 커넥터 하우징(2)에는, 각 단자(5)가 압입되는 12개의 단자용 슬릿(20)이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용 슬릿(20)은 좌우 방향으로 얇은 슬릿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단자용 슬릿(20)은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슬릿(20)은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각 슬릿(20)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슬릿부(21)와, 제2 슬릿부(22)와, 제3 슬릿부(23)와, 제4 슬릿부(24), 및 제5 슬릿부(25)를 가지고 있다.
제1 슬릿부(21)는 커넥터 하우징(2)에 있어서의 하측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슬릿부(21)는 커넥터 하우징(2)의 후면에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슬릿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방 및 하방으로 개구(開口)되어 있다.
제2 슬릿부(22)는 커넥터 하우징(2)에 있어서의 후측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슬릿부(22)는, 제1 슬릿부(21)의 후측의 부분에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슬릿부(22)의 하측과 제1 슬릿부(21)의 후측이 연통(連通)되어 있다. 제2 슬릿부(22)는 후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제3 슬릿부(23)는, 커넥터 하우징(2)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제3 슬릿부(23)는 제2 슬릿부(22)의 상측의 부분에서부터 전방으로 약간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3 슬릿부(23)의 후측과 제2 슬릿부(22)의 상측이 연통되어 있다. 제3 슬릿부(23)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제1 슬릿부(21)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의 약 반 정도이다. 제3 슬릿부(23)는 후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제4 슬릿부(24)는 제3 슬릿부(23)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에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4 슬릿부(24)의 후측과 제3 슬릿부(23)의 전측이 연통되어 있다. 제4 슬릿부(24)는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제5 슬릿부(25)는 제4 슬릿부(24)보다도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제5 슬릿부(25)는 제3 슬릿부(23)에 있어서의 하측의 부분에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5 슬릿부(25)의 후측과 제3 슬릿부(23)의 전측이 연통되어 있다. 제5 슬릿부(25)는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개구되고, 또한 전측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방으로도 개구되어 있다.
또,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슬릿(20)이 형성됨으로써,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슬릿(20)의 사이에, 구획벽(26)이 형성된다. 상술한 것처럼, 각 슬릿(20)에는 각 단자(5)가 압입되어 고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각 단자(5)는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한 쌍의 구획벽(26, 26)에 의해서 사이에 끼워져 유지된다. 또한 바꾸어 말하면, 각 단자(5)가 한 쌍의 구획벽(26, 26)에 의해서 사이에 끼워져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각 구획벽(26)은 단자(5)의 배열 방향(좌우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한 쌍의 단자(5, 5)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보강탭의 구성]
보강탭(3)은 소정 형상을 가지는 금속제의 플레이트(plate) 모양의 부재이다. 보강탭(3)은 그 일부가 커넥터 하우징(2)의 보강탭용 슬릿(13)에 압입됨으로써, 커넥터 하우징(2)에 대해서 고정된다. 그리고 커넥터(1)에서는, 그 커넥터(1)를 기판(70)에 실장할 때, 기판(70)에, 각 단자(5)의 리드부(41, 51, 53)뿐만이 아니라, 보강탭(3)의 리드부(3a)도 납땜된다. 이것에 의해, 기판(70)에 대해서 커넥터(1)를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누름 커버의 구성]
누름 커버(4)는 커넥터 하우징(2)의 수용부(18)로 정상적으로 삽입된 FFC(60)를 상방으로부터 눌러 고정하기 위한의 것이다. 이와 같이 누름 커버(4)에 의해서 FFC(60)를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FFC(60)의 각 도전부(61)(상대측 단자)를 대응하는 각 단자(5)의 컨택트부(45)로 눌러 밀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FFC(60)의 각 도전부(61)와 대응하는 각 단자(5)를 전기적으로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다.
누름 커버(4)는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의 사이를 요동(搖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누름 커버(4)는, 도 1의 (A)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와, 도 1의 (B)에 나타내는 열림 위치와의 사이를 요동할 수 있다.
누름 커버(4)는, 도 1의 (A) 및 도 1의 (B)를 참조하면, 베이스부(31)와, 평판부(32)와, 축부(33)를 가지고, 이들이 절연성의 수지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31)는, 누름 커버(4)에 있어서의 후측에 마련된 부분으로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부(3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는, 각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약간 연장되는 원기둥 모양의 축부(33)가 마련되어 있다. 각 축부(33)는 커넥터 하우징(2)에 형성된 대응하는 받이부(12)에 의해서 하측으로부터 받아지고 있다.
