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496B1 -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496B1
KR101633496B1 KR1020140192532A KR20140192532A KR101633496B1 KR 101633496 B1 KR101633496 B1 KR 101633496B1 KR 1020140192532 A KR1020140192532 A KR 1020140192532A KR 20140192532 A KR20140192532 A KR 20140192532A KR 101633496 B1 KR101633496 B1 KR 101633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frame
frame
wire
coupled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환
박찬효
정기욱
Original Assignee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92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4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 B62B2301/046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 B62B2301/0467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combined with means for braking the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모차의 이동바퀴의 회전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제1 브레이크부; 상기 이동바퀴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상기 이동바퀴를 상기 유모차의 프레임에 고정하는 제2 브레이크부; 및 상기 유모차의 손잡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가압하는 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브레이크부 및 상기 제2 브레이크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DOUBLE BRAKING APPARATUS OF STROLLER}
본 발명은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어린아이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다니는 수레로, 3륜 또는 4륜의 바퀴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유모차는 타는 아기나 어머니가 다 같이 안전하고, 사용이 쉽게 조작할 수 있어야 하며, 견고하고 내구성이 좋아야 한다. 또, 안전성 면에서 유모차가 차를 미는 사람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유모차가 잘 넘어지지 않아야 하고, 브레이크가 아기의 손이 닿는 범위 안에 있어서는 안 된다.
일반적인 유모차의 브레이크 장치는 전후의 바퀴 중 뒤쪽 바퀴 축의 내측으로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유모차 프레임에 고정돌기 사이에 삽입되는 스토퍼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져, 스토퍼를 고정돌기 사이에 삽입하거나 분리시킴으로써 뒤쪽 바퀴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회전을 자유롭게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7347호(2007.04.04, 유모차의 핸들)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손잡이를 가압하는 힘의 크기에 따라 유모차의 이동바퀴의 회전 마찰력을 조절하거나 유모차를 멈추게 할 수 있는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모차의 이동바퀴의 회전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제1 브레이크부; 상기 이동바퀴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상기 이동바퀴를 상기 유모차의 프레임에 고정하는 제2 브레이크부; 및 상기 유모차의 손잡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가압하는 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브레이크부 및 상기 제2 브레이크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가압하지 아니하면 상기 제2 브레이크부가 상기 이동바퀴를 상기 유모차의 프레임에 고정하고,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기 설정된 힘 미만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2 브레이크부를 구동하여 상기 제2 브레이크부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기 설정된 힘 이상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1 브레이크부를 구동하여 상기 이동바퀴의 회전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버튼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제1 버튼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고정 프레임에서 상기 제1 브레이크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버튼 프레임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제1 브레이크부로 전달하는 제1 와이어; 상기 제1 버튼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버튼 프레임; 상기 제1 버튼 프레임과 상기 제2 버튼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가지는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버튼 프레임에서 상기 제2 브레이크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버튼 프레임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제2 브레이크부로 전달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돌출부; 상기 제1 버튼 프레임의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향하는 타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돌출부와 치합 가능한 복수 개의 제2 돌출부; 상기 제1 버튼 프레임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3 돌출부; 및 상기 제2 버튼 프레임의 상기 제1 버튼 프레임에 대향하는 타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3 돌출부와 치합 가능한 복수 개의 제4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버튼 프레임에 가압되는 힘의 크기가 감소하여도 치합된 상기 제3 돌출부와 상기 제4 돌출부가 상호간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1 버튼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버튼 프레임을 가압하는 힘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제1 버튼 프레임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2 버튼 프레임을 상기 제1 버튼 프레임에 고정하는 스토퍼; 및 상기 제1 버튼 프레임 및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버튼 프레임을 가압하지 않을 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2 버튼 프레임을 상기 제1 버튼 프레임에 고정하는 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회전부를 복귀시키는 회전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레이크부는, 상기 이동바퀴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디스크; 및 상기 유모차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크의 양면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마찰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패드는 상기 제1 와이어를 통해 힘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디스크의 양면에 접촉되어 상기 디스크의 회전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브레이크부는, 상기 이동바퀴의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기어; 및
상기 유모차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상기 기어에 결합되는 걸쇠를 포함하고, 상기 걸쇠는 상기 제2 와이어를 통해 힘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기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모차에 제1 및 제2 브레이크부를 동시에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경사로 이동 시 유모차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유모차를 놓쳤을 때 유모차를 급 제동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부를 손잡이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유아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제1 브레이크부 및 제2 브레이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2 브레이크부가 이동바퀴의 회전을 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2 브레이크부가 이동바퀴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조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조작부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7은 조작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조작부를 기 설정된 힘 미만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조작부를 기 설정된 힘 이상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제1 브레이크부 및 제2 브레이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는 제1 브레이크부(100), 제2 브레이크부(200) 및 조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레이크부(100)는 유모차 이동바퀴(10)의 회전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브레이크부(200)는 유모차 이동바퀴(10)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이동바퀴(10)를 유모차의 프레임(20)에 고정할 수 있다.
