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995B1 - 전력 증폭기 포화 검출 - Google Patents

전력 증폭기 포화 검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995B1
KR101648995B1 KR1020117012245A KR20117012245A KR101648995B1 KR 101648995 B1 KR101648995 B1 KR 101648995B1 KR 1020117012245 A KR1020117012245 A KR 1020117012245A KR 20117012245 A KR20117012245 A KR 20117012245A KR 101648995 B1 KR101648995 B1 KR 101648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ignal
coupled
output
output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1522A (ko
Inventor
폴 알. 앤드라이스
테리 제이. 시
마이클 엘. 제라드
Original Assignee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91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6Modifications for ensuring a fully conducting stat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11C7/067Single-ended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93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field-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95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3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11/00Limiting amplitude; Limiting rate of change of amplitude ; Clipping in general
    • H03G11/02Limiting amplitude; Limiting rate of change of amplitude ; Clipping in general by means of di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07Control dependent on the supply voltag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71A filter circuit coupled to the output of an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력 증폭기 시스템은 증폭기 트랜지스터 컬렉터 전압 파형의 듀티 사이클에 응답하여 전력 증폭기 포화를 검출하는 포화 검출기를 포함한다. 포화 검출 출력 신호는 전력 제어 회로에 의해 전력 증폭기 제어 루프 포화를 방지하기 위해 전력 증폭기의 증폭 레벨을 완화하거나 줄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증폭기 포화 검출{POWER AMPLIFIER SATURATION DETECTION}
본 발명은 전력 증폭기 포화 검출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전화들로도 알려진) 이동 무선 전화들 및 다른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들에서 사용되는 타입의 무선 주파수(RF) 송신기들은 일반적으로 송신되는 RF 신호의 전력을 조정하는 송신 전력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전력 제어 회로는 전력 증폭기를 조정하여, 송신 RF 전력을 증감할 수 있다. 송신 RF 전력의 조정은 여러 목적에 유용하다. 예를 들어, 다양한 타입의 셀룰러 통신 시스템들에서, 송신 RF 전력은 (핸드셋이라고도 하는) 송수신기가 가장 가까운 기지국으로부터 더 멀리 있을 때에는 더 높고, 송수신기가 가장 가까운 기지국으로부터 더 가까이 있을 때에는 더 낮은 것이 유용하다. 또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표준 및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표준 모두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것들과 같은 일부 타입의 다중 모드(예를 들어, 이중 모드) 송수신기들에서, 송신 RF 전력에 대한 요구들은 송수신기가 GSM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지 또는 EDGE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유사하게, 송신 RF 전력에 대한 요구들은 GSM "저대역"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유럽, 아프리카, 중앙 아시아 및 아시아 중 많은 곳에서 사용되는 880-915 MHz 주파수 대역) 및 GSM "고대역"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미국에서 사용되는 1850-1910 MHz 주파수 대역) 모두에서 동작 가능한 것들과 같은 다중 대역(예를 들어, 이중 대역) 송수신기들에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대역에 대한 전력 증폭 요구들을 수용하기 위해, 송수신기의 전력 증폭기 시스템은 다수의 전력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응용들에서,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의 전력 증폭 시스템은 송수신기가 동작하고 있는 모드에 의해 지정되는 허용 한계 범위 내의 레벨로 전력 증폭기의 출력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네거티브 피드백 전력 제어 루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가 GSM 모드에서 송신하고 있는 동안, 전력 제어 루프는 GSM 표준에 따라 송신되는 주파수 시프트 키잉 변조된(특히, 가우스 최소 시프트 키잉(GMSK)) 신호에 대해 GSM 표준에 의해 지정되는 허용 한계 범위 내에서 증폭기 출력 전력을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또한, 송수신기가 EDGE 모드에서 송신하고 있는 동안, 제어 루프는 EDGE 표준에 따라 송신되는 8 위상 시프트 키잉(8PSK) 변조된 신호에 대해 EDGE 표준에 의해 지정되는 허용 한계 범위 내에서 증폭기 출력 전력을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일반적으로, 피드백 루프는 검출된 RF 출력 전력 레벨과 같은 피드백 양을 기준 제어 전압과 비교한다. (차이 에러라고도 하는) 두 전압 간의 차이는 적분되어, 전력 증폭기의 전력 제어 포트에 인가된다. GMSK의 경우, 전력 증폭기 전력 제어 포트는 통상적으로 전력 증폭기 바이어스를 조정하는 전압 제어형 입력(V_PC)이다. RF 입력 레벨은 일정하다. EDGE의 경우, 전력 증폭기 전력 제어 포트는 RF 입력 레벨이다. EDGE에서, V_PC는 선형성을 유지하면서 효율을 최적화하도록 조정될 수도 있다. 큰 루프 이득은 차이 에러를 최소화하며, 출력 전력 정밀도를 루프 피드백 회로 및 기준 제어 전압의 정밀도로 되게 한다.
전력 증폭기 제어 루프는 불충분한 배터리 전력 및 전압 정상파 비율(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 부하 라인 극한들과 같은 조건들 하에서 바람직하게 않게 전압 포화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들은 바람직하지 않은 제어 루프 이득 감소, 차이 에러 증가 또는 이들 모두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완만한 제어 루프 응답에서 자명하여, 전력 증폭기 출력 전력 레벨의 변동 또는 심지어 제어 루프 록(lock)의 완전한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
전력 제어 루프 포화는 이용 가능한 표준에 의해 지정되는 과다한 시간 대 전력(PvT) 측정들과 같은, 스위칭 스펙트럼 열화 및 이용 가능한 표준들(예를 들어, GMSK)과의 부적합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더욱이, 진폭 변조된 EDGE 신호 엔빌로프의 피크들이 클립핑되어 변조 스펙트럼 열화를 유발할 수 있다.
전력 제어 루프 포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 전력 증폭기 시스템들은 루프 에러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루프 에러가 제거될 때까지 루프 기준 전압을 줄이는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대안으로서, 전력 증폭기 시스템은 제어 루프가 포화에 가까워질 때 이를 검출하고, "포화 검출" 신호를 활성화하는 포화 검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제어 회로는 포화 검출 회로가 "포화 검출" 신호를 비활성화할 때까지(이는 정상 또는 비포화 제어 루프 동작을 지시한다) 타겟 출력 전력을 줄임으로써 이 신호에 응답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증폭기(10)의 이득 또는 증폭은 연산 증폭기(13), PFET(p 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4) 및 관련 저항기들(16, 18)을 포함하는 전압 조절기(12)에 의해 제어된다. 전력 증폭기(10)는 다수의 캐스케이드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지만, 명료화를 위해 최종 스테이지의 트랜지스터(20)만이 도시된다(다른 그러한 스테이지들은 생략 부호("...")로 표시된다). 전압 조절기(12)는 (명료화를 위해 도시되지 않은) 전력 제어 회로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 제어 신호(V_PC)에 응답한다. 연산 증폭기(13)의 출력은 PFET(14)를 통해 트랜지스터(20)의 컬렉터 단자에 결합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러한 배열은 컬렉터 전압 증폭기 제어(COVAC)로 알려진 것을 제공한다.
