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688B1 -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688B1
KR101865688B1 KR1020170024849A KR20170024849A KR101865688B1 KR 101865688 B1 KR101865688 B1 KR 101865688B1 KR 1020170024849 A KR1020170024849 A KR 1020170024849A KR 20170024849 A KR20170024849 A KR 20170024849A KR 101865688 B1 KR101865688 B1 KR 101865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ffect
formulation example
skin
extr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영
최경혜
주환빈
이춘몽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70024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은 피부 노화 방지효과를 가지며, 구체적으로는 아쿠아포린 생합성 촉진효과, MMP-1 발현억제효과, 히아루론산 생합성 촉진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miR-378b 발현억제효과, miR-181a 발현촉진효과, miR-340 발현촉진효과, 피부각질형성세포 분화촉진 효과, 콜라겐 생합성 증진 효과, 피부장벽기능 개선효과, 보습효과, 미백효과, 피부 주름개선 효과, 피부 탄력 개선효과, 진피치밀도 개선효과가 있어 각종 기능성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Trachelospermum jasminoides, Coptis chinensis and Sophora Japonica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노화 과정에서 다양한 물리·화학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그 원인에 따라 크게 내적인 노화(intrinsic aging)와 광노화(photo-aging)로 구분되며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자외선, 스트레스, 질병 상태, 환경 인자, 상처, 나이 등의 이유로 자유라디칼이 활성화되어 야기될 수 있으며, 이런 상태가 심화될 경우 생체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하고, 세포 및 조직을 손상시켜 성인병 및 노화를 촉진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피부의 주요 구성 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산화되어 피부 세포 및 조직이 파괴되고, 결국 피부 노화 현상이 생겨나는 것이다. 특히, 단백질의 산화는 피부의 결합 조직인 콜라겐(collagen),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엘라스틴(elastin),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피브로넥틴(fibronectin) 등이 절단되어 심한 과다 염증 반응과 피부의 탄력에 지장을 주고 이것이 더 심해질 경우 DNA의 변이에 의해 돌연변이, 암의 유발, 면역 기능 저하에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신체의 대사 과정 중 발생하는 자유라디칼이나 자외선 조사, 염증 반응에 의해 매개되어 발생하는 자유라디칼을 소거하여 세포막을 보호하고, 또 이미 손상 받은 세포는 활발한 신진 대사에 의해 재생시켜서 세포를 증식시켜야 피부가 빠르게 회복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노화에는 이러한 자유라디칼뿐만 아니라 콜라겐 분해효소인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 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MMP)라는 효소도 관여한다. 즉, 생체 내에서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합성과 분해는 적절하게 조절되나, 노화가 진행되면서 콜라겐 합성이 감소하고,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 효소(MMP)의 발현이 촉진되어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고 주름이 형성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이러한 분해 효소가 활성화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세포 내에서 활성화가 유도되는 MMP 발현을 조절하거나 그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제까지 화장품의 소재로서 사용된 원료들은 단순히 효소 활성만을 억제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세포내 자연노화와 광노화에 의해 그 발현이 유도되는 MMP 발현량 및 활성을 조절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여러 화학 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화장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만 아니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 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1-0018657호는 괴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84900호는 황련, 오수유 및 백작약 추출물로 구성된 무기환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은 여러 천연물들에 있어서 화장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 털마삭줄, 황련 및 회화나무를 선정하고 이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여 MMP-1 생성억제효과, 콜라겐 생합성 효과, 아쿠아포린 생합성 촉진효과, 히아루론산 생합성 촉진효과,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효과, 멜라닌 생성억제효과, 보습효과, 미백효과,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효과, 피부 주름개선 효과, 피부 탄력 개선효과, 진피치밀도 개선효과, 피부 항노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그 효능이 매우 우수하므로 화장품으로서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을 함유하여 MMP-1 생성억제효과, 콜라겐 생합성 효과, 히아루론산 생합성 촉진효과, 아쿠아포린 생합성 촉진효과,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효과, 멜라닌 생성억제효과, 보습효과, 미백효과,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효과, 피부 주름개선 효과, 피부 탄력 개선효과, 진피치밀도 개선효과, 피부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의 효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초임계, 초음파, 발효추출물을 제조하고 정제과정을 거쳐 우수한 효능과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회화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화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장벽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효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0 중량% 함유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 추출물은 (a)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또는 (b) 미생물로부터의 발효나 자연발효대사를 이용한 추출법으로 추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생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ATCC 10012)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식물 혼합 추출물은 아쿠아포린 생합성 촉진 효과(실험예 1),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촉진 효과 (실험예 2),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실험예 3), 히아루론산 발현 촉진효과(실험예 4), MMP-1 생성 억제 효과 (실험예 5), 콜라겐 생합성 효과(실험예 6), miR-378b발현 억제효과(실험예 7), miR-181a발현 촉진효과(실험예 8), miR-340발현 억제효과(실험예 9), 피부장벽기능 개선효과(실험예 10), 보습효과(실험예 11), 미백효과(실험예 12), 피부 탄력 개선효과(실험예 13), 피부 주름 개선 효과(실험예 14) 및 진피치밀도 개선효과(실험예 15)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의 히아루론산의 생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중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는 낙석등은 학명이 Trachelospermum jasminoides로 표기되며, 털마삭줄, 마삭줄, 마삭나무, 털마삭나무 등의 이명으로도 불린다. 털마삭줄은 용담목 협죽도과 협죽도아과 마삭줄속 덩굴식물로 길이는 2~3m이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으로 잎의 길이는 4~8cm, 폭은 2~5cm이며 끝이 뾰족하다. 5~6월에 가지 끝에서 취산(聚) 꽃차례로 노란색을 띤 흰색 꽃이 핀다. 