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049B1 - 전자 장치의 버튼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의 버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049B1
KR102256049B1 KR1020140179459A KR20140179459A KR102256049B1 KR 102256049 B1 KR102256049 B1 KR 102256049B1 KR 1020140179459 A KR1020140179459 A KR 1020140179459A KR 20140179459 A KR20140179459 A KR 20140179459A KR 102256049 B1 KR102256049 B1 KR 102256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housing
bracket
open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1821A (ko
Inventor
서재일
김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9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049B1/ko
Priority to US14/955,246 priority patent/US10212833B2/en
Priority to EP15199573.5A priority patent/EP3032559B1/en
Priority to CN201510919660.4A priority patent/CN105700693B/zh
Publication of KR20160071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06Sensors therefor non-optical, e.g. ultrasonic or capacitive sen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contact space 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asing, e.g. sealed casings or casings reducible in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7/00Connections
    • H01H2207/002Conductive rubber; Zebr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Force concentrator; Actuating dimp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02Casings sea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1Mounting on appliance
    • H01H2223/014Mounting on appliance located in re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개구를 포함하는 제 1 부재와,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의 개구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 및 상기 제 1 부재의 개구에 삽입된 버튼과, 상기 버튼에 의하여 가압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버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의 버튼 장치{A BUTTON APPARATUS FOR A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의 버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각종 전자 기기, 특히 휴대용 전자 기기는 입력 수단으로서 버튼을 제공한다. 한편, 전자 기기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탑재하기도 한다. 최근, 터치 스크린의 활용이 늘면서, 전자 기기는 더 큰 화면을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을 탑재하는데 반해, 버튼의 수를 줄이거나 또는 그 크기를 줄이도록 설계되기도 한다. 하지만, 버튼은 간편하고 빠르게 조작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누름 감(또는, 클릭 감)을 전달한다는 장점을 제공하고 있어, 전자 기기에서 빠지지 않는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전자 기기는, 버튼과, 버튼의 눌림에 의하여 두 컨택들(contacts) 사이를 통전하는 누름 스위치를 포함한다. 종래의 전자 기기는 기기 부재들 사이에 버튼과 돔 스위치를 개재하고, 하나의 기기 부재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버튼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결합 구조를 가졌다. 종래는, 기기 부재들, 버튼 및 돔 스위치가 함께 결합되어 조작 가능한 버튼이 구성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요소들이 서로 정확한 결합 위치에서 결합되지 않는 경우 버튼의 조작의 이상을 야기하였다. 버튼에 대한 조작에 이상(예: 클릭 감 저하)이 생긴 경우, 작업자는 그 원인을 찾기 위하여 상술한 결합 구조를 분해한 후 요소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아야 하였고, 결국, 작업 시간을 단축하기란 어려웠다. 또한, 공차 누적(tolerance stack)이 있는 경우, 상술한 결합 구조는 원하는 치수 관계로 전자 기기에 탑재되기 어려워 변형(예: 배부름)을 야기하였고, 이는 버튼 조작의 이상을 일으켰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단말기에 설치 또는 단말기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단말기의 버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누적 공차에 의한 버튼 조작에 대한 비정상 동작을 막기 위한 단말기의 버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개구를 포함하는 제 1 부재(예: 윈도우)와,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의 개구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예: 디스플레이 또는 기타 하드웨어 부품)과,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에 의하여 가압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버튼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는 다른 부재들과의 결합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차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버튼은 정상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또한, 버튼 장치는 일체로 형성되어 단말기에 장착되기 때문에, 버튼 조작은 이상은 버튼 장치에 국한되므로, 그 문제점 해결을 위한 빠른 조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의 버튼 및 돔 스위치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돔 스위치를 도시한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를 단말기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와 디스플레이 세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와 디스플레이 세트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와 지지 부재 사이의 결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 1,”“제 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일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대체적으로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일 수 있다. 단말기(100)는 다수의 면들(100S1, 100S2, 100S3)로 이루어진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두 일면들(100S1, 100S3)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면들이고, 다른 일면(100S2)은 두 일면들(100S1, 100S3) 사이를 연결하는 면일 수 있다. 일면(100S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곡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면(100S1)은 볼록 또는 오목한 곡면일 수 있다. 다른 일면(또는, 바닥 면)(100S3) 또한 평면이거나 또는 곡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일면(100S3)은 곡면일 수 있고, 단말기(100)는 이러한 곡면을 이용하여 구름 운동 가능할 수도 있다.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세트(3), 기기 케이스(6) 및 버튼 장치(8)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세트(3)는 화면(3001)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세트(3)는 터치 감지 장치(예: 터치 패널(touch panel) 또는 디지타이저(dizitizer) 패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세트(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의 일면(100S1)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세트(3)는 표시면(즉, 화면)(3001)과 비 표시면(3002)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면(3001)은 디스플레이의 지원 하에 영상을 표시하는 면이다. 이러한 표시면(3001)은 터치 패널의 지원 하에 터치를 수신하는 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비 표시면(3002)은 표시면(3001)과 분리되어 있는 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면(3001)을 에워싸는 형상일 수 있고, 표시면(3001)과 구별되도록 색상(예: 검정색)을 가질 수 있다.
비 표시면(3002)은 단말기(100)의 내부에 탑재된 스피커를 지원하기 위한 관통 홀(3002-1)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 표시면(3002)은 광학 관련 부품(예: 조도 센서, 카메라 등)을 지원하기 위한 투명부(3002-2)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비 표시면(3002)은 버튼 장치(8)를 지원하기 위한 버튼 관통 홀(3002-8)을 제공할 수 있다. 버튼 장치(8)의 버튼은 비 표시면(3002)의 버튼 관통 홀(3002-8)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기기 케이스(6)는 디스플레이 세트(2)와 결합되고, 단말기(100)의 적어도 하나의 면(예: 100S2, 100S3)을 형성할 수 있다. 기기 케이스(6)는 단말기(100)의 내부에 탑재된 소켓(예: USB 소켓, 충전잭 또는 통신잭 등)을 지원하기 위한 관통 홀(600-1)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기 케이스(6)는 단말기(100)의 내부에 탑재된 마이크로폰을 지원하기 위한 관통 홀(600-2)을 제공할 수 있다.