조작부(300)는 유모차의 손잡이(30)에 설치될 수 있다. 조작부(300)은 사용자의 양 손이 닿을 수 있는 손잡이(30)의 위치에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조작부(300)은 사용자가 가압하는 힘에 의하여 제1 브레이크부(100) 및 제2 브레이크부(200)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조작부(300)는 사용자가 손잡이(30)를 가압하지 아니하면 제2 브레이크부(200)가 이동바퀴(10)를 유모차의 프레임(20)에 고정하고, 사용자가 손잡이(30)를 기 설정된 힘 미만으로 가압하면 제2 브레이크부(200)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고, 사용자가 손잡이(30)를 기 설정된 힘 이상으로 가압하면 제1 브레이크부(100)를 구동하여 이동바퀴(10)의 회전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설정된 힘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것으로 한다.
제1 브레이크부(100)는 디스크(110) 및 마찰패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110)는 이동바퀴(10)의 회전축(40)에 결합될 수 있다.
디스크(110)는 이동바퀴(10)와 함께 회전하거나 제동될 수 있다.
디스크(110)는 얇고 평평한 원판 형상일 수 있다.
마찰패드(130)는 유모차의 프레임(20)에 고정된 캘리퍼(150)에 결합될 수 있다. 캘리퍼(150)는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져 디스크(110)를 사이에 두고 마찰패드(130)가 이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마찰패드(130) 간의 간격은 캘리퍼(150)가 오므라들거나 벌어짐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마찰패드(130)는 디스크(110) 양면에 접촉되어 마찰됨에 따라 디스크(110)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동바퀴(10)의 회전 속도가 감속되거나 이동바퀴(10)의 회전이 제동될 수 있다.
제2 브레이크부(200)는 기어(210) 및 걸쇠(2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210)는 이동바퀴(10)의 회전축(40)에 결합될 수 있다.
기어(210)는 이동바퀴(10)와 함께 회전하거나 제동될 수 있다.
걸쇠(230)의 일측은 기어(210)의 이에 결합될 수 있고, 타측은 유모차의 프레임(2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걸쇠(230)는 기어(210)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프레임(20)에 대하여 회전 운동하면서 기어(210)의 이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도 3은 제2 브레이크부(200)가 이동바퀴(10)의 회전을 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제2 브레이크부(200)가 이동바퀴(10)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걸쇠(230)가 기어(210)에 결합되어 이동바퀴(10)의 회전을 저지하고, 걸쇠(230)가 기어(210)로부터 분리되어 이동바퀴(10)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걸쇠(230)에는 걸쇠(230)와 프레임(20)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탄성부재(250)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탄성부재(250)는 탄성력에 의하여 기어(210)에 결합된 걸쇠(230)가 이동바퀴(10)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걸쇠(230)을 기어(210)의 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조작부(3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조작부(300)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7은 조작부(300)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조작부(300)는 고정 프레임(310), 제1 버튼 프레임(320), 제1 탄성부재(330), 제1 와이어(340), 제2 버튼 프레임(350), 제2 탄성부재(360) 및 제2 와이어(37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310)은 손잡이(3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310)은 내부에 제1 버튼 프레임(320), 제1 탄성부재(330), 제1 와이어(340), 제2 버튼 프레임(350), 제2 탄성부재(360) 및 제2 와이어(370)를 수용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310)에는, 제1 와이어(340) 및 제2 와이어(370)가 외부로 연장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310)에는 고정 프레임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제1 와이어(34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돌출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버튼 프레임(320)은 고정 프레임(3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버튼 프레임(320)은 고정 프레임(310)에 일측 및 타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버튼 프레임(320)에는 제1 버튼 프레임(320)의 고정 프레임(310)에 대향하는 타측에서 돌출되고, 제1 와이어(34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고, 복수 개의 제1 돌출부(311)와 치합 가능한 복수 개의 제2 돌출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버튼 프레임(320)은 제2 버튼 프레임(350)의 가압에 의하여 타측으로 이동되어, 제2 돌출부(321)가 제1 돌출부(311)에 접촉되어 도 9와 같이 제1 와이어(340)를 누를 수 있다.
