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504B1 - 작업차 - Google Patents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504B1
KR101953504B1 KR1020177027424A KR20177027424A KR101953504B1 KR 101953504 B1 KR101953504 B1 KR 101953504B1 KR 1020177027424 A KR1020177027424 A KR 1020177027424A KR 20177027424 A KR20177027424 A KR 20177027424A KR 101953504 B1 KR101953504 B1 KR 101953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rod
work
engine bonnet
wheel support
b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5067A (ko
Inventor
겐이치 아오야마
마호 야마나카
요시유키 다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48650A external-priority patent/JP63827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55059A external-priority patent/JP634187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70125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 B60Q1/24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for illuminating the clos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e.g. to facilitate entry or ex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08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a singl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50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able members, by means of a sealing without relatively-moving surfaces, e.g. fluid-tight sealings for transmitting motion through a wall
    • F16J15/5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able members, by means of a sealing without relatively-moving surfaces, e.g. fluid-tight sealings for transmitting motion through a wall by means of sealing bellows or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800/00Features related to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Q2800/20Utility vehicles, e.g. for agriculture, construction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작업차는, 엔진 보닛(30)의 횡측면(31a) 개소에, 그 횡측면(31a)으로부터 엔진 보닛(30)의 내측을 향해 요입하는 오목부(4)를 구비하고, 오목부(4)는, 횡측면(31a)보다 엔진 보닛(30)의 내측에 위치하는 오목부 저면 부분(41)과, 그 오목부 저면 부분(41)의 주연과 횡측면(31a)에 형성된 오목부 입구 개구(40)의 주연에 이어지는 주위벽 부분(42)을 구비하고, 주위벽 부분(42)에 전방 하방을 조사하는 작업등(5)이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작업차
본 발명은, 엔진 보닛의 전방부에 배치된 헤드라이트와, 엔진 보닛의 횡측부에 위치하는 작업등을 장비한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 차축 케이스의 연장 단부측에 구비한 킹 핀을 통해 조향 조작 가능하게 연결된 차륜 지지 케이스를 구비하고, 그 차륜 지지 케이스를, 전방 차축 케이스의 전방측에 배치된 타이 로드에 연결하여 조향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엔진 보닛에 헤드라이트와 작업등을 장비한 작업차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1] 및 [2]에 기재된 것이 있다.
[1] 엔진 보닛의 상방 전방부에 헤드라이트를 장비하고, 엔진 보닛의 하단측의 전방 횡측부에 작업등을 배치한 구조의 트랙터(특허문헌 1 참조).
[2] 엔진 보닛의 상방 전방부에 헤드라이트를 장비하고, 헤드라이트보다 하방측이며, 통기용 그릴 중, 전방면 그릴의 횡측부에 이어지는 측면 그릴의 상방측에 개구를 마련하고, 그 개구에 작업등을 감입 상태로 장착하도록 한 구조의 트랙터(특허문헌 2 참조).
이러한 종류의 작업차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3]에 기재된 것이 있다.
[3] 전방 차축 케이스의 연장 단부측에 구비한 킹 핀을 통해 조향 조작 가능하게 연결된 차륜 지지 케이스를 구비하고, 그 차륜 지지 케이스를, 전방 차축 케이스의 전방측에 배치된 타이 로드에 연결하여 조향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트랙터(특허문헌 3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37236호 공보(단락 번호 「0026」, 「0027」, 도 2, 도 3, 도 6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15571호 공보(단락 번호 「0015」, 「0016」, 도 1, 도 3, 도 4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1-97237호 공보(단락 번호 「0009」, 「0010」, 도 1, 도 2, 도 3 참조)
상기 [1]에 나타낸 종래의 구조에서는, 엔진 보닛의 전방측의 하단부 부근에 작업등의 설치부를 설치하여, 작업등을 엔진 보닛에 장비시킨 설치 부재에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작업등을 엔진 보닛의 전단부 부근에서 지면에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는 점에서 유용하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작업등의 일부가 낮은 위치에서 자주 기체의 전방부 혹은 횡측방으로 밀려나온 상태가 되기 때문에, 작물이나 잡초 등의 접촉에 의한 조기 오염이나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상기 [2]에 나타낸 종래의 구조에서는, 엔진 보닛 전방측의 측면 그릴의 상측에, 측면 그릴과 엔진 보닛으로 둘러싸인 개구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 개구에 작업등을 감입하여, 엔진 보닛, 혹은 기체 프레임으로부터 기립 설치된 지지체 등에 장비시킨 설치 부재에 의해 작업등을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측면 그릴에 인접한 상태에서 작업등을 배치함으로써, 작업등이 작물이나 잡초 등과 접촉하는 정도를 저감시키기 쉬운 점에서 유용한 것이지만, 작업등의 설치 구조가 복잡화되기 쉬운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상기 각 구조에 비추어, 보닛 전방부에 작업등을 설치함에 있어서, 작업등이 작물이나 잡초 등과 접촉하는 정도를 저감하면서, 그 설치 구조도 간소화하기 쉽게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상기 [3]에 나타낸 종래의 구조에서는, 타이 로드가 전체적으로 주행 기체의 전방부측에서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타이 로드 자체에 잡초나 작물이 얽힐 우려가 있다.
이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다른 것과의 접촉을 피할 수 있도록 타이 로드의 전방측을 덮는 타이 로드 커버를, 전방 차축 케이스 등에 설치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러한 타이 로드 커버를 사용하면, 주행 기체의 전진 작업 중에 있어서의 잡초나 작물과의 접촉을 억제하여, 타이 로드에 대한 얽힘을 회피하기 쉬운 점에서는 유용하다.
그러나, 주행 기체를 선회시킬 때에는, 타이 로드가 차륜 지지 케이스를 킹 핀 주위로 선회 작동시키기 때문에, 선회 내측에 위치하는 타이 로드 부분이 타이 로드 커버의 횡외측(선회 반경 방향에서의 내측)으로 밀려나온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타이 로드의 일부가 타이 로드 커버의 횡외측으로 밀려나오면, 밀려나온 부위에서는 타이 로드 커버에 의한 접촉 억제 작용을 받을 수 없게 된다.
선회 시에 타이 로드 커버의 횡외측으로 밀려나오는 타이 로드 부분은, 차륜 지지 케이스에 대해 연결 축을 통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그 타이 로드 부분과 차륜 지지 케이스의 연결 개소는 방진용 부츠로 덮여 있다. 선회 시에 있어서의 타이 로드 부분의 밀려나옴에 수반하여, 이 방진용 부츠도 타이 로드 커버의 횡외측으로 밀려나와 버리므로, 잡초나 작물과의 접촉 빈도가 높은 작업 환경하에서는, 방진용 부츠가 조기에 손상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상기에 비추어, 타이 로드와 차륜 지지 케이스의 연결 개소에 설치되는 방진용 부츠가, 선회 시에 잡초나 작물과의 접촉에 의해 조기에 손상되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하여, 방진용 부츠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작업차는, 기체 전방부에 배치된 엔진 보닛과, 상기 엔진 보닛의 전방부에 배치된 전조등과, 상기 엔진 보닛의 횡측면 개소에, 그 횡측면으로부터 상기 엔진 보닛의 내측을 향해 요입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횡측면보다 상기 엔진 보닛의 내측에 위치하는 오목부 저면 부분과, 그 오목부 저면 부분의 주연과 상기 횡측면에 형성된 오목부 입구 개구의 주연에 이어지는 주위벽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주위벽 부분에 전방 하방을 조사하는 작업등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엔진 보닛의 내측을 향해 요입하는 오목부를, 엔진 보닛의 횡측면 개소에 형성하고, 그 오목부의 주위벽 부분에 전방 하방을 조사하는 작업등을 배치하였으므로, 작업등이 자주 기체의 전방측이나 횡측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회피하기 쉽다.
