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210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210B1
KR101984210B1 KR1020187019732A KR20187019732A KR101984210B1 KR 101984210 B1 KR101984210 B1 KR 101984210B1 KR 1020187019732 A KR1020187019732 A KR 1020187019732A KR 20187019732 A KR20187019732 A KR 20187019732A KR 101984210 B1 KR101984210 B1 KR 101984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fine bubble
detergen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7419A (ko
Inventor
히로노리 사사키
토모노리 우치야마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253938A external-priority patent/JP63461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03532A external-priority patent/JP6251349B1/ja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87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2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ubb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6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the powder or tablets being added directly, e.g. without the need of a flu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실시 형태에 따른 세탁기는, 물을 저수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된 회전조와, 세제가 투입되고, 세제를 용해하는 용해 영역과, 파인 버블수를 생성할 수 있는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에 통과시키고, 파인 버블수로서 상기 용해 영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FB용 급수 경로와, 상기 FB용 급수 경로를 개폐하는 FB용 급수 밸브와, 상기 FB용 급수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운전되는 세탁 코스에 있어서, 급수에 세제를 용해시키는 기간에, 세제와 파인 버블수를 접촉시킴으로써 세제를 용해하는 제어를 행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그 구(球) 상당 직경이 수백 μm 정도부터 수십 nm 정도에 걸친 미세한 기포를 포함하는 파인 버블(울트라 파인 버블 또는 마이크로 버블)은, 계면 활성 작용, 세정 효과의 우수함 등, 다양한 특성을 구비하고 있어, 광범위한 산업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는, 세탁기에서, 급수로에 파인 버블 발생 장치(UFB 유닛)를 설치하고, 다수의 파인 버블을 발생시키고, 그 파인 버블을 포함한 파인 버블수를 세탁에 이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파인 버블수를 이용함으로써, 파인 버블의 표면 전하에 의해 세제 중의 계면 활성제를 흡착시켜, 오염과 반응시키기 쉬운 상태로 하는 등, 파인 버블과 세제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세정 성능을 높일 수 있다.
국제 공개 공보 제2013/012069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16-7308호
또한, 상기한 파인 버블 발생 장치는, 유체 역학의 이른바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물의 유속을 높이고, 압력을 급격히 저하시켜, 수중에 용존하고 있는 공기를 미세한 기포로 하여 다량으로 석출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파인 버블 발생 장치에 물을 통과시킨 후, 주수(注水) 케이스의 세제 수용부를 통하여 세탁조로 공급하는 경우, 물의 유량이 어쩔 수 없이 저하되어 버린다. 그 결과, 세탁조로의 급수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필요 이상으로 오래 걸리거나, 세제 수용부의 세제 찌꺼기가 생기거나 하는 문제의 발생이 예측된다.
이에,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세제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세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파인 버블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실시 형태에 따른 세탁기는, 물을 저수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된 회전조와, 세제가 투입되고, 세제를 용해하는 용해 영역과, 파인 버블수를 생성할 수 있는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에 통과시키고, 파인 버블수로서 상기 용해 영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FB용 급수 경로와, 상기 FB용 급수 경로를 개폐하는 FB용 급수 밸브와, 상기 FB용 급수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운전되는 세탁 코스에 있어서, 급수에 세제를 용해시키는 기간에, 세제와 파인 버블수를 접촉시킴으로써 세제를 용해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실시 형태의 세탁기는, 의류가 수용되는 세탁조와, 세제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세탁조로 급수를 행하는 주수 케이스와,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로 통과시키고, 파인 버블수로 하여 상기 주수 케이스로 공급하기 위한 FB용 급수 경로와, 상기 FB용 급수 경로를 개폐하는 FB용 급수 밸브와, 상기 FB용 급수 경로보다도 유량이 크게 구성되고,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통과하지 않은 급수 경로로서,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주수 케이스로 공급하기 위한 메인 급수 경로와, 상기 메인 급수 경로를 개폐하는 메인 급수 밸브와, 상기 메인 급수 밸브 및 FB용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세제 수용부는 세제의 용해 영역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급수의 초기 단계에서, 상기 메인 급수 밸브와 상기 FB용 급수 밸브를 교대로 개방시켜 급수를 행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인 버블이란, 예를 들면, 직경이 1 μm~수백 μm 정도의 마이크로 버블, 및 직경이 50 nm~1 μm 정도의 울트라 파인 버블을 포함한 개념이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세탁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세탁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세탁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따른 급수 밸브의 개폐 타이밍 차트이다.
도 6는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세탁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주수 케이스 부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UFB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각 급수 밸브의 개폐 제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11은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 급수 밸브의 개폐 제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12은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 급수 밸브의 개폐 제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13은 제7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 급수 밸브의 개폐 제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14은 제8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 급수 밸브의 개폐 제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15는 제9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 급수 밸브의 개폐 제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이하, 복수의 실시 형태에 의한 세탁기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세탁기(10)는, 외상(外箱)(12), 수조(14), 회전조(16), 펄세이터(18), 및 세탁기 모터(20)를 구비하고 있다. 세탁기(10)의 설치면측, 즉, 연직 하측을 세탁기(10)의 하측으로 하고, 설치면과 반대측, 즉, 연직 상측을 세탁기(10)의 상측으로 한다.
세탁기(10)는, 회전조(16)의 회전축이 연직 방향을 향한 이른바 종축형의 세탁기이다. 외상(12)은, 세탁기(10)의 외각(外殼)을 구성하고 있다. 외상(12)은, 예를 들면, 강판 등에 의해 대략 직사각형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수조(14)는, 외상(1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회전조(16)는, 수조(14)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수조(14)는, 상측에 개구부를 가지고, 하측에 수조 저부를 가진 유저(有底)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회전조(16)는, 상측에 개구부를 가지고, 하측에 회전조 저부를 가진 유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조(14)는, 수조 저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배수구를 가지고 있다. 또한, 세탁기(10)는, 도 2에 도시한 배수 밸브(52) 및 이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배수 호스를 구비하고 있다. 배수 밸브(52)는, 예를 들면, 전자 제어식의 전자기(電磁) 밸브이며, 제어 장치(46)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배수 밸브(52)가 개방됨에 의해, 수조(14) 내의 물은, 배수구로부터 배수 밸브(52)를 경유하여 세탁기(10)의 외부로 배출된다.
회전조(16)는, 복수의 도시하지 않은 홀을 가지고 있고, 회전조(16)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고 있다. 홀은, 회전조(16)의 주로 원통 형상의 통 형상 부분을 구성하는 주벽(周壁)의 전역에 형성되어 있다. 수조(14) 내로 공급된 물은, 홀을 지나, 회전조(16)의 내외를 출입한다.
펄세이터(18)는, 회전조(16) 내의 회전조 저부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펄세이터(18)는, 회전조(16)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세탁기 모터(20)는, 수조(14)의 외측에 있고 수조 저부에 설치되어 있다. 세탁기 모터(20)는, 예를 들면, 아우터 로터형의 DC 브러시리스 모터이다. 세탁기 모터(20)와, 회전조(16) 및 펄세이터(18)란,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는, 펄세이터(18)만이 회전하는 형태와, 펄세이터(18)와 회전조(16)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형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펄세이터(18)는, 회전조(16)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회전조(16)의 내측에 수용된 세탁물을 교반한다.
세탁기(10)는, 그 상부에, 급수관(30), 급수 밸브 유닛(32), 세제 케이스(44)를 구비하고 있다. 급수관(30)에는, 예를 들면, 수돗물의 수도꼭지 또는 목욕물의 취수 수단이 접속되어 있고, 세탁에 제공하는 원수(原水)(22)가 공급된다. 급수 밸브 유닛(32)은, 파인 버블(이하, F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용 급수 밸브(34) 및 메인 급수 밸브(36)로 분기된 급수관(30)을 가지고 있다. FB용 급수 밸브(34)에는 미세 기포 발생기(40)가 접속되어 있고, 추가로 FB관(38)에 접속되어 있다.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파인 버블 발생 장치로서 기능한다. FB관(38)은 메인관(42)을 경유하여 세제 케이스(44)에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급수관(30)에 도입된 원수(22)는, FB용 급수 밸브(34), 미세 기포 발생기(40) 및 FB관(38)을 통과하는 루트와, 메인 급수 밸브(36) 및 메인관(42)을 통과하는 바이패스 루트로 분기되어 세제 케이스(44)에 접속되어 있고, 세제 케이스(44)를 경유하여 급수구(45)로부터 수조(14) 내로 공급된다.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내부에 설치된 유로를 통과하는 액체 중, 이 경우, 물 속에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예를 들면, 내부 유로를 흐르는 액체의 압력을 급격히 저하시킴으로써,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캐비테이션 방식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그 밖에, 예를 들면, 가압 용해 방식, 고속 선회 액류 방식, 미세 홀 방식, 기액 2상류 선회 방식 등의 방식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본 출원인이 앞서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2014-129097호에 기재된 미세 기포 발생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거품의 구 상당 직경이 50 nm~1 μm 정도의 울트라 파인 버블을 포함한 기포를 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인 버블은, 거품의 구 상당 직경이 50 nm~1 μm의 울트라 파인 버블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미세 기포는, 그 기포의 구 상당 직경에 의해 다음과 같이 분류되고 있다. 예를 들면, 직경 1 mm 이상의 기포는 밀리 버블, 1 μm 내지 수백 μm 정도의 미세 기포는 마이크로 버블, 1 μm 미만의 미세 기포는 울트라 파인 버블 또는 나노 버블이라고 칭해지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 버블과 울트라 파인 버블을 포함한 수백 μm 이하의 미세 기포는 파인 버블로 총칭되고 있다. 기포의 직경이 1 μm 미만의 울트라 파인 버블이 되면, 빛의 파장보다 작아지므로 눈으로 인식할 수 없게 되고, 액체는 투명해진다. 이들 미세 기포는, 총 계면 면적이 큰 것, 부상 속도가 느린 것, 내부 압력이 큰 것 등의 특성에 의해, 액체 중의 물체의 세정 능력이 우수함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울트라 파인 버블은, 이하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즉, 울트라 파인 버블은, 브라운 운동을 하면서 장시간 수중에 체재한다. 자기 가압 효과에 의한 압괴(壓壞)에 의해 생긴 에너지로 물질이 분해되어 프리 라디칼이 생성된다. 기포 표면이 마이너스로 대전하므로, 울트라 파인 버블끼리는 서로 반발하고, 결합이 없다. 또한, 울트라 파인 버블은, 플러스로 대전하는 유기물을 끌어들이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성질로부터, 울트라 파인 버블은 높은 세정 효과를 가진다.
