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816B1 - 물비누 디스펜서 및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물비누 디스펜서 및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816B1
KR101680816B1 KR1020150020193A KR20150020193A KR101680816B1 KR 101680816 B1 KR101680816 B1 KR 101680816B1 KR 1020150020193 A KR1020150020193 A KR 1020150020193A KR 20150020193 A KR20150020193 A KR 20150020193A KR 101680816 B1 KR101680816 B1 KR 101680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ld
water
sealing cap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7834A (ko
Inventor
김명기
Original Assignee
김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기 filed Critical 김명기
Priority to KR1020150020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816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11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pressure on soap, e.g. with pis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재활용되는 물비누 저장통의 교체가 용이하고 제조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고정대상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납부가 구비된 케이스부와, 상기 수납부에 수용되되 물비누가 충진되는 충진부 하측으로 밀폐마개에 의해 밀폐된 배출부가 형성된 교체식 충진탱크와, 일측에 물비누가 이동되는 연결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비누를 공급하는 펌핑수단이 연결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물비누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충진탱크로부터 배출된 물비누가 저장되도록 중공형 함체로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충진탱크의 배출부와 연통되는 인입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하우징의 연결관부와 연통되는 인출관부가 형성된 보조탱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인입관부의 상단부 내주에는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부와 나사결합되는 나사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배출부가 상기 인입관부에 회전결합됨에 따라 상기 밀폐마개를 파열시켜 상기 물비누가 이동되도록 상기 인입관부 내주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상향 돌설된 밀폐마개 개방부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물비누 디스펜서 및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liquid soap dispenser and molding apparatus of manufacture for liquid soap dispenser}
본 발명은 물비누 디스펜서 및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용되는 물비누 저장통의 교체가 용이하고 제조성이 개선된 물비누 디스펜서 및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서, 웰빙 경향이 사회 전반에 걸쳐 토착화되면서, 건강 및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주택, 건물, 또는 공공장소의 화장실 등에 손세척시 필요한 비누를 액체 형태로 저장하여 적정량 공급하는 누름식 물비누 디스펜서가 흔히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물비누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물비누 디스펜서(1)는 물비누를 저장하는 저장통(2)과, 상기 저장통(2)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통(2)과 연통되어 물비누가 일시 저장되는 하우징(3)과, 상기 하우징(3)에 삽입되어 하우징 내의 물비누를 외부로 토출하는 펌핑수단(4)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저장통(2)은 통상적으로 합성수지 재질의 함체로 구성되고, 그 일측에 물비누의 보충을 위한 주입구(2a)와 이를 개폐하는 마개를 포함하며, 타측에 물비누의 배출을 위한 배출부(2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2b)는 하우징(3)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관(3a)에 결합되어 저장통(2)과 하우징(3)이 상호 연통됨에 따라 물비누가 저장통(2)으로부터 하우징(3)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의 타측에는 펌핑수단(4)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펌핑수단(4)은 상기 하우징(3)의 외측에 구비된 노즐헤드를 누름에 따라 하우징(3)으로부터 실린더 내부에 유입된 물비누를 펌핑하여 노즐을 통해 적정량의 물비누를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펌핑수단(4)은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내부에 볼과 스프링을 구비하여 실린더 내의 물비누의 유입 및 유출을 단속함에 따라 물비누를 펌핑하여 토출시키도록 구성된 볼밸브가 주로 사용되며, 경우에 따라 V자형 밸브 등 다양한 밸브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물비누 디스펜서(1)는 상기 저장통(2)에 저장된 물비누를 소진시 상기 주입구(2a)에 마개를 분리하여 물비누를 보충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주입구(2a) 외측으로 물비누가 흘러넘치게 되면 낭비되는 물비누가 발생하여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비누가 흘러넘친 외부 환경이 지저분해지고 오염되어 위생성이 저하되는 문제 또한 발생하였다.
더불어, 상기 물비누를 보충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상기 주입구(2a)의 마개를 분리할 경우 상기 주입구(2a)를 통하여 외부 이물질 및 부유균이 상기 저장통(2)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물비누 자체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저장통에 물비누를 보충하지 않고, 정수기 물통과 같이 일정량의 물비누를 담아 밀봉한 상태로 판매되고, 사용자는 이를 하우징(3)에 연결하여 사용후, 물비누의 소진시 상기 저장통을 폐기하거나 반납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덜어주기 위한 교체식 저장통이 일부 출시되었다.