게다가, 오목부를 형성할 때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주위벽 부분을 작업등의 설치 개소로서 이용하므로, 작업등을 엔진 보닛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하여 설치하기 위한 설치 구조를 간소화하기 쉽다.
이에 의해, 작업등이 작물이나 잡초 등과 접촉할 가능성을 저감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배치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작업등은, 상기 횡측면보다 횡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자세로 전방 하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기에 의하면, 작업등이 엔진 보닛의 횡측면보다 횡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자세로 전방 하향으로 설치되므로, 그 작업등이 엔진 보닛의 횡측면보다 횡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엔진 보닛의 좌우 방향에서의 폭 치수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음과 함께, 다른 것과의 접촉을 회피하기 쉬운 점에서도 유리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작업등은, 상기 주위벽 부분 중, 후방 상방측 개소의 주위벽 부분에 위치하고, 또한 조사광의 광축이 상기 오목부 저면 부분을 따르는 전방 하향 자세로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기에 의하면, 오목부 중, 후방 상방측 개소의 주위벽 부분에 작업등이 위치하고, 그 작업등의 조사광의 광축이 통기판 부분을 따라 전방 하방을 향해 있다.
따라서, 횡측면으로부터 요입하는 오목부의 후방 상방측 개소의 주위벽 부분에 설치한 작업등의 전방 하방측에, 조사광을 차폐하지 않는 오목부 저면 부분을 광범위에 걸쳐 위치시킬 수 있어, 횡측면으로부터 요입하는 오목부에 설치한 작업등의 조사광을 무리없이 전방 하방을 향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요입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위벽 부분의 깊이는, 상기 작업등을 구비한 측의 주위벽 부분이, 그 주위벽 부분과 상기 오목부의 구경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측의 주위벽 부분보다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기에 의하면, 작업등을 구비한 측의 주위벽 부분이, 오목부의 구경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측의 주위벽 부분보다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등이 횡측면으로부터 횡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하기 쉬워져, 적절한 설치 상태로 설치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저면 부분이, 다수의 통기 구멍이 형성된 통기용 그릴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기에 의하면, 작업등은 오목부 중, 통기 구멍이 형성된 통기용 그릴 부분이 아닌, 주위벽 부분에 장비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 보닛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오목부에서, 통기 가능한 범위인 통기용 그릴 부분의 통기 면적을 좁히는 일 없이 작업등을 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통기용 그릴이 상기 횡측면 개소와는 별체의 통기판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작업등에는, 그 작업등의 지지 부재와, 상기 통기판 부재 각각에 대해, 각각 별도로 착탈 가능한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기에 의하면, 작업등이 엔진 보닛에 대한 통기판 부재의 연결 수단으로서의 역할도 행하여, 통기판 부재를 엔진 보닛이나 작업등과의 위치 관계를 적절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장착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작업차는, 트랜스미션측으로부터 좌우 횡측방으로 연장된 전방 차축 케이스와, 상기 전방 차축 케이스의 연장 단부측에 구비한 킹 핀을 통해 조향 조작 가능하게 연결된 차륜 지지 케이스와, 상기 전방 차축 케이스의 전방측에 배치된 타이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차륜 지지 케이스에는 상기 킹 핀의 축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축심을 가진 연결 축이 기립 설치되고, 상기 타이 로드에는 상기 연결 축에 외부 끼움되는 보스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 축에 상기 보스부를 외부 끼움시킴으로써 상기 차륜 지지 케이스와 상기 타이 로드가 연결되고, 상기 보스부와 그 하방측의 상기 차륜 지지 케이스에 걸쳐 방진용 부츠가 장착되고, 상기 타이 로드의 상기 보스부를 설치한 측의 단부에, 상기 방진용 부츠의 전방측을 차폐하는 부츠 가드가 설치되어 있다고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타이 로드측의 보스부와 그 하방측의 차륜 지지 케이스에 걸쳐 장착된 방진용 부츠의 전방측을 차폐하는 부츠 가드가, 타이 로드의 보스부를 설치한 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향 조작에 수반되는 차륜 지지 케이스의 자세 변화에 관계없이, 부츠 가드가 항시 방진용 부츠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방진용 부츠에 대한 잡초나 작물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어, 방진용 부츠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직진 주행 상태로 조작된 위치의 상기 타이 로드의 전방부를 덮는 타이 로드 커버가, 상기 타이 로드 및 상기 부츠 가드보다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기에 의하면, 직진 주행 상태에 있어서의 타이 로드의 전방부를 덮는 타이 로드 커버가, 부츠 가드보다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직진 상태에서의 부츠 가드와 타이 로드 커버의 간섭을 피하여, 부츠 가드를 항시 방진용 부츠의 보호를 행할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부츠 가드의 대부분은, 직진 주행 상태에서는 상기 타이 로드 커버의 후방측에 가려지고, 상기 차륜 지지 케이스에 장비된 전륜의 스티어링 조작에 수반하여, 선회 중심측에 있어서의 상기 타이 로드 커버의 횡외측 단부보다 횡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기에 의하면, 부츠 가드의 대부분은, 직진 주행 상태에서는 타이 로드 커버의 후방측에 가려지고, 전륜의 스티어링 조작에 수반하여 타이 로드 커버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므로, 그 부츠 가드가 존재하는 개소도 타이 로드 커버로 덮여, 직진 주행 상태에서의 부츠 가드가 존재하는 개소에 대한 잡초나 작물의 걸림 등을 억제하기 쉬운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부츠 가드의 상기 차륜 지지 케이스측의 단부 하방에, 상기 차륜 지지 케이스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기에 의하면, 부츠 가드의 차륜 지지 케이스측의 단부 하방에, 차륜 지지 케이스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선회 조작 시에, 선회 반경의 외측에 위치하는 차륜 지지 케이스가, 부츠 가드와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부츠 가드를 가능한 한 좌우 방향에서 차륜 지지 케이스에 근접시켜 광범위하게 배치할 수 있어, 방진 부츠에 대한 잡초나 작물과의 접촉을 더 확실하게 회피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이하, 도 10까지 동일함) 트랙터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트랙터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트랙터의 전체 정면도이다.
도 4는 엔진 보닛 전방부에 있어서의 통기용 개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통기판 부분과 작업등의 설치 개소를 엔진 보닛의 내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통기용 개구부에 있어서의 통기판 부분과 작업등의 조립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통기판 부분과 작업등과 전방부 지지 프레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통기판 부분과 작업등과 전방부 지지 프레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스티어링 축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트랙터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이하, 도 20까지 동일함) 트랙터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12는 트랙터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13은 트랙터의 전체 정면도이다.
도 14는 전방 차축 케이스와 타이 로드 및 타이 로드 커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직진 주행 상태에 있어서의 타이 로드와 타이 로드 커버 및 부츠 가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선회 주행 상태에 있어서의 타이 로드와 타이 로드 커버 및 부츠 가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선회 주행 상태에 있어서의 선회 내측의 차륜 지지 케이스와 부츠 가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선회 주행 상태에 있어서의 선회 외측의 차륜 지지 케이스와 부츠 가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차륜 지지 케이스와 타이 로드의 연결 개소 및 부츠 가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미션 케이스로부터 전륜 구동축으로의 출력 개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면의 기재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의 설명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특단의 설명이 없는 한, 이하와 같이 기재하고 있다. 즉, 기체의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의 전진측의 진행 방향(도 2에 있어서의 화살표 F 참조)이 「전」, 후진측으로의 진행 방향(도 2에 있어서의 화살표 B 참조)이 「후」, 그 전후 방향에서의 전향 자세를 기준으로 한 우측에 상당하는 방향(도 2에 있어서의 화살표 R 참조)이 「우」, 마찬가지로 좌측에 상당하는 방향(도 2에 있어서의 화살표 L 참조)이 「좌」이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작업차의 일례인 트랙터의 전체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트랙터는, 기체 프레임(10)의 전방부에 좌우 한 쌍의 전방 차륜(11)을 구동 및 조향 조작 가능하게 구비하고, 후방부에 좌우 한 쌍의 후방 차륜(12)을 구동 가능하게 구비하여, 주행 가능하게 구성된 자주 기체(1)에, 도시하지 않은 작업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2)를 구비한 것이다.
