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776B1 -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776B1
KR101765776B1 KR1020167006154A KR20167006154A KR101765776B1 KR 101765776 B1 KR101765776 B1 KR 101765776B1 KR 1020167006154 A KR1020167006154 A KR 1020167006154A KR 20167006154 A KR20167006154 A KR 20167006154A KR 101765776 B1 KR101765776 B1 KR 101765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bracket
boss portion
controller assembly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6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377A (ko
Inventor
마사히로 나가노
마코토 사사키
요시아키 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70051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6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7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specific features for mounting the housing on an external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5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a containment or docking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컨트롤러 조립체(10)는, 유압 셔블(3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면(20c)에 장착되어 있다. 컨트롤러 조립체(10)는, 컨트롤러 본체(1)와, 제1 브래킷(2)과, 제2 브래킷(3)과, 제진 부재(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브래킷(2)은, 상기 측벽면(20c)에 장착된다. 제2 브래킷(3)은, 컨트롤러 본체(1)에 고정되어 있다. 제진 부재(4)는, 상하 방향의 한쪽 끝에서 제1 브래킷(2)을 지지하고, 또한 상하 방향의 다른 쪽 끝에서 제2 브래킷(3)을 제1 브래킷(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Description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차량{CONTROLLER ASSEMBLY AND WORK VEHICLE}
본 발명은,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차량(work vehicle)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작업 기계에 있어서, 고기능화에 따라 종래부터 다수의 머신 컨트롤러가 탑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머신 컨트롤러의 구성 및 배치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553857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있어서는, 측면에서 볼 때 U자 형상의 브래킷(bracket)의 바닥면 상에 제진(制振) 부재가 개재되어 배치판(placement plate)이 배치되어 있고, 그 배치판 상에 머신 컨트롤러가 배치되어 있다. 브래킷과 배치판과의 사이의 제진 부재에 의해 진동이 감쇠(減衰; attenuate)되므로, 배치판 상에 배치된 컨트롤러가 차량의 가속도에 대하여 보호된다.
일본 특허 제5538575호 공보
상기 공보에 있어서는, 머신 컨트롤러는 운전석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위치에는, 복수의 컨트롤러가 집중 배치되어 있고,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의 고기능화에 따라 컨트롤러가 종래보다 증설되어 있다. 그러므로, 컨트롤러를 배치하기 위한 가로 방향의 스페이스가 적어지게 되어, 기기(機器)의 조립이나 수리가 곤란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유압 셔블 등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의 진동이 지배적으로 된다. 그러므로, 상하 방향의 진동으로부터 머신 컨트롤러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작은 가로 방향의 스페이스 내에 배치 가능하고, 또한 상하 방향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키는 것이 가능한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 조립체는, 작업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에 장착되는 컨트롤러 조립체로서, 컨트롤러 본체와, 제1 브래킷과, 제2 브래킷과, 제진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브래킷은, 상기 벽면에 장착된다. 제2 브래킷은, 컨트롤러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제진 부재는, 상하 방향의 한쪽 끝에서 제1 브래킷을 지지하고, 또한 상하 방향의 다른 쪽 끝에서 제2 브래킷을 제1 브래킷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 조립체에 의하면, 제1 브래킷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브래킷가 개재되어 컨트롤러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컨트롤러 조립체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이 컨트롤러 조립체를 작은 가로 방향의 스페이스 내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진 부재가 상하 방향의 한쪽 끝에서 제1 브래킷을 지지하고, 또한 상하 방향의 다른 쪽 끝에서 제2 브래킷을 지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제1 브래킷에 대한 제2 브래킷의 상하 방향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제진 부재에 의해 감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컨트롤러 조립체에 있어서, 벽면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과 상하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했을 때, 제진 부재는 컨트롤러 본체의 폭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제진 부재를 컨트롤러 본체의 상기 직교 방향으로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컨트롤러 조립체의 상기 직교 방향에서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직교 방향의 스페이스가 작은 영역에도 컨트롤러 조립체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컨트롤러 조립체에 있어서, 제1 브래킷은, 제1 보스부와, 제1 구멍부를 가지고 있다. 제2 브래킷은, 제2 보스부와, 제2 구멍부를 가지고 있다. 제1 보스부(boss)는 상하 방향의 한쪽 측으로 연장되어 제2 구멍부를 관통하고 있다. 제2 보스부는 상하 방향의 다른 쪽 측으로 연장되어 제1 구멍부를 관통하고 있다.
이로써, 제1 브래킷과 제2 브래킷의 조립 시에, 제1 브래킷에 대하여 제2 브래킷을 상하 방향의 다른 쪽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브래킷의 제1 보스부를 제2 브래킷의 제2 구멍부에 삽통(揷通)할 수 있는 동시에, 제2 브래킷의 제2 보스부를 제1 브래킷의 제1 구멍부에 삽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브래킷과 제2 브래킷과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상기한 컨트롤러 조립체에 있어서, 제1 보스부는 제2 보스부보다 상하 방향의 한쪽 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보스부의 한쪽 측의 단부(端部)에 제1 제진 부재 고정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보스부의 다른 쪽 측의 단부에 제2 제진 부재 고정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보스부가 제2 보스부보다 상하 방향의 한쪽 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 보스부의 한쪽 측에 제2 보스부가 위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보스부의 한쪽 측의 단부의 제1 제진 부재 고정부에 제1 제진 부재 고정 부재를 장착할 때 제2 보스부가 간섭하지 않아, 제1 제진 부재 고정부에 대한 제1 제진 부재 고정 부재의 장착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2 보스부의 다른 쪽 측에 제1 보스부가 위치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2 보스부의 다른 쪽 측의 단부의 제2 제진 부재 고정부에 제2 제진 부재 고정 부재를 장착할 때 제1 보스부가 간섭하지 않아, 제2 제진 부재 고정부에 대한 제2 제진 부재 고정 부재의 장착이 용이해진다. 이상으로부터, 컨트롤러 조립체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상기한 컨트롤러 조립체에 있어서, 제1 보스부와 제2 보스부는 동심(同心)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제1 보스부와 제2 보스부가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작은 가로 방향의 스페이스 내에 컨트롤러 조립체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컨트롤러 조립체에 있어서, 컨트롤러 본체는, 본체부와, 그 본체부의 상단(上端)에 배치된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로써, 컨트롤러 조립체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부로의 케이블 등의 접속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한 컨트롤러 조립체에 있어서, 컨트롤러 본체는, 본체부와, 그 본체부의 상부에 배치된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로써, 컨트롤러 조립체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인디케이터부를 관찰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한 컨트롤러 조립체에 있어서, 벽면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과 상하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했을 때, 상하 방향에서의 컨트롤러 본체의 높이 치수는, 폭 방향에서의 컨트롤러 본체의 폭 치수보다 작다.