상세히, 상기 교체식 저장통은 일측에 상기 물비누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개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배출구를 상기 하우징에 체결하여 사용하고 상기 물비누의 소진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교체식 저장통을 분리하면 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마개를 분리하여 상기 하우징의 연결관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물비누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상기 교체식 저장통을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마개를 천공시키는 쐐기형 개방돌기부가 상기 하우징 내측에 일부 구비되어 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상기 쐐기형 개방돌기부가 별도의 부품으로 상기 하우징 내측에 결합되는바, 상기 하우징 제조를 위한 공정이 추가되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쐐기형 개방돌기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마개를 실질적으로 천공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0-000945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재활용되는 물비누 저장통의 교체가 용이하고 제조성이 개선된 물비누 디스펜서 및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대상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납부가 구비된 케이스부와, 상기 수납부에 수용되되 물비누가 충진되는 충진부 하측으로 밀폐마개에 의해 밀폐된 배출부가 형성된 교체식 충진탱크와, 일측에 물비누가 이동되는 연결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비누를 공급하는 펌핑수단이 연결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물비누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충진탱크로부터 배출된 물비누가 저장되도록 중공형 함체로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충진탱크의 배출부와 연통되는 인입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하우징의 연결관부와 연통되는 인출관부가 형성된 보조탱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인입관부의 상단부 내주에는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부와 나사결합되는 나사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배출부가 상기 인입관부에 회전결합됨에 따라 상기 밀폐마개를 파열시켜 상기 물비누가 이동되도록 상기 인입관부 내주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상향 돌설된 밀폐마개 개방부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는 상기 나사홈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의 중심부측으로 집중되도록 상기 인입관부의 내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체로 돌설되는 복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로 상기 물비누가 이동되는 이동홀이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측 중앙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의 외측을 향하여 단부가 협소화되도록 일체로 상향 돌설된 파열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탱크의 외주면에는 상기 물비누의 잔량을 확인하도록 내측이 투영되는 잔량표시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충진탱크의 상측에는 물비누가 배출시 내부 압력을 조절하도록 통기성 수단이 구비된 압력조절부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는 상기 나사홈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체로 형성되되 첨단부가 상기 인입관부의 외측을 향하여 상향 돌설된 복수개의 윙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배출부의 삽입시 상기 밀폐마개를 가압 파열시키도록 상기 첨단부에 형성된 파열돌기부와, 상기 나사홈부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파열된 밀폐마개를 회전 절개시키도록 상기 나사홈부의 회전방향측 테두리의 측면두께가 연속적으로 협소화되도록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대상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납부가 구비된 케이스부와, 상기 수납부에 수용되되 물비누가 충진되는 충진부 하측으로 밀폐마개에 의해 밀폐된 배출부가 형성된 교체식 충진탱크와, 일측에 물비누가 이동되는 연결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비누를 공급하는 펌핑수단이 연결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물비누 디스펜서의 상기 충진탱크로부터 배출된 물비누가 저장되도록 중공형 함체로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충진탱크의 배출부와 연통되는 인입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하우징의 연결관부와 연통되는 인출관부가 형성된 보조탱크를 제조하도록, 일측에 상기 인입관부의 외측형상과 타측에 상기 인출관부의 외측형상을 포함하는 함체의 외측형상을 갖춘 제1형상홈이 구비된 제1금형부; 상기 함체 내측의 중공부 형상에 대응하는 코어로 형성되는 제2금형부; 중앙부에 관통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인입관부의 상단부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홈부에 대응되는 나사형상홈이 형성된 제3금형부; 및 하부에 상기 인입관부의 중심부측으로 집중되도록 상기 인입관부의 내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체로 돌설되는 복수개의 지지대와 이동홀을 포함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면 중앙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의 외측을 향하여 단부가 협소화되도록 일체로 돌출된 파열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2형상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3금형부가 삽입되도록 상측 외주면에 단차홈이 형성된 하단부에 상기 나사홈부의 최장 직경에 대응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단턱부가 형성된 제4금형부를 포함하는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4금형부의 상기 단차홈의 외주 직경은 상기 제3금형부의 상기 관통부 내주 직경에 대응되고, 상기 단턱부의 두께와 상기 이동홀의 깊이를 포함하는 상기 제4금형부의 테두리부 두께는 상기 나사홈부의 나사홈 세로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4금형부의 상측에는 상기 제4금형부를 상기 제2금형부측으로 탄발 가압하는 스프링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 및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인입관부에 밀폐마개 개방부가 일체로 형성된 상기 보조탱크가 더 구비되므로 상기 보조탱크를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물비누를 재충진하여 사용하던 종래의 물비누 디스펜서에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를 호환하여 체결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는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를 상기 보조탱크에 체결시 상기 밀폐마개를 손쉽게 파열시키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상향 돌출되되,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가 상기 인입관부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측에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를 반복적으로 체결하더라도 상기 파열돌기의 이탈 및 분리가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를 상기 보조탱크 상측에 결합하도록 상기 인입관부 내측으로 상기 배출구를 삽입시 상기 밀폐마개가 상기 파열돌기부의 뾰족한 첨단부에 접촉되어 파열된 후 연속적인 회전에 의해 상기 절개부의 예리한 단부가 상기 밀폐마개를 회전 절개하므로 물비누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으로 확장 개방될 수 있다.
