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786B1 -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786B1
KR102349786B1 KR1020210131705A KR20210131705A KR102349786B1 KR 102349786 B1 KR102349786 B1 KR 102349786B1 KR 1020210131705 A KR1020210131705 A KR 1020210131705A KR 20210131705 A KR20210131705 A KR 20210131705A KR 102349786 B1 KR102349786 B1 KR 102349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지은
Original Assignee
여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지은 filed Critical 여지은
Priority to KR1020210131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7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7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성초 추출물, 캔들부쉬 추출물,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어성초 추출물, 캔들부쉬 추출물 및 위치하젤 추출물 외에도 다양한 천연 성분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 주름 개선 활성 및 피부 미백 활성이 우수한 바, 화장품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wrinkle and skin whitening}
본 발명은 어성초 추출물, 캔들부쉬 추출물,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주름 개선, 트러블 개선,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호르몬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세포의 기능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어 생기는 내인성 노화와, 외적으로 오염된 공기와 약물,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로 나눠진다.
노화가 진행될수록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인 collagen, elastin, hyaluronic acid 등 구조 단백질을 생성하는 능력이 감소하고 type-1 collagen의 생합성이 증가하여 matrix metalloproteinases(MMPs)의 발현이 증가되면 진피 내 교원섬유, 탄력섬유, fibronectin 및 laminin과 같은 기질 단백질 분해를 유도하여 피부 탄력을 떨어트리고, 피부 주름 생성을 야기한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elastase가 피부 탄력성 섬유의 3차원적 뒤틀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Elastase의 활성 증가는 피부 탄력섬유를 감소시켜 피부 주름 형성에 기여하며, 산화적 스트레스는 피부 노화를 더욱 촉진하게 된다.
또한, 자외선에 노출되면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α-MSH), adrenocorticotropichormone 등의 신호전달물질을 멜라닌 세포로 분비하게 된다. 멜라닌은 melanosome 내부에서 생성되고 아미노산인 L-tyrosine이 효소인 tyrosinase에 의해 dopaquinone으로 전환된다. 그러나 과도한 멜라닌 생성은 흑색종, 염증 후 색소 침착, 주근깨 등의 여러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의 야생약초로서 그늘지고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라며, 약모빌, 삼백초라고도 불린다. 어성초는 다양한 생리활성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어 이뇨, 진통, 지혈 등의 약리작용이 있는 생약재로 오래전부터 이용되어 왔다 (Korean J. Food Preserv., 16(1): 122-127). 어성초의 활성과 관련하여, 어성초 헥산 추출물의 암세포 억제 효과에 대해 보고된 바 있으며, 항돌연변이 효과, 고지방, 고콜레스테롤혈증 쥐의 혈청 지질 및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230-1235, 1998) 등에 대하여 연구된 바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어성초 추출물, 캔들부쉬 추출물, 위치하젤 추출물, 및 다양한 천연 추출물을 특정 중량비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주름 개선 활성이 우수하며, 미백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어성초 추출물, 캔들부쉬 추출물,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어성초 추출물, 캔들부쉬 추출물,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의 야생 약초로써 약모밀 혹은 삼백초라고도 불리며, 원산지는 한국, 중국, 일본 등이다. 어성초는 잎에서 특유의 비린내가 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어 이뇨, 진통, 지혈 등의 약리작용이 있는 생약재로 오래전부터 이용되어 왔다. 어성초는 선행연구에 의해 항산화 작용, 해독 작용, 항염증 활성 등의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실제로 화장품 제조 등의 산업에서 원료로써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 캔들부쉬 또는 위치하젤 등의 다른 천연물과의 혼합 조건에 따른 피부 관련 시너지 효과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상기 어성초의 출처는 제한되지 않으나, 울릉도에서 채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캔들부쉬(Cassia alata, Senna alata, Candlebush)는 아열대 지역에서 발견되는 Fabaceae과에 속하는 관목으로, 햇볕이 잘 들고 습한 곳에 주로 서식한다. 캔들부쉬는 민간요법으로 소화기 및 무좀과 같은 피부 질환에 사용되었으며, 그 추출물이 간 질환, 피부 발진, 항당뇨, 항말라리아 등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Fitoterapia 80, 385-393, 2009). 다만, 아직까지 캔들부쉬 추출물의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과 같은 활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연구된 바 없다.
