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499B1 - 비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비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499B1
KR101866499B1 KR1020160112853A KR20160112853A KR101866499B1 KR 101866499 B1 KR101866499 B1 KR 101866499B1 KR 1020160112853 A KR1020160112853 A KR 1020160112853A KR 20160112853 A KR20160112853 A KR 20160112853A KR 101866499 B1 KR101866499 B1 KR 101866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poke
inner band
circumferential surfac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5749A (ko
Inventor
곽철우
김기운
박창중
신귀성
황순욱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2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499B1/ko
Publication of KR20180025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07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comprising lateral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5/00Wheels, spokes, disc bodies, rims, hubs, wholly or predominantly made of non-metallic material
    • B60B5/02Wheels, spokes, disc bodies, rims, hubs, wholly or predominantly made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of synthe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60/00Materials; Physical forms thereof
    • B60B2360/30Synthetic materials
    • B60B2360/32Plastic com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내측 밴드 및 상기 내측 밴드와 이격되며, 상기 내측 밴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측밴드를 포함하는 밴드부 및 상기 내측 밴드와 상기 외측 밴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 밴드와 상기 외측 밴드 사이를 연결하도록, 복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구비되는 스포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크부는, 상기 내측 밴드와 상기 외측 밴드 사이에서 상기 외측 밴드의 내주면을 향해 분지되어 분지된 단부가 상기 외측 밴드의 내주면상에서 접촉하는 제1 스포크 및 상기 내측 밴드와 상기 외측 밴드 사이에서 상기 내측 밴드의 외주면을 향해 분지되어 분지된 단부가 상기 내측 밴드의 외주면에 이격되게 접촉하는 제2 스포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공기입 타이어{NON PNEUMATIC TIRE}
본 발명은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소형 차량부터 중장비 차량까지 다양한 차량의 휠에 장착되어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며 차량의 동력을 지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 기능 및 차량 주행 시 발생되는 지면으로부터의 진동, 충격 등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존 공기압 타이어의 경우 내부에 공기압이 구비되어 충돌, 굴신에 대한 완충 작용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다만, 외부 물질에 의한 찔림이나 충격 등으로 타이어가 파손되는 경우 내부 공기압이 유지되지 않으므로 타이어로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다. 더하여, 주행 중 타이어가 파손되는 경우 차량의 핸들링, 제동능력을 저하시켜 안전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부의 공기 충진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개발되었다. 비공기입 타이어의 경우, 기존 공기압 타이어의 내부 공기압이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트레드와 휠 사이에 스포크가 구비된다. 이러한 비공기입 타이어는 스포크의 구조 및 형상에 의해 충격 완충효과, 주행능력 등이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저속 차량 또는 특수목적 차량에 적용되었다.
종래의 비공기입 타이어의 경우 하중 지지 특성이 양호한 장점을 가지나 소음진동(Noise, Vibration, Harshness)측면에서 매우 불리한 단점이 있었다. 또는 소음진동(Noise, Vibration, Harshness)측면에서 개선된 효과가 있으나 하중 지지에 매우 불리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하중 지지 특성, 내구성 및 소음진동 측면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면서도 다양한 차량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범용 스포크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중 지지 능력 및 충격 완충 효과가 향상된 비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내측 밴드 및 상기 내측 밴드와 이격되며, 상기 내측 밴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측밴드를 포함하는 밴드부 및 상기 내측 밴드와 상기 외측 밴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 밴드와 상기 외측 밴드 사이를 연결하도록, 복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구비되는 스포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크부는, 상기 내측 밴드와 상기 외측 밴드 사이에서 상기 외측 밴드의 내주면을 향해 분지되어 분지된 단부가 상기 외측 밴드의 내주면상에서 접촉하는 제1 스포크 및 상기 내측 밴드와 상기 외측 밴드 사이에서 상기 내측 밴드의 외주면을 향해 분지되어 분지된 단부가 상기 내측 밴드의 외주면에 이격되게 접촉하는 제2 스포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 상기 제1 스포크와 상기 제2 스포크는 상기 내측 밴드와 상기 외측 밴드 사이에서 접촉되어 상기 제1 스포크는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포크는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 