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453B1 -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 - Google Patents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453B1
KR101775453B1 KR1020150106232A KR20150106232A KR101775453B1 KR 101775453 B1 KR101775453 B1 KR 101775453B1 KR 1020150106232 A KR1020150106232 A KR 1020150106232A KR 20150106232 A KR20150106232 A KR 20150106232A KR 101775453 B1 KR101775453 B1 KR 101775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wall
module
hole
exhaus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4031A (ko
Inventor
박승복
김현령
김종선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50106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453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252
    • H01M2/36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내벽과 복수의 외벽으로 이루어진 미로구조와 복수의 내벽과 복수의 외벽에 형성된 홈을 통해 내누액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INTEGRAL TYPE BATTERY COVER FOR PREVENTING ELECTROLYTE LEAKAGE}
본 발명은 일체형 배터리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로구조와 내벽 또는 외벽에 형성된 홈을 통해 전해액 유출을 방지하는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는 양과 음의 전극판과 전해액으로 구성되어 있어, 화학작용에 의해 직류 기전력을 생기게 하여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즉, 차량용 배터리는 화학 에너지와 전기 에너지가 상호 전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전해액과 전극판의 화학적 작용을 전력을 공급시킬 수 있다.
종래부터 배터리가 기울어지거나 뒤집히는 경우에 전해액이 배터리 커버의 외부로 흘러나오는 현상을 막는 것이 문제되고 있으며, 배터리의 내압이 상승하지 않도록 가스를 배출시키는 것이 문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특허 제4486516호에는 배기실 내에서 전해액의 미스트나 수증기를 포함한 가스를 수평 방향으로 흘리는 동안 전해액의 미스트나 수증기를 결로시킴으로써 가스와 전해액을 분리하고, 가스를 외부에 배출하고, 또한 결로된 전해액을 셀내에 환류하는 미로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8850호는 가스배출구를 통해 가스를 배출하고, 전해액 환류구를 통해 가스와 배출되는 수분을 셀 내로 환류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다만 이러한 발명들의 경우 미로구조가 단순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 혹은 축전지가 기울여지거나 뒤집히는 경우에는 전해액의 유출을 막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미국 특허 제4486516호(1984.12.04 등록)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8850호(2009.04.21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배기모듈 내부에 보다 복잡한 미로구조를 형성하고, 미로구조를 형성하는 내벽과 외벽에 각각 홈이 형성되어 배터리가 기울어지더라도 전해액의 압력을 분산시키며, 전해액의 표면장력과 미로구조를 이용해 전해액이 내부 배기홀에 도달할 때까지의 유속을 감소시켜 전해액의 유출을 막는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를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체형 배터리 커버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지지벽, 상기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양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 상기 지지벽 사이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배기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배기모듈은 배터리가 작동할 때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모듈 내부로 유입되는 외곽홀,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배기구와 연통하는 배기통로, 배기모듈 덮개,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배기통로와 연통하는 내부 배기홀, 상기 배기모듈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내벽, 상기 배기모듈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기통로는 상기 배기모듈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외곽홀은 상기 배기통로가 형성된 양 측면을 제외한 상기 배기모듈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외벽은 상기 외벽의 일면에서 상기 외벽의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외벽의 타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내벽은 상기 내벽의 일면에서 상기 내벽의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내벽의 타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외벽과 수직을 이루는 상기 하나 이상의 내벽이 단일 통로를 형성하여 미로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되, 상기 내부 배기홀은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통로와 상기 미로구조에 사이에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기구는 상기 배기통로가 형성된 상기 배기모듈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과 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를 제공한다.
상기 내부 배기홀은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외곽홀을 통해 상기 미로구조로 유입되면, 유입된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내부 배기홀을 통해 상기 미로구조에서 상기 배기통로로 연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내부 배기홀로부터 상기 배기통로로 연통된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터리 커버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모듈 덮개는 상기 배기모듈 덮개의 일측단에 형성된 배기모듈 덮개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기모듈 덮개홀은 상기 배기모듈 덮개의 일측단에 홈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모듈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모듈 덮개는 상기 외곽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배기모듈의 일면으로부터 마주보는 상기 배기모듈의 타면의 일측단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배기모듈 덮개가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내벽에 형성된 홈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외벽에 형성된 홈의 형상은 쐐기형, 반원형 또는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에 의하면, 배터리가 작동하는 때에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배터리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고, 전해액의 압력과 미로구조를 이용해 전해액의 유속을 감소시켜 배터리가 기울어지거나 뒤집히는 경우에도 전해액의 유출을 막을 수 있으며, 미로구조를 구성하는 내벽 및 외벽에 형성된 홈을 통해 전해액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전해액의 유속을 감소시켜 전해액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일 구성인 배기모듈과 비교할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저면도에서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일 구성인 배기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일 구성인 배기모듈과 비교할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배기모듈과 비교할 실시예(10)는 중앙벽(20), 격벽(30), 배기통로(4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벽(20)을 통해 복수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격벽(30)은 상호 이격되어 단일 통로를 형성하는 미로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중앙벽(20)을 통해 복수의 공간이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공간은 격벽(30)이 상호 이격되어 단일 통로를 형성하는 미로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배기모듈과 비교할 실시예(10)에 따를 때, 전해액은 격벽(30)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한 미로구조를 통해 흐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터리 커버 외부로 전해액이 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인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100)와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배기모듈과 비교할 실시예(10)에 있어서, 전해액의 이동 구간, 전해액이 흐르는 이동 구간에 형성된 저항 발생 구간을 비교하면 하기와 같다.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100)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배기모듈과 비교할 실시예(10)