"포화 검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는 비교기(22), 전류원(24) 및 저항기(26)를 포함한다. (명료화를 위해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 구동 전원에 의해 제공되는 전원 전압(V_BATT)은 PFET(14)의 소스 단자 및 저항기(26)의 한 단자에 결합된다. 전원 종속 기준 전압이 저항기(26) 및 전류원(24)을 통해 비교기(22)의 한 단자에 인가된다. 비교기(22)의 다른 단자는 PFET(14)의 드레인 전압을 수신한다. PFET(14)의 드레인 전압이 비교기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비교기(22)는 전압 조절기가 포화되었음을 지시하는 "포화 검출" 신호를 생성한다. 조절기 이득 대역폭은 V_PC 입력 신호를 정확히 따르기에 불충분하여, 전력 증폭기 PvT 시간 마스크 및 스위칭 스펙트럼 사양 위반들을 유발한다.
전력 증폭기 제어 루프가 포화 상태에 있거나 그 근처에 있을 때 이를 검출하기 위한, 도 1과 관련하여 전술한 기술은 COVAC 트랜지스터 배열을 가진 전력 증폭기 시스템에서 유용하지만, 일부 다른 예들에서는 이용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일부 전력 증폭기 트랜지스터 배열에서는 최종 스테이지 트랜지스터의 컬렉터가 전원 전압(V_BATT)에 직접 접속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용 무선 주파수(RF) 송신기 또는 송수신기 내의 전력 증폭기 시스템, 그러한 송수신기를 갖는 이동 무선 통신 장치, 및 전력 증폭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 증폭기 시스템은 전력 증폭기 포화를 검출하는 포화 검출기를 포함한다.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전력 증폭기 회로는 전력 증폭기, 듀티 사이클 검출기 및 비교기부를 포함한다. 전력 증폭기는 전원 전압에 결합된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듀티 사이클 검출기는 듀티 사이클, 즉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에서 생성된 파형이 네거티브인 시간의 양과 파형이 포지티브인 시간의 양 사이의 비율을 검출함으로써 전력 증폭기 포화의 지시를 제공할 수 있다.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듀티 사이클 검출기는 리미터부 및 평균화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리미터부는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에 결합되고, 포지티브 전압 익스커션들(voltage excursions)을 차단하는 반면, 네거티브 전압 익스커션들을 통과시킨다. 평균화 필터부는 리미터부의 출력에 결합된다. 비교기부는 평균화 필터부에 의해 출력된 신호와 기준 전압을 비교함으로써 포화 검출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포화 검출 출력 신호는 전력 제어 회로에 의해 전력 증폭기의 증폭 레벨을 완화하거나 줄여 포화 상태에서의 동작을 방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리미터부, 평균화 필터부 및 비교기부 또는 이들의 부분들은 집적 회로 칩 내에, 프로그래밍되거나 구성되는 디지털 신호 처리 논리 내에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회로 또는 시스템들 내에 형성되는 개별 회로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회로 또는 시스템들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시스템들, 방법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아래의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의 검토시에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명백하거나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한 모든 추가적인 시스템들, 방법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본 설명 내에 포함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고,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의도한다.
본 발명은 아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들 내의 컴포넌트들은 반드시 축척으로 도시되지는 않는 대신에, 본 발명의 원리들을 명확히 도시할 때에는 강조가 주어진다. 더욱이,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상이한 도면들 전반에서 대응하는 요소들을 지시한다.
도 1은 포화 검출 회로를 구비한 종래의 전력 증폭기 시스템의 일부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모범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무선 전화의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무선 전화의 송신기부의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력 증폭기 시스템의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전력 증폭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범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전화와 같은 이동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RF) 서브시스템(30), 안테나(32), 기저대역 서브시스템(3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6)를 포함한다. RF 서브시스템(30)은 송신기부(38) 및 수신기부(4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6)는 마이크로폰(42), 스피커(44), 디스플레이(46) 및 키보드(48)를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기저대역 서브시스템(34)에 결합된다. 송신기부(38)의 출력 및 수신기부(40)의 출력은 송신기부(38)에 의해 생성된 송신 RF 신호 및 수신기부(40)로 제공되는 수신 RF 신호 모두의 동시 통과를 허가하는 프론트-엔드 모듈(FEM)(50)을 통해 안테나(32)에 결합된다. 그러나, 송신기부(38)의 경우, 전술한 요소들은 그러한 이동 무선 통신 장치들 내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타입들일 수 있다. 통상적인 요소들로서, 이들은 본 발명과 관련된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잘 이해되며, 따라서 본 특허 명세서에서는("여기서는")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러한 이동 무선 통신 장치들의 통상적인 송신기부들과 달리, 송신기부(38)는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전력 증폭기 포화 검출 특징들 및 방법들을 구현한다. 본 발명은 이동 무선 전화와 관련된 모범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대안으로서 이동 또는 휴대용 RF 송신기들을 포함하는 다른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부(38) 내의 변조기(52)는 송신기부(38)에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변조기(52)는 입력 신호를 변조하고, 변조된 신호를 업컨버터(54)에 제공한다. 업컨버터(54)는 변조된 신호의 주파수를 기저대역 주파수로부터 송신 주파수로 시프트 또는 상향 변환시키며, 상향 변환된 신호를 전력 증폭기 시스템(56)에 제공한다. 