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473B1 - 도자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자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473B1
KR101900473B1 KR1020160129493A KR20160129493A KR101900473B1 KR 101900473 B1 KR101900473 B1 KR 101900473B1 KR 1020160129493 A KR1020160129493 A KR 1020160129493A KR 20160129493 A KR20160129493 A KR 20160129493A KR 101900473 B1 KR101900473 B1 KR 101900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oxide
ceramics
cloisonne
gla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8634A (ko
Inventor
한세은
Original Assignee
한세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세은 filed Critical 한세은
Priority to KR1020160129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473B1/ko
Publication of KR20180038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In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4Colouring mat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자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자기 소지로 이루어지고 칠보 장식부를 형성하는 도자기 본체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도자기 본체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도자기 본체를 1260℃∼1300℃ 범위 내에서 초벌 소성하는 단계; 상기 초벌 소성한 도자기 본체의 칠보 장식부의 일 영역에 제1의 칠보 안료로 도안하는 단계; 상기 제1의 칠보 안료가 도안된 상기 도자기 본체를 850℃∼950℃ 범위 내에서 소성하는 단계; 상기 도자기 본체의 칠보 장식부의 나머지 영역에 상기 제1의 칠보 안료보다 상대적으로 융점이 낮은 제2의 칠보 안료로 도안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의 칠보 안료가 도안된 상기 도자기 본체를 780℃∼830℃ 범위 내에서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자기 제조방법{CERAMIC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도자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자기 본체에 칠보 안료로 도안 및 소성하여, 도자기 본체의 표면에 칠보를 장식하는 도자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칠보(七寶)란 문자 그대로 일곱 가지 보석의 색상 예컨대, 금빛, 은빛, 야청빛, 투명빛, 산호빛, 마노빛, 진주빛 등의 다채롭고 찬란한 색채 물질을 이용하여 제작한 공예품을 말한다. 칠보는 사전적 의미로는 금, 은, 구리 따위의 바탕에 각가지의 유리질을 녹여 붙여 무늬를 내는 전통 공예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칠보는 바탕금속 위에 유리질의 칠보 안료를 바른 다음 이를 700∼820℃로 고온 열처리하여 바탕금속에 고착한 전통 금속세공품으로, 안료에 함유된 금속산화물(금-붉은색, 산화은-불투명황색계, 산화동-녹색계 등)이 열처리를 통해 여러 가지 색을 띠게 되면서 바탕금속의 색과 더불어 아름다운 색상으로 발색하여 각종 공예품이나 생활용품 또는 그 장식품으로 애용되고 있다.
이러한 칠보는 광택과 반사율 및 굴절률 등이 우수하여 색채가 매우 아름답고 문양의 디자인이나 색상의 표현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어 전통적인 장신구 뿐만 아니라 각종 생활소품의 장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칠보는 대부분 금속재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자기류에는 칠보가 적용된 바 없으며, 도자기류의 고급화 및 아름다움의 극대화를 위해서 칠보를 도자기류에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도자기에 칠보 장식을 할 경우, 도자기의 열처리 과정에서 도자기와 유약, 그리고 칠보 안료의 열팽창 차이로 인해 도자기 표면에 도포된 유약은 갈라지는 박리현상이 발생하여, 도자기에는 칠보를 형성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칠보 장식을 형성하는 칠보 도자의 제작방법이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36897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칠보 도자의 제작방법에 따르면, 칠보로 장식할 부분에 천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그 공간에 접착제가 잘 붙을 수 있도록 긁은 후 이 긁은 부분에 발수제를 바른 다음 가마에 넣어 1200℃∼1300℃에서 24시간동안 가열하는 발수제 공정(제 1공정), 도자기에 칠보로 장식할 공간에 거즈천 또는 삼베천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접착제 공정(제 2공정), 접착제로 천을 접착시킨 후 약 24시간 동안 자연 건조하는 건조 공정(제 3공정), 접착한 천이 건조되면 상기의 도자기에 밑그림을 그리는 밑그림 공정(제 4공정), 호분, 아교, 안료를 혼합한 물질로 밑그림에 입체감을 표현하기 위한 돋음질 후 24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돋음질 공정(제 5공정), 돋음질 공정이 완료되면 채색작업 후 6시간 정도 건조시키는 채색 공정(제 6공정), 채색 공정이 완료되면 커슈(옻칠)를 채색된 그림위에 2회에 걸쳐 골고루 도포하여 24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카슈 공정(제 7공정), 커슈공정이 완료되면 금박을 붙이는 개금작업을 실시하는 개금 공정(제 