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297B1 -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297B1
KR101723297B1 KR1020150098656A KR20150098656A KR101723297B1 KR 101723297 B1 KR101723297 B1 KR 101723297B1 KR 1020150098656 A KR1020150098656 A KR 1020150098656A KR 20150098656 A KR20150098656 A KR 20150098656A KR 101723297 B1 KR101723297 B1 KR 101723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drum
rod
baby carriage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7040A (ko
Inventor
강태원
고유순
이종혁
전영하
정재환
최혁윤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98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297B1/ko
Publication of KR20170007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5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9/00Brakes with a braking member co-operating with the periphery of a drum, wheel-rim, or the like
    • F16D49/02Brakes with a braking member co-operating with the periphery of a drum, wheel-rim, or the like shaped as a helical band or coil with more than one turn, with or without intensification of the braking force by the tension of the band or contracting member
    • F16D49/04Brakes with a braking member co-operating with the periphery of a drum, wheel-rim, or the like shaped as a helical band or coil with more than one turn, with or without intensification of the braking force by the tension of the band or contracting member mechanically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유모차의 바퀴를 자동으로 제동함에 있어 빠르고 정교한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는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는 유모차의 바퀴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바퀴와 함께 회전되거나 정지되는 드럼과, 드럼의 외주면을 감싸게 설치되어 드럼과 마찰 접촉되면서 드럼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밴드를 포함하는 밴드브레이크 및 이 밴드브레이크의 한 쪽 옆에 설치되고 전후 슬라이딩하는 로드를 통해 밴드 측에 연결되어 밴드를 드럼에 밀착 접촉되게 당겨주거나 드럼으로부터 멀어지게 풀어주는 전동슬라이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Safety braking apparatus for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자가 유모차의 손잡이를 파지하는 여부에 따라 바퀴를 자동으로 제동할 수 있는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는 영유아가 탑승한 상태로 보호자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유모차의 제동장치는 일반적으로 자전거 브레이크 손잡이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져있다. 구체적으로 유모차가 구동 중일 때에는 브레이크 손잡이를 놓고 구동하며, 브레이크 손잡이를 손으로 잡게 되면 브레이크가 걸리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브레이크 제동방식은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매우 크다. 예를 들어, 언덕 구동 중일 때 사용자가 깜박하고 손을 놓게 되면 언덕을 따라 유모차가 내려감으로써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5-0029659호(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특허문헌 1)에는 평상시에는 유모차의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작동하고, 유모차의 손잡이를 잡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브레이크가 자동 해제되어 이동이 가능하게 제어됨으로써 보호자가 유모차를 끄는 과정에서 유모차를 놓침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브레이크 제동방식으로 크게 사용자가 손잡이를 직접 조작하여 제동하는 수동방식과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였는지를 감지하여 모터로 제동하는 전동방식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의 수동방식은 유모차 이동 중에 사용자가 손잡이에 소정의 힘을 계속적으로 가하면서 유모차를 끌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의 수동방식의 브레이크 패드는 개방부 사이에서 타원형을 갖는 회전부재가 정위치를 유지하면서 눕거나 세워지는 자세를 반복적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구현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1의 전동방식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동부재와, 회동부재와 맞물려 결합된 회동기어와,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잠금바와, 잠금바와 일체로 결합되어 드럼의 잠금부재 장착부 상에서 상하 이동하는 잠금바 지지유닛과, 잠금바 지지유닛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켜주는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특허문헌 1의 도 6a 및 6b 참조), 부품들 상호 간의 작동부가 늘면서 부품의 고장이나 파손 등의 우려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특허문헌 1의 전동방식은 브레이크 제동 시 회전하는 드럼이 패드와의 접촉마찰에 의해 바퀴가 제동되는 것이 아니라, 걸림바가 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회동기어의 기어치 사이로 진입하면서 걸리는 방식으로서, 기어치 사이와 걸림바의 유격으로 인해 제동 시에 유모차가 순간적으로 앞뒤로 덜컹거리면서 제동되기 때문에 탑승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유모차 손잡이를 파지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바퀴를 자동으로 제동하는 전동방식의 안전 제동장치에 있어서 제동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 하면서도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동 시의 탑승감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는 유모차의 