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135B1 -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135B1
KR101739135B1 KR1020100121351A KR20100121351A KR101739135B1 KR 101739135 B1 KR101739135 B1 KR 101739135B1 KR 1020100121351 A KR1020100121351 A KR 1020100121351A KR 20100121351 A KR20100121351 A KR 20100121351A KR 101739135 B1 KR101739135 B1 KR 101739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inding
coupling
terminal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9866A (ko
Inventor
김병선
정민수
김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1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135B1/ko
Priority to US13/117,268 priority patent/US8772652B2/en
Publication of KR20120059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6Modular concep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34Bezel
    • H01H2223/036Bezel forming chamfered apertures f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2Telephone hand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3/00Key modules
    • H01H2233/03Key modules mounted on support plate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형되어 키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작동 부재; 상기 작동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결속 부재; 상기 결속 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작동 부재의 측면을 감싸게 절곡된 결속편; 및 상기 결속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키 탑(key top)을 포함하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편이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 내측벽 상에 결속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키패드 조립체는 결속 부재에 결속편을 형성하여 하우징의 내측벽과 평행하게 밀착시킨 상태로 조립되어, 종래의 키패드 조립체 구조와 비교할 때, 키 탑들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KEY PAD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중 하나인 키패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음성통화나 메시지 전송 등의 통신 기능으로부터 각종 정보의 저장, 게임, 동영상 감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즐길 수 있게 하는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기기는 전자 수첩,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휴대용 게임기, 동영상/음악파일 재생기, 셀룰러 폰(cellular phone), 노트북 PC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최근에는 셀룰러 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자 수첩이나 멀티미디어 기능이 탑재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 하나만으로 음성 통화 등의 통신 기능으로부터 소액 결재와 같은 금융 업무, 게임/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의 다양한 콘텐츠(contents)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초기에 음성 통화나 단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쳤으나, 전자/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휴대용 단말기가 점차 소형화, 집적화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 고유의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금융 업무를 가능하게 하는 보안 기능, 게임/동영상 등을 즐길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능, 인터넷이나 메일의 송수신을 포함하는 간단한 사무처리 기능 등이 탑재되고 있는 것이다.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숫자 입력을 위한 키들과, 통화/종료 키, 메뉴 호출 및 이동 키 등을 포함하는 키패드만으로도 음성통화나 단문 메시지 작성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었으나,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면서 키패드 확장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단순히 각각의 키를 작게 만들어 더 많은 수의 키들을 탑재할 수도 있지만, 키들이 작아지면 하나의 키를 조작할 때 그에 인접하는 다른 키를 잘못 조작하게 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두 개의 하우징을 결합하되 필요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단말기를 길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는 쿼티(qwerty) 키패드를 배치한 구조의 단말기도 등장하고 있다.
한편, 휴대성을 고려할 때 단말기의 크기를 소형화하면서 충분한 키패드 면적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 조립체(102)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 조립체(102)는 그 상부에 다수의 키 탑(key top)(121)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기(100)의 하우징(101)을 구성하는 전면 케이스(101a)와 후면 케이스(101b)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전면 케이스(101a)는 상기 키패드 조립체(102),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키 탑(121)들을 노출시키는 개구(111)와, 도시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윈도우(113)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개구(111)의 둘레는 상기 키패드 조립체(102)의 가장자리를 감싸 상기 하우징(101) 내에 고정하는 프레임 형태이며, 상기 전면 케이스(101a)의 내측에는 상기 개구(111)의 둘레를 따라 고정 돌기(115)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돌기(115)들은 각각 상기 전면 케이스(101a)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후면 케이스(101b)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다.
상기 키패드 조립체(102)의 가장자리,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키 탑(121)들의 내측단 가장자리에는 결속 리브(127)가 연장되어 있고, 상기 결속 리브(127)에는 결속홀(129)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키패드 조립체(102)가 상기 후면 케이스(101b)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케이스(101a)가 조립되면, 상기 고정 돌기(115)들이 상기 결속홀(129)을 관통한 상태로 결속된다. 이로써, 상기 키패드 조립체(102)는 상기 전면 케이스(101a)에 대하여 일정한 위치에 조립되어 상기 개구(111) 내에 배치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키패드 조립체 설치 구조에서는 상기 키패드 조립체(102)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전면 케이스(101a)의 면적, 특히, 상기 전면 케이스(101a)의 폭을 충분히 활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 케이스(101a)의 양 측단의 일부분(D)은 상기 키 탑(121)들이 배치될 수 없고, 상기 키 탑(121)들이 배치될 수 있는 전폭(W)은 상기 전면 케이스(101a)의 양 측단 일부분(D)을 제외한 폭만큼만 사용되고 있다.
