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532B1 - 전기 커넥터, 접속 대상물 유닛, 접속 대상물 유닛 집합체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접속 대상물 유닛, 접속 대상물 유닛 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532B1
KR101733532B1 KR1020150038693A KR20150038693A KR101733532B1 KR 101733532 B1 KR101733532 B1 KR 101733532B1 KR 1020150038693 A KR1020150038693 A KR 1020150038693A KR 20150038693 A KR20150038693 A KR 20150038693A KR 101733532 B1 KR101733532 B1 KR 101733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tact portion
contact
fitted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3852A (ko
Inventor
야스카즈 이토우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3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M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1/00One pol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접속 대상물에 대하여 복수의 전선을 접속 가능한 전기 커넥터를 소형화한다.
(해결 수단) 핀 커넥터(6)는, 핀 콘택트(20)와 핀 하우징(21)을 구비한다. 핀 콘택트(20)는, 상 소켓 커넥터(10)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상 접촉부(31)와, 하 소켓 커넥터(11)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하 접촉부(32)와, 배터리(2)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전극 접촉부(30)를 구비한다. 상 접촉부(31)의 판두께 방향과 하 접촉부(32)의 판두께 방향은, 전극 접촉부(30)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상 소켓 커넥터(10)를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하 소켓 커넥터(11)를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상이한 방향이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접속 대상물 유닛, 접속 대상물 유닛 집합체{ELECTRIC CONNECTOR, CONNECTION OBJECT UNIT, AND CONNECTION OBJECT UNIT ASSEMBLY}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접속 대상물 유닛, 접속 대상물 유닛 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기술로서, 특허문헌 1은, 본원의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100)에 접속 케이블(1O1)을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102) 및 리셉터클 커넥터(103)를 개시하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102)는, 접속 케이블(101)의 단부(端部)에 부착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03)는, 배터리(100)의 배터리 본체(104)의 상면(105)으로부터 돌출한 수나사 형상의 배터리 포스트(106)에 너트(107)로 부착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03)는, 볼트 체결용의 볼트구멍(108)이 형성된 리셉터클 콘택트(109)와, 리셉터클 하우징(11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플러그 커넥터(102)를 리셉터클 커넥터(103)에 끼워맞춤시키면, 배터리(100)에 접속 케이블(101)이 접속된다.
일본특허공보 제5352723호
그런데, 배터리(100)의 배터리 포스트(106)에 복수의 접속 케이블(101)을 동시에 접속하고 싶다는 요망이 있었다. 동시에, 리셉터클 커넥터(103)의 더 한층의 소형화의 요청도 나오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 대상물에 대하여 복수의 전선을 접속 가능한 전기 커넥터를 소형화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하면, 접속 대상물에 부착되고, 제1 전선에 부착된 제1 커넥터와 끼워맞춤하고, 제2 전선에 부착된 제2 커넥터와 끼워맞춤함으로써,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을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에 부착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한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전기 커넥터로부터의 빠짐방지로서의 제1 빠짐방지부와,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한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전기 커넥터로부터의 빠짐방지로서의 제2 빠짐방지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2 접촉부와,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3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과 상기 제2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은, 상기 제3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이고,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상이한 방향인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원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하면, 접속 대상물과, 제1 전선에 부착된 제1 커넥터와, 제2 전선에 부착된 제2 커넥터와, 상기 접속 대상물에 부착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끼워맞춤하고, 상기 제2 커넥터와 끼워맞춤함으로써,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을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에 부착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한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전기 커넥터로부터의 빠짐방지로서의 제1 빠짐방지부와,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한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전기 커넥터로부터의 빠짐방지로서의 제2 빠짐방지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2 접촉부와,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3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과 상기 제2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은, 상기 제3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이고,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상이한 방향인 접속 대상물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 대상물에 대하여 복수의 전선을 접속 가능한 전기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2는 커넥터 조립체가 부착된 배터리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3은 복수의 배터리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4는 핀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5는 핀 커넥터의 일부 절결(cut-away)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6은 핀 커넥터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7은 핀 커넥터의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8은 핀 커넥터의 또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9는 핀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0은 핀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1은 핀 콘택트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2는 핀 콘택트의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3은 상 하우징 분할체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4는 상 하우징 분할체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5는 상 하우징 분할체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6은 핀 커넥터의 평면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7은 케이블의 단부에 부착된 소켓 커넥터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8은 케이블의 단부에 부착된 소켓 커넥터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9는 핀 콘택트의 사시도이다(제2 실시 형태).
도 20은 핀 콘택트의 사시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21은 핀 콘택트의 사시도이다(제4 실시 형태).
