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873A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873A
KR20140111873A KR1020130026335A KR20130026335A KR20140111873A KR 20140111873 A KR20140111873 A KR 20140111873A KR 1020130026335 A KR1020130026335 A KR 1020130026335A KR 20130026335 A KR20130026335 A KR 20130026335A KR 20140111873 A KR20140111873 A KR 20140111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output
light
mobile terminal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은
황인수
이건호
배권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6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1873A/ko
Publication of KR20140111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8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며,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인접 배치되는 물리적 버튼; 상기 단말기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물리적 버튼을 향하여 빛을 출력하는 광원; 및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알림 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광원에서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개량에 힘입어, 단말기에서는 다양한 이벤트가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며,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인접 배치되는 물리적 버튼; 상기 단말기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물리적 버튼을 향하여 빛을 출력하는 광원; 및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알림 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광원에서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의 종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온/오프, 배터리의 충전 정도, 전원의 온/오프, 데이터의 송수신,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정도 및 시간/일정 알림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알림 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광원에서 출력되는 빛의 색상, 밝기 및 점멸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각 정보가 주기적으로 변하면, 상기 광원에서 출력되는 빛의 색상, 밝기 및 점멸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시각 정보가 변화되는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가 주기적으로 변하면, 상기 광원에서 출력되는 빛의 색상, 밝기 및 점멸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는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변화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에서 출력되는 빛의 조도를 상기 단말기에서 감지된 주변의 조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알림 정보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에 인접 배치된 물리적 버튼을 향하여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내부에 배치된 광원이 상기 물리적 버튼을 향하여 빛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의 종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온/오프, 배터리의 충전 정도, 전원의 온/오프, 데이터의 송수신,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정도 및 시간/일정 알림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알림 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광원에서 출력되는 빛의 색상, 밝기 및 점멸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에 배치된 물리적 버튼을 통해 빛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빛은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밝기, 색상 및 점멸주기 등이 다르게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출력되는 빛의 패턴만을 보고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를 쉽고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디스플레이부가 온/오프될 때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배터리의 충전 정도에 따라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전원이 온/오프 될 때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알람이 실행될 때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인커밍 콜이 수신될 때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접속 및 접속 해지 시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사용자의 확인이 필요한 이벤트가 발생 될 때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이벤트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화상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상태를 지칭하고, 음성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지 않으면서 통화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112)은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1)에서 획득되는 화상 프레임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등이 산출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또는 센싱부, 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 (또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감지부(140)는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4) 및 햅틱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체영상은 3차원 입체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을 나타내며, 3차원 입체 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은 모니터나 스크린 상에서 사물이 위치한 점진적 깊이(depth)와 실체(reality)를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 영상이다. 3차원 입체 영상은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양안시차란 떨어져 있는 두 눈의 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시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두 눈이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고 그 화상들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어 융합되면 입체 영상의 깊이 및 실제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가정용 텔레비전 수신기 등에 많이 이용되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는 휘스톤 스테레오스코프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의 예로서, 패럴렉스 배리어(parallex barrier) 방식,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집적영상(integral imaging) 방식, 스위츠블 렌즈(switchable lens) 등이 있다. 프로젝션 방식에는 반사형 홀로그래픽 방식, 투과형 홀로그래픽 방식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를 합쳐서 하나의 3차원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은 입체 처리부(미도시)에 의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처리부는 3D 영상을 입력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추출하거나, 2D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상기 센싱부(140)의 일 예로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이하, 포인터라 함)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입체 터치스크린'이라 함)나,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3차원 센서가 서로 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는 3차원의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센서의 예로서,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 입체 터치센싱부(142), 초음파 센싱부(143), 카메라 센싱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터치를 가하는 감지대상(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와 검출면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단말기는 이러한 거리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의 어느 부분이 터치되었는지를 인식하게 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 정도를 검출하고, 이러한 근접 정도를 이용하여 3차원상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 스크린상에 가해지는 터치의 세기나 지속시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를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고, 가압력이 강하면 이를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여 터치 스크린과 보다 멀리 위치한 객체에 대한 터치로 인식한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예를 들어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센서는 광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르기 때문에,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은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르다. 따라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센싱부(144)는 카메라(121), 포토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한다.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2차원 영상에 레이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거리정보가 더해지면, 3차원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포토 센서가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3)은 알람부(154)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5)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상태에서 표시되는 잠금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실시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먼저, 도 2a를 살펴보면,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0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 및 BSCs(275)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2a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BS(27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은 각각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는,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를 합하여 “기지국”이라고 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2a에서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의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300)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2a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위성(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s(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로 송신하고, MSC(280)는,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와 연결되고, MSC(280)는 BSCs(275)와 연결되고, BSCs(275)는 이동 단말기(100)로 순 링크 신호가 전송되도록 BS(27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에서는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Wireless Fidelity)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 Positioning System, 300)은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WiFi모듈 및 상기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 320)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로서, WiFi를 이용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300)은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 이동 단말기(100),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30),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신호)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로 전송되거나, 무선 AP(320)에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추출되는 무선 AP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RSSI,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신호세기(Signal Strength) 및 노이즈 세기(Noise Strength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위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30)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수신된 무선 AP(320)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한다.
