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020B1 -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020B1
KR101948020B1 KR1020170103035A KR20170103035A KR101948020B1 KR 101948020 B1 KR101948020 B1 KR 101948020B1 KR 1020170103035 A KR1020170103035 A KR 1020170103035A KR 20170103035 A KR20170103035 A KR 20170103035A KR 101948020 B1 KR101948020 B1 KR 101948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ed carbon
carbon
electrode material
activato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창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씨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씨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씨케이
Priority to KR1020170103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020B1/ko
Priority to PCT/KR2018/009323 priority patent/WO2019035633A1/ko
Priority to JP2020530299A priority patent/JP2020531405A/ja
Priority to CN201880051047.7A priority patent/CN110997564A/zh
Priority to US16/636,922 priority patent/US20200165138A1/en
Priority to TW107128304A priority patent/TWI69145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01B32/312Pr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01B32/312Preparation
    • C01B32/342Preparation characterised by non-gaseous activating agents
    • C01B32/348Metal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01B32/312Preparation
    • C01B32/318Preparation characterised by the star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01B32/312Preparation
    • C01B32/318Preparation characterised by the starting materials
    • C01B32/33Preparation characterised by the starting materials from distillation residues of coal or petroleum; from petroleum acid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01B32/354After-treatment
    • C01B32/378Purifi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24Electrod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the materials making up or comprised in the electrodes, e.g. form, surface area or porosit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powders or particles used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01G11/34Carbon-based characterised by carbonisation or activation of carb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84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 H01G11/86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4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peak-intensities or a ratio thereof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4Pore volum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6Pore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01G11/42Powders or particles, e.g. composi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Catalyst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알칼리 금속의 함량이 50 ppm 이하인 전극소재용 활성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CTIVATED CARBON FOR ELECTRODE MATERIAL}
본 발명은,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 기술의 발달로 각종 개인용 단말기와 휴대용 전자기기가 보편화되고 더불어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전지 시장과 그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기적 에너지 저장장치로 저에너지 밀도 특성의 재래식 커패시터(Capacitor)와 저출력 밀도 특성을 갖는 이차전지의 단점을 보완하여 순간적인 고출력 충ㆍ방전이 가능한 에너지 전기화학 커패시터가 연구되고 있다. 전기화학 커패시터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와 유사축전의 두 형태로 나누어진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활성탄과 같이 상대적으로 전기 전도성이 좋으며 이온과 접촉되는 비표면적이 매우 큰 다공성 물질을 양극과 음극의 전극소재로 사용함으로써 전기 이중층 원리에 따라 축전되는 전하의 양을 극대화한 전기화학 커패시터이다.