기체 프레임(10)은, 엔진(E)을 설치 가능한 엔진 탑재 프레임(10A)과, 엔진(E)의 후방부측에 일체 연결된 클러치 하우징(C)과, 후방부측의 미션 케이스(M)와, 상기 클러치 하우징(C)과 미션 케이스(M)를 연결하는 전동 케이스(10B)를 일체적으로 연결한 모노코크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기체 프레임(10)에 대해, 전방부측에 엔진(E)을 장비한 원동부(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원동부(3)보다 후방부측의 기체 프레임(10) 상에, 스티어링 핸들(13) 및 운전 좌석(14)을 가진 운전부가 장비되어 있다.
운전부의 후단부에서는, 운전 좌석(14)의 후방측 부근에 배치된 상태로 로프스 프레임(17)이 기체 프레임(10)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체 프레임(10)의 후방부를 구성하는 미션 케이스(M)의 후방부측에는, 로터리 경운 장치 등의 각종 작업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연결하여 승강 조작 가능한 상기 연결 장치(2)가 장비되어 있다.
연결 장치(2)는, 미션 케이스(M)의 후단측의 하부에 횡축심 x1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우 한 쌍의 로워 링크(20)와, 그 로워 링크(20)를 상기 횡축심 x1 주위로 요동시켜 작업 장치를 승강 조작하도록 현수하는 좌우 한 쌍의 리프트 아암(21)을 구비하고 있다. 리프트 아암(21)은 미션 케이스(M)의 상부에 배치된 단동형 유압 실린더(22)에 의해 횡축심 x2 주위로 좌우 동시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결 장치(2)는, 연결된 작업 장치의 기체에 대한 높이를 변경 혹은 조절 가능한 승강 링크 기구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미션 케이스(M)의 후단측으로부터는, 상기 엔진(E)의 구동력을 작업 장치 등에 전달하기 위한 후방 PTO축(23)이, 후방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후방 PTO축(23)에는, 전술한 로터리 경운 장치 등의, 기체 후방측에 연결되는 각종 작업 장치로 동력이 전달되고, 중앙 PTO축(24)에는, 전방 차륜(11)측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륜 구동축(25) 등, 미션 케이스(M)보다 전방측에 장비되는 각종 장치에 대해 동력이 전달된다.
〔엔진 보닛〕
원동부(3)에는, 수랭식 엔진(E)을 내장하는 엔진 보닛(30)이 설치되어 있다.
엔진 보닛(30)의 내부 공간인 엔진 룸에는, 상기 엔진(E) 외에, 도시는 하지 않지만 라디에이터, 에어 클리너, 작동유 냉각용 오일 쿨러, 배터리 등의 각종 엔진 관련 기기가 수용되어 있다.
엔진 보닛(30)의 후방부측에는, 상기 각종 엔진 관련 기기가 수용되는 엔진 룸의 외측에 위치시켜, 스티어링 핸들(13)을 장비한 조종부 패널(15)이, 운전 좌석(14)과의 사이에 운전부 스텝(16)을 개재시킨 상태로 연속 설치되어 있다.
엔진 보닛(30)은, 엔진 탑재 프레임(10A)의 횡측부에 고정된 좌우 한 쌍의 측부 커버(31)와, 엔진 탑재 프레임(10A)의 전방부에 고정된 전방부 커버(32)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부 커버(32)에는, 엔진 룸의 전방측에 상당하는 개소에서, 통기 가능한 전방면 그릴(32A) 및 전조등(3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부 커버(31) 및 전방부 커버(32)의 상부 에지측은, 천장 커버(33)에 이어지고, 이들 측부 커버(31), 전방부 커버(32) 및 천장 커버(33)에 의해, 엔진(E) 및 각종 엔진 관련 기기가 수용되는 엔진 룸을 구성하는 엔진 보닛(30)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측부 커버(31)는, 엔진 룸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하부 커버(31D)와, 그 하부 커버(31D)의 상부 에지측에 하단부 에지측이 겹치는 상태로 설치된 상부 커버(31U)의 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하부 커버(31D)와 상부 커버(31U)로 일련의 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측부 커버(31)의 횡외측면(31a)이 엔진 보닛(30)의 횡측면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측부 커버(31) 중, 하부 커버(31D)는 그 하단측이 엔진 탑재 프레임(10A)과, 후술하는 후방부 프레임(35)에 고정되어 있다.
측부 커버(31) 중, 상부 커버(31U)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부 커버(32) 및 천장 커버(33)와 일체로 구성되어, 도 1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부측의 횡축심 x3 주위로 전단측을 상하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 보닛(30) 중, 상부 커버(31U), 전방부 커버(32) 및 천장 커버(33)가 일체로 구성된 부분이, 상기 하부 커버(31D)와는 별도로, 상기 횡축심 x3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하부 커버(31D)는, 상부 커버(31U)보다 전후 방향 길이가 짧은 것으로 구성되고, 엔진 룸 내에서 후방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엔진(E)의 횡측방에 대향하여 후방부측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상부 커버(31U)는, 하부 커버(31D)보다 전후 방향 길이가 긴 것으로 구성되고, 하부 커버(31D)의 전단부보다 더욱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상부 커버(31U)는 하부 커버(31D)와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커버(31U) 중, 하부 커버(31D)의 전단부와, 전방부 커버(32)의 후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에, 상하 방향으로 폭이 넓은 통기용 개구부(4)(오목부에 상당함)가 형성되어 있다.
엔진 보닛(30)의 후단부에는, 좌우의 하단측이 엔진 탑재 프레임(10A)에 고정된 상태에서 아치 형상의 후방부 프레임(35)이 기립 설치되어 있다. 이 후방부 프레임(35)의 상부에, 상기 천장 커버(33)의 후방부측이 상기 횡축심 x3 주위로 요동 가능하도록 피벗지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엔진 보닛(30)의 전방부 내면측에는, 후방부 프레임(35)보다 낮은 아치형의 전방부 프레임(36)(도 1, 도 7 참조)이 상부 커버(31U) 및 천장 커버(33)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전방부 프레임(36)은, 아치형의 형상에 따라 엔진 보닛(30)을 내면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음과 함께, 하단측이 엔진 탑재 프레임(10A)에 적재 지지되어, 엔진 보닛(30)의 중량을 엔진 탑재 프레임(10A)에 의해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기용 개구부〕
측부 커버(31)에 형성되는 오목부로서의 통기용 개구부(4)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커버(31) 중, 상부 커버(31U)의 횡외측면(31a)(횡측면에 상당함)의 일부가, 엔진 보닛(30)의 내측을 향해 요입한 상태로 형성되고, 그 요입한 부분에 의해 통기용 개구부(4)가 구성되어 있다.
즉,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금제의 상부 커버(31U)의 일부가, 프레스 및 펀칭 가공에 의해 횡외측으로부터 엔진 보닛(30)의 내측을 향해 요입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부 커버(31U)의 횡외측면(31a)과 편평한 개소에서는, 통기용 개구부(4)에는, 엔진 보닛(30)의 횡외측을 향하는 측이 개방된 상태의 오목부 입구 개구(40)가 형성된 상태가 된다. 동시에, 통기용 개구부(4) 중, 오목부 입구 개구(40)보다 엔진 보닛(30)의 내측을 향해 요입 형성된 가장 안쪽 개소에는 오목부 저면 부분(41)이 형성된다.