본 발명의 위치하젤 (Hamamelis virginiana, Witch-hazel)은 풍년화 속 식물로서, 일본, 중국 및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위치하젤은 주로 탄닌, 카테킨, 및 플라보노이드 등을 함유하며, 민간요법에 따르면 위치하젤의 잎과 껍질에는 수렴성, 항염증성 및 지혈 작용이 있다고 한다. 또한, 위차하젤의 항산화, 항염증 및 항바이러스 활성 등이 보고되었으나, 위치하젤 추출물의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과 같은 활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연구된 바 없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은 용매와 추출 원료를 특정 조건 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추출 원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으로 원료에 함유된 성분을 분리해 낼 수 있다면, 추출 방법이나 유효성분의 종류에 무관하게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원료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한 것, 원료의 특정 성분, 예컨대 오일과 같은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건조 후 분말화하거나, 열수 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다양한 추출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석유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50%(v/v) 에탄올로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서는, 어성초, 캔들부쉬, 및 위치하젤 분말을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열수, 50%(v/v) 에탄올, 100%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elastase) 저해 활성을 평가한 결과, 50%(v/v)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추출물은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어성초 추출물, 캔들부쉬 추출물, 및 위치하젤 추출물은 5:2: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각 추출물을 혼합할 경우 최적의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혼합비를 규명하기 위하여, 각 추출물의 중량비를 달리하여 혼합한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어성초 추출물, 캔들부쉬 추출물,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5:2: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실시예 1 조성물이 피부염 유발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상기 혼합은 어성초, 캔들부쉬 및 위치하젤 원물을 상기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하거나, 각 추출물을 상기 중량비로 혼합하는 등 그 혼합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쿠알란, 목련나무껍질추출물, 흰버드나무껍질추출물, 나한백가지나무추출물, 마카다미아씨오일, 및 호호바씨오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쿠알란(squalane)은 화학신 C30H62의 화합물로서, 스쿠알렌(squalene)의 수소화에 의해 유도된 탄화수소이다. 상어의 간 기름에서 대량으로 발견되며 올리브오일, 밀배아유, 쌀겨유, 효모 등에서도 발견된다. 본 발명의 스쿠알란은 시중에 판매되는 성분을 구입하거나, 직접 합성하여 사용하는 등 그 수득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어성초, 캔들부쉬, 위치하젤, 목련나무껍질, 흰버드나무껍질, 나한백가지나무, 마카다미아씨, 및 호호바씨는 직접 채취하거나, 시중에 유통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어성초 추출물 50 중량부, 캔들부쉬 추출물 20 중량부, 위치하젤 추출물 10 중량부, 스쿠알란 60 중량부, 목련나무껍질추출물 20 중량부, 흰버드나무껍질추출물 15 중량부, 나한백가지나무추출물 5 중량부, 마카다미아씨오일 15 중량부, 및 호호바씨오일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서는, 스쿠알란, 목련나무껍질추출물, 흰버드나무껍질추출물, 및 나한백가지나무추출물을 상이한 중량비로 포함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타이로시나아제(tyrosinase) 저해 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어성초 추출물 50 중량부, 캔들부쉬 추출물 20 중량부, 위치하젤 추출물 10 중량부, 스쿠알란 60 중량부, 목련나무껍질추출물 20 중량부, 흰버드나무껍질추출물 15 중량부, 나한백가지나무추출물 5 중량부, 마카다미아씨오일 15 중량부, 및 호호바씨오일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실시예 2 조성물이 타이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어성초 추출물, 캔들부쉬 추출물, 및 위치하젤 추출물, 스쿠알란, 목련나무껍질추출물, 흰버드나무껍질추출물, 나한백가지나무추출물, 마카다미아씨오일, 및 호호바씨오일 외에도 본 발명의 유효 활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피부 개선을 위한 공지의 천연 추출물이나 기타 성분을 추가로 포함시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판테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비즈왁스, 알부틴, 세테아릴알코올, 솔비탄스테아레이트, 1,2-헥산다이올, 다이메티콘, 락토바실러스/병풀추출발효여과물,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폴리솔베이트60, 폴리아크릴레이트-13, 알지닌,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토코페릴아세테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폴리아이소부텐, 알란토인, 세라마이드엔피, 폴리솔베이트20, 아시아티코사이드, 아데노신, 솔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 아시아틱애씨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마데카식애씨드, 