이는 키패드 조립체 고정을 위해 전면 케이스에 고정 돌기들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 키패드 조립체에 형성된 결속 리브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 전면 케이스의 양 측단 일부분이 활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키패드 조립체 설치 구조를 통해서는 단말기를 소형화하면서 사용자가 조작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키패드 설치 면적을 확보하기 용이한 키패드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면적이 용이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키패드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형되어 키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작동 부재; 상기 작동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결속 부재; 상기 결속 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작동 부재의 측면을 감싸게 절곡된 결속편; 및 상기 결속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키 탑(key top)을 포함하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편이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 내측벽 상에 결속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를 개시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돌출 형성된 결속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 조립체는 상기 결속편에 형성되는 결속홀을 더 구비하며, 상기 결속 돌기가 상기 결속홀에 맞물려 상기 결속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대면하게 위치되는 지지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속편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과 상기 지지 돌기 사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돌출 형성된 결속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 조립체는 상기 결속편에 형성되는 결속홀을 더 구비하며, 상기 결속 돌기가 상기 결속홀에 맞물려 상기 결속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패드 조립체는 상기 후면 커버 상에 배치되며 일면에 상기 키 스위치가 배치된 인쇄회로 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키 스위치는 돔 스위치(dome switch)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 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돔 스위치에 대면하는 작동 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는 상기 후면 커버에 형성되는 회피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속편의 일부분이 상기 회피홀 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키패드 조립체는, 상기 작동 부재의 하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작동 돌기; 및 상기 작동 돌기들이 형성된 위치에 상응하게 상기 결속 부재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키패드 조립체는, 상기 작동 부재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구동 돌기들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돌기들은 각각 상기 관통홀들 중 하나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키 탑은 상기 구동 돌기들과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 돌기들이 상기 결속 부재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 돌기들의 상면이 각각 상기 조작 부재의 하면에 부착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차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 부재의 하면 가장자리가 상기 단차부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차부의 단부 면에 돌출 형성된 결속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키패드 조립체는 상기 결속 편에 형성된 결속홀을 더 구비하며, 상기 결속 돌기가 상기 결속홀에 맞물려 상기 결속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 기판; 및 사용자의 키 입력 동작을 상기 인쇄회로 기판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에는 상기 인쇄회로 기판을 향해 하향 연장된 결속편이 제공되며, 상기 결속편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결속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를 개시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돌출 형성된 결속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 조립체는 상기 결속편에 형성되는 결속홀을 더 구비하며, 상기 결속 돌기가 상기 결속홀에 맞물려 상기 결속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대면하게 위치되는 지지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속편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과 상기 지지 돌기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 돌기는 상기 단차부의 단부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달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형되어 키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작동 부재; 상기 