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810B1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배터리 절전모드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배터리 절전모드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810B1
KR101834810B1 KR1020110054721A KR20110054721A KR101834810B1 KR 101834810 B1 KR101834810 B1 KR 101834810B1 KR 1020110054721 A KR1020110054721 A KR 1020110054721A KR 20110054721 A KR20110054721 A KR 20110054721A KR 101834810 B1 KR101834810 B1 KR 101834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saving mode
delete delete
etiquett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5803A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4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810B1/ko
Priority to EP11008595.8A priority patent/EP2533579B1/en
Priority to US13/444,749 priority patent/US9338749B2/en
Publication of KR20120135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history or models of usage information, e.g. activity schedule or time of d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배터리 절전모드 전환 방법으로서, 에티켓 절전모드를 통해 배터리 개별항목 또는 그룹항목에 대하여 배터리 절전기능을 설정하고, 사용 배턴 또는 상기 설정된 항목을 기반으로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배터리 절전모드에서 전전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배터리의 전력소비를 줄 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배터리 절전모드 전환 방법{MOBILE TERMINAL AND BATTERY POWER SAVING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배터리 절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사용 배턴을 기반으로 배터리 절전모드를 전환하고, 개별 또는 그룹별로 배터리 절전항목을 설정할 수 잇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배터리 절전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이동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그 중에서 이동 단말기의 터치 기능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버튼/키 입력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편리하게 단말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최근에는 단순한 입력뿐만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함께 단말기의 중요한 기능으로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기능이 이동단말기에 더욱 다양한 형태로 적용됨에 따라 그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후면에 장착된 배터리를 통하여 동작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배터리의 잔량(전원 레벨)은 충전 후 실시간으로 화면에 일정 부분에 표시되며, 상기 효시된 배터리 잔량을 근거로 사용자는 일정 시간 및 장소에서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배터리에 관련된 엘리먼트 즉, 배터리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으며 배터리의 전원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엘리먼트는 3G 데이타, 각종 센서(Wi-Fi, BT, GPS, 가속도, 진동, 근접, 조도), 조명(LCD, LED) 및 실행 타스크등이 있다.
이와같이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하나의 배터리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전원(또는 잔량)에 대한 효과적인 사용이 필요하다. 즉,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전력소비가 큰 엘리먼트를 제어하거나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 레벨이하일 경우에는 특정 엘리먼트만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등 베터리 절전모드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배턴을 기반으로 배터리 절전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배터리 절전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 절전모드에서 간략화면 화면표시를 제공함으로써 배터리의 전력소비를 줄 일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배터리 절전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절전모드 전환 방법은, 배터리 레벨 및 단말기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배터리 레벨 및 단말기 사용 패턴에 따라 자동으로 에티켓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전환된 에티켓 절전모드에서 전력소비를 위하여 화면표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패턴은 배터리 사용량, 시간대별 통화기록, 시간, 장소, 일정 및 모드설정을 포함하며, 배터리 절전 항목은 사용패턴에 따라 디폴트값으로 자동 설정된다.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는 사용자 터치/키 입력, 설정시간 종료, 단말기의 움직임 감지, 잠금화면 해제, 알람 또는 모닝콜 발생 및 충전개시시 자동으로 해제된다.
상기 배터리 절전모드 전환 방법은 에티켓 절전모드로의 전환을 통지하는 단계; 에티켓 절전모드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콘 터치시 에티켓 절전모드의 설정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의 설정화면에서 배터리 개별 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또는 배터리 그룹 항목을 설정한다.
상기 배터리 개별 항목은 기지국 무선 데이타, 각종 센서, 디스플레이 및 실행 타스크 설정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그룹 항목은 배터리의 전력소비량에 따라 상기 배터리 개별 항목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된 설정항목을 포함한다.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에서 이메일이 수신되면 첨부없이 본문만 수신하고,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가 해제되면 첨부를 수신한다.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가 되면 가독이 가능한 정도로 화면밝기를 조정하고, 표시될 컨텐츠의 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화면표시를 제어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절전모드 전환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에티켓 절전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된 에티켓 절전모드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여 에티켓 절전모드를 위한 시간정보 및 배터리 절전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정보에 따라 에티켓 절전모드로 진입하여 이벤트 처리 및 화면표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는 인디케이터 바가 터치 & 드래그될 때 활성화되며, 상기 배터리 절전 항목은 개별 또는 그룹별로 설정된다.
상기 개별 배터리 절전항목은 기지국 무선 데이타, 각종 센서, 디스플레이 및 실행중인 타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 배터리 절전 항목은 배터리의 전력소비량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배터리 절전항목이 그룹으로 분류된다.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는 사용자 터치/키 입력, 설정시간 종료, 단말기의 움직임 감지, 잠금화면 해제, 알람 또는 모닝콜 발생 및 충전개시시 해제된다.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에서 이메일이 수신되면 첨부없이 본문만 수신하고,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가 해제되면 첨부를 수신한다.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가 되면 가독이 가능한 정도로 화면밝기를 조정하고, 표시될 컨텐츠의 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화면표시를 제어한다. 즉, 상기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에는 화면표시는 오프하고 사운드만 출력하거나 화면의 특정 부분만 표시하고 나머지 부분은 오프한 상태에서 사운드만 출력한다. 반면에, 상기 컨텐츠가 사진 또는 정지영상인 경우에는 본래 화면을 단순하게 재구성하여 표시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단말기의 동작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표시부에 에티켓 절전모드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아이콘 선택시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를 위한 시간 및 배터리 절전의 설정항목을 표시하여, 설정된 시간정보 및 배터리 절전 항목에 따라 이벤트 처리 및 화면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의 아이콘은 인디케이터 바가 터치 & 드래그될 때 표시되고, 상기 배터리 절전 항목은 개별 또는 그룹별로 설정된다.