도 22는 특허문헌 1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1 실시 형태)
도 1∼도 3에는, 커넥터 조립체(1)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1)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배터리(2)(접속 대상물)를 복수의 케이블(3)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배터리(2)는, 직방체 형상의 배터리 본체(4)와, 한 쌍의 전극(5)을 갖는다. 배터리 본체(4)는, 장방형 형상의 상면(4a)(전극 배치면) 및 정면(4b), 배면(4c), 하면(4d), 한 쌍의 측면(4e)을 갖는다. 한 쌍의 전극(5)은, 배터리 본체(4)의 상면(4a)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5)은, 배터리 본체(4)의 상면(4a)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배터리 상하 방향」「배터리 폭방향」「배터리 전후 방향」을 정의한다. 배터리 상하 방향은, 상면(4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배터리 상하 방향은, 상방향과 하방향을 갖는다. 상방향은, 하면(4d)으로부터 상면(4a)을 향하는 방향이다. 하방향은, 상면(4a)으로부터 하면(4d)을 향하는 방향이다. 배터리 폭방향은, 상면(4a)의 길이 방향이다. 배터리 폭방향은, 배터리 폭 중앙 방향과 배터리 폭 반(反)중앙 방향을 갖는다. 배터리 폭 중앙 방향은, 배터리 폭방향 중 상면(4a)의 길이 방향의 중앙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다. 배터리 폭 반중앙 방향은, 배터리 폭방향 중 상면(4a)의 길이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다. 배터리 전후 방향은, 배터리 상하 방향 및 배터리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배터리 전후 방향은, 정면(4b)으로부터 배면(4c)으로 향하는 배터리 후방향과, 배면(4c)으로부터 정면(4b)으로 향하는 배터리 전(前)방향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배터리(2)는, 배터리 수납 선반 등을 이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나열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조립체(1)는, 핀 커넥터(6)(전기 커넥터)와 한 쌍의 소켓 커넥터(7)를 갖는다. 도 1에는, 한 쌍의 소켓 커넥터(7)가 핀 커넥터(6)와 끼워맞춤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핀 커넥터(6)로부터 보아 상방향측의 소켓 커넥터(7)를 상 소켓 커넥터(10)(제1 커넥터)로 하고, 핀 커넥터(6)로부터 보아 하방향측의 소켓 커넥터(7)를 하 소켓 커넥터(11)(제2 커넥터)로 한다. 또한, 커넥터 조립체(1)로부터 보아 상방향측의 케이블(3)을 상 케이블(12)(제1 전선)로 하고, 커넥터 조립체(1)로부터 보아 하방향측의 케이블(3)을 하 케이블(13)(제2 전선)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커넥터(6)는, 한 쌍의 전극(5) 중 한쪽의 전극(5)에 부착되는 커넥터이다. 상 소켓 커넥터(10)는, 상 케이블(12)의 단부에 부착되는 커넥터이다. 하 소켓 커넥터(11)는, 하 케이블(13)의 단부에 부착되는 커넥터이다. 그리고, 상 소켓 커넥터(10) 및 하 소켓 커넥터(11)를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함으로써, 상 케이블(12) 및 하 케이블(13)이, 도 2에 나타내는 배터리(2)의 한쪽의 전극(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핀 커넥터(6))
다음으로, 도 4∼도 16을 참조하여, 핀 커넥터(6)를 설명한다.
도 4, 도 7 및 도 8에는, 핀 커넥터(6)를 여러 가지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일부를 절결한 핀 커넥터(6)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 및 도 10에는, 핀 커넥터(6)의 분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커넥터(6)는, 핀 콘택트(20)(콘택트)와, 핀 하우징(21)(하우징)과, 2개의 나사(22)를 갖는다. 핀 하우징(21)은, 상 하우징 분할체(23)(제1 하우징 분할체)와, 상 하우징 분할체(23)보다도 하방향측에 배치되는 하 하우징 분할체(24)(제2 하우징 분할체)를 갖는다. 그리고, 상 하우징 분할체(23)와 하 하우징 분할체(24)를 핀 콘택트(20)에 씌운 상태에서, 상 하우징 분할체(23)와 하 하우징 분할체(24)를 2개의 나사(22)로 결합함으로써, 핀 하우징(21)이 핀 콘택트(20)에 부착된다.
(핀 콘택트(20))
도 11 및 도 12에는, 핀 콘택트(20)를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콘택트(20)는, 판두께가 약 3㎜인 금속판(M)을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핀 콘택트(20)는, 전극 접촉부(30)(제3 접촉부)와 상 접촉부(31)(제1 접촉부), 하 접촉부(32)(제2 접촉부)를 갖는다.
전극 접촉부(30)는, 평판 형상으로서, 그 판두께 방향은 배터리 상하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전극 접촉부(30)는, 배터리 폭방향으로 가늘고 긴 장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극 접촉부(30)는, 핀 콘택트(20)를 배터리(2)의 전극(5)으로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멍(33)을 갖는다.
상 접촉부(31)는, 평판 형상으로서, 그 판두께 방향은 배터리 폭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즉, 상 접촉부(31)의 판두께 방향은, 전극 접촉부(30)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상 접촉부(31)는, 전극 접촉부(30)의 배터리 폭 반중앙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 접촉부(31)는, 선단면(31a)과 한 쌍의 측단면(31b), 한 쌍의 접촉면(31c)을 갖는다. 선단면(31a)은, 배터리 상하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면이다. 한 쌍의 측단면(31b)은, 배터리 전후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면이다. 한 쌍의 접촉면(31c)은, 배터리 폭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면이다. 상 접촉부(31)와 전극 접촉부(30)의 사이에는, 상 접속 부분(34)(제1 접속 부분, 제1 접힘부, 제1 굽힘부)이 형성되어 있다. 상 접촉부(31)와 전극 접촉부(30)는, 상 접속 부분(34)에 있어서 접속하고 있다. 상 접속 부분(34)은, 평판 형상의 상 접촉부(31)와 평판 형상의 전극 접촉부(30)가 접속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직선적인 외관을 나타낸다. 직선적인 외관의 상 접속 부분(34)은, 배터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 접촉부(31)는, 중심축(C1)을 갖는다. 중심축(C1)은, 상 접촉부(31)의 돌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상 접촉부(31)의 중심축이다.
하 접촉부(32)는, 평판 형상으로서, 그 판두께 방향은 배터리 폭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즉, 하 접촉부(32)의 판두께 방향은, 전극 접촉부(30)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하 접촉부(32)는, 전극 접촉부(30)의 배터리 폭 반중앙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 접촉부(32)는, 선단면(32a)과 한 쌍의 측단면(32b), 한 쌍의 접촉면(32c)을 갖는다. 선단면(32a)은, 배터리 상하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면이다. 한 쌍의 측단면(32b)은, 배터리 전후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면이다. 한 쌍의 접촉면(32c)은, 배터리 폭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면이다. 하 접촉부(32)와 전극 접촉부(30)의 사이에는, 하 접속 부분(35)(제2 접속 부분, 제2 접힘부, 제2 굽힘부)이 형성되어 있다. 하 접촉부(32)와 전극 접촉부(30)는, 하 접속 부분(35)에 있어서 접속하고 있다. 하 접속 부분(35)은, 평판 형상의 하 접촉부(32)와 평판 형상의 전극 접촉부(30)가 접속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직선적인 외관을 나타낸다. 직선적인 외관의 하 접속 부분(35)은, 배터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 접촉부(32)는, 중심축(C2)을 갖는다. 중심축(C2)은, 하 접촉부(32)의 돌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하 접촉부(32)의 중심축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 접촉부(31) 및 하 접촉부(32)는, 배터리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상 접촉부(31)의 중심축(C1)은, 하 접촉부(32)의 중심축(C2)의 가상 연장선(Q)으로부터 벗어나(not coincide)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 접촉부(31)는, 하 접촉부(32)보다도 배터리 후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 접촉부(31) 및 하 접촉부(32)는, 배터리 폭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 접촉부(31) 및 하 접촉부(32)는, 배터리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 접촉부(31)는, 하 접촉부(32)보다도 상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상 접촉부(31)의 전극 접촉부(30)로부터의 돌출 방향과, 하 접촉부(32)의 전극 접촉부(30)로부터의 돌출 방향은, 반대이다.
