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839B1 -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839B1
KR101919839B1 KR1020180078706A KR20180078706A KR101919839B1 KR 101919839 B1 KR101919839 B1 KR 101919839B1 KR 1020180078706 A KR1020180078706 A KR 1020180078706A KR 20180078706 A KR20180078706 A KR 20180078706A KR 101919839 B1 KR101919839 B1 KR 101919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zyme
weight
composition
liver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수
이종철
김성태
이현정
임철승
강지희
서해진
이정연
김형옥
정원영
유재식
김수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미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미양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미양행
Priority to KR1020180078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8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뚜라미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시호 추출물, 칡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및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간손상 억제 효과가 있고, 간염 지수를 낮추어 각종 간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로 이용가능하며, 알코올 분해 효과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음주 후 다음날의 두통, 구토증상 등을 완화하여 음주 전/후에 복용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로도 용이하게 이용가능하다.

Description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hepatoprotective and ameliorating hangover containing cricket material enzyme-decomposed with Alcalase}
본 발명은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당질, 단백질, 지방을 대사하는 중심기관이며, 체내에 들어온 물질을 산환, 환원, 가수분해 및 포합반응을 통해 체내로 배설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그러나 간질환이 초기단계에서 통증이나 자각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고 상당히 악화되어서야 발견되어 간은 ‘침묵의 장기’로도 알려져 있다.
간질환이 악화된 상태의 징후로는 변비, 과민성 대장 증후군 또는 변의 색과 변이 등이 있으며, 간 손상이 있는 환자는 지속적인 구토가 있을 수 있고, 급격한 체중 저하를 초래하는 등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간 기능 장애로 인해 신체의 단백질 생성 및 순환 능력이 저해된 체액이 중력에 의해 하체로 내려가 다리, 발목 및 발의 부종과 같은 순환기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피로감과 만성피로, 기억력 감퇴 등의 간 손상의 가장 흔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심각한 간 손상 시에 나타나는 징후로는 혈액과 체내의 알부민과 단백질의 수치가 높게 유지됨에 따라 복부에서 유체(복수) 축적을 일으켜 복부가 부어오르는 현상이 있으며, 갑자기 노란 빛을 띠는 피부와 눈도 간 손상의 징후이다. 또한 오른쪽 위 복부 혹은 흉곽 우측 하단 부분의 통증(간의 통증)이 있을 수 있고, 혈류에서 증가된 빌리루빈 수치로 인해 소변이 짙은 노란색으로 변할 수 있으며, 피부의 간지러움이나 박리(벗겨짐)가 발생되기도 한다.
간 손상의 원인에는 간염바이러스(A, B, C 등), 알코올(음주), 그리고 비알코올성 지방간, 약물 또는 독성 간염 등이 대부분이고, 그 외에 드문 원인들이 있다. 건겅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최근 국내 알코올성 간질환으로 발생되는 치료비용은 매년 급증하는 추세다. 또한 국내 한 생명보험사의 통계를 분석해 봐도 시망원인 중 알코올성 간질환 사망자가 10년 전과 비교해 7배로 급증했다. 지속적인 알코올 섭취로 인해 유발되는 알코올성 간질환은 국내를 비롯한 전 세계적인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특히 알코올성 지방간 및 간염이 지속되면 간 섬유화 및 간 경변으로 더 이상 회복을 기대할 수 없는 단계에 이르게 되어 간 이식만이 유일한 치료방법으로 남게 된다.
한편, 국립암센터 통계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간염 바이러스 보균자의 60~70%가 B 형 간염보균자이며, 특히 간암 환자의 75%가 B형 간염보균자이고, 전체인구의 5~10%가 만성 B형 간염바이러스 보균자라는 통계도 있으며, B형 C형 간염바이러스 및 다양한 간의 만성질환은 세계적으로 가장 빈도가 높은 악성종양인 간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종래 간질환 치료제로는 현재 간 기능 보조제, 항바이러스제, 간세포 촉진제, 면역억제제, 섬유화억제제, 비페닐디메틸디카르복실레이트, 인터페론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낮은 치료 효과와 높은 부작용 및 이를 보완하기 위한 이들 약의 병용투여는 치료효과만 증대되는 것이 아니라 부작용도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로부터 간 기능 개선용 기능성 원료 개발연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20세 이상 성인 남자의 음주율은 83.3%로 매우 높고 여성의 음주율 또한 54.9%로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잘못된 음주 문화로 인하여 과음에 심각하게 노출되어 있다. 알코올의 과다 섭취로 인한 피해는 간질환을 비롯하여 각종 질환의 병인이 됨은 물론 개인, 가정, 사회의 정서와 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국가적으로 막대한 경제, 사회적 손실을 야기하고 있다.
지나친 과음은 여러 형태의 부작용을 가져오는데, 예로 갈증, 전신권태, 피로감, 기억상실, 복부팽만감, 소화불량, 구토, 설사, 비타민 결핍현상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고, 알코올 중독에 걸릴 위험성도 그만큼 증가된다.
간 질환 중에서 만성적인 음주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은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알코올성 간경변으로 크게 나누어지지만 한 사람에게서 순수한 한 가지 병만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고, 각 병이 개인마다 다양한 정도로 나타나게 된다. 미국에서는 가장 흔한 간 경변의 원인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바이러스성 간염 다음으로 흔한 간경변의 원인이기도 하다.
정상적인 알코올 대사과정은 알코올이 섭취되는 경우, 위장, 또는 소장에서 흡수되어 그 중 10%는 호흡, 땀, 소변 등으로 배설되고, 나머지 90%의 알코올은 혈관 중에 들어가 간에서 대사된다(M. Nakanishi; Saishin Igaku, 31, p2086, 1976). 이어서 간세포에 존재하는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가 알코올을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시키고, 아세트알데히드는 간세포에서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에 의하여 아세트산으로 분해되어 전신의 근육이나 지방 조직으로 옮겨서 최종적으로는 탄산가스와 물로 분해된다. 그러나 이러한 분해 대사과정에서 과음으로 인해 알코올 대사의 이상이 오면 대사되지 못한 혈중 알코올농도가 높아지고 아세트알데히드가 축적되어 뇌혈관 수축 현상이 발생하여 머리가 무겁고 두통이나 속쓰림 등의 숙취현상(hangover)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편, 천연물로부터 인간의 질병을 예방, 치료하거나 각종 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신물질을 탐색하는 것은 과거부터 많은 과학자들의 연구대상이 되어왔다. 이와 같은 천연자원의 개발을 통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의약품의 50% 이상이 천연물로부터 유래되었으며 미국 FDA로부터 승인된 천연물 의약품도 120종 가량으로 이들의 시장규모는 약 10조 달러에 이르고 있다. 항 간독성 활성을 갖는 천연물의 탐색 및 개발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 치료제로 사용 중이거나 임상시험을 거친 예는 소수에 불과하다. 동의보감, 천연물 대사전 및 그 외 서적에 수록된 생식할 수 있는 간 건강 관련 천연물로는 간 독성 정화기능이 있는 사과, 간 해독기능이 있는 브로콜리, 간 보호기능이 있는 황태, 지방간 예방효과가 있는 표고버섯, 간 기능 향상기능이 있는 양배추, 간세포 재생기능이 있는 두부 등이 있으며, 손상된 간세포의 재생을 위해서는 충분한 단백질 공급도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 건강에 도움을 주는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로는 밀크씨슬 추출물, 브로콜리스프라우트분말, 표고버섯균사체추출물, 복분자 추출분말, 도라지 추출물 등이 있고 알코올성 손상으로부터 간 보호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원료는 헛개나무과병 추출물과 유산균 발효 다시마 추출물 등이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처, 2017).