버튼 장치(8)는 단말기(100)의 내부에 탑재되고, 버튼 장치(8)의 버튼은 디스플레이 세트(3)의 버튼 관통 홀(3002-8)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 장치(8)는 디스플레이 세트(3)와 브래킷(bracket)(도 2의 4) 사이에 배치되는 단일 전자 부품일 수 있다. 버튼 장치(8)는 버튼 누름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일체의 구성을 대체로 독자적으로 갖추고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 장치(8)는 디스플레이 세트(3)에 부착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세트(3)의 일부분은 버튼 장치(8)의 구성 요소로서 지원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버튼 장치(8)는 디스플레이 세트(3)를 포함시켜 버튼 누름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일체의 구성을 갖춘다. 디스플레이 세트(3)와 브래킷(4)이 서로 분리되는 경우, 버튼 장치(8)는 디스플레이 세트(3)와 함께 브래킷(4)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 장치(8)는 디스플레이 세트(3)와 브래킷(4) 사이에 존재하는 브래킷(4)의 일면에 부착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브래킷(4)의 일부분은 버튼 장치(8)의 구성 요소로서 지원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버튼 장치(8)는 브래킷(4)을 포함시켜 버튼 누름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일체의 구성을 갖춘다. 디스플레이 세트(3)와 브래킷(4)이 서로 분리되는 경우, 버튼 장치(8)는 브래킷(4)과 함께 디스플레이 세트(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 장치(8)는 브래킷(4)과 회로 보드(도 2의 5) 사이에 존재하는 브래킷(4)의 일면에 장착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브래킷(4)의 일부분은 버튼 장치(8)의 구성 요소로서 지원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버튼 장치(8)는 브래킷(4)을 포함시켜 버튼 누름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일체의 구성을 갖춘다. 브래킷(4)과 회로 보드(5)가 서로 분리되는 경우, 버튼 장치(8)는 브래킷(5)과 함께 회로 보드(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8)는 외부 응력에 의하여 변형되기 어려운 강성을 가지고 있고, 정상적인 버튼 누름 동작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요소들(3, 4, 5, 6)이 결합되는 경우 누적 공차가 있더라도, 버튼 장치(8)는 이미 정상적인 버튼 누름 동작을 가능하도록 구성을 완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누적 공차에 의해 비 정상적인 버튼 누름 동작(예: 클릭 감 저하)이 유발되기 어려울 것이다.
한편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제스처 센서, 근접 센서, 그립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기압 센서, 온/습도 센서, 홀 센서, RGB(red, green, blue) 센서, 조도 센서, 생체 센서(예: 심박 센서, 지문 인식 센서) 또는 UV(ultra violet)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센서들 중 하나(예: 지문 인식 센서)는 버튼 장치(8)에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9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 또는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단말기(100)의 일부분에 대한 구성이 제공되고, 이러한 구성이 단말기(100) 전체에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세트(3), 브래킷 (4), 메인 회로 보드(5), 기기 케이스(6) 및 커버(7)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세트(3)는 윈도우(31), 디스플레이(32) 및 디스플레이 회로 보드(33)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3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디스플레이(32)의 위에 배치되고, 단말기(100)의 일면(도 1의 100S1)을 형성한다. 윈도우(31)는 내 충격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31)는 표시면(3001)에 대응하는 투명 영역과, 비 표시면(3002)에 대응하는 불투명 영역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32)는 윈도우(31)의 아래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32)의 영상은 윈도우(31)의 투명 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비치게 된다. 디스플레이(32)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회로 보드(33)는 디스플레이(32)의 아래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32)를 통한 영상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세트(3)는 윈도우(31)와 디스플레이(32)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세트(3)는 디스플레이(32)와 디스플레이 회로 보드(33) 사이에 배치되는 디지타이저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 또는 디지타이저 패널은 디스플레이 세트(3)의 표시면(3001)을 통하여 터치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브래킷(4)은 디스플레이 세트(3) 및 메인 회로 보드(5)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대체적으로 단말기(100)의 장방형을 따르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브래킷(4)은 전자 부품들을 설치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서로 대향하는 일면(4S1) 및 다른 일면(4S3)을 지원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4)은 디스플레이 세트(3)와 메인 회로 보드(5)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구조이고, 브래킷(4)의 일면 (4S1)은 디스플레이 세트(3)를 설치할 수 있는 부분으로 지원되며, 브래킷(4)의 다른 일면(4S3)은 메인 회로 보드(5)를 설치할 수 있는 부분으로 지원된다. 브래킷(4)의 일면(4S1) 및 다른 일면(4S3)은 디스플레이 세트(3) 및 메인 회로 보드(5)를 안착시킬 수 있는 홈 형태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세트(3) 및 메인 회로 보드(5)는 브래킷(4)에 끼워 맞춰지는 방식으로 유격 없이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브래킷(4)은 디스플레이 세트(3) 및 회로 보드(5)에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4)은 전자파 차폐, 전기적 노이즈를 차단하거나 또는 전자 부품의 가열을 방지하는 방열판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브래킷(4)은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거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브래킷(4)에는 전자파 차폐를 위한 물질이 도포될 수도 있다.
메인 회로 보드(5)(또는, 메인 보드(main board), 마더 보드(mother board))는 일면(5S1) 및/또는 다른 일면(5S3)에 실장된 다수의 전자 부품들(55) 및 이들을 연결하는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단말기(100)의 실행 환경을 설정하고, 그 정보를 유지해 주며, 단말기(100) 내의 장치들의 데이터 입출력 교환을 지원할 수 있다. 메인 회로 보드(5)는 브래킷(4)에 결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회로 보드(5)의 일면(5S1)은 브래킷(4)의 다른 일면 (4S3)의 적어도 일부와 맞닿을 수 있고, 브래킷(4)의 다른 일면(4S3)은 메인 회로 보드(5)의 일면(5S1)에 탑재된 전자 부품들(미도시)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미도시)을 제공할 수 있다. 메인 회로 보드(4)의 다른 일면(4S3)과 기기 케이스(6) 사에는 공간(S)이 마련되고, 메인 회로 보드(4)의 다른 일면(4S3)에 탑재된 전자 부품들(55)은 이 공간(S)에 수용될 수 있다.