한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기술 개발은 활성탄 전극, 전해액, 분리 막 제조기술 등의 분야로 나누어진다. 활성탄 전극에 관한 기술개발은 비표면적, 기공크기 분포, 기공부피, 전기 전도도에 관하여 주로 진행되었고, 균일한 전압, 집전체에 대한 부착력, 낮은 내부 저항 등의 특성을 갖도록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전극물질인 활성탄의 기공 구조와 전기 화학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려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비표면적이 증가할수록 일반적으로 충전용량도 증가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어느 정도 이상의 비표면적이 확보되면, 메조기공의 분율의 증가가 충전용량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활성탄의 비표면적을 최대한 증가시키면서 메조기공의 분율을 확보하는 방법을 통해 정전 용량을 향상시키는 전극소재용 활성탄 제조 기술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비표면적을 확장시키고 마이크로 기공을 확보하는 방식으로는, 낮은 결정화도를 가지는 카본을 이용하여 알칼리 활성화시키는 특징으로 인하여 개선 가능한 활성탄 정전 용량의 한계에 도달하였고, 좀 더 높은 정전 용량의 전극에 대한 수요는 계속적으로 존재하는 상황이었고, 따라서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하여 정전 용량의 향상을 확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시장에 존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개발된 기술로서, 전해투석기를 이용하여 활성탄에서 활성화제의 함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알칼리 금속의 함량이 50 ppm 이하인, 전극소재용 활성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활성탄은, 전해투석기 내에서 세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해투석기에서 음극의 인가전압은, 3 V 내지 5 V이고, 양극의 인가전압은, 상기 음극의 인가전압보다 1.1 배 내지 10배 더 높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활성탄은, 전해투석기 내에서 20 ℃ 내지 80 ℃ 및 10분 내지 24 시간 동안 세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활성탄은, 비표면적이 300 m2/g 내지 1500 m2/g이고, 상기 활성탄은, 미세 기공(Micro-pore) 평균 크기가 0.6 nm 내지 1.3 nm이고, 상기 활성탄은, 미세 기공 부피가 0.05 cm3/g 내지 0.8 cm3/g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활성탄의 전기전도도는 3 S/cm 내지 10 S/cm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활성탄은, 23° 내지 26°에서 최대 X선 회절(XRD) 피크 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알칼리 금속은, Na, K 및 Ni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탄소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탄소 재료를 탄화하는 단계; 상기 탄화된 탄소 재료를 활성화제와 혼합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제와 혼합된 탄화된 탄소 재료를 활성화하여 활성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탄을 세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활성탄을 세정하는 단계는, 전해투석기를 이용하여 상기 활성탄을 세정하는 것인,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활성탄을 세정하는 단계는, 상기 활성탄을 증류수로 세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세정된 활성탄을 전해투석기에 투입하여 활성화제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활성탄을 세정하는 단계는, 상기 활성탄을 산으로 세정하는 단계; 상기 산으로 세정된 활성탄을 증류수로 세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세정된 활성탄을 전해투석기에 투입하여 활성화제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활성화제를 제거하는 단계는, 20 ℃ 내지 80 ℃ 온도 및 10분 내지 24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해투석기에서 음극의 인가전압은, 3 V 내지 5 V이고, 양극의 인가전압은 상기 음극의 인가전압보다 1.1 배 내지 10배 더 높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활성탄을 세정하는 단계 이후의 상기 세정된 활성탄의 pH는 6.5 내지 7.5이고, 상기 활성탄을 세정하는 단계 이후의 상기 활성탄 중 알칼리 금속의 농도는 50 ppm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탄소 재료는, 피치, 코크스, 등방성 탄소, 이방성 탄소, 이흑연화성 탄소 및 난흑연화성 탄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탄화된 탄소 재료를 활성화제와 혼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활성화제는, 알칼리 수산화물이며, 상기 활성화제는, 상기 탄소 재료에 대해 1 내지 5의 중량비로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활성탄은, 비표면적이 300 m2/g 내지 1500 m2/g이고, 상기 활성탄은, 미세 기공 평균 크기가 0.6 nm 내지 1.3 nm이고, 상기 활성탄은, 미세 기공 부피가 0.05 cm3/g 내지 0.8 cm3/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활성탄은, 23° 내지 26°에서 최대 X선 회절(XRD) 피크 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활성화 공정 이후에 전해투석기를 이용하여 활성탄 내에 잔류하는 활성화제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므로, 활성탄의 세정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활성탄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활성탄에서 활성화제의 함량을 낮출 수 있으므로, 안정적이고, 성능이 향상된 활성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활성탄의 제조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전극소재용 