열매는 골돌과(果)로 길이는 10~15cm이다. 한국 남부 지방의 섬,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털마삭줄 추출물은 털마삭줄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잎, 가지, 꽃, 뿌리, 줄기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전초 또는 줄기로부터 얻은 추출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전초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중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는 황련은 학명이 Coptis Chinensis로 표기되며, 왕련, 지련, 왜황련(倭黃蓮), 일황련 등의 이명으로도 불린다. 황련은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로서 생약용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재배하기도 하며 산지의 수림 그늘의 습진 땅에서 자란다. 땅속줄기는 굵고 옆으로 뻗으며 많은 수염뿌리가 나고 줄기 끝에 뿌리잎 4~5개가 나며 길이 10~27cm이다. 잎은 세 장의 작은 잎이 나온 겹잎으로 작은 잎은 약간 굳고 톱니가 날카로우며 광택이 난다. 잎자루 밑동은 잎집으로 되고 잎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3~4월에 지름 약 10cm로 자란 꽃줄기에 흰색 꽃이 2~3개 핀다. 꽃에는 양성화와 수꽃이 있다. 흰색의 꽃받침조각은 5~6개로 길게 자라 마치 꽃잎처럼 보인다. 꽃잎은 8~15개로 작은 선형(線形)이다. 수술이 많고 암술은 9~16개이다. 씨방자루가 자라서 그 위에 대과(袋果)가 고리 모양으로 줄지어 있다. 줄기와 땅속줄기의 단면이 짙은 황색인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황련 추출물은 황련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잎, 가지, 꽃, 뿌리, 줄기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전초 또는 뿌리로부터 얻은 추출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전초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중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는 회화나무는 학명이 Sophora japonica이다. 회화나무는 장미목 콩과 고삼속 식물로 나무의 높이가 약 25m까지 자라며 가지가 넓게 퍼진다. 작은가지는 녹색이며 자르면 냄새가 난다. 잎은 어긋나고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7~17개씩이고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며, 뒷면에는 작은잎자루와 더불어 누운털이 있다. 꽃은 8월에 흰색으로 피고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꽃이 지고난 다음 열리는 열매의 형태는 꼬투리모양인데 둥근씨앗이 줄줄이 연결되어 있는 모양이 독특하다. 길이는 약 5~8cm이고 종자가 들어 있는 사이가 잘록하게 들어가며 밑으로 처진다. 꽃봉오리를 괴화(槐花) 또는 괴미(槐米)라고 하며 열매를 괴실(槐實)이라 하는데, 한의학에서 약용으로 사용한다. 열매는 협과로 원기둥 또는 염주 모양이다. 괴화는 동맥경화 및 고혈압에 쓰고 맥주와 종이를 황색으로 만드는 데 쓴다. 괴실은 가지 및 나무껍질과 더불어 치질치료에 쓴다. 우리나라 산지에서 자라며 정원수나 목재는 가구재로 이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화나무 추출물은 회화나무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잎, 가지, 꽃, 뿌리, 줄기, 열매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전초 또는 줄기로부터 얻은 추출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전초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3종 전부를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 중 2종을 혼합한 경우에는 혼합되는 식물 추출물을 1:5 내지 5:1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의 3종 모드를 혼합한 경우에는 1~5:1~5:1~5, 바람직하게는 1~3:1~3:1~3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회화나무 추출물을 상기 범위 외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같이 성분들을 혼합하여 얻을 수 있는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a)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추출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70%(v/v) 에탄올 또는 물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은 발효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의 발효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각 식물 추출물을 100~500메쉬 정도로 미세하게 파쇄한 다음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액에 식물 추출물을 1 ~ 30 중량% 첨가하고 유산균을 10,000 ~ 10,000,000 cfu/mL의 양으로 첨가한다. 배양온도는 30~37℃의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조건으로 배양한다. pH는 5~7로 통상 혐기(anaerobic)적인 조건으로 약 24 내지 72시간 배양한다. 이후 숙성 및 여과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산균은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ATCC 10012)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물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001 ~ 30.0 중량% 함유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1 ~ 1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3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피부 개선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며,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따라서,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을 2종 또는 3종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용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 노화 방지는 우수한 MMP-1 생성억제효과, 콜라겐 생합성 효과, miR-378b발현 억제효과, miR-181a발현 촉진효과, miR-340발현 억제효과, 히아루론산 발현 촉진효과, 아쿠아포린 생합성 촉진효과,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효과, 멜라닌 생성억제효과, 보습효과, 미백효과,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효과, 피부 주름개선 효과, 피부 탄력 개선효과 및 진피치밀도 개선효과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털마삭줄 추출물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털마삭줄 줄기 100g을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17.4g의 털마삭줄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2: 황련 추출물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황련 뿌리 100g을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19.7g의 황련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3: 회화나무 추출물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회화나무 꽃 100g을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18.1g의 회화나무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4: 털마삭줄 추출물 발효추출물 제조
제조예 4는 털마삭줄 추출물의 발효추출물로서 제조예 1을 유산균 발효하여 제조하였다. 유산균용 배양배지는 Lactobacillus MRS Broth (DIFCO, USA)를 사용하였으며 여기에 상기 제조예 1의 털마삭줄 추출물을 1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Lactobacillus MRS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ATCC 10012)를 1,000,000 cfu/ml로 접종 후 37℃에서 7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균을 제거하여 털마삭줄 추출물 발효물을 얻은 뒤 여기에 에탄올을 최종 70%(V/V)가 되도록 첨가한 뒤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발효추출물을 다시 0.25 um 여과지로 여과한 후 이를 6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감압농축물 또는 동결건조물을 0.001 ~ 70 중량% 함유하도록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중에서 1종 이상의 용매에 녹여 털마삭줄 추출물 발효추출물을 얻었다(제조예 4).
