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430B1 - 마쇄기 - Google Patents

마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430B1
KR101944430B1 KR1020187010620A KR20187010620A KR101944430B1 KR 101944430 B1 KR101944430 B1 KR 101944430B1 KR 1020187010620 A KR1020187010620 A KR 1020187010620A KR 20187010620 A KR20187010620 A KR 20187010620A KR 101944430 B1 KR101944430 B1 KR 101944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um body
pressure receiving
receiving member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0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0742A (ko
Inventor
시게오 야나세
Original Assignee
다이토 도보쿠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토 도보쿠 엘티디 filed Critical 다이토 도보쿠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80040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04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with unperforated container
    • B02C17/06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with unperforated container with several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04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with unperforated container
    • B02C17/06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with unperforated container with several compartments
    • B02C17/07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with unperforated container with several compartments in radial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6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182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22Lining for conta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05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apparatus; Aggregate screening, cleaning, drying or heating apparatus; Dust-collec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6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 B02C2017/165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with stirring means comprising more than one agit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운전시의 소음을 큰 폭으로 저감할 수가 있으며, 게다가 장치의 소형화에도 공헌할 수 있는 마쇄기를 제공한다. 한 부로부터 거두어 들인 피마쇄물을 다른 부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통형상의 드럼체와, 상기 드럼체 내를 그 통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축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드럼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마쇄실로 구획하는 복수의 마쇄판을 구비하며, 상기 드럼체 및 상기 마쇄판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회전하고, 상기 드럼체 내에서 구름운동 하면서 상기 피마쇄물에 접촉함에 의해 상기 피마쇄물을 마쇄하는 마쇄매체를 갖지 않은 마쇄기다.

Description

마쇄기{MILL}
본 발명은, 골재 등의 마쇄를 행하기 위한 마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음의 저감 대책 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콘크리트나 아스팔트의 폐 재료로부터 재생 골재를 얻기 위한 장치로서 여러 가지의 볼밀형 마쇄기가 존재하고 있다.
그 중에서 피마쇄물의 체류 시간을 길게 취하기 위해서, 드럼체내를 복수의 마쇄판(칸막이판)에 의해 구획한 구조를 갖는 것도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갖는 마쇄기에서는, 피마쇄물은 마쇄판의 주연부와 드럼체 내벽과의 틈새를 지나서 드럼체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이동하면서, 각 구획내에서 볼(마쇄매체)에 의해 마쇄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마쇄기는, 마쇄판이 중심축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볼을 적극적으로 전후방향(드럼체의 축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못하고, 볼의 운동은 직경 방향 및 주위 방향이 대부분이었다.
그 때문에, 볼과 피마쇄물이 등속도로 회전하는, 이른바 공동회전 현상이 발생하고, 이것이 마쇄 효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한 공동회전 현상의 발생을 막아서, 마쇄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 마쇄기를 이미 제안하고 있다(하기 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 2 기재의 발명은, 마쇄판을 중심축에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기울여 설치함에 의해, 마쇄매체(볼 등)에 적극적으로 전후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서, 말하자면 마쇄판에 교반날개로서의 기능을 갖게 한 것이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 2 기재의 마쇄기도 포함하여, 종래의 볼밀형 마쇄기에 있어서, 큰 소음을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출원인이 조사한 바, 소음의 주된 원인은, 볼이나 피마쇄물과 드럼체와의 충돌에 있으며, 특히 볼과 드럼체와의 충돌에 의한 소음의 음량이 큰 것을 알았다.
일본국 특개 2008-104910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10-125446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운전시의 소음을 큰 폭으로 저감할 수가 있으며, 게다가 장치의 소형화에도 공헌할 수 있는 마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마쇄기는, 한 부로부터 거두어 들인 피마쇄물을 다른 부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통 형상의 드럼체와, 상기 드럼체 내를 그 통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축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드럼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마쇄실로 구획하는 복수의 마쇄판을 구비하며, 상기 드럼체 및 상기 마쇄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회전하고, 상기 드럼체 내에서 구름 운동하면서 상기 피마쇄물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피마쇄물을 마쇄하는 마쇄매체를 갖지 않으며, 상기 마쇄판은 상기 중심축에 직교하는 면에 대해 기울어져 있고, 상기 마쇄판은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도록 파형의 매끄러운 곡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피마쇄물은 상기 드럼체의 내면이나 상기 마쇄판의 표면에 문질러져서, 혹은 상기 피마쇄물끼리 문질러져서 마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드럼체 내에 배치되어 있던 볼 등의 마찰매체가 없기 때문에, 마쇄매체가 드럼체나 피마쇄물과 충돌하는 일 없이, 피마쇄물끼리가 서로 문질러져서 마쇄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 마쇄매체와 드럼체 등과의 충돌로 생겼던 소음을 없앨 수가 있어서 전체적인 소음을 저감할 수가 있다.