활성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활성탄은, 잔류하는 활성화제 및 이와 관련된 금속 등의 함량이 월등하게 낮아, 안정적인 성능을 갖는 전극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활성탄에서 알칼리 금속의 함량은, 50 ppm 이하; 30 ppm 이하; 또는 20 ppm 이하일 수 있고, 상기 알칼리 금속은, 상기 활성탄의 제조 시 활성화제의 구성금속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에 포함되면, 전극소재의 적용 시 알칼리 금속에 의한 부반응 등을 낮추어 안정적인 특성을 갖는 전극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칼리 금속은, K, Na, 및 Li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활성탄은, 1 ㎛ 내지 25 ㎛의 입자 크기를 갖고, 5 ㎛ 내지 12 ㎛ 의 입자의 분포치가 50 %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활성탄은, 비표면적이 300 m2/g 내지 1500 m2/g이고, 상기 활성탄은, 미세 기공 평균 크기가 0.6 nm 내지 1.3 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활성탄은, 미세 기공 부피가 0.05 cm3/g 내지 0.8 cm3/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활성탄의 전기전도도는 3 S/cm 내지 10 S/c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활성탄은, 23° 내지 26° (2θ)에서 최대 X선 회절(XRD) 피크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활성탄의 결정화도가 증가되어, 높은 정전 용량을 가지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활성탄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 장치는, 하우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활성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 분리막; 및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정전 용량은 30 F/cc 내지 55 F/cc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는, 커패시터, 리튬 이차 전지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활성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조방법은, 활성화 처리된 탄소 재료(또는, 활성탄)에서 전해투석기를 이용하여 알칼리 금속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므로, 활성탄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키고, 세정 공정의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세정 공정에서 산 등의 사용 용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활성탄의 제조공정의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활성탄의 제조방법의 흐름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1에서 상기 제조방법은, 탄소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110); 탄소 재료를 탄화하는 단계(120); 탄화된 탄소 재료를 활성화제와 혼합하는 단계(130); 활성화제와 혼합된 탄화된 탄소 재료를 활성화하는 단계(140); 및 활성탄을 세정하는 단계(150);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탄소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110)는, 활성탄의 주 재료로 쓰일 수 있는 탄소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상기 탄소 재료는, 피치, 코크스, 등방성 탄소, 이방성 탄소, 이흑연화성 탄소 및 난흑연화성 탄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탄소 재료를 탄화하는 단계(120)는, 활성탄의 결정화도, 성능, 품질(예를 들어, 순도) 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탄소 재료에서 탄소 성분을 제외한 원소 및/또는 불순물 등을 고온에서 제거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탄소 재료를 탄화하는 단계(120)에서 상기 탄소 성분 외의 성분들은 유증기 형태로 증발될 수 있으며, 탄화가 완료될 경우 원래의 성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준비된 탄소 재료 대비 대략 3 % 내지 40 % 정도의 무게가 감소된 탄화된 탄소 재료가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 재료를 탄화하는 단계(120)에서 탄화 온도는, 600 ℃ 내지 1200 ℃; 600 ℃ 내지 1000 ℃; 600 ℃ 내지 900 ℃; 또는 700 ℃ 내지 900 ℃ 온도일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 내에 포함되면 높은 XRD 최대 피크 각도, 높은 결정화도, 낮은 비표면적을 가지면서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극으로서 높은 정전용량이 구현 가능한 활성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 재료를 탄화하는 단계(120)는, 10분 내지 24 시간 및 공기, 산소, 탄소 및 비활성 기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위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활성 기체는, 아르곤 가스, 헬륨 가스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탄소 재료를 탄화하는 단계(120) 이후에, 탄화된 탄소 재료를 분쇄하는 단계(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쇄하는 단계는, 평균 3 ㎛ 내지 20 ㎛의 입자 크기로 탄화된 탄소 재료를 분쇄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상기 입자 크기 범위 내에 포함되면, 상기 탄소 재료의 표면에 활성화제의 흡착이 잘 이루어지고, 탄소 재료의 활성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화된 탄소 재료를 분쇄하는 단계는, 기계적 밀링을 이용하고, 상기 기계적 밀링은, 로터밀, 모르타르밀링, 볼밀링, 플래너터리 볼밀링(planetary ball milling), 제트밀링, 비드밀링 및 아트리션 밀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탄화된 탄소 재료를 활성화제와 혼합하는 단계(130)는, 탄소 재료를 탄화하는 단계(120)에서 탄화된 탄소 재료와 활성화제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상기 활성화제는, 알칼리 수산화물이며, 예를 들어, KOH 및 NaOH, LiOH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칼리 수산화물의 혼합물의 적용 시 KOH 및 나머지 알칼리 수산화물의 중량비는, 활성화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1:0.01 내지 0.5; 또는 1:0.01 내지 0.