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256B1 -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장치 및 표면 결함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장치 및 표면 결함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256B1
KR101867256B1 KR1020177034753A KR20177034753A KR101867256B1 KR 101867256 B1 KR101867256 B1 KR 101867256B1 KR 1020177034753 A KR1020177034753 A KR 1020177034753A KR 20177034753 A KR20177034753 A KR 20177034753A KR 101867256 B1 KR101867256 B1 KR 101867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light
imaging
angle
reflecte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7222A (ko
Inventor
게이타 후쿠이
?스케 시가
Original Assignee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7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0Metals
    • G01N33/204Structure thereof, e.g. crystal structure
    • G01N33/2045De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14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1/8921Strea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 G01N2021/888Marking de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14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xamined
    • G01N2021/8918Met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표면에 도금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강판을 검사 대상으로 하여 유해한 외관 이상을, 무해한 외관 이상인 기름 얼룩, 어닐링 무늬 등과 구별하여 검출한다. 촬상 대상 부위(8)를 조명하는 조명부(3)와, 정반사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제1 각도 γ가 되는 방향에의 난반사광을 촬상하는 제1 난반사광 촬상부(4)와, 정반사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제2 각도 δ(단 δ>γ)가 되는 방향에의 난반사광을 촬상하는 제2 난반사광 촬상부(5)와, 제1 난반사광 촬상부(4)가 촬상하여 얻어진 제1 난반사 화상 신호 T1과, 제2 난반사광 촬상부(5)가 촬상하여 얻어진 제2 난반사 화상 신호 T2를 처리하는 화상 신호 처리부(6)를 구비한다. 화상 신호 처리부(6)는 제1 난반사 화상 신호 T1 중 소정의 제1 임계치보다 저휘도가 되는 부위로서, 같은 부위에 대해 제2 난반사 화상 신호 T2가 소정의 제2 임계치보다 고휘도가 되는 부위를 표면 결함 부위로서 검출한다.

Description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장치 및 표면 결함 검사 방법
본 발명은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장치 및 표면 결함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간압연 공정, 어닐링 공정을 거쳐서 생산되는 강판의 표면에 나타나는 외관 이상으로서, 박마(galling), 스캐브(scab), 얼룩, 기름 얼룩, 어닐링 무늬 등이 있다. 박마, 스캐브, 얼룩은, 유해한 외관 이상, 즉, 표면 결함이며, 이들 표면 결함을 포함하는 강판은 품질 불량품이 된다. 한편, 기름 얼룩, 어닐링 무늬는, 무해한 외관 이상이며, 이들 외관 이상을 포함하는 강판은 품질 불량품으로는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강판의 제조 현장에서는, 이들 외관 이상을 정밀도 좋게 구별하는 것이 요구된다.
종래부터, 강판의 표면 검사 장치로서, 강판의 표면을 조명하고, 그 반사광을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표면 결함의 유무를 검사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에, 이런 종류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표면 결함을 드로스(dross)와 그 외의 결함으로 판별하는 드로스 결함 검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표면에, 강판의 법선에 대해서 50°~80°의 각도로 광을 조사하고, 1대의 난(亂)반사 카메라를 사용하여 상기 법선에 대해서 0°~40°의 각도 방향에서 난반사광을 촬상하여 화상 신호를 얻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로스 결함 검사 장치는, 얻어진 화상 신호 중, 화상 휘도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낮으면서, 또한, 면적이 소정 범위 내에 있는 부위를 드로스라고 판정하고, 화상 휘도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낮으면서, 또한, 면적이 소정 범위 외인 것을 드로스 이외의 표면 결함이라고 판정한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품질 관리 장치는, 정반사 카메라 1대와 난반사 카메라 1대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 품질 관리 장치에 의하면, 우선,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고, 그 광의 정(正)반사광을 촬상하여 얻어지는 화상 신호로부터 하자 후보의 화상 신호를 취출하는 처리와, 그 광의 난반사광을 촬상하여 얻어지는 화상 신호로부터도 하자 후보의 화상 신호를 취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하자 후보의 화상 신호의 취출은, 정반사광, 난반사광 별로, 어느 품질 레벨로 설정된 임계치를 이용하여 행한다. 다음으로, 「선모양 결함」, 「도금 불량」등의 하자의 종류마다 미리 설정된 기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하자 후보의 화상 신호로부터 실제(true) 하자 화상 신호를 선별하고, 하자의 종류별로 실제 하자 화상 신호의 분포 상태의 정보를 얻는다. 그리고, 얻어진 정보로부터 하자의 종류별로 결함 길이를 계산하여, 강판 전체 길이에 있어서의 산출한 결함 길이의 존재율 등에 기초하여, 품질 레벨을 만족하는지 여부의 합격 여부 판정을 행한다.