기기 케이스(6)는 대체적으로 위쪽으로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 브래킷(4)과 결합되어 단말기(100)의 전체적인 틀을 형성할 수 있다. 전자 부품들(예: 디스플레이 세트 3 및 메인 회로 보드 5 등)은 기기 케이스(6)와 브래킷(4)으로 이루어진 골격 구조에 장착되어 단말기(100) 내에 존재하는 것이다. 기기 케이스(6)는 단말기(100)의 또 다른 일면(100S2)을 형성하는 제 1 부분(6-1)과, 제 1 케이스(6-1)로부터 연장되어 브래킷(4)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부분(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6-1)은 브래킷(4)과 형합 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4)의 테두리 부분은 제 1 부분(6-1)의 안쪽 형상에 끼워 맞춰지고, 브래킷(4)은 기기 케이스(5) 상에 유격 없이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제 2 부분(6-2)은 브래킷(4)의 일면(4S3)을 덮는 형상이고, 그 안쪽 면(6-2S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매끄러울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부분(6-2)의 안쪽 면(6-2S1)은 브래킷(4)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rib)(미도시)를 가지고 있고, 이 리브는 브래킷(4)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부분(6-2)의 안쪽 면(6-2S1)은 메인 보드(5)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rib)(미도시)를 가지고 있고, 이 리브는 메인 보드(5)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부분(6-2)은 관통 홀(미도시)을 가지고 있고, 메인 회로 보드(5)의 전자 부품들(55) 중 일부(예: 메모리 소켓 등)는 제 2 부분(6-2)의 관통 홀에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후술하는 커버(7)는 기기 케이스(6)의 제 2 부분(6-2)을 덮고 있는 경우에는, 제 2 부분(6-2)의 관통 홀에 배치된 메인 회로 보드(5)의 전자 부품은 보이지 않을 것이다. 반면, 커버(7)가 기기 케이스(6)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제 2 부분(6-2)의 관통 홀에 배치된 메인 회로 보드(5)의 전자 부품은 노출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기기 케이스(6)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메인 회로 보드(5)의 접지 면에 통전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기기 케이스(6)의 제 2 부분(6-2)의 안쪽 면(6-2S1)에는 도전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기기 케이스(6)의 도전성 물질과 메인 회로 보드(5)의 접지 면 사이의 통전은, 제 2 부분(6-2)의 상기 리브를 메인 회로 보드(5)의 접지 면에 접촉시키는 것으로 유발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부분(6-2)의 리브는 메인 회로 보드(5)의 접지 면에 탄성 접촉되게 하는 도전성 고무 가스켓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커버(7)는 기기 케이스(6)의 제 2 부분(6-2)에 결합 가능하고, 단말기(100)의 일면(100S3)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7)는 곡형이고, 단말기(100)의 일면(100S3)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기 케이스(6)의 제 2 부분(6-2)은 커버(7)를 안착시킬 수 있는 홈 형태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커버(7)는 기기 케이스(6)의 제 2 부분(6-2)에 끼워 맞춰지는 방식으로 유격 없이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커버(7)는 기기 케이스(6)의 제 2 부분(6-2)에 스냅 핏(snap-fits) 결합될 수 있고, 커버(7)는 기기 케이스(6)의 제 2 부분(6-2)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전자 부품(예: 메모리 카드 또는 배터리 팩(battery pack) 등)을 탈착시키기 위하여, 커버(7)는 기기 케이스(6)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단말기(100)의 장변(A)에 해당하는 단말기(100)의 부분(S1-S1)은 도 2에서 도시된 단말기(100)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단말기(100)의 단변(B)에 해당하는 부분(S2-S2)은 이 구조에 버튼 장치(도 1의 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튼 장치(8)는, 버튼 누름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일체의 구성을 가지는 단일 부품으로, 디스플레이 세트(3)와 브래킷(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버튼 장치(8)는 디스플레이 세트(3)에 결합(또는, 부착)된 상태로 존재하고, 디스플레이 세트(3)의 일부분은 버튼 장치(8)의 구성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버튼 장치(8)는 브래킷(4)에 결합된 상태로 존재하고, 브래킷(4)의 일부분은 버튼 장치(8)의 구성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장치(8)의 버튼 및 돔 스위치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버튼(82)은 단말기(100)의 내부 방향으로 돔 스위치(83)를 누를 수 있도록 단말기(100)에 설치된다. 버튼(82)은 디스플레이 세트(3)의 비 표시면(3002)의 버튼 관통 홀(3002-8)에 배치되는 버튼 탑(821)을 포함하고, 버튼 탑(821)의 일면(82S1)은 노출되어 사용자가 누르는 부분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버튼 탑(8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장방형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버튼(82)은, 추가적으로 버튼 탑(821)의 테두리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돌출한 형상의 플랜지(822)를 가질 수 있다. 플랜지(822)는 버튼 누름의 반대 방향으로 버튼 탑(821)이 버튼 장치(8)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버튼(82)은 버튼 탑(821)의 다른 일면(82S3)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의 액추에이터(823)를 가질 수 있다. 버튼(82)이 눌러지는 경우, 액추에이터(823)는 돔 스위치를 가압하게 되고, 돔 스위치의 두 컨택들 사이는 통전될 수 있다.
돔 스위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 돔(metal dome)을 포함하는 시트, 즉, 돔 시트(dome sheet)(83-1)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의 실장 면에 서로 분리되어 있는 두 컨택들을 형성하고, 돔 시트를 기판의 실장 면에 부착하여 돔 스위치는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돔 스위치는 도 4에 도시된 표면 실장형 돔 위치일 수도 있다. 표면 실장형 돔 스위치(83-2)는, 메탈 돔(83-21)과 두 컨택들(미도시)을 자체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표면 실장형 돔 스위치(83-2)는 납땜용 리드들(83-22)을 포함하고 있고, 이 리드들(83-22)을 기판의 랜드들(lands)(또는, 동박 패드들)에 납땜으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표면 실장용 돔 스위치(83-2)는 기판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버튼 장치(8)는 제 1 하우징(81), 제 2 하우징(84), 버튼(82) 및 돔 스위치 회로(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81) 과 제 2 하우징(84)은 서로 결합되어 탑재 공간을 마련하고, 버튼(82) 및 돔 스위치 회로(83)는 이 탑재 공간에 실장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81)은 천장부(811)와, 천장부(811)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즉, 제 2 하우징 84 쪽으로) 연장된 측벽부(8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부(811)는 대체적으로 사각 장방형이고, 그 테두리 안쪽에는 개구(8111)를 형성하고 있다. 버튼(82)의 버튼 탑(821)은 천장부(8111)의 개구(8111)에 삽입되고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천장부(811)는 개구(8111) 테두리를 따라 안쪽 면에 형성된 환형의 홈(8113)을 가질 수 있다. 버튼(82)의 플랜지(822)는 이 홈(8113)에 끼워 맞춰지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천장부(811)는 측벽부(812)와 연결되는 테두리에 관통 홀들(8112)을 가질 수 있다. 이 관통 홀들(8112)은 제 2 하우징(84)와의 결합에서, 제 2 하우징(84)의 측벽(842)의 단부(8422)가 끼워 맞춰지는 부분이 된다. 측벽부(812)는 제 2 하우징(84)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고, 제 2 하우징(84)과의 스냅 핏 결합을 위한 관통 홀(8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84)은 바닥부(841)와, 바닥부(841)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즉, 제 1 하우징 81 쪽으로) 연장된 측벽부(8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841)는 대체적으로 사각 장방형이고, 그 테두리 안쪽에는 돔 스위치 회로(83)의 설치를 지원하기 위한 관통 홀(8411)과, 제 1 하우징(81) 쪽으로 돌출된 다수의 리브들(8412)이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842)는 제 1 하우징(81)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81)의 측벽부(812)의 관통 홀(8121)과 스냅 핏 결합 가능한 반구 형태의 돌기(8421)를 가질 수 있다. 