간 보호용 조성물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7957호(구기자로부터 분리된 간 보호활성을 갖는 신규 피롤유도체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3851호(가열건조처리 된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 또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6499호(헛개나무 어린가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 효과용 식품 조성물), 굼벵이의 간 독성회복효과(전정수 외, 한국잠사학회지; 50(2), p93, 2012), 장수풍뎅이의 간 보호 및 간세포 재생 효과(이은지 외, 생명과학회지; 25(3), p307, 2015), 귀뚜라미의 간 보호효과(안미영 외, 한국식품과학회지; 34(4), p684, 2002) 등이 있다.
숙취해소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81995호(배합식품에 의한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제와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64151호(헛개나무로부터 분리된 간독성 및 숙취해소 활성을 갖는 저급알코올 불용성 추출 분획 및 다당체 물질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등의 특허에 쌀눈엑스(구루메), 오리나무, 참나무 목초액, 갈화, 밀크씨슬 추출물 등의 여러 가지 식물에서 기원한 제제들이 숙취에 효능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긴 하지만, 이들은 음주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변화들 중에서 일부 항목에만 효과가 있거나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간 건강에 관련된 기능식품 개발 방향은 간 건강 유지에 도움을 주는 단일 천연물을 원료로 하는 식품 보다는 간 질환을 유발하는 각각의 요인에 대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천연물을 복합한 제제개발이 유리하며, 이를 위해서는 많은 천연물을 대상으로 하여 간 질환 요인별 활성 평가가 필요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한약재로 자주 이용되어 왔던 곤충 일부가 식품원료소재로 인정되면서 곤충을 소재로 하는 기능성식품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는 귀뚜라미과에 속하며 불완전 변태하는 곤충이다. 귀뚜라미는 세계적으로 약 800종이 알려져 있고, 한국에는 40종정도가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쌍별귀뚜라미는 식품원료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정하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귀뚜라미가 해열제, 이뇨제, 신경마비, 소변불통, 부인난산치료에 특효하다고 알려져 왔다. 쌍별귀뚜라미는 단백질 함량이 많으며, 오메가3 및 오메가6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어 뇌혈류 개선에 도움이 되는 EPA성분과 신경전달물질인 DHA로 인하여 성장기 어린이들의 두뇌발달과 치매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알코올 분해효소로 인해 알코올 분해 대사를 촉진시켜 간을 보호하고, 항 피로, 과산화지질 체내 축적 등을 방지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는 딱정벌레목 거저리과 곤충의 일종이다. 갈색거저리는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다. 갈색거저리 유충의 영양성분으로는 건조중량 대비 단백질 45~57%, 지방 25~34%, 탄수화물 8~11 % 정도로 높아 전 세계적으로 미래식량자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최근 갈색거저리의 약리 효능 평가연구에서 항산화 활성, 다식세포의 항염증 효과, 암세포에 대한 독성 및 항암활성 증대 효과 등이 보고되어져 있다.
시호(Bupleurum falcatum)는 산형과에 속한 여러해살이식물로 간의 기운을 원활히 소통시키는 효능이 있고, 간경과 담경에 작용하므로 간기를 정상화시키고 울체된 것을 해소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호의 주요 성분인 Saikosaponin D는 약리 효능으로 간 손상 억제. 뇨단백 배설억제, 혈중 콜레스테롤 증가억제, 혈중과 부신 내에서 corticosterone의 증가가 보고되어 있고, 또한 시호 추출물에서 VCAM-1/VLA-4 활성 저해 및 간장 손상 회복 효과가 보고된 바 있고, 간에 작용하는 효능이 있는 가미온담탕, 시호가용골모려탕 등의 처방에 사용된다.
칡(Pueraria thunbergiana)은 여러해살이식물로서 겨울에도 얼어 죽지 않고 대부분의 줄기가 살아남는다. 줄기는 매년 굵어져서 굵은 줄기를 이루기 때문에 나무로 분류된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갈근(葛根)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발한·해열 등의 효과가 있다. 카테킨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간기능 향상, 간기능 회복, 숙취해소 및 해독작용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헛개나무(Hovenia dulcis)는 갈매나무과의 낙엽교목이다. 헛개나무는 간에 쌓여있는 독소를 해독해주고, 여러 종류의 각종 간질환 예방에 좋은 식품으로 간 기능 저하로 인하여 잦은 피로감, 지방간, 황달, 숙취해소, 간 기능 향상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간 해독에 좋은 식품이다.
울금(Curcuma longa)은 생강과에 속하는 식물이다. 울금에는 황색색소 Curcumin을 비롯해서 Turmerone, zingiberene, 담즙분비작용이 있는 PTMC 등의 성분이 들어 있다. 최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를 종합하면 간장해독 촉진, 담즙분비촉진, 담도결석 제거, 강심, 이뇨, 항 출혈, 항균, 항궤양, 혈중콜레스테롤 억제 등이 알려졌고 간염, 특히 만성 C형, 담도염, 황달, 위염, 생리불순, 고혈압, 동맥경화 등에 대한 효능과 항암, 항 당뇨에 대한 기대가 크다. 또 노화나 만병의 근원인 활성산소의 제거나 항산화작용에도 주목되는 약초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각종 곤충과 식물이 갖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하던 중, 상기 귀뚜라미의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시호 추출물, 칡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및 울금 추출물이 간 보호 및 숙취해소 효능이 뛰어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7957호 (발명의 명칭 : 구기자로부터 분리된 간 보호활성을 갖는 신규 피롤유도체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출원인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등록일 : 2005년03월10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3851호 (발명의 명칭 : 가열건조처리 된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 또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출원인 : 학교법인 상지학원, 등록일 : 2006년10월04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6499호 (발명의 명칭 : 헛개나무 어린가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 효과용 식품 조성물, 출원인 : 장흥군, 등록일 : 2012년01월10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2840호 (발명의 명칭 :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출원인 : 주식회사 한미양행, 등록일 : 2018년04월23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3575호 (발명의 명칭 : 귀뚜라미 자체 또는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강장피로회복, 알코올대사 촉진,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를 위한 식품조성물, 출원인 : 대한민국, 등록일 : 2004년10월11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81995호 (발명의 명칭 : 배합식품에 의한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제와 그 제조방법, 출원인 : (주)드리고, 공개일 : 2002년 10월 30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64151호 (발명의 명칭 : 헛개나무로부터 분리된 간독성 및 숙취해소 활성을 갖는 저급알코올 불용성 추출 분획 및 다당체 물질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출원인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생명의나무, 공개일 : 2002년08월07일)
굼벵이의 간 독성회복효과 (전정수 외, 한국잠사학회지; 50(2), p93, 2012) 장수풍뎅이의 간 보호 및 간세포 재생 효과 (이은지 외, 생명과학회지; 25(3), p307, 2015) 귀뚜라미의 간 보호효과 (안미영 외, 한국식품과학회지; 34(4), p684, 2002) M. Nakanishi; Saishin Igaku, 31, p2086, 1976.