이로써, 컨트롤러 조립체의 높이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상하로 연장되는 벽면에 창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그 창 아래에 컨트롤러 조립체를 배치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상기한 컨트롤러 조립체에 있어서, 벽면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과 상하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했을 때, 폭 방향에서의 컨트롤러 본체의 폭 치수와 상하 방향에서의 컨트롤러 본체의 높이 치수는, 직교 방향에서의 컨트롤러 본체의 안길이 치수보다 크다.
이로써, 작은 안길이 방향의 스페이스 내에 컨트롤러 조립체를 배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한 컨트롤러 조립체에 있어서, 벽면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부터 컨트롤러 본체를 보았을 때, 컨트롤러 본체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제1 브래킷은 벽면 장착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컨트롤러를 조립 후에, 벽면 장착용 구멍을 이용하여, 컨트롤러 조립체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컨트롤러 조립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에 대한 장착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은, 상기한 어느 하나의 컨트롤러 조립체와, 그 컨트롤러 조립체가 장착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작업 차량에 의하면, 상기한 어느 하나의 컨트롤러 조립체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에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작은 가로 방향의 스페이스 내에 컨트롤러 조립체를 배치 가능하고, 또한 컨트롤러 조립체에 가해지는 상하 방향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작업 차량은, 운전석을 더 구비하고 있다. 컨트롤러 조립체는, 적어도 그 운전석의 좌우 방향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에 의해 컨트롤러 조립체의 육안 관찰, 취급 등이 용이해진다.
상기한 작업 차량은, 캡(cab)과, 작업기를 더 구비하고 있다. 캡은, 운전석과 컨트롤러 조립체가 배치된 내부 공간을 가지고 있다. 작업기(work machine)는, 캡의 좌우 방향의 한쪽 측에 배치되어 있다. 컨트롤러 조립체는, 운전석의 좌우 방향의 다른 쪽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작업기는, 캡의 좌우 방향의 한쪽 측에 배치되어 있고, 캡의 좌우 방향의 다른 쪽 측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캡의 좌우 방향의 다른 쪽 측의 측면을, 평면에서 볼 때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시킬 수도 있다. 이로써, 운전석의 좌우 방향의 다른 쪽 측에서, 캡의 내부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그 확장된 공간 내에 컨트롤러 조립체를 배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작은 가로 방향의 스페이스 내에 배치 가능하고, 또한 상하 방향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키는 것이 가능한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차량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압 셔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A) 및 평면도(B)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 셔블의 캡 내를 나타낸 일부 파단(破斷)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컨트롤러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컨트롤러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컨트롤러 조립체의 구성을 벽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유압 셔블의 캡 내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컨트롤러 조립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에 대한 장착 방법의 제1 단계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컨트롤러 조립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에 대한 장착 방법의 제2 단계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컨트롤러 조립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에 대한 장착 방법의 제3 단계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컨트롤러 조립체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차량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 가능한 작업 차량의 일례로서 유압 셔블에 대해서 도 1의 (A), 도 1의 (B)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유압 셔블 이외에 불도저(bulldozer), 휠 로더(wheel loader) 등의 작업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예에 있어서는, 캡(운전실)(20) 내의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각 부의 위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후 방향이란,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전후 방향을 말한다. 좌우 방향이란,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좌우 방향을 말한다. 상하 방향이란,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상하 방향을 말한다.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에게 정대(正對; facing)하는 방향이 전방향이며, 전방향으로 대향하는 방향이 후방향이다.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정면에 정대했을 때의 우측, 좌측이 각각 우측 방향, 좌측 방향이다.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시트(operator's seat)측이 하측이고, 머리(operator's head) 측이 상측이다.
도 1의 (A) 및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압 셔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 셔블의 캡 내를 나타낸 일부 파단 확대 사시도이다.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30)은, 예를 들면, 후방 초소선회(超小旋回) 타입의 유압 셔블이다. 이 유압 셔블(30)은, 주행체(22)와, 선회체(旋回體)(23)와, 작업기(24)를 주로 가지고 있다. 주행체(22)와 선회체(23)에 의해 작업 차량 본체가 구성되어 있다.
주행체(22)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 트랙(crawler track) 장치(22a)를 가지고 있다. 이 좌우 한 쌍의 크롤러 트랙 장치(22a)의 각각은 크롤러 트랙을 가지고 있다. 이 좌우 한 쌍의 크롤러 트랙 장치(22a)가 회전 구동함으로써 유압 셔블(30)이 자주(自走)한다.
선회체(23)는 주행체(22)에 대하여 선회(旋回)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선회체(23)는, 캡(20)과, 엔진룸(26)과,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27)를 주로 가지고 있다.
캡(20)은, 선회체(23)의 전방 좌측(차량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룸(26) 및 카운터웨이트(27)의 각각은, 선회체(23)의 후방측(차량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룸(26)은, 엔진 유닛(엔진, 배기 처리 구조체 등)을 수납하고 있다. 엔진룸(26)의 위쪽은 엔진 후드(engine hood)에 의해 덮혀져 있다. 카운터웨이트(27)는, 엔진룸(26)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작업기(24)는, 선회체(23)의 전방측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작업기(24)는, 예를 들면, 붐(boom)(24a), 암(arm)(24b), 버킷(bucket)(24c), 유압(油壓) 실린더(24d, 24e, 24f) 등을 가지고 있다. 붐(24a)의 기단부(基端部)는, 선회체(2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암(24b)의 기단부는 붐(24a)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버킷(24c)은, 암(24b)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붐(24a), 암(24b) 및 버킷(24c)의 각각이 유압 실린더(24d, 24e, 24f)에 의해 구동되는 것에 의해 작업기(24)는 구동 가능하다.
