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479B1 -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479B1
KR101747479B1 KR1020127031069A KR20127031069A KR101747479B1 KR 101747479 B1 KR101747479 B1 KR 101747479B1 KR 1020127031069 A KR1020127031069 A KR 1020127031069A KR 20127031069 A KR20127031069 A KR 20127031069A KR 101747479 B1 KR101747479 B1 KR 101747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instrument panel
airbag device
passenger
passeng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9411A (ko
Inventor
다다아키 세키노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79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16Inner seams, e.g. creating separate compartments or used as teth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의 용량을 삭감하고, 또한 팽창 전개 시의 협동을 안정화한다.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상면에 설치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이며, 전개 팽창 상태에 있어서의 쿠션(10)의 인스투르먼트 패널측(이면측)에 탑승원이 진입할 때의 지지 수단으로 되는 돌기부(10b)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돌기부(10b)에 인접하여 오목부(10c, 10d)를 형성하였다. 오목부(10c, 10d)를 형성함으로써 쿠션(10)의 용량을 삭감하고, 돌기부(10b)에 의해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의 에어백 장치의 거동을 안정화한다.

Description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FRONT PASSENGER SEAT AIR BAG DEVICE}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인스투르먼트 패널에 수납되고, 차량이 충돌 등으로 급정지하면, 에어백 장치에 장착한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의 공급을 받아, 인스투르먼트 패널의 상면에 설정된 전개 도어로부터 윈드 실드(프론트 윈도우)와 조수석의 탑승원 사이에서 팽창 전개하여 조수석의 탑승원을 보호한다.
이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는, 팽창 전개 시에 윈드 실드나 인스투르먼트 패널 상면과 접촉함으로써 그 거동을 안정시키고 있다. 그러나 인스투르먼트 패널 상면의 에어백 장치의 설정 위치보다도 탑승원측으로 되는 부분이 적은 형상으로 디자인된 인스투르먼트 패널의 경우에는, 에어백 장치의 쿠션(주머니체)의 거동이 불안정해진다.
이것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쿠션의 용량을 늘려 탑승원과 차체의 윈드 실드 및 인스투르먼트 패널의 사이를 메워, 확실하게 탑승원을 받아낼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의 쿠션은 대용량의 것으로 되기 쉽다.
에어백 장치의 쿠션이 대용량으로 되면, 그만큼 쿠션을 구성하는 기포(基布)의 사용량이 증대되고, 또한, 대용량의 쿠션을 신속히 팽창 전개시키기 위해, 인플레이터의 출력도 크게 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대출력의 인플레이터는 비용이 높아지므로, 전체의 비용 상승의 요인으로 되고, 또한 에어백 장치나 부속 부재의 강도도 그 출력에 아울러 강화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 중량이 증대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하여, 비교적 저출력의 인플레이터로, 또한 빠르게 팽창하여 충분한 충격 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쿠션의 용량을 삭감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도 7은 그러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의 쿠션(100)은, 그 전단부측에 탑승원 대향면(102)을, 또한 상측면에 윈드 실드 대향면(104)을 갖고 있고, 탑승원 대향면(102)과 윈드 실드 대향면(104)은 내부 부재(106)에 의해 서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로 인해, 인플레이터(112)가 가스 분출 작동하였을 때에는, 그 가스압에 의해 탑승원 대향면(102)이 탑승원에게 접근하도록 팽창하는 동시에, 윈드 실드 대향면(104)의 상하 방향의 도중 부분이, 내부 부재(106)를 통해 탑승원 대향면(102)에 의해 인장되고, 윈드 실드(122)로부터 이격되도록 쿠션의 내측에 오목해진 형상으로 전개한다. 이에 의해, 쿠션(100)은, 그 용량을 감소시키고 있다.