8공정), 개금작업 후 상기 그림에 2∼3회의 코팅 작업을 함으로서 모든 작업을 마무리하는 코팅 공정(제 9공정) 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칠보 도자의 제작 방법은 도자기 본체에 접착제로 천을 접착시키고 나서, 접착된 천 위에 칠보를 올려 예컨대, 접착된 천 위에 칠보를 도안하여 칠보를 장식하므로, 도자기의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대량 생산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고, 또한 도자기 본체와 칠보의 접착력이 저하되기 쉬워 칠보가 도자기 본체로부터 박리되어,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6897호(발명의 명칭: 칠보 도자의 제작 방법, 공개일: 2013.12.1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제조 비용을 줄이고, 제품의 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도자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자기 소지로 이루어지고 칠보 장식부를 형성하는 도자기 본체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도자기 본체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도자기 본체를 1260℃∼1300℃ 범위 내에서 초벌 소성하는 단계; 상기 초벌 소성한 도자기 본체의 칠보 장식부의 일 영역에 제1의 칠보 안료로 도안하는 단계; 상기 제1의 칠보 안료가 도안된 상기 도자기 본체를 850℃∼950℃ 범위 내에서 소성하는 단계; 상기 도자기 본체의 칠보 장식부의 나머지 영역에 상기 제1의 칠보 안료보다 상대적으로 융점이 낮은 제2의 칠보 안료로 도안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의 칠보 안료가 도안된 상기 도자기 본체를 780℃∼830℃ 범위 내에서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자기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칠보 안료가 도안된 상기 도자기 본체를 소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도자기 본체의 일 영역에 금으로 도안하는 단계; 및 상기 금으로 도안된 도자기 본체를 780℃∼800℃ 범위 내에서 소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자기 본체를 초벌 소성하기에 앞서, 상기 도자기 본체의 칠보 장식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도자기 유약으로 시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자기 소지는 점토, 백토, 도석, 규석, 장석, 견운모, 알루미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의 칠보 안료는, 규석, 연단, 질산칼륨, 소다가루, 붕산, 신석, 아비산, 산화안티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유약; 및 산화동, 산화코발트, 산화크롬, 산화 제이철, 산화망간크롬, 이산화망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제1의 산화 안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의 칠보 안료는 상기 유약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제1의 산화 안료 2∼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의 칠보 안료는, 규석, 연단, 질산칼륨, 소다가루, 붕산, 신석, 아비산, 산화안티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유약; 및 산화카드뮴, 산화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제2의 산화 안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의 칠보 안료는 상기 유약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제2의 산화 안료 2∼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자기 본체를 1260℃∼1300℃ 범위 내에서 초벌 소성한 후, 도자기 유약이 도포되지 않은 칠보 장식부에 높은 융점을 갖는 칠보 안료에서 낮은 융점을 갖는 칠보 안료로 두 번에 걸쳐 각각 도안 및 소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제조 비용을 줄이고, 제품의 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도자기 본체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도자기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제조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장신구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자기(1)로서 복주머니 형태의 장신구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제조방법은 각종 도자기 용기, 테이블 용품, 벽화 등과 같은 공예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먼저, 도자기 소지를 이용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칠보 장식부(20)가 형성된 복주머니 형태의 도자기 본체(10)를 성형한다(S10). 도자기 본체(10)는 편평한 형태로 반죽된 소지를 복주머니 형태의 몰드로 프레싱하여 성형하거나, 또는 CNC 밀링 머신을 통해 복주머니 형태로 절삭 가공하여 성형할 수 있다.
도자기 소지는 점토, 백토, 도석, 규석, 장석, 견운모, 알루미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자기 소지는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학성분비로 조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 1〉
Figure 112016097092312-pat00001
다음, 상기와 같이 성형된 도자기 본체(10)를 건조한다(S20).