작업 차량의 각 부의 위치 관계의 기준은, 캡(20) 내의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에게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예의 유압 셔블에서는, 작업기(24)를 기준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평면에서 볼 때, 선회체(23)로부터 작업기(24)가 연장되는 방향이 전후 방향이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작업기(4)가 돌출되어 있는 측이 전방향이며, 전방향과는 반대측이 후방향이다. 평면에서 볼 때 전후 방향와 직교하는 방향이, 좌우 방향이다. 전방향을 보아 좌우 방향의 우측, 좌측이, 각각 우측 방향, 좌측 방향이다.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서 정해지는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 지면이 있는 쪽이 하방향, 하늘이 있는 쪽이 상방향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20)의 내부 공간에는, 운전석(20a)과, 컨트롤러 조립체(10)가 주로 배치되어 있다. 운전석(20a)은, 캡(20)의 바닥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캡(2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으로서, 예를 들면, 운전석(20a)의 좌우 방향에 위치하는 측벽면(20c)을 가지고 있다. 이 측벽면(20c)에는, 예를 들면, 측방창(20ca)이 배치되어 있다.
측벽면(20c)에는, 컨트롤러 조립체(10)가 장착되어 있다. 컨트롤러 조립체(10)는, 예를 들면, 측방창(20ca)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컨트롤러 조립체(10)는, 보호 커버(20b)에 의해 덮혀져 있다. 보호 커버(20b)에는, 개구부(20b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20ba)를 통하여, 컨트롤러 조립체(10)의 인디케이터부(1b)가 육안 관찰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한 컨트롤러 조립체의 구성에 대해서 도 3∼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컨트롤러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컨트롤러 조립체의 구성을 벽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유압 셔블의 캡 내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트롤러 조립체(10)는, 컨트롤러 본체(1)와, 제1 브래킷(2)과, 제2 브래킷(3)과, 제진 부재(탄성 부재)(4)를 주로 가지고 있다.
컨트롤러 본체(1)는, 예를 들면, 정보화 시공 시스템에서의 작업 차량 및 작업 차량의 위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컨트롤러 본체(1)는, 본체부(1a)와, 인디케이터부(1b)와, 복수의 커넥터부(1c)와, 복수의 돌출 고정부(1d)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1a)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내부에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의 처리 장치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커넥터부(1c)는, 케이블 등을 접속하기 위한 부분이다. 복수의 커넥터부(1c)는, 본체부(1a)의 하나의 면에 집중하여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커넥터부(1c)는, 본체부(1a)의 상단면(上端面)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디케이터부(1b)는, 표시 램프 등의 복수의 표시부를 가지고 있다. 인디케이터부(1b)는, 본체부(1a)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인디케이터부(1b)는, 본체부(1a)의 상단면과 인접하는 경사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사면은, 상단면에 대하여 둔각(鈍角)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돌출 고정부(1d)는, 본체부(1a)의 4개의 측면 중 측벽면(20c)에 교차하는 2개의 측면의 각각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 고정부(1d)에는, 볼트 등의 고정 부재를 삽통하기 위한 관통공(1da)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a)의 하나의 측면에는, 2개의 돌출 고정부(1d)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1a)의 하나의 측면에 설치된 2개의 돌출 고정부(1d)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1 브래킷(2)은, 장착부(2a)와 지지부(2b1, 2b2)와, 보스부(2c)를 주로 가지고 있다. 장착부(2a)는, 작업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면(20c)에 장착되는 부재이다. 장착부(2a)는, 측벽면(20c)에 따르는 평판으로 되어 있고, 벽면 장착용 구멍(2d)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볼트(7)가 벽면 장착용 구멍(2d)에 삽통되어 측벽면(20c)에 나사결합되는 것에 의해, 장착부(2a)는 측벽면(20c)에 장착된다.
지지부(2b1, 2b2)의 각각은, 장착부(2a)와 1개의 판재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2b1, 2b2)의 각각은, 장착부(2a)로부터 측벽면(20c) 측과는 반대측에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부(2b1)는, 지지부(2b2)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2개의 지지부(2b1)는, 각각 장착부(2a)의 폭 방향의 한쪽 끝 측과 다른 쪽 끝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지지부(2b2)도, 각각 장착부(2a)의 폭 방향의 한쪽 끝 측과 다른 쪽 끝 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폭 방향이란, 측벽면(20c)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안길이 방향)과 상하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지지부(2b1)에는 보스부(2c)(제1 보스부)가 장착되어 있다. 보스부(2c)는, 예를 들면,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보스부(2c)는, 그 상단에 있어서 지지부(2b1)에 장착되어 있고, 그 지지부(2b1)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스부(2c)의 하단면(下端面)에는, 제1 제진 부재 고정부로서 암나사부 등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2b2)에는 관통공(2ba)(제1 구멍부)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ba)은, 지지부(2b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공(2ba)은, 예를 들면, 원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원형상의 직경은 원기둥 형상의 보스부(3c)의 외경보다 크다.
제2 브래킷(3)은, 고정부(3a)와, 지지부(3b1, 3b2)와, 보스부(3c)를 주로 가지고 있다. 고정부(3a)는, 컨트롤러 본체(1)가 고정되는 부분이다. 고정부(3a)는, 평판부와 돌출부(3d)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3d)는, 그 평판부로부터 측벽면(20c)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3d)의 선단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3d)에, 컨트롤러 본체(1)가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볼트(8)가 와셔(washer)(9)가 개재되어, 컨트롤러 본체(1)에서의 돌출 고정부(1d)의 관통공(1da)에 삽통되고, 돌출부(3d)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지지부(3b1, 3b2)의 각각은, 고정부(3a)와 1개의 판재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b1, 3b2)의 각각은, 고정부(3a)로부터 측벽면(20c) 측과는 반대측에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부(3b1)는, 지지부(3b2)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2개의 지지부(3b1)는, 각각 고정부(3a)의 폭 방향의 한쪽 끝 측과 다른 쪽 끝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지지부(3b2)도, 각각 고정부(3a)의 폭 방향의 한쪽 끝 측과 다른 쪽 끝 측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3b1)에는 보스부(3c)(제2 보스부)가 장착되어 있다. 보스부(3c)는, 예를 들면,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보스부(3c)는, 그 하단(下端)에 있어서 지지부(3b1)에 장착되어 있고, 그 지지부(3b1)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스부(3c)의 상단면에는, 제2 제진 부재 고정부로서 암나사부(3ca) 등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b2)에는 관통공(3ba)(제2 구멍부)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ba)은, 지지부(3b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공(3ba)는, 예를 들면, 원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원형상의 직경은 원기둥 형상의 보스부(2c)의 외경보다 크다.