상기 개별 배터리 절전항목은 기지국 무선 데이타, 각종 센서, 디스플레이 및 실행중인 타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 배터리 절전 항목은 배터리의 전력소비량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배터리 절전항목이 그룹으로 분류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는 터치 입력이 롱터치이면 배터리 절전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숏 터치이면 에티켓 절전모드의 기설정 여부에 따라 절전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거나 에티켓 절전모드를 해제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터치/키 입력, 설정시간 종료, 단말기의 움직임 감지, 잠금화면 해제, 알람 또는 모닝콜 발생 및 충전개시시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를 해제한다.
상기 제어부는 에티켓 절전모드에서 호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기설정된 사용자 또는 그룹에 대하여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는 에티켓 절전모드에서 이메일이 수신되면 첨부없이 본문만 수신하고,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가 해제되면 첨부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는 에티켓 절전모드가 되면 가독이 가능한 정도로 화면밝기를 조정하고, 표시될 컨텐츠의 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화면표시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에는 화면표시는 오프하고 사운드만 출력하거나 화면의 특정 부분만 표시하고 나머지 부분은 오프한 상태에서 사운드만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컨텐츠가 사진 또는 정지영상인 경우에는 본래 화면을 단순하게 재구성하여 표시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배터리 절전모드 전환 방법은, 에티켓 절전모드를 통해 배터리 개별항목 또는 그룹항목에 대하여 배터리 절전기능을 설정하고, 사용 배턴을 기반으로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배터리 절전모드에서 간략화면 화면표시를 제공함으로써 배터리의 전력소비를 줄 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배터리 관련항목에 대한 절전모드의 설정항목을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휴대폰 설정 메뉴를 통해 에티켓 절전모드 및 그 상세 정전모드 항목을 설정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서 절전모드 전환과 절전모드 전환에 따른 표시(Indication)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에티켓 절전모드에서 상세 절전모드 항목을 설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인디케이터 바를 이용한 에티켓 절전모드를 설정하는 예.
도 8a 및 도 8b는 에티켓 절전모드 아이콘을 통한 에티켓 절전모드의 상세 설정 및 온/오프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9a 및 9b는 에티켓 절전모드 아이콘을 선택하여 에티켓 절전모드를 위한 상세 항목을 표시하는 순서도 및 그의 화면표시를 나타낸 예.
도 10은 일정 이벤트 발생시 에티켓 절전모드를 설정하는 예.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서 사용패턴에 따라 에티켓 절전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는 예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4) 및 햅틱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또는 디스플레이 소자)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이하, 감지객체라 한다)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감지객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감지객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체영상은 3차원 입체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을 나타내며, 3차원 입체 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은 모니터나 스크린 상에서 사물이 위치한 점진적 깊이(depth)와 실체(reality)를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 영상이다. 3차원 입체 영상은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양안시차란 약 65 밀리미터 떨어져 있는 두 눈의 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시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두 눈이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고 그 화상들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어 융합되면 입체 영상의 깊이 및 실제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가정용 텔레비전 수신기 등에 많이 이용되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는 휘스톤 스테레오스코프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의 예로서, 패럴렉스 배리어(parallex barrier) 방식,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집적영상(integral imaging) 방식 등이 있다. 프로젝션 방식에는 반사형 홀로그래픽 방식, 투과형 홀로그래픽 방식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를 합쳐서 하나의 3차원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입체 처리부(152a)에 의하여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이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시된다. 입체 처리부(152a)는 3D 영상을 입력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추출하거나, 2D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입체 터치스크린'이라 함)나,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3차원 센서가 서로 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는 3차원의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센서의 예로서,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 입체 터치센싱부(142), 초음파 센싱부(143), 카메라 센싱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터치를 가하는 감지객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와 검출면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단말기는 이러한 거리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의 어느 부분이 터치되었는지를 인식하게 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감지객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감지객체의 근접 정도를 검출하고, 이러한 근접 정도을 이용하여 3차원상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 스크린상에 가해지는 터치의 세기나 지속시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를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고, 가압력이 강하면 이를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여 터치 스크린과 보다 멀리 위치한 객체에 대한 터치로 인식한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객체의 위치정보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예를 들어 광 센서(121)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센서는 광을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광은 적외선이 될 수 있고, 광 센서는 적외선 포트(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가 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초음파 센서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를 통하여 복수의 초음파 센서는 동일하거나 인접한 지점으로부터 발생한 초음파를 감지하는 시간차를 가지게 된다.
초음파 및 광은 파동 발생원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파동 발생원은 감지객체,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 등에 구비된다.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르기 때문에,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은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르다. 따라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파동 발생원에서 발생한 초음파가 복수의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은 차이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이 이동하면, 상기 도달하는 시간의 차이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 경로에 따라 위치 정보가 산출가능하게 된다.