또한, 마이크로 버블은, 음의 전하를 띠고 있으므로, 액체 중에 떠도는 양의 전하를 띤 이물질을 흡착하기 쉽다. 그 때문에, 마이크로 버블의 압괴에 의해 파괴된 이물질은, 마이크로 버블에 흡착되어 천천히 액체 표면으로 부상한다. 그리고, 액체 표면에 모인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액체가 정화된다. 이에 의해, 높은 세정 능력이 발휘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미세 기포 발생기(4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직경이 약 50 nm~1 μm 정도의 기포인 울트라 파인 버블이 주로 발생한다. 이하, 파인 버블을 포함한 물을 파인 버블수라고 칭한다.
도 2는, 세탁기의 전기적 구성 중, 본 발명의 요지에 관계하는 부분의 전기적 구성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2에서, 세탁기(10)는, 세탁 코스 내용의 조작 등을 행하기 위한 조작 패널(48), 수조(14) 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센서(50), 펄세이터(18)를 회전하는 세탁기 모터(20), FB용 급수 밸브(34), 메인 급수 밸브(36), 배수 밸브(52)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46)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구성된 것이다. 이 제어 장치(46)는, 세탁물의 세탁, 헹굼 및 탈수의 세탁 운전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어 장치(46)에는, 조작 패널(48) 및 상기 수위 센서(50)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 장치(46)는, 이들 입력 신호와, 미리 구비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세탁기 모터(20)의 회전, FB용 급수 밸브(34), 메인 급수 밸브(36), 및 배수 밸브(52)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세탁 행정, 배수·탈수 행정, 헹굼 행정, 배수 행정, 최종 헹굼 행정, 배수·탈수 행정에 있어서의, FB용 급수 밸브(34), 메인 급수 밸브(36) 및 유연제용 급수 밸브(37)의 개폐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또한, 유연제용 급수 밸브(37)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3 실시 형태에서 언급한다.
세탁 행정에 있어서, 우선 처음에, 제어 장치(46)는, FB용 급수 밸브(34)를 개방하는 제어를 행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FB용 급수 밸브(34)에는 미세 기포 발생기(40)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FB용 급수 밸브(34)로부터 공급된 원수(22)는,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하여 파인 버블수가 되고, 파인 버블수는 FB관(38)을 통과하여, 맨 처음으로 세제 케이스(44)로 급수된다. 세제 케이스(44) 내에는 세제가 미리 투입되어 있다. 세제는 세제 케이스(44) 내에서 파인 버블수와 접촉해 혼합 교반됨으로써 용해된다. 여기에서는 세제 케이스(44)는 세제의 용해 영역이기도 하다. 또한, 세제 케이스(44)로 파인 버블수를 공급하기 전에, 원수(22)로서, 예를 들면, 수돗물 등을 소량이라면, 세제 케이스(44) 내로 공급하여 세제와 원수(22)를 사전 접촉시켜 적시거나 혹은 수돗물의 힘으로 밀어 흘러가게 하여 세제를 회전조(16) 내의 세탁물 상으로 투입한 후에 파인 버블수를 세제 케이스(44)에 통과시키는 제어로 해도 상관없다.
이 때, 파인 버블수는 표면에 마이너스 전하를 가지고 있으므로, 플러스로 대전하기 쉬운 계면 활성제, 즉, 세제를 흡착하기 쉽다. 이 때문에, 파인 버블수는 통상의 수돗물에 비해 단시간에 세제를 수중으로 분산할 수 있으므로, 급수에 세제를 용해시키는 기간에 파인 버블수를 세제로 공급함으로써 세제 용해가 양호해진다. 파인 버블수와 세제가 교반되고, 세제가 분산되어 용해한 세제액이 생성된다. 세제액은 세제 케이스(44)로 급수된 파인 버블수의 흐름에 따라 흐르고, 급수구(45)로부터 수조(14) 내로 투입된다. 또한, 여기서, 세제 케이스(44)에, 추가로 세제 용해실을 설치하여, 세제와 파인 버블수를 접촉, 교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46)는, 세탁 행정의 도중까지 FB용 급수 밸브(34)를 개방하여 세제 케이스(44) 내의 세제의 용해를 끝낸 후, FB용 급수 밸브(34)를 폐색하고, 메인 급수 밸브(36)를 개방하는 제어를 행하고, 수조(14) 내를 세탁수로 채우는 제어를 실시한다. 메인 급수 밸브(36)에는 통상의 원수(22)로서, 예를 들면 수돗물이 공급된다. 메인 급수 밸브(36)에는 메인관(42)이 접속되고, 메인관(42)에는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원수(22)는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바이패스하는 형태로 그대로 세제 케이스(44)로 공급되고, 만약 용해 찌꺼기의 세제가 있으면 이를 밀어 흐르게 하여 세제 케이스(44) 내를 세정하면서, 급수구(45)로부터 수조(14) 내로 급수된다.
여기서, 미세 기포 발생기(40)가 예를 들면 캐비테이션 방식에 의해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구를 가지고 있는 경우, 미세 기포 발생기(40) 내에서는 수로를 세경화함으로써 감압하고 있어, 물의 유량이 저하한다. 이 때문에, 마지막까지 미세 기포 발생기(40)에 의해 생성된 파인 버블수를 계속 공급하면, 전체의 급수 시간이 매우 길어지게 된다. 이에,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바이패스하여 통과하지 않은 급수 경로인 메인관(42)을 더 설치하게 한다. 이에 의해, 먼저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하는 급수 경로의 FB용 급수 밸브(34)를 개방하고, 세제 케이스(44)에 투입된 세제가 없어진 후에,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하지 않은 바이패스 급수 경로인 메인관(42)을 이용해 급수함으로써, 전체 급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하지 않은 바이패스 급수 경로인 메인관(42)은, 세제 케이스(44)에 접속시키지 않고, 급수구를 수조(14) 상방에 배치하여 직접 급수하도록 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가진다. 세탁 행정의 최초의 급수에 세제를 용해시키는 기간에, 파인 버블수를 세제가 투입된 세제 케이스(44)로 공급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수돗물보다 먼저 파인 버블수를 세제에 접촉시키는 제어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세제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킨 상태에서 용해하는 것을 가능케 했다. 이에 의해, 세탁 시의 세정 효과를 향상시킨 세탁기(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파인 버블수에 의해 세제를 용해한 후에,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하지 않은 통상의 수돗물 등의 원수(22)를 수조(14)로 급수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의해, 모든 세탁수를 파인 버블수로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수조(14)로의 급수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세정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고도 가능케 할 수 있다.
또한, 파인 버블수의 공급은 반드시 세탁 행정의 맨 처음이 아니라, 원수(22)의 공급과 전후하여 행해졌다고 해도, 급수의 초기 단계, 즉, 급수에 세제를 용해시키는 기간 내라면 실질적으로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세탁기(10)는, 급수 밸브 유닛(32),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구비하고 있다. FB용 급수 밸브(34) 및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하여 생성한 파인 버블수는, FB관(38)으로부터 수조(14)-회전조(16) 사이에 급수되고, 우선 처음에 수조(14) 저부의 세제 용해 영역(60)에 저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하지 않고 메인 급수 밸브(36) 및 메인관(42)을 통과한 원수(22)도, 수조(14)-회전조(16) 사이에 급수되고, 수조(14)에 저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세탁기(10)는 회전조(16) 측부에 세제 투입구(54)를 가지고 있다. 세제 투입구(54)로부터 투입된 세제는, 세제 통과길(56)을 통과하여 회전조(16) 저부의 펄세이터(18) 하부로 통하고, 일부는 세제 낙하구(58)로부터 수조(14) 저부에도 낙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처음으로, 세제는 세제 투입구(54)로부터 투입되어 있고, 수조(14) 저부의 세제 용해 영역(60) 부근에 존재하고 있다. 세탁 행정에 있어서, 제어 장치(46)는, FB용 급수 밸브(34)를 개방하는 제어를 행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FB용 급수 밸브(34)에는 미세 기포 발생기(40)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FB용 급수 밸브(34)로부터 공급된 원수(22)는,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하여 파인 버블수가 되고, 파인 버블수는 FB관(38)을 통과하여, 수조(14)-회전조(16) 사이에 급수되고, 회전조(16) 저부에 저수된다. 제어 장치(46)는, 파인 버블수가 펄세이터(18)에 잠기는 정도로 저수된 것을 인식하면, 펄세이터(18)를 구동하는 제어를 실시한다. 수위의 검지는, 수조(14) 내의 수위가 수위 센서(50)에 의해 검지되고, 수위 신호가 제어 장치(46)로 송신됨으로써 실시된다. 펄세이터(18)의 구동에 의해, 수조(14) 저부의 세제 용해 영역(60)에 있어서 파인 버블수가 교반된다. 이에 의해, 파인 버블수와 세제가 최초로 접촉, 교반되고, 세제가 파인 버블수에 효율적으로 분산된 세제액이 생성된다.
