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716B1 -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716B1
KR101846716B1 KR1020160126246A KR20160126246A KR101846716B1 KR 101846716 B1 KR101846716 B1 KR 101846716B1 KR 1020160126246 A KR1020160126246 A KR 1020160126246A KR 20160126246 A KR20160126246 A KR 20160126246A KR 101846716 B1 KR101846716 B1 KR 101846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propylene
resin composition
propylene rubber
ethylene
block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규
조진주
김은진
윤성택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6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08F25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 C08F25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on to ethene-prop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21Rubbery or elastomeric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충격강도와 투명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과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a)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85~95중량% 및 (b) 40~70중량%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R; Ethylene propylene rubber) 5~15중량%가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된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과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ETHYLENE PROPYLENE IMPACT COPOLYMERS}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충격성, 강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가볍고, 가격 대비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사출 성형품 또는 필름의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폴리프로필렌을 적용하는 제품의 용도가 단순한 외부 마감재 혹은 포장재에서 사용자의 사용환경에 따라 내구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폴리프로필렌를 이용하는 제품이 대형화되어 가면서, 제품의 중량 감소를 위해 제품이 박막화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박막화로 인하여 외부 충격에 쉽게 깨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높은 강성과 함께 더 높은 수준의 내충격성을 가진 폴리프로필렌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소재 개발에 있어서 내충격성과 강성은 반비례하는 경향이 있고, 또한 내충격성이 높은 조성물은 투명성과 반비례하여 속이 들여다 보이는 투명한 용기 재질로는 부적합하다.
이와 같이, 필름 포장재 혹은 식품 보관 용기 혹은 소형 사출 용기 등의 재질로 사용될 때 요구되는 충격강도와 투명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재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598715호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65~82중량%와 에틸렌 함량이 25~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18~35중량%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개시하고 있으나,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상의 조성 및 도메인 크기 제어에 따른 제품 특성(흐림도, 충격강도, 열접착강도, 외관특성) 변화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충격강도와 투명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과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85~95중량% 및 (b) 40~70중량%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R; Ethylene propylene rubber) 5~15중량%가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된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a)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에 대한 상기 (b)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고유점도비가 0.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b)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는 평균 직경이 100~5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촉매중화제, 안료, 분산제, 내후제, 대전방지제, UV 안정제, 슬립제, 안티블로킹제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성형품은 냉장 용기, 냉동 용기, 다용도 수납함, 자동차 내·외장재, 식품 포장 용기, 병마개, 포장용 필름, 보호필름, 데코시트, 레토르트 파우치, 의약 용기 및 압출중공 성형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에 최적 함량의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R; Ethylene propylene rubber)를 단계적으로 중합하고, 최적 고유 점도비 및 도메인 크기 제어를 통해 피쉬-아이(Fish-eye)가 적고, 내열성이 우수하면서도 투명성과 내충격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과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a)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85~95중량% 및 (b) 40~70중량%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R; Ethylene propylene rubber) 5~15중량%가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된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성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a)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본 발명에서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중합 반응장치에서 프로필렌이 단독으로 주입되어 중합된다. 상기 중합체의 중합방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전체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에서 5~95중량% 함량 포함된다. 상기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함량이 85중량% 미만일 경우 결정화도가 낮아져 내열성 및 열접착 특성이 저하되고, 95중량%를 초과할 경우 결정화도가 급격히 높아져 내충격성이 저하된다.