카메라 센싱부(144)는 카메라, 포토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객체의 터치를 감지한다.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2차원 영상에 레이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거리정보가 더해지면, 3차원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포토 센서가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객체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객체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객체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3)은 알람부(154)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이동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3차원 입체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과 입력창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출력창과 입력창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가 출력될 수 있다. 소프트키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에 표시된다. 조작 유닛이 조작되면 출력창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되거나 출력창에 표시된 텍스트가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스크린) 및 터치 패드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입체영상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메커니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200)는 바 형태의 휴대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201)에는 입체 디스플레이부(252), 감지부(240), 음향출력부(253), 카메라(221), 사용자 입력부(230/231,232), 마이크(222), 인터페이스(2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부(252)는 프론트 케이스(2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입체 디스플레이부(252)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253)와 카메라(2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231)와 마이크(2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232)와 인터페이스(270) 등은 프론트 케이스(201) 및 리어 케이스(2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휴대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231,2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231,2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231, 2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2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232)은 음향출력부(253)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입체 디스플레이부(252)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부(252)는 감지부(240)와 함께 입체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며, 입체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230)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감지부(240)는, 3차원 센서로서 터치를 가하는 감지객체의 3차원 위치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감지부(240)는 카메라(221)와 레이저 센서(2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 센서(244)는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며, 레이저를 주사하고, 반사되는 레이저를 검출하며, 이를 통하여 단말기 바디와 감지객체의 이격 거리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접 센서, 입체 터치센싱부, 초음파 센싱부 등의 형태도 가능하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202)에는 카메라(2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카메라(2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2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2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2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221,2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2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23)와 거울(2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223)는 카메라(2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224)은 사용자가 카메라(2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후면의 음향 출력부는 전면의 음향 출력부(253,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2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가 장착될 뿐만 아니라,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 블루투스(Bluetooth) 안테나, 위성신호 수신 안테나, 무선 인터넷의 데이터 수신 안테나 등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바디에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을 구현하는 메커니즘이 내장된다.
이하에서는,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2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3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사용패턴(Life pattern)을 기반으로 에티켓 절전모드를 전환하여(온/오프), 배터리 소비에 관련된 엘리먼트, 예를들어 3G 데이타, 각종 센서(Wi-Fi, BT, GPS, 가속도, 진동, 근접, 조도), 조명(LCD, LED) 및 실행 타스크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1. 에티켓 절전모드
본 발명에서 '에티켓 모드(이하 절전모드로 약칭함)는 배터리에 관련된 엘리먼트(또는 항목)를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별로 제어하기 위한 모드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는 배터리의 잔량이 일정 레벨이하일 때 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충전 후 다시 충전되기 전까지(또는 완전방전시까지) 단말기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 패턴, 시간 및 장소를 고려한 종합적인 배터리 제어모드이다.
2. 에티켓 절전모드 진입
에티켓 절전모드의 진입은 자동 방식과 수동 방식으로 구분된다.
자동 방식은 제어부(180)가 사용자의 사용(생활) 패턴(life pattern)을 기반으로 에티켓 절전모드의 진입(온 도는 활성화)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상기 사용 패턴은 배터리 사용량, 호/메시지의 송수신분포(시간대별 통화 기록 분석자료), 시간설정, 장소, 일정 및 각종 모드(취침모드, 진동모드) 설정을 포함한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체크하여 에티켓 모드가 오프상태이면 자동으로 온(on)하고, 온상태일 경우에는 에티켓 절전모드를 자동으로 오프(off)한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배터리의 잔량이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지면 자동으로 에티켓 절전모드를 온(on)할 수 있고, 호 또는 메시지의 송수신분포(시간대별 통화기록 분석자료)를 참조하거나 일정(schedule)(e.g.,회의)의 시간 또는 특정 모드(취침모드)등의 설정값(시간)에 근거하여 에티켓 절전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할 수 있다. 특히 배터리의 잔량이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에티켓 절전모드로의 진입을 통보할 수 있다.
일단 에티켓 절전모드가 온되면 화면에 후술할 에티켓 절전모드의 아이콘이 표시되고, 절전항목은 사용패턴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되거나(디폴트 값)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여(터치하여) 추가로 에티켓 절전모드를 위한 상세 배터리 항목(개별 항목 또는 그룹 항목)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에티켓 절전모드는 아래의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오프된다.
- 사용자의 키/터치 입력 감지시
- 폰의 움직임 감지 또는 특정 위치(e.g.,집) 감지시
- 알람/모닝콜 발생시
- 화면잠금 모드 해제시
- 충전(유무선 충전 포함)개시시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에 진입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의 상태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배타리 관련항목의 동작을 온/오프한다.
상기 수동 방식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수행되며 배터리에 관련 엘리먼트(또는 항목)에 대하여 개별 또는 그룹별로 절전여부가 설정된다. 상기 개별항목은 3G 데이타(기지국 무선 데이타), 각종 센서(Wi-Fi, BT, GPS, 가속도, 진동, 근접, 조도), 디스플레이(LCD, LED) 및 실행 타스크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그룹 항목은 배터리의 전력소비 순서에 따라 소정 그룹으로 구분하여 설정된다.
도 3에는 배터리 관련항목에 대한 절전모드의 설정항목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바와같이, 최초 절전모드가 온되면 배터리 관련 항목에 대한 절전값은 'Preset-medium'으로 설정되고, 이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된 값으로 유지된다. 이때, Wi-Fi를 오프하면 배터리를 절역하는 대신 망의 통신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디폴트 적용시는 'unchecked'로 설정한다.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는 휴대폰 설정 메뉴에 포함된 '에티켓 절전모드'를 선택하여 설정하거나 화면의 인디케이터 영역에 위치한 에티켓 절전모드 아이콘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휴대폰 설정 메뉴를 통해 에티켓 절전모드 및 그 상세 정전모드 항목을 설정하는 일 예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는 휴대폰 설정메뉴에서 '에티켓 절전모드'를 설정한다. 일단 에티켓 절전모드가 설정되면 배터리 사용자는 절전여부(On)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해당 화면에서 절전 상세 항목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절전 'On'은 터치시 Off로 바뀌거나, 터치시마다 On-Off-Auto가 순환적으로 표시되어, 온도드, 오프모드 및 Auto가 설정되었음을 나타낸다.