일본 특허 제5594071호 공보 일본 특개 2004-151006호 공보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장치와 같이 검사 대상의 재료가 도금 강판인 경우, 강판의 표면에 나타나는 외관 이상은, 도금 불량, 핀홀 도금 불량, 스캐브, 드로스, 얼룩 등이지만, 검사 대상의 재료가 도금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강판인 경우는, 강판의 표면에 나타나는 외관 이상은, 박마, 스캐브, 기름 얼룩, 어닐링 무늬 등이 된다. 이 중, 표면 검사 장치는, 유해한 외관 이상, 즉 표면 결함인 박마, 스캐브 등과, 무해한 외관 이상인 기름 얼룩, 어닐링 무늬 등을 구별하여 검출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박마는 강판이 감겨질 때에 강판끼리가 서로 마찰되는 것에 의해 생기는 결함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장치는, 난반사 카메라 1대만을 사용하는 것이지만, 난반사 카메라 1대만의 구성(1 광학계)으로는, 박마, 스캐브, 기름 얼룩, 어닐링 무늬의 화상은, 임계치를 잘 설정하지 않는 한, 모두 휘도가 낮은 어두운(暗) 화상이 된다. 이 때문에, 유해한 외관 이상인 박마, 스캐브 등과, 무해한 외관 이상인 기름 얼룩, 어닐링 무늬 등을 구별할 수 없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장치는, 정반사 카메라 1대와 난반사 카메라 1대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정반사광은 검출 감도가 높은 특징이 있지만, 도금이 실시되지 않은 강판을 검사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도금 강판을 검사 대상으로 하는 경우와 달리, 강판 표면에 도유(塗油)가 부착되어 있어, 그 도유의 얼룩에 의해서 바탕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휘도가 불규칙하여, 안정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해결할 수 없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표면에 도금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강판을 검사 대상으로 하여 유해한 외관 이상(표면 결함)인 박마, 스캐브 등을, 무해한 외관 이상인 기름 얼룩, 어닐링 무늬 등과 구별하여 검출할 수 있는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장치 및 표면 결함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장치는, 강판의 표면 상에 있는 촬상 대상 부위를 조명하는 조명부와, 조명광의 정반사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제1 각도가 되는 방향에의 상기 촬상 대상 부위로부터의 난반사광을 촬상하는 제1 난반사광 촬상부와, 조명광의 정반사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가 되는 방향에의 상기 촬상 대상 부위로부터의 난반사광을 촬상하는 제2 난반사광 촬상부와, 상기 제1 난반사광 촬상부가 촬상하여 얻어진 제1 난반사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난반사광 촬상부가 촬상하여 얻어진 제2 난반사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화상 신호 처리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난반사광 촬상부와 상기 제2 난반사광 촬상부는 동시에 상기 촬상 대상 부위로부터의 난반사광을 촬상하는 것이다. 상기 화상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난반사광 촬상부가 촬상하여 얻어진 제1 난반사 화상 신호 중 소정의 제1 임계치보다 저휘도가 되는 부위로서, 같은 부위에 대해 상기 제2 난반사광 촬상부가 촬상하여 얻어진 제2 난반사 화상 신호가 소정의 제2 임계치보다 고휘도가 되는 부위를 표면 결함 부위로서 검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는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면, 상기 소정의 제1 임계치로서, 상기 제1 난반사광 촬상부가 바탕을 촬상하여 얻어지는 제1 난반사 화상 신호의 값 또는 그 근방의 값을 설정하고, 상기 소정의 제2 임계치로서, 상기 제2 난반사광 촬상부가 바탕을 촬상하여 얻어지는 제2 난반사 화상 신호의 값 또는 그 근방의 값을 설정함으로써, 표면에 도금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강판을 검사 대상으로 하여 유해한 외관 이상(표면 결함)을, 무해한 외관 이상과 구별하여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신호 처리부는, 상기 소정의 제1 임계치를, 상기 제1 난반사광 촬상부가 바탕을 촬상하여 얻어지는 제1 난반사 화상 신호의 값에 기초하여 설정하고, 상기 소정의 제2 임계치를, 상기 제2 난반사광 촬상부가 바탕을 촬상하여 얻어지는 제2 난반사 화상 신호의 값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기 제1 각도의 크기는, 0°~20°의 범위에 있고, 상기 제2 각도의 크기는, 10°~45°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방법은, 강판의 표면 상에 있는 촬상 대상 부위를 조명하고, 조명광의 정반사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제1 각도가 되는 방향에의 상기 촬상 대상 부위로부터의 난반사광과, 조명광의 정반사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가 되는 방향에의 상기 촬상 대상 부위로부터의 난반사광을 각각 촬상하며, 촬상하여 각각 얻어진 제1 난반사 화상 신호와 제2 난반사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상기 제1 각도의 방향 및 제2 각도의 방향에의 상기 촬상 대상 부위로부터의 난반사광의 촬상은, 동시에 행해지는 것이다. 상기 처리는 촬상하여 얻어진 제1 난반사 화상 신호 중 소정의 제1 임계치보다 저휘도가 되는 부위로서, 같은 부위에 대해 촬상하여 얻어진 제2 난반사 화상 신호가 소정의 제2 임계치보다 고휘도가 되는 부위를 표면 결함 부위로서 검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는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방법에 의하면, 예를 들면, 상기 소정의 제1 임계치로서, 바탕을 촬상하여 얻어지는 제1 난반사 화상 신호의 값 또는 그 근방의 값을 설정하고, 상기 소정의 제2 임계치로서, 바탕을 촬상하여 얻어지는 제2 난반사 화상 신호의 값 또는 그 근방의 값을 설정함으로써, 표면에 도금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강판을 검사 대상으로 하여 유해한 외관 이상(표면 결함)을, 무해한 외관 이상과 구별하여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1 임계치를, 바탕을 촬상하여 얻어지는 제1 난반사 화상 신호의 값에 기초하여 설정된 것으로 하고, 상기 소정의 제2 임계치를, 바탕을 촬상하여 얻어지는 제2 난반사 화상 신호의 값에 기초하여 설정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방법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기 제1 각도의 크기는, 0°~20°의 범위에 있고, 상기 제2 각도의 크기는, 10°~45°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에 도금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강판을 검사 대상으로 하여 유해한 외관 이상(표면 결함)을, 무해한 외관 이상과 구별하여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반사 각도와 반사광의 휘도의 관계를, 강판의 바탕, 스캐브, 박마, 기름 얼룩, 어닐링 무늬에 관해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강판의 표면에 나타난 스캐브, 기름 얼룩에 관한 각종 화상이다.