제 2 하우징(84)의 측벽부(842)는 제 1 하우징(81)의 측벽부(812)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하우징(81)과 제 2 하우징(84)이 서로 결합되는 동작에서, 제 1 하우징(81)의 측벽부(812)는 제 2 하우징(84)의 돌기(8421)로 인하여 바깥 방향으로 휘어진 후, 제 2 하우징(84)의 돌기(8421)가 제 1 하우징(81)의 관통 홀(8121)에 끼워지게 되면 원상 복귀된다. 추가적으로, 제 2 하우징(84)은 바닥부(841)의 바깥 면에 돔 스위치 회로(83)의 외부 컨택들(834)을 설치할 수 있는 홈(84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돔 스위치 회로(83)는 기판(831), 메탈 돔(832), FPCB(833) 및 외부 컨택들(834)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831)은 메탈 돔(832)이 설치되는 부분이고, 메탈 돔(832) 아래에 서로 분리 배치되는 두 개의 컨택들(미도시)을 가진다. 제 2 하우징(84)의 바닥부(841)는 다수의 리브들(8412)로 이루어진 끼워 맞춤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기판(831)은 이 끼워 맞춤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다수의 리브들(8412)은 기판(831)의 테두리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제 2 하우징(84)의 바닥부(841) 상에 기판(831)의 위치는 유지될 수 있다. 메탈 돔(832)은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돔 시트(83-1)로 구현될 수 있다. FPCB(834)는 기판(831)의 두 개의 컨택들과 외부 컨택들(834)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FPCB(833)는 제 2 하우징(84)의 관통 홀(8411)을 통하여 연장되고, 이에 외부 컨택들(834)은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컨택들(834)은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수단을 이용하여 제 2 하우징(82)의 바깥 면에 형성된 홈(8413)에 부착될 수 있다. 외부 컨택들(834)은 메인 회로 보드(도 2의 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버튼(82)은 제 1 하우징(81)과 돔 스위치 회로(83) 사이에 배치되고,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버튼 탑(821), 플랜지(822) 및 액추에이터(823)를 포함한다. 버튼 탑(821)은 제 1 하우징(81)의 개구(811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플랜지(822)는 개구(8111)보다 넓은 너비를 가지고 있으므로, 버튼 탑(821)은 플랜지(822)로 인하여 제 1 하우징(81)의 개구(8111)를 완전히 관통되지 못한 상태로 제 1 하우징(81)의 개구(8111)에 배치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823)는 돔 스위치 회로(83)의 메탈 돔(832)에 접촉된 상태로 존재하고, 버튼 누름 동작으로 인하여 버튼 탑(821)은 버튼 장치(8)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되며, 액추에이터(823)은 메탈 돔(832)을 가압할 수 있다. 메탈 돔(832)은 액추에이터(823)의 가압에 의해 변형되고, 기판(831)에 탑재된 두 개의 컨택들 사이는 메탈 돔(832)의 변형으로 인하여 통전될 수 있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제 1 하우징(81)과 제 2 하우징(84)은 서로 결합되고 대체적으로 장방형의 사각 상자를 형성할 수 있다. 버튼(82)의 버튼 탑(821)은 제 1 하우징(81)의 개구(8111)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돔 스위치 회로(83)의 외부 컨택들(834)은 제 2 하우징(84)의 개구(8411)를 통하여 밖으로 연장되고, 제 2 하우징(84)의 바닥부(841)의 홈(8413)에 부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8)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하우징(81)은 천장부(811)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측벽부(812)를 포함하고, 제 2 하우징(84)은 바닥부(841)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측벽부(8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84)은 제 1 하우징(81)의 제 1 측벽부(812) 사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제 1 하우징(81)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측벽부(842)의 돌기(8421)와 제 1 측벽부(812)의 관통 홀(8121) 사이의 스냅 핏 결합이 여러 곳에서 있고, 이로 인하여 제 1 측벽부(812)와 제 2 측벽부(842)는 서로 중첩된 상태로 결합되며, 결과적으로 제 1 하우징(81)과 제 2 하우징(84)은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제 1 하우징(81)과 제 2 하우징(84) 사이의 결합으로 인하여, 버튼(82) 및 돔 스위치 회로(83)를 탑재 가능한 공간이 마련된다. 버튼(82)의 버튼 탑(821)은 제 1 하우징(81)의 천장부(811)에 형성된 개구(8111)에 삽입되고, 버튼(82)의 액추에이터(823)는 돔 스위치 회로(83)의 기판(831)에 탑재된 메탈 돔(832)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버튼(82)은 돔 스위치 회로(83)의 메탈 돔(832)의 지지를 받게 되고, 버튼(82)의 플랜지(822)는 제 1 하우징(81)의 개구(8111) 주변의 턱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된다. 돔 스위치 회로(83)의 기판(831)은 제 2 하우징(84)의 바닥부(841) 설치되고, 돔 스위치 회로(83)의 외부 컨택들(834)은 기판(831)로부터 제 2 하우징(84)의 바닥부(841)의 개구(8411)를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바닥부(841)의 바깥 면에 부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를 단말기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버튼 장치(8)는 디스플레이 세트(3)의 윈도우(31) 상에 형성된 버튼 관통 홀(3002-8)에 결합될 수 있다. 버튼 관통 홀(3002-8)은 디스플레이(32)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버튼 장치(8)의 버튼 탑(821)은 윈도우(31)의 버튼 관통 홀(3002-8)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다음, 나머지 요소들(도 2에서 언급한 브래킷 4, 메인 회로 보드 5, 기기 케이스 6 등)이 디스플레이 세트 3에 결합된다. 버튼 장치(8)는 디스플레이 세트(3)와 브래킷(4) 사이에 배치되는 단일 전자 부품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버튼 누름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일체의 구성을 대체로 독자적으로 갖추고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 장치(8)는 디스플레이 세트(3)와 브래킷(4)에 사이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세트(3)와 브래킷(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버튼 장치(8)의 버튼 누름 동작에 이상이 있다면, 그 원인은 버튼 장치(8)에 있는 것이며, 이에 대한 조치로 새로운 버튼 장치(8)가 대체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와 디스플레이 세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와 디스플레이 세트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버튼 장치(8)는 제 1 하우징(181), 제 2 하우징(184), 버튼(182), 러버(rubber)(186), 제 1 양면 테이프(185), 돔 스위치 회로(1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181) 및 제 2 하우징(184)은 도 5a 내지 7에서 상술한 제 1 하우징(81) 제 2 하우징(84)과 유사하고, 서로 결합하여 버튼(182), 러버(186), 제 1 양면 테이프(185) 및 돔 스위치 회로(183)를 탑재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버튼(182)은 버튼 탑(1821)과, 버튼 탑(1821)의 테두리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환형의 플랜지(1822)를 포함한다. 버튼 탑(18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를 뒤집어 놓은 형상과 유사하며, 제 1 하우징(181)의 개구(18111)에 삽입된다. 플랜지(1822)는 제 1 하우징(181)의 개구(18111) 테두리를 따라 내측에 형성된 환형의 홈(18113)에 끼워 맞춰지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러버(186)는 버튼(182)의 수직 아래에 배치되고, 중앙부(1861)와, 중앙부(1861)의 테두리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환형의 연장부(186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1861)는 버튼(182)의 버튼 탑(1821)의 내측 공간에 끼워 맞춰질 수 있는 형상이고, 추가적으로 메탈 돔(1832) 쪽으로 돌출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장부(1862)는 중앙부(1861)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고, 버튼(1821)의 이동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연장부(1862)의 테두리는 환형의 제 1 양면 테이프(185)를 이용하여 제 1 하우징(181)의 천장부(1811),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181) 환형의 홈(18113)의 둘레에 부착된다. 버튼(182)과 제 1 하우징(181)의 개구(18111) 사이의 틈으로 물,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이러한 이물질은 러버(186)로 인하여 하우징(181, 184)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갈 수 없게 된다. 또한, 제 2 하우징(184)의 테두리(1847)는 러버(186)의 연장부(1862)의 테두리를 제 1 양면 테이프(185) 쪽으로 떠 받치고, 이러한 지지 구조는 러버(186)의 연장부(1862)의 테두리와 제 1 하우징(181) 사이의 결합력을 높인다.