바퀴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바퀴와 함께 회전되거나 정지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감싸게 설치되어 상기 드럼과 마찰 접촉되면서 상기 드럼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밴드를 포함하는 밴드브레이크 및 상기 밴드브레이크의 한 쪽 옆에 설치되고 전후 슬라이딩하는 로드를 통해 상기 밴드 측에 연결되어 상기 밴드를 상기 드럼에 밀착 접촉되게 당겨주거나 상기 드럼으로부터 멀어지게 풀어주는 전동슬라이더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밴드는 얇은 띠 형태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밴드의 내주면에는 상기 드럼과의 마찰력을 높여주기 위해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패드가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밴드브레이크가 내장 설치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밴드는 한쪽 끝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고정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로드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로드의 끝부분에는 상기 밴드 끝부분이 삽입되게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밴드가 상기 로드에 직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모차의 손잡이에는 사용자가 유모차를 잡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사용자가 상기 유모차의 손잡이를 잡은 것이라는 신호를 받으면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전동슬라이더를 동작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유모차의 손잡이를 놓은 것이라는 신호를 받으면 제동이 해제되도록 상기 전동슬라이더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밴드와 상기 전동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슬라이더의 동작을 상기 밴드로 전달해주는 전달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는 링크로, 한쪽 끝은 상기 밴드에 결합되고, 다른쪽 끝은 로드 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동슬라이더의 동작에 따라 상기 링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밴드를 당겨주거나 풀어준다.
이때, 일 측은 상기 링크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링크와 로드를 연결해주는 크랭크를 포함한다.
또한, 일 측은 상기 링크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링크와 로드를 연결해주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달부재는 와이어로 되어, 한쪽 끝부분은 상기 밴드에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전동슬라이더의 동작에 따라 상기 상기 밴드를 와이어가 직접 당겨주거나 풀어줄 수 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유모차를 밀고가던 보호자가 경사면이나 장애물이 있는 장소에서 제동장치를 작동시키지 않아서 유모차가 빠른속도로 경사면을 내려가거나 장애물에 의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모차를 제동함에 있어서, 보호자가 유모차를 잡거나 놓는 동작을 감지하여 전동슬라이더가 자동으로 바퀴에 제동력을 부여하고, 이때 바퀴와 동일 회전축상에 고정설치된 드럼을 밴드브레이크가 감싸면서 잡아주어, 제동력이 증가하고, 바퀴와 연접한 위치에 제동수단을 직접 구비하여 가까운 거리에서 즉각적으로 유모차를 제동할 수 있다.
둘째, 유모차에 제동장치를 구비함에 있어서, 그 구조를 단순화 하여 쉽게 이용 가능하게 하였고, 밴드브레이크 자체적으로 유연한 제동이 가능하여 유모차에 탑승한 영유아가 급제동으로 인한 충격을 받지 않도록 안전하게 제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가 유모차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의 요부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의 제어부와 센서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의 밴드브레이크와 전동슬라이더의 로드가 링크와 크랭크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제 2 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의 링크와 전동슬라이더의 로드가 와이어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a 및 도9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의 밴드가 와이어를 통해 전동슬라이더의 로드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
본 발명은 유모차가 경사면이나 장애물에서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핸들에 구비된 센서가 유모차를 손으로 잡거나 놓는 동작을 감지하여 전동슬라이더를 작동시키고, 전동슬라이더에 연결된 밴드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유모차가 보호자의 손에서 이탈하더라도 자동으로 바퀴를 제동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의 요부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의 작동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는 보호자가 유모차(100)의 운행을 위해 파지하는 손잡이(110)에 손의 파지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11)가 구비된다. 또한 손잡이(110)의 손 파지여부에 따라 유모차(100)를 제동시키는 제동장치가 바퀴와 연접하게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는 크게 바퀴(120)를 직접 제동시키는 밴드브레이크(10)와 이 밴드브레이크(10)를 작동시키는 전동슬라이더(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밴드브레이크(10)는, 유모차(100)의 바퀴(120)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바퀴(120)와 함께 회전되거나 정지되는 드럼(11)과, 드럼(11)의 외주면을 감싸게 설치되고 일측이 전동슬라이더(20)에 구비된 로드(21)에 연결되어 전동슬라이더(20)의 작동에 따라 드럼(11)과 마찰 접촉되면서 드럼(11)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밴드(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드럼(11)은 원통형태로 되어 바퀴(120)와 동일한 회전축(130)상에 고정 결합되어 바퀴(120)와 함께 회전되거나 정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드럼(11)에는 바퀴(120)가 끼워질 수 있는 바퀴 결합부(11a)가 형성되고 상기 바퀴 결합부(11a)는 바퀴(120)의 내측에 형성된, 즉 상기 드럼(11)과 결합되는 방향에 형성된 끼움부(121)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드럼(11)과 바퀴(120)는 고정 결합된다.