명료화를 위해 도 2 또는 3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력 증폭기 시스템(56)은 기저대역 서브시스템(34) 또는 다른 적절한 요소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시스템 제어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러한 제어 신호들은 통상적으로 증폭기 이득, 바이어스 또는 다른 증폭기 파라미터들의 조정과 관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증폭기 시스템(56)은 고대역 전력 증폭기(60) 및 저대역 전력 증폭기(62)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송신기가 (여기서 고대역 및 저대역으로 지칭되는) 2개의 주파수 대역 중 선택된 하나에서 송신할 수 있는 이중 대역 타입인 모범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단일 대역 및 대응하는 단일 전력 증폭기를 갖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들에도 적용 가능하다. 전력 증폭기들(60, 62)은 통상적인 타입일 수 있으며, 다수의 캐스케이드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지만, 명료화를 위해 전력 증폭기(60)의 최종 스테이지의 트랜지스터(64) 및 전력 증폭기(62)의 최종 스테이지의 트랜지스터(66)만이 도시된다(다른 그러한 스테이지들 및 바이어싱 회로는 생략 부호("...")로 표시된다). 고대역 전력 증폭기(60)는 증폭될 RF 신호(68)를 수신하고, 저대역 전력 증폭기(62)는 증폭될 RF 신호(70)를 수신한다. 전력 증폭기들(60, 62)은 COVAC 타입이 아니며, 오히려 트랜지스터들(64, 66)의 컬렉터 단자들은 인덕턴스들(72, 74)을 통해 각각 전원 전압(V_BATT)에 직접 결합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결합된다"라는 용어는 0개 이상의 중간 요소를 통해 접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전원 전압은 이동 무선 통신 장치들 내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타입의 (명료화를 위해 도시되지 않은) 적절한 배터리 기반 전원 회로에 의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전력 증폭기 회로(56)는 전력 증폭기들(60, 62)에 각각 전력 제어 신호들(78, 80)을 제공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제어기(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 시스템 제어기(76)는 이동 무선 통신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34)(도 2) 또는 다른 적절한 부분 내의 (도시되지 않은) 중앙식 장치 제어기로부터 수신하는 전력 제어 신호들(82)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 시스템 제어기(76)는 송신 고대역 및 저대역 RF 신호 전력을 각각 나타내는 피드백 신호들(84, 86)에 응답하여 더 동작할 수 있다. 그러한 피드백 제어 루프는 무선 이동 통신 장치들에서 통상적이므로,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잘 이해되며, 따라서 여기서는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트랜지스터(64, 66)가 그의 포화 영역에서 동작하고 있지 않을 때, 그의 컬렉터 전압 파형은 사인파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랜지스터(64 또는 66)가 그의 동작의 바이폴라 장치 포화 영역에 들어감에 따라, 그의 컬렉터 전압 파형의 네거티브 사이클 부분은 사인파 형상으로부터 점점 더 변형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포화 영역으로의 진입은 포지티브 사이클 부분보다 네거티브 사이클 부분에 더 영향을 미친다. 트랜지스터 동작이 포화 영역으로 점점 더 깊이 이동함에 따라, 포지티브 사이클 부분은 실질적으로 사인파로 유지되지만, 네거티브 사이클 부분은 점점더 사각파가 되고, 듀티 사이클이 증가한다. 따라서, 컬렉터 전압 파형이 네거티브인 시간의 양과 컬렉터 전압 파형이 포지티브인 시간의 양 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 즉 듀티 사이클은 포화 깊이의 지시를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네거티브 사이클 부분의 근사 평균 전압을 나타내는 값도 포화 깊이의 지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값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정된다. "평균" 또는 "평균화"라는 용어가 본 명세서에서 편의를 위해 사용되지만, 이러한 용어는 수학적 평균 또는 수학적 프로세스로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모범적인 평균화 회로의 동작에 의해 예시되는 바와 같은 그러한 평균에 근사하거나 대응하는 모든 양들을 그의 의미 범위 내에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고대역 전력 증폭기(60)의 출력에 결합되는 제1 리미터 회로(87)는 제1 다이오드(88)를 포함한다. 제1 리미터 회로(87)의 출력에 결합되는 제1 평균화 필터(90)는 커패시터(92) 및 2개의 저항기(94, 96)를 포함한다. 바이어싱 저항기들(98, 100) 및 전압 조절기(102)에 의해 제공되는 전압은 다이오드(88)를 바이어스하고, 다이오드(88)의 정지 동작점을 실질적으로 다이오드(88)의 니 전압(knee voltage)에 있도록 정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이오드(88)는 전력 증폭기(60)의 출력에서 RF 신호의 훨씬 적은 포지티브 전압 익스커션들 또는 사이클 부분들에 응답하여 턴온되거나 도통 상태가 된다. 도통 상태일 때, 다이오드(88)는 약 1 다이오드 강하(0.7V)의 값에서 신호의 포지티브 전압 익스커션 또는 사이클 부분을 클립핑한다. 다이오드(88)는 신호의 네거티브 전압 익스커션들 또는 사이클 부분들에 응답하여 턴오프되거나 비도통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 리미터 회로(87)는 네거티브 사이클 부분을 통과시키고, 포지티브 사이클 부분을 차단 또는 클립핑한다. 필터 커패시터(104)는 RF 신호가 다른 회로의 동작을 방해하지 못하게 한다.
제1 평균화 필터(90)는 제1 리미터 회로(87)가 통과시킨 RF 신호 네거티브 사이클 부분을 수신하고, 이를 저역 필터링 또는 평균화한다. 따라서, 제1 평균화 필터(90)의 출력은 고대역 전력 증폭기(60)에 의해 출력된 RF 신호의 네거티브 사이클 부분의 평균을 나타낸다. 즉, 제1 평균화 필터(90)의 출력은 듀티 사이클, 즉 고대역 전력 증폭기(60)에 의해 출력되는 RF 신호가 네거티브인 시간의 양과 고대역 전력 증폭기(60)에 의해 출력되는 RF 신호가 포지티브인 시간의 양 사이의 비율을 나타낸다. 제1 리미터 회로(87) 및 제1 평균화 필터(90)의 조합은 제1 듀티 사이클 검출기를 정의한다.
저대역 전력 증폭기(62)의 출력에 결합되는 제2 리미터 회로(105)는 제2 다이오드(106)를 포함한다. 제2 리미터 회로(105)의 출력에 결합되는 제2 평균화 필터(108)는 커패시터(110) 및 2개의 저항기(112, 114)를 포함한다. 바이어싱 저항기들(116, 118) 및 전압 조절기(102)에 의해 제공되는 전압은 다이오드(106)를 바이어스하고, 다이오드(106)의 정지 동작점을 실질적으로 다이오드(106)의 니 전압에 있도록 정의한다. 도통 상태일 때, 다이오드(106)는 다이오드(88)와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신호의 포지티브 전압 익스커션 또는 사이클 부분을 클립핑한다. 다이오드(106)는 네거티브 사이클 부분들에 응답하여 턴오프되거나 비도통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2 리미터 회로(105)는 네거티브 사이클 부분을 통과시키고, 포지티브 사이클 부분을 차단 또는 클립핑한다. 필터 커패시터(119)는 RF 신호가 다른 회로의 동작을 방해하지 못하게 한다.
제2 평균화 필터(108)는 제2 리미터 회로(105)가 통과시킨 RF 신호 네거티브 사이클 부분을 수신하고, 이를 저역 필터링 또는 평균화한다. 따라서, 제2 평균화 필터(108)의 출력은 저대역 전력 증폭기(62)에 의해 출력된 RF 신호의 네거티브 사이클 부분의 평균을 나타낸다. 즉, 제2 평균화 필터(108)의 출력은 듀티 사이클, 즉 저대역 전력 증폭기(62)에 의해 출력되는 RF 신호가 네거티브인 시간의 양과 저대역 전력 증폭기(62)에 의해 출력되는 RF 신호가 포지티브인 시간의 양 사이의 비율을 나타낸다. 제2 리미터 회로(105) 및 제2 평균화 필터(108)의 조합은 제2 듀티 사이클 검출기를 정의한다.