본 발명의 목적은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귀뚜라미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시호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칡 추출물 및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에는 귀뚜라미 효소처리물 20~50 중량%,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20~50 중량%, 시호 추출물 5~20 중량%, 칡 추출물 5~20 중량%, 헛개나무 추출물 5~20 중량% 및 울금 추출물 5~20 중량%가 함유될 수 있다.
상기 귀뚜라미는 쌍별귀뚜라미의 성충일 수 있다.
상기 귀뚜라미 효소처리물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은 원료시료인 귀뚜라미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에 플라보자임(Flavozyme), 알칼라아제(Alcalase) 또는 프로테아제(Protease)에서 선택되는 효소를 처리한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귀뚜라미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시호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칡 추출물 및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귀뚜라미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시호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칡 추출물 및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알코올성 간 질환은 알코올성 간염, 알코올성 지방간 또는 알코올성 간경화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귀뚜라미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시호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칡 추출물 및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의 원료가 되는 귀뚜라미는 쌍별귀뚜라미의 성충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는 귀뚜라미 효소처리물 20~50 중량%,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20~50 중량%, 시호 추출물 5~20 중량%, 칡 추출물 5~20 중량%, 헛개나무 추출물 5~20 중량% 및 울금 추출물 5~20 중량%가 함유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조성물 내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이 20 중량% 미만이거나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이 20 중량% 미만이면 이들이 갖는 유용성 성분의 함량이 낮아져 간 보호 및 숙취해소 효능이 낮아질 수 있고,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이 50 중량%를 초과하거나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이 50 중량%을 초과하여도 다른 성분들이 함량이 줄어들어 간 보호 및 숙취해소 효능에서의 각 성분 혼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울 수 있다. 시호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칡 추출물, 울금 추출물이 각각 5 중량% 미만이면 추출물의 활성이 잘 나타나지 않아 간 보호 및 숙취해소효능이 낮아질 수 있고, 시호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칡 추출물, 울금 추출물이 각각 20 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 내 쓴 맛이 강해져 맛이 좋지 않을 수 있고, 귀뚜라미 효소처리물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의 비중이 낮아져 조성물이 갖는 간 보호 및 숙취해소 효능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귀뚜라미 효소처리물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은 원료시료인 귀뚜라미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에 플라보자임(Flavozyme), 알킬라아제(Alcalase) 및 프로테아제(Protease)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효소를 처리한 것일 수 있는데, 상기 프로테아제로서 프로테아제 N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효소로서 알카라아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귀뚜라미 효소처리물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은 원료시료인 귀뚜라미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 100 중량부 기준 200~400 중량부의 정제수를 첨가한 후 100~150℃에서 0.5시간~2시간 동안 가열하고 40~60℃로 식힌 후, 5~10시간 동안 효소처리 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원료시료인 귀뚜라미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 100 중량부 기준으로 효소를 0.1~1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효소처리 이 후, 이를 당도가 20~30 브릭스(Brix)가 되도록 농축한 후 분말화할 수 있으며, 농축 전 또는 후로 90~100℃에서 20~60분간 열처리하여 효소를 실활시킬 수 있다.
또는 효소처리된 것을 농축 및 여과하여 얻은 액상을 건조할 수 있고, 효소처리된 직후 또는 농축 후, 귀뚜라미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으로부터 분리된 기름 성분을 층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효소처리된 직후 또는 농축 후의 액상은 건조하여 분말화 할 수 있는데, 분무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 등의 통상의 건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효소처리시, 귀뚜라미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 100 중량부 기준으로 정제수가 200 중량부 미만이면 이후의 효소처리과정에서 효소가 과활성화 되어 단백분해된 조성물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으며, 정제수가 40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역시 이후의 효소처리시 효소활성이 약해 단백분해가 잘 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가열 조건은 살균과정 및 곤충을 익히는 조건을 동시에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데, 가열 온도가 100℃ 미만이면 살균 작용이 잘 일어나지 않을 수 있고, 가열 온도가 150℃를 초과하게 되면 단백질의 성상에 변화가 나타나 단백분 된 조성물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열 조건이 0.5시간 미만이어도 살균이 잘 안 될 수 있으며, 가열 시간이 2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단백질의 성상에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효소 처리 온도가 40℃ 미만이면 효소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60℃를 초과하게 되면 효소가 실활되어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효소처리 과정에서, 귀뚜라미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 100 중량부 기준으로 효소를 0.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게 되면 효소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하게 되는 것은 효소 사용에 대한 비용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효소의 작용이 과하게 되어 최종 단백분해된 산물의 물성이 더 나빠질 수 있다.