또, 베이스부(31)에는, 커넥터 하우징(2)에 장착된 각 단자(5)의 래치부(46)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35)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공(35)은, 누름 커버(4)가 커넥터 하우징(2)에 대해서 요동하더라도, 각 단자(5)의 래치부(46)에 의해서 누름 커버(4)의 요동 동작이 저해되지 않는 위치 및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 관통공(35)에 각 단자(5)의 래치부(46)가 삽입 통과되어 있음으로써, 누름 커버(4)가 커넥터 하우징(2)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평판부(32)는 베이스부(3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하 방향으로 얇은 판 모양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평판부(32)는, 누름 커버(4)가 닫힘 위치에 위치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2)의 저벽부(15)를 상방에서부터 덮고 있다.
[단자의 구성]
도 6은 제1 단자(6)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의 (A)는 사시도, 도 6의 (B)는 정면도이다. 또, 도 7은 제2 단자(7)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의 (A)는 사시도, 도 7의 (B)는 정면도이다. 또, 도 8은 제3 단자(8)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의 (A)는 사시도, 도 8의 (B)는 정면도이다.
각 단자(5)는 판 모양의 금속 부재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타발(打拔)됨으로써 소정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자(5)를 구성하는 각 부위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는, 같다. 각 단자(5)는, 각 단자(5)에 있어서의 소정의 부위가 커넥터 하우징(2)의 슬릿(20)에 압입됨으로써, 커넥터 하우징(2)에 대해서 장착된다. 커넥터(1)에서는, FFC(60)가 그 커넥터(1)에 적절히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FFC(60)의 각 도전부(61)가, 대응하는 단자(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는, 복수의 (구체적으로는 12개의) 단자(5)를 가지고 있다. 이들 복수의 단자(5)는, 3종류의 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단자(5)는 4개의 제1 단자(6)와, 4개의 제2 단자(7)와, 4개의 제3 단자(8)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단자(6)는 3종류의 단자(6, 7, 8) 중, 기판(70)에 대해서 납땜되는 부분인 리드부(41)가 가장 후측에 형성된 단자이다. 제1 단자(6)는 리드부(41)와 제1 수평 연장부(42)(연장부)와, 수직 연장부(43)와, 제2 수평 연장부(44)와, 컨택트부(45)와, 래치부(46)를 가지고, 이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수직 연장부(43) 및 제2 수평 연장부(44)는, 컨택트부(45)의 기단부인 만곡부(灣曲部)(45a)와 제1 수평 연장부(42)의 기단부(42a)를 연결하는 연결부(47)로서 마련되어 있다.
리드부(4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모양의 부분이다. 리드부(41)는 기판(70)에 형성된 리드부용 관통공(71)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그 리드부용 관통공(71) 둘레에 형성된 랜드(72)에 납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드부(41)는 컨택트부(45)와, 다른 부분(구체적으로는 제1 수평 연장부(42), 수직 연장부(43), 및 제2 수평 연장부(44))을 매개로 하여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제1 수평 연장부(42)는, 리드부(41)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에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제1 수평 연장부(42)는,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쭉한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수평 연장부(42)는, 컨택트부(45)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그 컨택트부(45)보다도 하측(기판(70)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수평 연장부(42)는, 커넥터 하우징(2)의 슬릿(20)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수직 연장부(43)는, 제1 수평 연장부(42)에 있어서의 후측의 부분에서부터 상방으로 약간 연장되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수직 연장부(43)의 전후 방향의 치수는, 리드부(41)의 전후 방향의 치수보다도 크다.
제2 수평 연장부(44)는, 수직 연장부(43)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에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제2 수평 연장부(44)는, 전후 방향으로 약간 긴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수평 연장부(44)의 전후 방향의 치수는, 제1 수평 연장부(42)의 전후 방향의 치수보다도 크다. 또, 제2 수평 연장부(44)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44a)는 제1 단자(6)가 슬릿(2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제3 슬릿부(23)에 있어서의 하측의 면에 걸린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슬릿(20)으로부터 제1 단자(6)가 빠지기 어려워진다.
