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919B1 - 재봉기 - Google Patents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919B1
KR101757919B1 KR1020100073510A KR20100073510A KR101757919B1 KR 101757919 B1 KR101757919 B1 KR 101757919B1 KR 1020100073510 A KR1020100073510 A KR 1020100073510A KR 20100073510 A KR20100073510 A KR 20100073510A KR 101757919 B1 KR101757919 B1 KR 101757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machine
automatic
sewing
trimming
thread trim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738A (ko
Inventor
파벨 비비할
에듀어드 도코필
Original Assignee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10023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재봉기는 바느질 영역에서 이음매를 형성하기 위한 바느질 바늘을 유지 고정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바늘대를 구비한다. 바느질 영역에서 재봉물 이송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톱니가 이용된다. 자동 사절날-전달 장치(29)는 풀 로드(28)를 구비한다. 상기 전달 장치(29)는 자동 사절날(49) 및 날 구동 장치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전달 장치(29)는 자동 사절날(49)을 휴지 위치와 사절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데에 이용된다. 톱니의 이동 운동을 위한 톱니-전달 장치(21)의 베어링 본체(27)가 상기 풀 로드(28)에 장착된다. 그 결과 재봉기의 하우징이 바느질 영역과 근접하여 콤팩트하게 구현될 수 있는 재봉기가 생성된다.

Description

재봉기{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바늘대와 톱니를 구비한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바늘대와 톱니를 구비한 종류의 재봉기가 미국 특허 1,010,830 및 독일 특허 DE 101 23075C1에서 공지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봉기의 하우징이 바느질 영역에 인접하여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특허 청구항 제 1항에 서술된 특징을 구비한 재봉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자동 사절날(thread-cutting blade) 혹은 실 당김날(thread-pulling blade)의 작동을 위한 풀 로드(pull-rod)는 동시에 톱니-전달 장치의 베어링 본체를 장착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실을 자르는 동안 풀 로드가 구동되어 움직인다는 구성은 상기와 같은 이중 기능에 장애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시간 동안 바느질 동작은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톱니-전달 장치의 베어링 본체를 위한 고유한 베어링 로드(bearing rod)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바느질 영역에서 재봉기의 하우징이, 특히 하우징의 프리암(free arm)이 매우 콤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재봉기의 하우징은 재봉물 가운데 접근하기 어려운 영역의 복잡한 바느질 과제도 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혹은 프레임에 고정된 안전 부재에 의해 베어링 본체는 풀 로드의 변위 시에 변위에 대항해 안전하게 유지되고, 그럼으로써 톱니-전달 장치는 자동 사절날의 작동 시에 움직이지 않는다. 자동 사절날-전달 장치의 풀 로드가 축방향 변위 시에 베어링 본체가 재봉기 하우징에 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위치하도록 톱니-전달 장치의 베어링 본체가 자동 사절날-전달 장치의 풀 로드와 결합 됨으로써, 자동 사절날의 작동이 톱니에 의한 재봉물 이동과 분리될 수 있다. 특히 톱니의 작동이 자동적으로 자동 사절날의 작동을 야기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베어링 본체는 작동 레버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이 작동 레버는 힌지축을 구비한 힌지를 거쳐 톱니 캐리어와 결합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는 완벽한 자동 사절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특허 청구항 제 1항에 따른 재봉기는 자동 사절 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이는 재봉기의 기능성을 확대시킨다. 풀 로드는 사절하기 위해 자동 사절날-전달 장치를 거쳐 구동 장치에 의해 변위될 수 있다. 변위 구동은 공압식 구동, 스테퍼 모터(stepper motor) 또는 조절 가능한 솔레노이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 청구항 제 1항에 따른 자동 사절날-조정 부재에 의해 재봉기의 바느질 형태 구성 요소의 위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동 사절날의 위치를 사전에 지정할 수 있으며 특히 바느질 방향과 교차하여 자동 사절날을 조정할 수 있다.