그리고, 상 접촉부(31)의 판두께 방향과, 하 접촉부(32)의 판두께 방향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상 하우징 분할체(23))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 하우징 분할체(23)와 하 하우징 분할체(24)는, 동일 형상이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 하우징 분할체(24)는, 배터리 폭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회전축으로 상 하우징 분할체(23)를 180도 회전시킨 자세로 배치된다. 따라서, 이하, 상 하우징 분할체(23)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하 하우징 분할체(24)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도 15에는, 상 하우징 분할체(23)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하우징 분할체(23)는, 평판 형상의 베이스(4O)와 내측 커버부(41)(제1 내측 커버부), 외측 커버부(42)(제1 외측 커버부)를 갖는다.
베이스(40)는, 평판 형상이고, 그 판두께 방향은 배터리 상하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베이스(40)는, 배터리 전후 방향에 가늘고 긴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40)는, 배터리 후방향 가까이의 커버 지지부(43)와, 배터리 전방향 가까이의 접속 부분 커버부(44)(제1 접속 부분 커버부)를 갖는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지지부(43)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핀 콘택트(20)의 상 접촉부(31)가 상방향을 향하여 삽입 가능한 삽입구멍(45)이 형성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부분 커버부(44)에는, 상 하우징 분할체(23)와 하 하우징 분할체(24)를 나사(22)로 결합하기 위한 나사구멍(46)이 형성되고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커버부(41)는, 커버 지지부(43)로부터 상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측 커버부(41)는, 선단면 커버부(47), 한 쌍의 측단면 커버부(48), 한 쌍의 보강 빔부(49)를 갖는다. 선단면 커버부(47)는, 도 11의 핀 콘택트(20)의 상 접촉부(31)의 선단면(31a)을 덮는 들보체(beam)이다. 선단면 커버부(47)는, 도 11의 선단면(31a)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즉, 선단면 커버부(47)는, 배터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측단면 커버부(48)는, 도 11의 핀 콘택트(20)의 상 접촉부(31)의 한 쌍의 측단면(31b)을 각각 덮는 들보체이다. 한 쌍의 측단면 커버부(48)는, 도11의 한 쌍의 측단면(31b)을 따라 각각 연장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측단면 커버부(48)는, 배터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측단면 커버부(48)는, 베이스(40)의 커버 지지부(43)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하고, 선단면 커버부(47)의 양단부에 각각 이를 때까지,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보강 빔부(49)는, 선단면 커버부(47)를 보강하기 위한 들보체이다. 한 쌍의 보강 빔부(49)는, 도 11의 한 쌍의 접촉면(31c)을 따라 각각 연장되어 있다. 즉, 한 쌍의 보강 빔부(49)는, 배터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보강 빔부(49)는, 베이스(40)의 커버 지지부(43)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하고, 선단면 커버부(47)의 길이 방향의 중앙에 각각 이를 때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내측 커버부(41) 내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핀 콘택트(20)의 상 접촉부(31)가 삽입되는 접촉부 삽입 공간(50)이 형성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커버부(42)는, 내측 커버부(41)의 외측에 배치되어, 도 1에 나타내는 상 소켓 커넥터(10)가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 공간(51)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도 13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커버부(42)는, 배터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통(角筒)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3∼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커버부(42)는, 카버 지지부(43)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커버부(42)는,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외측 커버부(42)의 배터리 폭방향의 치수는, 외측 커버부(42)의 배터리 전후 방향의 치수보다도 작다. 외측 커버부(42)는, 배터리 폭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대측벽(52)과, 배터리 전후 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소측벽(53)(측벽)을 갖는다. 한 쌍의 대측벽(52)은, 커넥터 삽입 공간(51)을 배터리 폭방향으로 구획한다. 한 쌍의 소측벽(53)은, 커넥터 삽입 공간(51)을 배터리 전후 방향으로 구획한다. 한 쌍의 소측벽(53)은, 도 11의 한 쌍의 측단면(31b)에 각각 대향하는 측벽이다. 즉, 배터리 후방향측의 소측벽(53)은 배터리 후방향측의 측단면(31b)을 사이에 끼우고 배터리 전방향측의 측단면(31b)과 반대측의 측벽이고, 배터리 전방향측의 소측벽(53)은 배터리 전방향측의 측단면(31b)을 사이에 끼우고 배터리 후방향측의 측단면(31b)과 반대측의 측벽이다. 한 쌍의 소측벽(53)에는, 한 쌍의 핀측 로크부(5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핀측 로크부(54)는, 핀 커넥터(6)와 끼워맞춤한 상 소켓 커넥터(10)의 핀 커넥터(6)로부터의 빠짐방지로서 기능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한 쌍의 핀측 로크부(54)가 한 쌍의 대측벽(52)이 아니라 한 쌍의 소측벽(53)에 각각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커버부(42)의 배터리 폭방향에 있어서의 치수(W)가 억제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하우징 분할체(23)는, 추가로, 보강 리브(55)를 갖는다. 보강 리브(55)는, 외측 커버부(42)와 접속 부분 커버부(44)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핀 커넥터(6)의 조립)
핀 커넥터(6)를 조립하려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콘택트(20)의 상 접촉부(31)를 상 하우징 분할체(23)의 삽입구멍(45)에 삽입함과 함께, 핀 콘택트(20)의 하 접촉부(32)를 하 하우징 분할체(24)의 삽입구멍(45)에 삽입하고, 한 쌍의 나사(22)를 이용하여 상 하우징 분할체(23)와 하 하우징 분할체(24)를 결합하면 좋다. 결합 후,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콘택트(20)의 상 접촉부(31)는 상 하우징 분할체(23)의 내측 커버부(41)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하고, 동일하게, 핀 콘택트(20)의 하 접촉부(32)는 하 하우징 분할체(24)의 내측 커버부(41)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한다.