제조예 5: 황련 추출물 발효추출물 제조
제조예 5는 황련 추출물의 발효추출물로서 제조예 2를 유산균 발효하여 제조하였다. 유산균용 배양배지는 Lactobacillus MRS Broth (DIFCO, USA)를 사용하였으며 여기에 상기 제조예 2의 황련 추출물을 1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Lactobacillus MRS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ATCC 10012)를 1,000,000 cfu/ml로 접종 후 37℃에서 7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균을 제거하여 황련 추출물 발효물을 얻은 뒤 여기에 에탄올을 최종 70%(V/V)가 되도록 첨가한 뒤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발효추출물을 다시 0.25 um 여과지로 여과한 후 이를 6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감압농축물 또는 동결건조물을 0.001 ~ 70 중량% 함유하도록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중에서 1종 이상의 용매에 녹여 황련 추출물 발효추출물을 얻었다(제조예 5).
제조예 6: 회화나무 발효추출물 제조
제조예 6은 회화나무 추출물의 발효추출물로서 제조예 1을 유산균 발효하여 제조하였다. 유산균용 배양배지는 Lactobacillus MRS Broth (DIFCO, USA)를 사용하였으며 여기에 상기 제조예 3의 회화나무 추출물을 1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Lactobacillus MRS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ATCC 10012)를 1,000,000 cfu/ml로 접종 후 37℃에서 7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균을 제거하여 회화나무 추출물 발효물을 얻은 뒤 여기에 에탄올을 최종 70%(V/V)가 되도록 첨가한 뒤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발효추출물을 다시 0.25 um 여과지로 여과한 후 이를 6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감압농축물 또는 동결건조물을 0.001 ~ 70 중량% 함유하도록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중에서 1종 이상의 용매에 녹여 회화나무 발효추출물을 얻었다(제조예 6).
제조예 7 내지 18의 제조 : 2종의 혼합 식물 추출물의 제조
상기와 같이 제조한 제조예 1 내지 6의 식물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 중 2종의 혼합 중량비가 5:1 내지 1:5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제조예 7은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1:3 혼합물이고, 제조예 8은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3:1 혼합물이고, 제조예 9는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1:1 혼합물이고, 제조예 10은 제조예 1과 제조예 3의 1:3 혼합물이고, 제조예 11은 제조예 1과 제조예 3의 3:1 혼합물이고, 제조예 12는 제조예 1과 제조예 3의 1:1 혼합물이고, 제조예 13은 제조예 2과 제조예 3의 1:3 혼합물이고, 제조예 14는 제조예 2과 제조예 3의 3:1 혼합물이고, 제조예 15는 제조예 2와 제조예 3의 1:1 혼합물이고, 제조예 16은 제조예 4과 제조예 5의 1:1 혼합물이고, 제조예 17은 제조예 4와 제조예6 의 1:1 혼합물이고, 제조예 18은 제조예 5 와 제조예 6의 1:1 혼합물이다.
제조예 19 내지 32의 제조 : 3종 혼합 식물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한 제조예 1 내지 6의 식물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 중 3종의 혼합 중량비가 1~5:1~5:1~5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제조예 19는 제조예 1과 제조예 2와 제조예 3의 5:1:1 혼합물이고, 제조예 20은 제조예 1과 제조예 2와 제조예 3의 3:1:1 혼합물이고, 제조예 21은 제조예 1과 제조예 2와 제조예 3의 1:1:1 혼합물이고, 제조예 22는 제조예 1과 제조예 2와 제조예 3의 1:1:3 혼합물이고, 제조예 23은 제조예 1과 제조예 2와 제조예 3의 1:1:5 혼합물이고, 제조예 24는 제조예 1과 제조예 2와 제조예 3의 1:3:1 혼합물이고, 제조예 25는 제조예 1과 제조예 2와 제조예 3의 1:5:1 혼합물이고, 제조예 26은 제조예 4과 제조예 5와 제조예 6의 5:1:1 혼합물이고, 제조예 27은 제조예 4과 제조예 5와 제조예 6의 3:1:1 혼합물이고, 제조예 28은 제조예 4과 제조예 5와 제조예 6의 1:1:1 혼합물이고, 제조예 29는 제조예 4과 제조예 5와 제조예 6의 1:1:3 혼합물이고, 제조예 30은 제조예 4과 제조예 5와 제조예 6의 1:1:5 혼합물이고, 제조예 31은 제조예 4과 제조예 5와 제조예 6의 1:3:1 혼합물이고, 제조예 32는 제조예 4와 제조예 5와 제조예 6의 1:5:1 혼합물이다.