통기용 개구부(4)는, 오목부 저면 부분(41)의 주연과 그 오목부 저면 부분(41)보다 횡외측의 오목부 입구 개구(40)의 주연에 걸치도록 설치된 주위벽 부분(4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오목부 저면 부분(41)에는, 그 오목부 저면 부분(41)을 관통하여, 엔진 보닛(30)의 내부 공간을 외부에 연통시키는 연통 개구(41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통 개구(41A)는, 오목부 저면 부분(41)의 주연을 따라 가느다란 폭의 주위부 접속편(41B)이 남도록, 오목부 저면 부분(41)의 전체보다는 소면적의 개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 저면 부분(41)과 동일 형상이며 동일 치수의 통기판 부재(43)가, 상기 주위부 접속편(41B)의 외측에 겹쳐져, 주위부 접속편(41B)에 대해 장착됨으로써, 이 통기판 부재(43)와, 연통 개구(41A) 및 주위부 접속편(41B)에 의해 오목부 저면 부분(41)이 구성되어 있다.
통기판 부재(43)는, 엔진 보닛(30)의 내외 방향에서의 통기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통기 구멍(43a)을 구비한 합성 수지제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그릴로 구성되어 있다.
통기판 부재(43)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대략 편평 판상이지만, 엄밀하게는 통기용 개구부(4)의 중앙 부근에 상당하는 개소가 주변 부근보다 약간 횡외측으로 팽출된 구면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완전히 편평한 판상체로 구성한 경우에 비해, 판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또한, 통기판 부재(43)의 엔진 룸 내측을 향하는 내향면(43A)에는, 격자 형상의 리브(43b)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리브(43b)에 의해서도 통기판 부재(43)의 강성이 더욱 증대되어 있다.
통기판 부재(43)의 내향면(43A)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주변 부근의 6개소에 고정 핀(43c)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 핀(43c)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용 개구부(4)의 오목부 저면 부분(41)의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주위부 접속편(41B)의 연결 구멍(41Ba)에 대해 삽입 발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 구멍(41Ba)에 고정 핀(43c)을 삽입한 상태에서, 엔진 룸측으로 돌출된 고정 핀(43c)에 고정 금속 부재(43d)를 장착함으로써, 통기판 부재(43)를 상부 커버(31U)의 통기용 개구부(4)의 안쪽에 위치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기판 부재(43)의 내향면(43A) 부분에는, 그 상부 후방측에 상당하는 2개소에, 볼트 장착부(44)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볼트 장착부(44)는, 통 형상 부분의 내부에 암나사 부분(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 것이며, 후술하는 작업등(5)의 전방 설치 아암(51)(연결부에 상당함)에 대해 연결 볼트(45)를 통해 연결 가능하도록 연결 볼트(45)를 나사 결합 가능한 상기 암나사 부분을 구비한 것이다.
통기판 부재(43)에는, 그 후방 상방측에 상당하는 개소에, 후술하는 작업등(5)의 위치 결정용 단차부(50a)에 대해 감입 가능한 작업등 삽입부(46)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작업등 삽입부(46)는 통기판 부재(43)의 외향면(43B)보다 더욱 횡외측을 향해 굴곡 형성되어, 통기판 부재(43)의 외향면(43B)에 대해 교차하도록 기립한 자세로 작업등(5)을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위벽 부분(42) 중, 통기용 개구부(4)의 후방 상방측 개소에 상당 부분이, 오목부 저면 부분(41)에 형성되어 있는 연통 개구(41A)와 이어지는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절제되어 있다. 이 부분적으로 절제된 개소는, 작업등(5)을 감입 장착하기 위한 감입 오목부(42A)를 구성하고 있다. 이 감입 오목부(42A)가 형성된 개소의 주위벽 부분(42)은 그 개소의 주위벽 부분(42)에 있어서의 통기용 개구부(4)의 요입 방향에서의 깊이가, 오목부 입구 개구(40)의 구경 방향에서 대향하는 측에 존재하는 개소의 주위벽 부분(42)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다.
〔작업등〕
작업등 삽입부(46)에 대해 장착되는 작업등(5)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작업등(5)은, 엔진 보닛(30)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전조등(34)과는 별도로 설치된다. 이 작업등(5)은, 자주 기체(1)의 전방부에서, 특히 전방 차륜(11)의 바로 앞 위치 부근을 조사하여, 자주 기체(1)의 전방 차륜(11)의 바로 앞 위치를 눈으로 보기 쉽게 하도록 전방 하방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며, LED 램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작업등(5)에는,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 본체(50)의 전방면측의 외주 부근의 전체 주위에 단차부(5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50a)는, 상기 주위벽 부분(42)의 감입 오목부(42A) 및 상기 통기판 부재(43)의 작업등 삽입부(46)에 대해 엔진 보닛(30)의 내측으로부터 단차부(50a)의 전방측을 삽입하여 감입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주위벽 부분(42)의 감입 오목부(42A) 주변의 상부 커버(31U)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 본체(50)의 전방면측 부분과, 통기판 부재(43)의 작업등 삽입부(46) 사이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위치하고 있다.
작업등(5)의 조명 본체(50)는, 전방 하방측으로 연장된 2개의 전방 설치 아암(51)과, 후방 상방측으로 연장된 1개의 후방 설치 아암(52)(연결부에 상당함)을 구비하고 있다.
전방 설치 아암(51)은, 통기판 부재(43)의 상부 후방측의 2개소에 구비한 고정 볼트 장착부(43e)에 대해 연결 볼트(45)를 통해 연결 고정된다.
후방 설치 아암(52)은, 엔진 보닛(30)의 내면측에 설치된 전방부 프레임(36)의 도중 위치에 대해, 설치 스테이(37)를 통해 연결 고정되어 있다. 즉, 전방부 프레임(36)과 설치 스테이(37)가 작업등(5)의 지지 부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며, 이 지지 부재에 대해 작업등(5)의 상부측이 연결되고, 동시에 작업등(5)과 연결되는 통기판 부재(43)의 상부도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작업등(5)은, 그 광축 L0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측면시 및 평면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사 범위가 전방 차륜(11)의 접지점 부근으로부터 주행 차체의 바로 앞에 미치도록, 광축 Lc는 직진 상태의 전방 차륜(11)의 바로 앞 개소 부근을 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이때, 조사 범위 중 후단부 위치 Lr은 전방 차륜(11)의 접지점 부근을 향하고, 조사 범위 중 전단부 위치 Lf는 전방 차륜(11)보다 상당히 전방측을 향하고 있다.
또한, 정면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사 범위가 전방 차륜(11)보다 기체 내측의 엔진 보닛(30)의 횡외측면(31a)의 바로 아래 부근으로부터, 전방 차륜(11)보다 횡외측에 미치도록, 광축 Lc는 직진 상태의 전방 차륜(11)의 바퀴가 통과할 예정 개소의 외측 부근을 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이때, 조사 범위 중 내측 단부 위치 Li는 전방 차륜(11)의 접지점보다 내측에서 엔진 보닛(30)의 횡외측면(31a)의 바로 아래 부근을 향하고, 조사 범위 중 외측 단부 위치 Lo는 전방 차륜(11)보다 상당히 횡외측을 향하고 있다.
〔스티어링 축의 지지 구조〕
운전부에 있어서, 상단측에 스티어링 핸들(13)을 장착한 스티어링 축(6)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축(6)은, 스티어링 핸들(13)의 회전 조작을, 매뉴얼 조작식 스티어링 기구(7)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티어링 기구(7)는, 조작 박스(70)의 상면측에 조작 입력축(71)을 구비하고, 조작 입력축(71)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스티어링용 유압 실린더(72)를 신축 작동시키고, 타이 로드(73)(도 3 참조)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전방 차륜(11)의 스티어링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스티어링 축(6)은, 그 상단부가 스티어링 핸들(13)에 대해, 스플라인 감합, 및 고정 너트(6a)에 의해 스티어링 핸들(13)과 일체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 축(6)의 하단부는, 조작 박스(70)의 상면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조작 입력축(71)에 대해 맞댐 상태로 대향하고, 커플러(60)에 의해 동심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스티어링 축(6)의 하단부와 조작 입력축(71)은, 각각이 커플러(60)의 내주면측에 형성된 내측 스플라인에 결합되는 스플라인부(6b, 71a)를 구비하고 있고, 커플러(60)의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 회전하도록 감합 연결되어 있다.
