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578B1 - 카바모일레이티드 우레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카바모일레이티드 우레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578B1
KR101733578B1 KR1020160049177A KR20160049177A KR101733578B1 KR 101733578 B1 KR101733578 B1 KR 101733578B1 KR 1020160049177 A KR1020160049177 A KR 1020160049177A KR 20160049177 A KR20160049177 A KR 20160049177A KR 101733578 B1 KR101733578 B1 KR 101733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amoyl
isoxazol
oxy
propyl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경호
송견지
남영표
조명진
정명수
박승범
구자영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49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578B1/ko
Priority to US15/495,841 priority patent/US1023863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바모일레이티드 우레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아교세포(microglia) 또는 성상교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 일산화질소(NO) 및 TNF-α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 IL-1β 및 iNOS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카바모일레이티드 우레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바모일레이티드 우레탄 화합물은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어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바모일레이티드 우레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neuroinflammatory disease containing N-carbamoylated urethane}
본 발명은 카바모일레이티드 우레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아교세포(microglia) 또는 성상교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 일산화질소(NO) 및 TNF-α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 IL-1β 및 iNOS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카바모일레이티드 우레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 반응은 조직(세포)의 손상이나 외부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감염되었을 때 국소 혈관과 체액 중 각종 염증 매개인자 및 면역세포가 관련되어 효소 활성화, 염증매개물질 분비, 체액 침윤, 세포 이동, 조직 파괴 등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과 홍반, 부종, 발열, 통증 등 외적 증상을 나타낸다. 정상인 경우 염증 반응은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여 생명체 기능회복작용을 하지만, 항원이 제거되지 않거나 내부물질이 원인이 되어 염증반응이 과도하거나 지속적으로 일어나면 오히려 점막손상을 촉진하고, 그 결과 일부에서는 암 발생 등의 질환을 이끈다.
최근 염증반응이 신경퇴행을 유발하는 주요 기전의 하나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즉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면역세포인 미세아교세포(microglia)는 다양한 외인성, 내인성 물질로 인해 활성화될 수 있으며,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및 IL-1β, 일산화질소, 프로스타글란딘, 초과산화물 등의 물질을 생산, 방출한다. 이러한 물질들의 생성은 단기적으로는 면역반응을 유발하지만, 그 과도한 생산이나 지속적인 생산은 근접한 신경세포들의 사멸을 유도하여 결국 신경퇴행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또 사멸 중인 신경세포가 방출하는 물질들이 미세아교세포의 활성을 다시 유발하게 되므로, 신경퇴행은 지속적인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 실제로 미세아교세포의 활성이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 루게릭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t-Jakob Disease,CJD), 다발성 경화증 등의 다양한 퇴행성 신경질환과 관계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실제로 파킨슨병환자의 뇌에서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가 관찰되었고(Hunot et al., 1999; Knott et al.,2000), 1-메틸-4-페닐-1,2,3,6-테트라테트라하이드로피리딘(MPTP)을 이용한 파킨슨병 동물 모델에서도 같은 현상이 확인되었으며(Kohutnicka et al., 1998; Liberatore et al., 1999; Dehmer et al., 2000; Wu et al.,2002), 파킨슨병 이외에도 헌팅턴병(Chen etal., 2000; Tomas et al., 2003; Wang et al., 2003), 알츠하이머병(Benvensite et al., 2001), 루게릭병(Kriz et al., 2002; Van Den Bosch et al., 2002; Zhu et al.,2002), 국부성 및 허혈성 뇌졸중(Yrjaeikki et al., 1998; Arvin et al., 2001) 등과 같은 많은 신경계 질환과외상성 두부 손상(Sanches Meijia et al., 2001)에서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가 관찰되고 있다.
미세아교세포(microglia)는 중추신경계에서 일차적인 면역 기능을 수행하는 세포로서, 가늘고 긴 가지와 얇은 세포체의 모양을 유지하고 있다가 외부에서 유입되거나 내부에서 발생되는 독소들이 존재하게 되면 이들 독소로부터 신경 세포를 보호하기 위해 굵고 짧은 가지와 뚱뚱한 세포체를 가지는 활성화된 모양으로 변화하게 된다.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는 정상 상태의 미세아교세포와는 달리 포식작용을 활발히 하고, 세포증식을 하며, TNF-α, IL-1β 및 IL-6 등과 같은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OX-2(cyclooxygenase-2) 등의 유전자를 발현시켜 염증매개물질들을 생성한다.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는 손상된 세포를 제거하고 외부에서 침입하는 박테리아나 바이러스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일면이 있으나 iNOS에 의해 생성되는 일산화질소와 COX-2에 의해 생성되는 프로스타글란딘들, TNF-α 등은 신경세포에도 독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는 신경세포의 손상을 악화시키게 된다.
