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845B1 - 그로밋 및 와이어 하니스 - Google Patents

그로밋 및 와이어 하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845B1
KR101661845B1 KR1020150030925A KR20150030925A KR101661845B1 KR 101661845 B1 KR101661845 B1 KR 101661845B1 KR 1020150030925 A KR1020150030925 A KR 1020150030925A KR 20150030925 A KR20150030925 A KR 20150030925A KR 101661845 B1 KR101661845 B1 KR 101661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grommet
small
tubular
diameter tu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6835A (ko
Inventor
료 스에나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6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60R16/0222Gromm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 H01B17/586Grommets; Bushings with strain relief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하니스용의 그로밋에 있어서, 중량 및 비용의 증대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판재(板材)로부터 떨어지기 어려운 그로밋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로밋(1)에 있어서, 소직경 통부(4)는, 연결부(3)에 이어지며 단부에 있어서 내측을 관통하는 부재와 결속 가능하다. 대직경 통부(2)는, 전체 둘레에 걸친 범위에서 연결부(3)와 이어지는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형성된 경사진 직경 축소부(22)를 갖는다. 소직경 통부(4)는, 경사진 직경 축소부(22)에 대향하여 다른 부분보다 돌출된 부분인 변형 제한부(42)를 갖고 있다. 변형 제한부(42)는, 경사진 직경 축소부(22)의 내측으로의 변형 범위를 제한한다.

Description

그로밋 및 와이어 하니스{GROMMETS AND WIRE HARNESSES}
본 발명은 판재(板材)의 구멍에 통과하는 전선 등의 선형 부재를 보호하는 그로밋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되는 와이어 하니스에 있어서, 수지판 또는 금속판 등의 판재의 구멍에 통과하는 전선 다발을 보호하는 그로밋이 채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그로밋은,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이다. 또한, 그와 같은 탄성 부재와 수지 부재 또는 금속 부재가 조합된 구조를 갖는 그로밋도 있다.
그로밋은, 판재에서의 구멍의 가장자리부가 끼워지는 환형의 오목부가 형성된 통 형상의 대직경 통부와, 내측을 관통하는 선형 부재와 결속되는 통 형상의 소직경 통부를 갖고 있다. 또한, 그로밋은, 전체 둘레에 걸친 범위에서 대직경 통부와 소직경 통부를 잇는 연결부도 갖고 있다. 구멍이 형성된 판재는, 그로밋을 지지하는 지지판이기도 하다.
차량용의 와이어 하니스에 있어서, 그로밋의 대직경 통부를 판재의 구멍에 끼워 넣기 쉬운 것, 및 그로밋이 판재로부터 떨어지기 어려운 것이 중요하다. 예컨대, 그로밋에 있어서, 연결부가 비교적 얇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직경 통부가 대직경 통부 내에서 변위하기 쉽다. 그 결과, 소직경 통부를 관통하는 선형 부재가 그로밋 근방에 있어서 구부러진 경우라도, 대직경 통부가 판재로부터 떨어지기 어렵다.
또한, 특허문헌 1 및 2의 그로밋에 있어서, 외주 통부의 직경이 축소된 측의 부분(대직경 통부의 일부)은, 전체 둘레에 걸친 범위에서 연결부(직경 방향 돌출부)와 이어지는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로밋의 대직경 통부를 판재의 구멍에 끼워 넣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하니스(전선 다발)가 인장된 경우, 대직경 통부가 소직경 통부 및 연결부(직경 방향 돌출부)로부터의 인장력에 의해 내측으로 변형한다. 이 경우, 외주 통부(대직경 통부)에서의 비스듬히 내측으로 연장된 부분이 소직경 통부에 접촉한다. 그 때문에, 외주 통부의 내측으로의 변형 범위가 제한되어, 그로밋이 판재로부터 떨어지기 어려워진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1755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00396호 공보
그런데, 그로밋에 있어서, 판재의 구멍의 직경에 대응하는 대직경 통부의 외연부(外緣部)의 직경과 선형 부재의 직경에 대응하는 소직경 통부의 내연부(內緣部)의 직경의 차이가 큰 경우가 있다. 이하, 그 직경의 차이를 내외 직경차라고 칭한다.