이와 같이, 드럼(11)과 바퀴(120)는 동일한 회전축(130)을 가지면서 서로 고정 결합되어 있어 드럼(11)의 회전을 제어함에 따라 바퀴(12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밴드(13)는 얇은 띠 형태의 금속재질로 되어 드럼(11)의 외주면을 감싸게 설치된다. 이러한 밴드(13)는 한쪽 끝부분이 케이스(40)에 고정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전동슬라이더(20)의 로드(21)에 결합된다.
먼저, 밴드(13)와 케이스(40)의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밴드(13)의 일측 끝부분에는 케이스(40)에 고정되기 위한 케이스 고정부(13a)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고정부(13a)는 밴드(13) 끝부분에서 밴드(13) 안쪽으로 둥글게 말아올려져 핀 광통홀(13c)이 형성된 원형 관 형태를 갖는다. 밴드(13)는 케이스 고정부(13a)의 핀 관통홀(13c)에 고정핀(13b)이 관통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핀(13b)의 끝부분이 케이스(40)에 형성된 밴드결합홀(40a)에 끼움 고정됨으로써 케이스(40)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핀(13b)의 머리부는 밴드(13)의 케이스 고정부(13a)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케이스 고정부(13a)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40)의 세부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밴드(13)와 로드(21)의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밴드(13)는 전동슬라이더(20)의 로드(21)와 고정 결합된다. 상기 로드(21)의 끝부분 중앙에는 밴드(13)가 끼움 고정되는 결합홈(21a)이 로드(2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밴드(13)에는 결합홈(21a)으로 끼워지는 부분에 핀 관통홀(13c)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21)에는 결합홈(21a)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관통되는 핀 고정홀(21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핀 고정홀(21b)에는 고정핀(21c)이 상기 밴드(13)의 관통홀(13c)에 관통되면서 밴드(13)와 로드(21)가 고정 결합된다. 이에 따라, 밴드(13)가 로드(21)의 결합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핀(21c)은 로드(21)의 핀 고정홀(21b)과 밴드(13)의 핀 관통홀(13c)을 관통하면서 밴드(13)와 로드(21)를 결합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밴드(13)와 전동슬라이더(20)의 로드(21)가 서로 직결된 상태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동슬라이더(20)의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밴드(13)의 내주면에는 드럼(11)에 전달되는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마찰력이 높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패드(12)가 일체로 부착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패드(12)는 고무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드럼에 높은 마찰력을 부여할 수 있는 재질이면 다른 재질도 적용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드(12)는 드럼(11)의 외주면과 밴드(13)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되고 밴드(13)에 일체로 부착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밴드(13)의 동작에 따라 상기 드럼(11)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접촉되면 드럼(11)의 외주면 전체로 마찰력을 부여하여 드럼(11)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상기 밴드브레이크(10)는 밴드브레이크(10)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된 케이스(40)에 내장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40)에 의해 설치 및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40)는 한쪽면이 전체로 개방된 면을 이루면서 내부에 밴드브레이크(10)가 내장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40)의 개방된 면에는 케이스(40) 내부에 내장된 밴드브레이크(10)를 보호할 수 있는 덮개(41)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40)는 밴드브레이크(10)를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하고, 고장이나 오작동 없이 안정적인 동작을 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상기 전동 슬라이더(20)는 밴드브레이크(10)를 작동시켜서 바퀴(120)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것으로 밴드브레이크(10)의 한 쪽 옆에 설치된다.