(상 소켓 커넥터(10))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 소켓 커넥터(10)와 하 소켓 커넥터(11)는, 동일 형상이기 때문에, 상 소켓 커넥터(10)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하 소켓 커넥터(11)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 및 도 18에는, 일부를 절결한 상 소켓 커넥터(10)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소켓 커넥터(10)는, 소켓 콘택트(60)와, 소켓 콘택트(60)를 수용하는 소켓 하우징(61)을 갖는다.
소켓 콘택트(60)는, 상 케이블(12)의 도체에 압착되는 압착부(62)와, 8개의 접촉 스프링편(63)과, 8개의 접촉 스프링편(63)을 지지(holding)하는 각통 형상의 지지부(64)를 갖는다. 8개의 접촉 스프링편(63)은, 배터리 폭방향에 있어서 4개씩으로 나누어져 배치되어 있다.
소켓 하우징(61)은, 배터리 상하 방향으로 각통 형상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본체(65)와, 하우징 본체(65)의 하방향측의 개구(65a)를 부분적으로 폐색하는 개구 제한부(66)와, 한 쌍의 소켓측 로크부(67)를 갖는다. 개구 제한부(66)는, 하우징 본체(65)의 개구(65a)를 부분적으로 폐색함으로써, 하우징 본체(65)의 개구(65a)의 개구 면적을 필요 최소한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필요 최소한」이란, 하우징 본체(65)의 개구(65a)에 도 6에 나타내는 핀 콘택트(20)의 상 접촉부(31)와, 상 하우징 분할체(23)의 내측 커버부(41)를 삽입할 수 있기 위해 필요시되는 개구 면적의 최저 한도를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개구 제한부(66)는, 소켓 콘택트(60)의 8개의 접촉 스프링편(63)과 배터리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스프링편 대향부(66a)를 갖는다. 한 쌍의 소켓측 로크부(67)는, 클로우(claw)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배터리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하우징 본체(65)에 지지되어 있다.
(커넥터 조립체(1)의 사용 방법)
다음으로, 도 1∼도 3을 참조하여, 커넥터 조립체(1)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각 배터리(2)의 한 쌍의 전극(5)에 핀 커넥터(6)를 각각 부착한다. 이어서, 복수의 배터리(2)를, 배터리 수용 선반 등을 이용하여, 배터리 상하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배치한다. 다음으로, 소정 길이로 절단한 케이블(3)의 양단에 소켓 커넥터(7)를 부착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3)을 배터리 전후 방향에서 약간 휘게 하면서, 양단에 부착한 한 쌍의 소켓 커넥터(7)를 배터리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배터리(2)의 핀 커넥터(6)에 각각 끼워맞춤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3)의 상단에 부착한 하 소켓 커넥터(11)를 케이블(3)로부터 보아 상방향측에 위치하는 핀 커넥터(6)의 하 하우징 분할체(24)의 커넥터 삽입 공간(51)(도 13 참조) 내에 상방향에서 삽입하고, 하 소켓 커넥터(11)의 한 쌍의 소켓측 로크부(67)(도 17 참조)를 핀 커넥터(6)의 하 하우징 분할체(24)의 한 쌍의 핀측 로크부(54)(도 13 참조)에 걺으로써, 하 소켓 커넥터(11)를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시킨다. 마찬가지로, 케이블(3)의 하단에 부착한 상 소켓 커넥터(10)를 케이블(3)로부터 보아 하방향측에 위치하는 핀 커넥터(6)의 상 하우징 분할체(23)의 커넥터 삽입 공간(51)(도 13 참조) 내에 하방향에서 삽입하고, 상 소켓 커넥터(10)의 한 쌍의 소켓측 로크부(67)(도 17 참조)를 핀 커넥터(6)의 상 하우징 분할체(23)의 한 쌍의 핀측 로크부(54)(도 13 참조)에 걺으로써, 상 소켓 커넥터(10)를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시킨다. 이에 따라, 배터리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배터리(2)의 전극(5)끼리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세하게 보면, 케이블(3)의 상단에 부착한 하 소켓 커넥터(11)의 소켓 콘택트(60)의 8개의 접촉 스프링편(63)이, 핀 커넥터(6)의 핀 콘택트(20)의 하 접촉부(32)의 한 쌍의 접촉면(32c)에 각각 접촉한다. 마찬가지로, 케이블(3)의 하단에 부착한 상 소켓 커넥터(10)의 소켓 콘택트(60)의 8개의 접촉 스프링편(63)이, 핀 커넥터(6)의 핀 콘택트(20)의 상 접촉부(31)의 한 쌍의 접촉면(31c)에 각각 접촉한다.
이상으로, 제1 실시 형태의 커넥터 조립체(1)를 설명했지만, 커넥터 조립체(1)는, 이하의 특징을 갖는다.