돔 스위치 회로(183)는 도 5a 내지 7에서 상술한 돔 스위치 회로(83)과 유사하고, 제 2 하우징(184)의 바닥부(1841)에 설치된다. 돔 스위치 회로(183)의 메탈 돔(1832)은 러버(186)의 중앙부(1861)의 수직 아래에 배치되고, 돔 스위치 회로(183)의 외부 컨택들(1834)은 제 2 하우징(184)의 바닥부(1841)에 형성된 개구(18411)를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제 2 하우징(184)의 바닥부(1841)의 바깥 면에 부착된다.
상술한 버튼 장치(8)는 디스플레이 세트(3)의 윈도우(31)에 부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부(1811)의 개구(18111) 둘레의 바깥 면은 환형의 제 2 양면 테이프(187)를 이용하여 윈도우(31)의 개구(3002-8) 둘레의 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윈도우(31)의 개구(3002-8)를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제 1 하우징(181)과 윈도우(31) 사이의 틈으로 이동될 수 없다.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 및 11b를 참조하면, 버튼 장치(8)는 디스플레이 세트(3)의 윈도우(31), 양면 테이프(285), 버튼(282), 돔 스위치 회로(283) 및 바닥 하우징(28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세트(3)의 윈도우(31)와 바닥 하우징(284)은 양면 테이프(285)를 매개로 서로 결합되어 탑재 공간을 마련하고, 버튼(282) 및 돔 스위치 회로(283)는 이 탑재 공간에 실장된다.
디스플레이 세트(3)의 윈도우(31)는 버튼 관통 홀(3002-8)을 형성하고 있고, 버튼(282)의 버튼 탑(2821)은 버튼 관통 홀(3002-8)에 삽입되고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윈도우(31)는 버튼 관통 홀(3002-8) 테두리를 따라 내측 면에 형성된 환형의 홈(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버튼(282)의 플랜지(2822)는 이 홈에 끼워 맞춰지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버튼(282)은 버튼 탑(2821), 플랜지(2822) 및 액추에이터(2823)를 포함하고 있고, 이들은 도 3에서 언급한 버튼 탑(821), 플랜지(822) 및 액추에이터(823)와 유사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돔 스위치 회로(283)는 기판(2831), 메탈 돔(2832), FPCB(2833) 및 외부 컨택들(2834)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도 5a 및 5b에서 상술한 돔 스위치 회로(83)의 구성 요소들과 유사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닥 하우징(284)은 돔 스위치 회로(283)의 기판(2831)이 설치되는 바닥부(2841)와, 바닥부(2841)의 바깥 테두리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세트(3)의 윈도우(31)에 부착되는 환형의 부착부(2845)와, 바닥부(2841) 상에 형성되고 돔 스위치 회로(283)의 FPCB(2833)를 관통시킬 수 있는 관통 홀(28411)을 포함한다. 바닥 하우징(284)의 부착부(2845)는 양면 테이프(285)를 매개로 디스플레이 세트(3)의 윈도우(31)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돔 스위치 회로(283)의 FPCB(2833)는 바닥 하우징(284)의 관통 홀(28411)을 통과하도록 연장되고, 외부 컨택들(2834)은 바닥 하우징(284)의 바닥부(2841)의 바깥 면에 부착된다. 추가적으로, 바닥 하우징(284)은 바닥부(2841)의 바깥 면에 형성되는 홈(28413)을 더 포함하고, 돔 스위치 회로(283)의 외부 컨택들(2834)은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수단을 이용하여 바닥 하우징(284)의 바닥부(2841)의 홈(28413)에 부착될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된 외부 컨택트들(2834)은 메인 회로 보드(도 2의 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2a 및 12b를 참조하면, 버튼(282) 및 돔 스위치 회로(283)는 디스플레이 세트(3)의 윈도우(31)와 바닥 하우징(284)의 결합 공간에 탑재된다. 버튼(282)의 버튼 탑(2821)은 디스플레이 세트(3)의 윈도우(31)의 버튼 관통 홀(3002-8)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돔 스위치 회로(283)의 외부 컨택들(2834)은 바닥 하우징(284)의 개구(28411)를 통과하여 밖으로 연장되고, 바닥 하우징(284)의 바깥 면에 형성된 홈(28413)에 부착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8)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바닥 하우징(284)과 윈도우(31) 사이의 결합으로 인하여, 버튼(282) 및 돔 스위치(283)를 탑재 가능한 공간이 마련된다. 버튼(282)의 버튼 탑(2821)은 윈도우(31)의 개구(3002-8)에 삽입되고, 버튼(282)의 액추에이터(2823)는 돔 스위치 회로(283)의 기판(2831)에 탑재된 메탈 돔(2832)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버튼(282)은 돔 스위치 회로(283)의 메탈 돔(2832)의 지지를 받게 되고, 버튼(282)의 플랜지(2822)는 윈도우(31)의 개구(3002-8) 주변의 턱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된다. 돔 스위치 회로(283)의 기판(2831)은 바닥 하우징(284)의 바닥부(2841) 설치되고, 돔 스위치 회로(283)의 외부 컨택들(2834)은 기판(2831)로부터 바닥 하우징(284)의 바닥부(2841)의 개구(28411)를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바닥부(2841)의 바깥 면에 부착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버튼 장치(8)는 디스플레이 세트(3)의 윈도우(31), 버튼(382), 러버(386), 제 1 양면 테이프(385), 바닥 하우징(384) 및 돔 스위치 회로(383)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382)은 버튼 탑(3821)과, 버튼 탑(3821)의 테두리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환형의 플랜지(3822)를 포함한다. 버튼 탑(38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를 뒤집어 놓은 형상과 유사하며, 디스플레이 세트(3)의 윈도우(31)의 개구(3002-8)에 삽입된다. 플랜지(3822)는 디스플레이 세트(3)의 윈도우(31)의 개구(3002-8) 주변의 턱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된다.