넷째,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에 대응되는 형상홈이 구비된 금형을 이용하기만 하면 상기 보조탱크를 성형시 상기 나사홈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사출 형성된 밀폐마개 개방부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시간 및 제조과정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인입관부 내주면의 나사홈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3금형부와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4금형부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탱크의 상기 나사홈부를 따라 회전되면서 분리되므로 완성된 제품으로부터 각 금형의 분리가 용이하여 제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물비누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마개 개방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마개 개방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6a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를 이용한 제조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 및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마개 개방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100)는 케이스부(10), 교체식 충진탱크(20), 하우징(30) 및 보조탱크(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10)는 일면이 세면대와 인접한 화장실 벽과 같은 고정대상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납부(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11)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커버부(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12)는 일단이 상기 케이스부(10)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개방 및 폐쇄되며, 타단이 상기 케이스부(10)의 일측에 형성된 구속부(12a)에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커버부(12)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펌핑수단(32)의 노즐헤드를 가압하도록 커버된 펌핑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11)에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가 수용된다. 상세히,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는 상기 물비누가 충진되도록 내부가 중공형인 충진부(21)가 형성되며 하측으로 배출부(2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부(22)는 상기 충진부(21)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 돌설되되 상기 중공형 충진부(21)와 연통되도록 일측이 개구되며, 외주면에 나사산부(22a)가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배출부(22)의 개구된 일측을 밀폐하도록 밀폐마개(23)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밀폐마개(23)는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에 충진된 물비누의 하중을 지지하면서도 후술되는 파열수단에 의해 파열되어 상기 배출부(22)가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판막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파열수단에 의한 파열이 용이하도록 상기 밀폐마개(23)에는 파열유도홈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밀폐마개(23)는 상기 배출부(22)의 단부 테두리에 열융착되거나 접착되어 상기 배출부(22)를 밀폐시킬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배출부(22)의 개구된 일측 직경에 대응하는 밀폐면의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출부(22)의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연장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식 충진탱크(20)는 물비누의 소진시 물비누를 상기 충진탱크(20)에 다시 채워넣는 구조가 아니라 상기 물비누가 채워진 별도의 충진탱크(20)를 교체하여 사용하는 구조로 구비된다. 이를 통해, 종래에 물비누 저장통에 물비누를 반복적으로 채워넣어야 하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물비누를 재충진시 상기 저장통 외부로 흘러넘치거나 이물질이 상기 저장통에 유입되어 오염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는 물비누 공급업체에서 수거 및 세척하여 상기 물비누를 재충진 후 밀폐마개(23)로 밀폐하여 상기 사용자측으로 재공급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개선되면서도, 상기 충진탱크(20)의 폐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는 별도로 제조될 수도 있으나 종래에 출시되는 생수통 등과 같은 PT병을 재활용함으로써 경제성이 더욱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의 하측으로 상기 보조탱크(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보조탱크(40)는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와 펌핑수단(32)이 구비된 상기 하우징(30)을 매개하여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로부터 배출된 물비누가 임시 저장되는 저장수단으로서 인입관부(42)와 인출관부(4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30)의 일측에는 상기 물비누가 이동되는 상기 연결관부(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비누를 공급하는 펌핑수단(32)이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펌핑수단(32)은 상기 노즐헤드를 누름에 따라 하우징(30)으로부터 실린더 내부에 유입된 물비누를 펌핑하여 노즐을 통해 적정량의 물비누를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펌핑수단(32)은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내부에 볼과 스프링(534)을 구비하여 실린더 내의 물비누의 유입 및 유출을 단속함에 따라 물비누를 펌핑하여 토출시키도록 구성된 볼밸브가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V자형 밸브 등 다양한 밸브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펌핑수단(32)의 구조는 해당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와 상기 하우징(30) 사이를 매개하는 상기 보조탱크(40)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보조탱크(40)는 중공형 함체(41)로 구비되되 상측으로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배출부(22)와 연통되는 인입관부(42)가 형성되고, 하측으로 상기 하우징(3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관부(31)와 연통되는 인출관부(4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면에는 상기 배출부(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부(22a)와 나사결합되는 나사홈부(42a)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배출부(22)와 상기 인입관부(42)가 상호 나사결합되면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와 상기 보조탱크(40)가 연통되어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에 충진된 물비누가 상기 보조탱크(40)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출관부(43)의 외주면에 제2나사산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부(31) 