특허 청구항 제 4항에 따르는 하우징 혹은 프레임에 고정된 톱니-조정 부재에 의해 재봉기의 바느질 형태 구성 요소에 대해 상대적으로 톱니-전달 장치를 거쳐 변위된 톱니의 위치를 사전 설정할 수 있으며, 특히 바느질 방향과 교차하여 톱니를 조정할 수 있다.
특허 청구항 제 5항에 따르는 공동의 베어링 유닛에 의해 그리퍼(gripper) 및 자동 사절날을 공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는 그리퍼-조정 부재의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는 자동 사절날-조정 부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리퍼는 수직 그리퍼가 될 수도 있고, 또한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그리퍼가 될 수도 있다.
특허 청구항 제 6항에 따른, 그리퍼에 고정 배치되는 대응날(counter knife)은 그리퍼와 함께 공동으로 배치됨으로써 역시 그리퍼에 고정되는 자동 사절날과 함께 자동 사절날-조정 부재의 변위에 의해 자체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사절날-조정 부재의 변위 후에 대응날에 대한 자동 사절날의 상대적 위치를 지정할 필요가 없다.
특허 청구항 제 7항에 따른 프리암 재봉기에 있어서 바느질 형성 영역에서 콤팩트한 재봉기 하우징의 장점은 특히 재봉물의 수용 능력에서 나타난다. 프리암에는 예컨대 원통 형태의 재봉물을 씌울 수 있다.
특허 청구항 제 8항에 따른 이본침 재봉기(two needle sewing machine)은 특히 원형 또는 튜브형 필터 제작에 사용될 수 있다.
특허 청구항 제 9항에 따른 2개의 자동 사절 장치는 이본침 재봉기의 기능성을 증대시킨다.
특허 청구항 제 10항에 따른 2 개의 자동 사절날에 의해 양쪽 자동 사절날의 위치를 사전에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자동 사절날 및 이본침 재봉기의 그리퍼는 각각 공동의 베어링 유닛 위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그리퍼-조정 부재의 기능을 동시에 보유하는 자동 사절날-조정 부재를 통하여 그리퍼 상호 간 이격 간격이 간단하게 조정될 수 있다.
청구항 제 11항에 따른 조정 부재의 접근성은 재봉기의 조절을 간소화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봉기의 하우징이 바느질 영역과 근접하여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1본침 프리암 재봉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프리암 단부 영역을 절개하여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1본침 재봉기의 자동 사절날-전달 장치 및 톱니-전달 장치의 구성 부품을 도 2와 유사하게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을 위에서부터 비스듬히 내려다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선 V-V를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VI-VI를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이본침 프리암 재봉기의 프리암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이본침 프리암 재봉기의 자동 사절날-전달 장치 및 톱니-전달 장치의 구성 요소를 도 4와 유사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된다.
프리암 재봉기(1)는 기본판(2)을 구비하며, 기본판은 기본판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기둥부(3)와 각진 암부(4)를 포함한다. 기본판(2) 가운데 암부(4)와 대향하여 마주 보는 부분은 프리암(5)으로 형성되며, 그럼으로써 재봉기(1)는 예컨대 주머니 및 가방 등에 파이핑, 스티칭 및 어셈블리 작업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암방향에 대해 가로로 모든 면이 자유로운 프리암(5)으로 인해 원통 형태의 재봉물이 프리암(5) 위로 씌워질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종래의 C 형태의 재봉기로는 접근할 수 없었던 바느질 영역에 도달하여, 거기서 예컨대 순환하는 이음매를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암부(4)는 헤드부(6)에서 끝난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암 샤프트(7)가 상부 암부(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암 샤프트(7)는 헤드부(6)에서 실채기 레버를 구비한 크랭크 메커니즘을 구동한다. 크랭크 메커니즘은 헤드부(6)에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바늘대(8)와 구동 방식 상 연결되어 있다. 바늘대는 자체 하부 단부에 바늘(9)을 보유한다. 바늘(9)은 크랭크 메커니즘에 의해 수직 축(10)(도 2 참조)을 따라서 상하로 운동할 수 있다.