도 4는 강판의 표면에 나타난 박마, 기름 얼룩에 관한 각종 화상이다.
도 5는 반사광을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신호로부터 표면 결함을 검출하고, 그 표면 결함의 종류를 분류 판정할 때까지의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외관 이상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조건예를 나타낸 대응표이다.
도 7은 정규화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노이즈 제거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9는 결함 연결 처리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장치 및 표면 결함 검사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강판은, 표면에 도금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지 않고, 표면에 도유가 부착된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면 결함 검사 장치(1)는, 강판(2)의 표면에 나타나는 외관 이상 중, 유해한 외관 이상인 박마, 스캐브 등을, 무해한 외관 이상인 기름 얼룩, 어닐링 무늬 등과 구별하여 검출하는 것이다. 표면 결함 검사 장치(1)는 조명부(3), 제1 난반사광 촬상부(4), 제2 난반사광 촬상부(5), 화상 신호 처리부(6), 검사 결과 출력부(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표면 결함 검사 장치(1)에 의한 강판(2)의 표면 결함 검사는, 강판(2)이 판두께 방향으로 흔들릴 일이 없는 위치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강판(2)이 핀치 롤(11, 12)에 끼워져, 이들 핀치 롤(11, 12)의 사이에서 롤(10)에 지지되는 위치가, 강판(2)이 판두께 방향으로 흔들릴 일이 없는 검사 위치(후술하는 촬상 대상 부위(8))로 되어 있다.
조명부(3)는 강판(2)의 표면의 촬상 대상 부위(8)를 조명한다. 이 조명부(3)는 촬상 대상 부위(8)에 있어서 강판(2)의 주행 방향에 직교하는 면(9)(이하 「직교면(9)」이라고도 함.)보다 강판(2)의 주행 방향 하류 측에 설치되어, 강판(2)의 표면에 대한 조명의 입사각이, 직교면(9)에 대해서 소정 각도 α(본 실시 형태에서는 α=20°)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명부(3)의 광원으로서, 강판(2)을 판폭(板幅) 방향으로 조명하는 LED식의 라인 조명을 사용하고 있다. 다만, 조명부(3)의 광원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LED 대신에 할로겐, 메탈 핼라이드(metal halide), 형광등 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난반사광 촬상부(4)는 조명부(3)로부터 조사된 광이 강판(2)의 표면의 촬상 대상 부위(8)에서 반사된 난반사광을 촬상하는 것이다. 제1 난반사광 촬상부(4)는 상기 직교면(9)보다 강판(2)의 주행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되어, 조명광의 정반사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직교면(9)과 이루는 각도 β(=20°)의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제1 각도 γ(본 실시 형태에서는 γ=10°)가 되는 방향에의 난반사광을 촬상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난반사광 촬상부(4)에는, CCD 라인 센서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다. CCD 라인 센서 카메라 대신에, CCD 에어리어 센서 카메라 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난반사광 촬상부(4)의 공간 분해능은, 검출 대상으로 하는 표면 결함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정해진다.
제2 난반사광 촬상부(5)는 조명부(3)로부터 조사된 광이 강판(2)의 표면의 촬상 대상 부위(8)에서 반사된 난반사광을 촬상하는 것이다. 제2 난반사광 촬상부(5)는 상기 직교면(9)보다 강판(2)의 주행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되어, 조명광의 정반사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제2 각도 δ(본 실시 형태에서는 δ=25°)가 되는 방향에의 난반사광을 촬상한다. 제2 난반사광 촬상부(5)로서는, 제1 난반사광 촬상부(4)와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화상 신호 처리부(6)는 제1 난반사광 촬상부(4)가 촬상하여 얻어진 제1 난반사 화상 신호 T1과, 제2 난반사광 촬상부(5)가 촬상하여 얻어진 제2 난반사 화상 신호 T2를 처리하여, 강판(2)의 표면 결함을 추출하고, 또한 추출한 표면 결함을 분류 판정한다. 이 화상 신호 처리부(6)는 각종의 연산 처리 장치(예를 들면, 후술하는 분류 판정 로직을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퍼스널 컴퓨터 등)로 구성된다.
