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818B1 -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 - Google Patents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818B1
KR101763818B1 KR1020160074402A KR20160074402A KR101763818B1 KR 101763818 B1 KR101763818 B1 KR 101763818B1 KR 1020160074402 A KR1020160074402 A KR 1020160074402A KR 20160074402 A KR20160074402 A KR 20160074402A KR 101763818 B1 KR101763818 B1 KR 101763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rame
handrail
bar
linear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환
강종민
김소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주)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160074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61G1/0293Stretchers with wheels stretcher supports with wheels, e.g. used for stretchers without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42Suspen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44Straps, band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fmf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일측면의 전단과 후단에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고, 통로에 설치된 핸드레일에 안착될 수 있는 제1,2롤러를 갖는 주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Hand Rail-traveling Stretcher}
본 발명은 스트레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해양 플랜트의 비상 탈출로 및 통로에 설치되는 핸드레일을 이용하여 환자를 운반할 수 있는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에 관한 것이다.
해양 플랜트는 그 설비의 특성상 공간의 제약조건 때문에 환자의 수송을 위한 들것(Stratcher)의 경우 통상적으로 도 1의 그림과 같으며, 손잡이를 통해 2~4명의 인력이 운반을 한다.
공간이 협소한 해상 플랜트의 경우, 응급 상황을 고려, 주요 비상 탈출로(Main Escape route)를 통해 스트레처를 사용하여 환자를 이송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주요 국제 규격(ISO, NORSOK등 )에서 요구하는 요구 폭인 1M를 초과하여 비상 탈출로가 설계되어야 한다. 즉, 운반 인력이 앞뒤에서 스트레처(일 예로, 스트레처 크기가 2000mm*650mm)를 드는 상황을 고려하면 2600mm*650mm로 산정할 필요가 있다.
해상 플랜트는 이로 인한 필요 공간의 증대로 중량, 강재 사용 증가, 비용 증가를 초래한다. 특히 해양 플랜트 내부에 난간으로 죽 이어져 있는 계단(stair case)에서의 회전을 위해 계단참(landing)을 1500mm 이상이 되도록 설계해야 한다.(무게 증가, 재료비 증가)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비상 탈출로 및 통로에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핸드레일을 이용하여 이동 가능한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직선 구간뿐만 아니라 코너 구간에서도 이동 가능한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일측면의 전단과 후단에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고, 통로에 설치된 핸드레일에 안착될 수 있는 제1,2롤러를 갖는 주행부를 포함하는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부는 핸드레일의 코너구간에서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전단과 후단에 위치한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를 상기 프레임의 중심으로 이동시키는 선형 이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 이동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풀리; 상기 한 쌍의 풀리에 결합되는 벨트; 및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가 각각 결합되는 그리고 상기 벨트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의 이동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상부 브라켓 및 하부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는 상기 상부 브라켓 및 상기 하부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 이동부재는 상기 벨트의 들림 방지를 위해 상기 상부 브라켓 및 상기 하부 브라켓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는 보강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 이동부재는 상기 벨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가 상기 프레임의 중앙으로 이동된 이후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가 핸드레일의 직선구간으로 진입할 때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를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복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 이동부재는 상기 제1롤러가 결합되는 제1이동바; 및 상기 제2롤러가 결합되는 제2이동바를 포함하되; 상기 제1이동바와 상기 제2이동바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동바와 상기 제2이동바는 랙기어를 갖고, 상기 제1이동바의 랙기어와 상기 제2이동바의 랙기어에 기어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 이동부재는 상기 제1이동바 또는 상기 제2이동바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가 상기 프레임의 중앙으로 이동된 이후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가 핸드레일의 직선구간으로 진입할 때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를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복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귀부재는 유체 이동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유체 이동 공간에 설치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를 구비한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는 핸드레일로부터 탈선 방지를 위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비상 탈출로 및 통로에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핸드레일을 이용하여 이동 가능함으로써 적은 인원으로 환자 이송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직선 구간뿐만 아니라 코너 구간에서도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의 정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의 측면도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제1롤러와 제2롤러에 핸드레일이 안착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계단(stair case)의 계단참(landing)에서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의 방향 전환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선형 이동부재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선형 이동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의 정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의 측면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10)는 프레임(100)과 주행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이송하고자 하는 환자를 눕힌 상태로 들어 옮길 수 있는 평평한 바닥면(110)과, 바닥면(110)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높이로 형성된 측면(1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딱딱한 바닥면을 도시하고 있으나, 프레임의 바닥은 플렉시블한 시트 타입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100)의 측면(120)들에는 호송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다수의 파지공(130)들이 형성될 수 있다. 피지공(130)에는 미끄럼방지 및 파지 감을 높이기 위해 도시하지 않은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감거나 씌울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런 한 구성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가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프레임(100)에는 눕혀진 환자의 머리, 상체, 하체, 다리를 각각 결박할 수 있도록 결박끈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결박끈은 프레임(10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가지는 것이다.