한편, 도 2b에서는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되어 있는 무선 AP를 제1, 제2 및 제3 무선 AP(320)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되는 무선 AP의 수는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무선 통신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추척 시스템(300)은 이동 단말기(100)가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와 접속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3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330)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임의의 무선 AP들의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300)에 저장되는 임의의 무선 AP들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RSSI,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무선 AP의 위경도 좌표, 무선 AP가 위치한 건물명, 층수, 실내 상세 위치정보(GPS 좌표 이용가능), AP소유자의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에는 임의의 무선 AP정보 및 상기 임의의 무선 AP에 대응되는 위치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있으므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와 대응되는 무선 AP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무선 AP정보에 매칭된 위치정보 추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추출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1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안경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191)를 덮는 배터리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음향출력모듈(153a), 제1카메라(121a), 제1조작유닛(131) 등이 배치되며, 측면에는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제2조작유닛(13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감지수단은 이를 감지하고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되게 구성될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a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음향출력모듈(153a)과 제1카메라(121a)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조작유닛(131)과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제2조작유닛(132, 도 3b 참조),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모듈(153a)은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모듈(153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홀이 윈도우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121a)는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조작유닛(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조작유닛(131, 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터치, 푸쉬,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31)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을 기준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31)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조작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작유닛(131)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고, 제2조작유닛(132)은 제1음향출력모듈(153a)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형성된다. 마이크(122)는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제2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 도 3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카메라(121a, 121b)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시(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시(123)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제2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음향출력모듈(153b)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모듈(153b)은 제1음향출력모듈(153a, 도 3a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 도 1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배터리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한편, 단말기에서는 다양한 이벤트가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100)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단말기(100)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11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온/오프, 배터리의 충전 정도, 전원의 온/오프, 데이터의 송수신,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정도, 시간/일정 알림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후, 단말기(100)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알림 정보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인접 배치된 물리적 버튼을 향하여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제어하는 단계(S12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광원은 단말기(100) 내부에 배치되어 물리적 버튼을 향해 빛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알림 정보가 출력되도록, 광원에서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 내부 및 물리적 버튼의 아래쪽에 배치된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로 구현되어, 물리적 버튼을 향해 빛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 버튼은 단말기(100)의 전면, 후면, 측면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로, 광원은 홈 버튼의 아래쪽 단말기(100) 내부에 배치되고, 광원에서 발생한 빛은 홈 버튼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홈 버튼은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 버튼과 홈 버튼의 프레임에 형성된 홈의 틈새를 통해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빛이 투과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홈 버튼은 사용자의 swipe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홈 버튼에 swipe 입력을 하여 출력되는 빛을 소멸시키거나 출력되는 빛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빛의 패턴을 제어하는 단계(S120)에서, 제어부(180)는 광원에서 출력되는 빛의 색상, 밝기, 점멸주기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실시 예로,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시각 정보가 주기적으로 변하면, 광원에서 출력되는 빛의 색상, 밝기 및 점멸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각 정보가 변화되는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80)는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가 주기적으로 변하면, 광원에서 출력되는 빛의 색상, 밝기 및 점멸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는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광원에서 출력되는 빛의 조도를 단말기(100)에서 감지된 주변의 조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서는,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되는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온/오프될 때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가 오프 상태인 경우 광원에서도 빛이 출력되지 않는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151)가 온 상태가 되는 동시에 홈 버튼을 향해 흰색의 강한 빛이 출력되며, 출력된 빛은 점차 어두워지게 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도 5a에서 설명한 빛의 밝기 변화를 시간에 따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1)가 온 상태가 되는 동시에 홈 버튼을 향해 100%의 밝기를 갖는 흰색의 강한 빛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출력된 빛은 약 1200ms동안 100%의 밝기를 유지한 후, 대략 다음의 1000ms 동안 서서히 밝기가 감소 되어 약 2700ms에서는 소멸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배터리의 충전 정도에 따라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배터리가 충전중이면 홈 버튼을 향해 적색의 빛이 출력되고, 충전이 완료되면 녹색의 빛이 출력된다. 이와 동시에, 충전 중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잠자고 있는 아기 등의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이미지, 색상으로 충전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 이미지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도 6a에서 설명한 빛의 밝기 및 색상 변화를 시간에 따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이 완료되기 전인 8000ms까지는 적색의 빛이 출력되고 이후 충전이 완료되면 녹색의 빛이 출력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충전 중 적색 빛의 밝기는 약 4000ms를 주기로 변하며 출력된다.