도자기 본체(10)를 건조시킨다. 도자기 본체(10)의 건조가 완료되면, 건조된 도자기 본체(10)를 정형하여 깔끔하게 다듬을 수 있다.
그리고, 건조된 도자기 본체(10)의 칠보 장식부(2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도자기 유약으로 시유한다(S30). 한편, 도자기 본체(10)의 칠보 장식부(2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시유하는 이유는, 칠보 장식부(20)에 유약이 도포되어 있으면, 후술할 제1의 칠보 안료 및 제2의 칠보 안료의 소성시 칠보 장식부(20)에 도포된 유약이 제1의 칠보 안료 및 제2의 칠보 안료보다 먼저 용융되어, 제1의 칠보 안료 및 제2의 칠보 안료가 칠보 장식부(20)에 안정적으로 정착되지 않아, 제1의 칠보 안료 및 제2의 칠보 안료가 도자기(1)의 표면에 융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도자기(1)의 시유를 위한 도자기 유약 성분은 장석 40중량부, 규석 20중량부, 석회석 30중량부, 카오린 1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자기 본체(10)를 시유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도자기 본체(10)의 시유 공정은 필수적으로 행해지는 것이 아니며, 선택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계속해서, 시유된 도자기 본체(10)를 1260℃∼1300℃ 범위 내에서 초벌 소성한다(S40). 이와 같이 고온에서 초벌 소성함으로써, 도자기 소지가 소결되어 도자기 본체(10)는 높은 강도를 갖게 된다.
초벌 소성한 도자기 본체(10)의 칠보 장식부(20)의 일 영역에 제1의 칠보 안료를 올리는 예컨대, 제1의 칠보 안료로 도안을 한다(S50). 제1의 칠보 안료로 도안을 할 때, 색과 색의 경계를 희미하게 하는 보카시 기법으로 여러 가지 색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하면, 더욱 입체감 있고 아름다운 컬러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칠보 안료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칠보 안료는 유리질의 입자로서 물감처럼 섞어서 혼색할 수 있으며, 한 가지 색이라도 진한색, 중간색, 흐린색 여러 단계가 있고 투명, 반투명, 불투명으로 종류가 다양하다. 제조사에서 칠보 안료를 만들 때는 유약과 산화 안료를 배합하여, 용해로에 넣고 1300℃에서 끓여 급속 냉각시켜 알갱이로 만든다. 크기는 냉각 속도와 온도에 따라 달라지며, 0.1cm∼1cm를 가진다. 칠보 안료의 검은색과 남색은 고온에서 제작한 것으로 입자의 크기가 작고, 청록색과 노란색 등은 중온에서 만든 것으로 입자의 크기가 중간이며, 빨간색, 파란색, 복숭아색은 저온에서 제조한 것으로 입자의 크기가 크다. 또한, 칠보 안료는 구워내는 온도, 가마에 들어가는 횟수, 밑판의 종류에 따라 채도와 명도가 달라진다.
한편, 제1의 칠보 안료는 유약과 제1의 산화 안료로 이루어진다. 제1의 칠보 안료는 유약 100중량부에 대해 제1의 산화 안료 2∼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의 칠보 안료의 유약은 규석, 연단, 질산칼륨, 소다가루, 붕산, 신석, 아비산, 산화안티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제1의 산화 안료는 산화동, 산화코발트, 산화크롬, 산화 제이철, 산화망간크롬, 이산화망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제1의 칠보 안료에 함유되는 유약은 투명 유약과 불투명 유약으로 구분된다.
투명 유약의 경우, 아래의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학성분비로 조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 2〉
Figure 112018024092987-pat00007
또한, 불투명 유약의 경우, 아래의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학성분비로 조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 3〉
Figure 112018024092987-pat00008
한편, 칠보 장식부(20)에 장식되는 칠보(30)를 청색계열의 색상으로 장식하고자 할 경우, 제1의 칠보 안료에 함유되는 유약과 산화동 또는 산화코발트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약과 산화크롬을 혼합하면 칠보(30)는 녹색계열의 색상을 발하고, 유약과 산화제이철을 혼합하면 칠보(30)는 갈색계열의 색상을 발하며, 유약과 산화망간크롬을 혼합하면 칠보(30)는 흑색계열의 색상을 발하고, 유약과 이산화망간을 혼합하면 보라색계열의 색상을 발하게 된다.
