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570B1 -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570B1
KR101777570B1 KR1020160068908A KR20160068908A KR101777570B1 KR 101777570 B1 KR101777570 B1 KR 101777570B1 KR 1020160068908 A KR1020160068908 A KR 1020160068908A KR 20160068908 A KR20160068908 A KR 20160068908A KR 101777570 B1 KR101777570 B1 KR 101777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riple
unit
driv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1020160068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4Disengaging means
    • E05Y2201/216Clu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013Electronic control of motors during manual wing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05Y2800/1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3중문(D)의 각 문짝(8)을 횡으로 연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안내프레임(2) 상에 장착되는 구동부(3)와 동력전달부(4)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온오프 동작됨으로써, 상기 3중문(D)을 개폐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부(3)에서 발생되어 상기 동력전달부(4)를 통해 상기 3중문(D)으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제어부(15)의 개폐 명령에 따라 단속하는 단속클러치부(5);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3)는 상기 단속클러치부(5)에 전원이 공급되는 때, 폐쇄된 상태의 상기 3중문(D)의 수동 개방을 구동모터(31)의 회전 저항에 의해 억제하고, 상기 단속클러치부(5)는 상기 전원이 중단된 때, 동작이 오프되어 상기 동력전달부(4)와 상기 구동부(3) 사이의 연결을 끊음으로써, 상기 3중문(D)의 수동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기존의 수동식 3중 연동문을 적은 비용으로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시킬 수 있으며, 정전 시 구동모터가 정지되어도, 단속클러치가 동작 오프되어 동력전달부의 기계적인 연결을 단절하므로, 출입자는 구동모터로부터 구동 부하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3중문을 수동으로 손쉽게 비상 개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Interlocking Device For An Threefold Interlocking Automatic Door System}
본 발명은 3단 미닫이문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별 문짝을 하나로 모아 3중문을 제작함에 있어 각 문짝의 개폐 동작을 연동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3중문의 횡이동을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함으로써 출입자의 이용 편의를 극대화시킨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문은 출입자가 직접 개폐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출입자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문짝을 개폐하거나, 개폐스위치를 조작하기만 하면 손을 대지 않아도 자동으로 문짝이 개폐되는 자동화된 문을 일컫는다. 이중에서도 특히, 3중문은 문을 구성하는 개별 문짝을 3중으로 구비한 것으로, 이때 개별 문짝을 상호 연동하도록 연결하는 장치가 연동장치이다.
이러한 3중문의 연동장치로는 도 1에 도시된 연동장치(특허등록 제10-1347213호)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연동장치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레일(103), 복수의 밀대(105), 연동구(107), 전동수단(10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안내레일(103)은 3중문(113)의 각각의 문짝(111)을 상호 연동하여 횡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또, 상기 복수의 밀대(105)는 안내레일(103)의 저면에 요철구조에 의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그 저면에 각각의 문짝(111)을 결합함으로써 이들 문짝(111)이 안내레일(103)을 따라 연동하여 횡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동구(107)는 위와 같은 밀대(105)를 전동수단(109)의 전동벨트(115)에 연결하는 부재로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밀대(105)의 일측단에 장착되며, 한 쪽 모서리에 형성된 파지블럭(117)에 의해 전동벨트(115)와 결합된다. 끝으로, 전동수단(109)은 출입자에 의해 문짝(111)에 걸리는 외력을 연동구(107)를 통해 이웃한 문짝(111)으로 전파하는 수단으로서, 위에서 언급한 데로 좌우측 양단에 고정된 한 쌍의 풀리(119)와 이들 풀리(119)에 감겨 돌아가는 전동벨트(115)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위와 같은 연동장치(101)를 구비한 문은 연동장치(101)의 연동 작용에 의해 맨 앞쪽에 위치하는 문짝(111)을 횡이동시키는 것만으로 3중문(113) 전체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연동장치(101)를 구비한 3중 연동문은 출입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바, 기존의 미닫이식 자동문과 같이 반자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가 불가하므로 사용 상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동장치(101)는 문짝(111)을 밀대(105)의 저면에 결합하여 설치하는 바, 안내레일(103)을 먼저 문틀에 설치한 뒤, 각각의 밀대(105)에 각각의 문짝(111)을 연결하여야 하므로, 시공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실용신안 등록 제20-0288413호에 개시된 자동문은 도 2에 도면부호 2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도어프레임(210)과 좌우도어프레임(215) 내에 설치된다. 상부도어프레임(210)내의 하부영역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안내레일(211)이 마련되어 있고, 그 상부 양측 모서리영역에 각각 풀리(22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풀리(223)에는 전동벨트(225)가 결합되고, 일측의 풀리(223)는 구동모터(230)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있다. 전동벨트(225)에는 결합부재(227)가 결합되며, 이 결합부재(227)에는 도어(211)의 상측 연부에 고정설치되는 도어행어(213)가 고정결합된다. 이때, 도면상 미설명부호인 240은 도시하지 않은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모터(2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부이고, 235는 도어(213)의 과도한 개폐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이다.