러버(386)는 버튼(382)의 수직 아래에 배치되고, 중앙부(3861)와, 중앙부(3861)의 테두리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환형의 연장부(386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3861)는 버튼(382)의 버튼 탑(3821)의 내측 공간에 끼워 맞춰질 수 있는 형상이고, 추가적으로 메탈 돔(3832) 쪽으로 돌출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장부(3862)는 중앙부(3861)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고, 버튼(3821)의 이동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연장부(3862)의 테두리는 환형의 제 1 양면 테이프(385)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세트(3)의 윈도우(31),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3002-8) 주변의 안쪽 면에 부착된다. 이물질은 윈도우(31)의 개구(3002-8)로 유입되나, 러버(386)에 가로막혀 안 쪽으로 더 이상의 이동될 수 없다.
바닥 하우징(384)은 도 11a 내지 13에서 상술한 바닥 하우징(284)와 유사하며, 바닥 하우징(384)의 테두리는 환형의 제 2 양면 테이프(387)를 이용하여 러버(386)의 연장부(3862)의 테두리에 부착된다.
돔 스위치 회로(383)는 도 11a 내지 13에서 상술한 돔 스위치 회로(383)과 유사하고, 바닥 하우징(384)의 바닥부(3841)에 설치된다. 돔 스위치 회로(383)의 메탈 돔(3832)은 러버(386)의 중앙부(3861)의 수직 아래에 배치된다. 또한, 돔 스위치 회로(383)의 FPCB(3833)는 바닥 하우징(384)의 바닥부(3841)에 형성된 개구(38411)를 통과하여 바닥 하우징(384) 밖으로 연장되고, 외부 컨택들(3834)은 바닥 하우징(384)의 바닥부(3841)의 바깥 면에 부착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8)와 지지 부재(1600) 사이의 결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1600)(예: 브래킷 4의 일부)는 용기 형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611)와, 바닥부(1611)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부(1612)를 포함한다. 측벽부(1612)는 환형이 될 수 있고, 측벽부(1612)는 버튼 장치(8)의 바닥 하우징(384)의 테두리를 윈도우(31) 쪽으로 지지한다. 지지 부재(1600)의 바닥부(1611)는 버튼 장치(8)의 바닥 하우징(384)으로부터 간극(G)을 두고 떨어져 있고, 이러한 간극(G)은 버튼 장치(8)의 윈도우(31), 버튼(382), 러버(386), 돔 스위치 회로(383) 및 바닥 하우징(384)의 결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적 공차로 인한 버튼 클릭 감의 저하를 개선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a 내지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버튼 장치(8)는 디스플레이 세트(3)에 부착된 상태로 존재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세트(3)의 윈도우(31)는 버튼 장치(8)의 구성 요소로서 지원된다. 다시 말해, 버튼 장치(8)는 디스플레이 세트(3)를 포함시켜 버튼 누름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일체의 구성을 갖춘다. 버튼 장치(8)의 버튼 누름 동작에 이상이 있다면, 그 원인은 버튼 장치(8)에 있는 것이며, 이에 대한 조치로 디스플레이 세트(3)와 브래킷(4)을 분리시키는 경우, 버튼 장치(8)는 디스플레이 세트(3)와 함께 브래킷(4)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7 및 18을 참조하면, 버튼 장치(8)는 커버 하우징(481), 버튼(482), 돔 스위치 회로(483) 및 브래킷(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하우징(481)과 브래킷(4)의 홈(420)은 결합되어 탑재 공간을 마련하고, 버튼(482) 및 돔 스위치 회로(483)는 이 탑재 공간에 실장될 수 있다.
커버 하우징(481)은 천장부(4811)와, 천장부(4811)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즉, 브래킷 4 쪽으로) 연장된 측벽부(48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부(4811)는 대체적으로 사각 장방형이고, 그 테두리 안쪽에는 개구(48111)를 형성하고 있다. 버튼(482)의 버튼 탑(4821)은 천장부(48111)의 개구(48111)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측벽부(4812)는 브래킷(4)의 홈(420)에 끼워지는 부분으로, 브래킷(4)의 홈(420)의 내측 면을 탄성 가압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버튼(482)은 버튼 탑, 플랜지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있고, 이들은 도 3에서 상술한 버튼(82)와 유사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돔 스위치 회로(483)는 기판, 메탈 돔, FPCB 및 외부 컨택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도 5a 및 5b에서 상술한 돔 스위치 회로(83)과 유사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브래킷(4)은 커버 하우징(481)을 끼워 맞춰지게 하는 홈(420)을 포함할 수 있다. 홈(420)의 바닥(421)은 돔 스위치 회로(483)의 기판이 설치되는 부분이고, 관통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돔 스위치 회로(483)의 FPCB는 바닥(421)의 관통 홀을 통하여 브래킷(4)의 반대 면으로 연장되고, 이에 돔 스위치 회로(483)의 외부 컨택들은 브래킷(4)의 반대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브래킷(4)의 홈(420)의 바닥(421)은 돔 스위치 회로(283)의 외부 컨택들이 설치되는 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렇게 설치된 돔 스위치 회로(483)의 외부 컨택트들은 메인 회로 보드(도 2의 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7 및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버튼 장치(8)는 브래킷(4)에 부착된 상태로 존재한다. 여기서, 브래킷(4)은 버튼 장치(8)의 구성 요소로서 지원된다. 다시 말해, 버튼 장치(8)는 브래킷(4)을 포함시켜 버튼 누름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일체의 구성을 갖춘다. 버튼 장치(8)의 버튼 누름 동작에 이상이 있다면, 그 원인은 버튼 장치(8)에 있는 것이며, 이에 대한 조치로 디스플레이 세트(3)와 브래킷(4)을 분리시키는 경우, 버튼 장치(8)는 브래킷(4)와 디스플레이 세트(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버튼 장치(8)는 브래킷(4), 버튼(582) 및 돔 스위치 회로(583)를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4)과 돔 스위치(583)는 서로 결합되어 탑재 공간을 마련하고, 버튼(582)은 이 탑재 공간에 실장된다.
브래킷(4)은 개구(430)를 형성하고, 버튼(582)의 버튼 탑(5821)은 브래킷(4)의 개구(430)를 관통한 후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버튼(582)은 버튼 탑(5821), 플랜지(5822) 및 액추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하고 있고, 도 3에서 상술한 버튼(82)과 유사하다.