일 예로 '미지정'부분을 터치하여 배터리 개별항목(도 4a) 또는 배터리 그룹항목에 대하여 에티켓 절전모드를 설정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에티켓 절전이 설정된 상세 항목에 대하여 추가로 에티켓 절전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및 반복기등을 설정한다.
상기 배터리 개별항목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같이, 3G 데이타(기지국 무선 데이타), 무선랜(Wi-Fi), 블루투스(BT), 지피에스(GPS), 각종 센서(가속도, 진동, 근접, 조도), 디스플레이(LCD, LED) 및 실행중 타스크(task)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그룹항목은 배터리의 전력소비량에 따라 상기 배터리 개별 항목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것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5개의 그룹(L1~L5) 즉, 사운드/배터리 %표시(L1), 실행중 타스크/서비스(L2), 센서/디스플레이(L3), 3G 데이타(L4) 및 비행기 모드(L5)그룹으로 구성된다. 상기 그룹 항목은 5개로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이때 상기 5개그룹의 배터리 그룹항목이 설정되면 적용되는 상세 동작은 아래와 같다.
(1) L5 : 비행기 모드
- 회선서비스(Circuit Service : CS)(call, message)차단
(2) L4 : Always on(e.g., Push data : GPS, 기지국 무선 데이타 : 3G 데이타)
- 인디케이션 바의 3G데이타 아이콘이 on→off
- LTE(Long Term Evolution)→WCDMA로 전환(LTE는 CS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
(3) L3 : 센서, 디스플레이
- 센서 off : Wi-Fi, BT, GPS, 가속도 센서, 진동센서(햅틱), 근접센서 및 조도센서
- 디스플레이 (LCD.LED) : '밝기 10%', '30초 후 꺼짐'
(4) L2 :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서비스 항목
- 백그라운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모두 종료
- 백그라운드 실행중인 서비스중에서 종료 가능한 서비스 모두 종료
(5) L1 : 사운드, 배터리 %표시
- 배터리 %표시 : 주기적인 배터리 체크 해제
- 사운드 무음 처리
- 디버깅 모드 해제
- 화면회전잠금 처리
- 3D디스플레이시 2D로 전환
- CS통신 간격 : 호/메시지의 기기국과의 통신 간격을 늦춘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배터리 개별항목(도 4a) 또는 배터리 그룹항목에 대하여 배터리 절전여부를 설정하고, 설정이 완료되어 사용자가 확인버튼을 누르면 해당 설정값이 메모리(160)에 저장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서 절전모드 전환과 절전모드 전환에 따른 표시(Indication)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 절전모드를 On↔Off로 전환하여 설정하는 것 뿐만 아니라 터치에 따라 On, Off 및 Auto모드가 순환적으로 변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최초 에티켓 절전모드가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80)는 절전모드를 'Auto'모드로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해당 'Auto"가 터치되면 제어부(180)는 'On"모드로 변환(전환)하고, 상기 On모드가 터치되면 'Off'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Off모드 터치시 Auto모드로 복귀한다. 이러한 모드 전환은 도 4a 및 도 4b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절전모드의 설정상태를 소정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부(180)는 도 5a에 도시된 모드전환에 따라 인디케이터 영역에서 배터리 아이콘을 변경하여 표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에티켓 절전모드에서 상세 절전모드 항목을 설정하는 다른 실시예이다.
사용자가 에티켓 절전모드 상태를 'On' 또는 'Auto'로 설정한 경우 제어부(180)는 절전 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한다. 상기 메뉴에서 사용자는 절전 레벨을 'Light, Medium, Strong 및 Custom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절전 레벨이 설정레벨이 설정되면 사용자는 상기 메뉴의 하단부에 구비된 '상세 설정'항목을 선택하여 상기 설정된 절전 레벨에서 배터리 항목에 대한 상세 설정을 수행한다.
상기 '상세 설정'항목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복수의 배터리 관련 항목이 포함된 배터리 절전모드 설정 메뉴를 표시한다. 상기 메뉴에서 사용자는 'Wi-Fi, Bluetooth, GPS, 3G 데이타, 실행중인 타스크의 사용여부 및 각종 기능 (Brightness, screen time out, Auto-rotate screen, animation, Gesture, silent, vibrate)의 사용 여부를 설정한다.
상기 배터리 관련 항목에 대한 상세 설정이 수행되면 사용자는 Auto모드 전환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Auto모드는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 % 일때 자동으로 에티켓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모드이다.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상기 절전 모드 설정메뉴에서 '자동 절전 모드 설정' 항목을 선택하면 Auto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배터리 레벨 메뉴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상기 배터리 레벨 메뉴에서 예를들면 10%~40%중의 하나를 Auto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배터리 레벨로 설정한다.
도 6b는 순서만 다를 뿐 실질적으로 도 6a와 동일하다.