또한, 반드시 에어백 장치의 쿠션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마찬가지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쿠션을 조수석에 착석한 탑승원과 간섭 가능한 탑승원 보호부로 되는 제1 팽창부와, 제1 팽창부가 팽창하였을 때 제1 팽창부와 인스투르먼트 패널 사이에서 제1 팽창부로부터 유입되는 팽창용 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제2 팽창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것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의 쿠션(100)은, 그 윈드 실드측의 용량을 삭감하고 있으므로, 전개 시에 있어서의 쿠션의 거동이 안정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고, 또한, 내부 부재(106)를 별도 필요로 하고, 또한 그것을 탑승원 대향면(102)과 윈드 실드 대향면(104)에 장착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므로, 작성상의 수고가 요구되고, 따라서, 단순히 기포를 접합하여 작성하는 쿠션에 비해 비용이 든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는, 그 구조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보다도 더욱 복잡하고, 비용이 들뿐만 아니라, 반드시 에어백 장치의 쿠션의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쿠션의 용량을 단순히 전체적으로 작게 하면,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상면으로부터 팽창 전개를 개시한 쿠션(10)은 인스투르먼트 패널(20)과 윈드 실드(25) 사이의 간극을 다 메우는 일이 없이,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상면을 따라 탑승원측으로 전개한다(도 8의 A 내지 D). 쿠션(10)은, 그 후 팽창 전개하는 과정에서 일단은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정면측의 위치까지 내려가지만(도 8의 E 참조),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압이 더 충전되면 올라가 패널 표면측으로부터 이격된다(도 8의 F 참조). 그로 인해, 쿠션의 거동은 불안정하고, 탑승원이 쿠션에 진입하였을 때의 쿠션의 지지 위치가 안정되지 않아 지지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19560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329749호 공보
본 발명은, 종래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의 상기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그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의 쿠션의 용량을 삭감하면서, 또한, 팽창 전개 시의 거동이 안정되고, 충분한 충격 흡수 성능을 구비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를 저비용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는, 쿠션과, 상기 쿠션 내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한 인스투르먼트 패널에 설치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이며, 상기 쿠션은, 탑승원에 대향하는 대응 위치로 되는 메인 패널과, 메인 패널의 양측 테두리에 접합된 사이드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쿠션은, 상기 인스투르먼트 패널측에 인플레이터의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쿠션은, 팽창 전개의 초기의 단계에서 상기 인스투르먼트 패널의 정면에 그 선단이 접촉하고, 팽창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쿠션의 인스투르먼트 패널을 향해 탑승원이 진입할 때의 지지 수단으로 되는 돌기부와, 상기 인플레이터의 장착부와 상기 돌기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로부터 연속한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메인 패널의 양단부를 남기고 상기 메인 패널의 양측 테두리에 봉합한 상기 사이드 패널을 상기 쿠션의 내측으로 꺾어 넣은 상태에서, 메인 패널의 단부끼리를 봉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본 발명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는, 상기 (1)에 기재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상기 탑승원에 대향하는 대향면 사이에 상기 돌기부에 인접한 제2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본 발명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의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의 쿠션에 작용하는 중력과 진입하는 탑승원에 의한 진입력의 합력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본 발명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는 인스투르먼트 패널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팽창 전개 시에 윈드 실드와 인스투르먼트 패널 상면 사이의 공극을 메우는 부분이, 상기 공극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그 용량을 작게 하면서도,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의 거동이 안정되고, 또한 충분한 충격 흡수 성능을 구비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를 저비용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의 쿠션의 팽창 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팽창 시에 있어서의 쿠션의 측면도이며, 탑승원이 진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팽창 시에 있어서의 쿠션에 탑승원이 진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쿠션의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의 거동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의 쿠션의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곡률이 작은 부분의 봉합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비교예에 있어서의 쿠션의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의 거동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의 쿠션(10)의 팽창 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팽창 시에 있어서의 상기 쿠션(10)의 측면도이며, 탑승원이 진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의 쿠션(10)은, 메인 패널(12)과 양 사이드 패널(14), 즉, 쓰리 피스로 구성되어 있고, 1매의 메인 패널(12)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사이드 패널(14)을 장착하여 일체화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메인 패널(12)에는 인플레이터 장착용 개구(15)가 형성되어 있다.
쿠션(1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탑승원측으로부터 보아 그 인스투르먼트 패널측(이하 단순히 이면측이라 함)에, 인플레이터(30)의 장착부(10a)와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측면에 접촉하는 돌기부(10b)와, 장착부(10a)와 돌기부(10b) 사이에, 돌기부(10b)에 인접하여 함몰부, 즉, 오목부(10c)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돌기부(10b)에 인접하여 그 하측에 오목부(10d)가 형성되고, 그 오목부(10d)의 타측은, 탑승원측, 즉, 표면측에 연결되어 있고, 그 탑승원 대향면은 탑승원이 진입하였을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평활한 면으로 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14)은,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의 쿠션(10)의 이면 형상을 실현하기 위해, 상기 돌기부(10b) 및 오목부(10c) 및 오목부(10d)에 대응한 형상으로 재단되어 있다.