비교기 회로는 비교기(120) 및 2개의 단일 폴 이중 스로우(single-pole double-throw) 스위치 장치(122, 124)를 포함하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치 장치(122)의 폴 단자는 비교기(120)의 제1 출력(예를 들어, 반전 입력)에 접속된다. 제2 스위치 장치(124)의 폴 단자는 비교기(120)의 제2 출력(예를 들어,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다. 제1 스위치 장치(122)의 제1 스로우 단자는 저항기(126)를 통해 제1 평균화 필터(90)의 출력에 결합되고, 제1 전류원(128)에도 접속된다. 제1 스위치 장치(122)의 제2 스로우 단자는 저항기(130)를 통해 제2 평균화 필터(108)의 출력에 결합되고, 제2 전류원(132)에도 접속된다. 제2 스위칭 장치(124)의 제1 스로우 단자는 저항기(126)를 통해 제1 평균화 필터(90)의 출력에 결합되고, 제1 전류원(128)에도 접속된다. 제2 스위치 장치(124)의 제2 스로우 단자는 저항기(130)를 통해 제2 평균화 필터(108)의 출력에 결합되고, 제2 전류원(132)에도 접속된다. 스위치 장치들(122, 124) 및 전류원들(128, 132)은 대역 선택 신호(134)에 응답한다. 대역 선택 신호(134)의 상태는 저대역 동작 또는 고대역 동작을 지시한다. 명료화를 위해 도시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기저대역 서브시스템(34; 도 2)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회로가 이중 대역 이동 무선 통신 장치들에서 통상적이고 잘 이해되는 방식으로 동작 조건들에 응답하여 대역 선택 신호(134)를 생성한다. 장치가 송신하고 있는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대역 선택 신호(134)에 따라, 고대역 전력 증폭기(60) 및 저대역 전력 증폭기(62) 중 하나는 활성 상태이고, 다른 하나는 비활성 상태라는 점에도 유의할 수 있다. 즉, 고대역 전력 증폭기(60) 및 저대역 전력 증폭기(62)는 대역 선택 신호(134)에 응답하여 선택 가능하게 활성화될 수 있다.
대역 선택 신호(134)가 저대역 동작을 지시할 때, 제1 스위치 장치(122)는 (저항기(130)를 통해) 제2 평균화 필터(108)의 출력을 비교기(120)의 제1 입력(예컨대, 반전 입력)에 접속하고, 제2 스위치 장치(124)는 (저항기(126)를 통해) 제1 평균화 필터(90)의 출력을 비교기(120)의 제2 입력(예를 들어, 비반전 입력)에 접속한다. (도 4에서 대역 선택 신호(134) 및 대응하는 스위치 위치들은 저대역 상태로 도시된다.) 또한, 대역 선택 신호(134)가 저대역 동작을 지시할 때, 전류원(128)은 활성 상태이고, 전류원(132)은 비활성 상태이다. 그러나, 저대역 동작 동안에 고대역 전력 증폭기(60)는 비활성 상태이므로, 제1 평균화 필터(90)의 출력에서의 전압은 일정하다. 이 전압은 저항기(126) 및 전류원(128)의 영향에 의해 레벨 시프트된다. 레벨 시프트된 전압은 비교기 기준 전압으로 사용되며, 저대역 포화 검출 임계치를 정의한다.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저항기(126)를 포함하는 것은 저대역 포화 검출 임계치를 선택 또는 설정하기 위한 편리한 수단을 제공한다.)
저대역 동작에 있어서, 저대역 전력 증폭기(62)의 포화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Vsat_lo 신호로 지칭될 수 있는) 제2 평균화 필터(108)의 출력에서의 전압이 감소한다. 감소하는 Vsat_lo 신호가 저대역 포화 검출 임계치와 교차할 때, 비교기(120)는 하이 또는 이진 "1"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저대역 전력 증폭기(62)가 포화 상태에서(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포화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음을 지시한다. 이러한 포화 검출 출력 신호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제어기(76)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전력 증폭기 시스템 제어기는 타겟 증폭기 전력 레벨의 감소를 지시하도록 전력 제어 신호(80)를 조정함으로써 응답한다. 대안으로서, 다른 실시예들에서, 포화 검출 출력 신호는 기저대역 서브시스템(34; 도 2) 내의 (도시되지 않은) 중앙식 장치 제어기와 같은 다른 요소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어서 이 요소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제어기(76)가 수신하는 전력 제어 신호들(82)을 조정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어서 전력 증폭기 시스템 제어기(76)는 타겟 증폭기 전력 레벨의 감소를 지시하도록 전력 제어 신호(80)를 조정함으로써, 조정된 제어 신호들(82)에 응답한다.
저대역 전력 증폭기(62)가 그의 출력 RF 신호의 전력 레벨을 줄임으로써 전력 제어 신호(80)의 변화에 응답함에 따라, Vsat_lo 신호가 증가한다. 증가하는 Vsat_lo 신호가 저대역 포화 검출 임계치와 교차할 때, 비교기(120)는 로우 또는 이진 "0"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토글링하여, 저대역 전력 증폭기(62)가 더 이상 포화 상태에서 동작하지 않음을 지시한다.
대역 선택 신호(134)가 고대역 동작을 지시할 때, 제1 스위치 장치(122)는 (저항기(126)를 통해) 제1 평균화 필터(90)의 출력을 비교기(120)의 제1 입력(예컨대, 반전 입력)에 접속하고, 제2 스위치 장치(124)는 (저항기(130)를 통해) 제2 평균화 필터(108)의 출력을 비교기(120)의 제2 입력(예를 들어, 비반전 입력)에 접속한다. 또한, 대역 선택 신호(134)가 고대역 동작을 지시할 때, 전류원(132)은 활성 상태이고, 전류원(128)은 비활성 상태이다. 그러나, 고대역 동작 동안에 저대역 전력 증폭기(62)는 비활성 상태이므로, 제2 평균화 필터(108)의 출력에서의 전압은 일정하다. 이 전압은 저항기(130) 및 전류원(132)의 영향에 의해 레벨 시프트된다. 레벨 시프트된 전압은 비교기 기준 전압으로 사용되며, 고대역 포화 검출 임계치를 정의한다.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저항기(130)를 포함하는 것은 고대역 포화 검출 임계치를 선택 또는 설정하기 위한 편리한 수단을 제공한다.)
고대역 동작에 있어서, 고대역 전력 증폭기(60)의 포화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Vsat_hi 신호로 지칭될 수 있는) 제1 평균화 필터(90)의 출력에서의 전압이 감소한다. 감소하는 Vsat_hi 신호가 고대역 포화 검출 임계치와 교차할 때, 비교기(120)는 하이 또는 이진 "1"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고대역 전력 증폭기(60)가 포화 상태에서(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포화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음을 지시한다. 이러한 포화 검출 출력 신호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제어기(76)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전력 증폭기 시스템 제어기는 타겟 증폭기 전력 레벨의 감소를 지시하도록 전력 제어 신호(78)를 조정함으로써 응답한다. 대안으로서, 저대역 동작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포화 검출 출력 신호는 중앙식 장치 제어기 또는 다른 요소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어서 이 제어기 또는 요소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제어기(76)가 수신하는 전력 제어 신호들(82)을 조정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어서 전력 증폭기 시스템 제어기(76)는 타겟 증폭기 전력 레벨의 감소를 지시하도록 전력 제어 신호(78)를 조정함으로써, 조정된 제어 신호들(82)에 응답한다.