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활성화제는, 상기 탄화된 탄소 재료에 대해 1 내지 5의 중량비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 범위 내에 포함되면, 낮은 비표면적을 가지면서, 정전 용량 등과 같은 성능이 향상된 활성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활성화제와 혼합된 탄화된 탄소 재료를 활성화하는 단계(140)는, 상기 활성화제에 열을 가하여 분해시키면서 상기 탄화된 탄소 재료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활성화제와 혼합된 탄화된 탄소 재료를 활성화하는 단계(140)는, 미세구멍이 형성된 도가니 내에서 수행되고, 상기 활성화제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미세구멍으로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도가니(미세구멍이 없는 도가니)에서 탄화된 탄소 재료의 활성화 시 상기 도가니의 하단부로 용융된 활성화제가 흘러내려 하단부에 활성화제가 집중 및 농축된다. 그 결과, 하단부에 있는 탄화된 탄소 재료는, 다량의 활성화제에 의해 과활성화될 뿐만 아니라, 최종 생성물인 활성탄에서 다량의 활성화제의 세정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미세구멍이 형성된 도가니를 적용하여, 활성화 공정에서 도가니의 하단부로 흘러내린 활성화제를 배출하므로, 하단부에 활성화제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탄화된 탄소 재료의 균일한 활성화를 달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가니에서 미세구멍은, 상기 도가니의 전체 면적 중 0.001 % 내지 20 %로 형성되고, 1 ㎛ 내지 1 mm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세구멍은, 1 내지 200 개/cm2; 8 내지 150 개/cm2; 또는 50 내지 150 개/cm2일 수 있다. 이는, 적절한 속도로 활성화제를 배출하고, 상기 활성화제의 배출에 따른 상기 탄화된 탄소 재료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출된 활성화제는, 탄화된 탄소 재료를 활성화제와 혼합하는 단계(130)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화제와 혼합된 탄화된 탄소 재료를 활성화하는 단계(140)는,
500 ℃ 내지 1000 ℃; 또는 500 ℃ 내지 800 ℃의 활성화 온도에서 활성화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 내에 포함되면 비표면적이 크고, 미세기공 등의 형성이 잘 이루어지고, 활성탄의 응집 등에 따른 입자 크기의 증가 등을 방지하고, 결정화도가 우수한 활성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화제와 혼합된 탄화된 탄소 재료를 활성화하는 단계(140)는, 10 분 내지 24 시간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 범위 내에 포함되면 활성화가 충분히 이루어지고, 고온에서 장시간의 노출에 따른 활성탄 간의 응집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화제와 혼합된 탄화된 탄소 재료를 활성화하는 단계(140)는, 공기, 산소 및 비활성 기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위기에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활성 기체는, 아르곤 가스, 헬륨 가스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화제와 혼합된 탄화된 탄소 재료를 활성화하는 단계(140) 이후에, 활성화된 탄소 재료에서 활성화제의 함량은, 50 pp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활성화제와 혼합된 탄화된 탄소 재료를 활성화하는 단계(140) 이후에 활성탄을 분쇄하는 단계(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활성탄을 분쇄하는 단계는, 평균 3 ㎛ 내지 20 ㎛의 입자 크기로 분쇄하여 미립자로 분말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활성탄을 세정하는 단계(150)는, 활성화제와 혼합된 탄화된 탄소 재료를 활성화하는 단계(140) 이후에, 활성탄에서 활성화제, 금속, 불순물 등을 세정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활성탄을 세정하는 단계(150)는, 활성탄을 증류수로 세정하는 단계(151a); 및 세정된 활성탄을 전해투석기에 투입하여 활성화제를 제거하는 단계(152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활성탄을 증류수로 세정하는 단계(151a)는, 활성탄에 증류수를 가하여 활성화제 및 불순물 등을 세정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세정된 활성탄을 전해투석기에 투입하여 활성화제를 제거하는 단계(152a)는, 활성탄을 증류수로 세정하는 단계(151a) 이후에 슬러리 또는 증류수에 분산된 활성탄을 전해투석기에 투입하여 활성화제 및 이와 관련된 금속 등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세정된 활성탄을 전해투석기에 투입하여 활성화제를 제거하는 단계(152a)는, 20 ℃ 내지 80 ℃ 및 10분 내지 24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정된 활성탄을 전해투석기에 투입하여 활성화제를 제거하는 단계(152a)에서 전해투석기의 음극의 인가전압은, 3 V 내지 5 V이고, 양극의 인가전압은, 상기 음극의 