상기 형상으로 재단된 좌우 사이드 패널(14)을, 메인 패널(12)의 양측 테두리에 예를 들어 봉합에 의해 일체로 접합함으로써 쿠션(10)이 형성된다(또한, 봉합 이외의 예를 들어 접착제 등의 수단으로 접합하는 것도 필요한 강도가 만족되는 한 가능함.).
여기서, 쿠션(10)의 돌기부(10b)는 임의의 작은 곡률의 변으로 형성된 외형을 갖고, 쿠션(10)의 팽창 전개 시에 그 선단이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정면(22)에 접촉하여, 탑승원이 진입해 왔을 때에 탑승원을 받아내는 쿠션(10)의 지지부를 구성한다.
즉, 도 3은 쿠션(10)에 탑승원이 진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탑승원의 진입 시에 작용하는 힘을 분해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30)로부터의 가스가 쿠션(10) 중에 진입하면, 후술하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쿠션(10)은 인스투르먼트 패널(20) 상에서 가스 분류에 의해 팽창하면서 외측으로 전개한다. 쿠션(10)이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상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전개하면, 쿠션(10)의 자중의 영향을 받아 하방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전개하고, 상기 돌기부(10b)가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정면(22)에 접촉한다.
일단 접촉하면, 제2 오목부(10d)에 의해, 쿠션(10)의 하방으로의 팽창 전개가 억제되어, 상기 돌기부(10b)는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압에 의해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정면(22)과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고, 따라서,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의 쿠션(10)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도 3 중의 F1 내지 F3은, 쿠션(10)이 상기와 같이 팽창 전개한 상태에서 탑승원이 진입하였을 때에, 쿠션(10)에 작용하는 힘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즉, F1은 탑승원의 머리부가 쿠션(10)에 진입할 때에, 쿠션(10)에 작용하는 힘의 벡터(크기와 방향)를 나타낸다. 또한, F2는 쿠션(10)에 작용하는 중력의 벡터를 나타낸다. F3은 양 벡터 F1과 F2의 합력의 벡터, 즉, 탑승원이 팽창 전개한 쿠션(10)에 진입할 때, 실제로 쿠션(10)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과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돌기부(10b)는, 이 힘의 벡터 F3을 고려하여, 벡터 F3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탑승원이 쿠션(10)에 진입하면, 그 힘은 상기 돌기부(10b)를 통해 그대로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정면(22)에 전달되고, 그 저항력과 균형을 이룬 결과, 쿠션(10)은 안정된 상태에서(즉, 망동하지 않고) 탑승원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10b)의 배치 위치가 상기 벡터 F3의 방향과 어긋나 있으면, 탑승원이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의 쿠션(10)에 진입할 때에, 상기 돌기부(10b)와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접점의 주위에서 쿠션(10)에 힘의 벡터 F3에 의한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고, 쿠션(10)이 망동한다. 그로 인해 안정된 상태에서 충격을 완화할 수 없다.
반대로, 탑승원이 쿠션(10)에 진입할 때에 작용하는 힘의 벡터 F3이 결정되면, 상기 쿠션(10)의 이면측의 벡터 F3의 작용 부분 이외의 부분, 즉, 돌기부(10b) 이외의 부분은 힘의 전달에 관여하지 않는 것이 명백하므로, 그 부분은 인스투르먼트 패널(20)에 접촉시킬 필요가 없고, 그 부분의 용량을 삭감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쿠션(10)의 돌기부(10b)를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정면(22)에 접촉시키면서, 돌기부(10b) 이외의 부분을 가능한 한 내측으로 깊게 베어 오목부를 형성하고, 그에 의해,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의 에어백 장치의 거동을 안정시키면서 쿠션(10)의 용량을 삭감시키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는, 상기와 같이 그 쿠션(10)의 용량을 삭감시킨 것에 수반하여, 인플레이터의 출력을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쿠션(10)을 구성하는 사이드 패널(14)의 면적도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그에 의해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쿠션(10)의 용량의 삭감을 그 이면측 및 하면측에 있어서 행하므로, 윈드 실드(25)에 의한 지지가 불충분해져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의 거동이 불안정해질 우려도 없다.
또한, 쿠션(10)의 돌기부(10b)의 연장 방향은, 탑승원이 쿠션(10)에 진입할 때의 상기 벡터 F3의 방향에 맞춘 것으로 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탑승원이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에 진입하는 위치는, 탑승원의 신장이나, 자세에 의해 바뀔 수 있으므로, 상기 벡터 F3의 방향은 어느 정도의 폭(허용 범위)을 갖고 설정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어느 정도의 폭이 필요한지는, 상정되는 탑승원의 신장이나 자세에 관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정할 수 있고, 실제로는, 상기 돌기부(10b)의 폭은 실험 결과에서 얻은 수치 범위에 소정의 안전율을 곱한 수치가 채용된다.