(1) 도 1∼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커넥터(6)(전기 커넥터)는, 배터리(2)(접속 대상물)에 부착되고, 상 케이블(12)(제1 전선)에 부착된 상 소켓 커넥터(10)(제1 커넥터)에 끼워맞춤하고, 하 케이블(13)(제2 전선)에 부착된 하 소켓 커넥터(11)(제2 커넥터)와 끼워맞춤함으로써, 상 케이블(12) 및 하 케이블(13)을 배터리(2)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핀 커넥터(6)는, 핀 콘택트(20)(콘택트)와, 핀 콘택트(20)에 부착되고,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한 상 소켓 커넥터(10)의 핀 커넥터(6)로부터의 빠짐방지로서의 한 쌍의 핀측 로크부(54)(제1 빠짐방지부)와,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한 하 소켓 커넥터(11)의 핀 커넥터(6)로부터의 빠짐방지로서의 한 쌍의 핀측 로크부(54)(제2 빠짐방지부)를 갖는 핀 하우징(21)(하우징)을 구비한다. 핀 콘택트(20)는, 상 소켓 커넥터(10)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상 접촉부(31)(제1 접촉부)와, 하 소켓 커넥터(11)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하 접촉부(32)(제2 접촉부)와, 배터리(2)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전극 접촉부(30)(제3 접촉부)를 갖는다. 상 접촉부(31)의 판두께 방향과 하 접촉부(32)의 판두께 방향은, 전극 접촉부(30)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상 소켓 커넥터(10)를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하 소켓 커넥터(11)를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상이한 방향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상 접촉부(31)의 판두께 방향과 하 접촉부(32)의 판두께 방향이 전극 접촉부(30)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거나 경사진 경우와 비교하여, 전극 접촉부(30)의 판두께 방향에서 보아, 핀 커넥터(6)의 배터리 폭방향에 있어서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2)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소켓 커넥터(10)를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하 소켓 커넥터(11)를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반대의 방향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소켓 커넥터(10)를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배터리(2)를 나열했을 때, 핀 커넥터(6)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배터리(2) 간을 접속하는 데에 적합해진다.
(3)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소켓 커넥터(10)를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하 소켓 커넥터(11)를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전극 접촉부(30)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전극 접촉부(30)의 판두께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배터리(2)를 나열했을 때, 핀 커넥터(6)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배터리(2) 간을 접속하는 데에 적합해진다.
(4)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접촉부(31)의 중심축(C1)은, 하 접촉부(32)의 중심축(C2)의 가상 연장선(Q)으로부터 벗어나 있다. 상 접촉부(31)의 중심축(C1)은, 상 소켓 커넥터(10)를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다. 하 접촉부(32)의 중심축(C2)은, 하 소켓 커넥터(11)를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상 소켓 커넥터(10)를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배터리(2)를 나열했을 때,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배터리(2)의 한쪽에 부착된 핀 커넥터(6)의 상 접촉부(31)의 중심축(C1)은, 다른 한쪽에 부착된 핀 커넥터(6)의 하 접촉부(32)의 중심축(C2)의 가상 연장선(Q)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배터리(2)를 케이블(3)로 접속할 때, 케이블(3)은 필연적으로 휘게 되고, 상 접촉부(31)의 중심축(C1)과 하 접촉부(32)의 중심축(C2)이 일치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케이블(3)의 길이를 엄밀하게 관리하는 수고가 덜어진다.
(5) 도 13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하우징(21)은, 상 접촉부(31)를 덮는 상 하우징 분할체(23)의 커버부(70)(제1 커버부)와, 하 접촉부(32)를 덮는 하 하우징 분할체(24)의 커버부(70)(제2 커버부)를 갖는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상 접촉부(31)가 상 하우징 분할체(23)의 커버부(70)에 의해, 하 접촉부(32)가 하 하우징 분할체(24)의 커버부(70)에 의해, 각각 덮여 있기 때문에, 상 접촉부(31)나 하 접촉부(32)에 직접 손가락이 닿기 어려워져, 감전 방지에 기여한다.
또한, 커버부(70)는, 내측 커버부(41)와 외측 커버부(42)를 포함하는 부분이다.
(6) 상 하우징 분할체(23)(제1 하우징 분할체)의 커버부(70)는, 상 접촉부(31)의 선단면(31a)과 양측단면(31b)을 따라 연장되는 선단면 커버부(47) 및 측단면 커버부(48)(복수의 들보체)에 의해 구성된 내측 커버부(41)(제1 내측 커버부)와, 내측 커버부(41)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 소켓 커넥터(10)가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 공간(51)(공간)을 형성하는 외측 커버부(42)(제1 외측 커버부)를 갖는다. 하 하우징 분할체(24)(제2 하우징 분할체)의 커버부(70)는, 하 접촉부(32)의 선단면(32a)과 양측단면(32b)을 따라 연장되는 선단면 커버부(47) 및 측단면 커버부(48)(복수의 들보체)에 의해 구성된 내측 커버부(41)(제2 내측 커버부)와, 내측 커버부(41)의 외측에 배치되고, 하 소켓 커넥터(11)가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 공간(51)(공간)을 형성하는 외측 커버부(42)(제2 외측 커버부)를 갖는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상 접촉부(31)나 하 접촉부(32)에 직접 손가락이 한층 닿기 어려워져, 감전 방지에 크게 기여한다.
(7) 핀 하우징(21)은, 상 하우징 분할체(23)와 하 하우징 분할체(24)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핀 하우징(21)은, 상 하우징 분할체(23)와 하 하우징 분할체(2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 하우징 분할체(23)는, 상 접촉부(31)를 덮는 커버부(70)를 갖는다. 하 하우징 분할체(24)는, 하 접촉부(32)를 덮는 커버부(70)를 갖는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핀 하우징(21)을 적어도 2개의 부품에 의해 구성한 경우라도, 상 접촉부(31)를 덮는 커버부(70) 자체가 분할되는 일도 없고, 하 접촉부(32)를 덮는 커버부(70) 자체가 분할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핀 하우징(21)을 적어도 2개의 부품에 의해 구성한 경우라도, 상 접촉부(31)를 덮는 커버부(70) 및 하 접촉부(32)를 덮는 커버부(70)의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8)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하우징 분할체(23)는, 하 접촉부(32)와 전극 접촉부(30)의 접속 부분으로서의 하 접속 부분(35)(제2 접속 부분)을 덮는 접속 부분 커버부(44)(제1 접속 부분 커버부)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하 하우징 분할체(24)는, 상 접촉부(31)와 전극 접촉부(30)의 접속 부분으로서의 상 접속 부분(34)(제1 접속 부분)을 덮는 접속 부분 커버부(44)(제2 접속 부분 커버부)를 갖는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상 접속 부분(34) 및 하 접속 부분(35)을, 부품 점수를 늘리는 일 없이 덮을 수 있게 된다.