주행부(200)는 프레임(100) 양측면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주행부(200)는 제1롤러(210), 제2롤러(220), 선형 이동부재(300) 그리고 복귀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는 프레임(100) 측면의 전단과 후단에 서로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는 환자 이송시 통로에 설치된 핸드레일(도 4에 표시됨; 20)에 안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는 핸드레일 위를 주행시 탈선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는 핸드레일이 위치될 수 있도록 오목한 홈을 갖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는 프레임(100)을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는 30도 각도로 상부 브라켓(330)과 하부 브라켓(34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선형 이동부재(300)는 핸드레일(20)의 코너구간에서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프레임(100)의 전단과 후단에 위치한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를 프레임(100)의 중심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선형 이동부재(300)는 벨트 및 풀리의 조합, 기어와 체인의 조합, 렉과 피니언 기어의 조합 등의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선형 이동부재(300)는 한 쌍의 풀리(310), 벨트(320), 상부 브라켓(330) 그리고 하부 브라켓(34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풀리(310)는 프레임(100)의 측면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한 쌍의 풀리(310)에는 벨트(320)가 감기게 결합된다. 상부 브라켓(330)과 하부 브라켓(340)은 벨트(3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벨트(320)가 돌아가면 이들 브라켓(330,34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330)에는 제1롤러(210)가 결합되고, 하부 브라켓(340)에는 제2롤러(220)가 결합된다.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는 핸드레일(20)의 코너 구간에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회전샤프트(350; 도 2에 표시됨)를 통해 상부 브라켓(330) 및 하부 브라켓(3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샤프트(350)는 일정 텐션(tension)을 갖고 있어 힘을 가할 경우에만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복귀부재(400) 선형 이동부재(300)와 인접하게 프레임(100)에 설치된다. 복귀부재(400)는 핸드레일의 코너구간에서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가 프레임(100)의 중앙으로 이동되어 방향 전환된 이후 제1롤러(210)가 핸드레일(20)의 직선구간으로 진입할 때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이다. 쇼크업소버는 유체 이동 공간을 갖는 하우징(410)과 하우징(410)의 유체 이동 공간에 설치되는 피스톤(미도시됨) 및 피스톤과 연결되고 일단은 벨트(320)에 고정되는 피스톤 로드(4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러한 쇼크업소버는 당업자에 자명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는 제1롤러와 제2롤러에 핸드레일이 안착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 에서와 같이, 우선 프레임의 바닥을 핸드레일에 걸친 상태에서 호송자가 프레임을 핸드레일 바깥쪽으로 잡아당기면 핸드레일이 프레임의 바닥면을 타고 이동하여 제1롤러와 제2롤러에 자연스럽게 안착되게 된다. 이때, 제1,2롤러는 핸드레일이 롤러와 프레임과 사이의 틈새로 빠지지 않도록 프레임에 인접하게 그리고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2롤러아 프레임 사이의 간격은 핸드레일의 지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계단(stair case)의 계단참(landing)에서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의 방향 전환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도 3b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10)에 장착된 제1롤러(210) 및 제2롤러(220)는 일정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핸드레일(20)의 코너 구간(22)과 같이 방향이 전환되는 계단참(landing) 구간을 만나면 핸드레일(20)과 같은 방향으로 스트레처가 바로 방향전환을 할 수 없다. 즉,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는 방향 전환시 최대한 가까이 붙어야 된다. 도 5의 1,2번째 그림처럼 제1롤러(210)가 코너 구간으로 진입하게 되면서 회전을 하지 못해 힘을 받게 되면 제1롤러(210)는 뒤로 제2롤러(220)는 앞으로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프레임(100)의 센터 지점으로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가 모이게 되면(도 3b 참조), 비로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가 프레임(100)의 센터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이 완료된 후 다시 핸드레일(20)의 직선 구간(24)으로 진입하게 되면(도 5의 9,10번째 그림) 제1롤러(210)에 가해지는 힘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복귀 부재(400)에 의해 제1롤러(210)는 앞으로 제2롤러(220)는 뒤로 원위치 이동하여 직선 구간(24)을 안정적으로 주행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선형 이동부재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선형 이동부재(300)는 2개의 보강대(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370)대는 스트레처(10)가 핸드레일(20) 주행시 환자의 무게로 인해 벨트(320)가 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부 브라켓(330) 및 하부 브라켓(340)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부 브라켓(330) 및 하부 브라켓(340)은 보강대(37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부 브라켓(330) 및 하부 브라켓(340)이 설치된 벨트(320)가 들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선형 이동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선형 이동부(500)는 제1이동바(510), 제2이동바(520) 그리고 피니언 기어(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동바(510)에는 제1롤러(210)가 결합된다. 제1이동바(510)는 피니언 기어(530)와 기어 결합되는 랙기어(512)를 갖는다. 제1롤러(210)는 상부 브라켓(514)을 통해 제1이동바(510)에 고정된다.