바늘(9)은 북(bobbin)에서부터 실 장력 장치(11) 및 실채기 레버를 거쳐 공급되는 바늘실을 바늘 귀로 유도한다.
프리암의 상부면(5)은 재봉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12)으로 형성된다. 지지판(12)은 바늘판부(13)와 바늘판 슬라이더(14)로 나뉜다. 바늘판부(13)는 재봉기(1)의 하우징(15)에 고정되어 장착된다. 바늘판 슬라이더(14)는 도 2의 안전 스프링(16)(도 2 참조)을 푼 후에 오른쪽으로 변위될 수 있고, 그런 다음 바늘판 슬라이더(14) 하부에 배치된 구성 요소들에 접근할 수 있다.
바늘판부(13)는 바늘의 바느질 영역에서 하부 재봉물-톱니 혹은 재봉물 슬라이더(18)가 관통할 수 있도록 리세스부(17)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하부 재봉물-톱니(18)는 바늘의 관통을 위해 바늘홀(needle hole)(19)을 보유한다. 이 구성 요소는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부 재봉물-톱니(18)는 재봉물 이송을 위해 도 1 및 도 2의 도면 평면에 대해 수직인 재봉물 이송 방향으로 상부 재봉물-톱니(20)와 함께 작용한다.
하부 재봉물-톱니(18)는 바느질 작동에서, 재봉물-이송 방향을 따라 이송 운동을 실시하고, 이 이송 운동은 프리암(5) 내에 배치된 톱니-전달 장치(21)로부터 유도되는 암 샤프트(7)의 회전 운동에 의해 구동된다. 톱니-전달 장치(21)의 일부는 프리암(5)을 따라 연장되는 톱니-편심 샤프트(22)(도 4 참조)이며, 이것의 편심률 E, 즉 회전 중심축(23)과 베어링 축(24) 사이의 편차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톱니-전달 장치(21)의 일부는 프리암(5)을 따라 배치되는 로크 샤프트(rock shaft) (24a)이다. 로크 샤프트(24a)는 역진 레버 기어를 지나서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재봉기(1)의 하부축과 구동 연결된다. 자체 샤프트 축(24b)을 중심으로 하는 로크 샤프트(24a)의 진동 운동은 본 도면에 역시 도시되지 않는 역진 레버 기어를 거쳐 생성된다. 편심 샤프트(22) 및 슬라이드로 구현되는 전달 부재(25)를 거쳐 조정 가능한 이송 스트로크가 하부 재봉물-톱니(18)를 위한 톱니 캐리어(26) 상으로 전달된다. 하부 재봉물-톱니(18)는 톱니 캐리어(26)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변위 가능하도록 톱니 캐리어(26)에 장착된다. 전달 부재(25)를 지나서 하부 재봉물-톱니(18)는 하부 재봉물 톱니(18)의 각각의 이송 단계에서 바늘판부(13)의 높이로 상승된다. 로크 샤프트(24a)의 진동 운동은 운동 레버(26a)를 지나서 톱니 캐리어(26)로 전달되고, 이런 방법으로 톱니 캐리어(26)의 이송 운동, 즉 바느질 작동에서 도달 가능한 바느질 길이가 설정된다. 톱니 캐리어(26)는 추가적인 운동 레버(27)의 형태인 베어링 본체를 지나서 프리암(5)을 따라 연장되는, 프리암(5)에 수용되는 자동 사절날-전달 장치(29)의 풀 로드(28)와 연결된다. 자동 사절날-전달 장치(29)는 다음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풀 로드(28)는 로크 샤프트(24a)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풀 로드(28)는 바느질 방향과 교차하여 연장된다. 운동 레버(27)는 일측으로는 축(24)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힌지축(30)을 중심으로 굴절되게 톱니 캐리어(26)와 연결되고, 타측으로는 풀 로드 축(31)을 중심으로 굴절되게 자동 사절-풀 로드(28)와 연결된다. 하부 이송 작동 시에 풀 로드 축(31)을 중심으로 한 운동 레버(27)의 진동 운동은 도 4에서 이중 화살표(32)로 도시된다.