도 6b에서는 사용자가 에티켓 절전모드 상태를 'On' 또는 'Auto'로 설정하면, 제어부(180)는 절전 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절전 모드 설정 메뉴'를 먼저 표시한다. 상기 메뉴에서 사용자가 메뉴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절전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한다. 상기 절전 레벨 메뉴는 사용자가 에티켓 절전모드 상태를 'On' 또는 'Auto'로 설정할 때 가장 먼저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절전 레벨 메뉴에서 사용자는 상기 배터리 관련항목에 대한 절전 레벨(Light, Medium, Strong 및 Custom)을 설정하고, 상기 배터리 관련항목에 대하여 특정 절전레벨이 설정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절전 레벨에 맞도록 자동으로 관련 항목을 설정한다.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가 배터리 관련항목에 대하여 일일이 절전항목을 설정하지 않고 단지 절전 레벨만 선택하면 제어부(180)가 자동으로 상세 항목을 설정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선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인디케이터 바를 이용한 에티켓 절전모드를 설정하는 예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대기화면의 상부에 표시된 인디케이터 바를 터치 한 후 아래 방향으로 소정 거리 드래그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바로 아래의 인디케이션 바에 '절전모드 아이콘(50)'을 표시한다. 상기 절전모드 아이콘(50)은 항상 표시되거나 또는 배터리 잔량이 일정 레벨이하일 경우에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인디케이터 바가 터치 & 드래그될 때마다 항상 절전모드 아이콘(50)가 표시되도록 설정된 상태라고 하더라도 배터리 잔량이 일정 레벨이상인 경우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 아이콘(50)은 오프상태(비활성화)로 표시된다. 반면에 에티켓 절전모드 아이콘(50)이 배터리 잔량이 일정 레벨이하일 경우에만 표시되도록 설정된 경우는 인디케이터 바가 터치 & 드래그되면 배터리 잔량을 체크하여 에티켓 절전모드 아이콘(50)의 표시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표시된 절전모드 아이콘(50)을 선택하여(터치하여) 도 4a 및 도 4b(또는 도 6a, 6B)와 같이 상세 절전항목을 설정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b는 절전모드 아이콘을 선택하여 에티켓 절전모드의 상세 항목설정 및 온/오프동작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인디케이션 바에 표시된 절전모드 아이콘(50)을 선택하면(롱 터치), 제어부(180)는 에티켓 절전모드의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설정화면에서 사용자는 도 4a 및 도 4b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미지정'부분을 '지정'으로 설정하여 상세 설정항목, 즉 배터리 개별항목(도 4a) 또는 배터리 그룹항목에 대하여 배터리 절전여부를 설정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배터리 절전이 설정된 상세 항목에 대하여 추가로 배터리 절전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및 반복주기등을 설정한다.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는 절전모드 아이콘(50)을 터치하여(숏터치) 온상태(활성화 상태)의 에티켓 절전모드를 오프상태(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에티켓 절전모드 아이콘(50)이 표시된 상태(on상태)에서 해당 에티켓 절전모드 아이콘(50)가 롱터치되면 에티켓 절전모드를 위한 상세항목을 표시하고, 숏 터치되면 에티켓 절전모드 아이콘(50)을 비활성상태(off상태)로 표시한다.
도 9a는 에티켓 절전모드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에티켓 절전모드를 위한 상세 항목을 표시하는 순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순서도에 따른 화면표시를 나타낸 예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전모드 아이콘(5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해당 아이콘(50)을 터치하여 에티켓 절전모드를 위한 상세 항목을 설정하거나 에티켓 절전모드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S10).
상기 절전모드 아이콘(50)이 터치되면 제어부(180)는 해당 터치가 롱 터치인지 확인한다(S11,S12). 확인결과 해당 터치가 롱터치이면 전술한 바와같이, 에티켓 절전모드를 위한 상세항목을 표시하고, 상기 상세항목에서 설정한 사용자의 설정을 메모리(160)에 저장한다(S13, S14).
반면에 해당 터치가 롱터치가 이니면(e.g., 숏터치)이면, 제어부(180)는 현재의 에티켓 절전모드설정이 최초 설정인지 체크한다(S15). 체크결과 최초 설정이면 단계(S13)로 이동하여 에티켓 절전모드를 위한 상세항목을 표시하고, 최초의 설정이 이니면 즉, 현재 에티켓 절전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on), 현재 활성화된 에티켓 절전모드 아이콘을 비활성화시킨다(off).
그리고,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시간으로 설정뿐만 아니라 예약 설정 및 해제가 가능하다. 즉, 소정 예약시간후에 에티켓 절전모드가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특정 조건(설정시간, 알람/모닝콜 발생, 폰 움직임 및 충전동작)이 만족하면 자동으로 해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일정(스케쥴) 이벤트가 발생되면 일정에 등록된 시간대(e.g., 오후 2시~4시)에 에티켓 절전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일정 이벤트 발생시 에티켓 절전모드를 설정하는 예이다.
특정 일정(schedule)이 발생되면 사용자는 일정 메뉴에서 추가항목을 선택하여 개별항목 또는 그룹항목을 선택하여 에티켓 절전 메뉴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에티켓 절전 메뉴는 일정에 등록된 시간이되면 자동으로 온/오프된다. 특히 시작시간만 설정된 경우에는 종료 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하여(시작시간 +1시간) 에티켓 절전모드가 자동으로 온/오프된다.
3. 에티켓 절전모드 설정 표시 및 저장
상기 설정된 절전모드의 아이콘(50)은 화면의 표시바(indication bar)상에 표시된다. 특히 상기 아이콘(50)은 배터리의 잔량이 일정 레벨이하일 때만 활성화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일정 레벨이하가 되면 제어부(180)는 팝업을 통해 에티켓 절전모드의 진입을 유도하거나 자동으로 에티켓 절전모드로 진입한다.
상기 표시된 에티켓 절전모드의 아이콘은 터치에 의해 활성화/비활성화되며(8b), 충전에 의해 배터리 레벨이 높아지면 자동으로 사라진다.
상기 설정된 에티켓 절전모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사용자 설정에 관련된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동작되거나, 일정 시간이 되거나 또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될 때 동작된다.