실험예 1: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의 아쿠아포린 3 생합성 촉진 실험
상기 제조예 1 내지 32에서 제조한 시료들의 아쿠아포린 3 생성 촉진 여부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인체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s)를 24-웰 플레이트(Falcon, 미합중국)에 1× 104 cell/well이 되도록 접종한 후에 하루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시킨 다음, 제조예 1 내지 32를 각각 0.1%씩 처리하여 2일 동안 무혈청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상등액을 취하여 아쿠아포린 3 측정용 키트(Aquaporin 3 ELISA KIT, Gill Blood Group,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460nm에서 흡광도를 비교하여 아쿠아포린 3의 생성 정도를 비교하여 각 시료의 아쿠아포린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Figure 112017019371115-pat00001
상기 표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32의 추출물은 피부 각질형성세포에서의 아쿠아포린 3의 생합성을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단일추출물인 제조예 1 내지 6에 비하여 2종의 혼합물인 제조예 7 내지 18의 효과가 우수하고, 3종의 혼합물인 제조예 19 내지 32가 아쿠아포린 3의 생합성을 촉진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의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촉진효과
사람의 각질형성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였다. 24시간 후 70-80%로 자란 세포의 배지를 Serum-free DMEM로 교체하고 5시간 배양하였다. 5시간 배양 후 제조예 1 내지 32를 0.1% 처리하였다. 비교예로 제조예 대신 용매(DMSO) 처리하였다. 이후 16시간 추가배양한 뒤 PBS로 워싱하고 RNA prep kit(Qiagen, 독일)으로 total RNA를 추출한 후 UV 흡광도를 통해 RNA의 양을 표준화하고 각질형성 세포 분화의 마커인 필라그린(filaggrin), 인볼루크린(involucrin), 케라틴1, 케라틴10 유전자의 발현량을 qRT-PCR을 이용하여 상대 정량하였다. 위 유전자의 발현량은 GAPDH를 통해 보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Figure 112017019371115-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조예 1 내지 32는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유도 단백질의 유전자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일추출물인 제조예 1 내지 6에 비하여 2종의 혼합물인 제조예 7 내지 18의 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3종의 혼합물인 제조예 19 내지 32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유도 단백질의 유전자발현을 촉진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추출물 및 회화나무추출물의 B16F1 멜라닌형성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본 실험예 3는 상기 제조예 1 내지 32의 식물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16F1 멜라닌 형성 세포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 정도를 보고 미백 효과를 판단하였다. 본 실험예 3에 사용된 B16F1 멜라닌 형성 세포는 마우스에서 유래한 세포균주이며, 멜라닌이라는 흑색 색소를 분비하는 세포이다. 이 세포의 인공 배양 중에 시료를 처리하여 멜라닌 흑색 색소가 감소하는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본 실험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닌 형성 세포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B16F1 멜라닌 형성 세포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 측정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B16F1 멜라닌 형성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2 X 105 농도로 분주하고 세포를 부착시킨 후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농도로 제조예 1 내지 32의 추출물을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세포를 트립신-EDTA로 떼어낸 후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세포 내 멜라닌의 정량은 로탄(Lotan: Cancer Res., 40: 3345-3350, 1980)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셀 펠릿을 PBS로 1회 세척한 후 균질화 버퍼액(50 mM 소듐 포스페이트, pH 6.8, 1% Triton X-100, 2 mM PMSF) 1ml를 첨가하여 5분간 와류하여 세포를 파쇄하였다. 원심분리 (3,000 rpm, 10분)하여 얻은 세포 여액에 1N NaOH(10% DMSO)를 첨가하여 추출된 멜라닌을 용해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로 405 nm에서 멜라닌의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멜라닌을 정량하여 시료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B16F1 멜라닌 형성 세포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17019371115-pat00003
A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멜라닌 양
B : 시료를 첨가한 웰의 멜라닌 양
Figure 112017019371115-pat00004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32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은 B16F1 멜라닌 형성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일추출물인 제조예 1 내지 6에 비하여 2종의 혼합물인 제조예 7 내지 18이 B16F1 멜라닌 형성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고, 특히 3종의 혼합물인 제조예 19 내지 32가 B16F1 멜라닌 형성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을 크게 저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추출물 및 회화나무추출물의 히아루론산 생합성 촉진 효과
사람의 섬유아세포를 10% FBS가 포함된 DMEM에 배양하여 24웰 플레이트에 2x104 cells/웰의 농도로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70-80%로 자란 세포의 배지를 Serum-free DMEM로 교체하고 5시간 배양하였다. 5시간 배양 후 제조예 1 내지 32를 0.5% 처리하였다. 배양 3일 후 배지 내 총 히아루론산의 양을 Hyaluronan Quantikine ELISA Kit(R&D biosystem)을 이용하여 합성된 히아루론산의 양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32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은 섬유아세포에서 히아루론산의 생합성을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일추출물인 제조예 1 내지 6에 비하여 2종의 혼합물인 제조예 7 내지 18의 효과가 섬유아세포에서 히아루론산의 생합성을 촉진하고, 특히 3종의 혼합물인 제조예 19 내지 32가 섬유아세포에서 히아루론산의 생합성을 크게 촉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추출물 및 회화나무추출물의 MMP-1 생성 억제 효과
실험예 5는 제조예 1 내지 32에서 수득한 추출물이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1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측정한 것이다.