작동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결속 부재; 상기 결속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키 탑(key top)을 포함하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편은 상기 결속 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되어 상기 작동 부재의 측면을 감싸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패드 조립체는 상기 인쇄회로 기판에 제공되는 다수의 키 스위치; 및 상기 작동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키 스위치와 대면하는 다수의 작동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키패드 조립체는 단말기의 하우징 내측벽에 결속되는 결속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결속 부재에 결속편을 형성하여 하우징의 내측벽과 평행하게 밀착시킨 상태로 조립되기 때문에, 키패드 조립체를 조립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키패드 조립체 구조와 비교할 때, 키 탑들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장할 수 있으며, 동일한 크기의 키패드 조립체를 배치한다면 휴대용 단말기는 상대적으로 소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 조립체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키패드 조립체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 조립체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키패드 조립체의 주요 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를 조립하여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4에 도시된 키패드 조립체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200)는, 하우징(201a)의 전면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11)와 키패드 조립체(202)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11)의 상측에 수화부(215)가, 상기 하우징(201a)의 하단면에는 송화부(213)가 각각 배치된다. 이때, 상기 단말기(200)는 바형 단말기의 형태를 예시하고 있지만, 폴더형, 슬라이드형 단말기와 같이 다른 형태의 단말기에도 상기와 같은 구조의 키패드 조립체를 설치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별도의 하우징을 상기 하우징(201a)의 후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켜 슬라이드형 단말기를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키패드 조립체(202)는 통화/종료 키, 메뉴 호출 키, 단문 메시지 호출 키, 카메라 기능 키 등 자주 사용하는 키들과 메뉴의 이동/선택을 위한 키와 같이 기능 키들을 주로 배치하고, 상기 하우징(201a)의 후면에 결합되는 별도의 하우징에는 숫자/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숫자/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조립체의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1a)의 후면에는 후면 커버(201b)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201a)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키패드 조립체(202)는 상기 하우징(201a) 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 기판(227)과, 상기 인쇄회로 기판(227)상에 배치되는 작동 부재(221), 결속 부재(223) 및 조작 부재(225)를 구비한다. 상기 작동 부재(221), 결속 부재(223) 및 조작 부재(225)는 사용자의 키 입력 동작을 상기 인쇄회로 기판(227)까지 전달하는 전달부(202a)로서, 상기 결속 부재(223)를 통해 상기 하우징(201a) 상에 결속된다.
상기 인쇄회로 기판(227)에는 다수의 키 스위치(228)들이 배치되어 있는데, 통상의 키패드 조립체에 돔 스위치(dome switch)들이 활용되고 있는 바, 상기 인쇄회로 기판(227)에 배치되는 키 스위치들(228) 또한 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 기판(227)은 상기 후면 커버(201b)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201a)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01a)의 일면에는 상기 키패드 조립체(202), 구체적으로, 상기 전달부(202a)를 배치하기 위한 개구(212; 도 7에 도시됨)가 형성되어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하우징의 전면 케이스 내측면에 후면 케이스를 향하게 연장되는 고정 돌기들이 형성되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조립체는 이러한 고정 돌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전달부(202a)를 상기 하우징(201a)에 결속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201a)의 내측벽, 더 구체적으로 상기 개구(212)의 내측벽에는 결속 돌기(217; 도 5와 도 6에 도시됨)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작동 부재(221)는 상기 인쇄회로 기판(227)의 키 스위치(228)들을 직접 조작하는 것으로서, 실리콘이나 우레탄과 같은 탄성체 재질로 제작되며, 그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작동 돌기(231)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 돌기(231)들은 상기 키 스위치(228)들과 대면하게 배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키 스위치(228)들을 조작하게 된다. 다만, 상기 작동 돌기(231)들은 도 5나 도 6에 도시된 형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단지 상기 작동 부재(221)의 다른 부분보다 두께를 더 두껍게 하여 상기 작동 부재(221)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진퇴 운동하면서 상기 키 스위치(228)를 조작할 수 있으면 된다.