돔 스위치 회로(583)는 기판(5831)과, 기판(5831)에 탑재된 메탈 돔(5832)을 포함하고, 도 5a 및 5b에서 상술한 돔 스위치 회로(83)과 유사하다.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버튼 장치(8)는 브래킷(4)에 부착된 상태로 존재한다. 여기서, 브래킷(4)은 버튼 장치(8)의 구성 요소로서 지원된다. 다시 말해, 버튼 장치(8)는 브래킷(4)을 포함시켜 버튼 누름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일체의 구성을 갖춘다. 버튼 장치(8)의 버튼 누름 동작에 이상이 있다면, 그 원인은 버튼 장치(8)에 있는 것이며, 이에 대한 조치로 브래킷(4)과 메인 회로 보드(5)를 분리시키는 경우, 버튼 장치(8)는 브래킷(4)과 함께 메인 회로 보드(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장치를 도시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버튼 장치(8)는 상술한 도 5a 내지 19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특히, 버튼 장치(8)는 센서를 더 탑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장치(8)는 버튼을 통하여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지문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커넥터(2003)가 달린 FPBC(2001)는 버튼 장치(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넥터(2003)는 메인 회로 보드(도 2의 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버튼 장치(8), FPCB(2001) 및 커넥터(2003)는 디스플레이 세트(3)에 부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단말기 100)는, 전자 장치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개구(3002-8)를 포함하는 제 1 부재(예: 윈도우 31)와, 전자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부재(예: 브래킷 4)와, 제 1 부재의 개구와 중첩되지 않도록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예: 디스플레이 32 또는 기타 하드웨어 부품) 및 전자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 1 부재의 개구(3002-8)에 삽입되는 버튼(82)과, 버튼(82)에 의해 가압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돔 스위치(83)를 포함하는 버튼 장치(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버튼 장치(8)는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에 결합되어,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에 일체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 장치(8)는, 제 1 부재(예: 윈도우 31)와 제 2 부재(예: 브래킷 4) 사이에 배치되고, 버튼(82) 및 돔 스위치(83)를 수용하는 하우징(81, 8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81, 84)은 제 1 부재의 개구(3002-8)에 대응하는 개구(3111)를 포함하며, 버튼(82)은 하우징(81, 84)의 개구(3111)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 장치(8)는, 하우징(81, 84)에 형성된 다른 개구(8411)와, 돔 스위치(83)로부터 다른 개구(8411)를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하우징(81, 84) 밖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8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81, 84)은, 제 1 부재(예: 윈도우 31)의 개구(3111)에 대응하는 하우징의 개구(3111)를 형성하는 천장부(811)를 포함하는 제 1 하우징(81)과, 제 1 하우징(81)에 결합되고, 돔 스위치(83)가 설치되는 바닥부(841)를 포함하는 제 2 하우징(8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81)은, 천장부(811)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측벽부(812)를 포함하고, 제 2 하우징(84)은, 바닥부(841)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측벽부(8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측벽부(812)와 제 2 측벽부(842)는 스냅 핏(snap-fits)을 이용하여 서로 중첩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 장치(8)는 버튼(182)과 돔 스위치(183) 사이에 배치되는 러버(1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러버(186)의 환형 환형 테두리는 하우징(181)의 개구(18111) 둘레의 환형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부재(예: 브래킷 4)은, 바닥부(1611)와 상기 바닥부(1611)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환형의 측벽부(16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부재의 환형의 측벽부(1612)는 하우징(184)의 환형 테두리를 제 1 부재(예: 윈도우 31) 방향으로 지지하고, 제 2 부재의 바닥부(1611)는 하우징(384)으로부터 간극(G)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 장치(8)는, 제 1 부재(예: 윈도우 31)와 제 2 부재(예: 브래킷 4)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부재에 부착되어 제 1 부재와 함께 버튼(82) 및 돔 스위치(83)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8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 장치(8)는, 하우징(184)에 형성된 개구(18411)와, 돔 스위치(183)로부터 개구(18411)를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하우징(184) 밖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18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 장치(8)는 버튼(382)과 돔 스위치(383) 사이에 배치되는 러버(3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러버(386)의 환형 환형 테두리는 제 1 부재(예: 윈도우 31)의 개구(3002-8) 둘레의 환형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부재(예: 브래킷 4)은, 바닥부(1611)와 상기 바닥부(1611)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환형의 측벽부(16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부재의 환형의 측벽부(1612)는 하우징(384)의 환형 테두리를 제 1 부재(예: 윈도우 31) 방향으로 지지하고, 제 2 부재의 바닥부(1611)는 하우징(384)으로부터 간극(G)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 장치(8)는, 제 1 부재(예: 윈도우 31)와 제 2 부재(예: 브래킷 4)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부재에 부착되어 제 2 부재와 함께 버튼(482) 및 돔 스위치(483)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48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81)은 제 1 부재(예: 윈도우 31)의 개구(3002-8)에 대응하는 개구(48111)를 포함하고, 버튼(482)은 하우징(481)의 개구(48111)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481)은 제 2 부재(예: 브래킷 4)에 형성된 홈(420)에 끼워 맞춰지고, 돔 스위치(483)는 제 2 부재의 홈(420)의 바닥(421)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 장치(8)는 제 2 부재(예: 브래킷 4)의 홈(420)의 바닥(421)에 형성된 개구와, 돔 스위치(483)로부터 제 2 부재의 개구를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제 2 부재 밖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 장치(8)는 제 1 부재(예: 윈도우 31)의 개구(3002-8)에 대응하도록 제 2 부재(예: 브래킷 4)에 형성된 개구(430)와, 제 2 부재에 부착되어 제 2 부재와 함께 버튼(582) 및 돔 스위치(5832)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기판(58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버튼(582)은 제 2 부재의 개구(430)에 삽입되고, 돔 스위치(5832)는 기판(583)에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 장치(8)는 돔 스위치(5832)가 실장 된 기판(583)의 실장 면의 반대 실장 면에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컨택은 돔 스위치(58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 2 부재(예: 브래킷 4)의 수직 아래에 배치되고 버튼 장치(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보드(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 2 부재(예: 브래킷 4)과 결합되고, 제 2 부재와 함께 회로 보드(5)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3 부재(예: 기기 케이스 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 장치(8)는 지문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 장치(8)는 제 1 부재(예: 윈도우 31)의 개구(3002-8) 둘레의 환형 면에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단말기 100)는, 개구(3002-8)를 포함하는 윈도우(31)과, 윈도우(31)의 수직 아래에 배치되는 회로 보드(5)와, 윈도우(31)와 회로 보드(5) 사이에 배치되는 브래킷(4)과, 윈도우(31)의 개구(3002-8)와 중첩되지 않도록 윈도우(31)와 브래킷(4)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32)와, 윈도우(31)의 수직 아래에 배치되고, 윈도우(31)의 개구에 삽입되는 버튼(82)과, 버튼(82)의 수직 아래에 배치되는 돔 스위치(83)와, 돔 스위치(8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을 가지는 버튼 장치(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버튼 장치(8)는 윈도우(31) 또는 브래킷(4)에 결합되어, 윈도우(31) 또는 브래킷(4)에 일체로 존재하고, 버튼 장치(8)의 적어도 하나의 컨택은 회로 보드(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일 실시 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81: 제 1 하우징 811: 천장부
111: 개구 8112: 관통 홀
121: 관통 홀 812: 측벽부
2: 버튼 821: 버튼 탑
22: 플랜지 83: 돔 스위치 회로
31: 기판 832: 메탈 돔
33: FPCB 834: 외부 컨택들
4: 제 2 하우징 841: 바닥부
411: 개구 8412: 리브
42: 측벽부 8421: 돌기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개구를 포함하는 윈도우;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고, 바닥부를 포함하는 브래킷;
    상기 윈도우의 개구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윈도우와 상기 브래킷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윈도우의 개구에 삽입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에 의해 가압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돔 스위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배치되는 버튼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 장치는,
    상기 윈도우와 상기 브래킷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 및 상기 돔 스위치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과 상기 돔 스위치 사이에 배치되는 러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러버의 환형 테두리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 둘레의 환형 면에 부착되며,
    상기 브래킷의 바닥부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간극을 두고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윈도우의 개구에 대응하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다른 개구; 및