(b)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본 발명에서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는 에틸렌과 프로필렌이 동시에 주업되어 중합되며, 상기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중합한 후 이어지는 중합 반응장치에서 상기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존재 하에서 연속적으로 중합된다. 상기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중합방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가 상기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중합 후 반응기 내에서 연속적으로 중합되고, 상기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와 상기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구성 물질 일부가 프로필렌 사슬로 동일하여 두 상의 친화력에 의해 균일하게 분산이 되어, 투명성이 우수하고 열접착 특성의 저하를 최소화시키며, 내 충격강도를 향상시키고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뭉침으로 인한 피쉬아이 및 오렌지 필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충격강도, 열접착성, 투명성, 외관 등에 있어 물성 밸런스를 위해 상기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가 전체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에서 5~15중량% 함량 포함된다. 상기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함량이 5중량% 미만일 경우 충격강도가 저하되고, 15중량%를 초과할 경우 열접착성, 투명성 및 외관 특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는 전체 중량에 대한 에틸렌 함량이 40~70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50~60중량%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 내에서 에틸렌 함량이 40중량% 미만일 경우 중합되는 블록 공중합체에서 충격을 향상시키는 무정형 부분이 감소해 내충격 특성이 감소하고, 70중량%를 초과할 경우 결정성 폴리에틸렌 성분이 많이 중합되어 연속상과의 상용성이 감소하여 내충격 시 계면 박리로 인해 투명성 혹은 내백화 특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에서 용제추출물의 고유점도(자일렌 용제)는 0.5~2.5dl/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유점도가 0.5dl/g 미만일 경우 고무 성분의 크기가 작아지고 고무 성분의 분자량이 작아 충격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고유점도가 2.5dl/g을 초과할 경우 고무 성분의 크기가 커지고 뭉침이 발생하여 분산성 저하로 투명성이 저하되고 피쉬아이(Fish Eye)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뭉침 현상으로 인해 피쉬아이 부분에서의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여기서, 고무의 분산은 상기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와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점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고유점도에 대한 상기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고유점도의 비(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고유점도/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고유점도)가 0.5~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유점도비가 0.5 미만일 경우 중합된 상기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분자량이 연속상인 상기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보다 상대적으로 낮아 충격 흡수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1을 초과할 경우 성형 후 상기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분산상 크기가 증가해 외관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가 상기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에 평균 직경 100~500nm의 입자 크기로 미세하게 분산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입자 크기가 100nm 미만일 경우 블록 공중합체의 충격 흡수와 분산이 어려울 수 있고, 입자 크기가 500nm를 초과할 경우 빛의 난반사 발생이 심해 고투명성의 발현이 저하될 수 있다.
이상의 (a)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b)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로 조성된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은 용융지수(ASTM D1238, 230℃/2.16kg, Melt Index, MI)가 1~50g/10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0g/10분일 수 있다. 상기 용융지수가 1g/10분 미만일 경우 압출 가공 공정에서 수지 흐름 특성이 저하되고 상기 언급한 고유점도비를 최적의 조건인 0.5~1로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50g/10분을 초과할 경우 분자량이 낮아져 최종 제품의 내충격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계에서 공지된 첨가제 또는 용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산화방지제, 촉매중화제, 안료, 분산제, 내후제, 대전방지제, UV 안정제, 슬립제, 안티블로킹제, 탈크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적절하게 그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전술한 각 성분들과 기타 첨가제를 필요한 양 만큼 니더(kneader), 롤(roll), 밴배리 믹서(Banbury mixer) 등의 혼련기 또는 1축/2축 압출기 등에 투입한 후 상기 기기들을 사용하여 투입된 원료들을 혼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을 제공하며, 상기 성형품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압출, 중공 성형, 필름 성형, 사출 및 진공 성형 등 임의의 방법으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성형품은 예컨대, 냉장 용기, 냉동 용기, 다용도 수납함, 