결론적으로, 신경세포 중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로 대변되는 신경염증반응이 다양한 신경조직손상에 있어서 중요한 병리적 역할을 수행하며, 궁극적으로 이러한 미세아교세포의 염증 활성화를 저해함으로써 신경조직손상 억제방안을 모색할 수 있고, 임상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신경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 및 신경염증 반응을 다각적으로 저해함으로써 광범위한 신경염증성 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를 계속한 결과, 카바모일레이티드 우레탄 화합물이 신경염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38783381-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또는 2이고,
R은 C1-C4의 알콕시, 비치환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4의 알킬, 할로겐, 수소 및 3,4-메틸렌디옥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38783381-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또는 2이고,
R은 C1-C4의 알콕시, 비치환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4의 알킬, 할로겐, 수소 및 3,4-메틸렌디옥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38783381-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또는 2이고,
R은 C1-C4의 알콕시, 비치환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4의 알킬, 할로겐, 수소 및 3,4-메틸렌디옥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38783381-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또는 2이고,
R은 C1-C4의 알콕시, 비치환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4의 알킬, 할로겐, 수소 및 3,4-메틸렌디옥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38783381-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또는 2이고,
R은 C1-C4의 알콕시, 비치환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4의 알킬, 할로겐, 수소 및 3,4-메틸렌디옥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상기 화합물과 부가염을 형성한 것이라면 한정되지 않으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무기산, 유기산, 또는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을 포함한다. 적합한 산 부가염의 예로는 황산, 염산, 질산, 인산, 브롬산, 과염소산, 요오드화수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옥살산, 구연산, 숙신산, 타타르산,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글리콜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산, 살리실산 등과 같은 유기 카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톨루엔-p-설폰산, 나프탈렌-2-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을 포함한다. 적합한 염기 부가염의 예로는, 리튬,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에 의해 형성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염; 라이신, 아르기닌, 구아니딘 등의 아미노산 염; 디사이클로헥실아민, N-메틸-D-글루카민,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아민, 디에탄올아민, 콜린, 트리에틸아민 등과 같은 유기염 등에 의해 형성된 염기 부가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그의 염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염의 제조는 별도의 설명이 없이도 상기 화합물의 구조를 바탕으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는 이들의 토토머 이성질체가 포함되며,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은 하나의 비대칭 중심을 갖고 있으므로, 이에 의한 거울상이성질체도 포함된다. 이러한 모든 이성질체와 그들의 혼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기 화학식 1의 프로드러그(prodrug)가 포함된다. 상기 프로드러그란 화학식 1 화합물의 작용성 유도체들로서, 생체에 들어가서 약효를 나타내기 위하여 쉽게 변환될 수 있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적당한 프로드러그 유도체들의 선택 및 제법에 대한 통상적인 과정은 기존의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Design of Prodrug, ed. H.Bundgaard, 1985).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2-(4-(5-(1-((벤질(페닐카바모일)카바모일)옥시)프로필)이속사졸-3-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2-(4-(5-(1-((벤질((2-메톡시페닐)카바모일)카바모일)옥시)프로필)이속사졸-3-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2-(4-(5-(1-((벤질((3-메톡시페닐)카바모일)카바모일)옥시)프로필)이속사졸-3-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2-(4-(5-(1-((벤질((4-메톡시페닐)카바모일)카바모일)옥시)프로필)이속사졸-3-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2-(4-(5-(1-((벤질((4-메틸페닐)카바모일)카바모일)옥시)프로필)이속사졸-3-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2-(4-(5-(1-((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바모일)카바모일)옥시)프로필)이속사졸-3-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2-(4-(5-(1-((벤질((4-클로로메틸페닐)카바모일)카바모일)옥시)프로필)이속사졸-3-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2-(4-(5-(1-((벤질((4-n-부틸메틸페닐)카바모일)카바모일)옥시)프로필)이속사졸-3-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2-(4-(5-(1-((벤질((3,4-디메톡시메틸페닐)카바모일)카바모일)옥시)프로필)이속사졸-3-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2-(4-(5-(1-((벤질((3,5-디메톡시메틸페닐)카바모일)카바모일)옥시)프로필)이속사졸-3-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및
2-(4-(5-(1-((벤질((3,5-메틸렌디옥시메틸페닐)카바모일)카바모일)옥시)프로필)이속사졸-3-일)페녹시)-2-메틸프로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신경염증성 질환은 신경계의 염증에 의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라면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다발성 경화증, 신경모세포종, 뇌졸중, 알츠하이머 병, 파킨슨 병, 루게릭 병, 헌팅턴 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우울증, 정신분열증, 및 근위축성측색경화증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LPS(리포폴리사카라이드)에 의해서 유도된 염증 조건 하에서 미세아교세포(microglia)의 활성화를 감소시키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iNOS의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고, 산화질소(NO)의 생성 또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이 화합물은 LPS(리포폴리사카라이드)에 의해서 유도된 염증 조건 하에서 성상교세포(astrocyte)에서 분비되는 NO 및 TNF-α의 분비를 감소시켰으며, 항-염증성 표현형으로의 전환을 촉진하였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항염증 효과 및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를 감소시켜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투여경로에 따라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활성 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로는 모든 종류의 용매, 분산매질,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젼, 수성 조성물, 리포좀, 마이크로비드 및 마이크로좀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투여제 및 비강흡입제의 형태로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투여’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주사형 제형으로 제조하여 이를 30 게이지의 가는 주사 바늘로 피부를 가볍게 단자(prick)하거나 피부에 직접적으로 도포하는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에 기술되어 있다.