고대역 전력 증폭기(60)가 그의 출력 RF 신호의 전력 레벨을 줄임으로써 전력 제어 신호(78)의 변화에 응답함에 따라, Vsat_hi 신호가 증가한다. 증가하는 Vsat_hi 신호가 고대역 포화 검출 임계치와 교차할 때, 비교기(120)는 로우 또는 이진 "0"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토글링하여, 고대역 전력 증폭기(60)가 더 이상 포화 상태에서 동작하지 않음을 지시한다.
고대역 및 저대역 회로 사이의 기준 전압, 다이오드 및 저항기 값들의 유사한 변화들이 비교기(120)의 공통 모드 거부 특성들에 의해 제거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전술한 요소들은 상이한 칩 프로세스 기술들의 이익들을 이용하기 위해 둘 이상의 집적 회로 칩(136, 138)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칩(136)은 인듐-갈륨-인화물(InGaP) 이종 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HBT) 기술들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칩(138)은 바이폴라 및 CMOS 장치들을 유리하게 집적할 수 있는 실리콘 BiCMOS 기술들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전력 증폭기 시스템(56)의 동작은 도 5에 흐름도 형태로 제공된다. 블록 140에 지시되는 바와 같이, 송신기가 고대역 또는 저대역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지에 따라, 즉 고대역 전력 증폭기(60) 또는 저대역 전력 증폭기(62) 중 어느 것이 활성 상태인지에 따라, 고대역 RF 신호 또는 저대역 RF 신호가 증폭된다. 블록 142에 지시되는 바와 같이, 증폭된 신호는 네거티브 전압 익스커션들(즉, 증폭된 전압 파형의 네거티브 사이클 부분)을 통과시키는 반면에 포지티브 전압 익스커션들(즉, 증폭된 전압 파형의 포지티브 사이클 부분)을 차단함으로써 제한된다. 블록 144에 지시되는 바와 같이, 파형의 네거티브 사이클 부분만을 나타내는 제한된 신호가 평균화된다. 이 평균 값은 포화 깊이의 지시를 제공한다. 블록 146에 지시되는 바와 같이, 이 값은 임계치(예를 들어, 기준 전압)와 비교된다. 기준 전압은 전류원과 함께 기준 전압 회로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는 전력 증폭기들(60, 62) 중 비활성 전력 증폭기의 출력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블록 148에 지시되는 바와 같이, 평균값이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 포화 검출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포화 검출 신호는 전력 제어 회로에 의해 전력 증폭기들(60, 62) 중 활성 전력 증폭기에 대한 타겟 전력 레벨을 완화 또는 줄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더 많은 실시예들 및 구현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시된 또는 모범적인 실시예에서는 리미터부, 평균화 필터부 및 비교기부가 설명의 목적으로 개별 회로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 분야의 기술자들은 그러한 부분들 및 그들의 요소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적절히 프로그래밍되거나 구성되는 디지털 신호 처리 논리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의 청구항들을 고려하는 것 외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7)

  1. 무선 주파수(RF) 송신기를 위한 전력 증폭기 회로로서,
    전원 전압에 결합되는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전력 증폭기 - 상기 전력 증폭기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 가능하게 활성화될 수 있는 고대역 출력 트랜지스터 및 저대역 출력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고대역 출력 트랜지스터는 전원 전압에 결합되는 고대역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저대역 출력 트랜지스터는 전원 전압에 결합되는 저대역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를 구비함 -;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에 결합되는 입력을 갖는 듀티 사이클 검출기 - 상기 듀티 사이클 검출기는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에 결합되고, 포지티브 전압 익스커션들(voltage excursions)을 차단하고, 네거티브 전압 익스커션들을 통과시키는 리미터부(limiter section); 및 상기 리미터부의 출력에 결합되는 평균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미터부는 제1 리미터 및 제2 리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미터는 상기 고대역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리미터는 포지티브 전압 익스커션들을 차단하고 네거티브 전압 익스커션들을 통과시키며, 상기 제2 리미터는 상기 저대역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리미터는 포지티브 전압 익스커션들을 차단하고 네거티브 전압 익스커션들을 통과시키며, 상기 평균화 필터부는 상기 제1 리미터의 출력에 결합되는 제1 평균화 필터 및 상기 제2 리미터의 출력에 결합되는 제2 평균화 필터를 포함함 -; 및
    제1 및 제2 비교기 입력들을 구비하고, 포화 검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부 - 상기 제1 및 제2 비교기 입력들 중 하나는 상기 듀티 사이클 검출기의 출력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비교기 입력들 중 다른 하나는 기준 전압 회로에 결합되고, 상기 비교기부는 상기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대역 선택 신호가 고대역 동작을 지시할 때 상기 제1 비교기 입력을 상기 제1 평균화 필터의 출력에 결합하고 상기 제2 비교기 입력을 상기 기준 전압 회로에 결합하며, 상기 스위칭부는 또한 상기 대역 선택 신호가 저대역 동작을 지시할 때 상기 제1 비교기 입력을 상기 제2 평균화 필터의 출력에 결합하고 상기 제2 비교기 입력을 상기 기준 전압 회로에 결합함 -
    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회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미터는 제1 다이오드 및 제1 바이어싱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이어싱 회로는 상기 고대역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에서의 포지티브 전압 익스커션 동안에 턴온되고 상기 고대역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에서의 네거티브 전압 익스커션 동안에 턴오프되도록 상기 제1 다이오드를 바이어싱하며,
    상기 제2 리미터는 제2 다이오드 및 제2 바이어싱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이어싱 회로는 상기 저대역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에서의 포지티브 전압 익스커션 동안에 턴온되고 상기 저대역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에서의 네거티브 전압 익스커션 동안에 턴오프되도록 상기 제2 다이오드를 바이어싱하는 전력 증폭기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균화 필터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평균화 필터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제1 비교기 입력에 결합되는 폴(pole) 단자, 상기 제1 평균화 필터의 출력 및 상기 기준 전압 회로의 일부에 결합되는 제1 스로우(throw) 단자, 및 상기 제2 평균화 필터의 출력 및 상기 기준 전압 회로의 일부에 결합되는 제2 스로우 단자를 구비하는 제1 스위치;
    상기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제2 비교기 입력에 결합되는 폴 단자, 상기 제1 평균화 필터의 출력 및 상기 기준 전압 회로의 일부에 결합되는 제1 스로우 단자, 및 상기 제2 평균화 필터의 출력 및 상기 기준 전압 회로의 일부에 결합되는 제2 스로우 단자를 구비하는 제2 스위치
    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 회로는,
    상기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제1 평균화 필터의 출력, 상기 제1 스위치의 제1 스로우 단자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제1 스로우 단자에 결합되는 제1 전류원; 및
    상기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제2 평균화 필터의 출력, 상기 제1 스위치의 제2 스로우 단자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제2 스로우 단자에 결합되는 제2 전류원
    을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회로.