제1 버튼 프레임(320)에는 제1 버튼 프레임(320)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제2 와이어(34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3 돌출부(3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330)는 고정 프레임(310)과 제1 버튼 프레임(320) 사이에 복수 개로 개재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에 의하여 타측으로 이동된 제1 버튼 프레임(320)이 복귀될 수 있다.
제1 와이어(340)는 고정 프레임(310)에서 제1 브레이크부(100)로 연장되고, 제1 버튼 프레임(320)에 가해지는 힘을 제1 브레이크부(1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달되는 힘이란, 제1 버튼 프레임(320)의 가압되어 도 9와 같이 제1 와이어(340)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제1 브레이크부(100)에 가해지는 장력일 수 있다.
제1 와이어(340)의 일단은 고정 프레임(3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브레이크부(100)의 캘리퍼(15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와이어(340)의 길이가 제1 돌출부(311) 및 제2 돌출부(321)의 가압에 의하여 눌리면, 캘리퍼(150)에 장력이 전달되어 캘리퍼(150)에 결합된 마찰패드(130) 간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제2 버튼 프레임(350)은 제1 버튼 프레임(3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버튼 프레임(350)은 고정 프레임(310)에 일측 및 타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 버튼 프레임(350)에는 제2 버튼 프레임(350)의 제1 버튼 프레임(320)에 대향하는 타측에서 돌출되고, 제2 와이어(37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고, 복수 개의 제3 돌출부(323)와 치합 가능한 복수 개의 제4 돌출부(35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버튼 프레임(350)은 가압에 의하여 타측으로 이동되어, 복수 개의 제4 돌출부(351)가 복수 개의 제3 돌출부(323)에 치합되어 도 9와 같이 제2 와이어(370)를 누를 수 있다.
제2 탄성부재(360)는 제1 버튼 프레임(320)과 상기 제2 버튼 프레임(350) 사이에 복수 개가 개재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360)은 제1 탄성부재(330)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버튼 프레임(350)을 가압하고자 할 때, 악력이 조절되지 않아 제1 버튼 프레임(320)까지 가압하게 되어도 제2 탄성부재(360)의 탄성계수가 제1 탄성부재(330)의 탄성계수보다 작기 때문에 제1 탄성부재(330)는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제2 탄성부재(360)는 탄성력에 의하여 보다 쉽게 복귀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360)의 탄성력에 의하여 타측으로 이동된 제2 버튼 프레임(350)이 복귀될 수 있다.
제2 와이어(370)는 제1 버튼 프레임(320)에서 제2 브레이크부(200)로 연장되고, 제2 버튼 프레임(350)에 가해지는 힘을 제2 브레이크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달되는 힘이란, 제2 버튼 프레임(350)의 가압되어 도 9와 같이 제2 와이어(370)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제2 브레이크부(200)에 가해지는 장력일 수 있다.