4. 에티켓 절전모드 진입
설정된 에티켓 절전모드는 일정 조건 즉, 특정 배터리의 잔량(특정 %), 특정 시간, 특정 장소 및 특정 상황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진입된다. 상기 특정 시간은 에티켓 절전모드에서 기설정된 시간이며, 상기 배터리 잔량은 절전모드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절전 레벨(Light, Medium, Strong 및 Custom) 및 자동모드 전환 설정을 포함하며, 상기 장소 및 상황은 제어부(180)가 사용자의 위치 및 사용자의 사용패턴(e.g., 호/메시지의 송수신 분포 및 취침모드 설정)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의 해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사용자가 설정한 해제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즉, 배터리 충전이 개시되거나 기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거나 또는 특정 장소 및 특정 상황이 지나가면 자동으로 오프된다. 이때,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해제조건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아래와 같다.
-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설정시
- 사용자의 키/터치 입력 감지시
- 폰의 움직임 감지 또는 특정 위치(e.g.,집) 감지시
- 알람/모닝콜 발생시
- 화면잠금 모드 해제시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서 사용패턴에 따라 에티켓 절전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는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부(180)는 단말기가 동작중일 때 배터리의 잔량을 주기적으로 체크한다(S20). 체크결과 상기 배터리의 잔량(배터리 레벨)에 대응되는 절전모드 설정에 근거하여 또는 일정 레벨(소정 기준값)이하가 되면, 에티켓 절전모드를 자동으로 온(활성화)하고 화면에 에티켓 절전모드에 진입하였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한다(S21, S22). 이때, 제어부(180)는 에티켓 절전모드에 진입하기 전에 팝업을 통하여 에티켓 절전모드에 진입함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에티켓 절전모드에 진입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각 베터리 레벨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절전 항목 및 시간설정에 따라 특정 배터리 관련항목들을 오프시켜 절전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사용자가 충전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180)는 배터리 충전을 감지하고 상기 어티켓 절전모드를 자동으로 오프시킨다.
도 11b는 일정(schedule)에 에티켓 절전모드가 설정된 경우의 예이다.
일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80)는 해당 일정에 에티켓 절전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S30, S31), 그 일정에 설정된 시작시간에 따라 에티켓 절전모드를 온하고 해당 아이콘을 표시한 후 종료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오프된다.
5. 에티켓 절전모드에서의 화면표시
이하 에티켓 절전모드가 온상태일 때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에티켓 절전모드의 상태를 체크하여, 에티켓 절전모드가 온상태일 경우에는 기 설정된 전화번호부(폰북)의 사용자 또는 그룹에 대하여 자동응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부재중일 경우에는 해당 호 또는 메시지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동응답은 단말기 또는 서버단에서 처리가 가능하다.
에티켓 절전모드가 온상태일 때 알람 또는 모닝콜이 발생되면 제어부(180)는 현재 온상태인 에티켓 절전모드를 자동으로 오프시킨다.
이메일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에티켓 절전모드의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가 온상태일 경우에는 사용자에 따라 본문과 첨부를 함께 수신하거나 첨부없이 본문만 수신한 후 에티켓 절전모드가 오프되면 첨부만 다시 수신한다.
즉, 에티켓 절전모드가 온상태에서 이메일이 수신되면 해당 이메일을 전송한 사용자가 전화번호에 저장된 사용자이거나 또는 특정 그룹에 속하면 본문과 첨부를 함께 수신하고, 그이외의 경우에는 본문만 수신한 후 에티켓 절전모드가 오프되면 첨부만 다시 수신한다.
또한, 에티켓 절전모드가 온상태일 때 특정 컨텐츠(사진, 동영상, MP3, TV등)가 재생(play)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가독이 가능한 정도로 화면밝기를 조정한 후 각 컨텐츠의 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화면표시를 제어한다.
일 예로 사진의 경우에는 제목(title) 정보만 우선 표시하고 사용자 터치시 이미지를 표시한다(상세 정보중에서 일부 또는 전체만 표시가능).
그리고 동영상이 재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표시화면을 오프상태로 유지하고 사운드만 출력하거나, I-프레임정보를 스캔하여 표시하고 사진의 슬라이드쇼처럼 표시할 수도 있다.
MP3가 재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이퀄라이저는 자동으로 해제하고 표시화면은 오프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사운드만 출력한다.
또한, 에티켓 절전모드가 온상태일 때 사용자가 TV를 시청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화면의 특정 부분만 표시하고 나머지 부분은 오프하거나, 표시화면은 오프하고 사운드만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에티켓 절전모드가 온상태일 때 3차원(3D)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해당 3D영상을 2차원(2D)영상으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특히 제어부(180)는 에티켓 절전모드가 온상태인 경우 본래의 표시화면(제1UI)(사진, 브라우저 화면, 정지영상이 텍스트정보와 함께 표시됨)대신에 상기 본래의 표시화면을 일부를 재구성하여 단순하게 나타낸 별도의 표시화면(제2UI)를 표시하고, 오프상태인 경우에는 본래의 표시화면(제1UI)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에티켓 절전모드가 온상태에서 사용자가 주소록 상세보기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주소록의 사진없이 텍스트 정보만을 단순하게 재구성한 제2UI를 표시하고, 에티켓 절전모드가 오프되면 주소록의 사진을 포함하는 기존의 화면(제1UI)를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에티켓 절전모드를 통해 배터리 개별항목 또는 그룹항목에 대하여 배터리 절전기능을 설정하고, 사용 배턴을 기반으로 상기 에티켓 절전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배터리 절전모드에서 간략화면 화면표시를 제공함으로써 배터리의 전력소비를 줄 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에티켓 절전모드는 저 전력소비로 동작되는 모드를 나타내는 용어로서, 의미가 같다면 다른 용어, 예를들면 '배터리 절전모드' 또는 '그린 절전모드'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그리고 상술한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무선통신부 111 : 방송수신모듈
112 : 이동통신모듈 113 ; 무선인터넷모듈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80 : 제어부

Claims (3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절전 모드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절전 모드에 관련된 설정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배터리 레벨과 이동 단말기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배터리 레벨과 사용 패턴에 따라 절전 모드를 활성화하고, 특정 시간의 경과, 화면 잠금 해제, 알람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절전 모드를 비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a) 상기 배터리 레벨이 제1레벨 이상이면 호/메시지의 송수신 분포에 근거하여 절전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배터리 레벨이 제1레벨이하로 떨어지면 자동으로 절전모드를 활성화시키며,
    (b) 상기 절전모드가 활성화되면 텍스트와 첨부가 포함된 이메일의 텍스트만 수신하고, 상기 절전모드가 비활성화되면 첨부를 다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표시부에 표시된 인디케이터 바에 터치 & 드래그가 입력될 때 상기 표시부에 절전모드의 아이콘을 표시하며,
    상기 사용 패턴은
    적어도 배터리 사용 패턴, 호 또는 메시지의 송수신 분포, 이동 단말기의 위치, 특정 모드 설정시간 또는 일정을 포함하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a) 상기 절전모드가 활성화되면 이동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를 비활성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며,
    (b) 특정 시간의 경과, 잠금 화면 해제 또는 알람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절전모드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는
    개별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개별 엘리먼트는 기지국 무선 데이타, 이동 단말기 센서 또는 표시 설정을 포함하고, 상기 엘리먼트 그룹은 적어도 2개의 상기 개별 엘리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입력이 절전모드의 아이콘에 임계시간보다 큰 시간 동안 인가되면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고,