제어 장치(46)는, 세제와 파인 버블수를 충분히 교반하여 세제가 용해됐다고 판단한 후, FB용 급수 밸브(34)를 폐색하고, 메인 급수 밸브(36)를 개방하고, 수조(14) 내에 세탁수를 채우는 제어를 실시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또한, 세제 투입구(54), 세제 통과길(56) 및 펄세이터(18) 밑으로 통하는 세제 낙하구(58)를 가지므로, 용해 전의 진한 세제가 세탁물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세제 용해 영역(60)에 투입된다. 이에 의해, 세제와 파인 버블수를 급수 초기, 즉, 급수에 세제를 용해시키는 기간 내에 효율적으로 접촉, 교반할 수 있으므로, 양호하게 세제를 용해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세탁기(10)는, 제1 실시 형태,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세탁기(10)의 구성에, 추가로, 유연제용 급수 밸브(37), 유연제관(43), 유연제 케이스(62)를 가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상술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10)는, 급수 밸브 유닛(32)을 구비하고 있다. 급수 밸브 유닛(32)은, 다련(多連), 이 경우는 3연의 급수 밸브이며, FB용 급수 밸브(34), 메인 급수 밸브(36), 및 유연제용 급수 밸브(37)를 구비하고 있다. 유연제용 급수 밸브(37)는 유연제관(43)을 통하여 유연제 케이스(62)에 접속하고 있다. 유연제용 급수 밸브(37)와 유연제 케이스(62)의 사이에 미세 기포 발생기(41)를 구비하고 있다. 유연제 케이스(62) 내에는 계면 활성제로서 유연제가 투입되어 있다. 미세 기포 발생기(41)를 통과한 원수(22)는 파인 버블수가 되고, 이것이 유연제 케이스(62)로 공급된다. 유연제 케이스(62) 내에서, 유연제와 파인 버블수가 접촉, 교반되고, 파인 버블수에 유연제가 용해된다. 여기에서는 유연제 케이스(62)는 유연제의 용해 영역이기도 하다.
이 때, 파인 버블수는 표면에 마이너스 전하를 가지고 있으므로, 플러스로 대전하기 쉬운 계면 활성제, 즉, 유연제를 흡착하기 쉽다. 이 때문에, 파인 버블수는 통상의 수돗물에 비해 단시간에 유연제를 수중으로 분산할 수 있으므로, 유연제를 양호하게 용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연제가 파인 버블수에 용해하여 유연제수가 되고, 이것이 수조(14)로 공급된다. 이 경우, 유연제 케이스(62)에, 유연제와 파인 버블수를 접촉, 교반하여 유연제를 파인 버블수에 용해시키는 용해실, 즉, 용해 영역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세제 케이스(44)에 접속하는 FB관(38)은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가지고, FB용 급수 밸브(34)에 의해 급수 제어가 된다. 또한, 세제 케이스(44)에 접속하는 급수 경로인 메인관(42)은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가지고 있지 않고, 메인 급수 밸브(36)에 의해 급수 제어되고, 이는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통하지 않는 이른바 바이패스 루트이기도 하다. 세제 케이스(44)는 공급관(39)을 통하여 수조(14)로 급수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4에서는, 외상(12), 회전조(16), 그 밖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수조(14)만을 대표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구조는, 도 1 또는 도 3에 있어서의 외상(12), 수조(14), 회전조(16), 펄세이터(18), 세탁기 모터(20)의 구성과 같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를, 실시 형태 1에 따른 세탁기(10)에 적용하면, 유연제 케이스(62)로부터 공급되는 유연제수는 수조(14) 및 회전조(16)에 상방으로부터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를, 실시 형태 2에 따른 세탁기(10)에 적용하면, 유연제 케이스(62)로부터 공급되는 유연제수는, 수조(14)-회전조(16) 사이에 공급되고, 수조(14) 저부에 저수된다.
제3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종 헹굼 행정에 있어서, 제어 장치(46)는, 유연제용 급수 밸브(37)를 개방함으로써, 원수(22)를, 유연제관(43)을 통하여 미세 기포 발생기(41)로 공급한다. 미세 기포 발생기(41)를 통과할 때에, 원수(22)는 파인 버블수가 되어, 유연제 케이스(62)로 공급된다. 유연제 케이스(62)에는 유연제가 미리 투입되어 있다. 따라서, 파인 버블수는 유연제 케이스(62)에 있어서 우선 유연제와 접촉, 교반되고, 파인 버블수에 유연제가 용해된 유연제액이 생성된다. 생성된 유연제액은, 유연제관(43)을 통과하여, 수조(14) 내로 공급된다.
이어서, 유연제 케이스(62) 내의 유연제가 모두 녹은 후에, 제어 장치(46)는 유연제용 급수 밸브(37)를 폐색하고, 메인 급수 밸브(36)를 개방한다. 메인 급수 밸브(36)를 통과하는 원수(22)는 세제 케이스(44)를 통과하여, 공급관(39)을 통하여 수조(14)로 공급된다. 이에 의해, 원수(22)와 파인 버블수에 유연제가 용해된 유연제수가 수조(14)에 채워진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세탁기(10)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가진다. 최종 헹굼 행정의 처음, 즉, 급수에 유연제를 용해시키는 기간 내에, 파인 버블수를 유연제가 미리 투입된 유연제 케이스(62)로 공급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유연제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킨 상태에서 파인 버블수에 용해하는 것을 가능케 했다. 이에 의해 유연제가 의류에 침투하기 쉬워져, 세탁 후의 의류가 보다 부드러운 마무리가 되므로, 최종 헹굼 시의 유연 효과를 향상시킨 세탁기(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파인 버블수에 의해 유연제를 용해한 후에, 통상의 수돗물 등의 원수(22)를 수조(14)로 급수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모든 헹굼수를 파인 버블수로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수조(14)로의 전체의 급수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유연 효과를 향상시킨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세탁기(10)로서, 회전조의 회전축이 연직 방향을 향한, 이른바 종축형의 세탁기를 예시하여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세탁기(10)가, 회전조의 회전축이 수평 또는 후방을 향해 하강 경사한, 이른바 횡축형의 드럼식 세탁기여도 된다.
(제4 실시 형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6 내지 도 9는, 이하에 설명하는 제4 실시 형태 내지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세탁기(101)에 공통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세탁기(101)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이 세탁기(101)는, 예를 들면 강판으로부터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상자 형상으로 구성된 외상(102)의 상부에, 합성 수지제의 탑 커버(10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외상(102) 내에는, 세탁수를 모으는 것이 가능한 수조(104)가, 주지 구성의 탄성 적지(吊持)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탄성적으로 매달아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수조(104)의 저부에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이 배수구에, 배수 밸브(132)(도 9에만 도시)를 구비한 배수로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외상(102) 내에는, 수조(104)의 저부에 설치된 에어 트랩에 접속된 에어 튜브를 통하여, 수조(104) 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센서(133)(도 9에만 도시)도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조(104) 내에는, 탈수조를 겸용하는 종축형의 세탁조(회전조)(10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세탁조(105)는, 유저 원통 형상을 이루고, 그 주벽(周壁)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다수 개의 탈수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세탁조(105)의 상단부에는, 예를 들면, 액체 봉입형의 회전 밸런서(10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세탁조(105)의 내저부(內底部)에는, 펄세이터(107)가 배설되어 있다. 세탁조(105)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의류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고, 의류의 세탁, 헹굼, 탈수 등의 행정으로 이루어진 세탁 운전이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세탁조(105)의 내저부에는, 상기 펄세이터(107)가 배치되는 원형의 오목 형상 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펄세이터(107)와의 사이에 펌프실(108)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펄세이터(107)는, 표면(상면)에 회전 수류(水流) 생성용의 볼록부(107a)를 가지는 원반 형상을 이루고, 또한, 그 반면(盤面)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복수 개의 통수 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펄세이터(107)의 이면에는, 복수 매의 펌프 날개(109)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펌프 날개(109)는, 중심부로부터 방사 방향(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박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펌프실(108)의 외주부의, 원주 방향으로 120 도 간격으로 배치된 3 개소에, 유출구(108a)(2 개만 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탁조(105)의 측벽부에는, 각 유출구(108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하여, 세탁수를 상기 펌프실(108)로부터 양수(揚水)하기 위한 3 개(2 개만 도시)의 통수로(11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통수로(110)는, 세탁조(105) 내의 상부의 회전 밸런서(106)의 하방에 토출구(110a)를 가지고 있다. 이로써, 펌프실(108)에서의 펄세이터(107), 즉, 펌프 날개(109)의 회전에 의해, 세탁조(105) 내의 세탁수(후술하는 세제가 녹은 파인 버블수, 혹은 헹굼용의 물)가, 펌프실(108)의 3 개의 유출구(108a)로부터 외주 방향을 향해 토출된다. 게다가, 그 세탁수가 통수로(110) 내를 상승(양수)하여, 토출구(110a)로부터 세탁조(105) 내로 토출(산수(散水))된다.
