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617B1 -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617B1
KR101707617B1 KR1020160036177A KR20160036177A KR101707617B1 KR 101707617 B1 KR101707617 B1 KR 101707617B1 KR 1020160036177 A KR1020160036177 A KR 1020160036177A KR 20160036177 A KR20160036177 A KR 20160036177A KR 101707617 B1 KR101707617 B1 KR 101707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flow
discharge
uni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강주현
김영재
소병열
김용각
백인정
변나영
서무교
서형준
유승천
이상우
이효규
임진호
조민기
조형규
황준
김도연
김현아
서용호
송우석
송현주
신영선
윤준호
이부연
이정대
이창선
전민구
정희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145,218 priority Critical patent/US10352580B2/en
Priority to PCT/KR2016/004725 priority patent/WO2017057817A1/en
Priority to EP19165112.4A priority patent/EP3521711B1/en
Priority to EP16168419.6A priority patent/EP3150927B1/en
Priority to RU2018111223A priority patent/RU2678880C1/ru
Priority to AU2016329913A priority patent/AU2016329913B2/en
Priority to EP22150805.4A priority patent/EP4001781B1/en
Priority to ES16168419T priority patent/ES2791998T3/es
Priority to BR112018000342-5A priority patent/BR112018000342B1/pt
Priority to CN201910285011.1A priority patent/CN110030621B/zh
Priority to CN201610334967.2A priority patent/CN106560659B/zh
Priority to CN201910284511.3A priority patent/CN109869812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617B1/ko
Priority to US15/992,699 priority patent/US11035583B2/en
Priority to US17/307,522 priority patent/US1188551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1/007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3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characterised by a split arrangement, wherein parts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e.g. evaporator and condenser, are in separately locat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24F11/42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of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6Outlets that have intak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공기 조화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냉매와 공기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열 교환기;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열 교환기에서 열 교환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메인팬; 상기 메인팬에 의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변경하는 적어도 하나의보조팬; 상기 메인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게시된 발명은 운전 모드 별로 토출 기류를 제어하기 위한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냉매의 증발, 응축과정에서 생기는 열의 이동을 이용하여 흡입 공기를 냉각, 가열 또는 정화시킨 후 토출시켜 실내 공간의 공기를 조화시키는 기기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하절기에는 실내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냉방 운전을 수행하고, 동절기에는 냉방 사이클과 반대로 냉매를 순환시켜 실내로 열을 공급하는 히트 펌프(Heat Pump)의 난방 운전을 수행한다.
공기 조화기는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 시, 실내 열교환기의 주변에 마련된 팬을 회전시켜 실내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고 흡입된 공기를 실내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시킨 후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토출시키되, 토출부에 마련된 블레이드를 동작시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공기를 조화시킨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풍속 정보 및 풍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팬의 회전수를 각각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일반 모드, 쾌속 모드 또는 제상 모드에 기초하여 복수의 팬의 회전수를 각각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흡입 측의 먼지 검출 또는 사람 검출 여부에 기초하여 팬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토출되는 공기의 재열교환 또는 재토출을 위해 유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 공조 공간으로 토출되는 토출 기류를 다양한 형태로 제어하고자 한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실내기를 회전시키지 않고도 실내기가 회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실내기의 토출 기류를 순환 제어하고자 한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별도의 고정부재를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을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하우징으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블레이드 없이 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블레이드가 없는 공기 조화기에서 기류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기류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기류의 방향뿐 아니라 기류의 세기 및 운전 상태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 따른 의 공기 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갖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실내기는, 흡입부와 토출부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주변의 공기와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 흡입부를 통해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부를 통해 토출시키는 메인팬; 토출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흡입하는 보조팬; 보조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로부; 및 토출부로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이 조절되도록 메인팬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보조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보조팬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유로부는, 보조팬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유출부와, 케이스에 연결되고 유입부에 유입된 공기를 유출부로 안내하는 유로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풍속 정보 및 풍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풍속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팬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메인팬의 회전수 및 풍향 정보에 기초하여 보조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는, 쾌속모드가 수신되면 메인팬의 회전수를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제어하고, 보조팬의 회전수를 주기적으로 변경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간의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 온도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실내 공간의 온도가 목표 온도이면 보조팬의 회전수를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인체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쾌속모드가 수신되면 메인팬의 회전수를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제어하고, 검출된 인체의 정보에 기초하여 인체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와 메인팬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보조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는, 운전 모드가 난방 운전이면 제상 운전의 시작 시점을 판단하고, 제상 운전의 시작 시점이면 메인팬을 정지 제어하고, 보조팬의 회전수를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는, 운전 모드가 난방 운전이면 제상 운전의 시작 시점을 판단하고, 제상 운전의 시작 시점이면 메인팬을 정지 제어하고, 난방 운전 중의 메인팬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보조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흡입부에 마련된 필터부와, 필터부의 먼지량을 검출하는 먼지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필터부의 먼지량에 기초하여 보조팬의 회전수를 보상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메인팬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1모터와, 제1모터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검출된 전류에 기초하여 보조팬의 회전수를 보상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메인팬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1모터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1모터를 최대 회전수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듀티비와, 운전 중 제1모터를 최대 회전수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듀티비에 기초하여 보조팬의 회전수를 보상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보조팬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유로부는, 보조팬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토출부 측에 마련되고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제1유출부와, 열 교환기 측에 마련되고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기로 토출시키는 제2유출부와, 케이스에 연결되고 유입부에 유입된 공기를 제1유출부 또는 제2유출부로 안내하는 유로와, 유로에 마련되되 제1유출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재와, 유로에 마련되되 제2유출부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는,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이면 제1개폐 부재를 개방 제어하고 제2개폐 부재를 폐쇄 제어하며, 동작 모드가 쾌속 모드이면 제1개폐 부재를 폐쇄 제어하고 제2개폐 부재를 개방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는, 동작 모드가 쾌속 모드이면 보조팬의 회전수를 보상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갖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실내기는, 흡입부와 토출부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주변의 공기와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 흡입부를 통해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부를 통해 토출시키는 메인팬; 토출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흡입하는 보조팬; 토출부와 인접하게 마련된 유입부와, 열교환기와 인접하게 마련된 제1유출부와, 토출부와 인접하게 마련된 제2유출부를 갖고, 유입부에 유입된 공기를 제1유출부 또는 제2유출뿌로 안내하는 유로부; 및 토출부로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이 조절되도록 메인팬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보조팬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제1유출부 및 제2유출부를 개폐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유로부는, 유입부, 제1유출부 및 제2유출부를 연결하는 유로와, 유로에 마련되되 제1유출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재와, 유로에 마련되되 제2유출부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는,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이면 제1개폐 부재를 개방 제어하고 제2개폐 부재를 폐쇄 제어하며, 동작 모드가 쾌속 모드이면 제1개폐 부재를 폐쇄 제어하고 제2개폐 부재를 개방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갖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실내기는, 흡입부와 토출부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주변의 공기와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 흡입부를 통해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부를 통해 토출시키는 메인팬; 토출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흡입하는 보조팬; 보조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로부; 실내 공간의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 온도 검출부; 및 동작 모드가 쾌속모드이면 메인팬의 회전수를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제어하고, 보조팬의 회전수를 주기적으로 변경 제어하고, 실내 공간의 온도가 목표 온도이면 보조팬의 회전수를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유지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는, 보조팬의 회전수를 주기적으로 변경 제어 시, 보조팬을 주기적으로 온 오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실외기와 실내기를 갖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운전 명령이 입력되면 실외기에 마련된 압축기를 동작시키고, 실내기에 마련된 메인팬을 회전시키고, 메인팬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실내기에 마련된 보조팬을 동작시키고, 보조팬을 동작시키는 것은, 실내기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조절되도록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흡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풍속 정보 및 풍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입력되면 풍속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팬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메인팬의 회전수 및 풍향 정보에 기초하여 보조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동작 모드가 쾌속모드이면 메인팬의 회전수를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제어하고, 보조팬의 회전수를 주기적으로 변경 제어하고, 실내 공간의 온도가 목표 온도이면 보조팬의 회전수를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동작 모드가 쾌속모드가 수신되면 메인팬의 회전수를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제어하고, 실내 공간 내부의 인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인체의 위치와 메인팬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보조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운전 모드가 난방 운전이면 제상 운전의 시작 시점을 판단하고, 현재 시점이 제상 운전의 시작 시점이면 메인팬을 정지 제어하고, 보조팬의 회전수를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제상 운전의 시작 시점을 판단하는 것은, 실외기에 마련된 실외의 열교환기의 온도와 실외의 온도에 기초하여 제상 운전의 시작 시점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제상 운전 중 제상 운전의 종료 시점을 판단하고, 현재 시점이 제상 운전의 종료 시점이면 메인팬 및 보조팬을 정지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제상 운전의 종료 시점을 판단하는 것은, 실외기에 마련된 실외의 열교환기의 온도와 실외의 온도에 기초하여 제상 운전의 종료 시점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상 운전의 종료 시점을 판단하는 것은, 제상 운전의 수행시간에 기초하여 제상 운전의 종료 시점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실내기의 흡입부에 마련된 필터부의 먼지량을 검출하고, 필터부의 먼지량에 기초하여 보조팬의 회전수를 보상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메인팬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1모터의 출력을 확인하고, 확인된 제1모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보조팬의 회전수를 보상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메인팬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1모터의 전류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1모터의 전류에 기초하여 보조팬의 회전수를 보상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이면 보조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실내기의 토출부 측으로 안내하고, 동작 모드가 쾌속 모드이면 보조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실내기의 열교환기 측으로 안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동작 모드가 쾌속 모드이면 메인팬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보조팬의 회전수를 보상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흡입부와 복수의 토출부를 갖는 하우징과;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복수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시켜서 토출 기류를 생성하는 기류 생성부와; 토출 기류의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기류 전환부와; 복수의 토출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상태가 나머지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상태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되, 복수의 토출부 가운데 차별되는 토출 기류가 생성되는 토출부의 위치가 순환하도록 복수의 기류 전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기류 전환부는, 토출 기류의 공기 중 일부를 흡입함으로써 토출 기류의 방향이 변화하도록 하는 복수의 팬으로 이루어진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기류 전환부의 제어는, 복수의 팬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팬의 온/오프 상태를 나머지 팬의 온/오프 상태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기류 전환부의 제어는, 복수의 팬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팬의 단위 시간 당 회전수를 나머지 팬의 단위 시간 당 회전수와 차별되도록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기류 전환부의 제어는, 복수의 팬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팬의 온/오프 상태 및 단위 시간 당 회전수를 나머지 팬의 온/오프 상태 및 단위 시간 당 회전수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기류 전환부는, 복수의 토출부 각각에 설치되어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의 일정 범위 내에서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조절된 각도에 따라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블레이드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기류 전환부의 제어는, 복수의 블레이드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개방/폐쇄 상태를 나머지 블레이드의 개방/폐쇄 상태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기류 전환부의 제어는, 복수의 블레이드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고정/스윙 상태를 나머지 블레이드의 고정/스윙 상태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기류 전환부의 제어는, 복수의 블레이드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개방/폐쇄 상태 및 고정/스윙 상태를 나머지 팬의 개방/폐쇄 상태 및 고정/스윙 상태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와 열 교환을 수행하는 열 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기류 생성부는 열 교환기에 의해 열 교환이 이루어진 공기를 복수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시키도록 마련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기류 생성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시켜서 토출 기류를 생성하는 단계와; 복수의 기류 전환부를 이용하여 토출 기류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와; 복수의 토출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상태가 나머지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상태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되, 복수의 토출부 가운데 차별되는 토출 기류가 생성되는 토출부의 위치가 순환하도록 복수의 기류 전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기류 전환부는, 토출 기류의 공기 중 일부를 흡입함으로써 토출 기류의 방향이 변화하도록 하는 복수의 팬으로 이루어진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기류 전환부의 제어는, 복수의 팬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팬의 온/오프 상태를 나머지 팬의 온/오프 상태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기류 전환부의 제어는, 복수의 팬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팬의 단위 시간 당 회전수를 나머지 팬의 단위 시간 당 회전수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기류 전환부의 제어는, 복수의 팬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팬의 온/오프 상태 및 단위 시간 당 회전수를 나머지 팬의 온/오프 상태 및 단위 시간 당 회전수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기류 전환부는, 복수의 토출부 각각에 설치되어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의 일정 범위 내에서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조절된 각도에 따라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블레이드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기류 전환부의 제어는, 복수의 블레이드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개방/폐쇄 상태를 나머지 블레이드의 개방/폐쇄 상태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기류 전환부의 제어는, 복수의 블레이드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고정/스윙 상태를 나머지 블레이드의 고정/스윙 상태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기류 전환부의 제어는, 복수의 블레이드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개방/폐쇄 상태 및 고정/스윙 상태를 나머지 팬의 개방/폐쇄 상태 및 고정/스윙 상태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와 열 교환기가 열 교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기류 생성부는 열 교환기에 의해 열 교환이 이루어진 공기를 복수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시키도록 마련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흡입부와 복수의 토출부를 갖는 하우징과;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복수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시켜서 토출 기류를 생성하는 제 1 팬과; 토출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흡입함으로써 복수의 토출부로 토출되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제2 팬과; 복수의 토출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나머지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방향과 차별되도록 제어하되, 복수의 토출부 가운데 차별되는 토출 기류가 생성되는 토출부의 위치가 순환하도록 복수의 제 2 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흡입부와 복수의 토출부를 갖는 하우징과;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복수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시켜서 토출 기류를 생성하는 제 1 팬과; 복수의 토출부 각각에 설치되어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의 일정 범위 내에서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조절된 각도에 따라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블레이드와; 복수의 토출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나머지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방향과 차별되도록 제어하되, 복수의 토출부 가운데 차별되는 토출 기류가 생성되는 토출부의 위치가 순환하도록 복수의 블레이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기류 생성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시켜서 토출 기류를 생성하는 단계와; 복수의 기류 전환부를 이용하여 토출 기류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와; 제 1 모드일 때, 기류 생성부 및 복수의 기류 전환부 각각을 미리 설정된 하나의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와; 제 2 모드일 때, 복수의 토출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상태가 나머지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상태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되, 복수의 토출부 가운데 차별되는 토출 기류가 생성되는 토출부의 위치가 순환하도록 복수의 기류 전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기류 전환부는, 토출 기류의 공기 중 일부를 흡입함으로써 토출 기류의 방향이 변화하도록 하는 복수의 팬으로 이루어진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기류 전환부의 제어는, 복수의 팬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팬의 온/오프 상태를 나머지 팬의 온/오프 상태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기류 전환부의 제어는, 복수의 팬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팬의 단위 시간 당 회전수를 나머지 팬의 단위 시간 당 회전수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기류 전환부의 제어는, 복수의 팬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팬의 온/오프 상태 및 단위 시간 당 회전수를 나머지 팬의 온/오프 상태 및 단위 시간 당 회전수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기류 전환부는, 복수의 토출부 각각에 설치되어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의 일정 범위 내에서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조절된 각도에 따라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블레이드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기류 전환부의 제어는, 복수의 블레이드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개방/폐쇄 상태를 나머지 블레이드의 개방/폐쇄 상태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기류 전환부의 제어는, 복수의 블레이드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고정/스윙 상태를 나머지 블레이드의 고정/스윙 상태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기류 전환부의 제어는, 복수의 블레이드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개방/폐쇄 상태 및 고정/스윙 상태를 나머지 팬의 개방/폐쇄 상태 및 고정/스윙 상태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와 열 교환기가 열 교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기류 생성부는 열 교환기에 의해 열 교환이 이루어진 공기를 복수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시키도록 마련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흡입부와 복수의 토출부를 갖는 하우징과;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복수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시켜서 토출 기류를 생성하는 기류 생성부와; 토출 기류의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기류 전환부와; 기류 생성부와 복수의 기류 전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 1 모드일 때, 기류 생성부 및 복수의 기류 전환부 각각을 미리 설정된 하나의 상태로 제어하고; 제 2 모드일 때, 복수의 토출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상태가 나머지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상태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되, 복수의 토출부 가운데 차별되는 토출 기류가 생성되는 토출부의 위치가 순환하도록 복수의 기류 전환부를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천정에 지지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며, 흡입구 및 상기 흡입구와 인접하게 마련된 원형 형상의 토출구를 형성하는 토출커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켜 열교환 시킨 후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도록 마련된 메인팬; 및 상기 토출구 상에 마련되며, 일측이 상기 토출커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커버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하우징은 상기 토출구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토출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브리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브리지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브리지의 하부에 배치되며,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를 감싸며, 일측이 상기 토출커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커버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커버의 일측은 상기 토출커버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커버를 지지하는 상기 토출커버의 일부분은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커버의 상기 디스플레이가 안착되는 일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타측은 상기 하우징에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타측은 상기 하우징에 스냅 핏(snap fit)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제어하는 기류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토출구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타측은 상기 유입구의 일부분에 삽입되며 스냅 핏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는 중간 하우징과, 상기 중간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타측은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중간 하우징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토출구의 원주 방향을 따라 퍼지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외부기기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의디스플레이 유닛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천정에 지지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과 함께 흡입구 및 상기 흡입구와 인접하게 마련된 원형 형상의 토출구를 형성하는 토출커버;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켜 열교환 시킨 후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도록 마련된 메인팬; 및 상기 토출구 상에 마련되며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측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디스플레이 커버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커버의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 외측은 상기 하부 하우징에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커버의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 외측은 상기 하부 하우징에 스냅 핏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천정에 지지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흡입구 및 상기 흡입구와 인접하게 마련된 원형 형상의 토출구를 형성하는 토출커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켜 열교환 시킨 후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도록 마련된 메인팬; 및 상기 토출구 상에 마련되며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측은 상기 토출커버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토출커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커버의 외주면의 일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시켜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메인팬; 토출구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보조팬; 및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는. 보조팬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여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고; 제어되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복수 개의 광 패턴을 이용하여 표시하고, 제어부는, 복수 개의 광 패턴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 수평풍 또는 미드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한다.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광 패턴은 원형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발광부를 복수 개 구비하고, 복수 개의 발광부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제1발광부와,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제2발광부와,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과 수평풍의 중간인 미드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제3발광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광 패턴은 막대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발광부를 복수 개 구비하고, 복수 개의 발광부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제1발광부와,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제2발광부와,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과 수평풍의 중간인 미드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제3발광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는, 제1발광부 내지 제3발광부를 순차적으로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방향이 자동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한다.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는 복수 개이고, 디스플레이부는, 복수 개의 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는. 토출구의 일측에 마련되고,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복수 개의 광 패턴을 이용하여 표시한다.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설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운전 설정에 따라 보조팬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여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한다.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설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운전 설정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변경한다.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설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는. 운전 설정에 따라 변경되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표시한다.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는. 메인팬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여 토출되는 기류의 세기를 제어하고; 제어되는 토출 기류의 세기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는. 토출 기류의 세기를 복수 개의 광원을 이용하여 표시하고, 제어부는, 복수 개의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강풍, 중풍 또는 약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한다.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복수 개의 광원은, 원호 형상의 광 패턴을 형성한다.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복수 개의 광원은, 막대 띠 형상의 광 패턴을 형성한다.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설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운전 설정에 따라 메인팬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여 토출 기류의 세기를 제어한다.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설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운전 설정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토출 기류의 세기를 변경한다.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설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는. 운전 설정에 따라 변경되는 토출 기류의 세기를 표시한다.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와,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시켜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메인팬과, 토출구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보조팬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운전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운전 명령에 따라 보조팬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여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고; 제어되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운전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운전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의한 제어 방법의 토출 기류의 방향을 표시하는 것은, 토출구에 마련된 복수 개의 광 패턴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 수평풍 또는 미드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토출 기류의 세기를 설정하기 위한 운전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운전 명령에 따라 메인팬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여 토출 기류의 세기를 제어하고; 제어되는 토출 기류의 세기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토출 기류의 세기를 변경하기 위한 운전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운전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토출 기류의 세기를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의한 제어 방법의 토출 기류의 세기를 표시하는 것은, 토출구에 마련된 복수 개의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강풍, 중풍 또는 약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풍속 정보 및 풍향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팬과 보조팬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요구하는 방향으로 기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흡입 측의 먼지량 및 메인팬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보조팬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흡입 측에 먼지가 쌓여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줄어도 기류의 방향을 유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공조 성능도 유지시킬 수 있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냉방 운전 시 목표 온도에 도달하기 전까지 쾌속 모드로 운전하고, 목표 온도에 도달하면 일반 모드로 운전하여 기류가 상향하도록 함으로써 기류감 없이 목표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냉난방 운전 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를 흡입하여 열교환기로 가이드함으로써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냉난방 운전 시 재실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보조팬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이 재실자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공조 공기가 재실자에게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상 운전 시 보조팬을 이용하여 토출되는 냉기를 흡입함으로써 냉기가 실내 공간의 재실자에게 도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쾌적성을 확보한다.
토출부에 블레이드가 마련되고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토출 기류를 제어하던 종래의 구조에 비해,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블레이드 구조 없이도 토출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에 의한 방해가 없으므로 토출량이 증대되고 유동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종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토출부는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직선 형상을 가질 수 밖에 없었으나,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토출부는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 및 열교환기 등도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어서,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제1팬의 형태가 원형인 점을 감안하면 기류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압력 손실이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냉방 또는 난방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 공조 공간으로 토출되는 토출 기류를 다양한 형태로 제어할 수 있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내기의 토출 기류를 순환 제어함으로써 실내기를 회전시키지 않고도 실내기가 회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을 하우징에 고정할 수 있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간단한 구조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유닛을 하우징으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유닛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블레이드 없이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블레이드에 의한 방해가 없으므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여 공기 조화기의 성능이 향상되고, 난류에 의한 유동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램프나 LED 등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사용자가 기류의 방향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기류의 방향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뿐 아니라 기류의 세기 및 운전 상태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의 예시도로서,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멀티형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의 구성도이다.
도 2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1 예시도이다.
도 3는 도 2에 나타낸 실내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은 도 3의 Ⅰ-Ⅰ선에 따른 평단면도이다.
도 5은 도 3의 Ⅱ-Ⅱ선에 따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점선 원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는 또 다른 기류 조절부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기류 조절부의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9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10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순서도의 일 예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풍속 정보와 풍향 정보에 따른 제 2 팬의 회전수 설정의 예시도이다.
도 12, 도 13, 도 14a, 도16b 및 도 15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쾌속 모드 시의 기류 조절 예시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순서도의 다른 일 예이다.
도 17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 2 팬의 회전수 가변 제어를 통한 가변 기류 패턴의 형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 2 팬의 온/오프 가변 제어를 통한 가변 기류 패턴의 형성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상 운전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20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상 운전 시 기류 조절의 예시도이다.
도 2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22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마련된 기류 조절부의 예시도이다.
도 24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26 및 도 2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마련된 실내기 내의 공기 흐름의 예시도이다.
도 28 및 도 29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2 예시도이다.
도 30 및 도 3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3 예시도이다.
도 32 및 도 3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4 예시도이다.
도 34 및 도 3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5 예시도이다.
도 36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블레이드의 상태 및 그에 따른 토출 기류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마련되는 복수의 블레이드의 스윙/고정 가변 제어를 통한 가변 기류 패턴의 형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마련되는 복수의 블레이드의 개방/폐쇄 가변 제어를 통한 가변 기류 패턴의 형성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순환 기류 모드의 작용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41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하부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42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하부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4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4은 도 41에 표시된 Ⅱ-Ⅱ선에 따른 측 단면도이다.
도 45는 도 44에 표시된 'O'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48은 도 41에 표시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의 일 예이다.
도 49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50은 도 41에 표시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의 다른 일 예이다.
도 51은 도 41에 표시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의 또 다른 일 예이다.
도 52은 도 41에 표시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의 또 다른 일 예이다.