따라서,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인가한 콘트롤부(240)는 구동모터(230)를 구동시켜 도어(213)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풀리(223)를 회전시킨다. 그러나,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가 더 이상 인가되지 않으면, 콘트롤부(240)는 구동모터(23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도어(213)를 자동폐쇄시키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자동문은 구동모터(230)에서 도어(213)에 이르는 전동계통이 연속적이므로, 화재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전원 공급이 중단된 때, 구동이 정지된 구동모터(230)의 부하로 인해 풀리(223)와 전동벨트(225)의 움직임은 물론, 도어(213)의 움직임도 불가하게 되므로, 수동으로도 도어(213)를 개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3중 미닫이문을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자동문과 같이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하기 위해서는, 상부레일(103)을 포함한 연동장치(101) 일체를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된 부품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바, 소요비용이 증대되고, 자원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069636 KR 20-0288413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자동문 또는 3중 연동장치를 구비한 미닫이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3중 연동장치를 구비한 수동식 미닫이문을 간단한 개조 작업에 의해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출입자의 보행 편의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화재나 장비 고장 등으로 인해 정전이 된 비상 상황에서, 구동부와 3중문의 기계적으로 연결을 단절함으로써, 정지 상태인 구동모터의 구동 부하에도 불구하고 수동으로 3중문을 손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3중문이 폐쇄되어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는 단속클러치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끊고, 외부인의 접근이 감지된 때만 단속클러치부를 동작시켜 구동모터의 구동부하에 의해 3중문을 잠금으로써, 자동문 시스템의 절전과 방범을 동시에 달성하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안내프레임의 프레임체와 함체를 분리하고, 함체를 먼저 문틀에 조립한 다음, 문짝을 결합한 상태로 프레임체를 나중에 함체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3중문의 조립 편리성을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3중문의 각 문짝을 횡으로 연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안내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구동부와 동력전달부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온오프 동작됨으로써, 상기 3중문을 개폐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상기 3중문으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제어부의 개폐 명령에 따라 단속하는 단속클러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단속클러치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때, 폐쇄된 상태의 상기 3중문의 수동 개방을 구동모터의 회전 저항에 의해 억제하고, 상기 단속클러치부는 상기 전원이 중단된 때, 동작이 오프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구동부 사이의 연결을 끊음으로써, 상기 3중문의 수동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내프레임은, 상기 구동부, 상기 단속클러치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가 차례로 연결되어 장착되며, 3중 연동뭉치를 통해 상기 각 문짝이 횡으로 연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레임체; 및 상기 프레임체의 외곽을 둘러싸 마감하되, 상기 프레임체에 상기 각 문짝을 조립할 수 있도록 아래로 개방된 함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체는 최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된 걸이판과, 상기 걸이대의 반대쪽에서 최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후방 또는 전방으로 연장된 덧판을 구비하고, 상기 함체는 전방 또는 후방 측 내벽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걸이판을 걸어 지지하는 걸이홈과, 상기 걸이홈의 반대쪽에서 후방 또는 전방 내벽면에 돌출되어 저면에 접촉하는 상기 덧판과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안착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이판은 상기 동력전달부의 벨트풀리 및 벨트를 상기 구동부, 상기 단속클러치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의 전동기어열과 구분하면서 상기 벨트풀리 및 상기 벨트를 덮도록, 상기 프레임체의 덮개판 상에 상하로 세워진 ㄱ자 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판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 단속클러치부와 상기 전동기어열을 선조립하여 지지하는 집체틀을 포함하되, 상기 집체틀은, 상기 덮개판 위에 부착되도록 바닥을 이루는 바닥편; 상기 바닥편 위에 폭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단속클러치부를 상기 바닥편과 나란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횡지지편; 및 상기 바닥편 위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세워져, 상기 전동기어열 중 종동베벨기어의 기어축을 지지하는 한 쌍의 종지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속클러치부는 감지센서를 통한 출입자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온오프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구동부 사이의 연결을 단속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단속클러치부의 동작을 온오프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한 상기 3중문의 개방을 상기 단속클러치부의 동작이 온된 때 억제하고, 오프된 때 허용하는 개폐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에 따르면, 개별 문짝을 하나로 모아 3중문을 제작함에 있어 각 문짝의 개폐 동작을 연동장치에 연동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3중문의 