또한, 상기 수조(104)의 외저부(外底部)에는, 주지 구성의 구동 기구(111)가 배설되어 있다. 자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겠으나, 이 구동 기구(111)는, 예를 들면, 아우터 로터형의 DC 3상 브러시리스 모터로 이루어지는 세탁기 모터(134)(도 9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구동 기구(111)는, 그 세탁기 모터(134)의 구동력을 상기 펄세이터(107) 또는 세탁조(105)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 기구 등을 구비하고 있다. 세탁기 모터(134) 및 클러치 기구는, 후술하는 제어 장치(131)에 의해 제어되고, 세탁 시 및 저수 헹굼 시에는 세탁조(105)의 고정(정지) 상태에서, 세탁기 모터(134)의 구동력을 펄세이터(107)에 전달하여 펄세이터(107)를 저속으로 직접 정역 회전 구동한다. 또한, 탈수 헹굼 시 또는 탈수 시 등에는, 클러치 기구는, 세탁기 모터(134)의 구동력을 세탁조(105)에 전달하고, 세탁조(105)(및 펄세이터(107))를 한 방향으로 고속으로 회전 구동한다.
상기 탑 커버(103) 내에는, 도 7에도 일부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조(104)(세탁조(105)) 내로 급수를 행하는 급수 기구(112)가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급수 기구(112)는, 급수 경로(113), 3 개의 급수 밸브(120~122), 주수 케이스(118), 주수 케이스(118)의 출구부인 주수구(119)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급수 경로(113)는, 기단(基端)측에 수도 등의 급수원에 접속되는 호스 접속구(114)를 가지고 있다. 급수 경로(113)는, 호스 접속구(114)로부터 연장된 후, 3 개로 분기하여 연장하여, 메인 급수 경로(115), FB용 급수 경로(116), 유연제용 급수 경로(117)가 된다. 또한, 급수 경로(113)의 기단부 중, 분기 부분보다 기단측(상류)측에는, 물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계(135)가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수 케이스(118)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을 이루고, 그 중단부에는, 도면에서 우측에 위치하고,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 수용부(123)가 설치되고, 좌측에 위치하고, 유연제 등이 수용되는 유연제 수용부(124)가 설치된다. 이들 세제 수용부(123) 및 유연제 수용부(124)는 인출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수 케이스(118) 내의 상부에는, 구분판(118a)에 의해 구분됨으로써, 세제 수용부(123) 및 유연제 수용부(124)의 각각 상방에 위치하고, 제1 상부 공간(125) 및 제2 상부 공간(12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메인 급수 경로(115) 및 FB용 급수 경로(116)의 선단부는, 상기 제1 상부 공간(125)에 연통하도록, 주수 케이스(118) 상벽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유연제용 급수 경로(117)의 선단부는, 상기 제2 상부 공간(126)에 연통하도록, 주수 케이스(118) 상벽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상부 공간(125)의 저부에는, 상기 세제 수용부(123)에 연통하는 연통 홀(125a)이 설치되고, 제2 상부 공간(126)의 저부에는, 상기 유연제 수용부(124)에 연통하는 연통 홀(126a)이 설치되어 있다. 세제 수용부(123)의 출구부(123a) 및 유연제 수용부(124)의 출구부(124a)는, 주수 케이스(118) 내의 하부 공간(127)에 연통하고, 하부 공간(127)이 상기 주수구(119)에 늘어서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급수 경로(115)에는, 메인 급수 밸브(120)가 설치되고, FB용 급수 경로(116)에는, 파인 버블용의 FB용 급수 밸브(121) 및 후술하는 UFB 유닛(128)이 설치되고, 유연제용 급수 경로(117)에는, 유연제용 급수 밸브(12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급수 밸브(120, 121, 122)는, 전자적으로 개폐 동작하는 개폐 밸브로 이루어지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장치(131)에 의해 제어된다.
이로써, 메인 급수 밸브(120)가 개방되면, 급수원으로부터의 물이 메인 급수 경로(115)를 통하여 주수 케이스(118)의 세제 수용부(123)로 흐르고, 세제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세제를 녹이면서 주수구(119)로부터 배출되고, 수조(104)(세탁조(105)) 내로 주수된다. 이 경우, 메인 급수 경로(115)를 통하여, 파인 버블을 포함하지 않은 수돗물이 그대로 수조(104) 내로 공급된다. 또한, 이 때, 메인 급수 경로(115)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의 유량은, FB용 급수 경로(116)의 물의 유량보다 커(예를 들면 2 배 정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파인 버블용의 FB용 급수 밸브(121)가 개방되면, 급수원으로부터의 물이 FB용 급수 경로(116)를 통하여 주수 케이스(118)의 세제 수용부(123)로 흐르고, 세제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세제를 녹이면서 주수구(119)로부터 배출되고, 수조(104) 내로 주수된다. 이 경우, 세제 수용부(123)는 세제의 용해 영역이 된다. 이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FB용 급수 경로(116)를 흐르는 물이 UFB 유닛(128)을 통과함으로써, 다량의 파인 버블을 포함한 파인 버블수가 되고, 파인 버블수에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가 수조(104)(세탁조(105)) 내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유연제용의 유연제용 급수 밸브(122)가 개방되면, 급수원으로부터의 물이 유연제용 급수 경로(117)를 통하여 주수 케이스(118)의 유연제 수용부(124)로 흐르고, 유연제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유연제를 녹이면서 주수구(119)로부터 배출되고, 수조(104)(세탁조(105)) 내로 주수된다. 이 경우, 유연제 수용부(124)는 유연제의 용해 영역이 된다. 또한, 이 유연제는, 최종회이므로 헹굼 행정에 있어서 수조(104) 내로 공급된다. 또한, 자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 탑 커버(103)에는, 의류의 출입구, 그 출입구를 개폐하는 뚜껑, 조작 패널(136)(도 9 참조) 등도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FB용 급수 경로(116) 중, FB용 급수 밸브(121)의 하류측인 출구부 근방으로 편입되도록 하여, 벤츄리관의 원리를 이용한 파인 버블 발생 장치로서의 UFB 유닛(128)이 설치된다. 이 UFB 유닛(128)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UFB 유닛(128)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축 방향을 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한 원주 형상을 이루고, 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129)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129)는, UFB 유닛(128)의 상하 양단 단면에서 개구하고, 도면에서 상단측의 개구부가 유입구(129a)로 되고, 도면에서 하단측의 개구부가 유출구(129b)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129)의 중간부에, 유로 단면적이 가장 작아지는 조임부(129c)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129)는, 유입구(129a)로부터 조임부(129c)까지의 사이가, 점차 유로 단면적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고, 조임부(129c)로부터 유출구(129b)까지의 사이가, 거의 균등한 유로 단면적으로 되어 있다. 또한, UFB 유닛(128)에는, 조임부(129c)의 유로를 더욱 좁히도록 하여, 4 개의 돌출부(130)(2 개만 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130)는 선단이 추(錐) 형상이며, 90 도 간격으로 조임부(129c)의 외주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볼록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임부(129c) 중심부의 단면이, 4 개가 서로 마주 본 돌출부(130) 선단의 추 형상부에 의해 형성되는 열십자(×자)의 슬릿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돌출부(130)를 UFB 유닛(128)에 일체 성형에 의해 설치해도 좋다.