도 53은 도 40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4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5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가 없는 공기 조화기에서 토출 기류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도시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56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가 토출 기류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7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가 토출 기류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8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9은 일 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가 없는 공기 조화기에서 토출 기류의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도시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60a 및 도 60b는 일 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가 없는 공기 조화기에서 토출 기류의 방향 및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제1 제어 알고리즘을 도시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61a 및 도 61b는 일 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가 없는 공기 조화기에서 토출 기류의 방향 및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제2 제어 알고리즘을 도시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62a 및 도 6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가 없는 공기 조화기에서 토출 기류의 방향 및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제3 제어 알고리즘을 도시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63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막대 띠 형상의 광 패턴으로 구현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4은 토출 기류의 방향을 5개 이상의 원형 띠 형상으로 구현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5은 토출 기류의 방향을 5개 이상의 막대 띠 형상으로 구현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6은 토출 기류의 방향 및 세기를 막대 띠 형상의 광 패턴으로 구현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게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며,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의 추가적인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컨대, FPGA / ASIC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게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멀티형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형 공기 조화기(1)는 복수의 공조 공간을 냉방하기 위한 냉방 운전 및 복수의 공조 공간을 난방하기 위한 난방 운전이 모두 가능한 기기이다. 멀티형 공기 조화기(1)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100)와 복수의 실내기(200a)(200b)를 포함한다.
실외기(100)는 압축기(110), 실외 열 교환기(120), 팽창 밸브(130), 실외용 팬(140), 제1 검출부(150), 사방 밸브(160), 어큐뮬레이터(170) 및 오일 분리기(180)를 포함한다. 복수의 실내기(200a)(200b) 각각은 실내 열 교환기(210)와 메인팬(220), 보조팬(230), 제2 검출부(240)를 포함한다. 실외기(100)와 복수의 실내기(200a)(200b) 사이에는 냉매관이 연결되는데, 이 냉매관을 통해 냉매가 순환한다.
압축기(110)는 냉매를 압축하고 압축된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를 토출한다. 예를 들어, 냉방 운전 시에 압축기(100)는 실외 열 교환기(120)로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를 토출한다.
실외 열 교환기(120)는 냉매와 실외 공기 사이의 열 교환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냉방 운전 시, 실외 열 교환기(120)는 압축기(110)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열 방출을 통해 응축시킨다. 이때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가 고온고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로 상 전환된다.
팽창 밸브(130)는 제1 팽창 밸브(131)와 제2 팽창 밸브(132)를 포함한다.
제1 팽창 밸브(131) 및 제2 팽창 밸브(132)는 실외 열 교환기(120)에서 공급된 냉매를 제1 분배관을 통해 분배하여 제1 실내기(200a)와 제2 실내기(200b)에 각각 공급한다. 여기서, 제1 팽창 밸브(131) 및 제2 팽창 밸브(132)는 제1 실내기(200a) 및 제2 실내기(200b)에 공급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개도 조절이 가능한 유량 조절 밸브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제1 팽창 밸브(131)는 실외 열 교환기(120)와 제1 실내기(200a)의 실내 열 교환기(210) 사이에 연결되어 제1 실내기(200a)에 공급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고, 제2 팽창 밸브(132)는 실외 열 교환기(120)와 제2 실내기(200b)의 실내 열 교환기(210) 사이에 연결되어 제2 실내기(200b)에 공급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냉방 운전 시, 팽창 밸브(130)는 실외 열 교환기(120)로부터 유입된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강하시킨다. 다시 말해, 팽창 밸브(130)를 통과한 냉매는 고온고압의 액체 상태에서 저온저압의 액체 상태로 변화한다. 이러한, 팽창 밸브(130)의 팽창 작용은 복수의 실내기(200a)(200b)의 열 교환기(210)에서 냉매의 증발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압력과 온도가 강하된 냉매는 실내 열 교환기(210)에 전달된다. 여기서, 팽창 밸브(130)는 모세관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실외용 팬(140)은 실외 열 교환기(120)의 일측에 마련되며, 열 교환을 보조하기 위하여 팬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실외 열 교환기(120) 주변의 공기를 강제 송풍한다.
제1 검출부(150)는 실외 열 교환기(120)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 온도 검출부(151)와, 실외기(100) 주변의 실외 온도를 검출하는 제2 온도 검출부(15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온도 검출부(151)는 실외 열 교환기(120)의 출력 측에 마련될 수도 있고, 실외 열 교환기(120)의 입력 측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실외 열 교환기(120)의 중간에 마련될 수도 있다.
실외기(100)는 제1 실내기(200a)와 제2 실내기(200b)에서 각각 공급된 냉매를 모아 압축기(110)에 공급하는 제2 분배관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분배관 및 제2 분배관 대신 밸브를 가진 분배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사방 밸브(160)는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에 따라 냉매의 흐름 방향을 전환하는 유로 절환 밸브이다. 난방 운전 시 사방 밸브(160)는 압축기(110)에서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를 제1 실내기(200a) 및 제2 실내기(200b)로 안내하고 실외 열 교환기(120)의 저온저압의 냉매를 어큐뮬레이터(15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실외 열 교환기(120)는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제1 실내기(200a)의 제1 실내 열 교환기(210) 및 제2 실내기(200b)의 제2 실내 열 교환기(210)는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사방 밸브(160)는 냉방 운전 시 압축기(110)에서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를 실외 열 교환기(110)로 안내하고 제1 실내기(200a) 및 제2 실내기(200b)의 저온저압의 냉매를 어큐뮬레이터(15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실외 열 교환기(120)는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제1 실내기(200a) 및 제2 실내기(200b)는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어큐뮬레이터(170)는 압축기(110)의 흡입측에 배치되어 복수의 실내기(200a)(200b)에서 압축기(110)로 유입되는 냉매 중에서 기화되지 않은 액체 상태의 냉매를 분리하여 액체 상태의 냉매가 압축기(110)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압축기(110)의 손상이 방지된다.
오일 분리기(180)는 압축기(110)의 토출 냉매의 증기 중에 혼입되어 있는 오일을 분리하여 압축기(110)로 되돌려 준다. 이로써, 실외 열 교환기(120) 및 실내 열 교환기(210)의 표면에 유막이 형성되어 전열 효과가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고, 압축기(110) 내에 윤활유 부족이 생기게 되어 윤활 작용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공기 조화기(1)는 실외기(100)의 냉매관과 제 1 실내기(200a) 및 제 2 실내기(200b)의 냉매관을 연결하는 연결 밸브(v1)(v2)(v3)(v4)를 더 포함한다.
제1 실내기(200a)와 제2 실내기(200b)는 서로 동일한 기기로, 제1 실내기(200a)와 제2 실내기(200b)는 실내 열 교환기(210)와 메인팬(220), 보조팬(230), 복수의 온도 검출부(240)를 각각 포함한다.
제1 및 제2 실내기(200a)(200b)의 실내 열 교환기(210)는 각각 공조 공간에 배치된다. 냉방 운전 시, 실내 열 교환기(210)는 제1 및 제2 팽창 밸브(131)(132)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의 증발에 의한 열 흡수를 통해 공조 공간의 공기와의 열 교환을 수행한다. 이때 저온저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가 저온저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로 상 전환된다.
메인팬(220)은 실내 열 교환기(210)의 내부에 위치한다. 메인팬(220)은 제1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공조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실내 열 교환기(210)에서 열 교환된 공기를 공조 공간으로 강제 송풍한다.
보조팬(230)은 실내 열 교환기(210)의 내부에 위치한다. 보조팬(230)은 제2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공조 공간으로 토출되는 공기 중의 일부를 흡입함으로써 공조 공간으로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조절한다.
제2 검출부(240)는 실내 열 교환기(210)에 연결된 냉매관 중에서 실내 열 교환기(210)의 입구에 연결된 냉매관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3 온도 검출부(241)와, 실내 열 교환기(210)에 연결된 냉매관 중에서 실내 열 교환기(210)의 출구에 연결된 냉매관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4 온도 검출부(242), 실내기(200)의 내부에 마련되어 공조 공간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5 온도 검출부(2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3 온도 검출부(241) 및 제4 온도 검출부(242)에 의해 검출되는 실내 열 교환기(210)의 입출구의 온도는 과열도 제어 또는 과냉각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난방 운전 시 공기 조화기(1)는 사방 밸브(160)의 유로를 전환하여 압축기(110)에서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를 실내 열 교환기(210)로 안내하고, 실내기(200a)(200b)의 저온저압의 냉매를 어큐뮬레이터(170)로 안내한다. 이때, 실외 열 교환기(120)는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실내 열 교환기(210)는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난방 운전 중 실외 열교환기의 표면에 응축수가 맺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 실외 열교환기의 서리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상 모드는 냉방 운전을 위한 사이클로 운전을 하여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실외 열교환기에서 방출된 열에 의해 실외 열교환기의 서리를 제거하는 모드이다.
공기 조화기는 냉방 운전, 난방 운전, 운전 모드에 기초하여 실내기와 실외기를 제어하는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모듈의 구성을 추후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200) 또는 원격 조정기(미도시)에 마련되고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고 운전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조정기는 유선형 또는 무선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냉방과 난방이 가능한 멀티형 공기 조화기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냉방과 난방이 가능한 멀티형 공기 조화기는 공기 조화기의 예시에 불과하며, 냉방만 가능한 싱글형 공기 조화기 또는 냉방과 난방이 가능한 싱글형 공기 조화기가 배제되지 않는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00-1)의 제 1 예시도로서, 원형으로 형성되고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실내기의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0-1)는 적어도 일부분이 천장(C)에 매립된 채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실내기(200-1)는 흡입부(250a)와 토출부(250b)를 갖는 하우징(250)을 포함한다. 이때, 하우징(250)은 천장 면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진다. 또한, 하우징(250)은 천장(C)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하우징(251)과, 제1 하우징(251)의 아래에 결합되는 제 2 하우징(252), 제2 하우징(252)의 아래에 결합되는 제 3 하우징(253)을 포함한다.
제 3 하우징(253)의 중앙부에는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흡입 홀이 형성된 흡입부(250a)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부(250a)에는 흡입부(250a)로 흡입되는 공기 내의 먼지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254)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부(250a)의 외측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복수 개의 토출 홀이 형성된 토출부(250b)가 마련될 수 있다. 토출부(250b)는 천장 면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는 도 2에 나타낸 실내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하우징(253)의 저면에는 흡입부(250a)로 흡입되는 공기 내의 먼지를 걸러내기 위한 필터부(254)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3 하우징(253)은 토출부(250b)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코안다 곡면부(253a)를 가질 수 있다. 토출부(250b)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코안다 곡면부(253a)의 표면을 따라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해 공기의 토출 방향이 코안다 곡면부(253a)의 표면 형태에 의해 결정된다. 다시 말해, 코안다 곡면부(253a)의 경사를 완만하게 하면 기류의 토출 각도 역시 완만하고, 반대로 코안다 곡면부(253a)의 경사를 급하게 하면 기류의 토출 각도 역시 커진다.
이러한 구조의 실내기(200-1)는 공조 공간의 공기를 하측에서 흡입하여 열 교환한 후에 다시 하측으로 토출한다. 이때 실내기(200-1)는 필터부(254)를 통해 먼지가 걸러진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200-1)는 토출부(250b)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가 코안다 곡면부(253a)에 밀착되어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실내기(200-1)는 하우징(250)의 내부에 마련되는 실내 열 교환기(210)와 공기를 유동시키는 메인팬(220) 및 보조팬(230), 유로부(260)를 포함한다.
실내 열 교환기(210)는 하우징(250) 내부에 마련되는 트레이(255)에 놓여질 수 있다. 이 트레이(255)는 실내 열 교환기(21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한다. 이러한 실내 열 교환기(210)는 천장 면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은 도 3의 Ⅰ-Ⅰ선에 따른 평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열 교환기(210)는 냉매가 유동하는 튜브(212)와, 외부의 냉매관에 연결되어 튜브(212)에 냉매를 공급하거나 회수하는 헤더(211)를 포함한다. 튜브(212)에는 방열 면적을 확대하도록 열 교환 핀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212)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팬(220)은 실내 열 교환기(210)의 반경 방향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메인팬(220)은 회전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원심 팬일 수 있다. 실내기(200-1)는 메인팬(22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모터(도 3의 22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200-1)는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기류 조절부(AP)(도 3의 230, 260 참조)를 더 포함한다. 기류 조절부(AP)는 하우징 내부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거나,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기류 조절부(AP)가 120도의 각도로 3개가 마련되는 경우이다.
기류 조절부(AP)는 토출부(250b) 주변의 공기를 흡입할 시에 토출되는 기류의 진행 방향의 일 측 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기류 조절부(AP)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팬(230)과 유로부(260)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팬(23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2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은 도 3의 Ⅱ-Ⅱ선에 따른 평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팬(230)은 토출부(250b)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생성한다. 또한, 흡입력에 의해 주변의 공기가 흡입되며, 공기의 압력이 변화된다. 나아가, 보조팬(230)은 토출부(250b)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의 패턴을 변화시켜서 다양한 형태의 기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유로부(260)는 흡입된 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한다. 즉 유로부(260)는 흡입된 공기의 흐름을 안내한다.
복수의 보조팬(230)은 동일한 구조로, 하나의 보조팬(23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보조팬(230)으로 원심 팬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 사양에 따라 축류 팬, 횡류 팬, 사류 팬 등 다양한 팬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점선 원 부분(O)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팬(230)은 케이스(232) 내에 배치되고, 제2 모터(221)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따라 회전수가 조절된다. 이와 같은 보조팬(230)은 회전을 통해 토출부(250b)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보조팬(230)은 토출부(250b)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함으로써 토출 기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은 토출 기류의 각도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로부(260)는 토출부(250b)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 홀이 형성되는 유입부(260a)와, 흡입한 공기를 토출시키는 유출 홀이 형성되는 유출부(260b)를 연결하는 유로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입부(260a)는 제 3 하우징(253)의 코안다 곡면부(253a)에 형성될 수 있고, 유출부(260b)는 유입부(261)의 반대측의 토출부(250b) 주변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출부(260b)는 케이스(232)에 형성될 수 있다.
유로부(260)는 하우징(250)의 외측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유입부(260a)에 연통되는 제1 유로(261)와, 제1 유로(261)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유로(262), 케이스(232)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3 유로(26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부(260a)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제1 유로(261)와 제2 유로(262), 제3 유로(263)를 거쳐 유출부(260b)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기류 조절부(AP)는 흡입한 공기를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A1)의 반대 측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고, 토출 기류의 각도를 더 크게 할 수 있으며, 기류 조절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 조절부(AP)의 복수의 보조팬(230)이 작동하지 않을 때의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이 A1 방향이라면, 기류 조절부(AP)의 복수의 보조팬(230)이 작동하여 A1 방향의 일 측방에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을 A2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팬(23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량에 따라 토출되는 기류의 전환되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보조팬(23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량을 크게 하면 토출 기류의 각도가 작은 각도로 전환되고, 보조팬(23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량을 작게 하면 토출 기류의 각도가 큰 각도로 진행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토출 기류의 각도는 천장 면을 기준으로 한다. 즉 토출 기류의 각도는 천장 면과 평행한 수평 방향이 0도이고, 천장 면에 수직한 방향(즉 법선 방향)이 90도이다.
기류 조절부(AP)는 흡입한 공기를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A1)의 반대 측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로써, 토출 기류의 각도를 더 크게 할 수 있으며, 기류 제어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기류 조절부(AP)의 보조팬(230)은 토출부(250b)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토출 기류가 토출부(250b)의 반경 방향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넓게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00-1)는 토출부의 블레이드 구조 없이도 토출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토출부에 블레이드가 마련되고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토출 기류를 제어했지만,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는 실내기의 토출부에 블레이드를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토출 기류의 형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토출 기류의 형태는 토출 기류의 방향과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에 의한 방해가 없으므로 토출량이 증대되고 유동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종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토출부는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직선 형상을 가질 수 밖에 없었으나,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토출부는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 및 열 교환기 등도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어서,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제 1 팬의 형태가 원형인 점을 감안하면 기류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압력 손실이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냉방 또는 난방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유로부(260)의 구조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유로부(260)는 유입부(260a)와 유출부(260)를 연결하기만 하면 충분하고 그 구조, 형상, 배치에는 한정이 없다.
이와 관련하여 기류 조절부(AP)의 변형 예를 도 7 및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는 또 다른 기류 조절부(AP1)의 예시도이다. 아울러 앞서 설명한 도 2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00-1)의 기류 조절부(AP1)는 토출부(250b) 주변에서 흡입한 공기를 토출부(250b) 측으로 토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250)의 내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기류 조절부(AP1)는 토출부(250b) 주변에서 흡입한 공기를 기류 진행 방향에 따른 실내 열 교환기(210)의 상류 측으로 토출시킨다. 이렇게 토출된 공기는 실내 열 교환기(210)를 거쳐 다시 열 교환된 후에 토출부(250b)를 통해 최종적으로 실내 공간으로 토출된다.
보조팬(230)은 케이스(232) 내에 배치되고, 제2 모터(221)에서 전달된 구동력에 따라 회전수가 조절된다. 이러한 보조팬(230)은 회전에 의해 토출부(250b)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보조팬(230)은 토출부(250b)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함으로써 토출 기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한다는 것은 토출 기류의 각도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로부(260)는 제3 하우징(253)에 형성되고 토출부(250b) 주변에서 흡입한 공기를 하우징(250)의 내부로 토출시키도록 토출부(250b)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부(260a)와, 하우징(250)의 내부에 형성되고 흡입한 공기를 토출시키는 유출부(260b)를 포함한다.
유로부(260)는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유입부(260a)에 연통되는 제1 유로(261)와, 제1 유로(261)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유로(262), 케이스(232)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3 유로(263), 제3 유로(263)에서 하우징(250)의 내부로 연장되고 유출부(260b)에 연통되는 제4 유로(264)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입부(260a)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제1 유로(261)와 제2 유로(263), 제3 유로(263), 제4 유로(264)를 거쳐 유출부(260b)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기류 조절부(AP2)의 예시도이다. 아울러 앞서 설명한 도 2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 조절부(AP2)는 토출부(250b)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지 않고, 반경 방향 내측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보조팬(230)은 케이스(232) 내에 배치되고, 제2 모터(221)에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수가 조절된다. 보조팬(230)은 회전에 의해 토출부(250b)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 2 팬(230)은 토출부(250b) 주변의 공기의 흡입함으로써 토출 기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한다는 것은 토출 기류의 각도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로부(260)는 토출부(250b)의 반경 방향 내측, 즉 필터부(234)가 장착된 제3 하우징의 면(253b)에 마련되고 토출부(250b)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부(260a)와, 유입부(260a)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실내 열 교환기(210) 측으로 전달하는 유출부(260b)를 포함한다. 또한 유로부(260)는 유입부(260a)에 연통되는 제1 유로와, 제1 유로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동시에 유출부(260b)에 연통되는 제2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류 조절부(AP2)가 토출부(250b)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공기를 흡입하므로 토출 기류가 토출부(250b)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반경 방향 중심부 측으로 집중될 수 있다.
도 9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9에 나타낸 공기 조화기는 싱글형 난방용 공기조화기와 싱글형 냉방용 공기조화기, 싱글형 냉난방용 공기조화기, 멀티형 난반용 공기조화기, 멀티형 냉방용 공기 조화기 및 멀티형 냉난방용 공기조화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실내기는 원형의 천장형 실내기, 사각형의 천장형 실내기, 벽걸이형 실내기 및 스탠드형 실내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공기 조화기는 실외기(100)와 실내기(200)를 포함하며,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100)와 실내기(200)는 서로 통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서로의 정보, 즉 실외기(100)의 정보 및 실내기(200)의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와 같은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100)는 제1 검출부(150), 압축기 및 팽창 밸브 등과 같은 각종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구동 모듈(190)을 포함한다. 또한, 실내기(200)는 제2 검출부(240), 입력부(270), 표시부(280), 메인팬(220)과 보조팬(230) 등의 각종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제2 구동 모듈(290)을 포함한다.
실외기의 구성 요소와 실내기의 구성 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동일한 이름의 구성 요소에 있어서 실외기의 구성 요소에 '제 1'을 부여하여 구분하고, 실내기의 구성 요소에 '제 2'를 부여하여 구분한다.
먼저, 실외기(100)의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제1 검출부(150)는 실외 열 교환기(120)에 흐르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 온도 검출부(151)와, 실외 온도를 검출하는 제2 온도 검출부(152)를 포함한다. 제1 온도 검출부(151)와 제2 온도 검출부(152)에서 검출된 온도 정보는 제상 모드의 시작과 종료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제1 구동 모듈(190)은 실내기(200)에서 전송된 실내의 부하 정보, 운전 모드, 동작 모드와, 실외기(100)에서 검출된 실외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실외 부하(110)(130)(140)(160)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제1 제어부(191)와 제1 저장부(192), 제1 통신부(193), 제1 구동부(194)를 포함한다.
제1 제어부(191)는 실내기(200)에서 전송한 운전 명령이 수신되면 압축기(110)의 온/오프와 회전수, 팽창 밸브(130)의 개도 및 실외용 팬(140)의 회전수 등을 제어한다. 여기서, 운전 명령은 운전 모드 및 동작 모드를 포함하고, 실내의 부하 정보를 포함한다.
운전 모드는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를 포함하고, 동작 모드는 일반 모드, 쾌속 모드 및 순환 기류 모드를 포함하며, 실내의 부하 정보는 실내의 목표 온도 및 실내의 검출 온도를 포함한다. 아울러,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이 모두 가능한 경우, 제1 제어부(191)는 운전 모드가 난방 운전인지 냉방 운전인지 확인하여 사방 밸브(160)의 유로의 개방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냉방 운전이 입력되면 제1 제어부(191)는 사방 밸브(160)의 유로 개방을 조정하고, 압축기(110), 팽창 밸브(130) 및 실외 팬(140)을 제어하여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써 공조 공간의 냉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난방 운전이 입력되면 제1 제어부(191)는 사방 밸브(170)의 유로 전환을 제어하고, 압축기(110)와 팽창 밸브(130) 및 실외 팬(140)을 제어하여 냉매의 흐름을 전환시킴으로써 실내 공간의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1 제어부(191)는 난방 운전 시 제1 검출부에 검출된 온도 정보 및 압축기의 운전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상 운전의 시작 시점을 판단하고, 제상 운전의 시작 시점이라고 판단되면 제상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상 운전은, 사방 밸브(160)의 유로를 전환 제어하여 제상 사이클(냉방 사이클과 동일)로 냉매가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고, 또는 실외 열교환기에 인접하게 설치된 가열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저장부(192)는 운전 명령에 대응하는 압축기(110)의 회전수, 팽창 밸브(130)의 개도 및 실외용 팬(140)의 회전수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제1 저장부(192)는 제상 운전의 시작 시점을 판단하기 위한 압축기의 운전 시간 정보, 실외 온도별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 정보를 저장하고, 제상 운전 시 보조팬의 회전수 정보를 저장하며, 제상 운전의 종료 시점을 판단하기 위한 실외 온도별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 정보 또는 제상 운전의 시간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제상 운전 시 보조팬의 회전수는, 제상 운전 직전 난방 운전 중의 메인팬의 회전수별로 각각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93)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1 통신부(193)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200)에서 전송한 실내의 부하 정보 및 운전 명령을 수신하여 제 1 제어부(191)에 전송하고, 제상 운전의 정보를 실내기(200)에 전송한다.
제1 구동부(194)는 제1 제어부(191)의 명령에 기초하여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압축기 구동부(194a)와, 제1 제어부(191)의 명령에 기초하여 각종 밸브를 구동시키는 밸브 구동부(194b)를 포함한다. 압축기 구동부(194a)는 압축기에 마련된 모터를 회전시키는 인버터 구동부일 수 있다. 여기서, 각종 밸브는 적어도 하나의 팽창 밸브 및 사방 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실내기(2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이다.
제2 검출부(240)는 실내 공간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243)를 포함한다.
제3 검출부(244)는 실내 공간의 사용자의 유무 및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러한 제3검출부(244)는 인체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인체감지 센서는, 근적외선 센서, 적외선 센서, 이미지 센서 등과 같이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4 검출부(245)는 하우징의 흡입부에 마련된 필터부의 먼지량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한다.
이 센서는, 먼지량을 간접적으로 검출하는 제1 모터(221)의 전류 검출부일 수 있다. 즉 전류 검출부는 메인팬(220)의 제1 모터(221)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실내기(200)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메인팬(220)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1 모터(221)에 부하가 달라질 수 있고, 이때 전류 검출부는 제1 모터(221)의 부하를 검출하기 위해 제1 모터(221)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센서는, 먼지량을 직접적으로 검출하는 광 검출부 또는 풍압 검출부일 수 있다. 풍압 검출부는 메인팬(220)에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검출한다. 즉 필터부의 먼지량에 따라 메인팬(22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풍압 검출부는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검출하는 것이다.