게다가, 마찰매체를 없게 함에 의해, 마찰매체가 차지하고 있던 용적만큼 드럼체의 용적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종래 드럼체 내에 배치되어 있던 볼 등의 마찰매체가 없어도, 마쇄판과 수압부재의 사이에 피마쇄물을 서로 문질러서 피마쇄물을 효율적으로 마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마쇄판 및 수압부재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중심축에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기울임에 의해, 수압부재와 마쇄판과의 사이에 피마쇄물을 사이에 끼워 넣는 좁은 영역을 용이하게 만들어 낼 수가 있어 마쇄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마쇄판에 피마쇄물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공을 마련함에 의해 마쇄 효율을 높게 유지하면서, 피마쇄물의 흐름을 순조롭게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수압부재에 피마쇄물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공을 마련함에 의해 마쇄 효율을 높게 유지하면서, 피마쇄물의 유통을 순조롭게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마쇄판 및 수압부재를 각각 상대적으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피마쇄물에 가해지는 마쇄력을 높게 할 수가 있어서 마쇄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마쇄판 및 수압부재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표면에 요철 패턴을 형성함에 의해 피마쇄물이 마쇄판 또는 수압부재에 강하게 문질러지는 개소를 늘려서 마쇄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마쇄판은,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도록 파형의 곡면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피마쇄물이 마쇄판 또는 수압부재에 강하게 문질러지게 되어 마쇄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마쇄판 표면이 매끄러운 곡면이 되기 때문에 피마쇄물이 부서지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마쇄판은, 중심축에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설치되어, 중심축과 함께 회전하며, 수압부재는, 중심축에 직교하도록 설치됨과 함께, 마쇄판과 대향하는 면이 대략 원추대 형상이 되도록 중심축에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경사면을 갖고 있으며, 경사면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면에 대한 기울기각의 크기는, 마쇄판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면에 대한 기울기각의 크기와 대략 같다. 그 때문에, 마쇄판의 회전운동의 궤적은 8자형이 되며, 이 8자형의 궤적을 그렸을 때의 마쇄판의 표면과 수압부재의 경사면이 평행하게 대향하게 된다. 이에 의해, 마쇄판이 회전하고 있는 동안, 피마쇄물은 마쇄판의 표면과 수압부재의 표면과의 사이에서 항상 문질러지게 되어 마쇄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마쇄판이 회전시에, 마치 선풍기처럼 바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피마쇄물을 드럼체내에서 원활히 이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드럼체로부터 피마쇄물을 배출하는 배출구에는, 상기 배출구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배출구 면적 가변 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피마쇄물의 드럼체내에서의 체류 시간(마쇄처리 시간)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피마쇄물이 배출되는 드럼체의 다른 부에 스크린 부재를 배치함에 의해, 마쇄된 피마쇄물을 용도에 따른 등급(크기)으로 나누는 공정을 마쇄 공정과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가 있어서 전체적인 능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스크린 부재에서 분별된 피마쇄물을 운반하는 적어도 1개의 컨베이어 장치를 배치했으므로, 분별된 피마쇄물을 용도로 나누어 보관하는 대형 용기를 마쇄기와 간섭하는 일 없이 배치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마쇄기의 부분단면정면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수압부재를 나타내는 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IIb-II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마쇄판을 나타내는 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IIIc-III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d)는 사시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스크린 부재 및 컨베이어 장치의 부분단면정면도.
도 5는 수압부재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수압부재와 마쇄판에 의한 마쇄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수압부재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로서, (a)는 1편의 사시도, (b)는 2편을 맞춘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수압부재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로서, (a)는 1편의 사시도, (b)는 2편을 맞춘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수압부재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로서, (a)는 1편의 사시도, (b)는 2편을 맞춘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전체 구조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마쇄기의 부분단면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마쇄기의 단면정면도.
도 12는 제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마쇄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13은 제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마쇄기의 작용을 나타내는 이미지도.
도 14는 제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수압부재를 나타내는 도로서, (a)는 단면도, (b)는 우측절반이 (a)도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좌측절반이 (a)도의 B-B선에 대한 단면도.
도 15는 제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마쇄판을 나타내는 도로서, (a)는 사시도, (b)는 단면도.
도 16은 배출구 면적 가변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로서, (a)는 배출구의 면적을 크게 한 상태, (b)는 배출구의 면적을 작게 한 상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되는 마쇄기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마쇄기의 부분단면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마쇄기는, 피마쇄물(원료)을 한 부(호퍼(71))로부터 내부로 거두어 들이고, 다른 부(배출용 호퍼(21))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원통형의 드럼체(1)와, 드럼체(1) 내를 통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축(2)과, 중심축(2)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드럼체(1)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마쇄실(6)로 구획하는 복수의 마쇄판(4)과, 드럼체(1)에 설치되어, 마쇄판(4)에 대향하는 수압부재(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배출용 호퍼(21)의 하류 측에는, 중심축(2)과 함께 회전하는 스크린 부재(22)가 설치되어 있다.
중심축(2)의 양단부는 한 쌍의 베어링 부재(16, 1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중심축(2)의 일단부(상류 측)에는 중심축(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원이 되는 모터(M)가 연결되며, 타단부(하류 측)에는 스크린 부재(22)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 부재(22)는 드럼체(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차 대직경이 되는 테이퍼를 갖는 원통 형상이다.
드럼체(1)는, 상하 2개의 반원통 형상 부재를 조합함에 의해, 거의 원통형상의 형태가 된다.
복수의 마쇄판(4)은, 중심축의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드럼체(1)의 내부를 축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마쇄실(6)로 구획하고 있다. 각 마쇄판(4)은, 중심축(2)에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으며, 또한 서로 거의 평행하다. 각 마쇄실(6)에는, 드럼체 내에서 구름운동 하면서 피마쇄물에 접촉함에 의해 피마쇄물을 마쇄하는 마쇄매체(볼이나 로드 등)가 없다.
복수의 수압부재(5)는, 각 마쇄실(6)에 배치되어 각각 중심축(2)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마쇄기에 있어서, 피마쇄물(a)은, 물(b)과 함께 호퍼(71)로부터 공급되어 각 마쇄실(6)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드럼체(1)의 최하류 측에 있는 배출용 호퍼(21)로부터 배출되어 스크린 부재(22)에 이송된다.
다만, 이러한 습식 구조는 아니고, 블로어에 의해 혹은 블로어 없이 마쇄판의 회전 등의 작용에 의해 피마쇄물(a)을 보내는 건식 구조를 채용하여도 좋다. 또한, 후술하는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도, 습식 구조와 건식 구조 중의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마쇄판을 나타내는 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IIIc-III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마쇄판(4)은, 2개의 반원형 곡면판을 맞춘 거의 원형의 구조를 가지며, 그 중심공(41)에 중심축(2)이 삽입 통과된다. 마쇄판(4)은, 중심축(2)에 직교하는 면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져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마쇄판(4)의 기울기 방향이 본 실시형태와 역인 경우에서도, 피마쇄물(a)의 이동은, 수류(습식의 경우)나 공기류(건식의 경우)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마쇄처리에 불편이 생길 일은 없다.