도 4의 A 내지 F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의 쿠션(10)의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의 거동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쿠션(10)이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상면의 설정 위치로부터 팽창 전개를 시작하고, 윈드 실드(25)와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상면 사이에서 규제되면서 상방 및 도시 우측 방향으로 전개해 가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도 4의 A 내지 C 참조). 상기 쿠션(10)의 하면이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상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나감에 따라, 상기 돌기부(10b)가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정면에 접촉하면서 하강하여(도 4의 D, E 참조), 그 위치에서 안정된다(도 4의 F).
본 실시 형태의 쿠션(10)과, 도 8에 도시하는 돌기부(10b)를 형성하지 않고 단순히 용량을 삭감한 에어백 장치를 대비하면 명백해진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쿠션(10)은 그 이면에 돌기부(10b)를 형성함으로써,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외측으로 전개하였을 때, 돌기부(10b)가 하향으로 전개하여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정면(22)에 접촉하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쿠션(10)이 올라가 인스투르먼트 패널(20)로부터 이격되는 일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에 따르면, 그 쿠션(10)의 용량을 삭감하는 데 있어서, 종래와 같은 기포 이외의 부재를 사용하는 일이 없이, 돌기부(10b)를 형성하도록 곡률을 좁혀 재단한 사이드 패널(14)을, 메인 패널(12)의 테두리를 따라 단순히 봉합 등에 의해 접합하기만 해도 되므로 작성상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쿠션(10)은, 팽창 전개 시에 윈드 실드(25)의 지원이 없어도, 상술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전개하면서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상면으로부터 어긋나면 하방으로 전개하고, 전개의 비교적 초기의 단계에서 상기 돌기부(10b)의 선단이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정면(22)에 접촉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므로, 전개 시의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의 쿠션(10)의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쿠션(10)은, 팽창 전개 시에 윈드 실드(25)에 접촉하고, 윈드 실드(25)와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상면과 접촉하여 그 거동을 안정화시킨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쿠션(10)은, 그 윈드 실드(25)와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상면 사이에 전개하는 부분의 형상이, 상기 양자의 간극의 형상에 대응시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밖의 형상 등은 제1 실시 형태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와 마찬가지이다.
이에 의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의 쿠션(10)은, 제1 실시 형태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에 더하여, 그 용량을 한층 더 삭감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쿠션(10)의 윈드 실드(25)와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상면 사이의 부분은, 그 양 부분의 간극의 형상에 대응시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양 부분간에서 잉여로 되는 부분이 탑승원측으로 밀려 나와 팽출하는 일이 없다. 그로 인해, 인플레이터 출력은 한층 더 소용량의 것으로 충분한 동시에, 사이드 패널(14)도 한층 더 작게 형성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가일층의 비용 삭감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돌기부(10b), 혹은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상면과 윈드 실드(25) 사이의 간극의 형상에 맞춘 곡률이 작은 부분(여기서는, 곡률이 작은 부분을 이형부라 함)의 형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상기 이형부의 봉합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는, 메인 패널(12)과 좌우의 사이드 패널(1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형부를 봉합할 때에 통상의 수순을 적용하면, 우선 1매의 메인 패널(12)의 양 단부를 봉합하여 연속편을 형성하고, 그 연속편의 측면에 각각 좌우의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한 사이드 패널(14)을 봉합한다. 이 경우, 서로 봉합하는 메인 패널(12)과 사이드 패널(14)이 봉합 중에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면, 봉합 중에 그 위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없으므로, 메인 패널(12)과 사이드 패널(14)의 봉합부의 봉합 단부의 부분에 주름이 발생하고, 평활한 봉합면이 얻어지지 않고, 굴곡된 것과 같은 형상으로 된다. 이러한 형상의 봉합 부분에, 인플레이터로부터 고온 고압의 가스가 접촉하면 가스 누설이 발생하거나, 극단적인 경우에는 파단할 수도 있다.