검사 결과 출력부(7)는 화상 신호 처리부(6)에 의해 표면 결함이 추출되었을 경우에, 표면 결함이 검출된 취지 및 검출된 표면 결함의 종류를, 표시, 인쇄 등의 수단에 의해 당해 제조 공정, 다음의 제조 공정 혹은 유저에게 알린다. 이 검사 결과 출력부(7)는, 예를 들면, 모니터 장치, 프린터 장치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표면 검사 장치(1)의 설치 장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강판(2)이 텐션 릴에 권취되기 직전의 공정으로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강판(2)의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 각도와 반사광의 휘도의 관계는, 바탕, 외관 이상의 종류마다 정성적(定性的)으로 상위하기 때문에, 이것을 고려하여 제1 난반사광 촬상부(4)의 수광 각도 γ 및 제2 난반사광 촬상부(5)의 수광 각도 δ를 각각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내는 그래프는, 가로축이 반사 각도(가로축의 괄호 내의 각도는 정반사 방향과의 각도 차이를 나타냄.), 세로축이 반사광의 휘도를 나타낸다. 곡선 G1은 반사면이 바탕인 경우, 곡선 G2는 반사면이 기름 얼룩 또는 어닐링 무늬(이하 「기름 얼룩」만을 적음.)인 경우, 곡선 G3는 반사면이 스캐브, 박마(이하 「스캐브」만을 적음.)인 경우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곡선 G1~G3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두 정반사각 20°에서의 휘도가 최고가 되고, 정반사각 20°로부터 반사 각도가 멀어질수록 휘도가 감쇠한다. 이 휘도의 감쇠의 정도는, 반사면이 기름 얼룩, 스캐브 등의 외관 이상인 경우보다도, 반사면이 바탕인 경우 쪽이 현격히 크다. 또한, 반사광의 휘도에 대해서는, 반사면이 기름 얼룩인 경우 보다도, 반사면이 스캐브인 경우 쪽이 전(全)반사 각도 범위에 걸쳐 크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사면이 바탕인 경우의 반사광의 휘도(곡선 G1)를 기준으로 하여, 반사면이 스캐브인 경우의 반사광의 휘도(곡선 G3)가 상기 기준(또는 상기 기준치보다 소정치만큼 낮은 값)보다 저휘도가 되고, 반사면이 기름 얼룩인 경우의 반사광의 휘도(곡선 G2)도 상기 기준(또는 상기 기준치보다 소정치만큼 낮은 값)보다 저휘도가 되는 반사 각도 위치(본 실시 형태에서는, γ=10°의 위치)에 제1 난반사광 촬상부(4)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반사면이 스캐브인 경우의 반사광의 휘도(곡선 G3)가 상기 기준보다 고휘도가 되고, 반사면이 스캐브인 경우의 반사광의 휘도(곡선 G2)가 상기 기준보다 저휘도가 되는 반사 각도 위치(본 실시 형태에서는, δ=25°의 위치)에 제2 난반사광 촬상부(5)를 설치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각 화상의 백색 점선 내에 나타나고 있는 흑색 또는 백색의 외관 이상은, 강판(2)의 표면에 나타난 스캐브와 기름 얼룩에 관한 것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스캐브(γ=10°)」 및 「기름 얼룩(γ=10°)」은, 제1 난반사광 촬상부(4)에 있어서 촬상된 제1 난반사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형성된 화상이다. 또한 동 도면에 있어서, 「스캐브(δ=25°)」 및 「기름 얼룩(δ=25°)」은, 제2 난반사광 촬상부(5)에 있어서 촬상된 제2 난반사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형성된 화상이다.
도 3의 「스캐브(γ=10°)」, 「기름 얼룩(γ=10°)」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반사 방향과 이루는 각도 γ가 10°인 경우는, 스캐브 부분도 기름 얼룩 부분도 주위의 바탕과 비교해서 검게(어둡게) 보이지만, 동 도면의 「스캐브(δ=25°)」, 「기름 얼룩(δ=25°)」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반사 방향과 이루는 각도 δ가 25°인 경우는, 스캐브 부분은 주위의 바탕과 비교해서 희게(밝게) 보이는것에 대하여, 기름 얼룩 부분은 주위의 바탕과 비교해서 검게(어둡게) 보여, 이것들은 구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각 화상의 백색 점선 내에 나타나고 있는 흑색 또는 백색의 외관 이상은, 강판(2)의 표면에 나타난 박마와 기름 얼룩에 관한 것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박마(γ=10°)」 및 「기름 얼룩(γ=10°)」은, 제1 난반사광 촬상부(4)에 있어서 촬상된 제1 난반사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형성된 화상이다. 또한 동 도면에 있어서, 「박마(δ=25°)」 및 「기름 얼룩(δ=25°)」은, 제2 난반사광 촬상부(5)에 있어서 촬상된 제2 난반사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형성된 화상이다.