마쇄판(4)에는,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부분원호 형상의 관통공(42)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공(42)의 원호폭은, 소정 입경 미만으로 마쇄된 피마쇄물(a)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관통공(42)의 크기(원호폭)는, 드럼체(1)의 상류 측의 마쇄판(4)로부터 하류 측의 마쇄판(4)을 향하여 점차 작아져도 좋다. 예를 들면, 0 ~ 25 ㎜의 최종 피마쇄물을 얻는 경우에는,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으로 향하여 50 ㎜, 40 ㎜, 35 ㎜, 30 ㎜, 25 ㎜의 순서로 작게 할 수가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제2 실시형태의 마쇄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게다가, 도 3(b),(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쇄판(4)의 표면에는, 반구형상의 볼록부(43)가 마련되어 큰 요철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큰 요철 패턴이 존재함에 의해, 피마쇄물(a)이 마쇄판(4)에 경사 방향으로부터 충돌했을 때, 마쇄판(4)의 표면을 조금 미끄러진 후, 볼록부(43)에서 문질러지는 등의 작용이 얻어져서 피마쇄물(a)의 마쇄 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마쇄판(4)의 볼록부(43)만을 특히 딱딱한 재료(예를 들면, 초경합금)로 구성하여, 마쇄판(4)의 마모를 저감하여, 내용(耐用) 기간을 연장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볼록부(43)에 대신하여, 비교적 큰 오목부를 마련한 요철 패턴을 형성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도 볼록부(43)를 마련한 요철 패턴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보기 쉽도록, 마쇄판(4)을 평판 형상으로 표시하고 있지만,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쇄판(4)은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도록 파형의 곡면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파형의 곡면 구조라는 것은, 표면측인 산부는 이면 측에서는 골부가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마쇄판(4)이 평면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마쇄판(4)이, 전체적으로 원판은 아니고, 타원판이라도 좋다. 또한, 후술하는 수압부재(5)에 대하여, 동일한 곡면 구조를 채용하여도 좋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수압부재를 나타내는 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IIb-II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수압부재(5)는, 반원통 형상의 드럼체(1)에 대응하여, 2개의 부품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거의 반원판 형상의 반원판부(50)와, 반원판부(50)의 외주측을 둘러싸는 플랜지부(54)를 갖고 있다.
반원판부(50)에 있어서, 2개의 수압부재(5)가 조합된 것의 중심부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반원 형상의 내연주부(51)가 형성되며, 내연주부(51)가 중심축(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한다.
수압부재(5)는, 반원통 형상의 플랜지부(54)의 외주부(53)를 드럼체(1)의 내벽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드럼체(1)에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54)에는, 나사용의 삽입통과공(55)이 마련되어 있다.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도 1의 수압부재(5)의 단면에 있어서의 표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수압부재(5)의 반원판부(50)에는,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부분원호 형상의 관통공(5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52)의 원호폭은 마쇄실(6) 내에서 소정 입경 미만으로 마쇄된 피마쇄물(a)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관통공(52)의 원호폭은, 드럼체(1)의 상류 측의 수압부재(5)로부터 하류 측의 수압부재(5)를 향하여 점차 작아져 있어도 좋다.
추가적으로, 수압부재(5)의 반원판부(50)나 플랜지부(54)에는, 도 2(b)의 부분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조, 프레스 성형 등으로 형성된 미세한 요철 패턴(57)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압부재(5)는 평판 구조를 갖고 있지만,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수압부재(5)가 임의의 곡면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면에서 보아서 콘의 중첩체 형상, 정면에서 보아서 주판알 형상 등의 임의의 정면에서 보아서 팽출 형상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수압부재(5)가, 측면에서 보아서 전체적으로 원판은 아니고, 타원판이라도 좋다. 또한, 여기서의 정면에서 보아서 및 측면에서 보아서라는 것은, 마쇄기의 정면에서 보아서 및 측면에서 보아서를 의미한다.
마쇄판(4), 수압부재(5)는, 적어도 어느 한쪽이 회전하면 좋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드럼체(1)가 고정되고, 중심축(2)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심축(2)이 회전하고, 중심축(2)에 설치된 마쇄판(4)이 회전하는 한편, 드럼체(1)에 설치된 수압부재(5)는 정지하고 있다.
도 6은, 수압부재와 마쇄판에 의한 마쇄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쇄판(4)은, 도 6에 나타내는 실선 위치로부터 180도 회전했을 때에는, 도 6의 파선에 나타내는 위치에 있으며, 그 후, 다시 실선 위치까지 돌아오도록 회전을 반복한다. 그동안 마쇄판(4)과 수압부재(5)가 접근한 좁은 영역(Rm)에 있어서, 피마쇄물(a)이, 마쇄판(4)과 수압부재(5)의 사이에서 강하게 눌려짐과 함께, 마쇄판(4)의 회전력에 의한 마찰력을 받는다. 그 결과, 피마쇄물(a)이 수압부재(5)나 마쇄판(4)에 문질러지거나, 혹은, 피마쇄물(a)끼리 서로 문질러짐에 의해, 피마쇄물(a)의 표면에 부착된 시멘트 등의 이물이 효율적으로 제거된다.
피마쇄물(a)은, 마쇄판(4) 및 수압부재(5)의 관통공(42, 52)이나, 수압부재(5)와 중심축(2)의 사이의 틈새(Sp1), 마쇄판(4)과 드럼체(1)의 사이의 틈새(Sp2)를 통과하여, 물(b)과 함께 하류 측에 보내진다.
이 때, 마쇄판(4)이나 수압부재(5)에 설치된 다수의 관통공(42, 52)의 엣지에 의해서도, 이물을 깎아내는 작용이 얻어지기 때문에, 이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마쇄기의 구조는, 도 1에 나타내는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수압부재(5)만을 회전시키고, 마쇄판(4)을 고정하여도 좋다.
그 경우, 드럼체(1)만을 회전시키게 되지만, 피마쇄물(a)이 드럼체(1)의 회전으로부터 받는 원심력으로 드럼체(1), 마쇄판(4), 수압부재(5)와 강하게 충돌하여도 드럼체(1)와 마쇄매체의 사이의 충돌과 같은 큰 소음은 생기지 않는다. 또한, 드럼체(1)의 회전에 의해, 피마쇄물(a)에 큰 원심력을 줄 수가 있으므로, 피마쇄물(a)과 수압부재(5)의 플랜지부(54)의 충돌에 의해 마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마쇄판(4), 수압부재(5)의 쌍방을 상대적으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좋다.
그 경우, 마쇄판(4)과 수압부재(5)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피마쇄물(a)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보다 높일 수 있으므로, 마쇄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5는, 수압부재(5)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 변형예와 관련되는 수압부재(5)에 있어서는, 플랜지부(54)가 도 2(b)에 나타내는 것보다도 광폭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각 마쇄실(6)의 중간점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부(54)를 광폭으로 함에 의해, 피마쇄물(a)이 충돌하는 플랜지부(54)의 내측면의 면적이 넓어지므로, 마쇄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5의 부분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압부재(5)의 반원판부(50)나 플랜지부(54)의 표면에는, 샌드블라스트 등에 의해 형성된 미세한 요철 패턴(57)이 형성되어 있다.