횡이동을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함으로써, 출입자의 이용 편의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 사용 중인 수동식 3중 연동 미닫이문의 안내프레임 위에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에 필요한 제어부나 구동부 또는 동력전달부와 같은 각종 부품을 설치하고, 동력전달부의 구동기구인 전동벨트 등을 연결부에 의해 3중 연동뭉치의 밀대에 연결하는 간단한 개조 작업에 의해 수동식 3중 연동문을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기존 수동식 3중 연동문을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하면서 발생하는 비용손실이나 자원낭비를 대폭 줄인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연동장치에 따르면, 이와 같이 3중문의 개폐를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함에 있어, 정전이 발생되어 구동부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단속클러치도 함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하여 구동부 특히, 구동모터와 3중문의 기계적인 연결을 끊음으로써, 정전으로 인해 구동 불능이 된 구동모터의 구동 부하가 3중문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출입자는 정전임에도 불구하고 수동으로 3중문을 쉽게 개방하여 문 밖으로 비상 탈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인의 접근 여부에 따라 단속클러치부를 온오프시킬 수 있으므로, 즉, 외부인의 접근이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때만 단속클러치부를 동작시키고 그렇지 않은 때는 단속클러치부를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단속클러치부의 동작에 따른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인에 대해서는 문짝의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절전과 방범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내프레임을 프레임체와 함체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함체를 프레임체와 분리하여 별도로 문틀에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프레임체의 걸림판과 덧판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함체의 걸림홈과 안착턱의 조립 구조에 의해 문틀에 먼저 설치된 함체에, 문짝을 선조립한 프레임체를 문짝과 함께 앞뒤로 경사지게 하여 밑쪽에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레일을 통해 문짝이 연결된 프레임체를 통상의 미닫이 문짝을 문틀에 끼우듯이 쉽고 간단하게 함체에 끼울 수 있게 되고, 따라서 3중문의 조립작업을 일층 편리하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3중 미닫이문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자동문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장치가 적용된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3중 연동 자동문에서 지지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장치를 조립 및 분해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프레임체와 그 위에 장착된 부품 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프레임체를 반대쪽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도 5에서 프레임체를 제거하고 나머지 부품 들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6의 좌측면도.
도 10은 도 9의 구동부, 단속클러치부, 전동기어열, 및 집체틀의 조립 관계를 보인 조립 또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구동부, 단속클러치부, 전동기어열, 및 집체틀을 프레임체와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장치에 문짝이 조립되는 양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연동장치 우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연동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10)의 3중문(D)을 3중으로 연동하여 횡이동 가능하게 하는 일종의 동력전달수단으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면번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안내프레임(2), 구동부(3), 동력전달부(4), 그리고 단속클러치부(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개폐모드 선택부(6)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안내프레임(2)은 연동장치(1)의 뼈대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의 출입구 상측에 설치되어, 출입구 하측의 지지프레임(11)과 함께 3중문(D)을 횡으로 연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안내프레임(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좌우측 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된 수직프레임(14)에 의해 지지되어 출입구를 형성하며, 이 수직프레임(14) 하단의 서로 마주보는 지점에 지지프레임(11)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안내프레임(2)은 3중문(D)을 수하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며, 지지프레임(11)은 길이방향으로 안내홈이 나란히 형성되어, 3중문(D) 각각의 문짝(8)이 각각의 홈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안내프레임(2)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프레임체(7)와 함체(9)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프레임체(7)는 3중 연동뭉치(17)의 밀대(57)를 지지하도록, 덮개판(21)의 저면에 전방, 중간, 및 후방 레일(12-1,12-2,12-3)이 차례로 배열되는 바, 각각의 레일(12-1,12-2,12-3)은 하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 또는 돌출되어, 3중 연동뭉치(17)의 각각의 밀대(57)를 횡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각각의 문짝(8)이 밀대(57)를 통해 횡으로 연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3 개의 레일(12-1,12-2,12-3)을 통해 3중 연동뭉치(17)의 전방, 중간, 및 후방 밀대(57) 등이 덮개판(21)의 저면에 설치된 프레임체(7)는 이들 3중 연동뭉치(17)의 각 부품과 구분되어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부(3), 단속클러치부(5), 동력전달부(4)가 덮개판(21) 위에 차례로 연결되어 장착되며, 구동부(3)와 인접한 위치에 제어부(15)와 전원부 등이 설치된다.