상기 결속 부재(223)는 상기 작동 부재(221)를, 더 나아가서는 상기 조작 부재(225)까지 상기 하우징(201a)에 결속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작동 부재(221)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결속 부재(223)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변형되지 않거나 적어도 변형된 후에는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올 수 있는 복원력을 가진 재질이 바람직하며,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제작된 경우에는 상기 작동 돌기(231)들이 형성된 위치에 상응하게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245; 도 9에 도시됨)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속 부재(223)의 가장자리에는 결속편(241; 도 9에 도시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속편(241)은, 실질적으로, 상기 결속 부재(223)의 가장자리를 절곡하여 상기 작동 부재(221)의 측면을 감싸게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201a)의 내측벽,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개구(212)의 내측벽 상에 결속된다. 상기 결속 부재(223)를 상기 하우징(201a)에 견고하게 결속시키기 위해, 상기 결속편(241)에는 다수의 결속홀(243)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01a)의 내측벽에는 결속 돌기(217; 도 5와 도 6에 도시됨)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속편(241)이 상기 하우징(201a)의 내측벽 상에 위치되면, 상기 결속 돌기(217)들이 상기 결속홀(243)에 맞물려 상기 결속 부재(223)와 아울러 상기 작동 부재(221) 및 조작 부재(225)를 상기 하우징(201a)에 결속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결속편(241)은 상기 하우징(201a)의 내측벽에 평행한 상태로 밀착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결속편(241)에 결속홀(243)들을, 상기 하우징(201a)의 내측벽에 결속 돌기(217)들을 형성하여 상기 결속 부재(223)를 상기 하우징(201a)에 결속시킨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상기 결속편(241)의 단부를 외측으로 절곡하여 상기 결속 부재(223)를 상기 하우징(201a)에 결속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결속편(241)이 상기 하우징(201a)의 내측벽에 결속되면서 상기 인쇄회로 기판(227)을 향해 하향 연장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결속편(241)의 단부를 외측(도 5에서는 좌측)으로 절곡하여 상기 하우징(201a)과 후면 커버(201b) 사이에 맞물리게 한다면, 상기 결속홀(243)과 결속 돌기(217)를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한편, 상기 후면 커버(201b)에는 지지 돌기(219a;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됨)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커버(201b)가 상기 하우징(201a)에 결합되면, 상기 지지 돌기(219a)들은 각각 상기 하우징(201a)의 내측벽에 대면하게 위치된다. 상기 결속 부재(223)가 상기 하우징(201a)에 조립되면, 상기 결속편(241)은 상기 하우징(201a)의 내측벽과 상기 지지 돌기(219a) 사이에 위치되는데, 이는 상기 결속편(241)이 결속 돌기(217)에 구속되거나 상기 하우징(201a)과 후면 커버(201b) 사이에 맞물린 상태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커버(201b)에는 회피홀(219b; 도 6과 도 7에 도시됨)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피홀(219b)들은 상기 결속편(241)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는데, 상기 회피홀(219b)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결속편을 넓게 형성하여 상기 결속홀(243)을 형성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부재(225)는 상기 결속 부재(223)의 상면에 배치되며, 다수의 키 탑(226)을 포함한다. 상기 키 탑(226)들은 상기 작동 돌기(231)가 형성된 위치에 상응하게 배열된다. 상기 키 탑(226)들 각각에는 부여된 기능을 의미하는 문자나 기호들이 인쇄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문자나 기호들을 보고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 키 탑을 조작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키 탑(226)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작동 부재(221)가 변형되면서 조작된 키 탑(226)과 상응하는 작동 돌기(231)가 이동하여 그에 상응하는 키 스위치(228)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키 탑을 조작하는 정도의 힘에 대해서 상기 결속 부재(223)는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고 있음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작 부재(225)가 조작되더라도 상기 결속 부재(223)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작동 부재(221)의 상면에는 다수의 구동 돌기(235; 도 9에 도시됨)들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돌기(235)들은 각각 상기 결속 부재(223)에 형성된 관통홀(245)에 수용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속 부재(223)의 상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조작 부재(225)는 그의 하면이 상기 구동 돌기(235)의 상면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작동 부재(221) 및 결속 부재(223)와 조립된다.
이때, 상기 구동 돌기(235)의 상면과 상기 결속 부재(223)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높이 차이는 상기 작동 돌기(231)가 이동하여 상기 키 스위치(228)를 조작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조작 부재(225)는 상기 구동 돌기(235)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조작 부재(221)와 결속 부재(223) 사이의 간격은 상기 키 스위치(228)를 조작하는데 필요한 최소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더 커야 하는 것이다.
상기 조작 부재(225)는 상기 단말기(200)의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구성이지만, 상기 결속 부재(223)나 작동 부재(221) 등은 단지 사용자의 키 조작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므로,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조작 부재(225)는 상기 결속 부재(223)나 작동 부재(221)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1a)에는 그 내벽에, 더 구체적으로, 상기 개구(212)의 내벽에 단차부(216)가 형성되어 상기 조작 부재(225)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216)는 상기 개구(212)의 내벽으로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서 그 상면에 상기 조작 부재(225)의 가장자리가 지지된다. 이 경우, 상기 결속 돌기(217)는 상기 단차부(216)의 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결속편(241)은 상기 단차부(216)의 단부 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조립된다.