도 2(b)나 도 5에 나타내는 미세한 요철 패턴(57)에 의해, 피마쇄물(a)이 수압부재(5)의 표면에 경사 방향으로부터 충돌했을 때에, 수압부재(5)의 표면을 미끄러지지 않고 강하게 문질러지는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수압부재(5)에, 미세한 요철 패턴(57)을 마련함에 의해, 피마쇄물(a)의 마쇄 효율을 보다 높일 수가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마쇄판(4)에도, 미세한 요철 패턴을 마련하여, 피마쇄물(a)의 마쇄 효율을 보다 높이도록 하여도 좋다.
다만, 마쇄판(4), 수압부재(5) 중의 어느 것에서도, 반드시 미세한 요철 패턴을 마련할 필요는 없다.
또한, 도 2(b)나 도 5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수압부재(5)에도, 마쇄판(4)과 같은 볼록부나, 오목부에 의한 큰 요철 패턴을 형성하여도 좋다(후술하는 변형예 참조). 그 경우에도, 상술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마쇄판(4), 수압부재(5)의 구성 재료로서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범용의 강재, 합금강 등의 고경도의 철강 재료, 초경합금, 세라믹, 금속-세라믹의 복합재료 등이 있다. 마쇄 효율을 높이거나 내용 기간을 연장하거나 하기 위해서는, 보다 고경도의 재료가 바람직하다. 범용의 강재로 구성되는 마쇄판(4), 수압부재(5)의 표면을, 고경도의 재료로 코팅하는 등, 일부만을 고경도의 재료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것은, 후술하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스크린 부재 및 컨베이어 장치의 부분단면정면도이다.
스크린 부재(22)의 하부에는, 스크린 부재(22)의 그물눈을 빠져나간 비교적 소직경의 피마쇄물(a1)을 받는 안내 부재(82)와, 안내 부재(82)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전송장치(8)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전송장치(8)에는, 피마쇄물(a1)을 도 4의 지면의 후방으로 보내는 제1 컨베이어 장치(8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크린 부재(22)의 하류 측에는, 스크린 부재(22)의 그물눈을 빠져나가지 않고 보내져 온 비교적 대직경의 피마쇄물(a2)을 받는 제2 전송장치(9)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전송장치(9)에는, 피마쇄물(a1)을 도 4의 지면의 전방으로 보내는 제2 컨베이어 장치(91)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마쇄기의 하류 측 단부에 스크린 부재(22)를 마련하고, 마쇄된 피마쇄물을 용도에 따른 크기로 분별함에 의해, 마쇄 공정과 연속하여 분별 공정을 실시할 수가 있어 전체적인 능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스크린 부재(22)의 그물눈의 크기는, 최종적으로 얻으려고 하는 골재의 종류에 따라서 임의로 선택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자갈과 모래로 분별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5 ㎜정도의 크기의 그물눈을 채용할 수가 있다.
스크린 부재(22)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펀칭 메탈(강판)이 이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피마쇄물(a1, a2)을 각각 운반하는 컨베이어 장치(81, 91)를 배치함에 의해, 분별된 피마쇄물(a1, a2)을 용도로 나누어 수납하는 대형 용기를 마쇄기와 간섭하는 일 없이 배치할 수가 있다.
또한, 스크린 부재의 개수는, 2개 이상이어도 좋고, 그에 따라서, 3개 이상의 컨베이어 장치(전송장치)를 배치하여도 좋다.
다음에, 수압부재(5)의 또 다른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수압부재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로서, (a)는 1편의 사시도, (b)는 2편을 맞춘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2 변형예와 관련되는 수압부재(5)는, 도 3에 나타내는 마쇄판(4)과 유사 형상의 반원판부(50)를 갖고 있다. 즉, 반원판부(50)는 중심축(2)에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반원판부(50)에는,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볼록부(56)(요철 패턴)와,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부분원호 형상의 관통공(52)이 마련되며, 내연주부(51)가 중심축(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한다.
관통공(52)의 원호폭은, 소정 입경 미만으로 마쇄된 피마쇄물(a)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플랜지부(54)는, 제 1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광폭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플랜지부(54)의 외주부(53)가 드럼체(1)에 접촉한 상태에서, 수압부재(5)가 드럼체(1)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반원판부(50)가 중심축(2)에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수압부재(5)를 이용하는 경우, 마쇄판(4)은 중심축(2)에 직교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쇄판(4)이 평면 구조라도 곡면 구조라도 상관없지만,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수압부재(5)의 반원판부(50)와 거의 동일한 형상의 마쇄판(4)을 이용할 수가 있다.
도 8은, 수압부재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로서, (a)는 1편의 사시도, (b)는 2편을 맞춘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3 변형예와 관련되는 수압부재(5)는, 중심축(2)에 직교하는 반원판부(50)를 갖고 있다. 반원판부(50)에는,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볼록부(56)(요철 패턴)와,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부분원호 형상의 관통공(52)이 설치되며, 내연주부(51)가 중심축(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한다.
관통공(52)의 원호폭은, 소정 입경 미만으로 마쇄된 피마쇄물(a)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플랜지부(54)는, 제 1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광폭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플랜지부(54)의 외주부(53)가 드럼체(1)에 접촉한 상태에서, 수압부재(5)가 드럼체(1)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반원판부(50)가 중심축(2)으로부터 기울어져 있는 수압부재(5)를 이용하는 경우, 마쇄판(4)은 중심축(2)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쇄판(4)이 평면 구조라도 곡면 구조라도 상관없다.
도 9는, 수압부재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로서, (a)는 1편의 사시도, (b)는 2편을 맞춘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4 변형예와 관련되는 수압부재(5)는, 도 7에 나타내는 제2 변형예와 관련되는 수압부재(5)와 거의 동일 형상의 반원판부(50) 및 플랜지부(54)를 갖고 있다.
제4 변형예와 관련되는 수압부재(5)가 제2 변형예와 관련되는 수압부재(5)와 다른 점은, 중심축(2)에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반원판부(50)가 기울어져 있는 방향이 역방향이라는 것이다.