(9)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하우징 분할체(23)에 있어서, 한 쌍의 핀측 로크부(54)는, 커버부(70)의 외측 커버부(42)의, 상 접촉부(31)의 측단면(31b)에 대향하는 소측벽(53)(측벽)에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 하우징 분할체(24)에 있어서, 한 쌍의 핀측 로크부(54)는, 커버부(70)의 외측 커버부(42)의, 하 접촉부(32)의 측단면(32b)에 대향하는 소측벽(53)(측벽)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상 하우징 분할체(23)에 있어서, 한 쌍의 핀측 로크부(54)를, 커버부(70)의 외측 커버부(42)의, 상 접촉부(31)에 대하여 상 접촉부(31)의 판두께 방향에서 대향하는 대측벽(52)에 형성하고, 하 하우징 분할체(24)에 있어서, 한 쌍의 핀측 로크부(54)를, 커버부(70)의 외측 커버부(42)의, 하 접촉부(32)에 대하여 하 접촉부(32)의 판두께 방향에서 대향하는 대측벽(52)에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 접촉부(30)의 판두께 방향에서 본 핀 커넥터(6)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10)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 유닛(71)은, 배터리(2)와, 커넥터 조립체(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11)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 유닛 집합체(72)는, 접속 대상물 유닛(71)을 전극 접촉부(30)의 판두께 방향으로 복수 배치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접촉부(31)의 판두께 방향과 하 접촉부(32)의 판두께 방향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상 접촉부(31)와 하 접촉부(32)가 평행이 아닌 경우와 비교하여, 핀 커넥터(6)의 배터리 폭방향에 있어서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접촉부(31)의 한 쌍의 접촉면(31c) 중 전극 접촉부(30)로부터 먼 접촉면(31c)과, 하 접촉부(32)의 한 쌍의 접촉면(32c) 중 전극 접촉부(30)로부터 먼 접촉면(32c)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상 접촉부(31)의 한 쌍의 접촉면(31c) 중 전극 접촉부(30)로부터 먼 접촉면(31c)과, 하 접촉부(32)의 한 쌍의 접촉면(32c) 중 전극 접촉부(30)로부터 먼 접촉면(32c)이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내에 위치하고 있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핀 커넥터(6)의 배터리 폭방향에 있어서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 소켓 커넥터(10)를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하방향이다. 마찬가지로, 하 소켓 커넥터(11)를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상방향이다.
도 1∼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커넥터(6)가 배터리(2)에 부착된 상태에서, 핀 커넥터(6)의 핀 하우징(21)의 하 하우징 분할체(24)는, 배터리 본체(4)의 측면(4e)에 대하여 배터리 폭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이상으로,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 제1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콘택트(2O)를, 1매의 금속판(M)을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이를 대신하여, 전극 접촉부(30)와 상 접촉부(31), 하 접촉부(32)를 별도의 부품으로서 준비하고, 상 접촉부(31) 및 하 접촉부(32)를 전극 접촉부(30)에 용접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19를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9에는, 핀 콘택트(20)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핀 콘택트(20)는, 전극 접촉부(30)(제3 접촉부)와, 후 접촉부(80)(제1 접촉부), 전 접촉부(81)(제2 접촉부)를 갖는다.
후 접촉부(80)의 판두께 방향과 전 접촉부(81)의 판두께 방향은, 전극 접촉부(30)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따라서, 핀 커넥터(6)의 배터리 폭방향에 있어서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후 접촉부(80)는, 전극 접촉부(30)로부터 배터리 후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전 접촉부(81)는, 전극 접촉부(30)로부터 배터리 전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후 접촉부(80)에 접속하는 커넥터가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전 접촉부(81)에 접속하는 커넥터가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반대의 방향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후 접촉부(80)에 접속하는 커넥터가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배터리 전방향이다. 전 접촉부(81)에 접속하는 커넥터가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배터리 후방향이다.
후 접촉부(80)의 중심축(C80)은, 전 접촉부(81)의 중심축(C81)의 가상 연장선(Q)으로부터 벗어나 있다. 즉, 배터리 상하 방향에 있어서 후 접촉부(80)와 전 접촉부(81)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후 접촉부(80)는, 전극 접촉부(30)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전 접촉부(81)는, 전극 접촉부(3O)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블(3)의 길이를 엄밀하게 관리하는 수고가 덜어진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20을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20에는, 핀 콘택트(20)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핀 콘택트(20)는, 전극 접촉부(30)(제3 접촉부)와, 후 접촉부(82)(제1 접촉부), 전 접촉부(83)(제2 접촉부)를 갖는다.
후 접촉부(82)의 판두께 방향과 전 접촉부(83)의 판두께 방향은, 전극 접촉부(30)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따라서, 핀 커넥터(6)의 배터리 폭방향에 있어서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후 접촉부(82)는, 전극 접촉부(30)로부터 배터리 후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전 접촉부(83)는, 전극 접촉부(30)로부터 배터리 전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후 접촉부(82)에 접속하는 커넥터가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전 접촉부(83)에 접속하는 커넥터가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반대의 방향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후 접촉부(82)에 접속하는 커넥터가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배터리 전방향이다. 전 접촉부(83)에 접속하는 커넥터가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배터리 후방향이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21을 참조하여,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21에는, 핀 콘택트(20)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핀 콘택트(20)는, 전극 접촉부(30)(제3 접촉부)와, 상 접촉부(84)(제1 접촉부), 전 접촉부(85)(제2 접촉부)를 갖는다.