제2 와이어(370)의 일단은 제1 버튼 프레임(3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브레이크부(200)의 걸쇠(230)에 볼트(231)로 죄어져 연결될 수 있다. 제2 와이어(370)의 길이가 제3 돌출부(323) 및 제4 돌출부(351)의 가압에 의하여 눌리면, 걸쇠(230)에 장력이 전달되어 걸쇠(230)를 들어올림으로써 걸쇠(230)를 기어(2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도 8은 조작부(300)를 기 설정된 힘 미만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조작부(300)를 기 설정된 힘 이상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버튼 프레임(350)을 사용자가 기 설정된 힘 미만으로 가압하면 제2 버튼 프레임(350)부가 눌려짐에 따라 제2 와이어(370)가 가압될 수 있다. 제2 와이어(370)가 가압되면 제2 브레이크부(200)의 걸쇠(230)가 기어(210)로부터 분리되어 이동바퀴(10)가 회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버튼 프레임(350)을 사용자가 기 설정된 힘 이상으로 가압하면 눌려진 제2 버튼 프레임(350)부가 제1 버튼 프레임(320)부를 누름에 따라 제1 와이어(340)가 가압될 수 있다. 제1 와이어(340)가 가압되면 제1 브레이크부(100)의 마찰패드(130)가 디스크(110)에 접촉되어 이동바퀴(10)의 회전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기 설정된 힘이란, 제1 탄성부재(330)에 힘이 가해져도 제1 탄성부재(330)가 탄성력에 의하여 복귀될 수 있는 힘의 최대값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8과 같이, 제1 버튼 프레임(320)이 제1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돌출부(311) 및 제2 돌출부(321)가 치합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되지 않고 복귀되되, 제2 버튼 프레임(350)만 가압되어 제3 돌출부(323) 및 제4 돌출부(351)가 치합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 힘의 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는 이탈방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400)는 제2 버튼 프레임(350)에 가압되는 힘의 크기가 감소하여도 치합된 제3 돌출부(323)와 제4 돌출부(351)가 상호간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400)는 회전부(410), 스토퍼(430) 및 회전탄성부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410)는 제1 버튼 프레임(3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 버튼 프레임(350)을 가압하는 힘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2 버튼 프레임(350)에는 회전부(410)를 가압하도록 돌출된 회전부누름부(353)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410)는 사이각이 직각인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
스토퍼(430)는 제1 버튼 프레임(320)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회전부(41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제2 버튼 프레임(350)을 제1 버튼 프레임(320)에 고정할 수 있다. 제2 버튼 프레임(350)에는 스토퍼(430)가 제2 버튼 프레임(350)을 고정하도록 결합되는 스토퍼걸림부(355)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430)의 일측은 고리 형상일 수 있으며, 다른 예시로서 타측에 제1 와이어(340)가 연결되어 제1 브레이크부(100)에 가해지는 장력을 보다 크게 할 수도 있다.
회전탄성부재(450)는 제1 버튼 프레임(320) 및 회전부(410)와 결합될 수 있다.
회전탄성부재(450)는 제2 버튼 프레임(350)이 가압되지 않을 시, 스토퍼(430)가 제2 버튼 프레임(350)을 제1 버튼 프레임(320)에 고정하는 상태를 해제하도록 회전부(410)를 복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모차에 제1 브레이크부(100) 및 제2 브레이크부(200)를 동시에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경사로 이동 시 유모차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유모차를 놓쳤을 때 유모차를 급 제동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부(300)를 손잡이(30)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실수로 경사진 곳에서 유모차의 손잡이(30)를 놓게 되더라도 제2 브레이크부(200)에 의하여 이동바퀴(10)가 고정되므로 부주의로 인한 유아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이동바퀴 20: 프레임
30: 손잡이 40: 회전축
100: 제1 브레이크부 110: 디스크
130: 마찰패드 150: 캘리퍼
200: 제2 브레이크부 210: 기어
230: 걸쇠 231: 볼트
250: 고정탄성부재 300: 조작부
310: 고정 프레임 311: 제1 돌출부
320: 제1 버튼 프레임 321: 제2 돌출부
323: 제3 돌출부 330: 제1 탄성부재
340: 제1 와이어 350: 제2 버튼 프레임
351: 제4 돌출부 353: 회전부누름부
355: 스토퍼걸림부 360: 제2 탄성부재
370: 제2 와이어 400: 이탈방지부
410: 회전부 430: 스토퍼
450: 회전탄성부재

Claims (8)

  1. 유모차의 이동바퀴의 회전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제1 브레이크부;
    상기 이동바퀴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상기 이동바퀴를 상기 유모차의 프레임에 고정하는 제2 브레이크부; 및
    상기 유모차의 손잡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가압하는 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브레이크부 및 상기 제2 브레이크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작부는,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버튼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제1 버튼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고정 프레임에서 상기 제1 브레이크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버튼 프레임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제1 브레이크부로 전달하는 제1 와이어;
    상기 제1 버튼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버튼 프레임;
    상기 제1 버튼 프레임과 상기 제2 버튼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가지는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버튼 프레임에서 상기 제2 브레이크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버튼 프레임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제2 브레이크부로 전달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가압하지 아니하면 상기 제2 브레이크부가 상기 이동바퀴를 상기 유모차의 프레임에 고정하고,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기 설정된 힘 미만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2 브레이크부를 구동하여 상기 제2 브레이크부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기 설정된 힘 이상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1 브레이크부를 구동하여 상기 이동바퀴의 회전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돌출부;