이때 원료시료인 귀뚜라미나 갈색거저리 유충은 금식하여 배설물을 완전하게 배출시킨 것을 사용하되, 생 것 상태로 정제수로 세척 후 정제수를 첨가한 뒤 가열하는 것이 좋고, 가열 과정이 충분히 수행된 후에는 이를 식힌 후 귀뚜라미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을 분쇄하고 효소처리하여 가수분해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간 보호효과는 g-GT(gamma-glutamyl phosphatase), GPT(glutamate-pyruvate trabsminase), GOT(glutamate-oxaloacetlate transminase), AP(alkaline phosphatase) 및 TBIL(total bilirubin), DBIL(direct bilirubin)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간 손상 지표인자를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숙취해소효과는 혈중 알코올 농도,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호흡 알코올 농도 및 혈중 알코올 농도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숙취해소 지표인자를 저하시키거나 알데히드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시호, 헛개나무, 칡 또는 울금의 각 추출물은 원료시료인 시호, 헛개나무, 칡 또는 울금을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C1~C4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용매로서 바람직하게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
상기 용매는 원료시료인 시호, 헛개나무, 칡 또는 울금의 사용 중량 기준 1~40배 부피 또는 중량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40배 부피 또는 중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호, 헛개나무, 칡 및 울금 추출물의 추출조건은 20~100℃에서 1분~48시간일 수 있다. 상기 과정은 1~4번까지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당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으로서 상기 시호, 헛개나무, 칡 및 울금의 물, C1~C4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 추출물을 물에 녹인 후에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클로로폼,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분획하여 분획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추출용 기기로는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열풍건조, 감압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상법에 따라, 유기용매(아코올, 에테르 아세톤 등)에 의한 추출, 헥산과 물의 분배,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법 등, 식물체 성분의 분리 추출에 이용되는 공지의 방법을 단독 또는 적합하게 조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획 또는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드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엘에이취-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LH-20 co;umn chromatography),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ion exchange resin chromatography),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thin layer chromatographt), 실리카겔 진공 액체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귀뚜라미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시호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칡 추출물 및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귀뚜라미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시호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칡 추출물 및 울금 추출물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0.001~3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택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즈, 수쿠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루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스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칼트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매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들이 포함 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용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텔렌글리콜, 올리브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도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mg/kg/일 내지 대략 2,000mg/kg/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mg/kg/ 일 내지 500mg/kg/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 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 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귀뚜라미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시호, 헛개나무, 칡 및 울금 추출물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귀뚜라미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시호, 헛개나무, 칡 및 울금 추출물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귀뚜라미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시호, 헛개나무, 칡 및 울금 추출물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 0.001~3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체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 음료, 껌, 차 및 비타민복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귀뚜라미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시호 추출물, 칡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및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간손상 억제 효과가 있고, 간염 지수를 낮추어 각종 간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로 이용가능하며, 알코올 분해 효과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음주 후 다음날의 두통, 구토증상 등을 완화하여 음주 전/후에 복용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로도 용이하게 이용가능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2840호에도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이 포함된 간 보호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과 같이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과 함께 귀뚜라미의 효소처리물, 시호 추출물, 칡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및 울금 추출물이 포함된 조성물이 갖는 간보효 효능 또는 숙취해소 효능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개시된 바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당 업계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각 분말 혼합물 제조>
실시예 1-1. 귀뚜라미 효소처리물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의 제조
전문 사육농가에서 크기 2.5~3.0cm의 쌍별귀뚜라미 성충 및 8령의 갈색거저리 유충을 각각 구입하여 쌍별귀뚜라미는 1일간 및 갈색거저리 유충은 3일간 각각 금식시켜 배설물을 완전히 배출시킨 것을 생것 상태에서 흐르는 물로 3회 수세하였다.
이 후, 쌍별귀뚜라미 성충과 갈색거저리 유충을 증숙기에 넣은 다음 3배 중량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압력 1.2kgf/cm2 온도 121℃의 가압고온 조건에서 90분간 가열시킨 다음, 습식분쇄기(LSI, NEYZSCH, Srlb Bavaria, Germany)를 이용하여 bead size 0.4 mm, rotor speed 3,000 rpm의 조건으로 이 액상을 분쇄하여 쌍별귀뚜라미 성충과 갈색거저리 유충에 대해 분쇄물을 제조한다. 분쇄 전의 곤충 중량을 100 중량부로 할 때 상기 각각의 분쇄물에 Alcalase(Subtilisin Carlsberg, Novozymes)를 기준으로 1 중량부로 첨가하여 40℃에서 5시간 동안 가수분해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가수분해된 각각의 분해물을 당도가 25 브릭스(Brix)가 되도록 농축한 후 분무건조기의 흡입구 온도는 170℃, 배출구 온도는 75℃로 하고, 분무건조기의 분무압력은 1.5kgf/㎠ 이상, 디스크의 회전속도는 8,000~10,000 rpm로 하여 분말을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분말을 귀뚜라미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이라 하였다.
실시예 1-2. 시호 추출물, 칡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및 울금 추출물의 제조
시호, 칡, 헛개나무 및 울금을 경동시장(서울, 제기동)에서 각각 구입하여 추출원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각각 추출원료에 10배 중량의 정제수를 넣고 90℃에서 12시간 추출 후 여과하여 얻은 액상을 분무건조함으로써 각 추출물을 분말상태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혼합물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 분말 시료를 하기와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조건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귀뚜라미 효소처리물 분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갈색거저리 유충 효소처리물 분말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시호 추출물 분말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칡 추출물 분말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헛개나무 추출물 분말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울금 추출물 분말
실시예 2-1 40 30 5 10 10 5
실시예 2-2 30 40 5 10 10 5
실시예 2-3 50 30 5 5 5 5
실시예 2-4 30 50 5 5 5 5
실시예 2-5 20 20 10 20 20 10
실시예 2-6 20 20 20 10 10 20
<비교예 1. 효소처리하지 않은 귀뚜라미 분말과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의 제조>
실시예 1-1과 동일한 쌍별귀뚜라미 성충 및 갈색거저리 유충을 분말화하되, 쌍별귀뚜라미 성충과 갈색거저리 유충을 가열하고 습식분쇄한 후에 효소처리 과정을 수행하지 않은 귀뚜라미 성충 분말 및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대상 혼합물 제조>
하기 표 2의 조건으로 각 분말을 혼합하였다.
조건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귀뚜라미 분말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귀뚜라미 효소 분해물 분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갈색거저리 유충 효소 분해물 분말 실시예 1 -2에서 제조한 시 호 추출물 분말 실시예 1-
2에서 제조 한 칡 추출물 분말
실시예 1-2에서 제 조한 헛개나무 추출물 분말 실시예 1-
2에서 제조한 울금 추출물 분말
비교예 2-1 0 0 70 10 5 5 5 5
비교예 2-2 0 0 10 70 5 5 5 5
비교예 2-3 0 0 40 0 10 20 20 10
비교예 2-4 0 0 0 40 10 20 20 10
비교예 2-5 0 0 50 50 0 0 0 0
비교예 2-6 40 0 0 0 10 20 20 10
비교예 2-7 0 40 0 0 10 20 20 10
비교예 2-8 40 30 0 0 5 10 10 5
<실시예 3. 유리아미노산 분석>
쌍별귀뚜라미의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쌍별귀뚜라미 분말,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에 대해 효소처리 전/후의 시료를 비교대상으로 하여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조사하였다. 이 때, 알코올성 간 질환 개선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트레오닌, 메티오닌, 글루타민산을 세부적으로 확인하였다(Lee JH., et al, 1999,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802-808). 트레오닌은 간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막도록 도움을 주며, 메티오닌은 간의 지방을 감소시키며 신장을 보호하고, 글루타민산은 알코올중독, 정신분열증(조현병), 설탕갈망을 조절하는 것을 돕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각 시료 조제 조건은 시료 1.00g에 6 HCl 10 mL를 가한 다음 질소 치환 후 110℃에서 24시간 분해하였다. 가수분해액은 5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농축액에 증류수 소량 (10mL)을 가하여 감압농축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염산을 제거하였다. 이 후 각 농축액을 0.2N sodium citrate buffer (pH 2.2) 50mL에 용해하고 여과 후 아미노산 분석기로 분석하였다.