상 접촉부(84)의 판두께 방향과 전 접촉부(85)의 판두께 방향은, 전극 접촉부(30)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따라서, 핀 커넥터(6)의 배터리 폭방향에 있어서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상 접촉부(84)는, 전극 접촉부(30)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전 접촉부(85)는, 전극 접촉부(30)로부터 배터리 전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상 접촉부(84)에 접속하는 커넥터가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전 접촉부(85)에 접속하는 커넥터가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상이한 방향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 접촉부(84)에 접속하는 커넥터가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하방향이다. 전 접촉부(85)에 접속하는 커넥터가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배터리 후방향이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배터리(2)를 배터리 상하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했을 때에, 가장 하방향측에 위치하는 배터리(2)에 본 실시 형태의 핀 커넥터(6)를 부착하면, 하 소켓 커넥터(11)와 핀 커넥터(6)와의 끼워맞춤 작업이 용이해진다.
1 : 커넥터 조립체
2 : 배터리(접속 대상물)
3 : 케이블(제1 전선, 제2 전선)
4 : 배터리 본체
4a : 상면
4b : 정면
4c : 배면
4d : 하면
4e : 측면
5 : 전극
6 : 핀 커넥터(전기 커넥터)
7 : 소켓 커넥터(제1 커넥터, 제2 커넥터)
10 : 상 소켓 커넥터(제1 커넥터)
11 : 하 소켓 커넥터(제2 커넥터)
12 : 상 케이블(제1 전선)
13 : 하 케이블(제2 전선)
20 : 핀 콘택트(콘택트)
21 : 핀 하우징(하우징)
22 : 나사
23 : 상 하우징 분할체(제1 하우징 분할체)
24 : 하 하우징 분할체(제2 하우징 분할체)
30 : 전극 접촉부(제3 접촉부)
31 : 상 접촉부(제1 접촉부)
31b : 측단면
31a : 선단면
31c : 접촉면
32 : 하 접촉부(제2 접촉부)
32a : 선단면
32b : 측단면
32c : 접촉면
33 : 부착구멍
34 : 상 접속 부분(제1 접속 부분)
35 : 하 접속 부분(제2 접속 부분)
40 : 베이스
41 : 내측 커버부(제1 내측 커버부, 제2 내측 커버부)
42 : 외측 커버부(제1 외측 커버부, 제2 외측 커버부)
43 : 커버 지지부
44 : 접속 부분 커버부(제1 접속 부분 커버부, 제2 접속 부분 커버부)
45 : 삽입구멍
46 : 나사구멍
47 : 선단면 커버부(들보체)
48 : 측단면 커버부(들보체)
49 : 보강 빔부
50 : 접촉부 삽입 공간
51 : 커넥터 삽입 공간(공간)
52 : 대측벽
53 : 소측벽(측벽)
54 : 핀측 로크부(제1 빠짐방지부, 제2 빠짐방지부)
55 : 보강 리브
60 : 소켓 콘택트
61 : 소켓 하우징
62 : 압착부
63 : 접촉 스프링편
64 : 지지부
65 : 하우징 본체
65a : 개구
66 : 개구 제한부
66a : 스프링편 대향부
67 : 소켓측 로크부
70 : 커버부(제1 커버부, 제2 커버부)
71 : 접속 대상물 유닛
72 : 접속 대상물 유닛 집합체
80 : 후 접촉부(제1 접촉부)
81 : 전 접촉부(제2 접촉부)
82 : 후 접촉부(제1 접촉부)
83 : 전 접촉부(제2 접촉부)
84 : 상 접촉부(제1 접촉부)
85 : 전 접촉부(제2 접촉부)
C1 : 중심축
C2 : 중심축
C80 : 중심축
C81 : 중심축
M : 금속판
Q : 가상 연장선
W : 치수

Claims (12)

  1. 접속 대상물에 부착되고, 제1 전선에 부착된 제1 커넥터와 끼워맞춤하고, 제2 전선에 부착된 제2 커넥터와 끼워맞춤함으로써,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을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에 부착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한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전기 커넥터로부터의 빠짐방지로서의 제1 빠짐방지부와,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한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전기 커넥터로부터의 빠짐방지로서의 제2 빠짐방지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2 접촉부와,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3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과 상기 제2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은, 상기 제3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이고,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상이한 방향이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접촉부를 덮는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접촉부를 덮는 제2 커버부를 갖고,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제1 접촉부의 선단면과 양측단면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들보체에 의해 구성된 제1 내측 커버부와, 상기 제1 내측 커버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커넥터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외측 커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제2 접촉부의 선단면과 양측단면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들보체에 의해 구성된 제2 내측 커버부와, 상기 제2 내측 커버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커넥터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외측 커버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반대의 방향인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상기 제3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평행인 전기 커넥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2 접촉부의 중심축의 가상 연장선으로부터 벗어나 있고,
    상기 제1 접촉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상기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고,
    상기 제2 접촉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상기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전기 커넥터.
  5. 접속 대상물에 부착되고, 제1 전선에 부착된 제1 커넥터와 끼워맞춤하고, 제2 전선에 부착된 제2 커넥터와 끼워맞춤함으로써,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을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에 부착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한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전기 커넥터로부터의 빠짐방지로서의 제1 빠짐방지부와,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한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전기 커넥터로부터의 빠짐방지로서의 제2 빠짐방지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2 접촉부와,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3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과 상기 제2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은, 상기 제3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이고,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상이한 방향이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접촉부를 덮는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접촉부를 덮는 제2 커버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커버부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분할체와, 상기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 분할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부품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분할체는,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제3 접촉부의 접속 부분으로서의 제2 접속 부분을 덮는 제1 접속 부분 커버부를 갖고,
    상기 제2 하우징 분할체는,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3 접촉부의 접속 부분으로서의 제1 접속 부분을 덮는 제2 접속 부분 커버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반대의 방향인 전기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상기 제3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평행인 전기 커넥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2 접촉부의 중심축의 가상 연장선으로부터 벗어나 있고,
    상기 제1 접촉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상기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고,
    상기 제2 접촉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상기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전기 커넥터.