  8. 무선 주파수(RF) 송신기에서 전력 증폭기 포화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전원 전압에 결합되는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를 갖는 출력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RF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 상기 증폭하는 단계는 전력 증폭기의 고대역 출력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고대역 RF 신호를 증폭하고, 저대역 출력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저대역 RF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대역 출력 트랜지스터는 전원 전압에 결합되는 고대역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저대역 출력 트랜지스터는 전원 전압에 결합되는 저대역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를 구비함 -;
    상기 증폭된 RF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제한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증폭된 RF 신호의 네거티브 전압 익스커션들을 통과시키는 반면에 상기 증폭된 RF 신호의 포지티브 전압 익스커션들을 제한하는 단계, 및 평균화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한된 신호를 평균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한하는 단계는 제1 제한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증폭된 고대역 RF 신호의 네거티브 전압 익스커션들을 통과시키는 반면에 상기 증폭된 고대역 RF 신호의 포지티브 전압 익스커션들을 제한하는 단계, 및 제2 제한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증폭된 저대역 RF 신호의 네거티브 전압 익스커션들을 통과시키는 반면에 상기 증폭된 저대역 RF 신호의 포지티브 전압 익스커션들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평균화하는 단계는 제1 평균화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제한된 신호를 평균화하는 단계, 및 제2 평균화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제한된 신호를 평균화하는 단계를 포함함 -;
    비교기부의 제1 입력에 상기 듀티 사이클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고, 기준 전압을 상기 비교기부의 제2 입력에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대역 선택 신호가 고대역 동작을 지시할 때 상기 제1 평균화된 신호를 비교기부의 제1 입력에 결합하고 기준 전압을 상기 비교기부의 제2 입력에 결합하며, 상기 대역 선택 신호가 저대역 동작을 지시할 때 상기 제2 평균화된 신호를 상기 비교기부의 제2 입력에 결합하고 기준 전압을 상기 비교기부의 제1 입력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함 -; 및
    상기 듀티 사이클을 나타내는 신호와 상기 기준 전압의 비교에 응답하여 포화 검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제1 제한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증폭된 고대역 RF 신호의 네거티브 전압 익스커션들을 통과시키는 반면에 상기 증폭된 고대역 RF 신호의 포지티브 전압 익스커션들을 제한하는 단계는 제1 다이오드를 포지티브 전압 익스커션 동안에 턴온시키고 네거티브 전압 익스커션 동안에 턴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제한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증폭된 저대역 RF 신호의 네거티브 전압 익스커션들을 통과시키는 반면에 상기 증폭된 저대역 RF 신호의 포지티브 전압 익스커션들을 제한하는 단계는 제2 다이오드를 포지티브 전압 익스커션 동안에 턴온시키고 네거티브 전압 익스커션 동안에 턴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한된 신호를 평균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한된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한된 신호를 평균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제한된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이동 무선 통신 장치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안테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결합되는 기저대역 서브시스템; 및
    상기 기저대역 서브시스템 및 상기 안테나에 결합되는 무선 주파수(RF) 서브시스템
    을 포함하고,
    상기 RF 서브시스템은 송신기부 및 수신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부는 변조기, 업컨버터 및 전력 증폭기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증폭기 시스템은,
    전원 전압에 결합되는 고대역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를 갖는 고대역 출력 트랜지스터 및 전원 전압에 결합되는 저대역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를 갖는 저대역 출력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전력 증폭기;
    상기 고대역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에 결합되고, 포지티브 전압 익스커션들을 차단하고, 네거티브 전압 익스커션들을 통과시키는 제1 리미터부;
    상기 제1 리미터부의 출력에 결합되는 제1 평균화 필터부;
    상기 저대역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에 결합되고, 포지티브 전압 익스커션들을 차단하고, 네거티브 전압 익스커션들을 통과시키는 제2 리미터부;
    상기 제2 리미터부의 출력에 결합되는 제2 평균화 필터부; 및
    제1 및 제2 비교기 입력을 구비하고, 포화 검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기부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대역 선택 신호가 고대역 동작을 지시할 때 상기 제1 비교기 입력을 상기 제1 평균화 필터부의 출력에 결합하고 상기 제2 비교기 입력을 기준 전압 회로에 결합하며, 또한 상기 대역 선택 신호가 저대역 동작을 지시할 때 상기 제1 비교기 입력을 상기 제2 평균화 필터부의 출력에 결합하고 상기 제2 비교기 입력을 기준 전압 회로에 결합하는 이동 무선 통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미터부는 제1 다이오드 및 제1 바이어싱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이어싱 회로는 상기 고대역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에서의 포지티브 전압 익스커션 동안에 턴온되고 상기 고대역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에서의 네거티브 전압 익스커션 동안에 턴오프되도록 상기 제1 다이오드를 바이어싱하며,
    상기 제2 리미터부는 제2 다이오드 및 제2 바이어싱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이어싱 회로는 상기 저대역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에서의 포지티브 전압 익스커션 동안에 턴온되고 상기 저대역 출력 트랜지스터 단자에서의 네거티브 전압 익스커션 동안에 턴오프되도록 상기 제2 다이오드를 바이어싱하는 이동 무선 통신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균화 필터부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평균화 필터부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기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이동 무선 통신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제1 비교기 입력에 결합되는 폴 단자, 상기 제1 평균화 필터부의 출력 및 상기 기준 전압 회로의 일부에 결합되는 제1 스로우 단자, 및 상기 제2 평균화 필터부의 출력 및 상기 기준 전압 회로의 일부에 결합되는 제2 스로우 단자를 구비하는 제1 스위치;
    상기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제2 비교기 입력에 결합되는 폴 단자, 상기 제1 평균화 필터부의 출력 및 상기 기준 전압 회로의 일부에 결합되는 제1 스로우 단자, 및 상기 제2 평균화 필터부의 출력 및 상기 기준 전압 회로의 일부에 결합되는 제2 스로우 단자를 구비하는 제2 스위치
    를 포함하는 이동 무선 통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 회로는,
    상기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제1 평균화 필터부의 출력, 상기 제1 스위치의 제1 스로우 단자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제1 스로우 단자에 결합되는 제1 전류원; 및
    상기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제2 평균화 필터부의 출력, 상기 제1 스위치의 제2 스로우 단자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제2 스로우 단자에 결합되는 제2 전류원
    을 포함하는 이동 무선 통신 장치.