즉, 제 2 변형예와 관련되는 수압부재(5)가 중심축(2)에 직교하는 면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에 반하여, 제 4 변형예와 관련되는 수압부재(5)는 중심축(2)에 직교하는 면으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수압부재(5)의 기울기 방향이, 제 2 변형예, 제 4 변형예 중의 어느 것이라도, 피마쇄물(a)의 이동은 원활히 행해져서 마쇄처리에 불편이 생길 일은 없다.
제4 변형예와 관련되는 수압부재(5)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마쇄판(4)은 중심축(2)에 직교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쇄판(4)이 평면 구조라도 곡면 구조라도 상관없지만,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수압부재(5)의 반원판부(50)와 거의 같은 형상의 마쇄판(4)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각 변형예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듯이, 마쇄판(4)과, 수압부재(5)의 반원판부(50)의 구조나 재료는 서로 같아도 좋다. 또한, 마쇄판(4)과, 수압부재(5)의 반원판부(50)가, 중심축(2)에 직교하든지, 혹은 직교면으로부터 기울어져 있든지, 교체로 채용하여도 괜찮고, 양자 모두 기울어져 있어도 좋다.
또한, 양자 모두 기울어져 있지 않아도 좋지만, 적어도 마쇄판(4)과 수압부재(5)의 사이에, 피마쇄물(a)을 사이에 끼워 넣는 좁은 영역(Rm)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모든 마쇄판 및 수압부재는, 후술하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채용할 수가 있다.
다음에, 마쇄기의 전체 구조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전체 구조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마쇄기의 부분단면정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와 관련되는 마쇄기는, 피마쇄물(원료)을 투입하는 호퍼(71)를 드럼체(1)의 중앙부에 구비하고, 드럼체(1)의 좌우에, 배출용 호퍼(21)와, 스크린 부재(22)와, 모터(M)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한쪽(도면의 우측)의 스크린 부재(22)를 회전하기 위해서, 중심축(2)과는 분리된 스크린 회전축(2a)을 구비하고 있으며, 중심축(2)과 스크린 회전축(2a)은, 베어링 부재(18)에 의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모터(M)를 중심축(2)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하고, 좌우의 모터(M)를 동기시켜 회전함에 의해, 좌우의 스크린 부재(22)를 중심축(2)과 함께 회전시키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중심축(2)과 스크린 회전축(2a)은 일체로 한다.
이 변형예의 구조에 의하면, 원료를 드럼체(1)의 중앙으로부터 투입하여, 좌우의 스크린 부재(22)로부터 배출함에 의해, 처리 능력을 대폭(약 2배)적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마쇄기의 단면정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마쇄기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마쇄기와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마쇄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의 마쇄기는, 도 10의 마쇄기와 마찬가지로, 피마쇄물(원료)을 투입하는 호퍼(71)를 드럼체(1)의 중앙부에 구비하고, 드럼체(1)의 좌우에, 배출용 호퍼(21)와, 스크린 부재(22)와, 모터(M)를 구비하고 있다.
스크린 부재(22)의 하류 측에는, 스크린 부재(22)의 그물눈을 빠져나가지 않고 보내져 온 비교적 대직경의 피마쇄물을 받는 제2 전송장치(9)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전송장치(9)에는, 피마쇄물을 도 11의 지면의 전방으로 보내는 제2 컨베이어 장치(9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스크린 부재(22)의 하부에는, 도 4와 마찬가지로, 스크린 부재(22)의 그물눈을 빠져나간 비교적 소직경의 피마쇄물을 받는 안내 부재와, 안내 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전송장치를 배치할 수가 있다.
복수의 마쇄판(4)은, 중심축의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드럼체(1)의 내부를 축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마쇄실(6)로 구획하고 있다. 각 마쇄판(4)은, 중심축(2)에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각도(β)(도 12 참조)로 기울어져 있으며, 중심축(2)과 함께 회전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각 마쇄판(4)은 서로 거의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마쇄판(4)의 경사 방향은, 드럼체(1)의 우측절반과 좌측절반에서 역방향이 되어 있지만, 동일 방향으로 하여도 좋다.
각 마쇄실(6)에는, 제 1 실시형태의 마쇄기와 마찬가지로, 마쇄매체(볼 등)가 없다.
복수의 수압부재(5)는, 각 마쇄실(6)에 배치되며, 각각 중심축(2)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수압부재(5)는, 마쇄판(4)과 대향하는 면이 대략 원추대 형상이 되도록, 중심축(2)에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경사면(51B)을 갖고 있다. 수압부재(5)의 형상에 대하여 다른 표현을 하면, 수압부재(5)는 콘의 중첩체(2개의 콘(원추대)의 저면끼리를 맞춘 형상), 혹은 주판알의 형상을 갖고 있다.
경사면(51B)의 중심축(2)에 대한 기울기각(α)의 크기는, 마쇄판(4)의 중심축(2)에 대한 기울기각(β)의 크기와 거의 같다.
마쇄판(4)은, 중심축(2)에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으며, 중심축(2)과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마쇄판의 회전운동의 궤적은 8자형이 된다. 즉, 마쇄판(4)은, 도 12의 실선 위치로부터 180도 회전했을 때에는 가상선(이점쇄선)의 위치가 되며, 그 후, 다시 실선 위치로 돌아가도록, 실선 위치와 가상선 위치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회전한다.
여기서, 경사면(51B)의 중심축(2)에 직교하는 면에 대한 기울기각(α)의 크기와, 마쇄판(4)의 중심축(2)에 직교하는 면에 대한 기울기각(β)의 크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마쇄판(4)이 8자형의 궤적을 그려 회전했을 때, 마쇄판(4)의 표면과 수압부재(5)의 경사면(51B)이 항상 평행하게 대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마쇄판(4)이 도 12의 실선의 위치에 있을 때, 마쇄판(4)의 표면(44)과 경사면(51B)이 평행하게 대향하고, 도 12의 가상선의 위치에 있을 때, 마쇄판(4)의 표면(45)과 경사면(51B)이 평행하게 대향한다.