이러한 UFB 유닛(128)에서는, FB용 급수 밸브(121)의 개방에 의해 물이 유입구(129a)로부터 유로(129) 내로 유입되면, 조임부(129c)까지 유로 단면적이 좁혀짐으로써, 유체 역학의 이른바 벤츄리 효과에 의해 유속이 높여지고, 돌출부(130)를 통과함으로써 압력이 급격하게 저하된다. 이에 의해, 수중에 용존하고 있는 공기를 미세한 기포로 하여 다량으로 석출시킬 수 있다. 이 UFB 유닛(128)에 의해, 직경이 50 nm~1 μm 정도의 울트라 파인 버블을 주로 포함하고, 또한, 직경이 1 μm~수백 μm 정도의 마이크로 버블도 포함한 파인 버블을 다량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도 9는, 상기 제어 장치(131)를 중심으로 한, 세탁기(101)의 전기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어 장치(131)는, 컴퓨터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고, 세탁기(101)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 장치(131)에는, 조작 패널(136)이 접속됨과 동시에, 수위 센서(133) 또는 유량계(135)로부터의 검지 신호가 입력된다. 이 경우, 제어 장치(131)는, 유량계(135)의 검지 신호의 적산(積算)에 의해, 공급한 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31)는, 세탁기 모터(134), 배수 밸브(132), 메인 급수 밸브(120), FB용 급수 밸브(121), 유연제용 급수 밸브(122)를 제어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제어 장치(131)는, 조작 패널(136)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운전 코스에 따라, 각 센서로부터의 입력 신호 또는 미리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세탁기(101)의 각 기구를 제어하고,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으로 이루어진 주지의 세탁 운전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이 때, 다음의 작용 설명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31)는, 주로 그 소프트웨어 구성에 의해, 세탁 행정 개시 시의 급수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 메인 급수 밸브(120)와 FB용 급수 밸브(121)를 교대로 개방시켜 급수를 행한다. 이 급수 시에는, 유연제용 급수 밸브(122)는 폐색된다. 이로써, 메인 급수 경로(115)를 통하여 큰 유량으로 물을 주수 케이스(118)로 공급하는 급수 태양(이를 메인 급수라고 한다)과, FB용 급수 경로(116)를 통하여 파인 버블수를 주수 케이스(118)로 공급하는 급수 태양(이를 FB 급수라고 한다)이 교대로 복수 회씩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수의 개시 시에는, FB용 급수 밸브(121)의 개방(FB 급수)이 선행하여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131)는, 메인 급수 밸브(120)와 FB용 급수 밸브(121)와의 전환 제어(개폐 제어)를, 개방 시간의 카운트에 의해 행한다. 또한, 세탁 행정 후의 헹굼 행정 등에 있어서는, 메인 급수 밸브(120)를 개방시켜(FB용 급수 밸브(121) 및 유연제용 급수 밸브(122)는 폐색), 소정 수위까지의 급수가 행해진다. 마지막이므로, 헹굼 행정에 있어서는, 유연제용 급수 밸브(122)를 개방시켜(메인 급수 밸브(120) 및 FB용 급수 밸브(121)는 폐색), 소정 수위까지의 급수를 행하고, 유연제가 녹아든 물이 수조(104) 내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구성의 세탁기(101)의 작용·효과에 대해, 도 10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세탁 운전을 개시하는 것에 있어서는, 사용자는, 세탁조(105) 내에 세탁하는 의류를 수용함과 동시에, 주수 케이스(118)의 세제 수용부(123)에 소요량의 세제를 미리 수용시킨 후, 조작 패널(136)로 개시 조작을 행한다. 그러면, 제어 장치(131)는, 세탁, 헹굼, 탈수 등의 행정으로 이루어진 세탁 운전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이 때, 세탁 운전이 스타트되면, 우선 주지의 포량(布量) 검지 동작이 행해지고, 그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급수 수위가 자동으로 결정되어, 세탁 행정으로 진행된다.
도 10은, 제어 장치(131)에 의한, 세탁 행정 개시 시의 급수에 있어서의, FB용 급수 밸브(121)와 메인 급수 밸브(120)와의 개폐 제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 행정이 개시되면(시각 t0), 우선, FB용 급수 밸브(121)가 개방되고(메인 급수 밸브(120) 및 유연제용 급수 밸브(122)는 폐색), FB 급수가 행해진다. 이 FB용 급수 밸브(121)의 개방에 의해, 급수원(수도)으로부터의 물이, FB용 급수 경로(116)를 통하여, 수도 수압에 따른 비교적 높은 압력으로 UFB 유닛(128)으로 흐른다. UFB 유닛(128)을 물이 통과할 때에, 다량의 파인 버블이 발생하고, 파인 버블수가 되어 주수 케이스(118)로 공급된다. 그리고, 다량의 파인 버블을 포함한 파인 버블수가 세제 수용부(123) 내의 세제를 녹이면서 흐르고, 세제를 녹이면서 수조(104) 내로 공급된다.
이 FB용 급수 밸브(121)의 개방(FB 급수)은, 예를 들면, 60 초간 실행되고, 시각 t1가 된 시점에서, FB용 급수 밸브(121)가 폐색되고 메인 급수 밸브(120)가 개방된다. 이로써, FB 급수로부터 메인 급수로 전환되고, 메인 급수 경로(115)를 통한 물이 그대로 주수 케이스(118)로 공급된다. 그리고, 그 물이 세제 수용부(123) 내의 세제를 녹이면서 흐르고, 세제가 녹아든 물이 수조(104) 내로 공급된다. 이 경우, 메인 급수 경로(115)는 비교적 유량이 크기 때문에, 세제가 기세 좋게 흐르게 되고, 용해 찌꺼기가 없도록 수조(104) 내로 공급되게 된다. 이 메인 급수에 의해, FB 급수와 같은 시간에 2 배 정도의 급수를 행할 수 있다. 메인 급수 밸브(120)의 개방(메인 급수)도, 예를 들면 60 초간 실행되고, 시각 t2가 된 시점에서, 다시 FB 급수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60 초마다 FB 급수와 메인 급수가 교대로 전환되어 가고, 예를 들면 3 회째의 FB 급수가 종료하면(시각 t5), 재차 메인 급수(3 회째)로 전환된다. 예를 들면 이 3 회째의 메인 급수는, 수조(104)(세탁조(105)) 내의 수위가, 결정된 소정 수위에 이를 때까지 연속하여 실행된다. 수조(104) 내의 소정 수위의 급수가 행해지면(시각 t6), 메인 급수 밸브(120)가 폐색되고, 펄세이터(107)를 정역 회전 구동시키는 세탁 행정이 개시된다. 여기에서는, 파인 버블수에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가, 수조(104)(세탁조(105)) 내에 고인 상태에서, 세탁 행정이 실행된다. 소정 시간의 세탁 행정이 종료하면, 펄세이터(107)가 정지됨과 동시에, 수조(104)로부터의 배수가 행해지고, 이어서, 헹굼 또는 탈수의 행정이 실행된다.
상기 파인 버블은, 액체 중, 예를 들면 수중에서, 불규칙한 운동을 일으키는 브라운 운동을 일으키고, 그 속도는 부상 속도보다 빠르므로, 장시간에 걸쳐 액체 중에서 멈추는 성질을 가진다. 그리고, 파인 버블의 표면은 마이너스로 대전하고 있으므로, 세탁수에 포함되어 있는 덩어리로 되어 있던 세제분(계면 활성제)을 분산시키도록 하면서 흡착하여, 세제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파인 버블끼리는 서로 반발하여, 결합하는 일이 없다. 또한, 그와 같이 세제분을 흡착한 파인 버블은, 의류의 섬유의 간극(예를 들면 10 μm) 중에 용이하게 들어가, 효율적으로 세제를 의류의 내부로 옮겨 오염을 벗길 수 있고, 그 오염이 의류로 재부착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러한 파인 버블의 기능에 의해, 다량의 파인 버블이 포함된 파인 버블수에 세제를 녹인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 행정을 행함으로써, 우수한 세정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UFB 유닛(128)에 의해 파인 버블수로 여겨진 후에, 그 파인 버블수에 세제가 용해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파인 버블 농도가 높은 상태의 세탁수 중으로, 세제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만일, 그와는 반대로, 세제를 물에 용해한 후에 파인 버블을 발생시키는 경우에는, 세탁수가 과잉으로 거품이 일게 되어, 미세한 파인 버블을 충분히 발생시킬 수 없게 되고, 파인 버블 농도가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한 소정 시간의 세탁 행정이 종료하면, 펄세이터(107)가 정지됨과 동시에, 수조(104)로부터의 배수가 행해지고, 이어서, 헹굼이나 탈수의 행정이 실행된다. 헹굼의 행정에서는, UFB 유닛(128)을 통하지 않는 메인 급수 경로(115) 또는 유연제용 급수 경로(117)를 통하여 수조(104) 내로 급수할 수 있고, 그 때의 물의 유량을 비교적 크게 하여 단시간에 급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급수의 초기 단계에서, 메인 급수 경로(115)를 통하여 큰 유량으로 물을 주수 케이스(118)로 공급하는 메인 급수와, FB용 급수 경로(116)를 통하여 파인 버블수를 주수 케이스(118)로 공급하는 FB 급수가 교대로 실행된다. 이에 의해, 파인 버블 농도가 높은 상태의 세탁수 중으로 세제분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세제 수용부(123)의 세제를 큰 유량의 물로 세제 찌꺼기없이 흘리는 것과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파인 버블수와 통상의 물이 섞이기 쉬워진다. 이 결과, 파인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UFB 유닛(128)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세제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세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파인 버블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131)는, 메인 급수 밸브(120)와 FB용 급수 밸브(121)와의 전환 제어를, 개방 시간의 카운트에 의해 행하도록 구성했다. 이에 의해, 소요 시간의 FB 급수에 의해 필요량의 파인 버블수를 얻으면서, 확실히 메인 급수로 변환할 수 있고, 전체적인 시간을 비교적 짧게 끝내면서 급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수의 개시 시에, FB용 급수 밸브(121)의 개방을 선행하여 행하도록 구성했다. 이에 의해, 세탁 운전 개시 시에, 우선 처음에, 파인 버블수를 세제에 접촉시켜 파인 버블수에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를 세탁조(105) 내의 의류에 대해 공급하는 것이 행해져, 세정 성능 향상의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11은,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제5 실시 형태가,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제어 장치(131)에 의한, 세탁 행정 개시 시의 급수에 있어서의, FB용 급수 밸브(121)와 메인 급수 밸브(120)와의 개폐 제어의 처리에 있다. 즉, 이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131)는, 메인 급수 밸브(120)와 FB용 급수 밸브와의 전환 제어를, 시간 제어를 대신하여, 수위 센서(133)의 검출에 의한 세탁조(105) 내의 수위 검출에 기초해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탁 행정이 개시되면(시각 t0), 우선, FB용 급수 밸브(121)가 개방되고, FB 급수가 행해진다. 이 FB용 급수 밸브(121)의 개방(FB 급수)은, 수위가 FB1(예를 들면, 5 리터 상당)가 될 때까지 실행되고, 그 시점(시각 t1)에서, FB용 급수 밸브(121)가 폐색되고, 메인 급수 밸브(120)가 개방되고, FB 급수로부터 메인 급수로 전환된다. 이 메인 급수는, 수위가 메인 1(예를 들면 15 리터 상당)이 될 때까지 실행되고, 시각 t2에서, 다시 메인 급수로부터 FB 급수로 전환된다.