컨택트부(45)는, 제2 수평 연장부(44)에 있어서의 전측의 부분에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부(45)는 만곡부(45a), 컨택트 본체부(45b), 및 접점부(45c)를 가지고, 이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만곡부(45a)는, 제2 수평 연장부(44)의 전측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으로부터, 하방이면서 또한 전방을 향해 만곡하면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이다. 이 만곡부(45a)는, 컨택트부(45)의 기단부로서 마련되어 있다. 컨택트 본체부(45b)는, 만곡부(45a)의 선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컨택트 본체부(45b)의 선단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2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는, FFC(60)의 도전부(61)가 접촉하는 접점부(45c)로서 마련되어 있다.
래치부(46)는 제2 수평 연장부(44)의 전측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에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래치부(46)의 선단에는, 하방을 향해 구부러진 갈고리부(4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갈고리부(46a)는, 누름 커버(4)가 커넥터 하우징(2)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누름 커버(4)의 축부(33)에 형성된 관통공(35)에 삽입 통과한다.
제2 단자(7)는 리드부(51)와, 제1 수평 연장부(52)와, 수직 연장부(43)와, 제2 수평 연장부(44)와, 컨택트부(45)와, 래치부(46)를 가지고, 이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중, 수직 연장부(43), 제2 수평 연장부(44), 컨택트부(45) 및 래치부(46)에 대해서는, 제1 단자(6)와 같은 형상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2 단자(7)에서도, 제1 단자(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직 연장부(43) 및 제2 수평 연장부(44)는, 컨택트부(45)의 기단부인 만곡부(45a)와 제1 수평 연장부(52)의 기단부(52a)를 연결하는 연결부(47)로서 마련되어 있다.
리드부(51)는 제1 단자(6)가 가지는 리드부(41)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모양의 부분으로서, 기판(70)에 형성된 리드부용 관통공(71)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랜드(72)에 납땜된다. 그러나, 제2 단자(7)의 리드부(51)는, 제1 단자(6)의 리드부(41)의 경우와 달리, 제1 수평 연장부(52)의 선단부(52b)로부터 하방으로(기판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리드부(51)는, 컨택트부(45)를 기준으로 했을 경우에 있어서, 제1 단자(6)의 리드부(41)보다도 전방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수평 연장부(52)는, 리드부(41)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과 수직 연장부(43)에 있어서의 하측의 부분을 연결하는 부분이다. 제1 수평 연장부(52)는, 리드부(51)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수평 연장부(52)는, 제1 단자(6)가 가지는 제1 수평 연장부(4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쭉한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단자(8)는 리드부(53)와, 제1 수평 연장부(54)와, 수직 연장부(43)와, 제2 수평 연장부(44)와, 컨택트부(45)와, 래치부(46)를 가지고, 이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중, 수직 연장부(43), 제2 수평 연장부(44), 컨택트부(45), 및 래치부(46)에 대해서는, 제1 단자(6) 및 제2 단자(7)와 같은 형상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3 단자(8)에서도, 제1 단자(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직 연장부(43) 및 제2 수평 연장부(44)는, 컨택트부(45)의 기단부인 만곡부(45a)와 제1 수평 연장부(54)의 기단부(54a)를 연결하는 연결부(47)로서 마련되어 있다.
리드부(53)는 제1 단자(6)가 가지는 리드부(41)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모양의 부분으로서, 기판(70)에 형성된 리드부용 관통공(71)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랜드(72)에 납땜된다. 그러나, 제3 단자(8)의 리드부(53)는, 제1 단자(6)의 리드부(41)의 경우와 달리, 제1 수평 연장부(54)의 선단부(54b)로부터 하방으로(기판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리드부(53)는, 컨택트부(45)를 기준으로 했을 경우에 있어서, 제1 단자(6)의 리드부(41), 및 제2 단자(7)의 리드부(51)보다도 전방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수평 연장부(54)는, 리드부(53)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과 수직 연장부(43)에 있어서의 하측의 부분을 연결하는 부분이다. 제1 수평 연장부(54)는, 리드부(53)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수평 연장부(54)는, 제2 단자(7)가 가지는 제1 수평 연장부(5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쭉한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1 수평 연장부(54)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제2 단자(7)의 제1 수평 연장부(52)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보다도 크다.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각 단자의 장착 위치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에서는, 각 단자(6, 7, 8)는, 이하와 같은 상태로 슬릿(20)에 수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단자(6)에서는,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제1 수평 연장부(42)가 제1 슬릿부(21)에 배치되고, 수직 연장부(43)가 제2 슬릿부(22)에 배치되고, 제2 수평 연장부(44)가 제3 슬릿부(23)에 배치되고, 래치부(46)가 제4 슬릿부(24)에 배치되고, 컨택트부(45)가 제5 슬릿부(25)에 배치된다.