전해액의 이동 구간


114.86㎜


67.46㎜

전해액이 흐르는 이동 구간에 형성된 저항 발생 구간


4


0
전해액의 이동 구간은, 본 발명인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100)의 배기모듈(300)의 내벽(340)과 외벽(350)으로 이루어진 미로구조에서의 전해액 이동 거리와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배기모듈과 비교할 실시예(10)의 격벽(30)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한 미로구조에서의 전해액 이동 거리를 비교한 경우이다.
상기 표를 고려하면, 본 발명인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100)가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배기모듈과 비교할 실시예(10)보다 전해액의 이동 구간이 길기 때문에 전해액이 이동하는 시간 또한 본 발명인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100)가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배기모듈과 비교할 실시예(10)보다 오래 걸리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내누액성 즉, 전해액의 유출을 막는 효과가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전해액이 흐르는 이동 구간에 형성된 저항은 전해액이 흐르는 동안에 전해액의 유속을 저하 시키는 요인을 말하는 것으로, 전해액의 표면장력 또는 전해액이 받는 압력을 의미한다.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배기모듈과 비교할 실시예(10)는 전해액이 흐르는 이동 구간에 형성된 저항 발생 구간이 없다.
본 발명인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100)는 배기모듈(300)의 내벽(340)에 형성된 홈(360)과 외벽(350)에 형성된 홈(360)은 전해액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전해액의 유속을 저하 시킨다.
그러므로, 전해액이 흐르는 이동 구간에 형성된 저항 발생 구간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인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100)가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배기모듈과 비교할 실시예(10)보다 전해액의 유속이 느리다.
따라서 본 발명인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100)가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배기모듈과 비교할 실시예(10)보다 내누액성 즉, 전해액의 유출을 막는 효과가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인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100)는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배기모듈과 비교할 실시예(10)에 비해서 전해액이 흐르는 이동 구간의 길이가 1.7 배 늘어났으며, 전해액이 흐르는 이동 구간에 형성된 저항 발생 구간은 4개가 생겨났다.
즉, 전해액이 흐르는 이동 구간이 길어졌고, 전해액의 유속을 저하시키는 저항 발생 구간이 생성되므로, 본 발명인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100)가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배기모듈과 비교할 실시예(10)보다 내누액성 즉, 전해액의 유출을 막는 효과가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100)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손잡이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를 탈착시킬 수 있다.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100)의 양 측면에는 배기가스가 배터리 내부에서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배기구(2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100)는 저면에 하나 이상의 배기모듈이 삽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100)의 양 측면에는 배기가스가 배터리 내부에서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배기구(2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100)의 저면에는 지지벽(400)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벽(400) 사이에는 배기모듈(300)이 삽입될 수 있다.
배기모듈(300)은 내벽(340), 외벽(350), 내벽(340) 또는 외벽(350)에 형성된 홈(360), 내부 배기홀(370)을 포함할 수 있다.
내벽(340)의 일면에서 내벽(340)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 방향으로 홈(360)이 형성될 수 있다.
외벽(350)의 일면에서 외벽(350)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 방향으로 홈(360)이 형성될 수 있다.
내벽(340)에 형성될 수 있는 홈(360) 및 외벽(350)에 형성될 수 있는 홈(360)의 형상은 쐐기형, 반원형 또는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저면도에서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배기모듈(300)은 내벽(340), 외벽(350), 내벽(340) 또는 외벽(350)에 형성된 홈(360), 내부 배기홀(370)을 포함할 수 있다.