게다가, 수위가 FB2(예를 들면 20 리터 상당)가 되면, FB 급수로부터 메인 급수로 전환되고(시각 t3), 수위가 메인 2(예를 들면 30 리터 상당)가 되면, 메인 급수로부터 FB용 급수로 전환된다(시각 t4). 수위가 FB3(예를 들면 35 리터 상당)가 되면, FB 급수로부터 3 회째의 메인 급수로 전환된다(시각 t5). 이 3 회째의 메인 급수는, 수위가, 결정된 메인 3의 수위(예를 들면 65 리터 상당)에 이를 때까지 연속하여 실행된다. 수조(104) 내의 소정 수위의 급수가 종료하면(시각 t6), 메인 급수 밸브(120)가 폐색되고, 세탁 행정이 개시된다.
이러한 제5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파인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UFB 유닛(128)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급수의 초기 단계에서 메인 급수와 FB 급수가 교대로 실행되므로, 세제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세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파인 버블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 급수 밸브(120) 및 FB용 급수 밸브(121)를, 세탁조(105) 내의 수위 검출에 기초하여 전환함으로써, 저수압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FB 급수에 의해 필요량의 파인 버블수를 얻으면서, 확실히 메인 급수로 전환하여, 전체의 급수를 행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도 12는,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제6 실시 형태가, 상기 제4, 제5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제어 장치(131)에 의한, 세탁 행정 개시 시의 급수에 있어서의, FB용 급수 밸브(121)와 메인 급수 밸브(120)와의 개폐 제어의 처리에 있다. 즉, 이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131)는, 메인 급수 밸브(120)와 FB용 급수 밸브와의 전환 제어를, 시간 제어 또는 수위 제어를 대신하여, 유량계(135)의 검출치의 시간 적산에 의한 세탁조(105) 내로의 급수량의 산출에 기초하여 행한다. 이 경우, 메인 급수에 있어서의 물의 유량은, 예를 들면 10 리터/분이며, FB 급수에 있어서의 물의 유량은, 예를 들면 5 리터/분으로 되어 있다. 도 12의 하단은, 햇칭을 붙인 면적이, 그 구간에 있어서 급수된 수량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탁 행정이 개시되면(시각 t0), 우선, FB용 급수 밸브(121)가 개방되고, FB 급수가 행해진다. 이 FB용 급수 밸브(121)의 개방(FB 급수)은, 급수량이 수량 1(예를 들면 5 리터)이 될 때까지 실행되고, 그 시점(시각 t1)에서, FB 급수로부터 메인 급수로 전환된다. 이 메인 급수는, 급수량이 수량 2(예를 들면 10 리터)가 될 때까지 실행되고, 시각 t2에서, 다시 메인 급수로부터 FB 급수로 전환된다.
또한, 수량 1(5 리터)의 FB 급수가 행해지면, 메인 급수로 전환되고(시각 t3), 수량 2(10 리터)의 메인 급수가 행해지면, 메인 급수로부터 FB용 급수로 전환된다(시각 t4). 수량 1(5 리터)의 FB 급수가 행해지면, 메인 급수로 전환된다(시각 t5). 이 3 회째의 메인 급수는, 수량 2가 3 회 반복되기(예를 들면 30 리터)까지 연속하여 실행된다. 메인 급수가 종료하면(시각 t6), 메인 급수 밸브(120)가 폐색되고, 세탁 행정이 개시된다.
이러한 제6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파인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UFB 유닛(128)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급수의 초기 단계에서 메인 급수와 FB 급수가 교대로 실행되므로, 세제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세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파인 버블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 급수 밸브(120) 및 FB용 급수 밸브(121)를, 유량계(135)에 의한 급수량의 계량에 기초하여 전환함에 의해, 저수압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FB 급수에 의해 필요량의 파인 버블수를 얻으면서, 확실히 메인 급수로 전환하여, 전체의 급수를 행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도 13은, 제7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제어 장치(131)에 의한, 세탁 행정 개시 시의 급수에 있어서의, FB용 급수 밸브(121)와 메인 급수 밸브(120)와의 개폐 제어의 처리에 있다. 즉, 이 제7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131)는, 메인 급수 밸브(120)와 FB용 급수 밸브와의 전환 제어를, 시간 카운트 및 수위 센서(133)에 의한 세탁조(105) 내의 수위 검출에 기초하여 행한다. 이 경우, 상기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는 수위 검출에 기초한 제어를 행하면서도, 그에 시간 제어가 가미된다.
구체적으로는, 세탁 행정이 개시되면(시각 t0), 우선, FB용 급수 밸브(121)가 개방되고, FB 급수가, 수위가 FB1(예를 들면 5 리터 상당)가 될 때까지 실행된다. 단, 수위가 FB1에 이르지 않아도, 소정의 시간 T(예를 들면 1 분)가 경과하면, 강제적으로 FB 급수로부터 메인 급수로 전환된다(시각 t1′ 이 메인 급수는, 수위가 메인 1(예를 들면 15 리터 상당)이 될 때까지 실행되고, 시각 t2에서, 다시 메인 급수로부터 FB 급수로 전환된다.
이 2 회째의 FB 급수는, 수위가 FB2(예를 들면 20 리터 상당)가 될 때까지 실행되지만, 역시나, 수위가 FB2에 이르지 않아도, 소정의 시간 T(예를 들면 1 분)가 경과하면, 강제적으로 FB 급수로부터 메인 급수로 전환된다(시각 t3′ 2 회째의 메인 급수는, 수위가 메인 2(예를 들면 30 리터 상당)가 될 때까지 실행되고, 시각 t4에서, 메인 급수로부터 FB용 급수로 전환된다.
3 회째의 FB 급수는, 수위가 FB3(예를 들면 30 리터 상당)가 될 때까지 실행되지만, 역시나, 수위가 FB3에 이르지 않아도, 소정의 시간 T(예를 들면 1 분)가 경과하면, 강제적으로 FB 급수로부터 메인 급수로 전환된다(시각 t5′ 3 회째의 메인 급수는, 수위가, 결정된 메인 3의 수위(예를 들면 65 리터 상당)에 이를 때까지 연속하여 실행된다. 수조(104) 내의 소정 수위의 급수가 종료하면(시각 t6), 메인 급수 밸브(120)가 폐색되고, 세탁 행정이 개시된다.
이러한 제7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파인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UFB 유닛(128)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급수의 초기 단계에서 메인 급수와 FB 급수가 교대로 실행되므로, 세제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세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파인 버블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 급수 밸브(120) 및 FB용 급수 밸브(121)를, 예를 들면 기본적으로는 세탁조(105)의 수위 검출에 기초한 제어를 행하면서도, 그에 시간 제어를 가미하도록 하였으므로, FB 급수가 헛되게 긴 시간 행해진다고 하는 불편을 미연에 방지하여, 예정된 시간에 세탁을 끝낼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도 14는, 제8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제어 장치(131)에 의한, 세탁 행정 개시 시의 급수에 있어서의, FB용 급수 밸브(121)와 메인 급수 밸브(120)와의 개폐 제어의 처리에 있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131)는, 급수의 개시 시에, 메인 급수 밸브(120)의 개방을 선행하여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탁 행정이 개시되면(시각 t0), 우선, 메인 급수 밸브(120)가 개방되고, 메인 급수가 예를 들면 60 초간 실행된다. 시각 t1가 된 시점에서, 메인 급수 밸브(120)가 폐색되고, FB용 급수 밸브(121)가 개방된다. 이로써, 메인 급수로부터 FB용 급수로 전환되고, FB 급수가 예를 들면 60 초간 실행되고, 시각 t2가 된 시점에서 다시 메인 급수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60 초 마다 메인 급수와 FB 급수가 교대로 전환되어 가고, 예를 들면 3 회째의 FB 급수가 종료하면(시각 t6), 재차 메인 급수(4 회째)로 전환된다. 예를 들면, 이 4 회째의 메인 급수는, 수조(104)(세탁조(105)) 내의 수위가, 결정된 소정 수위에 이를 때까지 연속하여 실행된다. 수조(104) 내의 소정 수위의 급수가 행해지면(시각 t7), 메인 급수 밸브(120)가 폐색되고, 세탁 행정이 개시된다.
