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969B1 - Ground excavating able to be attached general excavator - Google Patents

Ground excavating able to be attached general exca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969B1
KR101886969B1 KR1020170083679A KR20170083679A KR101886969B1 KR 101886969 B1 KR101886969 B1 KR 101886969B1 KR 1020170083679 A KR1020170083679 A KR 1020170083679A KR 20170083679 A KR20170083679 A KR 20170083679A KR 101886969 B1 KR101886969 B1 KR 101886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ing
unit
chain
horizontal support
exca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6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창곡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진창곡
이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창곡, 이경수 filed Critical 진창곡
Priority to KR1020170083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9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9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0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elements on an endless chain
    • E02F3/08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elements on an endless chain including a belt-type conveyor for transporting the excavated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0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elements on an endless chain
    • E02F3/12Component parts, e.g. bucket troug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klift-coupled ground exca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hain-type excavation mechanism easily angle-adjust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lateral direction is detachably mounted on an ordinary forklift. As a result, retaining wall construction is possible based on excavation mechanism mounted on an existing crane even in the event of an insufficient shape space having a hindrance of an upper structure attributable to the height of the crane during retaining wall construction. Various equipment can be replaced and operated based on vehicle body sharing. When the chain-type excavation mechanism mounted on a forklift is laid on a horizontal support, the excavation chain of the chain excavation arm that is vertically installed can be placed outside the vehicle body and separated from the vehicle body, and thus the ground surface for retaining wall construction close to the land boundary of the adjacent building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excavated. Activity and maneuverability in a ground excavation work site can be improved.

Description

포크레인 결합형 지반굴착장치 {GROUND EXCAVATING ABLE TO BE ATTACHED GENERAL EXCAVAT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 excav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체인 커터를 갖는 지반굴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굴삭기(일명; 포크레인)에 수직방향과 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용이한 체인형 굴착기구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차체를 공유하며 다양한 장비를 교체 운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지반굴착 작업현장 내에서의 활동성 및 기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인접 건축물의 토지 경계부에 옹벽 시공을 위한 지반 굴착이 용이하고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포크레인 결합형 지반굴착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 excavation apparatus having a chain cut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n excavator having a chain excavation mechanism which is easily detachable from a general excavator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tivity and maneuverability in the site of excavation of the ground, thereby facilitating the excavation of the ground for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at the land boundary of the adjacent building. To a ground-excavating machine for joining a crane.

일반적으로, 굴착기는 옹벽 시공을 위해 수직된 방향으로 지면을 굴착하는 장치로, 이러한 굴착기는 등록특허공보 제10-0236220호(등록일 1999.09.29)에서와 같이 포크레인(예; 굴삭기)의 붐장치에 지반굴착기용 리더장비를 설치하거나, 또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0716호(등록일 2004.01.27)에서와 같이 크롤러 크레인의 리더에 오거드릴과 무한궤도의 굴착체인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Generally, an excavator is a device for excavating the ground in a vertical direction for retaining wall construction. Such an excavator is mounted on a boom device of a crane (for example, an excavator), as in JP 10-0236220 A reader device for a ground excavator is installed, or an auger drill and an endless excavation chain are installed on a leader of a crawler crane as shown in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340716 (registered on January 21, 2004).

그러나, 종래 굴삭기의 붐장치에 적용되는 지반굴착기용 리더장비는 물론, 크롤러 크레인의 리더에 설치되는 오거드릴과 굴착체인은 그 회전이 자유롭게 못하였고, 이에 따라 종래에는 인접 건축물의 토지 경계부에 옹벽 시공을 위한 지반 굴착이 자유롭게 못하였다.However, the auger drill and the excavation chain installed on the leader of the crawler crane as well as the reader equipment for the excavator of the earth excavator applied to the boom device of the excavator of the prior art are not freely rotatable. Thus, conventionally, The excavation of the ground was not free.

즉, 굴삭기나 크롤러 크레인에 적용되는 굴착장비는 수직한 상태로서 그 회전이 자유롭지 못하므로, 움직일 수 있는 작업범위는 그 작동범위에 제한받게 되면서 굴착장비를 통해 뚫을 수 있는 홀은 수직방향 정도로 한정되고 다양한 각도조절이 불가능하여 굴착 작업에 제한이 따르고, 이에 따라 작업성과 굴착의 정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the drilling equipment applied to an excavator or a crawler crane is in a vertical state and its rotation is not free, so that the movable work range is limited to its operating range, so that holes that can be drilled through the drilling equipment are limited to vertical directions Various angles can not be adjusted, so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excavation work, an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ccuracy of workability and excavation is lowered.

한편, 크롤러 크레인에 설치되는 굴착장비의 경우에는,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면서, 크레인 높이로 인해 상부 구조물의 방해가 존재하는 형하공간 부족으로부터 옹벽 시공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더욱이 지반굴착 작업현장 내에서의 활동성 및 기동성이 현저하게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drilling rig installed in a crawler cra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taining wall is difficult to construct from the lack of a mold space where the upper structure is disturbed due to the height of the crane, And had a problem of significantly lowered activity and mobility.