특허문헌 1 및 2의 그로밋에 있어서, 소직경 통부 및 연결부의 인장력에 대한 판재로부터의 떨어지기 어려움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내외 직경차가 클수록, 대직경 통부에서의 비스듬히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보다 길고 두껍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면, 그로밋의 중량 및 비용이 증대한다.
한편, 차량용 와이어 하니스에 있어서, 그로밋의 중량 및 비용의 저감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와이어 하니스용의 그로밋에 있어서, 중량 및 비용의 증대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판재로부터 떨어지기 어려운 그로밋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양태에 따른 그로밋은, 대직경 통부와 연결부와 소직경 통부가 형성된 탄성 부재를 갖는다. 상기 대직경 통부는, 판재에서의 구멍의 가장자리부가 끼워 넣어질 수 있는 환형의 오목부가 형성된 통 형상의 부분이다. 상기 연결부는, 전체 둘레에 걸친 범위에서 상기 대직경 통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더욱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소직경 통부는, 상기 연결부에 이어지며 단부(端部)에 있어서 내측을 관통하는 부재와 결속 가능한 통 형상의 부분이다. 상기 대직경 통부는, 전체 둘레에 걸친 범위에서 상기 연결부와 이어지는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형성된 경사진 직경 축소부를 갖는다. 상기 소직경 통부는, 상기 경사진 직경 축소부에 대향하여 다른 부분보다 돌출된 부분인 변형 제한부를 갖고 있다. 상기 변형 제한부는, 상기 경사진 직경 축소부의 내측으로의 변형 범위를 제한한다.
제2 양태는 제1 양태의 일례이다. 제2 양태에 따른 그로밋에 있어서, 상기 소직경 통부에는, 복수의 상기 변형 제한부가 상기 소직경 통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제3 양태는,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일례이다. 제3 양태에 따른 그로밋에 있어서, 상기 소직경 통부는 내측 소직경 통부와 외측 소직경 통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소직경 통부는, 상기 연결부에서의 가장 내측의 부분에 이어진 통 형상의 부분이다. 상기 외측 소직경 통부는, 상기 연결부에서의 상기 소직경 통부와 이어진 부분보다 상기 대직경 통부쪽의 부분에 이어져 상기 내측 소직경 통부의 외측에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변형 제한부는 상기 외측 소직경 통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4 양태에 따른 와이어 하니스는, 전선 다발 및 그 전선 다발에 부착된 상기 각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그로밋을 구비한다.
상기 각 양태에 따른 그로밋에 있어서, 소직경 통부의 내측의 보호 대상 부재가 인장되면, 대직경 통부가 소직경 통부 및 연결부로부터의 인장력에 의해 내측으로 변형하려고 한다. 이 경우, 대직경 통부의 경사진 직경 축소부가, 이것에 대향하는 소직경 통부의 변형 제한부에 접촉한다. 그 때문에, 대직경 통부의 내측으로의 변형 범위가 제한되어, 그로밋이 판재로부터 떨어지기 어렵다.