입력부(270)는 사용자로부터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의 운전 모드, 일반 모드, 쾌속 모드 및 순환 기류 모드의 동작 모드, 실내의 목표 온도,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를 제2 제어부(291)에 전달한다.
표시부(280)는 운전 모드, 동작 모드, 풍향, 풍속, 실내의 목표 온도, 현재 실내의 검출 온도 정보 등을 표시한다.
제2 구동 모듈(290)은 입력부(270)에 입력된 정보 및 제2 검출부(240)/제3 검출부(244)/제4 검출부(245)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팬(220) 및 보조팬(230)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으로, 제2 제어부(291), 제2 저장부(292), 제2 통신부(293), 제2 구동부(294)를 포함한다.
제2 제어부(291)는 입력부(270)에 입력된 정보 및 제2 통신부(293)에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팬(220) 및 보조팬(230)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반 모드가 선택되면 제2 제어부(291)는 기준 풍속 및 기준 풍향의 기류가 토출되도록 메인팬(220) 및 보조팬(230)을 제어한다. 일반 모드 시 풍속 정보 및 풍향 정보가 입력되면 제2 제어부(291)는 입력된 풍속 정보에 대응하는 메인팬(220)의 회전수를 확인하고, 풍향 정보에 대응하는 기류 각도를 확인하며, 확인된 메인팬(220)의 회전수와 기류 각도에 기초하여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이로써, 제2 제어부(291)는 토출부(250b)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하고 토출 기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팬(230)의 회전수는, 메인팬(220)의 회전수와 기류 각도의 함수에 기초하여 획득된 값이거나, 메인팬(220)의 회전수 별 기류 각도 획득을 위한 실험에 의해 미리 획득되어 저장된 값일 수 있다.
쾌속 모드 또는 순환 기류 모드가 선택되면 제2 제어부(291)는 메인팬(220)을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제어하고,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제1 구간에서 보조팬(230)의 온/오프하거나 회전수를 반복적으로 가변 제어한다. 또한,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한 이후의 제2 구간에서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제어한다. 즉, 제2 제어부(292)는 제1 구간에서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제1 회전수와, 제1 회전수보다 높은 제2 회전수로 주기적으로 반복 제어한다.
또한, 제2 제어부(292)는 제1 구간에서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제1 회전수와,1 회전수보다 높은 제2 회전수와, 제2 회전수보다 높은 제3 회전수로 주기적으로 반복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2 제어부(292)는 제1 구간에서 보조팬(230)의 구동을 반복적으로 온/오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제어부(291)는 메인팬(220)을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제어하고,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가 사용자에게 도달하도록 보조팬(220)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특히, 제2 제어부(291)는 제3 검출부(244)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유무 및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실내 공간 내의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류 각도를 확인하며, 메인팬(220)의 회전수 및 기류 각도에 대응하는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확인하고,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확인된 회전수로 제어한다.
제상 운전의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제어부(291)는 메인팬(220)의 구동을 정지 제어하고, 보조팬(230)을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제상 운전 시, 제2 제어부(291)는 제상 운전 직전의 난방 운전 중의 메인팬(220)의 회전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메인팬(220)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상 운전 시, 제2 제어부(291)는 메인팬(220)의 구동을 정지 제어하고, 제3 검출부(244)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유무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보조팬(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상 운전 시 제2 제어부(295)는 실내 공간에 사용자가 없다고 판단되면 보조팬(230)을 정지 제어하고, 실내 공간에 사용자가 있다고 판단되면 보조팬(230)을 동작시킨다. 이를 통해 제상 운전 시 보조팬(230)의 동작에 따른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91)는 운전 명령이 입력되면 최초 운전 명령인지 판단하고, 최초 운전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제4 검출부(245)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부의 먼지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필터부의 최초 먼지량인 제1 먼지량의 저장을 제어한다. 또한, 제2 제어부(291)는 최초 운전 명령이 아니면 운전을 수행하면서 일정 주기로 필터부의 제2 먼지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제1 먼지량과 제2 먼지량에 기초하여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보상 제어한다.
제2 제어부(291)는 운전 명령이 입력되면 최초 운전 명령인지 판단하고, 최초 운전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모터(221)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제1 전류의 저장을 제어한다. 또한, 제2 제어부(297)는 최초 운전 명령이 아니면 운전을 수행하면서 일정 주기로 제1 모터(221)의 전류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1전류와 제2전류에 기초하여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보상 제어한다.
제2 제어부(291)는 최초 운전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모터(221)를 최대 회전수로 회전시키기 위한 PWM의 듀티비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1 듀티비의 저장을 제어한다. 또한, 제2 제어부(291)는 최초 운전 명령이 아니면 운전을 수행하면서 일정 주기로 제1 모터(221)를 최대 회전수로 회전시키기 위한 PWM의 듀티비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2 듀티비와 제1 듀티비에 기초하여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보상 제어한다. 즉 메인팬(220)의 제1 모터(221)는 필터부의 먼지량에 따라 최대 회전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모터(221)에 인가되는 PWM 신호의 듀티비가 상이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91)는 입력부(270)에 입력된 정보 및 제2 검출부(240)에 검출된 정보를 제2 통신부(253)를 통해 실외기에 전송하도록 제2 통신부(293)를 제어한다. 제2 제어부(291)는 실외기(100)로부터 온도 정보, 즉 실외의 온도 및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실외의 온도 및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에 기초하여 제상 운전의 시작 시점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고, 실외기(110)로부터 압축기의 운전 시간을 수신하여 제상 운전의 시작 시점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저장부(292)는 일반 모드 시 기준 풍속 및 기준 풍향에 대한 메인팬(220)의 기준 회전수 및 보조팬(220)의 기준 회전수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메인팬(220)의 기준 회전수와 보조팬(220)의 기준 회전수는 운전 모드 별로 상이하거나 또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 저장부(292)는 일반 모드 시, 메인팬(220)의 풍속별 회전수 정보를 저장하고, 풍향별 기류 각도 정보를 저장한다. 아울러 제2 저장부(292)는 메인팬(220)의 회전수와 기류 각도에 기초한 보조팬(230)의 회전수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저장부(292)는 쾌속 모드 또는 순환 기류 모드 시, 미리 설정된 제1 구간의 메인팬(220)의 제어 정보 및 보조팬(230)의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미리 설정된 제2 구간의 메인팬(220)의 제어 정보 및 보조팬(230)의 제어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제어 정보는 회전수 제어 정보와 온/오프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구간의 메인팬(220)의 회전수와 제2 구간의 메인팬(220)의 회전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구간의 보조팬(230)의 회전수는 주기적으로 증가 및 감소를 반복하는 회전수일 수 있다. 제1 구간의 보조팬(230)의 회전수는 제1 회전수와, 제2 회전수보다 높은 제 2 회전수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구간의 보조팬(230)의 회전수는 제2 회전수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구간의 보조팬(230)의 회전수는 제1 회전수와, 제1 회전수보다 높은 제2 회전수와, 제2 회전수보다 높은 제3 회전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상 운전 시, 제2 저장부(292)는 미리 설정된 보조팬의 회전수 정보를 저장한다. 아울러, 제2 저장부(292)는 제상 운전 시작 전의, 난방 운전 중의 메인팬(220)의 회전수별 보조팬(230)의 회전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저장부(292)는 일반 모드 시 풍속별 메인팬의 회전수 정보를 저장하고, 풍향별 기류 각도 정보를 저장한다. 아울러 제2 저장부(292)는 최초 운전 시의 제1 듀티비, 제1 전류 또는 제1 먼지량을 저장한다. 여기서 제1 먼지량은, 광량 정보, 풍압 정보 또는 전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저장부(292)는 제1 먼지량과 제2 먼지량에 대응하는 보조팬(230)의 회전수의 보상값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저장부(298)는 제1 듀티비와 제2 듀티비에 대응하는 보조팬(230)의 회전수의 보상값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저장부(298)는 제1 전류와 제2 전류에 대응하는 보조팬(230)의 회전수의 보상값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통신부(293)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2 통신부(293)는 실외기(100)에서 전송한 제상 운전의 정보를 제2 제어부(291)에 전송한다. 제2 통신부(293)는 실내의 부하 정보 및 운전 명령을 수신하여 실외기의 제1 제어부(191)에 전송한다.
제2 구동부(294)는 제2 제어부(291)의 명령에 기초하여 실내기에 마련된 각종 부하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은 제 2 구동부(294)는 메인팬(220)의 제1 모터(221)를 구동시키는 메인팬 구동부(294a)와, 보조팬(230)의 제2 모터(231)를 구동시키는 제 2 팬 구동부(294b)를 포함한다.
실외기(100)의 제1 제어부(191)와 실내기(200)의 제2 제어부(292)는 프로세서, CPU, MCU 등일 수 있다.
실외기(100)의 제1 저장부(192)와 실내기(200)의 제2 저장부(292)는 기록 및 판독이 가능한 RAM(random access memory)과, S램(S-RAM), D랩(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일 예이다. 도 10를 통해 냉방 운전 시의 일반 모드와 쾌속 모드의 제어 순서를 설명한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200)의 입력부(270) 또는 원격 조정기(미도시)를 통해 전원 온 신호가 입력되면 운전 모드를 확인한다. 만약 운전 모드가 냉방 운전이면 압축기(110)를 구동시키고 팽창 밸브(130)를 개방시킴으로써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냉매가 실외 열 교환기(120) 및 팽창 밸브(130)를 통해 실내 열 교환기(210)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공기 조화기는 냉방 사이클로 냉매가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냉방 운전을 수행한다. 아울러 공기 조화기는 사방 밸브(160)가 마련된 경우 냉방 운전이 수행되도록 사방 밸브(160)의 유로 제어를 수행한다.
공기 조화기는 냉방 운전을 다양한 동작 모드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사용자로부터 동작 모드가 선택되기 전에는 전원이 온 되기 전에 수행된 동작 모드를 수행하거나, 디폴트 동작 모드(즉 일반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모드는 일반 모드와 쾌속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의 입력부(270) 또는 원격 조정기(미도시)를 통해 동작 모드가 입력되면 입력된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인지, 쾌속 모드인지를 확인한다(301).
만약 확인된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이면(301의 '예'), 공기 조화기는 풍속 정보 및 풍향 정보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302).
만약 입력된 풍속 정보 및 풍향 정보가 없으면(302의 '아니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00)는 메인팬(220)과 보조팬(230)을 모두 각각의 미리 정해진 기준 회전수로 회전시킨다(303).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메인팬(220)을 미리 정해진 기준 회전수로 회전시켜서 공조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열 교환한 후 토출부(250b)를 통해 기준 풍속으로 토출한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00)는 보조팬(230)을 미리 정해진 기준 회전수로 회전시켜 토출부(250b)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에 흡입력을 인가함으로써 기류의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보조팬(230)의 회전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는 유로부(260)를 통해 실내기(200)의 외부로 다시 토출된다.
이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00)는 일반 모드 시 메인팬(220)을 기준 회전수로 회전시키고 보조팬(230) 역시 기준 회전수로 회전시킴으로써 공조 공간으로 토출되는 기류의 풍속 및 풍향을 기준 풍속 및 기준 풍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303의 단계 이후에는 후술하는 311의 단계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일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풍속 정보 및 풍향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302의 '예'),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00)는 입력된 풍속 정보에 상응하는 메인팬(220)의 목표 회전수를 확인하고, 풍향 정보에 상응하는 목표 기류 각도를 확인한다(304). 또한 확인된 제 1 팬(220)의 목표 회전수와 목표 기류 각도에 기초하여 제 2 팬(230)의 실제 회전수를 확인한다(305).
이후, 공기 조화기는 확인된 메인팬(220)의 목표 회전수를 추종하도록 제 1 팬(220)을 회전시키고, 확인된 보조팬(230)의 목표 회전수를 추종하도록 보조팬(230)을 회전시킨다(306).
이와 같은 일반 모드에서의 메인팬(220) 및 보조팬(230)의 제어를 도 11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풍속 정보와 풍향 정보에 따른 제 2 팬의 회전수 설정의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풍속 정보는 세기 순서로 강, 중, 약을 포함하고, 각 세기의 풍속을 형성하기 위한 메인팬(220)의 회전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풍향 정보는 방향 순서로 하, 중, 상을 포함하고, 각 풍향을 형성하기 위한 기류 각도 정보를 포함한다. 즉, 풍속 정보는 강(X), 중(Y), 약(Z)을 포함하고, 풍향 정보는 상(A: 20도), 중(B: 45도), 하(60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보조팬(230)의 목표 회전수는 입력된 풍속 정보와 풍향 정보의 조합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풍속 강" 및 "풍향 상"이 입력되었을 때, 제 2 팬(230)의 회전수는 f1(X, A)에 의해 획득될 수 있고, "풍속 하" 및 "풍향 중"이 입력되었을 때 제 2 팬(230)의 회전수는f8(Z, B)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아울러 풍속 정보가 미 입력된 경우에는 풍속 정보로 기준 풍속을 적용하고, 풍향 정보가 미 입력된 경우에는 풍향 정보로 기준 풍향을 적용한다.
다시 도 10로 돌아가서, 공기 조화기는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311).
만약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311의 '예'), 공기 조화기는 메인팬(220)과 보조팬(230)을 모두 정지시킨다(312). 이 때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및 실외용 팬의 동작도 함께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만약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311의 '아니오') 공기 조화기는 앞서 설명한 일반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302 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모드의 동작을 계속한다.
301 단계에서, 만약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가 아닌 쾌속 모드일 때(301의 '아니오'), 공기 조화기는 쾌속 모드를 위해 미리 정해진 형태로 메인팬(220) 및 제 2 팬(230)을 회전시킨다(307).
구체적으로, 쾌속 모드 수행 시, 공기 조화기는 메인팬(220)을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시켜서 공조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열 교환한 후 토출부(250b)를 통해 토출한다. 이때 메인팬(220)을 최대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공기 조화기는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주기적으로 변경시키면서 회전시킨다(308).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보조팬(230)을 미리 설정된 주기로 제1 회전수와, 제2 회전수와, 제3 회전수로 교대로 반복 회전시킨다. 여기서 제2 회전수는 제1 회전수보다 높고, 제3 회전수는 제2 회전수보다 클 수 있다.
이는 도 12, 도 13, 도 14a, 도 14b 및 도 1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 도 13, 도 14a, 도16b 및 도 15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쾌속 모드 시의 기류 조절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00)는 보조팬(230)을 제1 회전수로 회전시킴으로써 기류의 방향을 D1으로 조절하고, 일정 시간 후 보조팬(230)을 제2회전수로 회전시킴으로써 기류의 방향을 D2로 조절하며, 일정 시간 후 보조팬(230)을 제3 회전수로 회전시킴으로써 기류의 방향을 D3로 조절하고, 일정 시간 후 보조팬(230)을 제1 회전수로 회전시킴으로써 기류의 방향을 D1으로 조절한다. 아울러, 공기 조화기는 기류의 방향을 D3으로 조절한 후 보조팬(230)을 제2 회전수로 회전시킴으로써 기류의 방향을 D2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류가 스윙되도록 보조팬(230)의 회전수가 주기적으로 변경됨으로써 실내 공간의 다 방향으로 냉기가 토출될 수 있다. 그 결과,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간을 빠르게 냉방시킬 수 있고, 냉기가 사용자에게 직접 닿는 직접풍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기(200)는 보조팬(230)의 구동을 주기적으로 온오프시켜 토출되는 기류에 흡입력을 인가 또는 제거함으로써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10로 돌아가서, 공기 조화기는 쾌속 모드 수행 중 검출된 실내의 현재 온도와 목표 온도를 확인하고 실내의 현재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309).
또한, 실내의 현재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보조팬(230)을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시킨다(310).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0)는 보조팬(230)을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시킴으로써,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D3로 조절하여 기류의 방향이 천장면을 향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실내기는 사용자에게 냉기가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한다. 즉, 실내기(200)는 간접 풍을 발생시킨다.
또한, 보조팬(230)이 온오프만이 가능한 팬일 경우, 실내기(200)는 보조팬(230)을 온시킴으로써 최소의 기류 각도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a 및 도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0)는 상하로 기류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넓은 영역으로 냉기를 토출하고,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가 되면 실내 공간의 온도가 목표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되, 냉기가 사용자에게 직접 닿지 않도록 실내기(200)는 기류의 방향을 상측으로 조절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끼도록 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0)는 실내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제1 구간(T1) 동안 기류를 스윙 제어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온도를 빠르게 하강시키고,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한 이후의 제2 구간(T2) 동안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제어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온도를 목표 온도로 유지하도록 한다.
다시 도 10로 돌아가서, 공기 조화기는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311).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311의 예) 공기 조화기는 메인팬과 보조팬을 정지시킨다(312). 또한,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및 실외용 팬의 동작도 정지시킨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다른 일 예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의 입력부(270) 또는 원격 조정기(미도시)를 통해 동작 모드가 입력되면 입력된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인지, 순환 기류 모드인지를 확인한다(401).
만약 확인된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이면(301의 '예'), 공기 조화기는 도 16에 도시된 402, 403, 404, 405, 406, 411 및 412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402, 403, 404, 405, 406, 411 및 412 단계는 앞서 도 10에서 설명한 302, 303, 304, 305, 306, 311 및 312 단계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가 아닌 순환 기류 모드일 때(401의 '아니오') 공기 조화기는 순환 기류 모드를 위해 미리 정해진 형태로 메인팬(220) 및 보조팬(230)을 회전시킨다(407).
구체적으로, 순환 기류 모드 수행 시, 공기 조화기는 메인팬(220)을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시켜서 공조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열 교환한 후 토출부(250b)를 통해 토출한다. 이때 메인팬(220)을 최대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공기 조화기는 제 2 팬(230)의 회전 상태를 가변 제어한다(408).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00)의 보조팬(230)은 제1 회전수와 제2 회전수, 제3 회전수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회전수는 제1 회전수보다 높고, 제3 회전수는 제2 회전수보다 높다. 여기서, 보조팬(230)이 제1 회전수로 회전할 때 실내기(200)에서 토출되는 기류는 앞서 설명된 도 12의 D1과 같고, 보조팬(230)이 제2 회전수로 회전할 때 실내기(200)에서 토출되는 기류는 도 12의 D2와 같고, 보조팬(230)이 제3 회전수로 회전할 때 실내기(200)에서 토출되는 기류는 도 12의 D3과 같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00)에는 복수의 보조팬(230)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만약 복수의 보조팬(230) 각각의 회전수를 독립적으로 가변 제어하면 도 12의 D1, D2과D3의 기류 패턴을 조합한 형태의 새롭고 다양한 가변 기류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도 1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 2 팬의 회전수 가변 제어를 통한 가변 기류 패턴의 형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의(A)는 보조팬(230)의 회전수 가변 제어 형태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17의 (b)에는 도 13의 (A)의 테이블에 나타낸 각 동작 단계 #1, #2, #3의 회전수 가변 제어 형태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구분하여 나타내었다. 복수의 보조팬(230) 각각은 보조팬 A와 보조팬 B, 보조팬 C로 구분한다.
초기 단계에서는 복수의 보조팬(230)이 모두 오프 상태로 시작한다.
가변 기류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1단계 동작(#1)에서는 보조팬 A, 보조팬 B와 보조팬 C를 각각 제1 회전수, 제2 회전수와 제 3 회전수로 회전시킨다. 이어서 2단계 동작(#2)에서는 보조팬 A, 보조팬 B와 보조팬 C를 각각 제3 회전수, 제1 회전수와 제2 회전수로 회전시킨다. 이어서 3단계 동작(#3)에서는 보조팬 A, 보조팬 B와 보조팬 C를 각각 제2 회전수, 제 3 회전수와 제 1 회전수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1 내지 3단계 동작 #1, #2, #3을 순환 반복한다.
이처럼, 보조팬 A와 보조팬 B, 보조팬 C를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보조팬 A와 보조팬 B, 보조팬 C 각각을 서로 다른 회전수로 회전시키되, 보조팬 A와 보조팬 B, 보조팬 C 각각의 회전수를 고정시키지 않고 일정 간격을 두고 로테이션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실내기(200)의 토출부(250b)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의 패턴이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0)의 토출부(250b)에서 토출되는 기류의 조합이 각 동작 단계마다 변화한다. 즉, 동작 단계#1에서는 토출 기류가 D1-D2-D3의 조합을 이루고, 동작 단계 #2에서는 토출 기류가 D3-D1-D2의 조합을 이루며, 동작 단계 #3에서는 토출 기류가 D2-D3-D1의 조합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공기 조화기는 복수의 토출부(250)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상태가 나머지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상태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되, 복수의 토출부(250) 가운데 차별되는 토출 기류가 생성되는 위치가 순환하도록 복수의 보조팬(2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실내기(200)가 회전하면서 기류를 토출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내지 3 동작 단계 #1, #2, #3 각각의 지속 시간은 미리 정해진 시간에 따른다. 가변 기류 패턴의 변화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각 동작 단계 #1, #2, #3의 지속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예를 들면 3초). 반대로 가변 기류 패턴의 변화 속도를 상대적으로 느리게 하기 위해서는 각 동작 단계 #1, #2, #3의 지속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할 수 있다(예를 들면 7초).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토출 기류가 형성되도록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다 방향으로 냉기를 토출할 수 있어 실내 공간을 빠르게 냉방시킬 수 있고, 냉기가 사용자에게 직접 닿는 직접풍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아울러 실내기(200)는 보조팬(230)의 구동을 온/오프시켜 토출되는 기류에 흡입력을 인가 또는 제거함으로써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 2 팬의 온/오프 가변 제어를 통한 가변 기류 패턴의 형성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의 (A)는 제 2 팬(230)의 온/오프 가변 제어 형태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18의 (B)에는 도 18의 (A)의 테이블에 나타낸 각 동작 단계 #1, #2, #3에서 토출되는 기류의 형태를 구분하여 나타내었다. 복수의 보조팬(230) 각각은 보조팬 A와 보조팬 B, 보조팬 C로 구분한다.
초기 단계에서는 복수의 보조팬(230)이 모두 오프 상태로 시작한다.
가변 기류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1단계 동작(#1)에서는 보조팬 A만을 온 시키고, 나머지 보조팬B와 보조팬 C는 오프시킨다. 이어서 2단계 동작(#2)에서는 보조팬 B만을 온 시키고, 나머지 보조팬 A와 보조팬 C는 오프시킨다. 이어서 3단계 동작(#3)에서는 보조팬 C만을 온 시키고, 나머지 보조팬 B와 보조팬 A는 오프시킨다. 이와 같은 1 내지 3단계 동작 #1, #2, #3을 순환 반복한다.
도 18의 (B)에 도시된 기류 Dn은 앞서 도 17에서 설명한 바 있는 보조팬(230)의 회전수에 따라 형성되는 기류 D1과 D2, D3 가운데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n=1, 2, 3). 즉, 복수의 보조팬(230) 가운데 온 상태의 보조팬(230)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 Dn은 온 상태의 보조팬(230)의 회전수에 따라 기류 D1, D2와 D3 가운데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8의 (B) 도시된 또 다른 기류 A1은 보조팬(230)이 작동하지 않을 때의 토출 기류 A1을 의미한다. 즉, 보조팬(230)이 온 상태이면 도18의 (B)에 도시된 Dn과 같은 기류가 형성되고, 보조팬(230)이 오프 상태이면 도 18의 (B)의 A1과 같은 기류가 형성된다.
이처럼, 보조팬 A와 보조팬 B, 보조팬 C의 온/오프 제어를 동일하게 일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팬 A와 보조팬 B, 보조팬 C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오프 상태로 제어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는 온 상태로 제어하되, 보조팬 A와 보조팬 B, 보조팬 C 각각의 온/오프 상태을 고정시키지 않고 일정 간격을 두고 로테이션 형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실내기(200)의 토출부(250b)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의 패턴이 다양하게 변화된다.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0)의 토출부(250b)에서 토출되는 기류의 조합이 각 동작 단계마다 변화한다. 즉, 동작 단계#1에서는 토출 기류가 Dn-A1-A1의 조합을 이루고, 동작 단계 #2에서는 토출 기류가 A1-Dn-A1의 조합을 이루며, 동작 단계 #3에서는 토출 기류가 A1-A1-Dn의 조합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토출부(250)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상태가 나머지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상태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되, 복수의 토출부(250) 가운데 차별되는 토출 기류가 생성되는 위치가 순환하도록 복수의 보조팬(230)을 제어함으로써, 마치 실내기(200)가 회전하면서 기류를 토출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내지 3 동작 단계 #1, #2, #3 각각의 지속 시간은 미리 정해진 시간에 따른다. 가변 기류 패턴의 변화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각 동작 단계 #1, #2, #3의 지속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예를 들면 3초). 반대로 가변 기류 패턴의 변화 속도를 상대적으로 느리게 하기 위해서는 각 동작 단계 #1, #2, #3의 지속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할 수 있다(예를 들면 7초).