이러한 전동슬라이더(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외관을이루는 하우징(20a)과, 상기 하우징(20a)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몸체(20b)와, 상기 슬라이더몸체(20b)에 설치되어 상기 밴드브레이크(10) 측과 연결되는 로드(21)와, 상기 슬라이더몸체(20b)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0c)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0a)은 전동 슬라이더(2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 형태로 되어 상기 슬라이더몸체(20b)와 상기 구동부(20c)가 내장 설치된다.
이로 인해 전동슬라이더(20)가 외부요인으로 인해 고장이 발생하거나 오작동 되는것을 방지하고 상기 슬라이더몸체(20b)가 상기 하우징(20a)의 내부에서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몸체(20b)는 로드(21)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20a) 내부에서 구동부(20c)의 동작에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되면서 로드(21)를 전후로 동작 시킨다.
또한, 상기 구동부(20c)는 제어부(6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몸체(20b)가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슬라이더몸체(20b)를 동작 시킨다.
여기서, 구동부(20c)는 외부전원(미도시)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외부전원은 배터리를 의미한다. 또한 구동부(20c)는 제어부(60)로부터 제어신호를 받기 위해 제어부(60)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손잡이(110)에 구비된 센서(111)를 통해 사용자(보호자)가 손잡이(110)를 잡은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60)는 구동부(20c)가 슬라이더몸체(20b)를 전진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로 인해 상기 밴드브레이크(10)가 드럼(11)에서 멀어지게 동작되어 바퀴(120)가 회전 가능하도록 바퀴(120)의 제동을 해제시킨다. 반대로 사용자가 손잡이(110)를 놓게 되면 제어부는 구동부(20c)가 슬라이더몸체(20b)를 후진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로 인해 상기 밴드브레이크(10)가 드럼(11)을 감싸면서 밀착되게 동작되어 바퀴(120)의 회전을 제동시킨다.
다만,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전동슬라이더(20)는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전동 방식의 엑추에이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전동 실린더나 또는 전자 도어락에 사용되는 데드볼트 등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20c)도 슬라이더 몸체(20b)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전자석을 통해 슬라이더 몸체(20b)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또는 모터를 통한 기어 결합에 의해 슬라이더 몸체(20b)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가 작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동작상태도 이다.
도 5a 및 도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먼저 보호자가 유모차(100)를 운행하기 위해 핸들(110)을 파지하게 되면 핸들(110)에 위치한 센서(111)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60)측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여기서, 센서는 감지센서로서 공지의 감지센서를 적용할 수 있으며, 센서와 제어부 간의 신호 전송 방법 등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센서(111)로부터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한 신호를 받으면 전동슬라이더(20)의 구동부(20c)가 슬라이더몸체(20b)를 전진시키도록 구동부(20c)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몸체(20b)에 구비된 로드(21)가 슬라이더몸체(20b)와 일체로 구비되어 함께 전진된다.
상기 로드(21)에는 밴드(13)의 일측이 고정 결합되어 로드(21)가 전진함에 따라 밴드(13)가 드럼(11)의 외주면에서 멀어지게 이격된다.
이때, 밴드(13)와 일체로 결합된 패드(12)가 밴드(13)와 함께 드럼(11)에서 멀어지게 이격되면서 바퀴(1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밴드브레이크(10)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보호자가 유모차(100)를 운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모차(100)의 운행을 마치고 핸들(110)에서 보호자가 손을 놓게 되면 핸들(110)에 위치한 센서(111)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60)측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제어부(60)는 센서(111)로부터 사용자가 손잡이를 놓은 상태의 신호를 받으면 전동슬라이더(20)의 구동부(20c)가 슬라이더몸체(20b)를 후진시키도록 구동부(20c)를 제어한다.