또한, 상기 각 양태에 따른 그로밋에 있어서, 소직경 통부의 변형 제한부가 경사진 직경 축소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대직경 통부의 외연부의 직경과 소직경 통부의 내연부의 직경의 차이(내외 직경차)에 따라 경사진 직경 축소부를 길고 두껍게 하는 경우에 비하여, 그로밋의 중량 및 비용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양태에 따르면, 변형 제한부가 소직경 통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보다 그로밋의 중량 및 비용의 증대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3 양태에 있어서, 소직경 통부는, 내측 소직경 통부 및 외측 소직경 통부를 포함하는 이중 구조를 갖고 있다. 이 이중 구조의 소직경 통부가 채용되면, 그로밋을 판재에 부착하기 위해 소직경 통부와 결속된 부재가 판재의 이면측의 방향으로 압입될 때에, 소직경 통부로부터 대직경 통부로 효율적으로 압입력이 가해진다. 소직경 통부의 변형 제한부는, 그와 같은 그로밋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그로밋(1)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그로밋(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판재에 부착되고 그로밋(1)을 구비하는 와이어 하니스(10)의 일부 절결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인장력이 가해진 와이어 하니스(10)의 일부 절결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그로밋(1A)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그로밋(1B)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그로밋(1C)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그로밋(1C)을 구비하는 와이어 하니스(10C)의 일부 절결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사례는 아니다. 이하에 나타나는 각 실시형태에서의 그로밋 및 그것을 포함하는 와이어 하니스는,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용의 그로밋 및 와이어 하니스이다.
<제1 실시형태>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그로밋(1) 및 그것을 구비하는 와이어 하니스(10)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로밋(1)은, 전선 다발 등의 선형 부재와 판재(7)의 구멍(71)의 가장자리부 사이를 막는다. 이에 의해, 그로밋(1)은, 판재(7)와의 접촉에 의한 선형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방진 및 지수(止水)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로밋(1)은, 고무 또는 고무계 재료인 엘라스토머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성 부재를 갖는 부재이다. 엘라스토머에는, 천연 고무 및 합성 고무 등의 가황 고무가 포함되고, 또한,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및 불소 고무 등의 열경화성 수지계 엘라스토머도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로밋(1)은, 그 전체가 탄성 부재이다.
그로밋(1)(탄성 부재)은, 대직경 통부(2)와 연결부(3)와 소직경 통부(4)가 형성된 부재이다. 대직경 통부(2) 및 소직경 통부(4)는 각각 통 형상의 부분이며, 대직경 통부(2) 쪽이 소직경 통부(4)보다 직경이 크다. 또한, 연결부(3)는, 대직경 통부(2)와 소직경 통부(4)를 잇는 부분이다. 대직경 통부(2), 연결부(3) 및 소직경 통부(4)는, 각각 전체 둘레 방향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 통부(2)는, 그로밋(1)의 외연 부분을 포함하는 외측 프레임부(21)와 그것에 이어지는 경사진 직경 축소부(22)를 갖고 있다. 외측 프레임부(21)는, 그로밋(1)의 부착처인 판재(7)에서의 구멍(71)의 가장자리부가 끼워 넣어질 수 있는 환형의 오목부(210)가 형성된 부분이다. 외측 프레임부(21) 및 경사진 직경 축소부(22)는, 전체 둘레에 걸친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 통부(2)에 있어서, 경사진 직경 축소부(22)는, 외측 프레임부(21)에서의 연결부(3)와 이어지는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경사진 직경 축소부(22)는, 외측 프레임부(21)와 이어지는 부분으로부터 서서히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3)는, 대직경 통부(2)의 내측면으로부터 더욱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이다. 연결부(3)는, 탄성 변형하기 쉽도록 외측 프레임부(21)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소직경 통부(4)와 결속된 부재[후술하는 전선 다발(9)]에 외력이 가해지면, 연결부(3)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고정된 대직경 통부(2)의 내측에서 소직경 통부(4)가 변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3)는, 보다 탄성 변형하기 쉽도록, 주름 상자(bellows)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직경 통부(4)는, 연결부(3)에 이어진 통 형상의 부분이다. 소직경 통부(4)의 양단부 각각에는, 소직경 통부(4)의 내측을 관통하는 선형 부재와 결속 가능한 피결속부(411)가 형성되어 있다.