이하에서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키패드 조립체(202)의 조립 구조를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인쇄회로 기판(227)은 상기 후면 커버(201b)에 우선 조립되며, 상기 작동 부재(221), 결속 부재(223) 및 조작 부재(225)를 결합하여 구성된 상기 전달부(202a)가 상기 하우징(201a)의 개구(212)에 조립된다. 상기 인쇄회로 기판(227)의 조립을 위해, 상기 후면 커버(201b)에는 다양한 구조물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구조물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결속 부재(223)를 사이에 두고, 상기 조작 부재(225)가 상기 작동 부재(221)와 결합되므로, 상기 전달부(202a)는 하나의 모듈 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전달부(202a)가 상기 하우징(201a)에 결합되면, 상기 결속편(241)이 상기 단차부(216)의 단부 면에 형성된 결속 돌기(217)들과 맞물리며, 상기 조작 부재(225)의 가장자리는 상기 단차부(216)의 상면에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전달부(202a)를 상기 하우징(201a)에 조립함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216)가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지만, 상기 단차부(216a)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결속 부재(223)의 조립과 상기 조작 부재(225)의 배치를 좀더 안정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 기판(227)이 상기 후면 커버(201b)에, 상기 전달부(202a)가 상기 하우징(201a)에 각각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후면 커버(201b)를 상기 하우징(201a)에 결합하면, 상기 결속편(241)의 단부는 상기 회피홈(219b)에 수용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 돌기(219a)는 상기 결속편(241)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201a)의 내측벽, 더 구체적으로, 상기 단차부(216)의 단부 면에 대면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결속편(241)은 상기 결속 돌기(217)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나 변형이 제한되어 상기 전달부(202a)의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단차부나 결속 돌기, 결속홀을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 결속편의 단부를 절곡하여 상기 하우징과 후면 커버 사이에 개재시키는 것만으로도 상기 결속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조작 부재가 키 탑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상기 조작 부재는 단지 하나의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키 스위치 대신에 터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인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부재가 하나의 평판 형태로 구성되더라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실질적인 변형이 상기 작동 부재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키를 조작할 수 있다.
더욱이, 아울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전달부가 작동 부재, 결속 부재, 조작 부재로 이루어진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키 스위치 대신에 터치 감지 센서 등이 배치된 경우에는 상기 전달부는 단지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평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결속편은 전달부를 이루는 평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키패드 조립체가 메뉴 키나 메뉴 이동 및 선택 키, 메시지나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키들을 배치한 구성으로 예시되었지만,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숫자/문자 키나 쿼티 키 배열의 키패드 조립체를 구성함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조립체의 구조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단지 인쇄회로 기판에 배열되는 키 스위치들의 배열과 키 스위치들 각각이 발생시키는 신호 값을 할당하는 것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200: 휴대용 단말기 202: 키패드 조립체
202a: 전달부 221: 작동 부재
223: 결속 부재 225: 조작 부재
241: 결속편

Claims (19)

  1.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형되어 키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작동 부재;
    상기 작동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결속 부재;
    상기 결속 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작동 부재의 측면을 감싸게 절곡된 결속편;
    상기 결속편에 형성된 결속홀; 및
    상기 결속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키 탑(key top)을 포함하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하우징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대면하게 위치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돌출 형성된 결속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 돌기가 상기 결속홀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결속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결속편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과 상기 지지 돌기 사이에 구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 상에 배치되며 일면에 상기 키 스위치가 배치된 인쇄회로 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키 스위치는 돔 스위치(dome switch)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 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돔 스위치에 대면하는 작동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후면 커버에 형성되는 회피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속편의 일부분이 상기 회피홀 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의 하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작동 돌기; 및
    상기 작동 돌기들이 형성된 위치에 상응하게 상기 결속 부재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구동 돌기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 돌기들은 각각 상기 관통홀들 중 하나에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탑은 상기 구동 돌기들과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돌기들이 상기 결속 부재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 돌기들의 상면이 각각 상기 조작 부재의 하면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차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 부재의 하면 가장자리가 상기 단차부의 상면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차부의 단부 면에 돌출 형성된 결속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키패드 조립체는 상기 결속 편에 형성된 결속홀을 더 구비하며,
    상기 결속 돌기가 상기 결속홀에 맞물려 상기 결속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13.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 기판; 및