내주면에 상기 제2나사산부(22a)와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홈이 형성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인출관부(43)의 외주면과 상기 연결관부(31) 내주면의 상호 대향위치에 끼움홈 및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상호 끼움체결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더욱이, 상기 인출관부(43)와 상기 연결관부(31) 사이를 실링하도록 오링(O-ring)과 같은 실링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 상기 보조탱크(40) 및 상기 하우징(30)이 연통되어 상기 물비누가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로부터 상기 하우징(30)으로 이동되어 상기 펌핑수단(32)을 펌핑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입관부(42)의 외주에 상기 나사산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22)의 내주면에 상기 나사산부(22a)에 대응하여 나사결합되는 나사홈부(42a)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상기 인입관부(42)와 상기 배출부(22) 사이 틈이 외부환경과 연통되는 방향과 상기 물비누가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물비누가 상기 인입관부(42)와 상기 배출부(22) 사이 틈으로 유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인입관부(42) 내측에 상기 배출부(22)가 삽입되도록 상기 인입관부(42) 내주면에 상기 나사홈부(42a)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22) 외주면에 상기 나사산부(22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인입관부(42)와 상기 배출부(22) 사이 틈으로 물비누가 유출되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므로 외부환경이 위생적으로 유지되면서도 상기 물비누의 손실을 방지하여 경제적이다. 물론, 상기 인출관부(43)와 상기 연결관부(31)도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위생성 및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관부(42)는 종래의 규격화되어 출시되는 PT병의 배출부와 대응되도록 규격화되어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재활용 PT병을 호환하여 활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 및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인입관부(42)의 상단부 내주에는 상기 나사홈부(42a)가 형성되되, 상기 나사홈부(42a)의 하단부에는 상기 배출부(22)가 상기 인입관부(42)에 회전결합됨에 따라 상기 밀폐마개(23)를 파열시켜 물비누가 이동되도록 상기 인입관부(42) 내주면에 밀폐마개 개방부(50)가 일체로 상향 돌설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나사홈부(42a)의 하단부는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면에 실질적으로 포함되므로 후술되는 설명에서 상기 나사홈부(42a)의 하단부에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가 구비되는 것과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면에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가 구비되는 것은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는 상기 밀폐마개를 파열시키는 파열수단으로서 연결부(51)와 파열돌기(5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51)는 상기 나사홈부(42a)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42)의 중심부측으로 집중되도록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체로 상향 돌설되는 복수개의 지지대(5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52)는 일단부가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면 특히, 상기 나사홈부(42a)의 하단부에 일체로 돌설된다. 이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52)가 상기 배출부(22)와 상기 인입관부(42)의 회전체결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51)의 상면과 상기 배출부(22)의 단부 사이에는 오링(O-ring)과 같은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배출부(22)와 상기 인입관부(42) 사이의 틈으로 상기 물비누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52)의 타단부는 상기 인입관부(42)의 중심부측에 집중되도록 상향 돌설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52)가 상기 인입관부(42)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면을 향하여 방사형으로 분지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지지대(52)의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나사홈부(42a)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52) 사이에는 상기 물비누가 이동되는 상기 이동홀(53)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연결부(51)는 상기 인입관의 내주 직경에 대응하되 테두리가 상기 나사홈부(42a)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인입관부(42)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판막으로 구비되고, 상기 판막을 관통하도록 다수개의 이동홀(53)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 파열돌기(54)는 상기 연결부(51)의 상측 중앙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42)의 외측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되되, 상측을 향하여 뾰족하게 협소화되도록 상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측이라 함은 상기 인입관부(42)의 개구된 상측방향을 의미하며 협소화되도록 상향 돌설된다 함은 상기 연결부(51)의 상측 중앙부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파열돌기(54)의 하단부보다 상기 인입관부(42)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파열돌기(54)가 첨단부를 향하여 직경이 좁아지게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인입관부(42) 내측으로 상기 배출부(22)를 회전삽입시 상기 밀폐마개(23)가 상기 파열돌기(54)의 뾰족한 첨단부에 가압 파열되면 상기 배출부(22)가 개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배출부(22)를 밀폐하는 상기 밀폐마개(23)를 별도로 분리하지 않더라도 단지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가 상기 보조탱크(40) 상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배출부(22)를 상기 인입관부(42)에 회전결합시키기만 하면 상기 파열돌기(54)에 상기 밀폐마개(23)가 가압 파열되므로 상기 물비누가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파열돌기(54)를 원추형태로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상측이 뾰족한 십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단부가 뾰족하여 상기 밀폐마개(23)를 가압 파열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100)에는 상기 보조탱크(4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면에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체로 상향 돌설되므로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를 상기 보조탱크(40)에 체결는 과정에서 상기 밀폐마개(23)를 손쉽게 파열시켜 상기 물비누의 배출이 용이하면서도 주변 환경이 깔끔하게 유지되어 위생적이다.