인간 정상 피부 세포인 섬유아세포 (한국 세포주 은행, 대한민국)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Nunc, 덴마크)에 각 웰당 1×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Sigma, 미합중국) 및 37℃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 제조예 1 내지 32의 추출물을 첨가한 무혈청 DMEM 배지 및 대조군으로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무혈청 DMEM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MMP-1 분석 킷트(Amersham,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새로 합성된 MMP-1의 양(ng/㎖)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MMP-1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019371115-pat00005
Figure 112017019371115-pat00006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1 내지 32의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MMP-1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단일 추출물인 제조예 1 내지 6에 비하여 2종의 혼합물인 제조예 7 내지 18이, 2종의 혼합물에 비하여 3종의 혼합물인 제조예 19 내지 32가 섬유아세포에서 MMP-1의 생성을 크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6.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추출물 및 회화나무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인간 정상 상피 세포인 섬유아세포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각 웰당 1 x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내지 32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을 첨가한 무혈청 DMEM 배지 및 대조군으로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무혈청 DMEM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콜라겐 키트(Takara, 일본)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 (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 (PICP) 양을 측정하여 ng/㎖ 환산하였으며, 이에 의해 합성된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다.  콜라겐 생합성 증가율(%)은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019371115-pat00007
Figure 112017019371115-pat00008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32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의 콜라겐 생합성율이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일추출물인 제조예 1 내지 6에 비하여 2종의 혼합물인 제조예 7 내지 18의 콜라겐 생합성을 증진시키고, 특히 3종의 혼합물인 제조예 19 내지 32가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생합성을 크게 증진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7.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추출물 및 회화나무추출물의 miR-378b 발현 억제효과
인간 정상 상피 세포인 섬유아세포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각 웰당 1 x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내지 32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을 첨가한 무혈청 DMEM 배지 및 대조군으로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무혈청 DMEM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한 뒤 PBS로 워싱하고 miRNA prep kit(Qiagen, 독일)으로 total miRNA를 추출한 후 UV 흡광도를 통해 miRNA의 양을 표준화하고 COL1A1의 발현을 조절하는 SIRT6의 발현을 억제하는 miRNA인 miR-378b의 발현량을 qRT-PCR을 이용하여 상대정량하였다. 위 유전자의 발현량은 SnoRD6를 통해 보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Figure 112017019371115-pat00009
표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32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의 miR-378b 발현률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일추출물인 제조예 1 내지 6에 비하여 2종의 혼합물인 제조예 7 내지 18가 섬유아세포에서 miR-378b의 발현이 크게 저하되고, 특히 3종의 혼합물인 제조예 19 내지 32가 섬유아세포에서 miR-378b의 발현이 크게 저하되어 탄력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8.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추출물 및 회화나무추출물의 miR-181a 발현 촉진효과
인간 정상 각질형성 세포인 keratinocyte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각 웰당 1 x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내지 32 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을 첨가한 무혈청 DMEM 배지 및 대조군으로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무혈청 DMEM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한 뒤 PBS로 워싱하고 miRNA prep kit(Qiagen, 독일)으로 total miRNA를 추출한 후 UV 흡광도를 통해 miRNA의 양을 표준화하고 각질세포분화와 관련된 miRNA인 miR-181a의 발현량을 qRT-PCR을 이용하여 상대 정량하였다. 위 유전자의 발현량은 SnoRD6를 통해 보정해주었다.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Figure 112017019371115-pat00010
표 7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32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의 miR-181a 발현률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일추출물인 제조예 1 내지 6에 비하여 2종의 혼합물인 제조예 7 내지 18가 각질형성세포에서 miR-181a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특히 3종의 혼합물인 제조예 19 내지 32가 각질형성세포에서 miR-181a의 발현이 크게 증가되어 보습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9.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추출물 및 회화나무추출물의 miR-340 발현 촉진효과
B16F1 멜라닌 형성 세포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각 웰당 1 x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내지 24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을 첨가한 무혈청 DMEM 배지 및 대조군으로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무혈청 DMEM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한 뒤 PBS로 워싱하고 miRNA prep kit(Qiagen, 독일)으로 total miRNA를 추출한 후 UV 흡광도를 통해 miRNA의 양을 표준화하고 MITF의 발현을 억제하는 miRNA인 miR-340의 발현량을 qRT-PCR을 이용하여 상대 정량하였다. 위 유전자의 발현량은 SnoRD6를 통해 보정해주었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냈다.
Figure 112017019371115-pat00011