도 4의 「박마(γ=10°)」, 「기름 얼룩(γ=10°)」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반사 방향과 이루는 각도 γ가 10°인 경우는, 박마 부분도 기름 얼룩 부분도 주위의 바탕과 비교해서 검게(어둡게) 보이지만, 동 도면의 「박마(δ=25°)」, 「기름 얼룩(δ=25°)」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반사 방향과 이루는 각도 δ가 25°인 경우는, 박마 부분은 주위의 바탕과 비교해서 희게(밝게) 보이는 것에 대하여, 기름 얼룩 부분은 주위의 바탕과 비교해서 검게(어둡게) 보여, 이것들은 구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사면이 바탕인 경우의 반사광의 휘도(곡선 G1)를 기준으로 하여, 반사면이 스캐브인 경우의 반사광의 휘도(곡선 G3)가 상기 기준(또는 상기 기준치보다 소정치만큼 낮은 값)보다 저휘도가 되고, 반사면이 기름 얼룩인 경우의 반사광의 휘도(곡선 G2)도 상기 기준(또는 상기 기준치보다 소정치만큼 낮은 값)보다 저휘도가 되는 반사 각도 위치에 제1 난반사광 촬상부(4)를 설치하고, 또한, 반사면이 스캐브인 경우의 반사광의 휘도(곡선 G3)가 상기 기준보다 고휘도가 되고, 반사면이 기름 얼룩인 경우의 반사광의 휘도(곡선 G2)가 상기 기준보다 저휘도가 되는 반사 각도 위치에 제2 난반사광 촬상부(5)를 설치하여, 상기 기준(곡선 G1)을 임계치로 하면, 스캐브, 박마 등의 표면 결함과 기름 얼룩, 어닐링 무늬 등의 무해한 외관 이상을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각 난반사광 촬상부(4, 5)에 있어서 난반사광을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신호로부터 표면 결함을 검출 및 분류할 때까지의 절차를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제1 난반사광 촬상부(4), 제2 난반사광 촬상부(5)는, 각각, 강판(2)의 표면에서 반사된 난반사광을 촬상하고, CCD에 의한 디지털 변환 처리를 행하여 256 계조(階調)의 제1 난반사 화상 신호 T1 및 제2 난반사 화상 신호 T2를 각각 얻는다(S1).
다음으로, 화상 신호 처리부(6)는 제1 난반사 화상 신호 T1, 제2 난반사 화상 신호 T2에 대해서 정규화 처리를 실시한 후(S2), 각각에 임계치 처리를 행한다(S3). 상기 정규화 처리는 촬상부(4, 5)가 구비하는 렌즈의 수차의 영향이나, 강판(2) 상의 촬상 위치의 차이에 의해 조명 조건이 다른 것 등에 의해서, 강판(2) 상의 촬상 위치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화상 신호 T1, T2의 값의 편차나 편향을 시정하기 위해 행해진다. 상기 정규화 처리로서, 예를 들면, 상기 S1에서 얻어진 화상 신호 T1, T2의 정규 분포 N(μ, σ2)을 각각 평균치 μ를 0, 분산치 σ를 1로 하는 표준 정규 분포 N(0, 12)로 변환하고, 추가로, 평균치를 0부터 128로 오프셋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정규화 처리 전에 있어서, 화상 신호 T1, T2의 값의 파형이, 강판(2)의 폭방향 양측단으로부터 폭방향 중앙부를 향해 서서히 높게 되도록 하는 곡선 B1(도 7 참조)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것인 경우, 상기 정규화 처리 후에는, 화상 신호 T1, T2의 값의 파형은, 평균치가 128이고 편차가 없는 선분 B2(도 7 참조)를 중심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7의 그래프의 세로축은 0~255의 범위의 계조치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강판(2)의 폭방향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곡선 B1, 선분 B2의 양단이 강판(2)의 양측단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곡선 B1, 선분 B2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13)는 외관 이상의 화상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난반사 화상 신호 T1에 대한 임계치 처리에서는, 소정의 임계치 P1보다 저휘도의 제1 난반사 화상 신호 T1L을 외관 이상으로서 추출한다. 상기 임계치 P1은 제1 난반사광 촬상부(4)가 바탕을 촬상하여 얻어지는 제1 난반사 화상 신호 T1의 값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난반사광 촬상부(4)의 촬상 범위에 있어서의 각 제1 난반사 화상 신호 T1의 이동 평균치보다도 소정치만큼 낮은 값을 상기 임계치 P1으로 하고 있다.
제2 난반사 화상 신호 T2에 대한 임계치 처리에서는, 상기 외관 이상 부위( 제1 반사 화상 신호 T1이 소정의 임계치 P1보다 저휘도인 강판(2) 상의 부위)에 관해, 소정의 임계치 P2 보다도 난반사 화상 신호 T2H가 고휘도가 되는 부위를 표면 결함 부위(스캐브 또는 박마)라고 판정하고, 소정의 임계치 P2보다도 난반사 화상 신호 T2L이 저휘도가 되는 부위를 무해한 외관 이상(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름 얼룩 또는 어닐링 무늬)이라고 판정한다. 상기 임계치 P2는 제2 난반사광 촬상부(5)가 바탕을 촬상하여 얻어지는 제2 난반사 화상 신호 T2의 값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난반사광 촬상부(5)의 촬상 범위에 있어서의 각 제2 난반사 화상 신호 T2의 이동 평균치가 상기 임계치 P2로 된다.