즉, 충전이 시작되면 0%의 밝기로 출력되던 적색의 빛이 서서히 밝아져 대략 500ms에서는 20%의 밝기로 출력되고, 약 1700ms에서는 100%의 밝기로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출력되는 적색 빛의 밝기가 서서히 감소 되어 약 2900ms에서는 20%의 밝기로 출력되고, 3400ms 내지 4000ms에서는 빛이 출력되지 않는다.
이와 관련된 실시 예로, 어플리케이션 등의 데이터가 다운로드 되는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앞서 설명한 배터리 충전 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빛의 변화 패턴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진행되는 동안 적색의 빛이 주기적인 밝기 변화를 나타내며 출력되고,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녹색의 빛이 출력될 수 있다.
도 7a 내지 7c는 전원이 온/오프 될 때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전원이 온 상태가 되는 동시에 화면(151)도 온 상태가 되며, 홈 버튼을 향해 흰색의 빛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출력된 흰색 빛의 밝기는 서서히 주기적으로 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전원이 오프 상태가 되면,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된 흰색 빛의 밝기는 서서히 주기적으로 변하며 소멸하게 된다.
이때, 흰색 빛의 밝기는 1분에 3회 정도 깜빡이는 주기로 변하게 된다. 그리고, 출력되는 빛은 화면(151)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표시되는 다양한 애니메이션과 어울릴 수 있는 색상이나 밝기로 표시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전원이 온 상태가 되는 동시에 화면(151)에는 로고 등의 정지 화면이 표시될 수 있고, 100%의 밝기를 갖는 흰색의 빛이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된다. 이때, 출력된 흰색의 빛은 100%의 밝기로 약 600ms 동안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흰색 빛의 밝기는 점점 감소 되어 약 2100ms에서는 소멸 된다. 그리고 하드웨어 재부팅이 진행됨에 따라, 약 3400ms에서는 화면(151)에 로고 애니메이션과 사업자 로고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되는 흰색의 빛은 반복적인 밝기 변화 패턴을 나타낸다.
즉, 3400ms에서 출력된 흰색의 빛이 점점 밝아져 대략 4400ms에서는 100%의 밝기를 나타낸다. 그 후, 점점 어두워져 약 5400ms에서는 소멸 된다. 이와 같은 대략 2000ms의 주기를 갖는 빛의 밝기 변화 패턴은 Lock 스크린 모드에 진입할 때까지 약 3번 정도 반복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전원이 오프 상태가 되기 전 화면(151)에는 로고 애니메이션이 표시되는 동시에 서서히 밝아지는 흰색의 빛이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된다. 출력된 빛은 대략 1000ms에서 100%의 밝기를 갖고 이후 다시 서서히 어두워져 약 2000ms에서 소멸 된다. 이러한 주기가 약 4회 정도 반복된 후, 전원이 오프 상태가 되면 흰색 빛이 좀 더 완만한 밝기 변화 패턴으로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된다.
도 8a 및 도 8b는 알람이 실행될 때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알람이 실행되면 화면(151)에 시간이나 일정을 알려주는 이미지로 긴급하고 화려한 애니메이션이 표시되는 동시에, 설정한 진동 및 소리도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화면에 표시되는 애니메이션, 진동 및 소리는 동일한 주기로 각각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되는 빛도 다양한 색상으로 빠르게 변하며 출력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알람 실행 시 화면에 표시되는 애니메이션, 진동 및 소리의 주기인 1.16초와 동일한 주기로 출력되는 빛의 밝기가 빠르게 변화될 수 있다. 즉, 1분당 60회 정도 반복적인 밝기 변화 패턴이 출력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출력되는 빛의 색상도 별도의 주기로 변하며 출력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인커밍(incoming) 콜이 수신될 때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인커밍 콜이 수신되면 화면(151)에는 자연스럽지만 주목을 끌 수 있는 화려한 애니메이션이 표시되는 동시에, 설정한 진동 및 소리도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화면에 표시되는 애니메이션, 진동 및 소리는 동일한 주기로 각각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되는 빛은 녹색 계열의 다양한 색상으로 변하며 출력된다.