운동 레버(27)의 축 위치는 조절 커버 플레이트(33) 형태의 톱니-조절 부재를 지나서 풀 로드 축(31)을 따라 설정된다. 이를 위해 조절 커버 플레이트(33)는 운동 레버(27)를 축 방향에서 양쪽 면으로 둘러싸는 분기부(34)를 보유한다. 운동 레버(27)는 분기부(34)에서 축방향으로 근소하게 유격된다. 조절 커버 플레이트(33)는 고정 나사부(36)를 포함하는 고정부(35)를 보유하며, 이 고정 나사부(36)를 거쳐서 조절축(33)이 프리암(5)을 따라서 하우징 상에(15) 설정된 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설정 가능한 조정 축(33)의 축 위치를 거쳐서 또한 운동 레버(27)의 축 위치가 설정될 수 있고, 그로 인해 톱니 캐리어(26) 및 톱니 캐리어(26)와 연결되는 하부 재봉물-톱니(18)의 축 위치도 설정될 수 있다.
자동 사절-풀 로드(28)는 자체 자유 단부 근처에서 하우징에 고정된 슬라이딩 부싱(37) 내로 축방향으로 변위되게 장착된다. 슬라이딩 부싱(37)은 풀 로드(28)를 단부 방향에서 감싸는 운동 레버(27)와 조절 가능한 분기 형태로 구현되는 자동 사절날-조절 부재(38) 사이에 배치된다. 조절 가능한 분기부(38)는 2개의 고정 나사부(39)를 거쳐서 자동 사절-풀 로드(28)에 고정되고, 자동 사절-풀 로드(28)에 대해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이 때 고정 나사부(39)의 단부는 풀 로드(28)의 편평하게 절삭되는 벽부(40)와 접하며, 풀 로드(28)의 축 방향 연장부는 풀 로드(28)를 따라 조정 가능한 분기부(38)의 축 방향 변위 영역을 설정한다. 조정 가능한 분기부(38), 즉 자동 사절날-조절 부재의 분기 부분(41)(도 5 참조)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베어링 볼트(42)를 둘러싼다. 베어링 볼트(42)는 자동 사절날-전달 장치(29)의 전달 레버(43)와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된다. 전달 레버(43)는 또다시 사절날 볼트(44)와 연결된다. 사절날 볼트(44)는 수직으로 연장된다. 사절날 볼트(44)의 볼트 축(45)은 베어링 볼트(42)의 볼트 축과 이격된다.
사절날 볼트(44)는 하우징에 고정된 그리퍼 베어링(46) 내에서 볼트 축(4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리퍼 베어링(46)은 도 6에서 절개부만 볼 수 있다. 그리퍼 베어링(46)은 동시에 재봉기(1)의 그리퍼(47)를 장착하는 데 이용된다. 그리퍼(47)는 바늘실을 포착하기 위해 그리퍼 첨두부(48)(도 6 참조)를 구비한 그리퍼 본체를 보유한다. 그리퍼 (47)는 수직의 그리퍼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이 때 그리퍼(47)의 회전 구동은 암 샤프트(7)의 운동으로부터 유도된다.
자동 사절날 혹은 실 당김날(49)은 회전 가능하게 사절날 볼트(44)와 결합되며, 사절을 위해 그리퍼에 장착 고정되는 대응날(50)과 상호 작용한다. 대응날(50)은 베어링 플레이트(51)에 고정된다. 베어링 플레이트(51)는 또다시 그리퍼 베어링(46)과 고정 결합된다.
각각 하우징 윈도우부(52, 53)를 지나서 재봉기(1)의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측면으로부터 일측으로는 톱니-조절 부재, 즉 조절 커버 플레이트(33)로, 타측으로는 자동 사절날-조절 부재(38), 즉 조정 가능한 분기부로 접근할 수 있다(도 2 참조).