다음으로, 화상 신호 처리부(6)는 제2 난반사 화상 신호 T2의 임계치 처리에서 표면 결함 부위로 간주된 화소를 추출하기 위한 노이즈 제거 처리를 실시하고(S4), 추출된 표면 결함 부위와 관련된 화소끼리를 결합하는 결함 연결 처리(S5)를 실시한다. 상기 노이즈 제거 처리는, 도 8의 왼쪽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임계치 처리에서 결함 화소(14, 15)로서 검출된 것 중, 그 근방과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고립점(미소 결함)으로 되어 있는 결함 화소(15)를 노이즈로 간주하고, 이것을 도 8의 오른쪽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상 화소로 변경하는 것이다. 결함 화소(14)를 정상 화소로 변경하기 위한 필터(노이즈 제거 처리의 수법)로서는, 평균화 필터, 로우 패스 필터, 가우시안 필터, 라플라시안 필터 등이 주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함 연결 처리는, 예를 들면, 도 9의 왼쪽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근접한 복수의 결함(14)이 존재하는 경우, 도 9의 오른쪽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복수의 결함(14)을 포함하는 1개의 영역(도 9에 있어서 점선으로 예시하는 영역은 사각 영역)을 1개의 결함(14)으로서 인식하는 것이다.
그리고, 화상 신호 처리부(6)는, 결함 연결 처리에 의해, 1개의 결함(14)으로서 인식된 표면 결함 부위의 윤곽에 기초하여, 당해 표면 결함 부위의 애스팩트비 등의 특징량을 해석한다. 또한, 윤곽선에 둘러싸인 영역에 존재하는 화소 중, 제2 난반사 화상 신호 T2의 임계치 처리에 의해 표면 결함 부위로 간주된 화소가 차지하는 밀도를 산출한다(S6).
마지막으로, 화상 신호 처리부(6)는, 표면 결함 부위에 대해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결함의 종류마다 설정된 애스팩트비, 밀도 등에 관한 임계치 조건을 적용시켜, 표면 결함 부위의 종류(박마, 스캐브)를 분류 판정한다(S7).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추출된 표면 결함이 「박마 A」, 「박마 B」, 「스캐브」 중 어느 것인지의 분류 판정이 행해진다. 도 6에 있어서의 임계치 조건 중, 대문자 「A」는 실제로 표면 결함 검사로 얻어지는 실제 값이며, 소문자와 숫자의 조합 「a1」, 「b1」, …은, 미리 설정된 임계치이다. 이 임계치에는, 각종의 표면 결함에 대해 반복 실험 등을 행함으로써 얻어진 최적인 값이 채용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의 「제1 난반사 화상 신호」란의 「어두움(暗)」은, 상기한 임계치 P1보다 저휘도인 것을 나타내고, 「제2 난반사 화상 신호」란의 「어두움」은, 상기한 임계치 P2보다 저휘도인 것을 나타내며, 「제1 난반사 화상 신호」란의 「밝음」은, 상기 한 임계치 P2보다 고휘도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장치 및 표면 결함 검사 방법에 의하면, 2방향의 난반사광으로부터 얻어지는 난반사 화상 신호의 휘도 정보를 병용·동기 시킴으로써, 유해한 외관 이상(표면 결함)인 박마, 스캐브 등을, 무해한 외관 이상인 기름 얼룩, 어닐링 무늬 등과 구별하여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장치 및 표면 결함 검사 방법에 의하면, 정반사광을 이용하지 않고, 난반사광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강판 표면의 도유 얼룩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안정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장치 및 표면 결함 검사 방법에 의하면, 표면 결함으로서 검출된 박마와 스캐브를 분류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학계의 각종 각도에 대해서, α=20°, γ=10°, δ=25°로 했지만, α은 10°~25°의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고, γ는 도 2에 있어서 G1>G3>G2가 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0°~20°의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며, δ는 도 2에 있어서 G3>G1>G2가 되는 것 및 δ>γ가 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10°~45°의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본원 발명자는 α, γ, δ가 각각 상기의 범위에 있으면, 안정된 난반사 신호 T1, T2가 얻어져서, 안정된 검사 결과가 얻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냉간압연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장치 및 표면 결함 검사 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1 표면 결함 검사 장치
2 강판
3 조명부
4 제1 난반사광 촬상부
5 제2 난반사광 촬상부
6 화상 신호 처리부
7 검사 결과 출력부
8 촬상 대상 부위
T1 제1 난반사 화상 신호
T2 제2 난반사 화상 신호

Claims (4)

  1. 강판의 표면 상에 있는 촬상 대상 부위를 조명하는 조명부와,
    조명광의 정반사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제1 각도가 되는 방향에의 상기 촬상 대상 부위로부터의 반사광이 촬상되는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정반사광이 아니라 제1 난반사광이 촬상되도록 한 제1 난반사광 촬상부와,
    조명광의 정반사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가 되는 방향에의 상기 촬상 대상 부위로부터의 반사광이 촬상되는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정반사광이 아니라 제2 난반사광이 촬상되도록 한 제2 난반사광 촬상부와,
    상기 제1 난반사광 촬상부가 촬상하여 얻어진 제1 난반사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난반사광 촬상부가 촬상하여 얻어진 제2 난반사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화상 신호 처리부를 구비하는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난반사광 촬상부와 상기 제2 난반사광 촬상부는 동시에 상기 촬상 대상 부위로부터의 반사광을 촬상하는 것이며,
    상기 화상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난반사광 촬상부가 촬상하여 얻어진 제1 난반사 화상 신호 중 상기 제1 각도에서의 바탕에 기초한 소정의 제1 임계치보다 저휘도가 되는 부위로서, 같은 부위에 대해 상기 제2 난반사광 촬상부가 촬상하여 얻어진 제2 난반사 화상 신호가 상기 제2 각도에서의 바탕에 기초한 소정의 제2 임계치보다 고휘도가 되는 부위를 표면 결함 부위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장치.