이에 의해, 마쇄판(4)이 회전하고 있는 동안, 피마쇄물은 마쇄판(4)의 표면(44) 또는 (45)와 수압부재(5)의 표면(경사면)과의 사이에서 문질러진다. 수압부재(5)의 표면과의 사이에서는, 마쇄판(4)은 선풍기의 날개처럼 8자 형으로 회전하므로, 마쇄판(4)이 1 회전하면, 수압부재(5)와 마쇄판(4)과의 사이에서 피마쇄물에 대하여 4회의 서로 문지르는 작용이 생기게 되어, 마쇄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마쇄판(4)은, 회전시에, 마치 선풍기처럼 바람을 발생시킨다. 도 13은, 마쇄판(4)을 선풍기에 비유하여 그린 이미지도이다. 마쇄판(4)이 회전시에 선풍기처럼 바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도 13중의 우측 방향 화살표 참조), 피마쇄물을 드럼체내에서 원활히 이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피마쇄물이 수압부재(5)에 설치된 관통공을 통과하기 쉬워진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수압부재(5)를 나타내는 도로서, (a)는 단면도, (b)는 우측절반이 (a)도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좌측절반이 (a)도의 B-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수압부재(5)는, (a)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서 콘의 중첩체 형상, 혹은 정면에서 보아서 주판알 형상이다. 또한, 여기서의 정면에서 보아서 및 측면에서 보아서라는 것은, 마쇄기의 정면에서 보아서 및 측면에서 보아서를 의미한다.
수압부재(5)는, 드럼체(1)의 내면에 고정된 설치부재(20)에 대하여 설치됨에 의해, 드럼체(1)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설치부재(20)는, 드럼체(1)의 내벽 하면에 볼트 고정된 고정부(20a)와, 이 고정부(20a)로부터 상방으로 그리고 중심축(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연장부(20b)로 이루어진다. 연장부(20b)의 상단부는, 드럼체(1)의 내벽 표면의 근방까지 이르고 있다.
수압부재(5)는, 중심축(2)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거의 반원형인 2개의 부재(상반부분의 반원형의 부재와, 하반부분의 반원형의 부재)를 조합하여 원형이 되어 있다. 이 원형의 중심부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중심축(2)을 삽입통과하기 위한 중심공(57)이 형성되어 있다.
수압부재(5)에는,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부분원호 형상의 관통공(52B)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52B)의 원호폭은 마쇄실(6) 내에서 소정 입경 미만으로 마쇄된 피마쇄물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관통공(52B)의 원호폭은, 드럼체(1)의 상류 측의 수압부재(5)로부터 하류 측의 수압부재(5)를 향하여 점차 작아져도 좋다. 연장부(20b)에도 관통공 및 중심공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의 형상 및 배치는, 관통공(52B) 및 중심공(57)의 형상 및 배치와 각각 일치하고 있다.
수압부재(5)에는, 볼트 삽입통과공(58)이 마련되어 있다. 수압부재(5)의 내부에 설치된 홈에 설치부재(20)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볼트 삽입통과공(58)에 볼트를 삽입통과하여 너트로 단단히 조임에 의해, 설치부재(20)에 대하여 수압부재(5)가 고정된다.
도시예에서는, 수압부재(5)의 복수 개소에 깊은 구멍을 마련하고, 각 깊은 구멍에 볼트 삽입통과공을 가지며 그리고 깊은 구멍에 합치하는 형상의 스페이서(59)를 끼워넣고 있다. 설치부재(20)를 한 쌍의 스페이서(59)의 사이에 둔 상태에서 볼트를 삽입통과하여 너트로 단단히 조임에 의해, 설치부재(20)에 대하여 수압부재(5)를 고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볼트나 너트가 수압부재(5)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일이 없고, 피마쇄물에 의한 볼트, 너트의 마모가 방지된다.
수압부재(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서 콘의 중첩체 형상, 혹은 정면에서 보아서 주판알 형상이며, 외주연으로부터 중심공(57)으로 향함에 따라서 두께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의해, 수압부재(5)는, 마쇄판(4)과 대향하는 면이 대략 원추대 형상이 되도록, 중심축(2)에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경사면(51B)을 가지게 된다.
제2 실시형태의 수압부재(5)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마쇄기에 대하여도 채용할 수가 있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마쇄판을 나타내는 도로서, (a)는 사시도, (b)는 단면도이다. 또한, 이 마쇄판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마쇄기에서도 채용 가능하다.
이 마쇄판(4)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다.
마쇄판(4)은, 2개의 반원형 곡면판을 맞춘 거의 원형의 구조를 가지며, 그 중심에는 중심축(2)이 삽입통과되는 구멍을 갖는 원통체(46)가 고정되어 있다. 원통체(46)는 마쇄판(4)에 대하여 기울어져 고정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원통체(46)를 중심축(2)에 대하여 설치하였을 때, 마쇄판(4)은 중심축(2)에 직교하는 면으로부터 기울어져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원통체(46)는, 도 3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도 3에 나타낸 마쇄판에도 설치할 수가 있다.
마쇄판(4)에는,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부분원호 형상의 관통공(42)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공(42)의 원호폭은, 소정 입경 미만으로 마쇄된 피마쇄물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관통공(42)의 원호폭은, 드럼체(1)의 상류 측의 마쇄판(4)으로부터 하류 측의 마쇄판(4)을 향하여 점차 작아져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쇄판(4)은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도록 파형의 곡면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파형의 곡면 구조라는 것은, 표면측인 산부는 이면측에서는 골부가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예에서는, 산과 골이 각각 4개씩 나타나도록 파형이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주위 방향을 따라서 4면의 S자형의 면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마쇄판(4)이 1회전하면, 수압부재(5)의 표면과의 사이에 4회의 서로 문지르는 작용이 생기게 된다.
다만, 마쇄판(4)은 평면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마쇄판(4)이, 전체적으로 원판이 아니고 타원판이라도 좋다.
마쇄판(4)의 외연부에는, 외연부를 따르도록 원환 형상 부재(47)가 설치되어 있다.
도 16은, 배출구 면적 가변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로서, (a)는 배출구의 면적을 크게 한 상태, (b)는 배출구의 면적을 작게 한 상태이다.
배출구 면적 가변 기구(10)는, 드럼체(1)로부터 피마쇄물을 배출하는 배출구(11)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한 기구이다.
배출구(11)는 드럼체(1)의 양단부의 하부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배출구(11)로부터 배출된 피마쇄물은 스크린 부재(22)로 보내진다.
배출구 면적 가변 기구(10)는, 유압 실린더(12)와, 이 유압 실린더(12)의 로드의 신축에 따라서 왕복 이동하는 뚜껑판(13)을 구비하고 있다.