표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32에 의해 제조된 정제된 추출물의 miR-340의 발현률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일추출물인 제조예 1 내지 6에 비하여 2종의 혼합물인 제조예 7 내지 18의 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3종의 혼합물인 제조예 19 내지 32가 멜라닌 형성세포에서 miR-340의 발현이 크게 증가되어 미백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형예 1 :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추출물 및 회화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로서 제형예 1 내지 16을 아래의 표 9 및 10과 같이 제조하였다. 또한, 효능의 비교를 위해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을 각각 함유하는 비교제형예 1 내지 3과 추출물 대신에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및 1,3-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비교제형예 4, 추출물 대신에 주름개선 소재로 아데노신을 포함하는 비교제형예 5, 추출물이나 보습제를 모두 포함하지 않는 비교제형예 6, 추출물 대신에 미백 소재로 니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비교제형예 7을 하기 표 11과 같이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제형예1 제형예2 제형예3 제형예4 제형예5 제형예6
A  제조예 7 2 - - - - -
  제조예 9 - 2 - - - -
  제조예 10 - - 2 - - -
  제조예 12 - - - 2 - -
  제조예 13 - - - - 2 -
  제조예 15 - - - - - 2
  EDTA-2Na 0.02 0.02 0.02 0.02 0.02 0.0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B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 2 2 2 2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1.5 1.5
  마이크로크리스탈린 0.7 0.7 0.7 0.7 0.7 0.7
  스쿠알란 5 5 5 5 5 5
  유동파라핀 3 3 3 3 3 3
  트리옥타노인 5 5 5 5 5 5
  폴리솔베이트 1.2 1.2 1.2 1.2 1.2 1.2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0.5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 0.2 0.2 0.2 0.2 0.2
  사이클로메치콘 3 3 3 3 3 3
  BHT 0.05 0.05 0.05 0.05 0.05 0.05
C 향,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구분 성분 제형예 7 제형예 8 제형예 9 제형예 10 제형예 11 제형예 12 제형예 13 제형예 14 제형예 15 제형예 16
A 제조예 19 2 - - - - - - - - -
제조예 20 - 2 - - - - - - - -
제조예 21 - - 2 -  - - - - - -
  제조예 22 - - - 2 - - - - - -
  제조예 23 - - - - 2 - - - - -
  제조예 26 - - - - - 2 - - - -
  제조예 27 - - - - - - 2 - - -
  제조예 28 - - - - - - - 2 - -
제조예 29 - - - - - - - - 2 -
제조예 30 - - - - - - - - - 2
  EDTA-2Na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 2 2 2 2 2 2 2 2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B 마이크로크리스탈린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스쿠알란 5 5 5 5 5 5 5 5 5 5
  유동파라핀 3 3 3 3 3 3 3 3 3 3
  트리옥타노인 5 5 5 5 5 5 5 5 5 5
  폴리솔베이트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사이클로메치콘 3 3 3 3 3 3 3 3 3 3
  BHT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C 향,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구분 성분 비교제형예1 비교제형예2 비교제형예3 비교제형예4 비교제형예5 비교제형예6 비교제형예7
A 제조예 1 2 - - - - - -
제조예 2 - 2 - - - - -
제조예 3 - - 2 - - - -
  글리세린 - - - 5 - - -
  1,3부틸렌글리콜 - - - 5 - - -
  아데노신 - - - - 3 - -
  니아신아마이드 - - - - - - 2
  EDTA-2Na 0.02 0.02 0.02 0.02 0.02 0.02 0.0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 2 2 2 2 2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1.5 1.5 1.5
B 마이크로크리스탈린 0.7 0.7 0.7 0.7 0.7 0.7 0.7
  스쿠알란 5 5 5 5 5 5 5
  유동파라핀 3 3 3 3 3 3 3
  트리옥타노인 5 5 5 5 5 5 5
  폴리솔베이트 1.2 1.2 1.2 1.2 1.2 1.2 1.2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0.5 0.5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 0.2 0.2 0.2 0.2 0.2 0.2
  사이클로메치콘 3 3 3 3 3 3 3
  BHT 0.05 0.05 0.05 0.05 0.05 0.05 0.05
C 향,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10 :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추출물 및 회화나무추출물의 피부장벽기능 개선효과
제형예 1 내지 16 및 비교제형예의 피부장벽기능 개선효가를 평가하였다. 20세 이상 성인 남녀 210 명을 무작위로 10 명씩 21개 그룹(1 내지 21그룹)으로 나눈 후, 210명의 전박에 1.0% SLS 수용액 20ul를 finn-chamber 적용하여 16시간 첩포함으로써 피부장벽기능을 일시적으로 손상시켰다. 그 후 1 내지 19그룹에 제형예 1 내지 16 및 비교제형예 1 내지 4, 6을 각각 1일 2회씩 1주간 도포하게 하였다. 피부장벽기능 개선효과는 SLS 첩포전, 첩포후, 제형도포후 7일간 매일 경피수분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시험전 SLS 첩포후 Day1 Day2 Day3 Day4 Day5 Day6 Day7
제형예 1 6.5 21.5 18.9 16.2 12.5 10.5 7.2 6.5 6.5
제형예 2 6.7 21.3 19.5 16.7 12.4 10.3 7.6 6.5 6.4
제형예 3 6.7 22.4 20.4 15.4 12.6 11.1 7.5 6.4 6.5
제형예 4 6.6 22.3 19.8 16.1 12.5 9.8 7.4 6.4 6.5
제형예 5 6.6 21.6 19.2 16 12.3 9.9 7.7 6.5 6.4
제형예 6 6.7 20.5 19.3 15.5 12.6 10.2 7.6 6.4 6.5
제형예 7 6.5 22.3 19.3 9.7 7.3 6.8 6.7 6.5 6.4
제형예 8 6.7 22.1 19.1 9.8 7.5 6.9 6.5 6.6 6.5
제형예 9 6.8 22.3 18.8 10.3 7.7 6.7 6.5 6.5 6.5
제형예 10 6.7 21.8 19.1 9.7 7.6 6.7 6.8 6.6 6.7
제형예 11 6.5 21.7 18.8 9.5 7 6.8 6.7 6.7 6.5
제형예 12 6.8 21.5 18.9 9.3 7.3 6.8 6.7 6.6 6.7
제형예 13 6.5 22 19.2 10.1 7.2 6.7 6.6 6.7 6.5
제형예 14 6.7 21.4 19.4 10.1 7.4 6.8 6.5 6.7 6.8
제형예 15 6.8 22 19.1 9.8 7.3 6.7 6.6 6.7 6.7
제형예 16 6.7 21.7 15.8 10.3 7.4 6.8 6.5 6.8 6.7
비교제형예 1 6.7 21.4 20.4 18.1 14.4 11.2 8.7 7.2 6.8
비교제형예 2 6.8 22 20.1 17.8 14.3 11.7 8.6 7.3 6.7
비교제형예 3 6.7 21.7 18.8 18.3 14.4 11.3 8.5 7.1 6.7
비교제형예 4 6.5 21.5 17.6 13.2 8.5 6.9 6.5 6.4 6.6
비교제형예 6 6.5 22.1 20.2 19.3 18.5 17.3 15.7 12.6 10.4
상기 표 12에서 알 수 있듯이, 제형예 1 내지 16을 도포한 부위가 비교제형예 4 및 6에 비해 더 빠르게 장벽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3종의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7 내지 16이 더욱 빠르게 장벽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1: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추출물 및 회화나무추출물의 보습 효과