아미노산 분석기는 Sykam (Germany)사의 S7130 amino acid reagent organizer, S5200 sample injector와 S2100 solvent delivery system을 사용하였으며 column은 cation separation column LCA K06/NA (4.6 x 250 m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상의 유속은 0.45 mL/min, ninhydrin은 0.4 mL/min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구 분 귀뚜라미 갈색거저리
효소처리전 효소처리후 효소처리전 효소처리후
아미노산 합계(mg/L) 36,680 156,166 32,182 130,271
필수아미노산(mg/L) 10,354 44,670 8,516 44,679
비필수아미노산(mg/L) 26,326 111,496 23,666 85,592
알코올성 간 질환개선효과
관련아미노산(mg/L)
합 계 7,248 27,553 7,017 40,988
트레오닌 1,925 7,853 1,562 18,139
메티오닌 766 3,021 203 4,310
글루타민산 4,556 16,679 5,558 22,849
분석 결과, 표 3과 같이 효소 처리를 통해 아미노산 총량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고, 트레오닌, 메티오닌, 글루타민산도 현저하게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 알코올 투여 동물 모델 유도 및 물질 투여>
실험동물은 체중 160~180g 범위의 Sprague-Dawley 의 수컷 흰쥐를 (주)대한바이오링크(음성, 한국)에서 구입하였다. 사육환경은 온도 20±2℃, 습도 55±1%(RH), 명암주기 12시간 간격으로 유지하여 1주일 간 순환시켰다. 사료는 실험동물용 고형사료 (PMI Nutrition International)를 매일 일정한 시간에 일정량을 주었고, 물은 멸균수를 물병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2와 비교예 2의 시험물질 투여를 위한 비교군은 각 조성물을 사료 대신 투여하였는데, 이를 역회전식 과립기로 3.0kg/cm2의 경도를 가지는 과립으로 제조하고 건조한 것을 투여하였다. 이를 위한 대조군으로서, 실험동물용 고형사료(PMI Nutrition International)를 롤밀로 70mesh 입자크기로 분쇄한 다음 역시 역회전식 과립기로 3.0kg/cm2의 경도를 가지는 과립으로 한 후 건조한 것을 투여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일반사료 과립, 실시예 2와 비교예 2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실험동물(각 군당 8마리)에게 무제한 급여하였다.
이 때, 에탄올 급여는 25(v/v)% 에탄올 수용액을 5mL/kg, bw/day의 수준으로 stomach tube를 통하여 6주간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 즉, 8주간의 사육기간 중 1주간은 새로운 혼합분말 사료에 적응기간을 두기 위하여 에탄올을 투여하지 않았으며, 이 후 6주간 투여한 후 마지막 1주는 투여하지 않았다. 시험 처리는 아래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고, 이후의 실험동물의 상태 평가 결과는 하기 표 4의 구분을 따라 표기하였다.
구분 투여군
정상식이군
(대조군)
일반사료 과립 투여
알코올 투여군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일반사료 과립 투여
(알코올 투여 양성대조군)
실시예 2-1 과립 투여군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
실시예 2-2 과립 투여군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실시예 2-2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
실시예 2-3 과립 투여군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실시예 2-3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
실시예 2-4 과립 투여군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실시예 2-4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
실시예 2-5 과립 투여군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실시예 2-5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
실시예 2-6 과립 투여군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실시예 2-6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
비교예 2-1 과립 투여군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
비교예 2-2 과립 투여군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2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
비교예 2-3 과립 투여군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3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
비교예 2-4 과립 투여군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4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
비교예 2-5 과립 투여군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5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
비교예 2-6 과립 투여군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6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
비교예 2-7 과립 투여군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7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
비교예 2-8 과립 투여군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8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
<실험예 2. 체중 변화 확인>
실험예 1의 모든 동물에 대하여 1일 1회 증상관찰을 실시하였다. 체중은 일정한 시간에 5일 단위로 동물용 체중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는데,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결과 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비교예 2-8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결과를 표 5에 제시하였다.
구분 실험시작일 5일째 10일째 15일째 20일째 25일째 30일째
정상식이군 168g 178g 213g 228g 231g 242g 253g
알코올 투여군 173g 174g 180g 192g 211g 217g 220g
실시예 2-1
과립투여군
172g 176g 205g 217g 230g 234g 238g
비교예 2-8
과립투여군
174g 175g 189g 210g 220g 224g 226g
이 시험기간 동안 폐사한 동물은 없었으며, 특이적인 임상증상을 나타낸 동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체중은 시험기간 동안 모든 군에서 전체적으로 상승하였으나 정상식이군에 비해서 다른 식이군에서는 상승폭이 둔화되었으며 그 중 알코올+귀뚜라미 효소처리물 식이군에서 둔화정도가 더 적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혈액 생화학적 분석결과>
시험이 종료된 후 복부동맥으로부터 채혈된 혈액을 상온에 30분 정치시킨 후 3,000rpm 으로 4℃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한 다음 혈청효소를 혈청자동분석기(Dri-ch em 2000, Fujifilm, Tokyo, Japan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혈청효소의 종류는 glutamate-pyruvate(GPT), glutamate-oxaloacetlate(GOT), g-GT(gamma-phosphatase), alkaline phosphatase(AP), total bilirubin(TBIL) 및 direct-bilirubin(DBIL)로 총 6가지를 측정하였다. 간질환의 진단에 사용되는 효소로는 GOT, GPT, g-GT 및 ALP 검사가 많이 이용된다. 이들 효소 활성치의 증가는 세포장애 정도와 비교적 상관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른 혈중 효소에 비하여 민감하게 변동한다.
이 실험들 중, 혈액 GOT 및 GPT 수치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GOT(U/L) GPT(U/L)
정상식이군
(대조군)
75.8±3.6 50.9±3.5
알코올 투여군 120.3±4.5 85.2±5.1
실시예 2-1 과립 투여군 82.3±2.8 61.9±3.5
실시예 2-2 과립 투여군 79.9±3.4 65.7±4.5
실시예 2-3 과립 투여군 84.3±4.2 67.8±4.6
실시예 2-4 과립 투여군 85.4±4.5 68.6±4.8
실시예 2-5 과립 투여군 87.5±4.9 68.1±3.4
실시예 2-6 과립 투여군 82.6±2.3 67.0±2.5
비교예 2-1 과립 투여군 98.5±3.9 79.2±3.6
비교예 2-2 과립 투여군 97.3±4.9 77.0±3.9
비교예 2-3 과립 투여군 103.2±3.5 76.6±3.2
비교예 2-4 과립 투여군 100.9±3.9 79.0±3.5
비교예 2-5 과립 투여군 99.6±4.8 82.9±4.1
비교예 2-6 과립 투여군 98.6±3.6 81.4±3.9
비교예 2-7 과립 투여군 101.7±4.8 82.7±4.4
비교예 2-8 과립 투여군 104.2±2.1 80.5±2.7
실시예 2-1의 분말 투여군을 예시로 이를 설명하자면, GOT의 경우, 알코올과 함께 일반사료 과립을 투여군은 120.3U/L인데 비해 알코올과 함께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은 82.3U/L으로 현저한 감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GPT에서는 알코올과 함께 일반사료 과립을 투여한 군은 85.2 U/L인데 반해,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군 군은 61.9 U/L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각 결과는 실시예 2-1 내지 2-6이 유사하였고, 비교예 2-1 내지 2-8이 유사하였으며, 이는 GOT 및 GPT 수치 뿐만 아니라 간 손상과 관련된 다른 수치에서도 같은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의 결과부터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결과 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비교예 2-8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결과를 제시하였다.