다시 도 16로 돌아가서, 공기 조화기는 순환 기류 모드를 수행하는 도중에 동작 모드가 순환 기류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되는지를 확인한다(409).
만약 순환 기류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되면(309의 '예') 공기 조화기는 일반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402 단계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동작 모드가 순환 기류 모드로 계속 유지되면(4309의 '아니오') 공기 조화기는 보조팬(230)의 회전 상태를 가변 제어하는 408의 단계를 계속한다.
도 17에서는 보조팬(230)의 단위 시간 당 회전수의 제어를 통해 가변 기류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었고, 도 18에서는 보조팬(230)의 온/오프 상태의 제어를 가변 기류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는 보조팬(230)의 단위 시간 당 회전수의 제어와 온/오프 상태의 제어 가운데 어느 하나만을 제어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보조팬(230)의 단위 시간 당 회전수의 제어와 온/오프 상태의 제어를 조합하여 또 다른 형태의 가변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팬 A와 보조팬 B, 보조팬 C 가운데 일부는 온/오프 상태 제어를 실시하고 나머지는 단위 시간 당 회전수 제어를 실시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보조팬 A와 보조팬 B, 보조팬 C 가운데 일부는 온/오프 상태 제어를 실시하고 나머지는 단위 시간 당 회전수 제어를 실시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역할을 서로 바꾸어 제 2 팬 A와 제 2 팬 B, 제 2 팬 C 가운데 일부는 단위 시간 당 회전수 제어를 실시하고 나머지는 온/오프 상태 제어를 실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6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순환 기류 모드를 수행하는 도중에 운전 정지 명령이 발생하면 앞서 설명한 412의 메인팬(220) 및 보조팬(230)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 때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및 실외용 팬의 동작도 함께 정지시킬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상 운전의 제어 순서도이고, 도 20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상 운전 시 기류 조절의 예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과 함께, 제상 운전의 제어 순서가 설명된다.
공기 조화기는 난방 운정을 수행한다(801).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의 입력부(270) 또는 원격 조정기(미도시)를 통해 전원 온 신호가 입력되면 운전 모드를 확인하고, 운전 모드가 난방 운전이면 사방밸브(160)의 유로를 제어한다. 또한,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110)를 구동시키고 팽창 밸브(130)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냉매가 사방 밸브(160)를 거쳐 실내 열교환기(210)로 실내 열교환기(210)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실내 열교환기(210)의 냉매는 팽창밸브(130)를 거쳐 실외 열교환기(120)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공기 조화기는 난방 사이클로 냉매가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난방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실외기의 실외 열교환기(120)는 증발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실외 열교환기(120)는 난방 운전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표면에 이슬이 맺혀 성에가 생성된다.
공기 조화기는 일반 모드 또는 쾌적 모드로 난방 운전을 수행한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선택된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실내기(200)의 메인팬(220)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실내기(200)의 메인팬(220)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제어하면서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조화기는 난방 운전을 수행하면서 실외 열교환기(120)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운전 시작 시점을 판단한다(802).
제상 운전의 시작 시점을 판단하는 것은, 검출된 실외의 온도에 대응하는 제상 온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상 온도와 검출된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를 비교하여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가 제상 온도 이하이면 제상 운전의 시작 시점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상 온도를 확인하는 것은, 실외의 온도와 성에의 착상 유무에 따라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가 달라질 수 있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성에의 착상 유무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실외 온도별로 착상되었을 때의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제상 운전의 시작 시점을 판단하는 것은, 난방 운전 수행 중 압축기의 운전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압축기의 운전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제상 운전의 시작 시점이라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상 운전의 시작 시점이라고 판단되면(802의 예), 공기 조화기는 사방 밸브(160)의 유로를 전환시켜 냉방 사이클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제상 운전을 수행한다(803).
이때 실외기의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실내기의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공기 조화기는 메인팬(22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804), 보조팬(230)을 회전시킨다(805). 그 결과, 실내 공간으로 흘러 나오는 공기가 다시 흡입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상 운전 시 실내기의 메인팬(220)이 정지되어 실내 공간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고 실내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강제로 토출하는 과정이 발생하지는 않지만,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 열교환기(210)에서 자연적으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실내기(200)는 보조팬(230)을 회전시켜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이 상측 방향으로 조절되도록 한다. 이로써, 실내기(200)의 실내 열교환기(210)에서 자연적으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보조팬(230)을 회전시키는 것은, 제상 운전 직전, 난방 운전 중의 메인팬(220)의 회전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메인팬(220)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공기 조화기는 제상 운전을 수행하는 동안 제상 운전을 종료시킬 종료 시점인지를 판단한다(806).
여기서 제상 운전의 종료 시점을 판단하는 것은, 제상 운전을 수행하면서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인지 판단하고, 검출된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제상 운전의 종료 시점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제상 운전의 종료 시점을 판단하는 것은, 제상 운전을 수행하면서 제상 운전의 수행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제상 운전의 수행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상 운전의 종료 시점이라고 판단되면(806의 예), 공기 조화기는 보조팬(230)을 정지시킨다(807).
또한, 공기 조화기는 사방 밸브(160)의 유로를 전환시키고 메인팬(220)을 다시 회전시켜 난방 운전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제상 운전 직전에 수행된 동작 모드로 난방 운전을 수행하되, 사용자에 의해 동작 모드가 변경되면 변경된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메인팬(220) 및 보조팬(2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순서도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200)의 입력부(270) 또는 원격 조정기(미도시)를 통해 전원 온 신호가 입력되면 운전 모드를 확인하고, 운전 모드가 냉방 운전이면 압축기(110)를 구동시키고 팽창 밸브(130)를 개방시킴으로써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120) 및 팽창밸브(130)를 통해 실내 열교환기(210)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공기 조화기는 냉방 사이클로 냉매가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냉방 운전을 수행한다. 아울러 공기 조화기는 사방 밸브가 마련된 경우 냉방 운전이 수행되도록 사방밸브(160)의 유로 제어를 수행한다.
공기 조화기는 냉방 운전을 다양한 동작 모드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모드는 일반 모드와 쾌속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200)의 입력부(270) 또는 원격 조정기(미도시)를 통해 동작 모드가 입력되면 입력된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인지 또는 쾌속 모드인지를 판단한다(501).
확인된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이면(501의 예), 공기 조화기는 502, 503, 504, 505, 506, 512 및 513 단계를 수행한다. 502, 503, 504, 505, 506, 512 및 513 단계는 앞서 도 10에서 설명한 302, 303, 304, 305, 306, 311 및 312 단계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쾌속 모드가 입력되면(501의 아니오), 공기 조화기는 제3 검출부(244)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실내 공간의 인체를 검출한다(507).
인체가 검출되면 공기 조화기는 인체의 위치를 확인하고(508), 확인된 위치에 대응하는 기류 각도를 확인한다.
또한, 공기 조화기는 메인팬(220)을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시키고(509), 메인팬(220)의 회전수 및 기류 각도에 대응하는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확인하고(510), 보조팬(230)을 확인된 회전수로 회전시킨다(511).
이와 같이, 쾌속 모드 수행 시, 공기 조화기는 메인팬(220)을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시켜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한 후 토출부를 통해 토출한다. 이때 메인팬(220)을 최대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공기 조화기는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내기(200)에서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사용자의 위치로 조절함으로써 냉기가 사용자에게 직접 닿는 직접풍을 발생시킨다.
이후, 공기 조화기는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512),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512의 예) 메인팬(220)과 보조팬(230)을 정지시킨다(513). 또한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및 실외용 팬의 동작도 정지시킨다.
도 22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순서도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의 입력부(270) 또는 원격 조정기(미도시)를 통해 전원 온 신호가 입력되면 실내기 및 실외기의 각종 부하에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공기 조화기는 운전 명령이 수신되면(601의 예) 최초 운전 명령인지 판단한다(602).
최초 운전 명령이라고 판단되면(602) 공기 조화기는 제4 검출부(245)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부의 먼지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먼지량을 제 1먼지량으로 저장한다(603).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 및 실외기의 각종 부하를 구동시켜 난방 운전 또는 냉방 운전의 운전 모드 수행한다(604).
공기 조화기는 냉방 운전을 다양한 동작 모드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모드는 일반 모드와 쾌속 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일반 모드와 쾌속 모드의 제어 동작은 일 실시 예와 동일하여 생략한다.
공기 조화기는 운전 모드 시, 동작 모드, 풍향 정보, 풍속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팬(220) 및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회전수로 메인팬(220) 및 보조팬(230)을 각각 회전시킨다(605).
공기 조화기는 운전 중 일정 주기로 필터부의 제2먼지량을 확인한다(606).
여기서 필터부의 먼지량을 확인하는 것은, 광 센서를 이용하여 광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광량에 대응하는 먼지량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고, 또는 풍압 센서를 이용하여 풍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풍압에 대응하는 먼지량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며, 또는 제1모터의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에 대응하는 먼지량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의 먼지량을 확인하는 것은, 제1 모터(221)를 최대 회전수로 회전시키기 위한 PWM의 듀티비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는 제1 먼지량과 제2 먼지량에 대응하는 보조팬(230)의 회전수의 보상값을 확인하여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보상한다(607).
공기 조화기는 필터부의 먼지에 의해 메인팬(220)의 회전수가 낮아져 풍속이 낮아지면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낮춤으로써 풍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는 확인된 먼지량이 기준 먼지량 이상이면 청소 이행을 위한 청소 정보를 출력한다.
공기 조화기는 입력부에 클린 정보가 입력되면(608) 보조팬(230)의 보상값을 초기화한다(609).
공기 조화기는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610),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608의 예) 메인팬과 보조팬을 정지시킨다(611). 또한,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및 실외용 팬의 동작도 정지시킨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마련된 기류 조절부(AP3)의 예시도이다. 아울러 앞서 설명한 도 2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기류 조절부(AP3)는 토출부(250b)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팬(230)과, 각 보조팬 (230)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2 모터(231)와, 각 보조팬(231)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부(260)는 토출부(250b)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부(260a)와, 흡입된 공기를 토출부 측으로 토출시키는 제1 유출부(260b)와, 흡입된 공기를 실내 열교환기 측으로 토출시키는 제2 유출부(260c)를 포함한다.
또한, 유로부(260)는 하우징(250)의 외측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유입부(260a)에 연통되는 제1 유로(261)와, 제1 유로(261)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유로(262)와, 케이스(232)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3 유로(2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부(260a)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제1 유로(261)와 제2 유로(262)와 제3 유로(263)를 거쳐 제1 유출부(260b) 또는 제2 유출부(260c)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더욱이, 유로부(260)는 제2 유로(262)에 마련되어 제1 유출부(260b)를 개폐하는 제1 개폐부재(265)와, 제3 유로(263)에 마련되어 제2 유출부(260c)를 개폐하는 제2 개폐부재(2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개폐부재(265)와 제2 개폐부재(266)는 댐퍼일 수 있다.
이러한 기류 조절부(AP3)는 흡입한 공기를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A1)의 반대 측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고, 토출 기류의 각도를 더 크게 할 수 있으며, 기류 조절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즉, 기류 조절부(AP3)의 복수의 보조팬(230)이 작동하지 않을 때의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이 A1 방향이라면, 기류 조절부(AP3)의 복수의 보조팬(230)이 동작하여 A1 방향의 일 측방에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을 A2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보조팬(23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량에 따라 토출되는 기류의 전환되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보조팬(23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량을 크게 하면 토출 기류의 각도가 작은 각도로 전환이 되고, 보조팬(23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량을 작게 하면 토출 기류의 각도가 큰 각도로 진행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토출 기류의 각도는 천장면을 기준으로 한다. 즉 토출 기류의 각도는 천장면과 대응한 수평 방향이 0도이고, 천장면과 수직한 방향이 90도이다.
본 실시 예의 유로부(260)의 구조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유로부(260)는 유입부(260a)와 제1 유출부(260b),제2 유출부(260c)를 연결하기만 하면 충분하고 그 구조, 형상, 배치에는 한정이 없다.
도 24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실외기(100)와 실내기(200)를 포함하며, 실외기(100)와 실내기(200)는 서로 통신을 수행한다. 즉, 실외기(100)와 실내기(200)는 서로 간에 실외기(100)의 정보 및 실내기(200)의 정보를 송수신한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0)는 제1 검출부(150)와, 압축기 및 팽창 밸브 등과 같은 각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구동 모듈(190)을 포함한다. 제1 검출부(150)와 제1 구동 모듈(190)는 도 9에 도시된 일 실시 예의 실외기(100)에 포함된 제1 검출부(150) 및 제1 구동 모듈(190)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200)는 제2 검출부(240), 입력부(270), 표시부(280) 및 제2 구동 모듈(290)을 포함한다. 제2 검출부(240), 입력부(270) 및 표시부(280)는 도 9에 도시된 일 실시 예의 실내기(200)에 포함된 제2 검출부(240), 입력부(270) 및 표시부(280)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2 구동 모듈(290)은 입력부(270)에 입력된 정보 및 제2검출부(240)를 통해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팬(220) 및 보조팬(230)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으로, 제2 제어부(291), 제2 저장부(292), 제2 통신부(293), 제2 구동부(294) 및 제3 구동부(294c)를 포함한다. 제2 저장부(292), 제2 통신부(293) 및 제2 구동부(294)는 도 9에 도시된 일 실시 예의 실내기(200)에 포함된 제2 저장부(292), 제2 통신부(293) 및 제2 구동부(294)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제어부(291)는 입력부(270)에 입력된 정보 및 제2 통신부(293)에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팬(220) 및 보조팬(230)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2 제어부(291)는 일반 모드가 선택되면 제1 개폐부재(265)를 개방 제어함으로써 제1 유출부(260b)가 개방되도록 하고, 제2개폐부재(266)를 폐쇄 제어함으로써 제2 유출부(260c)가 폐쇄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보조팬(230)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토출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반 모드가 선택되면 제2 제어부(291)는 기준 풍속 및 기준 풍향의 기류가 토출되도록 메인팬(220) 및 보조팬(230)을 제어한다. 일반 모드 시 풍속 정보 및 풍향 정보가 입력되면 제2 제어부(291)는 입력된 풍속 정보에 대응하는 메인팬(220)의 회전수를 확인하고, 풍향 정보에 대응하는 기류 각도를 확인하여 확인된 메인팬(220)의 회전수와 기류 각도에 기초하여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제2 제어부(291)는 쾌속 모드가 선택되면 제1 개폐부재(265)를 폐쇄 제어함으로써 제1 유출부(260b)가 폐쇄되도록 하고, 제2 개폐부재(266)를 개방 제어함으로써 제2 유출부(260c)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보조팬(230)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실내 열교환기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한번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실내 열교환기로 흡입시킴으로써 공기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쾌속 모드가 선택되면 제2 제어부(291)는 메인팬(220)을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제어하고, 메인팬(220)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도 2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순서도이고, 도 26 및 도 2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마련된 실내기 내의 공기 흐름의 예시도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의 입력부(270) 또는 원격 조정기(미도시)를 통해 전원 온 신호가 입력되면 운전 모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운전 모드를 수행한다.
공기 조화기는 난방 운전 또는 냉방 운전을 다양한 동작 모드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모드는 일반 모드와 쾌속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의 입력부(270) 또는 원격 조정기(미도시)를 통해 동작 모드가 입력되면 입력된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인지, 쾌속 모드인지를 판단한다(701).
확인된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이면(701의 예) 공기 조화기는 제1개폐부재(265)를 개방시키고, 제2개폐부재(266)를 폐쇄시킨다(702).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는 확인된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이면 제1 개폐부재(265)를 개방 제어함으로써 제1 유출부(260c)가 개방되도록 하고, 제2 개폐부재(266)를 폐쇄 제어함으로써 제2 유출부(260c)가 폐쇄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보조팬(230)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토출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반 모드 상태에서 공기 조화기는 풍속 정보 및 풍향 정보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703), 입력된 풍속 정보 및 풍향 정보가 없다고 판단되면(703의 아니오) 메인팬(220) 및 보조팬(230)을 기준 회전수로 회전시킨다(704).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메인팬(220)을 기준 회전수로 회전시켜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한 후 토출부를 통해 기준 풍속으로 토출한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보조팬(230)을 기준 회전수로 회전시켜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에 흡입력을 인가하고, 기류의 방향을 기준 방향으로 조절한다. 이때 보조팬(230)의 회전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는 유로부(260)를 통해 실내기 외부로 다시 토출된다.
이와 같이, 일반 모드 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00)는 메인팬(220)을 기준 회전수로 회전시키고 보조팬(230)을 기준 회전수로 회전시킴으로써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는 기류의 풍속 및 풍향을 기준 풍속 및 기준 풍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풍속 정보 및 풍향 정보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703의 예), 공기 조화기는 풍속 정보에 대응하는 메인팬(220)의 회전수를 확인하고, 풍향 정보에 대응하는 기류 각도를 확인하며(705), 확인된 메인팬(220)의 회전수와 기류 각도에 기초하여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확인한다(706).
이후, 공기 조화기는 확인된 회전수로 메인팬(220)과 보조팬(230)을 회전시킨다(707). 아울러 풍속 정보가 미입력된 경우에는 풍속 정보로 기준 풍속을 적용하고, 풍향 정보가 미입력된 경우에는 풍향 정보로 기준 풍향을 적용한다.
쾌속 모드가 입력되면(701의 아니오), 공기 조화기는 제1 개폐부재(265)를 폐쇄시키고, 제2 개폐부재(266)를 개방시킨다(708).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0)는 제1 개폐부재(265)를 폐쇄 제어함으로써 제1 유출부(260b)가 폐쇄되도록 하고, 제2 개폐부재(266)를 개방 제어함으로써 제2 유출부(260c)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보조팬(230)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실내 열교환기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실내기(200)는 토출되는 공기를 재흡입함으로써 냉난방 운전 시 초기의 토출 공기의 온도를 보상할 수 있고, 체감 냉난방 온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는 메인팬(220)을 미리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시키고, 메인팬의 회전수 및 기류 각도에 대응하는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확인하고, 보조팬(230)을 확인된 회전수로 회전시킨다. 이때 메인팬(220)을 최대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공기 조화기는 쾌적 모드 시에도 풍향 정보 및 풍속 정보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 풍향 정보 및 풍속 정보가 입력되었다면 풍향 정보와 풍속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팬(220)과 보조팬(230)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기 조화기는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709),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메인팬과 보조팬을 정지시킨다(710).
이상에서는 원형의 천장형 실내기를 기초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동작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실내기의 구조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천장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실내기가 기류를 생성하는 메인팬과 기류의 방향을 변경하는 보조팬을 포함하면 충분하며, 실내기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는 사각형의 천장형 실내기이거나, 벽걸이형 실내기이거나 스탠드형 실내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내기의 구조의 다른 예가 설명된다.
도 28 및 도 29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2 예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00-2)는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사각형을 가지는 하우징(250)을 포함한다.
하우징(250)의 저면 중앙부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250a)가 형성되고, 흡입부의 저면 반경 방향 외측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250b)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부(250b)는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되, 그 모서리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종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토출부는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직선 형상을 가질 수 밖에 없었으나, 본 실시 예에 따른 토출부(250b)는 블레이드 구조를 갖지 않으므로 이와 같이 라운드진 모서리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토출부(250b)는 사각형 형상 이외에도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250)의 내부에는 실내 열교환기(210)와, 실내 열교환기(210)의 반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메인팬(220)과, 보조팬(230) 및 유로부(260)가 마련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210)는 외부 냉매관과 연결되어 튜브(212)에 냉매를 공급하거나 회수하는 헤더(211)와, 냉매가 유동하는 튜브(212)를 포함한다.
이때, 메인팬(220)에 의하여 열 교화된 공기의 기류가 발생하며, 보조팬(230)에 의하여 기류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00-2)는 도 28에 도시된 실내기와 달리, 각 변이 곡선형으로 형성된 토출구(250b)를 가질 수 있다. 즉, 토출부(250b)는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전체적으로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되, 각 변은 직선형이 아니라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3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0 및 도 31는 벽걸이형 실내기(200-3)를 도시하며, 도 30는 벽걸이형 실내기(200-3)의 사시도이며, 도 31는 벽걸이형 실내기(200-3)의 측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 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0-3)는 벽(W)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00-3)는 흡입부(250a)와 토출부(250b)를 갖는 하우징(250)을 포함한다.
하우징(250)은 벽(W)에 결합되는 후방 하우징(256)과, 후방 하우징(256)의 전방에 결합되는 전방 하우징(257)을 포함한다.
전방 하우징(257)의 전면과 상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250a)가 형성되고, 전방 하우징(257)의 하부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250b)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토출부(250b)는 원형, 다각형, 곡선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00-3)는 전방 및 상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한 후에 하측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하우징(250)은 토출부(250b)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코안다 곡면부(257a)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250)은 토출부(250b)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가 코안다 곡면부(257a)에 밀착하여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실내기(200-3)는 하우징(250)의 내부에 마련되는 실내 열교환기(210)와, 공기를 유동시키는 메인팬(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팬(220)은 횡류팬일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00-3)는 토출부(250b)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기류 조절부(AP)를 더 포함한다.
기류 조절부(AP)는 토출부(250b)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팬(230)과, 각 보조팬(230)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2 모터(231)와, 각 보조팬(231)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부(260)는 토출부(250b)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부(260a)와, 흡입한 공기를 토출시키는 유출부(260b)를 포함하고, 유입부(260a)와 유출부(260b)를 연결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유입부(260a)는 하우징(250)의 코안다 곡면부(257a)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팬(220)에 의하여 열 교화된 공기의 기류가 발생하며, 보조팬(230)에 의하여 기류의 방향이 A1 에서 A2로또는 A2에서 A1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4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2 및 도 33는 스탠드형 실내기(200-4)를 도시하며, 도 32는 스탠드형 실내기(200-4)의 사시도이며, 도 33는 스탠드형 실내기(200-4)의 측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 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00-4)는 바닥면(F) 위에 스탠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00-4)는 흡입부(250a)와 토출부(250b)를 갖는 하우징(250)을 포함한다. 하우징(250)은 상측 및 좌우 측면에 흡입부(250a)가 마련된 후방 하우징(256)과, 후방 하우징(256)에 결합되고 토출부(250b)가 마련된 전방 하우징(257)을 포함한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00-4)는 상방 및 측방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시킨 후에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토출부(250b)는 원형, 다각형, 곡선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250)은 토출부(250b)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코안다 곡면부(257a)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250)은 토출부(250b)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가 코안다 곡면부(257a)에 밀착하여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실내기(200-4)는 하우징(250)의 내부에 마련되는 실내 열교환기(210)와, 공기를 유동시키는 복수 개의 메인팬(220)과, 메인팬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1 모터(221)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팬(220)은 사류팬이나 축류팬일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00-4)는 토출부(250b)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력를 변화시킴으로써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기류 조절부(AP)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기류 조절부(AP)는 복수의 메인팬(220)의 주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기류 조절부(AP)는 하나의 메인팬(220)의 주변에 복수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기류 조절부(AP)는 토출부(250b)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보조팬(230)과, 보조팬(23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2 모터(231)와, 보조팬(23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부(260)는 토출부(250a)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부(260a)와, 흡입한 공기를 토출시키는 유출부(260b)를 포함하고, 유입부(260a)와 유출부(260b)를 연결하는 유로(261)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입부(260a)는 하우징(250)의 코안다 곡면부(257a)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팬(220)에 의하여 열 교화된 공기의 기류가 발생하며, 보조팬(230)에 의하여 기류의 방향이 A1 에서 A2로또는 A2에서 A1으로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 개의 메인팬(220)을 가지는 실내기의 경우, 하나의 메인팬(220)이 메인 팬으로 동작하여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하여 토출하도록 하며, 메인 팬과 인접한 위치에 마련된 팬을 보조팬(즉, 보조팬)으로 동작시켜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실내기를 기초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동작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실내기가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실내기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실내기의 일 예가 설명된다.