KR1020117012245A 2008-10-28 2009-10-26 전력 증폭기 포화 검출 KR101648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59,645 2008-10-28
US12/259,645 US8103226B2 (en) 2008-10-28 2008-10-28 Power amplifier saturation detec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599A Division KR101665923B1 (ko) 2008-10-28 2009-10-26 전력 증폭기 포화 검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522A KR20110091522A (ko) 2011-08-11
KR101648995B1 true KR101648995B1 (ko) 2016-08-17

Family

ID=421180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599A KR101665923B1 (ko) 2008-10-28 2009-10-26 전력 증폭기 포화 검출
KR1020117012245A KR101648995B1 (ko) 2008-10-28 2009-10-26 전력 증폭기 포화 검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599A KR101665923B1 (ko) 2008-10-28 2009-10-26 전력 증폭기 포화 검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6) US8103226B2 (ko)
EP (1) EP2351211A4 (ko)
KR (2) KR101665923B1 (ko)
CN (2) CN103560755B (ko)
TW (1) TWI502882B (ko)
WO (1) WO201006253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4502B2 (en) 2001-10-10 2004-10-12 Peregrine Semiconductor Corporation Switch circuit and method of switching radio frequency signals
US7719343B2 (en) 2003-09-08 2010-05-18 Peregrine Semiconductor Corporation Low noise charge pump method and apparatus
EP1774620B1 (en) 2004-06-23 2014-10-01 Peregrine Semiconductor Corporation Integrated rf front end
USRE48965E1 (en) 2005-07-11 2022-03-08 Psemi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improving gate oxide reliability by controlling accumulated charge
US7910993B2 (en) 2005-07-11 2011-03-22 Peregrine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improving linearity of MOSFET's using an accumulated charge sink
US9653601B2 (en) 2005-07-11 2017-05-16 Peregrine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improving linearity of MOSFETs using an accumulated charge sink-harmonic wrinkle reduction
US20080076371A1 (en) 2005-07-11 2008-03-27 Alexander Dribinsky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e injection in radio frequency switches
EP2385616A2 (en) 2008-07-18 2011-11-09 Peregrine Semiconductor Corporation Low-noise high efficiency bias generation circuits and method
US9660590B2 (en) 2008-07-18 2017-05-23 Peregrine Semiconductor Corporation Low-noise high efficiency bias generation circuits and method
US8103226B2 (en) 2008-10-28 2012-01-24 Skyworks Solutions, Inc. Power amplifier saturation detection
US8098102B2 (en) * 2009-02-03 2012-01-17 Renesas Electronics Corporation RF power amplifier and RF power module using the same
US8022770B1 (en) 2010-05-27 2011-09-20 Skyworks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power amplifier supply voltage saturation
US8350624B2 (en) 2010-09-01 2013-01-08 Peregrine Semiconductor Corporation Amplifiers and related biasing methods and devices
US8368462B2 (en) 2010-10-06 2013-02-05 Peregrine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RF switching amplifier
US8415805B2 (en) * 2010-12-17 2013-04-09 Skyworks Solutions, Inc. Etched wafer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9413362B2 (en) 2011-01-18 2016-08-09 Peregrine Semiconductor Corporation Differential charge pump
US8538354B2 (en) * 2011-04-04 2013-09-17 Intel IP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ignal transmiss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774858B2 (en) 2011-05-18 2014-07-08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RF saturation detection in a wireless device implementing multiple wireless protocols
US9246722B2 (en) * 2012-03-20 2016-01-26 Intel Deutschland Gmbh Device for providing a differential output signal and method for providing a differential output signal
CN103117717B (zh) * 2012-12-11 2017-03-15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二研究所 功率放大器及其实现方法、发射机及无线随钻测量***
US20150236748A1 (en) 2013-03-14 2015-08-20 Peregrine Semiconductor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Duplexer Loss Reduction
US9246443B2 (en) * 2013-11-26 2016-01-26 Skyworks Solutions, Inc Multi-mode power amplifier
CN105471401B (zh) * 2014-09-30 2018-01-09 天工方案公司 通过射频输入信号的幅度调整的压缩控制
US9621118B2 (en) 2014-12-30 2017-04-11 Skyworks Solutions, Inc. Compression control through power amplifier voltage adjustment
US9985721B2 (en) * 2015-01-27 2018-05-29 Hughes Network Systems, Llc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calculating cable attenuation between a satellite terminal and a radio across a frequency spectrum
US9425891B2 (en) * 2015-01-27 2016-08-23 Hughes Network System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able loss measurement between indoor and outdoor units
DE102015212149A1 (de) * 2015-06-30 2017-01-05 TRUMPF Hüttinger GmbH + Co. KG Leistungsversorgungssystem und Verfahren zur Einstellung einer Ausgangsgröße der Verstärkerstufe eines Leistungsversorgungssystems
CN106646435A (zh) * 2017-01-25 2017-05-10 大连理工大学 一种用于实验教学的水下声源***
JP2018133778A (ja) 2017-02-17 2018-08-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力増幅モジュール
WO2018183189A1 (en) * 2017-03-27 2018-10-04 Waveguide Corporation Integrated switched-mode power amplifiers
US10187019B1 (en) * 2018-03-26 2019-01-22 Qorvo Us, Inc. Phased array antenna system
KR20210000740A (ko) 2018-05-29 2021-01-05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클럭 듀티 사이클 개선을 위한 듀티 사이클 조절기 설정 장치 및 방법
US11171565B2 (en) * 2018-10-05 2021-11-09 Stmicroelectronics (Grenoble 2) Sas Switched-mode power converter
US11189334B2 (en) 2018-11-21 2021-11-30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 multi-bit duty cycle monitor
US10715127B2 (en) 2018-11-21 2020-07-14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using look-ahead duty cycle correction to determine duty cycle adjustment values while a semiconductor device remains in operation
US11916517B2 (en) 2019-04-23 2024-02-27 Skyworks Solutions, Inc. Saturation detection of power amplifiers
US11664833B2 (en) 2019-07-23 2023-05-30 Skyworks Solutions, Inc. Power detectors with enhanced dynamic range
CN112688712B (zh) * 2019-10-17 2022-07-19 立积电子股份有限公司 射频装置及其电压产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3155A (en) * 1983-05-04 1985-06-11 Motorola, Inc. Temperature compensated automatic output control circuitry for RF signal power amplifiers with wide dynamic range
US4817192A (en) * 1986-10-31 1989-03-28 Motorola, Inc. Dual-mode AFC circuit for an SSB radio transceiver
JP2612950B2 (ja) * 1990-02-21 1997-05-21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トランジスタの飽和防止回路