이때, 슬라이더몸체(20b)에 일체로 구비된 로드(21)가 함께 후진된다.
상기 로드(21)에는 밴드(13)의 일측이 고정 결합되어 로드(21)가 후진함에 따라 밴드(13)가 드럼(11)의 외주면과 가까워지게 동작되면서 패드(12)가 드럼(11)의 외주면을 감싸며 접촉된다.
이로 인해, 상기 드럼(11)에 마찰력이 부여되고 마찰력으로 인해 드럼(11)이 제동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드럼(11)과 고정 결합된 바퀴(120)가 정지하게 되고 별도 의 조작 없이 보호자가 손을 놓는 동작에 의해 유모차(100)는 제동상태가 된다.
상술한 동작에 의해 보호자가 유모차(100)를 운행하면서 핸들(110)을 손으로 잡고 있을 때는 제동이 해제된 상태로 쉽게 운행이가능하게 되고, 경사면이나 장애물에서 실수로 보호자가 유모차를 놓치게 되더라도 센서(111)가 파지여부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유모차(100)를 제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경사면이나 장애물에서 제동장치를 동작하지 않고 유모차를 놓아 유모차가 경사면으로 미끄러지거나 장애물에 의해 넘어지게 되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의 밴드브레이크와 전동슬라이더의 로드가 링크와 크랭크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는 밴드브레이크(10), 전동슬라이더(20), 링크(31) 및 크랭크(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는 밴드브레이크(10)와 전동슬라이더(20)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링크(31)와 크랭크(32)가 구비된다.
상기 링크(31)는 케이스(40)에 형성된 회전축 고정홀(40b)에 회전축(31a)이 끼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31a)을 중심으로 일측은 밴드(13)와 연결되고 타측은 크랭크(32)를 매개로 로드(21)와 연결된다.
먼저, 밴드(13)와 링크(31)의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밴드(13)에는 로드(21)에 연결되기 위한 로드 연결부(13d)가 형성된다.
상기 로드 연결부(13d)는 밴드(13) 끝부분에서 밴드(13) 안쪽으로 둥글게 말아올려진 원형 관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핀(31b)이 관통되게 끼워지면서 링크(31)와 연결된다.
이어서, 링크(31)와 로드(21)의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링크(31)에는 링크(31)와 로드(21)가 연결되는 방향, 즉 밴드(13)가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는 크랭크(32)가 끼워지는 크랭크 연결홀(31c)이 형성된다.
상기 크랭크(32)는 일측에 형성된 링크 연결돌기(32a)가 크랭크 연결홀(31c)에 끼워지며 연결되고 타측에는 로드(21)와 연결되는 로드 연결돌기(32b)가 형성되어 로드(21)에 형성된 링크 연결홀(22)에 끼워지며 연결된다.
이때 상기 링크 연결돌기(32a)와 로드 연결돌기(32b)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로드(21)의 전후 슬라이딩 동작이 크랭크(32)에 의해 링크(31) 측으로 전달되어, 상기 로드(21)의 전후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링크(31)가 회ㅈ전(31a)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밴드브레이크(10)를 작동시키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의 밴드브레이크와 전동슬라이더의 로드가 링크와 와이어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는 밴드브레이크(10), 전동슬라이더(20), 링크(31) 및 와이어(3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는 밴드브레이크(10)와 전동슬라이더(20)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링크(31)와 와이어(33)가 구비된다.
상기 링크(31)는 케이스(40)에 형성된 회전축 고정홀(40b)에 회전축(31a)이 끼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31a)을 중심으로 일측은 밴드(13)와 연결되고 타측은 와이어(33)를 매개로 로드(21)와 연결된다.
먼저, 밴드(13)와 링크(31)의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밴드(13)에는 로드(21)와 연결되기 위한 로드 연결부(13d)가 형성된다.