재봉기(1)의 바느질 작동 시에 재봉물의 바느질 영역에서 이음매가 형성된다. 바느질 작동 시에 암 샤프트(7)로부터 시작하여 하부축을 거쳐 역진 레버 기어를 통해 로크 샤프트(24a)의 진동 운동이 생성된다. 진동 운동은 운동 레버(26a)를 지나서 톱니 캐리어(26)로 전달되고, 톱니 캐리어(26)를 지나서 하부 재봉물-톱니(18) 혹은 재봉물 슬라이더(18)로 전달된다. 운동 레버(26a)가 로크 샤프트(24a) 상에 고정됨으로써 톱니 캐리어(26)는 축 방향으로, 즉 바느질 방향과 교차하여 고정된다. 또한 재봉기(1)의 바느질 작동 시에 톱니-편심 샤프트(22)가 회전하고, 전달 부재(25)를 거쳐서 톱니 캐리어(26)의 이송 스트로크가 설정된다. 하부 재봉물 톱니(18)는 2 개의 샤프트들(22 및 24a)을 거쳐서 구동되어 바느질 방향으로 재봉물 이송을 위한 이송 운동을 실행한다.
프리암(5)을 따라 톱니 캐리어(26)의 고정부를 축 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즉 바느질 방향과 교차하여 하부 재봉물-톱니(18)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우선 운동 레버(26a)의 고정부를 로크 샤프트(24a) 상에서 푼다. 그런 다음 하우징 윈도우(52)를 통해 조절 커버 플레이트(33)의 고정 나사부(36)를 풀면, 조절 커버 플레이트(33)이 도 2의 이중 화살표(54)를 따라 변위될 수 있다. 이러한 변위에 상응하여, 운동 레버(27), 톱니 캐리어(26) 및 운동 레버(26a)도 바느질 방향과 교차하여 변위되고, 그럼으로써 하부 재봉물-톱니(18)의 조정이 이루어진다.
일측으로는 그리퍼(47)의 위치를 타측으로는 자동사절날(49)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하우징 윈도우(53)를 통해서 2 개의 고정 나사부(39)를 풀 수 있고, 그런 다음 분기부(38)가 풀 로드(28)에 대해 축 방향으로 변위되며, 이는 바느질 방향에 대해 교차하여 그리퍼(47), 자동 사절날(49) 및 대응날(40)의 위치 변화를 야기한다.
바느질 작동 중에 자동 사절-풀 로드(28)는 자체의 축 위치에 유지되고, 또한 조절 가능한 분기부(38) 및 운동 레버(27)를 위한 캐리어 로드(carrier rod)의 기능을 보유한다.
사절을 위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공압식 실린더가 작동하며, 이 공압식 실린더는 풀 로드(28)가 휴지 위치와 사절 위치 사이에서 도 4의 이중 화살표(55)를 따라 변위하도록 야기한다. 선택적으로 휴지 위치와 사절 위치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풀 로드(28)의 변위는 스텝퍼 모터를 거쳐 또는 솔레노이드를 거쳐서 달성될 수도 있다. 풀 로드(28)가 휴지 위치에서 사절 위치로 변위되는 것은 분기부(38) 및 함께 장착되는 베어링 볼트(42)의 상응하는 축 방향 변위를 야기하며, 이때 이러한 베어링 볼트(42)의 변위를 바탕으로 사절날 볼트(44)가 그리퍼 베어링(36) 내에서 볼트축(45)을 중심으로 회전한다(도 4의 이중 화살표 56 참조). 그 결과 대응날(50)에 대해 상대적으로 사절날(49)의 상응하는 사절-회전운동이 생겨나고, 이로 인해 두 개의 날(49,50) 사이의 실이 절단된다. 풀 로드(28)가 축 방향으로 변위하는 동안 풀 로드(28)는 일측으로는 슬라이딩 부싱(37)에 대해 상대적으로 타측으로는 운동 레버(27)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끄러진다. 풀 로드(28)가 축 방향으로 변위할 시에 운동 레버(27)는 축 방향으로 하우징(15)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 위치에 머무른다. 왜냐하면 운동 레버(27)가 하우징에 고정된 조절 커버 플레이트(33)의 분기부(34)에 의해 고정 유지되기 때문이다. 조절 커버 플레이트(33)는 사절하는 동안 운동 레버(27) 및 그와 더불어 하부 재봉물-톱니(18)의 축 방향 위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 기능을 동시적으로 한다.