이때,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에 대응되는 형상홈이 구비된 금형을 이용하기만 하면 상기 보조탱크(40)를 성형시 상기 나사홈부(42a)의 하단부에 일체로 사출 형성된 밀폐마개 개방부(50)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시간 및 제조과정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가 상기 인입관부(42)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측에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를 반복적으로 체결하더라도 분리되거나 기설정된 위치로부터 상기 파열돌기(54)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탱크(40)의 외주면에는 상기 물비누의 잔량을 확인 가능하도록 내측이 투영되는 잔량표시부(44)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잔량표시부(44)는 불투명하게 형성되는 상기 보조탱크(40)의 함체(41)부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투명한 재질의 투영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투영부에는 잔량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 가능한 눈금부가 표시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보조탱크(40)는 투명하게 형성되고 상기 잔량표시부(44)는 상기 투명한 함체(41)부 측면의 어느 일부분에 길이방향으로 눈금부가 표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보조탱크(40)에 남아있는 상기 물비누의 양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조라면 상기 보조탱크(40) 내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자(ruler)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더불어, 상기 케이스부(10)에는 상기 커버부(12)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상기 잔량표시부(44)를 확인하여 물비누의 잔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잔량표시부(44) 위치에 대응하여 내부투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커버부(12)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내부의 물비누 잔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관리성이 개선되며, 교체시점이 상기 물비누가 상기 보조탱크(40)로 실질적으로 전량 이동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종래에 상기 충진탱크(20) 내부에 물비누 잔여분이 일부 남아 교체시 주위에 상기 잔여분이 흘러내리던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이다.
한편,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의 상측에는 상기 물비누가 배출시 내부 압력을 조절하도록 통기성 수단(24b)이 구비된 압력조절부(24)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압력조절부(24)는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의 일측에 관형(tube)으로 형성되되 관통공(24a)이 형성되어 외부와 상기 충진부(21) 내부가 연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펌핑수단(32)을 통해 물비누를 배출시 상기 관통공(24a)을 통하여 배출된 물비누의 부피만큼의 공기가 자동으로 공급되므로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 내지 상기 보조탱크(40)가 압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공(24a)을 통해 외부로부터 이물질을 차단하면서도 상기 물비누가 중력에 의해 상기 보조탱크(40) 측으로 이동시 상기 충진부(21) 내부의 대기압이 평형을 이루도록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통기성 수단(24b)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통기성 수단(24b)이 필터 역할을 하여 공기는 이동되면서도 그 외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 및 위생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를 운반 및 보관시 상기 압력조절부(24)를 통하여 상기 물비누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압력조절부(24)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밀폐캡이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에 물비누를 충진시키고 운반 및 보관하는 경우에는 상기 압력조절부(24)에 상기 밀폐캡을 체결하여 밀폐시키고, 상기 보조탱크(40) 상측에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를 결합시킨 후에는 상기 밀폐캡을 분리하고 상기 통기성 수단(24b)을 체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를 운반 및 보관시 상기 충진탱크(2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압력조절부(24)가 돌출된 높이에 대응하는 받침단턱(25)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100)는 상기 인입관부(42)에 밀폐마개 개방부(50)가 일체로 형성된 상기 보조탱크(40)가 더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물비누를 재충진하여 사용하던 종래의 물비누 디스펜서(100)의 하우징(30) 상측에 상기 보조탱크(40)를 호환하여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탱크(4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면에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상향 돌설되므로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를 상기 보조탱크(40)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밀폐마개(23)를 손쉽게 파열시켜 상기 물비누의 배출이 용이하면서도 주변 환경이 깔끔하게 유지되어 위생적이다.
여기서,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에 대응되는 형상홈이 구비된 금형을 이용하기만 하면 상기 보조탱크(40)를 사출 성형시 상기 나사홈부(42a)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밀폐마개 개방부(50)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시간 및 제조과정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가 상기 인입관부(42)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측에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를 반복적으로 체결하더라도 분리되거나 기설정된 위치로부터 상기 파열돌기(54)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커버부(12)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내부의 물비누 잔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관리성이 개선되며, 교체시점이 상기 물비누가 상기 보조탱크(40)로 실질적으로 전량 이동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종래에 상기 충진탱크(20) 내부에 물비누 잔여분이 일부 남아 교체시 주위에 상기 잔여분이 흘러내리던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마개 개방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밀폐마개 개방부(25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250)는 상기 나사홈부(242a)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242)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체로 형성되되, 첨단부가 상기 인입관부(242)의 외측을 향하여 상향 돌설된 복수개의 윙(250a)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250)는 상기 배출부(22)를 상기 인입관부(242)의 내측에 삽입시 상기 밀폐마개(23)를 가압 파열시키도록 상기 첨단부에 뾰족하게 형성된 파열돌기부(251)와, 상기 파열된 밀폐마개(23)를 회전 절개시키도록 상기 나사홈부(242a)의 회전방향측 테두리의 측면두께가 연속적으로 협소화되도록 형성된 절개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배출부(22)와 상기 인입관부(242)가 상호 나사결합되면 상기 배출부(22)의 단부에 구비된 상기 밀폐마개(23)의 외주면이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250)의 첨단부인 상기 파열돌기부(251)와 인접하여 접촉된다. 이때, 상기 파열돌기부(251)는 단부가 뾰족하게 협소화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밀폐마개(23)와 접촉됨과 동시에 가압 파열시킬 수 있다.