이어서, 제1의 칠보 안료가 도안된 도자기 본체(10)를 850℃∼950℃ 범위 내에서 소성한다(S60). 제1의 칠보 안료는 850℃∼950℃ 범위 내에서 용융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이, 제1의 칠보 안료가 도안된 도자기 본체(10)를 850℃∼950℃ 범위 내에서 소성함으로써, 제1의 칠보 안료가 도자기 본체(10)의 칠보 장식부(20)의 표면에 밀착하면서 접착되어, 제1의 칠보 안료로 이루어진 칠보 장식부(20)의 칠보(30)는 도자기 본체(10)로부터 박리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칠보 장식부(20)가 시유되어 있다면, 도자기(1)의 시유 유약 성분이 제1의 칠보 안료를 용융하기에 앞서 용융되어, 제1의 칠보 안료가 안정적으로 정착하지 않게 되고, 이에 제1의 칠보 안료로 이루어진 칠보 장식부(20)의 칠보(30)는 도자기 본체(10)로부터 쉽게 박리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자기 본체(10)의 칠보 장식부(20)의 나머지 영역에 제1의 칠보 안료보다 상대적으로 융점이 낮은 제2의 칠보 안료로 도안을 한다(S70). 제2의 칠보 안료로 도안을 할 때, 색과 색의 경계를 희미하게 하는 보카시 기법으로 여러 가지 색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하면, 더욱 입체감 있고 아름다운 컬러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제2의 칠보 안료는 유약과 제2의 산화 안료로 이루어진다. 제2의 칠보 안료는 유약 100중량부에 대해 제2의 산화 안료 2∼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의 칠보 안료의 유약은 규석, 연단, 질산칼륨, 소다가루, 붕산, 신석, 아비산, 산화안티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제2의 산화 안료는 산화카드뮴, 산화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제2의 칠보 안료에 함유되는 유약은 투명 유약과 불투명 유약으로 구분된다.
투명 유약의 경우, 전술한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학성분비로 조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불투명 유약의 경우, 전술한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학성분비로 조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칠보 장식부(20)에 장식되는 칠보(30)를 빨간색계열의 색상으로 장식하고자 할 경우, 제2의 칠보 안료에 함유되는 유약과 금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약과 산화카드뮴을 혼합하면 칠보(30)는 다홍색계열의 색상을 발하고, 유약과 산화은을 혼합하면 칠보(30)는 노란색계열의 색상을 발하게 된다.
이어서, 제2의 칠보 안료가 도안된 도자기 본체(10)를 780℃∼830℃ 범위 내에서 소성한다(S80). 제2의 칠보 안료는 780℃∼830℃ 범위 내에서 용융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이, 제2의 칠보 안료가 도안된 도자기 본체(10)를 780℃∼830℃ 범위 내에서 소성함으로써, 제2의 칠보 안료가 도자기 본체(10)의 칠보 장식부(20)의 나머지 표면에 밀착하면서 접착되어, 제2의 칠보 안료로 이루어진 칠보 장식부(20)의 칠보(30)는 도자기 본체(10)로부터 박리하지 않게 된다. 특히, 칠보 장식부(20)에 도안된 제2의 칠보 안료가 제1의 칠보 안료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소성되므로, 제1의 칠보 안료로 도안된 칠보 장식 영역은 용융되지 않게 되어, 도자기(1)의 표면으로부터 쉽게 박리하지 않고 도자기 본체(10)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칠보 장식부(20)를 도자기(1)의 유약 성분으로 시유한 후, 제1의 칠보 안료 및 제2의 칠보 안료를 도안하면, 도자기(1)의 유약 성분이 제1의 칠보 안료 및 제2의 칠보 안료보다 먼저 용융되어, 제1의 칠보 안료 및 제2의 칠보 안료가 칠보 장식부(20)에 안정적으로 정착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제1의 칠보 안료 및 제2의 칠보 안료로 이루어진 칠보 장식부(20)의 칠보(30)는 도자기 본체(10)로부터 쉽게 박리하게 되어,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제조방법은 칠보 장식부(20)에 도자기(1)의 유약을 시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의 칠보 안료 및 제2의 칠보 안료를 도안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제조방법은 칠보 안료의 융점에 따라 여러 차례에 걸쳐 칠보 안료를 별도로 도안 및 소성하지 않고, 두 차례에 걸쳐 칠보 안료를 도안 및 소성하는 특징을 가진다.