도 34 및 도 3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5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4은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5는 공기 조화기의 천장 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4 및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형 공기 조화기는 천장(901) 내부로 진입되며 내부에 송풍 장치(920)와 열 교환기(930)를 구비하고 하부가 개방된 상자형 케이싱(910)과, 열 교환기(905)의 응축수를 모아 외부로 배출하며 케이싱(9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드레인 부재(940)과, 드레인 부재(940)과 결합하며 천장(901)의 개구(901a)를 덮는 천장패널(9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싱(910)은 송풍 장치(920)와 열 교환기(930)를 장착하기 위해 내부가 중공된 대략 함체 형상으로 마련되고, 케이싱(910)의 내면에는 단열을 위하여 발포 폴리스틸렌으로 이루어진 단열 부재(911)가 부착된다. 단열 부재(911)의 부착에는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케이싱(910) 내에는 중앙 측에 배치되어 강제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 장치(920)와, 송풍 장치(92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송풍 장치(920)에 의해 케이싱(910) 내로 유입된 공기를 열 교환시키는 열 교환기(930)가 마련된다.
송풍 장치(920)는,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송풍 팬(921)과, 송풍 팬(921)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922)를 포함하며, 구동 모터(922)는 케이싱(910)의 내측 상면에 고정된다.
열 교환기(930)는 송풍 팬(921)을 포위하는 형태로 송풍 팬(921) 주위에 배치되어 송풍 팬(921)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와 열 교환을 수행한다.
드레인 부재(940)은 열 교환기(9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열 교환 과정에서 생긴 응축수를 모아서 배출시키는 드레인 트레이(950)와, 드레인 트레이(950)의 외측에 형성되어 열 교환된 냉기를 토출부(972)로 안내하는 냉기 유로(951)와, 드레인 트레이(950)의 내측에 형성되어 케이싱(910)내부의 공간을 송풍 장치 영역과 외부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부(960)를 포함한다.
드레인 트레이(950)는 열 교환기(930)의 하부를 지지하며 열 교환기(930) 외면에 발생하는 응축수가 흘러내려 고일 수 있도록 홈 형태로 마련된다.
구획부(960)는 중앙에 개구(961)를 가진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데, 구획부(960)의 개구(961)는 송풍 팬(921)이 통과할 수 있도록 송풍 팬(92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구동 모터(922)의 고장 수리 등을 위해 송풍 팬(921)을 분리하고자 할 때 개구(961)를 통하여 송풍 팬(921)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구획부(960)을 분리하지 않고서도 송풍 팬(921)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구획부(960)는 드레인 트레이(95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획부(960)와 드레인 트레이(950)를 별도의 부재로 마련하여 구획부(960)의 테두리를 드레인 부재(940)의 내주 측에 결합할 수도 있다.
냉기 유로(951)는 드레인 트레이(950)의 외측에서 후술하는 천장 패널(1700)의 토출부(972)와 연통하도록 토출부(972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냉기 유로(951)의 폭 방향(W) 간격은 이에 대응한 토출부(972)의 폭 방향(W) 간격과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다만, 냉기 유로(91)의 길이 방향(L) 간격은 천장패널(970) 토출부(972)의 길이 방향(L) 간격에 비해 짧게 형성된다. 왜냐하면, 토출부(972)의 내측에 설치되는 드레인 부재(940)이 천장 패널(970)의 내측에 설치되는 냉매 배관 및 다른 부품들(미도시)을 가려 줌으로써 케이싱(910) 내부의 부품들이 토출부(972)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미려한 외관 제공을 위하여 4개의 토출부(972)를 동일한 형태로 형성하기 때문에, 토출부(972) 중 적어도 하나에는 불가피하게 내부의 부품이 위치할 수 있으므로, 토출부(972) 내측에 설치된 냉기 유로(951)를 작게 형성하여 내부의 부품이 토출부(97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구획부(960)의 하부에는 벨 마우스 부재(962)가 마련되는데, 벨 마우스 부재(962)는 흡입 공기가 통과하는 중앙의 개구(962a)와, 개구(962a) 쪽에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 공기 안내면(962b)을 구비한다. 벨 마우스 부재(962)는 둘레 부분이 구획부(960)의 개구(961) 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벨 마우스 부재(962)는 천장 패널(970)의 흡입구(971)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송풍 팬(921)의 흡입 측으로 안내한다.
구획부(960)의 하면 일 측에는 공기 조화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다수의 전장 부품들이 내장된 컨트롤 박스(963)가 설치된다. 컨트롤 박스(963)는 드레인 트레이(950)와 근접하는 구획부(960)의 하면에 고정된다.
드레인 부재(940)은 그 하면이 천장 패널(97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이 드레인 부재(940)에 벨 마우스 부재(962)와 컨트롤 박스(963)가 결합된 상태에서 천장 패널(970)이 드레인 부재(940)에 결합되게 된다.
천장패널(970)은 중앙에 실내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971)가 형성되고, 흡입구(971)의 외측에 복수의 토출부(972)가 형성된다. 복수의 토출부(972)는 드레인 부재(940)의 냉기 유로(95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천장 패널(970)의 흡입구(971)에는 흡입구(971)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971)가 설치된다. 또한, 각각의 토출부(972)에는 소정 구간 선회하면서 토출 공기를 안내하는 블레이드(973)가 설치된다. 블레이드(973)는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동작한다.
토출부(972)는 천장 패널(970)의 사방 4개소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토출부(972)는 직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길이 방향(L)과, 폭 방향(W)과, 두께 방향(H)으로 연장된 채널 형태로 마련되어, 두께 방향(H)에서 냉기 유로를 통과한 열 교환된 냉기가 실내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6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블레이드의 상태 및 그에 따른 토출 기류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973)의 동작은 개방(Open)과 폐쇄(Close), 일정 각도로 개방, 스윙(Swing)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6의 (A)에 나타낸 블레이드(973)의 개방은 블레이드(973)가 최대 각도로 개방된 상태이다. 도 36의 (B)에 나타낸 블레이드(973)의 폐쇄는 블레이드(973)가 완전히 닫힌 상태이다. 도 36의 (C)에 나타낸 블레이드(973)가 일정 각도로 개방되는 것은 블레이드(973)가 개방과 폐쇄 사이의 임의의 각도를 유지한 채 기류를 토출하는 상태이다. 도 36의 (D)에 나타낸 블레이드(973)의 스윙은 블레이드(973)가 개방과 폐쇄 사이의 임의의 각도 범위 사이를 왕복 운행하는 상태이다.
도 37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마련되는 복수의 블레이드의 스윙/고정 가변 제어를 통한 가변 기류 패턴의 형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의 (A)는 블레이드(973)의 스윙/고정 가변 제어 형태를 나타낸 테이블이고, 도 37의 (B)에는 도 37의 (A)의 테이블에 나타낸 각 동작 단계 #1, #2, #3, #4의 블레이드 가변 제어 형태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구분하여 나타내었다. 복수의 블레이드(973) 각각은 블레이드 A와 블레이드 B, 블레이드 C, 블레이드 D로 구분한다.
초기 단계에서는 복수의 블레이드(973)가 모두 폐쇄 상태로 시작한다.
가변 기류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1단계 동작(#1)에서는 블레이드 A를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스윙하도록 하고, 나머지 블레이드 B, 블레이드 C와 블레이드 D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고정'은 일정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 스윙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서 2단계 동작(#2)에서는 블레이드B를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스윙하도록 하고, 나머지 블레이드 A와 블레이드 C, 블레이드 D를 고정시킨다. 이어서 3단계 동작(#3)에서는 블레이드 C를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스윙하도록 하고, 나머지 블레이드 A, 블레이드 B와 블레이드 D를 고정시킨다. 이어서, 4단계 동작(#4)에서는 블레이드D를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스윙하도록 하고, 나머지 블레이드 A, 블레이드 B와 블레이드 C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1 내지 4단계 동작 #1, #2, #3, #4를 순환 반복한다.
이처럼, 블레이드 A, 블레이드 B, 블레이드 C와 블레이드 D를 고정된 동일한 상태로 운용하는 것이 아니라, 블레이드 A, 블레이드 B, 블레이드 C와 블레이드 D 가운데 어느 하나를 스윙하도록 하고 나머지를 일정 각도로 고정시키되, 블레이드 A, 블레이드 B, 블레이드 C와 블레이드 D 각각의 스윙 순서를 일정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로테이션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토출부(972)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의 패턴이 다양하게 변화하도록 한다. 도 37의 (B)에서 알 수 있듯이, 실내기의 토출부(972)에서 토출되는 기류의 조합이 각 동작 단계마다 변화한다. 즉, 동작 단계 #1에서는 토출 기류가 스윙-고정-고정-고정의 조합을 이루고, 동작 단계#2에서는 토출 기류가 고정-스윙-고정-고정의 조합을 이루며, 동작 단계#3에서는 토출 기류가 고정-고정-스윙-고정의 조합을 이루고, 동작 단계#4에서는 토출 기류가 고정-고정-고정-스윙의 조합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공기 조화기는 복수의 토출부(972)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상태가 나머지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상태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되, 복수의 토출부(972) 가운데 차별되는 토출 기류가 생성되는 위치가 순환하도록 복수의 블레이드(973)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실내기가 회전하면서 기류를 토출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내지 4 동작 단계 #1, #2, #3, #4 각각의 지속 시간은 미리 정해진 시간에 따른다. 가변 기류 패턴의 변화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각 동작 단계 #1, #2, #3, #4의 지속 시간을 짧게 한다(예를 들면 3초). 반대로 가변 기류 패턴의 변화 속도를 상대적으로 느리게 하기 위해서는 각 동작 단계 #1, #2, #3, #4의 지속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한다(예를 들면 7초).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토출 기류가 형성되도록 블레이드(973)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다 방향으로 냉기를 토출할 수 있어 실내 공간을 빠르게 냉방시킬 수 있고, 냉기가 사용자에게 직접 닿는 직접풍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아울러 실내기는 블레이드(973)를 개방/폐쇄시켜 복수의 토출부(972) 각각에서 기류가 토출되거나 또는 토출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도 3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8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마련되는 복수의 블레이드(973)의 개방/폐쇄 가변 제어를 통한 가변 기류 패턴의 형성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의 (A)는 블레이드(973)의 개방/폐쇄 가변 제어 형태를 나타낸 테이블이고, 도 38의 (B)에는 도 38의 (A)의 테이블에 나타낸 각 동작 단계 #1, #2, #3, #4에서 토출되는 기류의 형태를 구분하여 나타내었다. 복수의 블레이드(973) 각각은 블레이드 A와 블레이드 B, 블레이드 C, 블레이드 D로 구분한다.
초기 단계에서는 복수의 블레이드(973)가 모두 폐쇄 상태로 시작한다.
가변 기류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1단계 동작(#1)에서는 블레이드 A만을 개방하고, 나머지 블레이드B, 블레이드 C와 블레이드 D는 폐쇄한다. 이어서 2단계 동작(#2)에서는 블레이드 B만을 개방하고, 나머지 블레이드 A, 블레이드 C와 블레이드 D는 폐쇄한다. 이어서 3단계 동작(#3)에서는 블레이드 C만을 개방하고, 나머지 블레이드 B, 블레이드 A와 블레이드 D는 폐쇄한다. 이어서 4단계 동작(#4)에서는 블레이드D만을 개방하고, 나머지 블레이드 A, 블레이드 B와 블레이드 C는 폐쇄한다. 이와 같은 1 내지 4단계 동작#1, #2, #3, #4를 순환 반복한다.
이처럼, 블레이드 A, 블레이드 B, 블레이드 C와 블레이드 D의 개방/폐쇄 제어를 동일하게 일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블레이드 A, 블레이드 B, 블레이드 C와 블레이드 D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폐쇄 상태로 제어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는 개방 상태로 제어하되, 블레이드 A, 블레이드 B, 블레이드 C와 블레이드 D 각각의 개방/폐쇄 상태를 고정시키지 않고 일정 간격을 두고 로테이션 형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실내기의 토출부(972)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의 패턴이 다양하게 변화하도록 한다. 도 38의 (B)에서 알 수 있듯이, 실내기의 토출부(972)에서 토출되는 기류의 조합이 각 동작 단계마다 변화한다. 즉, 동작 단계 #1에서는 토출 기류가 개방-폐쇄-폐쇄-폐쇄의 조합을 이루고, 동작 단계 #2에서는 토출 기류가 폐쇄-개방-폐쇄-폐쇄의 조합을 이루며, 동작 단계 #3에서는 토출 기류가 폐쇄-폐쇄-개방-폐쇄의 조합을 이루고, 동작 단계 #4에서는 토출 기류가 폐쇄-폐쇄-폐쇄-개방의 조합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토출부(972)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상태가 나머지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상태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되, 복수의 토출부(972) 가운데 차별되는 토출 기류가 생성되는 위치가 순환하도록 복수의 블레이드(973)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실내기가 회전하면서 기류를 토출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내지 4 동작 단계 #1, #2, #3, #4 각각의 지속 시간은 미리 정해진 시간에 따른다. 가변 기류 패턴의 변화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각 동작 단계 #1, #2, #3, #4의 지속 시간을 짧게 한다(예를 들면 3초). 반대로 가변 기류 패턴의 변화 속도를 상대적으로 느리게 하기 위해서는 각 동작 단계 #1, #2, #3, #4의 지속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한다(예를 들면 7초).
도 38에서는 블레이드(973)의 스윙/고정 상태의 제어를 통해 가변 기류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었고, 도38에서는 블레이드(973)의 개발/폐쇄 상태의 제어를 가변 기류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공기 조화기에서는 블레이드(9730)의 스윙/고정 상태의 제어와 개방/폐쇄 상태의 제어 가운데 어느 하나만을 제어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블레이드(973)의 스윙/고정 상태의 제어와 개방/폐쇄 상태의 제어를 조합하여 또 다른 형태의 가변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스윙 범위의 조합 또는 고정 각도의 조합 등을 통해 더욱 다양한 형태의 가변 기류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순환 기류 모드의 작용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의 (A)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원형의 실내기의 경우이고, 도 39의 (B)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사각형의 실내기의 경우이다. 각 경우 모두 공조 공간에서 천정의 실내기를 바라본 것을 가정한 것이다.
도 39에서, 굵은 화살표는 보조팬(230) 또는 블레이드(973) 등의 기류 전환부의 작용에 의해 토출되는 토출 기류이고, 가는(얇은) 화살표는 각 토출부에서의 기류 패턴의 순환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굵은 화살표 가운데 해칭 표시된 것은 복수의 토출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차별되는 토출 기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9의 (A)에 나타낸 것처럼, 블레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원형의 실내기에서 복수의 토출부(250)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상태가 나머지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상태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되, 복수의 토출부(250) 가운데 차별되는 토출 기류가 생성되는 위치가 순환하도록 복수의 보조팬(2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실내기가 회전하면서 기류를 토출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39의 (B)에 나타낸 것처럼,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사각형의 실내기에서 이처럼 복수의 토출부(972)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상태가 나머지 토출부에서 생성되는 토출 기류의 상태와 차별되도록 제어하되, 복수의 토출부(972) 가운데 차별되는 토출 기류가 생성되는 위치가 순환하도록 복수의 블레이드(973)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서, 실내기가 회전하면서 기류를 토출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39에 나타낸 것처럼 정방향과 역방향 가운데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제어하는 것 외에도, 정방향과 역방향을 교대로 번갈아 순환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정방향 2회 순환 후 역방향1회 순환 또는 그 반대의 경우처럼 비대칭 순환 제어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공기 조화기가 설명되었다.
블레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공기 조화기의 경우,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사용자가 확인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조화기는 램프 또는 LED 등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기류의 방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류의 방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공기 조화기 또는 실내기가 설명된다.
도 4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41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하부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또한, 도 42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하부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4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4은 도 41에 표시된 Ⅱ-Ⅱ선에 따른 측 단면도하고, 도 45는 도 44에 표시된 'O'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0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0)를 설명한다.
실내기(1000)는 천장(C)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0)는 적어도 일부분이 천장(C)에 매립될 수 있다.
실내기(1000)는 흡입구(1020)와 토출구(1021)를 갖는 하우징(1010)과, 하우징(10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1030)와, 공기를 유동시키는 메인팬(10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10)은 천장(C) 면을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10)은 천정(C)에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1011)과, 상부 하우징(1011)의 아래에 결합되는 중간 하우징(1012)과, 중간 하우징(1012)의 아래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1013)과, 하부 하우징(1013)의 하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토출커버(101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013)의 중앙부에는 외부에서 메인팬(1040)까지 관통되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020)가 형성되고, 흡입구(1020)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021)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021)는 천장(C) 면을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써, 실내기(1000)는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 및 난방시킨 후에 다시 하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하부 하우징(1013)은 토출구(102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코안다 곡면부(1014)를 가질 수 있다. 코안다 곡면부(1014)는 토출구(1021)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가 코안다 곡면부(1014)에 밀착하여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013)의 하부의 내측에는 하우 하우징(1013)과 함께 흡입구(1020) 및 토출구(1021)를 형성하는 토출커버(1017)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1013)의 저면에는 흡입구(1020)로 흡입되는 공기에서 먼지를 걸러내도록 그릴(1015)이 결합될 수 있으며, 그릴(1015)의 내측에는 흡입구(1020)로 흡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1030)는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며, 흡입구(1020)와 토출구(1021) 사이의 공기의 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030)는 냉매가 유동하는 튜브(미도시)와, 외부 냉매관과 연결되어 튜브에 냉매를 공급하거나 회수하는 헤더(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튜브에는 방열 면적을 확대하도록 열교환핀(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1030)는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열교환기(1030)는 드레인 트레이(1016)에 놓여져서 열교환기(10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드레인 트레이(1016)에 집수될 수 있다.
메인팬(1040)은 열교환기(1030)의 반경 방향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메인팬(104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원심팬일 수 있다. 실내기(1000)에는 메인팬(1040)의 구동을 위한 송풍 모터(104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흡입구(1020)에서 흡입된 공기가 메인팬(1040)으로 유입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벨마우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실내기(1000)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시킨 후에 실내로 토출시키거나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난방시킨 후에 실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
실내기(1000)는 열교환기(1030)와 연결되며 냉매가 흐르는 열교환기 파이프(1085) 및 드레인 트레이(1016)에 집수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펌프(10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 파이프(1085) 및 드레인 펌프(1086)는 흡입구를 가리지 않도록 후술할 브리지(1080)에 마련될 수 있다.
실내기(1000)는 토출구(1021)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토출구(1021)의 원주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된 브리지(10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리지(1080)는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며, 3개가 마련될 수 있다.
토출구(1021)가 원형 형상으로 마련되어 모든 방향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경우, 토출구(1021) 주변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이 형성되고, 흡입구(1020) 주변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이 형성된다. 또한, 토출구(1021)의 모든 방향에서 공기가 토출되며 에어 커튼(Air curtain)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흡입구(1020)를 통해 흡입되어야 할 공기가 흡입구(1020) 측으로 공급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토출구(1021)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다시 흡입구(1020)를 통해 흡입되고, 재흡입된 공기는 하우징(1010) 내부에 이슬맺힘 현상을 유발하며, 토출되는 공기가 손실되어 체감성능이 저하되었다.
브리지(1080)는 토출구(1021) 상에 마련되어 토출구(1021)를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차단한다. 이에 따라, 토출구(1021)는 공기가 토출되는 제1 구간(S1) 및 브리지(1080)에 차단되어 공기가 거의 토출되지 않는 제2 구간(S2)으로 구획된다. 즉, 브리지(1080)는 흡입구(1020)를 통해 흡입될 공기를 공급하는 제2 구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브리지(1080)는 흡입구(1020) 주변의 저압과 토출구(1021) 주변의 고압 사이의 압력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브리지(1080)는 브리지(1080)에 의해 형성된 제2 구간(S2)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가까워지는 한 쌍의 토출 가이드면(1081)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면(1081)에 의해 토출구(102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토출구(1021)로부터 더 넓게 퍼지며 토출될 수 있다.
실내기(1000)는 3개의 브리지(1080)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즉, 120도의 각도로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브리지(1080)는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고, 2개가 180도의 각도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4개가 90도의 각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의 브리지(1080)는 토출구(102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상이한 각도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5개 이상의 브리지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브리지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제2 구간(S2)을 형성하여 흡입구(1020)를 통해 흡입될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 브리지(1080, 1080a, 1080b, 1080c) 길이의 총 합은 토출구 전체 원주 길이의 5% 이상 40%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구간(S1) 및 제2 구간(S2)의 합에 대한 제2 구간(S2)의 비율은 5% 이상 40%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실내기(1000)는 토출기류를 제어하는 기류 제어 장치(10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류 제어 장치(1050)는 토출구(1021)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토출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류 제어 장치(1050)는 토출구(1021)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기류 제어 장치(1050)는 토출구(1021)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함으로써 토출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토출기류의 방향을 제어한다는 것은 토출기류의 각도를 제어한다는 의미이다.
기류 제어 장치(1050)는 토출구(1021) 주변의 공기를 흡입할 시에 토출기류의 진행 방향의 일 측방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즉,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 제어 장치(1050)가 작동하지 않을 때의 토출기류의 진행 방향이 A1 방향이라면, 기류 제어 장치(1050)가 작동하여 A1 방향의 일 측방에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토출기류의 진행 방향을 A2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보조팬(1060)에 의하여 흡입되는 흡입량에 따라 전환되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흡입량을 작게 하면 작은 각도로 전환이 되고, 흡입량을 크게 하면 큰 각도로 진행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토출 기류의 각도는 천장(C) 면을 기준으로 한다. 즉, 토출 기류의 각도는 천장(C) 면과 대응한 수평 방향이 0도이고, 천장(C) 면과 수직한 방향이 90도이다. 따라서, 토출 기류의 각도가 0도이면 토출 기류의 방향은 수평풍으로 제어되고, 토출 기류의 각도가 90도이면 토출 기류의 방향은 수직풍으로 제어되며, 토출 기류의 각도가 약 45도이면 토출 기류의 방향은 수평풍과 수직풍의 중간인 미드풍으로 제어된다.
기류 제어 장치(1050)는 흡입한 공기를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A1)의 반대 측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로써, 토출 기류의 각도를 더 크게 할 수 있으며, 기류 제어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기류 제어 장치(1050)는 토출구(1021)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류 제어 장치(1050)가 토출구(1021)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공기를 흡입하므로 토출기류는 토출구(1021)의 반경 방향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넓게 퍼져나갈 수 있다.
기류 제어 장치(1050)는 토출구(1021)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보조팬(1060)과, 보조팬(1060)을 구동시키기 위한 기류 제어 모터(1061)와, 보조팬(106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 유로(107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팬(1060)은 하부 하우징(1013)의 내부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팬(1060)은 브리지(1080)의 흡입구(1020)에 인접한 일단부에 마련된 팬 케이스(1062)에 수용될 수 있다. 보조팬(1060)은 브리지(108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3개가 마련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조팬(1060)의 개수 및 배치는 브리지(1080)의 개수 및 배치와 같이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보조팬(1060)으로 원심팬이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 사양에 따라 축류팬, 횡류팬, 사류팬 등 다양한 팬이 사용될 수 있다.
안내유로(1070)는 토출구(1021)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1071)와, 흡입한 공기를 토출시키는 유출구(1072)를 연결한다. 안내유로(1070)의 일부는 브리지(1080)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071)는 하부 하우징(1013)의 코안다 곡면부(1014)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팬(ㅍ60)의 흡입력에 의해 하부 하우징(1013)의 유입구(1071) 측으로 휘어진 토출기류는 코안다 곡면부(1014)의 표면을 따라 흐를 수 있다.