풀 로드(28)는 재봉기(1)에서 동시적으로 사절날-전달 장치 내에서 힘 전달의 기능과 타측으로는 지지 기능을 보유하며, 이 지지 기능은 일측으로는 운동 레버(27)를 위해, 타측으로는 사절날-조절 부재(38)를 위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다음에서는 프리암 재봉기(57)의 이본침 실시예가 설명된다.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6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것과 상응하는 구성 요소 및 기능들을 구비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재봉기(57)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이본침 재봉기(57)의 바느질 바늘을 위한 캐리어 본체(59)를 구비한 공동의 바늘대(58)를 보유한다. 재봉기(57)에서는 하부 재봉물-톱니 혹은 재봉물 슬라이더(18)가 도시되지 않는 2 개의 바느질 바늘을 위한 각각 2 개의 바늘 홀을 구비한 해당 상부 재봉물-톱니(20)와 함께 2 개의 바느질 바늘에 각각 구성된다. 2 개의 바느질 바늘 각각에 고유한 그리퍼(47)가 구성된다. 2 개의 그리퍼(47) 각각은 고유한 그리퍼 베어링(46)에 장착되며, 도 8에서는 좌측 그리퍼(47)에 구비되는 그리퍼 베어링(46)을 볼 수 있다. 2 개의 그리퍼 베어링(46)은 서로 분리되어 구현되는 구성 부재이다.
재봉기(57)의 2 개의 하부 재봉물-톱니(18)는 톱니 캐리어(26)와 결합된다. 톱니 캐리어 및 톱니-전달 장치(21)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6에 따르는 재봉기(1)에서 구현되는 이러한 구성 요소들의 구조와 일치한다. 재봉기(57)의 2 개의 바늘 각각은 각각에 구비되는 자동 사절날을 보유한다. 자동 사절날(49) 및 그에 속한 사절날-전달 장치(29)는 도 1 내지 도 6에 따른 재봉기(1)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재봉기(57)에서 풀 로드(28)는 운동 레버(27)의 위치를 지나서 연장되고, 자체 자유 단부에서 추가적인 조절 가능한 분기부(38')를 보유하며, 이 분기부(38')는 제 2의 대응날(50)과 상호 작용하는 제 2의 자동 사절날(49)을 위한 자동 사절날-전달 장치(29)에 속한다. 추가적인 조절 가능한 분기부(38')는 또한 풀 로드(28)를 따라 사전 설정된 축 방향 위치에서 2 개의 나사부(39)를 거쳐서 고정 가능하며, 이는 재봉기(1)와 관련하여 앞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다. 추가적인 조정 가능한 분기부(38')의 고정 나사부(39)에 추가적인 하우징 윈도우(50)가 구비되고, 하우징 윈도우(52, 53)와 마찬가지로 이 하우징 윈도우(60)을 지나서 재봉기 하우징(15)의 동일한 측면으로부터 고정 나사부(39)로 접근할 수 있다. 고정 나사부(39)를 푼 후에 특히 재봉기(57)의 2 개의 그리퍼(47) 사이의 이격 간격이 설정된다.
재봉기(57)의 바느질 작동 및 자동 사절 작동은 재봉기(1)과 관련하여 앞서 이미 설명된 바와 일치한다. 자동 사절 시에 풀 로드(28)를 지나서 재봉기(57)의 2 개의 자동 사절날(49)이 동시에 작동된다.