스티어링 축(6)에 외부 끼움되는 스티어링 포스트(61)는, 환파이프 형상의 직관 부분(61A)과, 그 하단측에 외부 끼움 상태로 용접 고정된 통 형상의 외관 부분(61B)과, 외관 부분(61B)의 하단측에 용접 고정된 평판상의 설치 기판(62)을 구비하고 있다. 설치 기판(62)이 연결 볼트(63)를 통해 조작 박스(70)의 상면측에 연결 고정됨으로써, 조작 박스(70)의 상면에 스티어링 포스트(61)가 기립 설치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축(6)은, 하단측의 소직경 단차부(6c)가 볼 베어링(64)을 통해 직관 부분(61A)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직관 부분(61A)의 상단부 부근에서 러버 부시(6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티어링 포스트(61)의 외관 부분(61B)의 하단측과 조작 박스(70)의 상면 사이에 시일재(66)가 끼움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티어링 핸들(13)과 스티어링 기구(7)의 조립 장착 시의 약간의 조립 장착 오차는, 스티어링 축(6)의 축선 방향에서는, 커플러(60)와 스티어링 축(6)의 상대 이동에 의해 허용하고, 스티어링 축(6)의 직경 방향에서는, 러버 부시(65)의 탄성 변형에 의해 허용할 수 있으므로, 조립 장착 구조의 간소화와, 조립 장착 공정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등(5)을 배치하는 오목부로서, 엔진 보닛(30)의 내측을 향해 요입한 통기용 개구부(4)를 구비한 구조의 것을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부호 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 보닛(30)의 상부 커버(31U)의 횡외측면(31a)에 구멍이 없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그 구멍이 없는 오목부의 상부측에 작업등(5)이 배치된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구멍이 없는 오목부의 오목부 저면 부분(41)의 주연과 상부 커버(31U)의 횡외측면(31a)의 오목부 입구 개구(40)에 걸치는 주위벽 부분(42)에 대해, 작업등(5)을 엔진 보닛(30)의 내측으로부터, 혹은 외측으로부터 감입 가능한 구조로 하여 설치하도록 하면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2〕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통기용 개구부(4)의 통기판 부재(43)로서, 통기용 개구부(4)의 중앙 부근에 상당하는 개소가 주변 부근의 개소보다 약간 횡외측으로 팽출된 구면 형상으로 만곡 형성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 통기판 부재(43)를 완전한 편평면으로 구성해도 되고, 더 곡률이 큰 만곡면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통기판 부재(43)를 구비하지 않는 구멍이 없는 오목부에 있어서의 오목부 저면 부분(41)에 상당하는 개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3〕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통기용 개구부(4)로서, 엔진 보닛(30)과 일체의 주위벽 부분(42)과는 별체이며, 탈착 가능한 통기판 부재(43)로 구성된 오목부 저면 부분(41)을 구비하는 구조의 것을 나타냈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시는 하지 않지만, 엔진 보닛(30)과 일체의 주위벽 부분(42)에 대해, 일체로 연속되는 오목부 저면 부분(41)을 구비하고, 그 오목부 저면 부분(41)에 통기 구멍(43a)을 형성하여 그릴을 구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4〕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주위벽 부분(42)과는 별체이며, 탈착 가능한 통기판 부재(43)로서, 합성 수지재로 구성된 그릴을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판금제의 펀칭 메탈 등으로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5〕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등(5)으로서, LED 램프로 구성된 구조의 것을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백열 전구 등의 적절한 발광체를 사용한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면의 기재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의 설명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특단의 설명이 없는 한, 이하와 같이 기재하고 있다. 즉, 기체의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의 전진측의 진행 방향(도 12에 있어서의 화살표 F 참조)이 「전」, 후진측으로의 진행 방향(도 12에 있어서의 화살표 B 참조)이 「후」, 그 전후 방향에서의 전향 자세를 기준으로 한 우측에 상당하는 방향(도 12에 있어서의 화살표 R 참조)이 「우」, 마찬가지로 좌측에 상당하는 방향(도 12에 있어서의 화살표 L 참조)이 「좌」이다.
〔전체 구성〕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작업차의 일례인 트랙터의 전체 측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 트랙터는, 기체 프레임(110)의 전방부에 좌우 한 쌍의 전륜(111)을 구동 및 조향 조작 가능하게 구비하고, 후방부에 좌우 한 쌍의 후륜(112)을 구동 가능하게 구비한 자주 기체(101)에, 도시하지 않은 작업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2)를 구비한 것이다.
기체 프레임(110)은, 엔진(E)을 설치 가능한 엔진 탑재 프레임(110A)과, 엔진(E)의 후방부측에 일체 연결된 클러치 하우징(C)과, 후방부측의 미션 케이스(107)와, 상기 클러치 하우징(C)과 미션 케이스(107)를 연결하는 전동 케이스(110B)를 일체적으로 연결한 모노코크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기체 프레임(110)에 대해, 전방부측에 엔진(E)을 장비한 원동부(10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원동부(103)보다 후방부측의 기체 프레임(110) 상에, 스티어링 핸들(113) 및 운전 좌석(114)을 가진 운전부가 장비되어 있다.
운전부의 후단부에서는, 운전 좌석(114)의 후방측 부근에 배치된 상태로 로프스 프레임(117)이 기체 프레임(110)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체 프레임(110)의 후방부를 구성하는 미션 케이스(107)의 후방부측에는, 로터리 경운 장치 등의 각종 작업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연결하여 승강 조작 가능한 상기 연결 장치(102)가 장비되어 있다.
연결 장치(102)는, 미션 케이스(107)의 후단측의 하부에 횡축심 x1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우 한 쌍의 로워 링크(120)와, 그 로워 링크(120)를 상기 횡축심 x1 주위로 요동시켜 작업 장치를 승강 조작하도록 현수하는 좌우 한 쌍의 리프트 아암(121)을 구비하고 있다. 리프트 아암(121)은, 미션 케이스(107)의 상부에 배치된 단동형 유압 실린더(122)에 의해 횡축심 x2 주위로 좌우 동시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결 장치(102)는, 연결된 작업 장치의 기체에 대한 높이를 변경 또는 조절 가능한 승강 링크 기구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미션 케이스(107)의 후단측으로부터는, 상기 엔진(E)의 구동력을 작업 장치 등에 전달하기 위한 후방 PTO축(123)이, 후방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후방 PTO축(123)에는, 전술한 로터리 경운 장치 등의, 기체 후방측에 연결되는 각종 작업 장치로 동력이 전달되고, 중앙 PTO축(124)에는, 전륜(111)측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륜 구동축(125) 등, 미션 케이스(107)보다 전방측에 장비되는 각종 장치에 대해 동력이 전달된다.
원동부(103)에는, 수랭식 엔진(E)을 내장하는 엔진 보닛(130)이 설치되어 있다.
엔진 보닛(130)의 내부 공간인 엔진 룸에는, 상기 엔진(E) 외에, 도시는 하지 않지만 라디에이터, 에어 클리너, 작동유 냉각용 오일 쿨러, 배터리 등의 각종 엔진 관련 기기가 수용되어 있다.
엔진 보닛(130)의 후방부측에는, 상기 각종 엔진 관련 기기가 수용되는 엔진 룸의 외측에 위치시켜, 스티어링 핸들(113)을 장비한 조종부 패널(115)이, 운전 좌석(114)과의 사이에 운전부 스텝(116)을 개재시킨 상태로 연속되어 있다.