흡입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오즈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경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카보하이트레이트(예를 들어, 글루코스, 만노즈, 수크로즈 또는 덱스트란),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및/또는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경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신경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38783381-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또는 2이고,
R은 C1-C4의 알콕시, 비치환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4의 알킬, 할로겐, 수소 및 3,4-메틸렌디옥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미백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물질 또는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 (예를 들어 과일 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를 들어 햄, 소시지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를 들어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를 들어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를 들어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총 중량 중 0.01 내지 50 중량% 이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LPS(리포폴리사카라이드)에 의해서 유도된 염증조건 하에서 미세아교세포(microglia)의 활성화를 감소시키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iNOS의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고, 산화질소(NO)의 생성 또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LPS(리포폴리사카라이드)에 의해서 유도된 염증조건 하에서 성상교세포(astrocyte)에서 분비되는 NO 및 TNF-α의 분비를 감소시키고, 항-염증성 표현형으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고속대량스크리닝(high throuput screening)을 이용하여 미세아교세포에서 NO 생성을 저해하는 물질을 선별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고속대량스크리닝을 통해 선발된 화합물인 Compound 1의 구조(도 2A) 및 Compound 1의 NO 생성 저해능 및 세포독성을 평가한 결과이다(도 2B).
도 3 compound 1의 NO 생성 저해능을 HAPI 세포주(A) 또는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주에서 평가한 결과이다(B).
도 4는 Compound 1을 미세아교세포인 BV-2에 처리한 후 염증성 마커들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RT-PCR로 평가한 결과이다.
도 5는 Compound 1을 성상교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 (A)및 TNF-α(B)의 생성의 변화, TNF-α의 mRNA 발현변화(C) 및 Ym-1 mRNA의 발현 변화(D)를 평가한 결과이다.
도 6은 in vivo 신경염증 동물모델에서 Compound 1의 효과를 평가하는 실험의 투여 스케쥴(A), 뇌 각 부분에서 Iba-1 발현 세포인 미세아교세포의 분포를 면역염색으로 관찰한 도면(B) 또는 이를 정량화한 결과(C)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방법>
1. 시험물질
LPS(lipopolysaccahride)는 시그마-알드리치(St.Louis, MO, USA), IL-4는 R&D 시스템(Minneapolis, MN, USA)에서 각각 구입하였다.
2. 세포배양
설치류 미세아교세포(microglia)인 BV-2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배지(5% heat-inactivated FBS, 50 μg/ml 젠타마이신), 37℃에서 배양하였다. 랫드 미세아교세포인 HAPI 세포 및 마우스 primary 성상교세포(astrocytes)는 DMEM(10% FBS, 10 U/ml 페니실린, 10 μg/ml 스트렙토마이신), 37℃에서 배양하였다. 모든 동물 및 실험 과정은 경북대학교 약학대학의 기관검토에 의해 승인되었으며, 실험 동물의 관리와 사용에 관한 NIH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진행되었다. 모든 동물은 온도와 습도가 조절되는 조건에서 사육되었다.
마우스 primary 미세아교세포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온화한 조건에서 배양되었다. 간략하게 3~5일된 C57BL/6 마우스의 전두엽을 채취하고, 나일론 메쉬를 이용하여 뇌를 기계적으로 분쇄하였다. 세포를 폴리-L-라이신이 코팅된 플라스크에 시딩한 후 배양하였다. 10~14일간 배양한 후, 미세아교세포를 200 rpm으로 6시간 동안 교반하여 신경교세포 혼합물로부터 분리하였다. 플라스크의 바닥에 부착되어 있는 잔존하는 신경교세포를 수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3. 고속대량스크리닝(high throuput screening)
일산화질소(NO) 생성량은 NO의 대사체인 나이트라이트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BV-2 세포(96-웰 플레이트의 각 웰당 40,000개)를 LPS 100 ng/ml로 처리하고 라이브러리의 화합물들을 처리하였다.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50 μl의 배양액에 동일한 부피의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을 각 웰에 처리하였다.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소디움 나이트라이트를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생성하였다.