이때, 프레임체(7)는 덮개판(21) 측단에 장착되는 집체틀(60)을 포함하는 바, 이 집체틀(60)은 단속클러치부(5)와 전동기어열(41)를 선조립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편(65), 횡지지편(67), 및 종지지편(6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먼저 바닥편(65)은 집체틀(60)의 기부로서,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프레임체(7)의 길이방향으로 길쭉하게 연장된 직사각형의 판체로 되어 바닥을 이루면서 덮개판(21) 위에 부착된다. 또, 횡지지편(67)은 집체틀(60) 내에 프레임체(7)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부재들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바닥편(65) 위에 폭방향으로 세워지는 바, 적어도 둘 이상이 프레임체(7)를 가로질러 배치됨으로써, 집체틀(60) 내에 배치되는 단속클러치부(5)는 물론, 구동부(3)의 구동축 선단 부분과 전동기어열(41)의 구동베벨기어(71)의 기어축(72) 등을 바닥편(65)과 나란하게 지지한다. 끝으로, 종지지편(69)은 집체틀(60) 내에 프레임체(7)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부재들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바닥편(65) 위에 길이방향으로 세워지는 바, 덮개판(21)의 전후변을 따라 쌍을 이루어 배치됨으로써, 집체틀(60) 내에 배치되는 전동기어열(41) 중 종동베벨기어(72)의 기어축(74)을 바닥편(65)을 가로질러 지지한다.
한편, 상기 함체(9)는 프레임체(7)의 외곽을 둘러싸 프레임체(7)와 그 위에 설치된 부품들을 마감하는 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8)을 프레임체(7)에 조립할 수 있도록 아래로 개방된 ㄷ자 모양의 횡단면 형태를 갖는다. 경우에 따라 안내프레임(2)은 함체(9)를 제거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미관 상 함체(9)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프레임체(7)와 함체(9)는 상호 결합될 때 도 5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문짝(8)이 결합된 프레임체(7)를 전후 방향으로 약간 기울여 함체(9)의 전후측에서 끼워 우게 되는데, 이러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도시된 것처럼, 프레임체(7)는 걸이판(61)과 덧판(62)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걸이판(61)은 프레임체(7)를 일차적으로 함체(9) 내벽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걸게판으로서, 도 5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체(7)의 전방 또는 후방 최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바, 구동부(3), 단속클러치부(5), 및 동력전달부(4)의 전동기어열(41)과 동력전달부(4)의 벨트풀리(45,46) 및 벨트(43)를 구분하도록, 구동부(3) 등과 벨트풀리(45,46) 및 벨트(43) 사이에서 프레임체(7)의 덮개판(21) 상에 상하로 세워지며, 전체적으로는 ㄱ자 모양의 횡단면을 갖는다. 이에 따라 걸이판(61)은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벨트풀리(45,46) 및 벨트(43)를 덮게 된다. 또한, 덧판(62)은 함체(9) 내부 구조물에 덧대어지는 판재로서, 프레임체(7)를 함체(9) 내부에 최종 고정하는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미도시)을 결합할 수 있도록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걸이판(61)의 반대쪽에서 즉, 프레임체(7)의 후방 또는 전방에서 최외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상기 함체(9)는 프레임체(7)와의 결합을 위해, 걸이홈(63)과 안착턱(64)을 구비하는 바, 걸이홈(63)은 프레임체(7)의 걸이판(61)을 끼워 거는 부분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판(61)과 대응하는 전방 또는 후방 측 내벽면에 중심을 향해 개방된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되어, 프레임체(7)를 함체(9)에 조립할 때 걸이판(61)의 선단을 횡방향으로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안착턱(64)은 프레임체(7)의 덧판(62)을 맞대어 부착하는 부분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덧판(62)과 대응하는 후방 또는 전방 측 내벽면에 아래로 향한 돌출턱의 형태로 형성되는 바, 걸이홈(63)의 반대쪽에서 함체(9)의 후방 또는 전방 내벽면에 돌출되어, 프레임체(7)를 함체(9)에 조립할 때 프레임체(7)의 덧판(62)이 저면에 걸려 안착되도록 하며, 접촉된 뒤에는 체결수단에 의해 덧판(62)과 부착된다.
상기 구동부(3)는 제어부(15)의 명령에 따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으로서,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프레임(2) 상에, 바람직하게는 받침틀(75)에 의해 프레임체(7)의 덮개판(21) 위에 지지되는 구동모터(31)와 이 구동모터(31)에 직결된 감속기(33)로 구성된다. 따라서, 구동부(3)는 동력전달부(4)에 의해 전달한 구동력에 의해 3중문(D)을 연동 상태로 횡이동시키며, 3중문(D)에 의해 출입구(9)를 개폐한다. 또한, 감속기(33)는 구동모터(31)에 직결되어 구동모터(31)에서 발생된 구동토크를 동력전달부(4)로 전달하기 전에 배가시킨다.