보스부(2c)는 지지부(2b1)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지지부(3b2)의 관통공(3ba)을 관통하고 있다. 보스부(2c)에는, 2개의 탄성 부재(4), 지지부(3b2) 및 2개의 탄성 부재(4)가, 상기 순서로 끼워져 있다. 보스부(2c)에 이들 부재(4, 3b2)가 끼워진 상태로, 와셔(5)가 개재되어 볼트(6)가 보스부(2c)의 암나사부에 아래쪽으로부터 나사결합되어 있다.
보스부(3c)는 지지부(3b1)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지지부(2b2)의 관통공(2ba)을 관통하고 있다. 보스부(3c)에는, 2개의 탄성 부재(4), 지지부(2b2) 및 2개의 탄성 부재(4)가, 상기 순서로 끼워져 있다. 보스부(3c)에 이들 부재(4, 2b2)가 끼워진 상태로, 와셔(5)가 개재되어 볼트(6)가 보스부(3c)의 암나사부에 위쪽으로부터 나사결합되어 있다. 보스부(2c)와 보스부(3c)는 서로 동심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4)의 각각은, 중심에 관통공을 가지는 원환(圓環)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4)는, 탄성 부재(4)의 관통공 내에 원기둥 형상의 보스부(2c) 또는 보스부(3c)를 삽입함으로써 보스부(2c) 또는 보스부(3c)에 장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4)는, 예를 들면, 고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부(2b1)와 지지부(3b2)와의 사이에 배치된 예를 들면, 2개의 탄성 부재(4)에 의해 제진 부재(4)가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2b1)와 지지부(3b2)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진 부재(4)는, 그 상단에 있어서 지지부(2b1)와 맞닿음으로써 지지부(2b1)가 개재되어 제1 브래킷(2)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지지부(2b1)와 지지부(3b2)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진 부재(4)는, 그 하단에 있어서 지지부(3b2)와 맞닿음으로써 지지부(3b2)가 개재되어 제2 브래킷(3)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지지부(3b2)와 와셔(5)와의 사이에 배치된 예를 들면, 2개의 탄성 부재(4)에 의해 제진 부재(4)가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3b2)와 와셔(5)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진 부재(4)는, 그 상단에 있어서 지지부(3b2)와 맞닿음으로써 지지부(3b2)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지지부(3b2)와 와셔(5)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진 부재(4)는, 그 하단에 있어서 와셔(5)와 맞닿아 있다.
지지부(3b1)와 지지부(2b2)와의 사이에 배치된 예를 들면, 2개의 탄성 부재(4)에 의해 제진 부재(4)가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3b1)와 지지부(2b2)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진 부재(4)는, 그 상단에 있어서 지지부(2b2)와 맞닿음으로써 지지부(2b2)가 개재되어 제1 브래킷(2)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지지부(3b1)와 지지부(2b2)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진 부재(4)는, 그 하단에 있어서 지지부(3b1)와 맞닿음으로써 지지부(3b1)가 개재되어 제2 브래킷(3)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지지부(2b2)와 와셔(5)와의 사이에 배치된 예를 들면, 2개의 탄성 부재(4)에 의해 제진 부재(4)가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2b2)와 와셔(5)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진 부재(4)는, 그 하단에 있어서 지지부(2b2)와 맞닿음으로써 지지부(2b2)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지지부(2b2)와 와셔(5)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진 부재(4)는, 그 상단에 있어서 와셔(5)와 맞닿아 있다.
상기한 제진 부재(4)는, 유압 셔블(30) 및 캡(20)에 입력되는 진동을 감쇠(減衰)시키거나 진동의 증폭을 방지함으로써, 컨트롤러 본체(1)의 진동을 저감하는 것이다. 상기한 제진 부재(4)에 의해, 제2 브래킷(3)은 제1 브래킷(2)에 대하여 상하 방향의 진동을 감쇠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제진 부재(4)에 의해, 제2 브래킷(3)은 제1 브래킷(2)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4)의 각각은, 중심에 관통공을 가지는 원환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4)는, 탄성 부재(4)의 관통공 내에 원기둥 형상의 보스부(2c) 또는 보스부(3c)를 삽입함으로써 보스부(2c) 또는 보스부(3c)에 장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4)는, 예를 들면, 고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서의 컨트롤러 본체의 높이 치수(H)는, 폭 방향에서의 컨트롤러 본체(1)의 폭 치수(W)보다 작다. 또한, 컨트롤러 본체(1)의 폭 치수(W)와 컨트롤러 본체(1)의 높이 치수(H)는, 측벽면(20c)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컨트롤러 본체(1)의 안길이 치수 L보다 크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진 부재(탄성 부재)(4)는, 컨트롤러 본체(1)의 폭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측벽면(20c)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컨트롤러 본체(1)를 보았을 때, 컨트롤러 본체(1)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제1 브래킷(2)은 벽면 장착용 구멍(2d)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측벽면(20c)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컨트롤러 본체(1)를 보았을 때, 컨트롤러 본체(1)보다 상측 또는 하측의 위치에, 제1 브래킷(2)은 벽면 장착용 구멍(2d)을 가지고 있다. 이 벽면 장착용 구멍(2d)은, 측벽면(20c)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컨트롤러 본체(1)를 보았을 때 컨트롤러 본체(1)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이면, 컨트롤러 본체(1)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도 5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 상, 벽면 장착용 구멍(2d)에 삽통되는 볼트(7)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트롤러 조립체(10)는, 평면에서 볼 때, 운전석(20a)의 좌우 방향의 영역(R)(도면 중 해칭 영역) 내에 적어도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컨트롤러 조립체(10)의 일부가 운전석(20a)의 좌우 방향의 영역(R) 내에 위치하고 있으면, 컨트롤러 조립체(10)의 다른 부분은 상기 영역(R)의 밖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평면에서 볼 때, 캡(20)의 좌우 방향의 한쪽 측(예를 들면, 우측)에 작업기(24)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컨트롤러 조립체(10)는 운전석(20a)의 좌우 방향의 다른 쪽 측(예를 들면,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면에서 볼 때 작업기(24)가 배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캡(20)의 측벽면(20c)의 형상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작업기(24)와의 간섭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캡(20)의 측벽면(20c)을, 평면에서 볼 때 캡(2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 공간을 향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시킬 수 있다.