또, 제2 단자(7)에서는,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1 수평 연장부(52)가 제1 슬릿부(21)에 배치되고, 수직 연장부(43)가 제2 슬릿부(22)에 배치되고, 제2 수평 연장부(44)가 제3 슬릿부(23)에 배치되고, 래치부(46)가 제4 슬릿부(24)에 배치되고, 컨택트부(45)가 제5 슬릿부(25)에 배치된다.
또, 제3 단자(8)에서는, 도 4의 (C)를 참조하면, 제1 수평 연장부(54)가 제1 슬릿부(21)에 배치되고, 수직 연장부(43)가 제2 슬릿부(22)에 배치되고, 제2 수평 연장부(44)가 제3 슬릿부(23)에 배치되고, 래치부(46)가 제4 슬릿부(24)에 배치되고, 컨택트부(45)가 제5 슬릿부(25)에 배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에서는, 도 2를 참조하면, 제1 단자(6), 제2 단자(7), 및 제3 단자(8)는, 커넥터 하우징(2)에 형성된 12개의 슬릿(20)에 대해서, 이하와 같이 수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서도록 형성된 12개의 슬릿(20)에 대해서, 좌측에서부터 우측을 향해서, 각 단자(6, 7, 8)가, 제1 단자(6), 제2 단자(7), 제3 단자(8), 제1 단자(6), 제2 단자(7), 제3 단자(8), 제1 단자(6), 제2 단자(7), 제3 단자(8), 제1 단자(6), 제2 단자(7), 제3 단자(8)의 순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3종류의 단자(6, 7, 8)를, 상술과 같은 순서로 각 슬릿(20)에 장착함으로써, 각 리드부(41, 51, 53) 사이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드부가 좌우 방향으로 일렬로 늘어서도록 배열되면, 리드부의 간격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슬릿(20)의 간격과 같게 되기 때문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지 못하여, 기판의 연면 거리가 짧아져 버린다. 이 점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각 리드부(41, 51, 53)가, 좌우 방향 뿐만이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도 이간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각 리드부(41, 51, 53)의 위치와, 다른 종류의 리드부(41, 51, 53)의 위치는, 각 단자(6, 7, 8)가 커넥터 하우징(2)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좌우 방향 뿐만이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도 어긋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리드부(41, 51, 53)의 사이의 거리를 넓힐 수 있고, 그 결과, 기판의 연면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단자(5)가 슬릿(20)에 적절히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각 단자(6, 7, 8)의 리드부(41, 51, 53)는, 도 3을 참조하면, 커넥터 하우징(2)의 바깥 가장자리(2a) 보다도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도 3에서는, 도면의 보기 쉬움의 관점으로부터, 굵은선의 파선으로 도시되는 커넥터 하우징(2)의 바깥 가장자리(2a)를, 실제의 커넥터 하우징(2)의 바깥 가장자리보다도 약간 외측으로 어긋나게 도시하고 있다. 또, 도 3에서는, 리드부(41, 51, 53)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도트 해칭(dot hatching)을 부여하고 있다.