Alkaline phosphatase(AP) 활성은 하기의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AP(U/L)
정상식이군 150
알코올 투여군 275
실시예 2-1 과립투여군 180
비교예 2-8 과립투여군 238
AP의 경우 알코올과 함께 일반사료 과립을 투여한 군에 비해 알코올과 함께 비교예 2-8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에서 12.2%, 알코올과 함께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에서는 31.2% 개선되었다.
AP 수치는 간세포의 손상/회복 사이클이 올라갈수록 상승하는 수치로 GPT 억제를 뒷받침하는 지표로써, 알코올과 함께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에서 효과적인 억제능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기에, 이 본 발명의 조성물이 GOT나 billirubin 수치를 억제하는 활성을 뒷받침하는 지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Gamma-glutamyl phosphatase(g-GT)가 고도로 증가되어 있다면 만성 담즙울체일 것이고 담도성 간경변증이나 경화성 담관염을 추정 진단할 수 있는데 g-GT의 활성을 분석한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구분 g-GT(U/L)
정상식이군 5.9
알코올 투여군 6.6
실시예 2-1 과립투여군 5.2
비교예 2-8 과립투여군 6.3
g-GT는 알코올과 함께 일반사료 과립을 투여한 군에 비해 알코올과 함께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에서는 20.6% 개선되었다.
Total bilirubin(TBIL)이 혈중에 증가하는 경우에는 간에서 담도로 배설되지 않는 폐쇄성 황달로 볼 수 있는데 TBIL 활성을 분석한 결과는 표 9에 나타내었다.
구분 TBIL(U/L)
정상식이군 0.61
알코올 투여군 0.75
실시예 2-1 과립투여군 0.48
비교예 2-8 과립투여군 0.67
TBIL은 알코올과 함께 일반사료 과립을 투여한 군에 비해 알코올과 함께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에서 39% 개선되었다. 이러한 결과 역시 본 발명의 조성물이 간 보호 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Direct-bilirubin (DBIL)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간에서의 포함이 되지 않는 간 실질성 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데 DBIL활성을 분석한 결과는 표 10에 나타내었다.
구분 DBIL(U/L)
정상식이군 0.18
알코올 투여군 0.28
실시예 2-1 과립투여군 0.12
비교예 2-8 과립투여군 0.23
DBIL은 알코올과 함께 일반사료 과립을 투여한 군에 비해 알코올과 함께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에서 65% 개선되었다.
<실험예 4. 조직학적 분석결과>
실험예 1 조건의 모든 동물의 간 조직의 우엽을 절취하여 간 조직 내의 산화환원 기능에 관여하는 환원형 글루타치온(GSH)과 산화형 글루타치온(GSSG)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절취한 간 조직을 절편으로 만들고 칭량한 후 4배량의 0.1M 포타슘 포스페이트 버퍼(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4)를 가해 얼음 중에서 조직분쇄기로 마쇄하여 효소가 포함된 효소액을 얻었다. 이러한 효소액을 가지고 환원형 글루타치온 함량 분석을 Ellman (1959) 및 S'wiergosz-Kowaleska 등(2006)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는데, 총글루타치온 함량을 먼저 분석한 후 이 값에서 산화형 글루타치온의 함량을 뺀 값을 환원형 글루타치온으로 하여 그 값을 표 11에 나타내었다.
환원형 글루타치온은 글루타치온에 SH(S는 황, H는 수소)기가 붙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환원형 글루타치온은 유해한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데, 표 11을 참고하면, 환원형 글루타치온량은 알코올과 함께 일반사료 과립을 투여한 군에 비해 알코올과 함께 비교예 2-8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에서 11.5%, 알코올과 함께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에서는 14.5% 증가시켜 실시예 조성물이 항산화작용에 더 도움을 주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구분 Total GSH
(μ mol)
Reduced GSH
(μ mol)
정상식이군 4.66±0.38 3.99±0.35
알코올 투여군 4.28±0.45 3.81±0.33
실시예 2-1 과립투여군 4.59±0.43 3.26±0.28
비교예 2-8 과립투여군 4.82±0.45 3.32±0.36
<실험예 7. 염증 및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 확인>
실험예 1 조건의 모든 동물의 혈액에서 염증 cytokine인 TNF-α와 IL-1β를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표 12에 나타내었다. 각 실험은 R&D systems에서 제공하는 kit(TNF-α IRTA800)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이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혈액 중에 존재하는 각 cytokine과 결합할 수 있는 antibody가 precoating된 96 well plate에 본 실험에서 얻은 혈청을 실험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2차 항체를 응시키고, 그 후 결합된 양을 알 수 있는 substrate solution을 처리하여 540 ㎚ 또는 570 ㎚에서 흡광도를 확인하였다.
구분 TNF-α(pg/㎖) IL-1β(pg/㎖)
정상식이군 6.4±0.3 130.9±3.5
알코올 투여군 17.3±1.7 196.3±5.0
실시예 2-1 과립투여군 8.0±0.4 129.6±3.1
비교예 2-8 과립투여군 14.9±0.7 169.4±2.6
표 12를 참고하면, 알코올 및 일반 사료 투여 동물에서는 TNF-α와 IL-1β의 발현이 모두 증가되어 있으나,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투여군에서는 이들 사이토카인과 마커의 발현이 정상식이군에 가깝게 현저히 감소되어 알코올 섭취로 인한 염증물질의 생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2-8의 분말로 제조된 과립 투여군에서는 이러한 염증물질 감소효과가 좋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이 간 보호 효능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통해 알코올로 인해 발생되는 간염이나 지방간 등 각종 알고올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나 건강기능식품으로의 이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8. 알코올 분해 효능 평가>
실험예 8-1. 혈중 알코올 감소 효능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추출물의 알코올 분해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예 1 조건으로 순화된 실험동물에 알코올을 투여한 다음 1, 3, 5 시간 후의 혈중 알코올농도와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측정하여 체내에서의 알코올 분해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동물 수는 군당 6마리로 하였고 각 동물 실험군의 구분은 표 4의 표기를 따랐다.