상기 제1 스포크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 상기 제1 공간부의 장축이 상기 외측 밴드의 내주면과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 상기 제1 공간부는 반경방향 단면 형상이 타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 상기 제2 스포크는 상기 내측 밴드의 외주면에서 상기 외측 밴드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제1 부재와 상기 내측 밴드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1 부재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외측 밴드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연장된 단부가 상기 제1 부재와 접촉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 상기 제1 부재, 상기 제2 부재 및 상기 내측 밴드의 외주면 사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제2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 상기 제2 공간부는 반경방향 단면 형상이 삼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상이한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연장된 단부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접하는 상기 내측 밴드의 접평면을 기준으로 45°이상 65°이하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스포크와 상기 제2 스포크의 접점을 연결하는 탄성 강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 상기 탄성 강화부는 상기 내측 밴드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 상기 제1 스포크와 상기 제2 스포크는 반경방향 길이의 비율이 3:4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 상기 제1 스포크와 상기 제2 스포크의 두께는 2.5~5mm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 상기 외측 밴드의 외주면에는 쉐어밴드(shear band)가 구비되고, 상기 쉐어밴드의 외측에는 트레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 상기 스포크부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Thermo 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체(Thermo 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TPU), 열가소성 올레핀 탄성체(Thermo 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 열가소성 아마이드 탄성체(Thermo Plastic Polyamide Elastomer, TPA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체(Thermo Plastic Elastomer, TPE)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하중 지지 능력 및 충격 완충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C-C'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D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1)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1)는 밴드부(100) 및 스포크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부(100)는 비공기입 타이어의 전체적인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형의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밴드부(100)는 소정의 폭을 가지고 양단부가 연결된 띠 형상의 내측 밴드(110) 및 내측 밴드(110)와 이격되며 내측 밴드(1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측 밴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밴드(110)와 외측 밴드(120)의 반경방향 두께는 3~15mm로 구비될 수 있다.
내측 밴드(110)의 내주면에는 림(rim, 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밴드(110)의 형상은 림(rim)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외측 밴드(120)는 내측 밴드(11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내측 밴드(110)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측 밴드(120)의 내주면과 내측 밴드(110)의외주면은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이때, 외측 밴드(120)와 내측 밴드(110)는 후술할 스포크부(2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측 밴드(120)는 타이어의 외형을 규정할 수 있다.
한편, 외측 밴드(120)의 외주면에는 쉐어 밴드(shear band, 10)가 구비될 수 있다. 쉐어 밴드(10)는 외측 밴드(1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외측 밴드(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원주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외측 밴드(12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쉐어 밴드(10)는 비공기입 타이어(1)에 작용하는 초기 응력을 1차적으로 완화시키는 역할 및 응력을 비공기입 타이어(1) 상부까지 분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스틸 벨트층이나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복합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쉐어 밴드(10)는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를 사용하거나, 스틸 코드 복합체를 1개 이상의 층으로 구비하여 제작될 수 있다.
쉐어 밴드(10)의 외주면에는 트레드(20)가 구비될 수 있다. 트레드(20)는 일 예로서, 고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비공기입 타이어(1)의 최외측에 배치되어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트레드(10)는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구조가 채택될 수 있다.