상기 로드 연결부(13d)는 밴드(13) 끝부분에서 밴드(13) 안쪽으로 둥글게 말아올려진 원형 관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핀(31b)이 관통되게 끼워지면서 링크(31)와 연결된다.
이어서, 링크(31)와 로드(21)의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링크(31)와 로드(21)가 연결되는 방향, 즉 밴드(13)가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는 와이어(33)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홀(31d)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33)는 일측은 링크(31)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홀(31d)에 연결되고 타측은 로드(21)에 형성된 링크 연결홀(22)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로드(21)의 전후 슬라이딩 동작이 크랭크(32)에 의해 링크(31)측으로 전달되어, 상기 로드(21)의 전후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로드(21)가 후진될 때는 링크(31)가 회전축(31a)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밴드브레이크(10)를 작동시켜 유모차를 제동시키고, 로드(21)가 전진하면 밴드(13)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드럼(11)과 밴드(13)가 멀어져 제동이 해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의 밴드브레이크와 전동슬라이더의 로드가 와이어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는 밴드브레이크(10), 전동슬라이더(20) 및 와이어(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는 밴드브레이크(10)와 전동슬라이더(20)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와이어(50)가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50)는 일측은 밴드(13)에 연결되고 타측은 로드(21)에 바로 연결된다.
먼저 밴드(13)와 와이어(50)의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밴드(13)에는 로드(21)와 연결되기 위한 로드 연결부(13d)가 형성된다.
상기 로드 연결부(13d)는 밴드(13) 끝부분에서 밴드(13) 안쪽으로 둥글게 말아올려진 원형 관 형태로 형성되어 와이어(50)가 상기 로드 연결부(13d)를 관통하며 연결된다.
이어서, 와이어(50)와 로드(21)의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로드(21)에는 와이어(50)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홀(2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50)는 로드(21) 측, 즉 밴드(13)와 연결되는 반대방향이 상기 로드(21)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홀(24)에 관통되며 끼워지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로드(21)의 전후 슬라이딩 동작이 와이어(50)에 의해 밴드(13)로 전달되어, 상기 로드(21)의 전후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밴드브레이크(1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로드(21)가 후진되면 와이어(50)가 당겨지면서 밴드브레이크(10)가 제동상태로 되고, 로드(21)가 전진되면 밴드(13)의 자체 탄성력에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드럼(11)과 멀어져 바퀴(120)가 제동 해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모차를 운행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유모차 손잡이를 파지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바퀴를 자동으로 제동하는 전동방식의 안전 제동장치에 있어서 제동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 하면서도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동 시의 탑승감도 향상시킬 수 있다.
100 : 유모차 110 : 손잡이
111 : 센서 120 : 바퀴
121 : 끼움부 10 : 밴드브레이크
11 : 드럼 11a : 바퀴 결합부
12 : 패드 13 : 밴드
13a : 케이스 고정부 13b : 고정핀
13c : 핀 관통홀 13d : 로드 연결부
20 : 전동슬라이더 20a : 하우징
20b : 슬라이더 몸체 20c : 구동부
21 : 로드 21a : 결합홈
21b : 핀 고정홀 21c : 고정핀
22 : 링크 연결홀 30 : 전달부재
31 : 링크 31a : 회전축
31b : 고정핀 31c : 크랭크 연결홀
31d : 와이어 연결홀 32 : 크랭크
32a : 링크 연결돌기 32b : 로드 연결돌기
33 : 와이어 40 : 케이스
41 : 덮개 50 : 와이어
60 : 제어부

Claims (11)

  1. 유모차(100)의 바퀴(120)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바퀴(120)와 함께 회전되거나 정지되는 드럼(11)과, 상기 드럼(11)의 외주면을 감싸게 설치되고 내주면에 드럼(11)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패드(12)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드럼(11)과 마찰 접촉되면서 상기 드럼(11)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띠 형태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밴드(13)를 포함하는 밴드브레이크(10);