라벤더오일, 황금추출물, 베타-글루칸, 녹차추출물, 왕귤추출물, 프로폴리스추출물, 마트리카리아꽃/잎추출물,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 리날룰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파우더, 팩트, 립글로즈, 립스틱, 섀도우, 샴푸 및 린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 개선, 트러블 개선, 및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용어 "주름"은 피부가 쇠하여 생긴 잔줄을 의미하는 것으로, 유전자에 의한 원인, 피부 진피에 존재하는 콜라겐의 감소, 외부 환경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주름 개선"은 상기 주름의 증상을 예방, 억제 또는 저해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엘라스타아제(elastase)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주름 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엘라스타아제는 피부 탄력에 관여하는 엘라스틴의 가수분해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트러블 개선"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균주 및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을 통해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는 혐기성 세균으로서, 모낭의 안쪽에서 성장하며, 여드름의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호르몬의 작용 등으로 인하여 피부에 피지가 과다해지고, 그에 따라 모공의 각화를 유발하여 피지가 모공 밖으로 배출되지 못할 경우, 피지 내에 존재하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균주가 증식하면서 여드름과 같은 피부질환이 악화된다.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Staphylococcus epidermidis)는 호기성균으로서, 외모낭이나 모낭의 중간에서 성장하며 비병원성으로 동물의 피부나 우유, cheese, 기타 양조물 등에서 분리된다. 원발성 피부질환 및 여드름 등을 속발성 악화시키는 원인균이다. 점액(slime) 생성능으로 인해 항생제로부터 균체를 보호하고, 숙주의 면역반응인 식균 작용을 막는다. 혈구 응집능을 억 제하고 숙주의 면역계를 손상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학적 항생제의 사용 없이,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균주 및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균주와 같은 피부 유해균을 억제하여 트러블성 피부의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미백"은 피부색에 영향을 미치는 멜라닌, 산화-환원 헤모글로빈, 카로틴, 멜라노이드 등 다양한 생체 분자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잡티, 주근깨, 기미 등의 피부 색소 침착 현상을 완화시키고, 피부 누런기, 붉은기를 완화시켜 피부 밝기 및 균일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피부 미백은 피부톤을 환하게 하여 명도를 높이는 효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어성초 추출물, 캔들부쉬 추출물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미백, 주름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외품이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ㆍ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바디 클렌저, 폼, 비누, 마스크, 연고제, 크림, 로션, 에센스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 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어성초 추출물, 캔들부쉬 추출물 및 위치하젤 추출물 외에도 다양한 천연 성분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 주름 개선 활성 및 피부 미백 활성이 우수한 바, 화장품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추출 용매에 따른 주름 개선 활성 평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어성초(Houttuynia cordata) 잎, 캔들부쉬(Cassia alata) 잎, 및 위치하젤(Hamamelis virginiana) 잎을 건조 후 분쇄하여 각 분말을 수득한 후,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증류수, 50%(v/v) 에탄올, 및 100%(v/v)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90 내지 100℃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 후 여과하여 각 시료를 준비하였다.
이후, 추출 용매에 따른 주름 개선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엘라스틴 분해 효소인 elastase에 대한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질로서 n-succinyl-(L-Ala)3-p-nitroanilide를 사용하여 37℃에서 30분간 기질로부터 생성되는 p-nitroanilide의 생성량을 445nm에서 측정하였다. 각 시료를 40 μL씩 96-well plate에 취하고, 50 mM tris-HCl buffer (pH 8.6)에 녹인 2.5U/mL porcine pancreas elastase 용액 40 μL을 가한 후 기질로 50 mM tris-HCl buffer에 녹인 n-succinyl-(L-Ala)3-p-nitroanilide (0.5 mg/mL)을 첨가하여 30분 간 반응시켜 측정하였다. Elastase 저해 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으며, 구체적인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효소활성 저해(%)=(1-시료첨가군 흡광도/무첨가군 흡광도)Х100
추출 용매 Inhibition rate (%)
열수 25.6
50%(v/v) EtOH 48.8
100%(v/v) EtOH 34.5