1,57 : 재봉기
15 : 하우징
9 : 바늘
8 : 바늘대
18, 20 : 톱니
28 : 풀 로드
49 ; 사절날
29 : 전달 장치
21 : 전달장치
27 : 베어링 본체
18 : 톱니
50 : 대응날
38 : 조절 부재
47 : 그리퍼
46 :: 베어링 유닛

Claims (11)

  1. 재봉기(1; 57)로서,
    하우징(15)과,
    바느질 영역에서 이음새를 형성하기 위한 바느질 바늘(9)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바늘대(8)와,
    바느질 영역에서 재봉물 이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톱니(18, 20)와,
    풀 로드(28)를 보유하고, 휴지 위치와 사절 위치 사이에서 자동 사절날(49)을 변위하기 위해 자동 사절날(49) 및 날 구동 장치와 결합 가능한 자동 사절날-전달 장치(29)와,
    사절을 위해 대응날(50)과 상호 작용하는 자동 사절날(49)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자동 사절 장치를 보유하는 재봉기에 있어서,
    톱니-전달 장치(21)의 베어링 본체(27)가 톱니(18)의 이송 운동을 위해 풀 로드(28)에 장착되고,
    자동 사절날-전달 장치(29)의 풀 로드(28)가 축 방향으로 변위할 시에 베어링 본체(27)가 축 방향에서 제 위치에 유지되도록, 베어링 본체(27)가 풀 로드(28)와 변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자동 사절날-전달 장치(29)가 풀 로드(28)를 따라 변위 가능하게 풀 로드(28)에 고정되는 자동 사절날-조절 부재(38)를 보유하며, 상기 자동 사절날-조절 부재(38)의 위치를 거쳐 자동 사절날(49)의 작동 영역이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풀 로드(28)를 따라서 변위 가능하게 재봉기 하우징(15)에 고정되는 톱니-조절 부재(33)를 보유하며, 상기 톱니-조절 부재(33)를 거쳐서 상기 베어링 본체(27)의 축 방향 위치가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기(1; 57)의 그리퍼(47)와 상기 그리퍼(47)에 연관된 자동 사절날(49)을 공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그리퍼 베어링(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6. 제 5항에 있어서, 자동 사절날(49)의 대응날(50)이 그리퍼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기는 프리암 재봉기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8.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기는 이본침 재봉기(57)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9. 제 8항에 있어서, 각각의 바늘대에 사절을 위해 대응날(50)과 상호 작용하는 자동 사절날(49)을 포함하는 고유의 자동 사절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자동 사절날-전달 장치(29)가 풀 로드(28)를 따라 변위 가능하고, 풀 로드(28)에 고정되는 2개의 자동 사절날-조절 부재(38, 38')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사절날-조절 부재(38,38')의 위치를 거쳐서 2 개의 자동 사절날의 각각의 운동 영역이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11.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재봉기(1; 57)의 동일한 측면에서 상기 조절 부재들(33, 38)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KR1020100073510A 2009-08-28 2010-07-29 재봉기 KR101757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39252.1 2009-08-28
DE200910039252 DE102009039252A1 (de) 2009-08-28 2009-08-28 Näh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738A KR20110023738A (ko) 2011-03-08
KR101757919B1 true KR101757919B1 (ko) 2017-07-26

Family

ID=4343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510A KR101757919B1 (ko) 2009-08-28 2010-07-29 재봉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290142B1 (ko)
KR (1) KR101757919B1 (ko)
CN (1) CN102002826B (ko)
DE (1) DE102009039252A1 (ko)
TW (1) TWI5153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7626A1 (de) * 2017-05-05 2018-11-08 Dürkopp Adler AG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Naht-Endunterfadens mit vorgegebenem Soll-Nahtüberstand
CN109837661B (zh) * 2019-02-28 2021-04-27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及其剪线机构
CN109652931B (zh) * 2019-02-28 2020-09-04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及其剪线机构
CN110878451B (zh) * 2019-12-06 2022-03-01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针板结构及缝纫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838B1 (ko) * 1990-11-30 1999-05-01 틸만스.클라인 2중 스텝 스티치 재봉틀에서 재봉초기에 바늘의 실단부를 단축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2000024353A (ja) * 1998-07-08 2000-01-25 Brother Ind Ltd ミシン
JP2000176188A (ja) * 1998-12-18 2000-06-27 Brother Ind Ltd 2本針ミシンの送り歯高さ調節機構
JP7010316B2 (ja) * 2014-01-30 2022-01-2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端末、基地局、及びこれら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830A (en) * 1907-07-01 1911-12-05 Metropolitan Sewing Machine Company Thread-cutting atttachment for sewing-machines.