특히,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셔블(30)이 후방 초소선회 타입인 경우, 평면에서 볼 때 캡(20)의 측벽면(20c)의 형상은, 상기한 만곡 형상으로 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20)의 측벽면(20c)의 형상을 상기한 바와 같이 만곡시키는 것에 의해, 운전석(20a)의 좌우 방향의 다른 쪽 측에서, 캡(20)의 내부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그 확장된 공간 내에 컨트롤러 조립체(10)를 배치함으로써, 컨트롤러 조립체(10)의 캡(20) 내에 대한 배치가 용이해진다.
다음에, 상기한 컨트롤러 조립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면(20c)에 대한 장착 방법에 대해서 도 7∼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컨트롤러 조립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면에 대한 장착 방법을 단계순으로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도 9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 상, 컨트롤러 본체(1), 탄성 부재(4), 볼트(6, 8), 와셔(5, 9)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브래킷(2)이 볼트(7)에 의해 작업 차량의 측벽면(20c)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제1 브래킷(2)의 지지부(2b1)는, 지지부(2b2)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지지부(2b1)에 접속된 보스부(2c)는, 지지부(2b1)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컨트롤러 본체(도시하지 않음)가 제2 브래킷(3)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제2 브래킷(3)의 지지부(3b1)는, 지지부(3b2)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지지부(3b1)에 접속된 보스부(3c)는, 지지부(3b1)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후, 제2 브래킷(3)이 도면 중 화살표 A1으로 나타낸 컨트롤러 본체(1)의 안쪽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이로써, 제2 브래킷(3)이 제1 브래킷(2)에 근접하게 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제2 브래킷(3)의 안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보스부(3c)가 관통공(2ba)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고, 또한 보스부(2c)가 관통공(3ba)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1 브래킷(2)의 지지부(2b1)와 지지부(2b2)와의 사이에, 제2 브래킷(3)의 지지부(3b1)와 보스부(3c)가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되도록, 제1 브래킷(2)의 지지부(2b1)와 지지부(2b2)와의 사이의 상하 방향의 간격은, 제2 브래킷(3)의 지지부(3b1)와 보스부(3c)와의 상하 방향의 높이의 합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브래킷(3)의 지지부(3b1)와 지지부(3b2)와의 사이에, 제1 브래킷(2)의 지지부(2b1)와 보스부(2c)가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되도록, 제2 브래킷(3)의 지지부(3b1)와 지지부(3b2)와의 사이의 상하 방향의 간격은, 제1 브래킷(2)의 지지부(2b1)와 보스부(2c)와의 상하 방향의 높이의 합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제2 브래킷(3)이 도면 중 화살표 A2로 나타낸 상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제2 브래킷(3)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제1 브래킷(2)의 보스부(2c)는 제2 브래킷(3)의 관통공(3ba) 내에 상측으로부터 삽통되어, 관통공(3ba)을 관통한다. 보스부(2c)가 관통공(3ba) 내에 삽통 가능하도옥, 관통공(3ba)의 직경은 보스부(2c)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제2 브래킷(3)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제2 브래킷(3)의 보스부(3c)는 제1 브래킷(2)의 관통공(2ba) 내에 하측으로부터 삽통되어, 관통공(2ba)을 관통한다. 보스부(3c)가 관통공(2ba) 내에 삽통 가능하도록, 관통공(2ba)의 직경은 보스부(3c)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제1 브래킷(2)의 보스부(2c)의 축선과 제2 브래킷(3)의 보스부(3c)의 축선은 동일 직선(B―B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브래킷(2)의 보스부(2c)와 제2 브래킷(3)의 보스부(3c)는 서로 동심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 있어서는, 제1 브래킷(2)의 지지부(2b1) 및 제2 브래킷(3)의 지지부(3b2)의 사이와, 제2 브래킷(3)의 지지부(3b1) 및 제1 브래킷(2)의 지지부(2b2)의 사이의 각각에는,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만 설명의 편의 상, 그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는, 제2 브래킷(3)의 보스부(3c)는, 관통공(2ba)을 통하여, 지지부(2b2)보다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브래킷(2)의 보스부(2c)는, 관통공(3ba)을 통하여, 지지부(3b2)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2b2)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보스부(3c)에 탄성 부재(4)가 끼워진다. 그 탄성 부재(4)의 위로부터 와셔(5)가 개재되어 볼트(6)가 보스부(3c)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된다. 이로써, 지지부(2b2)와 지지부(3b1)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4)가 끼워넣어지는 동시에, 지지부(2b2)와 와셔(5)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4)가 끼워넣어져, 지지부(2b2)에 대하여 지지부(3b1)가 상하 방향으로 지지된다.
또한, 지지부(3b2)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보스부(2c)에 탄성 부재(4)가 끼워진다. 그 탄성 부재(4)의 아래로부터 와셔(5)가 개재되어 볼트(6)가 보스부(2c)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된다. 이로써, 지지부(2b1)와 지지부(3b2)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4)가 끼워넣어지는 동시에, 지지부(3b2)와 와셔(5)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4)가 끼워넣어져, 지지부(2b1)에 대하여 지지부(3b2)가 상하 방향으로 지지된다.