    상기 밴드브레이크(10)의 한 쪽 옆에 설치되고 전후 슬라이딩하는 로드(21)에 상기 밴드(13)의 타측 끝부분이 고정 결합되어 상기 밴드(13)를 상기 드럼(11)에 밀착 접촉되게 당겨주거나 상기 드럼(11)으로부터 멀어지게 풀어주는 전동슬라이더(20);
    상기 밴드브레이크(10)가 내장 설치되고 상기 밴드(13)의 일측 끝부분이 내측에 고정되는 케이스(40);
    상기 유모차(100)의 손잡이(11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유모차(100)를 잡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11); 및
    상기 센서(111)로부터 사용자가 상기 유모차(100)의 손잡이(110)를 잡은 것이라는 신호를 받으면 상기 밴드브레이크(10)가 드럼(11)에서 멀어지게 동작되어 바퀴(120)가 회전 가능하도록 바퀴(120)의 제동을 해제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유모차(100)의 손잡이를 놓은 것이라는 신호를 받으면 상기 밴드브레이크(10)가 드럼(11)을 감싸면서 밀착되게 동작되어 바퀴(120)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밴드(13)는 끝부분에서 밴드(13) 안쪽으로 둥글게 말아올려져 핀 관통홀(13c)이 형성된 케이스 고정부(13a)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고정부(13a)의 핀 관통홀(13c)에 고정핀(13b)을 관통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핀(13b)의 끝부분이 케이스(40)에 형성된 밴드결합홀(40a)에 끼움 고정됨으로써 케이스(40)에 고정되고,
    상기 전동슬라이더(20)는 하우징(20a)과, 상기 하우징(20a)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몸체(20b)와, 상기 슬라이더몸체(20b)에 설치되어 상기 밴드(13)의 타측 끝부분에 고정 결합되는 로드(21)와, 상기 하우징(20a)에 내장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6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몸체(20b)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0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21)의 끝부분에는 상기 밴드(13) 끝부분이 삽입되게 끼워지는 결합홈(21a)이 형성되어, 상기 밴드(13)가 상기 로드(21)에 직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
  6. 삭제
  7. 유모차(100)의 바퀴(120)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바퀴(120)와 함께 회전되거나 정지되는 드럼(11)과, 상기 드럼(11)의 외주면을 감싸게 설치되고 내주면에 드럼(11)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패드(12)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드럼(11)과 마찰 접촉되면서 상기 드럼(11)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띠 형태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밴드(13)를 포함하는 밴드브레이크(10);
    상기 밴드브레이크(10)의 한 쪽 옆에 설치되고 전후 슬라이딩하는 로드(21)를 통해 상기 밴드(13) 측에 연결되어 상기 밴드(13)를 상기 드럼(11)에 밀착 접촉되게 당겨주거나 상기 드럼(11)으로부터 멀어지게 풀어주는 전동슬라이더(20);
    상기 밴드(13)와 상기 전동슬라이더(20)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슬라이더(20)의 동작을 상기 밴드(13)로 전달해주는 전달부재(30);
    상기 밴드브레이크(10)가 내장 설치되고 상기 밴드(13)의 일측 끝부분이 내측에 고정되는 케이스(40);
    상기 유모차(100)의 손잡이(11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유모차(100)를 잡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11); 및
    상기 센서(111)로부터 사용자가 상기 유모차(100)의 손잡이(110)를 잡은 것이라는 신호를 받으면 상기 밴드브레이크(10)가 드럼(11)에서 멀어지게 동작되어 바퀴(120)가 회전 가능하도록 바퀴(120)의 제동을 해제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유모차(100)의 손잡이를 놓은 것이라는 신호를 받으면 상기 밴드브레이크(10)가 드럼(11)을 감싸면서 밀착되게 동작되어 바퀴(120)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밴드(13)는 끝부분에서 밴드(13) 안쪽으로 둥글게 말아올려져 핀 관통홀(13c)이 형성된 케이스 고정부(13a)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고정부(13a)의 핀 관통홀(13c)에 고정핀(13b)을 관통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핀(13b)의 끝부분이 케이스(40)에 형성된 밴드결합홀(40a)에 끼움 고정됨으로써 케이스(40)에 고정되고,
    상기 전동슬라이더(20)는 하우징(20a)과, 상기 하우징(20a)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몸체(20b)와, 상기 슬라이더몸체(20b)에 설치되어 상기 전달부재(30)에 연결되는 로드(21)와, 상기 하우징(20a)에 내장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6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몸체(20b)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0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30)는 상기 케이스(40)에 결합된 회전축(31a)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는 링크(31)로, 한쪽 끝은 상기 밴드(13)에 결합되고, 다른쪽 끝은 