상기 동력전달부(4)는 위와 같이 구동부(3)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3중문(D)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서,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기어열(41), 전동벨트(43), 및 벨트풀리(45,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전동기어열(41)은 구동부(3)에서 전달된 구동력의 방향을 전환하는 수단으로서, 도 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기어가 결합된 기어열로 구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안내프레임(2)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구동부(3)의 구동축(35) 방향을 고려하여, 전동기어열(41)은 구동력을 직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베벨기어(71,72)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동벨트(43)는 전동기어열(41)에서 출력되는 구동력을 안내프레임(2)의 3중 연동뭉치(17)로 전달하는 전동수단으로서,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프레임(2)의 전장에 걸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전동벨트(43)는 구동부(3)로부터 단속클러치부(5)와 전동기어열(41)을 거쳐 벨트풀리(45,46)를 통해 전달된 회전 구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킴과 동시에, 연결부(13)를 통해 3중 연동뭉치(17)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속클러치부(5)는 구동부(3)에서 발생된 구동력의 전달을 단속하는 수단으로서, 도 5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3)의 감속기(33)에 직결되는 바, 제어부(15)의 온오프 명령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구동부(3)에서 발생하여 3중문(D)으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잇거나 끊는다. 따라서, 단속클러치부(5)는 평상 시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연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구동부(3)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끊김없이 동력전달부(4)로 전달한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단속클러치부(5)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3중문(D)은 일단 폐쇄된 뒤에는 구동모터(31)의 구동부하 즉, 회전저항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수동 개방이 억제된다. 즉, 잠금된다.
그러나, 전원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단속클러치부(5)는 동작을 멈추고 연결이 단절됨으로써, 구동부(3)와 동력전달부(4) 사이의 연결을 끊는다. 이렇게 되면, 정전 등으로 인해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구동모터(31)가 구동 불능 상태로 된 때 구동모터(31)의 회전저항은 동력전달부(4)를 통해 3중문(D)으로까지 전달되지 않으며, 따라서 출입자는 구동모터(31)의 구동 불능에도 불구하고, 3중문(D)을 수동조작에 의해 손쉽게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폐모드 선택부(7)는 단속클러치부(5)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수단으로서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문시스템(10)의 개폐스위치(20)에 일체로 또는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는 바, 사용자에 의해 모드가 선택된 때, 제어부(15)를 통해 단속클러치부(5)를 온오프 동작시킴으로써, 3중문(D)의 개폐모드를 변경시킨다. 즉, 사용자가 개폐모드 선택부(7)에 의해 개방모드를 선택한 때, 개폐모드 선택부(7)로부터 개방모드 선택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5)는 단속클러치부(5)의 연결을 끊는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31)와 3중문(D)의 기계적인 연결은 해제되므로, 동작이 정지된 구동모터(31)의 구동부하가 폐쇄 상태의 3중문(D)에 전달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는 수동으로도 손쉽게 3중문(D)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폐쇄모드가 선택된 때, 개폐모드 선택부(7)는 제어부(15)를 통해 단속클러치부(5)의 연결을 속계시킴으로써, 3중문(D)의 폐쇄 상태로 동작이 정지된 구동모터(31)의 구동부하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수동으로는 3중문(D)을 개방할 수 없게 한다.
이때, 단속클러치부(5)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 정전 등으로 인해 전원 공급이 끊기지 않아도 또 개폐모드 선택부(7)에서 개방모드를 선택하지 않아도, 단지 전원을 절약하기 위해, 3중문(D)이 폐쇄되어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는 단속클러치부(5)로 공급되는 전원을 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3중문(D)을 수동으로 쉽게 열 수 있지만, 이때 감지센서(30)가 외부인의 접근을 감지하여 단속클러치부(5)를 연결 동작시킴으로써 구동모터(31)의 구동부하가 3중문(D)에 전달되도록 하면, 3중문(D)은 개폐스위치(20)를 조작하기 전에는 개방할 수 없게 되며, 결과적으로 절전과 방범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15)는 3중문(D) 등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안내프레임(2) 위에 설치되어, 3중문(D)의 개폐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바, 자동문시스템(10) 출입자가 개폐스위치(20)를 조작하여 3중문(D)의 개폐를 요청한 때 또는 출입자의 유무가 감지센서(30)에 의해 감지된 때 발생된 개폐신호에 따라 구동부(3)를 동작시켜 3중문(D)을 개폐한다.