엔진 보닛(130)에는, 전방부에 전조등(131)이 장비되고, 전방부 부근의 횡측면(133) 개소에 주행 기체의 전방 하방을 조사하는 작업등(132)이 장비되어 있다. 이 작업등(132)은, 횡측면(133) 개소의 일부를 요입시켜 형성한 통기용 개구부(134)의 주위벽 부분(135)의 일부에, 횡측면(133)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통기용 개구부(134)에는 다수의 통기 구멍을 가진 그릴이 장착되어 있고, 작업등(132)은 LED 램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륜 조향 기구〕
조종부 패널(115)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파워 스티어링 실린더(140)를 신축 조작하여, 전륜(111)의 조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파워 스티어링 기구(104)가 장비되어 있다.
이 파워 스티어링 기구(104)는, 스티어링 핸들(113)의 스티어링 조작에 기초하여,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차축 케이스(118)의 전방측에 배치된 파워 스티어링 실린더(140)에 압유를 급배하여, 전륜(111)의 조향 조작을 행하는 것이며, 전유압식 오빗 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차축 케이스(118)의 전방측에 배치된 파워 스티어링 실린더(140)는,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실린더 케이스(141)가, 전방 차축 케이스(118)의 전방측에 일체 형성된 설치 보스부(118A)에 삽입 관통된 상태로, 감싸 지지되어 있다.
이 파워 스티어링 실린더(140)는, 실린더 케이스(141) 내에서 좌우 왕복 이동 가능한 실린더 로드(142)를 구비하고, 그 실린더 로드(142)의 좌우 양단부측에, 차륜 지지 케이스(119)와 연결되는 타이 로드(105)가, 볼 조인트(150)를 통해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양단부에 타이 로드(105)가 연결되어 있는 좌우 왕복 이동 가능한 실린더 로드(142)는, 좌우의 차륜 지지 케이스(119)를 동일 방향으로 조향 조작하는 타이 로드를 겸용하는 것이다.
타이 로드(105)는, 실린더 로드(142)의 축 단부에 구비된 볼 조인트(150)에 이어지는 축간 부분(151)과, 그 축간 부분(151)의 상기 볼 조인트(150)와는 반대측에 설치된 보스부(15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보스부(152)는, 전방 차축 케이스(118)의 좌우 양단부에 연결된 차륜 지지 케이스(119)에 대해 후술하는 연결 축(119C)에 감합되어 연결되는 것이다.
전방 차축 케이스(118)는, 기체 프레임(110)에 대해 전후 방향의 수평 축심 z1 주위로 좌우 롤링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 차축 케이스(118)의 좌우 양단부측에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킹 핀(도시하지 않음)의 축심 y1 주위로 조향 조작 가능한 차륜 지지 케이스(119)가 장착되어 있다.
이 차륜 지지 케이스(119)의 설치 허브(119A)에 전륜(111)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전륜(111)은 킹 핀의 축심 y1 주위로의 차륜 지지 케이스(119)의 회전에 수반하여 우측 또는 좌측으로 조향 조작된다.
차륜 지지 케이스(119)의 전방측의 상부에는, 그 차륜 지지 케이스(119)의 상면(119B)보다 상방을 향해 연결 축(119C)이 기립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 축(119C)에는, 파워 스티어링 실린더(140)의 실린더 로드(142)의 단부에 볼 조인트(150)를 통해 일단부측이 연결되어 있는 타이 로드(105)의 타단부측이 연결된다.
연결 축(119C)의 상부에 대해, 타이 로드(105)의 타단부측에 설치한 보스부(152)가 감합 연결되는 것이지만, 그 연결 축(119C)과 보스부(152)의 연결 개소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연결 축(119C)의 상부에는, 구면 형상의 축부(119D)가 구비되어 있고, 보스부(152)의 내면측에는, 그 구면 형상의 축부(119D)를 지지하도록 구면 형상으로 요입하는 베어링부(152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타이 로드(105)와 차륜 지지 케이스(119) 사이에서, 상하 방향 혹은 수평 방향에서의 상대 자세 변화가 발생해도, 지장 없이 연결 상태를 유지하여, 전륜(111)의 조향 조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차축 케이스(118)의 전방면측에는, 타이 로드 커버(106)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타이 로드 커버(106)는, 전방 차축 케이스(118)의 상면측에 일체 형성된 고정부(118a)에 대해, 타이 로드 커버(106)의 상부에 구비된 고정 구멍(106a)을 통해 연결 볼트(106b)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 고정되어 있다.
이 타이 로드 커버(106)는, 파워 스티어링 실린더(140)의 실린더 케이스(141)의 좌우의 단부와, 직진 주행 상태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의 전륜(111) 사이를 폐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 13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111)이 직진 주행 상태이면, 타이 로드(105)의 좌우 방향에서의 횡외측 단부 위치와, 타이 로드 커버(106)의 횡외측 단부 위치는, 타이 로드 커버(106)의 횡외측 단부가 약간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정도이며, 거의 일치한 상태이다.
그러나,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111)이 좌측 선회 방향으로 조작되면, 실린더 로드(142)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좌측의 타이 로드(105)는 타이 로드 커버(106)의 횡외측 단부보다 크게 횡외측으로 연장되어, 타이 로드 커버(106)의 횡외측 단부로부터 밀려나온 상태가 된다.
〔부츠 가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륜 지지 케이스(119)의 상면(119B)과, 그 차륜 지지 케이스(119)의 상면(119B)에 기립 설치된 연결 축(119C)에 대해 감합 연결되어 있는 타이 로드(105)의 상기 타단부측에 설치된 보스부(152)에 걸쳐 방진용 부츠(153)가 장착되어 있다.
이 방진용 부츠(153)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구성되고, 상하 양단부측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방진용 부츠(153)는, 차륜 지지 케이스(119)의 상면(119B)과, 타이 로드(105)의 보스부(152)의 하면의 간격 d1보다 상하 방향으로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방진용 부츠(153)의 상단측이 타이 로드(105)의 보스부(152)의 하부에 외부 끼움되어, 링 형상의 고정 금속 부재(154)에 의해 보스부(152)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방진용 부츠(153)의 하단측은, 차륜 지지 케이스(119)의 상면(119B)에 상방으로부터 압박된 상태로 접촉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방진용 부츠(153)는 상하 방향으로의 중간 부분이 주머니 형상으로 팽창된 상태로 탄성 변형되고, 또한 자신의 탄성 복원력으로 차륜 지지 케이스(119)의 상면(119B)에 대해 하단측을 탄성적으로 압박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방진용 부츠(153)가 존재하는 개소의 전방측에는, 그 방진용 부츠(153)의 전방측을 차폐하는 부츠 가드(15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부츠 가드(155)는, 도 14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 로드(105)의 전방면측에서, 타이 로드(105)의 축간 부분(151)의 도중 위치와, 보스부(152)의 전륜(111)에 가까운 측의 외주부에 걸쳐 용접 고정된 굴곡 판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츠 가드(155)는,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진용 부츠(153)의 전방측에서, 방진용 부츠(153)의 좌우 방향 폭의 전체를 차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부츠 가드(155)의 상하 방향 폭 L2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진용 부츠(153)가 설치된 개소보다 높은 위치로부터, 방진용 부츠(153)가 설치된 개소보다 낮은 위치에 걸쳐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즉, 장착된 방진용 부츠(153)의 상하 방향 폭 L1은, 차륜 지지 케이스(119)의 상면(119B)과 타이 로드(105)의 보스부(152)의 하면의 간격 d1보다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방진용 부츠(53)의 상하 방향 폭 L1보다 부츠 가드(155)의 상하 방향 폭 L2가 더욱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부츠 가드(155)는, 방진용 부츠(153)의 상하 방향으로의 전체를 차폐하도록 상하 방향으로도 폭넓게 설치되어 있다.