    소정 입력이 절전모드의 아이콘에 임계시간보다 작은 시간 동안 인가되면 절전 모드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가 활성화되면 호 또는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기설정된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에 대하여 자동응답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가 활성화되면 가독이 가능한 정도로 화면밝기를 조정하고,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컨텐츠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에는 화면 표시는 오프하고 상기 동영상에 관련된 사운드만 출력하거나 또는 화면의 특정 부분만 표시하고 나머지 부분은 오프한 상태에서 사운드만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32. 제30항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사진 또는 정지영상인 경우에는 본래 화면을 단순하게 재구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3. 제30항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텍스트와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의 텍스트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10054721A 2011-06-07 2011-06-07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배터리 절전모드 전환 방법 KR101834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721A KR101834810B1 (ko) 2011-06-07 2011-06-07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배터리 절전모드 전환 방법
EP11008595.8A EP2533579B1 (en) 2011-06-07 2011-10-26 Mobile terminal and battery power saving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US13/444,749 US9338749B2 (en) 2011-06-07 2012-04-11 Mobile terminal and battery power saving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721A KR101834810B1 (ko) 2011-06-07 2011-06-07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배터리 절전모드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803A KR20120135803A (ko) 2012-12-17
KR101834810B1 true KR101834810B1 (ko) 2018-03-06

Family

ID=45540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721A KR101834810B1 (ko) 2011-06-07 2011-06-07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배터리 절전모드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38749B2 (ko)
EP (1) EP2533579B1 (ko)
KR (1) KR101834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170A1 (ko) * 2022-09-01 2024-03-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력 모드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91675A4 (en) * 2009-10-20 2014-05-0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A NETWORK SYSTEM
EP2341738B1 (en) * 2009-12-29 2017-03-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Wi-Fi module operating in a power saving mode and providing an AP func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said terminal
WO2011104583A1 (en) * 2010-02-25 2011-09-0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an operational characteristic of a device in order to adjust the power consumption level
EP3367252B1 (en) 2010-07-26 2019-10-16 Seven Networks, LLC Context aware traffic management for resource conservation in a wireless network
GB2497012B (en) 2010-07-26 2013-10-30 Seven Networks Inc Mobile network traffic coordination across multiple applications
JP5803450B2 (ja) * 2011-09-02 2015-11-04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携帯端末、情報生成プログラム、情報生成方法、および情報生成システム
US9237227B2 (en) * 2011-12-20 2016-01-12 Nokia Technologies Oy Communications devices,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s
US9445370B2 (en) * 2012-04-06 2016-09-13 Htc Corporation Wireless data network switch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439077B2 (en) * 2012-04-10 2016-09-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malicious activity detection in a mobile station
US20130339763A1 (en) * 2012-06-19 2013-12-19 Ideacom Technology Inc. Contrtol apparatus of an electronic system and the method therein
EP2939231A4 (en) * 2012-12-28 2016-08-03 Intel Corp ADJUSTING A DISPLAY AREA
KR101524673B1 (ko) * 2013-01-24 2015-06-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절전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절전모드 제공장치
US9439142B2 (en) * 2013-03-15 2016-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aving for low latency deterministic networks i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US9107166B2 (en) * 2013-03-22 2015-08-11 Blackberry Limited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radio states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device mobility information
US9516127B2 (en) * 2013-03-25 2016-12-06 Seven Networks, Llc Intelligent alarm manipulator and resource tracker
US9424790B2 (en) * 2013-04-18 2016-08-2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157270B1 (ko) * 2013-04-26 2020-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펜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5683860B (zh) * 2013-06-20 2019-02-15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计算设备功率状态
US20150042291A1 (en) * 2013-08-08 2015-02-12 Instavolt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with a Battery Charger
CN103491262A (zh) * 2013-09-24 2014-01-01 广州市久邦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智能省电模式切换***
US9407756B2 (en) * 2013-09-28 2016-08-02 Intel Corporation Notification acknowledgement in electronic devices
CN104636233B (zh) * 2013-11-13 2018-01-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耗电状态控制方法和***
KR101549559B1 (ko) * 2013-11-22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들에 부착되는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US9020483B1 (en) 2013-11-26 2015-04-28 At&T Mobility Ii Llc Setting voice and data priority using a registration message
US8972760B1 (en) * 2013-12-20 2015-03-03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ing a second launcher
JP6261337B2 (ja) * 2013-12-27 2018-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US9351254B2 (en) 2014-01-22 2016-05-24 Seven Networks, Llc Method for power saving in mobile devices by optimizing wakelocks
US9560185B2 (en) * 2014-03-19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ybrid telecommunications network connection indicator
JP6445287B2 (ja) * 2014-09-12 2018-12-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携帯機
CN104348982A (zh) * 2014-10-28 2015-02-11 上海闻泰电子科技有限公司 手机的节电方法
WO2016109742A1 (en) * 2014-12-31 2016-07-07 Bandwidth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mobile device radio management for user experience
KR102322030B1 (ko) * 2015-02-13 2021-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4679219B (zh) * 2015-03-03 2018-07-17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延长电子穿戴设备的待机时间的方法和设备
KR20160109611A (ko) * 2015-03-12 201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동 단말기
US9880611B2 (en) 2015-08-31 2018-01-30 Google Llc Energy saving mode for electronic devices
KR20180063097A (ko) * 2015-10-01 2018-06-11 잭 윌리엄 해리슨 통신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US9781679B2 (en) * 2015-11-27 2017-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systems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systems
CN105517125B (zh) * 2015-11-28 2018-03-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信终端中的频段处理方法、装置及通信终端