스포크부(200)는 내측 밴드(110)와 외측 밴드(1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스포크부(200)는 내측 밴드(110)와 외측 밴드(120)를 연결하는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스포크부(200)는 비공기입 타이어(1)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 및 흡수함으로써 완충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비공기입 타이어(1)가 결합되는 임의의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스포크부(200)는 열가소성 탄성체(Thermo Plastic Elastomer, TPE)로 제조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크부(200)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Thermo 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체(Thermo 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TPU), 열가소성 올레핀 탄성체(Thermo 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 열가소성 아마이드 탄성체(Thermo Plastic Polyamide Elastomer, TPA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스포크부(200)는 완충역할 및 하중 지지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완충역할 및 하중 지지역할에 적합한 기구적 구성이 요구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1)에 구비되는 스포크부(200)의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스포크부(200)는 내측 밴드(110)와 외측 밴드(120) 사이에서 외측 밴드(120)의 내주면을 향해 분지되어, 분지된 단부가 외측 밴드(120)의 내주면상에서 접촉하는 제1 스포크(210) 및 내측 밴드(110)와 외측 밴드(120) 사이에서 내측 밴드(110)의 외주면을 향해 분지되어 분지된 단부가 내측 밴드(110)의 외주면에 이격되게 접촉하는 제2 스포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스포크(210)와 제2 스포크(220)는 내측 밴드(110)와 외측 밴드(120) 사이에서 접촉될 수 있으며, 제1 스포크(210)는 내측 밴드(110)와 외측 밴드(120) 사이에서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제2 스포크(220)는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반경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비공기입 타이어(1)의 중심에서 외주면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스포크(210)는 트레드(1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1차적으로 완화시켜주는 부재로서, 스포크부(200)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포크(210)는 예를 들어, 반경방향 단면이 전체적으로 타원형상 또는 물방울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1 스포크(210)의 내측에는 제1 공간부(S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스포크(210)를 타원형상 또는 물방울 형상으로 제작하는 경우 제1 스포크(210)와 외측 밴드(12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충격완화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여기서, 타원형상 또는 물방울 형상이란 제1 스포크(210)의 단축(210b)을 기준으로 양단부로 갈수록 제1 공간부(S1)의 간격이 좁아지는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더하여, 제1 스포크(210)의 구체적인 형상은 제안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단축(210b)을 기준으로 양단부로 갈수록 제1 공간부(S1)의 간격이 좁아지는 구성에 해당하는 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제1 스포크(210)는 다양한 사이즈의 두께로 제작 가능하나 바람직하게 2.5~5mm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스포크(210)는 원주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스포크(210)의 장축(210a)은 외측 밴드(120)의 내주면과 소정 각도(a)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스포크(210)를 경사지게 구비하는 경우, 제1 스포크(210)와 외측 밴드(12)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충격 완화 작용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제2 스포크(220)는 스포크부(200)의 반경방향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부재(221) 및 제2 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포크(210)의 반경방향 길이(L1)와 제2 스포크(220)의 반경방향 길이(L2)의 비는 3:4로 구비될 수 있다(L1:L2 = 3:4). 다만, 이러한 비율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비율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2 스포크(220)는 다양한 사이즈의 두께로 제작 가능하나 바람직하게 2.5~5mm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부재(221)는 내측 밴드(110)의 외주면에서 외측 밴드(120)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222)는 내측 밴드(110)의 외주면에서 제1 부재(221)와 소정 거리(d) 이격된 위치에서 외측 밴드(120)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부재(221)와 제2 부재(222)의 연장된 단부는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재(221)는 제1 부재(221)가 접하는 내측 밴드(110)의 접평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b)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부재(222)는 제2 부재(222)가 접하는 내측밴드(110)의 접평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c)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부재(221)가 기울어진 각도(b)와 제2 부재(222)가 기울어진 각도(c)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재(221)와 제2 부재(222)의 연장된 단부는 내측 밴드(110)와 외측 밴드(120) 사이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제1 부재(221)와 제2 부재(222)의 기울어진 각도(b,c)는 45°이상 65°이하 일 수 있다(45°≤b,c≤ 65°). 더하여, 제1 부재(221)와 제2 부재(222)는 만곡된 형상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스포크(220)는 제2 공간부(S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재(221), 제2 부재(222) 및 내측 밴드(110)의 외주면 사이에는 제2 공간부(S2)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간부(S2)는 반경방향외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질 수 있으며, 일 예로서 반경방향 단면이 전체적으로 삼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구성에 해당하는 한 제2 공간부(S2)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제2 스포크(220)는 제1 스포크(210)로부터 전달된 충격을 2차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스포크(220)는 제1 부재(221) 와 제2 부재(222)에 충격을 분산시켜 전달함으로써 충격완화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때, 제2 스포크(220)를 구성하는 부재의 개수는 구조적/설계적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시말해, 도면에는 제2 스포크(220)가 두 개의 부재로 연장되어 제1 스포크(210)로부터 전달된 충격을 두 부재로 전달하는 구성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2 스포크(220)를 구성하는 부재를 3개 이상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C-C'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D부분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1)는 밴드부(100) 및 스포크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비공기입 타이어와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고 탄성 강화부(230)의 구성만이 차별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1)는 스포크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포크부(200)는 내측 밴드(110)와 외측 밴드(120) 사이에 구비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는 부재로서, 예를 들어 제1 스포크(210), 제2 스포크(220) 및 탄성 강화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포크(210)는 내측 밴드(110)와 외측 밴드(120) 사이에서 외측 밴드(120)의 내주면을 향해 분지되어, 분지된 단부가 외측 밴드(120)의 내주면상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포크(210)는 내측 밴드(110)의 외주면에서 경사지게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포크(220)는 내측 밴드(110)와 외측 밴드(120) 사이에서 내측 밴드(110)의 외주면을 향해 분지되어 분지된 단부가 내측 밴드(110)의 외주면에 이격되게 접촉할 수 있다.