이러한 제8 실시 형태에 의하면, 파인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UFB 유닛(128)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급수의 초기 단계에서 메인 급수와 FB 급수가 교대로 실행되므로, 세제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세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파인 버블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최초로 메인 급수가 행해진다. 이에 의해, 세제 수용부(123)에 수용되어 있는 세제가 분말 세제와 같은 비교적 녹기 어려운 세제인 경우에도, 메인 급수에 의해 투입 찌꺼기 없이 세제액으로서 세탁조(105)로 확실히 공급된다. 따라서, 그 세제액이 세탁조(105) 내의 수면 또는 의류의 표면에 많이 있는 상태에서 그 세제액에 파인 버블수를 혼합함으로써 파인 버블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9 실시 형태, 그 밖의 실시 형태)
도 15는, 제9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제어 장치(131)는, 급수의 개시 시에, FB용 급수 밸브(121)의 개방을 선행하여 행하고, 그 후에, 메인 급수 밸브(120)와 FB용 급수 밸브(121)와의 쌍방을 동시에 개방하는 점에 있다. 즉, 세탁 행정이 개시되면(시각 t0), 우선, FB용 급수 밸브(121)가 개방되고, FB 급수가 예를 들면 60 초간 실행된다. 그리고, 시각 t1가 된 시점에서, FB용 급수 밸브(121)는 개방된 채로, 메인 급수 밸브(120)가 개방된다.
이로써, 메인 급수 경로(115) 및 FB용 급수 경로(116)의 쌍방을 통하여 주수 케이스(118) 내(세제 수용부(123))로 물이 공급되고, 세탁조(105) 내로의 급수가 행해진다. 이 때, 급수원으로부터의 물은, 저항이 보다 작은 메인 급수 경로(115)를 주로 통과하게 되고, FB용 급수 경로(116)에 있어서의 물의 유량은 적어진다. 그 때문에, UFB 유닛(128)을 통해서도 파인 버블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이 구간(시각 t1~t2의 사이)에서는, 실질적으로는, 메인 급수가 행해지고, FB용 급수 밸브(121)를 오프한 것과 다르지 않게 된다. 이 메인 급수 밸브(120)의 개방은 예를 들면 60 초간 실행되고, 시각 t2가 된 시점에서, 메인 급수 밸브(120)가 오프되고, FB용 급수 밸브(121)만이 개방된 FB 급수로 전환된다.
2 회째의 FB 급수도, 예를 들면 60 초간 실행되고, 시각 t3가 된 시점에서, 다시 FB용 급수 밸브(121)는 개방된 채로, 메인 급수 밸브(120)가 개방된다. 이 2 회째의 메인 급수 밸브(120)의 개방도, 예를 들면 60 초간 실행되고, 시각 t4가 된 시점에서, 메인 급수 밸브(120)가 오프되고, FB용 급수 밸브(121)만이 개방된 FB 급수로 전환된다. 예를 들면 60 초가 경과하여 3 회째의 FB 급수가 종료하면(시각 t5), FB용 급수 밸브(121)가 폐색됨과 동시에, 메인 급수 밸브(120)가 개방되어 메인 급수가 실행된다. 이 메인 급수는, 수조(104)(세탁조(105)) 내의 수위가, 결정된 소정 수위에 이를 때까지 연속하여 실행되고, 시각 t6에서, 메인 급수 밸브(120)가 폐색되고, 세탁 행정이 개시된다.
이에 의하면, 우선 처음에, 파인 버블수를 세제에 접촉시켜 파인 버블수에 세제가 녹아든 세탁수가 세탁조(105)로 공급된 후, 메인 급수 밸브(120)와 FB용 급수 밸브(121)와의 쌍방을 동시에 개방한다. 이에 의해, 큰 유량으로 물을 흘려 세제 수용부(123)의 세제의 용해 찌꺼기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제9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파인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UFB 유닛(128)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세제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세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파인 버블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 급수 밸브(120)와 FB용 급수 밸브(121)와의 쌍방을 동시에 개방하는 구간을 설치했다. 이에 의해, 실질적으로는 메인 급수와 다름없는 것으로 하면서, FB용 급수 밸브(121)의 온·오프 회수를 줄일 수 있고, FB용 급수 밸브(121)의 내구성(수명)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확장, 변경도 가능하다. 즉,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세탁 행정에 파인 버블수를 이용하고, 헹굼 행정에서는 UFB 유닛(128)을 통과하지 않는 물을 이용하도록 하였으나, 예를 들면, 헹굼 행정에 있어서도, 파인 버블수와 일반의 물을 혼합한 물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이용한 시간 또는 수위(수량) 등의 구체적 수치는, 일례를 든 것에 지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종축형의 세탁기에 적용했으나, 종축형의 세탁기에 한정하지 않고, 드럼식 세탁기 등, 세탁기 전반에 적용할 수 있다. 그 밖에, 주수 케이스(세제 수용부)의 구성 또는 급수 기구의 구성 등에 대해서도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으나,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할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 또는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 또는 요지에 포함됨과 동시에,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물을 저수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된 회전조와,
    세제가 투입되고, 세제를 용해하는 용해 영역과,
    파인 버블수를 생성할 수 있는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에 통과시키고, 파인 버블수로서 상기 용해 영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FB용 급수 경로와,
    상기 FB용 급수 경로를 개폐하는 FB용 급수 밸브와,
    상기 FB용 급수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는 거품의 구 상당 직경이 50 nm ~ 1 μm 의 울트라 파인 버블을 포함하는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운전되는 세탁 코스에 있어서, 급수에 세제를 용해시키는 기간에, 세제와 파인 버블수를 접촉시킴으로써 세제를 용해하는 제어를 행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B용 급수 경로의 도중에 있어서, 상기 FB용 급수 밸브와 상기 용해 영역의 사이에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설치한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인 버블수는, 나노 버블을 포함한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용해 영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메인 급수 경로와,
    상기 메인 급수 경로를 개폐하는 메인 급수 밸브를 더 가지고, 상기 메인 급수 경로는,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통과하지 않은 급수 경로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FB용 급수 밸브 및 상기 메인 급수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세탁기.
  5. 물을 저수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된 회전조와,
    유연제가 투입되고, 유연제를 용해하는 용해 영역과,
    일방이 급수 밸브에 접속되고, 타방은 상기 용해 영역으로 급수 가능한 급수 경로와,
    상기 급수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고, 파인 버블수를 생성할 수 있는 파인 버블 발생 장치와,
    적어도 급수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는 거품의 구 상당 직경이 50 nm ~ 1 μm 울트라 파인 버블을 포함하는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운전되는 세탁 코스에 있어서, 급수에 유연제를 용해시키는 기간에,
    유연제와 파인 버블수를 접촉시킴으로써 유연제를 용해하는 제어를 행하는 세탁기.
  6. 물을 저수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된 회전조와,
    세제가 투입되고, 세제를 용해하는 용해 영역과,
    파인 버블수를 생성할 수 있는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에 통과시켜, 파인 버블수로서 상기 용해 영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FB용 급수 경로와,
    상기 FB용 급수 경로를 개폐하는 FB용 급수 밸브와,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통과하지 않은 급수 경로이며,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용해 영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메인 급수 경로와,
    상기 메인 급수 경로를 개폐하는 메인 급수 밸브와,
    상기 FB용 급수 밸브 및 메인 급수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는 거품의 구 상당 직경이 50 nm ~ 1 μm 의 울트라 파인 버블을 포함하는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수조에 저수되는 물은, 파인 버블수와,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통과하지 않은 급수 경로로 통수시킨 물과의 혼합수인 세탁기.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 영역은,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통과하는 급수 경로가 접속되고, 급수구로부터 수조로 급수하는 세제 케이스인 세탁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의 저부에 세탁물을 교반하는 펄세이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용해 영역은, 상기 펄세이터의 하부에 위치하는 세탁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 영역은 상기 수조의 바닥이며,
    상기 파인 버블수는 상기 수조와 상기 회전조와의 사이에 주수되고,
    상기 파인 버블수는, 상기 회전조 내의 세탁물보다도 먼저, 상기 용해 영역에 미리 투입된 세제와 접촉하는 세탁기.
  10. 의류가 수용되는 세탁조와,
    세제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세탁조로 급수를 행하는 주수 케이스와,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에 통과시키고, 파인 버블수로 하여 상기 주수 케이스로 공급하기 위한 FB용 급수 경로와,
    상기 FB용 급수 경로를 개폐하는 FB용 급수 밸브와,
    상기 FB용 급수 경로보다도 유량이 크게 구성되고,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통과하지 않은 급수 경로이며,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주수 케이스로 공급하기 위한 메인 급수 경로와,
    상기 메인 급수 경로를 개폐하는 메인 급수 밸브와,
    상기 메인 급수 밸브 및 FB용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는 거품의 구 상당 직경이 50 nm ~ 1 μm 의 울트라 파인 버블을 포함하는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세제 수용부는 세제의 용해 영역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급수의 초기 단계에서, 상기 메인 급수 밸브와 상기 FB용 급수 밸브를 교대로 개방시켜 급수를 행하는 세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메인 급수 밸브와 상기 FB용 급수 밸브와의 전환 제어를, 개방 시간의 카운트에 의해 행하는 세탁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메인 급수 밸브와 상기 FB용 급수 밸브와의 전환 제어를, 상기 세탁조 내의 수위 검출에 기초하여 행하는 세탁기.