소직경 통부(4)는 통 형상의 기부(基部; 41)와 기부(4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변형 제한부(42)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소직경 통부(4)의 기부(41)는, 전선 다발(9)(선형 부재)의 외주면을 따르는 부분이다. 피결속부(411)는, 소직경 통부(4)의 기부(41)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부(41)의 내주면에는, 그 내측에 통과하는 선형 부재의 외주면에 밀접하는 지수(止水)용 볼록부(412)가 형성되어 있다. 지수용 볼록부(412)는 환형의 볼록부이다. 도 1이 도시하는 예에서는, 복수의 지수용 볼록부(412)가 기부(41)의 내측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하니스(10)는, 선형 부재의 일례인 전선 다발(9)과 그 전선 다발(9)이 관통하고 있는 그로밋(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와이어 하니스(10)는, 전선 다발(9)과 그로밋(1)의 소직경 통부(4)에서의 피결속부(411)를 결속하는 결속재(8)도 구비하고 있다.
결속재(8)는, 예컨대 점착 테이프 또는 결속 벨트 등이다. 도 3이 도시하는 예에서는, 결속재(8)는 피결속부(411) 및 전선 다발(9)에 감겨진 일련의 점착 테이프이다.
도 1에 있어서, 선형 부재의 일례인 전선 다발(9), 결속재(8) 및 판재(7)가 가상선(이점 쇄선)으로 그려져 있다. 또한, 도 3은, 판재(7), 그 판재(7)에 부착된 그로밋(1) 및 결속재(8)의 단면도와 전선 다발(9)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변형 제한부(42)는, 기부(41)의 외주면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 돌출된 부분이며, 대직경 통부(2)의 경사진 직경 축소부(22)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변형 제한부(42)는 경사진 직경 축소부(22)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변형 제한부(42)는, 기부(41)의 외주면에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된 환형의 돌출부이다. 변형 제한부(42)는, 기부(4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대직경 통부(2)의 내측의 위치로부터 대직경 통부(2)의 외측의 위치까지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변형 제한부(42)는, 연결부(3)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그로밋(1)은, 차량 내를 실외측과 실내측으로 구획하는 판재(7)에 부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측 프레임부(21)의 오목부(210)와 판재(7)에서의 구멍(71)의 가장자리부가 끼워 맞춰짐으로써, 그로밋(1)이 판재(7)에 고정된다. 판재(7)는, 그로밋(1)을 지지하는 지지판이기도 하다. 한편, 도 1 및 도 3이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판재(7)의 구멍(71)의 가장자리부에는 버링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판재(7)에 부착된 그로밋(1)에 있어서, 대직경 통부(2)의 오목부(210)보다 경사진 직경 축소부(22)가 형성된 측의 부분은 판재(7)에 대하여 실외측에 위치하고, 그 반대측의 부분은 판재(7)에 대하여 실내측에 위치한다.
그로밋(1)을 판재(7)에 부착하는 작업자는, 판재(7)의 구멍(71)에 대하여 실내측으로부터 액세스한다. 따라서, 판재(7)에서의 실외측이 작업자로부터 보아 이면측이다.
그로밋(1)이 판재(7)에 부착될 때, 그로밋(1)에서의 경사진 직경 축소부(22)측의 부분이, 실내측으로부터 판재(7)의 구멍(71)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경사진 직경 축소부(22)가 판재(7)에서의 구멍(71)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받는 압력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 변형한다. 또한, 외측 프레임부(21)도, 판재(7)에서의 구멍(71)의 가장자리부가 오목부(210)에 끼워 넣어질 때까지, 경사진 직경 축소부(22)의 변형에 따라 내측으로 탄성 변형한다.
도 4는 전선 다발(9)(선형 부재)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차량의 실내측으로 인장되었을 때의 와이어 하니스(10)의 상태를 도시한다.
그로밋(1)이 판재(7)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전선 다발(9)이 실내측으로 인장되면, 대직경 통부(2)가 소직경 통부(4) 및 연결부(3)로부터의 인장력에 의해 내측으로 변형하려고 한다. 이 경우, 대직경 통부(2)의 경사진 직경 축소부(22)는, 이것에 대향하는 소직경 통부(4)의 변형 제한부(42)에 접촉하여, 그것보다 내측으로 변형하기 어렵다.