엘라스타아제(elastase)는 단백질인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로, 다른 중요한 기질 단백질인 콜라겐을 분해할 수 있는 비특이적 가수분해효소이다. 피부의 진피조직 속에서는 콜라겐과 피부의 탄력성에 관련된 엘라스틴이 그물망 구조로 형성하고 있는데, 엘라스틴이 엘라스타아제에 의해 분해되어 피부의 그물망 구조 결합이 끊어지므로, 엘라스타아제가 주름 생성의 주원인 효소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주름 생성과 관련된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수 추출한 경우 약 25.6%의 낮은 저해 활성을 나타낸 반면, 50%(v/v)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48.8%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고,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오히려 저해 활성이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즉, 어성초, 캔들부쉬, 및 위치하젤을 50%(v/v)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에, 엘라스타아제 저해를 통한 주름 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이 가장 많이 추출되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어성초, 캔들부쉬, 및 위치하젤의 50%(v/v)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그 활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예 2. 항균 활성 평가
상기 실험예 1의 결과에 따라, 어성초, 캔들부쉬, 및 위치하젤의 50%(v/v) 에탄올 추출물을 준비하고, 각 추출물을 혼합할 경우 최적의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혼합비를 규명하기 위하여 하기 표 2의 중량비와 같이 각 추출물을 혼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중량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어성초 추출물 5 2 1 1
캔들부쉬 추출물 2 5 2 1
위치하젤 추출물 1 1 5 1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항균 활성은 disc diffusion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균주로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균주 및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Staphylococcus epidermidis)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은 300mg/L의 농도로 DMSO에 희석하여 사용하였고, 액체 배양된 2개 균주를 100μL씩 아가(agar) 플레이트 위에 균일하게 도말하고 멸균한 paper disk (diameter of 8mm)를 아가 플레이트 위에 놓는다. 각 조성물을 paper disk에 주입하여 확산 시킨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paper disk 주위에 clear zone의 크기(mm)를 활성의 정도로 측정하였다.
Clear zone (mm)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P. acnes 17.1 13.5 10.9 15.0
S. epidermis 15.9 14.1 8.2 14.3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조성물의 항균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다음으로 비교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순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어성초 추출물을 높은 중량비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피부 여드름 또는 피부염 유발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성 피부의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실험예 3. 미백 활성 평가
상기 실험예 2의 결과에 따라 어성초 추출물, 캔들부쉬 추출물,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5:2:1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스쿠알란, 목련나무껍질추출물, 흰버드나무껍질추출물, 나한백가지나무추출물, 마카다미아씨오일, 및 호호바씨오일을 추가로 포함하며, 스쿠알란, 목련나무껍질추출물, 흰버드나무껍질추출물, 및 나한백가지나무추출물을 상이한 중량비로 포함하는 실시예 2, 비교예 4-7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중량부 실시예 2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어성초 추출물 50 50 50 50 50
캔들부쉬 추출물 20 20 20 20 20
위치하젤 추출물 10 10 10 10 10
스쿠알란 60 50 50 70 60
목련나무껍질추출물 20 30 20 10 10
흰버드나무껍질추출물 15 10 20 5 20
나한백가지나무추출물 5 10 10 15 10
마카다미아씨오일 15 15 15 15 15
호호바씨오일 10 10 10 10 10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미백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타이로시나아제(tyrosin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B16F10 melanoma 세포를 6-well에 5x104 cell이 되도록 접종하여 배양하고, 24시간 뒤 각 well에 시료를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 후 PBS로 2회 세척한 후 각 well의 세포에 lysis buffer를 가하였다. 얼음 위에서 세포를 파괴시키고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만 따로 모아 효소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L-DOPA를 2 mg/mL 농도로 0.1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에 녹여 기질을 준비하고 기질 160μL에 효소용액 40μL를 가하고 37℃에서 1시간 가온하고 생성된 DOPA chrome의 양을 490 nm에서 측정하였다. Cellular tyrosinase 활성은 각 시료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비로부터 산출하였다.