도 9b를 참조하면, 인커밍 콜 수신 시 화면에 표시되는 애니메이션, 진동 및 소리의 주기인 1.28초와 동일한 주기로 출력되는 빛의 밝기가 서서히 변하게 된다. 즉, 1분당 40회 정도 반복적인 밝기 변화 패턴이 출력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출력되는 녹색 계열을 갖는 빛의 색상은 별도의 주기로 변하며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실시 예로, 인커밍 콜 이외에도 발신자별로 출력되는 빛의 색상이나 밝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보고 즉각적으로 발신자가 누구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접속 및 접속 해지 시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의 (a) 및 (b)를 참조하면, NFC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안 청색의 빛이 약 1200ms의 주기로 밝기가 변하며 출력된다. 그 후, NFC와의 접속이 해지되면 청색의 빛이 약 420ms의 짧은 주기로 2회 반복하여 깜빡이게 된다.
도 11은 사용자의 확인이 필요한 이벤트가 발생 될 때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사용자의 확인이 필요한 이벤트에는 문자, SNS, 메일,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한 메시지 수신, 전화 수신, 데이터 수신 등이 해당 될 수 있다. 또는, GPS를 통한 재난 알림 문자도 이에 해당 될 수 있다.
도 11의 (a) 및 (b)를 참조하면, 메시지나 전화, 데이터 등의 수신 시 화면(151)에 짧고 강한 메시지를 갖는 영상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홈 버튼을 향해 밝은 청색의 빛이 약 420ms의 짧은 주기로 2회 반복하여 깜빡이게 된다.
도 12는 도 11의 이벤트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홈 버튼을 향해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확인이 필요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홈 버튼을 향해 밝은 청색의 빛이 반복하여 깜빡이게 된다. 이 후, 약 4초 동안 발생한 이벤트가 확인되지 않으면 확인이 필요한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해 앞서 출력한 빛의 패턴을 반복적으로 출력하게 된다.
실시 예로, 사용자의 확인이 필요한 이벤트 발생이 누적됨에 따라 홈 버튼을 통해 출력되는 빛의 점멸주기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인이 필요한 이벤트가 2개 누적되면 짧은 주기로 2회 반복하여 깜빡이는 녹색 계열의 빛이 출력되고, 3개가 누적되면 짧은 주기로 3회 반복하여 깜빡이는 노란색 계열의 빛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확인이 필요한 이벤트가 발생하였으나 사용자가 단말기(100)와 떨어져 있거나 단말기(100)를 터치할 수 없는 경우,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기능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사용자의 확인이 필요한 이벤트가 발생하여 빛이 깜빡이는 순간부터 일정시간 동안, Q 보이스 기능이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또는, 화면(151)과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진 상태에서 실행되는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이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9)

  1.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며,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인접 배치되는 물리적 버튼;
    상기 단말기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물리적 버튼을 향하여 빛을 출력하는 광원; 및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알림 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광원에서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의 종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온/오프, 배터리의 충전 정도, 전원의 온/오프, 데이터의 송수신,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정도 및 시간/일정 알림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알림 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광원에서 출력되는 빛의 색상, 밝기 및 점멸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각 정보가 주기적으로 변하면,
    상기 광원에서 출력되는 빛의 색상, 밝기 및 점멸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시각 정보가 변화되는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가 주기적으로 변하면,
    상기 광원에서 출력되는 빛의 색상, 밝기 및 점멸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는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에서 출력되는 빛의 조도를 상기 단말기에서 감지된 주변의 조도에 따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알림 정보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에 인접 배치된 물리적 버튼을 향하여 출력되는 빛의 패턴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내부에 배치된 광원이 상기 물리적 버튼을 향하여 빛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의 종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온/오프, 배터리의 충전 정도, 전원의 온/오프, 데이터의 송수신,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정도 및 시간/일정 알림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알림 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광원에서 출력되는 빛의 색상, 밝기 및 점멸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30026335A 2013-03-12 2013-03-12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11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335A KR20140111873A (ko) 2013-03-12 2013-03-12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335A KR20140111873A (ko) 2013-03-12 2013-03-12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873A true KR20140111873A (ko) 2014-09-22

Family

ID=5175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335A KR20140111873A (ko) 2013-03-12 2013-03-12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18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250B1 (ko) * 2017-01-25 2018-06-0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 유출 위험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광섬유 발광 패치 타입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388121B2 (en) 2016-06-16 2019-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8121B2 (en) 2016-06-16 2019-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s
KR101864250B1 (ko) * 2017-01-25 2018-06-0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 유출 위험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광섬유 발광 패치 타입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46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11318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1987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09689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용 커버
KR2015000906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2872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2945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12521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3205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1106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0971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1040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10031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6456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커버
KR2015000900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3008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0971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9003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41451A (ko) 이동 단말기
KR20140085039A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1187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96894A (ko) 입력장치 및 이에 의하여 제어되는 이동 단말기(100)
KR201401029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79063A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0948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