도 12, 도 13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전륜(111)이 직진 방향을 향해 있으면, 부츠 가드(155)는, 그 대부분이 타이 로드 커버(106)의 배면측에 가려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도, 부츠 가드(155)는 방진용 부츠(153)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방진용 부츠(153)를 잡초나 작물의 접촉으로부터 피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갖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그 부츠 가드(155)의 바로 앞의 위치에, 부츠 가드(155)보다 훨씬 면적이 큰 타이 로드 커버(106)가, 부츠 가드(155)를 전체적으로 차폐하도록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 직진 상태에 한해서는, 부츠 가드(155)에 의한 방진용 부츠(153)에의 보호 기능보다, 타이 로드 커버(106)에 의한 보호 기능의 쪽이 우선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워 스티어링 실린더(140)의 실린더 로드(142)가 좌우 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돌출되어, 전륜(111)이 좌우 어느 한쪽으로 조향 조작되면(도 16, 도 17에서는, 좌향으로 선회하도록 조향된 상태임), 선회 중심측에 위치하는 전륜(111)(도 16에서는 좌측의 전륜(111))은, 그 전반부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 로드 커버(106)의 횡외측 단부 위치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조타된다.
이 도 16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가상선으로 나타내어진 타이 로드 커버(106)의 좌측 단부로부터 타이 로드(105)가 크게 선회 중심측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에 수반하여, 방진용 부츠(153)도 당연히 타이 로드 커버(106)의 좌측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선회 중심측으로 이행하므로, 부츠 가드(155)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방측이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 구조의 것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향 조작된 선회 중심측의 전륜(111)의 차륜 지지 케이스(119)와 타이 로드(105)의 연결 개소에 설치된 방진용 부츠(153)에 대한 보호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즉, 타이 로드(105)의 전방면측에서, 그 타이 로드(105)의 축간 부분(151)과 보스부(152)에 걸치는 부츠 가드(155)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그 부츠 가드(155)가, 타이 로드 커버(106)의 좌측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선회 중심측으로 이행한 방진용 부츠(153)의 전방측을 차폐하여, 잡초나 작물과의 접촉을 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부츠 가드(155)에는, 타이 로드(105)의 보스부(152)에 용접 고정되어 있는 부위의 부근에, 차륜 지지 케이스(119)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오목부(15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55A)는, 도 14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츠 가드(155)의 하부 에지측이, 보스부(152)에 용접 고정된 부위의 부근에서 부분적으로 절제되어 상방측으로 요입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6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111)이 좌우 어느 한쪽으로 조향 조작되었을 때, 선회 외측에 위치하는 전륜(111)(도 16에서는 우측의 전륜(111))은, 그 전반부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 로드 커버(106)의 횡외측 단부 위치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조타된다.
이때, 부츠 가드(155)에 상기 오목부(155A)가 존재하고 있지 않으면, 부츠 가드(155)가 차륜 지지 케이스(119)와 접촉하여, 전륜(111)의 조타 범위를 좁혀 버릴 우려가 있지만, 상기 오목부(155A)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그러한 문제를 초래할 우려도 적고, 전륜(111)의 조타 범위를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 오목부(155A)는 좌우의 부츠 가드(155)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중앙 PTO〕
도 11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107)의 전방부에는, 중앙 PTO축(124)이 전방측을 향해 돌출되는 상태로 장비되어 있다.
이 중앙 PTO축(124)의 지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이 중앙 PTO축(124)은, 1개의 인발재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그 전단측과 후단측의 각각에 스플라인부(124A, 12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단부측의 스플라인부(124A)와 동일 직경, 혹은 양 스플라인부(124A)보다 직경이 큰 축 중간부(124B)가, 미션 케이스(107)의 전방 케이스 벽(170)에 형성된 지지 보스(171)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보스(171)의 내주측에는, 중앙 PTO축(12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용 베어링(172)이 설치되어 있다. 이 베어링(172)은, 그 아우터 레이스(172A)의 미션 케이스(107)의 내측이, 지지 보스(171)의 내주측에 형성된 단차부(171A)에 의해, 중앙 PTO축(124)의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172)의 이너 레이스(172B)는, 미션 케이스(107)의 내측으로의 이동이, 중앙 PTO축(124)의 외주면에 장착된 서클립(173)에 의해 저지되어 있다. 이너 레이스(172B)의 미션 케이스(107)의 외측으로의 이동은, 위치 결정용 슬리브(174)와, 그 위치 결정용 슬리브(174)의 미션 케이스(107)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중앙 PTO축(124)의 외주면에 장착된 서클립(175)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위치 결정용 슬리브(174)는, 금속제의 통 형상부(174A)의 내측에 고무제의 마찰 부재(174B)를 접착시키고 있고, 축선 방향에서의 일단부측을 이너 레이스(172B)에 압박 접촉시키고, 타단부측을 175에 압박 접촉시켜, 중앙 PTO축(124)의 축선 방향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용 슬리브(174)의 외주측에는, 지지 보스(171)의 내주측과의 사이에서, 외부로부터의 사물의 침입을 저지하기 위한 환상 시일재(176)가 장착되어 있다.
이 시일재(176)는, 미션 케이스(107)의 내측의 단부가, 환상의 컬러(177)를 통해 베어링(172)의 아우터 레이스(172A)에 맞닿고, 미션 케이스(107)의 외측의 단부가 지지 보스(171)의 내주측에 장착된 서클립(178)에 접촉함으로써 위치 결정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부츠 가드(155)로서, 방진용 부츠(153)의 전방측에만 설치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부츠 가드(155)를 방진용 부츠(153)의 전방측뿐만 아니라 후방측에서도, 타이 로드(105)의 축간 부분(151)과 보스부(152)에 걸쳐 설치함으로써, 방진용 부츠(153)의 전방측과 후방측이 차폐된 구조로 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2〕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의 전륜(111)이 직진 방향을 향해 있으면, 부츠 가드(155)의 대부분이 타이 로드 커버(106)의 배면측에 가려진 상태로 되도록 구성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좌우의 전륜(111)이 직진 방향을 향해 있는 상태에서, 타이 로드 커버(106)의 횡외측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부츠 가드(155)가 설치된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타이 로드 커버(106)를 생략한 것이라도 지장 없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3〕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부츠 가드(155)에, 차륜 지지 케이스(119)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오목부(155A)가 형성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부츠 가드(155) 중, 차륜 지지 케이스(119)와 간섭하는 부위를 부분적으로 가요성이 있는 고무 늘어짐 등으로 형성하거나, 차륜 지지 케이스(119)와의 접촉에 의해, 조향 작동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빠져나가도록 요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등, 적절한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본 발명은, 트랙터에 한정되지 않고, 승용형 이앙기나, 승용형 직파기, 잔디 깎는 기계, 콤바인 등의 각종 농기 및 휠 로더나 백호 등의 건설기계, 혹은 포크리프트 등의 운반 작업차 등에 적용할 수 있다.
4 : 오목부
5 : 작업등
30 : 엔진 보닛
31a : 횡측면
34 : 전조등
36, 37 : 지지 부재
40 : 오목부 입구 개구
41 : 오목부 저면 부분
42 : 주위벽 부분
43 : 통기판 부재
43a : 통기 구멍
51, 52 : 연결부
Lc : 광축
105 : 타이 로드
106 : 타이 로드 커버
118 : 전방 차축 케이스
119 : 차륜 지지 케이스
119C : 연결 축
y1 : 축심
y2 : 축심
152 : 보스부
153 : 방진용 부츠
155 : 부츠 가드
155A : 오목부

Claims (10)

  1. 기체 전방부에 배치된 엔진 보닛과,
    상기 엔진 보닛의 전방부에 배치된 전조등과,
    상기 엔진 보닛의 횡측면 개소에, 그 횡측면으로부터 상기 엔진 보닛의 내측을 향해 요입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횡측면보다 상기 엔진 보닛의 내측에 위치하는 오목부 저면 부분과, 그 오목부 저면 부분의 주연과 상기 횡측면에 형성된 오목부 입구 개구의 주연에 이어지는 주위벽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주위벽 부분에 전방 하방을 조사하는 작업등이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등은, 상기 횡측면보다 횡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자세로 전방 하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작업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등은, 상기 주위벽 부분 중, 후방 상방측 개소의 주위벽 부분에 위치하고, 또한 조사광의 광축이 상기 오목부 저면 부분을 따르는 전방 하향 자세로 설치되어 있는, 작업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요입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위벽 부분의 깊이는, 상기 작업등을 구비한 측의 주위벽 부분이, 그 주위벽 부분과 상기 오목부의 구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측의 주위벽 부분보다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작업차.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저면 부분이, 다수의 통기 구멍이 형성된 통기용의 그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용의 그릴이 상기 횡측면 개소와는 별체의 통기판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작업등에는, 그 작업등의 지지 부재와, 상기 통기판 부재 각각에 대해 각각 별도로 착탈 가능한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작업차.