유압 실린더(12)의 로드가 단축하면, 뚜껑판(13)은 하부로 이동하고,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구(11)의 면적(뚜껑판(13)에 의해 덮이지 않은 부분의 면적)이 커진다. 한편, 유압 실린더(12)의 로드가 신장하면, 뚜껑판(13)은 상방으로 이동하고,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구(11)의 면적(뚜껑판(13)에 의해 덮이지 않은 부분의 면적)이 작아진다.
이와 같이, 배출구(11)의 면적을 조정함에 의해, 피마쇄물의 드럼체내에서의 체류 시간(마쇄처리 시간)이 조정되어, 피마쇄물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한 마쇄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의 마쇄기에 있어서의 수압부재(5) 및 제2 실시형태의 마쇄기에 있어서의 수압부재(5)를 없이 할 수도 있다.
수압부재를 없앤 경우, 수압부재가 있는 경우에 비하면 마쇄 효율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지만, 피마쇄물은 드럼체의 내면이나 마쇄판의 표면에 문질러져서, 혹은 피마쇄물끼리 문질러져서 마쇄되게 된다.
이 경우, 마쇄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수압부재가 있는 경우에 비해 마쇄판의 배치 간격(피치)을 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되는 마쇄기의 실시예를 나타냄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명확한 것으로 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는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콘크리트용 재생세골재의 제조>
제2 실시형태의 마쇄기(도 11 ~ 도 16)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폐재료(콘크리트껍질)의 마쇄처리를 실시하고, 마쇄처리 후의 골재의 특성을 조사했다. 결과를 하기의 표에 나타낸다.
하기의 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쇄처리 후의 골재는, 모든 시험 항목에 대하여 JIS의 규격치를 만족시키고 있었다.
시험항목 규격치 시험치
표건밀도(JIS A 1110) - 2.66
흡수율(JIS A 1110) 3.0%이하 1.25
절건밀도(JIS A 1110) 2.5g/cm3이상 2.63
미립분량(JIS A 1103) 7.0%이하 4.4
단위용적질량(JIS A 5005) - 1.78
입형판정실적율을 위한 단위용적질량(JIS A 5005) - 1.50
입형판정실적율(JIS A 5005) 55%이상 57.0
알칼리실리카 반응성 시험(신속법 JIS A 1804-200) - 무해로 판정
스크린 분류 시험(JIS A 1102)
스크린 눈의 틈(㎜) 누가잔류질량(g) 잔류백분율(%) 통과백분율(%)
10 0 0.0 100.0
5 0 0.0 100.0
2.5 150 28.8 71.2
1.2 260 49.7 50.3
0.6 341 65.3 34.7
0.3 429 82.0 18.0
0.15 510 97.6 2.4
521 100.0
조립율(粗粒率) 3.24
본 발명과 관련되는 마쇄기는, 예를 들면 콘크리트 폐재료나 아스팔트 폐재료로부터 재생 골재를 얻기 위해, 혹은 천연 골재중에 포함되는 연석(軟石) 처리를 위해서 이용된다.
a : 피마쇄물 b : 물
1 : 드럼체 2 : 중심축
22 : 스크린 부재 4 : 마쇄판
41 : 중심공 42 : 관통공
44 : 마쇄판의 표면 45 : 마쇄판의 표면
5 : 수압부재 50 : 반원판부
51 : 내주연부 52 : 관통공
54 : 플랜지부 51B : 경사면
6 : 마쇄실 8 : 제1 전송장치
81 : 제1 컨베이어 장치 9 : 제2 전송장치
91 : 제2 컨베이어 장치 10 : 배출구 면적 가변 기구
11 : 드럼체의 배출구
α : 경사면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면에 대한 기울기각
β : 마쇄판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면에 대한 기울기각

Claims (2)

  1. 한 부로부터 거두어 들인 피마쇄물을 다른 부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통 형상의 드럼체와,
    상기 드럼체 내를 그 통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축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드럼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마쇄실로 구획하는 복수의 마쇄판을 구비하며,
    상기 드럼체 및 상기 마쇄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회전하고,
    상기 드럼체 내에서 구름 운동하면서 상기 피마쇄물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피마쇄물을 마쇄하는 마쇄매체를 갖지 않으며,
    상기 마쇄판은 상기 중심축에 직교하는 면에 대해 기울어져 있고,
    상기 마쇄판은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도록 파형의 매끄러운 곡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피마쇄물은 상기 드럼체의 내면이나 상기 마쇄판의 표면에 문질러져서, 혹은 상기 피마쇄물끼리 문질러져서 마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체에 설치된 수압부재(受壓部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쇄기.
KR1020187010620A 2011-03-31 2011-07-29 마쇄기 KR101944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1/058296 2011-03-31
PCT/JP2011/058296 WO2012131998A1 (ja) 2011-03-31 2011-03-31 摩砕機
PCT/JP2011/067554 WO2012132041A1 (ja) 2011-03-31 2011-07-29 摩砕機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281A Division KR101850845B1 (ko) 2011-03-31 2011-07-29 마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742A KR20180040742A (ko) 2018-04-20
KR101944430B1 true KR101944430B1 (ko) 2019-02-01

Family

ID=4692981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152A KR101724432B1 (ko) 2011-03-31 2011-07-29 마쇄기
KR1020187010620A KR101944430B1 (ko) 2011-03-31 2011-07-29 마쇄기
KR1020177008281A KR101850845B1 (ko) 2011-03-31 2011-07-29 마쇄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152A KR101724432B1 (ko) 2011-03-31 2011-07-29 마쇄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281A KR101850845B1 (ko) 2011-03-31 2011-07-29 마쇄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27742B2 (ko)
JP (1) JP5825646B2 (ko)
KR (3) KR101724432B1 (ko)
WO (2) WO20121319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1998A1 (ja) * 2011-03-31 2012-10-04 有限会社大東土木 摩砕機
NL2010588C2 (en) * 2013-04-08 2014-10-16 Konink Bam Groep Nv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reclaimed asphalt aggregates and use thereof in the production of an asphalt composition.
DE102015101476A1 (de) * 2015-02-02 2016-08-04 Netzsch-Feinmahltechnik Gmbh Rührwerkskugelmühle und mahlscheibe für rührwerkskugelmühlen
JP6096867B2 (ja) * 2015-11-20 2017-03-15 有限会社大東土木 コンクリートガラから高品質の再生骨材を製造する方法に適用する摩砕機
US20190168232A1 (en) * 2016-11-21 2019-06-06 Thomas Joseph Bruggemann Multi-Purpose Plant Flower Trimmer and Separator
US20170197217A1 (en) * 2016-11-21 2017-07-13 Thomas Bruggemann Dual Purpose Female Cannabis Seedless Flower Bud Trimmers, Kief Separators and Methods
MX2019008669A (es) * 2017-01-26 2019-09-13 Outotec Finland Oy Mejoras en molinos de lecho agitado.