더욱이 이같은 복합장비들은 장비를 탑재하는 차체를 굴삭기나 다른 차량으로 대체한 것일 뿐 장비의 호환성이 없으므로 특정의 목적하는 시공이나 작업이 종료되고 나면 고가의 장비를 세워 놓고 새로운 작업용 기계를 새로 투입하게 되는 비효율적인 운용이 불가피한 실정이었다.Furthermore, since these complex equipment are replaced with excavators or other vehicles, there is no compatibility of equipment. Therefore, after completion of a specific purpose construction or work, expensive equipment is set up and a new work machine is newly introduced Inefficient operation was inevitab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포크레인에 수직방향과 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용이한 체인형 굴착기구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 구성함으로써, 종래 크레인에 굴착기구를 탑재하여 옹벽 시공시 크레인 높이로 인해 상부 구조물의 방해가 있는 형하공간이 부족하더라도 옹벽 시공이 가능하고, 지반굴착 작업현장 내에서의 활동성 및 기동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차체를 공유하며 다양한 장비를 교체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포크레인 결합형 지반굴착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in excavation mechanism which can easily adjust an angl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lateral direction to a general cran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retaining wall even if there is a lack of a mold space with obstruction of the upper structure due to the height of the crane at the time of construction.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activity and maneuverability in the ground excavation work sit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크레인에 탑재되는 상기 체인형 굴착기구를 수평지지대 상에 눕힌 상태로 설치하는 경우,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체인굴착암의 굴착체인이 차체로부터 분리된 체 차체 외측에 놓여짐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인접 건축물의 토지 경계부에 근접한 옹벽 시공용 지면 굴착을 가능하게 하는 포크레인 결합형 지반굴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in excavating mechanism for excavating a chain excavating arm which is installed vertically in a state where the chain excavating mechanism mounted on a forklain is laid down on a horizontal suppor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ground excavating apparatus for joining a crane for a crane, which enables a ground excavation for a retaining wall close to a land boundary of an adjacent structure.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포크레인 결합형 지반굴착장치는, 전방측 상단에 좌우 회전이 가능한 제 1 결합부가 형성되고, 후방측에는 유압유니트를 형성한 포크레인 차량부; 상기 제 1 결합부에 의해 일정각도로의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결합부에 대응하는 제 2 결합부를 형성하고, 제 1 구동부의 구동시 상기 제 1,2 결합부에 결합되는 축부에 의해 일정각도로 상하 회전이 가능한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후술하는 굴착부를 깊이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장착프레임을 가지며, 제 3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풀리와, 상기 풀리에 연결되어 연동 회전하는 체인굴착암의 굴착체인과, 상기 굴착체인에 지면 굴착을 위한 굴착갈퀴가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굴착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rk-and-hook-type ground excavating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coupling unit capable of being pivotally mounted on a front upper end thereof; A second engag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first engaging portion can rotate left and righ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formed by a shaft portion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when the first driving portion is driven A rotation part capable of rotating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angle; A moving unit slidably installed inside the rotation unit and moving the excavation unit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unit in the depth direction; And a pulley having a mounting frame detachably coupled to the moving unit and linearly moved by the moving unit, the pulley rotating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ccording to driving of the third driving unit, A digging chain of a chain excavating arm and a digging unit in which excavating rakes for ground excavation are fixedly installed in the excavating chain at regular intervals; .

또한,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기 포크레인 차량부와 상기 회전부에 양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유압유니트에 의해 공급 제어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압실린더인 것이다.The first driving unit is at least one hydraulic cylinder that rotates the rotary unit by hydraulic pressure supplied and controlled by the hydraulic unit while both ends of the forklift vehicle unit and the rotary unit are connected.

또한, 상기 회전부는, 양측면 내측단에 각각 레일홈이 형성되는 제 1 수평지지대; 상기 제 1 수평지지대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제 1 보강지지대; 및, 상기 제 1 보강지지대의 저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축부 결합을 위한 홀이 형성되는 제 2 결합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The rota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having a rail groove at an inner side of both side surfaces thereof; A first reinforcing supporter connect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er; A second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support and having a hole for engaging the shaft; .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 1 수평지지대의 레일홈에 안착되는 복수의 배열 구조를 가지는 롤러가 양측면 외측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굴착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제 2 수평지지대; 및, 상기 제 2 수평지지대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제 2 보강지지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The mov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horizontal support table having rollers having a plurality of arrangement structures that are seated in the rail grooves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rods, respectively, at outer lateral ends thereof, and the excavation parts being detachably coupled; And a second reinforcing supporter connect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er; .

또한, 상기 제 2 구동부는, 상기 제 1 수평지지대의 전방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풀리; 상기 제 2 수평지지대의 후방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풀리; 상기 제 2 수평지지대의 후방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수평지지대의 전방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수평지지대의 전방측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부를 직선 이동시키는 실린더; 상기 제 1 수평지지대의 후방측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상기 제 2 수평지지대의 제 2 풀리에 권취된 이후에 상기 제 2 보강지지대에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이동부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1 체인부; 및, 상기 제 2 수평지지대의 전방측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상기 제 1 수평지지대의 제 1 풀리에 권취된 이후에 상기 제 1 수평지지대의 후방측에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이동부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2 체인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The second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pulley protruding from a front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A second pulley protruding from a rea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A cylind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through a front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and moving the moving part linearly; One end is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econd reinforcing support member after being wound on the second pulley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member to guide the linear movement of the moving unit A first chain portion; And one end is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bar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bar after being wound around the first pulley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bar so that the moving part A second chain portion for guiding linear movement; .

또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유압유니트에 의해 공급 제어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이동부를 직선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인 것이다.In addition, the cylinder is a hydraulic cylinder that linearly moves the moving unit by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and controlled by the hydraulic unit.

또한, 상기 제 3 구동부는 상기 체인굴착암의 굴착체인이 연결되는 풀리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정역회전 구동하는 모터이고, 상기 모터는 상기 이동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상기 장착프레임내에 구성하며, 상기 굴착체인에는 상기 굴착갈퀴에 의해 지면 굴착시 굴착되는 흙을 배출시키기 위해 곡선면을 가지는 배출플레이트를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 구성하고, 상기 배출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굴착갈퀴를 돌출 형성하는 것이다.The third driving unit may be a motor for rotating the pulley connected to the excavating chain of the chain excavating arm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rotate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and the moto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oving unit, And a discharge plate having a curved surface for discharging the soil excavated at the time of ground excavation by the excavating rake is connected to the excavation chai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은 인접 건축물의 토지 경계부로부터 포크레인 차량부의 폭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굴착갈퀴가 수직되게 회전하여 지면을 굴착하도록 상기 이동부의 제 2 수평지지대에 수직하게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Further, the mounting frame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of the moving unit so that the excavating rake rotates vertically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land boundary of the adjacent structure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ork- will be.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은 인접 건축물의 토지 경계부에 가까워진 상태에서 상기 굴착갈퀴가 수평되게 회전하여 지면을 굴착하도록 상기 이동부의 제 2 수평지지대에 수평하게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The mounting frame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of the moving unit so that the excavating rake rotates horizontally to excavate the ground in a state where the mounting frame approaches the land boundary of the adjacent structure.