인가전압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음극 보다 1.1 배 내지 10배 더 높은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정된 활성탄을 전해투석기에 투입하여 활성화제를 제거하는 단계(152a) 이후에 활성탄의 pH는 6.5 내지 7.5이고, 상기 활성탄 중 알칼리 금속의 농도는 50 pp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활성화제가 제거된 활성탄을 산으로 세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활성화제가 제거된 활성탄을 산으로 세정하는 단계는, 세정된 활성탄을 전해투석기에 투입하여 활성화제를 제거하는 단계(152a) 이후에 활성탄에 산 수용액을 가하여 잔류하는 활성화제를 더 세정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산으로 세정하는 단계는, 황산, 염산, 질산, 아세트산, 포름산 및 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산 수용액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산으로 세정하는 단계는, pH 6.5 내지 7.5 및 0.5 mol% 내지 1 mol% 농도의 산 수용액을 적용할 수 있다. 이는 전해투석기를 이용하여 활성화제를 제거하므로, 약산 및 낮은 농도의 산 수용액을 적용하여 잔량의 활성화제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산으로 세정하는 단계 이후에 증류수 및 전해투석기를 이용하여 잔량의 산, 활성화제 등을 더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활성탄을 세정하는 단계(150)는, 활성탄을 산으로 세정하는 단계(151b); 산으로 세정된 활성탄을 증류수로 세정하는 단계(152b); 및 세정된 활성탄을 전해투석기에 투입하여 활성화제를 제거하는 단계(153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활성탄을 산으로 세정하는 단계(151b)는, 활성탄에 산 수용액을 가하여 활성화제 및 불순물 등을 세정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산 수용액은, 황산, 염산, 질산, 아세트산, 포름산 및 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산 수용액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탄을 산으로 세정하는 단계(151b)는, pH 1.5 내지 4 및 1mol% 내지 5 mol% 농도의 산 수용액을 적용할 수 있고, 상기 pH 및 고농도의 산을 적용하여 활성화하는 단계(140) 이후 잔류하는 활성화제를 1차적으로 중화하고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산으로 세정하는 단계(151b) 이후에 필요 시 증류수 세정을 더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산으로 세정된 활성탄을 증류수로 세정하는 단계(152b)는, 활성탄을 산으로 세정하는 단계(151b) 이후에 활성탄을 증류수로 세정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세정된 활성탄을 전해투석기에 투입하여 활성화제를 제거하는 단계(153b)는, 증류수로 세정하는 단계(152b) 이후에 슬러리 또는 증류수에 분산된 활성탄을 전해투석기에 투입하여 활성화제, 활성화제, 산, 중금속 등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세정된 활성탄을 전해투석기에 투입하여 활성화제를 제거하는 단계(153b)는, 20 ℃ 내지 80 ℃ 및 10분 내지 24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고, 이는 산 수용액으로 1차적으로 활성화제가 제거되므로, 짧은 시간에 잔류하는 활성화제를 특정 함량 이내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정된 활성탄을 전해투석기에 투입하여 활성화제를 제거하는 단계(153b)의 상기 전해투석기의 음극의 인가전압은, 3 V 내지 5 V이고, 상기 음극의 인가전압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음극 보다 1.1 배 내지 10배 더 높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활성탄을 세정하는 단계 (150) 이후에, 상기 세정된 활성탄의 pH는 6.5 내지 7.5 이고, 알칼리 금속의 농도는 50 ppm 이하; 또는 20 pp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활성탄을 세정하는 단계 (150) 이후에 건조하는 단계(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50 ℃ 내지 200 ℃; 80 ℃ 내지 200 ℃; 또는 90 ℃ 내지 150 ℃ 온도에서 건조할 수 있고, 공기, 비활성 기체 또는 이 둘로 이루어진 분위기에서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활성탄의 세정 시 전해투석기를 이용하여 활성화제, 이에 따른 불순물, 금속 등을 제거하므로, 활성탄의 세정 효율을 높이고, 안정적인 특성을 갖는 활성탄을 제공할 수 있다.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8)

  1. 알칼리 금속의 함량이 50 ppm 이하이고,
    활성탄은, 미세 기공 평균 크기가 0.6 nm 내지 1.3 nm이며
    상기 활성탄의 전기전도도는, 5.5 S/cm 내지 10 S/cm인 것인, 전극소재용 활성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은, 전해투석기 내에서 세정된 것인,
    전극소재용 활성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투석기에서 음극의 인가전압은, 3 V 내지 5 V이고, 양극의 인가전압은, 상기 음극의 인가전압보다 1.1 배 내지 10배 더 높은 것인,
    전극소재용 활성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은, 전해투석기 내에서 20 ℃ 내지 80 ℃ 및 10분 내지 24 시간 동안 세정된 것인,
    전극소재용 활성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은, 비표면적이 300 m2/g 내지 1500 m2/g이고,
    상기 활성탄은, 미세 기공 부피가 0.05 cm3/g 내지 0.8 cm3/g인 것인,
    전극소재용 활성탄.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은, 23° 내지 26°에서 최대 X선 회절(XRD) 피크 값을 갖는 것인,
    전극소재용 활성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금속은, Na, K 및 Ni 중 1종 이상인 것인,
    전극소재용 활성탄.