이로써,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면(20c)으로의 컨트롤러 조립체(10)의 장착이 완료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브래킷(2)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면(20c)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제1 브래킷(2) 및 제2 브래킷(3)이 개재되어 컨트롤러 본체(1)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면(20c)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컨트롤러 조립체(10)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면(20c)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가로 방향(안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탄성 부재(4)가 제1 브래킷(2)에 대하여 제2 브래킷(3)을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제1 브래킷(2)에 대한 제2 브래킷(3)의 상하 방향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부재(4)는, 컨트롤러 본체(1)의 측면의 폭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면(20c)과 직교하는 방향[컨트롤러 본체(1)의 안길이 방향]에서의 컨트롤러 조립체(10)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측벽면(20c)과 직교하는 방향의 스페이스가 적은 경우라도, 그 스페이스에 컨트롤러 조립체(10)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브래킷(2)의 보스부(2c)는 지지부(2b1)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제2 브래킷(3)의 관통공(3ba)을 관통하고 있고, 또한 제2 브래킷(3)의 보스부(3c)는 지지부(3b1)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제1 브래킷(2)의 관통공(2ba)을 관통하고 있다. 이로써, 보스부(2c)와 지지부(3b2)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4)를 배치하고, 또한 보스부(3c)와 지지부(2b2)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4)를 배치함으로써, 상하 방향의 양쪽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2b1)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보스부(2c)는 보스부(3c)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보스부(2c)의 아래쪽에 보스부(3c)가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보스부(2c)의 하단면의 암나사부에 볼트(6)를 나사결합하여 장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지지부(3b1)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보스부(3c)는 보스부(2c)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보스부(3c)의 위쪽에 보스부(2c)가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보스부(3c)의 상단면의 암나사부에 볼트(6)를 나사결합하여 장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컨트롤러 조립체(10)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부(2c)와 보스부(3c)는 서로 동심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보스부(2c)와 보스부(3c)가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가로 방향(폭 방향, 안길이 방향)의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부(1c)는, 본체부(1a)의 상단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커넥터부(1c)에 대한 케이블 등의 접속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부(1b)는, 본체부(1a)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창(20ca)의 아래에 컨트롤러 조립체(10)가 배치된 경우 등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인디케이터부(1b)를 관찰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서의 컨트롤러 본체(1)의 높이 치수(H)는, 폭 방향에서의 컨트롤러 본체(1)의 폭 치수(W)보다 작다. 이로써, 컨트롤러 조립체(10)의 높이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예를 들면, 캡(20)의 측방창(20ca)의 아래에 컨트롤러 조립체(10)를 배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방향에서의 컨트롤러 본체(1)의 폭 치수(W)와 상하 방향에서의 컨트롤러 본체(1)의 높이 치수(H)는, 벽면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안길이 방향)에서의 컨트롤러 본체(1)의 안길이 치수 L보다 크다. 이로써, 컨트롤러 조립체(10)의 안쪽 방향에 큰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측벽면(20c)과 직교하는 방향의 스페이스가 적은 경우라도, 그 스페이스에 컨트롤러 조립체(10)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면(20c)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컨트롤러 본체(1)를 보았을 때, 컨트롤러 본체(1)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제1 브래킷(2)은 벽면 장착용 구멍(2d)을 가지고 있다. 이로써, 컨트롤러 조립체(10)를 조립 후에 컨트롤러 조립체(10)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져, 장착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트롤러 조립체(10)는, 적어도 평면에서 볼 때 운전석(20a)의 좌우 방향의 영역(R)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운전석(20a)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에 의해 컨트롤러 조립체(10)의 육안 관찰, 취급 등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기(24)는, 평면에서 볼 때 캡(20)의 좌우 방향의 한쪽 측에 배치되어 있고, 컨트롤러 조립체(10)는 운전석(20a)의 좌우 방향의 다른 쪽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평면에서 볼 때 작업기(24)가 배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캡(20)의 측벽면(20c)의 형상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작업기(24)와의 간섭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캡(20)의 측벽면(20c)을, 평면에서 볼 때 캡(2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 공간을 향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시킬 수 있다. 이로써, 운전석(20a)의 좌우 방향의 다른 쪽 측에서, 캡(20)의 내부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 확장된 공간 내에 컨트롤러 조립체(10)를 배치함으로써, 컨트롤러 조립체(10)의 캡(20) 내에 대한 배치가 용이해진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지지부(2b2)와 지지부(3b1)와의 사이의 제진 부재(4), 지지부(2b1)와 지지부(3b2)와의 사이의 제진 부재(4), 지지부(2b2)와 와셔(5)와의 사이의 제진 부재(4), 및 지지부(3b2)와 와셔(5)와의 사이의 제진 부재(4)에 의해 제2 브래킷(3)은 제1 브래킷(2)에 대하여 상하 방향의 진동을 감쇠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 이상의 제진 부재(4)가, 상하 방향의 한쪽 끝에 있어서 제1 브래킷(2)을 지지하고, 또한 상하 방향의 다른 쪽 끝에 있어서 제2 브래킷(3)을 지지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제1 브래킷(2)의 보스부(2c)가 지지부(2b1)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제2 브래킷(3)의 보스부(3c)가 지지부(3b1)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고, 또한 지지부(2b1)가 지지부(3b1)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구성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도 10에 나타내는 구성이라도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컨트롤러 조립체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는, 제1 브래킷(2)의 보스부(2c)는, 지지부(2b1)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지지부(3b2)의 관통공(3ba)을 관통하고 있다. 제2 브래킷(3)의 보스부(3c)는, 지지부(3b1)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지지부(2b2)의 관통공(2ba)을 관통하고 있다. 지지부(3b1)가 지지부(2b1)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이외의 도 10에 나타낸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구성과 대략 같으므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지지부(3b1)와 지지부(2b2)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4)의 개수는 2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1개 또는 3개 이상이라도 된다. 또한, 지지부(2b2)와 와셔(5)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4)의 개수도 2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1개 또는 3개 이상이라도 된다. 또한, 지지부(3b2)와 와셔(5)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4)의 개수도 2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1개 또는 3개 이상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컨트롤러 본체(1)를 제2 브래킷(3)의 고정부(3a)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볼트(8)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고정 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핀, 용접 등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제1 브래킷(2)을 측벽면(20c)에 장착하는 수단으로서의 볼트(7)와, 탄성 부재(4)를 보스부(2c) 또는 보스부(3c)에 장착하는 수단으로서 볼트(6)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이들 장착 수단은 볼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핀, 용접 등이라도 된다.