즉, 칠보 안료의 융점별 종류에 따라 별도로 도안 및 소성하는 경우, 도자 가마의 특성상 도자 가마는 고온에서 열게 되면 냉기가 급속도로 도자기(1) 표면에 닿아, 도자기 본체(10)가 터지게 되어 천천히 냉각해야 하므로, 장시간 동안 소성해야 하므로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차례의 실험 결과를 통해, 유사한 융점 온도를 갖는 칠보 안료들을 제1의 칠보 안료와 제2의 칠보 안료로 나누어 칠보 장식부(20)를 도안 및 소성하여, 소성 회수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특징을 가진다. 이로써,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자기 본체(10)에 금으로 추가 도안하는 경우, 각 칠보 안료가 도안된 도자기 본체(10)를 소성한 후 예컨대, 제2의 칠보 안료가 도안된 도자기 본체(10)를 소성한 후, 도자기 본체(10)의 일 영역에 금으로 도안한다(S90).
그리고, 금으로 도안된 도자기 본체(10)를 780℃∼800℃ 범위 내에서 소성한다(S100). 한편, 금으로 도안된 도자기 본체(10)를 780℃∼800℃ 범위 내에서 소성하는 이유는, 각 칠보 안료는 수성이므로, 금의 특성상 수분이 있는 경우 트러블이 발생하여 검게 변질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으로 도안된 도자기 본체(10)는 칠보 안료와 함께 소성하지 않고 단독으로 소성한다.
이와 같이, 제2의 칠보 안료가 도안된 도자기 본체(10)를 소성하고 나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칠보(30)가 장식된 복주머니 형태의 장신구 예컨대, 도자기(1)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자기 본체를 1260℃∼1300℃ 범위 내에서 초벌 소성한 후, 도자기 유약이 도포되지 않은 칠보 장식부에 높은 융점을 갖는 칠보 안료에서 낮은 융점을 갖는 칠보 안료로 두 번에 걸쳐 각각 도안 및 소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제조 비용을 줄이고, 제품의 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도자기 10 : 도자기 본체
20 : 칠보 장식부 30 : 칠보

Claims (6)

  1. 도자기 소지로 이루어지고 칠보 장식부를 형성하는 도자기 본체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도자기 본체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도자기 본체의 칠보 장식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도자기 유약으로 시유하는 단계;
    상기 도자기 본체를 1260℃∼1300℃ 범위 내에서 초벌 소성하는 단계;
    상기 초벌 소성한 도자기 본체의 칠보 장식부의 일 영역에 제1의 칠보 안료로 도안하는 단계;
    상기 제1의 칠보 안료가 도안된 상기 도자기 본체를 850℃∼950℃ 범위 내에서 소성하는 단계;
    상기 도자기 본체의 칠보 장식부의 나머지 영역에 상기 제1의 칠보 안료보다 상대적으로 융점이 낮은 제2의 칠보 안료로 도안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의 칠보 안료가 도안된 상기 도자기 본체를 780℃∼830℃ 범위 내에서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칠보 안료가 도안된 상기 도자기 본체를 소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도자기 본체의 일 영역에 금으로 도안하는 단계; 및
    상기 금으로 도안된 도자기 본체를 780℃∼800℃ 범위 내에서 소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 소지는 점토, 백토, 도석, 규석, 장석, 견운모, 알루미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도자기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칠보 안료는,
    규석, 연단, 질산칼륨, 소다가루, 붕산, 신석, 아비산, 산화안티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유약; 및
    산화동, 산화코발트, 산화크롬, 산화 제이철, 산화망간크롬, 이산화망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제1의 산화 안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의 칠보 안료는 상기 유약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제1의 산화 안료 2∼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칠보 안료는,
    규석, 연단, 질산칼륨, 소다가루, 붕산, 신석, 아비산, 산화안티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유약; 및