이어서, 파열돌기부(251)에 의해 파열된 상기 밀폐마개(23)의 파열면에 상기 절개부(252)에 접촉되되 상기 배출부(22)와 상기 인입관부(242)가 상호 나사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 절개되므로 상기 밀폐마개(23)에 상기 물비누가 배출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으로 확장되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절개부(252)는 상기 배출부(22)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나사홈부(242a)의 체결 회전 방향측 테두리(y)의 측면두께가 그의 반대방향 테두리(x) 측면두께보다 얇게 연속적으로 협소화되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체결 회전 방향측 테두리(y)가 예리한 칼날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파열된 밀폐마개(23)의 파열면을 용이하게 회전 절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2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회전 방향특 테두리(y)의 측면두께가 중심부를 향하여 협소화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면 내지 하면측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협소화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인입관부(242)의 내주면을 따라 균등한 간격으로 돌설된 3개의 윙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돌설되는 개수는 탄력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밀폐마개(23)를 파열시킨 후 회전 절개할 수 있는 구조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윙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를 상기 보조탱크(240) 상측에 결합시키도록 상기 인입관부(242) 내측으로 상기 배출부(22)를 삽입시 상기 밀폐마개(23)가 상기 파열돌기부(251)의 뾰족한 첨단부에 접촉되어 파열된 후 연속적으로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절개부(252)의 예리한 단부에 상기 밀폐마개(23)가 회전 절개되어 상기 배출부(22)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100) 제조용 금형장치(500)를 이용한 제조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상기 보조탱크(40)를 제조하도록, 상기 보조탱크(40)의 외측 및 내측 형상에 대응하는 금형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금형은 제1금형부(510), 제2금형부(520), 제3금형부(530) 및 제4금형부(540)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각 금형부(510,520,530,540)을 조립하여 형성된 홈에 합성수지와 같은 재료를 용융하여 주입한 후 냉각시켜 상기 보조탱크(40)를 제조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제1금형부(510)는 일측에 상기 인입관부(42)의 외측형상과 타측에 상기 인출관부(도 2의 43)의 외측형상을 포함하는 함체(도 2의 41)의 외측형상을 갖춘 제1형상홈(51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형상홈(511)의 내부에는 상기 함체(도 2의 41) 내측의 중공부 형상에 대응하는 코어로 형성되는 제2금형부(5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금형부(52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입관부(42)와 상기 함체(도 2의 41)의 연결부분에서부터 상기 인출관부(도 2의 43) 내측까지의 형상이 중실형 코어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금형부(520)의 상측에 상기 제3금형부(530)와 상기 제4금형부(5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3금형부(530)는 중앙부에 관통부(531)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인입관부(42)의 상단부 내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나사홈부(42a)에 대응되는 나사형상홈(532)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제4금형부(540)는 하부에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를 구성하는 상기 연결부(51)와, 상기 파열돌기(54)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2형상홈(541)에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제2형상홈(541)은 상기 파열돌기(54) 및 지지대(52)에 대응되는 홈(543,542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52) 사이에 이동홀(53)이 형성되도록 상기 이동홀(53)의 테두리 및 두께에 대응하여 돌설된 돌기(542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홀(53)에 대응하여 돌설된 돌기(542b) 외면이 상기 제2금형부(520)의 상면에 밀착되고 그 사이에 상기 파열돌기(54)와 상기 지지대(52)에 대응하는 홈(543,542a)이 중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에 상기 용융된 재료가 주입된 후 냉각되면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면에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4금형부(540)의 상측은 상기 제3금형부(530)의 중앙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531)에 삽입되도록, 외주 직경(D2)이 상기 관통부(531) 내주 직경(D1)에 대응되는 단차홈(54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차홈(544)의 하단부에는 상기 나사홈부의 최장 직경에 대응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단턱부(545)가 형성된다.