제2이동바(520)에는 제2롤러(220)가 결합된다. 제2이동바(520)는 피니언 기어(530)와 기어 결합되는 랙기어(522)를 갖는다. 제2롤러(220)는 하부 브라켓(524)을 통해 제2이동바(520)에 고정된다.
제1이동바(510)와 제2이동바(520)는 피니언 기어(530)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복귀 부재(400)는 제1이동바에 연결된다.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가 프레임(100)의 중앙으로 이동된 이후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가 핸드레일의 직선구간으로 진입할 때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를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쇼크업소버로 구성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프레임 200 : 주행부
210 : 제1롤러 220 : 제2롤러
300 : 선형 이동부재 310 : 풀리
320 : 벨트 400 : 복귀부재

Claims (10)

  1.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일측면의 전단과 후단에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고, 통로에 설치된 핸드레일에 안착될 수 있는 제1,2롤러를 갖는 주행부를 포함하는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는
    핸드레일의 코너구간에서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전단과 후단에 위치한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를 상기 프레임의 중심으로 이동시키는 선형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이동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풀리;
    상기 한 쌍의 풀리에 결합되는 벨트; 및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가 각각 결합되는 그리고 상기 벨트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의 이동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상부 브라켓 및 하부 브라켓을 포함하는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는 상기 상부 브라켓 및 상기 하부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이동부재는
    상기 벨트의 들림 방지를 위해 상기 상부 브라켓 및 상기 하부 브라켓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는 보강대를 더 포함하는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이동부재는
    상기 벨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가 상기 프레임의 중앙으로 이동된 이후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가 핸드레일의 직선구간으로 진입할 때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를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복귀 부재를 더 포함하는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이동부재는
    상기 제1롤러가 결합되는 제1이동바; 및
    상기 제2롤러가 결합되는 제2이동바를 포함하되;
    상기 제1이동바와 상기 제2이동바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이동부재는
    상기 제1이동바 또는 상기 제2이동바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가 상기 프레임의 중앙으로 이동된 이후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가 핸드레일의 직선구간으로 진입할 때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를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복귀 부재를 더 포함하는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
  9.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부재는
    유체 이동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유체 이동 공간에 설치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를 구비한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를 포함하는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는 핸드레일로부터 탈선 방지를 위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
KR1020160074402A 2016-06-15 2016-06-15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 KR101763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402A KR101763818B1 (ko) 2016-06-15 2016-06-15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402A KR101763818B1 (ko) 2016-06-15 2016-06-15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818B1 true KR101763818B1 (ko) 2017-08-14

Family

ID=60142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402A KR101763818B1 (ko) 2016-06-15 2016-06-15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8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7189B2 (ja) 1992-08-31 2001-05-21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電圧測定装置
US20070278043A1 (en) 2006-05-15 2007-12-06 Durant Stephen P System and device for descending stai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7189B2 (ja) 1992-08-31 2001-05-21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電圧測定装置
US20070278043A1 (en) 2006-05-15 2007-12-06 Durant Stephen P System and device for descending stai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23880B (fi) Liukukäytävä
JP2007533575A5 (ko)
US7665595B2 (en) Drive system with step chain or pallet chain for a transportation device and transportation device with a corresponding drive system
CN208217801U (zh) 多层传输带输送***
CN106255788A (zh) 用于支架的提升机设备
SK283241B6 (sk) Dopravník na systém dopravujúci náklad
JP5736154B2 (ja) ゲート装置
KR101763818B1 (ko) 핸드레일 주행형 스트레처
CA2512220A1 (en) Manually driven bathtub lift
CA2202803C (en) Variable-incline ramp system for horizontal vehicle
KR101918198B1 (ko) 경사구간, 수평구간, 방향전환 구간 및 트위스트 구간 이동용 승강기
BR102012029860B1 (pt) Pista ondulatória e mecanismos para formação das ondulações na pista
WO2019064393A1 (ja) 乗客コンベアのステップ持上げ支援装置
KR101614474B1 (ko)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ES2351074T3 (es) Transportador de cinta.
KR101583706B1 (ko) 다구간(수직수평)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US403603A (en) Conveyer
US20090293196A1 (en) Positioning systems and methods
KR101050474B1 (ko) 교량 유지관리용 편심형 이동식 점검차
CN103058041B (zh) 双向运动人行道
JPH07215208A (ja) 移動体使用の搬送装置
KR101583708B1 (ko) 상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ITRE20120027A1 (it) Dispositivo montascale
JP7169418B2 (ja) ホーム柵
RU213311U1 (ru) Пассажирский подъемник для лиц с ограниченными возможностя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