또한, 상기 굴착부는, 지면 굴착 깊이에 따라 일정길이를 가지는 체인굴착암을 복수개 구성하고, 복수개의 상기 체인굴착암을 체결부재로 조립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 구성하며, 복수개로 연장되는 상기 체인굴착암들 중에서 일단 및 타단의 끝단에는 회전륜을 형성하되, 상기 회전륜에 굴착체인을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The excavat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hain excavating arm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ccording to the ground excavation depth, a plurality of the chain excavating arms are combined with a fastening member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otary wheel is formed at one end and an end of the other end, and an excavation chain is connected to the rotary wheel.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인 포크레인에 수직방향과 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용이한 체인형 굴착기구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종래 크레인에 굴착기구를 탑재하여 옹벽 시공시 크레인 높이로 인해 상부 구조물의 방해가 존재하는 형하공간이 부족하더라도 옹벽 시공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지반굴착 작업현장 내에서의 활동성 및 기동성을 향상시키고, 차체를 공유하며 다양한 장비를 교체 운용할 수 있도록 하며, 포크레인에 탑재되는 상기 체인형 굴착기구를 수평지지대 상에 눕힌 상태로 설치시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체인굴착암의 굴착체인이 차체로부터 분리된 체 차체 외측에 놓여짐이 가능하게 되면서 인접 건축물의 토지 경계부에 근접한 옹벽 시공용 지면 굴착이 용이하고도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hain type excavation mechanism which is easily adjus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detachably mounted on a general crane, and a conventional excavating mechanism is mounted on the cran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even if there is a lack of mold space where there is obstruction of the structure. It also improves the activity and maneuverability in the ground excavation work site, allows the body to share and exchange various equipments, The excavating chain of the chain excavating arm installed vertically in a state where the chain excavating mechanism mounted on the horizontal supporting platform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support can be placed outside the body of the excavated body separated from the car body, The effect of easy and simple excavation of ground for clos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Which it would be expect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굴착갈퀴가 수직되게 결합되는 포크레인 결합형 지반굴착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지반굴착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지반굴착장치에 대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회전부와 이동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지반굴착장치에서 굴착부가 지반 굴착을 위해 수직하게 회전된 상태를 보인 측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지반굴착장치에서 굴착부가 인접 건축물의 토지 경계부에 대한 지반 굴착을 위해 수직하게 회전된 상태를 보인 정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지반굴착장치에서 굴착부가 지반 굴착을 위해 수직하게 회전된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굴착갈퀴가 수평되게 결합되는 포크레인 결합형 지반굴착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도 8의 지반굴착장치에서 굴착부가 지반 굴착을 위해 수직하게 회전된 상태를 보인 측면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도 8의 지반굴착장치에서 굴착부가 인접 건축물의 토지 경계부에 대한 지반 굴착을 위해 수직하게 회전된 상태를 보인 정면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도 8의 지반굴착장치에서 굴착부가 지반 굴착을 위해 수평하게 회전된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도 8의 지반굴착장치에서 굴착부가 수평하게 회전하여 인접 건축물의 토지 경계부에 대한 지반을 굴착하는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로 굴착부를 이루는 체인굴착암의 길이를 연장시킨 상태를 보인 개략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rane-coupled geotechnical drilling apparatus in which an excavating rake is vertically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round excavation apparatus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the ground excavation apparatus of FIG. 1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rotating part and a mov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schematic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excavation section in the ground excavation apparatus of FIG. 1 being rotated vertically for ground excavation. FIG.
FIG. 6 is a front schematic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excavation unit of FIG. 1 is vertically rotated for ground excavation of a land boundary of an adjacent structure. FIG.
FIG. 7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excavation unit of FIG. 1 is vertically rotated for ground excavation;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rane coupling type ground excavating apparatus in which excavating rakes are coupled horizontal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9 is a side schematic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excavation section in the ground excavation apparatus of Figure 8 is shown rotated vertically for ground excavation.
FIG. 10 is a front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excavation unit of FIG. 8 is vertically rotated for ground excavation of a land boundary of an adjacent structure; FIG.
FIG. 1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ground excavating apparatus of FIG. 8 in which the excavation unit is horizontally rotated for ground excav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ground excavating apparatus of FIG. 8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excavation unit horizontally rotates to excavate a ground to a land boundary of an adjacent structure.
FIG. 1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hain excavating arm constituting an excavating unit in an extended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굴착갈퀴가 수직되게 결합되는 포크레인 결합형 지반굴착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지반굴착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지반굴착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회전부와 이동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rane coupling type ground excavating apparatus in which excavating rakes are vertically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round excavating apparatus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the ground excavation apparatus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rotary part and a mov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지반굴착장치에서 굴착부가 지반 굴착을 위해 수직하게 회전된 상태를 보인 측면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지반굴착장치에서 굴착부가 인접 건축물의 토지 경계부에 대한 지반 굴착을 위해 수직하게 회전된 상태를 보인 정면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지반굴착장치에서 굴착부가 지반 굴착을 위해 수직하게 회전된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5 is a side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excavation unit is vertically rotated for the ground excavation in the ground excavation apparatus of FIG.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elevational view of the excavator of FIG. FIG. 7 is a front schematic view showing a vertically rotated state for ground excavation with respect to a land boundary of an adjacent adjoining buildin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ound excavating apparatus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레인 결합형 지반굴착장치는, 전방측 상단에 일정각도로의 좌우 회전이 가능한 제 1 결합부(11)가 형성되고 후방측에 유압유니트(12)를 형성한 포크레인 차량부(10)에, 착탈 가능한 회전부(20)와 이동부(30) 및 굴착부(40)를 순차적으로 결합 구성한 것이다.1 to 7, a fork-and-hook type ground exca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ngaging portion 11 formed at an upper end of a front side and capable of turning to right and left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moving part 30 and the excavating part 40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forklail vehicle part 10 having the hydraulic unit 12 formed thereon.