    사용자의 키 입력 동작을 상기 인쇄회로 기판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대면하게 위치되는 지지 돌기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돌출 형성된 결속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에는 상기 인쇄회로 기판을 향해 하향 연장된 결속편이 제공되며, 상기 결속편이 상기 결속 돌기와 맞물린 상태로 상기 지지 돌기에 의해 상기 결속 돌기에 구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조립체는 상기 결속편에 형성되는 결속홀을 더 구비하며,
    상기 결속 돌기가 상기 결속홀에 맞물려 상기 결속편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15. 삭제
  16. 삭제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 돌기는 상기 단차부의 단부 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형되어 키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작동 부재;
    상기 작동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결속 부재;
    상기 결속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키 탑(key top)을 포함하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편은 상기 결속 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되어 상기 작동 부재의 측면을 감싸게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 기판에 제공되는 다수의 키 스위치; 및
    상기 작동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키 스위치와 대면하는 다수의 작동 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KR1020100121351A 2010-12-01 2010-12-01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KR101739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351A KR101739135B1 (ko) 2010-12-01 2010-12-01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US13/117,268 US8772652B2 (en) 2010-12-01 2011-05-27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351A KR101739135B1 (ko) 2010-12-01 2010-12-01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866A KR20120059866A (ko) 2012-06-11
KR101739135B1 true KR101739135B1 (ko) 2017-06-08

Family

ID=46161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351A KR101739135B1 (ko) 2010-12-01 2010-12-01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72652B2 (ko)
KR (1) KR1017391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8860B2 (en) 2006-04-06 2018-08-1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adaptation
US9367085B2 (en) 2012-01-26 2016-06-1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taking into account which limb possesses the electronic device
KR20140007152A (ko) * 2012-07-09 2014-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측면 키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8504934B1 (en) * 2012-08-30 2013-08-06 Google Inc. Displaying a graphical keyboard
US9959038B2 (en) * 2012-08-30 2018-05-01 Google Llc Displaying a graphic keyboard
TW201426801A (zh) * 2012-12-19 2014-07-01 Primax Electronics Ltd 具有發光按鍵之感應式鍵盤裝置
US9215302B2 (en) 2013-05-10 2015-12-1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user handedness and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US9971496B2 (en) 2014-08-04 2018-05-1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on an electronic device
KR102256049B1 (ko) * 2014-12-12 202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버튼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993B1 (ko) * 2005-12-29 2007-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용 키패드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4894B2 (en) * 2006-04-11 2012-02-28 Nec Corporation Operat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including the operating device, and assembly method for the operating device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KR101571166B1 (ko) * 2009-02-10 2015-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CN201498397U (zh) * 2009-07-31 2010-06-0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按键组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993B1 (ko) * 2005-12-29 2007-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용 키패드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866A (ko) 2012-06-11
US20120138441A1 (en) 2012-06-07
US8772652B2 (en)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13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US6495784B2 (en) Step keys, step key assembly, and terminal having the step key assembly
EP1775596B1 (en) Keypad f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JP4305212B2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34633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US7068259B2 (en) Key data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US7826806B2 (en) Mobile terminal
CN100527755C (zh) 移动通信终端的侧键开关及其防震装置
EP1850211A2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US8744535B2 (en) Navigation tool holder
KR20080050504A (ko) 휴대 단말 장치
KR10189949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
JP4512606B2 (ja) バッファを備える携帯端末機
US20130114233A1 (en) Keypad coupl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JP4472326B2 (ja) 実装構造および携帯端末
JP4371895B2 (ja) キースイッチ構造
CA2755092C (en) Navigation tool holder
JP4313630B2 (ja) キー入力装置
KR100542364B1 (ko) 유선 통신 단말기
KR100819282B1 (ko) 슬림형 휴대 단말기
JP2000243181A (ja) 押圧型スイッチ構造
KR20120133260A (ko) 키캡들을 구비하는 자판
JP2009181816A (ja) 携帯電子機器
JP2011253719A (ja) 小型電子機器用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