또한, 전원부는 제어부(15)와 구동부(3) 등 3중문(D)의 동작에 관여하는 모든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안내프레임(2)은 물론, 자동문시스템(10)의 3중문(D)이나 문틀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1)에 따르면, 3중문(D)의 연동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3중 연동뭉치(17)만이 3 개의 레일(12-1,12-2,12-3)을 통해 안내프레임(2)의 프레임체(7) 즉, 덮개판(21) 저면에 설치되고, 나머지 부품들 즉, 구동부(3), 동력전달부(4), 단속클러치부(5), 제어부(15), 및 전원부 등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부품들이 프레임체(7)의 상면에 설치되므로, 부품들 간의 특히, 동력전달부(4)의 전동벨트(43)와 3중 연동뭉치(17)의 밀대(57)가 상호 간섭을 일으킬 염려가 없다. 또한, 위와 같이 3중 연동뭉치(17)와 나머지 부품들이 프레임체(7)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확실하게 구분될 뿐 아니라, 연결부(13)만이 동력전달부(4)와 3중 연동뭉치(17)를 연결하도록 중간 지점에 위치하므로, 3중 연동뭉치(17)를 구비하고 있는 기존의 수동식 3중 연동문에 대해서도 안내프레임(2)이나 그에 해당하는 상부레일, 상측문틀 등의 상면에 일련의 부품들 즉, 구동부(3), 동력전달부(4), 단속클러치부(5), 제어부(15), 및 전원부 등을 설치하고, 동력전달부(4)의 전동벨트(43)를 연결부(13)에 의해 3중 연동뭉치(17)의 밀대(57) 등에 연결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연동장치(1)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도 수동식 3중 연동문을 도 3에 도시된 자동문시스템(10)으로 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동문시스템(10)은 평시 3중문(D)이 완전히 전개되어 출입구를 폐쇄하며, 단속클러치부(5)의 동작이 온되어 연결이 속계되어 있으므로, 구동모터(31)와 3중문(D)이 기계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사용자는 구동모터(31)의 구동부하로 인해 3중문(D)을 강제로 즉, 수동으로는 열 수 없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개폐스위치(20)를 조작하여 3중문(D)의 개방을 요청하거나,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센서(30)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부(15)는 구동부(3)에 3중문(D)의 개방 명령을 내린다. 이에 따라, 구동부(3)는 구동모터(31)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구동력은 감속기(33)를 거치면서 토크가 증대되고, 다시 동력전달부(4)의 단속클러치부(5)를 거쳐 전동기어열(41)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전환된 뒤, 풀리(45,46)와 전동벨트(43)를 거쳐 연결부(13)로 전달된다. 이때, 구동측 풀리(45)는 도 7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전동벨트(43)는 화살표(B) 방향으로 선회하게 되고, 따라서 연결부(13)는 도면 상 좌측으로 횡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3중 연동뭉치(17)가 수축되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각각의 밀대(57)에 결합된 각각의 문짝(8)도 도면 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계속해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최우측의 후방 문짝(8)이 좌측의 수직프레임(14)에 이른 때, 제어부(15)가 이를 감지하고 구동부(3)의 동작을 정지시키면서 3중문(D)의 개방동작은 종료된다.
뒤이어, 일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출입자의 존재가 감지되지 않거나 또는 개폐스위치(20)에 의해 출입자가 폐쇄 요청을 한 때, 제어부(15)는 3중문(D)을 폐쇄시킨다. 이를 위해, 제어부(15)는 다시 구동부(3)에 3중문(D)의 폐쇄 명령을 내리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부(3)는 구동모터(31)를 역회전시키며, 전동벨트(43)가 도 7의 화살표(B) 반대방향으로 선회함으로써, 좌측단에 위치하던 연결부(13)가 도면 상 우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3중 연동뭉치(17)가 우측으로 전개되며, 각각의 밀대(57)에 결합된 각각의 문짝(8)도 마찬가지로 도면 상 우측으로 이동한다. 우측으로 전개되는 3중문(D)은 최우측의 후방 문짝(8)이 우측 수직프레임(14)에 이른 때, 제어부(15)에 의해 구동부(3)의 동작이 정지됨으로써 폐쇄동작을 종료하고, 자동문시스템(10)을 폐쇄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자동문시스템(10)은 일련의 개폐동작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정전 등으로 인해 전원부에 의한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단속클러치부(5)의 작동도 정지되면서 동력전달부(4)의 단속클러치부(5)에 의한 기계적인 연결이 단절된다. 이에 따라, 작동 정지된 구동모터(31)의 구동부하도 3중문(D)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출입자는 전원이 끊긴 상태에서도 수동으로 손쉽게 3중문(D)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상 가동 시 단속클러치부(5)는 공급되는 전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감지센서(30)가 출입자를 감지한 때만 동작하여 구동모터(31)와 3중문(D)을 기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방범이 요구되는 내부의 출입자가 개폐스위치(20)를 통해 개방을 요청한 때만 3중문(D)이 개방되도록 하고, 반대로 개폐스위치(20)가 없는 외부에서는 구동모터(31)의 구동부하에 의해 3중문(D)이 개방될 수 없도록 한다.