상기 회전부(20)는 상기 제 1 결합부(11)에 대응하는 제 2 결합부(23)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결합부(11)에 의해 일정각도로의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되면서, 상기 제 1,2 결합부(11)(23)에 체결되는 축부(20a)를 통해 일정각도(예; 90°)로 상하 회전이 가능하며, 그 상하 회전은 상기 유압유니트(12)로 공급 제어되는 유압에 의해 구동하는 제 1 구동부(M1)에 의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rotation part 20 forms a second coupling part 23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art 11 so that the first coupling part 11 can rotate left and right at a certain angle, (For example, 90 °) through a shaft portion 20a fastened to the coupling portions 11 and 23 of the hydraulic unit 12, The first driving unit M1 is driven by the first driving unit M1.

여기서, 상기 제 1 결합부(11)는 회전축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포크레인 차량부(10)에 좌우 방향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 구성한 것이다.Her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 is coupled to the forklail vehicle portion 10 through a rotary shaft portion (not shown) such that the coupling portion can be rotated 360 degrees in the left-right direction.

상기 제 1 구동부(M1)는 상기 포크레인 차량부(10)와 상기 회전부(20)에 양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압실린더로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유압유니트(12)에 의해 공급 제어되는 유압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회전부(20)를 일정각도로 기울임 회전시키는 것이다.The first driving unit M1 is at least one hydraulic cylinder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forklift vehicle unit 10 and the rotary unit 20. The hydraulic cylinder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and controlled by the hydraulic unit 12 So that the rotation unit 20 is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한편, 상기 회전부(20)는 제 1 수평지지대(21)와 제 1 보강지지대(22) 및 제 2 결합부(23)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The rotation unit 20 includes a first horizontal support 21, a first reinforcement support 22, and a second coupling unit 23.

상기 제 1 수평지지대(21)는 전방 및 후방과 양측면이 연결되는 프레임 구조물로서, 양측면 내측단에는 각각 레일홈(21a)을 형성한 것이다.The first horizontal support base 21 is a frame structure in which front and rear sides and both side surfa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rail grooves 21a are formed at inner side ends of both sides.

상기 제 1 보강지지대(22)는 상기 제 1 수평지지대(21)의 양측면을 연결한 것이다.The first reinforcing supporter 22 connects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supporter 21.

상기 제 2 결합부(23)는 상기 제 1 보강지지대(22)의 저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축부(20a)의 결합을 위한 홀을 형성한 것이다.The second engaging part 23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supporter 22 and is formed with a hole for engaging the shaft part 20a.

따라서, 상기 회전부(20)에 상기 이동부(30)는 물론 상기 굴착부(4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이루게 되므로, 상기 회전부(20)의 회전시, 상기 회전부(20)에 순차적으로 결합된 상기 이동부(30)는 물론, 상기 이동부(30)에 결합되는 굴착부(40)가 연동하여 동시에 회전 가능한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rotary unit 20 is rotated, the rotary unit 20 is sequentially coupled to the rotary unit 20, so that the rotary unit 20 is coupled to the excavating unit 40 as well as the moving unit 30. [ The excavating part 40 coupled to the moving part 30 as well as the moving part 30 can be simultaneously rotated and rotated.

여기서, 상기 제 1 수평지지대(21)의 후방측은 상기 제 1 수평지지대(21)의 전방측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플레이트 구조물을 적용하였으며, 이는 상기 이동부(30)가 상기 회전부(20)내에서 직선 이동시 상기 제 1 수평지지대(21)의 전방측으로는 직선 이동을 제한하지만, 상기 제 1 수평지지대(21)의 후방측으로의 직선 이동은 제한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Here, a plate structure in which the rea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frame 21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frame 21 is used, because the movement part 30 is disposed in the rotation part 20 The linear movement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base 21 is restricted while the linear movement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base 21 is restricted.

상기 이동부(30)는 상기 회전부(20)의 상단에 결합되면서, 제 2 구동부(M2)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부(20)를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moving unit 3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unit 20 and linearly moves along the rotating unit 2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unit M2.

즉, 상기 이동부(30)는 상기 굴착부(40)가 지면을 굴착할 때 그 굴착 깊이에 따라 상기 굴착부(40)의 굴착을 위한 전후진을 위해 상기 회전부(20)를 따라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제 2 수평지지대(31)와 제 2 보강지지대(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excavation unit 40 excavates the ground, the moving unit 30 linearly moves along the rotation unit 20 for forward and backward excavation of the excavation unit 40 according to the excavation depth And includes a second horizontal support 31 and a second reinforcement support 32.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31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support 3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제 2 수평지지대(31)는 상기 제 1 수평지지대(21)의 레일홈(21a)에 안착되는 복수의 배열 구조를 가지는 롤러(31a)가 양측면 외측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수평지지대(31)의 상면에는 체결부재(예; 볼트와 너트 등)를 이용하여 상기 굴착부(40)의 장착프레임(41)이 첨부된 도 1과 같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또는 첨부된 도 8과 같이 수평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선택 조립되는 것이다.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rods 31 are formed on the outer end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rods 21 and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rods 31, 1, in which the mounting frame 41 of the excavating portion 40 is attached, is vertically er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31 using a fastening member (e.g., a bolt and a nut or the like) As shown in Fig.

상기 제 2 보강지지대(32)는 상기 제 2 수평지지대(31)의 양측면을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second reinforcing supporter (32) is configured to connect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er (31).