CN105517126B (zh) * 2015-11-28 2018-12-0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信终端中的频段处理方法、装置及通信终端
CN105338630B (zh) * 2015-11-28 2018-12-0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业务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10063080B2 (en) * 2015-12-08 2018-08-28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atter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for charging the battery
CN105676997B (zh) * 2016-01-05 2018-11-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管理方法和***、移动终端
KR102653582B1 (ko) * 2016-03-18 2024-04-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의 프로세스 재개 방법
US9854528B2 (en) 2016-04-05 2017-12-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uning networks and user equipment using a power profile
US10278130B2 (en) * 2016-04-26 2019-04-30 Qualcomm Incorporated Search, measurements, and positioning with aid of motion detection information
CN105975554B (zh) * 2016-04-29 2020-05-29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基于移动终端的大数据搜索方法及装置
JP2018031946A (ja) * 2016-08-26 2018-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473790B1 (ko) * 2016-08-30 2022-12-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저전력 상태에서 시간 정보 제공 방법 및 이 방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98069B1 (ko) 2017-03-10 2021-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배터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364429B1 (ko) * 2017-05-17 2022-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49265B1 (ko) 2017-06-08 2022-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모드와 관련된 시간 구간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9035665A1 (en) * 2017-08-18 2019-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OF ELECTRONIC DEVICE
CN111279290A (zh) * 2017-08-25 2020-06-12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移动终端的电量展示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US10512025B2 (en) * 2017-11-14 2019-12-17 Apple Inc. Activity mode for a cellular connection
US20200252877A1 (en) * 2017-12-28 2020-08-06 Intel IP Corporation Mechanism to allow power constrained neighbor awareness networking devices to sleep
US11166695B2 (en) * 2018-04-09 2021-11-09 Carestream Health, Inc. Learning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radiography power management
US20200015169A1 (en) * 2018-07-06 2020-01-09 Apple Inc. Enhanced Emergency Beacon Sending Procedure
WO2020036291A1 (en) * 2018-08-16 2020-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navigation of modes of operation of applications in a device
KR20200100404A (ko) 2019-02-18 202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적 전력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KR20200100492A (ko) * 2019-02-18 202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CN115686705B (zh) * 2019-07-31 2023-11-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界面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11970294B2 (en) * 2022-05-25 2024-04-30 Beta Air, Llc Apparatus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a resource remaining datum of an electric aircraf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7610A1 (en) * 2000-08-29 2007-02-15 Logan James 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serving battery power in a cellular or portable telephone
US20080057894A1 (en) * 2006-08-31 2008-03-06 Ati Technologies Inc. Portable device with priority based power savings control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1815A (ko) * 2003-09-30 200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절전 제어 장치 및 방법
EP1524829B1 (en) * 2003-10-17 2009-11-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05252375A (ja) * 2004-03-01 2005-09-15 Hitachi Ltd 携帯用動画再生装置
US7904061B1 (en) * 2007-02-02 2011-03-08 At&T Mobility Ii Llc Devices and methods for creating a snippet from a media file
US8010821B2 (en) * 2007-09-19 2011-08-30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wake on event in a network
US8340645B2 (en) * 2008-12-24 2012-12-25 Microsoft Corporation User-controlled routing of phone calls to voicemail
US8260374B2 (en) * 2010-08-31 2012-09-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ower saving operation of user equipment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7610A1 (en) * 2000-08-29 2007-02-15 Logan James 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serving battery power in a cellular or portable telephone
US20080057894A1 (en) * 2006-08-31 2008-03-06 Ati Technologies Inc. Portable device with priority based power savings control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170A1 (ko) * 2022-09-01 2024-03-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력 모드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15960A1 (en) 2012-12-13
EP2533579B1 (en) 2019-12-04
EP2533579A3 (en) 2016-04-13
US9338749B2 (en) 2016-05-10
KR20120135803A (ko) 2012-12-17
EP2533579A2 (en)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81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배터리 절전모드 전환 방법
US10095353B2 (en) Mobile terminal performing a different operation based on a type of a tap applied to a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7446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4767874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150423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163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 변환 방법
US20160170542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4011318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1315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2521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3205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10971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106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5650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3110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8080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0900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0948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02527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1187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225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58666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0904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0028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13313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