그런데 실제로는 메인 패널(12)과 사이드 패널(14)은 봉합 중에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상기 봉제 방법으로는 상기 이형부의 봉합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상기한 봉제의 수순을 바꾸어, 연속편의 형상으로 한 메인 패널(12)의 단부끼리를 처음에 봉합하지 않고 자유롭게 해 두고, 그 상태에서 메인 패널(12)과 양 사이드 패널(14)을, 서로의 테두리부를 따라 봉합한다(도 6의 A 참조). 그때, 사이드 패널(14)과 메인 패널(12)의 봉합 시작과 봉합 종료를 겹쳐 봉합하지 않도록 해 둔다.
이에 의해, 메인 패널(12)에 양 사이드 패널(14)을 봉합한 상태에서는, 봉합 시작의 부분과 봉합 종료의 부분 사이에 사각형의 구멍이 봉합 남김 부분으로서 남는다. 다음으로, 이 봉합 남김 부분의 단변측을 내측에 V자 형상으로 꺾어 넣어 폐쇄하고(도 6의 B 참조), 폐쇄한 부분을 봉제하여 접합한다(도 6의 C 참조).
이 방법으로 봉제함으로써, 쿠션(10)의 상기 돌기부(10b)나, 윈드 실드(25)와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상면 사이의 부분과 같은 이형부를, 그 곡률을 고려하는 일 없이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패널(12)에 복수의 이형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메인 패널(12)을 복수의 패널로 구성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는, 그 쿠션(10)에 돌기부(10b)를 형성함으로써, 인스투르먼트 패널(20)의 상면이나 윈드 실드(25)의 지지력에 의존할 필요성을 낮게 할 수 있으므로, 그 디자인이나, 차량의 레이아웃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이점이 있다.
따라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의 디자인이나 상품 기획의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그 중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쿠션(10)의 돌기부(10b)를 탑승원의 진입 시에 있어서의 상기 합력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하였으므로, 쿠션(10)의 거동의 안정에 필요한 인스투르먼트 패널면으로부터의 반력(저항력)을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머리부 진입에 의한 쿠션의 처짐, 즉,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를 중심으로 하고, 장착부와 머리부 접촉부 사이를 반경으로 하는 원의 접선 방향으로 처지려고 하는 것을 억제하고, 안정된 충격 흡수 시의 거동을 얻을 수 있다.
1 :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10 : 쿠션
10b : 돌기부
10c, 10d : 오목부
12 : 메인 패널
14 : 사이드 패널
20 : 인스투르먼트 패널
25 : 윈드 실드

Claims (6)

  1. 쿠션과, 상기 쿠션 내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한 인스투르먼트 패널에 설치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이며,
    상기 쿠션은, 탑승원에 대향하는 대응 위치로 되는 메인 패널과, 메인 패널의 양측 테두리에 접합된 사이드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쿠션은, 상기 인스투르먼트 패널측에 인플레이터의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쿠션은, 팽창 전개의 초기의 단계에서 상기 인스투르먼트 패널의 정면에 그 선단이 접촉하고, 팽창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쿠션의 인스투르먼트 패널을 향해 탑승원이 진입할 때의 지지 수단으로 되는 돌기부와, 상기 인플레이터의 장착부와 상기 돌기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로부터 연속한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메인 패널의 양단부를 남기고 상기 메인 패널의 양측 테두리에 봉합한 상기 사이드 패널을 상기 쿠션의 내측으로 꺾어 넣은 상태에서, 메인 패널의 단부끼리를 봉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상기 탑승원에 대향하는 대향면 사이에 상기 돌기부에 인접한 제2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의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의 쿠션에 작용하는 중력과 진입하는 탑승원에 의한 진입력의 합력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는 인스투르먼트 패널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팽창 전개 시에 윈드 실드와 인스투르먼트 패널 상면 사이의 공극을 메우는 부분이, 상기 공극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27031069A 2010-04-28 2011-04-27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KR101747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04153 2010-04-28
JP2010104153A JP5837285B2 (ja) 2010-04-28 2010-04-28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PCT/JP2011/060317 WO2011136297A1 (ja) 2010-04-28 2011-04-27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411A KR20130079411A (ko) 2013-07-10
KR101747479B1 true KR101747479B1 (ko) 2017-06-14

Family

ID=4486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069A KR101747479B1 (ko) 2010-04-28 2011-04-27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14205B2 (ko)
EP (1) EP2565085B1 (ko)
JP (1) JP5837285B2 (ko)
KR (1) KR101747479B1 (ko)
CN (1) CN102858599A (ko)
WO (1) WO20111362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5470B2 (ja) * 2012-12-21 2017-02-22 スズ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6224915B2 (ja) * 2013-05-20 2017-11-01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TWI499193B (zh) * 2013-08-16 2015-09-01 Univ Nat Cheng Kung 電力轉換裝置及其控制方法
CN103802780B (zh) * 2014-03-05 2016-01-27 延锋百利得(上海)汽车安全***有限公司 一种安装于仪表板的安全气囊装置
JP6364700B2 (ja) * 2015-01-29 2018-08-0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KR102589936B1 (ko) * 2020-12-01 2023-10-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쿠션