자동차 내·외장재, 식품 포장 용기, 병마개, 포장용 필름, 보호필름, 데코시트, 레토르트 파우치, 의약 용기, 압출중공 성형품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반응장치에 프로필렌을 주입하여 벌크 중합반응을 시켜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이어지는 일련의 반응장치에서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존재 하에서 기상반응을 시키되, 도메인 크기가 평균 직경 100~200nm가 되도록 하고,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내의 에틸렌 함량이 60중량%가 되도록 제조한 후,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함량비율이 각각 93중량% 및 7중량%이고, 고유점도비가 0.8이 되도록 각 단계의 중합량을 조절하여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가 혼련된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내의 에틸렌 함량을 50중량%로 조절하고,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도메인 크기가 평균 직경 200~300nm가 되도록 하고,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함량비율이 각각 94중량% 및 6중량%이고, 고유점도비가 1이 되도록 각 단계의 중합량을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내의 에틸렌 함량을 45중량%로 조절하고,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함량비율이 각각 90중량% 및 10중량%이고, 고유점도비가 0.7이 되도록 각 단계의 중합량을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내의 에틸렌 함량을 50중량%로 조절하고,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함량비율이 각각 97중량% 및 3중량%이고, 고유점도비가 0.9가 되도록 각 단계의 중합량을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내의 에틸렌 함량을 45중량%로 조절하고,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함량비율이 각각 83중량% 및 17중량%이고, 고유점도비가 0.8이 되도록 각 단계의 중합량을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내의 에틸렌 함량을 75중량%로 조절하고,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도메인 크기가 평균 직경 700~800nm가 되도록 하고,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함량비율이 각각 90중량% 및 10중량%이고, 고유점도비가 0.9가 되도록 각 단계의 중합량을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도메인 크기가 평균 직경 200~300nm가 되도록 하고, 고유점도비가 1.5가 되도록 각 단계의 중합량을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 페놀계 산화방지제, 포스페이트계 산화방지제 및 촉매중화제로 칼슘 스테아레이트를 첨가하여 220℃에서 2축 압출기를 통하여 용융 혼합하여 펠렛(pellet)화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후, 제조된 조성물의 시험 시편을 제조하여 하기 방법으로 분석 및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수지 조성물 분석 방법]
(1) 에틸렌 함량: 적외선흡수스펙트럼(FT-IR)을 사용하여 720, 740cm-1 특성 피크를 이용하여 에틸렌 함량을 측정하였다.
(2) 융점(Tm): 차동 주사 열량계(상표명 DSC, 퍼킨-엘머 캄파니(Perkin-Elmer Co.))를 사용하여 질소가스 대기 하에 220℃에서 5분 동안 시험편 10mg을 예비 용융시킨 후, 온도를 5℃/min의 감온 속도로 40℃로 강하시킨다. 그 후, 온도를 5℃/min의 승온 속도로 상승시키고, 수득된 용융 흡열 곡선의 최대 피크의 피크 온도를 융점(Tm)으로서 정의하였다. 또한, 5℃/min의 승온 속도에서 상기한 측정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측정된 인듐(In)의 융점은 156.6℃이다.
(3) 고유점도비: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b)의 용제추출물은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4g에 대해 자일렌 용제 200mL 내에 150℃에서 가용된 성분을 나타내고,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공중합체(a)는 자일렌 용제에 가용되지 않은 성분을 나타낸다. 각 성분의 고유점도는 상기 자일렌 용제를 이용해 얻은 용제추출물에 대해 135℃, 데칼린 용액하에서 점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고유점도비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되었다.
[수학식 1]
고유점도비 =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b)의 고유점도 ÷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공중합체(a)의 고유점도
(4) 도메인 크기(EPR Domain Size):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시편의 단면을 저온에서 절단하고 자일렌 용제에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를 선택적으로 에칭시킨 후 가용되지 않은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공중합체의 단면을 확인하였다.
[물성 평가 방법]
(1) 용융지수: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kg하중 하에서 측정하였다.
(2) 흐림도: ASTM D1003에 의거하여 60㎛ 필름의 흐림도를 측정하였다.
(3) 굴곡탄성률: ASTM D790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4) Izod 및 Dupont 충격강도: ASTM D256 방법에 의거하여 상온(23℃) 및 저온(-10℃)에서 측정하였다.
(5) 열변형온도: ASTM D648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6) 폴링 다트 충격강도: 60㎛ 필름을 ASTM D4226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7) 열접착강도: 폴리프로필렌 필름(60㎛), 알루미늄박(9㎛), Nylon(15㎛), PET(12㎛)를 합지한 후, 2kgf/㎠의 압력하에서 1초간 접착시켜 파우치를 성형한다. 성형한 필름을 폭 25mm로 재단하여 23℃에서 200mm/min의 박리속도로 180°의 박리각에서의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8) 피쉬아이(F/E): 성형된 필름에 빛을 투과시켜, 투과되지 않는 F/E들을 검지(detecting)하였고, 총 검사면적 1㎡에 대해 기준면적(600㎠) 당의 F/E를 계수(counting)하여 수치화하였다.