    상기 제1 버튼 프레임의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향하는 타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돌출부와 치합 가능한 복수 개의 제2 돌출부;
    상기 제1 버튼 프레임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3 돌출부; 및
    상기 제2 버튼 프레임의 상기 제1 버튼 프레임에 대향하는 타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3 돌출부와 치합 가능한 복수 개의 제4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튼 프레임에 가압되는 힘의 크기가 감소하여도 치합된 상기 제3 돌출부와 상기 제4 돌출부가 상호간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1 버튼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버튼 프레임을 가압하는 힘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제1 버튼 프레임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2 버튼 프레임을 상기 제1 버튼 프레임에 고정하는 스토퍼; 및
    상기 제1 버튼 프레임 및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버튼 프레임을 가압하지 않을 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2 버튼 프레임을 상기 제1 버튼 프레임에 고정하는 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회전부를 복귀시키는 회전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레이크부는,
    상기 이동바퀴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디스크; 및
    상기 유모차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크의 양면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마찰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패드는 상기 제1 와이어를 통해 힘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디스크의 양면에 접촉되어 상기 디스크의 회전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레이크부는,
    상기 이동바퀴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기어; 및
    상기 유모차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상기 기어에 결합되는 걸쇠를 포함하고,
    상기 걸쇠는 상기 제2 와이어를 통해 힘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기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
KR1020140192532A 2014-12-29 2014-12-29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 KR101633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532A KR101633496B1 (ko) 2014-12-29 2014-12-29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532A KR101633496B1 (ko) 2014-12-29 2014-12-29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496B1 true KR101633496B1 (ko) 2016-06-27

Family

ID=56344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532A KR101633496B1 (ko) 2014-12-29 2014-12-29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4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7877A (zh) * 2017-02-10 2018-08-17 爱普力卡幼儿产品合同会社 车轮结构及包括该车轮结构的手推车
WO2021132745A1 (ko) * 2019-12-23 2021-07-01 유영배 하이브리드 브레이크 장치
KR102354897B1 (ko) * 2020-09-22 2022-01-24 이재완 Iot 기반의 스마트 유모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213U (ko) * 2009-05-08 2010-11-17 이기백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213U (ko) * 2009-05-08 2010-11-17 이기백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7877A (zh) * 2017-02-10 2018-08-17 爱普力卡幼儿产品合同会社 车轮结构及包括该车轮结构的手推车
CN108407877B (zh) * 2017-02-10 2021-10-29 纽维尔品牌日本合同会社 车轮结构及包括该车轮结构的手推车
WO2021132745A1 (ko) * 2019-12-23 2021-07-01 유영배 하이브리드 브레이크 장치
KR102354897B1 (ko) * 2020-09-22 2022-01-24 이재완 Iot 기반의 스마트 유모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496B1 (ko)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
EP2669144A1 (en) Brake device and child carrier provided with the same
JP2006518630A5 (ko)
CN110171460B (zh) 儿童推车的刹车装置及儿童推车
US20080078630A1 (en) Wheel brake mechanism for a baby stroller
TWI838253B (zh) 嬰兒車煞車機構及具有該機構的嬰兒車
JP3176686U (ja) 回転方向制動機能を備える転落防止具
TW200922822A (en) A brake device for prams
TWM536173U (zh) 座椅高低調整裝置的煞車機構
US20180043964A1 (en) Brake for bicycle
KR101376544B1 (ko) 제동 구조가 개선된 의료용 로봇 베이스
TW201700080A (zh) 具有復健功能之輪椅及其傳動裝置
WO2010081202A3 (en) Self-retracting lifeline
KR101723297B1 (ko)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
JP3068735U (ja) 自在輪のブレ―キ構造
KR101283438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JP2006336264A (ja) 引戸の停止装置
JP3162443U (ja) 位置決め装置及びブレーキ装置を備える車輪
CN213109484U (zh) 一种用于儿童推车的刹车装置
KR102121597B1 (ko) 비상용 급브레이크 장치
EP3496820A1 (en) A device for stopping a fall during climbing or descending along a rope
KR101376543B1 (ko) 조향 구조가 개선된 의료용 로봇 베이스
JP3166529U (ja) 墜落防止具
JP2019018715A (ja) キャスターストッパー
KR101535257B1 (ko) 제동 가능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