한편,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1)는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10)의 일부로서 문틀에 설치될 때, 안내프레임(2)의 함체(9)를 먼저 문틀 상단에 고정한 다음, 3중 연동뭉치(17)를 통해 문짝(8) 들과 결합된 프레임체(7)를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문짝(8)과 함께 뒤쪽으로 기울여 함체(9) 내에 끼우게 된다. 이때, 프레임체(7)는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기울어진 상태에서 걸이판(61)이 함체(9)의 걸이홈(63)에 먼저 끼워져 걸리고, 그 다음 바르게 세워지면서 덧판(62)이 안착턱(64)에 걸려 접촉한 뒤, 덧판(62)과 안착턱(64)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너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간단하게 조립이 완료되는 바, 함체(9)와 프레임체(7)를 분리하고, 함체(9)를 먼저 문틀에 설치한 뒤, 레일(12-1,12-2,12-3)에 각각의 문짝(8)을 먼저 조립한 상태에서, 미닫이이 문짝을 문틀에 끼우듯이 프레임체(7)를 문짝(8)과 함께 쉽고 빠르게 문틀에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안내프레임(2)의 조립 구조에 의하면, 프레임체와 문짝까지를 한꺼번에 함체에 조립한 상태로 문틀에 안내프레임을 조립하거나, 안내프레임 즉, 프레임체와 함체만을 먼저 문틀에 조립한 뒤 안내프레임의 일측단에서 각각의 레일에 길이방향으로 문짝을 끼워넣어야 하는 기존 제품에서는 기대할 수 없는 조립 편리성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프레임체(7)를 함체(9)에 조립하기 전에, 프레임체(7)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집체틀(60)을 통해 덮개판(21) 위에 구동부(3)와 단속클러치부(5) 그리고 동력전달부(4)의 전동기어열(41) 등을 장착하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31)와 감속기(33) 그리고 단속클러치부(5)와 전동기어열(41)은 도 10의 역순으로 즉, 도 10의 (c), (b), (a) 순으로 집체틀(60)에 결합되는데, 다만,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반대편에서 걸이판(61)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종동 베벨기어축(74)은 집체틀(60) 결합의 최후 단계에서 종지지편(69)을 관통하여 종동베벨기어(72)에 결합된다.
1 : 연동장치 2 : 안내프레임
3 : 구동부 4 : 동력전달부
5 : 단속클러치부 6 : 개폐모드 선택부
7 : 프레임체 8 : 문짝
9 : 함체 10 : 자동문시스템
11 : 지지프레임 12-1, 12-2, 12-3 : 레일
13 : 연결부 15 : 제어부
17 : 3중 연동뭉치 20 : 개폐스위치
21 : 덮개판 30 : 감지센서
31 : 구동모터 33 : 감속기
41 : 전동기어열 43 : 벨트
45, 46 : 벨트풀리 57 : 밀대
60 : 집체틀 61 : 걸이판
62 : 덧판 63 : 걸이홈
64 : 안착턱 D : 3중문

Claims (6)

  1. 삭제
  2. 3중문(D)의 각 문짝(8)을 횡으로 연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안내프레임(2) 상에 장착되는 구동부(3)와 동력전달부(4)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온오프 동작됨으로써, 상기 3중문(D)을 개폐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부(3)에서 발생되어 상기 동력전달부(4)를 통해 상기 3중문(D)으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제어부(15)의 개폐 명령에 따라 단속하는 단속클러치부(5);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3)는 상기 단속클러치부(5)에 전원이 공급되는 때, 폐쇄된 상태의 상기 3중문(D)의 수동 개방을 구동모터(31)의 회전 저항에 의해 억제하고,
    상기 단속클러치부(5)는 상기 전원이 중단된 때, 동작이 오프되어 상기 동력전달부(4)와 상기 구동부(3) 사이의 연결을 끊음으로써, 상기 3중문(D)의 수동 개방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안내프레임(2)은,
    상기 구동부(3), 상기 단속클러치부(5), 및 상기 동력전달부(4)가 차례로 연결되어 장착되며, 3중 연동뭉치(17)를 통해 상기 각 문짝(8)이 횡으로 연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레임체(7); 및
    상기 프레임체(7)의 외곽을 둘러싸 마감하되, 상기 프레임체(7)에 상기 각 문짝(8)을 조립할 수 있도록 아래로 개방된 함체(9);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체(7)는 최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된 걸이판(61)과, 상기 걸이판(61)의 반대쪽에서 최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후방 또는 전방으로 연장된 덧판(62)을 구비하고,
    상기 함체(9)는 전방 또는 후방 측 내벽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걸이판(61)을 걸어 지지하는 걸이홈(63)과, 상기 걸이홈(63)의 반대쪽에서 후방 또는 전방 내벽면에 돌출되어 저면에 접촉하는 상기 덧판(62)과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안착턱(6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이판(61)은 상기 동력전달부(4)의 벨트풀리(45,46) 및 벨트(43)를 상기 구동부(3), 상기 단속클러치부(5), 및 상기 동력전달부(4)의 전동기어열(41)과 구분하면서 상기 벨트풀리(45,46) 및 상기 벨트(43)를 덮도록, 상기 프레임체(7)의 덮개판(21) 상에 상하로 세워진 ㄱ자 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7)는 상기 단속클러치부(5)와 상기 전동기어열(41)을 선조립하여 지지하는 집체틀(60)을 포함하되,