  9.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탄소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탄소 재료를 탄화하는 단계;
    상기 탄화된 탄소 재료를 활성화제와 혼합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제와 혼합된 탄화된 탄소 재료를 활성화하여 활성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탄을 세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활성탄을 세정하는 단계는, 전해투석기를 이용하여 상기 활성탄을 세정하고,
    상기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알칼리 금속의 함량이 50 ppm 이하이고, 미세 기공 평균 크기가 0.6 nm 내지 1.3 nm이며, 전기전도도가, 5.5 S/cm 내지 10 S/cm인 것인,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을 세정하는 단계는,
    상기 활성탄을 증류수로 세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세정된 활성탄을 전해투석기에 투입하여 활성화제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을 세정하는 단계는,
    상기 활성탄을 산으로 세정하는 단계;
    상기 산으로 세정된 활성탄을 증류수로 세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세정된 활성탄을 전해투석기에 투입하여 활성화제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제를 제거하는 단계는, 20 ℃ 내지 80 ℃ 및 10분 내지 24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인,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투석기에서 음극의 인가전압은, 3 V 내지 5 V이고, 양극의 인가전압은 상기 음극의 인가전압보다 1.1 배 내지 10배 더 높은 것인,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을 세정하는 단계 이후의 상기 세정된 활성탄의 pH는 6.5 내지 7.5이고,
    상기 활성탄을 세정하는 단계 이후의 상기 활성탄 중 알칼리 금속의 농도는 50 ppm 이하인 것인,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재료는, 피치, 코크스, 등방성 탄소, 이방성 탄소, 이흑연화성 탄소 및 난흑연화성 탄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된 탄소 재료를 활성화제와 혼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활성화제는, 알칼리 수산화물이며,
    상기 활성화제는, 상기 탄소 재료에 대해 1 내지 5의 중량비로 투입되는 것인,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은, 비표면적이 300 m2/g 내지 1500 m2/g이고,
    상기 활성탄은, 미세 기공 부피가 0.05 cm3/g 내지 0.8 cm3/g인 것인,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은, 23° 내지 26° 에서 최대 X선 회절(XRD) 피크 값을 갖는 것인,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
KR1020170103035A 2017-08-14 2017-08-14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 KR101948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035A KR101948020B1 (ko) 2017-08-14 2017-08-14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
PCT/KR2018/009323 WO2019035633A1 (ko) 2017-08-14 2018-08-14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
JP2020530299A JP2020531405A (ja) 2017-08-14 2018-08-14 電極素材用活性炭の製造方法
CN201880051047.7A CN110997564A (zh) 2017-08-14 2018-08-14 电极材料用活性炭的制造方法
US16/636,922 US20200165138A1 (en) 2017-08-14 2018-08-14 Method for manufacturing activated carbon for electrode material
TW107128304A TWI691458B (zh) 2017-08-14 2018-08-14 電極材料用活性碳的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035A KR101948020B1 (ko) 2017-08-14 2017-08-14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020B1 true KR101948020B1 (ko) 2019-05-08

Family

ID=65362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035A KR101948020B1 (ko) 2017-08-14 2017-08-14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165138A1 (ko)
JP (1) JP2020531405A (ko)
KR (1) KR101948020B1 (ko)
CN (1) CN110997564A (ko)
TW (1) TWI691458B (ko)
WO (1) WO20190356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3455B (zh) * 2021-06-04 2022-11-29 中国石油大学(北京) 一种多孔活性炭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7715A (ja) * 2002-03-15 2003-09-25 Osaka Gas Co Ltd 活性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343706A (ja) * 2004-05-31 2005-12-15 Jfe Chemical Corp 多孔質炭素材料の製造方法
JP2006248848A (ja) * 2005-03-11 2006-09-21 Jfe Chemical Corp 多孔質炭素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多孔質炭素材料の処理方法