내벽(340)은 상호 이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벽(340)은 하나 이상의 외벽(350)과 수직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벽(340)은 상호 이격된 형태로 형성되어, 외벽(350)과 수직인 형태로 단일 통로를 형성하는 미로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내벽(340)의 일면에서 내벽(340)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 방향으로 홈(360)이 형성될 수 있다.
외벽(350)의 일면에서 외벽(350)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 방향으로 홈(360)이 형성될 수 있다.
외벽(350)에 형성된 홈(360)을 통해 배기모듈(300) 외부로부터 전해액 또는 배기가스가 유입될 수 있다.
내벽(340)에 형성된 홈(360)을 통해 전해액 또는 배기가스가 내부 배기홀(370)로 유출될 수 있다.
내부 배기홀(370)은 배기가스를 후술할 배기통로(380)로 유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일 구성인 배기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배기모듈(300)은 외곽홀(310), 배기모듈 덮개(320), 배기모듈 덮개홀(330), 내벽(340), 외벽(350), 내벽(340) 또는 외벽(350)에 형성된 홈(360), 내부 배기홀(370), 배기통로(380)를 포함할 수 있다.
외곽홀(310)은 배기통로(380)가 형성될 수 있는 배기모듈(300)의 양 측면을 제외한 배기모듈(3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외곽홀(310)의 면적은 5.0 ㎟ 일 수 있다.
외곽홀(310)은 배기모듈(300)의 외부로부터 배기가스를 배기모듈(30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배기모듈 덮개(320)의 측단은 외곽홀(310)이 형성될 수 있는 배기모듈(300)의 일면의 측단 또는 외곽홀(310)이 형성될 수 있는 배기모듈(300)의 일면이 바라보는 타면의 측단에 고정될 수 있다.
배기모듈 덮개(320)이 고정될 수 있는 측단의 타단은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배기모듈 덮개(320)는 개폐될 수 있다.
배기모듈 덮개홀(330)은 배기모듈 덮개(320)의 고정되지 않은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배기모듈 덮개홀(330)의 면적은 5.0 ㎟ 일 수 있다.
배기모듈 덮개홀(330)을 통해서 배기모듈(300)의 외부로부터 배기가스를 배기모듈(30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내벽(340)은 배기모듈(300)의 일면으로부터 직립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벽(340)의 일면에서 내벽(340)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 방향으로 홈(360)이 형성될 수 있다.
내벽(340)에 형성된 홈(360)을 통해 전해액 또는 배기가스가 내부 배기홀(370)로 유출될 수 있다.
외벽(350)은 배기모듈(300)의 일면으로부터 직립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외벽(350)의 일면에서 외벽(350)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 방향으로 홈(360)이 형성될 수 있다.
외벽(350)에 형성된 홈(360)을 통해 배기모듈(300) 외부로부터 전해액 또는 배기가스가 유입될 수 있다.
내벽(340)은 하나 이상의 외벽(350)과 수직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벽(340)은 상호 이격된 형태로 형성되어, 외벽(350)과 수직인 형태로 단일 통로를 형성하는 미로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내부 배기홀(370)은 미로구조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배기홀(370)은 미로구조와 배기통로(380) 사이로 배기가스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기통로(380)는 내부 배기홀(370)을 통해 연통된 배기가스를 상술한 배기구(200)를 통해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100)의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100)는 지지벽(400), 배기모듈(300), 외곽홀(310), 배기모듈 덮개(320), 배기모듈 덮개홀(330), 배기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100)의 저면에는 지지벽(400)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벽(400) 사이에는 배기모듈(300)이 삽입될 수 있다.
배기모듈(300)의 양 측면 또는 일 측면이 지지벽(400) 또는 배기구(200)와 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기모듈(300)의 양 측면 또는 일 측면이 지지벽(400) 또는 배기구(200)와 밀착되어 형성되어, 외곽홀(310) 및 배기모듈 덮개홀(330)로부터 유입된 배기가스가 배기구(200)를 통해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10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지지벽(400)과 배기모듈(300)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는 배기통로(380)가 밀착되는 지지벽(400)의 일면은 관통될 수 있다.
배기통로(380)와 지지벽(400)의 일면에 관통된 공간이 밀착되어 배기가스가 연통될 수 있다.
배기통로(380)와 지지벽(400)의 일면에 관통된 공간을 통해 배기가스가 배기구(200)를 통하여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10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배기모듈(300)은 외곽홀(310), 배기모듈 덮개(320), 배기모듈 덮개홀(330), 내벽(340), 외벽(350), 내벽 또는 외벽에 형성된 홈(360)을 포함할 수 있다.