즉, 변형 제한부(42)는, 경사진 직경 축소부(22)의 내측으로의 변형 범위를 제한한다. 이와 같이, 대직경 통부(2)의 내측으로의 변형 범위가 제한되기 때문에, 그로밋(1)이 판재(7)로부터 떨어지기 어렵다.
그런데, 대직경 통부(2)의 경사진 직경 축소부(22)와 소직경 통부(4)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 경사진 직경 축소부(22)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 경사진 직경 축소부(22)가 소직경 통부(4)에 접촉했을 때에 휘지 않도록, 경사진 직경 축소부(22)의 두께를 크게 하는(강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해진다. 또한, 직경이 큰 대직경 통부(2)의 일부가 길고 두껍게 형성되면, 그로밋의 중량 및 비용이 증대하기 쉽다.
한편, 그로밋(1)에 있어서, 소직경 통부(4)의 변형 제한부(42)가 경사진 직경 축소부(22)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대직경 통부(2)의 외측 프레임부(21)의 직경과 소직경 통부(4)의 기부(41)의 직경의 차이(내외 직경차)에 따라 경사진 직경 축소부(22)를 길고 두껍게 하는 경우에 비하여, 그로밋(1)의 중량 및 비용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서, 와이어 하니스(10)에 적용 가능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그로밋(1A)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로밋(1A)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그로밋(1)과 비교하여, 변형 제한부의 형성 범위만이 상이하다.
도 5는, 그로밋(1A)의 측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하, 그로밋(1A)에서의 그로밋(1)과 상이한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로밋(1A)은, 대직경 통부(2)와 연결부(3)와 소직경 통부(4A)를 갖고 있다. 소직경 통부(4A)는, 기부(41)와 변형 제한부(42A)를 갖고 있다.
도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변형 제한부(42A)는, 연결부(3)에 이어져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변형 제한부(42A)는, 변형 제한부(42)와 마찬가지로, 기부(4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대직경 통부(2)의 내측의 위치로부터 대직경 통부(2)의 외측의 위치까지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 하니스(10)에 있어서, 도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은 그로밋(1A)이 그로밋(1) 대신에 채용된 경우도, 그로밋(1)이 채용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서, 와이어 하니스(10)에 적용 가능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그로밋(1B)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로밋(1B)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그로밋(1)과 비교하여, 변형 제한부의 형성 범위만이 상이하다.
도 6은, 그로밋(1B)의 정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하, 그로밋(1B)에서의 그로밋(1)과 상이한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로밋(1B)은, 대직경 통부(2)와 연결부(3)와 소직경 통부(4B)를 갖고 있다. 소직경 통부(4B)는, 기부(41)와 변형 제한부(42B)를 갖고 있다. 소직경 통부(4B)에는, 복수의 변형 제한부(42B)가 기부(4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도 6이 도시하는 예에서는, 12개의 변형 제한부(42B)가 기부(4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변형 제한부(42B)의 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변형 제한부(42B) 사이의 부분이, 기부(41)의 다른 부분보다 큰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도 고려된다.
와이어 하니스(10)에 있어서, 도 6이 도시하는 바와 같은 그로밋(1B)이 그로밋(1) 대신에 채용된 경우도, 그로밋(1)이 채용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그로밋(1B)이 채용되는 경우, 변형 제한부가 기부(41)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보다 그로밋의 중량 및 비용의 증대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그로밋(1B)에 있어서, 소직경 통부(4)의 변형 제한부(42B)는, 경사진 직경 축소부(22)와 접촉했을 때에, 경사진 직경 축소부(22)에 의해 꼭대기부측으로부터 밑동측으로 눌리는 부분이다. 그 때문에, 도 6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 제한부(42)는, 비교적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경사진 직경 축소부(22)로부터의 압력에 의한 절곡은 발생하기 어렵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그로밋(1C) 및 그것을 구비하는 와이어 하니스(10C)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로밋(1C)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그로밋(1)과 비교하여, 소직경 통부가 이중 구조를 갖는 점이 상이하다.