  7. 트랜스미션측으로부터 좌우 횡측방으로 연장된 전방 차축 케이스와,
    상기 전방 차축 케이스의 연장 단부측에 구비한 킹 핀을 통해 조향 조작 가능하게 연결된 차륜 지지 케이스와,
    상기 전방 차축 케이스의 전방측에 배치된 타이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차륜 지지 케이스에는 상기 킹 핀의 축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축심을 가진 연결 축이 기립 설치되고, 상기 타이 로드에는 상기 연결 축에 외부 끼움되는 보스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 축에 상기 보스부를 외부 끼움시킴으로써 상기 차륜 지지 케이스와 상기 타이 로드가 연결되고,
    상기 보스부와 그 하방측의 상기 차륜 지지 케이스에 걸쳐 방진용 부츠가 장착되고,
    상기 타이 로드의 상기 보스부를 설치한 측의 단부에, 상기 방진용 부츠의 전방측을 차폐하는 부츠 가드가 설치되어 있는, 작업차.
  8. 제7항에 있어서,
    직진 주행 상태로 조작된 위치의 상기 타이 로드의 전방부를 덮는 타이 로드 커버가, 상기 타이 로드 및 상기 부츠 가드보다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는, 작업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츠 가드는, 직진 주행 상태에서는 상기 타이 로드 커버의 후방측에 가려지고, 상기 차륜 지지 케이스에 장비된 전륜의 스티어링 조작에 수반하여, 선회 중심측에 있어서의 상기 타이 로드 커버의 횡외측 단부보다 횡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작업차.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츠 가드의 상기 차륜 지지 케이스측의 단부 하방에, 상기 차륜 지지 케이스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작업차.
KR1020177027424A 2015-03-11 2016-03-10 작업차 KR101953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48650 2015-03-11
JP2015048650A JP6382753B2 (ja) 2015-03-11 2015-03-11 作業車
JP2015055059A JP6341875B2 (ja) 2015-03-18 2015-03-18 作業車
JPJP-P-2015-055059 2015-03-18
PCT/JP2016/057666 WO2016143875A1 (ja) 2015-03-11 2016-03-10 作業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067A KR20170125067A (ko) 2017-11-13
KR101953504B1 true KR101953504B1 (ko) 2019-02-28

Family

ID=5687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424A KR101953504B1 (ko) 2015-03-11 2016-03-10 작업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77425B2 (ko)
EP (1) EP3269597B1 (ko)
KR (1) KR101953504B1 (ko)
WO (1) WO2016143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54630B2 (ja) * 2016-06-27 2020-09-16 株式会社クボタ 車軸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6787A (ja) * 2002-09-20 2004-04-0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動農機における作業灯の取付け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48636A (en) * 1923-03-13 montague
US1428108A (en) * 1921-07-19 1922-09-05 Charles A Maddux Spotlight for automobiles
US1624436A (en) * 1922-10-21 1927-04-12 Protectolite Co Inc Automobile light
JPH04122238U (ja) * 1991-02-14 1992-11-02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トラクターのヘツドライト
EP0757945A3 (de) * 1995-08-09 1997-12-03 SAME S.p.A. Landwirtschaftliches Fahrzeug
US5872656A (en) * 1996-09-26 1999-02-16 Oakmoore Pty. Ltd. Vehicle body accessories
JP3891744B2 (ja) 1999-09-29 2007-03-14 石川島芝浦機械株式会社 トラクタの操向装置
DE10127881C2 (de) 2001-06-11 2003-04-30 Zf Lemfoerder Metallwaren Ag Gelenk, insbesondere Kugelgelenk für Fahrwerksteile in einem Kraftfahrzeug
JP3942384B2 (ja) * 2001-06-22 2007-07-1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用の前照灯
JP4421144B2 (ja) * 2001-06-29 2010-02-2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US6773666B2 (en) * 2002-02-28 2004-08-10 Alcoa Inc. Al-Si-Mg-Mn casting alloy and method
JP2003341424A (ja) 2002-05-28 2003-12-0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作業車輛の照明装置
JP4331458B2 (ja) * 2002-10-23 2009-09-1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照明装置
JP2004224274A (ja) * 2003-01-24 2004-08-12 Kubota Corp 走行車両のボンネット構造
US6937146B2 (en) * 2003-04-15 2005-08-30 Randy Lee Tracy Vehicle acceleration/de-acceleration warning light system
US7641372B2 (en) * 2003-07-08 2010-01-05 Peter Panopoulos Machine providing for an advanced headlamp system with peripheral beam technology
JP2005119430A (ja) * 2003-10-16 2005-05-1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作業車両のランプ
JP4568167B2 (ja) 2005-05-13 2010-10-27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の照明構造
JP2007137236A (ja) * 2005-11-17 2007-06-07 Kubota Corp トラクタの照明装置
JP2008087569A (ja) 2006-09-29 2008-04-1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作業用走行車
JP4989593B2 (ja) 2008-09-12 2012-08-01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
US8430523B1 (en) * 2009-12-15 2013-04-30 Whelen Engineering Company, Inc. Asymmetrical optical system
JP2013136359A (ja) * 2011-12-28 2013-07-11 Kubota Corp トラクタ
JP6178149B2 (ja) 2013-07-24 2017-08-09 ヤンマー株式会社 トラクター
CN106660593B (zh) * 2014-06-30 2019-07-23 洋马株式会社 机罩以及具备机罩的拖拉机
US10023110B1 (en) * 2017-04-21 2018-07-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badge sensor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6787A (ja) * 2002-09-20 2004-04-0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動農機における作業灯の取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69597A4 (en) 2019-04-10
US10377425B2 (en) 2019-08-13
KR20170125067A (ko) 2017-11-13
EP3269597A1 (en) 2018-01-17
US20180050729A1 (en) 2018-02-22
WO2016143875A1 (ja) 2016-09-15
EP3269597B1 (en)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2485B2 (en) Hydrostati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1953504B1 (ko) 작업차
JP3862674B2 (ja) 乗用型移植機
JP6341875B2 (ja) 作業車
JP6382753B2 (ja) 作業車
JP2002274193A (ja) 乗用管理作業車
WO2017056563A1 (ja) 乗用作業車
JP2018172083A (ja) 水田作業機
JP2002337757A (ja) クローラ式作業機
JP2003341526A (ja) ステアリングハンドル取付構造
JP3599479B2 (ja) 乗用型移植機
JP2003002078A (ja) 乗用型作業車
KR20030028811A (ko) 농작업기
JP4369399B2 (ja) 走行車両
JP7106480B2 (ja) 乗用作業車
JP2008173052A (ja) モアの昇降リンク機構
US11964639B2 (en) Traveling vehicle
EP2818388B1 (en) Tractor
JP4352021B2 (ja) 走行車両
JP6976226B2 (ja) 作業車
US20210061082A1 (en) Work Vehicle
JP6785737B2 (ja) 作業機
JP2022006974A (ja) 保護部材及び作業車両
JP2003054274A (ja) 乗用型作業車
JP2020099307A (ja) 乗用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