Figure 112016095078347-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에 최적 함량의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R; Ethylene propylene rubber)를 단계적으로 중합하고, 최적 고유점도비 및 도메인 크기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피쉬아이가 적고, 내열성이 우수하면서도 투명성과 내충격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제조가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함량이 최적 범위에 미치지 못할 경우(비교예 1)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그 함량이 과도할 경우(비교예 2)에는 투명성 및 열접착 특성이 저하되고 피쉬아이가 크게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도메인 크기가 최적 범위로 제어되지 않을 경우(비교예 3) 역시 투명성, 열접착 특성 및 외관 특성이 좋지 않고, 최적 고유점도비를 벗어날 경우(비교예 4) 투명성 및 열접착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a)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85~95중량% 및 (b) 40~70중량%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R; Ethylene propylene rubber) 5~15중량%가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된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a)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에 대한 상기 (b)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고유점도비가 0.5~1이며,
    상기 (b)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는 평균 직경이 100~5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촉매중화제, 안료, 분산제, 내후제, 대전방지제, UV 안정제, 슬립제, 안티블로킹제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4항의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냉장 용기, 냉동 용기, 다용도 수납함, 자동차 내·외장재, 식품 포장 용기, 병마개, 포장용 필름, 보호필름, 데코시트, 레토르트 파우치, 의약 용기 및 압출중공 성형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60126246A 2016-09-30 2016-09-30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KR101846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246A KR101846716B1 (ko) 2016-09-30 2016-09-30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246A KR101846716B1 (ko) 2016-09-30 2016-09-30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716B1 true KR101846716B1 (ko) 2018-05-18

Family

ID=62453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246A KR101846716B1 (ko) 2016-09-30 2016-09-30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7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217B1 (ko) * 2018-11-14 2020-04-03 한화토탈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00039283A (ko) * 2018-10-05 2020-04-16 한화토탈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20200362150A1 (en) * 2019-05-13 2020-11-19 Braskem S.A. Proplylene-based copolymer produc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9283A (ko) * 2018-10-05 2020-04-16 한화토탈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106220B1 (ko) 2018-10-05 2020-04-29 한화토탈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097217B1 (ko) * 2018-11-14 2020-04-03 한화토탈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20200362150A1 (en) * 2019-05-13 2020-11-19 Braskem S.A. Proplylene-based copolymer product
WO2020245666A1 (en) * 2019-05-13 2020-12-10 Braskem S.A. Propylene-based copolymer product
US11725100B2 (en) * 2019-05-13 2023-08-15 Braskem S.A. Proplylene-based copolymer product
US20230340246A1 (en) * 2019-05-13 2023-10-26 Braskem S.A. Proplylene-based copolymer produ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5276B2 (ja) 優れた耐衝撃性、曲げ弾性率および透明性を有する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と該組成物から製造された製品
WO2018153229A1 (zh) 一种耐低温冲击聚丙烯组合物
CN106795344B (zh) 聚丙烯树脂组合物及由其制造的薄膜
JP6262350B2 (ja) 耐白化性および耐衝撃性に優れた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CN105408440B (zh) 用于增加聚合物熔体强度的金属丙烯酸盐
KR101846716B1 (ko)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CA2973724A1 (en) Modified polypropylene and polymer blends thereof
KR101185710B1 (ko) 투명성 및 내충격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60039405A (ko)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성형품
WO2021059913A1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ヒートシール用フィルム
KR100842162B1 (ko)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이로부터 제조된 수지 성형품
KR101738723B1 (ko) 저온 열봉합 특성이 우수한 어텍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590937B1 (ko) 열접착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JP6948977B2 (ja) 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及び射出成形体
KR101342785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S6341945B2 (ko)
JP3952350B2 (ja) 表皮部材用樹脂組成物、その積層体、該組成物の押出し成形時における目ヤニ発生量の低減方法、および成形体の製造方法
KR20190064341A (ko)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혼합 수지 조성물
JP7306796B2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ポリエチレン系フィルム
CN104479217A (zh) 一种冰箱抽屉材料
JPH10237239A (ja) 熱成形用樹脂組成物及びシート
JP7404739B2 (ja) ヒートシール用フィルム
EP3676327B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TW201912709A (zh) 含有乙烯基聚合物及環烯烴互聚物之組合物,及由其形成的膜
KR20210066218A (ko) 충격강도 및 열접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