상기 제형예 1 내지 16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보습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임상 실험을 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하여 피부가 건조하다고 느끼는 건강한 성인 남녀 210명을 무작위로 10 명씩 21개 그룹(1 내지 21 그룹)으로 나눈 후, 1 내지 16 그룹에는 제형예 1 내지 16의 화장료 조성물을, 17 내지 19그룹에는 비교제형예 1 내지 3을, 20그룹에는 추출물 대신에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및 1,3-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제형예 4), 21그룹에는 추출물 및 보습제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제형예 6)을 각각 1일 2회씩 8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보습 효과는 실사용 시험 시작 후부터 매 2주간, 그리고 종료 후의 개선 효과를 Corneometer CM 820 (Corage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구분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제형예 1 22.4 31.9 35.64
제형예 2 22.3 32.5 35.7
제형예 3 21.6 31.4 35.4
제형예 4 21.8 32.7 36.1
제형예 5 22.3 32.5 36.3
제형예 6 22.1 33.5 35.7
제형예 7 21.7 40.1 55.9
제형예 8 22.0 40.3 56.1
제형예 9 23.1 38.6 55.7
제형예 10 23.4 39.4 55.8
제형예 11 22.8 39.3 56.2
제형예 12 23.2 40.5 54.7
제형예 13 23.5 40.7 55.1
제형예 14 21.4 38.9 52.3
제형예 15 23.5 39.8 55.8
제형예 16 22.9 40.7 56.9
비교제형예 1 21.4 28.9 31.3
비교제형예 2 23.5 29.8 30.8
비교제형예 3 22.9 27.7 30.9
비교제형예 4 23.3 37.4 49.7
비교제형예 6 22.2 24.8 23.8
상기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 다른 보습제를 함유한 화장료(비교제형예 4)와 비교하여도 본 발명의 추출물 함유한 화장료(제형예 1 내지 16)의 보습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3종의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7 내지 16의 보습효과가 더욱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2: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추출물 및 회화나무추출물의 미백효과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피부 미백효과에 대한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임상시험은 각 화장료의 실제 사용 테스트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210명의 여성(30세 - 50세)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10 명씩 21개 그룹 (1 내지 21 그룹)으로 나눈 후, 1 내지 16 그룹에는 제형예 1 내지 16의 화장료 조성물을, 17 내지 19그룹에는 비교제형예 1 내지 3을, 20그룹에는 추출물 대신에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및 1,3-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제형예 4), 21그룹에는 니아신아마이드 2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제형예 7)을 각각 1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얼굴 양쪽면을 사용하여 Chromameter (Minolta CR300)로 밝기(L*)를 측정한 뒤 4주 후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평가를 토대한 미백 효과 결과는 하기의 표 14에 나타내었다.
구분 측정값(L*)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제형예 1 58.5 61.4 61.8
제형예 2 58.5 61.5 62.9
제형예 3 58.5 61.3 61.8
제형예 4 58.4 61.8 61.9
제형예 5 58.1 60.5 61.7
제형예 6 57.8 60.1 61.2
제형예 7 58.1 62.0 65.2
제형예 8 58.3 62.7 65.9
제형예 9 58.2 63.2 65.8
제형예 10 57.9 62.3 65.1
제형예 11 57.8 63.4 66.0
제형예 12 58.1 63.5 66.3
제형예 13 58 63.1 66.1
제형예 14 58.6 62.2 66.2
제형예 15 58.7 63.8 65.9
제형예 16 58.6 62.5 65.2
비교제형예 1 58.6 59.2 60.1
비교제형예 2 58.7 59.8 60.5
비교제형예 3 58.6 60.5 60.2
비교제형예 4 58.1 58.5 58
비교제형예 7 58.2 61.4 64.9
상기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백성분을 함유한 화장료(비교제형예 7)와 비교하여도 본 발명의 추출물 함유한 화장료(제형예 1 내지 16)의 미백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3종의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7 내지 16의 미백효과가 더욱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3: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추출물 및 회화나무추출물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 측정
실험예 13은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형예 1 내지 16, 비교제형예 1 내지 3과 추출물 대신에 보습제를 넣은 비교제형예 4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0~40대의 탄력이 감소한 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10명씩 20개 그룹으로 나눈 뒤, 1 내지 16그룹에는 제형예 1 내지 16을, 17 내지 19 그룹에는 비교제형예 1 내지 3을, 그리고 20그룹에는 비교제형예 4를 안면에 매일 아침, 저녁으로 2회씩 12주간 도포하게 한 후, 8주 후 피부 탄력을 측정하였다. 얼굴 부위의 탄력을 cutometer SEM575 (MPA 580, Courage+Khazaka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피부 탄력을 나타내는 R2(biological elasticity)를 도포 전과 도포 후를 측정한 뒤 개선도(%)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5에 나타내었으며, 결과는 각 군에 대한 개선도의 평균치이다.
실험제품 피부 탄력 개선도(%)
제형예 1 18.5
제형예 2 19.1
제형예 3 19.4
제형예 4 18.2
제형예 5 19.5
제형예 6 18.3
제형예 7 32.2
제형예 8 31.9
제형예 9 32
제형예 10 32.1
제형예 11 31.4
제형예 12 32.1
제형예 13 31.5
제형예 14 31.8
제형예 15 32.4
제형예 16 31.2
비교제형예 1 15.8
비교제형예 2 13.4
비교제형예 3 14.2
비교제형예 4 6.3
상기 표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추출물이 함유된 제형예 1 내지 16은 비교제형예 1 내지 4에 비하여 피부 탄력이 매우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3종의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7 내지 16의 탄력개선 효과가 더욱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4: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추출물 및 회화나무추출물의 피부 주름 개선효과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피부 주름 개선효과에 대한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임상시험은 각 화장료의 실제 사용 테스트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210명의 여성(30세 - 50세)을 대상으로 실험군을 각각 10명씩 21개의 그룹으로 무작위로 나눈 뒤, 1 내지 16그룹에는 제형예 1 내지 16을, 17 내지 21그룹에는 비교제형예 1 내지 5를 매일 2회 8주간 도포한 뒤, 얼굴 양쪽면을 사용하여 8주 후의 주름 개선 효과를 육안 관찰 및 기기측정(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을 통하여 평가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 16에 나타낸 바와 같다.