한편, 탄성 강화부(230)는 제1 스포크(210)와 제2 스포크(220)의 접점을 연결하여 스포크부(200)의 전체적인 탄성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복수 개의 스포크부(200)부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강화부(230)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구비되어 내측 밴드(110)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 강화부(230)는 원주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1 스포크(210)와 제2 스포크(220)의 접점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스포크부(200)와 동일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강화부(230)는 열가소성 탄성체(Thermo Plastic Elastomer, TPE)로 제조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크부(200)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Thermo 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체(Thermo 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TPU), 열가소성 올레핀 탄성체(Thermo 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 열가소성 아마이드 탄성체(Thermo Plastic Polyamide Elastomer, TPA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탄성 강화부(230)는 스포크부(200)의 사출성형시 동시에 사출성형하여 스포크부(20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별개의 부재로 제작된 후 스포크부(200)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비공기입 타이어 10: 쉐어밴드
20: 트레드 100: 밴드부
110: 내측 밴드 120: 외측밴드
200: 스포크부 210: 제1 스포크
210a: 장축 210b: 단축
220: 제2 스포크 221: 제1 부재
222: 제2 부재 230: 탄성 강화부
S1: 제1 공간부 S2: 제2 공간부
L1: 제1 스포크의 반경방향 길이
L2: 제2 스포크의 반경방향 길이

Claims (16)

  1. 내측 밴드 및 상기 내측 밴드와 이격되며, 상기 내측 밴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측밴드를 포함하는 밴드부; 및
    상기 내측 밴드와 상기 외측 밴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 밴드와 상기 외측 밴드 사이를 연결하도록, 복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스포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크부는,
    상기 내측 밴드와 상기 외측 밴드 사이에서 상기 외측 밴드의 내주면을 향해 분지되어 분지된 단부가 상기 외측 밴드의 내주면상에서 접촉하고, 내측에 반경방향 단면형상이 타원형상인 제1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1 스포크; 및
    상기 내측 밴드와 상기 외측 밴드 사이에서 상기 내측 밴드의 외주면을 향해 분지되어 분지된 단부가 상기 내측 밴드의 외주면에 이격되게 접촉하는 제2 스포크;를 포함하고,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스포크부는 서로 접촉되지 않는 비공기입 타이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포크와 상기 제2 스포크는 상기 내측 밴드와 상기 외측 밴드 사이에서 접촉되어 상기 제1 스포크는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포크는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부의 장축이 상기 외측 밴드의 내주면과 경사지게 구비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포크는 상기 내측 밴드의 외주면에서 상기 외측 밴드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제1 부재 및 상기 내측 밴드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1 부재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외측 밴드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연장된 단부가 상기 제1 부재와 접촉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상기 제2 부재 및 상기 내측 밴드의 외주면 사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제2 공간부가 형성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부는 반경방향 단면 형상이 삼각형상으로 구비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상이한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연장된 단부가 서로 접촉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접하는 상기 내측 밴드의 접평면을 기준으로 45°이상 65°이하 경사지게 구비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11. 