도 7은, 그로밋(1C)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와이어 하니스(10C)의 일부 절결 측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은, 판재(7), 그 판재(7)에 부착된 그로밋(1C) 및 결속재(8)의 단면도와 전선 다발(9)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하, 그로밋(1C) 및 와이어 하니스(10C)에서의 그로밋(1) 및 와이어 하니스(10)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로밋(1C)은, 대직경 통부(2)와 연결부(3)와 소직경 통부(4C)를 갖고 있다. 소직경 통부(4C)는, 내측 소직경 통부(41X)와 외측 소직경 통부(41Y)와 변형 제한부(42C)를 갖고 있다.
그로밋(1C)의 소직경 통부(4C)에 있어서, 내측 소직경 통부(41X)는, 연결부(3)에서의 가장 내측의 부분에 이어진 통 형상의 부분이다. 한편, 외측 소직경 통부(41Y)는, 연결부(3)에서의 내측 소직경 통부(41X)와 이어진 부분보다 대직경 통부(2)쪽의 부분에 이어진 부분이다.
따라서, 외측 소직경 통부(41Y)는, 내측 소직경 통부(41X)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소직경 통부(4C)는, 내측 소직경 통부(41X) 및 외측 소직경 통부(41Y)를 포함하는 이중 구조를 갖고 있다.
내측 소직경 통부(41X)의 양단부 각각에는, 소직경 통부(4C)의 내측을 관통하는 전선 다발(9)과 결속 가능한 피결속부(411X)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외측 소직경 통부(41Y)의 단부에도, 소직경 통부(4C)의 내측을 관통하는 전선 다발(9)과 결속 가능한 피결속부(411Y)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형 부재의 일례인 전선 다발(9)은, 결속재(8)에 의해 내측 소직경 통부(41X)의 피결속부(411X) 및 외측 소직경 통부(41Y)의 피결속부(411Y)의 양방과 결속된다.
그리고, 변형 제한부(42C)는 외측 소직경 통부(41Y)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형 제한부(42C)는, 외측 소직경 통부(41Y)의 외주면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 돌출된 부분이며, 대직경 통부(2)의 경사진 직경 축소부(22)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변형 제한부(42C)는 경사진 직경 축소부(22)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변형 제한부(42C)는, 외측 소직경 통부(41Y)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대직경 통부(2)의 내측의 위치로부터 대직경 통부(2)의 외측의 위치까지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변형 제한부(42C)가, 예컨대 도 2의 변형 제한부(42)와 마찬가지로, 외측 소직경 통부(41Y)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복수의 변형 제한부(42C)가, 도 6의 변형 제한부(42B)와 마찬가지로, 외측 소직경 통부(41Y)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것도 고려된다.
이중 구조의 소직경 통부(4C)가 채용되면, 그로밋(1C)을 판재(7)에 부착하기 위해 소직경 통부(4C)와 결속된 전선 다발(9)이 판재(7)의 이면측의 방향으로 압입될 때에, 소직경 통부(4C)로부터 대직경 통부(2)로 효율적으로 압입력이 가해진다.
압입력이 소직경 통부(4C)로부터 대직경 통부(2)로 효율적으로 가해지면, 비교적 약한 힘으로 그로밋(1C)을 판재(7)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 제한부는, 그와 같은 그로밋(1C)에 적용되어도 좋다.