[기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가 실장되는 기판(70)에는, 커넥터 하우징(2)에 장착된 상태의 각 단자(6, 7, 8)의 리드부(41, 51, 53)가 삽입 통과되는 복수의 (본 실시 형태의 경우, 12개의) 리드부용 관통공(71)이 형성되어 있다. 즉, 각 리드부용 관통공(71)의 주위에 형성된 랜드(72)는, 각 단자(6, 7, 8)의 리드부(41, 51, 53)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것처럼, 커넥터(1)에서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리드부(41, 51, 53)는, 좌우 방향 뿐만이 아니라, 전후 방향에 있어서도 이간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각 랜드(72) 사이의 거리 d1, d2, d3 (즉, 기판(70)의 연면 거리)를 넓힐 수 있다.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에 의하면, 기판(70)에 납땜되는 리드부(41, 51, 53)가, 기판(70)에 실장된 상태의 커넥터(1)를 그 기판(70)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의 커넥터 하우징(2)의 바깥 가장자리(2a) 보다도, 내측에 배치된다. 이렇게 하면, 예를 들면 리드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바깥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기판상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전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에 의하면, 기판상에 있어서의 전유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커넥터(1)에 의하면, 단자(5)의 일부인 제1 수평 연장부(42, 52, 54)가, 커넥터 하우징(2)에 형성된 슬릿(20)의 제1 슬릿부(21)에 대해서 압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2)에 대해서 단자(5)를 장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 커넥터(1)에서는, 컨택트부(45)의 기단부로서 마련된 만곡부(45a)가, 연결부(47)를 매개로 하여, 커넥터 하우징(2)에 대해서 고정되는 부분인 제1 수평 연장부(42, 52, 54)와 이어져 있다. 그리고 커넥터(1)에서는, 컨택트부(45)와 제1 수평 연장부(42, 52, 54)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간극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컨택트부(45)에 있어서의 기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접점부(45c)를 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컨택트부(45)의 스프링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커넥터(1)에 의하면, 컨택트부(45)의 스프링성을 확보하면서, 기판(70)상에 있어서의 커넥터(1)의 전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커넥터(1)에 의하면, 제1 단자(6)의 리드부(41)와 제2 단자의 리드부(51)가, FFC(60)의 삽발 방향에 대해서 어긋나 있다. 이렇게 하면, 커넥터 하우징(2)에 대해서 제1 단자(6) 및 제2 단자(7)를 좌우 방향에 있어서 교호로 배열함으로써, 리드부가 좌우 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늘어서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기판의 연면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또, 커넥터(1)과 같이, 커넥터 하우징(2)의 좌우 방향에 대해서, 제1 단자(6), 제2 단자(7), 제3 단자(8), 제1 단자(6), 제2 단자(7), 제3 단자(8), …와 같이 반복되도록 배열함으로써, 리드부가 좌우 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늘어서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기판의 연면 거리를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또, 커넥터(1)의 제2 단자(7) 및 제3 단자(8)에서는, 컨택트부(45)의 만곡부(45a)와 제1 수평 연장부(52, 54)의 기단부(52a, 54a)가 연결부(47)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제1 수평 연장부(52, 54)의 선단부(52b, 54b)에 리드부(51, 53)가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도 7의 (B) 및 도 8의 (B)를 참조하면, 리드부(51, 53)에 있어서 납땜되는 부분 P1에서부터 접점부 P2까지의 경로(도 7의 (B) 및 도 8의 (B)에서는 파선으로 도시)에, FFC(60)의 삽발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서 왕복하는 경로가 포함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리드부(51, 53)에 있어서 납땜되는 부분 P1에서부터 접점부 P2까지의 경로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납땜시에 플럭스가 접점부까지 올라와 버릴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또, 커넥터(1)에서는, 각 단자(6, 7, 8)가 압입되어 고정되는 슬릿(20)이 서로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기판(70)에 있어서 랜드(72)의 위치를 변경하더라도, 어느 정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위치 변경된 랜드(72)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단자(6, 7, 8)의 배열 순서를 변경하거나, 혹은 각 단자(6, 7, 8)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리드부(41, 51, 5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각 단자(6, 7, 8)가 압입되는 슬릿(20)의 형상을 서로 같게 함으로써, 기판(70)에 형성 가능한 패턴 배선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변형예]
(1) 도 9의 (A)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의 횡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의 IXA-IXA선에 있어서의 단면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또, 도 9의 (B)는 변형예에 따른 커넥터의 횡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의 (A)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것처럼, 각 단자(5)의 제1 수평 연장부(42, 52, 54)(도 9의 (A)에서는, 제1 수평 연장부(52, 54)만을 도시하고 있음)는, 구획벽(26)보다도 하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인접하는 단자(5, 5)의 연면 거리는, dh가 된다.
이것에 대해서, 본 변형예에서는, 각 구획벽(26a)은 각 단자(5)의 제1 수평 연장부(42, 52, 54)보다도 하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인접하는 단자(5, 5)의 연면 거리는, dh+2×d가 되어, 도 9의 (A)의 경우보다도 길어진다.