  2. 강판의 표면 상에 있는 촬상 대상 부위를 조명하고,
    조명광의 상기 촬상 대상 부위로부터의 정반사광이 아니라, 조명광의 정반사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제1 각도가 되는 방향에의 상기 촬상 대상 부위로부터의 제1 난반사광, 및, 조명광의 정반사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가 되는 방향에의 상기 촬상 대상 부위로부터의 제2 난반사광을 촬상하며,
    촬상하여 각각 얻어진 제1 난반사 화상 신호와 제2 난반사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난반사광의 촬상 및 상기 제2 난반사광의 촬상은, 동시에 행해지는 것이며,
    상기 처리는,
    촬상하여 얻어진 제1 난반사 화상 신호 중 상기 제1 각도에서의 바탕에 기초한 소정의 제1 임계치보다 저휘도가 되는 부위로서, 같은 부위에 대해 촬상하여 얻어진 제2 난반사 화상 신호가 상기 제2 각도에서의 바탕에 기초한 소정의 제2 임계치보다 고휘도가 되는 부위를 표면 결함 부위로서 검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177034753A 2016-03-30 2016-08-24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장치 및 표면 결함 검사 방법 KR101867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67003A JP6117398B1 (ja) 2016-03-30 2016-03-30 鋼板の表面欠陥検査装置および表面欠陥検査方法
JPJP-P-2016-067003 2016-03-30
PCT/JP2016/074638 WO2017168780A1 (ja) 2016-03-30 2016-08-24 鋼板の表面欠陥検査装置および表面欠陥検査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222A KR20170137222A (ko) 2017-12-12
KR101867256B1 true KR101867256B1 (ko) 2018-06-12

Family

ID=5866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753A KR101867256B1 (ko) 2016-03-30 2016-08-24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장치 및 표면 결함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267747B2 (ko)
EP (1) EP3364173A4 (ko)
JP (1) JP6117398B1 (ko)
KR (1) KR101867256B1 (ko)
CN (1) CN107533013B (ko)
BR (1) BR112018069911A2 (ko)
MX (1) MX367708B (ko)
MY (1) MY181779A (ko)
TW (1) TWI621850B (ko)
WO (1) WO20171687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6309B2 (en) * 2015-06-02 2019-08-20 Sapotech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features of hot surface
JP7067321B2 (ja) * 2018-06-29 2022-05-16 オムロン株式会社 検査結果提示装置、検査結果提示方法及び検査結果提示プログラム
CN108773745A (zh) * 2018-06-29 2018-11-09 洛阳点晶智控科技有限公司 一种矿井提升机制动闸盘油污在线检测及清洁装置
JP2020085854A (ja) * 2018-11-30 2020-06-04 日東電工株式会社 外観検査方法および外観検査装置
CN109909308B (zh) * 2019-03-15 2020-06-05 本钢板材股份有限公司 一种冷轧带钢纵向条纹缺陷检测方法
GB201906037D0 (en) 2019-04-30 2019-06-12 Univ Sheffield Non-destructive detection of surface and near surface abnormalities in a metallic product
CN110118784A (zh) * 2019-06-20 2019-08-13 山西大数据产业发展有限公司 基于机器视觉的钢卷表面质量缺陷检测***
DE102019210727A1 (de) * 2019-07-19 2021-01-21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Verfahren zum Bestimmen eines Reinigungszustands einer Oberfläche eines Flachprodukts und Flachprodukt
CN112394063A (zh) * 2019-08-16 2021-02-23 研祥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Led支架缺陷的检测方法、取像装置及检测设备
JP7343781B2 (ja) * 2020-01-22 2023-09-13 日本製鉄株式会社 金属板の表面欠陥検査装置
KR20210100992A (ko) 2020-02-07 2021-08-18 광주과학기술원 금형 표면검사장치를 이용한 표면검사방법
JP6808888B1 (ja) * 2020-11-05 2021-01-06 Primetals Technologies Japan株式会社 不良判断装置および不良判断方法
KR20240071141A (ko) 2022-11-15 2024-05-22 광주과학기술원 사상공정 측정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2886A (ja) * 2005-03-07 2006-09-14 Nippon Steel Corp 表面疵検査装置
JP2007271510A (ja) * 2006-03-31 2007-10-18 Tsubakimoto Chain Co 外観検査方法及び外観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4071A (en) 1979-01-02 1980-07-17 Matsutaka Chihogi Self-closing gas valve switching gear
US5835220A (en) * 1995-10-27 1998-11-10 Nkk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urface flaws
JPH11295241A (ja) * 1998-04-10 1999-10-29 Nkk Corp 表面疵検査装置及びその方法
EP1857811A3 (en) * 1999-03-18 2008-06-25 JFE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marking defect and device therefor
AU3667900A (en) * 1999-04-07 2000-10-23 Mv Research Limited Material inspection
US6760100B2 (en) * 2001-03-12 2004-07-06 Ad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defects occurring at or near a surface of a smooth substrate