US5043672A (en) * 1990-03-26 1991-08-27 Novatel Communications Ltd. Power detector utilizing bias voltage divider for precision control of an amplifier
JPH082009B2 (ja) * 1990-08-30 1996-01-10 三洋電機株式会社 増幅回路
US5070309A (en) * 1991-01-28 1991-12-03 Harris Corporation RF power amplifier having improved amplifier protection
JP2871889B2 (ja) * 1991-04-16 1999-03-17 三菱電機株式会社 高周波電力増幅装置
US5754037A (en) * 1996-07-30 1998-05-19 Dallas Semiconductor Corporation Digitally adaptive biasing regulator
US6108527A (en) * 1997-07-31 2000-08-22 Lucent Technologies, Inc. Wide range multiple band RF power detector
JPH1155131A (ja) 1997-08-06 1999-02-26 Nec Corp 無線送信電力制御装置
US6163709A (en) * 1998-06-24 2000-12-19 Conexant Systems, Inc. Cellular phone with a logarithmic detector
US6133792A (en) * 1998-09-17 2000-10-17 Telefonaktei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power amplifier saturation
KR100303309B1 (ko) * 1998-12-10 2001-11-22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에서전류제어를통한증폭기의선형성개선장치
KR100279816B1 (ko) * 1998-12-19 2001-02-01 윤종용 이중화 전력증폭기의 선형동작 제어회로
IL131117A0 (en) 1999-07-26 2001-01-28 Eci Telecom Ltd Sine wave generator suitable for ringer
US6281748B1 (en) * 2000-01-14 2001-08-28 Motorola,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odulation dependent signal amplification
DE10002523A1 (de) * 2000-01-21 2001-08-02 Infineon Technologies Ag Schaltungsanordnung zur Regelung der Sendeleistung eines batteriebetriebenen Funkgeräts
US6476677B1 (en) * 2000-08-30 2002-11-05 Skyworks Solutions, Inc. Power amplifier saturation detection and compensation
US6496063B2 (en) * 2000-12-04 2002-12-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lectable diode bias for power amplifier control in a wireless telephone handset
JP2003124819A (ja) 2001-10-16 2003-04-25 Sharp Corp 無線送信装置
KR20010114194A (ko) * 2001-11-30 2001-12-29 임주택 신발아웃솔금형회전수최적화시스템
US6614309B1 (en) * 2002-02-21 2003-09-02 Ericsson Inc. Dynamic bias controller for power amplifier circuits
CN1623274A (zh) * 2002-03-15 2005-06-01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射频输出功率控制
US7251459B2 (en) * 2002-05-03 2007-07-31 Atheros Communications, Inc. Dual frequency band wireless LAN
WO2004027990A1 (en) * 2002-09-17 2004-04-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reserving linearity of a rf power amplifier
JP3990974B2 (ja) * 2002-11-26 2007-10-17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ピークファクタ低減装置
US8000737B2 (en) * 2004-10-15 2011-08-16 Sky Cros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daptively controlling antenna parameters to enhance efficiency and maintain antenna size compactness
US7548111B2 (en) * 2005-01-19 2009-06-16 Micro Mobio Corporation Miniature dual band power amplifier with reserved pins
TWI283833B (en) * 2005-07-07 2007-07-11 Sunplus Technology Co Ltd Color image dead pixel calibration method and its system
JP2007116651A (ja) * 2005-09-22 2007-05-10 Renesas Technology Corp 高周波電力増幅用電子部品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8475506B1 (en) * 2007-08-13 2013-07-02 Lockheed Martin Corporation VCSEL array stimulator apparatus and method for light stimulation of bodily tissues
US7933570B2 (en) * 2006-02-03 2011-04-26 Quantance, Inc. Power amplifier controller circuit
JP4628293B2 (ja) * 2006-03-30 2011-02-09 京セラ株式会社 マルチバンド無線通信方法およびマルチバンド無線通信装置
US7826810B2 (en) 2006-05-08 2010-11-02 Harris Corporation Multiband radio with transmitter output power optimization
US7706760B2 (en) * 2006-05-10 2010-04-27 Skyworks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saturation detection, correction and recovery in a polar transmitter
JP2008035487A (ja) * 2006-06-19 2008-02-14 Renesas Technology Corp Rf電力増幅器
FR2903190B1 (fr) * 2006-06-29 2008-08-22 Airbus France Sas Procede de determination instannee de taux de distorsion de signaux sur un reseau electrique alternatif, et dispositif associe.
US7859336B2 (en) 2007-03-13 2010-12-28 Astec International Limited Power supply providing ultrafast modulation of output voltage
JP4970192B2 (ja) * 2007-08-20 2012-07-0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TWI365601B (en) * 2007-09-27 2012-06-01 Mstar Semiconductor Inc High linearity mixer with programmable gain and associated transconductor
KR101618119B1 (ko) * 2007-12-24 2016-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포락선 제거 및 복원 기법 기반의 전력 증폭 장치
US20090254956A1 (en) * 2008-04-04 2009-10-08 Sunrise Telecom Incorporated Communication signal characteristic measurement system
US8103226B2 (en) 2008-10-28 2012-01-24 Skyworks Solutions, Inc. Power amplifier saturation de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60755B (zh) 2017-01-18
TW201025836A (en) 2010-07-01
KR20160096733A (ko) 2016-08-16
EP2351211A4 (en) 2012-04-04
US10224917B2 (en) 2019-03-05
TWI502882B (zh) 2015-10-01
EP2351211A2 (en) 2011-08-03
US20190260367A1 (en) 2019-08-22
CN103560755A (zh) 2014-02-05
US20170155383A1 (en) 2017-06-01
US8749273B2 (en) 2014-06-10
US20100105448A1 (en) 2010-04-29
US9515611B2 (en) 2016-12-06
US20150207463A1 (en) 2015-07-23
WO2010062533A2 (en) 2010-06-03
US8103226B2 (en) 2012-01-24
KR101665923B1 (ko) 2016-10-12
US8928356B2 (en) 2015-01-06
KR20110091522A (ko) 2011-08-11
US20140285267A1 (en) 2014-09-25
WO2010062533A3 (en) 2010-08-05
US20120115426A1 (en) 2012-05-10
CN102265510A (zh)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995B1 (ko) 전력 증폭기 포화 검출
US7595694B2 (en) Electronics parts for high frequency power amplifier
JP3545767B2 (ja) 可変減衰を利用した相互変調ひずみ低減回路
KR101793732B1 (ko) 조절 가능한 다중 대역 전력 증폭기 모듈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7271662B2 (en) High frequency power amplifier circuit and electric component for high frequency power amplifier
EP0977354B1 (en) Amplifier for radio transmission
JP5437511B2 (ja) 高周波増幅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移動体通信端末
US67181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nonlinear distortion in an automatic gain control system
US7957703B2 (en) Wireless circuit device
KR100193842B1 (ko) 무선통신시스템의 전력조절 회로 및 방법
US20090237156A1 (en) Power amplifiers having improved startup linearization and related operating methods
US7515648B2 (en) Transmitt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same
WO2004015859A2 (en) Variable gain amplifier with improved control characteristics linearity
JP2005217562A (ja) 高周波電力増幅回路
JP2002176368A (ja) 送信出力増幅器のバイアス電流最適化制御が可能な送信電力制御装置
JP5050341B2 (ja) チューナ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