DE112018006694T5 (de) 2017-12-28 2020-09-10 Denso Corporation Rotierende elektrische Maschine
CN111566904B (zh) 2017-12-28 2023-04-28 株式会社电装 旋转电机
CN109580349B (zh) * 2018-12-12 2021-06-22 中咨公路养护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沥青冷补混合料性能试验装置及试验方法
KR102205909B1 (ko) * 2019-10-11 2021-01-20 박만선 해조 찌꺼기 처리장치
CN113413972A (zh) * 2021-05-19 2021-09-21 周小飞 一种三筒双向阶梯式球磨机
CN113798019B (zh) * 2021-09-16 2023-09-29 安徽开林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钢铁表面修复剂生产用粉体碾磨筛粒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1125B1 (ja) * 2001-07-06 2002-02-25 有限会社大東土木 摩砕機
KR101724432B1 (ko) * 2011-03-31 2017-04-07 다이토 도보쿠 엘티디 마쇄기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15156A (fr) * 1961-12-06 1963-01-18 Machine à broyer et disperser des particules de matiere dans un liquide
US3404846A (en) * 1962-10-09 1968-10-08 Nordberg Manufacturing Co Autogenous grinding mill
GB1037350A (en) * 1965-05-04 1966-07-27 Smidth & Co As F L Method of making a slurry and compartment mill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3441226A (en) * 1965-07-19 1969-04-29 Camillo Bargero Cylindrical mill for grinding cement
GB1373285A (en) * 1972-05-10 1974-11-06 Smidth & Co As F L Tube mills
GB1478426A (en) * 1975-11-20 1977-06-29 Smidth & Co As F L Tube mills for drying and grinding
FI66441C (fi) * 1983-02-01 1984-10-10 Ahlstroem Oy Anordning foer behandling av ett fibrigt material
US4498634A (en) * 1983-09-01 1985-02-12 Fuller Company Division head for grinding mill
JPS6171846A (ja) * 1984-09-17 1986-04-1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磨砕物粒形調整装置
HU199314B (en) * 1986-10-21 1990-02-28 Belgorodskij Ti Str Material Ball tube mill
HU200288B (en) * 1986-11-14 1990-05-28 Belgorodskij Ti Str Material Deodorants, deodorant sheets, fi
EP0319579B1 (de) * 1987-01-23 1991-03-20 Belgorodsky Tekhnologichesky Institut Stroitelnykh Materialov Imeni I.A.Grishmanova Kugelrohrmühle
US5174512A (en) * 1988-12-16 1992-12-29 Snamprogetti S.P.A. Grinding process and a continuous high-capacity micronizing mill for its implementation
JPH0466132A (ja) * 1990-07-06 1992-03-02 Daikin Ind Ltd 粉体機械
CN1043014C (zh) * 1990-11-13 1999-04-21 国家建筑材料工业局合肥水泥研究设计院 管磨机
JPH0763643B2 (ja) * 1991-03-29 1995-07-12 株式会社栗本鐵工所 ボールミルの複合中仕切
JP2003073153A (ja) * 2001-09-03 2003-03-12 Ube Ind Ltd 焼却灰の処理方法
DE50212715D1 (de) * 2001-11-29 2008-10-09 Polysius Ag Rohrmühle sowie verfahren zum zerkleinern von stückigem mahlgut
JP2003190827A (ja) * 2001-12-27 2003-07-08 Daito Doboku:Kk 再生骨材の製造方法
JP2005279593A (ja) * 2004-03-30 2005-10-13 Ohashi Hiroyuki 破砕機における破砕物の粒度調整方法、破砕機及び破砕作業車
JP2006205118A (ja) * 2005-01-31 2006-08-10 Daito Doboku:Kk 摩砕機及び摩砕機用仕切板
JP3945717B1 (ja) 2006-10-23 2007-07-18 有限会社大東土木 摩砕機及び摩砕機用仕切板
JP2010125446A (ja) 2008-12-01 2010-06-10 Daito Doboku:Kk 摩砕機
JP4959857B1 (ja) * 2011-03-31 2012-06-27 有限会社大東土木 摩砕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1125B1 (ja) * 2001-07-06 2002-02-25 有限会社大東土木 摩砕機
KR101724432B1 (ko) * 2011-03-31 2017-04-07 다이토 도보쿠 엘티디 마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27742B2 (en) 2016-08-30
JP5825646B2 (ja) 2015-12-02
KR20180040742A (ko) 2018-04-20
KR101850845B1 (ko) 2018-04-20
KR20140034141A (ko) 2014-03-19
KR101724432B1 (ko) 2017-04-07
JPWO2012131998A1 (ja) 2014-07-24
KR20170037687A (ko) 2017-04-04
WO2012131998A1 (ja) 2012-10-04
US20140008473A1 (en) 2014-01-09
WO2012132041A1 (ja)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430B1 (ko) 마쇄기
US4611765A (en) Roller mill
JP2011045809A (ja) 摩砕機
AU2010300248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inuting ore
JP5847206B2 (ja) 再生骨材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り得られる再生骨材
EP0286758A2 (en) Screw mill
JP6051280B2 (ja) 摩砕機
JP6503041B2 (ja) 摩砕機
JP3086248B2 (ja) 分散装置
JP3980152B2 (ja) 擂潰装置および擂潰物
JP4959857B1 (ja) 摩砕機
JP6536833B2 (ja) 摩砕機
JP6236136B2 (ja) 摩砕機
JP7131856B2 (ja) 摩砕機を用いた摩砕方法
JP6850498B2 (ja) 摩砕機
JP6598170B2 (ja) 摩砕機
JP6598169B2 (ja) 摩砕機
CN212263509U (zh) 一种饲料粉碎装置
US11759788B2 (en) Grinding apparatus
RU2164815C1 (ru) Способ измельчения твердых материалов и измель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4476771B2 (ja) 竪型粉砕機
JP6096867B2 (ja) コンクリートガラから高品質の再生骨材を製造する方法に適用する摩砕機
JP2000354773A (ja) 研米装置及び研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