CN114228659B (zh) * 2021-12-29 2023-02-28 宁波均胜汽车安全***有限公司 一种正面气囊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9749A (ja) * 2004-05-18 2005-12-02 Toyoda Gosei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ッグ
JP2008114616A (ja) * 2006-10-31 2008-05-22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6043A (en) * 1991-10-24 1994-04-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ashboard top mounted vehicle air bag assembly
JPH0769149A (ja) * 1993-09-02 1995-03-14 Takata Kk 助手席エアバッグ装置
US5584508A (en) * 1993-11-05 1996-12-17 Takata Corporation Combination of an air bag device and a vehicle
JP2000043663A (ja) * 1998-07-31 2000-02-15 Kansei Corp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2019560A (ja) 2000-07-07 2002-01-23 Takata Corp 助手席用エアバッグ
US6832780B2 (en) 2000-07-07 2004-12-21 Takata Corporation Passenger-seat airbag device
JP2002046562A (ja) * 2000-08-04 2002-02-12 Takata Corp エアバッグ
US7407185B2 (en) * 2005-03-04 2008-08-05 Tk Holdings Inc. Passenger airbag with a diffuser
JP2007008219A (ja) 2005-06-28 2007-01-18 Takata Corp 乗員拘束装置
JP4492546B2 (ja) * 2006-01-18 2010-06-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7196855A (ja) * 2006-01-26 2007-08-09 Toyoda Gosei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DE102006027588A1 (de) * 2006-06-14 2007-12-20 Trw Automotive Gmbh Beifahrerseitige Insassenschutzvorrichtung
KR100757626B1 (ko) * 2006-06-23 2007-09-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의 쿠션
JP4923879B2 (ja) 2006-09-06 2012-04-25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WO2008063103A1 (en) * 2006-11-22 2008-05-29 Autoliv Development Ab An air-bag unit
JP5106973B2 (ja) * 2006-12-21 2012-12-26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7862073B2 (en) * 2008-06-05 2011-01-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plit top air bag assembly
JP2010023592A (ja) * 2008-07-16 2010-02-04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US7938445B2 (en) * 2009-03-03 2011-05-10 Autoliv Asp, Inc. Dual chamber airbag cushions with a safety vent in the front chamber
WO2011010386A1 (ja) * 2009-07-24 2011-0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WO2011071288A2 (en) * 2009-12-10 2011-06-16 Cis Tech, Llc Mushroom airba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9749A (ja) * 2004-05-18 2005-12-02 Toyoda Gosei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ッグ
JP2008114616A (ja) * 2006-10-31 2008-05-22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65085A1 (en) 2013-03-06
KR20130079411A (ko) 2013-07-10
WO2011136297A1 (ja) 2011-11-03
EP2565085B1 (en) 2015-08-05
JP2011230701A (ja) 2011-11-17
JP5837285B2 (ja) 2015-12-24
US8814205B2 (en) 2014-08-26
US20130087997A1 (en) 2013-04-11
EP2565085A4 (en) 2013-09-18
CN102858599A (zh)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479B1 (ko)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JP5485990B2 (ja) 自動車用の車両シート装置及び車両乗員保護方法
JP4434193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2362655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2011527965A5 (ko)
WO2013183130A1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491332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
CN110979243B (zh) 乘员保护装置
JP2012051557A (ja) エアバッグ装置
CN110979244A (zh) 乘员保护装置
WO2018123427A1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12009418A (zh) 侧面安全气囊装置
JP2002019560A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
KR20220158441A (ko) 루프 장착형 에어백
JP5433494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クッションの製造方法
JP2021003908A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CN114633712B (zh) 用于车辆的安全气囊垫
JP2019167083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11057155A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
KR102473425B1 (ko) 에어백 장치
JP2019064013A (ja) 樹脂成形部品、樹脂成形部品の製造方法、及び溶着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2021120271A (ja) 乗物用シート
JP6281160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
JP2019031132A (ja) 乗物用シート
JP2024068321A (ja) 袋織エア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