<응용예>
그로밋(1, 1A, 1B, 1C)이,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성 부재와 수지 부재 또는 금속 부재가 조합된 구조를 갖는 것도 고려된다. 예컨대, 그로밋(1, 1A, 1B, 1C)이, 탄성 부재와 그 탄성 부재의 일부에 보강용의 수지 부재 또는 금속 부재가 끼워진 구조를 갖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그로밋(1, 1A, 1B, 1C)의 보호 대상인 선형 부재가, 광파이버 케이블 또는 유체를 흘리는 호스 등의 전선 이외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도 고려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그로밋 및 와이어 하니스는, 각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에 있어서, 이상에 나타난 각 실시형태 및 응용예를 자유롭게 조합하는 것, 또는 각 실시형태 및 응용예를 적절하게, 변형하거나 또는 일부를 생략함으로써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1, 1A, 1B, 1C: 그로밋 10, 10C: 와이어 하니스
2: 대직경 통부 21: 외측 프레임부
210: 오목부 22: 경사진 직경 축소부
3: 연결부 4, 4A, 4B, 4C: 소직경 통부
41: 기부 411, 411X, 411Y: 피결속부
412: 지수용 볼록부 41X: 내측 소직경 통부
41Y: 외측 소직경 통부 42, 42A, 42B, 42C: 변형 제한부
7: 판재 71: 구멍
8: 결속재 9: 전선 다발

Claims (4)

  1. 판재(板材)에서의 구멍의 가장자리부가 끼워 넣어질 수 있는 환형의 오목부가 형성된 통 형상의 대직경 통부와,
    전체 둘레에 걸친 범위에서 상기 대직경 통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더욱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이어지며 단부(端部)에 있어서 내측을 관통하는 부재와 결속 가능한 통 형상의 소직경 통부
    가 형성된 탄성 부재를 갖는 그로밋으로서,
    상기 대직경 통부는, 전체 둘레에 걸친 범위에서 상기 연결부와 이어지는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형성된 경사진 직경 축소부를 가지며,
    상기 소직경 통부는, 상기 경사진 직경 축소부에 대향하여 다른 부분보다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경사진 직경 축소부의 내측으로의 변형 범위를 제한하는 변형 제한부를 가지고,
    상기 그로밋의 상기 판재로의 삽입 후, 상기 직경 축소부 및 상기 변형 제한부는 상기 그로밋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판재보다 삽입처측에 위치하는 것인 그로밋.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변형 제한부는 상기 소직경 통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것인 그로밋.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직경 통부는,
    상기 연결부에서의 가장 내측의 부분에 이어진 내측 소직경 통부와,
    상기 연결부에서의 상기 소직경 통부와 이어진 부분보다 상기 대직경 통부쪽의 부분에 이어져 상기 내측 소직경 통부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변형 제한부가 형성된 외측 소직경 통부를 포함하는 것인 그로밋.
  4. 전선 다발 및 상기 전선 다발에 부착된 그로밋을 구비하는 와이어 하니스로서,
    상기 그로밋은,
    판재에서의 구멍의 가장자리부가 끼워 넣어질 수 있는 환형의 오목부가 형성된 통 형상의 대직경 통부와,
    전체 둘레에 걸친 범위에서 상기 대직경 통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더욱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이어지며 단부에 있어서 내측을 관통하는 상기 전선 다발과 결속된 통 형상의 소직경 통부가 형성된 탄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대직경 통부는, 전체 둘레에 걸친 범위에서 상기 연결부와 이어지는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형성된 경사진 직경 축소부를 가지며,
    상기 소직경 통부는, 상기 경사진 직경 축소부에 대향하여 다른 부분보다 돌출되고, 상기 경사진 직경 축소부의 내측으로의 변형 범위를 제한하는 변형 제한부를 가지고,
    상기 그로밋의 상기 판재로의 삽입 후, 상기 직경 축소부 및 상기 변형 제한부는 상기 그로밋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판재보다 삽입처측에 위치하는 것인 와이어 하니스.