이상, 본 변형예와 같이, 구획벽(26a)을 제1 수평 연장부(42, 52, 54)보다도 하방으로 연장시킴으로써, 그 만큼, 인접하는 단자(6, 7, 8) 사이의 연면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즉, 커넥터의 연면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2)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본 발명을 FFC용 커넥터에 적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은 FFC용 커넥터 이외의 커넥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
(3)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컨택트부(45)와 리드부(41, 51, 53)가 연결부(47)를 매개로 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컨택트부와 리드부가 직접 이어져 일체화되어 있는 단자를 가지는 커넥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커넥터에 넓게 적용할 수 있다.
1: 커넥터
2: 커넥터 하우징
2a: (커넥터 하우징의) 바깥 가장자리
5: 단자
6: 제1 단자(단자)
7: 제2 단자(단자)
8: 제 3 단자(단자)
41, 51, 53: 리드부
45: 컨택트부
45c: 접점부
61: 도전부(상대측 단자)
70: 기판

Claims (6)

  1.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단자의 각각에 상대측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단자는,
    상기 상대측 단자의 발거(拔去)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선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대측 단자에 접촉하는 부분인 접점부를 가지는 컨택트부와,
    상기 컨택트부와 간격을 두고 상기 컨택트부보다도 상기 기판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발거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압입되어 있는 연장부와,
    상기 컨택트부의 기단부와 상기 연장부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컨택트부와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일체로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컨택트부와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기판에 납땜되는 부분인 리드부를 가지고,
    각 상기 리드부는,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의 상기 커넥터를 상기 기판에 수직인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바깥 가장자리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단자는, 제1 단자, 제2 단자 및 제3 단자를 가지고,
    상기 제1 단자의 상기 리드부의 위치와, 상기 제2 단자의 상기 리드부의 위치와, 상기 제3 단자의 상기 리드부의 위치는, 상기 제1 단자, 상기 제2 단자 및 상기 제3 단자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대해서 상기 상대측 단자를 꽂고 발거하는 방향인 삽발(揷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어긋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좌우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의 상기 리드부, 상기 제2 단자의 상기 리드부, 및 상기 제3 단자의 상기 리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장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기판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복수의 상기 단자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단자의 사이에 마련된 구획벽을 더 가지고,
    상기 구획벽은, 상기 연장부보다도 상기 기판측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80002306A 2017-03-01 2018-01-08 커넥터 KR101990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38353 2017-03-01
JP2017038353A JP6815635B2 (ja) 2017-03-01 2017-03-01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474A KR20180100474A (ko) 2018-09-11
KR101990238B1 true KR101990238B1 (ko) 2019-06-17

Family

ID=6359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306A KR101990238B1 (ko) 2017-03-01 2018-01-08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815635B2 (ko)
KR (1) KR1019902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508B2 (ja) * 1990-09-10 2000-07-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レーザ光走査装置
KR200424560Y1 (ko) * 2006-06-09 2006-08-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수평형 표면실장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508U (ja) * 1998-12-25 1999-09-07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ライトアングル型コネクタ
JP4597416B2 (ja) * 2001-04-20 2010-12-1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508B2 (ja) * 1990-09-10 2000-07-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レーザ光走査装置
KR200424560Y1 (ko) * 2006-06-09 2006-08-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수평형 표면실장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47575A (ja) 2018-09-20
JP6815635B2 (ja) 2021-01-20
KR20180100474A (ko) 201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2475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550733B2 (ja) 電気コネクタ
US826241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crosstalk prevention member
US8025532B2 (en) Connector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090023336A1 (en) Electric connector
US7431617B2 (en) Connector
JP2000003744A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EP2434589B1 (en) Shield case, connector having the shield case,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connector
JP4563915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20090170354A1 (en)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KR101042120B1 (ko) 전기 커넥터
EP1775796A2 (en) Board Connector
US7300290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321327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10965051B2 (en) Connector terminal and connector for easier insertion of a terminal into a housing
KR101313748B1 (ko) 커넥터
US7824225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insert molded to a base board
JP7038172B2 (ja) コネクタ
JP4289606B2 (ja) コネクタ
CN110710062A (zh) 连接器
KR101990238B1 (ko) 커넥터
US9240641B2 (en) Electric connector and fixer used therefor
JP5203989B2 (ja) 電気コネクタ
JP5044483B2 (ja) 電気コネクタ
US7465193B2 (en) Shielded surface mount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