    상기 돔 스위치로부터 상기 다른 개구를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 밖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윈도우의 개구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형성하는 천장부를 포함하는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돔 스위치가 설치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환형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의 환형의 측벽부는 상기 하우징의 환형 테두리를 상기 윈도우 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장치는,
    상기 윈도우와 상기 브래킷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에 부착되어 상기 윈도우와 함께 상기 버튼 및 상기 돔 스위치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 및
    상기 돔 스위치로부터 상기 개구를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 밖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장치는 상기 버튼과 상기 돔 스위치 사이에 배치되는 러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러버의 환형 테두리는 상기 윈도우의 개구 둘레의 환형 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환형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의 환형의 측벽부는 상기 하우징의 환형 테두리를 상기 윈도우 방향으로 지지하고, 상기 브래킷의 바닥부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간극을 두고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장치는,
    상기 윈도우와 상기 브래킷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브래킷에 부착되어 상기 브래킷과 함께 상기 버튼 및 상기 돔 스위치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윈도우의 개구에 대응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브래킷에 형성된 홈에 끼워 맞춰지고,
    상기 돔 스위치는 상기 브래킷의 홈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장치는,
    상기 브래킷의 홈의 바닥에 형성된 개구; 및
    상기 돔 스위치로부터 상기 브래킷의 개구를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브래킷 밖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장치는,
    상기 윈도우의 개구에 대응하도록 상기 브래킷에 형성된 개구; 및
    상기 브래킷에 부착되어 상기 브래킷과 함께 상기 버튼 및 상기 돔 스위치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브래킷의 개구에 삽입되고, 상기 돔 스위치는 상기 기판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장치는, 상기 돔 스위치가 실장 된 상기 기판의 실장 면의 반대 실장 면에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택은 상기 돔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과 결합되고, 상기 브래킷과 함께 상기 회로 보드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3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삭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장치는,
    지문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삭제
KR1020140179459A 2014-12-12 2014-12-12 전자 장치의 버튼 장치 KR102256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459A KR102256049B1 (ko) 2014-12-12 2014-12-12 전자 장치의 버튼 장치
US14/955,246 US10212833B2 (en) 2014-12-12 2015-12-01 Button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EP15199573.5A EP3032559B1 (en) 2014-12-12 2015-12-11 Button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CN201510919660.4A CN105700693B (zh) 2014-12-12 2015-12-11 电子设备的按钮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459A KR102256049B1 (ko) 2014-12-12 2014-12-12 전자 장치의 버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821A KR20160071821A (ko) 2016-06-22
KR102256049B1 true KR102256049B1 (ko) 2021-05-25

Family

ID=5484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459A KR102256049B1 (ko) 2014-12-12 2014-12-12 전자 장치의 버튼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12833B2 (ko)
EP (1) EP3032559B1 (ko)
KR (1) KR102256049B1 (ko)
CN (1) CN1057006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571B1 (ko) * 2016-02-12 2023-0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의 키 장치
CN105959449B (zh) * 2016-06-24 2019-03-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按键连接装置和移动终端
KR102503231B1 (ko) * 2016-07-14 2023-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입력 모듈 배선 구조
KR101956432B1 (ko) * 2016-11-03 2019-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입력장치
CN107332951B (zh) * 2017-08-10 2020-08-2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
KR102396645B1 (ko) * 2017-08-17 2022-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68080B1 (ko) * 2017-09-25 2022-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
WO2019160513A2 (en) * 2018-02-15 2019-08-22 Makersan Makina Otomotiv Sanayi Ticaret Anonim Sirketi A multifunctional switch device
KR102627937B1 (ko) 2018-11-27 2024-0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TWM587423U (zh) * 2019-06-25 2019-12-01 宏碁股份有限公司 機殼
CN110336905B (zh) * 2019-07-22 2021-05-25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带按键功能的指纹模块固定装置
KR102103996B1 (ko) * 2019-11-11 2020-04-23 (주)드림텍 지문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핸들 장치
EP3825777B1 (fr) * 2019-11-21 2024-04-24 Meco S.A. Correcteur de montre et carrure de montre
CN113871237B (zh) * 2020-06-30 2024-03-22 宏碁股份有限公司 输入装置的按压结构
DK180917B9 (en) * 2020-12-21 2022-06-29 Gn Hearing 2 As Support foam for push button in hea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423B1 (ko) * 2004-12-29 2006-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문인식 시스템형 이동통신단말기
US7764936B2 (en) * 2005-05-12 2010-07-27 Panasonic Corporation Dust and water resistant electronics enclosure
JP4257921B2 (ja) 2006-03-02 2009-04-30 シャープ株式会社 折畳み式携帯電子機器
CN102214001B (zh) 2010-04-02 2014-04-09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具有弹出式键盘的便携式电子装置
KR101739135B1 (ko) * 2010-12-01 201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KR101332553B1 (ko) * 2011-12-20 201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376623B1 (ko) * 2012-02-17 201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978959B1 (ko) 2012-12-20 2019-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793071B2 (en) * 2013-03-07 2017-10-17 Apple Inc. Dome switch stack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2037931B1 (ko) * 2013-03-15 2019-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86792B1 (ko) * 2013-09-02 202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착탈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401906B1 (ko) 2014-04-14 2014-06-02 주식회사 블루콤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74395A1 (en) 2016-06-16
EP3032559B1 (en) 2018-02-14
KR20160071821A (ko) 2016-06-22
EP3032559A1 (en) 2016-06-15
CN105700693A (zh) 2016-06-22
US10212833B2 (en) 2019-02-19
CN105700693B (zh) 2018-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6049B1 (ko) 전자 장치의 버튼 장치
US10424445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 button
CN107925688B (zh) 包括输入装置的电子设备
KR102308940B1 (ko)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14733B1 (ko) 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80241115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upport member having antenna radiator
CN107436627B (zh) 具有密封构件的电子设备
KR102208441B1 (ko) 화면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07162B1 (ko) 카메라 장치 및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CN112074794A (zh) 制造包括平面部分的窗玻璃的方法以及包括窗玻璃的电子设备
CN111919430A (zh) 电子装置及其形成柔性显示器的方法
US11031717B2 (en) Dual contact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with
US10109946B2 (en) Sealed circuit board connector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102324707B1 (ko)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736282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hrough-hole formed therein
US10185376B2 (en) Heat sink having protection for electric shock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75971B1 (ko) 접속 단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482414B1 (ko) 키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KR102165182B1 (ko)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19839B1 (ko) 전자 장치용 커버 디바이스
US20220137666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housing structure
CN108227964B (zh) 具有传感器模块的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