  주름 개선 효과 유효율(%)
우수 약간 없음
제형예 1 7 5 8 60
제형예 2 7 6 7 65
제형예 3 6 7 7 65
제형예 4 5 7 8 60
제형예 5 5 7 8 60
제형예 6 5 8 7 65
제형예 7 16 4 1 95
제형예 8 15 5 2 90
제형예 9 15 5 2 90
제형예 10 16 4 1 95
제형예 11 17 3 1 95
제형예 12 17 3 1 95
제형예 13 13 7 2 90
제형예 14 10 8 2 90
제형예 15 11 7 2 90
제형예 16 13 6 1 95
비교제형예 1 4 4 12 40
비교제형예 2 3 5 12 40
비교제형예 3 3 5 12 40
비교제형예 4 3 3 14 30
비교제형예 5 12 6 3 85
상기 표 16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예 1 내지 16의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를 함유하는 비교제형예 4에 비하여 약 3.0배 높은 주름개선 효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3종의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7 내지 16의 주름개선 효과가 더욱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추출물 대신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비교제형예 5의 화장료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내었다.
실험예 15: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의 진피치밀도 개선 효과 측정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진피치밀도 개선효과에 대한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임상시험은 각 화장료의 실제 사용 테스트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200명의 여성(30세 - 50세)을 대상으로 실험군을 각각 10명씩 20개의 그룹으로 나눈 후, 1 내지 16그룹에는 제형예 1 내지 16을, 17 내지 20그룹에는 비교제형예 1 내지 5를 1일 2회 4주간 얼굴에 도포한 후, 얼굴 양쪽면을 사용하여 4주 후의 진피치밀도 개선 효과를 SkinScanner DUBcutis (tpm (terbana pro medicum), Luneburg, Germany)를 이용한 기기평가를 통해 확인하였다. 진피치밀도 증가율은 하기의 수학식 4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진피치밀도 개선 효과 결과는 하기의 표 1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019371115-pat00012
실험제품 진피치밀도 증가율(%)
제형예 1 16.7
제형예 2 16.8
제형예 3 17.7
제형예 4 17.3
제형예 5 17.9
제형예 6 18.1
제형예 7 26.7
제형예 8 26
제형예 9 27.7
제형예 10 27.1
제형예 11 26.5
제형예 12 26.2
제형예 13 25.6
제형예 14 27.1
제형예 15 26.7
제형예 16 27.7
비교제형예 1 10.8
비교제형예 2 11.1
비교제형예 3 10.7
비교제형예 4 3.5
비교제형예 5 25.1
상기 표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추출물이 함유된 제형예 1 내지 16은 비교제형예 1 내지 5에 비하여 피부 진피치밀도가 매우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3종의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7 내지 16의 진피치밀도 개선 효과가 더욱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기능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0 중량% 함유되는, 피부 장벽기능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a)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또는 (b) 미생물로부터의 발효나 자연발효대사를 이용한 추출법으로 추출된 것인, 피부 장벽기능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ATCC 10012)인, 피부 장벽기능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24849A 2017-02-24 2017-02-24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5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849A KR101865688B1 (ko) 2017-02-24 2017-02-24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849A KR101865688B1 (ko) 2017-02-24 2017-02-24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003A Division KR101950384B1 (ko) 2017-07-20 2017-07-20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688B1 true KR101865688B1 (ko) 2018-06-11

Family

ID=6260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849A KR101865688B1 (ko) 2017-02-24 2017-02-24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6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4324A (zh) * 2020-06-05 2020-08-18 广东梵蜜琳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改善皮肤弹性的组合物及化妆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657A (ja) * 2000-08-18 2002-05-09 Noevir Co Ltd 美白化粧料
KR20100035129A (ko) * 2008-09-25 2010-04-02 신일제약주식회사 낙석등 건조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과 상기 분획물의 제조방법
KR20140100140A (ko) * 2013-02-05 2014-08-14 주식회사 아이피어리스 운지버섯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657A (ja) * 2000-08-18 2002-05-09 Noevir Co Ltd 美白化粧料
KR20100035129A (ko) * 2008-09-25 2010-04-02 신일제약주식회사 낙석등 건조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과 상기 분획물의 제조방법
KR20140100140A (ko) * 2013-02-05 2014-08-14 주식회사 아이피어리스 운지버섯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4324A (zh) * 2020-06-05 2020-08-18 广东梵蜜琳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改善皮肤弹性的组合物及化妆品
CN111544324B (zh) * 2020-06-05 2022-09-02 广东梵蜜琳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改善皮肤弹性的组合物及化妆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9786B1 (ko)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10515675A (ja) 大山蓮華抽出物を含有する光老化防止用及び皮膚皺改善用化粧料組成物
KR20170035691A (ko)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송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90465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함유하는 작약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작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1016B1 (ko) 피부보습, 항산화 및 주름개선 기능성 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85224B1 (ko) 금불초, 삼지구엽초 및 마디풀 복합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872357B1 (ko) 짝자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4446B1 (ko) 상동나무 추출물과 미세침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06B1 (ko) 장뇌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21537B1 (ko) 다시마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0384B1 (ko)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5688B1 (ko)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132B1 (ko) 실론시나몬나무껍질 및 구릿대의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3969B1 (ko) 유동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3310B1 (ko) 짝자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7711B1 (ko) 방가지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10005B1 (ko) 천정팔진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2364A (ko) 항노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2308756B1 (ko) 귤껍질 및 칼메그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44494B1 (ko) 털마삭줄을 포함하는 마삭줄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2473A (ko) 차나무 잎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8173A (ko) 큰실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93477A (ko) 왕벚나무 꽃 생물전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7435B1 (ko)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