4.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
세포 생존율은 MTT 어세이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LPS와 화합물을 처리한 후 배양액을 흡수하여 제거하였다. MTT(0.5 mg/ml in PBS)를 세포에 처리한 후 37℃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형성된 포마잔을 DMSO를 이용하여 용해하고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5. TNF-α ELISA
BV-2 세포 또는 성상교세포를 LPS와 Compound 1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에 존재하는 TNF-α의 양을 랫드 항-마우스 TNF-α 단클론항체를 1차 항체로, 염소 항-마우스 TNF-α항체를 2차 항체로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6. 통상적인 RT-PCR 및 실시간 RT-PCR
TRIZOL 시약(Invitrogen, Carlsbad, CA, USA)를 이용하여 세포의 총RNA를 추출하였다. 역전사는 Superscript II reverse transcriptase(Invitrogen) 및 Oligo(dT)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통상적인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 증폭은 각각의 특이적인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어닐링 온도 55~60℃에서 20 내지 30 사이클 수행하였다. PCR은 C1000 Touch Thermal Cyler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PCR 생산물의 확인을 위하여, 10 μl의 각 PCR 산물을 1% 아가로스 겔에서 전기영동하고 자외선 광원하에서 검출하였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 time RT-PCR)은 Perfect Real-Time One Step SYBR 프라이머 스크립트 RT-PCR 키트(Takara Bio, Otsu, Shiga, Japan)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각 프라이버 서열은 공지된 cDNA 서열에 기초하여 제작하였다(표 1)
Figure 112016038783381-pat00007
8. In vivo 신경염증성 동물모델
신경염증성 동물모델 마우스를 제조하기 위해 종래 공지된 방법에 따라 LPS를 복강투여 하였다. 모든 실험은 9~11주령의 C57BL/6 마우스를 이용하였고, 동물은 Koatech에서 공급받았다. 각 실험은 4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그룹 1: 비히클 투여군, 그룹 2: Compound 1 처리군, 그룹 3: LPS 및 비히클 처리군, 그룹 4: LPS 및 Compound 1 처리군). Compound 1(2 mg/kg)을 5% DMSO 및 40%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포함된 살린(saline)에 용해하였으며, 4일간 매일 복강투여 하였다. LPS 5 mg/kg은 2일째에 단회로 복강투여함으로써 신경염증성 모델을 유도하였다.
조직학적 분석을 위해 LPS를 투여한 후 72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동물을 마취시키고 경심관류로 1차 살린 및 2차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관류하였다. 미세아교세포의 활성은 Iba-1 염색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최소한 3마리의 동물이 각 실험그룹에 포함되어 이용되었다.
9. 면역염색
동물의 뇌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72시간 동안 고정하였다. 고정된 뇌는 30% 수크로오스(sucrose)로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 후 뇌를 12 μm 두께의 시상봉합 구획으로 절단하였다. 절단된 뇌를 0.3% Triton X-100 으로 투과화 한 후, 1% BSA 및 5% 당나귀 혈청으로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블로킹 하였다. 뇌 분획은 토끼 폴리클로날 항-Iba-1 1차 항체로 4℃에서 밤샘 처리하였고, 2차 항체로 1시간 동안 상온에서 처리하였다. DAPI를 포함하고 있는 항-fade 마운팅 미디움으로 마운팅 및 대조염색을 수행하였다. 각 분획의 영상은 CCD 칼라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실험결과>
<실시예 1>
항-신경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저분자물질의 선별
미세아교세포(microglia)는 뇌에 존재하는 면역세포로서, 방어체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미세아교세포에서 조절되지 않는 염증성 반응의 활성화는 다수 퇴행성 신경질환에서 발견되는 현상이다.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는 TNF-α, 일산화질소(NO) 및 활성산소와 같은 신경독성 인자들을 분비함으로써 신경염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자는 강력한 항-염증성 물질을 발굴하기 위하여 고속대량스크리닝(high throuput screening)을 이용하였고,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에서 LPS-유발 NO 생성능을 저해하는 저분자 물질을 선별하였다.
구체적으로, 96-웰 플레이트에 BV-2 세포를 배양한 후 LPS 100 ng/ml의 농도로 세포를 자극하였다. LPS로 자극한 BV-2 세포에 3,500종의 저분자 물질을 처리하였다(도 1). 고속대량스크리닝을 통해 세포독성이 낮고 미세아교세포에서 NO생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는 저분자물질을 선별하였고, 이를 Compound 1으로 명명하였다(도 2).