알코올 투여는 에탄올 25(v/v)% 에탄올 수용액을 3g/kg, bw/day의 수준으로 stomach tube를 통하여 경구 투여하였으며, 각 시료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과립제조용 분말 500mg/kg을 알코올 투여량과 동량의 증류수에 녹여 알코올 투여 전 후 30분에 2회 투여하였다. 투여한 다음 1, 3, 5시간 후의 혈중 알코올 농도와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측정하여 체내에서의 알코올 분해효과를 평가하였다. 측정방법은 실험동물의 복대정맥에서 채혈하고, 채혈한 혈액을 3000rpm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하여 획득한 혈청에 알코올의 농도를 에탄올 측정키트(abcam AB6543)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표 13에 나타내었다.
표 13을 참고하면, 알코올 투여에 따른 혈중 알코올 농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되었으나 그 감소 정도는 완만하였다. 반면, 알코올투여와 동시에 실시예 2-1 분말을 투여한 군에서는 혈중 알코올 농도가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특히 5시간째에 62.0㎎/L로 나타내었다. 또한 다른 실시예 조성물도 이와 유사한 효과를 내어 이들 조성물이 혈중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감소가 현저히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숙취해소 능력을 극대화시켜 혈중 에탄올 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탁월하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분 혈중 알코올 농도
(㎎%알코올)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L)
1시간 3시간 5시간 1시간 3시간 5시간
알코올 투여군 205.4±4.3 170.5±3.9 159.3±4.2 0.267 0.178 0.152
실시예 2-1 과립 투여군 92.4±3.9 79.4±3.6 62.0±3.6 0.215 0.092 0.074
실시예 2-2 과립 투여군 91.2±2.5 81.2±2.1 55.7±2.7 0.210 0.085 0.067
실시예 2-3 과립 투여군 89.0±4.3 75.5±1.5 69.4±1.3 0.207 0.106 0.066
실시예 2-4 과립 투여군 95.3±2.1 82.2±5.3 65.8±2.4 0.195 0.083 0.059
실시예 2-5 과립 투여군 102.2±5.3 73.0±2.7 53.2±3.0 0.216 0.090 0.056
실시예 2-6 과립 투여군 98.3±4.0 77.2±3.9 63.1±4.2 0.203 0.093 0.061
비교예 2-1 과립 투여군 169.7±4.4 158.6±3.4 128.7±3.9 0.236 0.146 0.129
비교예 2-2 과립 투여군 171.8±4.2 151.2±3.5 123.7±3.4 0.237 0.143 0.131
비교예 2-3 과립 투여군 179.0±3.4 148.4±2.8 127.7±3.3 0.236 0.152 0.128
비교예 2-4 과립 투여군 164.1±1.2 153.3±2.3 134.7±2.9 0.241 0.174 0.125
비교예 2-5 과립 투여군 168.2±2.8 149.7±4.3 120.7±1.7 0.242 0.163 0.132
비교예 2-6 과립 투여군 162.4±5.1 153.0±2.3 131.7±2.9 0.238 0.153 0.134
비교예 2-7 과립 투여군 174.5±3.2 152.3±1.2 138.2±2.7 0.242 0.152 0.129
비교예 2-8 과립 투여군 176.5±2.7 159.6±2.9 134.7±2.6 0.239 0.142 0.127
실험예 8-2. 알데히드탈수소효소(ALDH) 활성 및 아세트알데히드(ADH) 생성량 조사
상기 실시예 2-1 및 비교예 2-8에서 제조된 조성물이 알데히드탈수소효소(ALDH) 활성 및 아세트알데히드(ADH)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에서 획득한 실험동물의 혈청을 이용하여 ALDH 활성 및 ADH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ALDH 활성은 알테히드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활성 색도계(colorimetric) 어세이 키트(BioVisio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ADH는 알데히드(aldehyde) 정량(quantification) 어세이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그 값을 표 14에 나타내었다.
Label ALDH 활성(mU) ADH(mM/L)
1시간 3시간 5시간 1시간 3시간 5시간
알코올 투여군 1.4±0.1 1.3±0.2 1.0±0.2 110±9.0 125±10.2 140±12.0
실시예 2-1 과립 투여군 1.8±0.2 1.7±0.1 1.6±0.2 94±8.7 97±9.8 104±10.9
비교예 2-8 과립 투여군 1.5±0.1 1.4±0.2 1.2±0.1 107±8.9 117±10.1 130±11.3
알데히드탈수소효소의 활성은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투여군에서 일반사료투여군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며, 아세트알데히드량도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투여군에서 월등히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은 알코올 분해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8-3. 호흡기 알코올 농도 측정
20세부터 50세 이하의 남자 각각 6명에게 알코올 농도 25도 시판소주 6ml/kg/bw를 5분 내에 섭취하도록 하고, 실시예 2-1 및 비교예 2-8의 과립 분말을 300mg/kg을 알코올 섭취 전/후 30분에 2회 복용시키고, 음주측정기(Breathlizer, (주)센텍코리아, AL9000)로 알코올 섭취 후 1, 2, 3시간에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5에 나타내었다.
구분 측정시기(알코올 섭취 후)
1시간(%) 3시간(%) 5시간(%)
알코올 섭취 0.086±0.04 0.067±0.03 0.052±0.02
알코올 섭취 +
실시예 2-1 분말로 제조한 과립 섭취
0.052±0.01 0.045±0.02 0.034±0.01
알코올 섭취 +
비교예 2-8 분말로 제조한 과립 섭취
0.077±0.03 0.062±0.02 0.047±0.01
표 15를 참조하면, 알코올만을 섭취한 군에서의 호흡기 알코올 농도는 알코올 섭취 후 1시간에 0.086%에 비해 실시예 2-1 및 비교예 2-8에서는 0.052%, 0.067%로 감소되었고, 알코올 섭취 3시간에는 알코올만 섭취한 군에서는 호흡기 알코올 농도가 0.067%인 것에 비해 실시예 2-1 및 비교예 2-8에서는 0.045%, 0.058%를 나타내었고, 특히 실시예 2-1의 조성물에서 호흡기 알코올 농도가 현저히 낮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숙취해소 능력을 극대화시켜 호흡기 알코올 농도를 탁월하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9. 숙취해소 효과 확인>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실제 음주 다음날 숙취를 해소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음주 후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복용하게 하였다.
각 그룹당 건강한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고, 실험을 위해 실험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소주 한잔 당 삼겹살 세 점을 먹도록 하여 300㎖의 소주를 60분에 걸쳐 마시도록 하였고, 음주 직후,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조성물로 제조한 과립을 각각 4g씩 섭취하게 하였다. 비교군 중에는 시중에 판매되는 모닝케어 1병(100㎖), 본 발명의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 각 단일 조성물을 복용한 그룹이 있었다. 이들 그룹이 다음날 아침에 확인한 숙취제거효과, 소화효과, 두통정도에 대한 항목을, ‘효과 없음’을 1로 하고 ‘효과가 가장 높음’을 5로 하여, 5단계(1~5)의 범위 내로 작성하여, 하기 표 16에 나타내었다.