DE3303032C2 (de) * 1983-01-29 1985-12-12 Kochs Adler Ag, 4800 Bielefeld Fadenabschneidvorrichtung für eine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DE19722395C1 (de) * 1997-05-28 1998-08-06 Pfaff Ag G M Nähmaschine mit einer Fadenschneideinrichtung
DE10025822C5 (de) * 2000-05-25 2008-09-18 Quick Rotan Elektromotoren Gmbh Vorrichtung zum Transportieren von Nähgut
DE10123075C1 (de) * 2001-05-11 2002-10-10 Duerkopp Adler Ag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mit einer Fadenabschneidvorrichtung
CH697309B1 (de) * 2005-05-09 2008-08-15 Gegauf Fritz Ag Vorrichtung zum Betätigen mehrerer Funktionen einer Nähmaschine.
JP4753159B2 (ja) * 2006-03-17 2011-08-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JP2007282747A (ja) * 2006-04-14 2007-11-01 Juki Corp ミシン
CN101200842B (zh) * 2007-12-14 2012-05-30 郑晶晶 缝纫机压脚送料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838B1 (ko) * 1990-11-30 1999-05-01 틸만스.클라인 2중 스텝 스티치 재봉틀에서 재봉초기에 바늘의 실단부를 단축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2000024353A (ja) * 1998-07-08 2000-01-25 Brother Ind Ltd ミシン
JP2000176188A (ja) * 1998-12-18 2000-06-27 Brother Ind Ltd 2本針ミシンの送り歯高さ調節機構
JP7010316B2 (ja) * 2014-01-30 2022-01-2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端末、基地局、及びこれら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90142A3 (de) 2012-08-29
KR20110023738A (ko) 2011-03-08
TW201111575A (en) 2011-04-01
DE102009039252A1 (de) 2011-03-10
TWI515347B (zh) 2016-01-01
EP2290142A2 (de) 2011-03-02
CN102002826B (zh) 2014-03-26
CN102002826A (zh) 2011-04-06
EP2290142B1 (de)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17402B (zh) 一种缝纫机的切刀结构
JP4844846B2 (ja) 送り出し腕形偏平縫いミシンのメス駆動装置
EP2206816B1 (de) Zwei-Nadel-Nähmaschine
JP2017184980A (ja) ミシン
KR101757919B1 (ko) 재봉기
JP2017184983A (ja) ミシン
JP3186538U (ja) ミシン用の糸引きブレード、糸切断アセンブリ、及びこの種の糸引きブレードを備えたミシン
JPS6241035B2 (ko)
CN1837443B (zh) 嵌条缝纫机
JP6045318B2 (ja) ミシン
JP2010246841A (ja) ミシン
EP1184503B1 (en) Double chain stitch sewing machine
US5427041A (en) Upper knife releasing device in an overlock sewing machine
JP2017148470A (ja) ミシン
US3653348A (en) Ruffling attachment for a stitching machine
JP4913373B2 (ja) ミシンの針駆動機構
JP2010246706A (ja) ミシン
JP2730784B2 (ja) 下部布送り装置を備えたミシン
EP3360994A1 (de)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sowie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naht-anfangsoberfadens mit einem geringen soll-nahtüberstand
JP2009207665A (ja) ミシン
KR102496909B1 (ko)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의 시작 상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위한 어셈블리
JPH09140971A (ja) ミシン
KR101677285B1 (ko) 실 절단 장치
JP2017080315A (ja) 糸切機構とミシン
US4265191A (en) Sewing machine with trimmer drive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