한편, 상기 제 2 구동부(M2)는 상기 제 1 수평지지대(21)의 전방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풀리(51)와, 상기 제 2 수평지지대(31)의 후방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풀리(52)와, 상기 제 2 수평지지대(31)의 후방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수평지지대(31)의 전방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수평지지대(21)의 전방측에 고정되면서 상기 이동부(30)를 직선 이동시키는 실린더(53), 그리고 상기 제 1 수평지지대(21)의 후방측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상기 제 2 수평지지대(31)의 제 2 풀리(52)에 권취된 이후에 상기 제 2 보강지지대(32)에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53)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이동부(30)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1 체인부(54) 및, 상기 제 2 수평지지대(31)의 전방측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상기 제 1 수평지지대(21)의 제 1 풀리(51)에 권취된 이후에 상기 제 1 수평지지대(21)의 후방측에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53)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이동부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2 체인부(54')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실린더(53)는 상기 유압유니트(12)에 의해 공급 제어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이동부(30)를 직선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로 구성한 것이다.The second driving unit M2 includes a first pulley 51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21 and a second pulley 51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31,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base 31 and the other end of which passes through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base 31 and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base 21 A cylinder 53 for linearly moving the moving unit 30 while being fixed to the second pulley 52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base 31 while one end is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base 21, A first chain portion 54 for fixing the other end to the second reinforcing supporter 32 after winding and guid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moving portion 30 by the cylinder 53, One end is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base 31 and is wound on the first pulley 51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base 21, And a second chain portion 54 'for fixing the other end to the rear side of the one horizontal support 21 and guid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moving portion formed by the cylinder 53, And a hydraulic cylinder that linearly moves the moving unit 30 by an oil pressure supplied and controlled by the hydraulic unit 12. [

상기 굴착부(40)는 장착프레임(41)을 통해 상기 이동부(30)의 제 2 수평지지대(3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제 3 구동부(M3)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체인굴착암(45)의 굴착체인(42)과, 상기 굴착체인(42)에 지면 굴착을 위한 굴착갈퀴(44)가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한 것이다.The excavating unit 4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31 of the moving unit 30 through the mounting frame 41 and is driven by chain excavation The excavating chain 42 of the arm 45 and the excavating rake 44 for excavating the ground to the excavating chain 42 are fixedly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즉, 상기 굴착부(40)의 장착프레임(41)을 상기 이동부(3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는 것은, 포크레인 차량부(10)를 공유하면서 체인형 굴착기구 이외에 다양한 장비를 교체 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That is, the mounting frame 41 of the excavating portion 4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ving portion 30, so that various equipments other than the chain excavating mechanism can be replaced and operated while sharing the fork- To be able to do so.

여기서, 상기 제 3 구동부(M3)는 상기 굴착체인(42)이 연결되는 풀리(미도시)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정역회전 구동하는 모터이고, 상기 모터는 상기 이동부(30)에 결합 고정되는 굴착부(40)의 장착프레임(41)내에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굴착체인(42)에는 상기 굴착갈퀴(44)에 의해 지면 굴착시 굴착되는 흙을 배출시키기 위해 곡선면을 가지는 배출플레이트(43)를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 구성하고, 상기 배출플레이트(4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굴착갈퀴(44)를 돌출 형성한 것이다.Here, the third driving unit M3 is a motor that rotates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o rotate a pulley (not shown) to which the excavating chain 42 is connect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excavating chain 42 is provided with a curved surface for discharging soil excavated by the excavating rake 44 during ground excavation. The excavator 40 is provided in a mounting frame 41 of the excavator 40, And the discharge plate 43 is coupled to the discharge plate 43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t least one or more excavation rakes 44 are protruded from the discharge plate 43.

한편, 상기 장착프레임(41)은 인접 건축물(100)의 토지 경계부(d1)로부터 포크레인 차량부(10)의 폭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체인굴착암(45)의 굴착체인(42)이 수직되게 회전하여 굴착갈퀴(44)가 지면을 굴착하여 인접 건축물(100)의 토지 경계부(d1)에 근접한 옹벽 시공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30)의 제 2 수평지지대(31)에 수직하게 결합 구성하거나, 또는 첨부된 도 7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인접 건축물(100)의 토지 경계부(d1)에 가까워진 상태에서 체인굴착암(45)의 굴착체인(42)이 수평되게 회전하여 굴착갈퀴(44)가 지면을 굴착하여 인접 건축물(100)의 토지 경계부(d1)에 근접한 옹벽 시공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30)의 제 2 수평지지대(31)에 수평하게 결합 구성할 수도 있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frame 41 is connected to the excavating chain 42 of the chain excavating arm 45 at a position distant from the land boundary d1 of the adjacent structure 100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ork- The excavation rake 44 excavates the ground to vertically move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31 of the moving unit 30 so that a retaining wall close to the land boundary d1 of the adjacent building 100 can be constructed The excavating chain 42 of the chain excavating arm 45 is rotated horizontally in a state where the excavating wheel 45 is close to the land boundary d1 of the adjacent structure 100 as shown in Figs. So that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ing member 31 can be coupled horizontally so that a retaining wall adjacent to the land boundary d1 of the adjacent building 100 can be constructed.

즉, 상기 굴착부(40)를 구성하는 체인굴착암(45)의 굴착체인(42)은 회전부(20)의 회전에 따라 포크레인 차량부(10)의 외측에 놓여짐이 가능하게 되면서, 상부 구조물의 방해에 의해 형하공간이 부족하더라도 인접 건축물(100)의 토지 경계부(d1)에 근접하여 지면을 굴착할 수 있고, 이에따라 인접 건축물(100)의 토지 경계부(d1)에 근접한 옹벽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excavating chain 42 of the chain excavating arm 45 constituting the excavating section 40 can be placed outside the crane vehicle section 1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section 20, It is possible to excavate the ground adjacent to the land boundary d1 of the adjacent building 100 and to construct a retaining wall close to the land boundary d1 of the adjacent building 100 do.

이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레인 결합형 지반굴착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우선 인접 건축물(100)의 토지 경계부(d1)에 옹벽을 시공하기 위해, 상기 토지 경계부(d1)측으로 포크레인 차량부(10)를 이동시킨다.1 to 7, in order to construct a retaining wall at the land boundary d1 of the adjacent structure 100, the ground boundary portion (d1) d1) side.

이후, 상기 포크레인 차량부(10)에서 유압유니트(12)의 유압 공급을 제어하여, 유압실린더인 제 1 구동부(M1)의 일단에 유압을 공급하면, 상기 제 1 구동부(M1)에 의해 회전부(20)는 하강하게 되고, 상기 회전부(20)의 하강에 따라 이동부(30)는 물론 굴착부(40)가 하강하게 되면서, 상기 굴착부(40)에 포함되는 굴착갈퀴(44)는 지면에 접촉하게 된다.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one end of the first driving part M 1 which is a hydraulic cylinder by controlling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of the hydraulic unit 12 from the forklail vehicle part 10, The excavating rake 44 included in the excavating portion 40 is lowered to the ground as the excavating portion 40 descends as well as the moving portion 30 as the rotary portion 20 descends. .