이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컨트롤러 본체, 1a; 본체부, 1b; 인디케이터부, 1c; 커넥터부, 1d; 돌출 고정부, 1da, 2ba, 3ba; 관통공, 2; 제1 브래킷, 2a; 장착부, 2b1, 2b2, 3b1, 3b2; 지지부, 2c, 3c; 보스부, 2d; 벽면 장착용 구멍, 3; 제2 브래킷, 3a; 고정부, 3ca; 암나사부, 3d; 돌출부, 4; 제진 부재(탄성 부재), 5, 9; 와셔, 6, 7, 8; 볼트, 10; 컨트롤러 조립체, 20; 캡, 20a; 운전석, 20b; 보호 커버, 20ba; 개구부, 20c; 측벽면, 20ca; 측방창, 22; 주행체, 22a; 크롤러 트랙 장치, 23; 선회체, 24; 작업기, 24a; 붐, 24b; 암, 24c; 버킷, 24d, 24e, 24f; 유압 실린더, 26; 엔진룸, 27; 카운터웨이트, 30; 유압 셔블.

Claims (13)

  1. 작업 차량(work vehicle)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에 장착되는 컨트롤러 조립체로서,
    컨트롤러 본체;
    상기 벽면에 장착되는 제1 브래킷(bracket);
    상기 컨트롤러 본체에 고정된 제2 브래킷; 및
    상기 상하 방향의 한쪽 끝에서 상기 제1 브래킷을 지지하고, 또한 상기 상하 방향의 다른 쪽 끝에서 상기 제2 브래킷을 상기 제1 브래킷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진(制振)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래킷은, 제1 보스부와 제1 구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브래킷은, 제2 보스부와 제2 구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보스부는 상기 상하 방향의 한쪽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구멍부를 관통하고 있고,
    상기 제2 보스부는 상기 상하 방향의 다른 쪽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구멍부를 관통하고 있는,
    컨트롤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과 상기 상하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했을 때, 상기 제진 부재는, 상기 컨트롤러 본체의 상기 폭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컨트롤러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스부는 상기 제2 보스부보다 상기 상하 방향의 상기 한쪽 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 보스부의 상기 한쪽 측의 단부(端部)에 제1 제진 부재 고정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보스부의 상기 다른 쪽 측의 단부에 제2 제진 부재 고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컨트롤러 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스부와 상기 제2 보스부는 동심(同心)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컨트롤러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본체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上端)에 배치된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본체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배치된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과 상기 상하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했을 때,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상기 컨트롤러 본체의 높이 치수는, 상기 폭 방향에서의 상기 컨트롤러 본체의 폭 치수보다 작은, 컨트롤러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과 상기 상하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했을 때, 상기 폭 방향에서의 상기 컨트롤러 본체의 폭 치수와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상기 컨트롤러 본체의 높이 치수는, 상기 직교 방향에서의 상기 컨트롤러 본체의 안길이 치수보다 큰, 컨트롤러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부터 상기 컨트롤러 본체를 보았을 때, 상기 컨트롤러 본체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상기 제1 브래킷은 벽면 장착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컨트롤러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컨트롤러 조립체; 및
    상기 컨트롤러 조립체가 장착된,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벽면;
    을 포함하는 작업 차량.
  11. 제10항에 있어서,
    운전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조립체는, 적어도 상기 운전석의 좌우 방향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작업 차량.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과 상기 컨트롤러 조립체가 배치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캡(cab); 및
    상기 캡의 상기 좌우 방향의 한쪽 측에 배치된 작업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조립체는, 상기 운전석의 상기 좌우 방향의 다른 쪽 측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 차량.
  13. 삭제
KR1020167006154A 2015-10-29 2015-10-29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차량 KR101765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80594 WO2016060280A1 (ja) 2015-10-29 2015-10-29 コントローラ組立体および作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377A KR20170051377A (ko) 2017-05-11
KR101765776B1 true KR101765776B1 (ko) 2017-08-07

Family

ID=55746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154A KR101765776B1 (ko) 2015-10-29 2015-10-29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09953B2 (ko)
JP (1) JP6047263B2 (ko)
KR (1) KR101765776B1 (ko)
CN (1) CN105814261B (ko)
DE (1) DE112015000169B4 (ko)
WO (1) WO20160602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7834B2 (ja) * 2018-08-28 2022-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気機器の車載構造
US11821579B2 (en) * 2021-06-03 2023-11-21 Peter Mchugh Support for a snow bucket on ice resurfacing machin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6951A (ja) * 2013-01-18 2014-07-28 Komatsu Ltd コントローラ組立体、作業機械の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JP2014148872A (ja) * 2013-02-04 2014-08-21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コントローラ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5858A (en) * 1947-02-27 1951-11-20 Gen Tire & Rubber Co Resilient mounting
US2951674A (en) * 1957-09-23 1960-09-06 Gen Motors Corp Shockproof mounting
US2952430A (en) * 1957-11-18 1960-09-13 Prestole Corp Motor mounting bracket
US3866977A (en) * 1972-05-17 1975-02-18 Goodyear Tire & Rubber Suppression of vibration in rotating discs
US4354067A (en) * 1978-05-17 1982-10-12 Bodysonic Kabushiki Kaisha Audio-band electromechanical vibration converter
JPS57138423A (en) * 1981-02-17 1982-08-26 Nissan Motor Co Ltd Engine mount device filled with fluid
JPS57171136A (en) * 1981-04-15 1982-10-21 Tokai Rubber Ind Ltd Engine mount device filled with fluid