<실시예 2>
Compound 1 및 이의 유도체들의 합성
Figure 112016038783381-pat00008
상기 화학구조식에서,
n은 1 또는 2이고,
R은 C1-C4의 알콕시, 비치환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4의 알킬, 할로겐, 수소 및 3,4-메틸렌디옥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16038783381-pat00009
[M+H]+ = 558.2235; M=558.2253; 1H NMR (500 MHz, DMSO-d6) δ 10.54 (s, 1H), 7.61 (d, J = 8.6 Hz, 2H), 7.54 (d, J = 8.6 Hz, 2H), 7.37-7.22 (m, 8H), 7.14-7.06 (m, 1H), 6.94 (d, J = 7.8 Hz, 2H), 6.65 (s, 1H), 5.88 (t, J = 6.4 Hz, 1H), 4.99 (s, 2H), 2.00-1.87 (m, 2H), 1.48 (s, 6H), 0.75 (t, J = 7.2 Hz, 3H); 13C NMR (75 MHz, DMSO-d6) δ 169.6, 161.5, 158.2, 154.5, 151.3, 138.0, 137.8, 128.9, 128.4, 127.3, 127.2, 127.0, 123.9, 119.9, 118.2, 100.4, 80.1, 71.6, 46.8, 25.9, 25.7, 8.8
Compound 1 유도체들의 분자량 및 NMR 데이터
Figure 112016038783381-pat00010
[M]+587.2268 587.2267 1H NMR (500 MHz, DMSO-d6) δ 11.08 (s, 1H), 8.16 (d, J=7.6Hz,1H),7.63(d,J=8.8Hz,2H),7.377.21(m,5H),7.037.10(m,2H),6.996.89(m,3H),6.64(s,1H),5.95(t,J=6.4 Hz, 1H), 5.05 (s, 2H), 3.85 (s, 3H), 1.991.87 (m, 2H), 1.50 (s, 6H), 0.74 (t, J=7.2Hz,3H);13CNMR(125MHz,DMSO-d6)169.6,161.5,154.8,150.8,148.3,138.1,128.4,127.4,127.2,127.0,126.9,123.9,120.6,119.9,119.1,118.1,110.9,100.3,79.8,71.6,56.0,46.3, 25.9, 25.6, 8.8
Figure 112016038783381-pat00011
[M]+587.2268 587.2261 1H NMR (500 MHz, DMSO-d6) δ 10.53 (s, 1H), 7.68 (d, J=7.58Hz,2H),7.397.19(m,7H),7.10(d,J=8.1Hz,1H),6.93(d,J=8.7Hz,2H),6.726.65(m,2H),5.89(t,J=6.2 Hz, 1H), 4.99 (s, 2H), 3.74 (s, 3H), 2.001.87 (m, 2H), 1.54 (s, 6H), 0.76 (t, J=7.2Hz,3H);13CNMR(125MHz,DMSO-d6)δ169.8,161.4,159.7,157.4,154.4,151.3,139.0,138.0,129.8,128.4,127.7,127.2,127.0,120.7,118.2,112.0,109.5,105.4,100.4,79.0,71.6,55.1,46.9,25.9,25.3,8.8
Figure 112016038783381-pat00012
[M]+587.2268 587.2269 1H NMR (500 MHz, DMSO-d6) δ 10.37 (s, 1H), 7.63 (d, J=8.6Hz,2H),7.44(d,J=9.1 Hz, 2H), 7.377.24 (m, 5H), 6.93 (d, J=8.8 Hz, 2H), 6.91 (d, J=9.1 Hz, 2H), 6.66 (s, 1H), 5.87 (t, J=6.4 Hz, 1H), 4.98 (s, 2H), 3.73 (s, 2H), 2.001.88 (m, 2H), 1.49 (s, 6H), 0.75 (t, J=7.3Hz,3H);13CNMR(125MHz,DMSO-d6)δ 169.7, 161.5, 158.2, 155.8, 154.4, 151.4, 138.1, 130.7, 128.4, 127.4, 127.2, 127.0, 121.7, 119.8, 118.1, 114.0, 100.3, 71.5, 55.2, 46.8, 25.9, 25.7, 8.8
Figure 112016038783381-pat00013
[M]+571.2319 571.2316 1H NMR (500 MHz, DMSO-d6) δ 10.45 (s, 1H), 7.67 (d,J=8.6Hz,2H),7.42(d,J=8.3Hz,2H),7.377.23(m,5H),7.14(d,J=8.3Hz,2H),6.92(d,J=8.8Hz,2H),6.67(s,1H),5.88(t,J=6.4 Hz, 1H), 4.98 (s, 2H), 2.26 (s, 3H), 2.011.88 (m, 2H), 1.53 (s, 6H), 0.75 (t,J=7.2Hz,3H);13CNMR(75MHz,DMSO-d6)δ169.8,161.3,157.5,154.4,151.3, 138.0, 135.2, 133.0, 129.3, 128.4, 127.7, 127.2, 127.0, 120.6, 119.9, 118.2, 100.4, 79.1, 71.5, 46.8, 25.9, 25.3, 20.4, 8.8
Figure 112016038783381-pat00014
[M+H]+626.2109 626.2103 1H NMR (500 MHz, DMSO-d6) δ 10.78 (s, 1H), 7.77 (d, J=8.3 Hz, 2H), 7.70 (d, J=8.3Hz,2H),7.63(d,J=8.8 Hz, 2H), 7.387.23 (m, 5H), 6.94 (d, J=8.8 Hz, 2H), 6.69 (s, 1H), 5.89 (t, J=6.5 Hz, 1H), 4.99 (s, 2H), 2.001.89 (m, 2H), 1.50 (s, 6H), 0.76 (t, J=7.3Hz,3H);13CNMR(75MHz,DMSO-d6)δ169.6,161.5,158.1,154.3, 151.6, 141.5, 137.8, 128.4, 127.4, 127.3, 126.2, 126.2, 126.1, 119.8, 118.1, 110.9, 100.4, 79.9, 71.7, 48.6, 47.1, 25.9, 25.6, 8.8