즉, 상기 단턱부(545)는 상기 나사홈부(42a)의 하단부와 상기 지지대(52) 사이의 상기 인입관부(42) 내주면 형상을 가이드하도록 연장되되, 상기 금형 내부에 상기 용융된 재료를 주입하여 냉각 후 상기 제4금형부(54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나사홈부(42a)를 따라 나사회전되어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단턱부(545)의 두께(L3)와 상기 이동홀(53)의 깊이(L2)를 포함하는 상기 제4금형부(540)의 테두리부분 두께는 상기 나사홈부(42a)의 각 나사홈 세로길이(L1)와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나사홈부(42a)의 최장 직경과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 직경은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상기 용융된 재료가 냉각된 후에도 상기 제4금형부(540)의 상기 단턱부(545)가 상기 나사홈부(42a)를 따라 회전되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4금형부(540)의 상측에는 상기 제4금형부(540)를 상기 제2금형부(520)측으로 탄발 가압하는 스프링(5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프링(534)은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의 형상이 보다 명확하게 사출 성형될 수 있도록 상기 제4금형부(540)를 상기 제2금형부(520)측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534)를 제거하면 상기 제4금형부(540)를 가압하던 힘이 제거되는데, 이러한 상기 제4금형부(540)를 상기 인입관부(42)의 외측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이동홀(53)에 대응하여 돌설된 상기 돌기(542b)를 상기 이동홀(53)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턱부(545)의 두께(L3)와 상기 돌기(542b)의 두께(L2)를 포함하는 상기 제4금형부(540)의 테두리부 두께가 상기 나사홈 세로길이(L1)와 대응되므로 상기 제4금형부(540)를 회전하더라도 상기 돌기(542b)가 상기 이동홀(53)에 간섭되어 회전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입관부(42) 내주면의 나사홈부(42a)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3금형부(530)와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4금형부(540)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탱크(40)의 상기 나사홈부(42a)를 따라 회전되면서 분리되므로 완성된 제품으로부터 각 금형의 분리가 용이하여 제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534)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3금형부(530)의 상기 관통부(544)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부(533)에 구속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스프링고정부(533)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4금형부(540)를 가압하되, 상기 제3금형부(530)를 회전분리시 상기 스프링(534)을 동시에 분리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스프링(534)을 고정하는 별도의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3금형부(530)와 상기 스프링(534)을 각각 분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금형을 이용한 상기 보조탱크(40)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1금형부(510)의 내측에, 제2금형부(520)와, 제3금형부(530)와, 제4금형부(540)가 구비되도록 조립한 공간 사이로 용융된 합성수지를 주입하고 냉각시킨다.
그리고, 냉각된 제품으로부터 제1금형부(510) 및 제2금형부(520)를 분리하고, 상기 나사홈부(42a)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3금형부(530)를 회전시켜 분리하고 순차적으로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4금형부(540)를 회전시켜 분리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3금형부(530)와 상기 제4금형부(540)를 먼저 회전 분리시키고 상기 제1금형부(510)와 상기 제2금형부(520)를 분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금형부가 분리된 상기 제품의 외면을 연삭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탱크(40)를 제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면에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가 일체로 형성된 상기 보조탱크(4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케이스부 20 : 교체식 충진탱크
22 : 배출부 22a : 나사산무
23 : 밀폐마개 30 : 하우징
31 : 연결관부 40 : 보조탱크
42 : 인입관부 42a : 나사홈부
50 : 밀폐마개 개방부 51 : 연결부
52 : 지지대 53 : 이동홀
54 : 파단돌기 100 : 물비누 디스펜서
510 : 제1금형부 520 : 제2금형부
530 : 제3금형부 540 : 제4금형부
500 :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

Claims (5)

  1. 고정대상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납부가 구비된 케이스부와, 상기 수납부에 수용되되 물비누가 충진되는 충진부 하측으로 밀폐마개에 의해 밀폐된 배출부가 형성된 교체식 충진탱크와, 일측에 물비누가 이동되는 연결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비누를 공급하는 펌핑수단이 연결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물비누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충진탱크로부터 배출된 물비누가 저장되도록 중공형 함체로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충진탱크의 배출부와 연통되는 인입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하우징의 연결관부와 연통되는 인출관부가 형성된 보조탱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인입관부의 상단부 내주에는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부와 나사결합되는 나사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배출부가 상기 인입관부에 회전결합됨에 따라 상기 밀폐마개를 파열시켜 상기 물비누가 이동되도록 상기 인입관부 내주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상향 돌설된 밀폐마개 개방부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는
    상기 나사홈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의 중심부측으로 집중되도록 상기 인입관부의 내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체로 돌설되는 복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로 상기 물비누가 이동되는 이동홀이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측 중앙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의 외측을 향하여 단부가 협소화되도록 일체로 상향 돌설된 파열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탱크의 외주면에는 상기 물비누의 잔량을 확인하도록 내측이 투영되는 잔량표시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충진탱크의 상측에는 물비누가 배출시 내부 압력을 조절하도록 통기성 수단이 구비된 압력조절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디스펜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는
    상기 나사홈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체로 형성되되 첨단부가 상기 인입관부의 외측을 향하여 상향 돌설된 복수개의 윙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배출부의 삽입시 상기 밀폐마개를 가압 파열시키도록 상기 첨단부에 형성된 파열돌기부와,
    상기 나사홈부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파열된 밀폐마개를 회전 절개시키도록 상기 나사홈부의 회전방향측 테두리의 측면두께가 연속적으로 협소화되도록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디스펜서.