DE3529199A1 (de) * 1984-08-16 1986-02-27 Nissan Motor Co., Ltd., Yokohama, Kanagawa Schwingungsdaempfungssystem
US4676473A (en) * 1985-06-03 1987-06-30 Truckers Comfort Systems, Inc. Compressor mounting bracket
JPH01143230U (ko) * 1988-03-25 1989-10-02
JPH0723630Y2 (ja) * 1990-03-06 1995-05-31 トキコ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JP2611030B2 (ja) * 1990-06-05 1997-05-21 豊田合成株式会社 液封入防振装置
DE4126769C1 (ko) * 1991-08-13 1992-09-24 Metzeler Gimetall Ag, 8000 Muenchen, De
GB9222656D0 (en) * 1992-10-28 1992-12-09 Draftex Ind Ltd A controllable support element
JP3461913B2 (ja) * 1994-06-20 2003-10-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防振装置
US5704598A (en) * 1995-09-12 1998-01-06 Bridgestone Corporation Vibration isolating apparatus
JP3030242B2 (ja) * 1995-11-28 2000-04-10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
US5810322A (en) * 1995-12-26 1998-09-22 Zhao; Guoquan Apparatus for mounting a compressor
US5897092A (en) * 1996-01-24 1999-04-27 Toyo Tire & Rubber Co., Ltd. Liquid enclosing type vibration isolating mount
US5799930A (en) * 1997-01-30 1998-09-01 Means Industries, Inc. Body mount assembly
JPH11153179A (ja) * 1997-11-20 1999-06-08 Tokai Rubber Ind Ltd 液体封入式防振装置
US6435487B1 (en) * 1999-07-12 2002-08-20 Toyo Tire & Rubber Co., Ltd. Liquid sealed type vibration isolator
US6412848B1 (en) * 1999-11-02 2002-07-02 Rosen Products Llc Vehicle display monitor system
SE524074C2 (sv) * 2000-06-02 2004-06-22 Forsheda Ab Anordning för dämpning av vibrationer hos en vibrationsyta och metoder för montering av en sådan anordning
JP3740980B2 (ja) * 2000-12-13 2006-02-01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流体封入式防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825063B1 (fr) * 2001-05-23 2003-07-11 Valeo Systemes Dessuyage Module d'equipement de vehicule automobile
JP2004322777A (ja) * 2003-04-23 2004-11-18 Calsonic Kansei Corp ケースの取り付け構造
JP4248373B2 (ja) 2003-11-18 2009-04-02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キャブの製造方法
KR100631529B1 (ko) * 2004-02-20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흡진기를 구비한 압축기
JP4060309B2 (ja) * 2004-11-04 2008-03-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防振装置
JP4708144B2 (ja) * 2005-10-05 2011-06-22 矢崎総業株式会社 箱体固定構造
US20070120301A1 (en) * 2005-11-30 2007-05-31 Valeo, Inc. Multi-storage isolator with conical cross section
WO2008127157A1 (en) * 2007-04-16 2008-10-23 Trelleborg Forsheda Sweden Ab Damper
JP2009005657A (ja) * 2007-06-29 2009-01-15 Iseki & Co Ltd 自走型防除機
JP5317660B2 (ja) 2008-12-08 2013-10-16 ハスクバーナ・ゼノア株式会社 背負い式作業機
JP4703751B2 (ja) * 2009-09-09 2011-06-1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CN102454746B (zh) * 2010-10-19 2018-02-09 捷豹路虎有限公司 车辆的振动阻尼器以及减小振动的方法
JP5757283B2 (ja) * 2012-12-10 2015-07-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子機器の車載構造
JP5465345B1 (ja) * 2013-01-18 2014-04-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JP5766752B2 (ja) * 2013-07-03 2015-08-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補機の取付構造
JP6036745B2 (ja) * 2014-04-21 2016-1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ンバータの車載構造及びインバータ車載用ブラケットユニット
US9487158B2 (en) * 2014-10-23 2016-11-08 Komatsu Ltd. Controller assembly and work machine cab
WO2015056814A1 (ja) * 2014-10-24 2015-04-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US9283837B1 (en) * 2015-01-28 2016-03-15 Atieva, Inc. Compliantly mounted motor assembly utilizing dual levels of vibration isol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6951A (ja) * 2013-01-18 2014-07-28 Komatsu Ltd コントローラ組立体、作業機械の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JP2014148872A (ja) * 2013-02-04 2014-08-21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コントローラ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09953B2 (en) 2017-11-07
DE112015000169B4 (de) 2020-01-16
JP6047263B2 (ja) 2016-12-21
KR20170051377A (ko) 2017-05-11
DE112015000169T5 (de) 2016-11-03
US20170121936A1 (en) 2017-05-04
WO2016060280A1 (ja) 2016-04-21
CN105814261A (zh) 2016-07-27
CN105814261B (zh) 2018-07-27
JPWO2016060280A1 (ja)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5801B2 (en) Structure of upper frame for supporting cabin of construction machinery
KR102644709B1 (ko) 건설기계의 캐빈 조립체
JP5177201B2 (ja) 建設機械の配管クランプ
JP5666234B2 (ja) 建設機械
JP5697812B1 (ja) 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WO2014155659A1 (ja) 運転員保護ガード、ガード付き作業機械用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JP2006055928A (ja) ブレーカ取付用ブラケット
JP6919975B2 (ja) 作業機械のキャブ抜止構造
KR101660658B1 (ko) 가드 부착형 작업 차량용 캡 및 유압 셔블
JP2016035149A (ja) 建設機械のキャブ支持構造
JP2007205100A (ja) 建設機械の車体フレームおよび建設機械
KR101765776B1 (ko)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차량
KR101733327B1 (ko)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기계용 캡
JP2007062505A (ja) 建設機械
JP2007069724A (ja) キャブ用保護部材、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JP5046138B2 (ja) アタッチメントホースのクランプ構造
JP2020060015A (ja) キャブ及び作業機械
JP2003221841A (ja) 建設機械の運転室支持装置とそれを備えた建設機械
JP5668719B2 (ja) 建設機械
JP5986278B2 (ja) コントローラ組立体および作業機械用キャブ
JP2007063777A (ja) 建設機械
JP2013241817A (ja) 建設機械
JP2010248846A (ja) 建設機械におけるキャブ保護構造
JP2021001434A (ja) 作業車両
WO2020241747A1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