Figure 112016038783381-pat00015
[M]+591.1772 591.1775 1H NMR (500 MHz, DMSO-d6) δ 10.57 (s, 1H), 7.67 (d, J=8.8 Hz, 2H), 7.59 (d, J=9.1Hz,1H),7.39(d,J=8.8 Hz, 1H), 7.367.24 (m, 5H), 6.93 (d, J=8.8 Hz, 2H), 6.68 (s, 1H), 5.88 (t, J=6.4 Hz, 1H), 4.98 (s, 2H), 1.991.88 (m, 2H), 1.53 (s, 6H), 0.75 (t, J=7.3Hz,3H);13CNMR(125MHz,DMSO-d6)δ169.7,161.4,157.7,154.3,151.4,137.9,136.8,128.8, 128.4, 127.6, 127.6, 127.2, 127.0, 121.6, 120.4, 118.2, 100.4, 79.3, 71.6, 47.0, 25.9, 25.4, 8.8
Figure 112016038783381-pat00016
[M]+613.2788 613.2790 1H NMR (500 MHz, DMSO-d6) δ 10.46 (s, 1H), 7.65 (d, J=8.8Hz,2H),7.43(d,J=8.6 Hz, 2H), 7.367.23 (m, 5H), 7.14 (d, J=8.3 Hz, 2H), 6.92 (d, J=8.8 Hz, 2H), 6.66 (s, 1H), 5.88 (t, J=6.5 Hz, 1H), 4.99 (s, 2H), 2.562.48 (m, 3H), 1.991.87 (m, 2H), 1.571.46 (m, 8H), 1.321.25 (m, 2H), 0.88 (t, J=7.5Hz,3H),0.75(t,J=7.3Hz,3H);13CNMR(75MHz,DMSO-d6)δ175.0,169.7,161.4, 157.9, 154.5, 151.3, 138.1, 138.0, 135.4, 128.7, 128.4, 127.6, 127.2, 127.0, 120.2, 120.0, 118.1, 100.4, 79.5, 71.5, 46.8, 34.2, 33.2, 25.9, 25.5, 21.7, 13.8, 8.8
Figure 112016038783381-pat00017
[M]+617.2373 617.2378 1H NMR (500 MHz, DMSO-d6) δ 10.40 (s, 1H), 7.62 (d, J=8.3 Hz, 2H), 7.387.23 (m, 5H), 7.19 (d, J=1.5 Hz, 1H), 7.08 (d, J=8.6Hz,1H),6.91(m,3H),6.65(s,1H),5.87(t,J=6.4 Hz, 1H), 4.99 (s, 2H), 3.73 (s, 3H), 3.72 (s, 3H), 2.001.87 (m, 2H), 1.48 (s, 6H), 0.75 (t, J=7.2Hz,3H);13CNMR(75MHz,DMSO-d6)δ169.7, 161.5, 158.2, 154.5, 151.3, 148.7, 145.4, 138.1, 131.1, 128.4, 127.4, 127.2, 127.0, 119.7, 117.9, 112.0, 111.9, 105.2, 100.3, 71.5, 55.7, 55.5, 48.6, 46.7, 25.9, 25.7, 8.8
Figure 112016038783381-pat00018
[M]+617.2373 617.2384 1H NMR (500 MHz, DMSO-d6) δ 10.51 (s, 1H), 7.61 (d, J=8.6 Hz, 2H), 7.397.22 (m, 5H), 6.92 (d, J=8.6Hz,2H),6.78(d,J=2.2 Hz, 2H), 6.68 (s, 1H), 6.25 (s, 1H), 5.87 (t, J=6.4 Hz, 1H), 4.97(s, 2H), 3.71 (s, 6H), 1.961.89 (m, 2H), 1.47 (s, 6H), 0.75 (t, J=7.3Hz,3H);13CNMR(75MHz,DMSO-d6)δ169.6,161.5,160.6,154.4,151.2,139.5,138.0,128.4,127.3, 127.2, 127.0, 119.4, 118.0, 100.3, 97.9, 96.0, 80.3, 71.6, 69.8, 55.2, 46.9, 29.0, 25.9, 8.8
Figure 112016038783381-pat00019
[M]+601.2060 601.2059 1H NMR (500 MHz, DMSO-d6) δ 10.39 (s, 1H), 7.67 (d, J=8.8Hz,2H),7.377.21(m,6H),6.956.89(m,3H),6.86(t,J=8.3 Hz, 1H), 6.66 (s, 1H), 6.00 (s, 2H), 5.87 (t, J=6.4 Hz, 1H), 4.97 (s, 2H), 1.981.87 (m, 2H), 1.53 (s, 6H), 0.75 (t, J=7.3Hz,3H);13CNMR(75MHz,DMSO-d6)δ174.8,169.8,161.4,157.5,154.4,151.4,147.3,143.6,138.0,132.0, 128.4, 127.7, 127.2, 127.0, 120.6, 118.2, 113.2, 108.1, 102.4, 101.2, 100.4, 79.1, 71.5, 46.8, 25.9, 25.3, 8.8
<실시예 3>
다양한 세포에서 Compound 1의 항-신경염증 효과의 검증