다음으로, 포크레인 차량부(10)에서 굴착부(40)의 장착프레임(41)내에 구성되는 모터인 제 3 구동부(M3)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제 3 구동부(M3)의 구동에 따라 굴착체인(42)이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굴착체인(42)에 곡선면을 가지는 배출플레이트(43)에 돌출 형성된 상기 굴착갈퀴(44)가 상기 굴착체인(42)의 회전에 따라 지면을 굴착하고, 상기 굴착갈퀴(44)에 의해 굴착되는 지면의 흙은 상기 배출플레이트(43)에 의해 굴착지점에서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Next, when the forklift vehicle section 10 outputs a signal for driving the third driving section M3, which is a motor constituted in the mounting frame 41 of the excavating section 40, the driving of the third driving section M3 The excavating rake 44 protruding from the discharge plate 43 having a curved surface in the excavating chain 42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excavating chain 42 as the excavating chain 42 rotates And the soil on the ground which is excavated by the excavating rake 44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excavation point by the discharge plate 43.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굴착갈퀴(44)를 통해 지면을 굴착시, 상기 굴착부(40)의 장착프레임(41)은 유압실린더인 상기 제 1 구동부(M1)에 의해 서서히 수직하게 세워지면서 일정각도 즉, 90°까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장착프레임(41)이 수직하게 세워지면서, 체인굴착암(45)의 굴착체인(42)은 포크레인 차량부(10)의 외측에 놓여지고, 이에따라 상기 장착프레임(41)을 제 2 구동부(M2)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이동부(30)를 이용하여 지면 속으로 전진 이동시킨다.When the ground surface is excavated through the excavating rake 44 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frame 41 of the excavating part 40 is gradually raised vertically by the first driving part M 1, which is a hydraulic cylinder, The excavating chain 42 of the chain excavating arm 45 is placed on the outside of the crane vehicle section 10 so that the mounting frame 41 is vertically erected, (41) is moved forward into the ground by using the moving part (30) which linearly moves by the second driving part (M2).

즉, 상기 제 2 구동부(M2)에 포함되는 제 1,2 체인부(54)(54')는 제 1,2 풀리(51)(52)를 이용하여 상기 제 1,2 수평지지대(21)(31)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양단이 고정된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회전부(20)와 상기 이동부(30)를 연결시킨 것으로, 상기 제 2 구동부(M2)에 포함되는 실린더(53)가 유압유니트(12)에 의해 공급 제어되는 유압에 의해 직선 이동하면, 상기 이동부(30)에 포함되는 제 2 수평지지대(31)는 상기 제 1,2 체인부(54)(54')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회전부(20)에 포함되는 제 1 수평지지대(21)의 내부에서 롤러(31a)를 이용하여 전진의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chain portions 54 and 54 'included in the second driving portion M2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upports 21 and 21'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pulleys 51 and 52, The rotation part 20 and the moving part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ylinder 31 and the cylinder 53 included in the second driving part M2,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table 31 included in the moving unit 30 is moved to the first and second chain units 54 and 54 'by a hydraulic pressure supplied and controlled by the hydraulic unit 12, The linear movement of the forward movement is enabled by using the roller 31a in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table 21 included in the rotary part 20. [

그러면, 상기 제 2 수평지지대(31)에 장착 고정되는 장착프레임(41)에 구성되는 굴착체인(42)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굴착갈퀴(44)는 상부구조물로 인해 형하공간이 부족하더라도 지면에서 일정깊이까지 옹벽 시공을 위한 수직 홀을 굴착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굴착갈퀴(44)에 의해 굴착된 흙들은 곡선면을 가지는 배출플레이트(43)에 의해 지면 위치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excavating chain 42 constituted by the mounting frame 41 mounted on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31, the excavating rake 44 is constantly rotated from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excavate the vertical holes for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up to a depth, and the soil excavated by the excavating rake 44 can be discharged to the ground position by the discharge plate 43 having the curved surface.

따라서, 상기와 같이 토지 경계부(d1)에서 굴착갈퀴(44)에 의해 수직홀이 굴착되면, 상기 수직홀에 콘크리트를 채움함으로써, 인접 건축물(100)의 토지 경계부(d1)에 근접되게 옹벽을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vertical hole is excavated by the excavating rake 44 at the land boundary d1 as described above, concrete is filled in the vertical hole so that a retaining wall is formed close to the land boundary d1 of the adjacent building 100 You can do it.

한편, 첨부된 도 8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이동부(30)의 제 2 수평지지대(31)에 장착프레임(41)을 수평하게 결합 구성하여, 상기 장착프레임(41)에 체인굴착암(45)의 굴착체인(42)이 수평되게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또한 포크레인 차량부(10)를 인접 건축물(100)의 토지 경계부(d1)에 가깝게 근접시켜, 지면을 굴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8 to 12, the mounting frame 41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31 of the moving unit 30 so that the mounting frame 41 is provided with a chain excavating arm 45 can be configured to horizontally rotate the drilling chain 42 of the forklift vehicle section 10 so that the crane vehicle section 10 is brought close to the land boundary d1 of the adjacent structure 100 to excavate the ground It is for this reason.