JP2016000665A (ja) * 2014-06-11 2016-01-07 滋賀県 活性炭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0548A (ja) * 1999-07-22 2001-02-13 Showa Denko Kk 活性炭素繊維、活性炭素繊維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21016A (ja) * 2000-10-10 2002-04-23 Bio Carbon Kenkyusho:Kk 連続式炭化炉と連続式炭化賦活炉
US20020122985A1 (en) * 2001-01-17 2002-09-05 Takaya Sato Battery active material powder mixture, electrode composition for batteries, secondary cell electrode, secondary cell, carbonaceous material powder mixture for electrical double-layer capacitors, polarizable electrode composition, polarizable electrode, and electrical double-layer capacitor
CN101244820B (zh) * 2002-07-30 2011-12-14 可乐丽化学株式会社 活性炭、其制造方法、极化性电极及电双层电容器
JP4072947B2 (ja) * 2002-09-17 2008-04-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活性炭素繊維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2008050237A (ja) * 2006-08-28 2008-03-06 Toda Kogyo Corp 球状多孔性炭素粒子粉末及びその製造法
CN108538625B (zh) * 2010-12-28 2020-12-08 巴斯福股份公司 包含增强的电化学特性的碳材料
US9607775B2 (en) * 2013-08-30 2017-03-28 Corning Incorporated High-voltage and high-capacitance activated carbon and carbon-based electrodes
JP2016076673A (ja) * 2014-10-09 2016-05-12 株式会社キャタラー ハイブリッドキャパシタ用の炭素材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7715A (ja) * 2002-03-15 2003-09-25 Osaka Gas Co Ltd 活性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343706A (ja) * 2004-05-31 2005-12-15 Jfe Chemical Corp 多孔質炭素材料の製造方法
JP2006248848A (ja) * 2005-03-11 2006-09-21 Jfe Chemical Corp 多孔質炭素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多孔質炭素材料の処理方法
JP2016000665A (ja) * 2014-06-11 2016-01-07 滋賀県 活性炭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91458B (zh) 2020-04-21
WO2019035633A1 (ko) 2019-02-21
TW201919994A (zh) 2019-06-01
JP2020531405A (ja) 2020-11-05
CN110997564A (zh) 2020-04-10
US20200165138A1 (en)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o et al. Lithiophilic Co/Co 4 N nanoparticles embedded in hollow N-doped carbon nanocubes stabilizing lithium metal anodes for Li–air batteries
KR101553716B1 (ko)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전극용 활성탄 및 그 제조방법
EP3179543B1 (en) Carbonaceous material for negative electrode of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RU2431899C2 (ru) Пористый кокс
KR102113719B1 (ko) 활성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794324B (zh) 一种高介孔率木质素多级孔碳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17057146A1 (ja) ナトリウムイオン二次電池負極用炭素質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ナトリウムイオン二次電池
CN110459409B (zh) 一种电极材料、制备方法及其应用
CN114447325A (zh) 多孔碳材料、其制备方法、负极和锂金属电池
JP4576374B2 (ja) 活性炭、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CN111799098A (zh) 一种多孔碳/金属氧化物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23169201A (ja) 蓄電デバイス電極用活性炭
KR101948020B1 (ko)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
CN106887591B (zh) 锂离子电池复合导电剂及其制备方法
WO2023201774A1 (zh) 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锂离子电池
KR102040379B1 (ko)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
KR101948019B1 (ko) 전극소재용 활성탄의 제조방법
KR101660159B1 (ko) 실리카겔-탄소나노섬유 복합소재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0124084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ー
CN111433872B (zh) 电极材料用活性炭的制备方法
JP2006278364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分極性電極およ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KR20150054030A (ko) 전극 재료, 이를 포함하는 전기 화학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7351438B1 (ja) 炭素材組成物、炭素材組成物の製造方法、負極及び二次電池
KR20130017989A (ko) NaOH의 화학적 활성화에 의한 커패시터 전극용 활성탄 및 이를 이용한 커패시터
JP2010123766A (ja) 電極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