    산화카드뮴, 산화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제2의 산화 안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의 칠보 안료는 상기 유약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제2의 산화 안료 2∼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KR1020160129493A 2016-10-07 2016-10-07 도자기 제조방법 KR101900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493A KR101900473B1 (ko) 2016-10-07 2016-10-07 도자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493A KR101900473B1 (ko) 2016-10-07 2016-10-07 도자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634A KR20180038634A (ko) 2018-04-17
KR101900473B1 true KR101900473B1 (ko) 2018-09-19

Family

ID=6208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493A KR101900473B1 (ko) 2016-10-07 2016-10-07 도자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4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065B1 (ko) * 2012-11-13 2014-02-28 이희옥 석영 칠보 도자의 제작 방법
KR101636331B1 (ko) * 2016-03-04 2016-07-05 박광인 칠보 금속 장식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칠보 금속 장식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6038A (ja) * 1993-03-02 1994-09-13 Yoshinori Takashima 陶磁器用七宝絵具
KR100676911B1 (ko) * 2004-11-20 2007-01-31 이한영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KR20060085324A (ko) * 2005-01-22 2006-07-26 김현숙 세라믹에 발색도가 뛰어난 칠보안료를 결합한 표면 처리
KR101204686B1 (ko) * 2009-06-24 2012-11-26 한국도자기주식회사 칠보장식을 갖는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칠보장식 도자기
KR101110310B1 (ko) * 2009-06-24 2012-02-15 한국도자기주식회사 자개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도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065B1 (ko) * 2012-11-13 2014-02-28 이희옥 석영 칠보 도자의 제작 방법
KR101636331B1 (ko) * 2016-03-04 2016-07-05 박광인 칠보 금속 장식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칠보 금속 장식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634A (ko) 201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46203A (zh) 一种数码工艺制作模具效果纹理的陶瓷制品及其制作方法
CN102557599B (zh) 一种牡丹瓷的制作工艺
CN108706879A (zh) 窑变釉下彩料及其陶瓷的制作工艺
CN107010976A (zh) 一种利用墨水吸光装饰的半透光陶瓷薄板及其制备方法
KR101953542B1 (ko) 도자기용 다채색 고강도 안료조성물과 도자기용 다채색 고강도 안료조성물을 이용한 내열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내열 도자기
KR101818680B1 (ko) 도자기 코팅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채색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1940111B1 (ko) 2컬러 지르코니아 세라믹스의 제조방법
CN110845252B (zh) 特殊坯体大颗粒结合数码布料仿古砖及其制备方法
CN112279515A (zh) 一种钧瓷天蓝釉及其制备方法
CN107056058B (zh) 一种中温日用陶瓷装饰用花釉的应用方法
CN106590036B (zh) 一种用于陶瓷绘画的组合物、其制备方法及陶瓷绘画方法
CN106882980A (zh) 陶瓷釉下堆彩工艺
KR101900473B1 (ko) 도자기 제조방법
CN104387091A (zh) 一种高档陶瓷釉下彩制造装饰方法
CN104446653B (zh) 适用于陶瓷高温素胎釉下彩绘颜料及其制作工艺
KR100953797B1 (ko) 도자기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도자기
KR101854256B1 (ko) 도자타일 코팅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채색도자타일의 제조방법
CN103497006B (zh) 一种带有冰裂状的抛晶砖及其制造方法
CN107141008A (zh) 一种双层毛瓷无缝干接工艺
CN112457059A (zh) 一种用于釉下和釉中颜色底上进行书画的色料及其应用方法
CN112456816A (zh) 一种超白玻璃表面哑光马赛克工艺
KR20160149795A (ko) 마론브라운색 및 피코크색을 나타낼 수 있는 결정유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CN100519968C (zh) 一种装饰面砖的制造方法
CN104193301A (zh) 用于中温烧成通花瓷的坯料和中温烧成通花瓷的制备方法
KR20020011831A (ko) 도자기 표면에 돌기 무늬를 형성시키는 유약 및 그 유약을사용하여 제작된 도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