유출구(1072)는 유입구(1071)의 반대측의 토출구(1021) 주변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출구(1072)는 팬 케이스(1062)에 형성될 수 있다. 유출구(1072)는 토출커버(1017)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기류 제어 장치(1050)는 흡입한 공기를 토출기류의 진행 방향(A1)의 반대 측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으며, 토출기류의 각도를 더 크게 할 수 있고, 기류 제어를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안내유로(1070)는 하우징(1010)의 외측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유입구(1071)에 연통되는 제1 유로(1070a)와, 제1 유로(1070a)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유로(1070b)와, 팬 케이스(1062)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3 유로(1070c)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107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제1 유로(1070a)와 제2 유로(1070b)와 제3 유로(1070c)를 거쳐 유출구(1072)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안내유로(1070)의 구조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안내유로(1070)는 유입구(1071)와 유출구(1072)를 연결하기만 하면 충분하고 그 구조, 형상, 배치에는 한정이 없다.
또한, 후술할 디스플레이 유닛(1100)이 브리지(1080)의 하측에 마련되는 경우, 유출구(1072)는 브리지(1080)의 하부면(1083)을 향해 공기를 토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유닛(1100)과 브리지(1080) 사이에는 단열재(미도시)를 마련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100)측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슬맺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토출구에 블레이드가 마련되고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토출 기류를 제어하던 종래의 구조에 비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는 블레이드 구조 없이도 토출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에 의한 방해가 없으므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고 유동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종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토출구는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직선 형상을 가질 수 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의 토출구(21)는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우징(1010) 및 열교환기(1030) 등도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어서,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메인팬(1040)의 형태가 원형인 점을 감안하면 공기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압력 손실이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냉방 또는 난방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는 블레이드 구조 없이도 토출 기류를 다양한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블레이드가 없는 공기 조화기의 경우에는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사용자가 확인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류의 방향을 램프나 LED 등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1100)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구성이 자세히 설명된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48은 도 41에 표시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의 일 예이고, 도 49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를 분해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유닛(1100)은 사용자에게 공기조화기의 작동 상태 및 공기조화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1100)은 공기조화기의 작동여부를 표시하거나, 토출기류의 방향을 표시하거나, 공기조화기가 현재 냉방모드로 구동 중인지 난방모드로 구동 중인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공기조화기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00)은 외부기기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유닛(미도시) 및/또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00)은 브리지(108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천장(C) 면을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하부 하우징(13)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100)은 3개의 브리지(1080) 중 어느 하나에 1개가 마련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3개의 브리지(1080)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개수 및 배치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00)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01)와 디스플레이(1101)를 감싸며 보호하는 디스플레이 커버(1106)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1106)는 디스플레이(1101)를 감싸며 보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1101)의 하부에 마련되며,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중앙부에는 디스플레이(1101)가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홀(1106a)이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구성은 아래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디스플레이(1101)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평판 디스플레이,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1101)는 복수의 LED를 포함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1101)는 디스플레이 커버(1106)에 형성된 홀(1106a)에 삽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1)는 원형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발광부를 갖는 반구형(半球形)의 조명 장치로, 반구형(半球形)의 발광 커버(1105)와, 복수 개의 광원(LED)이 설치된 PBA 기판(1102)과, 복수 개의 광원(LED)에서 조사된 광을 원형 띠 형상의 틈(103a)을 통해 투과시키는 발광 베이스(1103)와, 발광 베이스(1103)를 통과한 광을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으로 발광 커버(1105)의 전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체(11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써, 디스플레이(1101)는 다양한 방향으로 제어되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101)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집중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제1 발광부(1110)와,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와이드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제2 발광부(1120)와,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과 수직풍의 중간인 미드풍(중간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제3 발광부(1130)를 포함한다.
제1 발광부(1110)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1101)의 안쪽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복수 개(약, 6개)의 광원(1110a, 1110b, 1110c, 1110d, 1110e, 1110f)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부(1110)는 제1 광원A (1110a), 제1 광원B (1110b), 제1 광원C (1110c), 제1 광원D (1110d), 제1 광원E (1110e) 및 제1 광원F (1110f)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발광부(1120)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1101)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복수 개(약, 9개)의 광원(1120a, 1120b, 1120c, 1120d, 1120e, 1120f, 1120g, 1120h, 1120i)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발광부(1120)는 제2 광원A (1120a), 제2 광원B (1120b), 제2 광원C (1120c), 제2 광원D (1120d), 제2 광원E (1120e), 제2 광원F (1120f), 제2 광원H (1120h) 및 제2 광원E (1120e)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발광부(1130)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과 수직풍의 중간인 미드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제1 발광부(1110)와 제2 발광부(1120)의 중간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복수 개(약, 6개)의 광원(1130a, 1130b, 1130c, 1130d, 1130e, 1130f)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발광부(1130)는 제3 광원A (1130a), 제3 광원B (1130b), 제3 광원C (1130c), 제3 광원D (1130d), 제3 광원E (1130e) 및 제3 광원F (1130f)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발광부(1110) 내지 제3 발광부(1130)에 각각 마련된 광원(1110a, 1110b, 1110c, 1110d, 1110e, 1110f), (1120a, 1120b, 1120c, 1120d, 1120e, 1120f, 1120g, 1120h, 1120i), (1130a, 1130b, 1130c, 1130d, 1130e, 1130f)의 개수 및 배치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조로써, 제1 발광부(1110) 내지 제3 발광부(1130)는 각각에 마련된 복수 개의 광원(1110a, 1110b, 1110c, 1110d, 1110e, 1110f), (1120a, 1120b, 1120c, 1120d, 1120e, 1120f, 1120g, 1120h, 1120i), (1130a, 1130b, 1130c, 1130d, 1130e, 1130f)을 점등시키거나 또는 소등시켜 실내기(1000)에서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인지, 수평풍인지 또는 미드풍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1)는 제1 발광부(1110) 내지 제3 발광부(1130)를 안쪽에서 바깥쪽 또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순차적으로 점등시킴으로써 기류의 방향이 자동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1)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태 또는 에러 상태를 표시하는 제4 발광부(1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발광부(114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중심에 위치한 원형의 광원(1140a)으로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의 전원 온/오프 상태 또는 동작 에러 상태를 다양한 색상의 LED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커버(1106)는 디스플레이(1101)를 감싸며 보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1101)의 하부에 마련된다.
디스플레이 커버(1106)는 토출구(102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토출구(102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퍼지며 토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곡면부(1106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곡면부(1106b)는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곡면부(1106b)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1100)에 인접한 토출구(1021)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가이드 곡면부(1106b)를 따라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외면과 접촉하며 디스플레이 유닛(11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킨 후 토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1106)는 흡입구(1020)에 인접한 일측(1106c)이 토출커버(1017)의 상부에 포개지도록(overlap) 배치되어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토출커버(101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일측(1106c)은 토출커버(1017)의 외주면(1017a)과 면 접촉하며 지지될 수 있도록 토출커버(1017)의 외주면(1017a)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토출커버(1017)의 외주면(1017a)의 일부분(1017b)은 디스플레이 커버(1106)를 중력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해 토출구(1021)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토출커버(1017)의 외주면(1017a)의 일부분(1017b)은 토출커버(1017)의 외주면(1017a)으로부터 절곡되어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커버(1017)의 외주면(1017a)의 일부분(1017b)은 디스플레이 커버(1106)를 중력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일측(1106c)은 토출커버(1017)의 외주면(1017a) 및 외주면(1017a)의 일부분(1017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토출커버(1017)의 외주면(1017b)과 외주면(1017a)의 일부분(1017b)의 상부에 포개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일측(1106c)은 토출커버(1017)의 외주면(1017a) 및 외주면(1017a)의 일부분(1017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1106)는 디스플레이(1101)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요입 형성된 홈(groove, 1106a)을 포함할 수 있다. 홈(1106a)은 디스플레이(1121)의 일 모서리부분(1101a)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1)의 일 모서리부분(1101a)은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홈(1106a)에 안착되어 디스플레이(1101)를 디스플레이 커버(1106) 내에서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일측(1106c)과 반대되는 타측(1106d)은 하부 하우징(1013)의 외측 단부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커버 결합부(1013c)와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타측(1106d)은 디스플레이 커버 결합부(1013c)와 포개지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부재(1109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타측(1106d)과 하부 하우징(1013)의 디스플레이 커버 결합부(1013c)에는 각각 고정부재(1109a)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고정부재(1109a)와 결합되는 고정부재 수용부(1106e, 1013d)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재(1109a)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고정부재 수용부(1106e)와 디스플레이 커버 결합부(1013c)의 고정부재 수용부(1013d)는 암나사일 수 있다.
더욱 견고한 지지를 위해, 고정부재(1109a)는 디스플레이 커버(1101)와 하부 하우징(1013) 뿐만 아니라 중간 하우징(1012)까지도 함께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중간 하우징(1012)에도 고정부재 수용부(1012d)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중간 하우징(1012)의 고정부재 수용부(1012d)는 암나사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조로 디스플레이 유닛(1100)을 하우징(1010)에 결합하여 고정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1100)을 하우징(1010)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고정부재(1109a)를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100)을 하우징(1010)에 고정할 수 있어 제품의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구조로 인해 디스플레이 유닛(1100)을 하우징(1010)으로부터 탈부착시키기 용이하므로 실내기(1000)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9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결합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유닛(1100)을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상부에 디스플레이(1101)가 안착된 채로 하부 하우징(1013)의 토출구 상에 위치시킨다. 이렇게 디스플레이 유닛(1100)이 하부 하우징(1013)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토출커버(1017)를 하부 하우징(1013)에 결합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일측(1106c)은 하부 하우징(1013)에 1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타측(1106d)은 하부 하우징(1013c)의 디스플레이 커버 결합부(1013c)와 포개지도록 디스플레이 커버 결합부(1013c)의 하부에 배치된다. 즉,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타측(1106d)은 디스플레이 커버 결합부(1013c)와 접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고정부재(1109a)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커버(1106)를 하부 하우징(1013)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1109a)가 수나사인 경우, 사용자는 수나사를 디스플레이 커버(1106) 및 하부 하우징(1013)에 각각 형성된 고정부재 수용부(1106e, 1013d)에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커버(1106)를 하부 하우징(1013)에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106)는 중간 하우징(1012)에 마련된 고정부재 수용부(1012d)와도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커버(1106), 하부 하우징(1013) 및 중간 하우징(1012)을 동시에 결합 및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나사로 구현된 고정부재(1109a)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100)이 하우징(1010)에 결합되는 것이 설명되었으나, 고정부재(1109a)의 구현 수단은 나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에서는 다양한 고정부재(1109a)의 구현 수단이 설명된다.
도 50은 도 41에 표시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의 다른 일 예이다.
도 50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커버의 다른 일 예를 설명한다. 다만, 도 48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1106)는 흡입구(1020)에 인접한 일측(1106c)이 토출커버(1017)의 상부에 포개지도록 배치되어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토출커버(101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일측(1106c)은 토출커버(1017)의 외주면(1017a)의 일부분(1017b)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1106d)은 하부 하우징(1013)의 외측 단부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커버 결합부(1013c)와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타측(1106d)은 디스플레이 커버 결합부(1013c)와 포개지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타측(1106d)에 돌출 형성된 고정부재(1109b)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013)의 디스플레이 커버 결합부(1013c)에는 고정부재(1109b)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고정부재(1109b)와 결합되는 고정부재 수용부(1013d)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재(1109b)와 고정부재 수용부(1013d)는 스냅 핏(snap fit) 결합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1109b)는 2개의 연장부(1109b-1) 및 각 연장부(1109b-1)에 마련된 걸림부(1109-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109b-1)는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타단부(1106d)에서 하부 하우징(1013)을 향해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된다. 디스플레이 커버(1106)가 하부 하우징(1013)에 결합될 경우 디스플레이 커버(1106)와 하부 하우징(1013)이 상호 간격을 두지 않고 접할 수 있도록, 연장부(1109b-1)의 길이는 고정부재 수용부(1013d)에 의해 마련되는 관통홀(1013e)의 깊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109b-1)는 후술할 걸림부(1109b-2)가 고정부재 수용부(1013d)에 마련된 관통홀(1013e)을 통과할 때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부(1109b-1)는 연장부(1109b-1)의 단부에 관통홀(1013e)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부(1109b-2)가 관통홀(1013e)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걸림부(1109b-2)가 관통홀(1013e)을 통과하면 연장부(1109b-1)는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간격을 가지도록 복원되며, 이에 따라, 하부 하우징(1013)의 고정부재 수용부(1013d)에 마련된 걸림홈(1013f)에 고정된다.
걸림부(1109b-2)는 연장부(1109b-1)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다. 걸림부(1109b-2)는 고정부재 수용부(1013d)에 마련된 관통홀(1013e)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걸림부(1109b-2)는 연장부(1109b-1)의 탄성력에 의해 관통홀(1013e)을 통과할 수 있다. 걸림부(1109b-2)는 관통홀(1013e)을 통과한 후, 하부 하우징(1013)의 고정부재 수용부(1013d)에 마련된 걸림홈(1013f)에 고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1)의 일 모서리부분(1101a)은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홈(1106a)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0에 도시한 실내기(1000)는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타단부(1106d)에 마련된 고정부재(1109b)를 하부 하우징(1013)에 마련된 고정부재 수용부(1013c)에 맞추어 삽입하는 동작만으로 1차 고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일단부(1106c)는 토출커버(1017)를 하부 하우징(1013)에 결합하는 동작만으로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하우징(10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1은 도 41에 표시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의 또 다른 일 예이다.
도 51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커버의 또 다른 일 예를 설명한다. 다만, 도 48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1106)는 타측(1106d)이 하부 하우징(1013)에 마련된 유출구(1072)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타측(1106d)은 도 5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타측(1106d)과 같이 하부 하우징(1013)을 향해 연장된 고정부재(1109c)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109c)는 연장부(1109c-1) 및 걸림부(1109c-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109c-1)는 하부 하우징(1013)에 마련된 유출구(1072)의 깊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걸림부(1109c-2)는 유출구(1072)를 통과하여 하부 하우징(1013)의 걸림홈(1013f) 에 고정된다.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일측(1106c)은 토출커버(1017)의 외주면(1017a)의 일부분(1017b)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1)의 일 모서리부분(1101a)은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홈(1106a)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1에 도시된 실내기(1000)의 경우, 별도의 고정부재 수용부를 마련할 필요없이, 기존에 형성된 유출구(1072)에 디스플레이 유닛(1100)을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52은 도 41에 표시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의 또 다른 일 예이다.
도 52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커버의 또 다른 일 예를 설명한다. 다만, 도 48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1106)는 토출커버(1017)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커버(1017)는 디스플레이(1101)가 배치되는 일측으로부터 토출구(1021)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된 디스플레이 커버(1106)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1106)는 디스플레이(1101)를 하부에서 감싸도록 마련된다.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토출커버(1017)로부터 이격된 외측 단부(1106c)에는 고정부재(1109d)를 수용하는 고정부재 수용부(1106d)가 마련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013)에는 고정부재 수용부(1106d)와 함께 고정부재(1109d)를 수용하는 고정부재 수용부(13d)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재(109d)는 토출커버(17)의 고정부재 수용부(1106d)와 하부 하우징(1013)의 고정부재 수용부(1013d)에 삽입되어 토출커버(1017)를 하부 하우징(1013)에 결합 및 고정시키는 수나사일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재 수용부(1106d, 1013d)는 암나사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1)의 일 모서리부분(1101a)은 디스플레이 커버(1106)의 홈(1106a)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2에 도시된 실내기(1000)의 경우, 토출커버(1017)와 디스플레이 커버(1106)를 일체로 형성하여,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디스플레이(1101)를 하우징(1010)에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도 53은 도 40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경우,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 제어 장치(1050)를 포함하는 실내기(1000)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 제어 장치(1050)가 없이 단순히 원형 토출구(1021)만을 구비하는 실내기(1000)에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1000)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100)을 하우징(101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1100)을 하우징(1010)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어 실내기(1000)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1100)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설명되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1100)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이 설명된다.
도 54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54에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는 입력장치(1090), 검출부(1092), 제어부(1094), 메모리(1096), 구동부(1098) 및 디스플레이 유닛(100)를 더 포함한다.
입력장치(109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의 운전 모드(예를 들어, 냉방 또는 난방 운전), 실내의 목표 온도, 기류의 방향 및 기류의 세기 등의 운전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것으로, 키, 버튼, 스위치, 터치 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누름, 접촉, 압력, 회전 등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입력 데이터를 발생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력장치(1090)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의 운전을 설정하거나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원격 제어 장치로, 휴대폰(Cellphone, PCS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넷북, 태블릿, 네비게이션(Navig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장치(1090)는 유무선 통신 기능이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과 같이 여러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장치(1090)는 간단한 형태의 일반적인 리모컨일 수 있다. 리모컨은 일반적으로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을 이용하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입력장치(1090)는RF(Radio Frequency),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엔에프씨(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 통신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와 무선 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입력장치(1090)와 실내기(1000)가 무선 통신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것이면, 어느 방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입력장치(1090)는 실내기(1000)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운전/정지 버튼과, 실내기(1000)의 운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운전 선택 버튼과,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풍향 버튼과, 기류의 세기를 제어하기 위한 풍량 버튼과, 온도 조절을 위한 온도 버튼과, 다이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1092)는 실내 공간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부(1094)에 전달한다.
제어부(1094)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입력장치(1090)와 검출부(1092)로부터 각종 운전 정보와 온도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기초로 하여 구동부(1098)와 디스플레이 유닛(1100)에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메모리(1096)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의 운전 제어 중 사용되는 기준 데이터, 실내기(1000)가 소정의 운전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운전 데이터, 실내기(1000)가 소정의 운전을 수행하도록 입력장치(1090)에 의해 입력된 설정 데이터 등과 같은 설정 정보와, 예약 운전 예약 여부, 실내기(1000)의 오동작 시 오동작의 원인 또는 오동작 위치를 포함하는 고장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96)는 디스플레이 유닛(100)가 표시하는 광 패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광원(LED)이 설정된 기류의 방향에 따라 3중의 원형 띠 형상으로 발광하는 광 패턴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1094)가 요청하는 경우, 저장된 광 패턴 정보를 제어부(1094)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96)는 롬(Read Only Memory; ROM), 피롬(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ed Read Only Memory; EPRM), 플레시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활성 메모리 소자, 램(Random Access Memory;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hard disc),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광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1096)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저장 매체가 사용될 수 있다.
구동부(1098)는 제어부(1094)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의 운전에 관련된 메인팬(1040), 보조팬(1060) 등을 구동시킨다.
즉, 구동부(1098)는 제어부(1094)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기류 제어 모터(1061)의 구동 여부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1021)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하고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098)는 제어부(1094)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송풍 모터(1041)의 구동 여부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1021)로 토출되는 기류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00)는 제어부(1094)의 표시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 정보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의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입력장치(1090)로부터 전달받은 각종 운전 정보에 따라 제1발광부(1110) 내지 제4발광부(1140)를 이용하여 토출 기류의 방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1100)는 입력장치(109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인지, 수평풍인지, 미드풍인지 또는 자동풍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1000)의 운전 상태와 사용자의 조작 상태를 음향(예를 들어, Beep음)으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블레이드가 없는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의 동작 과정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 5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가 없는 공기 조화기에서 토출 기류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도시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56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가 토출 기류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5에서, 사용자는 입력장치(1090)를 조작하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의 운전 모드(예를 들어, 냉방 또는 난방 운전), 실내의 목표 온도, 토출 기류의 방향 등의 운전 정보를 설정한다(1200). 입력장치(1090)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 정보는 제어부(1094)에 전달된다.
따라서, 제어부(1094)는 입력장치(1090)로부터 각종 운전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기초로 하여 실내기(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운전 온인가를 판단한다(1202).
단계 1202의 판단 결과, 운전 온이면 제어부(1094)는 설정된 방향에 따라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구동부(1098)에 구동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구동부(1098)는 제어부(1094)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기류 제어 모터(1061)의 구동 여부 및 속도를 제어하여 토출구(1021)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하고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1204).
제어부(1094)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주기 위해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인가를 판단한다(1206).
단계 1206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이면, 제어부(1094)는 제1 발광부(1110)의 광원(1110a, 1110b, 1110c, 1110d, 1110e, 1110f)을 점등시켜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안쪽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을 디스플레이한다(1208). 예를 들어, 제1 발광부(1110)의 광원(1110a, 1110b, 1110c, 1110d, 1110e, 1110f)의 점등에 의하여, 도 5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중심 부분에 제1 원형 이미지(1111)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단계 1206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이 아니면, 제어부(1094)는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인가를 판단한다(1210).
단계1 210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이면, 제어부(1094)는 제2 발광부(1120)의 광원(1120a, 1120b, 1120c, 1120d, 1120e, 1120f, 1120g, 1120h, 1120i)를 점등시켜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을 디스플레이한다(1212). 예를 들어, 제2 발광부(1120)의 광원(1120a, 1120b, 1120c, 1120d, 1120e, 1120f, 1120g, 1120h, 1120i)의 점등에 의하여, 도 5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가장자리 부분에 제2 원형 이미지(1121)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단계 1210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이 아니면, 제어부(1094)는 기류의 방향이 미드풍인가를 판단한다(1214).
단계 1214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미드풍이면, 제어부(1094)는 제3 발광부(1130)의 광원(1130a, 1130b, 1130c, 1130d, 1130e, 1130f)을 점등시켜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중간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을 디스플레이한다(1216). 예를 들어, 제3 발광부(1130)의 광원(1130a, 1130b, 1130c, 1130d, 1130e, 1130f)의 점등에 의하여, 도 5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제1 원형 이미지(1111)과 제2 원형 이미지(1121)의 사이에 제3 원형 이미지(1131)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미드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단계 1214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미드풍이 아니면, 제어부(1094)는 기류의 방향이 자동풍인가를 판단한다(1218).
단계 1218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자동풍이면, 제어부(1094)는 제1 발광부(110)의 광원(1110a, 1110b, 1110c, 1110d, 1110e, 1110f), 제2 발광부(1120)의 광원(1120a, 1120b, 1120c, 1120d, 1120e, 1120f, 1120g, 1120h, 1120i) 및 제3 발광부(1130)의 광원(1130a, 1130b, 1130c, 1130d, 1130e, 1130f)을 안쪽에서 바깥쪽 또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순차적으로 점등시켜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안쪽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으로부터 가장자리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이 에니메이션된다(1220).
따라서, 사용자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자동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100)는 기류의 방향에 따라 토출 기류의 방향을 가시화하여 블레이드가 없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에서도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어서, 제어부(1094)는 운전 오프인가를 판단하여(1222), 운전 오프가 아니면 보조팬(1060)을 제어하여 설정된 방향에 따라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유닛(1100)를 제어하여 토출 기류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준다.
단계 1222의 판단 결과, 운전 오프이면 제어부(1094)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의 모든 부하의 동작을 중지하면서 운전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 수평풍, 미드풍 또는 자동풍으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류의 방향이 보다 세분화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유닛(1100)에 보다 많은 발광부를 마련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해 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00)에 마련된 발광부의 개수 및 배치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100)은 앞서 설명된 순환 기류 모드를 가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보조팬(1060)이 보조팬A, 보조팬B, 보조팬C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1100)는 보조팬A, 보조팬B, 보조팬C에 의한 기류의 방향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1100)에 표시되는 제1, 제2 및 제3 원형 이미지(1111, 1121, 1131)는 순환 기류 모드를 가시화하기 위하여 복수의 원호 형상 이미지(1111a, 1111b, 1111c, 1121a, 1121b, 1121c, 1131a, 1131b, 1131c)로 구획될 수 있다.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형 이미지(1111)는 제1 원호 형상 이미지A (1111a), 제1 원호 형상 이미지B (1111b) 및 제1 원호 형상 이미지C (1111c)로 구획되고, 제2 원형 이미지(1121)는 제2 원호 형상 이미지A (1121a), 제2 원호 형상 이미지B (1121b) 및 제2 원호 형상 이미지C (1121c)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제3 원형 이미지(1131)는 제3 원호 형상 이미지A (1131a), 제3 원호 형상 이미지B (1131b) 및 제3 원호 형상 이미지C (1131c)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제1 원호 형상 이미지A (1111a), 제1 원호 형상 이미지B (1111b) 및 제1 원호 형상 이미지C (1111c)는 수직풍을 나타내고, 제2 원호 형상 이미지A (1121a), 제2 원호 형상 이미지B (1121b) 및 제2 원호 형상 이미지C (1121c)는 수평풍을 나타내고, 제3 원호 형상 이미지B (1131b) 및 제3 원호 형상 이미지C (1131c)는 미드풍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1 원호 형상 이미지A (1111a), 제2 원호 형상 이미지A (1121a) 및 제3 원호 형상 이미지A (1131a)는 보조팬A에 의한 기류 방향을 가시화하고, 제1 원호 형상 이미지B (1111b), 제2 원호 형상 이미지B (1121b) 및 제3 원호 형상 이미지B (1131b)는 보조팬B에 의한 기류 방향을 가시화할 수 있다. 제1 원호 형상 이미지C (1111c), 제2 원호 형상 이미지C (1121c) 및 제3 원호 형상 이미지C (1131c)는 보조팬C에 의한 기류 방향을 가시화할 수 있다.