즉, 상기 굴착체인(42)의 수평회전으로부터 상기 굴착체인(42)에 결합되는 굴착갈퀴(44)가 수평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굴착갈퀴(44)에 의해 진행되는 굴착지점이 인접 건축물(100)의 토지 경계부(d1)와 최대한 가까워지면서, 상기 인접 건축물(100)과 최대한 근접된 위치에서 옹벽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excavating rake 44 coupled to the excavating chain 42 horizontally rotates from the horizontal rotation of the excavating chain 42, an excavation point progressed by the excavating rake 44 is transmitted to the adjacent building 100,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retaining wall at a position as close as possible to the adjacent building 100 while being as close as possible to the land boundary d1 of the building 100. [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13에서와 같이, 지면의 수직홀에 대한 굴착 깊이에 따라 상기 굴착부(40)의 체인굴착암(45,45') 길이를 연장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13, the length of the chain excavating arms 45 and 45 'of the excavation section 40 may be extended according to the excavation depth of the vertical holes of the ground surface, as shown in FIG. 13,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즉, 지면 굴착 깊이에 따라 일정길이를 가지는 체인굴착암(45,45')을 복수개 구성하고, 복수개의 상기 체인굴착암(45,45')을 체결부재인 볼트(46)와 너트(47)로 조립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 구성한 상태에서, 복수개로 연장되는 상기 체인굴착암(45,45')들 중에서 일단 및 타단의 끝단에 회전륜(48)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륜(48)에 굴착체인(42)을 연결 구성하면, 상기 굴착부(40)에 의한 지면의 수직홀 굴착 깊이를 더 연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a plurality of chain excavating arms 45 and 45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ccording to the ground excavation depth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the chain excavating arms 45 and 45' are fixed to the bolts 46 and the nuts 47, (48) is formed at the end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hain excavating arms (45, 45 ') extending in plural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with the rotary wheel (48) When the chain 42 is connected, the vertical hole drilling depth of the ground by the excavator 40 can be further extend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지반굴착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포크레인 차량부 11; 제 1 결합부
12; 유압유니트 20; 회전부
20a; 축부 21; 제 1 수평지지대
21a; 레일홈 22; 제 1 보강지지대
23; 제 2 결합부 30; 이동부
31; 제 2 수평지지대 31a; 롤러
32; 제 2 보강지지대 40; 굴착부
41; 장착프레임 42; 굴착체인
43; 배출플레이트 44; 굴착갈퀴
45,45'; 체인굴착암 48; 회전륜
51; 제 1 풀리 52; 제 2 풀리
53; 실린더 54; 제 1 체인부
54'; 제 2 체인부 100; 인접 건축물
d1; 토지 경계부 M1; 제 1 구동부
M2; 제 2 구동부 M3; 제 3 구동부
10; A crane vehicle section 11;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 A hydraulic unit 20; reel
20a; Shaft portion 21;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21a; Rail grooves 22; The first reinforcing support
23; A second coupling portion 30; The moving part
31; A second horizontal support 31a; roller
32; A second reinforcing support 40; Excavation part
41; Mounting frame 42; Excavation chains
43; Discharge plate 44; Excavating rake
45, 45 '; Chain excavating arm 48; Wheel
51; A first pulley 52; The second pulley
53; Cylinder 54; The first chain portion
54 '; A second chain portion 100; Adjacent building
d1; Land boundaries M1; The first driving unit
M2; A second driving unit M3; The third driving unit

Claims (10)