로드(21) 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동슬라이더(2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링크(31)가 회전축(31a)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밴드(13)를 당겨주거나 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일 측은 상기 링크(31)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로드(21)와 결합되어 상기 링크(31)와 로드(21)를 연결해주는 크랭크(3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일 측은 상기 링크(31)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로드(21)와 결합되어 상기 링크(31)와 로드(21)를 연결해주는 와이어(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30)는 와이어(50)로 되어, 한쪽 끝부분은 상기 밴드(13)에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로드(21)에 결합되어, 상기 전동슬라이더(2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와이어(50)가 직접 상기 밴드(13)를 당겨주거나 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
KR1020150098656A 2015-07-10 2015-07-10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 KR101723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656A KR101723297B1 (ko) 2015-07-10 2015-07-10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656A KR101723297B1 (ko) 2015-07-10 2015-07-10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040A KR20170007040A (ko) 2017-01-18
KR101723297B1 true KR101723297B1 (ko) 2017-04-18

Family

ID=57992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656A KR101723297B1 (ko) 2015-07-10 2015-07-10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2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7448A (ko) 2020-02-24 202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KR102354897B1 (ko) 2020-09-22 2022-01-24 이재완 Iot 기반의 스마트 유모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701B1 (ko) 2019-12-19 2021-09-14 주식회사 태성정밀 유모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7543A (ja) * 2000-05-18 2001-11-27 Yuji Takeda 車椅子用後退防止装置つきドラムブレー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7543A (ja) * 2000-05-18 2001-11-27 Yuji Takeda 車椅子用後退防止装置つきドラムブレー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7448A (ko) 2020-02-24 202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KR102354897B1 (ko) 2020-09-22 2022-01-24 이재완 Iot 기반의 스마트 유모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040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297B1 (ko)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
EP2628654B1 (en) A hand-detecting brake system for baby stroller
US9221433B2 (en) Safety braking system for a hand-pushed rollator
KR101399656B1 (ko) 전동식 유모차
US2631470A (en) Straight pull brake lever structure
JP5832086B2 (ja) リールリード
CN107416006B (zh) 一种自动刹车机构、婴儿推车及其刹车方法
TW201325447A (zh) 雙軸承捲線器
JP2007536164A (ja) 自転車のギアチェンジ装置用の命令装置
JP2010069216A (ja) 車いす
JP5736060B2 (ja) ベビーカー
US7682292B1 (en) Flywheel-type variable resistance generating device for an exercising apparatus
JP2017121820A (ja) 操作装置及び手押し移動体
KR101633496B1 (ko)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
JP2009202626A (ja) 手押し運搬車
JP3490860B2 (ja) 車両の制動制御装置
TWI531502B (zh) 協同動作操作機構
TW202239642A (zh) 攜車架擺動鎖定機構及包含其之攜車架
AU2013100166A4 (en) A hand-detecting brake system for baby stroller
JP4242196B2 (ja) ブレーキ付保護者用操向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幼児用乗物
KR101801273B1 (ko) 휠체어용 핸드 림 브레이크 장치
TWM550700U (zh) 載具輪子的制動裝置
CA2918102C (en) Remote throttle control for a throttle trigger of a vehicle
JP2000070309A (ja) 電動車両の安全装置
JP2007269159A (ja) 手押し車の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