본 발명자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별된 Compound 1의 항-신경염증 효과를 랫드 미세아교세포인 HAPI 세포 및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에서 평가하였다.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배양한 후 다양한 농도의 Compound 1 및 LPS를 세포에 처리하였다. 24시간이 경과한 후 NO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Compound 1은 LPS에 의해 유발되는 미세아교세포와 대식세포에서의 NO 분비를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자는 또한 Compound 1 유도체들이 LPS에 의해 유발되는 미세아교세포에서의 NO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38783381-pat00020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에 LPS(100ng/ml) 자극에 의해 증가된 NO 생성량이 각 유도체들 10 μM 처리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LPS에 의해 증가된 NO 생성량을 100%로 볼 때, 각 유도체들의 처리에 의해 억제된 양을 %로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Compound 1이 LPS에 의해 유도되는 전염증성 매개체(pro-inflammatory mediator)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BV-2 미세아교세포에서 확인하였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에 Compound 1을 전처리한 결과 TNF-α, IL-1β 및 iNOS와 같은 염증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실시예 4>
Compound 1에 의한 성상교세포(astrocyte)의 항-염증성 표현형으로의 전환
성상교세포(astrocyte)는 신경교세포의 일종으로 병리학적 환경에서 중추신경계의 염증반응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능적으로 극성화된 성상교세포는 다양한 작용자 기능에 따라서 분명한 유전자 발현 패턴을 갖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선행연구를 통해 대체적으로 활성화된 성상교세포는 항염증성 유전자의 발현과 신경보호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Compound 1이 성상교세포의 기능적 극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Compound 1은 성상교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 및 TNF-α의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IL-4에 의해 유도되는 Ym-1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Compound 1의 항-신경염증 효과는 미세아교세포 및 성상교세포를 항-염증성 표현형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In vivo 항-신경염증성 효능 평가
다음으로, 본 발명자들은 LPS에 의해 유발되는 마우스 신경염증 동물모델에서 Compound 1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2mg/kg 의 Compound 1을 복강투여하면 약물의 뇌 분포가 0.19 μg/hr/ml이며 5.23±1.52 hr의 반감기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신경염증 동물모델에서 2 mg/kg의 용량으로 복강투여하여 효과를 평가하였다. LPS를 주입한 후 24시간이 경과한 시점부터, Compound 1을 3일간 매일 투여하였다(도 6A). 이후 동물을 희생시킨 후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와 관련된 분자 마커인 Iba-1의 발현량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6B에 나타내었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뇌 조직의 단편에 염색된 Iba-1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LPS 주입에 의해서 미세아교세포의 숫자가 급격하게 증가하였고(Iba-1 양성 세포), Compound 1을 투여한 군에서는 LPS에 의해 유도된 미세아교세포의 활성이 급격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자가 설정한 기준을 초과하는 강도로 Iba-1 염색된 세포를 뇌의 피질, 해마 및 흑질 영역에서 카운팅하였다. 뇌의 각각의 부위에서 Iba-1으로 염색된 세포를 정량적으로 측정한 결과 Compound 1은 LPS에 의해 유발되는 미세아교세포의 과활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6C).
이상과 같이, Compound 1에 의해 유도되는 뇌의 신경교 세포의 항-염증성 상태를 통해, Compound 1은 신경염증 또는 퇴행성 신경질환에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LPS(리포폴리사카라이드)에 의해서 유도된 염증조건 하에서 미세아교세포(microglia)의 활성화를 감소시키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iNOS의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고, 산화질소(NO)의 생성 또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LPS(리포폴리사카라이드)에 의해서 유도된 염증조건 하에서 성상교세포(astrocyte)에서 분비되는 NO 및 TNF-α의 분비를 감소시키고, 항-염증성 표현형으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우수하다.