전방측 상단에 좌우 회전이 가능한 제 1 결합부가 형성되고, 후방측에는 유압유니트를 형성한 포크레인 차량부;
상기 제 1 결합부에 의해 일정각도로의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결합부에 대응하는 제 2 결합부를 형성하고, 제 1 구동부의 구동시 상기 제 1,2 결합부에 결합되는 축부에 의해 일정각도로 상하 회전이 가능한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후술하는 굴착부를 깊이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장착프레임을 가지며, 제 3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풀리와, 상기 풀리에 연결되어 연동 회전하는 체인굴착암의 굴착체인과, 상기 굴착체인에 지면 굴착을 위한 굴착갈퀴가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굴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양측면 내측단에 각각 레일홈이 형성되는 제 1 수평지지대; 상기 제 1 수평지지대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제 1 보강지지대; 및, 상기 제 1 보강지지대의 저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축부 결합을 위한 홀이 형성되는 제 2 결합부; 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 1 수평지지대의 레일홈에 안착되는 복수의 배열 구조를 가지는 롤러가 양측면 외측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굴착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제 2 수평지지대; 및, 상기 제 2 수평지지대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제 2 보강지지대; 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구동부는, 상기 제 1 수평지지대의 전방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풀리; 상기 제 2 수평지지대의 후방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풀리; 상기 제 2 수평지지대의 후방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수평지지대의 전방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수평지지대의 전방측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부를 직선 이동시키는 실린더; 상기 제 1 수평지지대의 후방측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상기 제 2 수평지지대의 제 2 풀리에 권취된 이후에 상기 제 2 보강지지대에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이동부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1 체인부; 및, 상기 제 2 수평지지대의 전방측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상기 제 1 수평지지대의 제 1 풀리에 권취된 이후에 상기 제 1 수평지지대의 후방측에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이동부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2 체인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레인 결합형 지반굴착장치.
A first coupling portion capable of being rotated leftward and rightward is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front side, and a fork-train vehicle portion having a hydraulic unit formed on a rear side thereof;
A second engag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first engaging portion can rotate left and righ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formed by a shaft portion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when the first driving portion is driven A rotation part capable of rotating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angle;
A moving unit slidably installed inside the rotation unit and moving the excavation unit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unit in the depth direction; And
A pulley having a mounting frame detachably coupled to the moving unit and linearly moved by the moving unit, the pulley rotating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third driving unit, An excavating unit for excavating the excavating arm and excavating rakes for ground excavation to the excavating chain at fixed intervals; / RTI >
The rotary unit includes: a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having a rail groove at an inner side of both side surfaces thereof; A first reinforcing supporter connect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er; A second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support and having a hole for engaging the shaft; Lt; / RTI >
Wherein the moving unit includes: a second horizontal support table having rollers having a plurality of arrangement structures that are seated in the rail grooves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rods, respectively, at outer lateral ends thereof, And a second reinforcing supporter connect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er; Lt; / RTI >
The second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pulley protruding from a front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A second pulley protruding from a rea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A cylind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through a front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and moving the moving part linearly; One end is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econd reinforcing support member after being wound on the second pulley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member to guide the linear movement of the moving unit A first chain portion; And one end is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bar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bar after being wound around the first pulley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bar so that the moving part A second chain portion for guiding linear movement; And a plurality of excavators mounted on the excav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기 포크레인 차량부와 상기 회전부에 양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유압유니트에 의해 공급 제어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레인 결합형 지반굴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riving unit is at least one hydraulic cylinder that rotates the rotating unit by hydraulic pressure supplied and controlled by the hydraulic unit while both ends of the forklift vehicle unit and the rotating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유압유니트에 의해 공급 제어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이동부를 직선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레인 결합형 지반굴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ylinder is a hydraulic cylinder that linearly moves the moving unit by an oil pressure supplied and controlled by the hydraulic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구동부는 상기 체인굴착암의 굴착체인이 연결되는 상기 풀리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정역회전 구동하는 모터이고,
상기 모터는 상기 이동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상기 장착프레임내에 구성하며,
상기 굴착체인에는 상기 굴착갈퀴에 의해 지면 굴착시 굴착되는 흙을 배출시키기 위해 곡선면을 가지는 배출플레이트를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 구성하고,
상기 배출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굴착갈퀴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레인 결합형 지반굴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drive unit is a motor that rotates the pulley to which the excavation chain of the chain excavation arm is connect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rein the motor is configured in the mounting frame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oving unit,
Wherein the excavation chain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late having curved surfac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discharge soil excavated at the time of ground excavation by the excavating rak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excavating rakes is protruded from the discharge pla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프레임은, 인접 건축물의 토지 경계부로부터 포크레인 차량부의 폭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굴착갈퀴가 수직되게 회전하여 지면을 굴착하도록 상기 이동부의 제 2 수평지지대에 수직하게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레인 결합형 지반굴착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ounting frame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of the moving part so as to excavate the ground by rotating the excavating rake vertically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land boundary of the adjacent building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k-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프레임은, 인접 건축물의 토지 경계부에 가까워진 상태에서 상기 굴착갈퀴가 수평되게 회전하여 지면을 굴착하도록 상기 이동부의 제 2 수평지지대에 수평하게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레인 결합형 지반굴착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ounting frame is horizontally coupled to a second horizontal support of the moving unit so that the excavating rake rotates horizontally to excavate the ground in a state where it is close to a land boundary of an adjacent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부는, 지면 굴착 깊이에 따라 일정길이를 가지는 체인굴착암을 복수개 구성하고, 복수개의 상기 체인굴착암을 체결부재로 조립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 구성하며, 복수개로 연장되는 상기 체인굴착암들 중에서 일단 및 타단의 끝단에는 회전륜을 형성하되, 상기 회전륜에 굴착체인을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레인 결합형 지반굴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cavating unit comprises a plurality of chain excavating arm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ccording to a ground excavation depth, a plurality of the chain excavating arms are assembled with a fastening member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a rotating wheel is formed at one end and at an end of the other end, and a drill chain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wheel.
KR1020170083679A 2017-06-30 2017-06-30 Ground excavating able to be attached general excavator KR1018869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679A KR101886969B1 (en) 2017-06-30 2017-06-30 Ground excavating able to be attached general exca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679A KR101886969B1 (en) 2017-06-30 2017-06-30 Ground excavating able to be attached general exca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969B1 true KR101886969B1 (en) 2018-08-13

Family

ID=63250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679A KR101886969B1 (en) 2017-06-30 2017-06-30 Ground excavating able to be attached general exca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96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708B1 (en) * 2019-02-18 2019-11-12 (주)제이피이엔씨 Underground structure wall earth excavation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of using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4082A (en) * 1977-10-11 1979-08-14 Watson Gary Q Excavator for anchor holes
JPS59154237A (en) * 1983-02-18 1984-09-03 Ube Ind Ltd Trencher
JPH07247565A (en) * 1994-06-27 1995-09-26 Fujimura Kogyo Kk Boring machine
US6354026B1 (en) * 1998-07-03 2002-03-12 Trevi-S.P.A. Trench ri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4082A (en) * 1977-10-11 1979-08-14 Watson Gary Q Excavator for anchor holes
JPS59154237A (en) * 1983-02-18 1984-09-03 Ube Ind Ltd Trencher
JPH07247565A (en) * 1994-06-27 1995-09-26 Fujimura Kogyo Kk Boring machine
US6354026B1 (en) * 1998-07-03 2002-03-12 Trevi-S.P.A. Trench ri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708B1 (en) * 2019-02-18 2019-11-12 (주)제이피이엔씨 Underground structure wall earth excavation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of using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25188B2 (en) Excavator
EP0563472B1 (en) Excavator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H0517946A (en) Excavating device for underground continuous wall
JP4566098B2 (en) Ground improvement device
US4681483A (en) Casting of structural walls
JPH07113214B2 (en) Excavation device for underground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device
USRE34576E (en) Casting of structural walls
KR101886969B1 (en) Ground excavating able to be attached general excavator
JP5686649B2 (en) Ultra-low head drilling device, kelly rod used for the drill, its drilling reaction force acquisition method and its moving device
US6925736B2 (en) In situ mix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creating underground wall
JPH07173835A (en) Excavator for underground continuous wall
KR20060122047A (en) Pile driver for structural walls having inducement rail-unit & catch-unit
JPH07217392A (en) Working apparatus for tunnel construction
KR101998180B1 (en) Pile driver for structural walls
JP6559374B1 (en) Low head excavator and its assembly method
KR20220109677A (en) Core drill system for connection to the excavator
KR200392277Y1 (en) Pile driver for structural walls having inducement rail-unit & catch-unit
JP2021099009A (en) Boring operation vehicle and boring method
AU574454B2 (en) In-situ casting of structural walls
KR200340716Y1 (en) Crawler-crane having a auger-drill and a chain-excavator
JP3516818B2 (en) Rock bolt driving machine
KR100579714B1 (en) Pile driver for underground retaining wall
JP5865760B2 (en) Steel pipe press-fitting device moving device and steel pipe press-fitting device installation method
JP2689370B2 (en) Underground continuous wall excavator and underground continuous wall construction method
JP3510197B2 (en) Drilling kne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