보조팬A에 의하여 수직풍이 발생하고, 보조팬B에 의하여 수평풍이 발생하고, 보조팬C에 의하여 미드풍이 발생하는 경우, 도 5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100)에는 보조팬A에 의한 수직풍을 나타내는 제1 원호 형상 이미지A (1111a), 보조팬B에 의한 수평풍을 나타내는 제2 원호 형상 이미지B (1121b), 보조팬C에 의한 미드풍을 나타내는 제3 원호 형상 이미지C (1131c)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원호 형상 이미지A (1111a)가 표시되도록 도 46에 도시된 제1 발광부(1110)의 제1 광원A (1110a) 및 제1 광원B (1110b)가 점등되고, 제2 원호 형상 이미지B (1121b)가 표시되도록 제2 발광부(1120)의 제2 광원C (1120c) 및 제2 광원D (1120d)가 점등되고, 제3 원호 형성 이미지C (1131c)가 표시되도록, 제3 발광부(1130)의 제3 광원E (1130e) 및 제3 광원F (1130f)가 점등될 수 있다.
보조팬A에 의하여 미드풍이 발생하고, 보조팬B에 의하여 수직풍이 발생하고, 보조팬C에 의하여 수평풍이 발생하는 경우, 도 5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100)에는 보조팬A에 의한 미드풍을 나타내는 제3 원호 형상 이미지A (1131a), 보조팬B에 의한 수직풍을 나타내는 제1 원호 형상 이미지B (1111b), 보조팬C에 의한 수평풍을 나타내는 제2 원호 형상 이미지C (1121c)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3 원호 형상 이미지A (1131a)가 표시되도록 도 46에 도시된 제3 발광부(1130)의 제3 광원A (1130a) 및 제3 광원B (1130b)가 점등되고, 제1 원호 형상 이미지B (1111b)가 표시되도록 제1 발광부(1110)의 제1 광원C (1110c) 및 제1 광원D (1110d)가 점등되고, 제2 원호 형성 이미지C (1121c)가 표시되도록, 제2 발광부(1120)의 제2 광원E (1120e) 및 제2 광원F (1120f)가 점등될 수 있다.
또한, 보조팬A에 의하여 수평풍이 발생하고, 보조팬B에 의하여 미드풍이 발생하고, 보조팬C에 의하여 수직풍이 발생하는 경우, 도 5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100)에는 보조팬A에 의한 수평풍을 나타내는 제2 원호 형상 이미지A (1121a), 보조팬B에 의한 미드풍을 나타내는 제3 원호 형상 이미지B (1131b), 보조팬C에 의한 수직풍을 나타내는 제1 원호 형상 이미지C (1111c)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원호 형상 이미지A (1121a)가 표시되도록 도 46에 도시된 제2 발광부(1120)의 제2 광원A (1120a) 및 제2 광원B (1120b)가 점등되고, 제3 원호 형상 이미지B (1131b)가 표시되도록 제3 발광부(1130)의 제3 광원C (1130c) 및 제3 광원D (1130d)가 점등되고, 제1 원호 형성 이미지C (1111c)가 표시되도록, 제1 발광부(1110)의 제1 광원E (1110e) 및 제1 광원F (1110f)가 점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순환 기류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100)은 보조팬 A, B, C에 의한 기류 방향에 따라 제1 원호 형상 이미지 A, B, C (1111a, 1111b, 1111c), 제2 원호 형성 이미지 A, B, C (1121a, 1121b, 1121c) 및 제3 원호 형상 이미지 A, B, C (1131a, 1131b, 1131c)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순환 기류 모드의 가시화는 이상에서 설명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보조팬 A, B, C에 의한 기류 방향을 가시화하기 보다 순환 기류 모드 그 자체를 가시화하기 위하여, 먼저 제1, 제2 및 제3 원호 형상 이미지A (1111a, 1121a, 1131a)를 표시하고, 이후 제1, 제2 및 제3 원호 형상 이미지B (1111b, 1121b, 1131b)를 표시하고, 이후 제1, 제2 및 제3 원호 형상 이미지C (1111c, 1121c, 1131c)를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유닛(1100)은 부채꼴 형상의 이미지가 회전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 토출 기류의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58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9은 일 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가 없는 공기 조화기에서 토출 기류의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도시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4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 및 동일 명칭을 사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8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100)는 토출되는 기류의 세기를 LED 등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보조 디스플레이(1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115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외측면에 원호 형상으로 배치된 제1 내지 제5 광원(1150a, 1150b, 1150c, 1150d, 1150e)을 포함하고, 제1 내지 제5 광원(1150a, 1150b, 1150c, 1150d, 1150e)을 이용하여 토출 기류의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류의 세기가 강풍이면 보조 디스플레이(1150)의 제1 내지 제5 광원(1150a, 1150b, 1150c, 1150d, 1150e)을 모두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강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기류의 세기가 중풍이면 보조 디스플레이(1150)의 제1 내지 제5 광원(1150a, 1150b, 1150c, 1150d, 1150e) 중 제1 내지 제3 광원(1150a, 1150b, 1150c)을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중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기류의 세기가 약풍이면 보조 디스플레이(1150)의 제1 내지 제5 광원(1150a, 1150b, 1150c, 1150d, 1150e) 중 제1 광원(1150a)만을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약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는 보조 디스플레이(1150)의 제1 광원(1150a)을 기준으로 제5 광원(1150e)까지 점등되는 광원(1150a, 1150b, 1150c, 1150d, 1150e)의 개수를 조절하여 토출 기류의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조 디스플레이(1150)의 제3 광원(1150c)을 기준으로 제1 광원(1150a) 또는 제5 광원(1150e)까지 점등되는 광원(1150a, 1150b, 1150c, 1150d, 1150e)의 개수를 조절하여 토출 기류의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류의 세기가 강풍이면 보조 디스플레이(1150)의 제1 내지 제5 광원(1150a, 1150b, 1150c, 1150d, 1150e)을 모두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강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기류의 세기가 중풍이면 보조 디스플레이(1150)의 제1 내지 제5 광원(1150a, 1150b, 1150c, 1150d, 1150e) 중 제2 내지 제4 광원(1150b, 1150c, 1150d)을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중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기류의 세기가 약풍이면 보조 디스플레이(1150)의 제1 내지 제5 광원(1150a, 1150b, 1150c, 1150d, 1150e) 중 제3 광원(1150c)만을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약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9에서, 사용자는 입력장치(1090)를 조작하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의 운전 모드(예를 들어, 냉방 또는 난방 운전), 실내의 목표 온도, 토출 기류의 세기 등의 운전 정보를 설정한다(1300). 입력장치(1090)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 정보는 제어부(1094)에 전달된다.
따라서, 제어부(1094)는 입력장치(1090)로부터 각종 운전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기초로 하여 실내기(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운전 온인가를 판단한다(1302).
단계 1302의 판단 결과, 운전 온이면 제어부(1094)는 설정된 세기에 따라 토출 기류의 세기를 제어하기 위해 구동부(1098)에 구동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구동부(1098)는 제어부(1094)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송풍 모터(1041)의 구동 여부 및 속도를 제어하여 토출구(1021)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하고 토출 기류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1304).
제어부(1094)는 토출 기류의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기 위해 기류의 세기가 강풍인가를 판단한다(1306).
단계 1306의 판단 결과, 기류의 세기가 강풍이면, 제어부(1094)는 보조 디스플레이(1150)의 제1 내지 제5 광원(1150a, 1150b, 1150c, 1150d, 1150e)을 모두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강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디스플레이한다(1308).
따라서, 사용자는 토출 기류의 세기가 강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단계 1306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강풍이 아니면, 제어부(1094)는 기류의 방향이 중풍인가를 판단한다(1310).
단계 310의 판단 결과, 기류의 세기가 중풍이면, 제어부(1094)는 보조 디스플레이(1150)의 제1 내지 제3 광원(1150a, 1150b, 1150c)을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중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디스플레이한다(1312).
따라서, 사용자는 토출 기류의 세기가 중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단계 1310의 판단 결과, 기류의 세기가 중풍이 아니면, 제어부(1094)는 기류의 세기가 약풍인가를 판단한다(1314).
단계 1314의 판단 결과, 기류의 세기가 약풍이면, 제어부(1094)는 보조 디스플레이(1150)의 제1 광원(1150a)만을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약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디스플레이한다(1316).
따라서, 사용자는 토출 기류의 세기가 약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보조 디스플레이(1150)는 기류의 세기에 따라 토출 기류의 세기를 가시화하여 블레이드가 없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에서도 토출되는 기류의 세기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어서, 제어부(1094)는 운전 오프인가를 판단하여(1322), 운전 오프가 아니면 메인팬(1040)을 제어하여 설정된 세기에 따라 토출 기류의 세기를 제어하고, 보조 디스플레이(1150)를 제어하여 토출 기류의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준다.
단계 1322의 판단 결과, 운전 오프이면 제어부(1094)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의 모든 부하의 동작을 중지하면서 운전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류의 세기가 강풍, 중풍 또는 약풍으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류의 세기가 보다 세분화되는 경우에는 보조 디스플레이(1150)에 보다 많은 광원(LED)을 마련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해 줄 수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1150)에 마련된 광원(LED)의 개수 및 배치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다음으로 토출 기류의 방향뿐 아니라 토출 기류의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60a 및 도 60b는 일 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가 없는 공기 조화기에서 토출 기류의 방향 및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제1 제어 알고리즘을 도시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60a 및 도 60b에서, 사용자는 입력장치(1090)를 조작하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의 운전 모드(예를 들어, 냉방 또는 난방 운전), 실내의 목표 온도, 토출 기류의 방향 및 세기 등의 운전 정보를 설정한다(1400). 입력장치(1090)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 정보는 제어부(1094)에 전달된다.
따라서, 제어부(1094)는 입력장치(1090)로부터 각종 운전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기초로 하여 실내기(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운전 온인가를 판단한다(1402).
단계 1402의 판단 결과, 운전 온이면 제어부(1094)는 설정된 방향 및 세기에 따라 토출 기류의 방향 및 세기를 제어하기 위해 구동부(1098)에 구동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구동부(1098)는 제어부(1094)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송풍 모터(1041) 및 기류 제어 모터(1061)의 구동 여부 및 속도를 제어하여 토출구(1021)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하고 토출 기류의 방향 및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1404).
먼저, 제어부(1094)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주기 위해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인가를 판단한다(1406).
단계 1406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이면, 제어부(1094)는 제1 발광부(1110)의 광원(1110a, 1110b, 1110c, 1110d, 1110e, 1110f)을 점등시켜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안쪽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을 디스플레이한다(1408).
한편, 단계 1406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이 아니면, 제어부(1094)는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인가를 판단한다(1410).
단계 1410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이면, 제어부(1094)는 제2 발광부(1120)의 광원(1120a, 1120b, 1120c, 1120d, 1120e, 1120f, 1120g, 1120h, 1120i)를 점등시켜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을 디스플레이한다(1412).
한편, 단계 1410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이 아니면, 제어부(1094)는 기류의 방향이 미드풍인가를 판단한다(1414).
단계 1414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미드풍이면, 제어부(1094)는 제3 발광부(1130)의 광원(1130a, 1130b, 1130c, 1130d, 1130e, 1130f)을 점등시켜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중간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을 디스플레이한다(1416).
한편, 단계 1414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미드풍이 아니면, 제어부(1094)는 기류의 방향이 자동풍인가를 판단한다(1418).
단계 518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자동풍이면, 제어부(1094)는 제1 발광부(1110)의 광원(1110a, 1110b, 1110c, 1110d, 1110e, 1110f), 제2 발광부(1120)의 광원(1120a, 1120b, 1120c, 1120d, 1120e, 1120f, 1120g, 1120h, 1120i) 및 제3 발광부(130)의 광원(1130a, 1130b, 1130c, 1130d, 1130e, 1130f )을 안쪽에서 바깥쪽 또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순차적으로 점등시켜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안쪽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으로부터 가장자리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이 에니메이션된다(1420).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100)는 기류의 방향에 따라 토출 기류의 방향을 가시화하여 블레이드가 없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에서도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어서, 제어부(1094)는 토출 기류의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기 위해 기류의 세기가 강풍인가를 판단한다(1422).
단계 1422의 판단 결과, 기류의 세기가 강풍이면, 제어부(1094)는 보조 디스플레이(1150)의 제1 내지 제5 광원(1150a, 1150b, 1150c, 1150d, 1150e)을 모두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강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디스플레이한다(1424).
한편, 단계 1422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강풍이 아니면, 제어부(1094)는 기류의 방향이 중풍인가를 판단한다(1426).
단계 1426의 판단 결과, 기류의 세기가 중풍이면, 제어부(1094)는 보조 디스플레이(1150)의 제1 내지 제3 광원(1150a, 1150b, 1150c)을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중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디스플레이한다(1428).
한편, 단계 1426의 판단 결과, 기류의 세기가 중풍이 아니면, 제어부(1094)는 기류의 세기가 약풍인가를 판단한다(1430).
단계 1430의 판단 결과, 기류의 세기가 약풍이면, 제어부(1094)는 보조 디스플레이(1150)의 제1 광원(1150a)만을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약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디스플레이한다(1432).
이와 같이, 보조 디스플레이(1150)는 기류의 세기에 따라 토출 기류의 세기를 가시화하여 블레이드가 없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에서도 토출되는 기류의 세기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어서, 제어부(1094)는 운전 오프인가를 판단하여(1434), 운전 오프가 아니면 제어부(1094)는 메인팬(1040) 및 보조팬(1060)을 제어하여 설정된 방향 및 세기에 따라 토출 기류의 방향 및 세기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유닛(1100) 및 보조 디스플레이(1150)를 제어하여 토출 기류의 방향 및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준다.
단계 1434의 판단 결과, 운전 오프이면 제어부(1094)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의 모든 부하의 동작을 중지하면서 운전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토출 기류의 방향뿐 아니라 토출 기류의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다른 방법이 설명된다.
도 61a 및 도 61b는 일 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가 없는 공기 조화기에서 토출 기류의 방향 및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제2 제어 알고리즘을 도시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61a 및 도 61b에서, 사용자는 입력장치(1090)를 조작하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의 운전 모드(예를 들어, 냉방 또는 난방 운전), 실내의 목표 온도, 토출 기류의 방향 등의 운전 정보를 설정한다(1500). 입력장치(1090)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 정보는 제어부(1094)에 전달된다.
따라서, 제어부(1094)는 입력장치(1090)로부터 각종 운전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기초로 하여 실내기(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운전 온인가를 판단한다(1502).
단계 502의 판단 결과, 운전 온이면 제어부(1094)는 설정된 방향에 따라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구동부(1098)에 구동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구동부(1098)는 제어부(1094)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기류 제어 모터(1061)의 구동 여부 및 속도를 제어하여 토출구(1021)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하고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1504).
그리고, 제어부(1094)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주기 위해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인가를 판단한다(1506).
단계 506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이면, 제어부(1094)는 제1 발광부(1110)의 광원(1110a, 1110b, 1110c, 1110d, 1110e, 1110f)을 점등시켜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안쪽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을 디스플레이한다(1508).
한편, 단계 1506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이 아니면, 제어부(1094)는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인가를 판단한다(1510).
단계 1510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이면, 제어부(1094)는 제2 발광부(1120)의 광원(1120a, 1120b, 1120c, 1120d, 1120e, 1120f, 1120g, 1120h, 1120i)를 점등시켜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을 디스플레이한다(1512).
한편, 단계 1510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이 아니면, 제어부(1094)는 기류의 방향이 미드풍인가를 판단한다(1514).
단계 1514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미드풍이면, 제어부(1094)는 제3 발광부(1130)의 광원(1130a, 1130b, 1130c, 1130d, 1130e, 1130f)을 점등시켜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중간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을 디스플레이한다(1516).
한편, 단계 1514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미드풍이 아니면, 제어부(1094)는 기류의 방향이 자동풍인가를 판단한다(1518).
단계 1518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자동풍이면, 제어부(1094)는 제1 발광부(1110)의 광원(1110a, 1110b, 1110c, 1110d, 1110e, 1110f), 제2 발광부(1120)의 광원(1120a, 1120b, 1120c, 1120d, 1120e, 1120f, 1120g, 1120h, 1120i) 및 제3 발광부(1130)의 광원(1130a, 1130b, 1130c, 1130d, 1130e, 1130f )을 안쪽에서 바깥쪽 또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순차적으로 점등시켜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안쪽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으로부터 가장자리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이 에니메이션된다(1520).
이와 같이,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디스플레이 유닛(1100)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중에, 사용자가 입력장치(1090)를 조작하여 토출 기류의 세기를 설정하면(1522), 제어부(1094)는 설정된 세기에 따라 토출 기류의 세기를 제어하기 위해 구동부(1098)에 구동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구동부(1098)는 제어부(1094)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송풍 모터(1041)의 구동 여부 및 속도를 제어하여 토출구(1021)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하고 토출 기류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1524).
이어서, 제어부(1094)는 토출 기류의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기 위해 기류의 세기가 강풍인가를 판단한다(1526).
단계 1526의 판단 결과, 기류의 세기가 강풍이면, 제어부(1094)는 보조 디스플레이(1150)의 제1 내지 제5 광원(1150a, 1150b, 1150c, 1150d, 1150e)을 모두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강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디스플레이한다(1528).
한편, 단계 1526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강풍이 아니면, 제어부(1094)는 기류의 방향이 중풍인가를 판단한다(1530).
단계 1530의 판단 결과, 기류의 세기가 중풍이면, 제어부(1094)는 보조 디스플레이(1150)의 제1 내지 제3 광원(1150a, 1150b, 1150c)을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중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디스플레이한다(1532).
한편, 단계 1530의 판단 결과, 기류의 세기가 중풍이 아니면, 제어부(1094)는 기류의 세기가 약풍인가를 판단한다(1534).
단계 1534의 판단 결과, 기류의 세기가 약풍이면, 제어부(1094)는 보조 디스플레이(1150)의 제1 광원(1150a)만을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약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디스플레이한다(1536).
이와 같이,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디스플레이 유닛(1100)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중에, 사용자가 입력장치(1090)를 조작하여 기류의 세기를 설정하면 토출되는 기류의 세기도 보조 디스플레이(1150)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제어부(1094)는 운전 오프인가를 판단하여(1538), 운전 오프가 아니면 제어부(1094)는 메인팬(1040) 및 보조팬(1060)을 제어하여 설정된 방향 및 세기에 따라 토출 기류의 방향 및 세기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유닛(1100) 및 보조 디스플레이(1150)를 제어하여 토출 기류의 방향 및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준다.
단계 1538의 판단 결과, 운전 오프이면 제어부(1094)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의 모든 부하의 동작을 중지하면서 운전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토출 기류의 방향뿐 아니라 토출 기류의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또 다른 방법이 설명된다.
도 62a 및 도 6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가 없는 공기 조화기에서 토출 기류의 방향 및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제3 제어 알고리즘을 도시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62a 및 도 62b에서, 사용자는 입력장치(1090)를 조작하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의 운전 모드(예를 들어, 냉방 또는 난방 운전), 실내의 목표 온도, 토출 기류의 세기 등의 운전 정보를 설정한다(1600). 입력장치(1090)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 정보는 제어부(1094)에 전달된다.
따라서, 제어부(1094)는 입력장치(1090)로부터 각종 운전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기초로 하여 실내기(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운전 온인가를 판단한다(1602).
단계 1602의 판단 결과, 운전 온이면 제어부(1094)는 설정된 세기에 따라 토출 기류의 세기를 제어하기 위해 구동부(1098)에 구동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구동부(1098)는 제어부(1094)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송풍 모터(1041)의 구동 여부 및 속도를 제어하여 토출구(1021)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하고 토출 기류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1604).
제어부(1094)는 토출 기류의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기 위해 기류의 세기가 강풍인가를 판단한다(10606).
단계 1806의 판단 결과, 기류의 세기가 강풍이면, 제어부(1094)는 보조 디스플레이(1150)의 제1 내지 제5 광원(1150a, 1150b, 1150c, 1150d, 1150e)을 모두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강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디스플레이한다(1608).
한편, 단계 6106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강풍이 아니면, 제어부(1094)는 기류의 방향이 중풍인가를 판단한다(1610).
단계 1610의 판단 결과, 기류의 세기가 중풍이면, 제어부(1094)는 보조 디스플레이(1150)의 제1 내지 제3 광원(1150a, 1150b, 1150c)을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중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디스플레이한다(1612).
한편, 단계 1610의 판단 결과, 기류의 세기가 중풍이 아니면, 제어부(1094)는 기류의 세기가 약풍인가를 판단한다(1614).
단계 1614의 판단 결과, 기류의 세기가 약풍이면, 제어부(1094)는 보조 디스플레이(1150)의 제1 광원(1150a)만을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약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디스플레이한다(1616).
이와 같이, 토출되는 기류의 세기를 보조 디스플레이(1150)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중에, 사용자가 입력장치(1090)를 조작하여 토출 기류의 방향을 설정하면(1618), 제어부(1094)는 설정된 방향에 따라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구동부(1098)에 구동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구동부(1098)는 제어부(1094)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기류 제어 모터(1061)의 구동 여부 및 속도를 제어하여 토출구(1021)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하고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1620).
그리고, 제어부(1094)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주기 위해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인가를 판단한다(1622).
단계 1622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이면, 제어부(1094)는 제1 발광부(1110)의 광원(1110a, 1110b, 1110c, 1110d, 1110e, 1110f)을 점등시켜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안쪽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을 디스플레이한다(1624).
한편, 단계1 622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이 아니면, 제어부(1094)는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인가를 판단한다(1626).
단계 1626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이면, 제어부(1094)는 제2 발광부(1120)의 광원(1120a, 1120b, 1120c, 1120d, 1120e, 1120f, 1120g, 1120h, 1120i)를 점등시켜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을 디스플레이한다(1628).
한편, 단계 1626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이 아니면, 제어부(1094)는 기류의 방향이 미드풍인가를 판단한다(1630).
단계 1630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미드풍이면, 제어부(1094)는 제3 발광부(1130)의 광원(1130a, 1130b, 1130c, 1130d, 1130e, 1130f)을 점등시켜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중간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을 디스플레이한다(1632).
한편, 단계 1630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미드풍이 아니면, 제어부(1094)는 기류의 방향이 자동풍인가를 판단한다(1634).
단계 1634의 판단 결과, 기류의 방향이 자동풍이면, 제어부(1094)는 제1 발광부(1110)의 광원(1110a, 1110b, 1110c, 1110d, 1110e, 1110f), 제2 발광부(1120)의 광원(1120a, 1120b, 1120c, 1120d, 1120e, 1120f, 1120g, 1120h, 1120i) 및 제3 발광부(1130)의 광원(1130a, 1130b, 1130c, 1130d, 1130e, 1130f )을 안쪽에서 바깥쪽 또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순차적으로 점등시켜 디스플레이 유닛(1100)의 안쪽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으로부터 가장자리에 위치한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이 에니메이션된다(1636).
이와 같이, 토출되는 기류의 세기를 보조 디스플레이(1150)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중에, 사용자가 입력장치(1090)를 조작하여 기류의 방향을 설정하면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도 디스플레이 유닛(1100)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제어부(1094)는 운전 오프인가를 판단하여(1638), 운전 오프가 아니면 제어부(1094)는 메인팬(1040) 및 보조팬(1060)을 제어하여 설정된 방향 및 세기에 따라 토출 기류의 방향 및 세기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유닛(1100) 및 보조 디스플레이(1150)를 제어하여 토출 기류의 방향 및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준다.
단계 1638의 판단 결과, 운전 오프이면 제어부(1094)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의 모든 부하의 동작을 중지하면서 운전을 종료한다.