  4. 고정대상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납부가 구비된 케이스부와, 상기 수납부에 수용되되 물비누가 충진되는 충진부 하측으로 밀폐마개에 의해 밀폐된 배출부가 형성된 교체식 충진탱크와, 일측에 물비누가 이동되는 연결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비누를 공급하는 펌핑수단이 연결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물비누 디스펜서의 상기 충진탱크로부터 배출된 물비누가 저장되도록 중공형 함체로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충진탱크의 배출부와 연통되는 인입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하우징의 연결관부와 연통되는 인출관부가 형성된 보조탱크를 제조하도록,
    일측에 상기 인입관부의 외측형상과 타측에 상기 인출관부의 외측형상을 포함하는 함체의 외측형상을 갖춘 제1형상홈이 구비된 제1금형부;
    상기 함체 내측의 중공부 형상에 대응하는 코어로 형성되는 제2금형부;
    중앙부에 관통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인입관부의 상단부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홈부에 대응되는 나사형상홈이 형성된 제3금형부; 및
    하부에 상기 인입관부의 중심부측으로 집중되도록 상기 인입관부의 내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체로 돌설되는 복수개의 지지대와 이동홀을 포함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면 중앙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의 외측을 향하여 단부가 협소화되도록 일체로 돌출된 파열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2형상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3금형부가 삽입되도록 상측 외주면에 단차홈이 형성된 하단부에 상기 나사홈부의 최장 직경에 대응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단턱부가 형성된 제4금형부를 포함하는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금형부의 상기 단차홈의 외주 직경은 상기 제3금형부의 상기 관통부 내주 직경에 대응되고,
    상기 단턱부의 두께와 상기 이동홀의 깊이를 포함하는 상기 제4금형부의 테두리부 두께는 상기 나사홈부의 나사홈 세로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4금형부의 상측에는 상기 제4금형부를 상기 제2금형부측으로 탄발 가압하는 스프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
KR1020150020193A 2015-02-10 2015-02-10 물비누 디스펜서 및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 KR101680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193A KR101680816B1 (ko) 2015-02-10 2015-02-10 물비누 디스펜서 및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193A KR101680816B1 (ko) 2015-02-10 2015-02-10 물비누 디스펜서 및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834A KR20160097834A (ko) 2016-08-18
KR101680816B1 true KR101680816B1 (ko) 2016-11-29

Family

ID=56874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193A KR101680816B1 (ko) 2015-02-10 2015-02-10 물비누 디스펜서 및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8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816U (ko) 2020-10-06 2022-04-13 장진상 손 소독제 스탠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989B1 (ko) 2016-08-01 2024-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947469B1 (ko) * 2016-12-28 2019-02-13 우연춘 액상 물질 디스펜서
RU194434U1 (ru) * 2019-09-16 2019-12-11 Евген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Непокульчицкий Картридж устройства дозирования жидкости
RU206326U1 (ru) * 2021-06-10 2021-09-06 Евген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Непокульчицкий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569B1 (ko) 1999-07-13 2002-01-16 원성환 합성수지 제품 자동사출장치
KR200422424Y1 (ko) 2006-04-27 2006-07-26 김석열 물비누 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459U (ko) 2009-03-18 2010-09-29 임장오 물비누 자동디스펜서의 물비누통 교체방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569B1 (ko) 1999-07-13 2002-01-16 원성환 합성수지 제품 자동사출장치
KR200422424Y1 (ko) 2006-04-27 2006-07-26 김석열 물비누 디스펜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816U (ko) 2020-10-06 2022-04-13 장진상 손 소독제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834A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816B1 (ko) 물비누 디스펜서 및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
KR101366696B1 (ko) 샴푸용기의 펌프 장치
CN102595963A (zh) 能够定量吸取的滴管以及具备该滴管的化妆品容器
CN106457837A (zh) 用于用户再填充墨水的用于喷墨打印机的墨盒
KR102471472B1 (ko) 리필 화장품 용기
KR101422069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CN100415196C (zh) 底面带过滤器的液体收纳容器
EP3367860B1 (en) Dispenser
KR20120004671A (ko) 정량 배출용기
US6820287B2 (en) Down-stroke dispenser
CN111746126B (zh) 一种容器
CN209177214U (zh) 一种可倒持挤压的定量配送流体装置
JP3667404B2 (ja) 液体注出キャップ
GB2456230A (en) A liquid spray container having a second opening for pouring/filling
JP6382016B2 (ja) 二重容器
CN220747128U (zh) 一种发泡剂储存装置及便座
KR200498129Y1 (ko) 계량 교체 가능한 드로퍼
JP5749110B2 (ja) 薬液注出器
US20230009089A1 (en) Shot straw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2178314B1 (ko) 밀폐력이 증대된 화장품 토출용기
JP6991038B2 (ja) 詰め替え容器
KR100768941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찌
JPH0634457Y2 (ja) 芳香洗浄液滴下装置
KR20240061302A (ko) 착탈식 물탱크를 구비한 정수기
JP2023110764A (ja) 液体容器及び内容液入り液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