외곽홀(310)은 배기통로(380)가 형성될 수 있는 배기모듈(300)의 양 측면을 제외한 배기모듈(3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외곽홀(310)의 면적은 5.0 ㎟ 일 수 있다.
외곽홀(310)은 배기모듈(300)의 외부로부터 배기가스를 배기모듈(30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배기모듈 덮개(320)의 측단은 외곽홀(310)이 형성될 수 있는 배기모듈(300)의 일면의 측단 또는 외곽홀(310)이 형성될 수 있는 배기모듈(300)의 일면이 바라보는 타면의 측단에 고정될 수 있다.
배기모듈 덮개(320)이 고정될 수 있는 측단의 타단은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배기모듈 덮개(320)는 개폐될 수 있다.
배기모듈 덮개홀(330)은 배기모듈 덮개(320)의 고정되지 않은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배기모듈 덮개홀(330)의 면적은 5.0 ㎟ 일 수 있다.
배기모듈 덮개홀(330)을 통해서 배기모듈(300)의 외부로부터 배기가스를 배기모듈(30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내벽(340)은 배기모듈(300)의 일면으로부터 직립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벽(340)의 일면에서 내벽(340)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 방향으로 홈(360)이 형성될 수 있다.
내벽(340)에 형성된 홈(360)을 통해 전해액 또는 배기가스가 내부 배기홀(370)로 유출될 수 있다.
외벽(350)은 배기모듈(300)의 일면으로부터 직립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외벽(350)의 일면에서 외벽(350)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 방향으로 홈(360)이 형성될 수 있다.
외벽(350)에 형성된 홈(360)을 통해 배기모듈(300) 외부로부터 전해액 또는 배기가스가 유입될 수 있다.
내벽(340)은 하나 이상의 외벽(350)과 수직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벽(340)은 상호 이격된 형태로 형성되어, 외벽(350)과 수직인 형태로 단일 통로를 형성하는 미로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에서 전극판의 화학적 작용을 통해 생성되는 배기가스와 전해액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배기가스는 배기모듈(300)의 외곽홀(310)과 배기모듈 덮개홀(330)을 통해 배기모듈(3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배기모듈(300)의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내벽(340)과 외벽(350)으로 이루어진 미로구조를 통과할 수 있으며, 미로구조 내부에 형성될 수 있는 내부 배기홀(370)내부 배기홀(370)(180)로 유입될 수 있다.
배기통로(380)에 유입된 배기가스는 배기통로(380)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과 밀착되어 형성된 배기구(200)를 통해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10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전해액은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100)가 덮힌 배터리가 기울어지거나 뒤집힌 경우에 있어서, 외곽홀(310) 과 배기모듈 덮개홀(330)을 통해 배기모듈(3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외곽홀(310)의 면적과 배기모듈 덮개홀(330)의 면적이 작을수록 전해액의 유출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나 사출시 외곽홀(310) 또는 배기모듈 덮개홀(330)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식을 통해 전해액의 유속을 저하시키고, 전해액이 유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항을 최대화시키는 외곽홀(310)의 면적과 배기모듈 덮개홀(330)의 면적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5073035109-pat00001
Figure 112015073035109-pat00002
상술한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서 유속은 전해액의 유속을 의미하며, 홀은 외곽홀(310) 또는 배기모듈 덮개홀(330)를 의미하며, 유체 및 액체는 전해액을 의미하고, 이동길이는 전해액의 이동길이를 의미한다.
상술한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통해 외곽홀(310)의 면적은 5.0 ㎟ 일 수 있으며, 배기모듈 덮개홀(330)의 면적은 5.0 ㎟ 일 수 있다.
배기모듈(300)의 내부로 유입된 전해액은 내벽(340)과 외벽(350)으로 이루어진 미로구조, 내벽(340)에 형성될 수 있는 홈(360) 및 외벽(350)에 형성될 수 있는 홈(360)을 지나가면서 전해액의 표면장력이 발생하여 전해액의 유속이 느려질 수 있으며, 전해액의 유속이 느려지는 것을 통해, 본 발명이 기존의 배터리 커버들에 비해 내누액성이 향상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배기모듈과 비교할 실시예
100: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
20: 중앙벽 30: 격벽
40: 배기통로 200: 배기구
300: 배기모듈 310: 외곽홀
320: 배기모듈 덮개 330: 배기모듈 덮개홀
340: 내벽 350: 외벽
360: 내벽 또는 외벽에 형성된 홈 370: 내부 배기홀
380: 배기통로 400: 지지벽