구분 Inhibition rate (%)
실시예 2 39.4
비교예 4 30.8
비교예 5 26.6
비교예 6 21.7
비교예 7 32.5
타이로시나아제(tyrosinase)는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tyrosine에서 멜라닌 생성에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효소이다. 타이로시나아제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미, 주근깨, 노인성 홍반 등의 유발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포 내 타이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 조성물의 타이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스쿠알란, 목련나무껍질추출물, 흰버드나무껍질추출물, 및 나한백가지나무추출물을 상이한 중량비로 포함하는 비교예 조성물은 실시예 2 조성물에 비하여 낮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천연 추출물 및 성분의 함량에 따라 타이로시나아제 효소의 저해에 따른 미백 활성에 차이가 있으며, 어성초 추출물 50 중량부, 캔들부쉬 추출물 20 중량부, 위치하젤 추출물 10 중량부, 스쿠알란 60 중량부, 목련나무껍질추출물 20 중량부, 흰버드나무껍질추출물 15 중량부, 나한백가지나무추출물 5 중량부, 마카다미아씨오일 15 중량부, 및 호호바씨오일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가장 우수한 미백 활성을 가지는 것을 구체적인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어성초 추출물, 캔들부쉬 추출물, 위치하젤 추출물, 스쿠알란, 목련나무껍질추출물, 흰버드나무껍질추출물, 나한백가지나무추출물, 마카다미아씨오일, 및 호호바씨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어성초 추출물, 캔들부쉬 추출물, 및 위치하젤 추출물은 50%(v/v) 에탄올로 추출된 것이고, 상기 어성초 추출물, 캔들부쉬 추출물, 및 위치하젤 추출물은 5:2: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 개선, 트러블 개선, 및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어성초 추출물 50 중량부, 캔들부쉬 추출물 20 중량부, 위치하젤 추출물 10 중량부, 스쿠알란 60 중량부, 목련나무껍질추출물 20 중량부, 흰버드나무껍질추출물 15 중량부, 나한백가지나무추출물 5 중량부, 마카다미아씨오일 15 중량부, 및 호호바씨오일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KR1020210131705A 2021-10-05 2021-10-05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49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705A KR102349786B1 (ko) 2021-10-05 2021-10-05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705A KR102349786B1 (ko) 2021-10-05 2021-10-05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786B1 true KR102349786B1 (ko) 2022-01-10

Family

ID=79347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705A KR102349786B1 (ko) 2021-10-05 2021-10-05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7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748B1 (ko) 2022-05-31 2022-08-19 여지은 어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분크림용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434747B1 (ko) 2022-05-31 2022-08-19 여지은 어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에센셜 토너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7505A (ja) * 2000-08-29 2004-03-11 コグニス・フランス・ソシエテ・アノニム 植物Cassiaalataの抽出物の使用
KR20130077314A (ko) * 2011-12-29 2013-07-0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27664A (ko) * 2016-09-05 2018-03-15 (주)튜링겐코리아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및 항노화용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조성물
KR20180123799A (ko) * 2017-05-10 2018-11-20 주식회사 디엠씨케이컴퍼니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7505A (ja) * 2000-08-29 2004-03-11 コグニス・フランス・ソシエテ・アノニム 植物Cassiaalataの抽出物の使用
KR20130077314A (ko) * 2011-12-29 2013-07-0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27664A (ko) * 2016-09-05 2018-03-15 (주)튜링겐코리아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및 항노화용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조성물
KR20180123799A (ko) * 2017-05-10 2018-11-20 주식회사 디엠씨케이컴퍼니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748B1 (ko) 2022-05-31 2022-08-19 여지은 어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분크림용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434747B1 (ko) 2022-05-31 2022-08-19 여지은 어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에센셜 토너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9786B1 (ko)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47541B1 (ko) 우방자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99783B1 (ko) 행운목과 토끼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0288A (ko) 흑효모로 발효한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8B1 (ko)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73899B1 (ko) 피부의 주름 개선, 미백, 세포 재생, 상처 치유에 유효한 복합 천연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1180258B1 (ko) 병이소초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76656B1 (ko) 락토바실러스 속 복합균주를 활용한 청보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5192501B (zh) 包含稻、芦苇、玉米须、欧锦葵及芦荟提取物的皮肤保护用化妆品组合物
CN109966191B (zh) 一种金露梅花提取物及其新应用
KR20140081138A (ko) 우장지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우장지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87077B1 (ko) 피부 생리활성을 가지는 백년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02193B1 (ko) 아위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균사체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08013B1 (ko) 참바늘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03757B1 (ko) 생약재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75485B1 (ko) 계혈등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6272A (ko) 아이스플랜트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08756B1 (ko) 귤껍질 및 칼메그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966372A (zh) 一种地骨皮提取物及其新应用
KR2019002111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피지 분비 억제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20140081137A (ko) 곰보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곰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00018139A (ko) 돌나물 추출물 및 리포익산-peg 콘쥬게이트를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315426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패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5682B1 (ko) 에퀴세툼 기간테움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81982A (ko) 만가닥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만가닥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