  9. 접속 대상물에 부착되고, 제1 전선에 부착된 제1 커넥터와 끼워맞춤하고, 제2 전선에 부착된 제2 커넥터와 끼워맞춤함으로써,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을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에 부착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한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전기 커넥터로부터의 빠짐방지로서의 제1 빠짐방지부와,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한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전기 커넥터로부터의 빠짐방지로서의 제2 빠짐방지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2 접촉부와,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3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과 상기 제2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은, 상기 제3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이고,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상이한 방향이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접촉부를 덮는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접촉부를 덮는 제2 커버부를 갖고,
    상기 제1 빠짐방지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상기 제1 접촉부의 측단면에 대향하는 측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빠짐방지부는, 상기 제2 커버부의, 상기 제2 접촉부의 측단면에 대향하는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반대의 방향인 전기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상기 제3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평행인 전기 커넥터.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2 접촉부의 중심축의 가상 연장선으로부터 벗어나 있고,
    상기 제1 접촉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상기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고,
    상기 제2 접촉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상기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전기 커넥터.
KR1020150038693A 2014-03-31 2015-03-20 전기 커넥터, 접속 대상물 유닛, 접속 대상물 유닛 집합체 KR101733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71467A JP6247585B2 (ja) 2014-03-31 2014-03-31 電気コネクタ、接続対象物ユニット、接続対象物ユニット集合体
JPJP-P-2014-071467 2014-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852A KR20150113852A (ko) 2015-10-08
KR101733532B1 true KR101733532B1 (ko) 2017-05-08

Family

ID=5416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693A KR101733532B1 (ko) 2014-03-31 2015-03-20 전기 커넥터, 접속 대상물 유닛, 접속 대상물 유닛 집합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31760B2 (ko)
JP (1) JP6247585B2 (ko)
KR (1) KR101733532B1 (ko)
CN (1) CN1049534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8048B2 (en) * 2015-05-15 2018-04-17 Yazaki North America, Inc. Splitter terminal and connector
CN105977743B (zh) * 2016-07-09 2018-08-07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研究所 双头高压转换连接器
TWM551769U (zh) * 2017-07-28 2017-11-11 Amphenol Fiber Optic Tech (Shenzhen) 電源適配裝置
USD840342S1 (en) * 2017-07-31 2019-02-12 Tectonica Australia Pty Ltd Cabling hub
JP6878322B2 (ja) * 2018-01-16 2021-05-2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外部接続バスバーの接続構造および外部接続バスバーの接続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823A (ja) 2005-09-22 2007-04-05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ッテリー接続用のヒューズ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9874A (ja) * 1982-05-31 1983-12-06 日新電機株式会社 圧着端子
JPS59105776U (ja) * 1982-12-29 1984-07-16 松下電工株式会社 蓄電池接続装置
US5221219A (en) * 1990-03-27 1993-06-22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Battery terminal connector
JP3118549B2 (ja) * 1991-11-08 2000-12-18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バッテリー用電気接続具
US5645448A (en) * 1995-10-16 1997-07-08 Yazaki Corporation Battery connecting module with fuse mounting
JP3516259B2 (ja) * 1999-05-18 2004-04-0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直付け用大電流ヒューズ
US6302709B1 (en) * 2000-06-05 2001-10-16 Power-One, Inc. Multiple function high current interconnect with integrated bus bar
JP3845266B2 (ja) * 2001-05-01 2006-11-15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DE102004052476B4 (de) * 2003-10-31 2007-08-09 Yazaki Corp. Sicherungsanordnung
US7663466B1 (en) * 2007-09-21 2010-02-16 Yazaki North America, Inc. Corner-mounted battery fuse
JP4959507B2 (ja) * 2007-10-31 2012-06-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の組み付け構造
US7990738B2 (en) * 2008-04-02 2011-08-02 Littelfuse, Inc. Master fuse module
JP5441247B2 (ja) * 2009-04-27 2014-03-1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タイプヒュージブルリンク用分配端子及び電線タイプヒュージブルリンク用分配端子を用いたヒューズ接続構造
JP5418846B2 (ja) * 2010-02-03 2014-02-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過電流遮断素子付き端子
JP5681521B2 (ja) * 2010-04-06 2015-03-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US8628875B2 (en) * 2010-04-16 2014-01-14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with multi-level connector
CN201725937U (zh) * 2010-05-19 2011-01-26 佳颖精密企业股份有限公司 电池连接器结构
JP5352723B1 (ja) * 2012-09-05 2013-11-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823A (ja) 2005-09-22 2007-04-05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ッテリー接続用のヒューズ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31760B2 (en) 2016-08-30
JP2015195095A (ja) 2015-11-05
CN104953417A (zh) 2015-09-30
KR20150113852A (ko) 2015-10-08
US20150280361A1 (en) 2015-10-01
CN104953417B (zh) 2017-06-09
JP6247585B2 (ja) 201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532B1 (ko) 전기 커넥터, 접속 대상물 유닛, 접속 대상물 유닛 집합체
JP5563241B2 (ja) 電気コネクタ
CN102437480B (zh) 终端单元
JP3158697U (ja) 電気コネクタ
EP1883132A1 (en) Terminal block with U-shaped conducting part of connecting electric wires
WO2014030626A1 (ja) 電子部品、電子部品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電子部品を有する電気接続箱
WO2014030627A1 (ja) 電子部品組立体、電子部品組立体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電子部品組立体を有する電気接続箱
JP7107708B2 (ja) コネクタ
JP7154782B2 (ja) 可動コネクタ
US9508964B2 (en) Structure for holding voltage detecting terminal
US7485015B2 (en)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spring connection terminal
JP5414836B2 (ja) コネクタ
US20170310036A1 (en) Power-source connector including terminal-contact prevention mechanism and power-source conne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0157368A (ja) 電気コネクタ
US20150024621A1 (en) Plug connector comprising a protective conductor bridge
JP6278861B2 (ja) コネクタ
JP5800624B2 (ja) 電気接続箱のバスバー端部構造
US8162679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and electric connector using the same
US7077674B2 (en) Board attachment type electrical connector
JP6571627B2 (ja) 導電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CN110168819B (zh) 接头连接器
EP2897228A1 (en) Terminal device and electric outlet using same
JP7248453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902313B2 (ja) プリント配線板接続用コネクタ
JP7041114B2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