Claims (5)

  1. 일체형 배터리 커버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지지벽;
    상기 일체형 배터리 커버의 양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
    상기 지지벽 사이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배기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배기모듈은
    배터리가 작동할 때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모듈 내부로 유입되는 외곽홀;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배기구와 연통하는 배기통로;
    배기모듈 덮개;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배기통로와 연통하는 내부 배기홀;
    상기 배기모듈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내벽;
    상기 배기모듈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통로는
    상기 배기모듈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곽홀은
    상기 배기통로가 형성된 양 측면을 제외한 상기 배기모듈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외벽은
    배기모듈의 일면으로부터 직립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벽의 일면에서 상기 외벽의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외벽의 타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내벽은
    배기모듈의 일면으로부터 직립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내벽의 일면에서 상기 내벽의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내벽의 타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외벽과 수직을 이루는 상기 하나 이상의 내벽이 단일 통로를 형성하여 미로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내부 배기홀은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통로와 상기 미로구조에 사이에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구는
    상기 배기통로가 형성된 상기 배기모듈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과 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측면 및 상기 배기모듈의 내측면이 전해액이 흐르는 이동 구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배기홀은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외곽홀을 통해 상기 미로구조로 유입되면, 유입된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내부 배기홀을 통해 상기 미로구조에서 상기 배기통로로 연통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구는
    상기 내부 배기홀로부터 상기 배기통로로 연통된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터리 커버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모듈 덮개는
    상기 배기모듈 덮개의 일측단에 형성된 배기모듈 덮개홀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모듈 덮개홀은
    상기 배기모듈 덮개의 일측단에 홈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모듈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모듈 덮개는
    상기 외곽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배기모듈의 일면으로부터 마주보는 상기 배기모듈의 타면의 일측단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배기모듈 덮개가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내벽에 형성된 홈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외벽에 형성된 홈의 형상은 쐐기형, 반원형 또는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인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
KR1020150106232A 2015-07-28 2015-07-28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 KR101775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232A KR101775453B1 (ko) 2015-07-28 2015-07-28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232A KR101775453B1 (ko) 2015-07-28 2015-07-28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031A KR20170014031A (ko) 2017-02-08
KR101775453B1 true KR101775453B1 (ko) 2017-09-07

Family

ID=58155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232A KR101775453B1 (ko) 2015-07-28 2015-07-28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4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6161B2 (ja) 2009-06-02 2014-01-22 古河電池株式会社 蓄電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92947A (en) 1982-10-28 1985-09-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Low silhouette venting system for electric storage battery
CN101501889B (zh) 2006-08-04 2011-09-28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铅蓄电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6161B2 (ja) 2009-06-02 2014-01-22 古河電池株式会社 蓄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031A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9968B2 (en) Battery pack
US10135048B2 (en) Lead-acid battery
JP2015002166A (ja) 鉛蓄電池
KR101808970B1 (ko) 세퍼레이터 및 연료 전지
WO2013124982A1 (ja) 角形二次電池
JP5245335B2 (ja) 鉛蓄電池
JP2012515428A5 (ko)
JP2010282743A (ja) 蓄電池
JP2012221691A (ja) 燃料電池
JP2017033900A (ja) 鉛蓄電池
JP2015050113A (ja) 蓄電池用液口栓及びこれを備えた蓄電池
KR101775453B1 (ko) 내누액성이 향상된 일체형 배터리 커버
JP5365046B2 (ja) 鉛蓄電池
JP5183985B2 (ja) 蓄電池
JP2017182986A (ja) 鉛蓄電池
JP2016091733A (ja) 燃料電池の気液分離器
JP2008177042A (ja) 蓄電池用二重蓋排気構造
JP2004303705A (ja) 燃料電池装置
JP5348951B2 (ja) 二重蓋を有する蓄電池の排気構造
JP2005166320A5 (ko)
JP2013004436A (ja) 鉛蓄電池
JP6028742B2 (ja) 電池モジュール
JP2005228649A (ja) 蓄電池排気構造
JP2008041587A (ja) 密閉形鉛蓄電池
JP2005166320A (ja) 鉛蓄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