US20040207836A1 (en) * 2002-09-27 2004-10-21 Rajeshwar Chhibber High dynamic range optical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JP2004151006A (ja) * 2002-10-31 2004-05-27 Jfe Steel Kk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品質管理方法及び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品質管理装置
WO2006066205A2 (en) * 2004-12-19 2006-06-22 Ad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on of a workpiece surface using multiple scattered light collectors
JP4768014B2 (ja) * 2006-04-26 2011-09-07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検査方法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製造方法並びにカラーフィルタ検査装置
JP5299046B2 (ja) * 2009-04-16 2013-09-25 新日鐵住金株式会社 疵検出装置、疵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554977B1 (en) * 2010-03-30 2020-10-14 JFE Steel Corporation Surface detection method for steel plate having resin coating film and surface detection device for same
KR101217174B1 (ko) * 2010-04-26 2012-12-31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기판검사장치 및 기판검사방법
JP5594071B2 (ja) 2010-11-05 2014-09-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融金属メッキ鋼板のドロス欠陥検査装置およびドロス欠陥検査方法
JP5820735B2 (ja) * 2012-01-27 2015-11-24 昭和電工株式会社 表面検査方法及び表面検査装置
JP6033890B2 (ja) * 2012-02-21 2016-11-30 エーエスエムエル ネザーランズ ビー.ブイ. 検査装置及び方法
EP2903397A4 (en) * 2012-09-28 2016-06-15 Jx Nippon Oil & Energy Corp DEVICE FOR INSPECTING A SUBSTRATE HAVING AN IRREGULAR ROUGH SURFACE AND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9551672B2 (en) * 2013-12-18 2017-01-24 Lasertec Corporation Defect classifying method and optical inspection apparatus for silicon carbide substrate
CN106164666B (zh) * 2014-03-24 2019-07-23 新东工业株式会社 表面特性检查方法和表面特性检查装置
JP6294130B2 (ja) * 2014-04-04 2018-03-14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検査装置
JP6245046B2 (ja) * 2014-04-09 2017-12-1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表面欠陥検査装置および表面欠陥検査方法
EP3279645A4 (en) * 2015-03-31 2018-09-26 Nisshin Steel Co., Ltd. Device for examining surface defect in hot-dipped steel plate, and method for examining surface defe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2886A (ja) * 2005-03-07 2006-09-14 Nippon Steel Corp 表面疵検査装置
JP2007271510A (ja) * 2006-03-31 2007-10-18 Tsubakimoto Chain Co 外観検査方法及び外観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81222A (ja) 2017-10-05
KR20170137222A (ko) 2017-12-12
TWI621850B (zh) 2018-04-21
US10267747B2 (en) 2019-04-23
WO2017168780A1 (ja) 2017-10-05
CN107533013B (zh) 2018-11-27
MX367708B (es) 2019-09-03
CN107533013A (zh) 2018-01-02
TW201734437A (zh) 2017-10-01
JP6117398B1 (ja) 2017-04-19
MX2018010422A (es) 2018-11-09
EP3364173A1 (en) 2018-08-22
BR112018069911A2 (pt) 2019-02-05
US20190003987A1 (en) 2019-01-03
EP3364173A4 (en) 2018-12-05
MY181779A (en)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256B1 (ko) 강판의 표면 결함 검사 장치 및 표면 결함 검사 방법
JP6027295B1 (ja) 溶融めっき鋼板の表面欠陥検査装置および表面欠陥検査方法
JP5594071B2 (ja) 溶融金属メッキ鋼板のドロス欠陥検査装置およびドロス欠陥検査方法
JP2009293999A (ja) 木材欠陥検出装置
JP6950811B2 (ja) 金属板の表面欠陥検出方法及び装置並びに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H07218451A (ja) 光学式鋼板表面検査装置
KR20230017312A (ko) 금속띠의 표면 검사 장치, 표면 검사 방법, 및 제조 방법
JPH11311510A (ja) 微小凹凸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JP2012251983A (ja) ラップフィルム皺検査方法及び装置
JPH08189904A (ja) 表面欠陥検出装置
JP2018155548A (ja) 欠陥検査方法、欠陥検査プログラム、および欠陥検査装置
JP6249241B2 (ja) 金属板の表面欠陥検出方法
JP5787668B2 (ja) 欠陥検出装置
JP2010038759A (ja) 表面欠陥の検査方法、表面欠陥検査装置、鋼板の製造方法、及び鋼板の製造装置
JP4403036B2 (ja) 疵検出方法及び装置
JP3421967B2 (ja) 平面の傷検査装置
JPH09113465A (ja) 亜鉛メッキ系鋼板用表面欠陥検出装置
JP2004151006A (ja)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品質管理方法及び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品質管理装置
JP3454162B2 (ja) 穴のある平面プレートの傷検査装置
JPH0882604A (ja) 鋼板表面欠陥検査方法
JP2024036007A (ja) 金属帯の表面検査装置、表面検査方法、及び金属帯の製造方法
JPH06102202A (ja) 織布の検反方法および装置
JP2008164303A (ja) 周期性パターンの撮像条件決定方法、欠陥検査方法、および欠陥検査装置
JPH08178800A (ja) むら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