  13. 제4항, 제6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급수의 개시 시에, 상기 FB용 급수 밸브의 개방을 선행하여 행하고, 그 후에, 상기 메인 급수 밸브와 상기 FB용 급수 밸브와의 쌍방을 동시에 개방하는 세탁기.
  14. 제4항, 제6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 영역에는, 파인 버블수, 및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통과하지 않은 급수 경로로 통수시킨 모든 물이 공급되는 세탁기.
  15. 제4항, 제6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통과하는 급수 경로로의 물의 통수를 개시한 후에,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통과하지 않은 급수 경로로 물을 통수하는 제어를 행하는 세탁기.
KR1020187019732A 2015-12-25 2016-12-01 세탁기 KR101984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53938A JP6346164B2 (ja) 2015-12-25 2015-12-25 洗濯機
JPJP-P-2015-253938 2015-12-25
JP2016203532A JP6251349B1 (ja) 2016-10-17 2016-10-17 洗濯機
JPJP-P-2016-203532 2016-10-17
PCT/JP2016/085764 WO2017110406A1 (ja) 2015-12-25 2016-12-01 洗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419A KR20180087419A (ko) 2018-08-01
KR101984210B1 true KR101984210B1 (ko) 2019-05-30

Family

ID=59089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732A KR101984210B1 (ko) 2015-12-25 2016-12-01 세탁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88887B2 (ko)
EP (1) EP3396044B1 (ko)
KR (1) KR101984210B1 (ko)
CN (2) CN108474164B (ko)
MY (1) MY185562A (ko)
TW (2) TWI666357B (ko)
WO (1) WO2017110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51425B1 (ja) 2016-09-09 2017-12-2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KR102397442B1 (ko) * 2017-03-23 2022-05-12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KR102388491B1 (ko) * 2017-03-23 2022-04-20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KR102397440B1 (ko) * 2017-03-23 2022-05-12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JP7197970B2 (ja) * 2017-08-03 2022-12-2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給水装置
JP7018062B2 (ja) * 2017-08-31 2022-02-09 シャープ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7021901B2 (ja) * 2017-10-25 2022-02-1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KR102502662B1 (ko) * 2018-03-28 2023-02-22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발생기
JP7025267B2 (ja) * 2018-04-02 2022-02-2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WO2020011442A1 (en) 2018-07-10 2020-01-16 Arcelik Anonim Sirketi Washing machine with enhanced detergent dissolving efficiency
RU2759258C1 (ru) * 2018-11-05 2021-11-11 Уси Литтл Суон Электрик Ко., Лтд. Генератор микропузырьк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JP7204876B2 (ja) * 2018-11-05 2023-01-16 ▲無▼▲錫▼小天鵝電器有限公司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及び衣類処理装置
CN111206382A (zh) * 2018-11-21 2020-05-29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
CN111334979B (zh) * 2018-12-19 2023-01-1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和控制方法
CN111411485A (zh) * 2019-01-07 2020-07-14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洗衣机
CN111663306B (zh) * 2019-03-06 2022-03-22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
CN111764095B (zh) * 2019-03-12 2021-12-2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注水控制方法、装置和衣物处理装置
CN111764100A (zh) * 2019-03-12 2020-10-13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注水控制方法、装置和衣物处理装置
CN112342732B (zh) * 2019-07-22 2023-08-15 无锡飞翎电子有限公司 洗衣机进水控制方法、装置、洗衣机及存储介质
CN110904632A (zh) * 2019-11-13 2020-03-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涤剂盒清洗***及其洗衣机
JP2021087611A (ja) * 2019-12-04 2021-06-1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CN113118572B (zh) * 2019-12-30 2024-05-10 常州冶戈工具有限公司 用于加工汽车转向器的pcd复合刀具
JP7486122B2 (ja) * 2020-06-24 2024-05-17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洗濯機
CN114098572A (zh) * 2020-08-31 2022-03-0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用于载水家用电器的控制方法、载水家用电器及存储介质
US11851802B2 (en) * 2021-09-14 2023-12-2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ombination smart dose dispenser system for a laundry treatment appliance
CN114411382B (zh) * 2022-01-28 2024-01-16 海信冰箱有限公司 洗衣机控制方法及应用该方法的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6943A (en) 1979-06-15 1980-12-26 Fujitsu Ltd Semiconductor device
JPH08206390A (ja) * 1995-02-02 1996-08-13 Toshiba Corp 洗濯機の洗剤投入装置
JP3734969B2 (ja) * 1998-11-04 2006-01-11 株式会社大宇エレクトロニクス 中細ノズル状の噴出孔付き気泡発生装置
KR20000045029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세탁기의 세제 용해 장치
JP4013380B2 (ja) * 1999-01-05 2007-11-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
AU2003215913B2 (en) 2002-01-11 2005-09-15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JP2006043103A (ja) * 2004-08-04 2006-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JP2006191965A (ja) * 2005-01-11 2006-07-27 Sharp Corp 洗濯機
CN2799627Y (zh) * 2005-05-16 2006-07-26 杭州松下家用电器有限公司 洗衣机用气泵式洗涤剂溶解和起泡装置
JP2007195866A (ja) * 2006-01-30 2007-08-09 Hitachi Appliances Inc 洗濯機およびその洗濯方法
KR101075228B1 (ko) * 2006-11-01 2011-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세탁제어방법
KR20080039647A (ko) * 2006-11-01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세탁제어방법
CN201212110Y (zh) * 2008-06-11 2009-03-25 李骏 一种能促进洗衣粉溶解的泡沫发生装置
JP2012040448A (ja) * 2008-11-14 2012-03-01 Yasutaka Sakamoto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
US8371315B2 (en) 2008-12-17 2013-02-12 Tennant Company Washing systems incorporating charged activated liquids
EP2389470A1 (en) * 2009-01-23 2011-11-30 Tennant Company Washing systems incorporating charged activated liquids
JP2011088979A (ja) 2009-10-21 2011-05-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洗浄液、洗浄方法、洗浄液製造装置
KR20120073577A (ko) * 2010-12-27 2012-07-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용 세제투입장치
CN103747858B (zh) * 2011-07-21 2015-09-23 柴田股份有限公司 气泡发生机构以及带气泡发生机构的喷头
JP2014000057A (ja) 2012-06-21 2014-01-09 Sorekkusu Kk 植物栽培システム
CN102877271A (zh) * 2012-09-06 2013-01-16 海尔集团公司 洗衣机用洗净杀菌装置、使用该装置的洗衣机及控制方法
JP2014068798A (ja) * 2012-09-28 2014-04-21 Japan Organo Co Ltd 洗濯機および洗濯方法
CN103122568B (zh) * 2013-01-28 2015-03-25 合肥荣事达三洋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洗涤剂的残留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JP2015002876A (ja) 2013-06-21 2015-01-0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
CN104294526B (zh) * 2013-07-16 2016-11-23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一种超声波滚筒洗衣机及衣物清洗方法
KR101568209B1 (ko) * 2013-12-24 2015-11-1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 버블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세탁기
CN106068344B (zh) * 2014-03-04 2018-09-21 Lg 电子株式会社 洗衣机
JP2014129097A (ja) 2014-04-07 2014-07-10 Kubota Corp トラクタのキャビン
JP6388380B2 (ja) 2014-06-24 2018-09-1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CN204251892U (zh) * 2014-11-11 2015-04-08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洗衣机用喷洒装置
CN105544147A (zh) * 2016-02-22 2016-05-04 苏州黄章妹族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含有微气泡水功能的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96044A1 (en) 2018-10-31
CN108474164A (zh) 2018-08-31
US10988887B2 (en) 2021-04-27
MY185562A (en) 2021-05-20
EP3396044A4 (en) 2019-08-28
TW201840926A (zh) 2018-11-16
TWI666357B (zh) 2019-07-21
TWI638073B (zh) 2018-10-11
EP3396044B1 (en) 2021-12-22
CN110552155A (zh) 2019-12-10
KR20180087419A (ko) 2018-08-01
CN108474164A8 (zh) 2019-10-08
TW201734276A (zh) 2017-10-01
US20180298541A1 (en) 2018-10-18
CN108474164B (zh) 2020-06-16
CN110552155B (zh) 2021-09-07
WO2017110406A1 (ja)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210B1 (ko) 세탁기
JP6346164B2 (ja) 洗濯機
JP6419870B2 (ja) 洗濯機
KR102109579B1 (ko) 세탁기
JP7021901B2 (ja) 洗濯機
CN108625120B (zh) 洗衣机
JP6799027B2 (ja) 洗濯機
JP7268954B2 (ja) 洗濯機
WO2018123493A1 (ja) 洗濯機
JP2002355494A (ja) 洗濯機
JP2018029943A (ja) 洗濯機
JP7323270B2 (ja) 洗濯機の注水ケース、及び洗濯機
WO2018186164A1 (ja) 洗濯機
JP7420594B2 (ja) 洗濯機
JP6251349B1 (ja) 洗濯機
JP2018143525A (ja) 洗濯機
JP2006110091A (ja) 洗濯機
JP6449419B2 (ja) 洗濯機
JP2018102599A (ja) 洗濯機
JP2018102598A (ja) 洗濯機
JP2018102602A (ja) 洗濯機
JP2021137385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