KR1020150030925A 2014-03-12 2015-03-05 그로밋 및 와이어 하니스 KR101661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48397 2014-03-12
JP2014048397A JP2015173550A (ja) 2014-03-12 2014-03-12 グロメット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835A KR20150106835A (ko) 2015-09-22
KR101661845B1 true KR101661845B1 (ko) 2016-09-30

Family

ID=54070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925A KR101661845B1 (ko) 2014-03-12 2015-03-05 그로밋 및 와이어 하니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263495A1 (ko)
JP (1) JP2015173550A (ko)
KR (1) KR101661845B1 (ko)
CN (1) CN1049171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9720A (ko) 2022-11-29 2024-06-05 주식회사 대성하이테크 케이블 고정이 용이한 차량용 그로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9497B2 (ja) 2015-09-03 2018-04-1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CN105313805A (zh) * 2015-10-31 2016-02-10 郑州比克新能源汽车有限公司 用于汽车线束的橡胶护套
JP2017157760A (ja) * 2016-03-03 2017-09-07 オムロン株式会社 光学電子機器
JP2017169424A (ja) 2016-03-18 2017-09-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KR101701963B1 (ko) 2016-08-16 2017-02-06 주식회사 대성하이테크 차량용 그로밋
JP6642353B2 (ja) * 2016-09-16 2020-02-05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の車体取付け構造
US10086781B2 (en) 2016-11-09 2018-10-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ons LLC Push through grommet
CN109050442B (zh) * 2018-08-15 2021-07-06 安徽奥丰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汽车橡胶过线防尘护套
KR102108017B1 (ko) 2018-10-02 2020-05-07 주식회사 대성하이테크 흡착식 구조로부터 결합력을 향상시킨 차량용 그로밋
KR102108016B1 (ko) 2018-10-02 2020-05-07 주식회사 대성하이테크 체결음을 발생시키는 차량용 그로밋
KR102319391B1 (ko) 2019-12-30 2021-10-29 주식회사 대성하이테크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 차량용 그로밋
KR20210084963A (ko)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대성하이테크 회전 및 비틀림을 방지한 차량용 그로밋
GB2606055A (en) * 2021-03-01 2022-10-26 Caterpillar Inc A grommet
CN113147623B (zh) * 2021-04-25 2022-11-22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布线装置和汽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122A (ja) 2000-11-16 2002-05-31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JP2011217552A (ja) 2010-04-01 2011-10-27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グロメッ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1830B2 (ja) * 2006-04-04 2012-01-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5098718B2 (ja) * 2008-03-13 2012-12-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5098827B2 (ja) * 2008-06-03 2012-12-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5469585B2 (ja) * 2010-10-29 2014-04-16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グロメ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122A (ja) 2000-11-16 2002-05-31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JP2011217552A (ja) 2010-04-01 2011-10-27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グロメ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9720A (ko) 2022-11-29 2024-06-05 주식회사 대성하이테크 케이블 고정이 용이한 차량용 그로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835A (ko) 2015-09-22
JP2015173550A (ja) 2015-10-01
CN104917125A (zh) 2015-09-16
US20150263495A1 (en) 2015-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845B1 (ko) 그로밋 및 와이어 하니스
AU2010350317B2 (en) Grommet for wire harness
US8314337B2 (en) Grommet for wire harness
US9680290B2 (en) Electric cable with protection member
CN112918402B (zh) 索环
US20150144378A1 (en) Grommet
US9673600B2 (en) Grommet
CN108713279B (zh) 索环
US9096185B2 (en) Grommet
JP2017229190A (ja)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5825196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
EP2051336A2 (en) Connector apparatus
CN112236912A (zh) 线束
JP5453166B2 (ja) グロメット
JP2007185067A (ja) 可撓電線保護管
KR101446655B1 (ko) 다공 그로멧을 포함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KR20180062656A (ko) 양측 밴드 케이블
JP6146267B2 (ja) グロメット
JP4062218B2 (ja) グロメット
CN112805895A (zh) 安装构件
JP2015033219A (ja)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付ワイヤーハーネス
JP2019209854A (ja) グロメット
JP2017118743A (ja) グロメットおよび配線モジュール
JP2015204737A (ja) グロメット
JP2009097639A (ja) メッシュプロテクタ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