    상기 집체틀(60)은,
    상기 덮개판(21) 위에 부착되도록 바닥을 이루는 바닥편(65);
    상기 바닥편(65) 위에 폭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단속클러치부(5)를 상기 바닥편(65)과 나란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횡지지편(67); 및
    상기 바닥편(65) 위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세워져, 상기 전동기어열(41) 중 종동베벨기어(72)의 기어축(74)을 지지하는 한 쌍의 종지지편(6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클러치부(5)는 감지센서(30)를 통한 출입자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부(15)에 의해 동작이 온오프되어, 상기 동력전달부(4)와 상기 구동부(3) 사이의 연결을 단속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어부(15)를 통해 상기 단속클러치부(5)의 동작을 온오프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한 상기 3중문(D)의 개방을 상기 단속클러치부(5)의 동작이 온된 때 억제하고, 오프된 때 허용하는 개폐모드 선택부(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
KR1020160068908A 2016-06-02 2016-06-02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 KR101777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908A KR101777570B1 (ko) 2016-06-02 2016-06-02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908A KR101777570B1 (ko) 2016-06-02 2016-06-02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570B1 true KR101777570B1 (ko) 2017-09-13

Family

ID=59967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908A KR101777570B1 (ko) 2016-06-02 2016-06-02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5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624B1 (ko) 2019-10-02 2021-02-19 주식회사 태양프리미엄도어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
KR20230012352A (ko) 2021-07-15 2023-01-26 (주)엘엑스하우시스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및 이를 적용한 슬라이딩 도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688B1 (ko) * 2011-04-14 2012-09-27 (주) 금강씨에스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688B1 (ko) * 2011-04-14 2012-09-27 (주) 금강씨에스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624B1 (ko) 2019-10-02 2021-02-19 주식회사 태양프리미엄도어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
KR20230012352A (ko) 2021-07-15 2023-01-26 (주)엘엑스하우시스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및 이를 적용한 슬라이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0191B2 (en) A Driving System for An Automatic Sliding Door
KR100805364B1 (ko) 난간형 슬라이딩 자동도어
KR101777570B1 (ko)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
EP1672151A3 (en) Window lock and window opening and closing system
CN205026748U (zh) 抽屉式微波炉
CN105120548B (zh) 抽屉式微波炉
KR20110030788A (ko) 개방 폭 조절이 가능한 자동문
JP2008073133A (ja) 食器洗浄機
KR101769181B1 (ko) 볼스크류를 이용한 창짝 자동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CN101431920B (zh) 用于影响可彼此相对移动的家具部的移动的设备及家具
CN108166896B (zh) 一种柜门结构及镜柜
JP5605964B1 (ja) 複動式の開閉ドア
WO2012012847A1 (en) A driving system for an automatic sliding door
KR200368512Y1 (ko)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
CN209990319U (zh) 一种通用型玻璃升降器
KR200302946Y1 (ko) 자동 대문
JP4829607B2 (ja) 出窓の自動開閉装置
CN214532598U (zh) 一种动车组电动内端触摸按钮门
KR102320233B1 (ko) 붙박이장의 자동 미닫이 도어
JP2005021306A (ja) 電動昇降吊戸棚
JPH08151879A (ja) 建築用電動シャッターにおける開閉制御装置
JP3243205B2 (ja) ドア付き間仕切りにおけるドアロック装置
JP2006176964A (ja) 戸体装置
JPH041383A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構造
JP5319185B2 (ja) 簡易温室の自動開閉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