제1 항에 있어서,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스포크와 상기 제2 스포크의 접점을 연결하는 탄성 강화부를 더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강화부는 상기 내측 밴드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포크와 상기 제2 스포크는 반경방향 길이의 비율이 3:4로 구비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포크와 상기 제2 스포크의 두께는 2.5 ~5mm로 구비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밴드의 외주면에는 쉐어밴드(shear band)가 구비되고, 상기 쉐어밴드의 외측에는 트레드가 구비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부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Thermo 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체(Thermo 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TPU), 열가소성 올레핀 탄성체(Thermo 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 열가소성 아마이드 탄성체(Thermo Plastic Polyamide Elastomer, TPA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체(Thermo Plastic Elastomer, TPE)로 제조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KR1020160112853A 2016-09-01 2016-09-01 비공기입 타이어 KR101866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853A KR101866499B1 (ko) 2016-09-01 2016-09-01 비공기입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853A KR101866499B1 (ko) 2016-09-01 2016-09-01 비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749A KR20180025749A (ko) 2018-03-09
KR101866499B1 true KR101866499B1 (ko) 2018-06-12

Family

ID=6172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853A KR101866499B1 (ko) 2016-09-01 2016-09-01 비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4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327B1 (ko) * 2019-02-28 202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렉시블 바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2243A (ja) * 2005-10-19 2007-05-10 Yokohama Rubber Co Ltd:The 非空気式タイヤ
KR20120070469A (ko) * 2010-12-21 2012-06-2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비공기압 타이어
KR101411103B1 (ko) * 2013-11-06 2014-06-2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비공기입 타이어
JP2015039899A (ja) * 2013-08-20 2015-03-02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非空気圧タイヤ
WO2016109648A1 (en) * 2014-12-31 2016-07-07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Non-pneumatic tire with multi-connection connecting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1902A (ja) * 1988-06-10 1989-12-15 Yokohama Rubber Co Ltd:The 非空気式タイヤ
KR940010619B1 (ko) * 1992-02-12 1994-10-24 주식회사 금호 비공기압 타이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2243A (ja) * 2005-10-19 2007-05-10 Yokohama Rubber Co Ltd:The 非空気式タイヤ
KR20120070469A (ko) * 2010-12-21 2012-06-2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비공기압 타이어
JP2015039899A (ja) * 2013-08-20 2015-03-02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非空気圧タイヤ
KR101411103B1 (ko) * 2013-11-06 2014-06-2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비공기입 타이어
WO2016109648A1 (en) * 2014-12-31 2016-07-07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Non-pneumatic tire with multi-connection connecting e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749A (ko)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537B1 (ko) 비공기입 타이어
US10538130B2 (en) Non-pneumatic tire
KR101841655B1 (ko) 비공기입 타이어
EP2428369B1 (en) Non-pneumatic tire
KR101859741B1 (ko) 비공기입 타이어
JP6025315B2 (ja) 非空気圧タイヤ
KR102352531B1 (ko) 에어리스 타이어
JP5530258B2 (ja) 非空気圧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5461303B2 (ja) 非空気圧タイヤ
JP6842361B2 (ja) 非空気入りタイヤ
KR20160101006A (ko) 에어리스 타이어
EP2949481B1 (en) Hollowed non-pneumatic tyre with reinforcing ribs
KR101818660B1 (ko) 비공기입 타이어
JP2018188096A (ja) 非空気入りタイヤ
KR101866499B1 (ko) 비공기입 타이어
JP6535498B2 (ja) 非空気圧タイヤ
KR102211026B1 (ko) 비공기입 타이어
JP6754686B2 (ja) 非空気圧タイヤ
KR101818664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1846470B1 (ko) 비공기입 타이어
JP2013018427A (ja) 非空気圧タイヤ
KR102519881B1 (ko) 차량용 비공기입 타이어
KR102684345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2437390B1 (ko) 비공기압 타이어
KR102437391B1 (ko) 비공기압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