<110>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120>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neuroinflammatory disease containing N-carbamoylated urethane <130> NP16-0008 <160> 10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alpha forward <400> 1 catcttctca aaattcgagt gacaa 25 <210> 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alpha reverse <400> 2 acttgggcag attgacctca g 21 <210> 3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 beta forward <400> 3 gcaactgttc ctgaactc 18 <210> 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 beta reverse <400> 4 ctcggagcct gtagtgca 18 <210> 5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NOS forward <400> 5 cccttccgaa gtttctggca gcagc 25 <210> 6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NOS reverse <400> 6 ggctgtcaga gcctcgtggc tttgg 25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Ym-1 forward <400> 7 gggcatacct ttatcctgag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Ym-1 reverse <400> 8 ccactgaagt catccatgtc 20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forward <400> 9 accacagtcc atgccatcac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reverse <400> 10 tccaccaccc tgttgctgta 20

Claims (4)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38783381-pat0002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또는 2이고,
    R은 C1-C4의 알콕시, 비치환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4의 알킬, 할로겐, 수소 및 3,4-메틸렌디옥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2-(4-(5-(1-((벤질(페닐카바모일)카바모일)옥시)프로필)이속사졸-3-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2-(4-(5-(1-((벤질((2-메톡시페닐)카바모일)카바모일)옥시)프로필)이속사졸-3-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2-(4-(5-(1-((벤질((3-메톡시페닐)카바모일)카바모일)옥시)프로필)이속사졸-3-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2-(4-(5-(1-((벤질((4-메톡시페닐)카바모일)카바모일)옥시)프로필)이속사졸-3-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2-(4-(5-(1-((벤질((4-메틸페닐)카바모일)카바모일)옥시)프로필)이속사졸-3-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2-(4-(5-(1-((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바모일)카바모일)옥시)프로필)이속사졸-3-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2-(4-(5-(1-((벤질((4-클로로메틸페닐)카바모일)카바모일)옥시)프로필)이속사졸-3-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2-(4-(5-(1-((벤질((4-n-부틸메틸페닐)카바모일)카바모일)옥시)프로필)이속사졸-3-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2-(4-(5-(1-((벤질((3,4-디메톡시메틸페닐)카바모일)카바모일)옥시)프로필)이속사졸-3-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2-(4-(5-(1-((벤질((3,5-디메톡시메틸페닐)카바모일)카바모일)옥시)프로필)이속사졸-3-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및
    2-(4-(5-(1-((벤질((3,5-메틸렌디옥시메틸페닐)카바모일)카바모일)옥시)프로필)이속사졸-3-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염증성 질환은 뇌염증 질환, 다발성 경화증, 신경모세포종, 뇌졸중, 알츠하이머 병, 파킨슨 병, 루게릭 병, 헌팅턴 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우울증, 정신분열증, 및 근위축성측색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38783381-pat00022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또는 2이고,
    R은 C1-C4의 알콕시, 비치환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4의 알킬, 할로겐, 수소 및 3,4-메틸렌디옥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KR1020160049177A 2016-04-22 2016-04-22 카바모일레이티드 우레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3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177A KR101733578B1 (ko) 2016-04-22 2016-04-22 카바모일레이티드 우레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5/495,841 US10238635B2 (en) 2016-04-22 2017-04-24 N-carbamoylated urethane for treating a neuroinflammatory dise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177A KR101733578B1 (ko) 2016-04-22 2016-04-22 카바모일레이티드 우레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578B1 true KR101733578B1 (ko) 2017-05-08

Family

ID=6016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177A KR101733578B1 (ko) 2016-04-22 2016-04-22 카바모일레이티드 우레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38635B2 (ko)
KR (1) KR1017335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425A (ko) 2019-09-24 2021-04-0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N-아릴-2-[(6-부틸-1,3-디메틸-2,4-디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피리도[2,3-d]피리미딘-5-일)설페닐]아세트아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불안증 또는 신경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100841A (ko) 2020-02-07 2021-08-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크레논 a5를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425A (ko) 2019-09-24 2021-04-0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N-아릴-2-[(6-부틸-1,3-디메틸-2,4-디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피리도[2,3-d]피리미딘-5-일)설페닐]아세트아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불안증 또는 신경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49560B1 (ko) 2019-09-24 2021-05-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N-아릴-2-[(6-부틸-1,3-디메틸-2,4-디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피리도[2,3-d]피리미딘-5-일)설페닐]아세트아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불안증 또는 신경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100841A (ko) 2020-02-07 2021-08-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크레논 a5를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047066A (ko) 2020-02-07 2023-04-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크레논 a5를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28502A1 (en) 2018-02-01
US10238635B2 (en) 201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2382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indirubin derivative as active ingredient
KR101733578B1 (ko) 카바모일레이티드 우레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40094414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 including bioactive peptide as effective component
KR101976528B1 (ko)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2667B1 (ko) 섬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정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735224B2 (ja) アストロサイトのグルコース代謝活性化剤
KR102134004B1 (ko) 아스타잔틴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질환 또는 치매를 예방, 치료 또는 지연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CN110139658A (zh) 组合物
KR101247802B1 (ko) 피페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21601B1 (ko)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08904481B (zh) 邻羟基查尔酮类似物在制备抗氧化药物中的应用
US11643428B2 (en) Therapeutic drug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 and application thereof
US20210267923A1 (en) Succinic acid and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haemotological disorders
KR20160081189A (ko)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09430B1 (ko) 남극 지의류 아만디네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아만디네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432016B1 (ko) 신경염증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9968576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containing Ramalin
KR20200129596A (ko)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68228B1 (ko) 신규한 2-하이드록시-4-메틸벤조산 무수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88274B1 (ko) D-리모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전증 또는 발작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283093B1 (ko) 고온고압법제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22367B1 (ko)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20064360A (ko) 석창포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54636A (ko) 4-[3-옥소-3-(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필]-모르폴린-4-윰 클로라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62543A (ko) 외톨개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