이상에서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현해주는 디스플레이 유닛(1100)를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으로 구현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토출 기류의 방향을 막대 띠 형상의 광 패턴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현해주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유닛이 설명된다.
도 63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막대 띠 형상의 광 패턴으로 구현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 및 동일 명칭을 사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3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160)는 막대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발광부를 갖는 조명 장치로, 다양한 방향으로 제어되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60)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제1 발광부(1161)와,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제2 발광부(1162)와,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과 수직풍의 중간인 미드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제3 발광부(1163)를 포함한다.
제1 발광부(1161)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1160)의 안쪽에 위치한 막대 띠 형상의 광 패턴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복수 개(약, 3개)의 광원(1161a, 1161b, 116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발광부(1162)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116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막대 띠 형상의 광 패턴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복수 개(약, 3개)의 광원(1162a, 1162b, 116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발광부(1163)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과 수직풍의 중간인 미드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제1 발광부(1161)와 제2 발광부(1162)의 중간에 위치한 막대 띠 형상의 광 패턴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복수 개(약, 3개)의 광원(1163a, 1163b, 1163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발광부(1161) 내지 제3 발광부(1163)에 각각 마련된 광원(1161a, 1161b, 1161c), (1162a, 1162b, 1162c), (1163a, 1163b, 1163c)의 개수 및 배치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조로써, 제1 발광부(2161) 내지 제3 발광부(163)는 각각에 마련된 복수 개의 광원(1161a, 1161b, 1161c), (1162a, 1162b, 1162c), (1163a, 1163b, 1163c)을 점등시키거나 또는 소등시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에서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인지, 수평풍인지 또는 미드풍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2160)는 제1 발광부(2161) 내지 제3 발광부(2163)를 안쪽에서 바깥쪽 또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순차적으로 점등시킴으로써 기류의 방향이 자동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4은 토출 기류의 방향을 5개 이상의 원형 띠 형상으로 구현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 및 동일 명칭을 사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4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170)는 원형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발광부를 갖는 반구형(半球形)의 조명 장치로, 다양한 방향으로 제어되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1170)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제1 발광부(1171) 및 제2 발광부(1172)와, 토출 기류의 방향이 미드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제3 발광부(1173)와,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제4 발광부(1174) 및 제5 발광부(1175)를 포함한다.
제1 발광부(1171) 및 제2 발광부(1172)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1170)의 안쪽에 위치한 2개의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제1 발광부(1171) 및 제2 발광부(1172)는 복수 개의 광원(LED)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발광부(1173)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미드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1170)의 중간에 위치한 1개의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제3 발광부(1173)는 복수 개의 광원(LED)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발광부(1174) 및 제5 발광부(1175)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1170)의 바깥쪽에 위치한 2개의 원형 띠 형상의 광 패턴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제4 발광부(1174) 및 제5 발광부(1175)는 복수 개의 광원(LED)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발광부(1171) 내지 제5 발광부(1175)에 각각 마련된 광원(LED)의 개수 및 배치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조로써, 제1 발광부(1171) 내지 제5 발광부(1175)는 각각에 마련된 복수 개의 광원(LED)을 점등시키거나 또는 소등시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에서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인지, 수평풍인지 또는 미드풍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170)는 제1 발광부(1171) 내지 제5 발광부(1175)를 안쪽에서 바깥쪽 또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순차적으로 점등시킴으로써 기류의 방향이 자동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170)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태 또는 에러 상태를 표시하는 제6 발광부(11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6 발광부(1176)는 디스플레이 유닛(1170)의 중심에 위치한 원형의 광원으로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의 전원 온/오프 상태 또는 동작 에러 상태를 다양한 색상의 LED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65은 토출 기류의 방향을 5개 이상의 막대 띠 형상으로 구현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 및 동일 명칭을 사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5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180)는 막대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발광부를 갖는 조명 장치로, 다양한 방향으로 제어되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80)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제3 발광부(1183)와,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제1 발광부(1181) 및 제5 발광부(1185)와,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과 수직풍의 중간인 미드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제2 발광부(1182) 및 제4 발광부(1184)를 포함한다.
제3 발광부(1183)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1810)의 안쪽에 위치한 1개의 막대 띠 형상의 광 패턴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복수 개(약, 3개)의 광원(1183a, 1183b, 118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부(1181) 및 제5 발광부(1185)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1180)의 바깥쪽에 위치한 2개의 막대 띠 형상의 광 패턴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복수 개의 광원(1181a, 1181b, 1181c), (1185a, 1185b, 1185c)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2 발광부(1182) 및 제4 발광부(1184)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과 수직풍의 중간인 미드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1180)의 중간에 위치한 2개의 막대 띠 형상의 광 패턴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복수 개의 광원(1182a, 1182b, 1182c), (1184a, 1184b, 1184c)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발광부(1181) 내지 제5 발광부(1185)에 각각 마련된 광원(1181a, 1181b, 1181c), (1182a, 1182b, 1182c), (1183a, 1183b, 1183c), (1184a, 1184b, 1184c), (1185a, 1185b, 1185c)의 개수 및 배치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조로써, 제1 발광부(1181) 내지 제5 발광부(1185)는 각각에 마련된 복수 개의 광원(1181a, 1181b, 1181c), (1182a, 1182b, 1182c), (1183a, 1183b, 1183c), (1184a, 1184b, 1184c), (1185a, 1185b, 1185c)을 점등시키거나 또는 소등시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0)에서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인지, 수평풍인지 또는 미드풍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180)는 제1 발광부(1181) 내지 제5 발광부(1185)를 안쪽에서 바깥쪽 또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순차적으로 점등시킴으로써 기류의 방향이 자동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6은 토출 기류의 방향 및 세기를 막대 띠 형상의 광 패턴으로 구현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 및 동일 명칭을 사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6에서, 제1 디스플레이 유닛(1191)는 막대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발광부를 갖는 조명 장치로, 다양한 방향으로 제어되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유닛(1191)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제1 발광부(1191a)와,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제2 발광부(1191b)와,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과 수직풍의 중간인 미드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제3 발광부(1191c)를 포함한다.
제1 발광부(1191a)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직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제1 디스플레이 유닛(1191)의 안쪽에 위치한 광 패턴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하나의 광원(LED)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발광부(1191b)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제1 디스플레이 유닛(1191)의 바깥쪽에 위치한 광 패턴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하나의 광원(LED)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발광부(1191c)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수평풍과 수직풍의 중간인 미드풍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제1 디스플레이 유닛(1191)의 중간에 위치한 광 패턴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하나의 광원(LED)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유닛(1192)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1191)의 일측에 막대 띠 형상으로 배치된 제1 내지 제5 광원(1192a, 1192b, 1192c, 1192d, 1192e)을 포함하고, 제1 내지 제5 광원(1192a, 1192b, 1192c, 1192d, 1192e)을 이용하여 토출 기류의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류의 세기가 강풍이면 제2 디스플레이 유닛(1192)의 제1 내지 제5 광원(1192a, 1192b, 1192c, 1192d, 1192e)을 모두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강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기류의 세기가 중풍이면 제2 디스플레이 유닛(1192)의 제1 내지 제5 광원(1192a, 1192b, 1192c, 1192d, 1192e) 중 제1 내지 제3 광원(1192a, 1192b, 1192c)을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중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기류의 세기가 약풍이면 제2 디스플레이 유닛(1192)의 제1 내지 제5 광원(1192a, 1192b, 1192c, 1192d, 1192e) 중 제1 광원(1192a)만을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약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1192)의 제1 광원(1192a)을 기준으로 제5 광원(1192e)까지 점등되는 광원(1192a, 1192b, 1192c, 1192d, 1192e)의 개수를 조절하여 토출 기류의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디스플레이 유닛(1192)의 제3 광원(1192c)을 기준으로 제1 광원(1192a) 또는 제5 광원(1192e)까지 점등되는 광원(1192a, 1192b, 1192c, 1192d, 1192e)의 개수를 조절하여 토출 기류의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류의 세기가 강풍이면 제2 디스플레이 유닛(1192)의 제1 내지 제5 광원(1192a, 1192b, 1192c, 1192d, 1192e)을 모두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강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기류의 세기가 중풍이면 제2 디스플레이 유닛(1192)의 제1 내지 제5 광원(1192a, 1192b, 1192c, 1192d, 1192e) 중 제2 내지 제4 광원(1192b, 1192c, 1192d)을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중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기류의 세기가 약풍이면 제2 디스플레이 유닛(1192)의 제1 내지 제5 광원(1192a, 1192b, 1192c, 1192d, 1192e) 중 제3 광원(1192c)만을 점등시켜 토출 기류의 세기가 약풍으로 제어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게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게시된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 없이 게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을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게시된 발명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될 수 없다.

Claims (20)

  1. 흡입구 및 토출구가 마련된 하우징;
    공기가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도록, 상기 공기를 유동시키는 메인팬;
    상기 메인팬에 의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토출구의 주변에 마련된 유입구를 통하여 흡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팬;
    상기 공기의 토출 방향이 변경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상기 유입구 측으로 끌어당기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가 설정된 토출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메인팬의 회전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의 토출 방향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의 토출 방향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의 토출 속도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의 토출 속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메인팬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상기 메인팬의 회전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의 토출 방향에 관한 정보와 상기 공기의 토출 속도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의 토출 속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메인팬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상기 메인팬의 회전수 및 상기 공기의 토출 방향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의 막힘 정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필터의 막힘 정도의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의 토출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팬의 회전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공기 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공조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가 목표 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의 토출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팬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가 목표 온도 미만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의 토출 방향이 일정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인체를 검출하는 인체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체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제상 운전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팬을 정지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팬을 미리 정해진 속도로 회전시키는 공기 조화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60036177A 2015-09-30 2016-03-25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07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45,218 US10352580B2 (en) 2015-09-30 2016-05-03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BR112018000342-5A BR112018000342B1 (pt) 2015-09-30 2016-05-04 Condicionador de ar
EP16168419.6A EP3150927B1 (en) 2015-09-30 2016-05-04 Air conditioner
RU2018111223A RU2678880C1 (ru) 2015-09-30 2016-05-04 Кондиционер воздух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AU2016329913A AU2016329913B2 (en) 2015-09-30 2016-05-04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2150805.4A EP4001781B1 (en) 2015-09-30 2016-05-04 Air conditioner
PCT/KR2016/004725 WO2017057817A1 (en) 2015-09-30 2016-05-04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9165112.4A EP3521711B1 (en) 2015-09-30 2016-05-04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ES16168419T ES2791998T3 (es) 2015-09-30 2016-05-04 Acondicionador de aire
CN201910285011.1A CN110030621B (zh) 2015-09-30 2016-05-19 空调
CN201610334967.2A CN106560659B (zh) 2015-09-30 2016-05-19 空调及其控制方法
CN201910284511.3A CN109869812B (zh) 2015-09-30 2016-05-19 空调
US15/992,699 US11035583B2 (en) 2015-09-30 2018-05-30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7/307,522 US11885514B2 (en) 2015-09-30 2021-05-04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38017 2015-09-30
KR1020150138017 2015-09-30
KR1020150147677 2015-10-23
KR20150147732 2015-10-23
KR20150147676 2015-10-23
KR20150147677 2015-10-23
KR1020150147676 2015-10-23
KR1020150147732 2015-10-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916A Division KR101916127B1 (ko) 2015-09-30 2017-02-06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617B1 true KR101707617B1 (ko) 2017-02-21

Family

ID=5831384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177A KR101707617B1 (ko) 2015-09-30 2016-03-25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70015916A KR101916127B1 (ko) 2015-09-30 2017-02-06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80132501A KR102583744B1 (ko) 2015-09-30 2018-10-31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30127020A KR102648235B1 (ko) 2015-09-30 2023-09-22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916A KR101916127B1 (ko) 2015-09-30 2017-02-06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80132501A KR102583744B1 (ko) 2015-09-30 2018-10-31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30127020A KR102648235B1 (ko) 2015-09-30 2023-09-22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10352580B2 (ko)
EP (1) EP4001781B1 (ko)
KR (4) KR101707617B1 (ko)
CN (3) CN109869812B (ko)
AU (1) AU2016329913B2 (ko)
BR (1) BR112018000342B1 (ko)
ES (1) ES2791998T3 (ko)
RU (1) RU2678880C1 (ko)
WO (1) WO2017057817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365A (ko) * 2017-03-09 201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80108139A (ko) * 2017-03-24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80113711A (ko) * 2017-04-07 2018-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20180113733A (ko) * 2017-04-07 2018-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10160151A (zh) * 2019-06-25 2019-08-23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
KR102016255B1 (ko) * 2018-03-23 2019-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공기정화기
CN110345625A (zh) * 2019-08-09 2019-10-1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空调器的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110617560A (zh) * 2019-09-10 2019-12-27 成都仙德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声能空调废热再利用方法
CN111219790A (zh) * 2018-11-27 2020-06-02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天花机排风控制方法及天花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3539B2 (ja) * 2015-09-29 2017-10-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101707617B1 (ko) * 2015-09-30 2017-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1907B1 (ko) 2015-10-23 2018-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28905B1 (ko) 2016-07-20 2018-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기
US11364772B2 (en) * 2017-03-17 2022-06-21 Yiyan ZHANG Air conditioning unit
CN107238173B (zh) * 2017-05-19 2018-12-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及其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处理器
CN107084517B (zh) * 2017-06-14 2023-12-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天井式空调器化霜方法及天井式空调器
CN211924537U (zh) * 2017-09-01 2020-11-13 Lg电子株式会社 流动发生装置
KR102249321B1 (ko) * 2017-09-05 2021-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11549721B2 (en) * 2017-12-13 2023-01-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exchange unit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S2950711T3 (es) * 2017-12-13 2023-10-13 Mitsubishi Electric Corp Dispositivo soplador y dispositivo de aire acondicionado que tiene ese mismo montado en el mismo
DE102018203076A1 (de) * 2018-03-01 2019-09-0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Lüftungsvorrichtung und Kraftfahrzeug
CN112204208B (zh) * 2018-06-01 2022-05-03 大金工业株式会社 送风装置
CN109028320A (zh) * 2018-06-11 2018-12-18 太仓双赢电子电气成套设备有限公司 空气净化器
US11162229B1 (en) 2018-11-07 2021-11-02 Berry Outdoor, LLC Paver system
JP2020098061A (ja) * 2018-12-18 2020-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11788749B2 (en) * 2019-01-31 2023-10-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ulti-unit air conditioning system
WO2020204694A1 (en) * 2019-04-02 2020-10-08 Daikin Research & Development Malaysia Sdn. Bhd. A fluid discharge conduit assembly
CN112665116B (zh) * 2019-10-16 2022-04-1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多联机化霜方法、装置、多联机空调***及可读存储介质
KR102501586B1 (ko) * 2020-07-10 2023-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20029186A (ko) * 2020-09-01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2032837A (zh) * 2020-09-03 2020-12-04 青岛海信日立空调***有限公司 空调器及其出风控制方法
CN112556137B (zh) * 2020-11-13 2022-10-11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送风机构以及空调
CN112797577B (zh) * 2020-12-28 2022-01-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防凝露控制方法
KR20230096487A (ko) * 2021-12-23 2023-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145A (ko) * 1999-02-03 2000-09-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기류제어장치 및 방법
JP2013050239A (ja) * 2011-08-30 2013-03-14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2014145561A (ja) * 2013-01-30 2014-08-14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1726A (en) * 1945-09-12 1947-12-02 Pneumafil Corp Pneumatic collection and air conditioning for textile spinning frames
US4570532A (en) * 1984-06-28 1986-02-18 Labelle Raymond R Ventilating unit for animal buildings
JPH06185835A (ja) * 1992-12-18 1994-07-08 Toshiba Corp 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そのインバータ装置により制御されるエアコンディショナ
KR960001661A (ko) * 1994-06-27 1996-01-25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913334B2 (ja) 1996-11-20 2007-05-09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送風装置および換気送風システム
KR100273353B1 (ko) 1997-08-18 2001-04-02 구자홍 에어컨의실내기
JPH11201494A (ja) * 1998-01-20 1999-07-30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US6119463A (en) * 1998-05-12 2000-09-19 Amerigon Thermoelectric heat exchanger
US6606866B2 (en) * 1998-05-12 2003-08-19 Amerigon Inc. Thermoelectric heat exchanger
US6598413B2 (en) * 1999-01-25 2003-07-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eiling embedded-type air conditioner
KR20040092952A (ko) 2003-04-30 2004-11-04 학교법인 대전기독학원 한남대학교 항산화 활성 및 dna 손상 억제 활성 물질로서의 홍경천및 포도씨 추출물
JP4311212B2 (ja) 2004-01-26 2009-08-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50117666A (ko) * 2004-06-11 2005-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6029702A (ja) * 2004-07-16 2006-02-02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US7062932B2 (en) * 2004-08-24 2006-06-20 Hussmann Corporation Refrigerated merchandiser with fan-powered rear discharge
US7836877B2 (en) * 2005-05-02 2010-11-23 Western Industries, Inc. Adjustable downdraft ventilator
KR100702323B1 (ko) * 2005-10-05 200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장치
KR100755139B1 (ko) 2005-10-05 2007-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0750233B1 (ko) 2005-11-29 2007-08-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패키지 에어컨의 디스플레이용 인쇄회로기판 체결구조
JP4039453B1 (ja) * 2005-12-12 2008-01-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0782197B1 (ko) 2006-08-03 2007-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JP4985656B2 (ja) * 2007-02-09 2012-07-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US20080242214A1 (en) * 2007-03-27 2008-10-02 Elaine Cao Yee Sung Vent system
CN101680679B (zh) * 2007-05-17 2013-06-12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装置的室内机组
KR101211266B1 (ko) * 2007-10-25 2012-12-11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US8734553B2 (en) * 2007-12-11 2014-05-27 Daikin Industries, Lt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4325722B2 (ja) * 2007-12-17 2009-09-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4433056B2 (ja) * 2008-01-09 2010-03-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CN101910745B (zh) * 2008-01-16 2013-09-25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装置的室内机组
KR20090081915A (ko) 2008-01-25 2009-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5203768B2 (ja) * 2008-03-28 2013-06-05 アズビル株式会社 換気システムおよび換気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5113639B2 (ja) * 2008-06-17 2013-01-09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気体流れ調整機構及び空調装置
JP2010043783A (ja) * 2008-08-12 2010-02-25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CA2678828A1 (en) * 2008-09-15 2010-03-1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Hvac controller user interfaces
JP4666061B2 (ja) * 2008-11-17 2011-04-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359458B2 (ja) * 2009-03-27 2013-12-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ケーシング、および化粧パネル
US20110039491A1 (en) * 2009-08-17 2011-02-17 Syracuse University Low Mixing Ventilation Jet
US8752399B2 (en) * 2009-11-24 2014-06-17 Friedrich Air Conditioning Co., Ltd. Room air conditioner and/or heater
US8011114B2 (en) * 2009-12-04 2011-09-06 Superior Investments, Inc. Vehicle dryer with butterfly inlet valve
US8747775B2 (en) * 2009-12-11 2014-06-10 Food Technologies International, LLC Food safety indicator
JP5220068B2 (ja) * 2010-08-04 2013-06-2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空気調和機
KR101749658B1 (ko) 2010-09-01 201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5247784B2 (ja) * 2010-10-04 2013-07-2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TWI493115B (zh) * 2010-11-09 2015-07-21 泰達電子公司 殼體結構及其風扇架固定模組
KR20120083114A (ko) * 2011-01-17 2012-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US10041689B2 (en) * 2011-02-25 2018-08-07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Wireless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of radiator heating
GB2506786B (en) * 2011-06-14 2017-03-15 Greenheck Fan Corp Variable-volume Exhaust system
US10061330B2 (en) * 2011-12-21 2018-08-28 Lennox Industries Inc. HVAC system having a diagnostics controller associated therewith
NZ627031A (en) * 2012-03-01 2015-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Floor-positioned air-conditioning apparatus
JP6128305B2 (ja) * 2012-04-27 2017-05-17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KR20140019106A (ko) * 2012-08-03 201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5678953B2 (ja) * 2012-12-28 2015-03-0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および制御回路
JP5664644B2 (ja) 2012-12-28 2015-02-0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および制御回路
KR102034300B1 (ko) * 2013-02-05 2019-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4611B1 (ko) 2013-07-16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155556B1 (ko) 2013-07-16 2020-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50043573A (ko) * 2013-10-11 2015-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03571921U (zh) 2013-11-08 2014-04-30 南京东创***工程有限公司 一种通风空调机组
KR102203935B1 (ko) 2014-01-08 2021-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토출구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6223950B2 (ja) * 2014-10-30 2017-11-01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除湿機
CN104896591B (zh) * 2015-05-29 2018-10-1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器
CN104896590B (zh) 2015-05-29 2018-10-1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器室内机
KR101707617B1 (ko) * 2015-09-30 2017-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145A (ko) * 1999-02-03 2000-09-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기류제어장치 및 방법
JP2013050239A (ja) * 2011-08-30 2013-03-14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2014145561A (ja) * 2013-01-30 2014-08-14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985B1 (ko) * 2017-03-09 2021-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80103365A (ko) * 2017-03-09 201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80108139A (ko) * 2017-03-24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282436B1 (ko) * 2017-03-24 2021-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80113711A (ko) * 2017-04-07 2018-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20180113733A (ko) * 2017-04-07 2018-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282408B1 (ko) * 2017-04-07 2021-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102279011B1 (ko) * 2017-04-07 2021-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16255B1 (ko) * 2018-03-23 2019-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공기정화기
CN111219790A (zh) * 2018-11-27 2020-06-02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天花机排风控制方法及天花机
CN111219790B (zh) * 2018-11-27 2021-06-04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天花机排风控制方法及天花机
CN110160151A (zh) * 2019-06-25 2019-08-23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
CN110160151B (zh) * 2019-06-25 2024-06-1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
CN110345625A (zh) * 2019-08-09 2019-10-1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空调器的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110345625B (zh) * 2019-08-09 2023-06-1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空调器的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110617560A (zh) * 2019-09-10 2019-12-27 成都仙德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声能空调废热再利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463A (ko) 2018-11-07
BR112018000342A8 (pt) 2022-11-08
CN109869812B (zh) 2020-07-21
EP4001781B1 (en) 2024-04-10
US20180347839A1 (en) 2018-12-06
CN109869812A (zh) 2019-06-11
US10352580B2 (en) 2019-07-16
BR112018000342B1 (pt) 2023-03-28
CN106560659B (zh) 2019-10-11
CN110030621B (zh) 2020-07-21
CN106560659A (zh) 2017-04-12
KR102648235B1 (ko) 2024-03-18
KR20170039104A (ko) 2017-04-10
US11035583B2 (en) 2021-06-15
US20210254846A1 (en) 2021-08-19
WO2017057817A1 (en) 2017-04-06
EP4001781A1 (en) 2022-05-25
RU2678880C1 (ru) 2019-02-04
BR112018000342A2 (pt) 2018-09-11
AU2016329913A1 (en) 2017-12-07
KR102583744B1 (ko) 2023-10-06
ES2791998T3 (es) 2020-11-06
KR20230144983A (ko) 2023-10-17
KR101916127B1 (ko) 2018-11-12
CN110030621A (zh) 2019-07-19
AU2016329913B2 (en) 2018-11-15
EP4001781C0 (en) 2024-04-10
US20170089605A1 (en) 2017-03-30
US11885514B2 (en)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127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11304B1 (ko) 무드조명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936635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US20180356107A1 (en) Air conditioner
EP3150927B1 (en) Air conditioner
CN107869831A (zh) 空调和控制该空调的方法
CN103471315B (zh) 冰箱
KR20170126309A (ko) 공기조화기
CN101749803A (zh) 落地式空调机
JP2007285542A (ja) 空気調和機
CN101581472A (zh) 空调器
WO2022213934A1 (zh) 操作制冷电器中的照明组件的方法
JP2008188509A (ja) 除湿装置
KR20050104674A (ko) 에어커튼 기능이 구비되는 공조기
JP2020024060A (ja) 空気処理装置
KR20190025252A (ko) 공기조화기
JP2000234788A (ja) 空気調和機
JP2000230745A (ja) 空気調和機
KR20190029294A (ko) 인공지능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03145A (ko) 패키지 에어컨의 운전모드 표시장치
KR20150027417A (ko) 공기조화기
KR20050087670A (ko) 모터의 냉각 기능을 가지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