조건 숙취제거효과 소화정도 두통감소정도
실시예 2-1 분말로 제조한 과립 4.2 4.1 4.5
실시예 2-2 분말로 제조한 과립 3.9 4.3 4.3
실시예 2-3 분말로 제조한 과립 4.3 4.0 4.3
실시예 2-4 분말로 제조한 과립 4.3 4.2 4.0
실시예 2-5 분말로 제조한 과립 4.3 4.1 4.1
실시예 2-6 분말로 제조한 과립 4.2 4.4 4.0
비교예 2-1 분말로 제조한 과립 2.8 2.8 3.2
비교예 2-2 분말로 제조한 과립 2.9 3.0 3.1
비교예 2-3 분말로 제조한 과립 3.6 3.1 3.1
비교예 2-4 분말로 제조한 과립 2.4 3.4 2.6
비교예 2-5 분말로 제조한 과립 2.3 3.2 2.6
비교예 2-6 분말로 제조한 과립 2.8 2.7 2.8
비교예 2-7 분말로 제조한 과립 3.2 2.3 3.0
비교예 2-8 분말로 제조한 과립 3.3 2.4 2.9
귀뚜라미 성충 분말로 제조한 과립 2.2 2.3 2.7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로 제조한 과립 2.3 2.6 2.5
귀뚜라미 성충의 효소처리물 분말로 제조한 과립 2.4 2.4 2.7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분말로 제조한 과립 2.7 2.8 2.3
시호 추출물 분말로 제조한 과립 2.6 2.4 2.6
헛개나무 추출물 분말로 제조한 과립 2.5 2.6 2.3
칡 추출물 분말로 제조한 과립 2.3 2.3 2.7
울금 추출물 분말로 제조한 과립 2.6 2.3 2.4
생수 1.0 1.1 1.1
모닝케어 2.7 2.9 2.8
표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복용한 경우가 가장 높은 숙취해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
제제예 1-1.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분말 혼합물 200g을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메쉬 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2. 식품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분말 혼합물을 조리용 양념에 1 중량 %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2.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분말 혼합물을 밀가루에 0.1 중량%로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긴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3. 스프 및 육즙(gravies)이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분말 혼합물을 스프 및 육즙에 0.1 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스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분말 혼합물을 우유에 0.1 중량%로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5. 야채쥬스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분말 혼합물 0.5g을 토마토 쥬스 또는 당근쥬스 1,00ml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6. 과일쥬스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분말 혼합물 0.1g을 사과쥬스 또는 포도쥬스 1,000ml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7)

  1. 귀뚜라미 효소처리물 20~50 중량%,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20~50 중량%, 시호추출물 5~20 중량%, 칡 추출물 5~20 중량%, 헛개나무 추출물 5~20 중량% 및 울금 추출물 5~2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뚜라미는 쌍별귀뚜라미의 성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뚜라미 효소처리물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은 원료시료인 귀뚜라미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에 플라보자임(Flavozyme), 알칼라아제(Alcalase) 또는 프로테아제(Protease)에서 선택되는 효소를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4. 귀뚜라미 효소처리물 20~50 중량%,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20~50 중량%, 시호 추출물 5~20 중량%, 칡 추출물 5~20 중량%, 헛개나무 추출물 5~20 중량% 및 울금 추출물 5~2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성 간 질환은 알코올성 간염, 알코올성 지방간 또는 알코올성 간경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귀뚜라미 효소처리물 20~50 중량%,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20~50 중량%, 시호 추출물 5~20 중량%, 칡 추출물 5~20 중량%, 헛개나무 추출물 5~20 중량% 및 울금 추출물 5~2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성 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성 간 질환은 알코올성 간염, 알코올성 지방간 또는 알코올성 간경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성 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80078706A 2018-07-06 2018-07-06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919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706A KR101919839B1 (ko) 2018-07-06 2018-07-06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706A KR101919839B1 (ko) 2018-07-06 2018-07-06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839B1 true KR101919839B1 (ko) 2018-11-19

Family

ID=64561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706A KR101919839B1 (ko) 2018-07-06 2018-07-06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8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323B1 (ko) 2019-11-25 2020-06-10 주식회사 한미양행 식용곤충 효소처리물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또는 간보호용 조성물
KR102260026B1 (ko) * 2020-11-24 2021-06-03 주식회사 한미양행 귀뚜라미 가압증숙 및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면역조절용 조성물
CN113712205A (zh) * 2021-09-10 2021-11-30 自然资源部第三海洋研究所 一种牡蛎肽粉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220053926A (ko) * 2020-10-23 2022-05-02 김가은 타먹는 소주용 젤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323B1 (ko) 2019-11-25 2020-06-10 주식회사 한미양행 식용곤충 효소처리물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또는 간보호용 조성물
KR20220053926A (ko) * 2020-10-23 2022-05-02 김가은 타먹는 소주용 젤리
KR102510551B1 (ko) * 2020-10-23 2023-03-14 김가은 타먹는 소주용 젤리
KR102260026B1 (ko) * 2020-11-24 2021-06-03 주식회사 한미양행 귀뚜라미 가압증숙 및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면역조절용 조성물
CN113712205A (zh) * 2021-09-10 2021-11-30 自然资源部第三海洋研究所 一种牡蛎肽粉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3712205B (zh) * 2021-09-10 2024-02-06 自然资源部第三海洋研究所 一种牡蛎肽粉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840B1 (ko)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eft Buckwheat phenolic metabolites in health and disease
KR102076459B1 (ko) 갈색거저리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회복기 환자 또는 노약자의 근육량 증강 및 원기회복용 조성물
KR101919839B1 (ko)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299934B1 (ko) 숙취해소에 뛰어나며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1902049A (zh) 宿醉解酒功能优异并且预防酒精所致肝损伤的健康饮料组成物
JP2006045212A (ja) 特定のキナ酸誘導体を含有する経口用組成物
US7846484B2 (en) Composition compris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Lindera obtusiloba blume extract, or herbal mixture extract thereof
JPWO2004100969A1 (ja) 治療剤
KR101371143B1 (ko)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JP2018070570A (ja) クロモジ抽出物
JP2004217559A (ja) 糖尿病態の予防・改善剤
KR101394358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0699782B1 (ko) 댕댕이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회복용 식품 조성물
KR101034986B1 (ko)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80075763A (ko) 마치현 주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콜성 간손상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20067467A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86269B1 (ko)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399398B1 (ko) 액상발효법을 이용한 산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산마늘 발효물을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54031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KR20210078693A (ko)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효능을 갖는 조성물
KR20200120549A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CN110679818A (zh) 一种多功能荠荠菜水提物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50064521A (ko) 죽염 및 쥐눈이콩을 포함하는 발효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